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의 개념도 연구

        박진희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개념도를 활용하여 밝히고, 그 중요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이 지각하는 유아 인성교육에 대해 보다 현실적이고 참여자의 관점에서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그들의 인식구조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는 개념도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의 개념도는 어떠한가? 둘째, 유아 인성교육 관련 요인들에 대한 교사들이 지각하는 중요도는 어떠한가?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의 개념도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10명을 대상으로 면접을 실시하여 총 196개의 아이디어 진술문이 수집하였다. 추출된 전체 아이디어 진술문을 분류 가능하도록 통합․편집하는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51개의 진술문으로 축약하였다. 최종 진술문은 다시 10명의 개념도 작성 참여자들에게 분류하도록 하고, 설문조사 참여자 294명에게 각 진술문의 중요도에 관해 지각 정도를 평정하는 과정을 거쳤다. 분류 결과를 토대로 다차원 척도 분석과 위계적 군집분석을 이용하여 2개 차원과 5개 군집으로 이루어진 개념도를 도출할 수 있었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인성교육에 대해 교사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다차원 척도 분석 결과 차원은 두 가지 차원으로 나타났으며, 위계적 군집 분석 결과 군집은 5개로 나타났다. 둘째, 개념도에 나타난 유아 인성교육에 대해 교사가 지각하는 인식의 차원은 X축 선상의 왼쪽에는 덕목차원과 오른쪽에는 실행차원으로 볼 수 있으며, Y축 선상의 상위영역에는 환경차원으로, 하위영역에는 개인차원으로 나타났다. 군집1(성인의 역할 강조)은 덕목-환경 사분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인성교육은 특히 유아를 둘러싼 인적환경 즉 부모와 교사의 모델로서의 성인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인식을 나타낸다. 군집2(습관을 통해 개발되는 인성)는 덕목-개인 사분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인성교육은 하루아침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매일 지속적, 반복적으로 실천하여 유아에게 좋은 인성이 습관화되어 내면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을 나타낸다. 군집3(더불어 살아가기 위한 품성의 기초를 형성하는 교육)은 덕목-환경 사분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인성교육은 유아 자신에 대해 긍정적인 자아감을 형성하고 남을 배려하면서 예절을 지키며 공동체 의식을 함양함으로써 더불어 살아가기 위한 품성의 기초를 형성하는 교육이라는 인식을 나타낸다. 군집4(전문성 발휘를 위한 제도적 지원)는 실행-환경 사분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아 인성교육의 실행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인성교육을 위한 구체적인 지도방법에 관한 연수나 인성교육 시 활용할 수 있는 자료나 교재 및 교수방법의 개발․보급, 관련도서 및 교구지원 즉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나타낸다. 군집5(교수실행 및 전략)는 실행-개인적 사분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인성교육을 어떤 특정시간을 정해놓고 집중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아니라 생활하는 모든 시간과 공간 속에서 자연스럽게 습득되도록 반복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유아의 자발적인 참여가 이루어질 때 교육의 효과가 있다. 특히, 이야기 나누기, 동화 들려주기, 그림책을 이용한 활동 등으로 인성교육을 극대화할 수 있는 교수실행 및 전략이 중요하다는 인식을 나타낸다. 셋째,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중요도 인식을 평정한 결과를 살펴보면 5개 범주 중에서 ‘성인의 역할 강조(M=4.45)’로 유아 인성교육 관련 범주 중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인 문항에 대한 중요도 인식을 살펴보면, 50번 문항 ‘인성교육은 배려, 존중, 자아 존중감, 협력, 효, 예절, 질서, 책임감, 사랑, 감사, 나눔, 경청 등의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M=4.56)’와 37번 문항 ‘부모 인성교육도 필요하다(M=4.56)’를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9번 문항 ‘게임을 통해 인성교육을 하는 편이다(M=3.06)’와 9번 문항 ‘인성교육을 수업으로 풀어내기가 어렵다(M=3.20)’를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질적인 방법과 양적인 방법을 함께 사용하는 개념도 방법을 활용함으로써, 실제로 유아 인성교육에 대해 교사가 어떻게 인식하는지, 유아 인성관련 요인들 중 무엇을 가장 중요하게 지각하고 있는지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추후 유아 인성교육의 실행력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이나 제도적 지원 계획에 적극 활용될 수 있으며, 척도 개발 시 구성요소를 채택하는데 참고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figuring out perception of teachers on education of child's personality development using concept mapping and demonstrating its importance. For this, this study uses concept mapping to visualize teachers' structure of perception in order to understand education of child's personality development perceived by teachers in more real participant's perspective. To achieve thi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how is concept mapping of teachers' perception on child's personality education? Second, how is significance perceived by teachers on factors relevant to child's personality education? To know concept mapping of teacher's perception on education of child's personality development, procedure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10 teachers who work in kindergartens and nursery schools in Busan participated in interviews and 196 statements of ideas were collected in total. The entire extracted statements of ideas passed through integrating and editing process for categorization, and finally, they reduced to 51 statements. For the final statements, 10 participants who composed concept mapping were assigned with categorization, and 294 participants evaluated importance of each statement. Based on the categorization, using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the results was concept mapping with 2dimensions and five clusters. The specific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imensions of perception of teachers on education of child's personality development in concept mapping, showed virtue in left and performance in right, respectively, in X-axis, while environmental factor was in upper area and personal factor was in lower area, in Y-axis. Cluster 1(emphasizing adult's role) is located virtue-environmental quadrant. For education of personality development, especially, human environment around a child, adult's role as model of parent and teacher is perceived as important. Cluster (Personality developed by habits) is located in virtue-personal quadrant. For education, teachers perceive that it should be continuously and repeatedly practiced, not made in a day, to make children accustom themselves to good personality and internalize it. Cluster 3 (Education for foundation of personality to live together) is located in virtue-environmental quadrant. Teachers perceive that