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Political Economy of the Insecurity Impasse in Northern Nigeria

        폴라한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3

        This paper assesses the insecurity situation in the northern part of Nigeria and its impact on economic development of the region. The research findings have shown that while there have been several explanations for the on-going security impasses in Northern Nigeria, the problem has primarily been a reflection of the existing political as well as socio-economic gaps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The research further reveals that the situation in the Northern part of the country is aggravated by the deteriorating economic situation in the region which continues to make it an ideal place for Islamic extremists to carry out their reign of terror against government institutions and the Nigerian state at large. The paper also examines the approaches adopted by the government in responding to the insecurity in the region and finds that the approaches so far adopted by the government continue to yield very little results. In-depth study of the situation in the Northern part of the country reveals that the grievances which have resulted in the use of violent tactics against the government are better addressed through a multifaceted approach which takes into account the specific needs of the region. In addition to this, the paper shows that despite some economic gains made in the Northern part, these gains are at risk of being reversed due to the on-going insecurity in the region, which has caused the Northern part of the country to witness a slower pace of overall economic development compared to the Southern part of the country. ii The paper concludes with alternative policy recommendation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at point to the peculiarities of the region and which offer a possible avenue for addressing the insecurity impasse in the region.

      • 유전자 array와 reverse northern 기법에 의한 유전자 발현 양상 분석

        李河璡 아주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7724

        본 논문에서는 유전자 기능 연구의 하나로 array를 이용한 reverse northern 기법에 의해 유전자 발현 양상을 분석하였다. 유전자 발현 변화의 주요 조절자들로 알려진 신호 전달체계의 요소 및 발암 유전자 등이 array에 사용되었다. 이들 유전자는 이미 실험실에서 확보한 100개 외에도 본 연구에서 OVERGO를 이용하여 고밀도 인체 BAC library로부터 스크리닝하여 확보한 95개를 추가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신호전달 관련 클론들을 PCR을 통해 획득하고 통일한 vector에 삽입하여 클로닝하여 같은 방법으로 array에 사용되었다. Array된 유전자들의 특정 세포 및 특정 조건에서의 발현 양상 변화를 보기 위해 total RNA를 분리, 표지하여 한번에 array된 유전자 전부의 발현 양상 변화를 한번에 체계적으로 볼 수 있는 reverse northern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본 연구에서는 5종류의 골육종 세포주 Saos-2, HOS, MG-63, U2OS, G292 에서 암과 관련된 유전자들과 신호전달에 관련된 유전자들의 발현 양상을 실험하였다. 두번째, 간세포가 신경 분화 과정에서의 신호전달에 관련된 유전자들의 발현 양상을 관찰하였다. 세번째, 정상세포인 Chang 세포와 간암세포인 HepG2 세포에 셀레니움 (selenium)을 양과 시간을 달리하여 처리한 후, 신호전달에 관련된 유전자들의 발현양상을 관찰하였다. 네번째, Fao 세포에 TGF-beta를 처리하여 세포자살을 유도할 때의 발현되는 유전자들의 발현 양상을 관찰하였다. Paralleling bioscience development, functional genome research has been making progress in genome to transcriptome research. Transcriptome reseach is very important, as transcriptome is the genome network center in functional genome research. Since transcriptome research's technical foundations are well established, several research groups have begun studies in this field. Transcriptome contains three basic principle as its foundation, consisting of cDNA randome sequence, mRNA display research, and differential hybridization. From this latter principle I have utilized reverse northern for my experiment. In this study, Gene expression changes are analyzed by reverse northern method. Oncogenes and signal transduction related genes were used in materials. Oncogenes were acquired to use OVERGO from high density arrayed human BAC D library and signal transduction related genes were obtained from PCR. To analyze change of arrayed gene expression, reverse northern was accomplished on ostesarcoma cell line, mesenchymal stem cell, Chang/HepG2 cell, FaO cell. The result of reverse northern obtained two genes from selenite treatment on Chang/HepG2 cell and three genes from TGF-beta treatment on FaO cell.

      • 고추 (Capsicum annuum L.)의 뿌리털 형성 관련 유전자의 분석

        맹형곤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706

        뿌리는 보통 땅속에 존재하면서 식물체를 고정시키고, 식물이 자라는데 필요한 수분과 무기 염류 등을 흡수한다. 식물 뿌리에 있어서 뿌리털의 존재는 식물체가 수분과 무기 염류를 흡수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뿌리 털 은 식물 뿌리의 표피세포가 바깥쪽으로 나와서 형성된 것이며, 표피세포가 토양에 접하는 표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뿌리의 흡수능력을 높인다. 정단 분열조직에서 좀 떨어진 새로 돋은 부위에 발생하여 흡수작용을 하지만 일반적으로 오래된 부위의 뿌리털은 그 기능을 잃고 죽는다. 우리는 고추에서 뿌리털 형성에 관련된 유전자를 찾기 위해 발아 초기 즉 최초 뿌리털 형성 직전과 직후의 cDNA library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cDNA library로 부터 in vivo excision을 통하여 200개의 유전자를 무작위로 cloning 하여 염기 서열을 분석하였으며, 얻어진 각각의 유전자들의 정보를 바탕으로 Reverse Northern 을 수행함으로써 발아 초기에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유전자를 찾았다. 이렇게 찾아진 유전자를 고추의 여러 시기와 조직별로 Northern을 수행하여 고추 발생 초기에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18개의 유전자를 찾았다. 각각의 유전자는 homology serach 결과로써 명명되었으며, 이러한 유전자들은 세포 분열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Roots anchor plants in the soil and the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uptake of water and nutrients. Root hairs, epidermal cells of the root, enhance the uptake of water and nutrients from the soil. Root hairs emerge from a subset of specialized epidermal cells called "trichoblasts". We constructed cDNA libraries from Capsicum annuum L. 4-5 days after germination in order to search for root hair formation-related genes, and subsequently 200 clones were randomly cloned by in vivo excision. 18 genes specifically expressed at the stage of root hair formation were selected by reverse Northern and Northern blot analysis. Each clone was named according to BLAST search results. We speculated that these genes are highly related to the cell division in the early stage of root formation.

