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농업협동조합의 사업에 관한 법적 연구

        최흥은 대진대학교 법무행정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940

        통합 농협법은 1999.9.7. 법률 제6018호로 제정되어 그동안 7차 개정을 거쳐 2005.7.29 법률7638호 농협법으로 유지되고 있다. 농업협동조합법은 농업인의 협동조직인 지역농업협동조합(이하‘지역농협’이라함)●지역축산업협동조합(이하‘지역축협’이라함)●품목별●업종별협동조합(이하‘품목조합’이라함)●조합공동사업법인 및 품목조합연합회와 농업협동조합중앙회(이하‘중앙회’라함)의 모두를 농협이라는 법인의 조직●운영●사업에 대하여 적용하기 위하여 제정된 특별법이다. 그러면 그 목적을 살펴보면 농업인의 자주적인 협동조직을 바탕으로 농업인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지위 향상과 농업의 경쟁력 강화를 통하여 농업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 국민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에 이바지함을 농협법 1조에 명시 하였다. 여기서 농협법의 헌법상 제정●운영근거는 헌법 119조 2항, 123조 5항에 그 근거를 두었다. 그러나 한국의 협동조합은 정부의 주도하에 필요에 의하여 제정되었지만 세계 협동조합의 변천과 발전에 비하여 비약할 정도로 발전되어진 것은 사실이다. 아울러서 대다수 일반인(국민)도 농협이 은행 또는 정부의 공공기관 또는 예하단체로 이해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면, 올바른 농협의 역할과 사업의 필요성을 알지 못해 농협에 대한 바른 정의를 할 수가 없다고 할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농협법의 존립 목적과 사회적 이론적 근거를 고찰하고, 한국의 협동조합이 비약적 발전에 비하여 경제적 약자 단체인데도 불구하고 사회적 기업으로서 많은 활동과 향후 미래에 더 많은 사회적 기업으로서 활동을 해야 한다는 충분한 명분을 가지고 있음은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무릇 기업(법인)의 존속 유지는 사업을 통한 수익 창출일 것이다, 농협도 비영리 법인이지만 운영에 필요한 사업을 하여 구성원에게 이익을 돌려주어야 할 의무가 있는 것이다. 과연 농협법상의 사업의 범위가 상인성 여부와의 관계, 사업범위의 판단, 회원이 아닌 비회원이 이용하는 사업의 제도와 제한과 위반의 효력은 어떤 것이지를 논하였으며, 비회원을 대상으로 한 우선출자제도의 성격과 권리 및 배당관계와 비회원의 거래증가가 농협 사업에 미치는 효과와 농협사업의 점유에 따른 상법 적 상인성 문제를 다루었다. 그리고 농업협동조합법 이의에 의한 농협사업에 대하여 기술 하였다. 그동안 농협법에 대한 논문이나 자료가 충분하지 않아 이론적으로 충분 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자본주의가 발전되어지고 기업의 성장은 시장경쟁을 통하여 창출되어지는 것이다. 농업협동조합도 일반적으로 조합원과 시장의 관계에서 거래 비용을 최소화하고 시장을 경쟁적 구조로 효율화하여 회원의 이익과 사회적 이익 환원을 함으로서 시장지배력을 확보하여야 할 것이다. 이에 농업협동조합에 대한 사업 기반을 정부는 개방을 하여야 하며 농협은 건전 경영을 통한 사업의 질을 높여야 할 것이며, 더 나아가 농업협동조합은 사회적 기업으로 거듭 태어나야 할 것이다. The comprehensive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 Act is currently maintained as the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 Act, law No. 7639 since its revision on July 29th, 2005, after its initial legislation as low No 6018 on September 7th, 1999, and seven revisions thenceforth. The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 Act is a special act legislated to govern the cooperative organizations of farmers, including the local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hereafter referred to as the ‘local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 local stock-raisers' cooperative association(hereafter referred to as the ‘local stock raisers' association’); cooperative associations for each item and business type (hereafter referred to as the ‘item association’); the united association business corporation, the item association union and the central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 union (hereafter referred to as the 'central union’) regarding the structure, operation and business of the corporation called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 The object of this act is stated as to enhance the life quality of farmers by improving the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status of farmers and reinforcing the competitive edge of agriculture based on the automative cooperative organizations of farmers, and contribute to the balanced development of the national economy in Provision 1 of the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 Act. The constitutional basis of the act's legislation and enforcement is in Provision 119, article 2 and Provision 123, article 5 of the constitution. However, although the cooperative association of Korea has been established upon the call of necessity, led by the government, it is true that the association has achieved remarkable progress compared to the changes and development of the other cooperative associations around the world. Moreover, considering that most citizens perceive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s as public organizations under banks or governments or as their subsidiary institutions, it cannot be said that the correct definition of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s cannot be made due to the lack of knowledge regarding the roles and necessity of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s. Therefore, this thesis aims to observe the object and social/logical foundation of the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 Act. Doubtlessly, there is sufficient reason to believe that Korean cooperative associations must further operate as social institutions in the future as well as at this current point, despite the fact that they are still economically weak entities compared to their remarkable degree of progress. The Raison D'etre of most companies(corporations) is no doubt creating profit by doing business. Although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s are non-profit organizations, they still have the duty to practice business necessary for their existence and return the generated profit to their members. This study discusses the scope of business stipulated in the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 Act in the aspect of its inter-relationship, judgement of the scope of business, and what the effects of the regulations and limits subject to the projects utilized by non-members. Also, this study observes the characteristics and rights of the priority investment system for non-members, the dividend system, the effect of the increase in non-member transaction, and the inter-relationship in the business law aspect according to the market share of the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s. Also, the thesis describes the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s' businesses based on the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 Act. There hasn't been sufficient dissertations or data published regarding the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 Act; therefore, the logical basis may not be sufficiently stable. However, with the development of capitalism, companies develop through competitions in markets. The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 must obtain governance over the market by returning its earnings to the members and the society, by efficiently reforming the market into a competitive structure and minimizing the transaction expens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mbers and the market. The government should in turn open up the business-foundation of the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 while the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s must improve their business quality by performing transparent operations. Furthermore, the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s must be reborn as social organizations.

