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신동엽 시 연구 : 언술주체의 의미실현 양상을 중심으로

        김희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시의 언술주체가 의미를 실현해 가는 과정을 분석적으로 고찰해봄으로써, 신동엽의 시가 지향하고 있는 바가 무엇인지를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텍스트 자체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통해 신동엽 시의 주제적인 면이 작품의 내적인 형식과 유기적으로 관계 맺고 있는 양상을 밝혀내고자 했다. 신동엽의 시에서 '현실 세계'는 언제나 변혁해야 하는 부정적인 대상으로 나타난다. 이로 인해 신동엽 시의 담화 구조는 언술주체의 현실 변혁 의지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나타난다. 이에 본고에서는 화자 지향적 언술과 청자 지향적 언술, 그리고 화제 지향적 언술의 제양상들을 통해 언술주체가 현실 변혁 의지를 실천해가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화자 지향적 언술 속에서 자아가 형상화되는 방식을 살펴보았다. 신동엽 시의 화자 지향적 언술은 자아와 세계의 단절을 체감하는 언술주체에 의해 구성된다. 이때 언술주체는 부정적인 세계에 대한 개인적 대응에 있어 상반된 태도를 보이는 두 유형의 화자를 등장시킨다. 여기에서 세계와의 불화를 극복하지 못하는 화자는 어떠한 전망도 제시하지 못한 채 내적으로 고립되는 모습을 보인다. 이때 언술주체는 현실 극복의 노력을 적극적으로 보여주지 못하는 화자의 절망적인 내면 상황을 부각시킴으로써 수동적인 '자아'의 한계성을 드러낸다. 반면에, 자아를 확장해서 세계와의 화해를 추구하는 화자는 단절을 극복하려는 적극적인 시도를 통해 새로운 전망을 획득해내고 있다. 고립된 자아와 확장된 자아가 보여주는 대립적 태도는 전망의 '부재/획득'이라는 결과적 상황을 통해 '부정/긍정'이라는 이항대립적 상황을 만들어낸다. 여기에서 언술주체는 세계와의 불화를 능동적으로 극복해내는 자아에게 긍정적인 시선을 보냄으로써 이상적인 자아상을 제시하고 있다. Ⅲ장에서는 청자 지향적 언술 속에서 자아와 타자의 관계가 형상화되고 있는 방식을 살펴보았다. 언술주체는 청자 지향적 언술을 통해 세계와의 화해를 추구하는 '자아'가 개별적인 타자들과 직접적으로 관계를 맺는 모습을 전경화시킨다. 여기에서 언술주체가 내세우고 있는 화자는 청자의 성격에 따라 상반되는 두 가지 태도를 보인다. 부정적인 타자들을 향해 발화를 수행하는 화자는 청자에 대해 강한 거부감을 드러낸다. 반면, 긍정적인 타자들을 향해 발화를 수행하는 화자는 청자에 대한 열정적인 사랑을 보여준다. 여기에서 긍정적 타자는 대지적 생명력과 굳건한 의지를 가진 건강한 민중으로 설정되고 있다. 이렇게 타자의 '부정/긍정'에 따라 '강한 거부/열정적 사랑'으로 상반되게 나타나고 있는 화자의 태도는 언술주체가 지향하는 타자가 건강한 민중 집단이라는 것을 명확하게 드러낸다. 언술주체는 대지에 발 딛고 노동하는 인간, 즉 민중들과 자아의 긍정적 연대를 통해 이상적인 타자상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Ⅳ장에서는 화제 지향적 언술 속에서 세계가 재현되고 있는 방식을 살펴보았다. 신동엽 시에서 이러한 유형의 언술은 텍스트의 외부에 존재하면서도 텍스트 내의 상황이나 장면에 주관적·적극적으로 개입하는 서술 화자에 의해 구성된다. 여기에서 서술 화자는 두 가지 태도를 보여준다. 화자는 훼손된 세계의 모습을 그대로 재현해냄으로써 현재적 상황에 내재하는 폭력의 구조를 드러내거나, 상상적 비젼을 통해 현실 세계의 폭력과 억압, 착취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적인 세계의 모습을 그려낸다. 현실 세계와 이상적 세계 사이에 존재하는 '부정/긍정'의 이항대립은 언술주체가 지향하는 세계가 조화롭고 평화로운 공동체적 삶이 구현되는 평등주의적 사회라는 것을 보여준다. 언술주체는 현실 상황의 부정성이 지양되고 극복되는 세계의 상상적 비젼을 통해 이상적인 세계상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Ⅴ장에서는 Ⅱ, Ⅲ, Ⅳ장의 분석을 통해 드러난 언술주체의 의미실현 양상을 종합적으로 고찰해 봄으로써, 신동엽 시의 '담화 목표'가 궁극적으로 독자들에게 세계 변혁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신동엽의 시를 민중시·참여시로 파악할 수 있게 해주는 형식적 구성 원리는 이렇게 독자를 현실 변혁의 행위로 유도하는 방식을 통해 드러난다. 신동엽 시의 언술주체는 양가적 시선을 통해 이상적 자아상과 이상적 타자상, 그리고 이상적 세계상을 제시함으로써, 독자들에게 부정적인 세계에 대한 개인적·집단적 대응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세계 변혁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살펴본 것처럼, 신동엽 시의 주제적 측면은 작품의 내적 구조와 유기적으로 관계 맺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기존의 논의들은 그것이 찬양일변도를 보여주는 것이든, 맹렬한 비판을 보여주는 것이든, 이러한 이중적 작업, 즉 시의 내적 구조와 주제적 측면에 대한 동반적 연구를 소홀히 했다는 점에서 동일한 한계를 보여주었다. 이에 본고는 시의 언술주체가 보여주는 다양한 언술의 실현 양상들을 구체적인 작품 분석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신동엽 시의 전략과 지향을 규명해보았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Shin Dong-yeup's poems intended to by analytically examining the aspects that a subject of discourse in poems realized the meaning.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matic aspects that Shin Dong-yeup's poems were systematically related to intrinsic forms by focusing on analysis of the text of his works itself. In Shin Dong-yeup's poems, the actual world always represents a negative object that has to be revolutionized. In consequence, a discourse structure of Shin Dong-yeup's poems is closely related to the will of a subject of discourse to revolutionize the reality. Therefore, this thesis examined the process that the subject of discourse realizes its will to revolutionize the reality by looking into the patterns of speaker-oriented discourse, listener-oriented discourse, and theme-oriented discourse. In chapter two, it is studied the patterns that a self has been taken shape in speaker-oriented discourse. Speaker-oriented discourse of Shin Dong-yeup's poems is made up of by the subject of discourse that recognizes breaking-off between the self and the outer world. At this time, the subject of discourse lets two types of speakers, who have contrary attitudes each other about the way to face to the negative reality for themselves, appear. At first, the speaker who cannot overcome the discord with the reality appears to be isolated from the reality and confined in inner world without any prospect. By emphasizing the speaker's desperate inner state, the subject of discourse reveals a limit of a passive 'self' that does not make any effort to cope with the reality. On the other hand, the speaker, who seeks to harmonize with the reality by expanding the self, acquires new prospect through the active attempt to overcome breaking-off with the reality. The opposing attitudes between the isolated self and the expanded self create the binary opposite situation, 'negative/positive', through consequential situation, 'absence/acquirement' of prospect. Here the subject of discourse suggests an ideal image of the self by sending positive eyes to the self that actively overcomes breaking-off with the reality. In chapter three, it is examined the patterns that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 and the other has been taken shape in listener-oriented discourse. The subject of discourse foregrounds the picture that the 'self', trying to reconcile with the reality, directly makes relationship with individual others through listener-oriented discourse. At this point, speakers made stand by the subject of discourse show two contrary attitude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listeners. A speaker narrating to negative others reveals strong hostility toward the listener. On the other hand, a speaker narrating to positive others expresses ardent love toward the listener. Here, the positive others are represented as the crowds with sound mind that have enormous vitality and strong will. The speaker's contrary attitude that shows 'strong hostility/ardent love' according to the others' 'negative/positive' represents clearly that the others that the subject of discourse intends to is the crowds with sound mind. What the subject of discourse wants to mean is to represent the image of ideal others by emphasizing the positive solidarity with human beings that are laboring on the earth, that is, the crowds, and the self. In chapter four, it is studied the patterns that the reality is reemerged in theme-oriented discourse. In Shin Dong-yeup's poems, this type of discourse is composed of by a narrating speaker who intervenes in the situation or scene within the text in a subjective or active way, though the subject is outside the text. At this point, the speaker shows two attitudes. The speaker reveals a structure of violence underlying in the present by making the destroyed reality reappear, or pictures an ideal world that there is not any violence, suppression, and exploitation existing in the real world through imaginative vision. The binary opposition of 'negative/positive' lying in between the real world and ideal world represents that the world that the subject of discourse is longing for is a society where the principle of equality is observed and all the people can live each other harmoniously and peacefully. The subject of discourse intends to show the ideal image of the reality through an imaginative vision that negativeness of the reality can be denied and be overcome In chapter five, the research examined synthetically the aspects of the subject of discourse's realization of meaning that were reveal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revious chapters, and then it is found out that 'the aim of discourse' of Shin Dong-yeup's poems is ultimately to suggest the direction about how to change the world to readers. The formal principle that Shin Dong-yeup's poems are identified with poems of the crowds or socially activistic poems is revealed through the way to lead readers to an action for the reform of the reality just like this. The subject of discourse in Shin Dong-yeup's poems intends to give a direction to confront negative world individually or as a group to readers by offering the ideal images of 'self', 'the other' and 'the world', and based on this, ultimately to suggest a direction to revolutionize the reality. In conclusion, it is found that the thematic aspect of Shin Dong-yeup's poems is systematically related to the inner structure of the works. Existing arguments, whether they admire his works or severely criticize them, have a limit, concerning that they did not discuss the issues that inner structures of poems and thematic aspects should be examined at the same time. Consequently, this thesis identified Shin Dong-yeup's poems' strategies and intentions by examining various aspects of discourse represented by the subject of discourse in his works through concretely analysis of his works.

