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MTO 공정을 위한 상온순환유동층 에서 모델촉매의 기체-고체 수력학적 특성연구

        박상순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was for analyzing of MTO(methanol to olefins) Process using a MTO Circulating Fluidized Bed (CFB) [0.025m-ID x 4m-H] and different catalysts size with hydrodynamic characterizations were investigated. The solid feeding rate of different catalysts size was determined by nonmechanical valve as seal-pot, performance of the seal-pot with different catalysts size was analyzed. Optimization of catalyst size improved to the MTO Circulating Fluidized Bed. The variation of axial solid holdup profiles with decay coefficient from different catalyst size for variable operating conditions were studied, the effect on catalysts size to influencing the decay coefficient for axial solid holdup structure was demonstra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is work and reference experimental data for predicting an axial solid distribution in a riser of MTO Circulating Fluidized Bed were proposed, it was shown that comparison this work axial profiles between predicted profiles were well coincide. The decay coefficient developed in this study could be expressed by as a function of Froude number and dimensionless velocity ratio. 본 연구는 Methanol to olefins (MTO) 순환유동층 공정 해석을 위해 직경 0.025m-ID x 4 m-Height MTO 순환유동층 장치를 사용하였으며, 미세구형 평균촉매입자 크기 53㎛, 90㎛, 141㎛ 변화에 따른 수력학적 특성연구를 평가하였다. 비기계적 고체주입장치인 seal-pot을 사용하여 고체주입량을 결정하였으며, 평균촉매입자크기에 따른 seal-pot 성능을 해석하였다. 또한 MTO 순환유동층 장치에 최적의 평균촉매입자 크기를 제공할 수 있었다. 촉매입자크기 및 반응기기체 유속변화에 따른 고체체류분포도 및 감쇄상수를 연구하였으며, 촉매입자크기에 따른 감쇄상수가 축방향 고체체류분도에 미치는 영향을 증명하였다. 본 연구결과와 문헌의 연구결과를 사용하여 MTO 순환유동층 반응기내 축방향 촉매체류분포도를 예측할 수 있는 상관식에 제안하였으며, 본 연구결과에 잘 일치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 제안한 감쇄상수 상관식은 Froude number와 무차원 유속비의 함수로 나타내었다.