      • 협동조합장 선거법의 헌법적 쟁점에 관한 연구

        이한솔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894

        A cooperative union is an autonomous society organized by the economic and social weak excluded from the capitalistic society so as to protect economic and social rights and interests thereof. The cooperative union has democratic principles with respect to the constitution of organization and decision-making process, which are the most characteristics of the cooperative union, and activities of the cooperative union are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al freedom of association. A cooperative union president speaks for intentions of union members of the cooperative union and executes the business on behalf of the cooperative union. Therefore, an election procedure of the president should reflect the democratic intentions of the union members in its entirety. To this end, the freedom of an election campaign should be guaranteed, as a basic premise. However, the government imposes strict restraints conforming to the public election on election management and election campaign manners of the cooperative union presidents of the agricultural cooperative union, the fisheries cooperative union and the forestry cooperative, which are representative cooperative unions of Korea, through the legislations. Since the cooperative union has a constitutional status in the national economic system and serves as a public role conforming to the financial institution, the exercises of regulation and mediation rights by the nation may be justified to some extent so as to secure the fairness. However, if the freedom of expression is excessively restricted in the election procedure, focusing on the fairness of the election, the democratic legitimacy, which is the core value of the election of the cooperative union president, may not be sufficiently secured. In this paper, it is studied whether the national intervention and the degree thereof are constitutionally legitimized with respect to the restraints on the election management and election campaign manners of the cooperative union president. First, the legal status of the cooperative union is to be clarified from the constitutional standpoints, and the constituting principle thereof is to be studied from the standpoint of the basic right, i.e., the constitutional freedom of association, the status of the cooperative union regarding the meaning of the constitutional economic system and the economic democratization, and aspects of the basic principles of the democratic management principle, the autonomy and the independent principle of the cooperative union. Thereby, the appropriateness of the democratic principle implementation in the election procedure of the cooperative union president is to be deduced. Then, the current conditions of the legal regulations on the election of the cooperative union president are to be reviewed together with the history of the regulations relating to the Agricultural Cooperatives Act, focusing on contents of the Act of Election commissioned by the Public Organizations etc. During the review, the background that the election of the cooperative union president has been commissioned and managed by the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which is a governmental institution, is to be examined from the historical aspect of the establishment of the cooperative unions, the past illegal and corrupt cases, the existing discussion about the living surrounding election purification, and the like. Through the current conditions, the constitutional issue, i.e., the appropriateness of the national regulations and degrees thereof on the election of the cooperative union president is to be deduced. Based on the above reviews, regarding the national regulations on the election of the cooperative union president, the specific problems are to be discussed from the aspects of guaranteeing the constitutional freedoms of speech, association and expression such as the right to know and alternatives thereof are then to be found. 협동조합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소외된 경제적·사회적 약자들이 자신들의 경제적·사회적 권익을 보호하기 위하여 조직한 자율적 단체이다. 협동조합은 그 조직 구성과 의사결정 과정에서 민주성 원칙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협동조합의 활동은 헌법상 결사의 자유에 의하여 보장된다. 협동조합장은 협동조합 조합원들의 의사를 대변하고, 협동조합을 대표하여 업무를 집행한다는 점에서 그 선출 절차는 조합원들의 민주적 의사가 온전히 반영되어야 한다는 하고, 그 전제로서 선거운동의 자유가 보장되어야 한다. 그런데, 우리나라 대표적 협동조합인 농업협동조합, 수산업협동조합, 산림조합의 조합장 선거의 관리와 선거운동방법에 대하여 국가가 입법을 통하여 공직선거에 준하는 엄격한 규제를 하고 있다. 협동조합이 헌법상 국가 경제질서에서 가지는 지위와 금융기관에 준하는 공적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공정성 확보를 위하여 일정 부분 국가의 규제·조정권 행사는 정당화될 수 있다. 그러나, 선거의 공정성 확보에 치중하여 선거 절차에서 표현의 자유를 과도하게 제한할 경우, 협동조합장 선거의 핵심적 가치인 민주적 정당성 확보가 미흡하게 될 우려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협동조합장 선거 관리와 선거운동방법의 제한 측면에서의 국가의 개입 자체와 그 정도에 있어서 헌법적 정당성 여부에 대한 문제를 고찰한다. 먼저 헌법적 관점에서 협동조합의 법적 지위를 명확히 하고, 그 구성원리를 헌법상 결사의 자유라는 기본권적 관점, 헌법상 경제질서의 의의와 경제민주화와 관련하여 협동조합의 지위, 협동조합의 민주적 관리원칙과 자율과 독립원칙이라는 기본원칙의 측면에서 고찰한다. 이를 통해 협동조합장 선거절차에서 민주성 원칙 구현의 당위성을 도출한다. 다음으로 협동조합장 선거에 대한 법적 규제의 현황을 농업협동조합법 관련 규정의 연혁을 통해 살펴보고, 공공단체등 위탁선거에 관한 법률의 내용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이 과정에서 협동조합장 선거를 국가기관인 선거관리위원회에 위탁관리하게 된 배경을 협동조합의 설립의 연혁적 측면, 과거의 부정·혼탁사례, 기존의 생활주변선거 정화 논의 등을 통해 살펴본다. 이러한 현황을 통하여 협동조합장 선거에 대한 국가 규제 자체 및 정도의 측면에서의 타당성이라는 헌법적 쟁점을 도출한다. 이상에서의 검토에 기초하여 협동조합장 선거에 대한 국가 규제에 대하여 헌법상 언론의 자유, 결사의 자유, 알권리 등 표현의 자유 보장 측면에서의 구체적 문제점을 논한 뒤 이에 대한 대안을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공공단체등 위탁선거에 관한 법률 개정의견과 해외 선거 규제 유형, 인터넷 선거운동 도입 가능성 등을 통해 모색한다.

      • 일제하 대중운항운동 연구

        송민수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872

        This paper analyzed the mass movement in shipping of three regional cases that emerged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compared their characteristics. The targets include Amtae Youth Association's Amtae ship’s agent business, Geoje Youth Federation’s participatory movement about Geoje shipping corporation and the Dong-A navigation cooperative of Jeju residents. With the modernization, exchanges and commercial activities with land had become indispensable in island region, so the demand for modern shipping that can conveniently move between islands and land had increased rapidly. These demands, coupled with the unified tendencies of the island residents led to the birth of the mass movement in shipping. However, usually the mass movement in shipping had rarely appeared in only a few areas where there is a strong social movement force. On the other hand, the mass movement in shipping of these three cases had a similar form to a consumers' cooperative that raises capital through the investment of many people and provide shipping services at low prices. However, in specific business types, Dong-A navigation cooperative is the actual consumers' cooperative, that is, a shipping cooperative and the other two movement businesses are the youth association business and the multi-shareholder corporation. It was the result of whether the prerequisites for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 shipping cooperative were met, whether there was an environment to assist it, and whether it was for the purpose of pursuing profits. On the other hand, the mass movement in shipping was one of the pillars that operated the social economy in the island region version of the social economy, given that it was realizing social values by promoting the interests of the residents through the provision of cheap modern shipping services. 이 논문은 일제하에서 등장했던 지역별 세 가지 사례의 대중운항운동에 대해 분석하고, 그 성격을 비교했다. 암태청년회의 암태취급점 사업, 거제청년연맹의 거제운항주식회사 참여운동, 제주도민들의 동아통항조합이 그 대상이다. 근대화에 따라 도서지역에서는 육지와의 교류 및 상업활동이 필수불가결해지며, 섬과 육지 간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는 근대 해상교통수단에 대한 요구가 급증했다. 이러한 요구는 대중적으로 규합하기에 좋다는 도서지역 주민들의 특성과 맞물려, 대중운항운동의 탄생을 이끌었다. 그러나 대중운항운동은 대개 강력한 사회 운동세력이 있는 일부 지역에 한해서만 극히 드물게 등장했다. 한편 이 세 사례의 대중운항운동은 공통적으로 다수의 출자로 자본금을 모으고 저렴한 가격에 운항서비스를 제공하는 소비조합적 운영형태를 보인다. 그러나 구체적인 사업형태의 경우, 동아통항만이 실제 소비조합, 즉 선박이용조합이며 다른 두 운동은 청년회 사업과 다주주 체제의 주식회사라는 또 다른 사업형태를 취했다. 선박이용조합의 설립 및 운영을 위한 전제조건을 충족할 수 있었는지 여부, 그리고 이 전제조건을 충족할 수 있도록 보조해주는 환경이 존재했는지 여부, 이윤추구를 목적으로 했는지의 여부 등이 작용한 결과였다. 한편 저렴한 근대 운항서비스 제공을 통해 도민들의 이익을 증진시켜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세 대중운항운동은 사회적 경제의 도서지역 버전으로 당대 사회적 경제를 작동시키는 한 축을 담당하고 있었다.

