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실물옵션을 활용한 해상풍력 발전 사업의 최적 행사에 관한 연구

        리, 칭주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해상풍력은 풍력 자원의 지속적 안정, 높은 풍속, 많은 발전량, 토지자원 불용 등의 장점으로 세계 각국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현재 중국은 해상풍력 발전 사업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발전차액지원제도를 실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 해상풍력 발전 산업의 중점 지역인 광동성의 30개 해상풍력 발전 사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한다. 전력가격 및 발전비용은 기하브라운 운동을 따른다는 가정하에 전력가격 및 발전비용의 불확실성을 고려하는 실물옵션 모형을 활용하여 최적 투자 임계값을 제시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발전차액지원제도하에 대부분 해상풍력 발전 사업의 투자 경제성이 확보되고 있다. 그러나 발전차액지원제도가 없는 경우에 도출된 최적 투자 임계값은 발전차액지원제도가 존재하는 경우에 도출된 최적 투자 임계값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발전차액지원제도가 중단되면 해상풍력 발전 사업의 경제성이 확보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국의 해상풍력 발전 사업은 보조금에 기반한 투자이며, 중국 정부는 발전차액지원지도를 통하여 이러한 투자를 촉진시키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중국 중앙정부가 발전차액지원제도를 폐지한 현시점에서는 원활한 해상풍력 사업 투자를 위하여 다른 정책적 지원이나 지방정부 보조금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 해상풍력발전의 어업인 수용성 제고를 위한 제도개선 연구

        유충열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To cope with climate change,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pushing for energy conversion from fossil energy to new and renewable energy. Among other things, 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has seen rapid growth of nearly 10 percent every year, drawing attention as the most notable renewable energy source in recent years. South Korea is also seeking to convert energy to expand the ratio of renewable energy to 20 percent by 2030 through plans to implement renewable energy as a Contracting State under the Paris Agreement on Climate Change. In particular, judging that renewable energy production through 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is inevitable due to narrow national land conditions in which Korea has no choice but to use the sea in order to install large-scale renewable energy power plants, the government established a Road-map to promote offshore wind Farm in 2010 with the aim of becoming the world's third-largest offshore wind power country, but the offshore wind Farm, which is currently operating more than a decade later, is only one part of Jeju Tam-ra offshore wind power. There are many reasons why the offshore wind Farm project is so slow, but one of the most important reasons is that it is especially difficult to secure the acceptability of fishermen, who are users of existing waters. This study analyzed the reasons why it is difficult for fishermen to secure acceptivity in offshore wind power projects by dividing them into each stage of the project and analyzing their solutions. First of all, we looked at the impact of the location selection method in the project review stage, the uncertainty of the operators' opinions, and the current method of collecting opinions, which is only formal and one-time, on the acceptability of fishermen. In particular, the impact of fishery loss compensation on the acceptability of fishermen was analyzed in the project implementation stage and how the voluntary subsidies paid by the operators, apart from the compensation for losses, had an impact on the acceptability, and in the operational stage of the project, communication in the operation process between marine wind power operators and fishermen had an impact on the acceptability. Based on this, this study proposed measures to improve the acceptability of fishermen in offshore wind power projects, such as improving the method of selecting locations for offshore wind power, preparing a system for collecting opinions from stakeholders such as fishermen, establishing communication methods between operators and fishermen, and preparing a profit sharing system for participating fishermen.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세계 각국은 화석에너지에서 신·재생에너지로의 에너지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해상풍력발전은 매년 10%에 가까운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며 최근 가장 주목받는 재생에너지원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우리나라도 파리기후변화협약의 체약국으로서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 등을 통해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의 비율을 20%까지 확대하는 에너지 전환을 꾀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대규모 재생에너지 발전소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바다를 활용할 수밖에 없는 좁은 국토 여건상 해상풍력발전을 통한 재생에너지 생산이 불가피하다는 판단 아래 정부는 세계 3위의 해상풍력발전 강국 도약을 목표로 지난 2010년 해상풍력발전 추진 로드맵을 수립하였으나 10여년이 지난 현재 상업가동 중인 해상풍력발전소는 제주 탐라해상풍력 한 곳에 불과하다. 해상풍력발전사업이 이처럼 더딘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기존 해역 이용자인 어업인의 수용성 확보가 어려운 것이 가장 중요한 이유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해상풍력발전사업에서 어업인들의 수용성 확보가 어려운 이유를 각 사업 단계별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그 해결 방안을 분석하였다. 먼저 사업성 검토단계에서의 입지 선정방식과 사업자의 의견수렴 대상 불명확 그리고 형식적이고 일회성에 그치는 현행 의견수렴 방식이 어업인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사업 추진단계에서는 특히 어업손실보상이 어업인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과 손실보상금과 별도로 사업자가 자의적으로 지급하는 지원금들이 수용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으며 사업 운영단계에서는 해상풍력발전사업자와 어업인 간의 운영 과정에서의 의사소통이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해상풍력발전 입지 선정방법의 개선, 어업인 등 이해관계자 의견수렴 제도 마련과 사업자와 어업인 간의 의사소통방안 수립 및 어업인 참여형 이익공유제도 마련 등 해상풍력발전사업의 어업인 수용성 제고를 위한 제도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해상풍력발전에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타워 구조물

        김상우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근 유럽 여러 나라에서 풍력발전단지 개발에 많은 투자와 연구를 함에 따라 인프라와 기초의 건설, 운영, 유지 등에 대하여 기술적인 측면에서 크게 발전하였으며, 사업규모도 대형화 되고 있는 추세이다. 우리나라 서남해안의 지역의 우수한 바람 자원을 토대로 정부는 2019년까지 영광·부안지역 해상에 2.5GW의 대규모 해상풍력단지를 단계적으로 개발하고 2019 이후 7.7GW 규모로 확장하여 세계 3대 해상풍력 강국으로 도약을 추진 중이며, 전라남도는 세계 5대 풍력산업 허브 구축을 목표로 5GW풍력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해상풍력발전단지 개발에 있어서 해상구조물 설계와 시공이 차지하는 비중이 육상풍력단지에 비해 커짐에 따라 부지의 해상조건에 적합한 타워구조물의 최적설계에 대한 연구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상풍력에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타워 구조물의 적용 방향을 제시하고, 안전한 단면설계의 방안을 제시한다. Recently, as a lot of European countries research and invest in the development of wind farms, they achieve significant advances in the technical aspects about infra, construction of the foundation, operation and maintenance, also they trend to largest diversified business. On the base of the excellent wind resources of south-western coast of Korea, the government is going to develop 2.5GW of large-scale offshore wind farm step-by-step in the public and private joint at Younggwang and Buan until 2019, after then, they expand up tp 7.7GW size and also promote the world's third largest offshore wind farm. And Jeollanam-do is pushing for the world's fifth largest wind power industry hub with 5GW wind project. Considering that the portions of substructure design and construction in developing offshore wind farms increase compared to onshore wind farms,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n the optimized design of substructure suitable for marine condition of site is required urgently. In the study, it provides direction of application of precast concrete to tower structure for offshore wind farm, and it presents safe cross-sectional design of tower structure.

