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외상을 경험한 악몽장애 환자군과 정상군의 뇌 기능에 대한 탐색적 연구

        박소영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외상을 경험한 악몽장애 환자군과 정상군의 임상 증상, 인지 기능 및 수면 관련 지표를 비교하여 살펴보고, 인지적 활동 없이 휴식을 취하고 있는 상태 즉, Default Mode Network (DMN)에서 두 집단의 뇌 기능적 연결성 차이를 알아보았다. 더불어, 개별 연구 대상자들의 뇌 기능적 연결성의 평균 신호값과 임상, 인지 기능 그리고 수면 지표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 대상자는 성인 여성 총 24명으로 온라인 및 오프라인 홍보를 통해 모집하였다. 이들은 구글 질문지 및 구조화된 1:1 면담을 통해 스크리닝 과정을 거쳤으며, DSM-5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진단기준 A와 악몽장애 진단기준을 충족하는 외상을 경험한 악몽장애 환자군 12명과 외상을 경험하지 않고 1년 내 악몽을 꾸지 않은 정상군 12명의 나이 및 성별을 매칭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임상 질문지를 작성, 세 가지 인지 기능 평가 (PVT, NBACK, BART) 실시, 휴식 상태에서 기능적 자기공명 영상 촬영 및 일주일간 수면 및 악몽 일지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악몽장애 환자군이 정상군에 비해 악몽 심각도, 불면증 심각도, 외상후 스트레스, 우울, 불안, 자살사고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인지 기능 지표에 있어 PVT의 부차적인 변수를 제외하고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기능적 자기공명 영상 촬영으로 획득된 외상을 경험한 악몽장애 환자군과 정상군의 기능적 뇌 연결성 지도를 이용하여 two sample t-test를 실시 및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외상을 경험한 악몽장애 환자군은 정상군에 비해 좌측 상전두이랑(superior frontal gyrus)의 감소된 기능적 연결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기능적 연결성과 임상, 인지 기능 및 수면 지표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외상을 경험한 악몽장애 환자군은 기능적 연결성의 강도와 입면 후 각성 시간 (WASO), NBACK 검사에서의 정확한 반응을 의미하는 변수들 사이에 정적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 반면, 정상군은 기능적 연결성의 강도와 WASO 사이에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BART 정확도 변수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즉, 기능적 연결성의 강도가 세질수록 외상을 경험한 악몽장애 환자군은 WASO가 길어지고 더 정확한 NBACK 반응을 하였으나, 정상군은 WASO가 줄어들며 더 정확한 BART 반응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외상을 경험한 악몽장애 환자군이 정상군에 비해 좋지 않은 임상적 증상과 인지 기능, 수면 양상에 대해 치료적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더불어, 실제 임상 현장에서 빈번하게 볼 수 있는 외상을 경험한 악몽장애 환자들을 대상으로 인지 기능 및 신경생물학적 접근을 최초로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paper compared clinical symptoms, cognitive function and sleep indicators in the nightmare disorder patient group and healthy control group, then researched differences in the brain functional connections of the two groups in the Default Mode Network (DMN), rest without cognitive activity, and also studied the correlation between average signal values and clinical, cognitive function, and sleep indicators of the brain function connectivity of each study subject. We recruited 24 adult women through on-off promotion as a research subject. They were screened by Google questionnaire and structured 1:1 interviews. And the age and sex of the two groups matched: 12 patient groups that are the subject of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diagnosis A of DSM-5 or have experienced trauma that meets the diagnostic criteria for nightmare disorder. Healthy control group that did not experience trauma and did not experience nightmares for a year. Research participants involved in various activities including preparation of clinical questionnaire, evaluation of three cognitive functions (PVT, NBACK, BART),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at rest, collection of sleep and nightmare journals for a week. The analysis result of the collected data shows that the group of nightmare disorder pati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nightmare severity, insomnia severity, post-traumatic stress, depression, anxiety, and suicide cases than healthy control group. However, they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gnitive function indicator, except in secondary PVT cases. Also, two sample t-tests were conducted and compared, using the functional brain connectivity map of the nightmare disorder patient group and healthy control group with the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functional connectivity of the left superior frontal gyrus was decreased in the group of nightmare disorder patients who experienced trauma than healthy control group.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researc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functional connections and clinical, cognitive function and sleep indicators. The trauma-experienced nightmare disorder patient group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e variables that mean the correct response in the NBACK test and awakening time(WASO) after sleep and the strength of functional connectivity. On the other hand, healthy control group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trength of functional connectivity and WASO, and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accuracy variable of BART. In other words, when the strength of functional connectivity increases, patient group with traumatic nightmare disorder showed longer WASO and more accurate NBACK response, but healthy control group showed reduced WASO and more accurate BART respons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a group of patients with nightmare disorder who experienced trauma showed worse clinical symptoms, cognitive function, and sleep patterns compared to healthy control group, which shows that therapeutic intervention is required for the patient group.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is the first to attempt a cognitive function and neurobiological approach for patients with nightmare disorder who experienced trauma.