      • 신동엽 서정 단시의 어조 연구

        김영연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신동엽의 시를 ‘어조’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어조’ 연구는 기존의 신동엽 시 연구가 주로 외재적 접근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작품 자체에 집중하지 못한 한계를 극복하고, 비유적 언어보다는 직정적 언어를 주로 사용한 신동엽 시의 특성상 시의 본질을 밝히는 데 매우 효과적이라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특히 본고에서는 신동엽 시세계의 특징 중 ‘우리를 형성하는 힘이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어조’ 연구를 통해 ‘우리’를 형성하는 힘으로 작용하는 내재적 구조 및 특유의 형식을 추적함으로써, ‘우리를 형성하는 힘’의 근원을 밝히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그리고 다수의 다양한 시를 각 유형에 따라 균형 있게 다루기 위해 신동엽 시의 원형으로 생각되는 신동엽전집(2002)과 미발표시집 꽃같이 그대 쓰러진(1988)에 수록된 서정 단시(短詩)를 연구 대상으로 한다. 본고는 시를 일종의 담화체계로 전제한 후, 언어의 기능적 측면을 고려하여 어조를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했다. 이는 뷜러(Buhler), 야콥슨(R. Jakobson)의 ‘언어전달체계 이론’과, 김준오가 제시한 ‘어조 유형’을 참고한 것이다. 시의 언어 전달이 화자, 청자, 화제 중 어느 요소를 강조하느냐에 따라 ‘화자지향적 어조’, ‘청자지향적 어조’, ‘화제지향적 어조’의 시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화자지향적 어조’는 자아를 향한 내면의 목소리이다. 신동엽 시의 ‘화자지향적 어조’는 자아의 성격에 따라 ‘개인적 자아를 향한 화자지향적 어조’와 ‘사회?역사적 자아를 향한 화자지향적 어조’로 세분화할 수 있다. 전자의 시에는 인간 보편적 정서를 다루되 그들을 향한 애정 및 겸손과 희생의 자세를 다짐하는 차분한 목소리와, 비본질적 요소를 제거함으로써 본질적 자아를 벼리려는 날카로운 목소리를 발견할 수 있다. 후자의 시에서는 남북 분단, 6?25전쟁, 가난 등 구체적인 사회?역사적 상황 속에서 느끼는 화자의 민족 정서, 내면적 염원과 다짐을 드러내는 차분한 목소리와, 사회?역사적 상황과 관련한 자아의 감정을 강하게 표출하는 치열한 목소리가 있다. ‘화자지향적 어조’는 표면적으로는 자신을 향한 독백과도 같아서 발화가 밖으로 퍼져나가지 않고 원점으로 회귀되고 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화자(시인)의 입장에서는 감정 정화 및 성찰과 내적 다짐을, 독자의 입장에서는 자신을 화자에 투사함으로써 화자(시인)와 같은 정서적 울림을 경험하게 한다. 특히 신동엽의 ‘사회?역사적 자아를 향한 화자지향적 어조’는 동일한 사회?역사적 경험을 공유한 독자를 화자(시인)의 내면 속으로 끌어들여 독자와 화자(시인)를 ‘우리’로 묶어 내는 간접적 영향력을 행사한다. 또한 ‘개인적 자아를 향한 화자지향적 어조’도 외재적 접근 방법을 활용하면 ‘사회?역사적 자아를 향한 화자지향적 어조’로 재해석되어 동일한 영향력을 행사하게 된다. 이처럼 신동엽 시의 ‘화자지향적 어조’는 청자를 향해 힘껏 발화할 수 있도록 ‘우리’ 형성의 기반이 되는 내면을 구축하는 목소리이다. 둘째, ‘청자지향적 어조’는 화자가 청자를 향해 발화하는 목소리이다. 신동엽 시의 ‘청자지향적 어조’는 청자의 성격에 따라 크게 ‘부정적 청자를 향한 청자지향적 어조’와 ‘긍정적 청자를 향한 청자지향적 어조’로 세분화할 수 있다. 청자가 외세, 봉건체제, 근대문명 등 부정적인 대상일 경우에는 화자는 청자를 ‘우리’ 밖으로 분리 제거하려는 거부의 거친 목소리를 낸다. 반면, 청자가 민중 등 긍정적인 대상일 경우에는 화자는 청자를 ‘우리’ 안으로 결속시켜 지향점을 향해 동참하도록 설득하는 부드러운 목소리와, 확신을 심어주려는 단정적인 목소리를 낸다. 이는 철저하게 비본질적인 껍데기를 ‘우리’ 안에서 제거하고, 본질적인 알맹이로만 ‘우리’를 강화하려는 화자의 의지가 발현된 것이다. ‘청자지향적 어조’의 시에서는 쉬운 단어 사용, 반복 제시, 선언적 진술, 호격, 명령 또는 청유 등의 평이한 발화 형식을 취한다. 이는 시적 기교를 최소화하여 담화의 선명도를 높임으로써 청자를 향한 화자의 영향력을 극대화하려는 의도의 결과이다. 특히 극단적 이분법과 선언적 진술 등으로 이루어진 ‘청자지향적 어조’는 사고를 경직시키고 미적 거리를 확보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나, 부정적 청자를 적극적으로 배제하고 ‘화자(시인)와 긍정적 청자(독자)’를 확고한 ‘우리’로 결속시키는 힘을 발휘한다. 셋째, ‘화제지향적 어조’는 화자나 청자보다 화제에 초점을 두고 발화하는 목소리이다. 일반적으로 ‘화제지향적 어조’는 화자가 객관적 입장에서 화제( context : 맥락)를 제시하고 화자와 청자는 문면의 뒤로 빠져나와 있는 형태이다. 그러나 신동엽의 시에서는 엄격한 의미의 ‘화자와 거리를 둔 화제지향적 어조’를 찾기는 어렵다. 이 유형의 신동엽 시는 대부분 ‘화자와 밀착된 화제지향적 어조’를 보인다. 담화체계는 분명 화제를 강조하고 있기는 하나, 과도한 구체적 상황의 제시, 대조를 통한 시인의 의도 암시, 역사적 실존 인물 또는 민중의 전형 등장, 인칭대명사 ‘우리’의 사용 등의 방법을 동원하여 시 속에 화자(시인)의 의도를 개입하려는 경향이 드러난다. 이 유형의 시에서 다뤄진 화제는 제국주의의 팽창, 피폐한 산업사회의 모습, 아나키즘적 이상세계, 조국통일 등이다. ‘화자와 밀착된 화제지향적 어조’는 독자의 상상력을 제한하고 미적 거리를 확보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나, ‘화자(시인)와 청자(독자)’를 공동체적 인식을 가진 ‘우리’로 결속시키는 힘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신동엽 시의 어조는 ‘우리를 형성하는 힘’을 지닌다. ‘화자지향적 어조’가 밖을 향해 힘껏 발화할 수 있도록 ‘우리’ 형성의 기반이 되는 내면을 구축하는 목소리라면, ‘청자지향적 어조’는 견고한 내면을 바탕으로 청자를 향해 발화함으로써 알맹이만으로 이루어진 정제된 ‘우리’를 형성하는 외적 발화의 목소리이다. 그리고 ‘화자와 밀착된 화제지향적 어조’는 공동체적 인식 위에 견고한 ‘우리’가 확대되도록 이야기하는 목소리이다. 즉 신동엽 시는 다양한 어조를 통해 ‘우리’를 구축하는 특징을 지닌다. This study analyzed Sin Dong-yeob''s poems in the tone aspect. Because I thought a tone study was very effective in escaping from the restriction not allowing the existing studies on Sin Dong-yeob''s poems to focus on the works themselves due to the studies mostly being made by an external access and in clarifying the essence of Sin Dong-yeob''s poems by the nature of the poems in which not metaphorical language but frank language is mostly used. Especially, in this thesis, I noted that there exists a power forming ''us'' among the nature of Sin Dong-yeob''s poems. Accordingly, this study is intended to find the source of ''the power forming us'' by looking into the intrinsic structure and peculiar forms that act as the power forming ''us'' through a tone study. In addition, to evenly handle a variety of poems according to each type,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lyric short poems included inSin dong-yeob''s collection(2002) considered the prototype of the poems and Fallen you like a flower(1988), an unpublished collected poems. In the thesis, assuming poems to be a kind of discourse system, ton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in view of the functional aspect of language. This referred to ''Language transmission system theory'' by Buhler and R. Jakobson and ''Tone type'' proposed by Kim Jun-o. An analysis was made after classifying poems into ''Addresser-centering tone poem'', ''Addressee-centering tone poem'' and ''Context-centering tone poem'' in accordance with what element in language transmission of poems was stressed among the addresser, the addressee and the context. First, ‘Addresser-centering tone’ is a voice toward self. ''Addresser- centering tone'' of Sin Dong-yeob''s poems can be classified into ''Addresser-centering tone toward personal self'' and ''Addresser-centering tone toward social?historical self'' in accordance with the nature of self. The poems of the former represent universal human emotions and contain a calm voice which shows an affection for such emotions and an attitude of modesty and sacrifice and a sharp voice which pursues essential self by removing unessential elements. In the meantime, in the poems of the latter, there are a calm voice which represents the racial emotion and internal dearest wish and decision the addresser feels under a detailed social?historical environment such as South-North division, the Korean War, poverty, etc. and a intense voice which strongly represents self-emotion related to social?historical situation. ‘Addresser-centering tone'' is superficially like a monologue toward himself, so it seems that the tone doesn''t spread outside and just returns to its original point. But, the tone gives the addresser(poet) emotional purification, reflection and internal decision and allows the reader to experience the same emotional sympathy as do the addresser(poet) by having him project himself on the addresser. Especially, Sin Dong-yeob''s ''Addresser-centering tone toward social?historical self’ exerts indirect influence that combines the reader and the addresser(poet) into ''us'' by having the reader who experiences the same social?historical situation come into the inside of the addresser(poet). Also, it is likely that if an external access is utilized, ''Addresser-centering tone toward personal self'' is re-interpreted as ''Addresser-centering tone toward social?historical self'' and thus exerts the same influence. Like this, ''Addresser-centering tone of Sin Dong-yeob''s poems is a voice establishing the inside that constitutes the basis for forming ''us'' so that the addresser may shout strongly to the addressee. Second, ‘Addressee-centering tone'' is a voice by which the addresser shouts to the addressee. Sin Dong-yeob''s ''Addressee-centering tone''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Addressee-centering tone toward a negative addressee'' and ''Addressee-centering tone toward a positive addressee'' in accordance with the nature of the addressee. In case the addressee is a negative subject such as foreign influence, feudalism, modern civilization, etc., the addresser makes a strong and negative voice to separate and remove the addressee from ''us''. On the contrary, if the addressee is a positive subject such as the masses, the addresser makes a soft voice to combine the addressee with ''us'', inducing it to go together with ''us'' toward the same goals and also makes a definite voice to carry conviction. This is caused by the addresser''s intent to thoroughly remove an unessential element from ''us'' and strengthen ''us'' with only the substance. Poems of ‘Addressee-centering tone’ take an ordinary representation form such as the use of easy words, repetitive suggestions, declarative statement, the vocative case, and order or persuasion. This results from the addresser''s intent to maximize its influence upon the addressee by minimizing poetic technique and thus raising definition of discourse. Especially, ''Addressee-centering tone'' composed of extreme dichotomy, declarative statement, etc. tends to stiffen thought and fails to secure aesthetic distance, but exerts a power to actively remove the negative addressee and to strongly unite ''the addresser(poet) and the positive addressee(reader) into ''us''. Third, ‘Context-centering tone’ is a voice more focused on context than the addresser or the addressee. Usually, ''Context-centering tone'' is a type by which the addresser suggests context from the objective standpoint and the addresser and the addressee withdraw from the contents of the context. But, in a strict meaning, it is difficult to find ''Context-centering tone distant from the addresser'' in Sin Dong-yeob''s poems. This type of Sin Dong-yeob''s poems mostly shows ''Context-centering tone closely related to the addresser''. Discourse system clearly stresses the context, but tends to insert the addresser(poet)''s intent into poems by suggesting poet''s intent through representation of excessively detailed situations and contrasts, appearance of a historic figure or the typical masses and the use of a personal pronoun ''us''. The contexts handled in this type of poems include expansion of imperialism, a shape of ruined industrial society, an anarchic ideal world, unification of the fatherland, etc. ‘Context-centering tone closely related to the addresser'' has a defect that restricts the imaginative power of the reader and doesn''t secure aesthetic distance but, exerts a power to unite ''the addresser(poet) and the addressee(reader)'' into ''us'' having communal recognition. As above described, Sin Dong-yeob''s tone has a power forming ''us''. ''Addresser-centering tone'' is a voice that establishes the inside, a base of forming ''us'', so that we may advance toward the outside, while ''Addressee-centering tone'' is the outside-oriented voice forming refined ''us'' only composed of substance by appealing to the addressee on the basis of the solid inside. And ''Context-centering tone closely related to the addresser’ is a voice to talk so that ''we'' may solidly expand on the basis of communal recognition. That is, Sin Dong-yeob''s poems have a characteristic to form ''us'' through various tones.

