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비판적 리얼리즘 미술 연구

        박보경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오늘날 우리 삶의 모습을 결정짓는 것은 무엇인가. 산업화를 통해 얻어낸 경제 적 성장과 물질적 부흥, 투쟁을 통해 얻어낸 시민사회의 가치, 오랜 시간을 거쳐 쌓 아온 경험과 지식 등 우리는 이 모든 것들을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하지만 현대사회가 가진 풍요로움의 이면에는 부작용도 함께 나타나고 있다. 18, 19세기 산업혁명과 시민혁명으로 급격한 사회변화를 겪었던 유럽을 중심으로 사회를 객관적, 비판적으로 인식하고 이를 미술의 주제로 삼는 예술가들이 등장 한다. 예술가들은 더 이상 권력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미지를 그려내는 것 을 거부하고, 미술이 인간의 삶과 사회를 들여다보는 것이어야 한다는 의식을 갖게 되었다. 미술이 현실을 본다는 것은 인간이 살고 있는 삶의 조건들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의미한다. 이것이 바로 비판적 리얼리즘 미술이다. 비판적 리얼리즘 미술은 특정 미술사조라기 보다는 일종의 ‘태도’로서, 미술과 미술가가 사회 부조리와 불평 등에 관심을 갖고 현실의 문제를 폭로하고 비판한다. 19세기 프랑스를 중심으로 태동한 비판적 리얼리즘 미술은 20세기 들어 포스트 모더니즘의 흐름에서 세계 여러 지역의 미술가들을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전개, 발 전 되었다. 그러나 비판적 리얼리즘은 그 개념이 아직 정확히 정리되지 않았다. 그 이유는 비판적 리얼리즘 미술이 사회적으로 어떤 가치를 갖고 있는지에 대한 충분 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리얼리즘이라는 용어가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되는 동안 비판적 리얼리즘 미술이 사회 속에서 조금씩 다른 조건을 갖고 진행되었기 때 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비판적 리얼리즘 미술의 개념을 정리하고 비판적 리얼리즘 미술이 19세기 이후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고찰하여 그 가치와 교육적 의의를 확인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리얼리즘, 리얼리즘 미술 그리고 비판적 리얼리즘 미술의 개념을 정리한 후 19세기 프랑스를 중심으로 등장한 비판적 리얼리즘 미술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또 비판적 리얼리즘 미술의 ‘태도’를 기준으로 역사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태동되고 발전되어온 비판적 리얼리즘 미술의 구체적 사례들을 살펴본 후에 비판적 리얼리즘 미술의 특성을 정리하고, 비판적 리얼리즘 미술이 갖는 사회적 가 치와 교육적 의의에 대해 고찰 하고자 한다. 비판적 리얼리즘 미술은 미술 작품이 형식적인 실험이나 시각적 재현에 머무르 는 것이 아니라 미술가가 적극적으로 사회를 바라보고 비판적으로 해석하여 부조리 와 사회적 갈등을 드러내는 것을 통해 그 가치를 인정받아왔다. 비판적 리얼리즘 미술이 가진 사회적 성격을 활용하여 우리는 다양한 사회적, 문화적 상황에 접근함 으로써 다문화적 가치를 학습할 수 있으며 통합적, 비판적 사고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비판적 리얼리즘 미술의 교육을 통하여 개개인은 사회적 존 재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인식하고, 더불어 공동체적 연대 의식을 회복하는데 효과 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What determines the aspects of life today? People can increase their quality of life through economic growth and material affluence through industrialization, the values of civil society after years of struggle, and experiences and knowledge accumulated over the years. There are, however, side effects behind the richness of modern society. Artists started to see the society in an objective and critical manner and take it as a material for their works mainly in Europe where they went through rapid social changes after Industrial Revolution and People's Revolution in the 18th and 19th century. They refused to create images as means to maintain power any more and began to believe that art should look into human life and society. The idea of art looking at reality holds the significance of critical awareness of life conditions under which people live. That is critical realism art. It is a sort of "attitude" rather than an artistic trend, inspiring art and artists to take interest in social irregularities and inequality and disclose and criticize problems with the reality. Being created mainly in France in the 19th century, critical realism art progressed and developed in various ways in the flow of postmodernism through artists from all around the world in the 20th century. It is, however, true that its concept has not been clearly established because there have not been enough discussions about its social values. In addition, it has moved forward in the society under somewhat different conditions while the term realism has been used in many different ways. This study set out to arrange the concept of critical realism art and examine how it had developed since the 19th century, thus figuring out its values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After sorting out the concepts of realism, realism art, and critical realism art, the investigator looked into critical realism art that was created mainly in France in the 19th century. Also examined in the study were specific cases of critical realism art, which had historically taken diverse forms in its birth and growth, according to its "attitude." The study then arranged its characteristics and figured out its social values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Works of critical realism art refuse to remain as formal experiments or visual reproductions. In critical realism art, the artists disclose social irregularities and conflicts by taking an active view of society and interpreting it critically, thus having its values recognized. People can make an approach to diverse social and cultural situations by taking advantage of its social nature, thus learning about multicultural values and improving their integrated, critical thinking skills. Education of critical realism art will help individuals recognize their identities as social beings and restore their collective awareness in the community.

