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등학교 역사교과서의 '물산장려운동' 서술 비교 분석

        임욱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27

        최근 <한국사>의 수능 필수과목 지정, ‘검인정 한국사 교과서 채택 논란’ 같은 이슈는 역사교육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한국 역사교육에서 학생들의 주된 학습 교재로 활용되는 것이 교과서다. 이런 점에서 역사를 이해하는 인식이 덜 형성되어 있는 학생들을 가르치는 역사교사의 교과서 분석은 매우 중요하다. 교과서 분석의 대상은 ‘1920년대 전개된 물산장려운동’ 이다. 물산장려 운동을 주목한 이유는 한국의 교과서가 교육과정을 거듭하면서 계속 개정내지 개편되어 변화해왔다. 이런 변화 속에, 다른 주제에 비해 물산장려운동은 여러 교과서에서 각기 다른 시각으로 서술하고 평가를 하고 있어 해방 후 한국사 서술의 경향을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인 점이 작용했다. 본문 서술 분석은 3차~6차 교육과정, 7차 교육과정~2009 개정 교육과 정의 두 시기로 나누어 장을 구성하였다. 교과서에서 물산장려운동 서술을 단원 구성, 물산장려운동의 배경, 물산장려운동의 전개 및 성과, 물산장려운동의 한계 및 의의의 네 영역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3차 교육과정~6차 교육과정 시기 발행된 교과서에서는 “물산장려운동은 3․1 운동 이후에 나타난 새로운 형태로 전개된 민족으로 일제의 탄압으로 한계를 맞이하였다”는 식의 서술이 전개 되었다. 반면 7차 교육과정~2009 개정 교육과정 시기 발행된 교과서에서는 물산장려운동의 배경으로 ‘당시의 국제정세’, ‘경제적 상황’ 등을 언급하였으며 한계에 직면한 요인에 ‘지도부의 일제와의 타협’, ‘사회주의 계열의 비난’ 등을 언급하였다. 이를 통해 앞선 시기보다 복합적인 접근에서 서술이 이루어졌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4장 ‘물산장려운동 교과서 서술’에서는 2장과 3장에서 다룬 각 교육과정 역사교과서의 물산장려운동의 배경․전개 및 성과․의의 및 한계 서술 경향의 변화와 앞으로의 교과서 서술을 전망하고 있다. 이를 통해 앞으로의 역사교과서가 ‘물산장려운동 주도층 내부의 입장 차이’, 물산장려운동 평가의 다각적이고 새로운 해석의 등장 가능성을 전망하였다. 결론에서는 본문 내용을 토대로 물산장려운동의 교과서 서술과 역사학계의 물산장려운동 연구 경향과의 관계를 규명해 보았다. 그 결과, 역사교과서에 학계 연구 경향의 반영성은 대략 15년~20년 격차가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검인정 교과서 발행을 통해 다양한 시각의 교과서 서술이 제시되어 이를 두고 학계와 교육계가 머리를 맞대고 복합적인 검토가 필요함을 제시 하였다. 이런 구성을 통해 본고에서는 그간 다루어지지 않았던 역대 교과서에서 물산장려운동의 서술 변화를 비교 분석하여 정리함으로서, 물산장려운동에 대한 교과서 서술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를 개략적으로 살펴 볼 수 있다는 의미를 가진다. An issue like ‘adoption controversy of government-authorized Korean history textbooks’ has aroused the public’s interest in history education as <Korean history> has recently designated as a compulsory subject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Textbooks are utilized as major learning materials of students in Korean history education. In this respect, it is very important for history teachers who teach students that awareness to understand history was less formed to analyze the textbooks. The subject of the analyses on the textbooks is ‘the Mulsan Jangryeu Movement (the Korean Production Movement) developed in 1920s’. The researcher took note of the Mulsan Jangryeu Movement (the Korean Production Movement) because the Korean textbooks have continued to be revised or reorganized as the curriculums have repeatedly been changed. In these changes, the Mulsan Jangryeu Movement (the Korean Production Movement) is the representative example which shows the descriptive tendency of Korean history after liberation as it was described and evaluated in different perspectives in several textbooks. As for a descriptive analysis of the body, chapters are composed by- 70 - dividing the curriculums into the 3 rd to 6 th curriculums and the 7 th curriculum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Description