      • 참매와 황조롱이의 조난 유형, 유전·형태적 성 감별 및 치료 결과 분석

        김문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51

        Land changes, such as urbanization and agricultural land, destroy habitats and ecosystems of existing life communities. Wild animals die as a natural process, but due to environmental changes by humans, many wild animals have been endangered or extinct over the past few centuries. Wildlife distress is showing a side of the proces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634 individuals of northern goshawks and common kestrels, which were rescued at the Chungnam Wild animal Rescued Center from 2010 to 201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stress cause and evaluate the accident trends through the damage analysis at individual and species levels. The results will provide basic data for wild animal rescue, treatment, rehabilitation, management and, conservation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Both northern goshawks and common kestrels had a high proportion of unnatural accidents. For that reason, their survival was threatened by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by human activities. 2) The main distress reason of northern goshawks was a collision with artificial structures and vehicles, so was common kestrels except orphanage. The main threat leading to the collision of artificial structures was buildings (residence and public buildings) near farmland and forest edges for northern goshawks and nearby buildings (residence, factories and public buildings) with farmland for common kestrels. Particular as the selection of a nest in the city made the birds expose to collision risks, both the adults and young individuals seem to be in danger. The site where common kestrel orphans were mainly located was a building (apartments, factories, etc.) with farmland nearby. 3) The most common cause of distress in common kestrels was orphanage. Except for the actual orphanage, there were many cases of unnecessary rescues in the young birds in normal nest leaving. In the process, some young birds were released right after discovery by the center, but others became forced orphans. 4) There were differences in distress patterns and frequency according to life history, age and, gender of goshawks and kestrels. It was assumed that the accident incidences of northern goshawk juveniles were increased as the bird gradually dispersed to a wide area because nest leaving occurs from June to August. On the contrary, northern goshawk adults were mainly active inside the forest during the breeding season, and it was never rescued by distress at this time. Since then, from autumn to spring migration, as the residents and winter visitors are encountered, the number of accidents increased due to population increase and energetic activities during migration. Also,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ause of the distress was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The most frequent distress that occurred in the whole age of the common kestrel was concentrated in May and June. That was due to the active hunting for rearing the young birds of the breeding population and the nest leaving of the young birds. Especially at this time, 1st summer plumage and adult males experienced more accidents than females, which seem to have occurred mainly due to the role of the males in securing food. After that, the number of distress decreased, and then the distress increased in 1st winter plumage and adult caused by the active movement before the start of the breeding season. 5) Even a species adapted to urban environments like common kestrel, was suffering from various causes of distress. On the other hand, even a species that tends to avoid people like northern goshawk, could not escape from the influence of people, and the continued reduction of habitat will increase the possibility of further exposure to the risk of distress. In particular, northern goshawks are endangered species with a small population, so its impact is likely to be large. Therefore, when the counteractions to prevent the distress of goshawks and kestrels are planned, the common cause of distress and the species-specific features of distress need to be considered. 6) The main cause of the distress of northern goshawk was related to many collisions. So, the major diagnoses were relevant to collisions such as fracture/luxation, trauma, and concussion. The fracture/luxation showed a lot of serious conditions and the rate of releases was 37.5%; lower rate than other main diagnostic results. The main diagnostic result of the distressed common kestrel was normal status. Probably this is because common kestrels chose the breeding site around the city, and many people found the juvenile in the normal nest leaving process. The second most frequently identified diagnosis was fracture/luxation caused by the distress related to the collision, resulting in a 36.5% of release rate similar to that of the goshawk. 7) The most frequent fracture/luxation type of northern goshawk and common kestrel was fracture. The probability of recovery depends on the fracture condition, and fracture site fixation seems to affect the rehabilitation result rather than the number of fractures. However, in cases with more than three fracture places, the rate of release after rehabilitation decreased or there were no release cases at all in some cases. The results of the closed/open fracture showed that the case of the closed fracture had higher rate of release than the open fracture. The major fracture sites of the northern goshawk were coracoids, humerus, and radius/ulna in order, while in the common kestrel, the order was humerus, ulna, and radius. The most frequent dislocated site of northern goshawks and common kestrels was shoulder joint. The number of dislocations of metacarpal joint and interphalangeal joint was the same with shoulder joint in northern goshawks. 8) In the cases of humerus fracture, there were many euthanasia measures before treatment because recovery was not possible due to delayed time after fracture, nerve damage or, necrosis. Invasive treatment was mainly applied.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te of release in the goshawk between invasive and non-invasive treatments for humerus fracture. In kestrel, invasive treatment had higher rate of release than noninvasive treatment, but euthanasia rate was higher than release rate after invasive treatment, and the main reason was nonunion. In the cases of antebrachial fracture, the simultaneous fracture of radius and ulna occurred a lot, and invasive treatments in these cases were recorded that the release rate was high. Non-invasive treatment was usually applied to the single radial fracture and non-invasive/invasive treatments were applied to the single ulnar fracture. The results of the single fracture in part of antebrachium in two species showed high rate of survival. In the cases of the thoracic girdle fracture, non-invasive treatment was mostly applied in both species, and the results showed high release rates. The results of pelvic limb showed that invasive treatment was applied in most cases of femur fractures in common kestrels and the release rate was high. Tibiotarsus was the most common part of pelvic limb fracture and both non-invasive/invasive treatments were applied. It seems that the treatment type applied depended on the condition of the fractured part and the level of maintenance for selecting the treatment. 