      •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우울의 매개효과 및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숙영 인제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807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우울의 매개효과 및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 숙 영 (지도교수 문 덕 환) 인제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목적 :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우울의 매개효과와 회복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소방공무원의 자살 생각에 대한 효과적인 예방대책을 마련할 뿐만 아니라 추후 이들 분야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시행되었다. 방법 : 본 연구는 경남지역에 소속된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구글 설문지를 이용한 자기 기입식 설문 조사로 조사기간은 IRB승인 후 2020년 1월부터 약 1개월간 실시하였으며, 총 224부를 실증분석 자료에 이용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26.0 및 SPSS PROCESS Macro, AMOS 24.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요인 중 과각성, 침습, 수면장애/정서마비/해리는 우울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우울은 자살생각에 유의한 직접효과가 있었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하위요인들은 자살생각에 직접효과가 없었다.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과각성과 자살생각 간의 인과관계에서 우울은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었고, 수면장애/정서마비/해리와 자살생각 사이에 있어서도 우울은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었다. 다만, 침습과 자살생각간의 인과관계에서는 우울이 경계역에서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었다. 결론 :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우울의 매개효과가 있었으므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가 있는 소방공무원의 경우 소방청에서 제시하고 있는 정신건강 지원 사업의 하나인 치료단계에서 건강정보 통합관리시스템, 치료비 지급 및 안심 프로그램을 적시에 적용함으로써 우울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에 따라 자살 생각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판단될 뿐만 아니라, 본 연구로 추후 이들 분야에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충격적 사고를 목격한 아동들의 미술치료 사례 연구

