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반도 주요 도서 지역의 기후변화 지표 식물 분포

        김현희,水野一晴,이호상,구재균,공우석 한국환경과학회 2021 한국환경과학회지 Vol.30 No.1

        This study analyzed the status of climate-change indicator plants native to the main islands of the Korean peninsula, while elucidating their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Information on flora from over 129 island locations, comprising more than 100 species of native plants, was collected, compiled into a database, and utilized as raw data. The distribution of 193 climate-change indicator plants was confirmed. The distribution area of broadleaf evergreen trees and ferns, including Mallotus japonicus and Cyrtomium falcatum, was relatively wide. In contrast, the distribution of common northern plants such as Corydalis turtschaninovii and Malus baccata was limited. If global warming persists, northern plant distribution is expected to decrease rapidly in the Korean Peninsula island region, while the northern limit line of the southern plants is expected to migrate further northward. During this process, it is likely that the plant congregation structure and species diversity within the island region will change dynamically. In this study, comparative analyses between species and regions were conducted by assessing the relative frequency of their occurrence, and six types of botanical geographic distribution patterns were noted.

      • KCI등재

        AWS 관측자료로 분석한 한국 도서지역 기후 특성

        김현희,水野一晴,공우석 한국기후변화학회 2022 한국기후변화학회지 Vol.13 No.4

        This study analyzed the climate characteristics of 50 island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using AWS data observed over the past 20 years as raw data. The island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is located between 33° and 38° north latitude; when latitude increases by 1°, the average temperature decreases by 1℃. The average temperature on the islands was 13.77℃ during the study period, 1.37℃ higher than the average of 12.40℃ on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same period. The annual range difference was 23.48 on the islands, which was 2.76℃ lower than the average 26.24℃ on the Korean peninsula. The temperature on the islands was lower than the national average from April to July but higher from August to March. The average annual precipitation on the islands was 1,125 ㎜, which was 220 ㎜ less than the national average. Annual precipitation on islands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was greater than 1,300 ㎜, while that on Chungcheong Province and Gyeonggi Province was less than 1,000 ㎜. Some islands received only 700 ㎜ or less of annual precipitation. The island region showed 1.5 times stronger wind speed than the national average, and the deviation was significant in winter, especially that of an isolated island in the distant sea. Islands have a relatively warm, stable climate with a small range of temperature change. However, the regional variation in precipitation was considerable. This difference in distribution of precipitation is highly likely to create extreme weather in conjunction with climate change.

