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英語의 主語-動詞 위치에 관한 硏究

        유춘희 檀國大學校 1987 국내석사

        RANK : 247807

        本 論文에서는 倒置構文을 古代 및 中世英語와 現代英語로 구분하여 考索하고 文法學者들의 理論에 따라서 觸置의 原因, 種類, 用法, 統辭的 機能, 文醴的 效果, 그리고 制約條件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제II章에서는 文法學者들의 理論을 考寮함으로써 倒置의 原因이 무엇인지를 알아보았다. Otto Jespersen의 語順決定原理, 즉 話者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을 맨 앞에 놓는 原理(The Principle of Actuality), 밀접하게 관련된 생각을 함께 놓는 原理(The Principle of Cohesion ), 文章의 무거운 要素를 주변자리에 더 가벼운 要素는 중앙 가까이에 놓음으로써 文章이 균형을 이루도록 하는 原理(The Principle of Relative Weight), 리듬과 강세, 그리고 否定駱述, 疑間文, 祈騷文임을 알리기 위해서 VS語順을 사용하는 原理는 倒置의 원인이 된다. George O. Curme에 의하면 이외에도 原者나 讀者에게 先行하는 것과의 관련을 알러 주려는 경우(linking inversion), 主題를 일찍 파악하게 해 주려는 경우(sign inversion), 그리고 制限的인 말을 前置시키는 경우 (restrictive inversion)는 倒置의 원인이 된다. 또한 Joseph E. Emonds의 쉼표억양을 일으키지 않는 構成要素를 前置시키는 Preposing Root Transformations도 倒置의 원인이 된다. Proposing Root Transformations 에는 Adverb Proposing, Preposing Around Be,그리고 主語-助動詞 倒覆變形이 있다. 제III章에서는 古代 및 中世英語의 倒置文을 考奈하였다. 古代英語는 엄격한 굴절에 의해서 文法關係를 나타내는 synthetic language로서, 文章內의 각 단어가 명확한 문법기능을갖기 때문에 자유롭게 語順을 變化시켜 여러가지 shade of meaning을 나타낼 수 있었다. 그러나 古代英語의 語順은 자유롭지만은 않아서, 獻述文에서는 S-V-O의 語順을 쓰는 경향이었다. 中世英語는 古代英語의 語順과 비슷하였으나, 굴절이 쇠퇴하기 시작하여 現代英語와 가까와졌다. 그러나 古代 및 中世英語의 *述文에서 倒置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일어난다. 첫째, 古代英語의 다섯 개의 중요한 語順 가운데 하나인 V-S-O에 의해서 前置된 요소 없이 倒置된다. 둘째, 古代英語의 pa(then) (중세영어의 'than')와 'ne(not)'가 前置 될 때 倒置된다. 'pa'의 前置에 의한 倒置는 相互關係의 쌍(pa···pa···)을 갖는 구문에서 主節이 어느 것인지를 결정해 준다. pa가 이끄는 두개의 절들 가운데 하나가 倒置語順을 가질 때, 그것은 主節이다. 세째, 古代英語에서 時間이나 場所의 副詞가 前置 될 때 倒置 된다. 이러한 倒置文의 語順은 X'VS인데, 첫번째 위치는 독창적으로 時間이나 場所의 副詞가 차지한다. X'VS 語順은 主語가 비한정적일 때 흔히 사용되고, 존재를 나타내는 文章의 근원이 된다 中世英語의 경우는 여러가지 副詞가 前置된 倒置文이 있었다. 다섯째, 核心述鄧인 形容詞, 명사보어,또는 目的語가 前置된 倒置文이 많았다. 疑問文은 現代英語와 같을 語順이었고, 讓步, 理由. 條件을 나타내는 從屬節에서도 倒置가 발견되었다. 제IV章에서는 現代英語의 倒置文을 前置된 요소와 文型에 따라 나누어서 고찰하였다. 現代英語는 굴절이 상실된 analytic language로서 構文上 애매한 점이 많기 때문에, 이러한 構文上의 �I옜�대비하기 위하여 語順을 S-V-O 형태로 고정시켰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경우에 倒置가 일어난다. 첫째, 否定語 또는 否定意味의 요소가 前置될 때 倒置가 필수적으로 일어나고, 음조는 文語的인 효과를 갖는다. 또한 從屬相關接續詞는 첫 번째 차이에서 倒置構文과 함께 한다. 'so'와 'neither'도 倒置되며 語順의 차이는 의미의 차이를 보여 준다. 그러나 어떤 否定語句를 갖는 文章은 重意性에 따라서 主語-助勳詞 倒置가 條件化된다는 것을 變形文法의 深層構造를 통하여 고찰하였다. (1) a. John would be happy with no job. b. With no job would John be happy-c. With no job, John would be happy- (la)는 두 개의 深層構造와 관련된다. 하나는 PP가 節附加調인 深層構造로 否定이 narrow scope를 갖는 (IC)의 해석에 일치하는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 PP인 'with no job'이 서술적 형용사인 'happy'의 *語로서 VP에 내포된 漂層構造로 wide scope를 갖는 (1b)의 해석에 一致한다. 둘째, 核心述鄧를 중요하고 생생하게 표현하기 위해서 前置시키는 경우에 倒置가 일어나고, 正常的인 語順에서 벗어남으로써 극적인 *果를 가져온다. 引用된 倒置文의 前置된 核心述部의 要素는 形容詞, 現在分詞 또는 過去分詞, 目的語, 比較를 나타내는 *語 또는 副詞, COMP-요소, 引用文, 場所 및 方向副詞,그리고 時間 등의 副詞가 있었다. 한편, 場所 및 方向副詞가 前置된 構文은 强調와 관련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아래 예문에서 統辭變形인 PP 전치만이 적용된 文章에서는 前置된 요소가 강조되고, PP전치와 文體變形인 主語後置가 모두 적용된 文章에서는 後置 된 主語가 강조된다. (2) a. Out of the house John walked. b. OUt Of the house walked John. 또한 場所나 方向副詞의 전치에 의한 飜置는 代名詞가 主語일 때 일어나지 않는다. 이러한 構文에서 動詞는 位置 및 移勳의 動詞로서 한 단어로 構成되어야 한다. 세째, 모호한 존재 또는 불확실한 어떤 것의 발생을 나타내는 'non-local' there구문은 be동사, 狀態動詞, 發生動詞, 그리고 動作動詞와 함께 쓰이는데, 이때도 主語와 動詞가 倒置 된다. 또한 there 構文의 導出過程의 格文法的인 考*을 通해서 'non-local' there의 기원을 알 수 있었다. 네째, 條件比較 또는 讓步를 나타내는 從屬節과 WH 疑問詞節에서도 倒置가 일어나는데 'if'가 생략된 條件節에서 倒置는 'if'를 대신하는 統辭的 機能을 갖고,한편 此*節에 속하는 'the + 비교급, the + 비교급'의 比例節에서 倒置된 節은 主節이다. 다섯째, 液述文에서 疑間文이 導出되는 과정을 變形文法的으로 考寮함으로써 倒置는 疑問文을 獻述文과 구분해 준다는 것을 考*함으로써 倒置는 疑問文은 끝을 올림으로써 疑間文의 效果를 가져오는데 倒置가 이와 같은 役割을 한다. WH 疑問文의 경우에는 主語가 아닌 Q-要素가 前置되기 때문에 倒置가 일어난다. 附加疑間文은 뿌리節인 航述文으로 倒置된다. 여섯째, 命令文은 강조를 표시할 때와 否定命令文에서 倒置되고 祈願文에서 倒置는 보통진술문과 다르다는 것을 보여 준다. 感歎文에서도 詩와 文彩를 내려는 散文에서 倒置된다. Based in this study, the causes, classificatios, usages, syntactic functions, stylistic effects of, and costraints in the subject-verb inversion in old Engilsh, Middle English, and Modern English can be summarezed as follows. 1. Otto Jespersen's principles of deciding the word order, that is, the principle of preposing the element regarded as important, putting together the thoughts that are related closely, putting the heavy element on the edge of a sentence to make it balanced, and of using the VS word order for emphasis and optatives, tell why the inversion is used. George O. Curme, in additio to those mentioned above, regards the prediction of the connection with what precedes and of the topic and the preposing of restrictive words as a cause of inversion. Joseph E. Emonds's Preposing Root Transjormations also constitute a cause of inversion, and they include Adverb Preposing, Preposing Around Be and Subject-Verb Inversion. In particular, the Subject-Verb Inversion constitutes a cause of inversion in interrogatives, optatives, and tag-questions. 2. Though the word order in Old English and Middle English was less fixed than it is in Modern English, S-V-O word order was inclined to be used in declarative as in Modern English occurred in the following cases. First, the invesion came about without the preposed elements from VSX word order as one of the five main word orders. Second, the inversion in Old English was seen in the preposing of 'pa'(than) (than (then) in Middle English) and 'ne'(not). On the other hand, the inversion of preposing 'pa' has a syntactic function deciding the main clause in the structure having a pair(pa...pa...) of mutual relations. 