      • 해상풍력 사업의 갈등 예방과 완화를 위한 사회적 대화와 촉진적 조정의 의의와 역할 : 통영과 영광의 현장 사례를 중심으로

        박선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With the necessity of expanding renewable energy to mitigate the climate crisis, interest in offshore wind power is increasing. In South Korea, where offshore wind power is still in its infancy, there is increasing concern about how we must understand and resolve conflicts in the process of project implementation. The normative direction that local stakeholders should participate both procedurally and economically to improve the acceptability of renewable energy has been repeatedly confirmed in studies and cases. However, there is insufficient discussion on how to implement this in offshore wind farms (OWFs). This study analyzes OWF conflicts as an interaction between the institutional aspect and the perception of conflict actors (the main actors in conflict with OWF projects, which in this research is typically fishers) and shows tha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OWFs, facilitative mediation can be a solution to the conflict. An example of a typical conflict would be disputes with fishers who use public waters where OWFs are located. Tongyeong-si, Gyeongsangnam-do, and Yeonggwang-gun, Jeollanam-do were selected as the case study sites, both being coastal areas, with prominent fishing industries and OWFs located along the shore. The researcher conducted a multi-case study with participatory observation on the social experiments of OWF conflict mediation conducted in each case study site. Text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in-depth interview results to analyze conflict actors' perceptions of the conflicts. Each case of the mediation program was analyzed cyclically in terms of process and contents. This study combined the frame theory and the institutional analysis and development framework for a theoretical ground. There are three main research results. First, contextual factors hurt initial trust building. According to the current legal system, the conflict actors are informed of the OWF late, leading fishers and residents to become suspicious of the OWF project. Although the Korean government continued to improve renewable energy acceptance policies, the existing institutional principles for power generation business licenses and occupancy permits for public waters could not be changed significantly, and so it was insufficient to resolve the conflicts that had already occurred. The local government’s authority over OWF siting was also insufficient. So the local government's offshore wind power policy remained secondary to industrial development, post-conflict management, and profit sharing. Fishers and residents had both concerns and expectations about OWFs. Since the sites of both case studies were experiencing economic stagnation, just like many rural areas, OWFs were also recognized as an opportunity for regional development. When the fishing industry was active, the non-fishers also showed a tendency to attach importance and pride to local fisheries. The conflicts experienced by the two regions in the recent past, such as the movement against sea sand extraction and conflicts before and after the site of the nuclear power plant, were also related to the OWF response pattern. Second, while the promotion of OWF projects is maintained as the primary cause of conflict across both case studies, conflict actors responded differently in the two cases in terms of how action was taken against the OWFs and also in how the OWFs were perceived. When the OWF plans were first unveiled, fishers discontent with the projects were united in their shared dissatisfaction. They considered themselves the sole stakeholder in the battle against OWFs, resulting in an ‘us versus them’ perception and leading to the exclusion of other possible stakeholders, such as civil society and environmental movement groups. However, in the absence of an active regional coordinator, each actor experienced various conflict events, and actors perceived the problem in different ways. The fact that conflicts developed in different ways in the two case study sites and that different conflict frames were formed can b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rong projection of the influence of different community ele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s conflict frame analysis showed that the OWF conflict included but also went beyond the single issue of conflict with the fishing industry. In both sites, damage to the fishery was the biggest conflict issue, and it was found that it was important to prepare a location method to minimize damage and a follow-up industrial transition policy to resolve the conflict issue. In addition, serious problems were raised in the process of OWF project promotion. The project was pursued by private business owners who were primarily profit-seeking rather than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In the process, there was a lack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policies to ensure publicity of commons. As time passed, a few actors tended to frame OWFs as a relationship problem rather than a damage issue, since they feel powerless and excluded. Not only fishers but also non-fishers recognize