of the Mulsan Jangryeu Movement (the Korean Production Movement) in the textbook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diving it into the four areas of composition of unit, the Mulsan Jangryeu Movement (the Korean Production Movement)’s background, development and results of the Mulsan Jangryeu Movement (the Korean Production Movement), limits and meaning of the Mulsan Jangryeu Movement (the Korean Production Movement). In the analytical results, the description that ‘the Mulsan Jangryeu Movement (the Korean Production Movement) was developed by the new type which appeared after the 1919[Samil] Independence Movement (of Korea) and reached the limit due to Japanese oppression’ was developed in the textbooks issued in the period of the the 3 rd to 6 th curriculums. On the other hand, ‘the international situation of those days’, ‘economic situations’, etc. were mentioned against a backdrop of the Mulsan Jangryeu Movement (the Korean Production Movement) in the textbooks issued in the period of the 7th curriculum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nd ‘the leadership’s compromise with the Japanese empire’, ‘criticism of socialists’, etc. in the factors which reached the limit. It could be found that description was done by the complex approach. ‘The Mulsan Jangryeu Movement (the Korean Production Movement) textbooks’ of Chapter 4 described the Mulsan Jangryeu Movement (the Korean Production Movement)’s background, development, results, meaning, and limits and predicted change of the descriptive tendency and description of next textbooks. It predicted ‘the differences of opinions about the Mulsan Jangryeu Movement (the Korean Production Movement) of the internal influencers’ and the possibility that- 71 - multilateral and new analyses on evaluation of the Mulsan Jangryeu Movement (the Korean Production Movement) will appear. Conclusion establish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scription of the Mulsan Jangryeu Movement (the Korean Production Movement) and the historical academic world’s research tendency of the Mulsan Jangryeu Movement (the Korean Production Movement) in textbooks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body. The result could be found that there are the gap of 15 to 20 years in reflexivity of the historical academic world’s research tendency about historical textbooks. And it suggested that the academic world and the educational world’s complex review of description of textbooks with many different eyes is needed as it was suggested by issue of the government-authorized textbooks.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roughly examine how description of the textbooks about the Mulsan Jangryeu Movement (the Korean Production Movement) has changed by comparing, analyzing, and arranging the descriptive changes of the Mulsan Jangryeu Movement (the Korean Production Movement) which had not been treated in the existing textbooks through this composition.