9) Rehabilitation plans based on understanding of ecological characteristics, species features, flight, hunting types as well as physical conditions of raptors can suggest directions for rehabilitation management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survival after release. 10) In coping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distressed wildlife in wild animal rescue centers with limited resources lat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referred to develop criteria for screening process (triage) to determine the priority of treatments considering the probability of survival after treatment and animal welfare. 11) The wild animal rescue centers should be able to evaluate and improve the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system through post-release monitoring for protection at the individual level. Public endorsement and an appropriate legal system should be supported for the ultimate conservation of wildlife and the environment. For this purpose, proper analysis on records of distressed wild animals should be utilized for education, promotion and policy developments. At the point of the expanded urbanization, the analysis results of distress and damage on both northern goshawk and common kestrel could be applied not only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people but also to species conservation strategy. In addition,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a direction and an improvement plan for the successful rescue,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of distressed wild animals. 도시화, 농경지화 같은 토지 변경은 기존에 살고 있던 생명공동체의 서식지와 생태계를 파괴하고 변화를 일으킨다. 야생동물은 자연적인 과정으로 결국 죽음을 맞이하지만 사람에 의한 환경변화에 의해 지난 수 세기 동안 수많은 야생동물들이 멸종위기에 내몰리거나 멸종되었다. 야생동물 조난은 그 과정의 한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충남야생동물구조센터에서 구조하여 접수된 참매와 황조롱이 총 634개체를 대상으로 조난 원인과 그에 따른 개체와 종 수준에서의 피해분석을 통해 조난 실태를 평가하여 야생동물 구조, 치료, 재활과 나아가 보호관리와 보전계획의 기본 자료로 활용되도록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참매와 황조롱이 두 종 모두 비자연적 사고 비율이 높았고 인간 활동에 의해 직간접적인 영향으로 생존이 위협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참매의 가장 주요 조난 원인은 인공구조물 충돌과 차량충돌이었으며, 황조롱이도 미아를 제외하고 이 두 가지 원인이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인공구조물 충돌을 일으키는 주요 위협요소로 참매의 경우, 농경지와 숲 가장자리가 중복된 위치에 있는 건물(주택, 공공건물)이었고, 황조롱이의 경우, 인근에 농경지가 있는 건물(주택, 공장, 공공건물)이었다. 특히, 황조롱이는 도시 내 구조물을 둥지로 활용하는 영소지 선택이 충돌 가능성을 높임으로 번식 개체와 어린 개체 모두 위험에 노출되게 만든 것으로 보인다. 황조롱이 미아가 주로 발생한 위치로는 주변에 농경지가 있는 건물, 특히 아파트와 공장이었다. 3) 황조롱이에서 가장 많았던 조난 원인은 미아이며, 실제 미아를 제외하고는 강제 미아 케이스가 많았다. 강제 미아는 최초 발견자가 단순 둥지 이탈 또는 정상 이소 과정의 어린 개체를 불필요하게 구조함으로 인해 발생하였다. 이 과정에서 일부는 센터의 대응으로 즉시 방생이 되었지만, 다른 일부는 영소지 환경 불량 또는 센터가 아닌 기타 기관이나 단체를 거치면서 발견 정보 누락 등의 이유로 정상개체임에도 불구하고 즉시 방생되지 못하였다. 4) 참매와 황조롱이의 생활사와 연령, 성별에 따라 조난 양상과 빈도에서 차이가 있었다. 참매 유조는 6월~8월 이소와 분산에 의해 조난 발생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이는 반면, 성조는 번식기 동안 조난 사고로 구조된 사례가 없었는데 이는 이 시기에 주로 산림 내부에서 활동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이 후 가을철 이동에서 봄철 이동까지 조난 사고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시기에 참매 텃새와 겨울철새가 중복되면서 전체 개체수 증가와 함께 이동 시기에 활발해진 활동으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참매는 성별에 따라 조난 원인에서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황조롱이의 전체 연령에서 가장 많은 조난이 발생한 시기는 5~6월에 집중되어 있었다. 이는 새끼와 유조의 이소 직전, 직후 시기이며, 번식 개체군의 육추를 위한 활발한 활동으로 인한 것으로 추측된다. 특히 이 시기에 1회 여름깃과 성조 수컷이 암컷에 비해 사고가 많았으며, 이는 수컷이 주로 먹이 확보 역할을 담당함으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이 후 전체적으로 조난 수가 감소 추세를 보이다가 다시 번식기 시작 전 이동 증가로 인해 1회 겨울깃과 성조 황조롱이의 조난 증가 추세가 나타났다. 5) 황조롱이처럼 인위적 환경에 적응한 종이더라도 다양한 조난 원인으로 인해 피해를 입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참매처럼 사람을 피하는 종이더라도 사람의 영향에서 벗어날 수 없었으며, 지속적인 서식지 감소는 조난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을 더욱 높일 것으로 보인다. 특히 참매는 개체수가 적은 멸종위기종이므로 그 영향이 클 것으로 보인다. 이에 참매와 황조롱이의 조난 원인 분석 및 대응에 있어, 두 종 모두에 공통적인 원인과 종에 따른 차이점을 고려하여, 공통적인 대응방안과 종 특이적 대응방안으로 다르게 접근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6) 참매의 조난 원인이 상당수 충돌과 관련 있었던 바 주요 진단도 골절/탈구, 외상발생, 뇌진탕과 같이 충돌과 관련된 진단이 많았다. 골절/탈구 시 심각한 상태가 많았으며 주요 다른 진단 결과와 비교하면 방생률 37.5%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황조롱이의 진단 분석에서는 정상이 가장 많았으며, 이는 황조롱이가 인가 주변에서 영소지를 선택함에 따라 정상상태의 유조를 사람이 많이 발견하게 되면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이어서 충돌과 관련한 조난원인에 의한 골절/탈구가 두 번째로 많이 확인된 진단이었으며, 참매와 유사한 36.5%의 방생률을 보였다. 7) 참매와 황조롱이의 골절/탈구 발생 유형은 대부분 골절 위주로 발생하였고, 골절발생 수보다 골절 상태와 골절 부위 고정력에 따른 회복 가능성이 치료 재활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황조롱이의 골절 수가 세 곳 이상에서는 방생률이 떨어지거나 방생결과가 없었다. 폐쇄/개방 골절에 따른 결과는 폐쇄 골절인 경우가 개방 골절에 비해 방생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참매의 골절 주요 부위는 오훼골, 상완골, 요골/척골 순으로 발생하였고 반면 황조롱이는 상완골, 척골, 요골 순서 인 것으로 나타났다. 참매와 황조롱이의 가장 탈구가 많이 발생한 부위는 견관절이었고, 참매는 견관절과 함께 완관절, 지관절 탈구 발생 수가 동일했다. 그 외 나머지는 대부분 날개 관절 부위에서 발생하였다. 8) 참매와 황조롱이의 골절 부위에 따른 비침습적 치료와 침습적 치료 결과, 상완골 골절 시 신경손상, 괴사 등과 같이 회복 불가 상태인 경우가 많아 치료 전 안락사 조치가 많았다. 상완골 치료는 주로 침습적 치료를 적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참매에서는 침습 및 비침습적 치료 사이에 방생률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고, 황조롱이에서는 침습적 치료 후 안락사가 방생률보다 높았으며 주요 사유는 골절 유합 부전이 많았다. 전완골 부위에서 요척골 동시골절이 많이 발생하였으며, 주로 침습적 치료를 적용하였고 높은 방생률을 나타났다. 요골 단독 골절은 비침습적 치료, 척골 단독 골절은 비침습적/침습적 치료 모두 적용하였다. 그 결과, 참매는 모두 방생되었고, 황조롱이에서는 두 치료법의 방생률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흉대 부위의 골절인 경우 두 종 모두 비침습적 치료가 대부분 적용되었으며, 치료 재활 결과도 방생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후지 부위에서의 재활 결과는 황조롱이에서 대퇴골 골절 시 대부분 침습적 치료를 적용하여 방생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하퇴골은 후지 부위 중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비침습적/침습적 치료에 크게 차이 없이 적용되어 골절부의 상태와 고정이 유지되는 수준이 치료법 판단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9) 맹금류 재활 관리 시 신체 상태뿐만 아니라 생태적 특징, 종별 특성, 비행과 사냥 유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재활 계획은 방생 후 생존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재활 관리의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다. 10) 야생동물구조센터에서 조난 야생동물의 방생 후 생존 가능성을 높일 선별 치료나 동물 복지를 위한 안락사 기준에 본 연구 결과를 참고 할 수 있다. 11) 야생동물구조센터는 개체 수준에서의 보호 증진을 위해 방생 후 모니터링을 통한 치료와 재활 시스템 평가와 개선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야생동물과 환경의 궁극적인 보전을 위해 대중의 지지와 적절한 법적 제도가 뒷받침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조난 야생동물의 기록을 교육과 홍보에 활용하고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도시화가 점차 확장되는 시점에서 참매와 황조롱이의 조난 특성과 피해 분석 결과는 생태적 특징과 습성이 다른 두 맹금류에게 사람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와 종 보전 전략에 참고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조난 야생동물의 성공적인 구조, 치료, 재활을 위한 방향과 개선안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발해만 및 황해 북부에서 해빙(sea ice) 형성과 이동으로 인한 염분변화 : 수치모델실험