        장영윤 포천중문 의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We are always exposed to risks of traffic accidents and live in a society more complicated than any other time in the past, where burglary, assault, witnessing accidents, violence, natural disasters, and war occur continuously. These events can become traumatic experiences which may include the death of the loved ones or pets since its severity is subjective. Children can also experience trauma without exception. In modern society, children are exposed to various dangers. The number of children suffering from maltreatment, sexual violence, noninterference, and the parents' divorce is increasing. Also, they are more vulnerable to trauma than adults and the prevalence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was found to be high according to related studies. Since the influence appears throughout one's entire life, treatment is known to be very important.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at can be seen in children's paintings, their common characteristics, and what role art therapy plays in diagnosing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children who experienced trauma, through an art therapy program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at witnessed the death of parents from a fire drill accident. On May 17, 2007, three parents who were receiving fire safety education at an elementary school fell to their deaths from an elevated flexible ladder as it snapped and smashed to the groun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tudents of the class where the parents' children belonged to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witnessed this tragedy. An art therapy program was held for three times, on June 2, June 19, and July 10 of year 2007. Children's Manifest Anxiety Scale-Revised (RCMAS) was enforced along with the art therapy program to compare and study with art therapy results. Also, this study is based on the psychiatric diagnosis enforced 2 days after the accident on May 21, 2007, and on July 11, 2007 when the art therapy program was completed. The following are study results. First, children who had the possibility to develop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were found through art therapy. This means that art therapy may help the prevention and early treatment. Second, we were able to confirm that art therapy helped examining the progress courses of children that were diagnosed as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or who showed the symptoms, and that complementary psychological tests helped diagnosing the children. Third, an opportunity to express themselves were given to children who refused psychological tests or treatment through art therapy. However,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a regular long-term program could not be held and failed to contribute to the children's treatment. The support of succeeding research that examines not only the diagnosis but also the treatment courses through paintings are required. Key words : trauma,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children, art therapy. 우리는 늘 교통사고의 위험 속에서 살고 있으며, 강도, 강간, 사고 목격, 폭행, 자연재해, 대규모 사건, 전쟁 등이 끊이지 않는, 과거 그 어느 때보다 복잡한 사회를 살아가고 있다. 이러한 모든 사건들이 외상의 경험이 될 수 있으며, 외상의 경험에 있어서 그 심각성은 주관적인 것이므로 사랑하는 사람, 애완동물의 죽음 등도 외상에 포함될 수 있다. 외상의 경험에 있어서 아동들 역시 예외가 될 수 없다. 현대사회에서 아동들은 여러 가지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학대, 성폭력, 방임, 부모의 이혼 등으로 고통 받고 있는 아동들이 중가하고 있다. 또한 아동은 성인에 비해 외상에 취약하여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유병률이 높은 것으로 연구되고 있으며, 그 영향력이 전생에 걸쳐 나타나므로 치료의 중요성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소방사고로 학부모들의 사망을 목격한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아동들의 그림에서 어떤 것들을 읽을 수 있는지, 공통적인 특징은 무엇인지, 그리고 미술치료가 외상을 경험한 아동들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진단하는 데 있어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7년 5월 17일 초등학교에서 소방안전교육을 받던 중 학부모 3명이 굴절형 고가 사다리차에 올라탔다가 고가 사다리가 끊어지면서 바닥으로 떨어져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는 이 사고를 목격한 초등학생들 중 이들 학부모가 포함된 학급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해 2007년 6월 2일, 6월 19일, 7월 10일, 3회기에 걸쳐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진행되었으며, 미술치료 프로그램과 함께 아동불안검사(RCMAS)를 실시하여 미술치료 결과와 비교 연구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사고 발생 이틀 후인 2007년 5월 21일과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끝난 후인 2007년 7월 11일 실시된 정신의학적 진단을 근거로 하고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를 통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로 발전될 가능성이 있는 아동들을 찾아낼 수 있었다. 이는 미술치료를 통해 예방과 조기 치료가 가능함을 의미한다. 둘째, 미술치료가 외상 후 스트레스 진단을 받거나 증상을 보이는 아동들의 경과 과정을 살펴보는 데 도움이 되고, 심리검사를 보완하여 아동들을 진단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미술치료를 통해 심리검사, 혹은 치료 과정을 거부하는 아동들에게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정기적이고 장기적인 프로그램을 진행하지 못하여 아동들의 치료에 기여하지 못하였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그림을 통한 진단뿐만 아니라 치료과정까지 살펴볼 수 있는 후속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 임상미술치료가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기억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이윤정 차의과학대학교 통합의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외상으로 인한 뇌손상은 다양한 후유증을 남기며 그 중 기억장애는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사회복귀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여 초기부터 정확한 평가와 치료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미술치료가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기억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와 관련하여 주의력 및 전반적 인지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N재활병원에 입원한 외상성 뇌손상 환자 10명 중 seizure로 인하여 사후평가에 영향을 미친 1명을 제외한 9명이고, 주 2회 총 12회기의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K-MMSE), Rey-Kim 기억검사, 전산화 신경인지기능검사(CNT)를 사용하였으며, 측정된 자료는 SPSS 15.0을 사용하였고 실험집단의 전·후 검사결과 자료를 바탕으로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의의 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임상미술치료에 참여한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기억력은 Rey-Kim 기억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 CNT의 기억검사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임상미술치료에 참여한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주의력은 CNT의 주의력 검사 6개 하위 항목 중 3개 항목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셋째, 임상미술치료에 참여한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전반적 인지기능은 K-MMSE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넷째, 임상미술치료에 참여한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사전·사후 K-CFT 결과를 분석한 결과 긍정적인 질적 변화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기억력 향상을 위한 임상미술치료가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기억력 뿐 아니라 주의력 및 전반적 인지기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술치료가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뇌 기능 회복에 있어 효과적인 재활 치료로 적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사회 및 직업으로의 복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Brain injury due to trauma leaves various aftereffects and among them, memory impairment accounts for an important part in rehabilitation of traumatic brain injury patients. It requires accurate evaluation and treatment from the beginning.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linical art therapy on improving memory of traumatic brain injury patients, and to investigate how it affects their attention and general cognitive functions. Among 10 traumatic brain injury patients hospitalized at N Rehabilitation Hospital located in Seoul, 9 were set a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as one patient was excluded due to a seizure which influenced ex post evaluations. As for measurement tools, the Korean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 Rey-Kim memory test, computerized neurocognitive function test (CNT) were used. SPSS 15.0 was employed for the measured data and paired sample t-test was done for analysis. The following is a brief summary of study findings. First, the memory of traumatic brain injury patients who participated in clinical art therap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y-Kim memory test. Meanwhile, scores in the subtype memory test of CNT were higher after treatment than before but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the attention of traumatic brain injury patients who participated in clinical art therapy appeared to hav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ree items among 6 sub-items in the CNT attention test. Third, the generaly cognitive functions of traumatic brain injury patients who participated in clinical art therapy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K-MMSE. Fourth, analysis of K-CFT findings of traumatic brain injury patients before and after clinical art therapy showed positive, qualitative changes. The results above indicated that clinical art therapy implemented for improving memory gave positive effects not only to the traumatic brain injury patients' memory, but also to their attention and general cognitive functions. Art therapy may be applied as an effective rehabilitation treatment for recovering brain functions of these traumatic brain injury patients, and may positively affect their return to society and occupation. Key words : clinical art therapy, traumatic brain injury, memory, attention, cognitive function

