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회통합을 위한 이주배경청소년 정책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지지가 사회적응력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박미정 성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807

        Over the past two decades, the racial and ethnic diversity of the Korean population has increased due to the rise in the inflow of foreigners, including marriage immigrants and migrant workers, and the growth in the number of Koreans returning from abroad. That is, South Korea has become a representative East Asian nation that has more immigrants than emigrants thanks to the quantitative increase and qualitative diversity of immigration. Despite such demographic changes, Korean society is experiencing a sort of cultural retardation because it has failed to achieve social integration in terms of national consciousness and legal systems. In order for South Korea to become competitive in the multiracial and multi-cultural era, it should be more active in accepting multi-cultural society and principle that enables the native people and immigrants to live together in harmony. Especially, the healthy growth, development, and stable settlement of children and youths who have experienced various ethnic backgrounds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is a very important task for Korean society, which is facing the problem of low birth rate and super-aging population. In reality, however, due to their immigrant backgrounds, youths from immigrant families are objectified in the framework of "multi-culture" and subjected to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in Korean society. This study, therefore, aimed at proving and analyzing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the medit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an individual's interna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suggest policy tasks,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integration, which enhance the social adaptation of youths with immigrant backgrounds. To this end, the study analyzed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preceding studies to begin with, designing an analysis model for an empirical study and generating variables in relevance with the research hypothese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here youths with immigrant backgrounds concentrated, after requesting the cooperation of alternative schools and relevant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youths with immigrant backgrounds.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the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generate theoretical suggestions and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the study results, policy tasks have been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increase the social adaptation and ego-resilience of youths with immigrant backgrounds, education for the integration between youths with immigrant backgrounds and youths from ordinary households should be pushed ahead.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youths with immigrant backgrounds at ordinary school demonstrated higher emotional adaptation than those at alternative school,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al adaptation and ego-resilience. Furthermore, in order for youths, who will live together in society, to understand one another and naturally develop world citizenship, integration education should be aggressively pursued, enabling learning Korean as a Second Language (KSL) and regular curriculum to be done at the same time within the public education which is officially certified. Second, in order to improve the emotional adaptation of youths with immigrant backgrounds, institutional supports should be provided for their acquirement of Korean nationality. The results showed that youths with immigrant backgrounds whose nationality was Korea had higher emotional adaptation and that youths with immigrant backgrounds demonstrated higher interpersonal adaptation and emotional adaptation when they perceived themselves as Korean. Therefore, on and offline contents not only on Korean language but also on Korean social culture and basic law should be developed for them, increasing their access to education and aggressively helping them to acquire basic knowledge needed to live as Korean citizens. Third, in order to improve the emotional adaptation and interpersonal adaptation of youths with immigrant backgrounds, a systematic psychology and counseling program and a program for the establishment of self-identification should be provided. The results showed that while youths with immigrant backgrounds who perceived themselves as Korean had higher degree of emotional adaptation and interpersonal adaptation, most of youths with immigrant backgrounds perceived themselves as foreigners (36.8 percent) or as both Koreans and foreigners (32.4 percent). For youths with immigrant backgrounds suffering from identity confusion and maladjustment, specialized bilingual counselors should be trained and then assigned at local youth training centers or youth counseling centers, offering specialized counseling services. Fourth, in order to enhance family support, programs meant to increase the capability of households and educate parents should be developed. The results i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role of family, home environment and financial capability are very important factors for the social adaptation of youths with immigrant backgrounds. Therefore, in order to enhance the capability of homes, more education for parents and training for their employment need to be provided in cooperation with offices of education, local youth training centers and lifelong learning centers. Finally, in order to strengthen the support of communities, a variety of contents, curriculums, teaching manuals for the persons concerned, teachers and instructors at immigrant support centers and welfare centers should be developed. The results showed that support from commun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rpersonal adaptation of youths with immigrant backgrounds. Communities should help native Koreans and immigrants to understand each other's culture and environment and to create together the value of co-existence. Therefore, in o 지난 20여 년간 우리나라는 결혼이민자, 이주노동자, 재외동포의 역이주 등 외국인의 유입이 증가하면서 인구의 인종적, 민족적 다양성이 증대되었다. 즉, 이민의 양적 증가와 질적 다양화로 동아시아의 대표적인 이민 유입국으로서의 위상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인구학적 변화에도 불구하고 우리 사회는 국민의식과 법제도 차원에서 사회통합적인 대응을 하지 못함으로써 일종의 문화지체 현상을 경험하고 있다. 다인종·다문화시대에 있어서 우리나라가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원주민인 국민과 이주민이 함께 공존하며 살아갈 수 있는 원칙과 다문화사회에 대한 수용성 제고가 필요하다. 특히 다문화사회에 있어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경험한 아동·청소년들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 그리고 안정적인 정착은 저출산, 초고령화 문제에 직면해 있는 우리 사회에 매우 중요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 하지만 이주배경청소년의 경우 부모나 자신의 이주배경으로 인해 우리 사회에서 ‘다문화’라는 틀 안에 대상화되어 편견과 차별적 수혜를 받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통합적 관점에서 이주배경청소년의 사회적응력을 고양시킬 수 있는 정책 과제를 제언하기 위하여 사회적 지지의 영향과 개인의 내적 특성인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실증·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를 분석함으로써 실증적 연구를 위한 분석모형을 설계하고, 연구가설과 관련 변수를 도출하였다. 설문지의 배포 및 수집은 이주배경청소년이 집중되어 있는 서울·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이주배경청소년을 위한 대안학교와 관련 교육기관 등에 협조를 구하여 실시하였다. 그리고 빈도분석, 요인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의 방법으로 이론적 시사점과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의 주요 내용을 바탕으로 정책 과제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주배경청소년의 사회적응력과 자아탄력성을 높이기 위하여 이주배경청소년과 일반가정청소년 간의 통합(integration) 교육을 추진해야 한다. 연구결과, 대안학교 재학생보다 일반정규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이주배경청소년의 정서적응력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학교생활 만족도가 사회적응력과 자아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사회에서 더불어 살아갈 청소년들이 ‘학교’라는 공간 안에서 서로를 이해하고, 자연스럽게 세계시민 의식을 키워나갈 수 있도록 학력이 인정되는 공교육 안에서 한국어교육(KSL)과 학과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통합교육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둘째, 이주배경청소년의 정서적응력을 높이기 위해 국적 취득을 위한 제도적 지원을 마련해야 한다. 연구결과, 국적이 ‘한국’인 이주배경청소년의 경우 정서적응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자기 자신을 ‘한국인’으로 인식할 때 대인적응력과 정서적응력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한국어교육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의 국민으로 살아갈 이주배경청소년을 위해 한국의 사회문화와 기초 법질서에 대한 온·오프라인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여 이들의 교육 접근성을 높여주고,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기본적인 소양을 갖출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셋째, 이주배경청소년의 정서적응력과 대인적응력을 높이기 위하여 체계적인 심리·상담프로그램과 자아정체성 정립을 위한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연구결과, 자신을 ‘한국인’으로 인식하는 경우 정서적응 정도와 대인적응 정도가 높게 나타난 반면, 이주배경청소년 대부분은 자기 자신을 ‘외국인(36.8%)’이나 ‘한국인과 외국인 모두(32.4%)’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정체성의 혼란과 부적응의 문제를 겪고 있는 이주배경청소년을 위해 지역 내 청소년수련관이나 청소년 상담센터 등에서는 이중언어 구사가 가능한 전문상담사를 양성하고, 배치하여 전문적인 상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가족의 지지를 강화하기 위하여 가정의 역량 강화와 부모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연구결과, 가족의 역할과 가정의 환경 그리고 경제적인 부분이 이주배경청소년의 사회적응에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가정의 역량 강화를 위해 교육지원청이나 지역 내 청소년수련관 등 평생교육센터와 협력하여 부모 교육과 취업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지역사회의 지지를 강화하기 위해 이주민지원센터나 복지센터 관계자 및 교·강사를 위한 다양한 콘텐츠와 교육과정, 그리고 지도 매뉴얼을 개발해야 한다. 연구결과, 지역사회의 지지가 이주배경청소년의 대인적응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지역사회’는 원주민인 국민과 이주민이 서로의 문화와 환경을 이해하고, 공존의 가치를 함께 창출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그러므로 전문가들이 현장에서 맞춤형으로 교육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이주배경청소년을 위한 표준화된 지도 매뉴얼과 상담 가이드라인 등을 마련해야 한다. 본 연구는 사회통합적 관점에서 사회적 지지가 이주배경청소년의 사회적응력에