personality education is to form foundation of personality to live together by forming positive selfhood for a child oneself and, caring others, observing etiquettes and raising communal sense. Cluster 4 (Institutional support for practicing professionalism) is performance-personal quadrant. To raise performance of education of child's personality development, teachers think that training about specific guideline for personality education, resources, manuals and teaching methods used in it, should be developed, distributed and related books and materials should be supplied, as institutional supports. Cluster 5 (Teaching performance and strategies) is located in performance-personal quadrant. Teachers perceive that personality education should be repeated in order to acquire naturally in every ling time and space, not to concentrate in some specific time. And there is educational effect when a child participates in it volunteerly. For this, they feel that teaching performance and strategies to maximize personality education through sharing stories, telling fairy tales,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are important. Third, teachers' perception on importance on education of child's personality development was evaluated in 5 categories as follows: 'Emphasizing adult's role'(M=4.45) was perceived as most important among categories related to education of child's personality development. For perception of importance on specific questions, Item 50 'Personality education includes care, respect, self-respect, cooperation, respect for parents, etiquettes, order, responsibility, love, gratitude, sharing and listening carefully.'(M=.56) and Item 37 (Parental personalty education is also required'(M=4.56) were perceived as most important. Item 19 "Likely to educate personalty by game'(M=3.06) and Item 9 'Personality education is difficult to resolve by class.'(M=3.20) were considered as relatively less important. This study confirms that how teachers perceive education of child's personality development and which factor related to child's personality is most recognized as most important by using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together. These results can be used for developing teacher's training program or institutional supporting plan to raise performance of education of child's personality development in future. It may be utilized as a reference to select compositional elements when developing scales or index, as well.

      • 사립유치원 교사 전문성 관련 변인의 탐색 : 구조분석 및 심층면담의 혼합연구방법으로

        류덕연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luralistic effects on the professionalism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various mixed methods inquiry. The subjects of the quantitative study were 412 homeroom teachers working at private kindergartens in D city, and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the professionalism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rganizational culture, sincerity leadership of the director, and teacher commitment.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ath analysis and the Sobel test method. Subjects of the qualitative study were 12 teachers from private kindergartens located in D city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ranscribed data from the qualitative study were analyzed and classified around themes connected to the quantitative study.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study in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when examining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private kindergartens, both the sincerity leadership of the director and teacher commitment directly affect the professionalism of kindergarten teachers. Second, results indicated that the sincerity leadership of the director had a direct effect on teacher commitment. Third, when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private kindergartens and the professionalism of kindergarten teachers, the sincerity leadership of the director and teacher commitment were found to have mediating effects, respectively.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private kindergartens and the professionalism of kindergarten teachers, sequential mediation effects of the sincerity leadership of the director and teacher commitment appear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qualitative study,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were searching for the meaning of their professionalism in the process of role performance and peer teachers in the kindergarten played a decisive role in their professional growth. The culture of private kindergartens experienced by the participating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 leadership of the director were interrelated both positively and negatively based on their professionalism. Kindergarten teachers were struggling to practice play-centered practice, which was perceived difficult to apply given the reality of private kindergartens.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s were debating about ways to link their personal lives with their professional lives and how to put them into practice. Results of this mixed-method study imply that continuous attention to the improvement of the professionalism of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and support for their voluntary commitment are necessary. In addition, results suggest that training programs based on the needs of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should be provided, since the professionalism of kindergarten teachers is not fixed but continually changing.