      • 500 MW급 초임계압 순환유동층 보일러의 공기비에 따른 운전특성 연구

        이충호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순환유동층(CFB, Circulating Fluidized Bed) 보일러는 연소가능 연료의 다양성 측면에서 다른 발전용 보일러에 비해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전세계적으로 매장량이 풍부하고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저급탄(Low-Rank Coal)에 최적화된 설비로 최근비약적인 기술의 발전으로 고효율화, 대용량화되어, 미분탄 보일러와 비슷한 수준으로건설 및 운영 경제성을 확보하게 되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춰 국내에서도 동해화력(200 MW), 여수화력(340 MW)이 상업운전 중에 있으며 한국남부발전의 삼척그린파워는 초임계압 500 MW급 순환유동층 보일러 4기를 2016년 중순 상업운전을 목표로 건설공사 중에 있다. 그러나 삼척 순환유동층 보일러는 국내에서 처음 시도되는 대용량 보일러 설비로서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운전기술 축적 및 설비 표준화가 부족한 상태여서 삼척 프로젝트의 성공적 추진에 큰 장애요소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삼척 초임계 순환유동층 보일러의 안정적이고, 성공적인 상업 운전 달성을 위해, 보일러의 설계 Data 및 제작사(Foster Wheeler)에서 제시된 성능자료의 분석을 통해 순환유동층 보일러의 운전특성을 확인하고 더불어 실제 운전에서 일어날 수 있는 운전특성을 시뮬레이션 모델 분석을 통해 예측하여, 시운전 단계에서 보일러 튜닝 등 시운전 가이드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삼척 순환유동층 보일러의 실제 운전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운전특성을 “IEA-CFBC 시뮬레이션 모델”을 통해 분석, 고찰하였다. 우선 보일러설비의 특성 및 각 운전변수에 대해 설계분석을 실시하여 시뮬레이션 모델 입력변수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삼척 순환유동층의 BMCR 조건을 기준으로 보일러 운전의 가장 중요한 인자(운전변수)인 1차-2차 공기비 변화(PA/PA+SA, 8Cases)에 따른 보일러 운전 특성을 시뮬레이션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삼척 순환유동층 보일러는 총 공기량을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일-이차 공기비만을 조절하여 순환유동층 상부로 비산되는 고체량을 조절할 수 있음을 고찰하였으며, 특히, 연소로 상, 하부간의 온도편차는 일차 공기비를 증가함에 따라 적어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내화재 경계면 부근의 유속 감소 필요시 일-이차 공기비를 감소시 그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이는 내화재 경계면에서의 보일러 튜브 마모의 위험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한편, 휘발분의 방출 증가에 따른 연소 불안정 시 일차-이차 공기비를 증가시켜 휘발분의 평균 농도분포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이는 휘발분에 의한 연소로 환원성 분위기를 억제하는 데에 큰 효과를 줄 것으로 기대되었다. 또한 일차 공기비가 커질수록 SO2의 발생량은 감소하는 반면, NO의 발생은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일-이차 공기비 조절에 따라 적정 환경오염원을 조절하여 최적화하는 운전 튜닝이 필요할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에서 고찰한 바와 같이, 1차-2차 공기비 조절을 통한 고체량 분포 및 순환량 조절은 결국, 연소 변화를 야기해 온도 및 SO2 그리고 NO 등의 분포를 바꿀 수 있는 것으로 고찰되었으며, 향후, 삼척 초임계압 순환유동층 보일러의 시운전단계 튜닝과정에서 부하별 1차-2차 공기비 조절 적용을 통해 연소 온도 등의 운전조절을 이뤄내고 최적화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The circulating fluidized bed combustion technology is known as the most efficient one for fuel diversification when compared to other coal combustion technologies. Due to the good performance including good fuel flexibility, high combustion efficiency and efficient pollution control, CFB boiler has been successfully commercialized for coal-fired power generation. In accordance with this trend, in Korea, Donghae thermal power plant(200MW) and Yeo-su thermal power plant(340 MW) have been operated commercially, and Samcheok Green Power which has 4 units of 550MW Supercritical CFB boilers is under construction aimed at commercial operation in mid-2016. However, as there are little operation experience and standard of this large scale supercritical CFB boiler in and out of Korea, it has become the serious obstacles to successful completion of this project. Therefore,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provide the operation guide in the commissioning stage by analysis of boiler design data and estimate of operating characteristics through the simulation of performance prediction. Operating characteristics that might occur at actual operation of samcheok CFB boiler were analyzed and investigated by using IEA-CFBC model. The input variables are derived by the analysis on the boiler design and operation parameters of Samcheok CFB boiler, and the effect of the primary to secondary air ratio, which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operation parameter, on the performance of the CFB boiler was verified by simulation. It was observed that the solid hold up in the furnace can be controlled by changing the PA ratio at a constant total air flow rate. Especially,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upper bed and lower bed decreased with increasing PA ratio. It was also expected that the erosion of water wall tube located at kick out zone could be reduced when the primary to secondary air ratio becomes low due to reduced solid hold-up in that point.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volatile concentration in the furnace decreased with decreasing the PA ratio. It was expected to give a great effect for reducing the reduction atmosphere in the furnace. Moreover, with the increase of the PA ratio, the emission of SO2 decreased, but that of NOx increased. So, it was confirmed that the optimum condition of the PA ratio is necessary to reduce the emission of both pollutants. As discussed above, it is expected that the control of the boiler performance such as the furnace temperature, gaseous emissions and combustion efficiency is possible through the changing the PA ratio of the CFB boiler. At the commissioning stage in near future, these results will be applied to optimize the Samcheok CFB boiler.

