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近代期 畵家의 住居建築 文化財의 保存과 活用에 관한 硏究

        홍대화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4367

        문화의 개념이 변화함에 따라 문화재와 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의 방법뿐만 아니라 그 범위까지 확대 또는 변화되고 있다. 특히 현재 우리 사회는 어느 때보다도 강한 문화와 경제의 대립 구도가 형성되어 있다고 볼 수 있고, 이로 인해서 문화유산의 가치를 판단하고 보존과 활용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는 지표가 필요한 실정이다. 근래에 서울시청사의 신청사 신축과 관련된 화제는 그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용인 장욱진 가옥의 등록문화재로의 등록 추진과정에서 야기된 소유자와 인근 지역 주민간의 갈등을 지켜보면서 시작되었다. 이 갈등의 주요 원인은 문화재 등록으로 인한 개발억제에 의한 경제적 손실을 우려한 주민들의 등록 반대 때문이었다. 이러한 갈등은 문화유산에 대한 우리사회의 전반적인 인식이 경제개발보다 하위의 위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문화와 문화재에 대한 의미를 재고찰하고 변화하는 문화 인식에 따라 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의 범위와 방법 등을 다시 한 번 뒤돌아 볼 필요가 있다. 연구 대상은 장욱진을 비롯해 우리나라 근대시기에 활동하였고, 우리의 전통성과 민족성에 대한 고심이 작품 속에 드러난 작가들의 가옥으로 선정하였다. 이들 가옥은 근대기 화가들이 작품 활동을 함에 있어서 그 주요한 기반이 되었던 곳들이다. 특히 용인 장욱진 가옥의 경우는 장욱진의 작품으로서의 가치 또한 지니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연구 대상 문화유산 중 건축물에 한정하여 연구하였는데, 기존의 문화재 지정·등록기준을 기반으로 하여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각각의 작가들의 활동배경과 사상·작풍 등을 고려하여 건축물에 국한된 가치보다는 그 속에 내포하고 있는 가치까지 고려한 보존과 활용의 개략적인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 대상으로는 등록문화재 제84호 원서동 고희동 가옥, 제171호 이상범 가옥 및 화실, 양구 박수근 미술관, 서귀포 이중섭 거주지 및 미술관, 등록문화재 제404호 용인 장욱진 가옥을 선정하였고, 이들의 보존과 활용 방안으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사회의 변화와 문화의 개념 변화에 따른 문화유산의 보존·활용방안이 필요하다. 둘째, 보존·활용을 위해 건축물에 국한된 가치판단은 불합리한 보존과 활용의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각각의 문화유산이 내포하고 있는 전반적인 것을 고려한 후에 합리적인 보존·활용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셋째, 원서동 고희동 가옥, 이상범 가옥 및 화실의 경우 비록 등록문화재임에도 불구하고 거의 방치·훼손되고 있는 실정이다. 반면에 양구 박수근 미술관, 서귀포 이중섭 거주지 및 미술관, 용인 장욱진 가옥의 경우, 지자체와 소유자의 활용 의지로 인해 매우 활발히 활용되고 있고, 그에 따라 박수근, 이중섭, 장욱진의 가치와 더불어 그 장소 또한 가치를 더하고 있다. 좁게는 문화유산에 대한 적절한 행정적 지원부터 크게는 소유·관리자의 보존·활용 의지, 문화와 문화유산에 인식이 고취된다면 우리의 많은 문화유산들이 그 진가를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According to changes of the concept of culture, not only methods of conservation and rehabilitation of cultural properties and cultural heritage but also its scope are expanding or changing. In particular, the current society of ours has formation of strong confrontational structure between culture and economy than any other time and because of this, it is the reality that we need an index to judge values of cultural heritage and to determine direction of conservation and rehabilitation. Recent topics of new construction of Seoul city hall can be its typical example. This thesis was started while conflicts generated between owner and neighboring residents in the process of implementation of registration of the house of Chang, Uc-chin in Yongin as a cultural properties were observed. Main cause of this conflict was objection of registration by residents who worried about economic losses due to suppression of development by the registration as cultural properties. The reason of this conflict is due to the fact that