2. Though the word order in Old English and Middle English was less fixed than it is in Modern English, S-V-O word order was inclined to be used in declarative as in Mordern English. But the inversion in Old English and Middle English occurred in the following cases. First, the inversion came about without the preposed elements from VSX word order as one of the five main word orders. Second, the inversion in Old English was seen in the preposing of " " (then) (then (then) in Middle English) and "ne" (not). On the other hand, the inversion of preposing " " has a syntactic function deciding the main clause in the structure having a pair ( .... ....) of mutual relations. The clause with the inverted word order of the two clauses introduced by " " is the main clause. Third, many invesions in Old English were those of preposing time adverbs and place adverbs. The word order of this inverted sentence was X'Vs word order, which exclusively had time adverbs and place adverbs in the initial position. It was often used when the subject was indefinite. It was also the origin of existential sentence. But many inversions in Middle English were those of preposing various adverbs and nuclear predicates, which are seen in Modern English. Fourth, the inversion was seen in interrogatitve and subordinate clauses of concession, reason, or conditon. 3. The inversion in Modern English has been studied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preposed elements and sentence patterns Modern English has S-V-O word order to make provision for syntactic confusions because Modern English as an analytic language is ambiguous in many cases due to lost inflections. But the inversion in Modern English occurs in the following cases. 3. 1. Negative words or words negative in meaning but not in form preposed for emphasis obligatorily cause inversion, and the accompanied tone difference has a literary and rhetorical effects. Subordinate correlative conjunctions "hardly", "barely", and "scarcely", also constitute a cause of inversion in the first clause, and the inversion with the preposing of "so" or "neither" has a different meaning from the normal word order. On the other hand, the case of preposing negative words in which Subject-Verb Inversion is conditioned by ambiguity has been studied from the angle of transformational grammar. 3.2. The preposing of nuclear predicate to putimportance and life in an expression causes inversion, and brings a dramatic effect because the words are in the unexpected position The nuclear predicate an this case has been found to include adjective, present participle or past participle, complement, or adverbmeaning comparison, comp-element, quotation, place adverb or adverb of direction, and time adverb or other adverbs . Generally, the preposing of an element has been found to be related to emphasis. In the preposing of PP, which is a syntactic trasnformation, only the proposed element Is emphasized . When both the prerosing of PP and the Subject Postposing as a stylistic trarnsformation are applied. postposed subject has been found to be emphasied. But the inversion by means of proposing place adverb or adverb of direction does not occur because of the principle of correlative weight when the subject Is a pronoun. The verb In this construction has to be an Intransitive verb of position or movement, and the verb phrase has to cosist of a single verbword. 3.3 The 'non-local' there inverted construction which has something to do with existence or coming Into extstence, has 'verb be' and 'verb of stance', 'verbs of Inception', and 'verbs of motion'. The origin of 'non-local' there has been traced through the survey of derivational process of a 'there' inversion structure on the basis of case grammar. 3.4. Inversion as made in subor야nate clauses of condition, comparison, or concession and subordinate WH-Interrogative clauses . The inversion in conditional clause from which 'if' is omitted has a syntactic function In place of ‘if’, and the Inversion In proportional clause 'the + comparative the + comparative' meaning comparison has the function to distinguish the main clause from the subordinate clause. 3.5. Interrogatives have been examined on the basis of transformational grammar, and 11 has been found that the inversion distinguished between interrogatives and declaratives. The declarative with the finalrising intonation has the role as an Interrogative. The Inversion In declarative has the same function as the final rising Intonation An declarative. In WH-Interrogative, Inverston occurs with the proposed Q-element which Is not subject . The tag-question as root clause has the Inverted word order. 3.6 Inversion Is used for emphasis and negation Imperatives, for differentiating optatives from declaratives, and for poetry and verses bringing the beautiful color of style In exclamatives . The present writer hopes that this study will make a contribution, even if small, to a further study for those Interested in the subject of Inversion.