      • 동반성장 지원이 중소기업의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중소기업은행 동반성장협력대출을 중심으로

        이제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843

        우리나라는 산업화의 진전에 있어서 대기업 중심의 수출주도 방식으로 급속한 성장을 이루었다. 눈부신 성장으로 인해 많은 개발도상국의 발전 모델로 손꼽히고 있다. 하지만 이면에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기술, 소득, 규모 등의 격차가 더욱 심화 되었다. 이에 중소기업은행은 대·중소기업 상생협력과 정책금융기관의 역할수행 및 동반성장 선도 은행으로의 자리매김을 위해 동반성장협력대출 상품을 출시하여 다수의 협력 중소기업에게 저리의 중소기업자금을 지원하였다. 본 연구는 동반성장협력대출이 중소기업의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이로 인해 도출할 수 있는 결과를 종합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동반성장협력대출” 지원은 총자산의 양적 성장과 효율적인 측면에 긍정적인 영향이 나타났다. 총자산의 양적, 질적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기 때문에 향후 대·중소기업 간의 금융지원 정책은 더욱 확대되어야 할 것이며, 중소기업 성장부문에 촉매제로 작용해야 할 것이다. 둘째, “동반성장협력대출” 지원은 부채비율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매출처가 대기업으로 집중되어 있을수록 납품에 대한 결제 기한이 중소기업보다 짧거나, 저리의 자금을 조달받을 수 있는 환경적인 측면에서 유리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동반성장협력대출을수혜 받을 수 있는 협력 중소기업을 더욱 확대해 나가야 할 것이다. 셋째, “동반성장협력대출” 지원은 일반 중소기업자금대출보다 매출액영업이익률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기업의 하청을 받는 중소기업이 높은 매출원가나 판매관리비가 반영되었을 것으로 추측한다. 그러므로 향후 대·중소기업 간 상생 협력을 위해서 적절한 원가 분담 체계를 마련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면 동반성장협력대출 지원은 중소기업의 재무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기 때문에, 더욱 폭넓은 업종과 지원의 사각지대에 있는 중소기업에게도 지원이 될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아쉬웠던 부분은 대출을 지원받은 후의 성과에 대해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에, 지원 전과 후의 성과 비교는 하지 못한 한계점이 존재한다. 또한 성과 비교를 재무적인 부분만 강조한 나머지 고용 증대, 동반성장에 대한 중소기업 대표자의 의식 변화, 연구개발 실적 등에 대한 데이터를 축적하면 향후 더욱 좋은 연구방법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In the progress of industrialization, South korea achieved rapid growth through export-led methods led by large enterprises. It has been cited as a development model for many developing countries due to its remarkable growth. However, behind the scenes, the gap in technology, income and scale between large enterprises and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widened even further. Therefore, Industrial Bank of Korea launched a product called "Associated Growth Cooperation Loans" aimed at promoting the coexistence of large and medium-sized enterprises, fulfilling the role of policy-based financial institutions, and positioning them as "Associated Growth Leading Banks," and provided support for low-interest funds to a large number of partner companies.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upport for "collateral growth cooperation"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growth of total assets, which is the sum of all assets of economic value. Secondly, it was found that support for "co-financing with growth" had a negative effect on operating profit margins of sales than on general financing for SMEs. This is probably a case in which costs of sales and sales management can be passed on to subcontractors such as SMEs in transactions with large enterprises. Thirdly, it was found that "collateral growth cooperation loans" we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debt ratio. Prior to this, it is said that the support for co-financing with growth will lead to an increase in total assets. However, the decline in the debt ratio and increase in total assets can be interpreted as a steady growth with an expanded capital base. Combined with these results, it is understood that the support for joint growth will contribute to the financial improvement of SMEs, and measures must be taken to assist SMEs in a wider range of industries and in the blind zone of support. The disappointing part of this research is that the results after the loan support were focused on, so the results before and after the support could not be compared. In addition, it would be a better research method in the future if data on increased employment, changes in the attitudes of representatives of SMEs toward accompanying growth,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performance were accumulated to emphasize only the financial aspects of the results comparison.

