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터넷을 활용한 효과적인 영어 쓰기 교수 - 학습

        박상희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943

        This research paper is a study on the teaching methods which make a use of information found in Internet in order to develop practical English ability of EFL learners. As the computer and Internet have advanced and become popular, English study using Internet is emphasized more than ever in today's English education. At present, Internet can bring about a greater interest in learning English, including learning about the culture of the English-speaking people. Also, Internet can help English teachers to obtain abundant quality information on the study of English language and apply that knowledge when teaching EFL. This study consists of five chapters. First chapter begins with the introduction and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second chapter explain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Internet. This chapter deals with the pedagogical significance of using Internet in the teaching of English. It also states the merits and demerits of English language teaching using Internet. Finally, it describes how the Internet has changed the learning environment. In the third chapter, it focuses on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s of English writing through Internet. This chapter presents useful web-sites on studying English writing. The fourth chapter deals with the results of learning English writing using Internet through a survey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this chapter, it describes the interests of the students on studying English through Internet. It also states the realities and the remedies for the problems of studying English writing through Internet. It also contains sample lesson plans for using Internet to teach English writing. The last chapter concludes that, in future, Internet will become more important teaching material and more beneficial English teaching methods and programs will be developed through Internet.

      • 청소년의 인터넷과 라디오 매체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비교연구 : '매체변이 가설'과 '이용과 충족이론'을 중심으로

        박용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943

        디지털 시대를 거쳐 인터넷의 등장은 매체통합(convergence)현상을 가속화시키며 라디오를 포함한 기존의 매체들에게 위협적인 존재로 다가오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 속에서 기존의 공중파 라디오와 인터넷 미디어의 상호관련성과 차이점을 분석해 보고, 미디어 수용자들의 이용행태와 이용동기를 비교 분석해 봄으로써, 21세기 뉴미디어 시대의 라디오 방송환경의 변화를 예측해 보고자한다. 인터넷과 라디오 매체는 10대 청소년층의 높은 이용빈도를 보이는 매체이기 때문에 여기서 드러나는 청소년층의 매체 이용동기와 이용량간의 관계를 연구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청소년들의 인터넷 이용과 라디오 이용의 동향을 예측해 봄으로써, 인터넷과 라디오 매체의 관계를 조명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인터넷 사용정도와 라디오 사용정도는 어떤 상관관계에 있는가? 둘째, 인터넷과 라디오를 이용하는 심리적 동기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셋째, 인터넷과 라디오 이용자의 사회적 욕구는 각 매체 이용량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그리고 마지막으로 인터넷과 라디오 이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청소년들의 인터넷 이용과 라디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 분석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더 라디오를 많이 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인터넷 이용과 기존 매체 이용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기존의 연구를 뒷받침하며 인터넷 이용량과 라디오 이용량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원인은 인터넷이 기존 매체의 보완적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라디오 청취자들이 라디오 방송 사이트 게시판에 사연을 올린다든지, 혹은 AOD(Audio On Demand)를 청취하기 위해 사이트를 방문할 수 있는 동기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 될 수 있다. 인터넷과 라디오를 이용하는 요인을 분석하고, 개인의 사회적 상호작용 정도를 측정한 후 각 변인이 인터넷과 라디오 이용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이용 동기 요인들 중 '습관적 이용동기'와 '현실 회피 동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서 나타났듯이 청소년들은 습관적으로 라디오와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고, 현실 회피를 하고 싶다는 동기로 매체를 이용하고 있다. 