      • 신동엽 시 연구 : 역사의식과 유토피아적 상상력

        김은정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신동엽은 암울했던 60년대를 치열하게 살다간 시인이다. 뚜렷한 역사의식을 갖고 일관되게 민족과 민중에 대한 열정으로 시세계를 전개해 나갔다. 그렇기에 그의 시는 구조 자체도 단순하고 시어도 평면적이다. 하지만 신동엽의 시는 순수성과 사상성을 겸비한 시로 평가받기도 한다. 필자 또한 이러한 논지로 신동엽 시에 흐르는 현실 참여적인 요소와 심미적인 측면에 주안해서 논증해 나갈 것이다. 신동엽의 시에는 사회와 역사에 대한 예리한 성찰이 유토피아적인 상상력으로 형상화되어 나타나고 있다. 그것은 그의 현실 참여적인 시에 서정적인 면모가 드러나는 것이다. 신동엽은 1959년 <이야기하는 쟁기꾼의 대지>로 등단한 이후 1969년 작고하기까지 70여 편의 시를 발표했다. 그는 단시 외에도 서사시 <금강>, 장시 <여자의 삶>을 남겼다. 그리고 시극 <그 입술에 파인 그늘>, 오페레타 <석가탑>과 10여편의 산문이 있다. 비록 10년이라는 짧은 활동 기간이었지만 그가 문단에 남긴 파장은 가히 충격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은 창작과비평사에서 나온 '신동엽 전집'과 문학세계사의 '신동엽'을 기본 텍스트로 할 것이다. 제 II장에서는 신동엽 자신이 직접 체험한 '6.25' 전쟁과 '4.19'혁명'이 그에게 민족과 역사에 대해 각성하는 계기가 되고있음을 밝혔다. 모순된 현실에 대한 인식과 민족을 향한 뜨거운 애정이 현실 참여적인 시적 세계를 갖게 하는 것이다. 지배층과 외세에 대한 '분노'와 현대 기계문명에 대한 '혐오'는 현실에 대한 강한 저항정신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므로 현 상황에 대한 저항정신은 자연스럽게 이상향을 향한 염원으로 귀결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제 III장에서는 신동엽의 민족과 민중을 향한 열망이 유토피아에 대한 상상력으로 유추되고 있음에 초점을 두었다. 신동엽은 그의 시론인 <시인정신론>에서 인류 역사의 시원을 '대지'와 '하늘'등 대자연에 있다고 했다. 그 원초적인 대자연을 '원수성 세계'로 보았고, 모순으로 가득한 인류문명을 '차수성 세계'로 파악하고 있다. 그리고 자연으로 돌아가려는 마음을 '귀수성 세계'로 정의 내렸던 것이다. 신동엽이 지향하는 '원수성 세계'에서의 '대지'는 모성의 원형적 상징으로 생산과 풍요를 뜻하기도 한다. 협동으로 노동하는 전경인적인 삶은 신동엽에게 있어 원시공동체 의식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신동엽 시에 자주 등장하는 '하늘'의 의미는 대지와 함께 중요한 공간이다. 현실의 모순과 혼란스러운 삶의 속박에서 벗어나 자유와 평화가 가득한 공간인 것이다. 그렇게 자연으로 회귀하려는 신동엽의 의지는 농촌중심의 무정부주의와 중립의 사상으로 형상화되고 있다. 신동엽이 돌아가고자 하는 원시공동체사회는 현재의 모순과 한계를 극복한 대안의 장소이다. 그것은 문명이 파괴한 인간성을 회복하고 농민이 주체가 되어 균등한 분배가 이루어지는 공동체 사회다. 즉 유토피아를 뜻하는 것이다. 신동엽이 꿈꾸는 이상향은 '기계'와 '전쟁'등 온갖 불순한 요소로 비유되는 '껍데기'는 없고, 참되고 정의롭고 순수한 것으로 상징되는 '흙가슴'과 '알맹이'만 있는 세상인 것이다. 그것은 자연과 인간이 함께 공존하는 평화로운 공동체적인 공간이다. 이와 같이 이 논문에서는 신동엽의 역사와 사회에 대한 의식과 그의 유토피아에 대한 상상력을 중점으로 논의하였다. 신동엽의 민족과 민중에 대한 예리한 고뇌는 이상향에 대한 강한 의지로 유추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현실과 이상을 아우르는 신동엽의 상상력은 모순된 현재를 살고 있는 우리에게 신선한 감동을 주고 있다. 그것이 비록 상상력에 머문다해도 이는 또한 그가 갖고 있는 절대적인 힘이기 때문이다. Sin Dong Yup is a poet who have lived vehemence life in dark 1960s. He has written consistently a poetry world as the passion of the nation and the people with clear historical consciousness. Therefore the structure his poetry is simple and his poetry word is plane. But the poem of Sin Dong Yup also is appraised as the combinative poem of purity and thought. I also will prove mainly an essestial element of real participation and an aesthetic side with this point of an argument. Sin Dong Yup's poems appeared sharp self-reflection about the society and the history as utopia imagination. It is to be manifest the there is delineation of feelings in the poem of real participation. Sin Dong Yup had made public about 70 poems until he dided in 1969 since he took the rostrum with <The Earth of Talking Plowman> in 1959. He left <The Life of A Women> of a long poetry and <Keumkang> of an epic besides a short poetry. Also he left ten works of prose with a verse drama <The Shadow of Thdse Lips> and opereta <Sukgatab>. Though he had written the works shortly for ten years, the wave length that he left to the literary world may be a shock easily. This research will choose <Complete Works of Sin Dong Yup>, (Creative Writing and the History of Criticism) and <Sin Dong Yup>, (The History of Literature) as the basic texts. In chapter II, I made clear that 'The Korean War' and '4.19 revolution' - Sin Dong Yup experienced directly himself - have become a chance for him to realize of the nation and the history. The cognition of the conflicted actualities and the hot love for our nation have the poetic world of real participation. 'The abhorrence' for the modern machine civilization have appeared by the strong resistance spirit. Therefore, the his heart's desire for an ideal. So in chapter III, I focused that a longing for Sin Dong Yup's the nation and the people was analogize as fantasy of utopia. Sin Dong Yup earth' and 'The sky' etc. - in the his poetics <The Theory of Poet's Spirit>. He considered the basic Mother Nature as 'The originally received world', and prasped mankind civilization to be filled with self-contradictory as 'The second received world'. And he defined the will of coming back to nature as 'The returning world'. 'The eatth' in the 'The returning world' of Sin Dong Yup's ideal world meaned indeed the production and the riches as the original symbol of motherhood. The life to till the fields - labor with cooperation - had appeared as a primitive public corporation's senses by Sin Dong Yup. Also the significance of 'The Sky' that had often appeared in the Sin Dong Yup's poem was important space with the earth. The space took off reality's self-contradictory and confused life's restraint, and the space was full of freedom and peace. Sin Dong Yup's so returning to nature will had formed as anarchism the had considered an agricultural village to be important and neutrality's ideology. The primitive public society recovered humanity to be destroyed by civillzation and realized equal distribution for agrixulturists to be the subject of right. In order words, it meaned utopia. Sin Dong Yup's idea didn't have 'a chaff' to be compared to every kind of impure heart' and 'a kernel' to be symbolized as truth, justice and purity. The space was peaceful combination with nature and human being. Thus in this paper, I conferred mainly Sin Dong Yup's history, the dognition of the society and the imagination of the utopia. Sin Dong Yup's sharp agony for the nation the people was analogized as the strong will for utopia. Thus Sin Dong Yup's imagination with the reality and the idea has been roused fresh us to live conflicted present. Though it stay with imagination, his poetry have the absolute power.

