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포괄적 보육 서비스를 위한 학부모 욕구조사

        정명숙 상지대학교 사회복지정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초 록 보육서비스는 ‘지역사회를 토대로 하는 가정 중심의 포괄적 보육서비스(Community-based Family-centered Comprehensive Social Services)'와 개별화된 프로그램(Individualized Edu-care Program)에 의해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렇다면 현대사회의 특성인 가정의 기능약화, 가정의 해체증가 그리고 빈곤의 심화등 사회적 현실은 생태학적 접근에 의한 포괄적 보육서비스를 필요로 하고 있다. 따라서 보육서비스의 내용과 실천이 영유아의 발달적 욕구를 충족시키고, 부모와 가정의 기능을 보완ㆍ지지하며, 지역과 계층 간의 균형 회복을 위해서 적극적이고 포괄적으로 발전해야만 한다. 이런 목적으로 기존의 문헌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포괄적 보육서비스에 대한 개념 등 이론적 배경을 파악해보고, 구성내용을 중심으로 아동, 가정, 지역사회와 연계된 보육서비스로 분류하였다. 학부모 인식과 욕구를 파악하기위해 강원도 원주시에 소재한 정부지원시설 총10개의 보육시설 중 만 3세부터 만 5세까지의 자녀를 둔 학부모들을 모집단으로 선정 하였으며, 총 2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191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었고(회수율 95.5%), 이 중 사용할 수 없는 2부를 제외하고 189부를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포괄적 보육서비스 중요도 인식은 높게 나왔으며, 아동, 가정, 지역사회와 연계된 보육서비스 순으로 분석되었다. 보육의 주체인 영유아가 중심이 되어 그를 둘러싸고 있는 가정 및 지역사회로 확산됨을 알 수 있고, 이들의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보육시설의 보육프로그램을 포괄적 보육프로그램으로의 전환이 시급하다 할 것이다. 둘째, 아동을 위한 보육서비스는 ‘규칙적이고 균형 잡힌 영양공급’이 4.62%로 아동을 위한 보육서비스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가정을 위한 보육서비스는 ‘개별 영유아의 문제와 관련한 부모상담’이 4.2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지역사회와 연계하는 보육서비스는 ‘복지기관 연계활용’이 4.1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포괄적 보육서비스를 실시하기 어려운 점에서는 ‘재정이 부족해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아동 및 가족, 지역사회에 개입하기 위한 전문가(사회복지사)가 없어서’, ‘정부의 관심과 지원이 부족해서’로 분석되었다. 넷째, 포괄적 보육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우선되어야할 사항은 ‘정부의 재정적 지원(전담인력 급여지원)’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정부에 의한 제도적 노력(정책개발, 법 개정 등)’, ‘전담인력 확충(사회복지사의 상주)’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포괄적 보육서비스의 프로그램과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분석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포괄적 보육서비스를 확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도출하였다. 첫째, 모든 보육시설에 사회복지사를 배치해야 한다. 포괄적 보육서비스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보육예산을 확대하여 전담인력에 대한 인건비를 지원해야 한다. 둘째, 포괄적 보육서비스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보육정책이 개선되고 강화되어야 한다. 정부에 의한 제도적 노력이 절실하다는 것이다. 포괄적 보육서비스 수행을 위한 정부의 보육정책이 강화되어지고, 보육시설에 대한 사회복지사 채용 의무화 등의 법 개정을 해야 한다. 셋째, 보육시설이 포괄적 보육서비스를 실천함에 있어 사회복지사 등의 전문 인력의 고용이 필요하다. 이상의 결론을 통해 보육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고 영유아와 그 가족, 교사와 원장, 지역사회와 국가가 행복한 보육이 되기 위해 포괄적 보육서비스가 적극적으로 실천되기를 제안한다.