이용과 충족 학자들은 크게 매체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의 이용 의도를 "도구적인 매체 이용(instrumental goal oriented)"과 "습관적 매체 이용(habitual ritualistic)"으로 설명하고 있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라디오와 인터넷 이용 의도는 "습관적 매체 이용"이라는 일련의 연구들을 지지해 주고 있다. 청소년들은 인터넷과 라디오 이용동기가 "습관적 이용", "현실회피"라는 동일한 수용 동기를 가지고 라디오 방송과 인터넷의 콘텐츠를 수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론은 라디오와 인터넷 분야에서 미디어 통합(Convergence)현상은 이용자들의 이용동기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졌음에 기인한다고 말할 수 있다. 기존의 연구들을 검토해 보면 전통적인 기존의 미디어와 뉴미디어인 인터넷과의 대체현상이 일관되게 나타나지 않고 있지만, 일관된 미디어 대체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사실은, 수용자들이 매체를 선택하는 양식에서 2가지 서로 다른 매체를 선택함에 있어 완전한 대체(displacement)관계가 성립될 수도 있지만 상호보완적(complementary)인 관계가 형성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기존의 커뮤니케이션 매체의 형태는 새로운 매체의 출현에 부응하여 변하지 않으면 안 된다. 기존 라디오의 매체적 특징을 살펴보면, 인터넷이 멀티미디어적인 기능을 가지고 매체 통합을 이루고 있는 시점에서 라디오와의 공진화를 이루며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형성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라디오는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생존을 위한 진화와 적응을 강요받고 있고, 이러한 진화와 적응의 결과 라디오는 끊임없이 변형을 이루며 인터넷과 공동진화하게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adio use and the Internet us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framework of the Uses and Gratifications approach and the hypothesis of the Media morphosis. The current study extends past work on the application of the uses and gratifications framework from old to new media contexts. It validates the utility of this perspective for investigating the adoption and use of new media. Given the exploratory natur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investigated : 1)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adio use and the Internet use? ; 2) What differences are between the Radio use and the Internet use in the psychological motivations ; 3) What differen ces are between the Radio use and the Internet use in the social desires. ; 4) Which factors effect mostly the amount of the Radio use and the Internet use. To investigate these research questions, survey was conducted in October 2001 to 151 the male and the female high school students were interviewed in Seoul in Korea. The analysis results show th at the female high school students more listen to the Radio than male high school students. and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Radio use and the Internet use. This findings show that Internet users are more likely to be radio listeners than non-Internet users are. Also the results of the fact analysis show why the Internet users and the radio users use each media. After the fact analysis, the multiple regression was conducted. Finally, "the motivation of the habitual ritualistic use" and "the motivation of the desire for the escape of the real" are most effective for the both the amount of radio use and the amount of Internet use. This results are caused from media convergence because the media users have the same motivation and there is a complementary rather than compet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net use and the radio use. Therefore, this study insists that the relationship of the internet media and the radio media is complementary and they will make coevolution each other. Absolutely, the internet media force the traditional media as like radio to evolve in its own way.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we need to discover a lot more about how people use the Internet. How much do they use it for different reason ? For what kinds of web sites do they use Internet and for what kinds of radio program do they use radio? It could be very helpful for finding the reason why they use each media. At the and we may conclude and predict the future of the relationship of between internet media and the radio media.