      • 日帝下 基督敎 民族運動의 政治經濟思想 : 安昌浩·李承晩 계열을 중심으로

        장규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박사

        RANK : 2823

        본 연구는 韓國 近代民族主義의 사상이론을 계통적으로 해명하는 작업의 일환으로, 그 한 축을 이루고 있었던 基督敎 民族主義를 일제하 기독교 민족운동을 통해 살펴본 것이다. 대한제국 말기 新民會와 皇城基督敎靑年會를 거점으로 대두한 기독교 민족운동은 관서지방의 신흥상공인층과 신지식층, 기호지방의 신지식층과 개혁관료층을 주축으로 하는 基督敎 政治社會勢力化의 한 매듭이었다. 이 시기 기독교 민족운동 세력은 독립협회 이래 漸進的 文明開化論의 연장선상에서 宗敎·敎育·殖産運動을 전개하면서, 기독교를 통해 독립정신을 고취하고, 실력양성의 기반이 되는 근대적 시민의식과 지식을 습득할 것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韓日合倂’과 일제의 무단통치는 근대시민의 육성을 통한 자유문명국가, 실력양성을 통한 근대 자본주의국가의 건설이라는 그들의 당초 구상을 뿌리채 흔들어 놓았다. 그러한 가운데 ‘105人事件’을 거치며 새로운 청년 학생세대들에 의해 武裝鬪爭論이 제기되었다. 더불어 일제 무단통치를 정당화하는 社會進化論的 强權主義에 대한 이론적 극복이 시도되었는데, 그것은 共和主義와 人道主義의 수용으로 나타났다. 이 때 인도주의와 民族自決主義는 기독교세력이 3·1운동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기에 이르는 사상적 배경이 되었다. 한편 워싱턴軍縮會議를 전기로 민족자결주의가 퇴조하고 부르주아민족운동 내부에 실력양성 노선이 전면화하는 가운데, 기독교 민족운동의 개량주의적 재편이 기독교 선교의 양대 거점인 평양과 서울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그리고 그러한 과정에서 안창호 계열의 平壤YMCA·修養同友會·基督信友會 등과 이승만 계열의 中央YMCA·興業俱樂部·積極信仰團으로 대표되는 기독교계 개량주의적 민족운동의 진영이 형성되었다. 3·1운동 이후 기독교세력은 平和的인 방법으로, 世界改造의 새로운 기운에 부응하는 正義와 人道의 실현으로서 한국의 독립을 전망하고, 그 방략으로 外交論과 實力養成論을 제기하였다. 한편 1920년대 중반 대두한 사회주의자들의 反宗敎運動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기독교세력 내부에 민족문제인식, 사회인식상의 일정한 편차가 나타났다. 그것은 기독교와 사회주의의 사상적 결합과 민중적 기독교를 모색하는 基督敎社會主義, 近代主義에 입각한 社會福音主義로 대별되었다. 신간회의 출범 이후 기독교계의 사회참여 논의가 활발해지는 가운데 예루살렘 국제선교대회를 거치며 맑스주의와 구별되는 기독교적 사회실천의 이론으로 ‘基督主義’가 등장하였다. 1929년 기독신우회의 ‘宣言’을 통해 공식 천명된 기독주의는 대공황기 반종교운동과 엇물리면서 反唯物論 이념투쟁으로 굴절되었는데, 그것은 이후 기독교계 내부에 冷戰意識이 자리잡는 과정을 보여주는 하나의 사례였다. 한편 실력양성론과 더불어 일제하 기독교 민족운동을 특징짓는 또 다른 논리는 宗敎→敎育→實業→政治로 이어지는 漸進主義였다. 기독교세력은 근대 시민의식의 형성을 목표로 하는 종교·문화운동을 모든 운동의 근본운동으로 설정하고, 그에 기초하여 교육·경제적 실력양성과 정치적 방면의 민족적 합동을 이룸으로써 자주독립의 기초를 마련하려 하였다. 그러한 선상에서 그들이 설정한 새로운 독립국가의 모델은 국가를 개인의 단체적 결합으로 파악하고, 國家에 대한 市民社會의 가치우위를 내세우는 自由主義 國家였다. 그런데 일제 침략으로 시민사회의 자율성 확보가 불가능해진 상황에서 그같은 국가론의 기조는 동요할 수밖에 없었다. 일제에 대한 非妥協의 원칙과 시민사회적 이해 사이에서 나타나는 갈등구조가 바로 그것이었다. 이 때 갈등의 소지가 된 문화운동과 정치운동 사이의 긴장관계를 일체의 정치색을 배제한 人格修養이라는 논리로 끊어버린 李光洙의 「民族改造論」은 당시 일제의 민족분열정책으로 동요하던 기독교계 민족부르조아지의 입장을 대변하였다. 이에 대해 신간회운동기 趙炳玉, 朱耀翰의 修養同友會 改造運動과 안창호의 大公主義는 민족해방을 최우선의 과제로 부각시키고, 신자유주의 국가관을 수용하여 사회전체의 공익을 위한 ‘사회적 국가’의 개입을 정당화함으로써 시민사회의 사적 영역에 안주하려는 그같은 경향에 대응하려 한 경우였다. 이와 더불어 대공황기를 거치며 이승만 계열 일각에서는 申興雨와 그가 조직한 적극신앙단을 중심으로 파시즘을 수용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일제하 기독교 민족운동의 민족경제건설 노선은 평양과 서울을 양대 거점으로 하여 전개된 자본주의 경제운동과 농촌운동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먼저 曺晩植을 구심점으로 物産奬勵運動·企業設立運動·節制運動 등의 방면에 걸쳐 전개된 관서 기독교계의 자본주의 경제운동은 ‘庶民型’ 中小資本家의 이해를 대변하는 가운데, 국가권력과 구별되는 시민사회의 자율성 논리에 기초하여 생산·유통·소비에 걸친 自作自給과 內資蓄積을 통한 自立的 近代化를 추구하였다. 그리고 기호 기독교계의 實業敎育運動은 근면성 성실성 책임감과 독립자영의 능력을 갖춘 基督敎的 市民層, 自立的 中産層의 양성에 촛점을 맞추었다. 이 과정에서 이승만 계열의 인사들은 外資導入論을 제기하기도 하였다. 한편 기독교계의 농촌운동은 YMCA연합회 농촌부와 장로회총회 농촌부를 양대 축으로 하여 전개되었다. 먼저 신홍우를 비롯한 이승만 계열 인사들에 의해 주도된 YMCA 農村事業은 産業化를 통한 농촌 과잉인구의 도시 흡수, 아일랜드를 모델로 한 유상매상·유상분배의 農地改革, 덴마크를 모델로 한 協同組合의 조직을 농촌재건의 밑그림으로 하는 近代主義的 農村運動이었다. 다음으로 안창호·조만식 계열에 의해 주도된 長老會 農村運動은 농촌의 경제적 파산과 문화적 낙오, 도덕적 타락을 한데 아울러 농촌피폐의 원인으로 파악하고, 교회를 중심으로 모범농촌을 건설함으로써 그같은 문제들을 풀어 나가려 한 福音主義的 農村運動이었다. 이와같이 일제하 기독교 민족운동은 개인의 自我革新 곧 近代 市民意識의 형성을 운동의 출발점으로 삼아, 이를 中産層의 육성과 中小資本 중심의 資本主義 近代化, 협동조합 등을 통한 自立的 小農體制의 확립으로 연결시키고, 나아가 시민사회의 輿論政治 원리에 입각한 민족적 대동단결과 자주독립을 전망하였던 민족개량주의운동이었다. 그러한 면에서 기독교 민족운동의 정치경제사상은 新興 中間階級의 이해를 대변하는, 自由主義 원리에 기초한 市民社會論的 民族主義였다. 그런데 이 시기 기독교세력은 양반 대지주 출신과 소빈농·노동자계급의 중간에서 市民革命論·絶對獨立論이 아닌 漸進的 文明開化論·民族改良主義 노선을 선택하면서 대지주·자본가와 계급적인 연합을 하였다. 그리고 反唯物論的 사상의식과 自由主義的 市民社會論의 이론적 정합성을 기초로 해방후 남한 자본주의국가의 체제이념과 자유민주주의 논리를 확립하는 데 열성적으로 참여하였다. 일제하 기독교 민족운동이 해방후 분단체제의 형성과 관련하여 갖는 역사적 함의는 바로 여기에서 찾아질 수 있다. This thesis explores the christian nationalism on the basis of christian national movement in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through which we can systematically clarify the traditional ideas of modern nationalism of Korea. In the late Daehan Empire period, christian national movement, which was based on the Shinminhoe(New People's Society) and the Hwangseong(Seoul) YMCA, represented the politicalization and socialization of christian power. It prevailed into the independent middle class in Kwanseo(Northwest) area and into the reformist bureaucrats and the new educated class in Kiho(Central) area. In this period, the christian nationalists developed the new movement in religion and education, insisting on learning the modem citizenship & knowledge and on expanding the independent spirit through christianity. However, the forceful occupation and military rule of Japan made their early plans fruitless. Their plan was to establish a civilized nation and a modem capitalistic economic system in Korea. Meanwhile, a group of new younger students introduced the armed independence movement through the 105 In Sageon (Incident of 105 People). At the same time, it was tried to overcome the social-evolutionary authoritarianism theoretically, which resulted in acceptance of republicanism and humanism. The humanism and the principle of self-determination of peoples had become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While the principle of self-determination of peoples decayed and the idea of fostering real ability surged, the reorganization of christian national movement according to the policy of gradual improvement developed in the two top christian centers of Seoul and Pyongyang. In the process of this change, the christian nationalist camp along the line of gradual improvement formed, which included the groups following the lines of An Changho and Rhee Seungman respectively. After March lst Movement, christians anticipated