      • 우리나라 청소년의 사회복지의식과 사회복지교육에 관한 실증적 연구 : 대전·충남지역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박주혜 목원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진정한 복지국가의 실현을 위한 실천적 수단인 각종 사회복지제도 및 정책에 대한 각계의 논쟁은 시대와 체제, 이데올로기에 상관없이 중요한 시대적 가치와 이슈로 거론되고 있다. 이와 함께 각종 사회복지제도에 대한 대상집단의 의식 및 태도는 그 제도와 정책의 효용성과 함께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었다. 따라서 많은 학자들은 이러한 사회복지제도에 대한 대상집단의 태도와 의식에 대해 지속적이고 활발한 연구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한 국가의 사회복지정책의 핵심은 그 나라의 국민들에게 국가의 미래와 비전을 제시함으로써 그 정부의 존립의 이유를 설명해 낼 수 있어야 한다. 이렇듯 미래 예측적인 관점에서 사회복지정책이 다루어져야 하며, 이러한 의미에서 청소년이 가지고 있는 사회복지의식의 고찰은 사회복지제도 및 정책의 성패를 가늠하는 중요한 척도로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청소년의 사회복지에 대한 의식을 고찰하고, 이를 통하여 우리나라 사회복지정책 방향에 중요한 근거와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전·충남지역 고등학교 2학년에 재학중인 남·여 학생 280명을 대상으로 직접기입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231명에 대해 SPSS 10.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교차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이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사회복지분야인 자원봉사활동에 대해서는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좀더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었으며, 사회복지 운영주체에 대해서는 정부와 민간단체가 함께 해야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생활정도가 상보다는 중으로, 중보다는 하수준으로 갈수록 우리나라의 사회복지 수준이 열악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세금이 사회복지제도를 운영하는데 사용되는 것은 매우 바람직하며, 국민의 전반적인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 유용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세금징수나 국가 예산의 집행에 대한 문제가 청소년들의 현실과 거리감이 있어서인지 응답에 대한 신뢰성은 매우 낮다. 셋째, 재가사회복지의 혜택 및 시설 보호, 이용시설 등의 혜택을 전달하기 위한 사회복지전달체계의 구조와 홍보활동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불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리 나라 사회복지사업 대부분의 영역에 걸쳐 정부의 무관심과 무성의에 대해 지적하였다. 넷째, 개인의 빈곤에 대해서는 빈곤한 자 개개인의 잘못이라기보다는 개인과 사회, 정부 모두의 책임으로 인식하며 함께 극복해야 할 사회적 문제라고 응답하였다. 또한 의약분업 실시 이후, 불이익 사례를 경험한 학생인 경우 아직도 의약분업제도의 실시에 대해서 부정적인 사고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가부장제도의 영향으로 가정 내 문제로만 인식되어왔던 아동학대와 여성 학대에 대한 청소년들의 일반적인 생각은 매우 잘못된 태도와 행태로 인식하고 있으나, 자신이 나서서 해결하려는 의지는 매우 약했으며, 경찰서나 아동보호센타 등에 신고하는 등의 소극적인 대처방안을 고려하는 학생이 전체 응답자의 65.8%를 차지했다. 자식들과의 동거를 중심으로 알아본 노인 복지에 대한 의식조사에서는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효사상으로 부모님은 자신이 모셔야 할 것으로 인식하나, 자신의 경우에는 배우자끼리만 노후를 보내는 것을 가장 이상적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현재 정부의 청소년 보호제도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만족하고 있으며, 청소년 탈선의 주요 원인은 사회, 정부, 학교, 가정, 개인 모두의 책임이라고 인식하는 청소년이 가장 많았다. 그리고 각종 매체와 정보통신을 통해 장애인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많은 것은 사실이나, 아직도 자신의 동네에 장애인재활시설이 생기는 것을 찬성하는 학생은 27.2%에 불과하였다. 그러나 그 자체를 별로 개의치 않는다라고 응답한 청소년이 62.3%에 달해, 장애인과 비장애인 자체를 구분하여 사고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어 장애인에 대한 바람직한 관점 및 태도의 형성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청소년들의 의무자원봉사활동에 대해서는 60.6%의 청소년들이 현재 의무적으로 시행하는 자원봉사활동에는 반대한다고 응답하였다. 가장 큰 원인으로는 강제적으로 시행하고 있기 때문이었다. 전반적인 사회복지사업에 대한 의식조사 결과, 우리나라 청소년 대부분은 아직은 사회복지에 대한 확고한 신념이나 의식을 가지고 사회복지문제나 사회복지 현장활동에 참여하고 있다기보다는 점차적으로 변해가는 전체적인 사회풍토의 영향으로 사회복지에 대한 긍정적인 사고와 의식을 심어가고 있는 과도기적 단계에 처해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의 조사 결과를 자료로 하여 향후 진행되는 청소년 사회복지의식과 사회복지교육의 관계에 관한 연구에서는 사회복지교육의 대안적 방안들을 제시하며, 청소년들의 입장에서 고려해 볼 수 있는 사회복지 사업 및 교육적 대안으로 제시될 수 있는 실천적 교육 사업들을 연관시켜 현재 수준의 청소년 복지를 향상시키고, 접목시킬 수 있는 실증적 의식조사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다양한 지역, 연령, 학교, 사고를 가진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사회복지의식 및 사회복지교육에 관한 실증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importance of a country's social welfare system is to present the nation's vision and future to explain the reason for the resistance of the government. To these means, the importance of the teenagers' conscience on social welfare is the most important measuring factor to see if social welfare system of this country is going to succeed or not. Caused by this the following research investigated the teenagers' senses about social welfare, and through it we tried to present an important suggestion on how the nation should lead it's way in social welfare policy. For the research we passed out survey papers to 300 male/female 11th grade students of Daejeon·Chungnam region, and used SPSS 10.0 statistic program to measure frequency, cross-analysis with the final 231 people. The results are as below. First, girls were more progressive than boys in taking part of the service volunteering activities, and they thought that both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organization should be running the social welfare together. Second, it is right for the taxes to be used in managing social welfare system, and it is quite useful to upgrade the people's quality of life in general. But it was trustless(the results) in problems of collecting taxes or running the nation's budget, because the students' situations were far from these matters. Third, generally they were unsatisfied with the structure of our social welfare system or promotion activities. The biggest reasons for the problems o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was the government's lack of interest and insincerity. Fourth, the teenagers' general thoughts on the problems of child abuse and women abuse which is caused by the Korean traditional sense of mood as; 'Father is the head of the family'; were very progressive, but their will to solve the problem was very weak. Instead 65.8% out of the whole survey considered the passive way of solving the problem such as reporting to a police station or a child probation center. For an ideal way of spending the latter years was to spend time with your spouse, and many were satisfied with the current teenager-protective system. Also they did not separate the handicapped and the unhandicapped as a different notion, and mostly the students were against the current system of obligation-volunteer service activity because it running without one's will. With the results above we will have to prepare ways for the solutions of social welfare industry/system which the students will be the subject of the matter, by the studies and educations that will be held in the future.