      • 인터넷의 중독적 사용에 관한 연구 : 서울소재 중학생 대상으로

        안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943

        현대사회에서 인터넷은 사회·문화 전반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온 기술의 진보라고 할 수 있다. 인터넷은 90년대에 들어 빠른 속도로 보급되면서 정치, 사회, 경제, 교육, 문화 등 삶의 전반적인 모습에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우리 나라에서도 10대와 20대를 중심으로 사용인구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가고 있다. 인터넷의 급속한 보급은 긍정적인 부분과 동시에 어두운 부분을 가지고 있다. 현재의 학자들은 이를 인터넷 중독이라고 부르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중독이라는 용어가 아직 공식화되지 않아서 인터넷의 중독적 사용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기존의 인터넷 중독적 사용에 관한 연구는 주로 심리내적인 요인에 초점을 맞추어 이루어졌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의 주대상자인 청소년들 대상으로 인터넷의 문제를 명확히 하기 위해서, 인터넷의 중독적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문제행동과의 관계 그리고 인터넷을 중독적으로 사용하는 집단에서 문제행동을 일으키지 않게 하는 요인을 밝힌다. 본 연구에서 통제변인으로는 성별, 나이, 인터넷 이용시간을, 개인체계에서는 자기통제력, 익명성을, 가족체계에서는 가족지지와 가족형태, 사회체계에서는 친구 지지와 접근성을 주요 변인으로 설정하여 서울 소재 중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인터넷의 중독적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남성이 여성보다, 인터넷 사용시간이 길수록, 가족지지가 약할수록, 접근성이 높을수록 인터넷을 중독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자기통제력이 약할수록, 가족지지가 약할수록, 인터넷을 중독적으로 사용할수록 문제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의 중독적 사용과 문제행동의 관계에서는 인터넷을 중독적으로 사용하는 집단에서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자기통제력과 가족지지가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의 중독적 사용이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인터넷의 중독적 사용에 대한 사회복지 개입이 필요하며, 올바른 인터넷 이용을 위한 지도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인터넷을 중독적으로 사용하지만 문제행동이 낮은 집단에서는 자기통제력과 가족지지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개인에 대한 적절한 개입과, 가족에 대한 개입을 통해 문제행동을 감소시킬 수 있게 인터넷을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결과에서 가족지지는 중독적 사용과 문제행동에서 모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인터넷을 중독적으로 사용하는 집단에서 인터넷 사용 시간에는 차이는 없지만 자기통제력과 가족지지가 문제행동에 차이를 가져오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터넷 중독적 사용이 문제행동에 영향을 주지만 모든 청소년들이 문제행동을 나타내는 것은 아님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이 결과는 인터넷의 중독적 사용이 문제행동을 가져올 수 있는 개입이 필요한 부분이지만, 사용의 결과에 관계없이 과도한 사용을 하는 청소년 모두에게 개입을 하는 것이 아니라 부정적으로 사용하는 청소년들에 대해서 인터넷을 중독적으로 사용하더라도 문제행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개입이 제공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즉 인터넷을 중독적으로 사용하는 청소년들에 대해 자기통제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며, 가족의 지지를 충분히 느낄 수 있도록 한다면, 청소년들에게 있어서 인터넷의 중독적 사용은 문제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되지 않을 것이다. 인터넷의 중독적 사용과 문제행동에 영향을 주는 이런한 요인들은 개인적인 요인뿐만 아니라 가족이나 사회적인 요인들이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청소년들이 쉽게 환경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인터넷의 사용에 있어서도 가족과 학교 등에서 적절한 개입을 통해서 인터넷의 사용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유도 할 때, 중독적 사용으로 인한 문제행동보다는 교육적인 방향, 자기 개발, 의사소통 통로의 확대, 정보의 적절한 이용 등의 긍정적인 방향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 청소년을 가정에서 이해하고 지지해 준다면 청소년들의 인터넷의 중독적 사용은 감소하며, 중독적으로 사용하는 청소년들에게 있어서도 문제행동은 감소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들에게서 인터넷을 통한 긍정적인 부분을 기대하며, 청소년을 바라볼 수 있을 것이다. In modern society, the Internet which is represented from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has brought many changes everywhere and has been rapidly spread since the 1990's. Internet is also spread to adolescents and the population of using internet is increasing fast, and they are making new culture in Korea. This using internet has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Modern scholars called this negative aspects as an internet addiction. In this study, the addictive usage of internet is mainly used instead of the the word of internet addiction, as the internet addiction is not identified. There are a few studies on this thesis focusing on personality. So this study identifies the relation between the addictive usage of internet and the problem behavior, the factors affecting addictive usage of internet, and compares a problem behavior group with a nonprobolem behavior group in addictive usage group. In this study, first, control variables are sex, age, internet using time, personal system variances are self-control, anonymity. Second, family system variables are family support, type of family. And the last social system variables are friend support, accessibility. The research of the study was carried to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the factors affecting the addictive usage of internet are male, using time, family support, accessibility. Second, the factors affecting the problem behavior are self-control, family support and the addictive usage of internet. And the last, in the relation between the addictive usage of internet and problem behavior, the factors reducing problem behavior are self-control and family support in addictive usage group.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addictive usage of internet affects adolescents' problem behavior, which means that the youth needs the social welfare approach to the addictive usage of internet and the guide to the sound usage of internet. This results, however, also indicate that every adolescent do not show problem behaviors in addictive usage group, so we have to screen the youth having problem behavior. Then we can help them enhance self-control and feel more family support. It means that we have to approach to them through family. When we approach them through environment system like family, school, friend, they can reduce their problem behavior and use the internet positively. Finally, the most important factor is family support which affects the addictive usage of internet and the problem behavior. So we can expect the youth to use internet as a tool of self realization, so long as family try to understand and support the youth.