      • 日帝下 基督敎 民族運動의 政治經濟思想 : 安昌浩·李承晩 계열을 중심으로

        장규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박사

        RANK : 249645

        본 연구는 韓國 近代民族主義의 사상이론을 계통적으로 해명하는 작업의 일환으로, 그 한 축을 이루고 있었던 基督敎 民族主義를 일제하 기독교 민족운동을 통해 살펴본 것이다. 대한제국 말기 新民會와 皇城基督敎靑年會를 거점으로 대두한 기독교 민족운동은 관서지방의 신흥상공인층과 신지식층, 기호지방의 신지식층과 개혁관료층을 주축으로 하는 基督敎 政治社會勢力化의 한 매듭이었다. 이 시기 기독교 민족운동 세력은 독립협회 이래 漸進的 文明開化論의 연장선상에서 宗敎·敎育·殖産運動을 전개하면서, 기독교를 통해 독립정신을 고취하고, 실력양성의 기반이 되는 근대적 시민의식과 지식을 습득할 것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韓日合倂’과 일제의 무단통치는 근대시민의 육성을 통한 자유문명국가, 실력양성을 통한 근대 자본주의국가의 건설이라는 그들의 당초 구상을 뿌리채 흔들어 놓았다. 그러한 가운데 ‘105人事件’을 거치며 새로운 청년 학생세대들에 의해 武裝鬪爭論이 제기되었다. 더불어 일제 무단통치를 정당화하는 社會進化論的 强權主義에 대한 이론적 극복이 시도되었는데, 그것은 共和主義와 人道主義의 수용으로 나타났다. 이 때 인도주의와 民族自決主義는 기독교세력이 3·1운동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기에 이르는 사상적 배경이 되었다. 한편 워싱턴軍縮會議를 전기로 민족자결주의가 퇴조하고 부르주아민족운동 내부에 실력양성 노선이 전면화하는 가운데, 기독교 민족운동의 개량주의적 재편이 기독교 선교의 양대 거점인 평양과 서울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그리고 그러한 과정에서 안창호 계열의 平壤YMCA·修養同友會·基督信友會 등과 이승만 계열의 中央YMCA·興業俱樂部·積極信仰團으로 대표되는 기독교계 개량주의적 민족운동의 진영이 형성되었다. 3·1운동 이후 기독교세력은 平和的인 방법으로, 世界改造의 새로운 기운에 부응하는 正義와 人道의 실현으로서 한국의 독립을 전망하고, 그 방략으로 外交論과 實力養成論을 제기하였다. 한편 1920년대 중반 대두한 사회주의자들의 反宗敎運動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기독교세력 내부에 민족문제인식, 사회인식상의 일정한 편차가 나타났다. 그것은 기독교와 사회주의의 사상적 결합과 민중적 기독교를 모색하는 基督敎社會主義, 近代主義에 입각한 社會福音主義로 대별되었다. 신간회의 출범 이후 기독교계의 사회참여 논의가 활발해지는 가운데 예루살렘 국제선교대회를 거치며 맑스주의와 구별되는 기독교적 사회실천의 이론으로 ‘基督主義’가 등장하였다. 1929년 기독신우회의 ‘宣言’을 통해 공식 천명된 기독주의는 대공황기 반종교운동과 엇물리면서 反唯物論 이념투쟁으로 굴절되었는데, 그것은 이후 기독교계 내부에 冷戰意識이 자리잡는 과정을 보여주는 하나의 사례였다. 한편 실력양성론과 더불어 일제하 기독교 민족운동을 특징짓는 또 다른 논리는 宗敎→敎育→實業→政治로 이어지는 漸進主義였다. 기독교세력은 근대 시민의식의 형성을 목표로 하는 종교·문화운동을 모든 운동의 근본운동으로 설정하고, 그에 기초하여 교육·경제적 실력양성과 정치적 방면의 민족적 합동을 이룸으로써 자주독립의 기초를 마련하려 하였다. 그러한 선상에서 그들이 설정한 새로운 독립국가의 모델은 국가를 개인의 단체적 결합으로 파악하고, 國家에 대한 市民社會의 가치우위를 내세우는 自由主義 國家였다. 그런데 일제 침략으로 시민사회의 자율성 확보가 불가능해진 상황에서 그같은 국가론의 기조는 동요할 수밖에 없었다. 일제에 대한 非妥協의 원칙과 시민사회적 이해 사이에서 나타나는 갈등구조가 바로 그것이었다. 이 때 갈등의 소지가 된 문화운동과 정치운동 사이의 긴장관계를 일체의 정치색을 배제한 人格修養이라는 논리로 끊어버린 李光洙의 「民族改造論」은 당시 일제의 민족분열정책으로 동요하던 기독교계 민족부르조아지의 입장을 대변하였다. 이에 대해 신간회운동기 趙炳玉, 朱耀翰의 修養同友會 改造運動과 안창호의 大公主義는 민족해방을 최우선의 과제로 부각시키고, 신자유주의 국가관을 수용하여 사회전체의 공익을 위한 ‘사회적 국가’의 개입을 정당화함으로써 시민사회의 사적 영역에 안주하려는 그같은 경향에 대응하려 한 경우였다. 이와 더불어 대공황기를 거치며 이승만 계열 일각에서는 申興雨와 그가 조직한 적극신앙단을 중심으로 파시즘을 수용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일제하 기독교 민족운동의 민족경제건설 노선은 평양과 서울을 양대 거점으로 하여 전개된 자본주의 경제운동과 농촌운동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먼저 曺晩植을 구심점으로 物産奬勵運動·企業設立運動·節制運動 등의 방면에 걸쳐 전개된 관서 기독교계의 자본주의 경제운동은 ‘庶民型’ 中小資本家의 이해를 대변하는 가운데, 국가권력과 구별되는 시민사회의 자율성 논리에 기초하여 생산·유통·소비에 걸친 自作自給과 內資蓄積을 통한 自立的 近代化를 추구하였다. 그리고 기호 기독교계의 實業敎育運動은 근면성 성실성 책임감과 독립자영의 능력을 갖춘 基督敎的 市民層, 自立的 中産層의 양성에 촛점을 맞추었다. 이 과정에서 이승만 계열의 인사들은 外資導入論을 제기하기도 하였다. 한편 기독교계의 농촌운동은 YMCA연합회 농촌부와 장로회총회 농촌부를 양대 축으로 하여 전개되었다. 먼저 신홍우를 비롯한 이승만 계열 인사들에 의해 주도된 YMCA 農村事業은 産業化를 통한 농촌 과잉인구의 도시 흡수, 아일랜드를 모델로 한 유상매상·유상분배의 農地改革, 덴마크를 모델로 한 協同組合의 조직을 농촌재건의 밑그림으로 하는 近代主義的 農村運動이었다. 다음으로 안창호·조만식 계열에 의해 주도된 長老會 農村運動은 농촌의 경제적 파산과 문화적 낙오, 도덕적 타락을 한데 아울러 농촌피폐의 원인으로 파악하고, 교회를 중심으로 모범농촌을 건설함으로써 그같은 문제들을 풀어 나가려 한 福音主義的 農村運動이었다. 이와같이 일제하 기독교 민족운동은 개인의 自我革新 곧 近代 市民意識의 형성을 운동의 출발점으로 삼아, 이를 中産層의 육성과 中小資本 중심의 資本主義 近代化, 협동조합 등을 통한 自立的 小農體制의 확립으로 연결시키고, 나아가 시민사회의 輿論政治 원리에 입각한 민족적 대동단결과 자주독립을 전망하였던 민족개량주의운동이었다. 그러한 면에서 기독교 민족운동의 정치경제사상은 新興 中間階級의 이해를 대변하는, 自由主義 원리에 기초한 市民社會論的 民族主義였다. 그런데 이 시기 기독교세력은 양반 대지주 출신과 소빈농·노동자계급의 중간에서 市民革命論·絶對獨立論이 아닌 漸進的 文明開化論·民族改良主義 노선을 선택하면서 대지주·자본가와 계급적인 연합을 하였다. 그리고 反唯物論的 사상의식과 自由主義的 市民社會論의 이론적 정합성을 기초로 해방후 남한 자본주의국가의 체제이념과 자유민주주의 논리를 확립하는 데 열성적으로 참여하였다. 