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터넷을 이용한 사이버 테러 대응 정책 연구 : 인도와 파키스탄의 경우

        이춘호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2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인도와 파키스탄에서 자행되고 있는 사이버 테러의 실례들을 통해 양 국가의 대응 정 책의 기조와 변화 그리고 분야별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2000년 이후 발생한 중요 사이버 테러 의 종류와 내용, 행위 주체들에 대한 내용 분석을 하였다. 그런 다음 분석한 내용에 양국의 사회적·역사적·정치적 상황을 대입시켜 양국 정부의 대응 정책 및 시대와 상황의 변이에 따른 정책의 변화도 보여주고자 하였다. 본 연 구를 통해 첫째, 사이버 테러 행위 주체자들의 성격과 둘째, 사이버 테러의 대상 및 방법 등이 드러났다. 셋째, 사 이버 테러가 각 분야별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기술의 진보와 더불어 사이버 테러의 방법도 고도 화되고, 사이버 테러에 대한 양국 간 대응책도 복잡해지고, 사이버 보안 및 양국 간 사이버 공간에 대한 모니터링 도 훨씬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one and change of response policies of both countries and the impact of each aspects of society through examples of cyber terrorism committed in India and Pakistan. I analyzed the types and contents of ciritical cyber terror that occurred after 2000 and the subjects of action. Then, I attempted to show the response policies of the two governments on the bases of the social, historical, and political situations of the two countries. Through this study, I tried to reveal like this. First, the nature of the subjects of cyber terror and second, the object and method of cyber terror. Third, I analyzed how cyber terror affects each field of society. Along with technological advances, the method of cyber terror is expected to be high-end, and countermeasures between the two countries against cyber terrorism are expected to become increasingly complex. This is expected to lead to strengthening of cybersecurity and much stronger monitoring of cyberspace between the two countries.

      • 벤처중심의 판교 신도시 개발 전략

        이춘호 경기연구원 2001 경기논단 Vol.3 No.3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discuss how we develop “Pangyo New town”in view of public benefits as well as how much high-tech industrial parks are important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in order to greatly increase the national wealth of Korea. Normative research methods including statistical data analysis, survey data analysis, and literature review technique are used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venture business location in “Pangyo New town.” Considering the locational advantage of “Pangyo New town”, the city area is the optimal location site of environmentally sound, low-density, high-tech venture industry that highly preserves natural environments and enables to use industrial infrastructure including market demand, finance, and highlyeducated personnel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First, industrial area and housing supply size should be considered comprehensively in order to continuously provide land. Second, we forecast the future demand of Korean venture industries, and allocates the required area for the venture industries in “Pangyo New town.” In conclusion, if the venture-oriented, knowledge-based industrial park is developed in the “ Pangyo” area, the regional traffic generation relatively decreases by high jobhousing balance, and the area would be the new model of “New town Development” based on self-sufficient urban structure.

      • 중국에서의 한국 역사교육에 대하여

        이춘호 중국한국(조선)어교육연구학회 2005 한국(조선)어교육연구 Vol.3 No.-

        韓國曆史敎學作爲韓國語專業文化課敎育的一環越來越受到學術界的關注。如何通過語言敎學與曆史文化敎學的相互接軌達到韓語敎學的最佳效果,已成爲我國高校韓語敎學中극待解決的新課題。文章指出了目前在韓國曆史敎學中存在的問題,分析硏究了韓國曆史敎學的體系與方法,幷對中韓關系史上値得關注的幾個問題提出了看法。

