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뉴스포츠 참여 중학생들의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체육수업 만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전신옥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의 목적은 뉴스포츠 체육수업 참여 유무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체육수업 만족, 학교생활 적응을 비교하고 그 차이를 분석하고, 이들 변인 간에 관계를 체계적으로 분석해봄으로써 각각의 체육 수업 참여 유무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는 것이다. 나아가 체육수업에서의 뉴스포츠의 도입의 효과성 입증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여 청소년들에게 건전한 여가문화 형성에 이바지 하여 체육수업을 통해 심신발달 뿐만 아니라 평생체육활동의 기초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뉴스포츠 체육수업을 진행 중인 중학교 한곳과 정규체육수업을 실시하고 있는 두 학교 총 3개의 중학교에 3반씩 9반을 대상으로 총 302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자료정리 후 유효한 것으로 분류된 294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조사도구인 설문지를 살펴보면 Ryckman(1982)에 의해 개발되고 홍선옥(1982)에 의해 번안되어 남윤미(2001)에 의해 수정되어진 사용된 신체적 자기효능감 척도(Physical Self Efficacy: PSE)와 박근우(1993)가 개발하고 윤소민(2006)등이 수정하여 사용한 수업만족 설문지, 김아영(2002)이 개발한 학교생활적응 척도를 이용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는 항목을 발췌한 다음 <뉴스포츠 참여중학생들의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체육수업 만족도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설문지 초안을 작성하였다. 작성된 설문지 초안은 예비검사(pilot test)를 통하여 설문 내용과 타당도를 검증한 다음 수정하여 완성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사용한 통계기법으로는 빈도분석(Frequency), t검정(Independent t-test), 일원량분석(One-way ANOVA), 다중회귀분석이고, 일원량분석 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 Sheffe의 사후 검증을 통해 집단 간 차이를 규명하였다. 이상의 연구목적과 방법을 기초로 하여 뉴스포츠 참여중학생들의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체육수업 만족도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을 검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유도할 수 있었다. 첫째, 운동경험의 유무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 차이검증 결과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운동경험 유무에 따른 체육수업 만족 차이검증 결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운동경험 유무에 따른 학교생활 적응 차이검증 결과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지한 건강상태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 차이검증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뉴스포츠 수업참여자와 일반체육교과과정 수업 참여자간 신체적 자기효능감 차이검증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으나 부분적으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뉴스포츠 수업참여자와 일반체육수업 참여자의 체육수업 만족차이검증 결과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뉴스포츠 수업참여자와 일반체육수업 참여자의 학교생활 적응차이검증 결과 부분적으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체육수업 만족에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체육수업 만족은 학교생활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학교 체육수업에서는 경험해보지 못한 뉴스포츠의 종목 이 학생들의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체육수업만족, 학교생활 적응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체육수업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체육수업 만족이 학교생활에 있어서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아 이 세 가지 변인들이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physical self-efficiency and physical education satisfaction due to existence of new sports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school life adaptation. Also by systematically analyzing the relationship of cause factors, we will understand the primary affecting cause due to attending physical education. Moreover by effectiveness proof close examination of new sports in physical education, we wish to help in creating healthy leisure culture for teenagers to develop mentality and provide foundation for life-time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is research tested one middle school which practices new sports physical education program and two middle schools which practices regular physical education. 3 classes from each school, total of 9 classes have been tested and 302 questionnaire papers were passed out. Out of these papers, 294 papers were valid after material arrangement, and have been final analyzed. As a research tool questionnaire, physical self efficacy developed by Ryckman (1982), changed by Hong Sun Ok (1982), amended by Sam Yoon Mi (2001), instruction satisfaction questionnaire developed by Park Gun woo (1993), amended by Yoon So Min (2006) and others, school life adaptation scale developed by Kim Ah Young (2002), has been extracted to create suitable draft articles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hich is called The affect physical self-efficiency and physical education satisfa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new sports has on school life adjustment. With the draft question naires, suitability for to rese arching content has been ver ified throu The statistic techniques for the data analysis are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multi regression analysis. In case of meaningful