      • 고등학생의 외상 경험 개방 후 사회적 반응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유희선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외상을 경험한 고등학생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자기 개방 후 지각한 사회적 반응이 외상 후 성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더불어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사회적 반응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청소년의 외상 후 성장을 위한 적절한 개입전략을 개발하고, 사회적 환경을 조성하는 데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인문계 고등학교 1, 2, 3학년에 재학 중인 고등학생 61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 중 설문에 불성실하게 응답한 경우와 외상 사건 당시 고통에 대한 주관적 평가에서 고통의 정도가 보통(4점)보다 낮은 자료를 제외한 420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설문지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외상 경험 질문지, 외상 후 성장 척도(K-PTGI),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K-CERQ), 사회적 반응 척도(K-SRQ)이며, 자료 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검증(Cronbach's α), 기술 통계, 독립변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Pearson 상관관계 분석, 회귀분석,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에서 종교가 있는 학생이 없는 학생보다 외상 후 성장이 더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성별, 학년, 종교 유형에 따른 외상 후 성장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외상 특성 변인 중에서는 설문지에 제시된 외상 유형 중 경험 개수가 5개 이상인 집단보다 이하인 집단의 외상 후 성장이 높았다. 또, 가장 고통스러웠던 외상 사건의 현재 고통이 4이상인 집단보다 3이하인 집단이, 당시 고통에 비해 현재 고통이 4이상 줄어든 집단이 그보다 낮게 줄거나 높아진 집단보다 외상 후 성장이 높았다. 외상 경험을 개방한 적 있는 집단은 개방한 적 없는 집단에 비해 외상 후 성장을 더 많이 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긍정적 반응과 부적응적인 정서조절전략의 상관관계를 제외하고, 나머지 사회적 반응,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외상 후 성장의 상관관계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긍정적 반응은 적응적인 정서조절전략, 외상 후 성장과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부적응적인 정서조절전략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부정적 반응은 적응적인 정서조절전략, 외상 후 성장과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부적응적인 정서조절전략과는 정적 상관이 확인되었다. 셋째, 사회적 반응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회적 반응의 두 차원-긍정적 반응과 부정적 반응-은 모두 사회 인구학적 변인과 외상 특성 변인을 통제하여도 외상 후 성장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통제하자 부정적 반응의 영향력은 유의미하지 않았고, 긍정적 반응의 영향력은 감소했지만 여전히 외상 후 성장에 대하여 정(+)적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은 사회 인구학적 변인과 외상 특성 변인, 사회적 반응을 통제하여도 외상 후 성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적응적인 정서조절 전략은 외상 후 성장에 정(+)적 영향력을, 부적응적인 정서조절 전략은 외상 후 성장에 부(-)적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투입된 변인 중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영향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긍정적 반응이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적응적인 정서조절전략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부적응적인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 부정적 반응이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적응적인 정서조절전략과 부적응적인 정서조절전략 모두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과들을 종합하면 외상 경험 개방 후 지각된 사회적 반응(긍정적, 부정적)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적응적, 부적응적)은 각각 두 차원으로 나누어져 청소년의 외상 후 성장에 다르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외상 경험 청소년들이 자기를 개방하고 적절한 반응을 피드백 받게 되면 외상사건을 인지적으로 평가하는 과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외상 후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외상 경험 청소년들이 상처를 잘 극복하고 성장하는 과정에서 가족, 친구, 교사의 적절한 상담 및 의사소통 방법과 필요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외상중환자실 간호사의 외상후 스트레스 정도와 관련요인