      • 순환유동층 연소로에서 수력학적 특성 실험 및 모델링 : 유동매체량에 따른 수력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김은경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순환유동층의 주요 설계 및 운전 변수의 하나인 유동물질의 유동매체량(solid mass inventory)에 따른 순환 유동층 내에서의 수력학적 특성을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운전 및 설계변수를 예측하는 것이 주 목적이다. 실험실 규모의 순환유동층 실험 데이터와 이를 근간으로 모델링에는 IEA-CFBC 및 상용 CFD 해석코드를 사용하여 순환유동층 내에서 수력학적 특성을 평가 및 비교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층물질 유동매체량과 공기 주입량을 변화시켰을 때의 순환유동층 내에 유동화 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실험은 직경 0.05 m와 높이 3 m의 아크릴 판으로 제작된 냉간 순환유동층에서 수행되었으며 사용된 유동물질은 흑색의 샬리카 카보네이트로 입경분포는 100 ∼ 500 ㎛ 범위를 이룬다. 상승부 공탑속도는 1.39 ∼ 3.24 m/s이고, J-밸브의 유동화 속도는 0.139 ∼ 0.232 m/s로 주어졌다. 실험으로부터 순환유동층 내 축방향 고체분률과 고체순환율이 측정되었고, 실험 데이터는 IEA-CFBC와 상용 CFD 코드를 이용한 모델링을 통해 검증 비교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소규모 연구실 규모의 실험장치로부터 대규모 플랜트로의 용량확대(scale-up) 기초자료 확보를 위해 IEA-CFBC와 상용 CFD 코드를 이용해 모델링이 수행되었다. This paper discusses effect of solid of mass inventory on the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circulating fluidized bed(CFB). Operating parameters of solid mass inventory and air flow rates were varied to understand their effects on fludization pattern. Experimental measurements were made in a CFB of which height and diameter are 3 m and 0.05 m, respectively. Black SiC particles ranging from 100 ㎛to 500 ㎛ were employed as the bed material. Superficial gas velocity of riser and J-valve fluidizing velocity were in the ranges of 1.39 3.24 m/s and 0.139 0.232 m/s, respectively. The axial solid fraction and solid circulation rate of CFB were calculated based on the experimental data and compared with modellings through IEA-CFBC Model and commercial CFD code(FLUENT).

      • 상온상압 순환 유동층에서 수력학 특성

        김도형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87

        한글초록 : 상온 상압순환유동층 실험장치에서 수력학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고체의 초기충전량 혹은 기포유동층의 고체량에 따른 고체순환속도의 변화와 그의 영향을 측정 및 고찰하였다. 고체순환속도의 변화에 따른 영향으로 수송층 반응기에서 고체체류량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상승관(0.025 m diameter, 3 m height), 두 개의 기포유동층(0.1 m diameter, 1.2 m height), 사이클론, 슬라이드벨브 등으로 구성된 장치에서 glass bead(dp=0.0926mm, ρs=2486 kg/m3)를 층물질로 사용하여 슬라이드벨브 2의 개구비와 기포유동층2의 고체층 높이를 변화시키면서 고체순환속도, 공정전체의 압력분포 그리고 상승관에서의 고체체류량을 측정했다. 고체순환속도는 슬라이드벨브 2의 개구비가 증가함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정상상태에서 유동층반응기2의 고체층높이가 증가함에 따라서 역시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공정 전체의 압력과 상승관에서 고체 체류량은 고체순환속도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따라서 슬라이드벨브 2의 개구비가 증가하거나 정상상태에서 유동층반응기2의 고체층높이가 증가함에 따라서 공정 전체의 압력과 고체체류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영문초록 :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investigate effects of the solid circulation rate and the bed level of the bubbling fluidized-bed on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in a circulating fluidized-bed system consisting of a riser and a bubbling fluidized- bed. The circulating fluidized-bed consisted of a riser (0.025 m diameter, 3 m height), two bubbling fluidized-beds (0.1 m diameter, 1.2 m height), cyclones and slide-valves. Glass bead (dp=0.0926mm, ρs=2486 kg/m3)was used for bed materials. The distribution of solid holdup and pressure and the solid circulation rate were measured with variation of the opening ratio of the slide valve below the bubbling fluidized-bed(II) and the bed level of the bubbling fluidized-bed(II) at ambient temperature and pressure. The solid circulation rate had a tendency to increase linearly with increasing the opening ratio of the slide valve below the bubbling fluidized-bed(II) and increasing the bed level of the bubbling fluidized-bed. The solid holdup and pressure of the whole process were influenced by the solid circulation rate. The pressure and the solid holdup had a tendency to increase with increasing the opening ratio of the slide valve below the bubbling fluidized-bed(II) and increasing the bed level of the bubbling fluidized-bed(II)