      • 다문화청소년의 SNS 이용이 사회자본 형성과 한국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성민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한국 사회적응에 대한 실제적 정책과 방안이 미흡하다고 보고, 이에 대한 보완적 입장에서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는 다문화 청소년들과 한국사회 공존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다문화 청소년들로 하여금 한국사회에 대해 원활한 적응을 할 수 있도록 돕는 방안을 찾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SNS를 한국 사회적응을 위한 도구로 보고 이를 통해 형성되는 사회자본이 한국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탐구해 보았다. 이를 위해 SNS와 사회자본의 이론적 배경을 통해 상관관계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다문화 청소년의 한국 사회적응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리고 설문지법을 이용한 연구를 통해 다문화 청소년들의 SNS 이용행태와 한국인과 한국사회에 대한 주관적 느낌을 조사하였고, 이를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관계를 분석하였다. 먼저 다문화 청소년의 SNS 이용 동기를 ‘연계형 SNS’와 ‘정보 이용’ 동기로 분류하여 각각에 따라 사회자본 중 ‘신뢰’와 ‘네트워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또한 이 분석을 통해 얻어진 두 사회자본 요소를 가지고 한국 사회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먼저 SNS와 사회자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다문화 청소년의 연계형 SNS 이용은 ‘신뢰’ 즉, ‘한국인 신뢰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네트워크’ 즉, ‘사회단체 참여의지’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정보 이용 동기에 따른 SNS 이용은 사회자본 중 어느 것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이에 다문화 청소년의 SNS 이용행태에 따른 사회자본 형성은, 연계형 SNS를 많이 사용할수록 한국인에 대한 신뢰도도 증가하는 것만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리고 생성된 사회자본을 근거로 한국 사회적응의 척도인 ‘한국 사회만족도’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한국인 신뢰도’만 ‘한국 사회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다문화 청소년의 연계형 SNS 이용이 한국인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고, 그에 따라 한국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규명되었다.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 SNS 이용이 한국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침을 증명한데 의미를 갖는다.