      • 중학생의 휴대폰 과다사용이 사회성발달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정명숙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휴대폰 과다사용이 사회성 발달과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K지역에 있는 중학생 320명을 임의 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10부가 회수되었다. 이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14부와 휴대폰을 소지하고 있지 않은 28부를 제외하고 268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휴대폰 과다사용, 사회성 발달, 학교적응의 상관관계를 보면 사회성 발달의 하위 변인인 활동성, 안정성, 지배성, 사교성, 자율성은 휴대폰 과다사용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학교적응의 하위변인인 교사와 학생관계, 교우관계, 학교수업, 규칙준수는 휴대폰 과다사용과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휴대폰 사용은 사회성 발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휴대폰 과다사용 여부에 따른 사회성 발달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휴대폰 사용은 학교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휴대폰 과다사용 여부에 따른 학교적응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중학생의 사회성 발달과 학교적응을 위한 변인과 관련된 후속연구나 학교 및 관련기관에서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지식수준과 수행정도

        정명숙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신생아집중치료실에서 감염예방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간호사의 감염관리에 대한 지식수준과 수행정도를 파악하고 지식수준과 간호활동 수행정도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감염관리의 질적 향상을 위한 적절한 프로그램의 개발에 필요로 되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도구는 연구자가 신생아집중치료실의 감염 및 감염관리에 관련된 참고문헌과 관계논문을 근거로 작성하였으며 일반적 특성 9문항, 감염관리 지식수준 46문항, 감염관리 수행정도를 묻는 질문 4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도구의 Cronbach's α는 .8224로 나타났다. 자료수집은 2002년 3월 25일부터 4월 10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은 신생아집중치료실이 신생아실과 분리되어 운영되는 서울에 위치한 5개 병원과 경기도에 위치한 1개 병원의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 163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rogram을 이용하여 백분율, 산술평균,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보면 연령은 25세∼30세 미만이 49.7%로 가장 많았으며, 최종학력은 4년제 간호학과 졸업 또는 재학 중이 62.6%로 가장 많았다. 총 임상경력은 5년∼10년 미만이 36.3%로 가장 많았고, 신생아집중치료실 경력은 1년∼3년 미만이 32.5%로 가장 많았다. 대상자의 직위는 일반간호사가 83.4%였으며, 99.4%가 감염관리 교육경험이 있었고, 71.2%에서 최근 1년 이내 감염관리 교육을 받았다. 2. 감염관리 지식수준은 100점 만점에서 평균 74.6점을 나타냈으며, 항목별로는 손씻기에 관한 지식이 평균 95.5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인공호흡기에 관한 지식은 65.1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3. 감염관리 간호활동 수행정도는 4점 만점에 평균 3.75점으로 나타났으며, 항목별로는 손씻기가 3.79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직접간호에 관한 수행정도는 3.67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염관리 지식수준과 수행정도의 차이를 보면 연령(F=4.826, p=.003)과 최종학력(F=2.900,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간호활동 수행정도는 연령(F=3.045, p=.031), 총 임상경력(F=3.241, p=.014), 신생아집중치료실 경력(F=3.328, p=.012), 직위(F=4.030, p=.046)와 병원(F=8.626, p=.000)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5.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감염관리와 수행정도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r=.177, p<0.05) 상관관계가 있었다. 6. 감염관리 간호활동 수행시의 미수행 원인으로는 시간부족이 75.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감염관리 간호수행을 위해 가장 필요로 되는 지식으로 58.3%가 신생아, 미숙아와 관련된 기초지식이라고 응답하였다.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에게 최근 1년 이내 가장 많이 이루어진 감염관리교육은 병동자체 교육으로 49.7%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지식수준은 감염관리수행과 유의한 관계가 있다. 그러나 수행에는 지식외에 다른 많은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지식수준 및 수행정도의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신생아 및 미숙아의 기본특성에 대한 간호사들의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함께 적극적인 병원감염 예방을 위한 적정인력의 산정을 위한 연구 및 접근, 그리고 높은 지식수준을 나타낸 신생아집중치료실 경력 간호사를 많이 보유할 수 있는 제도적인 뒷받침이 필요로 되어진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urvey study was identify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nd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among nurses working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NICU). The 46 items test to assess knowledge of NICU nurses on infection control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A separate questionnaire containing 40 items was developed to assess performance level of infection control in the NICU. The Cronbach's alpha score for both the test and questionnaire is 0.8224.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25th to April 10th in 2002 from the 163 nurses working at the NICU from 5 hospitals with maintain separate NICU from the normal newborn nursery. Four hospitals are located in metropolitan Seoul and one in Gyung gi Province. The researcher distributed and collected the questionnaire in same day.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SPSS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are; close to 50% were 25-30 years of age. Sixty three percent had BSN degree or currently enrolled in RN/BSN program. Thirty six percent had 5 - 10 years of work experience and 32 percent had 1 - 3 years of NICU experience. Majority was staff nurses and almost all of the nurses had some type of education on infection control. 2. The average score of knowledge test was 74.6. When it was further analyzed, hand washing category showed the highest score of 95.5 and ventilator care category showed the lowest score of 65.1. 3. The average score of the nurse performance level of the infection control was 3.75 points out of maximum of 4 points. 4.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nd performance scores of the participants (r=0.177, p<0.05). 5. The length of experience in the NICU (F=1.594, p=0.033) and hospital settings (F=1.590, p=0.033)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formance scores. 6. Almost 75 percent of the participants stated that lack of time as the main reason for not performing infection control task. 7. Close to 60 percent of the participants stated that the basic knowledge on care of newborns and premature infants were most critical for NICU nurses. The study showed that knowledge is important but other factors are important in increasing performance of nursing tasks in infection control in the NICU. Therefore, while implementing more training programs for the nurses to increase knowledge, it is necessary to improve nurse-patient ratio, develop concrete manual, and change the unit structure and policies on infection control.