      • 신동엽 시의 이미지 연구

        김성민 동아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791

        본고는 신동엽 시에 대한 기존의 연구가 획일적이며 연역적인 태도를 취한다는 것을 지적하는 데서 출발한다. 신동엽 시에 대한 기존 연구는 대체로 두 가지로 대별된다. 첫째, 사회역사적인 관점에서 평가한 것으로, 신동엽의 시가 60년대 참여시의 초석으로서, 4·19혁명을 중심으로 한 민족의 현실 극복 의지를 형상화한 시인이라는 것이다. 이 논의는 신동엽의 시를 통시적인 관점으로만 분석하고 평가하는 편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둘째, 신동엽의 시론을 중심으로 그의 시를 분석·평가하는 논의가 있는데, 이들 논의의 문제점은 신동엽의 시론을 대전제로 하여 그의 시를 분석하고 평가하는 연역적인 태도에 있다. 올바른 문학작품의 연구는 개별적인 작품의 분석을 통하여 귀납적으로 결론을 도출해내는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본고는 다음과 같은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이 외재적 특히 반영론과 표현론에 의존하였기 때문에, 본고는 그에 대한 비판적 의미에서 내재적이고 초역사적인 관점인 구조주의와 신화원형비평을 선택하였다. 이것은 또한 연구목적에 해당하는 바, 신동엽 시의 해석방법을 확대하여 다양한 해석과 평가의 여지를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과 목적을 가지고 본 고는 다음과 같이 신동엽 시의 이미지의 구조를 분석하였다. 신동엽 시의 금속·대지·나무·하늘이미지는 대립과 순환의 구조를 이루면서 시인의 상징체계와 주제를 나타내고 있다. 금속이미지는 대지이미지와의 관계 속에서 폭력을 상징하는 무기와 노동을 상징하는 농기구로 대립된다. 즉 금속이미지가 무기가 되면 대지의 생명력을 상실하게 하는 폭력을 상징하고, 농기구가 되면 대지의 생명력을 회복시키는 노동의 의미를 지니게 된다. 이것은 금속과 대지이미지의 대립적인 구조를 통해서, 문명이나 전쟁 등이 인간의 생존을 위협하며, 나아가 인간이 우주적 실재로서의 실존의 의미를 상실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대지를 일구는 노동은 일반적인 의미에서의 노동과 더불어 통과제의적인 성격을 띤다. 이 노동은 생명력을 상실한 대지에 생명력을 불어넣는 행위이며, 대립과 대결의 인간관계를 사랑과 화합으로 바꾸는 행위이다. 또한 이것은 시인의 권유와 경고, 촉구 등의 의지에 의해 우주와 하나가 되는 통과제의로서의 노동으로 의미가 확대된다. 그리고 의인화된 나무이미지는 통과제의로서의 노동을 매개로 하여 대지에 뿌리를 박고 하늘을 지향하는 우주목으로 변신한다. 우주목은 대지와 하늘을 연결하는 사다리이자, 우주와 단절된 인간이 반드시 행해야 할, 우주의 원리와 하나되는 자세를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우주목이 지향하는 하늘이미지는 시원이라는 상징적 의미에 의해 대지이미지와 통합된다. 상징은 여러 가지 다양한 차원과 표면적으로 다른 현실을 일체화하고 동화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하늘이미지는 대지이미지와 동일한 장애물을 지니고 있다. 이것은 대지의 생명력을 상실하게 했던 무기로서의 금속이며, 인간과 하늘과의 만남을 가로막은 구름으로 묘사되어 있다. 무기와 구름은 인간 스스로가 만들어 낸 반목과 질시이며, 우주원리를 무시하는 문명에 따르는 실존적 소외를 의미한다. 결국 신동엽의 시는 전쟁과 문명에 의해 소외되었던 인간이, 통과제의적인 노동을 통해 우주와 하나가 되는 시원 회귀의 과정과 그에 대한 염원을 보여준다. 신동엽은 이러한 인간의 원초적인 염원을 문학적으로 탁월하게 형상화한 시인이다. This thesis begins as pointing out that the existing studies of Shing Dongyop's poems have been unilateral and deductive. The studies of his poems have been done in two ways. One way is that the studies have been done in the socio-historical respect, which show Shin Dongyop's poems, as the foundation of poems criticizing the realities in 1960s, express the will power of getting through the difficult realities of life. But the problem of these studies is that the analysis of his poem has been done in the chronological respect. The other way is that there have been studies which depended on Shin Dongyop's poetic theory. The problem of these studies is the deductive method in which Shin Dongyop's poems have been analyzed through his poetic theory. The proper study of poems is to be studied by using inductive method through analysis of each poem.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thesis uses the myth-archetype criticism and the structuralism which has internal and super-historical viewpoint. This is to interpret and analyze Shin Dongyop's poems variously. This is also the purpose of this study. With the above-mentioned method and purpose, this thesis analyzes the image structure of Shin Dongyop's poems. The images of the metal, the land, the tree and the sky in Shin Dongyop's poems are in the structure of opposition and circulation, and they reveal the theme and the symbolic system of his poems. The image of metal means the weapon representing violence and the farming machines representing the labor. In other words, if the metal image means weapon, it symbolizes the violence getting rid of life of land, and if it means the farming machine, it symbolizes the labor restoring the land to life. This means that through the confrontational structure of metal and land, the civilization or war threatens the meaning of human being's existence as well as human being. On the other hand, the labor represents the rites of passage. This labor is the act bringing the land back to life, and making men love each other and live in harmony. This labor also means the rites of passage which allows human to be in harmony with the cosmos. And the image of a tree personified becomes an omphalos which roots firmly in the ground, looking for the sky. The omphalos is the ladder connecting the land and the sky, and shows that the human being isolated from the cosmos must be in harmony with it. Finally, the image of the sky is unified with that of land by symbolic meaning of the mother's womb. The image of the sky also has the same obstacle as that of land does. This is the metal as a weapon and the clouds which make it impossible for the sky and the land to meet. The weapon and the clouds are the hostilities made by human being, and mean the isolation made by human civilization ignoring the orders of cosmos. In conclusion, Shin Dongyop's poems show the process of returning to the mother's womb. In that process human being isolated by war and civilization learns to harmonize with the cosmos through the labor as the rites of passage. Shin Dongyop is the poet who excellently expresses man's instictive dream in poems.