      • 인터넷을 활용한 영어학습에 대한 연구

        이은하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943

        With the recent development in information and technology, the Internet has been playing such an important role in our daily life that it is a must in information society. The waves of information society have changed every aspect in our life. In particular, it has been argued that the Internet can provide us with a variety of effect educational methods beyond the limit of time and space. For example, the Internet is the best substitute for native speakers. It offers a virtual reality environment to learners. By communicating with foreigners through e-mails, person-to-person chatting, news group activities, etc, one gets accustomed to the routine of using English expressions. English is an international language and the Internet is dominated by English volumes of useful information. In this situation, the Internet has been suggested and actually used as one of the important tools in the field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and under this trend, a lot of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possibility and utilization of the Internet for English learning and teaching. In this paper, first, the constructivist learning theory, which provides a new paradigm in education in general, is investigated. And the possibility and utilization of the Internet are examined in terms of the 2nd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principle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the Internet English learning on graduate students and to explore ways to improve its utilization as a resource for English learning. In an attempt to give substance to the methology, a series of survey questionnaires have been taken. The subjects of these surveys are 22 graduate students from a graduate school majoring in English Education. However, although there are many educational advantages to using the Internet, an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reveals that the Internet has not been used for English learning as much as expected. This result means that there are many problems which we have to solve for utilizing the Internet as a tool of English learning. This study addresses the disadvantages and limitations related to the use of the Internet and suggested ways of overcome their problems. Priorities should be given to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facilities and electronic equipments, to take advantage of the Internet in English learning. To this end, further support should be provided by both public and private sectors to expand the Internet usage environment. For example, public and private sectors should run information centers on the Internet about educationally effective English education web sites and let learners use them free. And teachers and learners also need to get 'web-minded'. Teachers and learners should be motivated to learn the specific skills to utilize the Internet as freely as they can.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Internet has tremendous potential as a supporting tool for learning English. In Korea learning English via the Internet is only in its infancy. Accordingly we need to understand new educational strategies used in learning and teaching English through the Internet. The most important thing is not the technology itself, but the teachers' and learners' responsibility and active roles in incorporating the Internet technology into their learning. In order to bring the Internet successfully into the education environment, we must make an effort together. Finally, this is a challenge that we need to work on because it is an important area which needs further research.

      • 인터넷의 역기능과 학교에서의 인터넷 사용 교육에 관한 연구

        김성옥 동국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943

        In the Networked Readiness Index Rankings reported by World Economic Forum and INSEAD, Korea took the first place in Company's Internet Efficiency, second place in Registered Superhighway Internet and Reasonable Charge, and fourth place in Popularization of Internet in Schools, which stands the best record in the world. According to the survey of the first half of 2007 by National Internet Development Agency of Korea, Internet users are 34,430 which is 75.5% of the total and it shows the 2.0%(850 thousand) increase than the last year.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98.7% of students, from 6 to 19 years old, use the Internet. While the high usage of the Internet, there comes a doubt that if the kids and students are aware of internet ethics, manners, or orders proper for the high-tech environment. Even if the Internet media has great social effects when using the Internet, there are many side effects such as fabricating public opinion by communication or anonymity, violating people's privacy, spreading lewd or violent harmful information, and addiction to Internet and games. Besides, the status of educational policy for Internet, development of contents for class, education for instructors, and development of books or study means is still as a beginner now. Former media education was focused on text such as letters and images and reading and writing them, that is, it was concentrated on critical decipherment. But since the Internet showed up, how to gather information, use it, and produce it became more important. Thus, former literacy education focusing on former media doesn't conform with the characteristic of the Internet media anymore. In this research, to resolve this problem, it is focused on suggestion, which is systematized content for educating kids and students, by looking into the center of Internet education. Also it's going to suggest ways of education for schools toward problems such as lack of professional education system using right Internet and lack of awareness, or difficulty to educate the Internet media since the policy is not established.

      • 무선인터넷 보안기술의 동향과 향후 전망

        차현영 東國大學校 國際情報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943

        The Wireless Internet is very attractive media for users and service providers in various fields. However, wireless Internet has demerits such as low transmits speed, low transmit rate, lack of resource and security of exchanging data. Wireless Internet combined the Internet with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cannot be easily applied with the same protocol used in wire communication because of the limit of wireless field. It is also impossible to apply solutions used in wire communication for security. I want to study wireless Internet security and examine present trend and prospect of security technology to solving it. Chap. 2 International trend and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of WAP, Me, I-Mode and Anyweb Chap. 3 Security Process with various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Chap. 4, 5 Present International Internet security technologies Chap. 6 Wireless Internet Security Technology We reviewed the concept of security on Wreless Internet, th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and standardization. Korea has advantages to be applied wireless Internet. Especially many companies have studied in security and they need more investments and efforts. It is so stimulated that Anyweb export to Israel and Brazil. It shows that technologies developed in Korea can be applied as not only Local technology but also Global Technology. Therefore, allied companies should contribute to standardize Wireless Internet security technology.