      • 그림동화 문해교류를 통한 비장애 유아의 장애수용태도

        정명숙 단국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반편견 그림동화를 활용한 문해교류를 통한 활동이 장애유아에 대한 비장애유아의 장애에 관한 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종로구에 소재하는 A유치원 만 6세 2개의 학급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각 27명씩 배정하였다. 이는 장애에 대한 편견이 완성되는 시기인 만 6세 유아들을 대상으로 함으로써 이미 편견이 완성된 시기의 아동들 보다 편견을 줄일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이고자 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수용태도 변화를 위한 방법으로 총 6편의 그림동화를 실험집단의 유아들에게 들려주고 각각의 동화의 주인공이 지니고 있는 장애 특성들을 이해하고 장애친구와의 상호작용 방법과 의사소통 방법들을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문해교류과정를 총 11회 구성하였고 이를 확장하여 구성편 활동들로 장애 친구에 대해서 가지고 있었던 편견을 줄이기 위한 교육을 실시하였다. 또한 장애인에 대한 개념 형성이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알고 장애를 가진 친구와의 상호작용의도, 장애인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장애수용태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Favazza odom(1995)이 제작한 「유아용 수용척도」 (Acceptance Scale for Kindergartners : ASK) 와 Esposito 와 Pesch(1983)의 Primary Student Survey of Handicapped Persons(PSSHP)을 참고로 하여 김현정(1997)이 수정·첨삭하여 제작한 질문지를 다시 수정·보완하여 폐쇄형 질문과 유아들의 사고의 변화를 자세히 알기 위한 개방형 질문들을 사전 검사와 사후검사에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win 9.0 을 사용하여 두집단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알아보고 t검증과 반복측정 분석(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반편견 그림동화를 활용한 문해교류과정은 비장애유아의 장애수용태도 변화에 효과적(p=.001)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반편견 그림동화를 활용한 문해교류과정은 만6세 유아의 장애 개념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p=.036)으로 나타났다. 세째, 반편견 그림동화 문해교류를 통한 활동들은 장애를 (시각, 청각, 지체, 정서, 정신지체)가진 친구와 함께 놀고 싶어하는 상호작용 의도에 영향(p=.032)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반편견 그림동화를 활용한 문해교류활동은 장애친구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키는데에 효과적(p=.003)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반편견 그림동화는 유아들이 친숙하게 접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비장애유아의 장애수용태도를 변화시키는 데에 효과적인 매체이며 이것의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문해교류과정을 통한 활동들로 비장애유아를 교육한다면 장애유아와의 친근함과 장애에 대한 다양한 정보, 올바른 이해가 이루어지어 비장애유아가 장애친구를 수용하는 태도 변화에 효과적인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children's cultural exchange activities of reading and seeing picture-story-books have transactional effects on their anti-biased attitudes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en they accept their and other persons' handicaps. The subjects were 54 children who attend a kindergarten located at LongRo-Ku, Seoul, and they were 6 years old in Korean Age. Half of them was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half, 27 children, was allotted to a controlled group. As an experiment, 6 stories were read to the experimental group's to let them understand each story character's handicap and its differences and be educated by mutual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students and the handicapped through concrete and systematic teaching methods. And this transactional education was conducted through 11 times' parties, and more expanded educational activities were also conducted 80 as to get rid of many expanded educational activities were also conducted so as to get rid of many prejudices about the handicapped. Furthermore, final aims are not only to understand how the concept of handicap has been formed and transformed but also to examine how normal children and handicapped children become to communicate with one another, understand and accept their own or others' handicapped conditions, and change their biased view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process using picture-story-books had good transactional effects on normal children's changing their biased attitude toward handicapped children, and accepting handicapped conditions. (p=.001) Second, the study process using picture-story-books had good transactional effects on the process of 6 year old children's forming the concept of handicap.(p=.036) Third, the study process using picture-story-books had good transactional effects on children's intention to mingle and interact with handicapped friends(visual sense disorder, hearing sense disorder, emotional disorder, and mental retardation disorder) Fourth, the study process using picture-story-books had good transactional effects on normal children's changing their biased-view against handicapped friends.(p=.003) In conclusion, the picture-story-book educational activities help normal children not only to understand handicapped friends correctly and impartially but also to get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handicapped, all of which will have a good effect on normal children's changing their biased-views against handicapped children.