      • KCI등재

        자연 및 인문 자원을 활용한 풍도발전 연구

        황가영,김현희,水野一晴,김다빈,공우석 한국도서(섬)학회 2020 韓國島嶼硏究 Vol.32 No.2

        There are about 3,300 large and small island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and most of them, except for some famous tourist destinations or large islands now connected to the mainland, are suffering from rapid regional decline due to shrinking populations and worsening settlement conditions. The situation, especially in small island areas, is even worse. This study presented a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 using various human and natural environment conditions in small island areas with 'Poong-do' located in Ansan, Gyeonggi-do, as an example. The research methods were divided into indoor and on-site surveys, and SWOT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survey. Poong-do, also called “the paradise of wildflowers”, has strengths in its natural environment, unique history, cultural resources, and accessibility to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n addition, the local government's willingness to actively develop policies is an opportunity factor. However, poor settlement conditions and infrastructure in the region are preventing these resources from being properly managed, and there is a weakness in the loss of local income sources. It also has relatively low accessibility compared to its physical distance due to problems such as lack of transportation and weather constraints while also possessing the threat element that most policies attempt to end with one-time-only short-term policies, leading to reckless development. Based on these SWOT analysis results, the following development measures were presented in this study.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integrated ecological and cultural tourism program that combines unique and beautiful plants, natural scenery, and the unique historical and cultural assets of the island region (S-O strategy). Second, the infrastructure necessary for residents' lives and tourism should be expanded first, and the income sources should be secured by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the community-led areas (W-O strategy).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limited tourism courses that prioritize both the environment and residents, and to improve awareness of the region through active promotion (S-T strategy). Fourth, a project plan should be promoted through links with surrounding areas such as "Yook-do" and "Daebu-do", and consequently support comprehensive development from a long-term perspective rather than short-term project-type development (W-T strateg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stablishes integrated information on “Poong-do” and proposes practical and practicable development measures that take into account locality, such as the speciality of the island area and relationship with the surrounding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development of “Poong-do” in a narrow sense and the development of all remote island area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in a broader sense. 현재 우리나라 도서 지역은 일부 유명 관광지나 육지와 연결된 큰 섬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이 인구감소 및 정주 여건 악화로 지역 쇠퇴 현상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소규모 도서 지역의 상황은 더욱 열악하다. 이에 본 연구는 경기도 안산시에 위치한 ‘풍도’를 사례로 소규모 도서 지역의 자연 및 인문환경을 활용한 종합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방법은 실내조사와 현지 조사로 구분되며, 조사를 통해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SWOT분석을 실시하였다. ‘야생화의 천국’이라고도 불리는 풍도는 천혜의 자연환경과 독특한 역사, 문화, 수도권과의 접근성 등에서 강점(Strength)을 가진다. 또한, 관할 지자체에서 적극적인 정책 개발 의지를 가지고 있다는 점은 큰 기회(Opportunity)요소이다. 그러나 지역 내 정주여건이나 기반시설이 열악하여 이러한 자원이 제대로 관리되고 있지 못하며, 지역 내 소득원이 상실되고 있다는 약점(Weakness)요소가 있다. 또한, 교통편 부족과 기상 제약 등의 문제로 물리적 거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접근성을 가지며, 대부분의 정책이 단기성 정책으로 끝나 난개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위협(Threat)요소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SWOT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풍도에서만 볼 수 있는 독특하고 아름다운 식물과 자연경관, 특유의 역사 문화 자산을 결합한 통합형 생태·문화 관광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S-O전략). 특히 최근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에 풍도해전 관련 내용이 포함되었다는 점과 연계하여, 교육청과 협업을 통한 역사문화 교육의 장으로서 풍도가 가지는 강점을 피력한다면 이러한 방법은 더욱 큰 효과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둘째, 주민 생활 및 관광에 필요한 기반시설을 우선 확충하고, 주민 주도의 지역 개발을 지원하여 소득원을 확보하여야 한다(W-O전략). 이러한 방법을 통해 풍도 내 인구 유출을 줄이고, 봄철에만 집중되었던 관광객 유입의 편중 문제를 조금이나마 개선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환경과 주민을 우선으로 하는 제한적 관광코스를 개발하고,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지역에 대한 인식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S-T전략). 현재도 관광객의 무분별한 야생화 자생지 출입과 그에 따른 훼손으로 풍도의 소중한 자원이 위협 받는 상황임을 고려했을 때, 자연 자원에 대한 적극적인 외부 홍보와 동시에 지속적인 관리와 보전을 위한 전문 관광 프로그램 개발이 필수적이다. 넷째, 육도, 대부도 등 주변지역과의 연계를 통한 사업 계획을 추진하고, 단기간의 프로젝트형 개발이 아닌 장기적 관점에서의 종합적 발전이 수립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W-T전략). 이 연구는 풍도에 대한 통합적 정보를 구축하고, 도서 지역이 갖는 특수성과 주변 지역과의 관계 등 지역성을 고려한 실용적이고 실천 가능한 발전 방안을 제안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해당 연구를 통해 좁게는 풍도의 발전을, 넓게는 우리나라 전체 낙도(落島)지역 발전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도서지역 어부림의 가치와 활용 - 경상남도 남해군 물건리 방조 어부림을 대상으로 -

        김다빈 ( Kim¸ Da-bin ),김현희 ( Kim¸ Hyun-hee ),水野一晴 ( Mizuno¸ Kazuharu ),황가영 ( Hwang¸ Ga-young ),공우석 ( Kong¸ Woo-seok ) 한국도서(섬)학회 2020 韓國島嶼硏究 Vol.32 No.4