change after one-way ANOVA,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has been examined through Sheffe after analysis. With above research purpose and method as basis, hypothesis about the affect physical self-efficiency and physical education satisfa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adjustmenting new sports has on school life adjustment has been verified. After doing so, the below results has been induced. First, physical self-efficacy had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physical exercise experience. Second, physical education satisfaction had no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physical exercise experience, but showed to have influential power. Third, School life adaptation had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physical exercise experience. On the other hand, school surrounding adaptation had no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physical exercise experience, thus it shows that it is not related. Fourth, physical self-efficacy showed to have difference according to recognized health status. Fifth, Physical self-efficacy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new sports education and general physical education did not have meaningful difference. Sixth, Physical education satisfaction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new sports education and general physical education did have partial differences. Seventh, School life adaptation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new sports education and general physical education did have partial affective power. Eighth, Physical self-efficacy did showed to have partial positive affect on the physical education satisfaction. Ninth, Physical education satisfaction did showed to have positive affect on school life adaptation. Lastly, in school regulation adaptation, when physical education guidance material satisfaction and physical education environment satisfaction has co-relationship, physical education guidance material satisfaction showed to have negative co-relationship, thus as physical education guidance material satisfaction increases the school regulation adaptation decreases. In addition, physical education environment adaptation has positive relationship, thus as physical education environment adaptation increases, school regulation adaptation increases. As shown, in school physical education non experienced new sports is having direct and indirect affect on student’s physical self-efficacy, physical education satisfaction, and school life adaptation. Moreover physical self-efficacy has partial affect on physical education, and physical education satisfaction has direct relationship has school life. Thus we found out that these three causes are co-related.

      • 고령 여성의 아쿠아로빅 참여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안녕감에 관한 연구

        김경태 용인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고령 여성의 아쿠아로빅 참여자들의 개인적 특성(연령, 교육정도, 운동기간, 운동빈도, 운동강도)에 따라 신체적 자기효능감(신체적 유능감, 신체적 매력감, 신체적 자신감)과 심리적 안녕감(긍정적 대인관계, 개인적 성장, 자율성, 삶의 목적)이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규명하고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2010년 2월 22일부터 5월 12일까지 현재, 서울․인천지역에 소재한 청소년수련관, 복지관 및 스포츠체육센터 아쿠아로빅운동 강좌에 참여하고 있는 55세 이상의 고령 여성으로 유층집락무선표집(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방법을 이용하여 표본 추출 후 총 517명으로부터 회수된 자료(65세 미만 293명, 65세 이상 224명)가 연구 목적에 따라 통계 처리 되었다. 검사도구로는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배경변인 5문항, 신체적 자기효능감 하위영역인 신체적 유능감 5문항, 신체적 매력감 2문항, 신체적 자신감 2문항으로 총 9문항,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영역에서 긍정적 대인관계 3문항, 개인적 성장 2문항, 자율성 3문항, 삶의 목적 2문항으로 총 10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배포, 회수한 후 SPSS 15.0 프로그램을 활용, 검증을 위한 유의수준은 5%로 하고 t-test(t-검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으로 차이 검증 후 Scheffe의 사후검증을 통하여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았다. 또한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 분석하여 배경변인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안녕감,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 관하여 결론을 얻었다. 검사자료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경변인인 연령, 교육수준, 운동기간, 운동빈도, 운동강도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신체적 유능감, 신체적 매력감, 신체적 자신감)의 차이분석에서는 연령(0.1%수준), 교육정도(0.1%수준)가 신체적 유능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신체적 매력감에서는 연령(0.1%수준), 교육정도(0.1%수준), 운동강도(1%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신체적 자신감에서는 연령(1%수준), 교육정도(1%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배경변인인 연령, 교육수준, 운동기간, 운동빈도, 운동강도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긍정적 대인관계, 개인적 성장, 자율성, 삶의 목적)의 차이분석에서는 연령(1%수준), 교육정도(1%수준), 운동기간(0.1%수준), 운동강도(5%수준)가 긍정적 대인관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개인적 성장에서는 운동기간(0.1%수준), 운동빈도(5%수준), 운동강도(5%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자율성에서는 연령(5%수준), 운동기간(5%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삶의 목적에서는 연령(0.1%수준), 교육정도(5%수준), 운동기간(5%수준), 운동빈도(5%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고령 여성의 아쿠아로빅 참여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 서로 간에 부분적으로 영향관계가 나타났다. 