overall recognition of our society about cultural heritage is at lower level than economic develop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again the meaning of culture and cultural properties and to look back at the scope and the methods of conservation and rehabilitation of cultural heritages according to changing recognition about culture. As objects of the study, houses of authors including Chang, Uc-chin, who have worked during the period of modernization of Korea and concerns for our traditions and national characters were expressed and described in their works, were selected. These houses had been main foundation for artists during the modern period to work on their arts pieces. In particular, in case of the house of Chang, Uc-chin in Yongin, it also has value as art works of Chang, Uc-chin. In this thesis, among objective cultural heritages of the study, it was researched only limited to architectures and based on existing standard of designation and registration of cultural properties, actual status was analyzed. And in consideration of background of activities, ideologies, and style of their arts works of each author, rough plans of conservation and rehabilitation are suggested in consideration of even values contained within rather than values limited only to architectures. As objects of the study,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No. 84 of Go, Hee-dong house in Wonseo-Dong, No.171 Lee, Sang-Beom house and atelier, Park, Su-keun museum in Yanggu, Lee, Jung-Seob residence and museum in Seoguipo,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No.404 Chang, Uc-chin house in Yongin were selected and as plans for conservation and rehabilitation,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we need the plans of conservation and rehabilitation of cultural heritage according to changes of the society and changes of concept of culture. Second, judgement of value only limited to architecture can induce problems of irrational conservation and rehabilitation. We must explore plans for reasonable conservation and rehabilitation after considering overall values each cultural heritage contains. Third, in case of Go, Hee-dong house in Wonseo-Dong, Lee, Sang-Beom house and atelier, despite they are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it is a reality that they are almost neglected and are being damaged. On the contrary, in case of Park, Su-keun museum in Yanggu, Lee, Jung-Seob residence and museum in Seoguipo, and Chang, Uc-chin house in Yongin, they are very actively utilized due to intention of rehabilitation by local autonomous organizations and owners and consequently, together with values of Park, Su-keun, Lee, Jung-Seob, and Chang, Uc-chin, those places also add values. Ranging from proper administrative supports for cultural heritages in microcosm to intention of conservation and rehabilitation by owners & managers and our recognition about culture and cultural heritage are augmented in a great deal, lots of cultural heritages in Korea will be able to demonstrate their true values.