      • 신동엽의 『금강』에 나타난 등장인물의 성격 연구

        김영식 단국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791

        신동엽은 역사를 거시적 · 통시적 안목으로 살펴 과거의 일들을 부단히 현재화시키려 하였다. 이런 노력에 힘입어 민족시인, 민중시인이라고 일컬어진다. 이러한 수식어를 받는 신동엽을 어느 한 편에서는 목소리만 높은 시인으로 치부하는 경향도 있다. 물론 신동엽의 역사와 민중에 천착하는 일관한 시관이 그의 작품 전체에 흐르고 있지만 이를 표현하는 것이 꼭 목청을 돋우는 형태의 작품만 있는 것은 아니다. 다른 어떤 빼어난 서정시인의 작품에도 뒤처지지 않는 시가 여럿 있기 때문이다. 본고는 신동엽에 대한 연구 중 아직 미진하다고 생각하는 부분인 ‘인물’을 살펴보았다. 서사시 『금강』을 포함한 서사지향적인 시에는 이야기가 있고 이 이야기를 끌고 갈 인물이 등장한다. 신동엽의 서사지향적 시에 등장하는 인물의 성격을 고찰하고 이를 금강의 인물과 대조하여 그 공통점과 특이점을 찾아보았다. 공통점은 등장인물이 지배와 피지배의 두 인물 군으로 확연히 나뉘어 대립하는 것과 현실에 대항하지 못하고 억압당하는 민중에 대한 연민의 시선이 두드러진다는 점이며 특이점은 『금강』의 인물 중 미래지향적 인물이면서 다른 허구적 인물과 달리 구체적 이름을 가진 신하늬와 인진아의 등장을 들 수 있다. 특별히 ‘신하늬’를 주목하여 이 인물이 『금강』에서 차지하는 성격과 역할을 고찰하면서 신동엽의 모습이 드러남을 알 수 있었다. 신동엽의 가치관이나 연애관, 세계관이 하늬에 그대로 녹아 있음을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연애에 대한 생각과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 그리고 현실세계의 개선과 이상적으로 여기는 사회상 또는 국가상까지 드러낸다. 서사시에서 허구적 인물인 하늬와 인진아는 신동엽의 입과 발 역할을 위해서 창조되기도 했지만 서정성의 측면에서도 매우 유용하게 쓰인다. 하늬와 진아의 사랑이나 기존의 시의 삽입과 같은 서정성 도입은 시를 통해 말하고자 하는 주장을 더욱 친근하게 전달하기 위한 필요성 때문이지만 다른 한편으론 독자가 시에 공감하기에 유리하도록 이끈다. 혹여 딱딱해질 수 있는 객관적 역사서술을, 하늬와 진아의 사랑이야기를 통해 완화시키고 인간에 대한 사랑과 그 사랑의 실현을 위한 혁명 의지에 독자들이 쉽게 공감대를 형성하도록 윤활유 역할을 한다. 그래서 시가 무미건조해지지 않으며 또한 현실에 압도당하지 않게 된다. 역사 보여주기에서 더 나아가 역사의 해석을 시도한 『금강』은 민중을 바라보는 따뜻한 시선 즉, 보편적 인류애와 이것이 이루어진 평등한 세상을 끊임없이 갈구하는 강한 저항의지를 보여준다. 이런 저항의지는 갑오농민전쟁 당시의 절대 다수인 농민들에 의해 확산된다. 금강에 등장하는 주체를 하나가 아닌 여럿 등장시키고 이 주체세력에 실존인물이 아닌 가공인물을 넣으면서 집단의 영웅들을 보여준다. 어느 한 개인의 뛰어난 역량이 아닌 모두 힘을 합하여 농민전쟁을 일궈낸 세력들은 당시 민중의 피폐한 생활을 보여 주면서 전형적인 모습으로 나타난다. Shin Dong-Yeop had put great efforts in making the past present through his comprehensive and transhistorical view of history. Being famous for these efforts, he has been called as a nationalistic poet or poet of the masses. Some underestimate him citing that his works are too opinionated. Though we can easily see his pursuit of history and the lives of masses through all his works, not all his works contain loud voices about his creed. There are some beautiful poems which are not second to any lyrics written by great lyric poets. This paper is about Geumgang’s characters which have not been frequent subjects of studies on his works. His epics including Geumgang have specific stories and main characters who lead the stories. This paper contains comparison of characters in his other epic poems with those of Geumgang to find ou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two. Things in common are that the characters in his poems confront each other divided into two classes, the ruling and the other, and the writer’s sympathy toward the masses, who do not afford to resist reality and are suppressed, is outstanding. The uniqueness of Geumgang is that there are two specific, also future-oriented, characters, Shin Ha-Nui and In Jin-A. This is very unusual for his works because he seldom gives realistic names to his characters. Intensive studying on Shin Ha-Nui, especially on his personality and roles in the poem reveals the poet himself. His values, a view of love, the world, ideal state or society and even the desire to improve reality are melted in him. The fictional figures, Shin Ha-Nui and In Jin-A, not only reveal Shin’s values but also effectively underline the lyrical aspects of the poem. He added lyrical points in the poem including love story between Ha-Nui and Jin-A, and interpolated lines of other poems in the poem. That was to more effectively convey his message to readers as well as make readers better feel sympathy with the poem. These lyrical aspects help ease formality of the epic poem and people can easily sympathize with the love between the two and the need to revolutionize the world to make the love realized. By doing so, this objectively written epic, does not feel dry and readers are not overwhelmed by the reality in the poem. Shin tried showing and translating our history through the poem. It shows the strong will of resistance, the incessant longing for the equal society in other worlds, and universal humanity or love which is a warm gaze toward the masses. During the Gap-O Farmers’ Uprising, Such will of resistance once spread across farmers, who accounted for an absolute majority at that time. That is why the Geumgang has several main characters and they, not a single figure, are all heroes. The farmers, who put together their capacities and set organizations for the Farmers Uprising, were also typical impoverished people in the poem.

      • 신동엽의 산문 연구 : 1950년대 산문과 시작품과의 관련 양상을 중심으로

        박영숙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775

        이 논문에서는 신동엽이 가장 암울한 시대를 살다간 시인인 만큼 시대적인 불행이 시인��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살펴봄으로써 신동엽의 창작 정신의 밑바탕으로 작용한 반모더니즘적 문학정신의 형성과정과 그 시기 가장 큰 특징으로 보이는 러시아 아나키스트 크로포트킨과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의 [시인정신론] 에서 보이고 있는 순화론적 세계관 의 단초가 되며 그 이후 작품에서도 일관되게 그려지고 있는 반문명적 경향과 자연 예찬적 성향을 고찰해 보았다.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신동엽 시인이 모더니즘의 세례를 받지 않고 있다는 견해에서 그를 지나��문단의 분위기에 영향을 받지 않은 시인으로 평가해 왔다. 그러나 그의 산문을 통해 그가 당시의 문단의 분위기에 민감하였으며, 또한 세계문학의 흐름과 한국문학을 바라보는 넓은 안목을 가지고 당시의 문단을 판단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다분히 정치사적 성격을 띠고 있는 무정부주의와의 연관성을 찾을 수 있었다. 이는 역사학도로서 러시아의 아나키스트 크로포트킨��심취 해 있었던 독서경험을 토대로 하고 있다. 그의 작품에서 일관되게 보이고 있는 '인간주의'의 단초를 이곳에서 찾을 수 있었다. 그의 무정부 사상이 란 구체적인 사회 구조 속에 인식이 아니라 인간주의 성격을 띠고 있다. 즉 모두가 평등한 가운데 자본의 지배를 받지 않고 인간이 중심이 되어 자유롭게 살아가는 세계가 그가 꿈꾸는 무정부 사회이다. 이러한 사상은 당시 우리민족의 인간성에 가장 상처를 주고 있는 외세의 존재를 감지하고 이 지배의 관계에서 가장 큰 피해자가 되어야 했던 민중을 끌어안는 방향으로 귀결되고 있다. 또한 신동엽의 산문에서 두드러지게 드러나고 있는 특징은 반문명적 성향이다. 그는 물질문명의 세계를 거부하고 있으며 이 물질문명이 순수한 인간성을 파괴한다고 인식하고 있다. 특히 근대문명의 소산인 자본주의를 냉소적으로 비판하고 있다. 이러한 그의 사상은 문명 이전의 과거로 회귀 하고 있다가 자연귀의 사상으로 변모하고 있다. 그��자연이란 우리민족의 역사가 흐르고 있는 민족적 정신의 위안의 공간이며, 구체적인 농경지로서 자연이다. 이러한 50년대에 씌여진 신동엽의 산문은 60년대 활동기의 작품만을 가지고 평가되었던 기존의 결과론적 연구방향의 도식성을 탈피하게 하며 한 시인의 자연발생적인 시사상의 변모를 보여줌으로써 신동엽 작품을 전체 적 시각에서 통찰할 수 있다는 데 있다. In this treatise, I researched the forming process of literary spirit of anti-modernism which worked as the ground of the creative spirit of Sin, Dong-yep, and his relation with Anakist Cropotkin of Russia which seems as the greatest peculiarity at that times by studying the effect made by the misfortune of the times on a poet, because Sin, Dong-yep was a poet lived in the most dark times. And I research the anticivilization trend and the nature praising inclination which become the clue of acclimatization world view showed in his [the theory of poet spirit] and was drawn continuously after since. The research until now has judged him as the poet scarcely being affected by the atmosphere of literary circles from the viewpoint that the poet, Sin, Dong-ye, wasn't baptized by modernism. But, judging from his prose, he was keen to the atmosphere of literary circles at that times, and he judged the literary circles at that times with broad insight seeing the flow of world literature and Korean's. Besides, I could see his relation with anarchism having much political character. It's based on his enthusiastic reading on Anakist kropotkin of Russia as a history-studying student. We can find it in the clue of 'humanism' seen continuously in his works. His anarchism idea isn't concrete acknowledgement in a social structure but assumed the character of humanism. Namely, the anarchy society he dreams is the world where everyone is equal and not suppressed by money, and a man becomes the center of everything and lives freely. This idea is concluded into hugging the people who should become the greatest sufferer in the relation of rule, perceiving the existence of foreign power inflicting the deepest injury to the humanity of our nation. In addition, the remarkable peculiarity in the prose of Sin, dong-yep is the anticivilization trend. He refused the world of material civilization and thought it to break the pure humanity. Especially, he criticized the capitalism, the product of modern civilization, cynically. His idea like above is returned to the past before culture began and changes into the idea of turning to the nature. Nature to him is the space comforting the national spirit, on which the history of our nation flows, and the very nature as the concrete farm land. The prose of Sin, Dong-yep written in these 1950s bas the meaning in discerning the works of Sin, dong-yep with the general sight by letting us avoid the graphic idea of existent result-centering research direction by judging only through the works in acting times in 1960s, and showing the change of the current character generated naturally in a poet.