      • 한국과 중국 인터넷 오픈마켓 성공요인에 관한 비교 연구

        동순자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943

        인터넷은 지금 우리의 생활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또한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인터넷의 급속한 확산 및 보급으로 네크워크를 통한 다양한 형태의 전자상거래 방식이 나타나면서 전자상거래의 영역은 점차 넓어지고 있다. 인터넷 쇼핑몰을 통해 물건을 사고 파는 것이 보편화 되어 가고 있으며, 어느 누구나 물건을 사고 팔 수 있는 시대가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전자상거래는 복잡하고 불편한 것이 아닌 내가 원하는 물건을 싼 값에 살 수 있게 되었고 나에게 필요하지 않은 물건은 필요한 사람에게 다시 되 팔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해 주는 우리의 시장이 되었다. 최근 한국과 중국에서는 이러한 인터넷쇼핑몰 중에서도 까다로운 입점 조건이 없이 판매자와 구매자가 자유롭게 상품을 거래하는 오픈마켓이 날로 발전하고 있다. 오픈마켓은 판매자와 구매자가 직접 거래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는 인터넷상의 새로운 상거래방식을 말한다. 초기의 인터넷 보급초창기에는 기존의 백화점 형태의 방식을 도입한 종합쇼핑몰들이 대세를 이루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특정 제품을 특화 시켜서 판매하는 전문몰이 등장하였다. 또한 소비자와 소비자를 직접 연결해 주고 중간에서 수수료와 기타 부가수익원을 기반으로 하는 중계 형태의 비즈니스도 등장하였다. 최근에는 이러한 중계형태의 쇼핑몰이 발전과 진화를 거듭하여 판매자와 구매자가 인터넷을 통해 거래할 수 있도록 연결시켜 주는 오픈마켓이 인터넷 상거래의 대세로 자리잡고 있다. 이러한 오픈마켓의 특징은 인터넷 공간에서 고객이 파워를 가질 수 있는 특성을 그대로 반영한다. 동시에 진입이 쉬워진 오픈마켓에는 다수의 판매자가 생기게 되며, 이러한 다수의 판매자 간의 경쟁은 판매 가격을 낮추게 만드는 요인이 된다. 또한 수많은 판매자들의 치열한 경쟁으로 인하여 가격 뿐 아니라 제품 다양성과 서비스 대응 속도 면에서도 강점을 갖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인터넷 오픈마켓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기준의 논문들의 결과를 통해 결과 도출에 방향을 가늠해 보았다. 또한 중국에 진출하는 인터넷 오픈마켓의 성공한 사례하고 한국의 대표 성공한 인터넷 오픈마켓을 시장현황을 조사하며 비교 분석을 통하여 각각 성공요인을 도출할 것이다. The internet is closely associated in our lives now. Also, the rapid spread of the Internet and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development networks through various forms of e-commerce electronic commerce as they appeared The region is becoming wider. Mall to buy and sell things through the Internet becomes the universalization of, and anyone else who can sell and buy things not say it's about time. Electronic Commerce was complicated and uncomfortable, not something I want at a cheap price can buy and sell it back again and I need A product which is a necessary personA good opportunity the people who provide our market. Recently, South Korea and China, where an internet shopping mall without space difficult in terms of sellers and buyers are free to trade in goods, the Open Market is the day Development. The buyer is a deal with the open market sales operated in a way that says the new trading system on the Internet. In the early stages of the early Internet penetration traditional department stores it will introduce an integrated in the form of specialized in certain products in accordance with the passge of time, but the wind Ordered them to sale on jeonmunmol have emerged. Also, directly connects the consumer and transit in the form of commissions and other supplementary source of revenue based on the business have even halfway. Recently built sellers and buyers shopping mall development and evolution of this form of transit through the Internet open market designed to enable hook-ups to tradeRank as the dominant form of Internet commerce. This feature of the open market is customers have power in the online community features of current day. At the same time, developed a large attendance at open market sellers be easier entry, and these are what makes the lowering of a number of the sale price competition between the seller. It also affects tens of thousands of sellers due to fierce competition of the product variety and services as well as the price response speeds but also in terms of strength. Theoretical study to the Internet open market and this study direction and outcome by the results of the results of the criteria for comebacks. Also the Internet's open market enter the Chinese Internet leaders of Korea a reward succes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examines each through the open market to derive its success.