        명성관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48

        The sea ice begins to form in December in the Bohai Sea and the Northern Yellow Sea. The sea ice reaches its peak in January, and the sea ice completely disappears in March. Sea ice formed in Bohai Sea and Northern Yellow Sea in a short period affects sea operations and damages fish farms. Also the sea ice changes seawater salinity and secondary damage could occur. In addition drift of ice poses a threat to the safety of sailing vessels. In order to reduce the damage caused by the sea ice disaster,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sea change through sea ice forecasting and numerical model experiment. Many prior studies have studied the distribution and thickness of sea ice using images that observed sea ice in Bohai Sea and Northern Yellow Sea by satellites. However, research using numerical models on the formation and drift of sea ice in the Bohai Sea and Northern Yellow Sea was insufficient. Also, the research of the sea ice effected the ocean was insufficient. Besides, the effects of formed sea ice didn't consider when studying Bohai Sea and Northern Yellow Sea of currents and thermohaline distribution. This study focused on the local effect of salinity variation caused by sea ice and ice drift in Bohai Sea and the Northern Yellow Sea. The January 2011 was the year of the worst damage caused by a sea ice calamity for 30 years. So the formation and motion of sea ice was analyzed from 2010 to 2011. Using a numerical model (ROMS-CICE), the sea circulation and sea ice in the Bohai Sea and Northern Yellow Sea were simulated. Sea Ice Model (SIM) experiment with coupled sea ice model was compared with the No Ice Model (NIM) experiment with no coupled sea ice model. The results of the formation and drift of sea ice in the SIM experiment were analyzed using satellite image from MODIS-Aqua and MODIS-Terra. The sea ice was first formed on the northern coast of the Liaodong Bay on December 15, 2010, when the air temperature dropped to below –10°C as a from SIM experiment. Since then, the area of sea ice has continued to increase until January 31 as the air temperature is below the water temperature. On January 31, 2011, when the sea ice area reached its maximum, the salinity at the mouth of the Liao River was 31.9, increase 5.8 from the salinity 26.1 on December 15, 2010, when the sea ice first formed. The salinity difference between SIM and NIM experiment was calculated to examine salinity variation be due to sea ice. The average salinity of the SIM experiment on the coast of north Liaodong Bay was higher about 4.2 than the average salinity of the NIM experiment, and the average salinity was lower about 0.5 in the offshore. To analyse the salinity differences between SIM and NIM, the Cumulative Freezing Rate (CFR, volume formed for 90 days at each grid point) and the Cumulative Melting Rate (CMR, volume melted for 90 days at each grid point) calculate. The spatial correlation between these each differences was obtained. The value of the spatial R-squared (r2, coefficient of determinant) is of 0.73. Therefore the spatial salinity difference between the SIM and the NIM in Bohai Sea and Northern Yellow Sea could be explained by the formation and extinction of sea ice. In the relatively shallow coastal waters, sea ice has increased the area and thickness of sea ice after it reaches the freezing point due to a decrease in air temperature. But sea ice in offshore has existed even though that water temperature is higher than freezing point. This is because sea ice along the coast of the northern Yellow Sea was migrated the sea due to the influence of current and wind. The sea ice along the coast of northern Liaodong Bay and West Korea Bay migrate mostly south along the eastern coastline. The sea ice on the coast of northern Liaodong Bay and West Korea Bay migrate south along the eastern coastline. And the sea ice became thicker on the east coast than on the west coast of Liaodong Bay. Because the freezing rate of sea ice is higher on the coast than on the offshore sea, so the sea ice has grown thick as the number of days it stays along the coast has increased. The R-squared between the sea ice motion and the wind is more than 0.6 except for some regions. especially the r2 in offshore of West Korea Bay of was highly but the value of r2 was below 0.4 in the mouth of the Taeryong River and the central part of Bohai Sea. This means that the sea ice motion in the lower area of the of the Taeryong River and the central part of Bohai Sea is more affected by current than the wind. Also in the SIM experiment, show a relatively low distribution of salinity compared with the offshore in northern coast of Liaodong Bay on the December. However, in the January mean, the density distribution was horizontally reversed to where the northern coastal area of the Liaodong Bay and the West Korea Bay were higher than the offshore. As a result, the broclinic current flowed from the east to the west at the SIM experiment. And the average currents flowed eastward along the coastlines of the Liaodong Bay and the West Korea Bay have weakened. 발해만과 황해 북부에서 해빙은 12월에 형성되기 시작하여 1월에 해빙의 면적이 최대가 되고, 3월에 해빙이 완전히 소멸한다. 이처럼 발해만과 황해 북부에서 단기간에 형성 된 해빙은 해상작업에 영향을 주고 양식장에 피해를 입힌다. 그리고 해빙은 해수 염도를 변하게 하여 2차 피해도 빈번하게 발생시킨다. 또한 유빙(이동하는 바다 얼음)은 항해하는 선박의 안전에 위협이 된다. 이러한 해빙재해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해빙 예보 및 수치실험을 통한 해상 변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선행 연구에서는 발해만과 황해 북부의 해빙을 인공위성으로 관측한 영상을 이용하여 해빙의 분포와 두께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하지만 발해만과 황해 북부에서 해빙의 형성과 이동에 대한 수치모델을 이용한 연구는 부족하였고 해류와 열염분포에 대한 연구에서 해빙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이와 같이 발해만과 황해 북부에서 해빙이 해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기 때문에 이 연구는 발해만과 황해 북부 해빙의 이동과 해빙이 지역해의 염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2010년~2011년 겨울철은 30년 중 해빙재해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해로 2010년~2011년 겨울철을 해양순환-해빙 접합 수치모델(ROMS-CICE)을 이용하여 발해만과 황해 북부에서 해양순환과 해빙을 모의하였다. 모의한 해빙과 해빙의 이동은 인공위성 MODIS-Aqua와 MODIS-Terra 자료를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그리고 해빙모델을 접합한 Sea Ice Model (SIM) 실험과 해빙모델을 접합하지 않은 No Ice Model (NIM)실험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SIM 실험에서 기온이 –10℃이하로 급격히 낮아진 2010년 12월 15일 랴오둥만 북부 연안에서 해빙이 처음 형성되었다. 이후 기온이 수온보다 낮은 일수가 지속되면서 해빙의 면적은 1월 31일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해빙의 면적이 최대가 된 1월 31일에 랴오강 하구에서 염분은 31.9로 해빙이 처음 형성된 12월 15일에 염분 26.1보다 5.8증가하였다. 이처럼 겨울철 랴오둥만 연안의 염분은 해빙의 형성 전보다 형성 후 크게 증가하였지만 영상권의 기온이 나타난 2011년 2월 6일과 2011년 2월 21일 랴오둥만 연안과 외해에서 모두 염분이 NIM 실험의 염분 보다 낮아졌다. 그리고 해빙의 영향으로 발생된 염분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SIM과 NIM 실험에서 염분의 차이를 구하였다. 랴오둥만 북부 연안에서 SIM 실험의 1월 평균에 염분이 NIM 실험의 평균 염분보다 최대 4.2까지 높았고, 외해에서 염분이 약 0.5 낮았다. 이러한 염분의 차이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Cumulative Freezing Rate (CFR, 각 격자점에서 90일 동안 해빙이 형성된 부피량)와 Cumulative Melting Rate (CMR, 각 격자점에서 90일 동안 해빙이 녹은 부피량)를 구하였다. 이는 황해 북부와 발해만에서 공간적으로 CFR과 CMR의 차이가 양의 값이면 형성된 해빙의 부피가 많은 해역이고, 음의 값을 가지면 해빙이 소멸하는 해역이다. 해빙이 많이 형성되는 해역에는 염분이 증가 할 것이고 해빙의 형성보다 소멸이 많은 해역에서는 염분이 감소 할 것이다. 이러한 CFR과 CMR의 차이와 SIM과 NIM 실험의 염분의 차이에 대한 공간 상관계수 제곱은(r2, 결정계수) 0.73으로 높아 해빙의 형성과 소멸로 SIM과 NIM 실험의 공간적 염분의 차이를 설명 할 수 있었다. 수심이 상대적으로 얕은 연안에서 기온이 감소하면서 수온이 어는점에 도달한 후 해빙의 면적과 두께가 증가하나 발해만 외해에서 해빙은 수온이 어는 점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해빙이 존재하였다. 이는 황해 북부 연안에서 해빙이 해류와 바람의 영향으로 외해로 이동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해빙의 이동은 라그랑지 실험을 통해 해빙의 이동 경로를 알 수 있었다. 랴오둥만과 서한만 북부 연안에서 해빙은 대부분 동쪽 해안선을 따라 남쪽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랴오동만 동쪽에 해빙이 밀집하여 랴오둥만 서쪽 연안보다 동쪽 연안에서 해빙의 두께가 두꺼워졌다. 이는 해빙의 어는률이 외해보다 연안에서 높기 때문에 해빙이 연안에 머무르는 일수가 늘어나면서 해빙이 두텁게 성장하였기 때문이다. 해빙의 이동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해빙이 존재했던 모든 격자점에서 각 격자점 별로 해빙의 이동속도와 바람과의 상관성 분석을 하였다. 발해만과 서한만에서 해빙의 이동속도와 바람과의 결정계수(r2)는 대부분 해역에서 0.6이상이 나타났다. 그리고 서한만의 외해에서는 결정계수가 0.8이상으로 바람과의 상관성이 매우 컸으나 대령강 하구와 발해만 중앙부에서 결정계수가 0.4이하로 상대적으로 작았다. 추가적으로 해빙의 이동속도에 표층해류를 제거하고 바람과 상관성 분석을 하였을 때 전 해역에서 결정계수가 0.8이상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령강 하구와 발해만 중앙부에서 해빙의 이동이 바람보다 해류의 변동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SIM 실험에서 12월에 랴오둥만과 서한만 북부 연안에서 염분이 외해의 염분보다 상대적으로 저염의 분포가 나타났지만 많은 해빙이 형성된 1월에 랴오둥만과 서한만 북부 연안에서 염분이 외해의 염분보다 높아져 수평적으로 밀도분포가 역전되었다. 이로 인해 SIM 실험에서 경압성 지형류가 동쪽에서 서쪽방향으로 흘렀다. 이는 랴오둥만과 서한만 동쪽 해안선을 따라 동쪽으로 흐르는 평균해류의 약화를 초래하였다.