      • 지아장커 영화의 리얼리즘 스타일 연구

        펑몽몽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네오리얼리즘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이탈리아에서 일어난 영화 혁신 사조다. 이는 곧 기존의 모든 관례나 틀을 깨고 영화 예술가가 스스로 현실생활을 관찰하고 사색하며 진솔한 자세로 현실을 직시하기 위한 취지이다. 영화 이론가 앙드레 바쟁은 네오리얼리즘 영화의 특징을 전체적으로 종합하여 '리얼리즘 미학'이라는 개념을 제시하였다. 지아장커는 6세대 감독의 대표적 인물로, 꾸준히 사실적 창작 이념을 고수하였으며, 객관적인 롱 테이크(Long Take)를 통해 시대의 변화와 그 변화 속 ‘변두리’에 있는 인물의 생활을 사실적으로 기록하고 있다. 리얼리즘은 지아장커의 창작 태도이자 영감의 원천이다. 지아장커의 리얼리즘 미학의 계승과 발전은 앙드레 바쟁의 네오리얼리즘의 영화 이론에 대한 실천일 뿐만 아니라, 그가 견지하고 있는 생활 본색을 환원하는 리얼리즘 정신과 휴머니즘의 배려에 있다. 지아장커는 사회의 원상태를 본인의 입지와 영상 소재의 근원으로 삼고, 자신의 어린 시절 환경에 카메라의 초점을 맞추었으며, 하층민들에 대한 인물조성과 고향 소도시의 묘사를 통해 사회 전환기의 중국 소도시의 가장 사실적인 모습을 일부분 재현하였다. 지아장커는 비직업 배우를 기용해 각 지역의 사투리로 대화하게 하고, 중국 당시 시대 배경에 맞는 노래를 삽입해 대중매체, 대중문화가 당대 중국인에게 미친 영향을 반영하였다. 본고는 지아장커의 십여 년 동안의 영화 작품에 근거하여, 리얼리즘 미학을 이론적 기초로 하고, 지아장커의 리얼리즘을 분석하였다. 본고는 우선 서론 부분에서 연구 목적, 선행연구, 연구의 의미를 요약하였다. 제 2장에서는 중국의 사회적 배경과 중국 영화의 발전 과정, 6대 감독의 영화 스타일, 지아장커의 개인적 성장 과정과 경험, 지아장커 영화 스타일의 형성 원인을 분석하였다. 이어 제 3장은 리얼리즘 미학의 각 요소를 통해 지아장커의 리얼리즘 스타일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 미국 포토리얼리즘 회화의 미술사적 의미 연구

        김나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1960년대 후반 미국에서 등장한 포토리얼리즘 회화의 미술사적 의미를 고찰한다. 포토리얼리즘은 사진을 보고 그린 회화로, 결과물은 사진에 가깝게 정교하고 사실적으로 나타난다. 본 논문에서는 포토리얼리즘의 의미를 사진이라는 매체와 리얼리즘 미술양식이 결합된 미술로 파악하고, 두 특징을 중점으로 연구를 확장시켰다. 포토리얼리즘 회화는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에 걸쳐 여러 전시들을 통해 새로운 형상적 미술인 미국의 ‘뉴 리얼리즘’으로 소개되었다. 뉴 리얼리즘은 추상표현주의에 반하는 움직임으로 사실적인 것과 미술의 관계를 탐구하고자 했던 여러 미술양식을 아우르는 용어였다. 여기에 포함되었던 포토리얼리즘은 자기표현이 강한 동시대의 다른 미술양식과 비교되며 비판도 받았지만, 분명하게 주관적인 관점으로 외부세계에 밀접하게 반응하는 미술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포토리얼리즘 회화와 사진의 관계의 분석을 통해 포토리얼리스트가 세상을 어떻게 바라보고, 그것을 미술로 표현했는지 살펴본다. 그 중심에 있는 매체인 사진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다른 리얼리즘 회화와의 차이점을 설명한다. 더 나아가, 포토리얼리즘 미술이 미국의 새로운 리얼리즘 미술로서 시대를 어떤 시선으로 반영하고 상징적인 이미지를 제시하는지 해석한다. 마지막으로 일상생활 및 현대성과 깊게 관련된 특징을 가진 포토리얼리즘을 포스트모더니즘 미술로서 고려해본다. 본 연구는 포토리얼리즘이 사진을 기반으로 한 리얼리즘 미술로서 시대의 리얼리티를 어떻게 담아냈는지 질문하고, 동시대 다른 미술경향들과 1960년대 이전의 미국 리얼리즘들과의 연관성을 통해 포토리얼리즘 미술을 미술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으로 나타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explores Photorealism, a photography-based painting that emerged in the United States in the late 1960s. Photorealism is a style of painting carefully drawn from photographs, which appears highly realistic resembling the image of a photograph. In this study, the importance of Photorealism is identified as an art that combines two critical notions: photography and realism. Photorealism was introduced as ‘New Realism’ in the United States through several art exhibitions throughout the late 1960s and 1970s. New Realism is a term that appeared in the early 1960s, encompassing a few various art movements that attemp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reality and artwork, which was regarded as a movement against