      • 효율적인 인터넷 마케팅 전략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웹사이트 방문률에 영향을 미치는 인터넷 이벤트의 제변수를 중심으로

        최도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943

        최근 인터넷에 대한 폭발적인 관심으로 인한 인터넷의 급속한 성장은 인터넷을 단순한 커뮤니케이션의 보조 도구로서가 아닌, 영리추구를 목적으로 하는 상업적 활동 무대의 하나로 발전시키고 있다. 즉, 인터넷을 이용한 상업적 활동은 이미 기업 경영과 기업의 마케팅 활동 및 기업과 고객, 기업과 기업 간의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혁신적으로 변화 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업적 활동 무대로서의 인터넷이 가지는 가장 커다란 특징은 인터넷의 기본 속성인 네트워크성에 있다. 네트워크로서의 인터넷의 특성이 존재한다면, 인터넷 상의 상업적 활동은 인터넷이라는 네트워크환경 하에서 일어나게 된다. 즉, 네트워크성을 가진 시장의 특성인 네트워크 외부성(network externalities)과 이로 인해 발생하는 자기강화 피드백(positive feedback / self-reinforcing feedback)현상이 발생되게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사업자들은, 자기강화 피드백에 도달하기 위한 'critical mass'의 수요자(가입자)를 확보하는데 전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이다. 즉, 인터넷을 기반으로 사업을 전개하고 있는 사업자들에 대한 평가에는 이용자들의 반응수준, 즉, 방문자수, 회원수 등의 요소가 매우 중요한 자료로 사용되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인터넷을 도구가 아닌 환경으로 인식한다면 새로운 환경에 따른 새로운 경영전략을 필요로 하게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웹사이트의 방문률 제고를 위해 최근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는 전통적 마케팅 기법 중의 하나인 이벤트 마케팅이 웹 사이트 방문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인터넷 마케팅 방법에 대한 지표를 마련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실증조사분석을 통해 첫째, 인터넷 이벤트의 실시로 인한 웹 사이트의 순방문자수(Unique Visitor)의 증감에 대해 알아 보았으며, 둘째, 인터넷 이벤트를 구성하고 있는 여러 요소들, 즉, 이벤트의 종류, 응모대상, 실시 기간, 경품 규모, 수혜자의 수에 따라서 각각 방문률 증감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이벤트 실시 5주전에서 1주전까지의 비이벤트 기간의 순 방문자수의 평균은 676596.28명이고, 이벤트 기간의 순 방문자수의 평균은 714321.14명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벤트가 가지는 속성별 특징에 따른 분석의 결과, 비이벤트 기간의 방문률을 100으로 설정 했을 때, 제1속성인 이벤트의 종류별 조사에서는 이벤트의 종류가 퀴즈인 경우의 방문률의 증가율이 159.15%로 가장 높았으며, 종류가 게임인 경우 92.909%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제2속성인 이벤트의 응모 대상별 방문률의 증감은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이벤트의 방문률 증감 비율이 111.179%인데 비해 회원인 경우의 증감 비율이 143.709%로 나타났다. 제3의속성인 실시 기간별 방문률 증감의 비교에서는 15일 미만인 경우가 150.545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5일에서 30일인 경우가 139.3409%, 31일 이상인 경우가 123.4625%로 각각 나타났다. 이는 전통적인 마케팅 이론인 이벤트기간은 너무 길거나 너무 짧지 않아야 한다는 이론이 인터넷 마케팅에도 적용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마지막으로 제4의속성인 경품의 규모에 따른 방문률 증감의 비율은 501만원이상 1000만원 미만인 경우가 160.27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른 규모에 비해 다소 높게 나타났다. 다섯 번째, 수혜자 수에 따른 방문률 증감의 비율은 대체로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보았을 때, 인터넷상에서의 이벤트의 실시는 각각의 사이트의 방문률 증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통계학적으로 개별 이벤트를 구성하고 있는 속성에 따라서 이용자의 반응 수준이 상이하다는 분석결과를 얻을 수는 없었지만, 여러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연구의 분석 결과를 종합해 보면 인터넷 마케팅은 이용자에 대한 분석과 더불어 인터넷이라는 환경적 변수를 반드시 고려한 마케팅 전략의 수립과 집행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The rapid growth of Internet sites and usage implies that the Internet is not only a subsidiary instrument for communication but also a stage for commercial business. In other words, commercial activities on the Internet generate dramatic changes in the way companies and customer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s well as bring about changes in enterprise management and marketing activities. The most significant feature of the Internet as a stage for commercial business is its character of networking. Commercial business takes place in a network environment of the Internet. More specifically, there are network externalities which are features of a networked market and a consequent phenomenon of positive and self-reinforcing feedback. Therefore, companies look for sufficient number of subscribers to fulfill a critical mass in order to realize the self-reinforcing feedback. Therefore, the responsive level of subscribers, specifically, the number of visitors and members, is an important data for evaluating the Internet business enterprise. The recognition of the Internet as an environment and not just an instrument of communication requires a newbusiness strategy. The goal of the research is to provide an index of effective Internet marketing strategies by analyzing the effect of event marketing, which is one of the traditional marketing methods frequently used and is based on the rate of web-site visits. Above all, this research, we examined what influence the Internet event opening had on the number of unique visitors. Second, we explored how the rate of website visits is influenced by each element of the Internet event such as the feature of the event, the period of the event, the subscription target, the scale of the gifts and the number of winners.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average number of unique visitor was 714321.14 during the pre-event period, from 5 weeks to 1 week before the event. In addition, in terms of the property classification of event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quiz event had the highest increasing rate of visits at 159.15% and the game event had the lowest increasing rate of visits at 92.909%. We assumed that the rate of visits during the non-event period was 100%. Second, in terms of the target subscription,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events that were open to non-member visitors had an increasing rate of 111.179%, whereas the events that were confined to members had an increasing rate of 143.709%. Third, in terms of the event period,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events lasting less than 15 days had the highest increasing rate of 150.5457%, the events lasting between 15-30 days had a rate of 139.3409%, and the events lasting longer than 31days had a rate of 123.4625%.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e validity of traditional marketing theory which states that an event should not last too long or too short. Fourth, in terms of the scale of gifts, the analysis showed that gifts that are equal to 501-1000 won generated the highest increasing rate of 160.272%. Fifth,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number of winners did not present conspicuous differences. In conclusion, the execution of an event on the Internet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rate of web-site visits. Even though it was not demonstrated statistically that the responsive level of visitors is differentiated according to each component element, the research produced some meaningful outcomes. When put together, it can be said that Internet marketing requires the formulation and execution of a marketing strategy that considers the Internet as an environmental variable as well as considering the analysis of users.