      • 한국의 북방사업과 기업의 역할 : 남북러 관계를 중심으로

        김광일 북한대학원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47

        This thesis examines how the ‘Northern Projects : Exploring Economic Cooperation within the Framework of the Northern Policy’ unfolded as a means of economic cooperation within the context of South Korea's Northern Policy across successive administrations. Throughout this examination, the thesis aims to uncover the reasons behind the failure of the Northern projects, which were pursued as integral components of the Northern policy after establishing diplomatic relations with socialist countries and subsequently laying the groundwork for their implementation. The government aimed to improve relations with North Korea through the Northern Policy and ultimately expand its economic influence in the northern region. Meanwhile, businesses sought to pioneer the northern market through the Northern Projects. Under the shared goal, the government and businesses forged an interdependent relationship. In the Northern projects, the government devised measures to address the risk associated with North Korea, an area beyond the capabilities of companies. With the government's support, companies endeavored to achieve the success of the Northern projects. This thesis defines the symbiotic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ment and businesses as a market-oriented cooperative relationship. Based on this market-oriented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ment and businesses, the Northern Projects were carried out in three different types: market research projects, market entry projects, and market expansion projects. Through examining case studies of each project, the thesis identifies the following factors contributing to the failure of South Korea's previous Northern projects: firstly, North Korea prioritized security reinforcement over economic cooperation; secondly, there were limitations to the market-oriented approach of the Northern Projects; and thirdly, the institutional foundation of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North Korea, and Russia was not effectively established. Данная работа исследует то, как ≪Северные проекты: изучение экономического сотрудничества в рамках Северной политики≫ превратились в средство экономического сотрудничества в контексте Северной политики Южной Кореи при сменявших друг друга администрациях. На протяжении всего исследования цель диссертации состоит в том, чтобы раскрыть причины провала Северных проектов, которые воспринимались как неотъемлемая составляющая Северной политики после установления дипломатических отношений с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ми странами и впоследствии заложили основу для их реализации. Правительство стремилось улучшить отношения с Северной Кореей с помощью Северной политики и в конечном итоге расширить свое экономическое влияние в северном регионе. Тем временем предприятия стремились выйти на северный рынок с помощью Северных проектов. В соответствии с общей целью правительство и бизнес установили взаимозависимые отношения. В Северных проектах правительство разработало меры по снижению рисков, связанных с невозможностью предсказать политический курс Северной Кореи в реализации проектов в рамках экономического сотрудничества. При поддержке правительства компании стремились добиться успеха в реализации Северных проектов. В данной работе определяются симбиотические отношения между правительством и бизнесом как рыночно-ориентированные отношения сотрудничества. На основе этих ориентированных на рынок отношений сотрудничества между правительством и бизнесом Северные проекты рассматриваются по трем различным направлениям: проекты исследования рынка, проекты выхода на рынок и проекты расширения рынка. Путем изучения тематических исследований каждого проекта в диссертации определены следующие факторы, способствовавшие провалу предыдущих Северных проектов Южной Кореи: во-первых, Северная Корея отдавала приоритет укреплению безопасности, а не экономическому сотрудничеству; во-вторых, существовали ограничения в реализации рыночного подхода Северных проектов; в-третьих, институциональная основа сотрудничества между Южной Кореей, Северной Кореей и Россией не была четко сформирована. 본 논문은 ‘북방정책’ 속에서의 경제협력인 ‘북방사업’이 역대 정부에서 어떻게 진행됐는지를 살펴보며 북방사업의 실패원인에 대한 답을 찾아보려 한다. 정부는 북방정책을 통해서 북한과의 관계를 개선하고, 궁극적으로는 북방으로 경제권을 넓히고자 했다. 기업은 북방사업을 통해서 북방시장을 개척하고자 했다. 정부와 기업은 같은 목표 아래서 상호협력적인 관계를 형성했고, 정부는 북방사업에서 기업이 해결할 수 없는 영역인 북한 리스크에 대한 해결방안을 강구했다. 정부의 지원 아래 기업은 북방사업의 성공을 위해 노력했는데,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정부와 기업의 상호협력적인 관계를 ‘시장공략형 협력 관계’로 정의한다. 정부정책과 기업의 역할에 따른 시장공략형 협력 관계를 바탕으로 진행된 ‘시장공략형 북방사업’은 단계별로 시장조사형, 시장진입형, 시장확장형으로 구분된다. 북방정책 속에서의 경제협력 수단으로 진행된 한국 북방사업의 실패원인은 경제협력과 북한의 안보강화 의지를 맞바꿀 수 있다는 지나친 낙관주의와 남북러 협력의 제도화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에 있었다.