      • 시설청소년의 성장과 자아정체감에 대한연구

        김여환 단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807

        靑少年期는 個人의 사회화(socialization)와 適應, 人生의 成敗가 달려있는 중요한 發達의 過渡期이다. 이 시기의 청소년들은 性的으로 成熟하고 가족으로부터 독립한 한 개인으로서의 존재를 구축하며, 인생을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를 결정하는 중대한 선택에 직면한다. 이러한 중요한 시기에 시설청소년은 일반 가정의 청소년과는 달리 시설병에 시달리고 있으며 18세가 되면 退所하게 된다는 위기를 안고 살아가고 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그들은 청소년으로서의 과제인 자아정체감 형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데, 이는 곧 자립과도 관련되어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시설청소년의 진정한 자립을 위해서는 시설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수준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이를 근거로 하여 自我正體感 向上을 위한 프로그램들을 開發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는 프로그램 開發에 대한 선행과제로서 시설청소년과 일반 가정청소년을 대상으로 전체적인 자아정체감과 자아정체감의 하위수준인 自己存在 認識, 자기주장 훈련, 자기 받아들임, 安定感, 독특함, 目標指向, 對人關係, 對人役割 期待 등의 8가지 척도별로 나타난 자아정체감 수준을 비교하여 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경기(부천), 천안(都農統合)시 내에 소재한 育兒施設에 生活하면서 中·高等學校에 在學 중인 施設靑少年과, 천안시내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一般 家庭靑少年으로 삼았다. 男女는 비슷한 比率로 포함시키되, 年齡的으로 3년의 시간차를 두어, 중학교 2학년과 고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또한 高等學校는 人文界와 實業界(공고, 상고)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硏究 결과에 나온 施設靑少年의 自我正體感 特性은 다음과 같다. 시설청소년과 일반 가정청소년간의 자아정체감 수준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個人的 特性에 있어서는 차이를 많이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자아정체감 수준에 있어서는 그리 큰 차이를 볼 수 없었다. 모든 대상을 全體的으로 보았을 때, 시설청소년의 경우 일반 가정청소년보다 [대인역할기대]와 [대인관계]가 낮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는 것은 쉽게 他人에게 의지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性別에 따라 보았을 때, 남자의 경우 일반 가정청소년에 비해 시설청소년이 他人에 대한 태도와 자신감에 대해 消極的인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반면 여자의 경우 그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年齡 및 系列에 있어서 중학생 2학년의 경우 시설청소년이 일반 가정청소년보다 對人에 대한 信賴度가 낮음을 볼 수 있고 이는 실업계 고등학생의 경우도 마찬가지였으나 인문계 고등학생에게서는 찾아 볼 수 없었다. 地域에 따른 시설청소년과 일반 가정청소년의 차이를 보면 지역에 따른 시설청소년과 일반 가정청소년의 차이는 없지만, 都市/農村 모두 시설청소년이 일반 가정청소년보다 對人에 대한 信賴度가 낮음을 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分析 내용을 통하여 보면 施設靑少年들의 個人的 特性에서는 많은 차이를 보였지만 자아정체감 수준은 일반 가정청소년에 비해 그리 큰 차이가 없었음은 肯定的으로 받아드릴 수 있다. 그러나 모든 대상을 全體的으로 보았을 때 [대인역할기대]와 [대인관계]에서 낮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여기에 대한 적절한 社會福祉 프로그램으로 [대인관계]에 대한 信賴感과 믿음을 심어주어야 한다. 이에 대한 방안으로 施設 運營에 있어서 청소년들이 마음을 터놓고 신뢰감을 가질 수 있는 상담교사나 전문사회복지사가 충원되어야 함을 제시하는 바이다. 시설의 재정상 상담교사의 고용이 어려울 경우에는 시설종사자나 보육사들에게 相談指導에 관한 지식과 기술에 대한 집중적인 교육이 제공되어, 그들의 自立과 進路에 큰 역할을 하여 社會에 건전하고 健康한 構成員이 되도록 세심한 배려와 함께 人間的인 友愛로 아낌없는 성원을 보내야 할 것이다. Adolecency is an important transition period during which an individual learns to socialize, adjust to a social community, and become successful in life. During this period, adolecents in institutions suffer from institution-related diseases and show a great concern over leaving institution at the age of 18. Under such circumstances, they have much difficulty forming self-identity. Therefore, to help them to become independent, it is necessary to have a clear understanding of their self-identity and develop a program to promote the awareness of self-identity. To this end, as a preliminary task to design the program, the present thesis conducted a study in which two groups of adolecents (adolecents in institution and adolecents in a normal family) were selected as subjects. In the study, overall sense of self-identity from both groups of subjects were measured, and, as a lower level concept of self-identity, the following were also evaluated: sense of self, self-assertiveness, self-acceptance, stability, uniqueness, goal-directedness, interpersonal relation, and interpersonal role expectation. Then these two different types of self-identity were compared to each other.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shown that despit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of subjects in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re was no much differences in the sense of self-identity. However, since adolecents in institution were found to get low scores in interpersonal role expect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 an appropriate social welfare program is needed to help them build beliefs in others.