      • 제지애시 및 규조토를 사용한 경량 경화체의 특성

        이용 한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85

        본 연구에서는 시멘트 대체재로서 고로슬래그를 사용하였으며, 고로슬래그에 사용되는 알칼리 자극제의 양을 줄이고자 고로슬래그에 순환 유동층 보일러 플라이애시를 첨가하였다. 고로슬래그는 잠재수경성이라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알칼리 자극제를 이용하여 고로슬래그 외부의 피막을 제거하여 주어야 경화가 진행된다. 고로슬래그 외부의 피막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된 순환 유동층 보일러 플라이애시에 있는 CaO 성분이 물과 반응하면 Ca(OH)2가 되며 고로슬래그를 경화시킨다. 또한, 경화체의 경량화를 위하여 제지애시와 규조토를 사용하였으며, 유동성, 밀도 및 흡수율, 휨 및 압축강도, 열전도율 등을 측정하였다. 적정 첨가율에 대한 시멘트 대체재의 특성을 분석하여 무기결합재의 경량복합패널의 심재로서 제조가 가능한 지에 대한 연구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그 결과, 본 연구 범위 내에서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순환 유동층 보일러 플라이애시 첨가율에 따른 경화체의 특성 Series I에서 고로슬래그를 알칼리 자극제 없이 순환 유동층 보일러 플라이애시를 이용하여 경화를 진행시켰다. 그 결과, 국내의 경량패널 KS F 4914에 따른 압축강도 7MPa 이상은 모든 경화체에서 발현하였다. 하지만 순환 유동층 보일러 플라이애시의 첨가율이 증가함에 따라 유동성이 떨어져 적절한 유동성과 강도를 갖는 순환 유동층 보일러 플라이애시의 첨가율을 30%로 선정하여 Series Ⅱ의 배합으로 선정하였다. 2. 규조토 및 알칼리 자극제(제지애시) 첨가율에 따른 경화체의 특성 Series I에서 적정 배합으로 선정된 배합에 규조를 첨가한 실험을 진행한 결과, 규조토를 20% 첨가한 경화체는 밀도 1.21g/cm3 로 가장 낮은 밀도를 나타내었다. KS F 4914에 따르면 밀도는 최대 0.75g/cm3 로 0.7폼을 사용하고 있다 추후 밀도를 더 낮출 수 있는 실험을 추가적으로 진행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제지애시를 첨가하고 알칼리 자극제의 첨가율에 따른 실험을 진행한 결과, 알칼리 자극제를 0% 첨가한 Plain 경화체는 약간의 팽창하는 현상을 보여주기는 했으나 공극이 생기며 발포하는 현상을 보이지는 않았다. 이후 자극제를 첨가하며 발포하는 현상을 보였으며, 자극제의 첨가율이 높아질수록 밀도는 낮아지는 현상을 보였다. 규조토 및 제지애시를 첨가하여 실험한 결과, 압축강도 및 휨강도는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추후 경량화 실험을 추가적으로 진행하여도 7MPa 이상의 압축강도는 발현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CO2 발생량을 줄이기 위하여 산업부산물인 고로슬래그와 순환 유동층 보일러 플라이애시, 제지애시, 규조토 등을 사용하여 도시생활주택을 위한 모듈러 주택에서 이용 가능한 경량 경화체를 제조하여 적은 작업인원으로도 작업이 가능한 경량벽체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재료는 산업부산물을 사용한 경량복합패널로서 원자재에 대한 경제적 효과는 기존의 경량복합패널에 비해 클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보면 추후에 밀도를 더 낮추어야 하는 추가 실험이 필요하겠지만, 추가적으로 실험을 진행한다면 산업부산물 만을 사용하여 이산화탄소 저감과 낮은 원가로 충분히 사용 가능한 경량벽체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이라 기대된다. This research used blast furnace slag as a cement alternative and to reduce the amount of alkali accelerator used in blast furnace slag, circulatory flow layer boiler fly ash was added to blast furnace slag. Blast furnace slag has latent hydraulic properties and thus the use of alkali accelerator is required to remove the outer film of blast furnace slag to proceed with hardening. When CaO component in circulatory flow layer boiler fly ash, used to remove outer film of blast furnace slag, reacts with water, it becomes Ca(OH)2which hardens blast furnace slag. Further, paper ash and diatomite were used to make matrix more lightweight, and liquidity, density, water absorption ratio, flexural and compressive strengths, and heat conduction rate were measured. Properties of cement alternatives according to optimum addition ratio were analyzed to use as research material to verify the possibility of manufacturing it as the core of lightweight complex panel in inorganic binder.