the sea as a regional identity, so wide community consent is needed for OWFs. Conflict actors wanted the government to responsibly promote the process in its entirety, rather than just promoting the business sector. Third, mediation by a third party can provide an opportunity for those involved in the conflict to form an alternative frame on their own and find a solution. Although the case study here did not have all the elements of mediation, it was in a situation where social experimentation was possible to explore the necessity and effect of mediation. Therefore, implications could be derived from both the condi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mediation and the content of mediation. Whether or not mediation is acceptable depends largely on the conflict situation. As in Yeonggwang, when conflicts occurred between local actors and mutual distrust was formed, the opportunity for mediation was further reduced. In contrast, such as in Tongyeong, when civic groups are not at the forefront of conflict, but are paying attention to OWF issues, mediation could be more acceptable. In terms of the content of mediation, it was also found that facilitative mediation could be effective for reframing to create an alternative cognitive framework. The intervening third-party expert could fully understand and expand the perception frame of the conflict actors and play a role in guiding them not to insist on only one alternative but to also consider other possibilities. The social dialogue experiment conducted in Tongyeong suggested that through reframing under the mutual discussion of the participants, participants could tentatively agree or confirm at which point they could reach an agreement. Although there was no mutual discussion in the location mapping method conducted in Yeonggwang, a third party was able to reconstruct opinions in a spatial dimension by reducing the complex aspects of conflicts to fishery issues through a new recognition tool called maps. In this process, a third party could contribute as analysts to clarify issues by reframing the participants’ views. In both cases, many participants positively evaluated the fact that they were contributing to the joint framing for OWFs. However, at the same time, there was also a skeptical attitude about whether opinions could be realistically reflected to solve the problem. To exp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a full-fledged mediation, it is necessary to participate with another important conflict actor, the business operator, and th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with the authority to permit OWF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to explain local conflicts of OWFs from a multi-dimensional and dynamic perspective and to find practical solutions. Meanwhile, acceptanc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a state where the location of the OWF project has been established and without the participation of local stakeholders. This acceptability concept can observe only one part of the whole system. This study approached OWF conflicts from the institutional viewpoint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OWF conflict, based on understanding how the project was legally approved as well as the local public conflicts and economic and social contexts. Therefore here suggests that a facilitative mediation as social practice is necessary to prevent and alleviate OWF conflicts, in light of the experimental cases. As for policy implications, above all els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for mediation and conflict management fitting the characteristics of OWF project development. In light of the research results, mediation was found to be useful in reducing OWF conflicts, rather than other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methods such as negotiation and arbitration. Mediation is characterized by the participation of the conflicting actors in relation to the subject, the creation of alternatives through discussion regarding the content, and the intervention of a third party when it comes to the process. Without a third party, negotiations would have to be made, but it was not a realistic solution in a situation where there was no interaction between the actors. In both case studies, many actors were positive about the method of dialogue, but neither actor could take charge of it. Without participation of the conflicting parties, a third party should try to create an arbitration plan, but it was difficult because OWF project development has urban planning characteristics. Therefore, applying the method of mediation discussed by stakeholders and a third party when establishing an OWF siting plan will reduce conflict and increase the practical rationality of the plan. This study has the greatest significance in discovering the possibility of social solutions. The fact that all possibilities could not be tested at the same time remains a limitation of this study. Since there can be various techniques to promote alternative frames in mediation mechanisms, it is necessary to accumulate several intervention cases. Also, in terms of the continuity and implementation of the mediation,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explanation. In particular, although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government, institutions, and business operators were responsible for the conflict, the focus is still on the fishers and residents who expressed concerns. In the future, in-depth follow-up studies should investigate how policymakers and society implement a procedural solution.