        전민우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외상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외상후 스트레스의 정도와 이에 관련이 있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대상자는 전국 4개 권역외상센터의 외상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총 161명이었으며, 구조화된 자가보고형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설문지에는 일반적 특성, 직무관련 특성, 불안, 낙관성, 회복탄력성, 외상사건 경험 및 외상후 스트레스 정도에 관한 문항이 포함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서술통계, t-검정, 분산분석(ANOVA), 카이제곱검정, Fisher’s 정확검정, Pearson 상관계수, 다중선형회귀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주요 변수에 대한 평균점수는 불안(80점 만점) 48.22±9.64점, 낙관성(30점 만점) 20.47±3.13점 및 회복탄력성(100점 만점) 59.20±11.40점이었다. 대상자의 외상사건 경험(72점 만점)은 43.04±7.56점, 외상후 스트레스(80점 만점)는 20.17±14.26점이었다. 외상후 스트레스 정도의 유의한 관련요인은 불안(β=.49, p<.001)과 외상사건 경험(β=.32, p<.001)이었다. 이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설명력은 44.3%이었다(F=15.11, p<.001, adjusted R2=.44). 외상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외상후 스트레스는 불안이 높고, 외상사건 경험이 많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외상중환자실 간호사의 외상후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건강관리 및 상담 등의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간호조직 내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 이다.

      • 外傷性 神經腫에 關한 電子顯微鏡的 硏究

        박명식 全南大學校 大學院 1984 국내박사

        RANK : 247807

        外傷性 神經腫에 대한 形態學的 記述은 주로 인체에서 적출한 生檢組織에 국한되어 있어서 경시적 변화가 論及되어 있지 않으며 관찰부위가 外傷性 視經腫의 遠位部이기 때문에 정상神經組織과 인접한 近位部의 소견 및 近位部와 遠位部와의 관계가 명확하지 않다. 末梢神經의 壓迫損傷에 의해서는 損傷部位에서 Schwann細胞의 증식이 관찰되나 外傷性 神經腫에서 특징적으로 볼 수 있는 再生性 神經小束이 관찰되지 않는다는 보고는 外傷性 神經腫에 있어서 組織學的 所見의 다양성을 시사한다. 末梢神經의 切斷損傷과 壓迫損傷은 그 정도와 내용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고 하더라도 損傷部位에서는 Waller氏 退行性變化가 공통적인 주 소견이므로 外傷性 神經腫의 近位部에서는 Schwann 細胞의 증식을 예견할 수 있어 切斷損傷에 의한 外傷性 神經腫의 近位部와 遠位部 사이의 形態學的 차이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자는 切斷損傷에 의한 末梢神經의 外傷性 神經腫을 경시적 및 局所解剖學的으로 관찰하고자 成熟雄性 白鼠의 坐骨神經을 切斷한후 2주, 4주, 8주, 16주에 切除近位端을 光學 및 電子顯微鏡으로 관찰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外傷性 神經腫은 방추형으로서 주위 軟組織과의 경계가 불명하였으며 관찰시기에 관계없이 細胞가 밀집한 近位部와 再生性 神經小束이 뚜렷한 遠位部로 구분되었다. 시기에 따른 차이는 外傷性 神經腫의 크기 및 細胞수의 증가와 Waller氏 退行性變化의 정도 등 이차적 소견이었다. 2. 近位部의 밀집된 細胞들은 주로 Schwann細胞였으며 그외 神經外膜細胞와 纖維母細胞였고 이들 細胞는 단독으로 출현하였거나 神經小束을 형성하였다. 3. 遠位部의 神經小束은 軸索-Schwann細胞단위와 이를 피복하고 있는 神經外膜細胞로 구성되었고 神經小束이 주위 結合組織과 骨格筋組織내로 미입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주변대에서는 基底板으로 싸여있는 軸索의 sprout와 Schwann細胞들을 상당수 볼 수 있었다. 4. 外傷性 神經腫에서 볼 수 있는 髓梢는 정상 神經組織에서와는 달리 Schwann細胞에 비하여 더 작았다. 이상의 성적으로 보아 外傷性 神經腫은 관찰시기에 따른 차이보다는 局所解剖學的 위치에 따라 形態學的 所見을 달리하며 이는 損傷에 대한 Schwann細胞의 직접 반응과 그 후 일어나는 神經組織의 再生性 反應의 결과라고 사료된다. The morphologic description about traumatic neuronal is largely limited to human biopsy cases and to the distal area, so that no time-sequential changes are described and the findings in the proximal area adjacent to normal nerve tissue are not clearly defined. The reports of Schwann cell proliferation, but no regeneration of nerve fasciculi in the crushed peripheral nerves may suggest a morphologic heterogeneity in traumatic neuromas, because the prominent early changes in the crushed or severed nerves are the same Wallerian degeneration. Though severance of the nerve may be different from crush injury in its extent, Schwann cell proliferation in the proximal area of the traumatic neuromas is expected in addition to topographical differences between the proximal and distal areas. The sciatic nerve of adult male rats was severed and the proximal ends were observed light and electron microscopically 2, 4, 8, and 16 weeks after severan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traumatic neuromas were fusiform and had no clear demarcation from the surrounding soft tissue. They consisted of proximal cellular area where the cells were arranged haphazardly and distal area where regenerative nerve fasciculi were the dominant structures, regardless of the observation period. The differences by the observation period are size of the traumatic neuromas, and degree of cellularity and Wallerian degeneration. 2. In the proximal area, the predominant cells were Schwann cells, and occasionally perineurial cells and fibroblasts present. They were noted individually or axon-Schwann cells and perineurial cells formed nerve fasciculi which were barely discernible light microscopically. 3. In the distal area, the nerve fasciculi, axon-Schwann cell units surrounded by perineurial cells, invaded the neighboring connective tissue and skeletal muscle tissue, which caused atrophy of the muscle fibers. In the peripheral zone of the distal area, free axon sprouts or Schwann cells were occasionally noted. 4. The myelin sheaths formed in regenerative nerve fasciculi were much smaller than those in normal nerve tissue. From thes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traumatic neuromas have different morphological findings relative to the topographical areas rather than to the observation period. Also concluded that the difference may reflect the direct response of Schwann cells to an injury and subsequent regenerative reaction of nerve tissue.