      • 北魏의 門下侍中 : 그 性格과 役割 變化를 中心으로

        김성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7547

        본 논문은 北魏 時代(386-532), 161명의 門下侍中에 관한 구체적인 분석을 통해 門下侍中의 권한이 이 시대에 특히 강했던 원인은 무엇이며, 이것은 北魏의 정치적 특수성 내지는 南朝의 상황과는 어떠한 관련성 내지는 차이점을 갖는지 구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문하시중의 性格 및 政治的인 機能의 변화상에 주목하여 이러한 변화의 시점과 계기, 그리고 변화상 등을 북위의 정치 상황과 연결해서 고찰하고자 하였다. 門下侍中은 본래 秦代 少府의 屬官으로 皇帝의 左右에서 近侍하면서 拾造補闕, 切問應對, 尙書奏事의 처리 등을 담당하던 근시관이었다. 이러한 문하시중은 이후 西晋 時代에 門下省이 하나의 省으로서 체제가 정비되면서 권한이 한층 강화되어 宰相의 지위에까지 올랐다. 북위시대의 문하시중은 道武帝 皇始 年間(396-398)에 尙書省을 비롯한 百官과 비슷한 시기에 설치된 문하성의 장관으로서 太和 15년(491) 이전에는 定員이 없는 加官이었다. 이들 시중은 가관이었기 때문에 他官에 의한 兼職 比率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민족 구성의 측면을 보면, 鮮卑族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태화 개혁을 기점으로 漢人 출신의 비율이 높아지면서 이러한 경향은 다소 감소하였다. 뿐만 아니라, 문하시중의 출신 가문을 살펴보면, 士族 출신이 전체의 약 74.7%를 차지하고 있으며, 小姓이나 寒素 출신의 비율은 尙書令이나 中書監令의 경우와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이다. 문하시중에는 대체로 황제의 측근이나 儒學者 계층이 중용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물론 북위 시대에도 예외는 아니지만, 당시에는 外戚이나 宗親의 시중 선임이 前代보다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이것은 선비족 고유의 兄弟相續 制度나 외척의 발호를 억제하기 위해 皇后를 살해했던 제도에 의해서도 설명이 가능하다. 북위 문하시중의 직장관 권한은 황제를 좌우에서 보좌하는 것 이외에 황제의 下問에 대한 應對나 出納詔命, 尙書奏事의 管掌 등으로 크게 나누어 지는데, 당시에는 선비족 기원의 內官職 역시 위와 같은 직능을 담당하고 있었다. 북족고유의 내관직은 주로 出納詔命이나 顧問應對, 그리고 官僚의 監察 등의 업무에 종사하고 있었는데, 이들의 이러한 성격으로 미루어 본다면, 북위에도 문하성과 유사한 좌우근시의 관직이 이미 존재하고 있었음을 알수 있다. 시중은 顧問應對의 직무를 수행했는데, 이것은 황제의 일상적인 하문이나 국정 전반에 걸친 고문에 응대하는 것으로서, 북위 초기에는 이 직능을 文才가 뛰어난 中書省의 관원들도 중복적으로 수행하였다. 시중은 詔命의 出納에도 관여하였는데, 이들은 조칙의 공포 이전 參議의 과정에서 조서의 법적 타당성 여부를 논의한 후 이것을 황제의 비준을 거쳐 공포하도록 하달하였다. 그리고 시중의 직권 중에는 관료에 대한 감찰권이 있다. 이 관료 감찰권은 본래 御使臺의 권한이지만, 天興 4년(402) 이후 어사대의 권한이 內朝에 귀속되면서 문하시중도 감찰권의 일부를 행사하였다. 특히, 이 권한은 북족계 내관직의 관원들에게서도 역시 찾아볼 수 있다. 시중은 황제의 의지를 전달하는 使者의 역할을 담당하기도 하였다. 이들은 외국에 사신으로 파견되거나 지방에 勅使의 자격으로 파견되었는데, 이런 경우에는 주로 本官 侍中보다는 겸임이나 임시로 임명된 상태에서 파견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尙書奏事를 사전에 심의하는 권한은 문하시중 고유의 권한으로, 조서의 기초가 되는 상서주사에 관해 문하시중은 황제의 裁可 이전에 論駁을 행하였고, 이 과정에서 尙書省의 전횡을 간접적으로 견제하기도 하였다. 또한, 시중은 加官인 경우가 다수를 차지하였기 때문에 상서직을 겸임하면서 상서성의 행정적인 업무에도 관여하였다 그런데, 북위 전기에는 상서직을 본관으로 하면서 시중직을 가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기 때문에 奏事에 대한 駁奏 또한 별다른 실효를 거두지는 못했으며, 이 과정에서의 시중의 영향력 또한 크지 못했다. 太和 17년(493)을 기점으로 단행된 孝文帝의 태화 개혁은 북위시대의 성격을 전후기로 구분짓는 기준이 되었는데, 문하성 및 시중도 이 개혁에 의해서 성격 및 기능상의 변화를 보인다. 먼저 태화 개혁을 기점으로 문하성 관원들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했던 북족계 내관직이 폐지되면서 이들의 정치적 역할의 대부분을 문하시중을 비롯한 관원들이 총괄하게 되었다. 또한, 태화 15년(491)에는 시중의 정원이 4명으로 정해졌는데, 이것은 종래에는 가관이던 시중직이 비로소 황제를 실질적으로 보좌할 수 있는 實官으로 변모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그리고 문하시중의 경우 文才를 겸비한 상당수의 한인이 등용되면서 시중을 포함한 문하성 내부의 인적 구성에도 변화를 보였다. 북위 시대의 문하시중은 輔政을 담당하면서 그들의 정치적인 권한을 강화하여 宰相의 지위에까지 오르게 되는데, 이러한 상황은 시중의 정원이 정해지는 태화 개혁 이후, 특히, 孝明帝 正光 年間(520-525)에 두드러지는 경향을 보인다. 물론 북위 시대의 輔政者가 문하시중과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었지만, 당시의 보정이 문하에서 시중에 의해서 이루어졌다는 것은 당시 문하시중의 정치적 위상이 그만큼 높았음을 보여주는 것이 된다. 태화 개혁을 기점으로 문하시중의 정원이 정해지기는 했지만, 후기에도 시중의 兼職 事例는 빈번하게 발견된다. 하지만,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은, 후기에는 本官 侍中의 비율이 증가한다는 점과 시중의 겸직 사례 자체가 감소한다는 것이다. 시중의 가관적인 성격 때문에 전기에는 尙書奏事에 대한 駁奏나 행정 업무에 대한 관여 자체가 그다지 큰 의미를 갖지는 못했지만, 시중직을 본관으로 하면서 他官을 겸임하는 사례의 증가는 사실상 시중직의 실질적인 권한의 확대를 의미한다. 또한 시중의 겸임 사례 자체의 감소는 종래 시중의 散官的인 측면이 배제되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관 시중의 비율이 증가하면서 상서주사에 대한 문하시중의 駁奏 또한 전기와는 달리 강도높게 행해져서 황제의 주사 재가 여부가 사실상 시중의 駁奏에 의해서 결정되었다. 뿐만 아니라, 황제가 人事權을 행사하는 경우에도 문하시중의 覆奏가 필요할 정도로 시중의 권한이 강화되었다. 그러자 황제는 시중의 독단을 방지하기 위해 중요 사안인 경우 상서성과의 합의를 명령하기도 하였다. 문하에서 輔政이 이루어지면서 시중은 상서주사에 관한 論駁에 이어 중서성의 草制權의 일부까지를 이관한다. 草制는 본래 중서 고유의 권한이었으나, 문하의 권한이 강화되면서 시중과 給事黃門侍郎이 중서, 문하의 업무를 총괄하게 되고, 이어 초제가 문하에서 행해지게 되었다. The govermental organization of the Northem Wei(北魏) dynasty was a combination of nomatic and Chinese systems. The government organization of the Toba-wei(拓跋 魏) was existed in between those of the Wei(魏) and Chin(晉) dynasties and those of the SUi(隋) and T'arig(唐) dynasties. My primary purpose is to show the functions, organizations and variations of the Men Hsia Sheng(門下省) and Men Hsia Shih Chung(門下省) of the Northern Wei dynasty. And what I want to discover is that why the power of the Men Hsia Shih Chung strengthens after the T'ai-ho Revolution(太和 改革), also I would like to clarify that reason. In order to understand Sih Chung(侍中) of the Northern Wei dynasty, this study dealt with the following matters ; the origin of the Men Hsia Sheng, its organization, the authority and capacity of the Men Hsia Shih Chung and the function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Men Hsia Shih Chung after T'ai-ho Revolution. Originally, Men Hsia Shih Chung was the government clerk of the So-bu(少府) in the Zin(秦) dynasty, and the secretary of the emperor. The organization of Men Hsia Sheng included Men Hsia Shih Chung, Huang Min Shl Lang(黃門侍郞), Men Hsia Rok Sha(門下錄事), Men Hsia Ryung Sha(門下令史), etc.. The main organizations under Men Hsia Sheng were about the same as those of Wei and Chin dynasty. A Men Hsia Shih Chung was in charge of the whole office. He was responsible for the drafting of imperial orders and mandates, and thus had access to national and military classified informations. The Men Hsia Sheng had been established by T'ai-tsu(太祖) and lasted through out the whole dynasty. From now on, I'll show the member of the Men Hsia Shih Chung. In the first term of Northern Wei dynasty, Shih Chung was almost an honorary post and an additional job. In addition, the ratio of the royal clansmen and the Maternal relatives, compared with that of the