      • 전후 세대 시의 서울 표상 연구 : 김수영·신동엽·김종삼 시를 중심으로

        공현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774

        This paper aims to clarify the unique world of postwar poets by examining how they perceived and represented the Korean capital city of Seoul in literary contexts, with a focus on Kim Soo-young, Shin Dong-yeop, and Kim Jong-sam. This study also reviewed the method in which the special geographic space called "Seoul" was represented in the works of the three poets in the social context of the time. Seoul is a special city intertwined with complex and multi-layered power relations and desires. In addition, Seoul, which quickly developed its appearance as a large city due to the unprecedented rapid urbanization after the Korean War, has created several typical urban problems in the process. However, it is also the home to countless people. Ignoring and denying this place of life would also be an escape from reality. True, in literature studies, Seoul or any other urban spaces represented by literary works have tended to be interpreted negatively. However, as a result of this study's in-depth review of the representation of Seoul by the poets, Seoul in their poems was not just a space where only negativity or positivity was highlighted in a bifurcated manner. The three poets' representation of Seoul was thus meaningful in that they also showed the multi-layered characteristics of Seoul. This paper identified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poets' literary world with a sense of problem that the geographical place called “Seoul” would have been experienc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ituation and location. These three poets have something in common in that they resided and made living in Seoul, but at the same time, born in different places, namely, Kim Soo-young born in Seoul, Shin Dong-yeop out of Seoul, and Kim Jong-sam who crossed from North to South Korea, they formed their own way of relationship with the place called Seoul. In Kim Soo-young's poem, Seoul was represented as a "mixed" place, which was related to the identity of the subject facing Seoul's "hybridity." His subject experienced Seoul as an observer located inside Seoul. In his poems, Seoul was a routine place where the subject lived, and his physical being (body) was located inside a space called Seoul. He accurately observed that the current place called Seoul is a decolonized space and a hybrid space. The positive and negative images of Seoul, captured together in an amalgamated way, naturally made the subject hold ambivalent feelings about Seoul. He began to seek courage and “power” to live in the city of Seoul based upon the attitude of acknowledging Seoul's hybridity without concealing or denying it. Shin Dong-yeop's Seoul was related to the resistant subject. In his poems, Seoul was represented as a "historical" space. Seoul was represented as a place where Western modernity comes in and a space where capital is displayed, and this appearance of Seoul is depicted as a historical repetition rather than the current appearance. Shin's subject went beyond reading the historicity of Seoul at the diachronic level and grasped the geopolitical location of Seoul in the context of world history. He also noted that Seoul forms a hierarchical structure with other regions of Korea. However, Shin's subject did not just deny Seoul, but actively tried to appropriate the space of Seoul. While paying attention to the openness of Seoul, he painted the city as a place where the people could gather and form solidarity. The subject of Kim Jong-sam treated Seoul with an ethical attitude resulting from guilt as a person who survived without dying. He appeared to be a displaced person and a stranger who had to wander around without truly belonging to Seoul. The abstract representation of Seoul was a characteristic of Kim Jong-sam's early poetic works. However, this was not due to a lack of the poet's awareness of reality, but could be read as an ethical attitude not to carelessly represent what is impossible to represent. In addition, in Kim's poems, Seoul appeared as a space for alienation. Seoul was represented as an artificially created space rather than a space naturally there for people to live. However, in his poems,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Seoul appeared more specifically as it progressed to the later poems. The transition from a "survivor" to a "person who leads a life" could be identified through the author's attitude toward the city of Seoul. The great significance of looking at the poems of Kim Soo-young, Shin Dong-yeop, and Kim Jong-sam through the representation of Seoul is that Seoul, which appeared in their poems, appeared as a complex and multi-layered space, not a fragmentary shape. This c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that the poets' gaze did not tilt to a single-line stare. This also allowed the three poets to be placed in their own positions in literary history. As a postwar generation, the three poets shared the sense of the times and revealed it in their own ways, but were not drowned in the tsunami of the times. For them, the city of Seoul was a place of "reality" where they had to accept and overcome the problems they faced while looking head-on.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is that it was able to clearly confirm the multi-layered perspective and poetic search for the reality of the three poets. All things considered, this paper was able to find the differences and unique personalities of the poems of Kim Soo-young, Shin Dong-yeop, and Kim Jong-sam through the geographical place and characteristics of Seoul. In years to come, it is anticipa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grasp the image geography and geographical relationship of modern city centering on "Seoul" in literary history and to write a genealogy of modern city based on differences in geographic sense. 이 논문은 김수영, 신동엽, 김종삼의 문학 텍스트에서 도시 ‘서울’을 어떻게 인식하고 표상하는지 살펴봄으로써 전후(戰後) 세대 시인의 독특한 시적 세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서울’이라는 특수한 지리적 공간이 김수영, 신동엽, 김종삼의 시에서 표상되는 방식을 당대의 사회적 맥락 속에서 검토하였다. 서울은 복합적이고 다층적인 권력과 욕망이 얽힌 특수한 도시이다. 또한 전쟁 이후 급속한 도시화의 진행으로 빠르게 대도시로서의 외양을 갖추게 된 서울은 그 과정에서 여러 도시적 문제들을 낳게 되었다. 그러나 서울은 수많은 사람들의 삶의 터전이기도 하다. 이러한 삶의 터전을 외면하고 부정하기만 하는 것은 현실로부터 도피하는 일이기도 할 것이다. 그동안 문학 연구에 있어 문학 작품에 표상되는 서울 혹은 도시 공간은 부정적인 공간으로 해석되는 경향이 컸다. 그러나 김수영, 신동엽, 김종삼 시의 서울 표상을 집중적으로 살펴본 결과 세 시인의 시에서 서울은 부정성이나 긍정성만이 강조되는 공간이 아니었다. 세 시인의 서울 표상은 서울의 다층적 성격이 함께 나타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었다. 이 논문은 상황과 위치에 따라 ‘서울’이라는 지리적 장소는 다르게 체험되었을 것이라는 문제 의식을 갖고 세 시인의 시 세계의 변별적 특성을 규명하였다. 서울에서 거주하며 생활했다는 점에서 세 시인은 공통점을 지니지만 그러면서도 김수영, 신동엽, 김종삼은 각각 서울 출생, 지방 출생, 월남(越南)이라는 차이를 지니고 ‘서울’이라는 장소와 관계를 형성했다. 김수영의 시에서 서울은 ‘혼종적’인 장소로서 표상되었는데 이는 서울의 ‘혼종성’을 직시하는 주체의 정체성과 관계하는 일이었다. 김수영의 주체는 서울을 내부에 위치한 관찰자로서 경험하였다. 김수영의 시에서 서울은 주체가 생활하는 일상의 장소였고, 그의 신체(몸)는 서울이라는 공간 내부에 위치해 있었다. 그는 현재의 서울이라는 장소가 탈식민적 공간이며 혼종성의 공간임을 직시하였다. 함께 포착되는 서울의 긍정적 이미지와 부정적 이미지는 주체에게 서울에 대한 양가적 감정을 갖도록 하였다. 그는 서울의 혼종성을 은폐하거나 부정하지 않고 인정하는 태도로부터 도시 서울에서 살아갈 수 있는 용기와 ‘힘’을 모색하기 시작하였다. 신동엽 시의 서울은 저항적 주체와 관계하였다. 신동엽의 시에서 서울은 ‘역사적’ 공간으로 표상되었다. 서울은 서구적 근대가 밀려오는 곳이자 자본이 전시되는 공간으로 표상되었는데 이러한 서울의 모습은 현재만의 모습이기보다 역사적으로 반복되는 것으로 그려졌다. 신동엽의 주체는 통시적 차원에서 서울의 역사성을 읽어내는 것에서 나아가 세계사적인 맥락에서도 서울의 지정학적 위치를 파악하였다. 또한 그는 서울이 지방과 위계 구조를 형성하고 있음에 주목하였다. 그런데 신동엽의 주체는 서울을 단순히 부정하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서울이라는 공간을 전유하려 했다. 그는 서울의 개방성에 주목하면서 서울을 민중이 집결하고 연대할 수 있는 장소로 그렸다. 김종삼 시의 주체는 살아남은 자로서의 죄의식에서 기인하는 윤리적 태도를 갖고 서울을 대하였다. 그는 서울의 내부에 속하지 못하고 부유하는 실향민이자 이방인으로 나타났다. 서울이 추상적인 모습으로 표상되는 것이 김종삼의 초기시에 나타나는 특징이었다. 하지만 이는 시인의 현실 인식이 결여된 것이 아니라 표상불가능한 것을 함부로 표상하지 않으려는 윤리적인 태도로 읽을 수 있었다. 또한 김종삼의 시에서 서울은 소외의 공간으로 나타났다. 서울은 사람이 살아가는 생활의 공간이기보다 인공적으로 조성된 공간으로 표상되었다. 그런데 김종삼의 시에서 서울의 지리적 장소성은 후기 시로 갈수록 구체적으로 나타났다. ‘살아남은 자’에서 ‘살아가는 자’로의 이행을 도시 서울에 대한 화자의 태도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서울 표상을 통해 김수영, 신동엽, 김종삼의 시를 살펴봄으로써 발견한 큰 의의는 그들의 시에 나타난 서울이 단편적인 모습이 아니라 복합적이고 다층적인 공간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이는 곧 시인의 시선이 단선적인 시선으로 기울지 않았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었다. 이는 문학사적으로도 세 시인을 고유한 자리에 위치할 수 있게 했다. 세 시인은 전후 세대로서 당시의 시대적 감각을 공유하며 이를 각자의 방식으로 드러내면서도 또한 시대적 논리에 매몰되지는 않는 모습을 보였다. 그들에게 도시 서울은 삶의 터전이면서 마주한 문제들을 직시하면서도 수용하고, 또한 극복해나가야 하는 ‘현실’의 자리였다. 세 시인의 현실에 대한 다층적인 시각과 시적 모색을 분명히 확인할 수 있었다는 것이 이 논문이 가진 큰 의의이다. 이 논문은 김수영, 신동엽, 김종삼의 시가 갖는 차이와 개성을 ‘서울’이라는 지리적 장소와 특성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 문학사 속에서 ‘서울’을 중심으로 현대시의 심상 지리와 지리적 관계를 파악하고, 또한 지리적 감각의 차이로 현대시의 계보를 작성하는 일이 가능하리라 기대한다.