        본 연구는 우리나라 남해안 일대 분포하는 어부림 중 가장 잘 알려진 남해군 물건리 방조어부림을 대상으로 자연 및 인문학적 가치평가와 지역 발전을 위한 공간 자원으로써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어부림(魚付林)이란 우리나라 남해안 일대 분포하는 전통 마을 숲의 하나로 방풍(防風), 방조(防潮), 방파(防波), 어군(漁群) 등의 기능을 한다. 바다로부터 해안마을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마늘의 안녕을 기원하는 신앙의 공간이며, 휴식의 공간이기도 하다. 더불어 건강하고 오래된 숲은 자연생태학적 가치도 적지 않다. 하지만 아직 어부림에 대한 정확한 정의와 구조, 형태, 기능 등에 대해 그 구분이 명확하지 않아 많은 어부림이 상록수림, 방풍림 등으로 명명되어 있다. 특히 남해군 삼동면 물건리 방조어부림은 우리나라에서 가장많이 알려진 곳으로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었으나 물건리 방조어부림의 공간 가치 및 활용방안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구조적으로 살펴본 결과 물건리 방조어부림은 남해군 본섬 동쪽 만에 남북방향으로 긴 띠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길이는 약 1.5㎞, 면적은 약 23,438㎡이다. 물건리 방조어부림은 자연 지형이 전혀 없는 물건리 동쪽 바다에서 불어오는 바람과 태풍 등 자연재해의 위험으로부터 마을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인문학적 관점에서 물건리 방조어부림은 마을의 안녕과 풍년·풍어를 기원하던 신앙적인 공간이었으며, 더불어 마을 주민들의 휴식 공간으로 물건리 주민들과 항상 같이했던 친근한 곳으로써 의미가 있었다. 또한 물건리 방조어부림에는 높이 10m 이상의 느티나무(Zelkova serrata), 푸조나무(Aphananthe aspera), 이팝나무(Chionanthus retusus), 말채나무(Cornus walteri) 등의 교목들이 자생하며 건강하고 독립된 생태 숲을 이루고 있다. 하지만 체계적인 관리가 없고, 일부 귀화식물 및 생태계 교란 식물의 분포도 확인되어 이에 대한 관리가 요구된다. 물건리 방조어부림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물건리 방조어부림에 대한 재방문 및 추천 의사가 100명 중 90명이 넘을 정도로 긍정적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마을 단위에서 물건리 방조어부림을 활용한 마을 발전 가능성이 충분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로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긴 역사를 간직하고 있는 물건리 방조어부림은 자연과 역사 그리고 문화가 혼재하는 함축된 장소로 보존하고 가꾸어야 할 공간으로써 그 가치와 활용 가능성이 크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which examines the windbreaks and fish shelter forest in Mulgeonri, Namhaegun, a popular fish shelter forest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aims to assess its natural and humanistic value and explore its potential utility as a spatial resource for regional development. The fish shelter forest is a traditional village forest that is found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and serves as a windbreak, a breakwater that stops tides and waves, and a fishing bank. It not only protects coastal villages from the sea, but also serves as a resting place and a place of faith where people offer prayers and make wishes. Moreover, old and healthy forests possess significant ecological value. However, as the definition, structure, form, and function of fish shelter forests have yet to be clearly distinguished, many of them are termed as evergreen forests, windbreak forests, etc. In particular, the windbreak and fish shelter forest in Mulgeonri, Samdongmyeon, Namhaegun is the most popular forest of this type in Korea and it has been extensively studied. However, insufficient research exists regarding its spatial value and its possible utility as a resource for regional development. The forest in Mulgeonri, which forms a long strip from the south to the north on the inlet located east of the main island of Namhaegun, is about 1.5 ㎞ long and has an area of approximately 23,438㎡. The forest protects the village from natural hazards such as winds and typhoons that blow from the sea to the east of Mulgeonri. The forest also holds significant value for humans, because it serves both as a spiritual place where residents have wished for peace and good harvests and as a resting place that the residents consider familiar and comfortable. Additionally, the forest is a healthy, independent ecological forest with autochthonous trees that stand 10m tall or more, such as Zelkova serrata, Aphananthe aspera, Chionanthus retusus, and Cornus walteri. However, since there is no organized management of the forest, the presence of some naturalized plants and invasive species has been observed, and measures need to be taken to manage its condition. This survey, which inquired into the possible uses of the forest in Mulgeonri, returned positive findings. Over 90 out of the 100 respondents were willing to return to the forest and to recommend it.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village has a good chance of facilitating its own development by tapping into the resources provided by the forest. In conclusion, the windbreak and fish shelter forest in Mulgeonri has great value and utility as a space that serves as an amalgamation of nature, history, and culture. It should therefore be preserved and tended to in the manner that befits such a unique natural treasure.

      • KCI등재

        사례 연구(우이도)로 살펴본 도서지역 폐기물의 현황과 분포

        김현희 ( Kim¸ Hyun-hee ),김다빈 ( Kim¸ Da-bin ),水野一晴 ( Mizuno¸ Kazuharu ),황가영 ( Hwang¸ Ga-young ),공우석 ( Kong¸ Woo-seok ) 한국도서(섬)학회 2021 韓國島嶼硏究 Vol.33 No.2