      • 韓國 非行靑少年 矯正敎化政策에 관한 硏究

        안현석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현재 실시되고 있는 한국 비행청소년정책에 대한 개선방안을 마련코자 하는 목적으로 쓰여졌다. 청소년 비행의 문제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최근 신문이나 잡지 등에 보도된 것을 보면, 과거에는 보지 못한 컴퓨터 사이트에 의한 원조교제 등 신종범죄가 나타나는가 하면 비행청소년이 종래에는 주로 폭력성 범죄가 주종을 이루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강도, 강간, 존속살인 등 강력범죄까지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비행청소년 재비행이 1995년의 23%에서 1999년에는 35%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면, 우리의 교정정책이 과거보다 더 적극적인 교화개선에 중점을 두는 교정정책으로 전환하여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이와같은 강력범죄의 증가와 재비행율이 해마다 상승하는 현상을 완화 내지는 감소시킬 수 있는 개선방안을 연구하기 위하여 청소년비행에 대한 국내외 학자들의 학술적인 업적을 토대로 이론이 어떻게 수용, 전개되고 있는가를 살펴보았으며, 우리나라 소년원과 소년교도소의 조직, 수용, 처우 및 지역사회 교정으로 가석방, 보호관찰 등에 대한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비행청소년 교정교화 정책의 비교론적 그리고 정책론적 입장에서 미국, 영국, 독일, 일본 등 각 국의 실태와 문제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교정교화 정책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위하여 소년원과 소년교도소의 일선교정 현장에서 비행청소년을 직접 담당하고 지도하고 있는 교정직원 및 소년보호직, 분류직, 직업훈련교사, 기능직 등 1,550명 중 552명에 대하여 설문조사 하였다. 조사내용으로는 수용 및 시설내 처우프로그램, 직업훈련 관련사항, 사회내 프로그램 등 이들이 사회에 복귀하였을 때 사회에서는 어떠한 처우가 연계되어 실시되고 있는지 등 68개 문항을 임의로 작성하여 시행하였다. 설문내용의 결과를 보면 수용시설에 대한 사항은 설문응답자의 절반이상이 만족을 표시하였다. 이러한 반응은 교정직이나 소년보호직의 구별 없이 현재의 시설환경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소년교도소의 경우는 성인교도소와 거의 다를 바 없는 폐쇄적이고 경직되어 있는 시설이라는데 문제가 있다. 따라서 소년교도소를 지금보다는 완화된 시설로 개선하는 것이 처우상 바람직 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이러한 이론적 검토와 실증적 조사를 통하여 얻어진 사실로 유용한 정책대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비행이 경미하고 범행의 정도가 가벼운 비행청소년은 아직 사고와 행동이 미성숙단계에 있기 때문에 이들의 성격을 더 유화적으로 부드럽게 하기 위해서는 시설부터 개방되고 가정과 같은 Open System 형태로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범죄성이 강하고 또 전과가 있는 비행청소년은 조금 더 엄격한 시설에 수용하여 정신·육체적으로 건전한 교육을 시키고, 출소 후 취업 및 학업에 정진 할 수 있도록 분류에 따라 수용처우를 달리하여야 한다. 둘째, 수용기간동안 각종 처우인 정신교육, 학과교육, 직업훈련 실시에 관하여는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현재의 체제를 긍정적으로 보고 있는데, 다만 이들이 사회에 복귀하였을 때 다시 동일한 비행을 저지르지 않기 위해서는 많은 관심과 아울러 적절한 보호정책을 펴야 한다. 즉 출소하였을 때 이들에 대하여 적극적인 취업을 알선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 우리나라의 사회내 처우인 소위 보호관찰의 제도적 시스템은 잘 되어 있으나 보호관찰관의 숫적인 부족은 하루 빨리 시정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선진국인 미국이나 영국 등과 비교하여 거의 6-7배에 가까운 업무를 수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은 결국 업무를 담당하는 보호관찰관이 피보호관찰자를 형식적이고 비효율적으로 처리하는 결과만 얻게 되기 때문에 청소년의 비행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선행되어야 한다. 아무리 소년원이나 소년교도소에서 교정교화가 잘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궁극적으로는 사회내 처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결국 비행청소년의 정책은 수포로 돌아간다. 넷째, 교정조직도 통·폐합되어야 한다. 즉 소년교도소와 소년원의 조직은 같은 소년을 처우하면서도 소년원은 소년법, 소년교도소는 행형법의 적용을 받고 있어 법의 적용에 있어서 형평성의 문제와 일관된 정책의 문제가 있다. 다섯째, 비행청소년 교정교화를 위한 효율성 제고 측면에서 교정복합단지가 조성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즉 비행청소년의 교정교화는 심리·처분 결과의 명확한 집행이 필요하며 각 단계에서 적절한 조치가 필요하고 또 개별처우를 실현하기 위한 분류심사의 결과에 따른 수용관리 체제의 일관된 시스템이 필요하다. 여섯째, 비행청소년에 대한 단기 수형자들의 교육훈련을 위해서는 미국에서 현재 시행되고 있는 병영캠프와 같은 엄격한 규율에 의해서 실시되는 처우가 필요하다. 왜냐하면 처우기간이 짧아서 교육훈련의 효과가 나타나기 어렵기 때문에 청소년이 갖는 특성을 고려하여 육체적, 정신적으로 군대식과 같은 엄한 규율에 의한 훈련이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일곱째, 청소년 약물 남용자들의 심리치료 및 교육과 상담을 하기 위해서는 각 교정시설에 전문적인 상담학과 심리학 전공 교사의 확보가 필요하다. 이렇게 하여 이들이 비행청소년에 대한 심리와 상담을 병행함으로써 정신적인 안정과 더불어 고민도 해결하여 줄 수 있을 것이다. 여덟째, 청소년들의 장래성과 예술적 소질을 고려하여 예·체능 전문 소년원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이들의 특성을 차별화·전문화하여 사회진출을 용이하게 할수 있기 때문이다. 끝으로 우리 나라의 비행청소년의 사회내 처우를 시설내에서만 중점적으로 할 것이 아니라 사회와 거의 같은, 즉 사회내에 있는 집단가정(group-home), 대리가정(foster-home) 주간처우(day treatment), 대안학교(alternative-school) 프로그램 등과 같은 외국의 각종 제도도 신중히 검토하여 현재 비행청소년의 정책분야를 확대하여 처우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아무리 소년원이나 소년교도소에서 교정교화가 잘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궁극적으로 사회내 처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결국 비행청소년의 정책은 실패할 수 밖에 없다. 앞에서도 언급한 것과 같이 비행청소년의 발생은 가정, 학교, 사회의 모든 면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겠지만, 적어도 비행에 이르러 다시는 재비행을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여러 방면에서 이들의 비행성을 교정하여 주는 정책적 배려가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따라서 오늘날 비행이 점차 누범화되는 현상을 그냥 방치할 수는 없는 것이기 때문에 비행청소년을 담당하는 많은 직원들이 설문조사에서도 의견을 개진한 바와 같이, 현재의 정책은 각 방면에서 재검토하여야 한다는 것을 다시 상기시키고자 한다. This study suggests an improvement on current correctional policy for delinquents in Korea. Social problem of juvenile delinquency has not emerged in one day. There has been lots of efforts to deal with juvenile delinquency and to prevent it. According to recent reports of mass media, there has been a considerable increase in juvenile delinquency, and increased use of internet creates new kinds of delinquency such as juvenile prostitution over internet and more aggressive homicide. Also, proportion of incarcerated juvenile's second offense has increased from 23% in 1995 to 35% in 1999. This trend suggests necessity of improvements in current correctional policy on juvenile delinquents, and it requires more positive and aggressive policy measures.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sult of questionnaires that were distributed to correctional officials in Korea. By such survey we try to accept each official's opinion on correctional policies. The survey distributed to 552 correctional officials among 1,550 civil servants in charge of correction who are professional in correctional treatment of juvenile delinquents, protection and vocational training in juvenile correctional facilities in Korea. The survey consisting of 68 items of questionaries includes appraisement of facilities, life in facilities, treatment, vocational and educational program and probation. According to results of the survey, over half of the participants are satisfied with current conditions of accommodation. However, we conclude that such result is the consequence of the delinquents. getting used to the facility and life in the facility over time and they did not consider future of juvenile delinquents seriously. The juvenile reformatory school usually incarcerates general delinquents. Especially, the objective of the juvenile reformatory school is aimed at measures to protect and to prevent juveniles from a possible second offence other than an incarceration. In case of a juvenile prison, it is different from a juvenile reformatory school. A juvenile prison is more similar to a general prison for adult than to a juvenile reformatory school. They are treated same as an adult, and its structure, toughness, and security are also similar to those of a general prison. Delinquents who committed less serious crime have immature thinking and behavior. It is necessary to make their personality more gentle. In order to do so, a juvenile reformatory school is required to mitigate its security and to reconstruct an open system like a home for the best result. However, serious delinquents need to be incarcerated in tougher facility to reform the individual who may be made adjustable to the society by psychological and physical education. Also, continuous support is require to help each delinquent after his release to get a proper job and to fit into the society. Almost half of the participants apprehended positive on treatments such as psychological education, academic education and vocational training that is provided during the period of detention. Nevertheless, it still needs to continue a protective policy, such as an assistance in helping them get a proper job and in preventing them from a second offence after release. A probational policy in Korea, that is one of a continuous treatment after release, is well constructed, but substantial number of probational officials need to be increased. The present size of probational officials are not sufficient to run the system properly. A probational official in Korea is required to manage almost 7 times more work than other probational officials in an advanced country such as the U.S. and England. Such situation leads to an excessive work and it no longer helps to decrease the delinquency. Even though the endeavors for correctional treatment in the juvenile reformatory school and juvenile prison are successful the results of bear consider effect, it can be useless if continuous treatments are not maintained after release. Also, correctional organizations need to unify into one solid system. For example, even though both a juvenile reformatory school and a juvenile prison deal with juvenile criminal, different kinds of law are applied to the administration of correction. They apply the juvenile law to an inmate in a juvenile reformatory school and apply the law of criminal justice to an inmate in a juvenile prison. Also I think correctional complexes must be formed in terms of progressive efficiency for the correction. That is, correction needs administrations of sentences, pertinent solutions for each stage and identical systems for inmate's management that classify individual's treatment. To administer an educational training for short-term inmates, we need treatments to be administered by strict regulations such as boot camp similar to that currently being administerd in England. However results of educational training is less effective for short term and effect of forceful training, such as boot camp considering physic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juveniles, is more effective. Besides, for psychological treatment, education and counsel for substance abuse, professional counselors and professionals in the field of psychology are necessary in correctional facilities. So we can maintain psychological stability of the delinquents. Also, it needs to establish juvenile correctional facilities of arts and sports that help to develop individual's inborn characters on sports, arts and science. It helps to fit into the society successfully owing to distinction and professionalization. Finally, we need to emphasize treatment for delinquents in the society. It also requires to adopt better treatment methods from foreign system such as group-home, foster-home, day treatment, and alternative school program. Current policies for delinquents must be expanded. However if community treatment are not carried out well, ultimately policy for delinquents will fail. As we have mentioned, previously juvenile delinquency is caused by environments such as family, school and community. To prevent juveniles from the second offense, policy considerations are necessary for effective correction delinquency in every direction. Since we cannot neglect repetition of juvenile delinquency. we must consider opinions that many officials in charge of caring the delinquents expressed in questionnaires calling for reexamination of current policies.