      • 권역외상센터 간호사의 외상간호역량, 전문직 직종간 협업역량과 교육요구도

        김효원 중앙대학교 건강간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연구 목적 : 권역외상센터 간호사를 대상으로 외상간호역량, 전문직 직종간 협업역량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역량에 대한 중요도-수행도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을 통해 권역외상센터 간호사의 교육요구도 최우선순위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 본 연구는 대한민국 4개 권역외상센터의 외상간호사 190명을 편의 표출하여 단면적 서술적 조사연구(Cross-Sectional Descriptive Survey)설계이다. 웹 기반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활용하여 일반적 특성, 외상간호역량과 전문직 직종간 협업역량을 조사하였다. 일반적 특성, 역량의 중요도와 수행도는 서술적 통계를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중요도와 수행도의 차이는 Paired t-test를 활용하였다. 교육요구도의 최우선순위를 확인하기 위해 역량 지표의 중요도와 수행도 행렬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 외상간호역량의 중요도와 수행도 총점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전문직 직종간 협업역량은 중요도 총점에 비해 수행도 총점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낮았다. 외상간호역량과 전문직 직종간 협업역량의 중요도-수행도 매트릭스 분석결과 교육 요구의 최우선순위는 전문가 직종간 협업역량이었다. 전문직 직종간 협업역량 20개 문항에 대한 중요도-수행도 매트릭스 분석결과 타인과의 기술 및 지식 상호작용, 통합관리, 환자 및 가족의 의사결정 개입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가장 높았다. 결론 : 외상간호역량과 전문직 직종간 협업역량의 중요도-수행도 분석의 결과 최우선순위 교육 요구 역량인 전문직 직종간 협업역량을 향상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전문직 직종간 협업역량 중 타인과의 지식 및 기술 상호작용, 통합관리, 환자 및 가족의 의사결정 개입에 대한 교육 요구가 높으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한 교육 훈련프로그램 기회의 제공과 행정적 지원 또한 필수적이다. 추후 연구에서는 권역외상센터 간호사의 전문직 직종간 협업역량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의 장단기 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level of perceived trauma nursing core competency,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ve competency in Korean regional trauma center nurses. The highest educational needs were identified using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competencies. Methods : This study wa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urvey with a convenience sample of 190 trauma nurses from 4 regional trauma centers in the Republic of Korea. Data were collected using a web-based self-report questionnaire regarding general characteristics, trauma nursing core competency, and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ve competency. Paired t-tests were us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scores of competencies. The highest priority of educational needs were identified using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matrix of competency items. Results :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overall perceived importance and performance scores of trauma nursing core competency. Regarding the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ve competency, compared to the high level of perceived importance, the perceived performance was significantly lower. Based on the importance-performance matrix of competencies, the highest educational needs were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ve competency including three items : “recognize how skills and knowledge complement and overlap with others.”, “provide whole person care with the patient.”, “include the patient/family in decision-making.” Conclusion : Training program is needed to improve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ve competency based on the highest educational needs of Korean regional trauma center nurses using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Further administrative support for trauma nurses is also needed to respond the perceived highest educational needs in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 There is a need to verify the effects of a training program on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ve competency of trauma nurses.