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전문성에 미치는 다원적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혼합연구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양적 연구대상은 D시의 사립유치원에 재직 중인 담임교사 412명이며 유아교사의 전문성, 조직문화, 원장의 진정성 리더십, 교사헌신에 대한 설문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경로분석과 Sobel 검증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질적 연구대상은 D시의 사립유치원 교사 12명이며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질적연구 자료는 전사된 자료를 분석하며 양적연구의 주제와 연계된 내용을 주제별로 분류하여 범주화하였다. 본 연구의 양적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립유치원의 조직문화, 원장의 진정성 리더십, 교사헌신이 유아교사 전문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립유치원 원장의 진정성 리더십이 교사헌신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립유치원의 조직문화와 유아교사 전문성 간의 관계에서 원장의 진정성 리더십과 교사헌신이 각각 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립유치원의 조직문화와 유아교사 전문성의 관계에서 원장의 진정성 리더십과 교사헌신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질적 연구결과에서 사립유치원 교사는 역할수행 과정에서 전문성의 의미를 찾아가고 있었으며, 유치원의 동료교사는 유아교사의 전문성 성장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었다. 연구에 참여한 유아교사가 경험하는 사립유치원의 문화와 원장의 리더십은 유아교사의 전문성에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에서 연계되어 있었다. 유아교사는 사립유치원 현장에 적용하기 어렵다고 인식되는 놀이중심을 실천하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었다. 면담에 참여한 사립유치원 교사들은 개인의 삶과 유아교사의 역할을 연계할 방안을 고민하며 실천하기 위한 계획을 하고 있었다. 혼합연구의 결론을 통해 사립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관심과 유아교사의 자발적인 헌신을 위한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아울러 유아교사의 전문성은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변화되므로 사립유치원 교사의 요구를 기반한 연수 프로그램 제공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박아영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teaching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and teacher-children interactio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600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 in all over the country. They surveyed questionnaires assessing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teaching efficacy, emotional intelligence and teacher-children interaction. 512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 total of 360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ept for those that were missing responses or responded insincerely with the same number. Statistical methods for the data analysis were using SPSS 26.0 and AMOS 26.0. And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method was used to model fit. Goodness of fit was evaluated using the CFI, TLI, SRMR, RMSEA and its 90% confidence interval. AMOS 26.0 bootstrapping was used to check the mediating effect.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lay teaching efficacy were found a positive and direct effect on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Secon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were found a positive and direct effect on play teaching efficacy. Thir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were found an effect on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but partially was mediated by on play teaching efficacy. This study is theoretically meaningful in that it shows that high early childhood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lay teaching efficacy can be the main factors that can quality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the qualiti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be improved by providing a way to improve the teachers' sense of play teaching efficacy in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 문화재를 활용한 유아 전통문화 예술 활동이 전통문화 인지 및 선호도와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신동옥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activities using cultural properties on the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early childhood traditional culture and peer interaction This study examined 46 five-year-old children located at “D” kindergarten in Daegu Metropolitan City. Of the 46 children, 23 children were plac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3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early childhood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activities using cultural properties twice a week for a total of 16 times for nine weeks while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traditional culture activities based on the revised Nuri curriculum. The instrument of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traditional culture developed by Jeon (2003), supplemented and amended by Kim (2012), was used to measure the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traditional culture. This study applied the 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 (PIPPS) created by Fantuzzo and others. (1995) as an object of domestic early childhood by Choi and Shin (2008). The collected data in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Results from this study indicated the followings: First, for the early childhood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activities using cultural properties, the experimental group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traditional culture, specifically within the categories of clothing life, food life, shelter life, traditional arts, cultural property, and traditional play such as folk game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Second, for the early childhood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activities using the cultural properties, the experimental group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positive interaction and play disturbance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results from this