긍정적 대인관계에서는 신체적 자신감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개인적 성장과 자율성에서는 신체적 유능감과 신체적 자신감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삶의 목적에서는 신체적 매력감과 신체적 자신감이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쿠아로빅운동을 통하여 신체적 과제와 관련된 개인의 지각된 능력 수준이 높아질수록 심리적으로 안정되어 개인의 삶의 질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physical self-efficacy(physical competence, physical attractiveness, physical confid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personal growth, autonomy, purpose of life) of elderly women who participate in aquarobics according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age, education level, period of exercise, frequency of exercise, exercise intensity), and to clarify the effects of physical self-efficacy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tudy was conducted on women over the age of 55 who participate in aquarobics programs at the teenage training centers, social welfare centers or sports centers within Incheon, Seoul, through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and the data collected from 517 women(below 65: 293, over 65: 224) was us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urvey consisting of 5 items of background variables, 9 items of physical self-efficacy ㅡ 5 items of physical competence, 2 items of physical attractiveness and 2 items of physical confidence ㅡ and 10 items of psychological well-being ㅡ 3 items of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2 items of personal growth, 3 items of autonomy and 2 items of the purpose of life ㅡ was distributed and collected, and the differences among groups were examined using SPSS version 15.0, t-test setting the significant level at 5%, one-way ANOVA, and then Scheffe post hoc test. Also,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examine self-effica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 to the variables as well as the association between physical self-effica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result of analysis is as below. Firstly, the analysis of difference in physical self-efficacy(physical competence, physical attractiveness, physical confidence)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which include age, education level, period of exercise, exercise frequency and exercise intensity, foun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hysical competence regarding age(app. 0.1%) and education(app. 0.1%) as well as in physical attractiveness regarding age(app. 0.1%), education level(app. 0.1%) and exercise intensity(app. 1%).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hysical confidence with respect to age(app. 1%) and education level(app. 1%). Secondly, the analysis of difference in psychological well-being(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personal growth, autonomy, purpose of life) according background variables, which include age, education level, period of exercise, exercise frequency and exercise intensity, foun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regarding age(app. 1%), education level(app. 1%), period of exercise(app. 0.1%) and intensity of exercise(app. 5%), and also in personal growth respectively regarding period of exercise(app. 0.1%), exercise frequency(app. 5%) and intensity of exercise(app. 5%).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analysis of difference in autonomy with respect to age(app. 5%) and period of exercise(app. 5%) as well as in the purpose of life regarding age(app. 0.1%), education level(app. 5%), period of exercise(app. 5%) and exercise frequency(app. 5%). Thirdly, the result of analysis which intended to examine the effects of physical self-efficacy according to elderly women's participation in aquarobics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showed influential relationship in par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regarding physical confidence, in personal growth regarding physical competence and physical confidence, and in purpose of life regarding physical attractiveness and physical confidence. Thus, physical self-efficacy was likely to affect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indicates that the individual quality of life can be enhanced by psychological stability as recognized individual's ability relating to physical tasks increases through aquarobics.