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below within the scope of this research. 1. Properties of matrix according to addition ratio of circulatory flow layer boiler fly ash In Series I, hardening of blast furnace slag was conducted with out alkali accelerator using circulatory flow layer boiler fly ash. The results in all matrixes were over 7MPa of compressive strength according to Korea lightweight panel KS F 4914. However, increase in addition ratio of circulatory flow layer boiler fly ash reduced liquidity. Therefore, 30% addition ratio of circulatory flow layer boiler fly ash was chosen to have appropriate liquidity and strength, and thus it was selected as Series II mix. 2. Properties of matrix according to the addition ratio of diatomite and alkali accelerator (paper ash) The result of replacement experiments using the combination identified in Series I showed the lowest density of 1.21g/cm3 in matrix added with 20% diatomite. According to KS F 4914,maximum density is 0.75g/cm3(0.7 foam). There is a need for additional research to reduce density in the future. Experiment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addition ratio of alkali accelerator and by adding paper ash. There was slight expansion in plain matrix with 0% alkali accelerator; there were pores but no discharge. Then, stimulant addition led to discharge; increasing addition ratio of stimulant decreased density. Results of experiment adding pore and paper ash showed that compressive and flexural strength were maintained at high levels. Further experiments on lightweight matrix could lead to over 7MPa of compressive strength.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reduce CO2 emission by using industrial byproducts such as blast furnace slag, circulatory flow layer boiler fly ash, paper ash, and pore to manufacture lightweight matrix to be used in modular housing for urban living homes. The research aimed to be the basic material for the use of lightweight walls to allow construction work with fewer workers. The materials used in this research are lightweight complex panels using industrial byproducts and its economic benefits in terms of raw materials are expected to be great compared to the existing lightweight complex panels.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shows additional research is required to lower density further. Additional research could allow the use of lightweight walls with lower cost and reduced carbon dioxide emission by using industrial byproducts.