Abstract Expressionism. Although Photorealism was included in New Realism, it could not avoid criticism when it was compared to other contemporary art movements with noticeable self-expression. Nonetheless, this study asserts that it was an art movement that reacted closely with the outside world from a subjective perspectiv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hotorealism and photography, this study examines how the photorealists perceived the world, and how it was expressed in their paintings. By pointing out the importance of photography as an art medium, the study explains how Photorealism differs from other realism paintings in using photographs and delivering an idea. Furthermore, the study interprets how Photorealism brings its perception of the world into the painting and creates a symbolic image that can be suggested as a new realism art in the United States. Lastly, Photorealism is analyzed as a Postmodernism art by emphasizing that its image is deeply related to everyday life and modernity. This study aims to interpret how Photorealism reflected the reality of the era as a photography-based realism art, and presents it as an significant turning point in the history of art by considering its connections with other contemporary art movements and American realism art.

      • 리얼리즘 시각에서 본 부산민요

        여정미 東亞大學校 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서양음악의 19세기 리얼리즘 예술론에 입각하여 부산민요를 적용시켜 보려는 의도에서 쓰여졌다. 음악사에서 기술한 낭만주의는 일반적으로 ‘인간의 감정을 표현하려는 예술’로 이해되었다. 하지만 음악사에서 ‘19세기가 낭만주의 시대이다’라는 논제와 대등하게 문학과 미술 분야에서는 “리얼리즘”이 체계적으로 논의되었고, 19세기의 중심조류로서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부여 받았다. 다시 말해 음악사는 여러 예술분야와 공종하면서 이루어졌다. 그 중 음악은 대상이 없는 준 추상적인 예술로 그 주요 특징은 시간이 진행되는 가운데 이루어진다. 거의 인지되지 않고 받아들여지지 않으면서 음악은 울리는 동시에 이미 과거의 것이 되며 기억 속에서만 전체로서 고정된다. 그렇게 본다면 음악은 다른 예술분야와 비교했을 때 현실적일 수 없다고 말할 수 있지만, 모든 예술은 수단과 현실에서 끊임없이 자연과 인간의 감성적 묘사라는 사실은 간과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가지고 서양음악의 리얼리즘 예술론을 토대로 부산민요의 경우에 적용하여 보려는 것이 본 논문의 논제이다. 본론 제1장에서는 ‘리얼리즘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관해 일반적인 개념을 설명한다. 현실주의에서 요구되는 현실의 반영은 모방·객관·특성화·개성화 등의 소재 선택에 있다. 제2장에서는 음악에서의 리얼리즘 문제를 다루었다. 음악사에서 본다면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향하에 16-17세기 예술이론을 지배했던 논제는 “예술은 자연의 모방이다”였고, 이는 음악분야에서도 다양하게 해석되면서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 18세기에 있어 감정표현은 “외부에서”의 감정표현이 아니라, “내부에서”의 주관적 감점표현으로 의미가 달라졌다. 19세기 중반에는 추상성이라는 단점에도 불구하고 음악과 음악미학에 리얼리즘 경향이 시대의 특성으로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그러나 일반적인 의미에서는 모든 예술이 낭만적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낭만주의적이라는 말을 19세기의 음악에 적용시켰을 때, 그 의미를 둘러싸고 있는 대립되는 문제를 인식하게 된다. 위와 같은 변화속에서 자연모방의 전제를 형성했던 자연의 개념은 19세기 인식론의 대두 이후 진정한 현실을 찾으려는 시도로 나타난다. 이러한 현실개념의 전제하에 리얼리즘은 현실을 예술에 반영하게 되며, 시대적 상황과 변화에 따라 음악의 영역에 나타나게 된다. 음악이 현실반영이란 점에서 루카치의 유물론적 반영론을 살펴보았다. 루카치는 음악의 대상인 인간의 감정을 현실방영 그 자체로 표현했다. 즉 음악의 반영대상인 인간의 감정이란 이미 그 자체가 현실반영의 결과이고 음악은 이를 다시 반영한다는 의미에서 출발한다. 