        삼면이 바다인 반도국이자 3,348여 곳의 도서(島嶼)가 있는 우리나라는 다양한 형태의 해양 및 연안 오염 문제로부터 결코 자유로울 수 없다. 특히 많은 도서 지역 중 거주민이 적은 작은 섬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문제는 육지 및 큰 섬과 비교하여 사실상 관리 사각지대에 있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니다. 더욱이 도서 지역 폐기물은 내부 발생과 함께 해류를 타고 외부에서 유입되는 경우도 적지 않아 지속적인 관리가 절대적으로 요구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번 연구는 소규모 도서 지역의 폐기물 현황과 분포 특성을 사례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지역은 전라남도 신안군 도초면 우이도이며, 면적 10.7㎢, 인구 100여 명의 작은 유인도이다. 우이도는 섬 전체가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그 보전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풍성사구로 대표되는 독특한 사구 경관과 다양한 식물이 자생하고 있어 작은 섬임에도 불구하고 자원자산이 적지 않다. 그리고 우이도는 지리적으로 한반도 서해 남부의 먼바다와 가까운 바다의 중간에 위치하여 내해와 외해에서 유입되는 폐기물이 모두 분포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돈목해변, 성촌해변, 띠밭넘어해변 등 작은 섬임에도 불구하고 주변 다른 섬들과 비교해 모래 해안이 잘 발달 되어 현지 데이터를 확보하는데 용이하다. 2019년 8월 19일부터 23일까지 3곳의 모래 해안에서 연구진의 인위적 간섭없이 자연 상태의 폐기물 현황을 조사하였다. 폐어구가 전체 폐기물의 20.9%로 가장 많았으며, 스티로폼 19.93%, 페트병 18.32%, 플라스틱류 16.79% 순이었다. 이들 4종류의 폐기물이 전체의 75.12%를 차지한다. 이는 전국단위의 다른 조사 결과와도 유사하다. 해변별로는 돈목해변 34개, 성촌해변 1,798개, 띠밭넘어해변 1,899개로 조사되었다. 돈목해변은 여름철 해수욕장으로 운영되어 지속적인 관리가 이루어져 다른 해안과 비교하여 폐기물 수가 적었다. 폐기물은 주로 사빈과 사구의 경계부에 집중되며, 해식동과 작은 만입부를 중심으로 쌓여 일종의 공간적 폐기물 분급(分級)이 나타난다. 더불어 국외에서 유입된 폐기물도 현장에서 쉽게 볼 수 있었으며, 특히 처리하기 쉽지 않은 폐어구의 경우 그 양이 많아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는 점을 지역 주민과의 인터뷰를 통해 확인하였다. 이는 향후 국가 간 의견 교환 및 토론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도서 지역 폐기물을 지역 내에서 자체적으로 관리하기에는 사실상 벅찬 문제다. 따라서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이 요구되는 바이다. 물론 도서지역 폐기물에 관한 정확한 실태조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앞으로 소규모 도서 지역 폐기물 관리를 위한 보다 자세한 시·공간적 비교 연구가 필요하며, 이와 관련한 해당 지방자치단체와 중앙정부의 적극적인 움직임이 요구된다. As a peninsular country with the sea on three sides and 3,348 islands, Korea cannot be free from various types of marine and coastal pollution issues.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waste problems that occur on small islands with few inhabitants are unknown and incalculable with regards to management compared to those of the mainland and large islands. Furthermore, waste in island areas is not only formed internally but also flows in along ocean currents, so continuous management is absolutely required.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analyzes the waste situation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small islands through case studies. The study was done on Ui Island, Docho-myeon, Sinan-gun, Jeollanam-do, a small inhabited island with an area of 10.7㎢ and a population of about 100. From August 19 to 23, 2019, three sandy coasts were examined for their(research team) untouched waste situation. Abandoned fishing gear accounted for 20.9% of the total waste, followed by Styrofoam (19.93%), PET bottles (18.32%), and plastic (16.79%). These four types of waste accounted for 75.12% of the total waste, and this is in line with the results of a nationwide examination. The number of pieces of waste found according to the beaches were 34 from Donmok beach, 1,798 from Seongchon beach, and 1,899 from Tibatneomeo beach. Donmok beach had fewer pieces of waste than did other beaches because it was operated as a summer beach and was continuously managed. Waste is normally concentrated at the boundaries between sand beaches and sand dunes, and a type of waste classification occurs as the waste piles up around sea caves and small bay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rough an interview with local residents that waste flowing in from overseas countries is easily detected, and of that waste, in particular, a large amount comprises abandoned fishing gear of which it is difficult to dispose. This shows that the exchange of views and discussions between countries is needed in the future, and managing island waste autonomously is actually a daunting problem for the region. Therefore, the government needs to actively step in. Of course, an accurate fact-finding examination regarding waste on the island should first proceed. In the future, a more detailed temporal and spatial comparative study on waste management on small islands will be necessary, and in this regard, active movements by the relevant local governments and the central government are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