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XLPE 전력 케이블의 노화 현상과 전파 신호의 주파수 특성변화간의 상관관계 연구
권국민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산업 경제의 발전에 따라 전기에너지에 대한 국민의 수준이 높아지게 되면서 전기 안전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전기 사고 발생에 따른 파급 효과는 매우 크기 때문에 경제적 손실 및 안전사고 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모든 전력 수급은 전력 케이블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전력 케이블 진단을 위하여 활선 상태에서의 무정전 진단에 관한 수용가의 요구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전력 케이블 내부에는 도체와 차폐층 사이에 전류를 흐르지 못하게 하여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XLPE 절연체가 존재하는데 이 부분에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열화가 발생하게 되면 절연체가 파괴되어 전기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열화의 종류는 일반적으로 전기적 열화, 열적 열화, 기계적 열화, 화학적 열화 등으로 크게 네 가지 분류로 나눌 수 있다.이 XLPE 절연체는 열화가 발생하게 되면 유전율의 변화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주파수의 변화로 확인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력 케이블의 유전율 변화를 주파수의 변화로 확인하기 위하여 시간-주파수 영역 반사파 계측법을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 진단 방법에서는 시간에 따라 주파수가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쳐프 신호를 기준 신호로 사용하였고 유도성 커플러를 이용하여 무정전 진단 방법으로 전력 케이블에 기준 신호를 인가 및 취득할 수 있었다.본 논문에서는 전력 케이블의 사용년도에 따른 유전율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사용년도가 0, 1, 4, 17년인 케이블 각각 5개의 샘플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취득한 전파 신호를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였으며, 주파수 영역에서 최대 크기 값을 지니는 주파수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전력 케이블의 사용년도에 따라 유전율이 변화한다는 결과를 최대 크기값을 지니는 주파수의 평균값 변화를 이용하여 확인하였고 유도성 커플러를 이용한 무정전 진단 방법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본 논문을 시발점으로 활선 상태에서의 진단에 관한 연구가 활성화 되어 추후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케이블 진단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솔더볼 조성비 및 재질 변경을 통한 wafer level package 내구성 향상 방안 연구
노기룡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전자기기의 소형화로 인하여 IC도 Size가 작고 양산성이 좋으며 단가는 낮은 WLP(Wafer Level Package)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WLP의 구조는 Drop과 급격한 온도변화에 영향을 많이 받는 구조로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PCB에 IC 실장위치를 변경하거나, WLP의 구조를 강화하여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구조 및 실장위치를 동일하게 사용하고, Solderball의 조성비 및 재질 변경을 통하여 내구성을 향상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에는 Drop 및 온도변화에 대한 내구성보다 Soldering성을 확보하고자 Sn-Ag-Cu계의Solderball이 많이 사용되었다. Solderball의 조성비를 조절하거나 재료를 첨가하면 Drop과 온도변화에 대한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조성비 및 재질을 변경한 Solderball의 내구성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기 위해 IC를 평가하는 시험 중 하나인 Board Level Drop Test와 Thermal Shock Test를 진행하였다. 결과적으로 Ni/Ge 와 Bi를 첨가한 Solderball은 온도변화에서 41% 향상되었고, Ag의 조성비를 변경한 Solderball은 기존의 Sn-Ag-Cu계의 Solderball보다 Drop에서는 48% 향상되었음을 확인 하였다. 이러한 Solderball이 적용된 WLP를 전자기기에 적용하였을 때 Drop과 극한의 온도 환경에서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핵심 되는 말 : WLP, Solderball, 조성비 및 재질, Drop, 열충격
배지현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The medical technologies have been evolving in association with other disciplines such as electronics, optics and mechanics. However, despite the amended patent deliberation criteria for the diagnosis method inventions, the patents of such medical technologies are being limited due to the defects involving their availability of industrial u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legal criteria for patent of such medical inventions in terms of legal provisions and practical deliberations in comparison with the cases of such advanced nations