      • 근대문화유산의 보존활용방안 - 대전 소제동 철도관사촌을 중심으로 -

        이동훈 동국대학교 2024 국내박사

        RANK : 234367

        대전의 중심시가지(이하 원도심으로 기술함)는 1905년 경부선 철도의 개설로 대전역을 중심으로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근대도시를 태동시킨 경부선 철도를 따라 남북방향으로 도시가 형성되었던 대전에 철도원들이 거주할 철도관사촌이 들어서게 되었고, 그 중심으로 원도심이 발전하게 되면서 대전의 중심축으로 형성되었다. 그 후 거주민들이 살기에 맞는 방향으로 인테리어를 통해 변하게 되면서 근대문화를 이루던 관사촌은 멸실하거나 변화를 격게 되면서 얼마 남지 않은 건축물이 남아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대전 원도심의 한 축으로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소제동 철도관사촌의 보존과 활용을 위해 현장을 조사하고 거주민들과 방문객, 상인들의 1차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방문객들에게 2차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소제동을 어떻게 보존하고 활용할지를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접인자의 측면에서는 역사문화에 대한 심도 깊은 조사와 공간적 특성을 활용한 콘텐츠 추진 그리고 지역주민들의 역량강화활동이 진행되었을 때 보다 발전된 역사문화 보전을 위한 공공사업으로 발전되거나 민간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둘째, 간접인자의 측면에서는 역사문화에 애정을 갖춘 사람들의 참여나 로컬기업들의 참여가 결국 사업 종료 뒤에도 지속적인 역사문화의 보전을 담보하고 있으며, 반대로 외부단체와의 협력을 기피하고 역사문화를 사유화하였을 시에는 경쟁력이 감소하는 등 역사문화의 가치를 오히려 하락시킬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셋째, 사업별 측면에서 바라보면 ‘아미・초장 도시재생 프로젝트’의 경우 역사문화의 자산이 아카이빙과 역사문화자산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통해 소제동은 세계유산 프로젝트로 발전될 수 있었으며, 협소한 공간을 역으로 이용하는 발상을 통해 산복도로 일원의 역사문화자산 활용의 선례가 되고 있다. 대전 소제동이 문화중심의 효과를 가지기 위해, 그 파급효과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커뮤니티가 입지한 공간의 성격에 의해 그 효과가 달라지는데, 공간의 선택과 시설물의 배치, 거점 공간의 확보 등 이전 대상과 보존방안, 활용을 위한 커뮤니티 공간을 활용하는 데에 있어서 지역 기반 문화예술 커뮤니티는 물론이며, 예술가 작업과 전시 공간 등은 가능한 시민이나 방문객이 언제라도 찾아가서 배우고, 경험할 수 있는 참여형 ‘거점공간’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지역에서 상징성과 보존가치가 높은공간들은 매입하거나 이전하여 거점 공간으로 활용하고, 지역 기반 문화예술 커뮤니티가 형성이 가능한 주요 공간의 활용이 카페, 서점, 공방,갤러리 등과 같은 친밀도가 높은 기능에 업종을 중심으로 전면에 배치하여 가시성을 높임으로써 많은 사람들의 주목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이는 그동안 원도심의 발전과정에서 배척된 주변지역으로 파급효과가 예상되며, 나아가 대전 원도심이 역사와 문화중심의 근대문화유산에 있어서 중요한 거점 공간으로 발전 가능성이 클 것으로 사료된다.

