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마트폰 사용 목적에 따른 잠재집단과 학업태도와의 관계: 성별을 중심으로

        홍원준 ( Wonjoon Ho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20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6 No.3

        스마트폰이 현대인의 필수품이 됨에 따라, 최근에는 대부분의 청소년들 또한 스마트폰을 보유하게 되었고 그 활용에 대한 관심과 연구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관련연구들은 스마트폰의 개별 기능에 초점을 맞추는 변수중심접근(Variable-centered approach)방법을 기반으로 다른 주변의 변수들과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에 연구의 초점을 두었고, 이러한 접근은 학생 개인의 스마트폰 사용 패턴을 고려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람중심접근(Person-centered approach)를 사용해 스마트폰 사용 목적에 따른 잠재집단을 확인하고, 확인된 잠재집단에 따라 학업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나아가 성별에 따라 사용 패턴이 다른 점을 고려해 남학생 여학생을 구분하여 두 집단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KCYPS 2018) 1차년도(2018년)로부터 중학교 1학년 남학생 1375명과 여학생 1166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스마트폰의 기능들을 사용 목적에 따라 가족 관계적 사용, 친구 관계적 사용, SNS 사용, 오락적 사용, 도구적 사용, 정보추구 사용으로 구분하였다. 그룹별 평균 비교에서는 여학생이 오락적 사용을 제외하고 모든 목적에 있어 남학생보다 스마트폰 사용이 더 많았다. 또한 잠재프로파일분석결과 남학생들 사이에서는 전반적 저사용 집단, SNS 저사용 집단, SNS 집중사용 집단이 확인되었고, 여학생들 사이에서는 SNS 저사용집단, 전반적 평균사용 집단, SNS 집중 사용 집단이 확인되었다. 잠재집단과 학업태도와의 관계는 SNS저사용 집단이 남학생 여학생 모두에게서 가장 높은 수준의 학업태도를 보여주었고, 남학생들 사이에서는 전반적 저사용 집단이, 여학생들 사이에서는 SNS 집중사용 집단이 가장 낮은 수준의 학업태도를 보여주었다. 그 밖에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 등이 논의되었다. As a smartphone has become common among people in these days, adolescent students also have possessed their smartphone and an interest in and research on use of them has highly increased. However, a majority of previously relevant studies has employed a variable-centered approach focused on individual functions of a smpartphone to examine how they are related to other variables, which missed a pattern of individual‘s smartphone use.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dentify latent classes based on the purpose of smartphone use and examine how they are related to learning attitude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LPA). In addition, 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 in which there are gender differences in the pattern of smartphone use, how differently the latent classes emerged by gender was investigated. For the study,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of 1375 male and 1166 female first-grade middle school students obtained from the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2018(KCYPS 2018). In the study, the purpose of smartphone use was categorized into family relationship, friend relationship, SNS, entertainment, tool, and information-seeking. Descriptive analysis showed that for the most purposes except for entertainment, female students used smartphones more frequently than males. Also, the result of a latent profile analysis identified overall infrequent use, SNS infrequent use, and SNS oriented use groups among male students and SNS infrequent use, overall moderate use, and SNS oriented use among females. Lastly, the SNS infrequent use group demonstrated the greatest learning attitude among males as well as females, and male students in the overall infrequent use and female students in the SNS oriented use group lower learning attitude than other groups.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he direction of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중학생 정서 · 행동문제의 잠재프로파일 분석: 부모의 양육태도,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홍원준(Hong, Wonjoo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한국청소년연구 Vol.31 No.2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정서 · 행동문제에 따른 잠재집단을 분류하고, 부모의 양육태도,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 · 청소년패널조사 2018의 중1패널 1차년도 자료에서 정서 · 행동문제, 부모의 양육방식, 삶의 만족도에 응답한 중학교 1학년 2,59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먼저 3단계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이용하여 청소년의 정서 · 행동문제를 분석한 결과 4개의 잠재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정서 · 행동문제의 하위요인들의 점수를 고려하여 각각의 잡단을 “중간수준 정서문제(45.7%)”, “건강한 정서 · 행동(27.6%)”, “주의집중문제(14.8%)”, “우울중심 심각 정서 · 행동문제(11.9%)”로 명명하였다. 이어서 R3STEP을 통한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은 자율성지지를 제외한 부모의 양육태도의 모든 하위요인이 잠재집단 분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부모가 더 많은 따스함, 구조제공과 보일 경우 청소년들은 긍정적인 정서집단 속할 확률이 높았고, 반대로 부모의 거부, 강요, 비일관성이 증가할 경우 부정적인 정서문제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다음으로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가 정서문제의 집단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해 BCH방법에 의한 가중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건강한 정서 · 행동 정서문제 집단과 주의집중문제 집단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이어서 중간수준 정서문제 집단, 우울중심 심각 정서 · 행동문제 집단 순으로 본인들의 삶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정서문제에 대한 사람중심접근의 연구의 유용성과 필요성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dentify the optimal latent profiles of adolescents’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and to examine their relationship with parenting attitudes and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of 2,590 first-grade middle school students harvested from the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2018(KCYPS 2018). The results of a latent profile analysis indicated that a four-profile model was the best model, based on multiple model fit indices: middle-level emotional/behavioral problems(45.7%), no emotional/behavioral problems(27.6%), Attention problems(14.8%), and depression-focused high-level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11.9%). A subsequent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R3STEP procedure, showed that all variables of parenting attitudes, except for autonomy support,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predictors of emotional problem profiles. Additionally, the weighted multiple group analysis, based on a BCH approach revealed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significantly differed according to emotional/behavioral problem profiles.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e necessity of a person-centered approach in analyzing adolescents’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 KCI등재