아도르노의 ‘사회적’ 미학이론은 사회(현실)비판과 인식 비판을 동일한 차원에 두고 있으며, 현실 인식에서 타 예술과의 다른 인식 기능상의 우위성을 인정하고 있다. 그리고 벤야민의 미학은 바로 현실과의 유대관계에 나타난 예술작품이다. 곧 예술작품 속에는 우리 개개인에게 야기시키고 있을 경험과 그로 인한 모든 가능한 생가·사상들이 담겨져 있으며, 작품 연구에서도 이러한 것들이 인식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본 논문의 주제인 제3장에서는 민요가 가지고 있는 리얼리즘적 요소들을 지적한다. 리얼리즘이란 용어가 표명되지는 않아도 역사를 통하여 인식되어져왔다. 서양음악에서는 19세기 이르면 생활, 일상의 추함, 사회적 불평등과 대립 등 생활의 다양한 측면이 주제로서 음악 내에 들어온다. 따라서 서양의 리얼리즘 예술론에 입각하여 부산민요가 가지고 있는 리얼리즘적 가능성을 고찰해 본다. 다음으로 제 4장에서는 본격적으로 부산민요의 음악적 특징을 다루었다. 그 내용으로는 가창방식·박자와 장단·선법 및 음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로, 여러 다른 지방의 민요와 그 요소들이 들어와 부산민요에 영향을 미쳤으나 부산에서는 주로 메나리토리가 사용되고 있다. 둘째로, 서남쪽 해안지방에서는 육자배기토리가 강하게 나타나 육자배기토리권이라 말할 수 있다. 셋째로, 서북쪽 지역에서는 경토리의 영향으로 추측되는 변형된 메나리토리가 다소 나타난다. 넷째로, 서쪽지역은 느린 박자를 동쪽지역은 빠른 박자체계를 사용한다. 다섯째로, 농요에서는 모심기 소리인 정자소리가 성하게 불린다. 본 논문에서 다루고자 한 점은 서양음악에 젖어온 이론적 토대를 가지고 우리 것을 더 발전된 모습으로 이끌어 나아가야 한다는 생각에서 출발했다. 이것은 작은 의미로 본다면 부산민요의 연구와 민요가 가지고 있는 지리적·역사적·문화적·배경을 통찰하여 전통민요에 숨겨진 민족의 숨결을 현대생활에 연결시켜 줄 수 있는 새로운 느낌의 우리노래를 보존하고 창조해야 하는 관점에서 보았다. 그러나 부산이란 지역은 타 도시에 비해 무형의 전통문화를 찾기란 어렵고, 채록된 노래들 가운데 일부를 가지고 전체를 논한다는 것은 무리가 따랐다. 이런 시점에서 우리는 민요 발굴과 분석 연구도 시급하지만 현장론적 조사를 보다 절실히 요청받고 있다. 이를 위해 내 고장의 민요를 이해하며, 관심과 우리 것에 대한 자부심을 가질 수 있기를 바란다. In nineteenth century, the Realism Music showed up focusing on the objective world, which people perceived as reality of human life. It might be impossible and useless to play music that would not reflect and sing the human life of the time because no matter what kind of music, the music has been supposed to involved with human being since nineteenth century. One has learned that one can judge music by a point of whether music meets its needs in the way how much well the music reflect life. Let me apply the above premise to my writing on Pusan traditional folk songs, A folk song means to sing what mother nature is and what things are without additional artificial efforts to make songs. There are five features of Pusan folk songs. First, even though elements of folk songs of other regions affected Pusan folk songs, Mε nalitholi rhythm has been mainly used. Second, Yukgapaeki is main rhythm at west-north seaside districts, Third, Mεnalitholi affected by Kyangho-town has been played at west-south seaside districts. Fourth, slow rhythm at west area and fast rhythm at east area have been used. Fifth, in agricultural songs, Genggasori has been played, As we can see above, a folk song can grow and change with different people, they can sprout from the lives of people and they always have the characteristic of life. We who have been living contemporarily must positively accept our folk songs and keep making them better studying. With the study of the folk songs according to their cultural background, historical and geographical, we have to connect our present life with the pulse of the Koreans that are found in traditional folk songs. We have to study more folk songs and spread our knowledge to many other Koreans.