      • 近代建築文化遺産의 保存과 活用에 관한 硏究 : 文化財 指定 近代建築物을 中心으로

        金東植 淸州大學校 2001 국내박사

        RANK : 234351

        This study is based on Modern Architecture as Cultural Heritages are designated by government in Korea. The study had been progressed to learn the reason why they had become the cultural heritages and how to be altered and used lately. Moreover, this study had also researched their values in terms of the history, characteristics, management, and the ownership. Accordingly, the result has derived form the research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materials for the followings. 1. The process with the approval of th Modern Architecture This study focusing on 106 of Modern Architecture as Cultural Heritages had investigated what the reason why the modern architecture had become a heritages is, and what the present condition is. The Modern Architecture as Cultural Heritages had been classified into Historic Sites(30) by Government. Tangible Cultural Property(23) and Monument(42) is approved by cities of states(65), and the Cultural Property Materials(11). These had been approved with the criterion based on the values of the history, study, art, and technique. Futhermore. The reason why they had become a Cultural Property divided into both the commemoration of the event, place or celebrity of the history(33.00%) and the merit of the architectural history·style(67.00%). 2. The condition of the conservation, reuse, and management of the modern architecture. 1) The management of the modern architecture. The study had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condition of modern architecture with the conservation, reuse, and ownership. The condition of the modern architecture has managed with the lists and reports of the alteration. However, in most of the cases, the condition nevertheless has been in trouble due to the structure materials such as wood and brick. The ownership has been divided into Government and local public bodies(25.47%), social groups(50.00%), individuals(23.58%), and the others(0.94%). Therefore, it could be required to instituting the pertinent policies for managing the modern architecture properly in terms of the portion of the social groups and individuals. In th interview about the reuse of the modern architecture. Many(84.00%) possessing those do not want to alter the use of the existing but they also have a grievance about the profit of the tax, especially, in case of individuals. 2) The conserving method and the condition In the Cultural Protection Law, actually, it is the fundamental not to alter the original form. Nevertheless, since the approval of the old KOREA FIRST BANK. interior alteration and extension have become gradually allowed. In most of the cases, the exterior has been just conserve, and its conservation has enforced as a law with the register. In addition, the places where the celebrity was born have been restored. 3. The condition of the reuse The modern architecture have been gradually open to public as Government or local public bodies have possessed proprietaries of those. In terms of the reuse of it, whereas most of churches and schools. have usually been conserved the existing use, houses, some of schools, public offices, and commercial offices have been altered for other purposes such as a museum, a gallery, a memorial hall, and offices, etc. In addition, as those have provided the public with various events, the reuse of modern architecture has become augmented. Moreover, in some of the cases, it could be observed that the area based on the modern architecture has been flourished. 3. The method of the conservation 1) Revision of the criteria of the approval and register Indeed, it is needed for preserving modern architecture to make pertinent criteria such as the law for tradition architecture in Korea because there are still a lot of modern architecture needed to conserving as a heritages, and also some modern architecture already approved have still been in trouble. The criteria should include not only the structure of the conservation of the cultural heritages such as brick but also the criteria of the style such as Western style or the mixed style in Western and Orient. Besides, it should be accepted with various modern architecture, containing the life of Modern age in such medical facilities, welfare facilities, transportation, inn, teahouses, industries, and even the part of civil engineering. These stipulations should be elucidated in the criteria of the approval and register. 2) The method for ameliorating modern architecture in management When the modern architecture were repaired, the entire operation should be reported with a record and be built with an integrated system. As listed with the precedents, the system can prevent the errors in the management of heritages. Besides, to prevent the modification by owners, the stipulations should be presented as the document and drawings with the detail of conservation in the approval and register, even for the triviality. 3) The nurture of the expert in conservation and repair Experts should be nurtured for managing heritages in terms of the conservation and repair. Particularly, in cases of modern architecture in Western style, the repair of the it should be performed by experts authorizing in the part. Moreover, officials in charge of heritages should be educated properly to manage the modern architecture. 4. The method of the reuse 1) The continuous reuse and exclusive use In case of using the heritages with conserving either the original form or exterior, it is needed for supporting the structure and facilities within the scope of maintaining modern architecture. In case of application for various purposes, it should be considered with the function because the erroneous application can spoil modern architecture. Within the scope that do not damage the modern architecture, it should be considered with the introduction of convenient facilities and solution of the cooling and heating system for the public as well. 2) The reuse as a center of historic education place and activity It could be the best way to use the heritages in public not for a group or individual. For that reason, it should be considered with using the heritages as a center of the historic education and activity of the society such as museum. In terms of the detail to alter the modern architecture to a museum. first, it should be needed for the excavation of the historic materials, the introduction of the media, and the information easily understandable to the public. Moreover, it should be also required to developing various events and obtaining ample funds for the conservation. Second, in case of small scale, it can be considered with the network system between analogous categories or near areas. Government and the local bodies should try to support the funds for repair and management as well. 3) The extension of the method of the conservation and reuse As the main pivot of the conservation has become a private business or a nonprofit organization as like The National Trust of Korea. the participation of individuals could be enhanced and the sympathy in the public be formed better. In detail, as making the precedence of heritages within the scope of the conservation, Government may curtail the budget and owners may enhance the application as well. In addition, it could be possible to make the social groups participate the movement of conservation so that the reuse of heritages could be developed more.