      • 순환유동층보일러 효율향상을 위한 eutectic에 의한 응집 메커니즘 연구

        연무혁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71

        순환유동층보일러에 재생에너지를 연료로 적용하는 것은 탄소 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바이오매스는 널리 알려진 재생에너지원 중 하나로, 순환유동층보일러에 투입 시, 높은 알칼리금속 함량으로 인한 응집이 발생할 것이 예상되어 졌다. 이와 같은 응집 현상은 회분 내 성분들의 조성비에 따라 용융온도가 바뀌어 발생하며, 응집과 관련된 순환유동층보일러 운영기준이 아직 정립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회 용융 분석을 통해 알칼리금속에 의한 용융점 감소 현상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으며, 유동층 조건에서 층물질 및 알칼리금속에 따른 응집 비율을 정량적으로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 알칼리금속에 의한 응집 비율 도출에 사용된 실험방법은 유동층 환경에서 회분 조성 변화로 발생하는 정량적 응집량 평가에 활용될 수 있으며, 탄소 중립을 달성하는 과정에서 바이오매스 순환유동층보일러의 안정적인 운영방안 수립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저회의 대체 층물질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으며, 낮은 SiO2 함량의 층물질이 알칼리금속에 의한 응집 비율을 낮출 수 있음을 보였다. 이를 통해, 순환유동층보일러 층물질 모래의 대체재를 선정하여 운용비용을 절감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배가스 폐열회수용 순환유동층 열교환기 성능

        윤효중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69

        우리나라의 산업폐열 추정량은 2000년을 기준으로 약 9백만 에너지톤 (TOE)이고, 이중 폐가스 비율은 약 80%에 해당하며, 이중 약 50%만이 회수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소각로 등의 배가스에는 다량의 오염의 부식물질(분진)이 많으며 이러한 오염 물질이 열교환기의 전열면을 오염 시켜 열교환기의 성능을 크게 저하시킨다. 따라서 전열면의 오렴문제 없이 배가스에 함유된 열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실 규모의 유동층식 폐열회수용 열교환기가 고안되고 이에 대한 시험을 수행하였다. 본 열교환기 시스템은 이전의 연구에서 다루었던 단일상승관식 열교환기와 달리 많은 량의 배가스를 다루기 위하여 다수(4개)의 상승관을 갖고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순환입자는 상승관의 입구영역에 설치된 환형 입자주입구를 통하여 배가스와 혼합된 상태로 수직 전열관을 통과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가스-물 열교환기 시스템에 대한 전열성능과 함께 압력손실에 대한 실험값을 얻었다. 성능실험장치는 원하는 온도의 배가스와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연소로와 온수가 열기를 포함하는 순환유동층 열교환기 실험장치로 구성되며, 배가스 유량은 약 200Nm3/hr이고, 전열 용량은 7000kcal/hr 이다. 순환유동층 열교환기는 다량의 배가스로부터 폐열을 회수하기 위하여 다관식으로 구성되며 분배판을 사용하지 않는 형식으로 설계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수행된 성능실험결과는 전열성능과 압력강하, 열교환기내 입자순환 특성 외에 입자포집방법 및 배가스 유량측정 방법에 대하여 소개하고 있다. A lab-scale fluidized bed heat exchanger for waste gas heat recovery is devised and tested. Compared to our previous works on fluidized bed type system with a single riser, the present heat exchanger system is featured by its multiple(four) risers to handle increased amount of exhaust gas. Particles are introduced to the main hot gas stream alongside the pipe circumference near riser inlets. The heat exchanger performance and pressure drop are evaluated through experiments for the present gas-to-water heat exchanger system. An experiment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heat transfer according to decrease of waste gas flow rates caused by using the solid particles in the heat exchanger system. In the experiment, The temperature of waste gas is about 260 ℃ and The initial waste volume flow rates is 202Nm3/h and 206.7Nm3/h. As the results, in spite of decrease of waste gas flow rate, The overall Heat-transfer Coefficient have been increased to maximum 12.6 % in the present system.