      • 기능성게임기(X-BOX360)를 활용한 여중학교 체육수업이 학생들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박규남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26

        이 연구는 기능성게임기를 활용한 여중학생 체육수업의 학습효과를 규명하고자하는데 있다. 전통적인 기능중심의 체육수업현장에 흥미롭고 재미있는 기능성게임기를 이용한 수업방법을 도입하고 그 학습효과가 학생들의「신체적 자기효능감」에 어떻게 도움되는 가를 알아 더욱 적극적이고 의욕적인 수업참여로 운동이 생활화하는데 도움 되는 정보를 찾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S시의 Y 여자중학교 2학년 2개 학급의 74명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은 대상자를 37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두 그룹으로 나누고 실험집단은 주 2회(45분 수업), 8주간 16차시의 정규수업을 기능성게임기를 이용한 수업을 하고 통제집단은 평소와 같은 운동기능 중심의 수업을 실시한 후 설문지를 이용한「신체적 자기효능감」척도로 집단간․운동기능수준(상, 하)에 따른 실험전후의 학습효과를 규명하였다. 평가 도구로는 「신체적 자기효능감」설문지로 Ryckman등(1982)이 만든 신체적 자기효능감 설문지를 홍선옥(1995)이 번안한 것을 수정․보안하여 사용한 설문지와 교육과학기술부(2009)에서 2009년부터 실시한 학생건강체력평가 (PAPS : Physical Activiti Promotion System)를 측정도구로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Ver 18.0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test, 대응표본 t-test, 이원반복측정변량분석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적용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 전․후간 두 집단 모두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향상되었다 (P < .001). 둘째, 기능성 게임기를 활용한 체육수업은 전통적인 기능중심 수업에 비해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높았다(P < .001). 셋째, 운동 기능수준(상, 하)과는 상관없이 모든 학생들에게 신체적 자기 효능감이 좋아졌다(F = .411,ns). 본 연구의 결론을 종합해 보면 학교체육활동에 있어서 여러 가지 환경적인 문제들로 인한 기존의 딱딱한 체육수업 보다는 기능성게임기 X-BOX360 Kinect는 장소, 날씨 등 환경적인 수업이 불가피한 상황을 극복하여 실제와 같은 학습 환경을 학습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학습자들은 재미와 흥미를 느끼며 자발적인 참여로 보다 많은 성취 경험을 겪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성취 경험은 학습자들의 신체적 기술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인지적인 능력과 다른 사람들 앞에서 당당하게 평가를 받을 수 있는 자기표현능력에 반응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체력수준에 상관없이 기능성게임이 주는 긍정적 요소(재미, 성취감)는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유도수련이 청소년의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이영순 용인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26

        본 연구의 대상은 2009년 서울 및 경기도에 소재한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모집단으로 한정하여 조사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추출절차는 서울․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유도도장, 학교방과후 유도수업, 유도선수단, 청소년수련관 및 스포츠센터를 대상으로 조사대상은 총600명으로, 실제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불성실하게 응답한 자료는 조사내용의 일부에서 제외된 24명의 설문지를 제외한 576명을 선정하였다. 자료분석방법은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기술통계(descriptive statistics)와 각 집단 간 평균차이 검증을 위해 2-way ANOVA분석을 실시하여 집단간 차이를 검증하였다. 각 요인별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자아존중감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첫째, 청소년 유도수련자의 성별, 학년별, 수련기간, 수련유무, 수련횟수, 수련장소에 따른 인지된 신체능력에 대한 분석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 유도수련자의 성별, 학년별, 수련기간, 수련유무, 수련횟수, 수련장소별에 따른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에 대한 분석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 유도수련자의 성별, 학년별, 수련기간, 수련유무, 수련횟수, 수련장소에 따른 긍정적 자아존중감에 대한 분석결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 유도수련자의 성별, 학년별, 수련횟수, 수련장소에서는 부정적 자아존중감에 대한 분석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수련기간, 수련유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청소년 유도수련자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인지된 신체능력,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 요인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하위요인이 인지된 신체능력과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 요인에서 정적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여섯째, 청소년 유도수련자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긍정적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부적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결과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중학생의 신체활동량과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운동지속수행의 관계

        김솔이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26

        이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신체활동량과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운동지속수행의 관련성과 그 관계를 규명하여 중학생의 신체활동과 운동습관의 중요성을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대상은 경기도 화성시 소재 H중학교의 남녀학생으로 354명을 표집하였으며, 설문에 불응답 하거나 불성실한 응답자를 제외한 338명의 유효 표본을 확보한 후 연구에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사용한 측정도구는 국제 신체활동 설문지(IPAQ), 신체적 자기효능감 검사지, 운동지속수행 검사지이며, 회수된 설문지는 SPSS 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개인적 특성에 따른 신체활동량, 신체적 자기효능감, 운동지속수행의 차이에서 신체활동량의 차이는 여학생 보다 남학생이, 3학년보다 1학년의 평균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차이는 인지된 신체능력과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 모두에서 여학생 보다 남학생이, 2학년보다 1학년의 평균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지속수행의 차이는 경향성과 강화성에서 여학생 보다 남학생의 평균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경향성에서 3학년보다 1학년의 평균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능성에서 3학년과 2학년보다 1학년의 평균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체활동량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운동지속수행의 차이에서 신체활동량 강도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운동지속수행의 모두에서 중강도와 저강도 보다 고강도의 평균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체활동량, 신체적 자기효능감, 운동지속수행의 상관관계에서 신체활동량 및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운동지속수행 요인들의 상관관계는 신체활동량 강도에서 저강도가 인지된 신체능력,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 강화성과의 관계를 제외한 모든 요인들 간의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과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중학생의 신체활동량이 높을수록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운동지속수행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신체활동량이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운동지속수행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among physical activity extent, physical self-efficacy and exercise adherence of junior-high school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verifying the importance of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habit of students in adolescent period. In order to achieve the study purpose, 354 students attending “H” Junior-high School in Hwaseong city in Gyeonggi-do were asked to answer a questionnaire. 