      • 신동엽 시 연구

        오신숙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743

        현실의 인간과 자연에는 늘 현재의 객관적 조건을 초극하려는 의지가 깃들여 있다. 특히 문학은 그 생성의 바탕에 있어 비애를 그 자양분으로 한다고 하겠다. 현실 너머를 본다는 것은 보다 나은 세계, 보다 나은 현실적 조건을 꿈꾼다고 할 수 있을 것이고 그것은 늘 그 시대의 총체적 현실과 갈등을 겪으면서 작품을 탄생시킨다. 신동엽의 작품 세계를 살피려면 먼저 그의 삶이 비극적 시대였음을 인지해야 한다. 일제 강점기, 해방 공간의 혼란, 6.25의 동족 상잔, 4.19 학생 혁명, 5.16 등이 비극으로 점철되었던 시대를 살다 갔다. 그렇기에 그의 시는 우리 민족 역사의 비극적 인식과 극복이라는 면에서 선구적인 사고를 보여주었다. 그가 우리 민족 역사의 전개를 비판적으로 인식했을 때, 그것은 바로 오늘 우리 민족의 분단 현실 속에서 첨예하게 드러나고 있다. 그러므로 그의 시적 지향은 분단 현실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전개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다. 본고는 이 역사적 사실을 토대로 인류 문화의 심리적 유산인 초역사적인 의미를 병행하였다. 문학사는 소수의 예외적 열정이 개척하는 것이 아니라 유산의 계승과 굴절, 변용 등으로 전개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중에서도 신동엽시의 시의식과 이미지를 고찰할 때 일관되게 지속되어 흐르는 이원론적·세계관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서론에서는 지금까지 진행되어온 신동엽의 연구사에 비판적 성찰을 가함으로써 기존 연에서 제기되는 문제점을 찾아보았다. 아울러 연구목적과 연구방법 및 범위를 설정하여 시세계를 구체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노력하였다. Ⅱ장에서는 신동엽의 전기적 사실과 시의식 및 전개양상을 살펴보았다. 1950년대의 우리 문학을 바라본다면 그것은 죽음과 살육의 이미지가 특별히 강조되고, 인간 조건의 비극성을 근본적으로 재검토하는 관점에서 그 시기는 전쟁문학의 일반성으로서 세계의 전쟁문학과 동렬의 차원 곧, 세계적 동시성이 차원에 놓일 수 있다. 50년대 마지막으로 등단한 참여시인으로 1959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이야기하는 쟁기꾼의 대지」 라는 장시로 입선하였다. 그는 등단작부터 남다른 역사의 민족정서의 형상적 복원이라는 시적 과제를 충실히 이행한 시인이다. 그의 이러한 吏觀은 그가 나중에 밝히고 있는 詩論겪인 「시인정신론」에서 말하는 歸數性 세계의 시적 반영이기도 하다. 그는 복고적인 음풍영월과 언어적 기교주의를 비판하면서 반문명의식의 발전이 초래한 비극을 전체적 삶이 실현가능한 공동체를 전제로 한 全耕人적 삶으로 치유하려 하는 역사적 비전을 갖고 있다는 것을 파악했다. Ⅲ장에서는 신동엽시의 시의식 및 세계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오늘의 문명이 극도의 분업에 기초한 문명이라는 사실, 그리하여 특수한 분야의 전문기능가들, 단편적 지식의 축적, 그리고 맹목적인 생존경쟁만이 활개를 칠 뿐 인간다운 삶의 실천도 사상도 찾아보기 어렵게 되었다는 사실이다. 그는 오늘의 인간의 운명이 小圓的 부분품에 지나지 못한 것을 말하고 全耕人의 이상이 회복되어야 할 필요에 관해 말한다. 또한 그의 시적 지향은 분단 현실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 초지일관 아나키즘적 세계관을 견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우리 민족 역사가 처한 비극적 악순환의 근본 원인을 역사의 주체성 상실로 파악하였다. 그것은 신라가 당나라를 끌어들여 삼국을 통일하였던 데서 비롯되었다. 그리하여 외세의 개입을 초래함으로써 조선 오백년간이나 민족의 주체성 상실로 이어져 왔으며 바의 그 연장선상에 분단 조국의 현실이 자리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신동엽은 민족의 동질성 회복에 남다른 관심을 기울였다. 우리 민족의 통일이라는 문제는 단순히 남북의 만남이라는 문제에 국한되지 않는다. 그것은 남북한의 이데올로기, 그에 연관되어 있는 외세의 역학관계 나아가 세계사에 얽힌 복합적 문제이기 때문이다. 민족적 동질성 회복이라는 면에서 그는 이미 심정적으로 남북을 하나의 우리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한 점은 분단 극복이라는 면에서 선구적인 점으로 이해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Ⅳ장에서는 이미지 구조를 위한 방법론에 대하여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그의 현실과의 치열한 대결 구도속에서 가장 대표작으로 꼽히는 시 중 「껍데기는 가라」 가 그의 참여시로서의 사상을 투철하게 담아내고 있다. 그의 현실 인식은 단순한 사고에 머문 것이 아니라, 지매계급과 민중의 역할을 갈라서 볼 줄 알았으며, 정당함과 모순 속에서 알맹이와 껍데기를 가려낼 줄 아는 슬기로운 예지로 파악되었다. 현실의 모순에 대한 비판과 저항을 통해서는 적극적인 분단 극복 의지로 표출되었다. 아울러 분단상황의 비극성을 민족공동체의 관점에서 비판하고 시적 형상을 창조한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러므로 민중생활에 대한 깊은 연민의 마음은 시인으로 하여금 자연스럽게 민족현실로 나아가게 한다. 신동엽이 분단상황에 주목하고, 부패한 정치론 질타하고, 외세의 개입에 항의하는 것은 어떤 사회과학적 분석의 결과가 아니다. 그에게 있어 민족현실이 중요한 것은 그것이 만백성의 살림마을 이기 때문이며 그 자신이 백성과의 연분을 뗄 수 없는 시인이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시인의 사회적 역할은 그에게 있어서 예언자적인 통찰력의 산물이었다는 점이다. 극도의 분업화로 떨어진 오늘의 세계에서 시인은 거의 유일하게 통일적인 인식을 표현할 수 있는 존재라고 파악되었다. 이상으로 신동엽시의 이원론적인 상상력을 통해 그의 세계관과 방법론을 정리해 보았다. 인식론적으로 볼 때, 인간에게 있어서 현채라는 것은 과거에의 기억과 미래에의 예견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미래에 대한 예측 또는 희망은 이미 현재의 현실 속에 필수불가결한 구성요소로서 내포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고 보면 유토피아적 미래에 대한 희망을 품는다는 것은 비현실적인 몽상이라고만 할 수도 없으나 이점이 시인에게 있어서는 한계로 지적되고 있음 또한 간과할 수 없다. 역사적·인류학적 관점에서 볼 때 그 묘사는 어느 정도 이상화된 대로 사실에 부합하는 바가 있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다. 시인으로서 그가 늘 구체적인 현실묘사를 추상적인 본질로 대치하려는 경향에 기울고 있다는 사실로 그는 눈앞의 현실을 자상하게 분석·연구하고 그 구체성 속에서 풍부하게 묘사해야 할 것으로서 보다도, 단 몇 마디로 그 본질을 개념화하는 대상으로 접하는 경우를 말한다. 과거를 보는 그의 복고주의 관점이 매우 선택적이며, 이 선택이 가지는 의미는 정치성을 띠고 띤다는 것이다. 그러나 신동엽의 복고주의는 역사적 사실로서 얘기한 것이 아니라, 인류의 원초적인 순결성과 우리 민족 고유의 덕성이 제대로 살아있던 삶의 표상으로서 이야기하는 것임도 읽을 수 있어야 한다고 파악되었다. 어쨌든, 그의 몰역사성에 대한 증거는 쉽게 발견되지 않았으나 다만 텍스트 이면에 엿보이는 쇼비니즘에의 경사, 특정 지역에 대한 배외적 감정의 찌꺼기, 더욱이 신하치의 발언(16장)을 통해본 생소한 역사적 현실 등은 그 증거로서 쉽게 간과될 수 없는 명백한 사실이다. 한편으로 그의 기본적인 관심은 하나의 전체적인 생활방식으로서 오늘의 문명이 왜 근본적으로 거부되어야 하는가를 말하는 것이었다. 우리에게 인간본연의 자유롭고 소박한 '흙의 문화'의 가치를 일깨워주고 우리의 진정한 활로가 기존의 문명을 넘어 내다볼 줄 아는 능력에 있음을 그는 확고한 믿음으로 일관되게, 그리고 강한 신념을 가지고 시로써 형상화 했던 민족시인으로 판단되었다. 오늘날, 그의 시가 그의 죽음 이후 오늘의 시사에도 늘 현재성을 갖게 되는 연유는 분단시대의 극복이란 시대사적 의미가 그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는 역사적 소명임도 파악하게 되었다.

      • 신동엽의 시를 통한 '역사의식' 교육방법에 대한 연구 :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지연 청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727

        역사의식이란, 과거에 일어났던 필연적 사건 과정의 연속을 통해 현재를 되돌아보는 시간이며, 미래를 예측해 보는 기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말한다. 지금까지 신동엽의 시에서 작품론의 해석적인 측면이 주를 이룬 바, 문학의 교육적인 측면은 부재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는 학습자의 올바른 인격 형성을 위해 우리의 역사를 되돌아보는 선험적인 기회를 마련해 주고자 신동엽의 시를 통한 '역사의식'의 교육방법에 대한 연구를 논의해본다. 또, 현재 문학 교과서에 실린 신동엽의 시 가운데 취사선택된 작품의 문제점과 역사의식의 효과적인 교육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본론에서는 역사의식 표현과 교육방법을 면밀히 살펴보고자 한다. 여기에서 두 분야로 나누어 하나는, 작품의 선택과 역사의식에 대한 평가를 한다.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의 수록 작품 중「껍데기는 가라」는 4․19 혁명을 통해 민중의 끈질긴 생명력과 민주주의를 억압하고 있는 모든 것들이 사라지기를 희망하고 있다.「누가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는 민중이 지금껏 누리지 못한 자유와 평화를 펼치는 삶을 '하늘'이라는 상징적 시어를 통해 표현하고 있다. 그리고「너에게」는 독재의 잔재로 드리워진 암울한 상황이 사라져 민주와 희망의 세계가 오기를 염원하고 있다. 다른 하나는, 역사의식의 효과적인 교육방법을 위해 신동엽의 작품을 그 주제별로 나누어 분석해 본다. 역사의식의 측면에서 시 교육은󰡐사고력 신장, 가치화의 과정으로 공감적 시 읽기, 상상력󰡑의 효과와 마주하게 된다. 이 같은 시 교육적 효과는 신동엽의 시에서도 드러난다. 당시의 독재정치와 현실모순사회를 바로잡기 위해 순수성이 회복되는 '소박한 삶을 강조'하는 것에서 해결될 수 있는 것이다. 당시 '민중의식과 저항의식'의 표출을 통해 우리 역사의 뼈저린 각성을 요구였다. 이 모든 역사의식은 우리 민족이 '통일지향 및 미래염원'의 끈을 놓지 않기를 바라는 희망의 길로 들어서기 위한 하나의 과정이었음을 시 속에서 나타내고 있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는 현재 시 교육의 문제점을 바로잡고 본 연구에서 분석한 신동엽의 전반적 평가와 문학 교과서의 수록 작품에 대한 평가를 요약한다. 여기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과 부합하여 앞으로 문학 교육의 한 영역으로 시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에 대하여 좀 더 가까이 접근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e historical view provides us the time to recount the present through series of inevitable events from our past and also it plays the role as a chance to see the future. So far, there has been the mainstream of Shin's works in terms of interpretation as literary productions. As a result, I as a educator have become to consider that there has been the lack of educational aspects of literature. The aim of this study is not only to provide learners prior chances of looking back our history for building their personalities but also intend to discuss how to teach 'historical view' with his poems. In addition, I meant to point out problems with his works chosen from certain text books and present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learning his sense of history. First of all, the expression of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teaching methods are examined in the main body. In this part, I divided into two parts and evaluated them; one is the choice of work and evaluation for historical view.「Go the shell」- one of the works in the highschool textbook of literature - shows us that Shin hoped everything which had suppressed a strong will to survive of common people and democracy through '4‧19 revolution'. 「Who did see the sky」represents the common people's lives with freedom and peace they never had through 'the sky' which is symbolic poetic diction. And Shin longed for breaking the fetters of autocracy and coming the day of democratic and hopeful world in「To You」. The other one is analyzing his works classified according to subject for effective teaching method about historical awareness. From the historical awareness aspect, learning poems can achieve effects of 'learner's ability to think development, reading poems with sympathy as a process of placing value on poems and imagination'. These educational effects can be observed in Shin's poems as well. It can be solved by 'an emphasis on simple life' recovered purity to correct autocracy and inherent contradictions those days. Shin required deep awakening to our history by expressing 'democratic and resistant consciousness'. He also reflected that these all historical views are the process of revival of hope going on 'reunification orientation and wishes for the future'. At last, I pointed out some problems in educating poems and presented overall evaluation of Dong-Yup Shin analyzed throughout this study and his works which have been included in literature textbook in the conclusion part. Through this, we can consistent with the 7th curriculum and also come near the direction that poem education ought to go forward as the realm of literature.