      • 전라북도 가야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

        채석진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4319

        This study verified the historic nature and value of Jeollabuk-do’s Gaya Cultural Heritage, identified through surveys and research that actively took place from 2017. The study proposed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plans for the Gaya Cultural Heritage in Jeollabuk-do. Active research on Gaya culture has taken place primarily in the Namwon and Jangsu regions of Jeollabuk-do, but no studies have combined these. As such, this study intended to determine the comprehensive distribution and status of Gaya Cultural Heritage in Jeollabuk-do; conduct a review of the restoration, maintenance, and utilization plans previously implemented for Gaya Cultural Heritage; and, after establishing the concept of cultural heritage that has had mixed use in the past, propose a restoration, maintenance, and utilization plan for the cultural heritage from Jeollabuk-do. Consisting of a literature review, field study, and comparative analysis, this study examined past research on Jeollabuk-do’s Gaya Cultural Heritage and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the Yeongnam region, analyzed the primary relics identified within Jeollabuk-do, and conducted a strengths-and-weaknesses analysis through a comprehensive comparison in various dimensions focusing on past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cases in Gyeongnam’s Gimhye-si, Haman-gun, and Gyeongbuk’s Goryeong-gun, which are representative regions of Gaya Cultural Heritage.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First, studies on Jeollabuk-do’s Gaya Cultural Heritage have examined th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aspects, focusing on the representative areas of Namwon and Jangsu. The present study verified the absence of research that combined the entirety of Jeollabuk-do’s Gaya Cultural Heritage. This study also verified that although the necessity of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in the Honam and Yeongnam regions have been presented, the objectives of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have been fundamentally lacking. Second, the mixed use of cultural assets and cultural heritage has caused confusion in the existing literature. As such, this study examined the definitions of cultural assets and cultural heritage within the existing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and verified that the concept of cultural heritage, more so than that of cultural asset, corresponded to proposing meaning and a direction for th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Jeollabuk-do’s cultural heritage in the future. Third, through the above two research results, this study verified the status of Jeollabuk-do’s Gaya Cultural Heritage and issues in the preservation measures. This study proposed the establishment of realistic preservation plans and maintenance of surrounding areas that is not simply a restoration of the original forms of cultural heritage. It also proposed effective protection and preservation through legislation that corresponds with the Jeollabuk-do region, and the formation and expansion of dedicated organizations. Furthermore, the study proposed the voluntary preservation of Gaya Cultural Heritage by residents through improving cultural heritage awareness and consensus building. This study presented a proposal for the utilization of Jeollabuk-do’s Gaya Cultural Heritage. In addition to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through the legislation of utilization, this study proposed reinforcing policy application by establishing the scope and system of utilization, identifying a new approach to cultural heritage through a revitalization of utilization projects, breaking down barriers of cultural heritage through diversified publicity, fostering new perspective, creating historically themed tourist attractions and operating programs that revive distinct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returning to the local community through a bonding with festivals. The present study proposed a new method of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planning for Jeollabuk-do’s Gaya Cultural Heritage based on issues that were identified in existing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policies through a comparison with the Yeongnam region.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proposed areas of additional supplementation in projects being operated under existing statutes and systems.

      • 근대 유화 배운성 '줄다리기'의 과학적 분석과 문화유산적 활용 방안

        장나미 공주대학교 문화유산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4303

        현재 서양의 유화가 우리나라에 도입된 지 한 세기가 지나면서 초기 작품들의 노화 및 열화가 진행되고 있다. 근대 유화는 민족의 정체성을 대변하는 시대적 산물로서, 최대한 원형을 보존하면서 후대에 물려주어 할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2012년부터 미술사적으로 중요한 근대회화는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관리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 유화는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과학적 분석 연구는 대단히 중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1930년대 유화작품 배운성 '줄다리기'를 대상으로 한국 근대 유화의 보존적 가치를 검토하고, 유화의 보존상태와 입체 특성을 파악하고자 비파괴 검사 및 3차원 스캐닝 기반 디지털 영상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문화유산적 활용방안에 대해 모색하였다. A century has passed since western oil paintings were introduced to Korea, and the deterioration of the early works are progressing. Modern oil painting implies us to understand a product of that period that represents the national identity, and has a value as a cultural heritage that pass down to the future generations with preserving the original form as much as possible. Since 2012, modern paintings, which are important in art history, have been designated and managed as registered cultural heritage, and among them, oil paintings occupy a large proportion, so scientific analysis and research are greatly important. Therefore, in this study, non-destructive testing and three-dimensional (3D) scanning-based digital image analysis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conservation value of Korean modern oil paintings, and to understand the conditions of oil paintings, and sought ways to utilize cultural heritage.