as the United States, Japan and European nations.In particular, this study reviewed the cases, procedures and results of the judical cases regarding the patent litigations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cal diagnosis and examined the background of the deliberation criteria and their contents and explored the solutions to the problems.All in all in, it is deemed necessary to set the criteria for judgement of the patent rights about the diagnostic inventions, and thereby, reform the deliberation criteria for the diagnostic inventions in terms of amendment of the criteria, rearrangement of the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and establishment of new provisions solving the contradictions with other laws. 의료분야의 기술은 생명공학기술 발달과 더불어 전자, 광학, 기계 등의 다른 분야의 기술과 접목되어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진단방법발명에 관한 최근 특허 심사기준의 개정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의료분야 기술에 관해서 산업상이용가능성 흠결을 이유로 여전히 제한적으로 특허를 허여해주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의료방법발명에 대한 우리나라의 특허성 판단 기준을 법조문 및 심사실무와 함께 살펴보고, 이와 관련하여 미국, 일본, 유럽의 관련 특허제도 및 심·판결례를 살펴본다. 특히 최근 이슈화되고 있는 진단방법 발명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이와 관련한 우리나라를 비롯한 각국 특허법상의 취급 및 심사실무와 심·판결례를 함께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최근 개정된 진단방법 관련 심사기준의 배경과 주요내용을 분석하고 개선점은 무엇인지 살펴본다.우리나라 및 주요국의 진단방법발명에 관한 특허성 판단 기준 및 심?판결례를 기초로, 진단방법발명에 관한 적절한 보호방안으로 심사기준의 추가 개정, 법조문의 재정비, 타법과의 저촉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규정 신설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잡음에 강인한 서버기반 자동 음성인식 시스템을 위한 개선된 decision-directed estimation 기반의 음성 향상 기법
남윤애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장비의 발달로 음성인식 기술의 중요성은 증가되고 있다. 잡음 환경에서 스마트폰의 음성인식 기술 사용율은 점점 증가되고 있지만 이런 상황에서 인식 성능은 확연하게 감소된다. 스마트폰에서 음성인식 기능의 실사용성을 늘리기 위해서는 잡음환경에서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잡음환경에서 음성인식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에는 잡음이 섞인 음성이 음성인식 시스템에 입력되기 전에 입력된 음성에서 잡음을 제거하여 음성을 향상시키는 음성 향상 기법, 음성의 품질을 직접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이 아니라 음성인식을 위하여 추출된 특징들을 개선시키는 방법인 특징 보상 기법, 인식 모델을 마치 현재의 잡음이 섞인 음성으로부터 학습된 것처럼 변환하는 방법인 모델 적응 기법이 있다. 안드로이드 운영시스템을 사용하는 대부분의 스마트폰은 장비를 조절하고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한 음성인식 시스템으로 구글에서 제공하는 서버기반 자동 음성인식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서버기반 자동 음성인식 시스템의 구조는 외부에 공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잡음에 강인한 음성인식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적용 가능한 기술은 입력 신호가 시스템에 전달되기 전에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인 음성 향상 기법 뿐이다. 또한 이런 서버기반 자동 음성인식 시스템의 특성에 적합한 음성 향상 기법을 제안하기 위해서는 시스템의 특성을 분석하는 실험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시스템의 성능을 분석하기 위한 몇가지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런 실험을 통해 잡음 환경에서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잡음이 섞인 입력 신호에서 과도하게 잡음을 제거하는 것보다 일정한 신호 대 잡음 비를 유지하도록 입력 신호를 처리하는 것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본 논문에서는 음성 향상 기법 중 하나인 Decision-Directed 예측 방법을 이용하여 a priori SNR을 예측하고 예측된 값을 이용하여 Wiener 이득 함수를 구하고 구해진 이득 함수를 매 프레임마다 곱해줌으로써 음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구현하였고 이 방법에 적응 파라미터, α의 최대값을 입력되는 잡음 신호의 잡음 레벨에 따라 제한하는 방법을 추가 적용하여 음성 인식 성능을 향상시켰다
도시 가로경관 개선을 위한 공적공간 계획방법에 관한 연구 : 미관도로변 후퇴공간과 확보된 공개공지 중심으로