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재생에너지 확대의 필요성에 따라 해상풍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해상풍력이 아직 시작단계인 국내에서는 사업추진 과정에서의 갈등을 어떻게 이해하고 해결해나갈 것인가에 대한 문제의식도 높아지고 있다. 그간 재생에너지의 수용성 제고를 위해서는 지역 이해관계자들이 절차와 경제적으로 참여해야 한다는 규범적인 방향이 연구와 사례들에서 거듭 확인되어왔다. 그러나 이를 해상풍력에서 어떻게 구현해나갈 것인가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논의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 연구에서는 해상풍력 갈등 양상을 제도적 측면과 갈등행위자 인식 측면의 상호작용으로 보아 분석하고, 해상풍력의 특성을 고려한 촉진적 조정이 갈등의 해결방안이 될 수 있음을 보인다. 해상풍력이 입지하게 되는 공유수면을 사용해 왔던 어업인과의 분쟁은 갈등의 대표적인 유형이기에 이에 해당하는 연구대상지로는 경상남도 통영시와 전라남도 영광군을 선정하였다. 연구자는 각 사례 대상지에서 수행된 해상풍력 갈등조정의 사회적 실험들에 대해 참여관찰을 병행한 다중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심층면접 결과에 대한 텍스트분석을 수행하여 갈등행위자들의 갈등 인식을 분석하고, 연구자들이 조정 기제를 적용했던 과정과 결과에 대해 순환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분석하기 위한 이론적 틀로는 제도분석틀과 프레임이론을 결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크게 3가지다. 첫째, 맥락적 요소는 초기 신뢰 형성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현행 법제도에 따르면 갈등행위자들은 뒤늦게 해상풍력 사업을 인지하게 되어 있어 어업인과 지역민들은 해상풍력 사업을 의심하는 대응방식을 취하게 된다. 정부가 재생에너지 수용성 정책을 지속적으로 도입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발전사업허가와 공유수면 점사용허가에 관한 제도적 원리는 크게 바뀔 수 없었으며 이미 발생한 갈등을 해결하기에는 부족했다. 해상풍력 입지에 대한 지방정부들의 권한 역시 부족했기 때문에 지방자치단체의 해상풍력 정책은 산업육성과 사후갈등관리, 이익 공유 등의 부차적인 차원에 머물렀다. 어업인과 지역민들은 해상풍력에 대해 우려와 기대를 동시에 가지는 양상을 보였다. 두 지역은 많은 농어촌 지역과 마찬가지로 경제적으로 침체를 겪고 있었기 때문에, 해상풍력이 지역발전의 기회로 인식되기도 하였다. 어업이 활성화되면 비어업인들도 지역의 어업에 대해 자부심을 가지고 중요도를 부여하는 경향을 보였다. 두 지역이 겪은 가까운 과거 갈등 경험인 바다모래 채취 반대운동이나 원전입지 전후에 관한 갈등들도 해상풍력 대응 패턴과 연관성이 있었다. 둘째, 행위자들이 해상풍력 추진에 어떻게 대응하는지와 어떻게 인식하는지는 지역의 상황에 따라 달라졌다. 해상풍력 추진 사실이 처음 알려질 때, 어업인들은 분노하면서 이익을 중심으로 단결하였고 ‘어업인 대 해상풍력’의 대결구도를 형성하였다. 하지만 적극적인 지역 내 조정자가 없는 상황에서 일련의 갈등사건들을 접하는 과정에서, 행위자들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문제를 인식해나갔다. 두 지역에서 갈등은 크게 다른 방식으로 전개되었으며 갈등프레임의 양상 또한 달랐다. 이는 서로 다른 지역사회 요소의 영향이 강하게 투영된 결과로 이해할 수 있다. 갈등프레임 분석 결과에 따르면 해상풍력 갈등에서 어업과의 상충이라는 쟁점은 가장 중요하게 드러났으나 갈등의 총체를 설명할 수는 없었다. 두 지역 모두 어업에 대한 피해 문제가 가장 큰 갈등 쟁점을 이루고 있었는데, 이러한 갈등 쟁점의 해소를 위해서는 피해를 최소화할 입지방식과 후속적인 산업 전환정책 등의 마련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업추진 과정에서의 문제들이 심각하게 제기되었다. 많은 이들은 그 원인으로 민간주도 사업을 지적하였다. 기후위기 대응보다는 이윤추구를 일차적 목적으로 하는 민간사업자들에 의해 사업이 추진되면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정책이 자리해야할 제도적 과정에서 공공성을 담보할 수 있는 장치가 부족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행위자들 안에서 무력하다고 느끼고 배제되었다고 생각하는 집단이 형성되는 등 해상풍력을 쟁점이 아닌 관계의 프레임으로 보는 경향도 생겨났다. 어업인 뿐 아니라 비어업인들 역시 바다를 지역의 정체성으로 인식하고 있어, 해상풍력에서 더 적극적인 지역사회 동의가 필요하다는 요구도 발견할 수 있었다. 갈등행위자들은 공통적으로 사업자가 주도하는 과정이 아닌 정부가 전체적인 과정을 책임 있게 추진하는 해결방식을 원했다. 셋째, 제3자에 의한 조정은 갈등 관계자들이 스스로 대안프레임을 형성하고 해결점을 찾아가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연구의 사례는 조정의 모든 요소를 갖춘 것은 아니지만 조정의 필요성과 효과를 탐색할 수 있는 사회적 실험이 가능한 상황에 있었다. 따라서 조정의 성립 조건과 조정의 내용 두 측면에서 함의를 도출할 수 있었다. 조정 자체를 받아들일 수 있는지 여부는 갈등상황에 크게 의존한다. 영광처럼 지역행위자들 간에서 갈등이 발생하고 상호간 불신이 형성된 경우 조정 기회는 더욱 축소되었다. 이와 달리 통영처럼 갈등의 최전선에 있지 않아도 해상풍력 문제에 관심을 기울이는 다양한 단체가 있는 경우, 넓은 제3지대가 조정상황을 창출하는 완충지대 역할을 할 수 있었다. 조정의 내용적 차원에서 촉진적 조정은 대안적인 인식틀을 창출하는 리프레이밍에 효과적일 수 있음도 드러났다. 개입하는 제3자 전문가는 갈등행위자들의 인식 프레임을 충분히 이해하고 확대하며, 그들이 하나의 대안만을 고집하지 않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었다. 통영에서 진행된 사회적 대화 실험은 참여자들의 상호 토론 하에 이루어진 리프레이밍을 통해 참여자들은 어느 지점에서 잠정적으로 합의하거나 합의할 수 있는지 서로 확인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영광에서 진행된 입지지도 방식에서는 상호 토론이 이루어지지 못했으나, 제3자는 지도라는 새로운 인식도구를 통해 갈등의 복잡한 측면을 어업 쟁점으로 축소하여 공간 차원으로 의견을 재구성할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는 제3자는 분석자로서 참여자들의 견해를 리프레이밍함으로써 쟁점을 분명히 하는 데 기여할 수 있었다. 두 가지 사례에서 다수 참여자들은 해상풍력 문제에 대한 공동의 프레이밍에 본인들이 기여하고 있다는 점 자체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동시에 의견이 실제로 반영되어 함께 문제 해결에 다가설 수 있는가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태도도 보였다. 이 연구에서의 성과를 본격적인 의미의 조정으로 확대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중요한 갈등행위자인 사업자와, 해상풍력 사업 허가에 관한 권한을 가진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까지 참여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해상풍력에 따른 지역 갈등을 입체적 동학적 관점에서 설명하고 실천적 해답을 구하고자 했다는 의의가 있다. 그간 많은 수용성 연구는 사업의 입지를 다 정한 상태에서, 지역 이해관계자들이 참여하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되곤 했다. 이러한 수용성 개념은 전체 제도의 일부분만을 관찰할 뿐이었다. 이 연구는 해상풍력 갈등을 제도 관점에서 접근하기 위해 사업이 어떻게 법적 허가를 받는지와 그 지역의 공공갈등과 경제사회 맥락의 이해를 바탕으로 해상풍력 갈등 전개의 특징을 이해하는 데 기여한다. 따라서 갈등을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해서는 촉진적 조정이라는 사회적 실천이 필요하다는 점을 실험적 사례 분석을 통해 보였다. 정책적 함의로는 무엇보다도 해상풍력에 적합한 조정과 갈등관리 제도가 필요하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해상풍력 계획 수립시 이해관계자들과 제3자가 논의하는 조정의 방식을 적용하는 것은 갈등을 저감하고 계획의 실질적인 합리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조정 기제를 제도화하기 위해서는 조정을 담당하는 기구를 설치하는 것뿐만 아니라 조정의 미시적 상황을 담지하는 전문 조정자 육성이 필요하다. 장기적으로는 갈등관리가 부차적이고 사후적인 수준에 머무를 것이 아니라 기존의 과정과 결합됨으로써 주민 및 이해관계자들의 참여가 안정적으로 제도화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사회적 해결의 가능성을 발견하는 데에 가장 큰 의의를 가진다. 동시에 그 가능성을 모두 시험해볼 수 없었다는 점은 이 연구의 한계로 남는다. 조정을 통해 대안프레임을 촉진하기 위한 기법에는 다양한 기법이 있을 수 있기에 향후 많은 개입 사례들이 축적되어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조정의 지속성과 이행 측면에서 이 연구는 설명의 한계를 가진다. 특히 정부나 제도, 사업자 측에 갈등의 상당한 책임이 있다는 점이 연구과정과 결과에서 드러났으나, 이 연구에서는 여전히 연구의 주된 대상을 우려의 목소리를 내는 어업인과 지역민들로 한정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향후에는 정책과 사회가 어떻게 과정적 해결을 이행할 수 있는지 심도깊은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단시간 허용전류와 설비고장을 고려한 해상풍력단지의 최적 내부망 구성에 관한 연구