      • 주어의 의미 자질에 따른 한국 고등학교 학생들의 과수동화 오류 현상 연구

        정지용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습자들의 과수동화 오류 현상을 주어의 의미 자질에 따라 분석해 보고 그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둔다. 제2언어 학습자들에게서 나타나는 과수동화 오류의 대부분은 비대격 동사(unaccusatives)에서 주로 발생하고 있다(Balcom, 1995, 1997; Hubbard, 1983, 1994; Yip, 1995; Zobl, 1989). 과수동화 오류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 중 하나로 주어의 의미 자질인 유생성(animacy)이 있으며, 기존의 선행 연구는 주어의 유생성이 과수동화 오류 현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주로 집중되어 왔다(Croft, 1995; Ju, 2000; No & Chung, 2006). 본 연구에서는 주어의 의미 자질 중 유생성 뿐만 아니라 무생물 주어 사이에서도 그 정도의 차이를 보이는 주어의 행위자성(Cruse, 1973; Schlesinger, 1995, 2006)이 비대격 동사의 과수동화 오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고등학교 1, 2학년에 재학 중인 68명의 학습자들에게 문법성 판단 실험 평가지를 투입하여 얻어진 과수동화 오류를 주어의 의미 자질인 유생성과 행위자성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주어는 유생성에 따라 사람 주어와 무생물 주어로 나누었으며, 행위자성이 높은 정도에 따라 사람 주어, 자연행위자 주어, 사물 주어 순으로 구분하였다. 동사의 경우 비대격 동사를 Sorace(2002)의 분류에 따라 하위의미군으로 나누어 실험문항을 구성하였다. 주의산만문항의 타동사 수동태 문항 정답률에 따라 상위, 중위, 하위의 세 수준별 집단으로 나누어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생성을 가진 주어가 오는 문장 보다 무생성을 가진 주어가 오는 문장에 과수동화 오류가 더 많이 나타났다. 모든 수준별 집단에서 사람 주어인 문장이 무생물 주어 문장 보다 정답률이 높았다. 둘째, 행위자성이 낮은 주어가 오는 문장일수록 행위자성이 높은 주어가 오는 문장보다 과수동화 오류가 더 많이 나타났다. 상위 집단의 경우 사람 주어와 자연행위자 주어 간의 평균 정답률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응답자들이 사물 주어를 나머지 주어들과 다른 집단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는 상위 집단의 응답자들이 자연행위자 주어의 높은 행위자성에 대해 인식하고 있어 나타난 결과로 추정된다. 중위 집단의 경우 생물인 사람 주어와 무생물 주어 간의 구별은 이루어졌으나, 자연행위자 주어와 사물 주어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중위 집단의 학습자들에게 주어의 유생성에 대한 구분은 가능하지만, 무생물 주어군 내 주어 간 행위자성 정도의 차이에 대한 인식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비롯된 것으로 추정된다. 하위 집단의 경우 평균 정답률의 결과는 행위자성 정도에 따라 가설과 일치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모든 수준별 집단에서 사물 주어가 오는 문장에 대한 평균 정답률이 모든 다른 주어들 중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서 모든 수준의 학습자들이 무생물이면서 행위자성이 가장 낮은 사물 주어가 오는 문장의 경우 과수동화 오류를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비대격 동사의 하위의미군을 위치 변화, 상태 변화, 상태 유지, 상태 존속의 네 가지 의미로 나누어 분석하였을 때, 모든 하위의미군에서 주어의 행위자성 정도에 비례하여 정답률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주어의 의미 자질인 유생성과 행위자성이 한국 고등학교 학생들의 과수동화 오류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생물 주어나 행위자성이 낮은 주어가 오는 문장의 경우, 학습자들이 동사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수동태를 만드는 과수동화 오류를 발생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