338 answer sheets were secured for statistical analysis after excluding insincere answers and non-responses. As the measurement tool for data collection,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IPAQ), physical self-efficacy test sheet and exercise adherence test sheet were used. Collected answer sheets were analyzed by SPSS 18.0. Following conclusion was obtained as the result of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First, the difference in physical activity extent, physical self-efficacy and exercise adherence dependent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was that boy students were higher in physical activity extent than girl students while 3rd grade students averag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average of 1st grade students. Regarding the difference in physical self-efficacy, boy students were higher both in perceived physical ability and physical self-presentation confidence than girl students while 2nd grade students averag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average of 1st grade students. Regarding the difference in exercise adherence, boy students were higher both in predisposing trend and reinforcing trend than girl students. In the predisposing trend, 1st grade students averag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average of 3rd grade students. In the enabling trend, 1st grade students averag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averages of 3rd grade students and 2nd grade students. Second, regarding the difference in physical self-efficacy and exercise adherence dependent on physical activity extent, the average of high intensit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averages of intermediate intensity and low intensity both in physical self-efficacy and exercise adherence dependent on physical activity extent. Third, regarding the relationship among physical activity extent, physical self-efficacy and exercise adherence, all factors had positive correlation; except the relationship among physical ability perceived as low intensity in physical activity extent, physical self-presentation confidence and reinforcing trend. According to above results, higher physical activity extent of junior-high school students have more positive impact on the physical self-efficacy and exercise adherence of them. Therefore, it was possible to find that physical activity extent is a variable with important impact on physical self-efficacy and exercise adherence of junior-high school students.

      • 고등학생의 체육수업열정 및 신체적자기효능감이 체육수업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희성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26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체육수업열정과 신체적자기효능감이 체육수업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관계를 규명하여 교육 현장에 실증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고등학생 100명으로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고 472명을 대상으로 최종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ver. 21.0)와 AMOS(ver. 21.0)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독립표본 T-test,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고등학생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체육수업열정과 신체적자기효능감, 체육수업만족 일부 하위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생의 체육수업열정과 신체적자기효능감, 체육수업만족에서 부분적으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고등학생의 체육수업열정이 신체적자기효능감에 부분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고등학생의 체육수업열정이 체육수업만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고등학생의 신체적자기효능감이 체육수업만족에 부분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고등학생의 체육수업열정이 체육수업만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며 더불어 신체적자기효능감도 체육수업만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증명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체육수업열정과 신체적자기효능감이 체육수업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주제어 : 체육수업열정, 신체적자기효능감, 체육수업만족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mpirical information to the educational field by analyzing the effects of high school students' passion for physical education and physical self-efficacy on the satisfac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100 high school students were used to secur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 and the final data were collected from 472 students.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and AMOS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according to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 studen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some sub-factors of passion for physical education classes, physical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with physical education classes. Second, a positive correlation was partially found in high school students' enthusiasm for physical education classes, physical self-efficacy, and physical education class satisfaction. Third, it was found that high school students' enthusiasm for physical education class had a partial positive effect on their physical self-efficacy. Fourth, it was found that high school students' passion for physical edu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satisfaction with physical education.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physical self-efficacy of high school students had a partial positi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ese results show that high school students' key words: passion for physical education classes, physical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with physical education classes. It is proving that the passion for physical education class is a variable that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that physical self-efficacy is also a variable that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oviding the effects of high school students' passion for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physical self-efficacy on their satisfaction with physical education classes.