        이샘찬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신재생에너지 중 해상풍력발전은 탄소중립 추진전략의 핵심적인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해상풍력발전은 육지에 비해 좋은 풍력자원을 얻을 수 있으며, 대규모화에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초기 건설비용 및 유지보수 비용이 매우 높기 때문에 초기 투자비용을 최소화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해상풍력단지 내부망의 연결구성 및 형태는 풍력터빈의 용량, 풍력터빈의 위치, 해상변전소의 위치에 따라서 달라지기 때문에 경제성 및 신뢰성을 동시에 고려하여 연결구성 및 형태를 결정해야한다. 본 논문에서는 초기투자비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단시간 허용전류를 계산하고 Case 별 단락전류를 비교하여 내부망에 사용되는 해저케이블 최소규격을 선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BIP(Binary Integer Programming) 모델링을 이용하여 해저케이블의 규격 별 방사형 구조일 때와 혼합형(방사형+스타형)구조일 때로 구분하여 설치비용이 최소일 때, 설치비용과 손실비용이 최소일 때의 경제성 평가를 진행하여 내부망 사례를 정리하였다. BIP 모델링의 제약조건에서 Sweep Line Algorithm 해석방식 중 Bentley–Ottmann algorithm을 이용하여 중복되는 구간을 최소화 한 뒤 내부망 연결 시 이중으로 교차되는 구간이 없도록 방지하여 내부망의 최적화를 진행하였다. 이후 내부망의 경제성 및 신뢰성을 동시에 고려하기 위해서 신뢰도 비용을 최소로 하였을 때 경우를 비교함으로써 설비고장을 고려한 최적의 해상풍력단지 내부망 선정에 대하여 연구고찰 하였다. 따라서 향후 대규모 해상풍력단지 구성에 초기투자비용과 손실비용 그리고 신뢰도 평가 비용을 최소화 하여 최적의 내부망 선정 방법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 해상풍력발전단지의 확률론적 전력망 계획을 위한 최적화 방안

        문원식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703

        해양의 바람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해상풍력발전은 온실가스로 인한 지구온난화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중요한 신재생에너지원이다. 해상풍력발전은 입지확보가 비교적 쉽고, 대형 풍력터빈의 설치가 가능하여 대단위 풍력발전단지를 조성하기에 유리한 장점을 지닌다. 그러나 해상 구조물로 이뤄진 해상풍력발전단지는 건설과 유지보수 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육상풍력발전에 비해 경제성에서 불리한 것이 사실이다. 해상풍력발전의 보급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경제성 확보가 가장 시급하며, 해상풍력발전단지의 전체 투자비용 중 30~40 %의 비중을 차지하는 전력망은 경제성뿐만 아니라 적절한 수준의 신뢰성도 함께 확보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해상풍력발전단지의 전력망 설계에 있어서 경제적이고 신뢰성을 갖춘 설계 기술을 제시하고자 발전단지의 특성을 반영하고 발전단지 운영기간을 고려한 확률론적 전력망 계획의 최적화 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풍속과 전력설비 고장 발생의 불확실성을 반영한 확률론 기반의 전력망 구성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풍력터빈의 위치와 육상연계지점에 따라 다양한 전력망을 구성하고, 이에 대한 경제성 및 신뢰성 평가를 통한 최적의 전력망 구성을 도출하기 위해 유전알고리즘을 적용한 최적화 과정을 제시하였다. 전력망 구성은 풍력발전단지의 풍력터빈이 나열되는 조합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생성될 수 있도록 Open-multiple traveling salesman problem (omTSP) 알고리즘을 적용하였고, 풍력터빈 용량과 전력망 구조에 따른 해저케이블 선종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전력망 구성에 대한 가중치로 활용하였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내부 전력망을 중심으로 전력망 최적화를 진행하였으나 본 논문에서는 육상연계지점을 고려하고 해상변전소 위치 변화에 따른 내‧외부 전력망 전체에 대한 최적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풍속과 풍력터빈의 용량에 따른 출력특성을 이용한 평균전력모델을 공급지장비용에 반영하였으며, 해저케이블 교차에 대한 제약과 해상변전소와 풍력터빈의 최소 이격 제약을 최적화 제약 조건에 반영하였다. 논문에서 제안한 해상풍력발전단지의 확률론적 전력망 계획에 관한 최적화 방안은 해상풍력발전의 특성을 반영하여 전력망 설계 기술을 향상시키고 현실적인 문제를 고려함으로써 현재 국내에서 진행되고 있는 해상풍력발전단지에 유용한 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60 MW와 100 MW의 해상풍력발전단지를 대상으로 참고문헌에서 제시한 연구 결과와의 비교를 담은 사례연구를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이 좋은 결과를 얻었고, 480 MW의 대용량 풍력발전단지에도 적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해상풍력발전단지에 대한 전력망 계획에도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Offshore wind power plant (OWPP), which converts the kinetic energy of the offshore wind into electrical energ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newable energy sources to potentially solve global warming caused by greenhouse effect. An OWPP is a large-scale power system consisting of wind turbines, grid connection systems, an offshore substation, and a transmission system to transfer electrical power to the onshore power grid. The power grid planning for OWPP refers to an optimal design of a system that not only connects the wind turbines with each other using submarine cables, but also interconnects the OWPP with an offshore substation and an onshore point of interconnection. The development of an offshore power grid consisting of various elements entails a considerably higher cost compared with that of an onshore power grid.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lan the power grid of OWPP in a manner that can minimize the total system costs. This paper presents an optimal method for probabilistic power grid planning of the offshore wind power plant to develop a layout design with consideration of wind farm characteristics and operation period. A probabilistic method is presented to develop the grid layout of offshore wind power and reflect an uncertainty of wind speed and the faulty characteristics of electricity equipment in offshore. Positions of wind turbines, offshore substation, and point of common coupling are considered when designing various types of layouts. A genetic algorithm for optimization of the probabilistic grid planning is applied to generate a diverse layout combination by the open multiple traveling salesman problem (omTSP) algorithm. In power grid design, the omTSP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combinatorial optimization and choosing the size of submarine cable. Consequently, a novel optimal method of grid design for offshore wind power plant is proposed based on probabilistic planning to evaluate economic and reliability analysis. On the basis of this method, case studies are conducted to compare the proposed method with other existing methods by simulating 60 MW, 100 MW, and 480 MW offshore wind power plants.