study emphasize that early childhood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activities using cultural properties a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early childhood traditional culture and peer intera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재를 활용한 유아 전통문화 예술 활동이 만 5세 유아의 전통문화 인지 및 선호도와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D 유치원의 만 5세반 유아 46명으로 한 학급 23명을 실험집단으로, 다른 학급 23명을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은 문화재를 활용한 유아 전통문화 예술 활동을 9주간 주 2회 총 17회 걸쳐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개정누리과정에 기초한 전통문화 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전통문화 인지 및 선호도 측정을 위해 전경화(2003)가 개발하고 김명희(2012)가 수정·보완한 전통문화 인지 및 선호도 검사도구를 사용하였으며, Fantuzzo등(1995)이 제작한 또래 상호작용 검사도구(PIPPS)를 신혜영과 최혜영(2008)이 국내 유아를 대상으로 적용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재를 활용한 유아 전통문화 예술 활동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전통문화 인지 및 선호도의 전체 및 하위요인의 의생활, 식생활, 주생활, 전통예술, 문화재, 전통놀이에서 전통문화 인지 및 선호도의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둘째, 문화재를 활용한 유아 전통문화 예술 활동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또래 상호작용의 전체 및 하위요인의 긍정적 상호작용과 놀이방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즉, 문화재를 활용한 유아 전통문화 예술 활동은 유아의 전통문화 인지 및 선호도와 또래 상호작용 향상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전문성과 원장의 코칭리더십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지민 전남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전문성과 원장의 코칭리더십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1.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전문성 및 원장의 코칭리더십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2.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전문성과 원장의 코칭리더십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G시와 J도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의 영∙유아반을 담당하는 유아교사 250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을 측정하기 위하여 Lindsay와 Lindsay(1987)의 전문성 인식 도구를 기초로 조은주(2012)가 수정∙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원장의 코칭리더십을 측정하기 위하여 Stowell(1986)이 개발한 척도를 김영미(2018)가 수정∙보완한 코칭리더십 척도를 사용하였다.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성진희(2017)가 여러 평가척도 파일에서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 유형의 측정 문항을 추출하여 수정·보완한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Jamovi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전문성과 원장의 코칭리더십 및 직무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전문성 인식 및 원장의 코칭리더십 간에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높을수록 그리고 원장의 코칭리더십이 높을수록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전문성과 원장의 코칭리더십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원장의 코칭리더십은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설명하는 주요 변인이었다. 이는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원장의 코칭리더십은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전문성과 원장의 코칭리더십이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 증진을 위해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원장의 코칭리더십을 증진시키는 원장 및 교사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rofessionalism and coaching leadership of directors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heir job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et up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What are the relationships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coaching leadership of directors with their job satisfaction? 2. What are the effects of the professionalism and the coaching leadership of directors on job satisfaction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Research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50 early childhood teachers in charge of infant and toddler classes at daycare centers located in C-city and J-do. In this study, in order to measure the professionalism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cale that Cho Eun-joo(2012) modified and supplemented was utilized and to measure the coaching leadership of directors, the coaching leadership of directors scale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Kim Young-mi(2018) was used. In order to measure the job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early childhood teacher job satisfaction scale modified by Jinhee Sung(2017) was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Jamovi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al relationships among the professionalism, the coaching leadership of directors, and job satisfaction perceived by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al relationships among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satisfaction, the professionalism and the coaching leadership of directors.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teacher's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and the higher the coaching leadership of the directors,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s of the professionalism and the coaching leadership of directors on job satisfaction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professionalism and the directors' coaching leadership were the main variables explaining the job satisfaction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means tha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professionalism and the directors' coaching leadership have influences on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satisfaction.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upports of directors for enhanching their coaching leadership and educational servic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o enhance their professionalism are necessary for increasing their job satisfaction.