        재직자 소프트웨어 역량 강화 교육에서 성취목표가 학업성취도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홍원준(Wonjoon Hong),최재성(Jae-Sung Choi)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1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재직자 소프트웨어 역량 강화 교육에서 성취목표가 학업성취도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나아가 이러한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이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탐색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재직자 소프트웨어 역량강화 교육에 참여한 18명의 재직자로부터 수집한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우선 상관관계 분석결과 성취목표,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 만족도 간에 유의한 수준의 정적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이어서 Baron와 Kenny가 제안한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성취목표는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 및 만족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효능감은 성취목표와 학업성취도 및 만족도의 관계에서 정적인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 등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achievement goal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and whether there is the mediator effects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in software education for employees. To do this, data from 18 employees who completed a survey were analyzed. The result of a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achievement goals, self-efficacy, academic achievement, satisfact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In addition, the findings of a 3-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by Baron and Kenny demonstrated that achievement goals predicted self-efficacy,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has a an mediator effect in the relationship among achievement goals,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Lastly, implication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suggested,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SCISCIESCOPUS

        Chemically driven carbon-nanotube-guided thermopower waves

        Choi, Wonjoon,Hong, Seunghyun,Abrahamson, Joel T.,Han, Jae-Hee,Song, Changsik,Nair, Nitish,Baik, Seunghyun,Strano, Michael S. Nature Publishing Group 2010 NATURE MATERIALS Vol.9 No.5

        Theoretical calculations predict that by coupling an exothermic chemical reaction with a nanotube or nanowire possessing a high axial thermal conductivity, a self-propagating reactive wave can be driven along its length. Herein, such waves are realized using a 7-nm cyclotrimethylene trinitramine annular shell around a multiwalled carbon nanotube and are amplified by more than 10<SUP>4</SUP> times the bulk value, propagating faster than 2 m s<SUP>−1</SUP>, with an effective thermal conductivity of 1.28±0.2 kW m<SUP>−1</SUP> K<SUP>−1</SUP> at 2,860 K. This wave produces a concomitant electrical pulse of disproportionately high specific power, as large as 7 kW kg<SUP>−1</SUP>, which we identify as a thermopower wave. Thermally excited carriers flow in the direction of the propagating reaction with a specific power that scales inversely with system size. The reaction also evolves an anisotropic pressure wave of high total impulse per mass (300 N s kg<SUP>−1</SUP>). Such waves of high power density may find uses as unique energy sources.

      • 공장 에너지관리 시스템(FEMS) 기반 동선 제작용 가스용해로 에너지 절감을 위한 공정 핵심모델 개발

        홍종희(Hong Jongheui),고락경(Rakkyung Ko),송원준(Song WonJoon) 대한전자공학회 2023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6

        This paper presents a study on FEMS-based process optimization and energy-saving technology for gas furnace of copper wire manufacturing. Realtime measurements and analyses were conducted on the energy supply, operation, and equipment information of the gas furnace melting process in order to establish a core process model. Based on this model, it is aimed to predict a holding furnace level and optimize the gas supply quantity to the gas burner within the melting process in order to reduce gas usage by tens of burners. The paper aims to research an optimized process technology that considers economic efficiency and ecofriendliness.

      • Rapid Electromechanical Transduction on a Single-Walled Carbon Nanotube Film: Sensing Fast Mechanical Loading via Detection of Electrical Signal Change

        Choi, Wonjoon,Hong, Jinkee American Chemical Society 2012 INDUSTRIAL & ENGINEERING CHEMISTRY RESEARCH - Vol.51 No.45

        <P>Carbon nanotubes (CNTs) have been widely explored as next generation embedded-strain-pressure sensors. However, most investigations of CNT sensors did not consider the response time as a critical factor, although the ultrafast sensing of mechanical deformation is very important for the detection of dynamic loading or impact, such as in reactive armor systems. Owing to the low capacitance that shortens the response time of the electrical resistance changes induced by mechanical deformation, CNTs are expected to detect rapid electromechanical transduction without delay. Herein, we fabricate single-walled carbon nanotube (SWNT) films on diverse substrates, and evaluate their applications as sensors to detect rapid electromechanical transduction on a macroscopic scale. Under repetitive, high-speed mechanical loading, the SWNT films generate consistent electrical signal changes, which are accurately synchronized with their strain and the beginning of the deformation.</P><P><A href='http://pubs.acs.org/doi/suppl/10.1021/ie301551a'>ACS Electronic Supporting Info</A></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