      • 가출청소년의 윤락에 관한 연구

        정명숙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가출청소년의 윤락에 관한 연구로 가출청소년의 윤락의 실태를 파악하고, 윤락의 유형 및 윤락으로 전개되는 과정을 알아보고, 가출청소년의 윤락은 가출청소년의 인적특성 및 의식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조사해서 최근 커다란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가출청소년들의 윤락생활에 대한 대책을 모색하고자 시작되었다. 이에 대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가출청소년의 윤락 실태 및 윤락 유형은 '윤락생활을 한 적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55.1%)이 '윤락생활을 한 적이 없다'고 응답한 비율(44.9%)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윤락생활을 한적이 있는 청소년들의 윤락의 유형에 대해 살펴본 결과 유흥업소의 접대부가 44.4%, 까대기 방식(지하도에서 매일 매일 다른 남자를 만나는 경우)이 27.8%, 윤락업소에 고용이 14.8%, 원조교제 방식이 13.0%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2) 가출 후 윤락생활을 하게 되는 경로는 '친구를 통해서'라고 응답한 청소년이 72.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구인광고를 통해서'라는 응답이 16.7%, '직업소개소를 통해서'와 '전화방(폰팅 포함)을 통해서'가 똑같이 2.1%로 나타났다. 기타에는 '스스로'라고 응답한 것도 있었다. (3) 가출전 성경험이 있는 청소년의 86.96%가 윤락을 경험했다고 응답했으며, 13.04%의 청소년이 윤락을 경험하지 않았다고 응답했으며, 가출전 취업경험이 있는 청소년의 48.44%가 윤락을 한 것으로, 51.56%가 윤락을 경험하지 않은 것으로 응답 가출전의 성경험과 취업경험은 가출 후 윤락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가출청소년의 윤락은 가출청소년이 가지고 있는 중에서 여자의 순결에 대한 생각과 사랑 없이도 섹스를 할 수 있다는 물음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일뿐 나머지 항목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구의 결과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과반수가 넘는 가출청소년이 윤락을 경험하고 있으며 가출생활이 윤락으로 전개되어지는 과정의 대부분이 친구를 통해서라는 것은 매우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따라서 가출청소년들이 윤락으로 빠져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교육을 통해 자아존중감을 심어주며 보다 체계적이고 적극적이며 전문화된 성교육을 통해 청소년들이 올바른 윤리의식이나 성의식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 청소년의 취업 및 아르바이트를 전담해서 지도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학교와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만들어져 청소년들이 유흥·향락업소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쉼터에 대한 정보의 공유는 가출 후 어려움을 겪고 있는 숙식문제를 해결하고 단순가출이 윤락으로 이어질 수 있는 원인을 차단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가출청소년을 위한 쉼터의 수를 늘리고 쉼터에 대한 홍보활동을 활발하게 전개하는 한편 쉼터에 대한 일반인의 인지도와 의식의 변화를 유도하는 등 가출청소년을 위한 복지서비스에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될 것 같다. 청소년의 가출과 윤락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가출청소년 인권과 개개인의 개인차를 고려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시 되어야 하며 가출 후 윤락생활을 하게 되는 원인이 무엇인지 조사해서 가출 상태에서도 건전한 사고와 올바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가정, 학교, 사회기관, 정부 등 여러기관이 서로 정보를 공유하며 상호 협조가 가능하도록 하는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먼저 선행되어야 한다. This study was devised how to make a counter-plan for the living of a ruined girl left from their home that has recently been rising as a sever problem according to what differences were there based on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consciousness after understanding of their situations and knowing of the course which was developed by a type and the ruin of moral and ethics. These were as follows related to a preposition of the content on this thesis : (1) How was the actual conditions and the type of the ruined after leaving home? For a question of ever experienced in the ruined life-that was 55.1% in response and No. to the question was 44.9% : The yes was showed up higher than the no. And yet looking at a type of them, the experienced personal service occupation of an entertainment club and shop was 44.4%, and a way so called “Kakdegi” (In case of meeting other males day by day around the subways) was 27.8%, employees employed by the ruin-clubs and shops were 14.8%, and a way of a remote intercourse was 13.0%. (2) How was the course to be a ruined life after leaving home? For the question about how they went first into the ruined and how did they get know to the experienced youth, the answer was said “throughout their friends” with a rate of 