      • 1960년대 한국시에 나타난 윤리적 주체의 형상과 시적 이념 : 김수영·김춘수·신동엽의 시를 중심으로

        강계숙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725

        1950-60년대를 거치면서 한국시는 전쟁으로 인한 현실의 황폐와 실존적 위기의 극복을 시대적 과제로 인식하면서 이를 시의 현대적 혁신이라는 주제와 병행하여 사유하기에 이른다. 이 때, 주체의 재정립은 폐허가 된 현실에서의 자기 구원을 찾는 방법이자 시의 쇄신을 위한 필요조건으로 간주되었다. 시의 현대화는 시대와 역사를 반성적으로 사유할 수 있는 주체의 성립 없이는 불가능한 것이었고, 미래적 선취로서의 현대성의 실현은 스스로를 규정하고 판단하는 역동적 행위 자체를 주체화의 요건으로 삼았기 때문이다. 4?19혁명은 이러한 주체의 재정립을 가능케 한 사회적 원동력으로 작용하였는데, 김수영, 김춘수, 신동엽 세 시인에게서 나타나는 주체화의 양상은 이 시기 한국시가 당면한 역사적 ? 문학적 과제가 이들에 의해 주요한 시적 화두이자 주제로 자리 잡았음을 구체적으로 예시한다. 특히 이들의 시에 나타나는 ‘아비-되기’의 가족 로망스에는 혁명 전후로 형성된 새로운 정치적 무의식이 당대 한국인들의 집단 무의식과 상호 반향하는 가운데 어떠한 이념적 지향과 내용을 얻게 되었는지가 자기 반영되어 있다.전쟁과 혁명으로 초래된 아버지의 부재는 세 시인 모두에게 ‘아비-되기’의 욕망을 촉발하는 바, 상징적 아버지가 되고자 하는 이들의 시적 주체는 윤리적 전인(全人)을 새로운 자아 상(像)으로 제시한다. 자기희생을 마다않는 ‘숭고한 아비’가 됨으로써 새로운 공동체 수립을 역사적 사명으로 만드는 신동엽, 역사에 의해 거세되는 ‘처용-아비’를 역사-초월자의 모습으로 형상화한 김춘수, ‘예지하는 목소리’가 되어 미래의 아들들에게 아버지의 역할과 위상을 이양하는 김수영은 ‘윤리적이어야 한다’는 내적 명령을 도덕률로 내면화한 윤리적 전인을 자아-이상(ego ideal)의 모델로 정립한다. 윤리적 주체로서의 이러한 자기 정립은 도덕준칙이 내면화되는 양상에 따라 각기 다른 형태로 전개된다. 김춘수는 ‘천사의 눈’이라는 절대적 큰 타자를 주체의 도덕률로 상정하고 부끄러움을 향유(jouissance)하는 주체를 진정한 개인의 상으로 내세운다. 신동엽은 ‘빛나는 눈동자’라는 상징적 큰 타자의 법을 주체 바깥의 보편법칙으로 만듦으로써 개인의 윤리를 공동체의 도덕으로 치환한다. 한편, 김수영은 도덕적 자유를 정치적 지평에서 사유함으로써 ‘자유=자율’의 윤리학을 간-주관성의 타자적 관계로 인식하기에 이른다.이러한 주체화의 과정은 김춘수에겐 아나키적 유일자의 윤리적-정치적 이념을 구상함과 동시에 역사의 악한 의지로부터 개인이 구원되는 방법을 상상케 하는 미학적 초석이 된다. 신동엽에게 그것은 ‘생활의 무정부 마을’이라는 시원(始原)적 과거를 창출함으로써 자연과 자유가 동일시되는 정치적 이상을 역사의 필연으로 내세우는 윤리적 근거로 작용한다. 김수영의 경우 ‘적(敵)’과 ‘나’를 상호주체성의 관계로 인식하는 일은 ‘사랑’의 정치적 가치를 긍정함으로써 ‘공동-내-존재’의 가능성을 타진하고 진정한 아나키적 공동체의 꿈을 미래적 전망으로 약속하는 출발점이 된다. 세 시인의 이러한 윤리적 이념으로서의 아나키즘에의 지향은 주체의 자기의식의 조정 및 강화를 대(對)사회적인 차원에서 인식한 데서 비롯한다. 요컨대 해방, 전쟁, 혁명을 거치며 자신들이 체험하고 목도했던 역사의 폭력과 현실의 황폐함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를 사회적 지평에서 묻고 답하려 한데서 이러한 이념이 형성 ? 발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볼 때, 이들의 윤리적 주체로서의 자기 정립은 그 자체로 시대에 대한 유의미한 응전이자 시적 실천의 한 방법이었다고 할 수 있다.한편 이러한 윤리적 주체화는 ‘역사의 시적 극복’이라는 미학적 테제에 논리적 근거와 정당성을 부여하는 한편, 시사(詩史)적 차원에서는 한국시에 새로운 시적 상상력을 추동하고 시의 형태 변화를 가속화하는 계기가 된다. 윤리적 주체의 정립이 각기 다른 방법을 통해 이념적 전망을 획득하였듯, 역사를 극복하고자 하는 이들의 미학적 대응 또한 각기 다른 형태로 분화된다. 신동엽은 역사의 연속성을 억압하는 자들의 승리가 되풀이되는 과정으로 인식하면서 혁명을 그러한 승리자들의 연속에 정지를 가하는 순간으로 그린다. 그에게 혁명은 억울하게 희생된 과거의 선조들까지 구원되는 세속적 제의(祭儀)로 여겨진다. 김춘수는 역사를 악한 의지에 의한 폭력으로 규정하고 역사와 이데올로기와 폭력의 대립항으로 개인을 상정함으로써 역사에 의해 희생된 개인의 위치에서 역사의 심판을 시도한다. 혁명은 그에게 개인의 잠재된 트라우마가 ‘치욕’으로 회귀되는 순간으로서, 개인은 ‘치욕’의 귀환을 통해 자신이 자유의 주체였음을 자각하게 된다. 김수영은 혁명을 미래가 끊임없이 유예되는 시간으로 인식하는데, 시작(始作)을 시작(始作)하는 영구혁명은 그에게 인간의 역사적 시간과는 다른 ‘시간’이 개시(開示)되는 미적 경이의 순간으로 체험된다.이러한 혁명의 전유로부터 역사에 대응되는 ‘다른’ 시간의 열림이 세 시인에게서 새롭게 형태화된다. 신동엽과 김춘수가 기억의 상기(anamnesis)를 대문자 역사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한다면, 김수영은 영구혁명을 미학적으로 전유함으로써 시에서의 내용과 형식의 함수를 ‘현실성과 예술성’의 관계로 재구축한다. 스스로 이야기꾼임을 자처하는 신동엽은 세대에서 세대로 구비 전승되는 이야기 형식을 통해 기존의 역사 기술과 대척되는 방법으로 공동체의 기억을 구술한다. 김춘수는 역사의 힘에 상응하는 권능을 개인에게 부여하는 방식을 택하는데, 그것은 첫째 자기 고유의 사적(私的) 신화를 창출하는 것, 둘째 유년의 기억을 개인사의 기원으로 삼는 것, 셋째 이데올로기의 해체를 언어의 해체를 통해 실현하는 것으로 대별된다. 김수영은 시작(始作)의 갱신을 실천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의 시를 궁구하면서 새로움으로서의 시, 새로움으로서의 자유를 구현하기 위해 내용과 형식을 새롭게 사유한다. 그는 ‘상이하게 되는 것이 아니라 동일하게 되는 것’으로서의 자코메티적 변모를 시의 현실성으로서의 내용으로, 그러한 역설적 동일화를 가능케 하는 언어서술과 언어작용의 결합을 시의 예술성으로서의 형식으로 체계화한다. 혁명 이념의 전유와 함께 이루어진 이러한 미적 체계의 확립은 이후 시의 혁명이 역사의 혁명으로 통한다고 믿었던 김수영 시학의 궁극적 원리로 자리 잡게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