      • 주어 생략의 한중 번역 연구 : 인터넷 신문을 중심으로

        예흔이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고는 한국어 인터넷 신문을 중국어로 번역한 구문에 대해 분석하면서 번역 전략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여러 학자들의 기존연구를 바탕으로 본고에 적용할 수 있는 주어 생략의 개념과 정의를 검토하였다. 또한, 한중 일반 주어 생략 유형도 제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의 국제 분야 각 100편(2017.07∼2018.03)과 대응하는 중국어 공식 번역문을 포함하여 총 400편; 중국 신문사인 <인민일보>국제 분야 100편(2017.07∼2018.04)을 대상으로 한중 인터넷 신문에서 나타나는 주어 생략 유형을 연구하였다. 한중 인터넷 신문에서는 모두 '후주어 생략', '전주어 생략'과 '주어 1인칭 생략'이 있으며 '후주어 생략' 유형이 가장 많이 나타난 공통점이 있다. 반대로 둘의 차이점은 첫째, 한국어에는 '문단 주어 생략' 유형이 있는데 중국어에는 없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둘째, 중국어에는 '전후 주어 생략' 유형이 있지만 한국어에는 없는 것으로 나왔다. 셋째, 중국어에는 발화자 발언을 직접 인용하는 문장이 거의 없기 때문에 '주어 1인칭 생략'은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으로 나왔다. 또한,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에서 나타나는 주어 생략 현상의 출현 빈도를 비교했는데, 그 결과는 비율이 거의 비슷하다는 것이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한국어 신문의 주어 생략 유형에 따라 중국어로 번역할 때 사용하는 유형 및 비율을 분석하여 번역 기준을 제시하였다. 인터넷 신문체에서의 주어에 대해서 한국어를 중국어로 번역하는 방법이 두 가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① 주어 생략 가. 원문 주어 생략 유형과 일치한 번역 나. 원문 주어 생략 유형과 반대로 된 번역 ② 주어 추가 번역방법에 대해 분석한 뒤 번역 조건 즉 전략에 대해 연구하였다. 그 중에 '후주어 생략'을 '전주어 생략'으로 번역된 문장들은 '후주어 생략'으로 번역 가능한 것으로 나왔다. '전주어 생략'인 문장들은 대부분은 '후주어 생략'이나 '전주어 생략'으로 번역하는 것이 가능하다. 중국어에서는 나타나는 '전후 주어 생략'유형은 한국어에서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언급하지 않았다. 그리고 한국어에서만 나타나는 '문단 주어 생략' 유형은 <인민일보>에서 나타나지 않았지만 한중 인터넷 신문 번역 시 '문단 주어 생략'으로 번역하거나 앞 문장에서 확인하며 주어를 추가하는 방법으로 번역할 수도 있다. In this paper, we sought to develop a translation strategy by analyzing the syntax of a Korean internet newspaper translated into Chinese. Based on the existing research of various scholars, the concept, definition, and application of “subject omission” in these papers ,were examined. Furthermore, the standard types of Korean and Chineseof “subject omission” are presented. Based on this, a total of 400 titles including Chinese official translations corresponding to 100 pieces (2017.07 -2018.03) of the international field of <THE CHOSUN ILBO> and <HANKYOREH> were analyzed. Additionally,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types of “subject omitted” in Korean – Chinese internet newspapers for the 100th international section of <the People 's Daily> newspaper (July 27, 2014-2017). In the Korean and Chinese internet newspapers. there are three common types: ‘omission before the subject’, ‘omission after the subject’, as well as ‘subject-first person ellipsis’.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is that first, there is a type of 'abbreviated with paragraphs' in Korean. Second, there is a type of ‘abbreviated’ in Chinese, but not in Korean. Third, ‘abbreviated first person’ is uncommon in Chinese, because there are few instances which directly quote the speaker’s utterance. In addition, I compared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the “subject omitted” phenomenon in the Chosun Ilbo and the Hankyoreh Shinmun, which yielded similar results. Based on these observations, we analyzed the types and ratios used in the Chinese transl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subject omitted in Korean newspapers and suggested the translation standards. We can see that there are two ways to translate Korean into Chinese for subjects in Internet newspapers. ① Omission of subject a. Translations that match the type of the original sentence omitted b. Reverse translation of original sentence abbreviation type ② Addition of subject After analyzing the translation method, the translation condition or strategy was studied. Through this research, we have found that if the subject is omitted, in Korean it can be “omission before the subject” or “omission after the subject”. Likewise, “omission before the subject” can be translated as “subject that precede the ellipsis” or “subject that follows the ellipsis.” The ‘after-subject omitted’ type in Chinese was not discussed, because It does not appear in Korean. In addition, the type of "paragraph omitted abbreviation” that appears in Korean only has not appeared in the People’s Daily, but it can also be translated as “paragraph abbreviated abbreviation” when translating Korean-Chinese internet newspapers, or it can be verified in the previous sentence through added subject.