      • 해상풍력 구조물 및 해저케이블 설치시공 조사연구

        한성배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paper looks over the construction of Offshore wind turbine substructures as well as submarine cabling work etc. Wind power is the most popular energy with the greatest potential among various renewable energy sources, such as photovoltaic, wind, tidal power and marine bio-energy. In particular, Offshore wind power is the type of energy which can be actively used and developed in Korea, a nation surrounded by the sea on three sides. The Korean government took note of such possibilities and has operated test facilities, securing technology and experience. All these efforts were geared towards finding out national new growth engines. Offshore wind power development in Korea is now at the test operation stage which was firstly implemented at the Jeju Island. However, European nations have actively tapped the energy so far, building and operating Offshore facilities. As a result, detailed analyses were conducted on its various impacts on the marine environment. Recently the development of Offshore wind farm and a new design Offshore foundation have been performed competitively all over the world. On the basis of research on substructure regarding Offshore wind power, Jacket or Mono pile type are recommended for application in Korean peninsular in the point of economical investment and availability rather than suction pile and pile cap type. But the pile cap is also suggested as an optimal foundation type for the test bed. In conclusion it is required to examine the site characteristics, external loads, construction cost, environmental impacts and aesthetic aspect etc. finding an optimal solution. For submarine cable construction, the oceanographic survey will be carried out to find the cable route and protection method. There are special equipment such as plough as well as cable installation vessel required for pulling and burying of the cable installation in submarine. Also, Korea has the infinite possibilities to improve the technology of the Offshore wind power by virtue of fundamental industry well implemented with Heavy industry and Engineering & Construction Company.

      • 해상풍력발전의 경제적 파급효과 및 가치사슬 네트워크 연구

        박성우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Offshore wind power can contribute to carbon neutrality in 2050 and energy security. As a promising industry for the future, it also has great economic effects, and governments in Europe, the United States, and China are making efforts to deploy offshore wind power and promote the industry. The Korean government has also announced a plan to expand the wind power capacity from the current 1.7 GW to 19.3 GW by 2030, of which offshore wind power accounts for 74% (14.3 GW). This study aims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expanding the deployment of offshore wind power in Korea and fostering the industry. To this end, the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policies, and value chain of offshore wind power, and analyzed the economic effects and value chain network of offshore wind power through input-output analysis and social network analysis. This study divided the value chain of offshore wind power into development, manufacturing, installation, operation, and decommissioning phases and basic infrastructure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and foreign technologies and companies. The development phase was categorized into offshore wind farm development and professional services. The manufacturing phase was categorized into wind turbines, substructures, offshore substations, submarine cables, floating structures, and mooring systems. The installation phase was categorized into substructure installation, wind turbine installation, submarine cable installation, offshore substation installation, and floating substructure installation. The operation phase was categorized into offshore wind farm operation and maintenance services. Finally, the study looked into the decommissioning phase and the basic infrastructure such as ports and vessels. The economic effects of the offshore wind construction sector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construction sector. The backward linkage of the offshore wind construction sector is slightly lower than that of conventional construction sector, which is due to the high localization of conventional construction sector, while the offshore wind construction sector has a high share of imported input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localization by increasing R&D investment in the offshore wind construction sector. The offshore wind operation sector has a low output multiplier due to the low use of intermediate goods such as fuel, which is necessary for other power generation sectors such as coal and