      • 청소년의 생활의식과 지역청소년정책 : 고양시 중·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심규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지방자치단체의 청소년 정책을 살펴보고 생활의식 조사 연구를 통해 보다 많은 고양시 청소년을 위한 정책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지방자치단체인 고양시의 청소년 정책을 조사 연구하였고, 학생청소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1999년 12월 17일∼12월 18일 사이에 고양시 중·고등학교 재학생 2500명을 대상으로 청소년 생활의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중학교 재학생 1250명과 고등학교 재학생 1250명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으며 설문결과 통계분석에 이용한 설문지는 2016부로서 이들 자료는 통계처리 프로그램인 SPSS/ WIN10.0 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분석하였다. 분석에 이용한 통계 방법은 빈도, 백분비, 교차분석, χ2 검증 등이었으며, 통계분석을 위한 유의 수준은 p<.05, p<.01, p<.001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각종 시사 문제에 대한 관심에서는 전체의 52.3%가 관심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14.5%의 학생만이 관심을 나타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아직 기초자치단체와 연관되는 부분이 없다. 그러나 2000년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의 "총선 수업"을 통한 당대의 관심을 청소년들에게 수업을 통해서 고민하게 하는 좋은 사례가 있었다. 다음으로 "고양시에 스트레스를 풀 수 있는 장소가 없다"는 대답이 전체적으로 68.1%나 되었다. 또 고양시에 여가 시간을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이 갖추어진 정도에 대한 질문에서는 중 전체적으로는 66.1 %가 "부족하다" 고 대답했다. 또한, "고양시에 건전한 이성 교제를 위한 곳이 없다" 라는 의견이 전체 67.3%이다. 이 의식에 따르면 전반적으로 고양시에는 아직 청소년들을 위한 공간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 부분과 2000년 고양시 정책들 중 "청소년 문화의 거리 운영", "청소년 문화정보센터 운영", "청소년 수련관 건립" 정책이 적절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고양시 청소년이 20 만 명 전후라는 사실을 감안하면 그 예산규모가 각각 4800만 원, 2000만 원으로 적당한 청소년 공간운영은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건전한 이성교제 장소"의 부족이라는 측면에 대해서는 고양시 청소년 정책 중 적당한 정책을 찾을 수가 없었다. 청소년들이 이성을 통한 공동체 경험을 할 수 있는 정책수립의 필요성이 보이는 부분이다. 다음으로, "기성세대가 청소년을 보는 시각에 더 문제가 있다" 에 동의하는 응답이 전체 57.4%이고, "기성 세대는 청소년을 인격체로 대우하지 않는다" 에 전체적으로 49%가 그렇다고 응답했다. 이 부분은 기초자치단체에서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전반에 걸쳐 인식의 전환과 이를 위한 각종 노력이 필요한 부분이다. 각종 토론회와 정책수립이 요구되는 부분이다. 마지막으로 "청소년에게 기회를 주는 것이 중요하다" 에는 전체 67.8%가 "전적으로 동의한다" 라고 응답했다. 지역사회인 고양시의 기성세대가 중요하게 고려해야할 인식이다. 청소년들이 하나의 생활주체임을 감안하면 지역사회 청소년과 관련된 분야에 청소년을 중심에 놓고 고민하는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By studying a local government's policy to youth and investigate their consciousness of their normal life, this thesis can help better policy decision on Koyang city youth policy. To achieve the objectives, policies of Koyang city youth policy and survey on this regions youth were implemented. Survey was made during Dec. 17 to 18 in 1999, sampling of each 1,25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2,500 in total. Total number of the survey utilized by statistical analysis was 2,016 and they were analyzed by program of statistical analysis i.e. SPSS/WIN10.0 package. The Statistical method of analysis included frequency, ration of percentage, cross analysis, χ² examination, t-test and meaningful level of statistical analysis was p<.05, p<.01, p<.001. The summary of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ly, regarding interests in current affairs, 52.3% of respondent was not showed any interests and 14.5% only showed some interests. This fact was not because of a local government. In the meantime, there was a good example of Korea teacher's union who made student think about current affairs by so called general election study. Secondly, 68.1% of the respondent replied that there were not any places to relieve their stress. And 66.1% of the respondent said that the places for spending their free time are inadequate. In addition to that 67.3% replied that there were not good places for having sound relationship between opposite sexes. Referring to these results, Koyang city in general doesn't provide places for youth. With these facts and Koyang city policies for youth in 2000 like "Opening Youths Cultural Street", "Organizing Youths Culture Information Center", "Building Youth Training Place" can be relevant polices. On the other hand, considering about 200,000 youth in this region, the budget levels of each 4.8 millions and 20 millions won does not meet managing suitable places for youth. And any good policies for having sound relationship between opposite sexes cannot be found. Accordingly, Koyang city needs to make policies which can help youth experience their community through the relations with their opposite sex. Thirdly, 57.4% of the respondent replied that there were more problems with their older generations viewpoints on youth. 49% agreed that the old generation doesn't treat youth as personality. This result especially reflects the needs of necessity of switching awareness in this region and also needs of making policies and debate. Lastly, 67.8% of the respondent totally agreed on giving them chances. These are the things that Koyang city old generation consider it as very important. Since youth is also citizen doing their own life here in this region, consider youth carefully and put their thought on the first priority when youth related policies are discussed.