일제하 기독교 민족운동이 해방후 분단체제의 형성과 관련하여 갖는 역사적 함의는 바로 여기에서 찾아질 수 있다. This thesis explores the christian nationalism on the basis of christian national movement in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through which we can systematically clarify the traditional ideas of modern nationalism of Korea. In the late Daehan Empire period, christian national movement, which was based on the Shinminhoe(New People's Society) and the Hwangseong(Seoul) YMCA, represented the politicalization and socialization of christian power. It prevailed into the independent middle class in Kwanseo(Northwest) area and into the reformist bureaucrats and the new educated class in Kiho(Central) area. In this period, the christian nationalists developed the new movement in religion and education, insisting on learning the modem citizenship & knowledge and on expanding the independent spirit through christianity. However, the forceful occupation and military rule of Japan made their early plans fruitless. Their plan was to establish a civilized nation and a modem capitalistic economic system in Korea. Meanwhile, a group of new younger students introduced the armed independence movement through the 105 In Sageon (Incident of 105 People). At the same time, it was tried to overcome the social-evolutionary authoritarianism theoretically, which resulted in acceptance of republicanism and humanism. The humanism and the principle of self-determination of peoples had become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While the principle of self-determination of peoples decayed and the idea of fostering real ability surged, the reorganization of christian national movement according to the policy of gradual improvement developed in the two top christian centers of Seoul and Pyongyang. In the process of this change, the christian nationalist camp along the line of gradual improvement formed, which included the groups following the lines of An Changho and Rhee Seungman respectively. After March lst Movement, christians anticipated the independence of Korea as a realization of justice and humanism and they raised diplomacy and fostering real ability as a strategy. In the middle of 1920s, there were two tendencies among christian nationalists in response to Anti-Religion Movement of socialists. They were christian socialism, which was based on the combination of christianity and socialism, and social gospel, which was based on the modernism. After the appearance of Shinganhoe(National United Front), a new christianism was introduced as a christian practical morality, which was raised through Jerusalem Meeting of the International Missionary Council, distinguishing itself from marxism. The christianism interacted with Anti-Religion Movement and developed into an ideological fighting against materialism. This event had become a case of settling down of the cold war mentality in christian society. Another logic of christian national movement was characterized by the gradual progressivism, which panned to take the steps of religion, education, industry, and politics successively. All the christian groups set the movement of religion and culture as a base of all kinds of social movements. With this idea, they were willing to establish the base of the self-independence of Korea by fostering real ability in education and economy and by making a national union in political aspects. In this situation, their new model of independent state was based on liberalism, which regarded a nation as a union of people and gave priority to the civil society over nation. However, under the situation of Japanese colonial rule, it was impossible to protect the self-autonomy of civil society and as a result liberalism could not take root. It was the conflict structure between the principle of uncompromization with Japanese imperialism and the interest of civil society. In this social situation, Lee