the independence of Korea as a realization of justice and humanism and they raised diplomacy and fostering real ability as a strategy. In the middle of 1920s, there were two tendencies among christian nationalists in response to Anti-Religion Movement of socialists. They were christian socialism, which was based on the combination of christianity and socialism, and social gospel, which was based on the modernism. After the appearance of Shinganhoe(National United Front), a new christianism was introduced as a christian practical morality, which was raised through Jerusalem Meeting of the International Missionary Council, distinguishing itself from marxism. The christianism interacted with Anti-Religion Movement and developed into an ideological fighting against materialism. This event had become a case of settling down of the cold war mentality in christian society. Another logic of christian national movement was characterized by the gradual progressivism, which panned to take the steps of religion, education, industry, and politics successively. All the christian groups set the movement of religion and culture as a base of all kinds of social movements. With this idea, they were willing to establish the base of the self-independence of Korea by fostering real ability in education and economy and by making a national union in political aspects. In this situation, their new model of independent state was based on liberalism, which regarded a nation as a union of people and gave priority to the civil society over nation. However, under the situation of Japanese colonial rule, it was impossible to protect the self-autonomy of civil society and as a result liberalism could not take root. It was the conflict structure between the principle of uncompromization with Japanese imperialism and the interest of civil society. In this social situation, Lee Kwangsu introduced his idea of remodelling a national movement, which represented for the position of christian national bourgeoisie. His opinion is that the tension between cultural movement and political movement can be solved by the cultivation of personality without political color. Against this ideological tendency, Suyang Dongwoohoe(Mental Training Society) Reforming Movement under the leadership of Chu Yohan and Cho Byongok and Daegongism of An Changho were raised, which were based on the new liberalism. They hilighted national liberation as a primary task, and justified the government intervention in social affairs for the public interest. Meanwhile, along the line of Rhee Seungman, the movement of accepting fascism appeared centering around the Jeokkeuk Shinangdan(Positive Faith Team) under the leadership of Cynn Heungwoo. We can examine the ideas of national economic construction through capitalistic economic movement and rural movement, which centered in two central cities, Seoul and Pyongyang. Economic movement of Kwanseo(Northwest) area christians spoke for the small and medium capitalists, was based on the self-regulation of civil society distinguished from the government power, and pursued the independent industrialization through the self-sufficiency and the national capital accumulation. In addition, the vocational training movement of Kiho(Central) area christians focused on fostering christian civil class and independent middle class, who was qualified on diligence, sincerity, and spirit of independence. In this process, people following the line of Rhee Seungman suggested the introduction of foreign capital. The rural movement of christians expanded centering around the YMCA and the Presbyterian Church. First, the rural work of YMCA, which was led by the people in line of Rhee Seungman, was rural reconstruction movement based on the westernization theory. The idea centered on the creation of cooperatives following the model of Denmark, agricultural reforms based on the model of Ireland, and absorption of surplus agricultural population into cities through industrialization. Second, the rural movement of Presbyterian Church, which was led by the people in line of An Changho and Cho Mansik, was a movement based on the christianism. They recognized the causes of the rural problems as economic bankruptcy, cultural degradation, and moral depravity. And they were willing to build the model rural community centering around the church. Christian national movement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started as a policy gradual improvement, stressing the importance of personal self-reformation or creation of modem citizenship. It also pursued industrialization centering around small and medium enterprise, and around rural reconstruction based on independent small-farm system such as cooperative. It anticipated national union and liberation, too, which was based on the principle of pubic opinion of civil society. In this respect, the political-economic ideas of christian national movement was a nationalism of civil society which was based on the principle of liberalism and tried to protect the interest of a new middle class. In this period, the groups of christian nationalists tried to associate with the landlords and the capitalists, not tenants and laborers. And it was supported by the political line of gradual progressivism, not of the civil revolution and an absolute liberation. After the Korean Liberation, they participated in establishing the ideas of capitalism and the principle of liberal democracy in South Korea. It is in this point that we can relate the historical implications of the christian national movement with the division of Korean Peninsula.