      • 금융지원 관점에서 분석한 근대시기 역사문화자원의 활용과 보존 : 최소아과의원과 행화탕 중심으로

        이지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168799

        본 연구는 근대시기 역사문화자원을 바라보는 전문가의 관점과 실제 소유자의 관점이 다르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근대시기 역사문화자원이 가지고 있는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인식하고 있는 전문가 관점은 일반 부동산의 가치로 인식하는 소유자의 관점과 충돌하는 경우가 생긴다. 이런 충돌의 결과는 대부분 근대시기 역사문화자원의 멸실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소유자가 자발적으로 보존을 하도록 유도하고 설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근대시기 역사문화자원을 소유자의 관점에서 바라봄으로써 멸실 하지 않고 보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한다. 먼저 전문가들이 보는 근대시기 역사문화자원의 가치와 보존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했다. 이를 통해 문화재로 지정되지 않았지만 보존이 필요하다는 점과 본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하고자 했다. 이어 근대시기 역사문화자원을 대상으로 재무성분석을 진행했다. 북촌의 최소아과의원과 아현동의 행화탕의 신축, 활용, 보존이라는 세 가지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활용이나 보존을 할 경우 적용되는 공공의 금융지원을 알아보고 지역의 상황에 따라 어떤 영향을 주는지 분석했다. 마지막으로 근대시기 역사문화자원에 대한 공공의 금융지원이 효율적으로 진행되기 위한 적용방안을 제시했다. 세 가지 방향으로 진행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근대시기 역사문화자원에 대한 전문가의 인식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대부분 근대시기의 처음을 개항기로 보고 있으나 끝시기는 전문가별로 다른 의견을 보여주고 있다. 근대의 범위에 대한 서로 다른 인식은 그 시기의 역사문화자원의 가치와 보존 필요성에 대한 명확한 인식이 성립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등록문화재 지정여부가 건축물 자체의 가치뿐만 아니라 소유자나 공공기관의 의지, 관리예산 등과 같은 외부 행정적 요소에 의해서도 결정된다고 인식하고 있다. 이것은 근대시기 역사문화자원의 보존 필요성이 등록문화재의 지정기준과 별개로 인식되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전문가들은 또한 지역의 정체성과 특성을 살리기 위해서 근대시기 역사문화자원에 대한 보존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로, 재무성분석 결과 금융지원은 지역의 용적률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촌의 최소아과의원의 경우 역사문화자원을 보존하기 위한 역사문화미관지구 안에 있어 용적률 규제를 받고 있다. 그대로 남기고 활용을 할 경우 부수고 신축을 할 때 보다 사업성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신축의 경우가 수입이 더 많지만 활용의 경우 역사문화자원에 대한 금융지원의 효과가 커서 실제 수익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아현동의 행화탕은 도시환경정비사업 구역으로 높은 용적률이 적용된 지역으로, 신축이 활용을 했을 때보다 더 높은 사업성을 보이며 활용에 대한 금융지원의 효과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로, 지역별 특성에 따라 금융지원의 영향이 다르게 나타났다는 점에서 지역별로 특화된 금융지원을 할 필요가 있다. 역사문화자원의 보존을 목적으로 하는 지역과 같이 낮은 용적률이 적용되는 지역의 경우 한옥이나 우수건축자산에 적용하는 금융지원을 통해 사업성을 높이는 방안이 필요하다. 그러나 정비사업 대상지역의 경우 높은 용적률이 적용되기 때문에 기존의 금융지원으로는 한계가 있다. 금융지원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금융지원의 내용 확대, 세액공제(Tax Credit)와 같은 새로운 금융지원 적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등록문화재가 아닌 근대시기 역사문화자원을 대상으로 하여 가치를 발굴하고 활용의 가능성을 모색했다. 근대시기 역사문화자원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통해 보존의 가능성을 연구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를 통해 소유자가 자발적으로 보존이라는 선택을 하도록 하기 위한 공공의 지원제도를 살펴보고 지역의 상황 별로 다르게 적용되는 금융지원 제도를 제안했다. 이를 기반으로 소유자가 바라보는 부동산 가치 측면에서 공공의 금융지원 제도를 활용하고, 신축보다 활용이나 보존을 하도록 소유자를 설득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사용할 것으로 기대한다.