      • 중학생들의 신체표현활동 수업이 수업만족도 및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남희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2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examine the effects of class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and emotional self-efficacy on students participating in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located in Daegu and Gyeongbuk, and three middle schools were selected for 300 students. 113 boys and 167 girls were select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participants are as follows. First, the survey tools used in the previous studies of Kim Se-heon (2002), Kang Gun-ok (2004), Kim Taek-hoon (2005), and Kang Ju-ok (2007)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class satisfaction of the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Modified and used as a supplement. Second, The Physical Self-Efficacy Questionnaire (PESQ) questionnaire developed by Seok-Hyuk Seok and Jung-Hyuk (2013)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hysical self-effic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 in physical expression class. Corrected and supplemented to suit.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IBM SPSS 25.0K after excluding questionnaires by identifying the data with incomplete or double answers among the collected data. All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s were set to .05. First,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he study subjects. Second, a reliability analysis (Cronbach ’s α) was conducte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each question in the questionnaire used. Third, t-test (Independen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class satisfaction and physical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 in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class satisfaction according to gender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lass exercise, instruction, class environment, and healthy life. However, boys were higher than girls in all subfactors. Class satisfaction also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subfactors. However, in class exercise, instruction, and healthy life, they appeared in the order of second grade, first grade, and third grade, and in class environment, in order of third grade, first grade, and second grade. The class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most preferred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was the highest among the five class activities, health activity, challenge activity, competition activity, expressive activity and leisure activity, and the lowest leisure activity. Class satisfaction according to program participation showed the highest satisfaction level when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more than 5 times in the class environment,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lass exercise, instruction, and healthy life. Was highest when done. In class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physical education, class exercise, instruction, class environment, and healthy lif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level of physical education. All of the above four factors resulted in high class satisfaction for students with high athletic performance. In the average time for participating in a program once, class exercise, class environment, and healthy life showed the highest results when the participation time of a program was more than 2 hour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instruction. The class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period was high when the physical expression activity was performed for more than one year in class exercise and healthy life.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class instruction and class environment.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physical self-efficacy according to gender of middle school students, male students showed higher responses than female students,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unning efficacy, exercise participation efficacy, and appearance efficacy. In physical self-efficacy according to grade level, appearance and body efficac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s a result of 3rd grader response than 1st and 2nd graders. The physical efficacy according to the most preferred physical education class activit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ercise participation efficacy among the lower factors. In the program participation, the greater the frequency of exercise participation efficacy, the higher the physical self-efficacy. At the physical performance level, the subfactors of physical self-efficacy, running efficacy, exercise participation efficacy, appearance efficacy, muscle strength, and body type, all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s the result of physical self-efficacy. The running time, exercise participation, appearance, strength, and body shape were all different from the average time of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once. The longer the participation time was, the higher the physical self-efficacy was.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particip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unning self-efficacy, exercise participation efficacy, appearance efficacy, muscle strength, and physical self-efficacy. Third,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lass satisfaction and physical self-effic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that class exercise, instructional instruction, running efficacy of healthy life and physical self-efficacy, exercise participation efficacy, appearance efficacy, muscle power efficacy, body type Efficac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ll subfactors.