      • 협동조합 과세특례에 관한 연구

        박경환 연세대학교 법무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618

        특별법에 의해 설립된 국내 협동조합 중 농·수·산림조합의 경우는 해당 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종사자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설립되었고, 신협과 새마을금고는 지역민의 사회적, 경제적 지위 향상을 설립 목적으로 하고 있다. 2017년 기준 이들 5개 협동조합은 총 3,571개이며 거래회원은 3,621만명으로 전체 인구수에 70%가 이를 이용하고 있는데, 이는 협동조합이 국민경제에서 상당히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협동조합의 설립목적과 필요성을 살펴보고 장기간 지속되어 온 조세특례 제도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살펴보도록 하였다. 첫째, 당기순이익과세 제도는 세무상 이월결손금을 차감할 수 있도록 수정하고, 단기적으로 벌과금 등에 대한 일부 세무조정을 추가하되 장기적으로는 일반법인과 동일한 세무조정을 실시하여야 한다. 둘째, 조합법인에 대한 법인세법상 비영리법인의제를 폐지하여 일반법인과 조세형평을 맞추어야 한다. 셋째, 비과세예탁금 제도는 ISA와 통합한도로 관리하되, 연소득 5,000만원 이하인 경우에만 3,000만원까지 가입하도록 하고 기준소득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500만원을 한도로 한다. 넷째, 출자금 배당소득에 대한 이중과세를 조정하고, 신용사업부문에 대한 준조합원 이용고배당은 과세로 전환하여야 한다. 다섯째, 고유목적사업에 대한 범위를 명확히 규정하여 고유목적 사업에 대한 불필요한 행정낭비를 없애고, 과도한 중복지원을 막기 위하여 대규모점포를 감면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섯째, 담보물등기 등록면허세 특례제도는 적용대상을 영농자금 등으로 융자하는 경우로 한정하고, 조합합병시 인수하는 자산에 대한 등록면허세 특례제도는 감면비율을 100%로 확대하는 개정이 필요하다. In case of the agriculture, fisheries, and forest cooperative association from domestic cooperative association established by special law, it is established to improve a competitiveness of relevant industry and their workers' life quality. And also it has a specific purpose to improve local residents' social and economical status in case of the credit unions and the Saemaeul finance firm. In 2017, these five cooperative associations have already 3571 branches and their members are about 3621 ten thousand people and it is used by these people from 70% of total population. From this, it means that the cooperative association has pretty important part of national economy.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purpose of establishment and necessity of cooperative association, furthermore, it examines improvements about special case of tax system continuously in a long time. First, this study suggests that tax system for the net profit during the term has been modified to subtract the net loss carried over in taxation business and also it adds some tax adjustment for tax for default in the short run. In the long run, this study suggests that same tax adjustment with general corporation is implemented. Second, a taxation has to be balanced with general corporation by abolishing noncommercial corporation agenda about association corporation in the Corporate Tax Act. Third, a tax exemption deposition system has to be managed together with ISA and combination limit, for example, it allows people becoming a member according to annual income until 3000 ten thousand won in case under 5000 ten thousand won. But in case of excess standard income, it allows until 1500 ten thousand won. Fourth, the double taxation about dividends income by an investment has been modified and quasi-partnership Iyonggo distribution about credit business unit has been changed to taxation. Fifth, a range of essential business has been defined clearly, moreover, it contributes unnecessary waste of administration about essential business. At last, it is necessary to exclude a subject to tax reduction on large scale shop to prevent the excessive double support. Sixth, in special case system of the security registration license tax, application subject has been limited in financing such as a farming capital. Finally, in special case system of registration license tax about took over property in merge between associations, the revision is needed that reduction ratio has expanded to 100%.

      • 동북아시아 지자체 다자간 교류협력 활성화 요인에 관한 연구 : 동북아시아지역자치단체연합(NEAR)을 중심으로

        김운곤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617

        본 연구는 동북아지역 지자체 다자간 교류협력체 중 규모나 활동영역이 가장 큰 동북아시아지역자치단체연합(The Association of North East Asia Regional Governments, 이하 NEAR)의 사례를 통해 지자체 다자간 교류협력의 활성화 요인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내용적 범위는 NEAR 창설과정, 사무국 변천, 헌장 및 규정 제·개정 분야, 회원가입 및 의장단체 수임, 주요 활동 및 프로그램 변화, 회원단체 간 교류협력 촉진 및 유관기관 사업 참가, 사무국 대외협력 네트워킹 등이다. 지리적 범위는 정회원은 동북아시아지역으로 하며, 준회원은 동북아시아 지역 이외 전(全) 지역으로 한다. 시간적 범위는 NEAR 태동기에 해당하는 1993년 10월부터 현재까지이며, 상설사무국 도입을 전·후하여 2단계로 나누어 교류협력 현황을 살펴보고,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조사 및 연구, 인터뷰, 각 매스컴 검색 등을 통한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을 ‘동북아 지자체 다자간 교류협력 활성화’로 설정하고, 설명요인을 ‘상설사무국의 역할’로 설정하였다. 상설사무국 역할이 중요한 이유는 상설사무국의 의제 제안 및 설정 기능 등을 통해 교류협력이 회원단체의 이해관계에 따라 표류하는 상황을 막을 수 있고, 협력의 외연을 확대하며 내용을 심화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상설사무국의 역할을 설명할 수 있는 국제관계 이론이 (신)기능주의 이론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동 이론을 적용하였다. 신기능주의에서 “초국가 기구”인 상설사무국의 역할 분석을 통하여 연구 질문인 ‘왜 NEAR는 2005년 이후 활성화되었는가’에 대한 답을 얻으려고 하였다. 그리고 (신)기능주의 이론이 강조하는 또 다른 분야인 비정치적 분야 우선 교류협력, 의도된 파급효과, 기능·정치 엘리트 역할을 통하여 활성화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설명요인인 ‘상설사무국의 역할’의 7개의 하위요인, 즉 ① 안정적인 다자간 국제 교류협력체제 구축, ② 의제 제안 및 설정 기능, ③ (비)회원단체 간 소통과 정보공유 및 홍보 강화, 회원확충 활동, ④ 회원단체 간 업무연락 및 조정, 개선, 촉진 기능, ⑤ 국가 및 지자체 갈등시 다자간 교류협력 활성화 플랫폼 역할, ⑥ 독자적인 프로그램 개발 및 집행, ⑦ 대외협력 네트워킹 강화 등은 그 역할을 통하여 NEAR가 원활한 소통과 정보교류 활성화, 회원단체 가입의 증가, 분과위원회의 활성화, 상설사무국이 주관하는 프로그램의 증가와 다양한 대상의 참가, 타 국제기구 등과의 협력네트워크 구축으로 NEAR 위상이 제고되는 등 순회사무국 운영 시기에 비해 월등하게 활성화되었음을 실증하였다. 아울러 상설사무국이 교류협력에 긴요한 역할을 하려면 회원단체로부터 위임된 권한을 남용하지 않고 교류협력 활성화를 위해 올바르게 활용함으로써 회원단체의 신뢰를 획득하고 유지해야 한다. 특히 NEAR 여건상 상설사무국이 타 대규모 교류협력체(기구)와 같이 전 회원단체가 참가하는 회비제 체제와는 달리 상설사무국을 유치하고 예산을 계속 전담하는 대주주 격인 경상북도와 신뢰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필수적임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NEAR가 2005년 이후 활성화된 것은 (신)기능주의에서 주장하는 경제, 행정, 문화, 사회, 재난, 환경 등 비정치적인 분야를 우선하여 교류협력 함으로써 국가 간 갈등과 대립이 상존하는 동북아지역에서도 특히 2005년 이후 활성화되었다. 또한 “초국가 기구”인 상설사무국의 역할, 회원단체 단체장 및 주요 직위자인 정치 엘리트와 분야별 영역별 전문가, 학자, 연구원, 기업인 등 기능 엘리트에 의한 의도된 파급효과에 기인하였음을 분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vitalization of multilateral exchange and cooperation through examining the case of the Association of North East Asian Regional Federation (NEAR), the association with the largest scope of activity among local governments in Northeast Asia. In this study, the content scope covers, but not limited to,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NEAR, the transition of the secretariat, the enactment and amendment of charters and regulations, the registration and appointment of the chair, as well as changes in the major activities and programs, promotion of exchange and cooperation among member organizations and participation in projects by related organizations, external cooperation of the secretariat networking, etc. In the case of full members, the geographic scope is Northeast Asia; in the case of associate members, it is all other regions, other than Northeast Asia. The time period covers October 1993, when NEAR was in its infancy, to the present, and the status of exchange and cooperation was reviewed and analyzed in two stages, before and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permanent secretariat. In terms of the research method, a case study was conducted using literature reviews, interviews, and media searches. Based on the analysis framework of this study, the analysis target has been set as 'revitalization of multilateral exchanges and cooperation among Northeast Asian local governments' and the explanatory factor is 'role of the Permanent Secretariat'. Permanent Secretariat plays a crucial role in preventing exchanges and cooperation from drifting as a result of the interests of its members, expanding the scope of cooperation, and deepening its contents through its function of proposing and setting agendas. (Neo)functionalism is the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that can explain the role of the Permanent Secretariat, and therefore this study has applied the theory of (Neo)functionalism. By analyzing the role of the Permanent Secretariat, a "Supranational Organization" in the theory of (Neo)functionalism, this paper attempts to answer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 'Why has NEAR been operational since 2005?'. Further, the activation factors were examined through exchanges and cooperation within non-political fields, intended ripple effects, and the roles of political and functional elites, all of which are emphasized in the (Neo)functionalism theory. As a result of the study, 7 sub-factors of the explanatory factor ‘Role of the Permanent Secretariat’ were identified; ① establishment of a stable multilateral international exchange and cooperation system; ② agenda proposal and setting function; ③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sharing among (non) member organizations, strengthening publicity, and activities to increase members; ④ business liaison, coordination, improvement, and promotion functions among member organizations; ⑤ role as a platform for vitalizing multilateral exchanges and cooperation in case of conflicts between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⑥ development and execution of independent programs; and ⑦ strengthening external cooperation networking, demonstrated that NEAR was significantly active compared to the period of the touring secretariat by smooth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exchange, increased membership of member groups, activation of subcommittees, increased number of programs supervised by the Permanent Secretariat and participation of various subjects and NEAR’s status improvement through establishment of a cooperative network with other international organizations. Furthermore, the Permanent Secretariat must acquire and maintain the trust of member organizations in order to play a vital role in exchange and cooperation by properly utilizing the authority entrusted by member organizations to facilitate exchange and cooperation without abusing it, as a prerequisite for its success. A particular analysis revealed that, given the NEAR environment, the Permanent Secretariat must maintain a close relationship with Gyeongsangbuk-do, a major shareholder that attracts a Permanent Secretariat and continues to oversee the budget. As opposed to other large-scale exchange and cooperation organizations that utilize membership fees for all member organizations, the Permanent Secretariat must maintain a relationship of trust with this major shareholder. Moreover, NEAR has been activated since 2005, particularly in Northeast Asia, where conflicts and confrontations between countries have been manifested by prioritizing non-political areas such as economy, administration, culture, society, disaster, and environment emphasized by (Neo) functionalism. Also, this paper analyzed that revitalization was due to the intended ripple effect by the political elites who are the head of member organizations and key positions, functional elites such as experts, scholars, researchers, and entrepreneurs in each field.