gas, and a high value added such as operating surplus due to low fuel costs. Since the value added in the input-output table is consistent with the gross domestic product (GDP) in the national income account, the expansion of high value added industrial sectors such as the offshore wind operation sector can contribute to increasing GDP. If the government's offshore wind installation targets are met, the total effects of offshore wind construction investment by 2030 would be KRW 147.261 trillion in output, KRW 65.92 trillion in value added, and 663,195 jobs. The total effects of offshore wind operation in 2030 would be KRW 2.315 trillion in output, KRW 1.658 trillion in value added, and 3,283 jobs. The analysis of the value chain network of offshore wind power shows the important role of metal fabricated products, electrical equipments, primary metal products, machinery and equipment in the manufacturing sector, and professional, scientific and technical services and financial and insurance services in the service sector. In the future, when Korea expands offshore wind power development, it is necessary to intensively promote these industries, which are highly related to offshore wind power, and bring them into closer strategic cooperation. The visualization on the network of the offshore wind construction sector shows that it has relatively close connections with 24 out of 35 industries. The sector has a relatively high level of network connection with the metal fabricated products, electrical equipments, machinery and equipment, professional, scientific and technical services, computers, electronic and optical equipments, and financial and insurance services sectors. Manufacturing companies related to the offshore wind construction sector are likely to produce the goods for other industries in addition to those required for the construction of offshore wind farms. It, therefore, requires policy support from the government as well as R&D and investment from companies in these industries to ensure that they can produce the goods required for the construction of offshore wind farms in a timely manner. The visualization on the network of the offshore wind operation sector shows that it has relatively close connections with 24 industries out of 35 industries. Professional, scientific and technical services, financial and insurance services, electrical equipments, and chemical products have a relatively high level of network connection with the sector. Korea's manufacturing industry is globally competitive, but the service industry is still not as competitive as in other developed countries. In order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the professional, scientific and technical services and financial and insurance services sectors, which are highly relevant to the offshore wind operation sector, efforts are needed to educate experts and accumulate experience in these sectors. In particular, the professional, scientific and technical services sector is highly related to R&D, so the government and private investment in technology development should be expanded. A visualization on the value chain network of the offshore wind construction and operation sectors shows that the results are almost identical to the output multiplier presented in the economic effect analysis. This is not surprising since the economic effect analysis uses input coefficients to calculate output multiplier, and the unit structure matrix used in the visualization of the value chain network also uses input coefficients and output multiplier. The usefulness of analyzing the value chain network using the unit structure matrix is that it provides a detailed understanding of which sectors are related to which sectors through clustering, which can be shown visually. 해상풍력발전은 2050년 탄소중립을 달성하고 에너지안보를 강화할 수 있는 유망한 재생에너지원으로서, 유럽, 미국, 중국 등을 중심으로 보급과 산업육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현재 약 1.7GW에 불과한 풍력발전 설비 용량을 2030년까지 19.3GW로 확대하는 계획을 발표하였는데, 이 중 해상풍력이 74%(14.3GW)를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해상풍력발전 보급 확대와 산업육성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해상풍력발전의 현황과 정책, 가치사슬을 살펴보고, 산업연관분석과 사회연결망 분석을 통해 해상풍력발전의 경제적 효과와 가치사슬 네트워크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해상풍력발전의 가치사슬을 개발, 제작, 설치, 운영, 해체 단계와 기본 인프라로 구분하여 국내외 기술 및 기업 현황을 살펴보았다. 개발 단계는 해상풍력발전 단지 개발, 전문 서비스로 구분하였다. 제작 단계는 풍력 터빈, 하부구조물, 해상변전소, 해저케이블, 부유체, 계류 시스템으로 구분하였다. 설치 단계는 하부구조물 설치, 풍력 터빈 설치, 해저케이블 설치, 해상변전소 설치, 부유체 설치로 구분하였다. 운영 단계는 해상풍력발전 단지 운영, 유지보수 서비스로 구분하였다. 마지막으로 해체 단계와 기본 인프라인 배후항만, 선박에 대해 살펴보았다. 해상풍력(시설) 부문의 경제적 효과는 기존의 건설 부문과 크게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해상풍력(시설)의 영향력계수가 건설(후)에 비해 약간 낮은데, 이는 일반건설은 국산화율이 높은 반면에, 해상풍력(시설)은 수입 투입 비중이 높기 때문이다. 해상풍력(시설) 부문에 대한 R&D 투자 확대를 통해 국산화율을 높일 필요가 있다. 해상풍력(운영) 부문은 석탄, 가스 등의 타 전력생산 부문에는 필요한 연료 등의 중간재 사용이 적어 타 부문의 생산유발을 일으키는 효과는 낮고, 연료비 등의 비용이 적게 들어 영업잉여 등의 부가가치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연관표의 부가가치는 국민소득계정의 국내총생산(GDP) 개념과 일치하므로, 해상풍력(운영) 부문과 같이 고부가가치 산업 부문의 확대는 우리나라 GDP를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정부의 해상풍력발전 설치 목표 달성 시, 해상풍력 투자로 2030년까지 유발되는 총 효과는 생산이 147조 2,612억 원, 부가가치는 65조 9,200억 원, 고용은 663,195명이었다. 해상풍력 운영으로 2030년에 유발되는 총 효과는 생산이 2조 3,154억 원, 부가가치가 1조 6,588억 원, 고용이 3,283명이었다. 