      • 문화적 정체성 확립을 위한 문화유산 보존·복원 프로젝트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중학교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황세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152431

        본 논문은 중학교 미술을 중심으로 ‘문화적 정체성 확립을 위한 문화유산 보존·복원 프로젝트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연구 목적을 두었다. 개발한 프 로그램은 학습자에게 문화적 정체성을 확립하고, 문화재 애호심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여 문화재를 삶 속에서 향유할 수 있도록 한다. 문화유산을 활용한 교육은 민족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기를 수 있는 민족적, 국가적 차원의 교육을 바탕으로 한다. 또한, 문화유산은 교과서의 평면적인 내 용적 한계성을 극복하고 학생들에게 생동감 있는 학습의 장을 제공하는 유용 한 매체로, 학생들은 문화유산을 직접 관찰하고 조사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문 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동적 탐구자가 되어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키울 수 있다. 따라서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복원하는 활동은 미술교육의 소재로 활용 됨에 있어 그 가치와 의의가 크다. 이에 본 연구는 문화유산을 보존·복원하는 과정에서 우리 민족의 전통과 문 화를 계승·보존·발전시켜 나가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깨닫고, 사회·문화적 맥 락에 따른 미술사적 가치를 발견하도록 한다. 더 나아가 문화적 산물을 이해 하는 것을 넘어, 올바른 문화적 정체성을 바탕으로 우리 문화를 창조해 낼 수 있는 창의적인 인재로 성장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제2장에서는 문화유산의 보존·복원에 대해 이해하고, 문화적 정 체성 확립을 위한 문화유산 보존·복원 프로젝트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알아보 았다. 먼저 중학교 미술교육에서 문화적 정체성 확립을 위한 문화유산의 보 존·복원 교육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중학교 미술 교과서를 분석하고,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하였다. 그 결과 교과서에 문화유산 보존과 복원에 관한 내용의 비중이 작아서 중요성을 파악하기 어렵고, 문화유산 보존·복원에 대한 학생의 흥미도가 낮으며, 수업 재료가 부족하여 보존·복원 교육이 제대 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3장에서는 제2장의 내용을 바탕으로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 근거한 4단계 프로젝트 수업을 개발 및 적용하였다. 개발한 4단계의 프로그램은 문화 유산 보존·복원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이에 대한 직접 경험을 위한 1단계 ‘문 제 인식 및 문화유산 보존·복원 과정 탐구하기’와 보존·복원 실습의 주제 선정 을 위한 2단계 ‘주제 선정 및 가설 정하기’, 보존·복원 실습을 위한 3단계 ‘문 화유산 보존·복원 실습하기’, 평가 및 환류를 위한 4단계 ‘표현활동 평가 및 성찰하기’로 구성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프로젝트 학습법을 기반으로 수업을 구성하고 각 프로그램은 반응중심 학습법, 직접 교수법, 토의·토론법 등의 교수·학습 방법을 연계하여 수업을 효율적으로 진행했다. 그 결과 학생들은 문화유산을 계승하고 발전시 켜 나가는 것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자신의 문화적 정체성을 발견하며, 문화유산을 복원하는 기초적인 능력과 이를 보존하고자 하는 태도를 함양할 수 있었다. 제4장에서는 프로그램 적용으로 얻은 결과물과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에게 사후 설문한 내용을 토대로 ‘문화적 정체성 확립을 위한 문화유산 보존·복원 프로젝트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 및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였다. 그에 따른 교육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유산의 보존·복원에 대한 이해와 관심 이 증가하였다. 둘째, 문화유산을 통해 문화적 정체성을 확립하였다. 셋째, 문 화유산 학습의 필요성을 인식하도록 하였다. 본 논문은 이러한 교육적 효과가 있는 본 프로그램을 학교 현장에서 더욱 활 성화하는 방안으로 첫째, 국가유산진흥원 국가유산 특성화 교육 심화 연계, 둘 째, 자유학기제와 연계된 체험학습 프로그램 확대, 셋째, 문화유산 보존·복원 프로젝트의 현장 적용을 위한 재료 수급 문제 해결의 세 가지를 제시했다. 본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문화유산을 감상하여 미적 가치를 발견하는 과정에 서 자신의 문화적 정체성을 확립하고 문화재 애호심을 함양하며, 이를 직접 보존·복원하는 표현 과정을 통해 궁극적으로 삶 속에서 우리 문화를 올바르게 향유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이를 자신의 진로와 연계하여 우리 문화를 계 승하고 발전시키는 인재로 성장하게 함에 미술 교육적 의의가 있다. 주제어 : 문화유산, 국가유산, 문화유산 보존, 문화유산 복원, 문화적 정체 성, 문화유산 활용 교육, 문화유산 애호심