      • 유아 영성 발달을 위한 강점지능별 교육 활동 제안 :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을 중심으로

        안슬지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유아의 기독교적 영성의 효과적인 발달을 위해 유아 영성을 새롭게 이해하고, 다중지능이론의 강점지능별로 효과적인 교수법을 적용한 활동을 제안하였으며 크게 네 부분으로 나뉜다. 첫 번째는, 유아의 신체, 인지, 사회·정서, 도덕 발달과 함께 유아 영성에 관한 부정적 견해와 긍정적 견해를 살펴보았다. 유아의 미숙한 인지발달로 인해 유아가 추상적인 하나님을 올바르게 이해함과 종교적인 사고 및 판단에 어려움이 있다고 보는 의견에도 불구하고 유아가 하나님을 체험하고 하나님에 대해 이해할 수 있음을 긍정적 입장의 학자들은 증명하였다. 두 번째는, 기독교 영성을 알아보기 위해 성경에서 영성을 표현한 부분을 살펴보았고, 유아 영성을 알아보기 위해 어린이 영성 연구가들의 연구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유아는 생득적으로 영성을 소유하고 있어 영성 교육이 가능하며, 유아의 영성 발달을 위해서는 준비된 환경 속에서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여 완전한 문화 병존적 존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이 시행되어야 함을 알게 되었다. 세 번째는 가드너(H. 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에 대해 알아본 후 다중지능이론을 성경적 관점에서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다중지능의 강점지능이 성경적 달란트와 은사의 개념과 상통함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유아 개인이 소유한 강점지능을 자극하는 활동을 제공함으로 유아의 영성 발달을 도울 수 있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이를 종합하여 유아 영성 발달을 돕기 위해 성경이 이야기하는 영성 교육의 중요한 장소인 가정과 교회에서 유아에게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활동은 각 강점지능별로 효과적인 교수 방법에 따른 활동으로, 유아의 영성 발달을 효과적으로 돕고자 하였다. 즉, 본 연구는 유아 영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기반으로 하여 가정과 교회에서 유아가 하나님을 경험하고 속한 공동체 안에서 예수그리스도의 제자로 살도록 하는 유아 영성 발달을 위한 강점지능별 교육 활동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proposes various activities for the effective development of the Christian spirituality of young children. To do so, I newly understood young children’s spirituality and studied a prior studies about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strong intelligence of Multiple Intelligence theories. And finally this study is largely divided into four parts. First of all, I studied young children’s physical, cognitive, social, emotional and moral developments. Then I looked at negative and positive views on young children’s spirituality. Tough negative scholars say that young children are impossible to know about abstract God rightly and think religious things either. But it is proved already that they can experience God and understand God rightly though. Secondly, in order to know Christian spirituality, I looked at the expressions of spirituality in the Bible. Also I researched the studies of child spirituality to make a study of young children’s. As a result, I found out that spiritual education is possible for young children because they have spirituality by birth. Furthermore, let them go through various Christian experiences to help them to grow up as a well bi-cultured person. Thirdly, I studied the Multiple Intelligence theories of H. Gardner and looked through it from biblical view too. And I found that multiple intelligence theories are in line with the biblical concepts that ‘God-given gifts and talents’. Thus, we can help young children develop their spirituality by providing specific activities which stimulates strong intelligence. Lastly, I suggested various activities which can be provided by families and churches, the most important places for spiritu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Bible in order to help young children develop their spirituality. The proposed activities followed the teaching methods known to be effective for each strong intelligence. To sum up, this study based on a new understanding of young children spirituality, proposed educational activities according to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each strong intelligence for young children's spirituality development so that they can experience God and also live as disciples of Jesus Christ in their community.

      • 가정과의 연계적 전래동요 활동이 유아의 음악적성에 미치는 영향

        윤형윤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가정에서의 전래동요 사용 실태를 알아보고 기관과 가정을 연계하여 실시한 전래동요 활동이 유아의 음악적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시내 Y대학교 부설교육기관의 만3세 유아로 남아 20명, 여아 20명, 총 40명이었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유아들에게 동일하게 계획된 전래동요 활동을 유치원에서 실시하였다. 기존 음률 활동집을 기초로 연구자가 수정·보완한 7개의 전래동요 활동을 7주에 걸쳐 실시하였고, 가정과 기관을 연계하여 전래동요를 실시하기 위해 실험집단 유아의 가정에는 매주 안내문과 노래테이프를 발송하여 유치원에서 실시하는 전래동요 활동을 가정에서도 실시하도록 하였다. 통제집단 유아의 가정에서는 전래동요 활동을 실시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음감과 리듬감을 측정하기 위해 Gordon의 3-4세 유아를 대상으로 한 음악적성 측정도구인 Audie를 이용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우리나라 리듬에 대한 리듬감을 측정하기 위해 Project Spectrum(Krechevsky, 1994)의 음악 영역에 포함된 노래활동검사를 수정·보완하여 전래동요에 대한 리듬감 검사를 사후에 실시하였다. 