      • 한중 주어 번역 연구

        주선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subject plays a critical role as it is an essential component that forms the basis of all sentences and utterances. In principle, no matter how simple a sentence is, it should have a subject and a predicate. On the contrary, no matter how complex a sentence is, it expands under the framework of the subject and predicate. Similarly, the proper use of the subject can significantly impact the whole sentence in translation. Suppose the omitted subject is incorrectly restored. In that case, the original text's meaning may be damaged. Alternatively, if the subject is used in a case where it is natural to omit it,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sentence becomes awkward. This study aimed to quantify the usage trends of Korean and Chinese subjects, analyze their patterns for proper subject translation, improve the quality of translation, and examine what types of translation methods are used in actual Korean-Chinese subject translation. In Chapter 2, linguistic considerations and translation theory were reviewed. Linguistic consideration is about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Chinese subjects. It is an essential basis for statistical analysis in Chapter 3. In particular, the subject of Chinese has been constantly debated since ancient times, and different scholars have different view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know its setting and scope first.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subjects of Korean and Chinese do not always match through the example sentences. Equivalence, the core of translation, has been reviewed, and various translation methods have been examined to achieve equivalence. In addition, the evaluation process of verifying the quality of translated texts was also examined. In Chapter 3, corpus statistics for subject translation were processed. Multilingual corpus, bilingual corpus, parallel corpus, and comparable corpus can be used in translation studies. In Many of the previous studies, only one type of the mentioned corpora was constructed and analyzed. In order to achieve a more effective and comprehensive consideration of the usage trends of Korean-Chinese subjects, this study included the analysis of three corpora. The bilingual corpus consists of the original text Korean and Chinese, and the parallel corpus consists of Korean-Chinese and Chinese-Korean parallel text. The comparison corpus consists of a Korean comparison corpus (i.e., Korean original text and Korean translation text) and a Chinese comparison corpus (i.e., Chinese original text and Chinese translation text). In Chapter 4,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n Chapter 3, qualitative analysis was mainly conducted on sentence units, subject omissions, and actual use of subjects. First, to examine the asymmetry of sentence unit divisions, the difference in the actual use of Korean full stop and Chinese full stop was examined. According to the results, when dividing linguistic units based on a period mark, Korean sentences overlap Chinese clauses and sentences. Second, before dealing with subject omission, the conditions and functions of omission were examined. Third, due to examining various types of omission as examples, the two languages ​​have in common that the omission becomes more difficult as the distance increases. However, it was revealed that the omission between sentences in Korean is more natural than in Chinese because the pause of the Korean full stop is shorter than that of the Chinese one. Finally, the paper examined the cases of plural subjects, pronoun subjects, and noun phrase subjects in the actual use of subjects. In Chapter 5, the translation method of Korean subjects was derived and organized by examining the translation cases of professional translators. Methods such as correspondence, substitution, conversion, omission, and deletion are presented when the Korean subject appears in the surface structure. Methods such as correspondence, addition, deletion, conversion, and substitution are presented when the subject does not appear in the surface structure. Overall, it showed that the corresponding translation is used the most. However, as discussed in chapters 2 to 4, the composition of the Korean and Chinese subjects does not wholly match, and the frequency of subject omission and the preferred subject structure in actual use are different. Therefore, conversion, substitution, addition, omission, or some sentences in the translation are different.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such as the deletion of components, inevitably occurs frequently. Chapter 6 first looked at inappropriate cases calculated by excessive literal translation without considering the differences in subject usage of the two languages. It then examined the specific handling of four situations: multiple subjects, long tubular subject, noun phrase, and ' i-da(이다)' phrase. As described above, quantitative statistics and qualitative analysis were conducted for proper Korean-Chinese subject translation, and the translation method was derived through actual translation cases. In order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subject usage trends of the two languages, this study attempted to construct three types of corpus. Although the size of the constructed corpus has a limitation, it was possible to examine Korean and Chinese usage characteristics and tendencies from various ang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found not only in the field of translation but also in translation education. Inappropriate subject translation can cause problems such as errors, translationese, and mistranslations. In particular, even a professional translator cannot entirely escape from the translationese problem.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the two languages and the proposed translation methods examined in this paper can help translators tackle the translationese problem of subjects. Although this study only focused on the Korean-Chinese subject translation, statistical results for both languages ​​and analysis results of linguistic characteristics can be applied to Chinese-Korean subject translation.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research results will be used as valuable data for translation learners, translators and researchers in translation studies.