Kwangsu introduced his idea of remodelling a national movement, which represented for the position of christian national bourgeoisie. His opinion is that the tension between cultural movement and political movement can be solved by the cultivation of personality without political color. Against this ideological tendency, Suyang Dongwoohoe(Mental Training Society) Reforming Movement under the leadership of Chu Yohan and Cho Byongok and Daegongism of An Changho were raised, which were based on the new liberalism. They hilighted national liberation as a primary task, and justified the government intervention in social affairs for the public interest. Meanwhile, along the line of Rhee Seungman, the movement of accepting fascism appeared centering around the Jeokkeuk Shinangdan(Positive Faith Team) under the leadership of Cynn Heungwoo. We can examine the ideas of national economic construction through capitalistic economic movement and rural movement, which centered in two central cities, Seoul and Pyongyang. Economic movement of Kwanseo(Northwest) area christians spoke for the small and medium capitalists, was based on the self-regulation of civil society distinguished from the government power, and pursued the independent industrialization through the self-sufficiency and the national capital accumulation. In addition, the vocational training movement of Kiho(Central) area christians focused on fostering christian civil class and independent middle class, who was qualified on diligence, sincerity, and spirit of independence. In this process, people following the line of Rhee Seungman suggested the introduction of foreign capital. The rural movement of christians expanded centering around the YMCA and the Presbyterian Church. First, the rural work of YMCA, which was led by the people in line of Rhee Seungman, was rural reconstruction movement based on the westernization theory. The idea centered on the creation of cooperatives following the model of Denmark, agricultural reforms based on the model of Ireland, and absorption of surplus agricultural population into cities through industrialization. Second, the rural movement of Presbyterian Church, which was led by the people in line of An Changho and Cho Mansik, was a movement based on the christianism. They recognized the causes of the rural problems as economic bankruptcy, cultural degradation, and moral depravity. And they were willing to build the model rural community centering around the church. Christian national movement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started as a policy gradual improvement, stressing the importance of personal self-reformation or creation of modem citizenship. It also pursued industrialization centering around small and medium enterprise, and around rural reconstruction based on independent small-farm system such as cooperative. It anticipated national union and liberation, too, which was based on the principle of pubic opinion of civil society. In this respect, the political-economic ideas of christian national movement was a nationalism of civil society which was based on the principle of liberalism and tried to protect the interest of a new middle class. In this period, the groups of christian nationalists tried to associate with the landlords and the capitalists, not tenants and laborers. And it was supported by the political line of gradual progressivism, not of the civil revolution and an absolute liberation. After the Korean Liberation, they participated in establishing the ideas of capitalism and the principle of liberal democracy in South Korea. It is in this point that we can relate the historical implications of the christian national movement with the division of Korean Peninsula.