      • 정지영과 신위쿤의 리얼리즘 영화 비교연구

        JINSHIHONG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근년에 한국과 중국의 리얼리즘 영화가 대중의 시선으로 복귀하는 현상을 주목하여 한국 감독 정지영과 중국 감독 신위쿤(忻钰坤)이 2010년대에 창작한 다섯 편 리얼리즘 영화에 관한 텍스트 분석을 통해 두 감독의 영화 속에 포함한 리얼리즘과 영화에 나타난 리얼리즘 스타일을 비교한다. 두 감독의 영화 텍스트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 나아가 현재 양국의 리얼리즘 영화가 드러난 양상을 분석한다. 본 논문은 정지영의 <부러진 화살>, <남영동1985>, <블랙머니>와 신위쿤의 <빈관>, <분노는 말이 없다> 등 다섯 편 영화의 내용과 표현 형식을 비교분석하는 것을 통하여 현재 한·중 리얼리즘 영화의 발전 양상과 두 감독 리얼리즘 영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의 형성 원인을 명확히 할 수 있다. 영화의 내용적 분석은 우선 리얼리즘 영화의 서사형식을 파악하여 영화의 장르적 서사특징을 분석한다. 다음 그레마스( Algirdas Julien Greimas)의 행동자 모델에 의하여 등장인물 사이의 관계와 스토리의 주요갈등을 명확히 하고 영화의 취재에 초점을 맞추어 현실 사회에 대한 감독의 관심과 비판을 분석하다. 또한 기호적 사각형 모델에 의해 영화의 심층적인 주제를 파악한다. 표현 형식에 대한 분석은 주로 영화의 시청각 언어에 드러난 리얼리즘과 전통적인 리얼리즘 영화에 비해 영화의 진실감을 향상하고 관객과의 시너지를 초래하는 두 감독 작품에 응용된 창의적인 표현 형식을 분석한다. 정지영과 신위쿤의 리얼리즘 영화는 상업성과 예술성이 어우러진 비판적 리얼리즘적 스타일을 갖춘 작품이다. 그러나 양국의 국정과 영화산업 정책 및 검열제도의 차이로 인해 정지영의 영화는 보다 사회 고발적이고 비판적이며, 긍정적인 사회적 영향을 일으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관객들이 영화에서 언급되는 사회 문제와 현상에 대해 재조명하도록 유도한다. 신위쿤의 영화는 소비문화의 배경에서 관객의 흥미를 만족시키며 감독의 리얼리즘 사상을 전달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신위쿤의 리얼리즘 영화는 보다 객관적인 진실한 세계를 드러나는 데 주력하고 사회 현실에 대한 폭로를 위주로 하고 비판을 보조로 하며 서사의 서스펜스 장르화 특징이 뚜렷하다. This thesis focuses on the phenomenon of Chinese and Korean realist films returning to the public’s vision in recent years. Through textual analysis of five realist films created by Chinese director Wi-Kun Shin and South Korean director Ji-young Jung in the 2010s, the two directors’ films are compared. The included realism and the realism style presented by the film.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film texts of the two directors, we further analyze the current realism films of China and South Korea, and try to sum up the mutual reference for future development. This thesis lists the realism films of the same director in China and South Korea as the research object, which ensures the consistency of the film text and helps to dig deeper into the realism contained in the film. This thesis compares and analyzes the contents and expressions of five realist film texts, including "Unbowed", "Namyeong-dong1985", "BLACK MONEY", "The Coffin in the Mountain", and "Wrath of Silence", and concludes The realism contained in the films of Wi-Kun Shin and Ji-Young Jung is similar to the realism of the two directors. Through the above analysis and comparison, we can clarify the reasons for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development of realist films in China and South Korea at this stage and the realist films of the two countries. For the analysis of film text, this thesis is carried out on two levels: content and form of expression. First of all, the content analysis of realism movies uses narrative form to study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movies, clarify the relationship and main contradictions of the characters according to Greimas's actor model, and focus on the selection of realism movies to analyze the director’s attention and criticism of the real society. Use the marker quadrilateral to explore the deep themes of the movie. Secondly, the analysis of the manifestation of movies focuses on audiovisual language. It mainly analyzes the scene scheduling of the movie, the movement of the camera, the realism of the film, the editing and the sound, and the innovation of the audiovisual language of the two