      • 中國語와 韓國語의 主語 比較 硏究

        김광호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学习中文的韩国人非常自然地使用着"主语""谓语""宾语""定语""状语""补语"等术语。当然韩文中也有着与此相等的专用名词。但是中文资料的韩文翻译本中我们常常会发现以上术语在翻译上的不一致现象我们不禁会问"为什么会出现这样的情况呢?""中文的语法术语与韩文的语法术语不一样吗?""中文的主语是按照什么进行定义的?""韩文的主语和中文的主语又有什么样的差异?""按照同一概念定义的用语在中文和韩文中为什么会不一样呢?"等等。 我们根据词的语法功能将词分为"名词""代词""动词""形容词""数词""量词""副词"等种类。我们首先对"中文翻译成韩文时做主语的词类是否一致?"这一问题进行了比较考察。按照词组的内部结构我们将词组分为"主述结构""述宾结构""偏正结构""述补结构"。这些词组在担当主语时,中文、韩文在意义上,内部结构上是否相对应是我们进行的第二个比较研究问题。按照主语的语义我们分出"施事主語""受事主語""結果主語""对象主語""系事主語""原因主語""材料工具主語""處所主語""時間主語"等类型。本论文中将以上部分翻译成韩文并进行了对应对比,以观察两者是否一致。最后对語用層面的话题定义,话题与主语间的关系进行了整理,并根据这些标准对韩文与中文中的话题一致性,主语和话题间的一致性,不一致时的差异等问题进行了比较研究。最后得出了以下结论。 通过对主语的定义考察, 我们可以知道, 中文里行动者与行为之间的关系并不能成为主语的判断标准。这一点与韩国语中把动作或者情况变化的主体定义为主语的判断标准有着明显的不同。 通过对动词谓语句中的主语担当品词和词组的考察, 我们可以知道,中文主要是根据语序进行主语判断, 因此中文的主语品词和词组与韩文时而相对应, 时而不相对应, 不能形成统一的对等关系。 我们根据语义和成为主语的条件进行考察,可以知道中文的主语类型中,与韩文相一致的类型有施事主语, 受事主语(被动句), 結果主语(被动句), 系事主语以及原因主语。中文中的主语判定标准是以句子中的谓语为基点,根据语序进行判断。因此即使与谓语无直接关系的句子成分也能因为在句中的位置被判断为主语。 语用学平面的主题与句法平面的主语是不同平面的概念,因此对中文的主语判断标准没有产生影响 문장 분석을 할 때 ‘主语’, ‘谓语’, ‘宾语’, ‘定语’, ‘状语’, ‘补语’등은 가장 기본적인 성분으로 인식되며 중국어와 한국어에 모두 존재하는 술어 명사이다. 중국어는 기본적인 동사술어구문의 어순이 ‘S+V+O’이고, 한국어는 ‘S+O+V’로 서로 다르다. 전체적인 어순은 다르나 중국어의 주어와 한국어의 주어는 같은 위치에 놓인다. 같은 위치에 놓이는 주어는 서로 대응이 되는가? 중국어 문장을 번역하다 보면 중국어의 주어와 한국어의 주어는 대응하는 것도 있고 대응하지 않는 것도 있음을 누구나 경험하게 된다. 어째서 대응하지 않는가? 본 논문은 중국어 문장과 이에 대응하는 한국어 문장의 인식에 있어 중국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입장에서 상기 용어를 표현상의 동일함으로 중국어와 한국어에 혼용해 적용하여 생겨나는 모순의 이유를 고찰하였다. 主語에 대한 정의 고찰을 통하여 행위자와 행위의 관계가 주어 판단의 기준이 아님을 알 수 있었고, 동작이나 상태변화의 주체를 주어로 해석하는 한국어와 다른 기준을 갖고 있음을 고찰하였다. 중국어의 동사성술어문에서 주어가 되는 단어(詞)의 품사와 구(詞組)를 주로 비교하였다. 중국어는 어순에 의해 주어를 판단하기 때문에 주어의 品詞와 주어 句는 한국어와 대응되기도 하고 대응되지 않기도 하며, 문장의 의미상 내용보다 먼저 형태적 특징인 어순을 주어 판단 기준으로 적용하기에 한국어와 일관된 대응이 이루어지지 않음을 고찰하였다. 중국어 주어의 類型 중 한국어와 의미(語義)및 주어의 조건이 부합하는 類型은 施事主語, 受事主語(被動句), 結果主語(被動句), 系事主語, 原因主語이다. 중국어는 주어의 선택 기준이 문장에서 술어를 기점으로 어순에 의거하기에 술어와 직접적인 관계가 아닌 성분도 위치에 의해 주어로 판단함을 고찰하였다. 담화화용층위의 주제 개념은 층위를 달리하여 판단하는 개념으로 중국어의 주어 자격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고찰했다.

      • 영어 생물주어와 무생물주어의 한국어 번역유형 비교

        김명애 부경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how to translate animate and inanimate subjects of English transitives into Korean. I examine how English transitives change according to animacy and transitivity when Koreans translate them from English into Korean. For this study, Reader's Digest's issues 80 through 85 as parallel studies were used. 52 sentences, which have inanimate subjects of English transitives, were examined. In addition, 52 sentences including animate subjects were extracted in order to make a comparison to the 52 sentences including inanimate subjects. Animate subjects of English transitives were selected from the script, which were originally founded from subjects of English transitives. The reason is to prevent alterative translation, according to the unique style of each translator. Animate and inanimate subjects a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first group includes subjects that translate into subjects. The second group includes subjects that translate into non-subjects. Two groups should classify animate subjects of English transitives the first group includes subjects that translate into subjects. The second group consists of when translators omit translation of subjects in the sentences. Four types divide inanimate subjects of English transitives; the type including natural things, the type revealing an institution, the type having a covert agent, and the type describing inanimate things. Higher animacy of subjects and more accurate subjects translate into subjects, and transitive verbs translate into transitive verbs. On the other hand, in a case where subjects have lower animate subjects, they translate in two groups; one type includes transitive verbs that have the lower transitivity translate into transitive verbs. The other type includes transitive verbs that have the higher transitivity translate like this; any factor which is related to animacy in the sentence is translated into subject or transitive verbs is changed into intransitive verbs.