      • 외상 후 성장과 인지적 정서 조절 전략 간의 관계 탐색 : 메타 분석

        김한결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 연구를 요약, 통합하는 메타 분석을 통해 외상 후 성장과 인지적 정서 조절 전략 간의 전반적인 연관성을 확인하고, 선행 연구에서 보고된 상관계수를 통합하여 산출한 효과크기를 기술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국내 외에서 발표된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 중 외상 후 성장과 인지적 정서 조절 전략을 다룬 논문 38편을 메타 분석하였으며, 이 자료에서 외상 후 성장에 대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 각 하위 전략의 효과크기, 그리고 외상 경험 구성을 중재변인으로 하여 계산된 평균 효과크기까지 총 16개의 효과크기가 산출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상 후 성장에 대한 적응적 인지적 정서 조절 전략과 개별 하위 전략의 효과크기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적응적 정서 조절 전략과 그 하위 전략인 긍정적 재평가의 효과크기가 크게 나타났다. 둘째, 외상 경험 구성을 중재 변인으로 설정하여 동일한 유형의 외상을 경험한 연구 참여자를 모집한 연구와 외상 경험 유무를 기준으로 다양한 외상 유형을 경험한 연구 참여자를 모집한 연구를 비교하여 외상 후 성장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 조절 전략의 관계를 살펴 본 결과, 둘 간의 차이가 발견되지 않아 외상 경험 구성에 의한 조절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주요어: 메타분석, 외상후성장, 인지적정서조절 This meta-analysis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growth (PTG)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38 studies that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were collected through literature searches. The pool of the collected studies includes journal articl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s, and master’s theses written in Korean and English. The results showed that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yielded a large effect size in general. Particularly, positive reappraisal yielded a large effect size in the relationship with posttraumatic growth. It was also examined whether effect sizes calculated from the studies with participants that shared the same type of trauma are different from those with participants that experienced various types of trauma.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of studies. Findings from this meta-analysis suggest that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re strongly associated with posttraumatic growth. Therefore, effective intervention approaches can be taken if practitioners tak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s strategies into account helping clients deal with their traumatic experiences. keywords: Posttraumatic growth,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Meta-analysis

      • 청소년의 대인관계 외상경험이 자기체계손상에 미치는 영향 : 과각성 및 해리, 정신화의 매개효과

        이래현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청소년의 대인관계외상경험이 자기체계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그 관계에서 정신화, 과각성 및 해리 각각의 매개효과와 변인들 사이의 경로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자기체계를 조직하는 데 있어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는 정신화의 역할을 확인하고, 정신화 능력에 미치는 과각성과 해리의 영향을 검증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매개효과 검증 결과, 청소년대인관계외상경험과 해리 간의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청소년대인관계외상경험과 정신화 간의 직접효과 또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외의 직접경로는 모두 유의했으며, 청소년의 대인관계외상경험이 과각성과 해리, 정신화 각 변인을 거쳐 자기체계 손상에 미치는 간접경로 또한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청소년이 경험한 대인관계외상경험이 자기체계 손상에 영향을 미치며, 이를 과각성, 해리 및 정신화에 개입함으로써 완화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구에서 검증한 경로를 통해 상담 장면에서 대인관계외상경험으로 인해 자기체계에 손상을 입은 내담자에 대한 접근법을 넓힐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