      • 청주 신봉동 고분군을 활용한 문화유산 교육프로그램 개발 방안 연구

        박소연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미래문화유산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119647

        본 연구는 청주 신봉동 고분군을 활용한 문화유산 교육프로그램 개발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1982년 우연히 발견된 신봉동 고분군은 백제 지방 세력의 실체를 밝혀주는 중요한 유적으로, 백제의 다양한 무덤 변화 양상과 다량의 출토 유물을 통해 당시 백제의 문화와 생활상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고분군은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방치된 상태이며, 이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지역민들의 애향심을 고취시키기 위해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봉동 고분군의 역사적·문화적 특징을 심도 있게 검토하여 이를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반영한다. 둘째, 다른 지역의 고분군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분석하여 신봉동 고분군에 적용할 개선 방안을 도출한다. 셋째, 최신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교육 방안을 모색하여 고분군의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신봉동 고분군의 현황과 발굴조사 과정을 조사보고서와 연구 논문을 통해 파악하고, 공주 수촌리 고분군, 나주 복암리 고분군, 고령 지산동 고분군 등 유사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신봉동 고분군의 고유한 가치를 살린 차별성 있는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프로그램은 생애주기별 발달 특성과 참여자의 요구를 반영하여 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 청·장년기, 중년기, 노년기로 구분해 맞춤형으로 구성하였다. 유아기에는 유물의 형태를 활용한 컬러링 체험과 질감 체험을 통해 친근감을 키우고, 아동기에는 고분군의 역사성과 보존의식을 키우기 위해 신봉동 고분군을 소개하는 영상 촬영과 무덤 주인공을 상상하는 활동을 제안하였다. 청소년기에는 고고학자의 하루를 재구성한 스토리텔링과 유물 복원체험을 통해 고분군의 내용을 추론하고 검증하는 프로그램을 마련하였다. 청·장년기에는 비대면 굿즈 만들기와 가족 체험 프로그램을, 중년기에는 교양 강좌와 대중서를 활용한 교육을, 노년기에는 탐방형 교육을 제안하였다. 또한, 고분 유적의 시각적 정보를 보완하기 위해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 기술을 적용하여 학습자의 몰입도를 높이고, 키오스크와 3D 출력 등 교육 보조자료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는 학습자에게 더 풍부한 시각적 정보를 제공하여 교육적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청주 신봉동 고분군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이 지역의 대표 고고학 유적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높이고, 지역민과 함께하는 지속 가능한 교육프로그램으로 발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또한 본 연구는 다른 지역에서도 유사한 프로그램 개발의 모델을 제공할 수 있으며, 지역 유산의 보존과 활용 연구에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할 것이다. 이를 통해 청주 신봉동 고분군을 중심으로 한 문화유산 교육이 지속 가능하고 효과적인 모델로 자리 잡기를 바란다. 주제어 : 청주 신봉동 고분군, 백제, 문화유산 교육프로그램, 생애주기, 디지털 기술, 지역 유산, 보존과 활용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