또한 가정에서의 전래동요 사용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자가 제작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평균과 백분율, t검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에서 어머니는 자녀가 '1-2살'이나 '2-3살 미만'이었을 때 전래동요를 많이 불러주었고 최근 한 달 동안 가정에서 자녀에게 불러준 전래동요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정에서 어머니가 지금까지 불러 주었던 전래동요는 5-10곡 정도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관과 가정과의 연계적 전래동요 활동이 실시된 후 가정에서의 전래동요 활동에 대한 유아의 흥미도와 어머니의 만족도, 참여도가 높았으며 전래동요의 사용에 대한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였다고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과 가정에서 전래동요 활동이 실시된 실험집단과 유치원에서만 활동이 실시된 통제집단 간 유아들의 음감에는 의의있는 차이가 있었으며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음감 발달에 있어서 더 많은 향상을 보였다. 셋째, 유치원과 가정에서 전래동요 활동이 실시된 실험집단과 유치원에서만 활동이 실시된 통제진단 간 유아들의 리듬감에는 의의있는 차이가 있었으며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리듬감 발달에 있어서 더 많은 향상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uses of traditional Korean songs for young children at home and to examine what effect the children's singing activities conducted in connection between a center and home have on their musical aptitude. The subjects were forty 3-year-old children (20 boys and 20 girls) of a research center in Seoul. The children of the experimental group took part in the 7 singing activities of traditional Korean songs not only in their classrooms but also at home for 7 weeks. A guidance paper and a cassette tape of each song were sent to their home every week by the researcher. For the control group, the singing activities were conducted only in the center. The children were tested by Gordon's Audie (1989)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and then by the Singing Activity in Project Spectrum (Krechevsky, 1994), some points of which had been revised and made up for by the researcher. Questionnaire was used for investigating how often mothers and children sang traditional Korean songs at home.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 percentage and t-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others would often sing traditional Korean songs for their children at home when their children were 1-2 or 2-3 years old. They have hardly sung traditional Korean songs in recent months. There were 5 to 10 traditional Korean songs to be frequently sung by the mothers. After 7 weeks, it was reported that the mothers of the experimental group highly recognized the necessity for the uses of traditional Korean songs and that children's interests as well as mothers' participancy in the songs were gradually increased.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ildren's tonal ability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more improved in the tonal ability than the control group. (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ildren's rhythm ability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more improved in the rhythm ability than the control group.

      • 多象徵的 '공'프로젝트에서 幼兒의 槪念變化와 社會的 相互作用 役割

        최세민 漢陽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다상징적 ‘공’프로젝트에서 상징화 주기의 발현과 유아의 ‘공’에 대한 개념변화 및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유아의 역할을 보고자 하였다. 최근 교수학습 동향을 반영하는 다상징적 프로젝트를 통해 교사 차원에서 교사 유아간 상호작용의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는 교수 방법이나 교수 매체의 개선을 시도해 봄으로써 사회적 구축주의 학습이론과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으로부터 시사받을 수 있는 유아교육학습의 변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연구하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공’ 프로젝트에서 상징화 주기는 어떻게 발현되는가 2) 상징화 주기에 따라 ‘공’에 대한 유아의 개념은 어떻게 변화되는가 3)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한 협력학습에서 유아는 어떻게 역할하는가 다상징적 접근에 기초한 ‘공’ 프로젝트는 8주간 총 18회에 걸쳐 4명의 소집단 유아가 수행하였다. 프로젝트를 통해 나타나는 유아들의 표상 결과물들을 수집하고 프로젝트 전 과정을 비디오 녹화와 녹음테잎으로 기록화 하였으며, 필요한 활동장면과 유아들의 표상과정을 사진으로 찍고 슬라이드 필름으로 제작하여 기록화하였다. 매 단계 기록화한 자료는 다음 학습에서 반성의 자료로 활용되며 이후 학습방향을 설정하고 준비하는 기초자료로 사용되었다. 비디오 테잎과 녹음테잎에 수록된 자료는 장면과 상황, 동작을 묘사하여 기록하고 언어적 상호작용은 그대로 전사하여 분석의 자료로 삼았다. 유아들이 그린 그림자료는 활동상황과 유아의 언어적 설명을 참고하여 의미론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 프로젝트에서 상징화 주기는 유아의 관심과 흥미, 활동 동기 및 목 표, 상황적 조건 등에 따라 아는 것을 말로 표현하기 - 첫 그리기 및 토의 - 여러 가지 공 관찰하기 - 공에 적합한 사용도구 조사하기 - 공의 성질 실험하기 - 공 만들기 및 만든 공으로 경기하기 - 실제 공 분해하여 내부 탐색하기 - 공 만드는 공장 견학 - 의사소통 맥락에서의 심화 - 학급에 발표하기로 발현되었다. 발현적 교육과정은 유아의 관심과 흥미, 활동 동기 및 목표, 상황적 조건, 교사의 판단 등에 따라 주제에 관한 다양한 경험이 나선형적으로 재순환 되면서 교사와 유아가 함께 학습해 나가는 것이다. 2) 유아의 ‘공’에 대한 개념은 상징화 주기에 따라 공에 대한 일반적 정의 - 공 외형에 대한 물리적 정의 및 기능적 관심 - 여러 가지 공의 물리적 특성 인식 및 기능적 분류 - 공의 기능적 가설설정 - 공의 기능 이해를 위한 물리적 지식 - 공의 기능적 이해를 위한 논리적 추론 - 공의 기능과 관련된 내부구조의 논리적 이해 - 공 제작과정 및 내부구조에 대한 기능적 고찰 - 공의 기능적 정의 및 제작과정에 대한 메타 인지적 고찰 - 공에 대한 학습내용 공유로 변화되면서 학습이 이루어졌다. 즉 다상징적 프로젝트는 유아의 주제에 대한 심화된 이해를 구축․재구축해 나가도록 하는 효육적, 과학적 교수법임이 입증되었다. 3)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성인과 또래들과의 사회적 상호작용 속에서 유아는 주도자의 역할, 보완자의 역할, 지지자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협력학습에 공헌하였다. 학습에 있어서 사회적, 상징적,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사회적 구축주의 학습이론을 설명해 준다.