      • 러시아어 무인칭문의 주어 자질 분석

        박혜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인간은 언어 외적 상황을 언어적으로 해석하고자 할 때 주어라는 보편적 범주를 사용한다. 주어는 다면적인 개념으로 기능에 따라 문법적 주어, 의미적 주어, 심리적 주어로 나눌 수 있다. 러시아어에서 주어는 통사적 개념인 문법적 주어와 일치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 둘의 불일치가 빈번히 발생한다. 즉, 문법적 주어가 술어의 보유자가 아니거나 사격 형태의 의미적 주어로 술어자질의 보유자를 표현하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러시아어에서는 판단 요소인 주어를 표현하는 방법으로 문법적 주어를 포함한 사격주어까지 고려하여 주어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격주어이자 의미적 주어인 무인칭문의 주어 자질을 분석하고자 한다. 먼저, 주어의 원형적 자질을 모색하기 위해 필모어의 격문법과 키난의 주어자질목록을 살펴보았다. 이 중 키난은 기본문장과 기본주어를 설정하고 주어가 가진 일관적인 자질들을 주어자질목록으로써 제시하였다. 주어자질목록은 여러 언어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주어의 자질을 수집했기 때문에 보편성을 지향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키난의 주어자질목록을 의미적 주어 분석을 위한 주어의 원형적 자질로 선정하였다. 첫째, 주어는 문법적 일치를 위해 동사를 지배하며 자동사 문장에서 주어는 격을 부여받지 않는다. 이를 지배성과 격 비부여성으로 명명한다. 둘째, 자율지시성으로 주어는 자신과 동일하게 지시하는 대상을 대명사나 재귀대명사를 통해 대용형으로 대체한다. 셋째, 주어는 화·청자가 알고 있는 구정보인 주제로서 동사에 선행한다. 넷째, 주어의 의미역은 동사에 의해 결정되며 주어의 의미역은 일반적으로 행위자이다. 또한 무인칭문의 의미적 주어만이 가지는 부정성이라는 독특한 자질이 있다. 이는 부정문을 표현하는 무인칭문의 의미적 주어에서 찾을 수 있다. 인칭문으로 표현된 부정문에서는 주어의 형태와 의미가 긍정문의 주어와 동일하게 유지된다. 그러나 무인칭문에서는 주어의 형태가 사격으로 변화하며 의미적으로도 대상 그 자체만을 강조하는 변화가 생긴다. 이처럼 주어의 원형적 자질에 입각해 무인칭문의 의미적 주어를 비교 및 분석해 봄으로써 의미적 주어 자질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 主語의 槪念에 關한 硏究

        송광기 建國大學校 大學院 1988 국내석사

        RANK : 247807

        Comme bien des linguistes l'ont de´ja` remarque´, le sujet est un terme difficile a` de´finir. Me^me si la notion de sujet s'emploie presque universellement dans la description des langues, it semble impossible d'en donner une definition universelle englobant tous les types de sujet qui se manifestent dans toutes les langues du monde. Un tel proble`me est apparu dans toutes les the´ories des langues. Le but de'notre e´tude est donc d'examiner la notion de sujet dont les lingnistes parlent beaucoup, mais duquel les de´finitions restent encore ambigue¨s. D'abord, La grammaire traditionnelle de´finit le sujet en se re´fe´rant, d'une manie`re ge´ne´rale, aux crite`res grammaticaux, psychologiques, et logiques. A cause de tels crite`res polyse´miques, la grammaire traditionnelle n'etablit pas le crite`re universel et ge´ne´ral de la notion de sujet. En outre, La notion de sujet se traitant a` partir des mots-cl'es tels que "point de depart de 1'enonce, ce dont on dit, valeur grammatical, place, acteur de l'action, etc", it est difficile d'etablir les crite`res universels. Deuxie`mement, au point de vue de grammaire ge´ne´rative, la notion de sujet , par opposition a` la notion SN, de´signe une fonction grammaticale et non une cate´gorie grammaticale. Il s'sgit, en d'autres termes, d'une notion intrinsequement relationnelle. Autrement dit, les notions fonctionnelles telles que sujet, pre´dicat, doivent e^tre soigneusement distinguees des notions categorielles telles que syntagme nominal, verbe. En un mot, a`partir de la regle syntagmatique "P→SN + SV", la grammaire ge´ne´rative definit le sujet comme[SN, P]. Mais une telle notion de sujet n'est pas non plus une condition satisfaisante. Depuis lors, Fillmore, critiquant la de´finiton chanskyenne des fonctions (les fonctions sont de´fnies par les postions relatives des e´le´ment dans 1'arbre syntagmatique qui represente la structure profonde,) pretendait que la structure de base des langues se constituait d'un verbe et d'une serie d'e´le´ments nominaux portant 1'e´tiquette de leur ro^le qu'on appelle leur cas. D'apres lui, la notion de sujet n'existe pas a une telle structure casuelle, structure profonde, mais it faut laisser a` la surface les notions de sujet, objet, etc, qui sent des notions grammaticales. Dans ce contexte, soulignant 1'insuffisance et 1'inadequation de toutes les solutions de´ja` proposee´s, Martinet definit le ≪sujet≫ comme le comple´ment obligatiore des pre´dicats verbaux, C'est-a`-dire, le ≪sujet≫ est, d'apres lui, 1'e´le´ment qui accompagne le verbe predicatif dans les e´nonce´s normaux. Comme nous 1'avons examine jusqu'ici, le sujet est une notion difficile a´ expliciter en quelques mots. Cette complexite´ semble etre du essentiellemt aux trois facteurs suivants; 1) la polyse´mie du terme de sujet lui- meme et. la diversite´ d'identification de sujet. 2) la varie´te´ des niveaux d'analyse. 3) la diversite´ des langues. Pour re´soudre cette complexite´ de la notion de sujet, nous avons propose´ une se´rie de faits suivants; 1) attacher de l'importance a sujet comme notion grammaticale, et utiliser facteurs secondaires les sujets telles que sujet logique, sujet psychologique, sujet profond, sujet de surface etc…. 2) attacher de l'importance a`la simplification en tant que syntaxe, et se servir secondairement du critere se´mantique, morphologique. 3) reconnaitre une communaute´ parmi langues individuelles d'une part et conside´rer la diversite´ des langues d'autre part.