      • Cinchona-based bifunctional catalysts bearing H-bond donor moiety : cooperative catalysis vs. self-aggregation

        장형빈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604

        In this Masters thesis, I will present self-association phenomena of bifunctional organocatalysts bearing H-bond donor moiety. Enantioselectivity of products on 1,4-Michael addition, alcoholytic desymmetrization, dynamic kinetic resolution was decreased when concentration of catalyst was increased. We proved this phenomena by NMR and X-ray crystallography study which is provoked by self-association phenomena of bifunctional organocatalysts through their H-bonding moiety. We also developed self-association-free, bifunctional, recyclable cinchona alkaloid organocatalysts QN-SA and Bis-QN-SQA which showed unprecedented catalytic activity and the highest levels of enantioselectivity reported to date in a variety of asymmetric catalytic reactions (e.g., the dynamic kinetic resolution (DKR) reaction of racemic azlactones and alcoholytic desymmetrization of meso-anhydrides). DFT computational studies provide detailed insight into the observed sense of enantioselectivity. DOSY NMR spectroscopic and X-ray analysis confirmed that these bifunctional organocatalysts do not form H-bonded self-aggregates in both solution and solid state. 이 석사학위 졸업논문에서 양성자 주개 작용기를 가진 이작용성 유기촉매의 자가결합 현상을 설명하고자 한다. 1,4-Michael addition, alcoholytic desymmetrization, dynamic kinetic resolution 반응의 결과 생성물의 광학선택성이 촉매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현상을 발견하였고, 우리는 이 현상을 촉매의 자가결합에 의한 현상이라 생각해서 DOSY NMR, X-ray 결정화기법을 통해 증명하였다. 또한, 자가결합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자가 결합 현상이 없는 이작용성 유기 촉매인 QN-SA와 Bis-QN-SQA를 디자인하고 합성하였고 이 두 가지 촉매 모두 뛰어난 촉매 활성을 보이며 DKR, alcoholytic desymmetrization 반응에서 높은 수준의 광학선택성을 나타냈다.