      • 노인의 웨이트 트레이닝 참여정도가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대성 용인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25

        이 연구는 웨이트 트레이닝 참여 노인의 참여정도가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10년 경인지역의 노인복지시설에서 웨이트트레이닝에 참여하고 있는 노인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다음 비확률 표본추출법 중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총 250명을 표집하였고, 불성실하거나 질문내용이 누락된 38부를 제외한 후, 총 212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도구는 설문지로, Ryckman(1982)이 개발한 신체적 자기효능감 척도(Physical Self-Efficacy Scale)와, Diener, Emmonson, Larsen, Griffin(1985)이 개발한 5문항으로 구성된 생활만족도 척도(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SWLS)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2.0 version을 이용하여 분석 목적에 따라,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검증,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고, 가설검증의 유의수준은 p<.05 수준에서 검증하였다 이상의 연구절차를 통하여 이 연구에서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특성 중 배우자 유무와 최종학력이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생활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둘째, 노인의 웨이트 트레이닝 참여정도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참여기간, 참여빈도, 참여시간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셋째, 노인의 웨이트 트레이닝 참여정도에 따른 생활만족도를 살펴보면 참여기간, 참여빈도, 참여시간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넷째, 웨이트 트레이닝 참여노인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본 결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하위변인과 생활만족도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5), 신체적 자기표현자신감 요인이 생활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weight training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on their physical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 Also,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elderly performers of weight training at senior welfare center in Seoul, Kyunggi. Moreover, samples of this study were collected by using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nd 212 of 250 questionnaires were actually analyzed. In this study Ryckman(1982)'s Physical Self efficacy and Diener, Emmonson, Larson, and Griffin(1985)'s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SWLS) we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used by SPSS12.0 and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in this study were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aforementioned research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in weight training mad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ir life satisfaction and physical self-efficacy according to educational attainment and spouse(p<.05). 2. the level of physical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weight training showed all meaningful a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iod of participation(p<.05). 3. the degree of life satisfaction depending upon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weight training showed meaningful a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iod of participation(p<.05). 4. As for the relations between physical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it turned out that there was a meaningful and significant equal-correlation between two(p<.05). Also, a confidence of physical self-expression had the most effect on life satisfaction(p<.05).

      • 여성 그룹운동(Group Exercise) 참여자의 운동중독,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변주훈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25

        이 연구는 여성 그룹운동 참여자의 운동중독,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생활만족도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여성 그룹운동 참여자들의 올바른 신체활동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09년 현재 그룹운동이 진행되고 있는 서울 강남지역 스포츠센터 5곳에서 만 19세 이상의 성인 여성 그룹운동 참여자 250명을 선정하여 설문지를 배포하고 부적절한 설문지와 미회수 설문지 9부를 제외한 241부를 SPSS WIN 1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 Tukey사후검정,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정도에 따라 운동중독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참여기간과 참여빈도, 참여시간, 참여강도가 높을수록 운동중독 요인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참여정도에 따라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참여기간, 참여시간, 참여강도가 높을수록 신체적 자기효능감 요인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참여정도에 따라 생활만족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참여기간, 참여빈도, 참여시간, 참여강도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 요인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운동중독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운동중독은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운동의존이 높을수록 인지된 신체능력이 높아지고 사회적 문제, 운동동기, 운동욕구가 높을수록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운동중독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운동중독은 생활만족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 문제, 운동의존, 운동동기, 운동욕구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 요인이 높게 나타는 것을 알 수 있다. 여섯째,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생활만족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인지된 신체능력과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 요인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 볼 때 여성 그룹운동 참여자의 운동중독은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생활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규칙적인 그룹운동을 통해 신체적․정신적 건강을 도모하고 운동참여에 대한 긍정적 동기를 부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addiction, physical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in female group exercise participants. The purpose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promoting a more straightforward physical activity plan for the female participa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50 females who were over 19 years old and currently participating in group exercise classes throughout 2009. They