      • KCI등재

        16세기-17세기 무갈 제국의 기독교 인식 - 아크바르와 제한기르 시대를 중심으로 -

        이춘호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10

        1556년부터 1605년까지 50여 년간 인도를 통치했던 아크바르는 자신이 피통치자들인 힌두들에 대한 종교적 관용 정신으로 유명하다. 중앙 아시아 출신인 배경으로 인해 종교적으로도 인종적으로도 소수에 불과했던 무갈은 인도 현지 소왕국들을 점령하고 그들과의 결혼 동맹을 통해 영토를 확장하였다. 또한 그들에 대한 여러 가지 종교적 관용 정책을 베풀어 그들의 환심을 사고자 했다. 여기에는 당시의 정치적 상황과 무엇보다 아크바르 개인의 성향이 많은 영향을 끼쳤음을 부인할 수는 없다. 이는 당시 인도에 진출하고 있었던 기독교 선교를 내세웠던 포르투갈 예수교 선교사들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되었다. 한 발 더 나아가 아크바르는 그들의 자신의 조정에 세 차례에 걸쳐 자신의 조정에 초청해 머물게 하면서 자신의 지적 궁금증을 채우기까지 하였다. 이러한 관용 정신의 제한기르 시대에도 상당 기간 이루어졌다. 그러나 변화된 정치적 상황은 그들에 대한 더 이상의 지원을 막았으나 이미 수십 년에 걸친 그들의 존재는 무갈 사회 전반에 많은 영향을 미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점에 착안, 무갈 황제들 그 중에서도 아크바르와 제한기르가 가진 기독교에 대한 관념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선교사들이 가지고 온 유럽 기독교 그림들과 그 자신들이 무갈 회화에 미친 기독교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To Akbar ruled India for fifty years from 1556 to 1605, And he is famous for his religious tolerance to the Hindus. With the background fo Central Asia, they were minority in religion and ethnicity. But they conquered the India sub-continent and extended territory through marriage alliances with them. They also made a policy of various religious tolerance for them and wanted to appeal to them. It can not be denied here that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time and above all Akbar's individual tendencies have influenced on those policies. This was equally true for the Portuguese missionaries who had been advancing Christian missions in India at the time. Moving a step further, Akbar even filled his intellectual curiosity by inviting those Jesuit Fathers to his own courts three time. This tolerance has been continued till Jehangir for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But the changed political situation prevented further support for them, but their presence over decades has had a profound impact on the entire Mughal society. In this paper, we have examined the perception of the Mughal emperors, especially Akbar and Jehangir on Christianity. And I have researched about some influences of the European Christian paintings on Mughal miniatur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지상으로 내려 온 천국 – 무갈 샤자한 시대 정원의 상징성 –

        이춘호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4

        사막에 사는 이슬람인들에게 정원은 혹독한 기후에서 안락함을 주는 상징이었다. 후에는 이슬람 사후 종교관이 개입되면서 정원은 코란에 묘사된 천국의 모습을 지상에 구현해 내는 형식으로 그 상징성이 변화하였다. 인도에 진출한 무갈인들도 그 예외는 아니었다. 무갈 제국을 건설한 바부르 시기에 건설된 정원은 안락을 취하는 장소로써의 의미가 강했다. 그의 뒤를 이은 왕들이 건설한 정원은 종교적 개념이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시작함으로써 그 의미가 확장 변형되기 시작하였다. 무덤정원에 종교적 개념이 본격적으로 도입된 시초는 델리에 건설된 후마윤 묘였다. 이후 시칸드라에 건설된 아크바르 묘를 거쳐 지상에 구현된 천국에 개념으로써의 정원의 상징성은 타지마할에 이르러 절정에 이르렀다. 한편 돌뿌르에서 시작된 쉼터로써 정원의 의미 역시 샤자한 시대 라호르에 건립된 샬리마르 정원에서 극대화되었다. 본 논문은 샤자한 시대에 조성된 무덤 정원과 쉼터로써의 정원의 의미와 형식을 분석 살펴 보고자 하였다. To Muslims living in the desert, the garden was a symbol of comfort in a harsh climate. Later, with the intervention of the view on death of Islam, the symbolism of the garden was changed into a form embodied on the earth as the image of heaven described in the Koran. The Mughals who came to India were no exception. The gardens built during the Babur’s reign were of great significance as a place to take comfort. In the gardens built by the kings who succeeded him religious concepts as a paradise were begun to be introduced. The beginning was Humayun’s tomb built in Delhi. The symbolism of the garden as a image of the heaven embodied on the ground through the Akbar mausoleum built in Sikandra reached its peak in Taj Mahal. On the other hand, the meaning of the garden as a shelter was maximized in the Shah Jahan period. This thesis analyzed the meaning and the form of the garden as a tomb garden and a shelter built in the Shah Jahan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