      • 중학생의 인터넷 중독적 사용과 사회적 적응능력의 관계 연구

        이선애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943

        본 연구는 인터넷을 중독적으로 사용하는 청소년들이 심리 · 사회적인 부적응을 초래할 수 있다는 입장에서 구체적으로 인터넷 중독적 사용이 사회적 문제해결에 대한 태도, 충동성, 대인관계 능력 및 미래직업준비인식에 있어서 유의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려는 것이다. 연구 대상으로는 고양시의 중학생 1, 3학년을 대상으로 자기 기입식 설문지법에 의하여 남학생 263명 여학생 257명으로 최종 520부의 자료를 분석의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도구는 인터넷 중독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Young(1999)의 온라인 중독센터에서 만든 '인터넷 중독 검사'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사회적 문제해결검사는 D'Zurilla와 Nezu(1990)가 개발한 사회적 문제해결 양식(Social Problem Solving Inventory: SPSI)을 김중술과 김영미(1992)가 번안한 것을, 김경희(1998)가 우리나라 만 20세 미만의 청소년들에게 적합하도록 수정한 문항을 사용하였다. 충동성 검사는 이현수(1985)가 번안한 충동성 척도를 재구성하였으며, 대인관계 능력이 좋은지를 파악하기 위해 김정규(1996)가 제작한 대인관계 척도를 재구성하였고, 미래직업준비인식 측정 검사는 특수인성검사에서 '미래 및 직업준비 인식 척도'를 그대로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0.0 Version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인터넷 사용 실태 검증을 위하여 성별, 학년별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인터넷 중독 위험군과 비위험군의 차이분석을 위해 t-test를 실시하였으며,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영향력 분석을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가설은 유의수준 .05이하에서 검증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 중독 위험군과 비위험군의 사회적 문제해결에 대한 태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하위척도인 문제지향척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서척도에 기인된 것으로 보이며 인터넷 중독 위험군집단이 전반적인 문제상황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터넷 중독 위험군과 비위험군 간에 충동성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터넷 중독 위험군이 비위험군에 비해 충동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터넷 중독 위험군과 비위험군 간에 대인관계 능력에는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수치상으로는 비위험군이 위험군에 비해 대인관계 능력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터넷의 중독적 사용이 다른 사람과의 접촉이 약화되어 대인관계에서 획득해야 할 사회적 기능을 학습할 수 없게 되어 대인관계 능력이 저하될 수 있다는 것을 밑받침 해주는 결과로 나타났다. 넷째, 인터넷 중독 위험군과 비위험군 간의 미래직업준비에 대한 인식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중독 비위험군이 위험군에 비해 미래직업준비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인터넷 중독이 문제해결태도, 충동성, 대인관계 능력 및 미래직업 준비인식에 유의한 관계를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전체 피검자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중독을 가장 잘 예측해 주는 변인은 충동성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미래직업준비인식, 문제지향척도 순으로 나타났고, 이들 변인들의 전체 설명변량은 8.6%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로 볼 때, 충동성이 높거나 미래직업준비 인식이 부족한 사람일수록, 문제상황에 대해 부정적인 정서를 가질수록 더 중독적일 것으로 예측해 볼 수 있다. Assuming that teenagers who addictively use the Internet can suffer from psycho-social misadjustment, the study was focused on finding if there is an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net addiction and the social problem solving skills like attitude, impulsivity, personal relations and preparation for the future and the vocation. The survey was carried out on junior high school freshmen and seniors by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method. A total of 520 students (263 males and 257 females) participated in the final analysis. Psychiatrist Kimberly Young's (1999) Internet addiction test, which had been developed by the Center for Online Addiction, was applied to find if there is any Internet addiction. Social Problem Solving Inventory [SPSI : developed by D'Zurilla and Nezu (1990)], which had been translated by Kim Jung-sul and Kim Yeong-mi (1992) and which had been later on corrected by Kim Gyeong-hui (1998), was used for the social problem solving skill test. Eysenck's impulsivity scale which had been translated by Lee Hyon-su (1985) was reorganized for the Internet addiction test. Kim Jeong-gyu's (1996) personal relations scale was reorganized to find capability of personal relations. 'The cognition subscale of the preparation for the future and the vocation' in the special PQ test was used for the cognition test of the preparation for the future and the vocation. SPSS 10.0 Ver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d the frequency analysis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Internet use. Furthermore, the t-test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risk and non-risk groups of the Internet addiction. All hypotheses were proved at 0.05 level of signific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report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ttitude among the social problem solving skills between the risk and non-risk groups of the Internet addiction bu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oblem orientation scale (POS) between the two groups was found. This means that it results from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motion subscale (ES)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s showed that in general, the risk group of the Internet addiction thought of a problem negatively.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mpulsivity between the two groups. In other words, it was shown that the risk group of the Internet addiction was more impulsive than the non-risk group. Thir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sonal relations between the two groups was not found but it was shown that the non-risk group of the Internet addiction had better personal relations in numerical value than the risk group. Four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gnition of the preparation for the future and the vocation between the two groups. It was shown that the non-risk group of the Internet addiction 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preparation for the future and the vocation better than the risk group. Fifth,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all subjects to see whether or not the Internet addiction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social problem solving skills like attitude, impulsivity, personal relations and preparation for the future and the vocation, impulsivity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estimate of the Internet addiction. The cognition of the preparation for the future and the vocation, and the problem orientation scale (POS) were the 2nd and the 3rd important factors. The total variance explained was 8.6%. The analysis results tell us that the student, who more impulsively acts, needs to more 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preparation for the future and the vocation, and thinks of a problem more negatively, is apt to become more addicted to the Internet.