      • 학교법인의 과세제도 개선방안 연구

        박금서 강남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585

        국가기능의 확대와 사회복지국가의 확충에 따라 국가의 역할이 증가하고 있는 현실이지만 사회의 다양성으로 인해 국가 역할의 상당부분을 민간으로 위탁하여 집행하고 있다. 특히 교육의 영역은 나라별로 차이는 있지만 사회의 다양성 측면에서 민간에서의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국가의 역할을 위탁받은 민간부분의 사립학교에 대하여 국․공립학교와의 형평성 차원에서 많은 지원을 하고 있고, 아울러 국가사무의 위탁집행에 해당하므로 각종 규제와 제한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 사립학교는 학교법인의 형태로 설립하게 되며 출연할 당시에 그 출연재산에 대하여는 증여세와 상속세 과세가액에 산입하지 아니하며, 수익사업소득을 제외한 그 밖의 소득에 대하여 법인세를 과세하지 않는다. 이 밖에도 학교법인에 대해서는 부가가치세를 비롯하여 지방세 등에 대하여 광범위한 면세를 허용하고 있다. 이러한 세제상 혜택을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 조세에 대한 집행관청인 국세청은 학교법인에 대하여 지속적인 사후관리를 하고 있다. 교육부문의 운영은 민간의 어떠한 영역보다 높은 도덕성과 윤리성을 요구하고 있고, 고도의 의무와 책임을 지우고 있다. 그러나 과거의 우리나라 학교법인은 높은 등록금과 투명하지 못한 학교운영으로 사회적인 지탄의 대상이 되어 왔다. 학교법인은 설립 및 운영의 모든 과정에서 세제상 혜택을 부여 받고 있기 때문에 「상속세 및 증여세법」을 비롯한 각종 세법에서 엄격한 사후관리를 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학교법인의 건전한 육성과 지원정책에 있어서 과세제도가 차지하는 비중과 중요성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의 교육 현실은 인구감소에 의한 학령인구의 감소에 따라 학교법인의 구조개혁문제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현실적인 과제로 다가 와 있다. 이에 따라 학교법인의 양도, 합병, 분할 및 해산 등이 일어나고 있고, 잔여재산의 처분이 문제가 되고 있다. 법적으로 볼 때 학교를 폐쇄하거나 폐교할 경우 학교의 재산은 같은 목적을 지닌 다른 학교법인이나 국가에게 귀속하게 되어 있다. 학교법인의 경우 법적으로 제한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운영권의 양도의 형태로 실질적인 양도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학교법인 운영권의 양도대가에 대한 과세를 위한 법적 정비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학교법인의 합병과 분할에 대해서도 이를 지원하는 세제상 특례를 마련하여야 한다. 그리고 학교법인의 다른 공익법인, 사회복지법인, 직업능력개발훈련법인이나 평생교육시설법인으로의 전환이 가능하도록 하고, 해산 및 청산과 관련하여 잔여재산의 일정액을 출연자에게 반환이 가능하도록 입법적인 개선이 있어야 한다. 근래에 이르러 학교법인은 그 규모의 증가로 인하여 과세상의 중요성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학교법인은 기본적인 재정과 관리의 규모가 다른 공익법인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크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학교법인은 공익법인의 종류에서 독자적인 형태로 분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학교법인의 공시제도의 체계를 단순화하여 교육부가 주관이 되어 학교의 운영 및 관리와 관련되는 자료를 수집하되, 그 중에서 과세제도와 관련된 정보는 국세청에 통보하도록 함으로써 중복적인 보고제도와 공시제도를 일원화하고, 국세청에서는 지극히 형식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홈택스의 공익법인 공시사이트를 효율성 있게 운영할 필요성이 있다. 즉, 홈택스를 통한 사전𐩐사후적 공시제도를 강화하고, 교육부의 종합감사를 정례화하여 그 감사자료를 국세청의 학교법인의 관리자료로 활용함이 타당하다. 다음으로, 학교법인과 특수관계인과의 초과이익 거래에 대하여 미국에서와 같은 중간제재제도로서의 규제세의 도입방안을 제시하고, 실무상 빈번하게 문제가 되고 있는 BOT 과세방식에 대하여 해당 재산의 사용기간 종료 후 소유권 이전시의 가액산정방법을 구체적으로 입법화할 것을 제안한다. 그리고, 학교법인에 대한 주식의 출연과 기부와 관련하여, 단기적으로는 출연조건에 이익 배당의 강제와 의결권의 제한에 관한 사항을 포함하되, 장기적으로는 특별한 요건 아래 형평면제처분제도를 도입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학교법인의 설립인가 전에 부동산을 취득하는 경우에는 먼저 취득세를 감면하고 사후관리를 하도록 개선한다. 마지막으로 산학협력단의 과세와 관련하여 학교법인의 하부조직임에도 학교법인과 비교하여 차이가 발생하고 있는 산학협력단의 연구용역비에 대한 수익사업소득 과세문제, 연구적립금과 건축적립금 등에 대한 고유목적사업준비금의 손금산입 문제와 취득세 및 재산세의 과세에 대하여 학교법인과의 과세상 균형을 맞출 필요가 있다. The role of the state is increasing as the state’s functions and the social welfare state are expanding. However, due to the diversity of society, a large part of the role that the state should perform is consigned to the private sector. Especially, although the educational field differs from country to country, the activity in the private sector is active in the aspect of social diversity. The state gives various supports to consigned private schools in the private sector to take a role of the nation, for the fairness with national and public schools; at the same time, because it corresponds to the implementation of contracting out national business, it puts various regulations and restrictions. Private schools in Korea shall be established in the form of educational foundations. At the moment of contribution, the contributed property is not included in the gift tax and inheritance tax value, and the corporation tax is not taxed on any other income except incomes generated from profitable businesses. Also, extensive tax exemptions are allowed for educational foundations including value added taxe and local tax. National Tax Service, a tax enforcement office, continuously follows up with educational foundations due to their tax benefits. Since the tax benefits are granted, the National Tax Service, the tax enforcement office, continuously follows up with educational foundations. The operation of the education sector requires higher morality and ethicality than any other area of the private sector, and bears high obligation and responsibility. In the past, however, educational foundations in Korea have been subject to social criticism due to high tuition fees and unclear school operation. Since educational foundations are entitled to tax incentives in all stages of establishment and operation, they are subject to rigorous follow-up management under various tax laws including the acts of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Therefore, the importance of the taxation system in the support policy for the sound foster of school corporations is increasing. In Korea, educational reform of educational foundations is faced with a situation that cannot be delayed because of the decline in the schooling population due to population decline. This causes transfer, merger, division, and dispersion of educational foundations, and disposing residuary property is becoming a problem. From a legal point of view, when a school is shut down or abolished, its asset is vest in other educational foundation with the same purpose or in the nation. In the case of educational foundations, there is an actual transfer in the form of transferring operating rights despite legal restrictions. Therefore, legal arrangements should be made for the taxation of the transfer costs of the operating rights of educational foundations. Tax incentives should be arranged to support merger and division of educational foundations. Also, educational foundations should be able to converse to different public service foundation, social welfare foundation, vocational training and development foundation, or lifelong education foundation. There should also be legislative improvements to return a certain amount of residual property to the contributors with respect to dissolution and liquidation. The importance of taxation is increasing lately due to increased number of educational foundations. Especially, the size of basis finance and management are incomparably bigger than other non-profit foundations and systematically formed. Thus, educational foundations are desirable to be categorized as an independent category from non-profit foundations. The system of public announcement of educational foundations should be simplified. The Ministry of Education should be the competent authority to collect data related to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he school. Among them, it is necessary to inform the National Tax Service about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tax system so that the redundant reporting system and the public announcement system are unified. And it is necessary for National Tax Service to operate non-profit organization public announcement webpage in Hometax webpage effectively, which is currently operated perfunctory. In other words, it is reasonable to strengthen the pre- and post-public announcement system through the Hometax website and to regularize the general inspectio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use the audit data as management data of the educational foundations of the National Tax Service. Next, I suggest the introduction of regulatory tax as an intermediary sanction system as in the United States for excess profit transactions between educational foundations and affiliate persons. And as for BOT method which has been a frequent practical problem, I suggest to enact the method of calculation of additional price during the transfer of ownership after relevant property usage period is closed. And, in relation to the contribution and donation of stocks for educational foundations, in short-term, it is necessary to include the compulsion of dividends and the limitation of voting rights on the contribution condition. But in long-term,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introduction of the equity exemption system under special requirements. Also, if the real estate is acquired before the approval of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foundations, acquisition tax should be reduced first and the post-management system should be improved. Finally, regarding the taxation of the business and academic cooperation association, despite that it is a subset of educational foundations, compared with educational foundations there is a difference in taxation balance.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balance the taxation of the educational foundation with the business and academic cooperative association on the revenue business income taxation issue of research service fee of business and academic cooperation association, the problem of the deduction of the reserve for inherent purposes for research reserves and construction reserves, and the taxation of acquisition tax and property tax.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