      • 영어 주어-동사 도치 구문에 관한 코퍼스 기반 연구

        서아리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nglish Subject-Verb Inversion(SVI) in terms of syntactic complexity and information status based on a personally built corpus. This study also attempts to examine SVI with regard to the genres of novels and newspapers, the differences between British and American English, the diachronic changes from 1900 to 2019,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rbs. The corpus includes two subcorpora, i.e. the novel subcorpus and the newspaper subcorpus, amounting to approximately 600,000 words of English in total. For the analyses of SVI in different regions and periods, this study only uses the newspaper subcorpus because of representativenes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is study revealed that both syntactic complexity and information status influence word order in English, in that most cases of SVI in the corpus were post-heavy and post-new, which means that an element of heavy weight or new information tends to be located toward the end of a sentence. In terms of genres, more cases of SVI were identified in the novel subcorpus. It also identified that more cases of SVI were used in British English than in American English and that there was a diachronic decline in the use of SVI from 1900 to 2019 in both dialects. It was also revealed that most of the verbs found in the SVI construction were be or intransitive verbs.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es that SVI is in correlation with syntactic complexity and information status. In addition,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re are different frequencies of SVI in the genres and in the dialects of British and American English with a diachronic decrease. Furtherm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rbs used in the SVI construction indicate that they are informationally light without representing new information. However, it is acknowledged that the corpus size of this study is small compared to other corpus-driven studies. It is due to the fact that no existing corpus can be used for the current study, which aimed to identify SVI, and that the corpus had to be compiled and analyzed manually. Therefore, it is required to increase the data size of the corpus for future research. Moreover, this study only focuses on written texts, so it is necessary to include spoken texts for a comparative analysis of written and spoken texts. 본 논문은 연구자가 직접 구축한 코퍼스를 기반으로 영어 주어-동사 도치 구문을 통사적 무게와 정보성의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영어 주어-동사 도치 구문이 소설과 신문 장르에 어떻게 나타나는지, 영국 영어와 미국 영어에서 사용상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더 나아가 1900년도부터 2019년도까지 통시적인 변화와 주어-동사 도치 구문과 나타나는 동사의 특성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본 연구의 코퍼스는 두 개의 하위 코퍼스인 소설과 신문 기사로 되어있으며, 약 60만 단어로 구성이 되어있다. 영어 주어-동사 도치 구문의 사용 지역별, 통시적 분석은 연구 결과의 대표성 문제로 신문 코퍼스만 사용하여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코퍼스에서 나타난 대부분의 주어-동사 도치 구문들이 후치 요소가 무겁고 신정보라는 점에서 통사적 복잡성과 정보성 두 가지 요소 모두가 어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하면, 통사적으로 무겁거나 정보적으로 새로운 요소는 문미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장르별 차이를 살펴보면, 소설 코퍼스에서 더 많은 주어-동사 도치 구문이 발견되었다. 또한, 사용 지역별 연구에서는 미국 영어보다 영국 영어에서 더 많은 주어-동사 도치 구문이 사용되었고, 통시적인 분석에서는 1900년부터 2019년까지 두 지역 모두에서 주어-동사 도치 구문의 사용이 감소하는 현상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주어-동사 도치 구문에서 발견된 대부분의 동사는 be 동사 또는 자동사였다. 본 연구는 통사적 복잡성과 정보성이 서로 상관관계에 있고, 주어-동사 도치 구문 사용이 장르와 지역별로 차이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주어-동사 도치 구문은 통시적으로는 계속 감소하는 현상을 보이고, 주어-동사 도치 구문에서 사용된 동사들은 정보적으로 가볍다는 결과도 얻었다. 하지만 본 연구의 코퍼스는 다른 코퍼스를 기반으로 한 연구들과 비교하였을 때, 코퍼스의 크기가 작다는 한계점이 있다. 이는 도치 구문을 검색하는 기능을 가진 코퍼스가 거의 없기 때문에 수작업으로 자료를 모으고 분석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추후의 연구를 위해 코퍼스 데이터를 좀 더 크게 만들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문어체에만 국한되어 있는데 후속 연구에서는 구어체도 포함하여 문어체와 구어체의 사용을 비교하여 분석하는 연구도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