      • 청소년 인터넷 중독과 무망감간의 관련성 연구 : 실업계고교 학생을 중심으로

        박선영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943

        As the Internet spreads to all corners of our life and brings about rapid changes in our lifestyle, many problems are caused by the use of the Internet. In particular, adolescents are most highly exposed to the problems, and are suffering from them seriously. Accordingly, it is needed to study on adolescents' desirable Internet use habit formation and the causes of problems by the Internet. The most serious problem caused by the use of the Internet is excessive Internet use, or Internet addiction. Many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find out the cause of Internet addiction, and many possible causes are being suggested. There are many aspects which cause Internet addiction - individual aspect, environmental aspect, and Internet itself. Among them, it can be said that the individual aspect is the key factor to Internet addiction. Depression, which is an individual aspect factor of Internet addiction, has been discussed a lot. It is reported that people in the Internet addiction group have higher depression scores than those in the normal group.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Hopelessness, as a single factor among intermediary factors causing depression, on the Internet addiction of adolescents. This research measured the adolescents students' state of hopelessness using Hopelessness Depression Symptom Questionnaire (HDSQ), which demonstrates the extent of hopelessness depression symptom, and Beck Hopelessness Scale (BHS), which exhibits Beck‘s hopelessness scale, after conducting the analyses on the reliability of those questionnaires, and question factors. Correlations between the group in hopelessness state and the user group via the Internet Addiction Self-Test (K-scale) was comparatively analyzed. The study result reveals that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were high. As a result of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hopelessness state group and the Internet addicted user group through sub-factors of the questions, all the sub-facto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rticular, the average score of the high risk Internet addicted user group was highest in both HDSQ and BHS. Consequently, these results imply that hopelessness affects the Internet addicted us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