      • 순환유동층 루프실에서 recycle chamber의 고체 흐름 특성

        이동훈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55

        매체순환연소 공정에 활용되는 순환유동층 공정은 라이저와 기포유동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는 downcomer의 recycle chamber와 루프실에서 고체 흐름 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Kim 등(2019)이 제안한 기포유동층에서 고체 유량을 예측하는 상관식을 확장하여 recycle chamber에서 고체 유량을 예측하기 위한 상관식으로 유도하였다. 순환유동층 장치에서 루프실과 라이저에서 고체의 흐름 특성을 조사하였다. 루프실에서 고체 흐름은 라이저의 운전 조건에 영향을 크게 받았다. 라이저의 유속이 증가하면, downcomer의 압력강하가 감소하고, down-comer를 유동화하기 위해 필요한 supply chamber의 주입 기체 유량이 증가하였으며, transitional packed bed flow가 더 안정해졌다. 또한, 라이저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고체 유량은 증가하였다. Recycle chamber의 압력강하에 대한 루프실로의 주입 기체 유량과 downcomer의 고체 층 높이, 라이저 유속의 영향은 무시될 만큼 작았다. 라이저의 고체 유량은 recycle chamber의 고체 수송 능력으로 결정되었다. 라이저의 기체-고체 흐름이 기체 수송층 영역일 때, recycle chamber의 고체 수송 속도(G_(s,recy))는 대기압에 대한 recycle chamber 바닥의 상대압력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라이저 하부에 농후상이 생성되는 고속 유동층 영역인 경우에는 라이저 하부에서 recycle chamber로 일부 고체가 역류하였다. 이를 반영한 recycle chamber의 고체 수송 속도에 관한 상관식은 실험의 측정값과 잘 일치하였다. G_(s,r)=87.7[1-e^(-2.12q_b^0.601 )-(1-(H_(mf,r)+H_(mf,ris)+H_(mf,risf)-H_(mf,bubf))/L)e^0.2L ]^2.01 G_(s,rir)=87.7[1-e^(-2.12q_(b,ri)^0.601 )-(1-(H_(mf,ris)+H_(mf,risf))/L)e^0.2L ]^2.01 라이저가 기체 수송층 영역일 때, G_(s,recy)=G_(s,r) 라이저가 고속 유동층 영역일 때, G_(s,recy)=G_(s,r)-G_(s,rir) A_r/A_ri The circulating fluidized bed (CFB) system that consist of a riser (air reactor) and a bubbling fluidized bed (BFB, fuel reactor) is applied for chemical looping combustion (CLC) of fuel ga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low rate of solids in the recycle chamber of the downcomer and loop-seal system. By extending the correlation of Kim et al. (2019) that estimates the solids flow rate in the bubbling fluidized bed, a relationship was derived to predict the solids flow rate in the recycle chamber. The flow characteristics of solids in the downcomer, horizontal passage, recycle chamber, and riser were investigated in a CFB apparatus. The characteristics of loop seal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operation conditions of riser. The pressure drop in the downcomer decreased and the aeration rate to the supply chamber for fluidizing the solids in downcomer was increased as the riser velocity increased. Thus, the transitional packed bed flow in the downcomer was further stabilized. The effects of aeration rate in loop-seal, static bed height in the downcomer, the gas velocity in the riser were negligible. The solids flow rate increased with the riser velocity. The solids flow rate in riser was determined by the solids carrying capacity of the recycle chamber. When the flow pattern in riser was pneumatic conveying, the solids flow rate of recycle chamber (G_(s,recy)) is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relative pressure of the recycle chamber bottom against the atmospheric pressure. When the dense phase was formed in the bottom of the riser (fast bed), the driving force occurred at the bottom of riser to reverse the solid flow to the recycle chamber. The derived relationship on G_(s,recy) was in good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G_(s,r)=87.7[1-e^(-2.12q_b^0.601 )-(1-(H_(mf,r)+H_(mf,ris)+H_(mf,risf)-H_(mf,bubf))/L)e^0.2L ]^2.01 G_(s,rir)=87.7[1-e^(-2.12q_(b,ri)^0.601 )-(1-(H_(mf,ris)+H_(mf,risf))/L)e^0.2L ]^2.01 for pneumatic conveying, G_(s,recy)=G_(s,r) for fast bed, G_(s,recy)=G_(s,r)-G_(s,rir) A_r/A_ri

      • 실험실규모 순환유동층에서 RPF의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이응록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55