were chosen from 5 different sports centers in Gangnam-gu in Seoul. Each of them was given a questionnaire to fill out in order to create data for the study. Of the total 250 questionnaires hand-out, 9 were excluded due to the fact that either the subject did not meet the requirements or the questionnaire was not returned. I used the remaining 241 to create data using the SPSS WIN 2.0 Statistics Program for the following: frequency analysis, unitary variable analysis(one-way ANOVA), Tukey’s method, and multiple recurrence analysis. Through this process, I was able to put together and draw up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that appeared in the level of exercise addition depending on the rate of participation. When the period, frequency, length of time, and intensity of participation was higher, the addiction level was higher and directly effected.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that appeared in the level of physical self-efficacy depending on the rate of participation. When the period, frequency, length of time, and intensity of participation was higher, physical self-efficacy level was also higher and directly effected. Third, Th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shown were also in proportion to the rate of participation. When the period, frequency, length of time and intensity of participation was high, the life satisfaction was also higher. Fourth, A proportionate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exercise addiction and physical self-efficacy. Exercise addiction directly affected person's physical self-efficacy. When one’s dependence on exercise was high, then acknowledged physical capability was also high. Also when social consequential problem, exercise incentive, and the urge to exercise were high, one's self-confidence in their physical self-presentation was high. Fifth, There was a proportionat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addiction and life satisfaction also. The level of exercise addiction had a big impact on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When social consequential problem, exercise dependence, exercise incentive, and the urge to exercise were high,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by making it was high, too. Finally, there was a proportionat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The level of physical self-efficacy had a great effect on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When one’s recognition of their physical capacity and self-confidence in their physical self-presentation were high,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was directly effected and higher. When all these conclusions are combined, it is clear that exercise addiction of female group exercise participants has a great positive influence on the physical self-efficacy and level of life satisfaction. Through a regulated group exercise plan, I strongly believe that a positive motivational plan can be derived for the participants while providing them both physical and mental health.

      • 중학생이 자각하는 운동행동변화단계가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체육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임종택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725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운동행동변화단계가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체육수업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며, 운동행동변화단계와 신체적 자기효능감, 체육수업만족도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 청소년들의 운동행동 촉진 및 유지의 중재전략수립을 통해 신체활동을 확대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14년 서울시에 위치한 중학교에 재학 중인 전 학년을 대상으로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실제분석에서는 최종 오류검증 절차를 걸친 288부의 설문지가 사용되었다. 조사도구로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학년, 성별로 구성하여 2문항, 운동행동변화단계 1문항,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달리기효능감, 운동참여효능감, 근력효능감, 외모효능감, 체형효능감의 5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하여 총 18문항, 체육수업만족도는 교수행동만족, 체육성적만족, 체육환경만족, 운동능력만족의 4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하여 총 20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분석은 Window용 SPSS 18.0 Ver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논의한 후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운동행동변화단계가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운동행동변화단계와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나타내었다. 즉, 운동행동변화단계가 높을수록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달리기효능감, 운동참여효능감, 근력효능감, 외모효능감, 체형효능감 모두가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운동행동변화단계가 체육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운동행동변화단계가 체육수업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나타내었다. 즉, 운동행동변화단계가 높을수록 체육수업만족도의 하위요인인 교수행동만족, 체육성적만족, 체육환경만족, 운동능력만족 모두가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신체적자기효능감이 체육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하위변인 중 달리기효능감, 근력효능감, 체형효능감이 체육수업만족도의 하위요인인 교수행동만족에 정적(+) 영향을 나타내었고, 달리기효능감, 외모효능감이 체육성적만족에 정적(+) 영향을 나타내었고, 달리기효능감, 체형효능감이 체육환경만족에 정적(+) 영향을 나타내었고, 달리기효능감, 운동참여효능감이 운동능력만족에 정적(+) 영향을 나타내었다. 즉,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체육수업만족도의 전반적인 하위요인이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운동행동변화단계와 체육수업만족도의 관계에서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운동행동변화단계와 체육수업만족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들을 종합해보면, 중학생이 자각하는 운동행동변화단계는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체육수업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운동행동변화단계는 체육수업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신체적 자기효능감이라는 요인을 통하여 체육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중학생이 자각하는 운동행동변화단계가 높은 단계에 위치할수록 체육수업만족도를 높일 수 있고, 그 과정에서 운동행동변화단계는 신체적 자기효능감과의 직접적인 연관성을 보이면서 비례적인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