      • 日帝下 社會主義思想의 受容에 關한 硏究

        박종린 연세대학교 2007 국내박사

        RANK : 233258

        본고는 1910년대 중반부터 1920년대 중반까지의 시기를 대상으로 日本을 통해 受容된 社會主義思想의 내용과 특징을 검토하여, 南北分斷體制에서 社會主義體制의 起源과 形成의 문제를 思想史的으로 해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검토를 통해 이 시기 社會主義思想의 受容은 그 특징과 관련하여 세 개의 단계로 구분됨을 밝혔다.첫 번째 단계는 다양한 社會主義思想이 受容되는 가운데 民族解放運動과 관련하여 맑스주의가 급격히 주류적인 위치로 자리하는 단계이다.1916년 봄 金洙, 張德洙 등은 植民地와 半植民地의 弱小民族 출신 유학생들과 함께 新亞同盟黨을 조직하였다. 反帝民族解放運動 단체였던 新亞同盟黨 내부에는 자신들의 이념적 정체성을 社會主義者로 규정한 이들이 있었다. 바로 金洙와 張德洙 등 이른바 ‘金洙그룹’이다.金洙그룹의 社會主義思想 受容에는 일본의 대표적인 明治社會主義者인 幸德秋水의 저작에 대한 ‘讀書’와 ‘硏究’가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金洙그룹이 幸德秋水의 社會主義神髓를 통해 受容했던 社會主義思想은 내용상 다양한 社會主義思想이 錯綜된 상태의 것으로, ‘社會革命’보다는 ‘社會改良’을 선호하는 사상이었다. 그러나 이들은 자신들을 社會主義者로 규정하였고, 그 이면에는 資本主義社會와 勞動問題에 대한 초보적인 비판이 자리하고 있었다. 바로 이 점이 金洙그룹이 1910년대 중반 日本에서 受容했던 社會主義思想의 특징이다.1920년대 초반 맑스主義는 ‘運動’과 ‘思想’의 두 측면에서 朝鮮 社會主義의 현실적 주류로 등장하였다. 社會主義運動의 급속한 양적 팽창을 이론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朝鮮의 社會主義者들은 맑스주의 관련 논저들을 적극적으로 연구하고 소개하였다. 특히 맑스주의 원전에 대한 번역이 시도되었는데 그 가운데 가장 먼저 번역되어 공개적인 출판물의 형태로 발행된 것이 政治經濟學批判을 爲하여 序文의 ‘唯物史觀要領記’이다.‘唯物史觀要領記’는 1921년 3월과 4월 尹滋瑛과 申伯雨에 의해 번역되었는데, 모두 堺利彦의 번역문을 저본으로 한 重譯이다. 맑스주의 원전 가운데 이 시기 ‘唯物史觀要領記’만이 여러 차례 번역되어 여러 매체에 집중적으로 소개되었다. 그것은 朝鮮의 社會主義者들이 ‘唯物史觀要領記’를 통해 역사는 발전하는 것이며, 그 진행은 資本主義가 극복되고 社會主義가 필연적으로 도래하는 것으로 인식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연장선에서 당대 朝鮮은 日本帝國主義에 의해 지배되는 資本主義社會이며, 帝國主義 日本도 필연적으로 붕괴될 수밖에 없다고 인식하였다.두 번째 단계는 다양한 社會主義思想이 급속히 맑스주의로 專一化되면서 國內 上海派와 이에 대항한 다른 共産主義 그룹들 사이에 맑스주의 인식의 편차를 둘러싸고 계속적인 논쟁이 전개되는 단계이다.1922년 전개된 ‘金允植社會葬’을 둘러싼 共産主義 그룹들 사이의 대립은 張德洙를 중심으로 하는 國內 上海派의 문화계몽운동론에 다른 共産主義 그룹이 聯合戰線을 통해 대항한 것이었다. 