      • 유아교사의 그릿과 DISC 행동유형에 따른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의 관계 및 차이 분석

        김윤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그릿과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 간에 관계는 어떠하며, 유아교사의 DISC 행동유형에 따라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교사의 그릿과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2. 유아교사의 DISC 행동유형에 따라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세종특별자치시에 소재하고 있는 국·공립 유치원과 국·공립, 직장, 민간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302명이었다. 유아교사의 그릿을 알아보기 위해 Duckworth 등(2007)이 개발한 그릿 측정 도구 Grit-O(Original Grit Scale)를 이수란(2015)이 한국 실정에 맞게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유아교사의 DISC 행동유형을 알아보기 위해 김진태(2014)가 Marston(1928)의 연구결과를 기초로 Carlson Learning사와 John Geier박사의 연구팀이 공동으로 개발한 PPS(Personal Profile System)를 한국의 실정에 맞게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유아교사의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을 알아보기 위해 Stomont 등(2005)의 Behavior Support Questionnaire와 Nugesser & Watkins(2005)의 Interventions of Preschool to Address Challenging Behaviors에서 수집된 51개 문항들을 토대로 김연하(2007)가 제작한 총 34문항으로 이루어진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 척도-교사용(Teacher Strategy Questionnaire: TSQ) 도구를 2019 개정누리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유아교사들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연구자가 유아교육 전문가의 조언을 얻어 일부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유아교사의 그릿과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 간에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유아교사의 DISC 행동유형에 따른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그릿과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의 그릿과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 간의 유의미한 상관은 r=.116∼.383으로 거의 없거나 낮은 수준으로 나타나 높은 관련성이 있다고 볼 수 없으며 이는 유아교사의 그릿과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 간에 상관이 거의 없음을 의미한다. 둘째, 유아교사의 DISC 행동유형에 따라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의 DISC 행동유형에 따라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 전체(F=1.73), 긍정적 예방전략Ⅰ(F=1.21), 긍정적 예방전략Ⅱ(F=.85), 긍정적 반응전략(F=.65), 부정적 반응전략(F=1.47)으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제 4·5차 유아교육 지도자료집에 수록된 노래 비교 분석

        최유진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제 4차 유아교육 지도자료집에 수록된 노래 217곡과 제 5차 유아교육 지도자료집에 수록된 노래 99곡을 대상으로 6가지 분석기준(노래의 가사주제, 조성, 형식, 박자 및 리듬, 음역, 가사와 리듬 및 선율과의 연결 관계)을 정하여 각각 분석한 후 그 결과를 비교해 보았으며 교사가 노래를 선정할 때 도움을 주고자 문제점이 있는 곡을 선정하여 설명하였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제 4차와 제 5차 유아교육 지도자료집에 수록된 노래의 가사 주제는 어떠한가? 2. 제 4차와 제 5차 유아교육 지도자료집에 수록된 노래의 조성은 어떠한가? 3. 제 4차와 제 5차 유아교육 지도자료집에 수록된 노래의 형식은 어떠한가? 4. 제 4차와 제 5차 유아교육 지도자료집에 수록된 노래의 박자 및 리듬은 어떠한가? 5. 제 4차와 제 5차 유아교육 지도자료집에 수록된 노래의 음역은 어떠한가? 6. 제 4차와 제 5차 유아교육 지도자료집에 수록된 노래의 가사와 리듬 및 선율과의 연결 관계는 어떠한가? 각각의 연구 문제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래의 가사주제는 제 5차에서 ‘환경’ 주제에 따른 곡이 수록되었고 전래동요가 수록되었다. 노래의 조성은 제 5차에서 바장조의 곡이 감소한 반면 다장조, 내림마장조, 내림나장조의 곡은 증가하였다. 노래의 형식은 제 5차에서 한도막형식과 두도막형식의 곡은 감소한 반면 작은 세도막 형식의 곡은 증가하였다. 노래의 박자는 제 5차에서 2/4 박자의 곡은 감소한 반면 4/4박자의 곡은 증가하였고, 12/8박자의 곡이 수록되었다. 노래의 리듬은 2/4박자, 3/4박자, 6/8박자의 곡은 민음표 중심과 점음표 중심 비율이 거의 비슷하게 나타난 반면 4/4박자의 곡은 민음표 중심 곡이 감소하면서 점음표 중심 곡이 증가하였다. 노래의 음역에서 유아의 최대음역(라-레")을 벗어난 곡은 감소한 반면 유아의 충분음도(도‘-도“)내의 곡과 유아들이 가장 부르기 쉬운 음역(도’-라‘)내의 곡은 증가하였다. 