해상풍력의 가치사슬 네트워크 지수를 분석한 결과, 제조업 분야에서는 금속가공제품, 전기장비, 1차 금속제품, 기계 및 장비 부문, 서비스업 분야에서는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 금융 및 보험 서비스 부문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향후 우리나라가 해상풍력발전을 확대할 때 해상풍력발전과 관련성이 많은 이들 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하고, 전략적 협력 관계를 보다 긴밀하게 가져가는 것이 필요하다. 해상풍력(시설) 부문의 사회연결망 네트워크 시각화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총 35개의 산업 중에서 24개의 산업과 비교적 유기적인 네트워크 연결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속가공제품, 전기장비, 기계 및 장비,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 컴퓨터, 전자 및 광학기기, 금융 및 보험 서비스 부문과 네트워크 연결 수준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해상풍력(시설) 부문과 관련이 많은 제조업 부문에 종사하는 기업들은 해상풍력발전 단지 설치에 필요한 제품 외에도 타 산업에 공급하는 제품을 생산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들 산업의 기업들이 해상풍력발전 설치에 필요한 제품을 적기에 생산할 수 있도록 기업의 연구개발 및 투자뿐만 아니라 정부의 정책적 지원도 필요하다. 해상풍력(운영) 부문의 사회연결망 네트워크 시각화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총 35개의 산업 중에서 24개의 산업과 비교적 유기적인 네트워크 연결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 금융 및 보험 서비스, 전기장비, 화학제품 부문과 네트워크 연결 수준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제조업은 세계적으로 경쟁력을 갖추고 있으나, 서비스업은 아직 선진국에 비해 경쟁력이 미흡하다. 해상풍력(운영) 부문과 관련성이 높은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 금융 및 보험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해당 분야의 인력양성과 경험 축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는 R&D와 관련이 높은 부문이므로 정부나 기업의 기술개발 투자를 촉진하여야 한다. 해상풍력(시설)과 해상풍력(운영) 부문의 가치사슬 네트워크를 시각화해서 살펴보면, 경제적 효과 분석에서 제시한 생산유발계수와 거의 일치하는 결과를 보여준다. 이는 경제적 효과 분석 시 투입계수를 이용하여 생산유발계수를 산정하고, 가치사슬 네트워크 시각화에 활용된 단위구조행렬 역시 투입계수와 생산유발계수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당연한 결과이다. 단위구조행렬을 활용한 가치사슬 네트워크 분석이 유용한 점은 클러스터링을 통해 각 부문들이 어떤 부문들과 관련이 있는지를 세부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시각적으로 보여준다는 것이다.

      • 제주 탐라해상 풍력단지 개발이 주택 실거래가에 미친 영향 : 헤도닉 가격모형 접근

        이재윤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각국의 재생에너지 투자가 확대되며 글로벌 해상풍력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시장의 성장에서 비롯된 기술 발전과 함께 해상풍력의 사업비용은 지속해서 하락하고 있으며 글로벌 해상풍력 신규 설치 용량은 매년 증가하고 있다. 그럼에도, 국내 해상풍력은 여전히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 주민 수용성 확보 실패로 인해 다수의 사업이 어려움을 겪고 있어 보급이 늦어지는 현실이다. 국내 첫 상업 운전 해상풍력발전인 탐라해상풍력은 지역 주민들의 반대에 부딪혀 10년간의 지연을 겪은 끝에 상업 운전을 시작했다. 탐라해상풍력은 제주도 해안에서 500m 떨어진 위치에 설치됐으며, 해당 해상풍력발전기의 물리적인 영향 반경이 2,000m 이상임을 감안하면, 이는 주민 피해가 우려되는 위치다. 탐라해상풍력의 반경 5,000m 이내 주택 거래내역을 헤도닉 모형을 기반으로 하는 회귀분석과 이중차분분석으로 실증분석 해 거래물의 가격 변화에 포착된 해상풍력 근접도와 주택매매가의 인과관계를 분석했다. 회귀분석 분석 결과, 해상풍력이 주택매매가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한 수준에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해상풍력과의 거리가 100m 좁혀지는 것에 대한 지불의사금액은 주택매매가의 4%~5% 수준으로 추정된다. 이중차분분석 분석 결과, 해상풍력 설치가 종속변수인 주택매매가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정 계수의 부호는 회귀분석과 동일하게 음의 값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통념상 해상풍력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인식되나 주택매매가를 통한 해상풍력 영향 실증분석 결과 부정적인 영향이 확인되지 않았으며 오히려 해상풍력이 주택가치에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하는 거로 나타났다. 해상풍력이 주민들에게 미친 영향에 대한 객관적인 실증분석 연구는 수용성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연구로 해상풍력을 둘러싼 갈등의 해소에 필수적이며 학계의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As global efforts intensify to meet carbon neutrality goals, investments in renewable energy, particularly in the global offshore wind market, are rapidly expanding. This market growth and technological advancements have led to a continuous decline in offshore wind project costs, with annual increases in newly installed offshore wind capacities. Despite this global trend, offshore wind development in South Korea remains in its nascent stages, hindered by failed community acceptance, causing many projects to face delays. The Tamra Offshore Wind Farm, South Korea's first commercial offshore wind project, commenced operations after a decade-long delay due to local opposition, illustrating these challenges. Located 500m off the coast of Jeju Island, and with a physical impact radius of over 2,000m, the Tamra project is situated within a distance that raises concerns about its effects on residents. Using hedonic models based on housing transaction data within a 5,000m radius of the Tamra Wind Farm,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proximity to the offshore wind farm and changes in housing prices. Regression analysis results indicate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f offshore wind on housing prices, with the willingness to pay for every 100m decrease in distance from the wind farm estimated at 4% to 5% of the housing price. However, the difference-in-differences analysis shows that the offshore wind farm installation had an insignificant effect on housing prices, with the estimated coefficients being negative, as in the regression analysis. Contrary to the common social perception that offshore wind farms have negative impacts, our empirical findings from the housing market do not confirm this; rather, they suggest that offshore wind farms may positively influence housing values. Objective empirical studies on the impact of offshore wind farms on local communities are crucial for improving acceptance and resolving conflicts surrounding these developments, necessitating continued academic atten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