72.9%, and it was showed the most and the next was by a public advertisements were 16.7% and throughout of an employment agents and call room including Ponting were 2.1% and then others were by themselves. (3) What was the difference of a pre-experienced in the before leaving home? (Such as sexual experience, employed experience and consumer habit so on) The answer of the sexual experienced girl before leaving home was 86.96% with the ruined experience and the non-experienced of the ruined was 13.04%, while 48.44% with experiences of employment before leaving home had ever been ruined but 51.56% was the non-experienced. There was significant meaning between the former and the later. However, the consumer habit before leaving hom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4) What was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onsciousness of the ruined girl for the ruined leaving home? There was the significant meaning in the items without the question to pure of women and the idea of sexual intercourse without love within their consciousness. As I already showed in the above, the majority of them had experienced over the ruined and life of the leaving home came from their friends temptation the most. This is very sever and important things. Consequently,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for the ruined life of girl leaving home, we should provide them with a self-respect feeling through education and let them try to get a right-ethics and a good consciousness of sex, and build a newest and fresh system focused on by all school and communities where professionally leads their job and arbeit and so that we are able to intercept them falling into such entertaining and pleasuring business circles. And also a resort place would provides them with food and boarding by holding informations in common and it will bring them a great effects to isolate from link. According to this, the resort places should be increased for them and take an action to make development of the public relations for their benefits. By doing so, we can make people a changes and their thought, and take care of the we fare service for them. I think it is the most important matters than any other to consider their human rights and an individual differences in order to prevent leaving home and the ruined, and at the same time, we must understand the cause of the ruined life, and let them to keep a good health and a sound thought and so that family, school, social organization and government must hold its information in common and keep a good coordination and should be first done coordinated system prior to all others.

      • 사회복지 전공 학생의 실습기관 수퍼비전 내용에 관한 연구

        정명숙 강남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사회복지 실습이 학생들의 전문적 성장과 발전에 필수적인 요소로 보아, 사회복지학부 학생들의 수퍼비전 경험에 대하여 파악하고 실습생들이 경험한 현장 실습지도자와 실습지도교수의 지도내용을 측정하여 효과적인 사회복지 실습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습현황과 기관의 실습지도자, 실습학생의 특성을 보면, 실습기관 배정 시 실습생의 의사가 대부분 반영되었다가 119명(57.2%) 을 차지하였다. 이로 보아 학생이 원하는 기관에서 실습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실습횟수는 대부분 1회로 자원봉사 경험을 가진 학생들의 참여가 높게 나타났다. 실습기관의 특성은 대부분 직접적 서비스기관이 184명(88.5%)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지도자는 주로 여성으로 30대가 133명(63.9%)이고 경력은 사회복지 전공자로 5년 미만의 경력을 가지고 있었다. 대부분 집단적 지도형식을 취하고 있었으며, 정기적으로 실습생의 일지나 기록보고를 통해 수퍼비전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습 수퍼비전 내용의 정도 측정에 있어서 실습지도자로부터 받은 수퍼비전은 주로 행정적 수퍼비전이 5점 척도에서 3.43점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실습생이 자각하는 수퍼비전의 정도는 실습지도자로부터 받은 수퍼비전이 5점 척도에서 3.38점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습전반에 대한 평가 및 만족도 조사에서는 실습생 66명(31.7%)이 대부분 만족스러웠다고 응답했으며, 실습을 통해 사회복지 전문직의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가 90명(43.3%)으로 가장 많았다. 실습의 목표에 대한 실천적 지식습득을 하는데 도움을 받았다가 50.5%로 나타났으며, 실습기간동안 가장 도움을 많이 받은 원천은 실습지도자로 나타났다. 