그리고 1921년 말 統一戰線의 대상을 둘러 싼 의견 차이로 國內 上海派 내부에서 金明植을 중심으로 한 일군의 社會主義者들이 조직적인 분리를 감행하여 ‘新生活社그룹’을 형성하였다.新生活社그룹은 社會主義의 다양한 諸潮流 가운데 맑스주의가 ‘正派’임을 공개적으로 천명하였다. 이는 植民地 朝鮮에 受容된 社會主義思想이 급격하게 맑스주의로 專一化되어 가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 주는 것이었다. 맑스주의 가운데 新生活社그룹이 가장 커다란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소개한 것은 ‘階級鬪爭’과 관련된 내용들이었다. 특히 階級鬪爭과 ‘人間의 能動性’을 강조하였다.맑스와 함께 아나키스트인 크로포트킨과 청년헤겔파의 일원이었던 막스 슈티르너도 적극적으로 소개되었다. 이들의 소개가 불합리하고 권위주의적인 현존 資本主義體制에 대한 근본적인 비판의 기제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막스 슈티르너의 소개는 맑스주의를 ‘正派’로 주장했지만 맑스주의가 체계화된 상태라기보다는 ‘主流的 傾向性’으로 존재했던 것임을 보여준다. 바로 이러한 경향성의 존재가 이 시기 한국의 맑스주의와 맑스주의자들의 성격을 규정하는 하나의 특징이다.物産勵論爭에 참여한 社會主義者들은 당대 朝鮮이 資本主義的으로 미발달된 상태에 있고, 朝鮮에서 資本主義를 지양하고 社會主義를 지향해야 한다는 점에 대해 모두 인식을 같이하고 있었다. 그러나 社會主義를 실현하기 위한 方法論에 대해서는 인식의 차이를 노정하였다.國內 上海派는 社會主義革命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일정한 수준의 生産力이 전제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資本主義의 발달이 미약한 朝鮮에서 社會主義를 실현하기 위해 階級鬪爭에 주력하는 것은 시기상조이며, 무엇보다 生産力을 增키는 운동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 이에 비해 ‘新生活社그룹’으로 대표되는 物産勵運動에 반대한 共産主義 그룹들은 당대 朝鮮에서 社會主義革命의 가능성을 열어 두고 階級鬪爭과 先進分子들의 조직화를 통해 이를 지향하려 하였다.이러한 차이는 맑스주의 자체가 ‘決定論’과 ‘能動性’이라는 두 가지 상반된 이해 가능성을 동시에 내포하고 있었고, 이들이 수용한 맑스주의에 대한 인식 방식과 현실에 대한 적용 방식에도 차이가 존재하고 있음을 보여 주는 것이었다.1923년 9월 京城에서 조직된 民衆社는 新生活社그룹을 중심으로 物産勵運動에 반대했던 경험을 가진 신진 社會主義者들이 조직적으로 결집된 조직이었다. 民衆社는 賃金·勞及資本과 價値·價格及利潤 등 맑스주의 원전 번역을 통해 資本主義 사회에 대한 단순한 비판에서 벗어나 資本主義體制의 메커니즘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堺利彦의 社會主義學說大要를 번역하여 ‘階級鬪爭’을 통한 社會主義로의 必然的 이행의 당위성을 강조하였다. 