directors' works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realism film. The realism films of Ji-Young Jung and Wi-Kun Shin have the characteristics of fusion of commerciality and artistry, and they are all works with a critical realism style. However, due to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national conditions, film industry policies and censorship systems, Ji-Young Jung’s films are more socially informative and critical, and are committed to generating positive social impacts and attracting audiences to re-examine the social issues and society mentioned in the film. phenomenon. Wi-Kun Shin’s films convey the director’s realistic thoughts under the background of consumer culture and cater to the audience’s interest in watching movies. The film is committed to presenting an objective and real world, with the main exposure of social reality and the supplementary criticism of social reality. The typified narrative has obvious characteristics.

      • 현대적 리얼리즘 영화이미지에 관한 연구 : 영화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강원도의 힘>, <오! 수정>을 중심으로

        최완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일반적으로 영화는 리얼리즘에 가장 가까운 예술로 평가된다. 영화사적 측면에서 고전적 리얼리즘은 현실을 기록하고 보여주는 영화의 능력을 강조하였다. 그 러나 구조주의 철학에 영향을 받으며 등장한 영화이론은 영화의 이미지를 언어학에 기반을 둔 기호학적 측면에서 분석하며 리얼리즘이 환영과 투명성의 이데올로기에 기반하고 있다고 반박하였다. 이러한 리얼리즘에 대한 영화이론의 흐름은 후기구조주의 사상에 의해 다시 수정이 가해진다. 특히 영화가 표현하는 이미지에 초점을 둔 들뢰즈는 언어 체계의 틀로 영화이미지를 규정지으려 하는 구조주의 기호학적 분석은 결과적으로 이미지의 운동과 변화로서의 측면을 놓친다고 비판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는 최근 리얼리즘 영화이미지를 추구한 한국 현대영화 중에서도 개인의 일상을 리얼리즘적 기법으로 담아낸 영화를 중심으로 그 이미지의 유형과 그러한 이미지가 서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러한 이미지를 표현하는 영화들 가운데 홍상수의 작품들을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홍상수의 영화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 <강원도의 힘>, <오! 수정>에서 이미지의 유형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둘째, 이들 영화에서 보여지는 이미지 유형들은 영화의 의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작품간의 차이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셋째, 이들 영화에 나타난 이미지는 일상성의 리얼리즘을 어떻게 실현 하는가? 이상과 같은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해 이 연구에서는 위의 3개의 영화를 쇼트 단위로 한 분절화 표를 통해 분석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통해 얻어진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은 들뢰즈의 이미지유형 가운데 운동-이미지의 변이들인 지각-이미지와 감정-이미지, 그리고 이것이 행동-이미지로 연결되어 나타났다. <강원도의 힘>에서 보여지는 이미지의 특징은 접사(클로즈 업)을 사용해 직접적인 이미지의 시간성을 드러내는 것이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고정쇼트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이미지는 롱 쇼트로 보여짐으로서 인물의 운동성에 의존한다. <오! 수정>에는 들뢰즈의 영화이미지론에서 현대영화의 새로운 이미지라고 분류한 시간-이미지가 잘 드러난다. 이러한 이미지는 서사의 변화와 밀접한 관계를 맺는다. 둘째,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은 둥장인물을 중심으로 한 네 개의 에피소트가 영화전체의 시간의 축으로 볼 때 하나로 이어지며 전개되지만 암전(빈화면)을 통해서 서로의 관계는 단절된다. 따라서 영화의 전체적인 흐름이 분절되고, 각각의 에피스드 안의 개별적인 주체들에 동일한 무게가 실리게 된다. <강원도의 힘>은 같은 공간에서 경험하는 서로 다른 시간에 대해 동시에 보여준다. <오! 수정〉은 동일한 시간에서의 경험을 인물들 간의 서로 다른 기억을 통해 인식의 차이에 관해 묘사하고 있다. 즉 현재와 과거가 혼합된 시간들이 각각 다른 인물들에게 배분되면서 동시에 불연속적인 서사를 이루고 있다. 셋째,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은 영화 대부분에 사용된 고정쇼트와 특히 몇 장면에서 부각되는 부감 쇼트를 통한 관찰자적인 프레임, 그리고 프레임의 정면성 등을 통해서 개인의 일상을 리얼리즘적으로 묘사하고 었다. <강원도의 힘>에서 이미지와 일상의 리얼리즘과의 관계는 이 영화 전반에 흐르는 롱 테이크로 연결되는 객관적인 쇼트로 표현된다. 그리고 이러한 관찰과 거리두기의 특정들과 함께 이 영화는 고전적 리얼리즘 규범에서 볼 때 그것에 배반되는 이미지들에 따른 서사의 변화로 일상성의 리얼리즘을 실현한다. <오! 수정>에서 일상성의 이미지는 병렬적이고 다층적으로 묘사되고 았다. 즉 영화에서 일상의 리얼리즘은 반복된 이미지를 통해 그 속에서 왜곡된 기억과 차이들을 표현한다. 