southern dynasties, is less. Among all the Shih Chungs, the man of noble birth is in the proportion of 74.7%, and the man of humble origin is in the proportion of 25.3%. The Toba-race(拓跋族) takes up the majority numbers, while the Chinese are minorities. The learned and virtuous hold an important position. Mostly, they're close to the emperor. There is a special bureaucracy on Northern Wei dynasty, which is the eunuch of Toba-race(拓跋系 內官). The officials of the eunuch had belonged to the Inner Court(內朝). Also, this position was not found in the Wei and Chin dynasties. It seems to have been established by Northern Wei dynasty. The eunuch of Toba-race was similar to Men Hsia Sheng's in its organization and function. Its officials were mainly in charge of inspecting and acting in an advisory capacity. In addition, they occasionally delivered the royal edict(詔命). So, some scholars understand that the Men Hsia Shih Chung succeeded to the eunuch of Toba-race. Through the function between the eunuch and Men Hsia Sheng was the same in some respects, the eunuch of Toba-race didn't report to the throne as the Men Hsia Sheng. Through the eunuch of Toba-race, we knew that the Inner Court had existed since in the first term of the Northern Wei dynasty. But in the process of reforming the government organization, emperor Hsiao-wen(孝文帝 471-499) abolished this position. From now on, I'll explain of the principal functions of the Men Hsia Shih Chung in detail. : First, Men Hsia Shih Chung not only assisted the king night and day in the palace, but also acted in an advisory capacity on the various fields of state affairs. Also, Shih Chung called for a new trial when the memorial which was submitted by Shang She Sheng(尙書省) was madequate. In addition, Shih chung took charge of delivering a royal edict from the king to the administrative machinery. He often inspected the bureaucrat-as his power was expanded, the function of inspection was added-but, the duty originally belonged to the Censorate(Oˇsa-dae 御使臺). And Shih Chung often went on a mission to the foreign country or the provinces. According to this function, we knew that Shih Chung was the man of representing the king's Will. In the 23th year of T'ai-ho of Hsiao-Wen a special degree was promulated for the establishment of a definite secretariat body which was very much an imitation of that in the southern dynasty. From the result of T'ai-ho Revolution, the function and the power of Shih Chung changed compared with the former period on Northern Wei dynasty. From now on, I'll give an example about the changed situation. The most powerful department in the first term of Northern Wei dynasty was the Shang She Sheng of which function and titles were exactly same as those of the southern dynasties. But the authority of the old system was gradually being shifted to the new. that is Men Hsia Sheng. In the first term of Northern Wei dynasty, Shh Chung had become merely consultants without real power. But, the power of Shih Chung was much expanded in the later term of Northern Wei dynasty, so all imperial orders were through him. Originally, the position of Shih chung is an' additional job. So in the first of Northern Wei dynasty, Shih Chung was not only an honorary position but didn't exist a quorum. But, on the T'ai-ho Revolution, four people were assigned for Shih Chung. As a result, Shih Chung was not simply honorary post, any more it carried out its influence over state affairs. Furthermore, in those days, the distribution of the principal of Shh Chung was stronger than before. In those days, Shh Chung strongly applied for a new trial on the memorial which was reported by the officials of Shang She Sheng. Also, Shih Chung even wrote out a royal edict. Primarily, the function of writing out a royal d c t is Zhong She Sheng(中書省)'s responsibility. But as the power of Shih Chung was strengthened, that duty was transfered to the Men Hsia Sheng. So, writing out a royal edict is only the incidental function of Shih Chung. After the T'ai-ho Revolution, Shih Chung mainly took charge of the fu-zheng(輔政). The fu-zheng was the meaning of the political process that the full or a part of the sovereign power moves from the king to any subjects who were entrusted the reins of government by the former or present emperor or the empress dowager. So, Shih Chung, who was in charge of the fu-zheng, was the premier(帝相). On the base of this situation, he extended his power upto threatening the king to what extent. This very characteristic of Shih Chung on Northern Wei dynasty was different from the Shih chung on the southern dynasties. Through the analysis, I was able to reach a conclusion that the Shih Chung had had stronger authority than those of preceding and following dynasties. Additionally, the Shih Chung on Northern Wei dynasty was a complex bureaucracy, mixed by nomadic and Chinese systems. Also, this bureaucracy called 'Shih Chung was a mirror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rthern Wei dynasty. The Shih Chung grew its power into threatening the king of the Northern Wei dynasty. This was made possible through Men Hsia Shih Chung being appointed to the premier. I did my best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and the function of Shih Chung on Northern Wei dynasty in various respects. But it seems that I have a poor grip of the point. For example, I didn't trace the relation of Shih Chung with the king and after bureaucracies sufficiently. I'm not quite satisfied with the matters related to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southern dynasties. So, I hold this problem over till next time.