        Combustion technology in circulating fluidized bed has an excellent adaptability for fuels such as low-grade and low-heat capacity fuels which has much lime percentage and moisture. The study on this technology was started from 1981 and conducted actively from 1991. The study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property of soft coal, hard coal and combustion property of regulation of smoke extraction etc. was conducted in a various Lab. and through scale experimental devices, chiefly a study was conducted related to boiler design by users of boiler and efficiency valuation and the study was conducted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property, combustion furnace property, unit equipment efficiency, clinker, and abrasion of electric heat pipe. Up to now the study was conducted related to technology in circulating fluidized bed chiefly availing coal, but from now on it needs to develop alternative fuel of fossil fuel that is expected to be exhausted. Accordingly, in this study as a part of basic research aim at combustion technology design and operating technology development in circulating fluidized bed to develop alternative fuel in the next generation, combustion possibility in circulating fluidized bed availing RPF was tapped and extracted out a processing variable, combustion property (temperature distribution), analysis of a flue gas etc. were measured and conside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at combustions of RPF : (1) The highest temperature was measured at hight 0.8m in temperature distribution by combustion, temperature went down with up of the hight. (2) Considering concentration of flue gas, discharging concentration of CO2 or CO except on NOx were all decreased by increasing of extra air ratio. (3) Among concentration of flue gas, the more extra air ratio increase, the more NOx discharge concentration increased at the first time, an then it became to decrease in proportion to the increase of extra air ratio. (4) According to total amount standards discharge concentration became to decrease in proportion to getting bigger of extra air ratio, HC, of which chain length of carbon is small, was generated much, and according to the change of extra air ratio HC in case that chain length of carbon is small, it shows a tendency to decrease, but HC in case that chain length of carbon is large, it shows a tendency to increase. 순환유동층 연소기술은 다양한 성상의 연료를 저공해 고효율로 연소할 수 있는 우수한 연소방식으로 재래의 기포유동층 연소방식으로부터 고효율, 대용량으로 확장되어 발전, 열병합, 소각 및 복합발전에 적용되는 차세대 연소기술이며, SOx, NOx 저감 등 공해방지 특성이 우수하여 점차 규제강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환경오염물질 배출 허용기준에 적합한 기술로 많은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현재까지는 주로 석탄을 이용한 순환유동층 기술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향후 고갈이 예상되는 화석연료의 대체연료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국외에서는 순환유동층 연료로 Farm animal waste, Sewage sludge and coal, REF(Recycled Fuel), PDF(Package Derived Fuel), RDF(Refuse Derived Fuel), Petroleum coke, Wood, Biomass 등을 이용하여 활발히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석탄 이외에 산업용폐기물, 폐타이어 등을 이용한 연구가 일부 진행되었으며, 향후 석탄 이외의 저급연료를 이용한 순환유동층의 특성연구가 활발히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차세대 대체연료 개발을 위한 순환유동층 연소기술 설계 및 운전기술 개발을 목표로 기초연구 일환으로 RPF를 이용한 순환유동층에서의 연소가능성을 타진해 보고 공정변수를 도출하고, 설계 기초 자료로써 연소특성(온도분포), 연소가스 분석 등을 측정 및 고찰하였으며, RPF 연소시 얻어진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연소로 내부의 온도분포는 높이 0.8m에서 가장 높은 온도가 측정되었으며, 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온도가 떨어졌다. (2) 배출 가스의 농도를 볼 때 NOx를 제외한 CO2나 CO의 배출 농도는 RPF 연소 시 과잉공기비가 증가함에 따라 모두 감소하였다. NOx의 경우는 연소로 내 온도가 가장 높을 때 배출농도가 가장 높았다. (3) 배출 가스의 농도 중 NOx 배출농도는 과잉공기비가 증가할수록 초기에는 증가하였으나, 점점 과잉공기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4) HC의 배출 농도는 총량기준으로 과잉공기비가 커짐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주로 탄소의 개수가 적은 HC가 많이 발생하였고, 과잉공기비의 변화에 따라서 탄소 원자 개수가 적은 HC의 경우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나, 탄소 원자 개수가 많은 HC의 경우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