      • 청소년의 컴퓨터게임 중독과 사회성과의 관계 연구

        천정실 동의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현재 청소년의 여가수단의 하나로 자리잡고 있는 컴퓨터게임이 사회성 발달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 컴퓨터게임에 대한 올바른 인식정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청소년들의 컴퓨터게임 활용실태는 어느 정도인가? 연구문제 2. 청소년의 컴퓨터게임 몰입정도는 학년별 ·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3. 게임중독 수준별에 따라 청소년의 사회성 발달 하위요소 중 안정성 ·사교성 ·자율성 ·지도성 ·수용성은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4. 사회성 발달의 어느 영역이 청소년의 컴퓨터게임 중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 자료는 회수된 질문지 510부를 가지고, SPSSWIN(Version 10.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검정, 일원분산분석(ANOVA),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질문지는 컴퓨터 실태조사에 관한 질문지, 중독 수준에 관한 질문지, 사회성에 관한 질문지로 구성되었으며, 질문지의 문항구성은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질문지를 바탕으로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본 연구자가 수정 ·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컴퓨터게임 활용실태 첫째, 현재 가정의 컴퓨터 소유 여부 조사에서 전체 응답자의 97.5%가 가정에 컴퓨터를 소유하고 있었다. 둘째, 청소년들은 컴퓨터를 주로 여가수단의 도구로 인터넷, 채팅, 게임을 하는 용도로 활용하고 있었다. 컴퓨터를 학습이나 과제의 용도로 사용하는 비율은 아주 적게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들은 혼자서 컴퓨터게임을 하고 있었으며, 컴퓨터게임을 하는 이유는 재미가 있어서라는 흥미요소가 가장 큰 이유로 나타났다. 넷째, 1회 컴퓨터게임 시간은 1~2시간 정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주일에 3-4번은 컴퓨터게임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의 경우 43.8%가 매일 컴퓨터게임을 하고 있었다. 다섯째, 컴퓨터게임 경력은 보통 3~4년 정도 되었고, 컴퓨터게임은 주로 집에서 한다가 93.3%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이는 가정의 컴퓨터 소유여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여섯째, 부모님이 컴퓨터를 어느 정도 다루시는가에 대한 결과는 대부분 잘 못하신다로 나타났으며, 컴퓨터게임을 할 때 부모님은 게임시간을 정해 주시는 걸로 나타났다. 2. 청소년의 컴퓨터게임 몰입정도는 학년별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성별에 따라 컴퓨터게임 몰입정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지만, 학년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게임중독 수준별에 따라 청소년의 사회성 하위요소 중 안정성 · 사교성 · 자율성 · 지도성 ·수용성은 차이가 있는가? 게임 중독 수준별로 사회성 하위요소와의 차이에서는 안정성 ·사교성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율성 ·지도성 ·수용성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사회성 발달의 어느 영역이 청소년의 컴퓨터게임 중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가? 사회성 하위요소 중 안정성은 청소년의 컴퓨터게임 중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교성 ·자주성 ·지도성 ·수용성은 컴퓨터게임 중독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thesis, I researched into the adolescent' addiction to computer games and its relationship with social development. To achieve the goals of this study,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 1. What's the currently circumstances about adolescent' computer games? 2. In adolescent' addiction to computer games, are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grade and gender? 3.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Emotional stability · Sociability · Autonomy · Leadership · Receptiveness depends on the state of addiction to computer games? 4. Which social development factors affect adolescent' addiction to computer game? This research was performed by 510 collected samples which were involved in this study. The questionnaires are consist of some questions about the currently circumstances about adolescent' computer games, the state of addiction to computer games and the social development factors. And the result was conducted by statistical analysis. The statistical techniques for data processing are test, ANOVA test. These tests are handled by using SPSS WIN(Version 10.0) Programs. The conclusions which derived from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 1. What's the currently circumstances about adolescent' computer games? First, people who answered that 97.5% have computer on question. Second, adolescent' were using computer as a tool for surfing web, having chat with friends, and games mainly. Percentage of sample for using computer as a tool for study was much lesser. Third, adolescent were playing computer games alone. The major reason that playing computer games is much more interesting. Fourth, average time of playing games is 1 to 2 hours. and 3 or 4 times playing computer games in a week. The 43.8% answered schoolboy appeared that play computer games every day. Fifth, schoolboy who answered this study, their computer games career was about 3~4 years and 93.3% of the respondent said that computer games is done at home mostly. And this ratio shows that quite important relationship with home computer possession. Sixth, generally, parents of the respondent cannot use the computer properly, and parents allocate playing time when the respondent play computer games. 2. In adolescent' addiction to computer games, are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grade and gender? There were small differences in adolescent 'addiction to computer games by gender but, there were no difference by grade. 3.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Emotional stability · Sociability · Autonomy · Leadership · Receptiveness depends on the state of addiction to computer games? There were small differences in Emotional Stability, Sociality by game addiction state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Leadership · Receptiveness by game addiction state. 4. Which social development factors affect adolescent' addiction to computer game? In Addiction to computer games affects Emotional stability in social development region, but Addiction to computer games doesn't affect Sociability · Autonomy · Leadership · Receptiveness in social development region.