物産勵論爭에서 맑스주의 혁명론 논의의 연장선에 위치하는 이러한 문제의식은 1924년 이후 共産主義 그룹들의 前衛黨 ‘組織’을 위한 활동과 그 논의 과정에 맞물린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있는 것이었다.세 번째 단계는 맑스주의 인식이 심화되면서 레닌주의를 受容하는 단계이다. 一月會는 1925년 1월 조직된 후 분열된 社會主義運動의 統一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民族解放運動은 경제적 싸움이자 정치적 싸움인 동시에 사상적 싸움이라는 理論鬪爭에 대한 인식 아래 이를 실천하기 위한 방편으로 思想運動󰡕을 발행하였다. 日帝의 탄압으로 一月會는 1926년 1월 思想運動의 편집방침을 변경하였다. 이후 思想運動을 통해 전개하던 ‘과학적 이론의 소개’는 勸讀社가 담당하였다. 勸讀社는 1927년까지 모두 9종의 팜플렛이 간행하였다. 勸讀社 팜플렛은 번역서 중심이었는데, 내용은 크게 맑스주의적 분석 틀로 資本主義의 메커니즘을 분석한 책들과 맑스주의 원전에 대한 번역물로 구성되었다.1926년 레닌의 칼 맑스를 번역한 맑스와맑스主義와 엥겔스의 유토피아에서 科學으로의 社會主義의 發展을 번역한 科學的社會主義가 출간되었다. 두 책은 맑스와 엥겔스, 레닌을 통해 맑스주의의 체계를 고찰하려는 시도라는 점에서 社會主義思想 受容史에서 주목되는 저작들이다. 또한 一月會그룹은 레닌주의를 帝國主義時代의 맑스주의이자, 맑스의 學說과 방법으로 이론적 실천적 문제를 해결하여 맑스주의를 더욱 풍부하게 한 ‘진정한 맑스주의’로 인식하였다.1926년 조직된 社會科學硏究社는 창립과 함께 사상에 대한 연구와 출판, 그리고 강연 등을 자신들의 주요 활동 목표로 천명하였다. 社會科學硏究社의 저작 및 번역은 ‘社會科學硏究社 팜플렛’이라는 이름으로 간행되었다. 이들 팜플렛의 가장 큰 특징은 堺利彦과 山川均 등 일본 社會主義者들의 저작에 대한 번역서가 압도적이라는 점이다. 이는 社會主義思想의 受容 과정에서 앞선 日本의 연구나 번역을 참고하고 다시 ‘重譯’할 수밖에 없었던 植民地 朝鮮의 상황에 기인한 것으로, 바로 이런 점이 社會主義思想 受容에 있어 朝鮮的 特質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社會科學硏究社 팜플렛 가운데 가장 이채롭고 맑스주의에 대한 인식을 잘 보여 주는 것은 레닌의 칼 맑스를 번역하여 1926년 출판한 맑스評傳과 1927년 朴衡秉의 집필로 출간된 社會進化論이다. 특히 후자는 저자의 맑스주의, 특히 唯物史觀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經濟史와 人類生活의 發展段階를 검토하여 社會進化의 필연적 법칙을 論하고 있다. 資本主義社會의 필연적 붕괴와 社會主義社會의 필연적 도래에 대한 강조가 바로 朴衡秉이 社會進化論을 통해 社會進化의 發展法則을 발견하고 설명하려던 궁극적인 목적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