넷째, 실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실습기관 지도자의 교육적인 수퍼비전 내용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복지 전문직에 대한 정체성 확립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습학생의 사회복지 전문성에 대한 자질과 능력을 파악하고, 사회사업방법 및 원칙을 이해하고 따르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 또한 기관 지도자의 교육적 수퍼비전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보아 실습기관의 실습지도자의 교육적인 역할이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제언하고자 하는 점은 사회복지학부 학생들의 수퍼비전 경험이 어느 한 측면에서만 발견되는 일차원적인 내용이 아니라 사회복지 실습교육에 관련된 학교, 실습기관, 실습지도자, 실습내용, 실습담당 지도교수 등 다양한 요인들이 동시에 작용하는 다차원적인 내용임을 시사해 주고 있다 하겠다. 따라서 학교에서는 실습전담교수의 배치, 실습기관에서는 실습전담자의 배치, 그리고 실습생의 능동적인 자세가 어울려 실습교육을 위해 서로 협력하는 관계를 이룰 때, 보다 효과적인 실습체계가 형성되고 실습생의 효과적인 사회복지 실습과 만족도의 향상은 물론 실습의 바람직한 발전방향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rve as a basis for more successful social-welfare practice, by examining which supervision was experienced by college students in social welfare department and which education was provided to them by field instructor and practice advisor, as social-welfare practice is indispensable to their professional growth. The brief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First, 119 students (57.2%) thought their opinion was mostly reflected in practice institute assignment. This showed they did practice in an institution they wanted to do, and their practice frequency was once for the most part. Especially, many of them had ever done volunteer work.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practice institution, most institutions, where 184 students (88.5%) practiced, provided direct service for clients. The instructors were mostly female, among which 133 people(63.9%) were in their thirties. As a social-welfare major, their career was less than five years. Most of them offered group guidance, and wrote practice diary or report on a regular basis. Second, concerning the content of practicum supervision, administrative supervision from the field instructor was rated higher with 3.43 on 5-point scale. In general, supervision by the field instructor was perceived to be larger with 3.38 on 5-point scale. Thir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ir assessment of and satisfaction level with practice, 66 student s (31.7%) felt it satisfactory, and 90 students (43.3%) found it helpful to establish their identity as a social-welfare professional. 50.5% believed they were helped to acquire practical knowledge, and the greatest source of aid during practice term was the field instructor. Fourth, the factor affecting practice satisfaction was the content of educational supervision by the field instructor, which was also found to give an impact on building up their identity as a social-welfare professional. The educational supervision by the field instructor was found to be of use for identifying the quality and ability of students related to social welfare, and that also exerted an influence on having student s under stand and follow the educational supervision by the field instructor and the means and principle of social work.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supervision experience of the college students in social welfare department was not one-dimensional. Instead, it was of multi-dimension that multiple elements worked simultaneously, including college, practice institution, field instructor, practice content and practice advisor. Therefore, more effective practice system will be built if school provides practice advisor, practice institution prepares a person in charge of practice, students are ready better for practice, and all the parties concerned cooperate with one another. And social-welfare practice will be done more successfully and student satisfaction will increase. And finally, social-welfare practice will move toward more desirable direction.