노래의 가사와 리듬 및 선율과의 연결 관계가 불일치한 곳은 제 4차에서는 6곡, 제 5차에서는 3곡을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앞으로 수록될 곡은 제5차에서 바람직한 현상을 지향하되 가사주제에서는 유아들이 세계 시민으로 성장해 나갈 수 있는 것을 포함시켜야 할 것이며, 전래동요를 증가시켜야 할 것이다. 노래의 조성은 다장조의 곡, 노래의 형식은 다양한 형식의 노래가 바람직하다. 노래의 리듬에서는 지나친 당김음이나 쉼표를 사용한 곡, 연속적인 세잇단음표를 사용한 곡, 기본형을 복잡하게 변형시킨 리듬을 구성하고 있는 곳은 지양해야 할 것이며, 노래의 음역은 유아의 충분 음역내의 곡을 증가시켜야 할 것이다. 노래의 가사와 리듬 및 선율과의 연결관계가 불일치한 곡은 외국곡을 그대로 번역한 곡에서 발견되므로 외국곡을 수록하고자 할 때는 반드시 수정·보완하는 과정을 거쳐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took six categories(theme of text, composing, mode, time and rhythm, singing range and relationship between text, rhythm and melody) to analyze 217 songs from the 4th Early Childhood Instructional Resources and 99 songs from the 5th. After that the results were compared and the songs having some difficulties were selected and explained for the help of teachers. 1. What is the theme of texts from the 4th and 5th Early Childhood Instructional Resources like? 2. What is the composing from the 4th and 5th Early Childhood Instructional Resources like? 3. What is the mode from the 4th and 5th Early Childhood instructional Resources like? 4. What is the time and rhythm from the 4th and 5th Early Childhood Instructional Resources like? 5. What is the singing range and relationship between text from the 4th and 5th Early Childhood Instructional Resources like? 6. What is the rhythm and melody from the 4th and 5th Early Childhood Instructional Resources like? The results after analysing each research item are like these. In the 5th of the themes of the texts, the song dealing with the theme, 'environment' and traditional children's song were selected. As for composing, F major songs were reduced but C major, E-flat major and B-flat major songs were increased. While one part form and binary form's songs were reduced small ternary form's songs were increased in the area of mode in the fifth material. Two-four time's songs were reduced, four-four time's songs were increased and twelve-eight time's songs were added in the fifth. As for rhythm while in two-four time, three-four time and six-eight time's songs the rates of notes and dotted notes were similar, the songs of notes were reduced and those of dotted notes were increased in four-four time's songs. The songs over child's highest levels (Ra'-Re") were reduced but those in their moderate levels(Do'-Ra') were increased in singing range. Lastly there were six songs in the 4th and three songs in the 5th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ext, rhythm and melody seemed to be discord. To summar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up-coming songs should be followed the good notion from the fifth materials, included the songs having the theme that encourages infants to be global citizens and traditional children's songs. C major songs seem to be fine in composing, various modes' songs are encouraged, and the songs having excessive syncopation and rest, the songs using continuous triplet and the songs constituted by rhythms complicately changed from the basic should be avoided. The songs in child's moderate singing range should be increased and the works of amendment and revision should be followed when foreign songs are selected since the relationship between text, rhythm and melody looks discord in those so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