임경일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ecently, it appears several counterproposals about desirable figures of urban architecture. All of them proposes 'publicity' with coherent tendency. The reason why it concentrates quantitative expansion of city without united design by urban plannar is that neglect quality values of city.As a solution of poor environment, there came out the various efforts, about problem of each building, problem of city space, problem of laws and so forth.The reason why necessity of public space was embossed is that architecture extend the activity of citizen and make up the city space.But, each building pursues the private interest, so it is difficult to secure a public space with a high hand. Thus, architecture law has been revised in 1991 and bring the system of open space to match up the publicity and the private interest. Actually, western country brought it and obtained excellent results.While quantity of open space have increased since 1991, a lot of problems revealed in real usage and quality. By means of problem's solution, this study focus on the diversion of recognition for necessity of various open space.For complement problems, cases of advanced country and laws related our issue that analyzed to suitable actual state of Korea or not will accomplish better public open space than now.As a result, this study that open space and Public open space of building by principal road redesign have an effect on city competitive power, local residents and visitors make feel local identity that comfortable pedestrian space. And furthermore, this study have a meaning that basic material used to public open space plan. 21세기 현대사회는 다양하고 복합적인 가치기준에 부합되는 바람직한 도시건축의 모습을 위해 여러 대안으로 ‘공공성’이라는 일관된 단어들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 세계적으로도 많은 도시들이 산업구조 개편, 정보화 사회로의 진전, 친환경 지속가능한 발전 등 대부분 커다란 도시 패러다임을 겪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실질적으로 도시간 경쟁력을 평가하는 데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과거 통합된 도시 디자인 없이, 도시의 양적인 팽창만을 추구하였던 서울의 도시변천은 질적인 가치에는 소홀하였다. 현재 열악해진 도시에 관한 해결책을 위해 개별건축물의 문제, 도시공간 자체의 문제, 기반시설의 문제, 제도의 문제 등 다양한 차원에서의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현상은 도시민들의 원활한 활동과 부족한 도시공간을 보완함에 있어 공공공간의 부족함이 부각되었기 때문이다.그러나 개별건축물의 경우에는 개인사유의 공간으로 공공의 개입을 통한 강압적인 공공성 확보가 쉽지 않은 현실이다. 그리하여 1991년 건축법을 개정하면서 도시건축의 공공성과 사기업의 영리추구 욕구를 조율할 효율적인 제도적 장치인 공개공지제도를 도입하였다. 이 제도는 ‘보상’과 ‘완화’라는 제도적 장치를 통해 해결하려는 수단으로, 일찍이 서구 여러 나라에서 도입하여 많은 성과를 거둔 제도이다. 그 결과 부족했던 서울도심의 공공공간이 양적인 확보를 이루었으나 질적인 확보에서는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세계는 치열한 경쟁의 시대이다. 과거 국가 경쟁력이라는 것은 외교력, 경제력, 군사력 등의 힘의 논리가 우선시 되었으나 현재 정보사회, 디지털사회, 지식산업사회에서의 경쟁력은 ‘디자인’이라는 키워드가 강조되고 있고, 도시차원의 경쟁력이 강조되고 있다.본 논문의 결과를 간략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건축선 지정에 관한 사항 - 건축선의 지정 목적이 확립되기 전에 미관지구의 미관에 대한 개념이 확립되고, 미관지구 종별에 따른 개념과 미관에 관한 목표가 구체적으로 짜여 지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건축선의 목적이 확립된 후에 건축선은 그 지역의 여건에 따라 다양하게 지정될 수 있어야 한다. 융통성 있는 운용을 하기에는 건축한계선과 건축지정선 만으로는 역부족이므로 미관지구에서도 벽면선을 도입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져야 할 것이다.둘째, 미관지구 운용 및 제도 개선에 관한 사항 - 규제효과가 미미한 미관지구를 많이 지정하기 보다는 수는 적더라도 질적으로 강화된 기준을 적용하여 규제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규제부분에서는 민간부분 제어요소를 적극적으로 활용함과 동시에, 공공부문 제어요소를 추가적으로 확대 활용함으로서 보다 다양하고 개성 있는 가로미관의 창출이 가능하도록 한다.또한, 서울시 도시 계획 조례에 의해 획일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미관지구 규제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지역별 특성에 따라 제어요소를 차별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중점관리권역’(가칭)을 설정하도록 한다.셋째, 건축선 후퇴부의 운영 방안 - 확장보도로 쓰이는 후퇴부가 지정되는 구역은 전체적으로 관리되어야 하므로 인접 후퇴부 사이에 있어서 보행의 연속성을 막는 어떠한 장애물도 제거되어야 하며, 바닥처리에 있어서도 연속성이 필요하다. 그리고 확장보도로 건축선 후퇴부를 내놓아야만 하는 당해 건축물에 인센티브를 부여할 뿐만 아니라, 관리에 있어서 차의 진입을 막는 볼라드의 설치나, 기타 벤치 등의 휴게시설 등의 설치는 공공이 해줘야 할 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