      • 북조(北朝) 산서(山西) 고분(古墳) 벽화(壁?)의 도상(圖像) 연구

        상효군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46

        Shanxi(山西) is the most important area in the Northern Dynasty(北朝), an important area where the Northern Wei Dynasty moved from north to south geographically and culturally, and Han and Hu nationalities mingled. It is also the Li Tang period in the time-space transition period. There are many unique phenomena in social history, culture and art. The murals unearthed in Shanxi during the Northern Dynasties are the historical evidence of this feature, and very important research objects in archaeology and art history. This paper sorts out and classifies the mural images of ancient tombs in Shanxi during the Northern Dynasties. In the process of analysis, there are three kinds of analysis around the murals of ancient tombs in Shanxi in the Northern Dynasty: ① The murals of ancient tombs in other areas outside Shanxi. ② Tomb murals in Han Dynasty and Sui and Tang Dynasties in Shanxi. ③ Koguryo tomb murals, etc. Comparative analysis and discussion are made respectively. Through the changes of ancient tomb murals in Shanxi during the Northern Dynasties, this paper probes into the characteristics and laws of image morphological changes. The murals of ancient tombs in the Northern Dynasty inherited Han and Jin Dynasties, influenced Sui and Tang Dynasties, and showed a unique style in the history of ancient Chinese painting art. In terms of expressive techniques, the murals of ancient tombs in the Northern Dynasty accepted the Buddhist painting techniques of India and other western regions in artistic techniques, with distinctive styles of Liu Yemiao, Lan Yemiao and Tie Xianmiao in drawing. In terms of color matching techniques, there was the application of "dyeing high without dyeing low", and the flatness of the Han Dynasty gradually became the emphasis on the three-dimensional nature of the creative objects. On the other hand, from the perspective of pattern, the layout pattern of the Han Dynasty continued until the early ancient tomb murals such as Shaling Northern Wei Dynasty Tomb. In the late period of Northern Dynasty, the characters in the murals of Shanxi ancient tombs got rid of the clumsy and simple form in the early stage, and had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beautiful appearance with northern characteristics. In this way, a distinctive image of the tomb owner is formed. Sogdian businessmen from the Gobi Western Regions always appear in the murals of ancient tombs in the Northern Dynasties. The clothing style has changed from simple to complex, showing a variety of decorative and material clothing forms. The tomb culture of the Northern Qi Dynasty inherited the custom of "death is like life" since the Han Dynasty. The chairman team of the tomb mural is not only to show people at the funeral, but to form a part of the complete narrative of the world after the death of the tomb owner, not a narrative of the outside world, but the beginning of another world. Mural paintings, along with the tomb passages and tombs, form the world after the death of the tomb owner. The foreign religious colors on the murals of the tombs of the Northern Dynasties in Shanxi do not mean the disappearance of Chinese traditional religious colors. In the scene describing the system of later generations, the ancient tombs of the Northern Dynasties in Shanxi did not completely get rid of Taoist culture. In addition, the mural content also includes social education, not only inheriting the tomb owner's desire for life before his death, but also the traditional ideal of ascending to heaven and becoming immortal after death. Besides, there are also the images of gods and beasts in Taoist myths and legends. These images came from people's imagination of the later system at that time. This is a selective absorption of the traditional belief culture of Han and Jin Dynasties in the process of creating murals in ancient tombs of the Northern Dynasties. This paper attempts to study the social life, spiritual culture and other historical realities in Shanxi during this period through the changes of murals in Shanxi ancient tombs in the Northern Dynasties. In addition, through the comparative study with other regions and other times, it also discusses whether we can find the answer to this change. 산서(山西) 지역은 북조 시기 유목민족이 북에서 남으로 이동하고 한족(漢族)과 호족(胡族)이 교융하던 때의 시대상(時代相)을 엿볼 수 있는 매우 특이하고 중요한 곳이다. 시공간적 전환기인 이 당시는 사회역사 및 문화예술 측면에서 다양하고 독특한 현상이 출현하였는데, 산서에서 출토된 북조 시기 벽화는 바로 그 점을 보여주는 역사적 증거로 고고학과 미술사에서 매우 중요한 연구 대상이다. 본 논문은 북조(北朝) 시기 산서(山西) 지역의 고분 벽화 도상을 전체적으로 취합 정리하며 그 유형을 분석한 것이다. 이렇게 분석하는 과정에서 북조(北朝) 산서(山西) 고분 벽화를 다음 세 가지 즉 ① 다른 지역의 북조 고분 벽화 ② 한대(漢代) 및 수당(隋唐) 시기의 고분 벽화 ③ 고구려 고분 벽화 등과 비교 분석하며 논술하였다. 이를 통해 북조(北朝) 시기의 산서(山西) 고분 벽화의 변화 양상과 특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북조의 고분 벽화는 한진(漢晉)을 계승하고 수당(隋唐)을 열어주었으며, 중국 고대 회화예술사에서 독특한 풍격을 보이고 있다. 표현 기법 면에서 북조 고분 벽화는 예술 수법상 인도 등 서역의 불교회화 기법을 받아들여 선묘 면에서 선명한 풍격의 류엽묘(柳葉描), 난엽묘(蘭葉描), 철선묘(鐵線描) 등을 보이고 있고, 채색 기법 면에서 ‘염고불염저(染高不染低)’를 적용하여 한대의 평면성이 점차 창작 대상의 입체성을 중시하는 쪽으로 변하였다. 한편, 구도 면에서 보면, 한대(漢代)의 평면적 배치 구도가 사령 등 초기 고분 벽화에까지 계속되었다. 북조(北朝) 산서(山西) 고분 벽화 속 인물은 초기의 서툴고 단순한 형태에서 벗어나 북방 특색의 수려한 용모를 지닌 개성적인 특징을 갖추고 있다. 이리하여 개성이 뚜렷한 묘주 형상을 이루어낼 수 있었다. 심목고비의 서역 출신 소그드 상인이 북조 고분 벽화에 시종일관 나타난다. 의복 양식은 단순함에서 복잡함으로 변하여 다양한 장식과 여러 재질의 의복 형태를 보이고 있다. 북제 고분 문화는 한대 이래 ‘사사여생(事死如生)’의 풍습을 계승하고 있으며, 묘도 벽화의 의장 행렬은 단순히 장례 때 사람들에게 보여주기 위한 것이 아니라 묘주의 사후세계에 대한 완전한 서사의 일부이고, 외부를 향한 서술이 아니라 또 다른 세계의 시작이다. 벽화는 묘도, 묘실과 함께 묘주의 사후 세계였다. 산서 북조 고분 벽화에 외래 종교 색채가 강하다고 해서 그것이 곧 중국 전통 종교 색채가 사라졌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사후세계를 묘사한 장면에서 산서 북조 고분은 도교 문화에 완전히 벗어나지는 않았다. 또한 벽화 내용은 사회 교화, 생(生)에의 소망, 승선(昇仙)의 이상 등 이전의 전통을 계승했을 뿐만 아니라 구름과 안개를 타는 신선과 도교 신화 전설 속의 신수(神獸) 형상도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형상은 사후세계에 대한 당시 사람들의 상상에서 나온 것들이다. 이는 북조 고분 벽화의 창작 과정에서 한진(漢晉) 시대 전통적 신앙 문화를 선택적으로 골라 남긴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북조 산서 고분 벽화의 변화를 통해 이 시기 산서 지역의 사회 생활과 정신 문화 등 역사적 실재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또한 다른 지역 및 다른 시대와의 비교 연구를 통해 그러한 변화의 답안을 찾을 수 있는지도 모색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