그리고 이러한 이미지들의 관계는 관객들의 사유를 통해 드러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영화는 다차원적인 시각이 분절화되어 드러나며, 이들이 논리적인 총체성을 가지지 못하기 때문에 이야기 흐름을 자연스럽게 따라가기 어렵고, 때문에 관객들은 한 인물이나, 일관성 있는 주제의 흐름에 동일시하지 못하고 그저 관조하는데 그치고 마는 것이다. 따라서 현대적 영화에 출현하고 있는 새로운 이미지의 이해를 위해서는 서사 중심의 분석에서 이미지 분석으로의 이행이 필수적이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영화의 이미지 유형을 분류하고 그 이미지가 서사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과 이로 인한 이미지와 리얼리즘과의 관계에 대해서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Generally, the cinema has been considered one of the most realistic form of art. Classic realist cinema texts usually emphasized realities of life. However, structuralist fi1m theories have focused on cinema images based on semiology, criticizing that the existing realism in cinema has merely been an ideology of illusion and transparency. Contemporary fi1m theories on reatism were revised again by post -structuralism. Especially, Gilles Deleuze, who has focused on fi1m images as movement and transition, criticized that semiotic analyses of structuralism have been trapped in language frame.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image forms and narratives. The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what were the image forms in the Hong Sang-su's three films, <The Day a Pig Fell into the Well>, <The Power of Kangwon Province>, and <Virgin stripped bare by her bachelors>? Second, how did the images affect signification in the three fi1ms and what were the differences among them? Third, how did the images of the three fi1ms actualize realism of the everyday life. In terms of methodology, this study adapted Deleuze's cinema image forms. In summary,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film <The Day a Pig Fell into the Well>, the movement-images which were composed of the preception-image, the affection-image and the action-image were mainly used. The film <The Power of Kangwon Province> was to show the time-images through 'close-ups', and fixed shots. In the film (Virgin stripped bare by her bachelors>, time-images were mainly adapted in close connection with the changes of narratives. Second, in the film <The Day a Pig Fell into the Well>, four episodes were represented as separated ones in asynchronized order. Eventually, they were made up of one episode in synchronizing order. Overall, sequences were broken down by 'dissolves', which implied the disrupted relationships between the characters. <The Power of Kangwon Province> showed the time-images, which were experienced by characters in different times at the same place. <Virgin stripped bare by her bachelors> depicted the differences of memories of each character at the same time. That was to say, that a fragmented time sequence, mixed with the present and the past, contributed to each character's narrative discontinuity. Third, <The Day a Pig Fell into the Well> and <The Power of Kangwon Province> focused on individual's everyday-life. The quotidian realities of the individual were represented by the 'long take' through the whole current of the flim. In <Virgin stripped bare by her bachelors>, the images of everyday-life were expressed parallel with each other. Image realism in the film implied the distorted memories of individuals. Overall three films represented the multi-dimensional images, segmenting individual character's everyday-life in illogical order. In conclusion, it is maintained that it is necessary to switch ow research concerns from narrative analysis to image one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narrative forms in contemporary cinema, which tend to inclined to image-forms.