      • 가출청소년의 윤락에 관한 연구

        정명숙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가출청소년의 윤락에 관한 연구로 가출청소년의 윤락의 실태를 파악하고, 윤락의 유형 및 윤락으로 전개되는 과정을 알아보고, 가출청소년의 윤락은 가출청소년의 인적특성 및 의식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조사해서 최근 커다란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가출청소년들의 윤락생활에 대한 대책을 모색하고자 시작되었다. 이에 대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가출청소년의 윤락 실태 및 윤락 유형은 '윤락생활을 한 적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55.1%)이 '윤락생활을 한 적이 없다'고 응답한 비율(44.9%)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윤락생활을 한적이 있는 청소년들의 윤락의 유형에 대해 살펴본 결과 유흥업소의 접대부가 44.4%, 까대기 방식(지하도에서 매일 매일 다른 남자를 만나는 경우)이 27.8%, 윤락업소에 고용이 14.8%, 원조교제 방식이 13.0%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2) 가출 후 윤락생활을 하게 되는 경로는 '친구를 통해서'라고 응답한 청소년이 72.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구인광고를 통해서'라는 응답이 16.7%, '직업소개소를 통해서'와 '전화방(폰팅 포함)을 통해서'가 똑같이 2.1%로 나타났다. 기타에는 '스스로'라고 응답한 것도 있었다. (3) 가출전 성경험이 있는 청소년의 86.96%가 윤락을 경험했다고 응답했으며, 13.04%의 청소년이 윤락을 경험하지 않았다고 응답했으며, 가출전 취업경험이 있는 청소년의 48.44%가 윤락을 한 것으로, 51.56%가 윤락을 경험하지 않은 것으로 응답 가출전의 성경험과 취업경험은 가출 후 윤락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가출청소년의 윤락은 가출청소년이 가지고 있는 중에서 여자의 순결에 대한 생각과 사랑 없이도 섹스를 할 수 있다는 물음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일뿐 나머지 항목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구의 결과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과반수가 넘는 가출청소년이 윤락을 경험하고 있으며 가출생활이 윤락으로 전개되어지는 과정의 대부분이 친구를 통해서라는 것은 매우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따라서 가출청소년들이 윤락으로 빠져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교육을 통해 자아존중감을 심어주며 보다 체계적이고 적극적이며 전문화된 성교육을 통해 청소년들이 올바른 윤리의식이나 성의식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 청소년의 취업 및 아르바이트를 전담해서 지도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학교와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만들어져 청소년들이 유흥·향락업소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쉼터에 대한 정보의 공유는 가출 후 어려움을 겪고 있는 숙식문제를 해결하고 단순가출이 윤락으로 이어질 수 있는 원인을 차단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가출청소년을 위한 쉼터의 수를 늘리고 쉼터에 대한 홍보활동을 활발하게 전개하는 한편 쉼터에 대한 일반인의 인지도와 의식의 변화를 유도하는 등 가출청소년을 위한 복지서비스에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될 것 같다. 청소년의 가출과 윤락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가출청소년 인권과 개개인의 개인차를 고려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시 되어야 하며 가출 후 윤락생활을 하게 되는 원인이 무엇인지 조사해서 가출 상태에서도 건전한 사고와 올바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가정, 학교, 사회기관, 정부 등 여러기관이 서로 정보를 공유하며 상호 협조가 가능하도록 하는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먼저 선행되어야 한다. This study was devised how to make a counter-plan for the living of a ruined girl left from their home that has recently been rising as a sever problem according to what differences were there based on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consciousness after understanding of their situations and knowing of the course which was developed by a type and the ruin of moral and ethics. These were as follows related to a preposition of the content on this thesis : (1) How was the actual conditions and the type of the ruined after leaving home? For a question of ever experienced in the ruined life-that was 55.1% in response and No. to the question was 44.9% : The yes was showed up higher than the no. And yet looking at a type of them, the experienced personal service occupation of an entertainment club and shop was 44.4%, and a way so called “Kakdegi” (In case of meeting other males day by day around the subways) was 27.8%, employees employed by the ruin-clubs and shops were 14.8%, and a way of a remote intercourse was 13.0%. (2) How was the course to be a ruined life after leaving home? For the question about how they went first into the ruined and how did they get know to the experienced youth, the answer was said “throughout their friends” with a rate of 72.9%, and it was showed the most and the next was by a public advertisements were 16.7% and throughout of an employment agents and call room including Ponting were 2.1% and then others were by themselves. (3) What was the difference of a pre-experienced in the before leaving home? (Such as sexual experience, employed experience and consumer habit so on) The answer of the sexual experienced girl before leaving home was 86.96% with the ruined experience and the non-experienced of the ruined was 13.04%, while 48.44% with experiences of employment before leaving home had ever been ruined but 51.56% was the non-experienced. There was significant meaning between the former and the later. However, the consumer habit before leaving hom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4) What was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onsciousness of the ruined girl for the ruined leaving home? There was the significant meaning in the items without the question to pure of women and the idea of sexual intercourse without love within their consciousness. As I already showed in the above, the majority of them had experienced over the ruined and life of the leaving home came from their friends temptation the most. This is very sever and important things. Consequently,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for the ruined life of girl leaving home, we should provide them with a self-respect feeling through education and let them try to get a right-ethics and a good consciousness of sex, and build a newest and fresh system focused on by all school and communities where professionally leads their job and arbeit and so that we are able to intercept them falling into such entertaining and pleasuring business circles. And also a resort place would provides them with food and boarding by holding informations in common and it will bring them a great effects to isolate from link. According to this, the resort places should be increased for them and take an action to make development of the public relations for their benefits. By doing so, we can make people a changes and their thought, and take care of the we fare service for them. I think it is the most important matters than any other to consider their human rights and an individual differences in order to prevent leaving home and the ruined, and at the same time, we must understand the cause of the ruined life, and let them to keep a good health and a sound thought and so that family, school, social organization and government must hold its information in common and keep a good coordination and should be first done coordinated system prior to all others.

      • 청소년의 행동습관, 가정환경, 스트레스가 자살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를 바탕으로(2016)

        이다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행동습관과 가정환경 및 스트레스가 자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2016년 4월 기준의 전국 중학교 1학년 학생부터 고등학교 3학년 재학생을 대상으로 질병관리본부에서 실시한 익명성 자기기입식 온라인 조사를 바탕으로 하였다. 이는 남자 33,804명, 여자 31,725명이 참여한 조사이다.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에서 청소년의 성별, 흡연, 음주, 가정의 경제상태, 자살시도 경험, 인터넷 이용, 청소년 본인의 건강인지 상태, 스트레스에 따른 변수별 상관관계와 자살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중요 분석방법으로 빈도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성별은 여자가 남자보다 스트레스를 더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흡연경험이 있는 학생이 스트레스를 더 높이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음주도 음주경험이 있는 학생이 스트레스를 더 높이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제적 형편은 “중하”이하의 학생들이 “중상”의 학생들보다 스트레스를 더 높이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주당 학습 외 인터넷 사용의 경우 인터넷 이용이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건강하다고 인지하면 스트레스를 줄이는 데 긍정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자살시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흡연을 경험한 학생은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자살시도의 확률이 1.939배, 음주를 경험한 학생은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1.319배,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학생은 그렇지 못한 학생보다 2.405배 더 자살시도를 확률이 늘어난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스트레스는 흡연, 음주보다도 자살시도에 높은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비추어 볼 때 청소년의 행동습관과 가정환경 및 스트레스가 자살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전체적 삶의 질에 지대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특히 청소년 시기에 경험하는 청소년의 행동습관과 가정환경 및 스트레스가 매우 중요한 것은 분명하다. 이에 청소년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하여 청소년의 정신 건강을 향상시키고 스트레스를 잘 조절할 수 있는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적 지원과 사회기관의 전반적인 협조와 개인의 능력을 길러야 하며, 이에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