      • 무용수들의 무용참여동기 심층분석

        정명숙 숙명여자대학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tudy selects the objects such as domestic students majohng in a dance and domestic professional dancers. In parallel with the competence, it divides them to four levels: middle school, high school, university, and profession. In line with a major, it classifies them as three: a Korean dance, a ballet, a modem dance. It has an intention to analyze the motive that dancers participate in a dance in detail, reveal the differences among them, and search for the spheres of the unique motive of their participation. The study randomly selected as the objects four respective teams from art middle and high schools, a dance major in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eams. The number of objects was 360. But at last only 303 was used as a sample. The study used as a survey tool the self-reporting questionnaire which was made in order to figure out domestic dancers' general thoughts and actions involved in their participation in a dance.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include questions which ask the motive and reason of participating in a dance. The objects freely answered to write three down about the questions. And then the study classified and categorized collected data following the procedure of the content analysis. It arranged the meaningful data related to the motive of the participation from the original data and integrated them to the more general theme. After that, it used a three-level categorizing method in order to induce factors of the internal and extemal motive. In the procedure of the data analysis, the study utilized the triangulation and made more reliable the classification and categohzation in the spheres of the motive of the participation. There are several results below. First, the results of the content analysis. There were 10 spheres of the motive of the participation induced such as peer persuasion, a taste, the influence of the mass media, physical strength and health, fun and delight, perception, leisure, achievement and position, a bad performance in class and entrance into a school of high grade, a challenge, Of these ten, peer persuasion, a taste, and the influence of the mass media emerged as the most important motive of the participation to dancers, the study objects. Second, the results of the content analysis on the motive of the participation based on the competence. The study reveals that the factors of the internal motive are more important than those of the external motive to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university students. In contrast, the factors of the internal motive are more important to the professional dancers. Third, the results of the content analysis on the motive of the participation based on a major. In the case of a modem dance, peer persuasion and the influence of the mass media are the media of the socialization and the sphere of the external motive. In contrast with other majors, a modern dance is larger influenced by the sphere of the external motive than that of the external motive. In addition, in a modern dance, the sphere of physical strength and health, one of the lower motive, is higher. In a Korean dance the sphere of fun and delight is the highest. However, there is not a big difference of the proportion among the spheres of the motive of the participation based on a major. Therefore, the sphere of the motive of participating sports includes that of fun and delight, physical strength and health, and achievement and position which is not conformable to the upper sphere. Fourth, the spheres induced from the study have already been discovered in the spheres of the motive of the participating sports. The unique sphere of a dance has not been discovered in the study. 본 연구는 국내 무용전공 학생들과 직업무용수들의 수준별(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 프로), 전공별(한국무용, 발레, 현대무용)로 무용에 대한 참여동기를 심층 분석하여 차이점을 밝히고 무용에 있어 고유한 참여동기의 영역이 존재하는지 알아 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대상자들은 서울 소재 예술 중고등학교와 대학교 무용학과 및 직업무용단에서 각 1팀씩 임의로 선정된 360명이였으며 최종적으로 사용된 표본은 303명이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조사 도구는 국내 무용수들의 무용 참여와 관련된 전반적인 생각과 그에 따른 행동을 알아보기 위해 제작된 자기 보고식 질문지(self-reporting questionnaire)이었다. 질문의 내용은 무용에 참가한 이유나 동기를 3가지씩 자유롭게 기입하여 응답하게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내용분석(content analysis) 절차에 따라 분류 및 범주화를 하여 원자료들 중 참가동기와 관련된 의미있는 내용을 분류하고 이를 좀더 일반적인 주제영역(theme)으로 통합한 다음 다시 내/외적 동기 요인으로 도출하는 3단계 범주화 방법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 과정에서 신뢰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참여동기 영역의 분류 및 범주화는 삼각합의 검증(triangulation) 방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내용분석 결과: 주위타자 권유, 및, 매스컴의 영향, 체력/건강, 재미/즐거움, 지각된 유능성, 여가활동, 성취/지위, 학업부진/진학, 도전 등 총 10개의 참여동기 영역이 도출되었다. 이들 중 주위타자 권유, 및, 매스컴의 영향은 본 연구대상 무용수들에게 가장 중요한 무용 참여동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2. 수준별 참여동기 분석결과: 중학생,고등학생,대학생의 경우 내적 동기요소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직업무용수의 경우 외적 동기요소가 높게 나타났다. 3.전공별 참여동기 분석결과: 현대무용의 경우, 사회화 과정의 매개로서 주위타자 권유나 매스컴의 영향 등 외적 참여동기 영역이 내적 참여동기 영역보다 높게 나타나 타 전공과 반대 현상을 나타내었다. 또 하위동기 영역 중 체력/건강 동기영역은 현대무용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재미/즐거움 영역에서는 한국무용이 가장 높았다. 그러나 전공별로 참여동기 영역비율이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으므로 스포츠 참여동기 영역에서의 재미/즐거움, 체력/건강, 성취/지위 영역 같은 상위영역은 일치하지 않고 있다. 4. 본 연구에서 도출된 영역들은 이미 스포츠 참여동기 영역에서 밝혀진 동기영역이므로 무용만의 고유한 영역은 발견되지 않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