      • 리얼리즘에 기초한 표현주의 인체 조각연구 : 본인 작품 중심으로

        양승재 서울시립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interpret the meaning of human figures from the researcher’s works,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expressive elements inherent in Naturalism and Realism. This writing covers diverse meanings of Naturalism with the ancient Greek mimesis, the 19th Century’s Realism with its social criticism, as well as the ‘figurative’ as the opposite concept of abstraction in art history. Aristotle once defined mimesis as instinctive, through which provide us the pleasure of acquiring knowledge. To describe something real is to show human being’s acts and feelings with universal viewpoints in their actual surroundings beyond conceptual or idealistic worlds. When approaching to Realism through the Expressionist’s viewpoint, we can assimilate facts that it stands on the opposite side of both Classicism and Romanticism; Realism differs itself from Classicism in terms of ruling out general or idealistic factors, while differing from Romanticism in terms of excluding fantasy or literary imagination. The term ‘Naturalism’ has often been used in a similar, interchangeable meaning of Realism, of which the expression mode aimed to replicate thoroughly the visible side of reality and nature by avoiding stylization, abstraction, or symbolization. Some point out the misleading concept on figurative sculptures as the reason for regarding them as old-fashioned in Korea; moreover, the discrepancy comes from the perceiving of the abstract art after the 1960s as avantgardist and contemporary, while a figurative sculpture was thought as banal. This is a false conception of a figurative sculpture; the primary and proper meaning of the figurative might be the one of broadened concepts of Realism, which covers the whole sphere of the essence of objects from their appearances to inner sides. In this thesis, such Realist sculptural works were chosen for the researcher’s investigation of expressing the interior worlds by human body sculptures as follows: Kwon Jinkyu who pursued Korean Realism, Auguste Rodin, the modern forerunner of human body sculpture, Constantin Meunier on the aspect of social criticism as a broadened concept of Realism, Duane Hanson in the parallel horizon with the researcher in terms of hyper-realistic inclination, and George Segal, who made the starting point of such a hyper-real tendency. The human body might have been the longest theme through art history. The vision of looking at a human body has been diversified in various ways as lifestyles have been changed during ages, and it is the researcher’s intention to express the inner side through human bodies by focusing on the human relationship in the contemporary society. A human body is, for the researcher, a vehicle that allows me to decide how to approach to latent images and the gazes of the others. This sort of medium is expressed as a contorted and transformed body to hide the internal world through perfect appearances that remind us of ancient sculptures, and exhibited simultaneously the works contiguous to Hyper-realism through theatrical installations. Both the realistic portrayal and deformation of human bodies in the researcher’s overall works reveal, sometimes on the healthy figure of men and women and sometimes through the distorted and damaged bodies, the of agony and sorrow resulted from human relationships, the irresistible environmental elements of the sense of isolation, and the extremely dwarfed and mutilated inner world, while they are expressed as being hidden from spectators’ views by utilizing exterior elements like objets. 본 연구는 리얼리즘에 내재된 표현주의적 요소들을 고찰함으로써 본 연구자의 작품에서 보이는 인체의 의미를 분석하고 해석하려는 데 목적이 있다. 미술사에서 리얼리즘이 가지는 여러 가지 의미를 고대 그리스의 미메시스에서 사회 비판주의적 개념 그리고 추상의 반대 개념으로서 접근한 구상이라는 용어를 통해 다루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미메시스를 본능적인 것이며, 모방을 통해 알게 되는 지식 획득의 즐거움을 얻는 일로 정의했다. 실재하는 무엇인가를 묘사한다는 것은 관념적이고 이상적인 세계가 아닌 인간이 살아가는 환경과 그 속에서 나타나는 행위와 감정들을 보편적인 시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표현주의적 시각으로 접근할 때 리얼리즘은 일반적이거나 이상적 요소를 제외한다는 점에서 고전주의와도 반대되고, 환상이나 문학적 상상 요소가 제외된다는 점에서 낭만주의와도 대립한다. 자연주의가 유사한 의미로 종종 쓰이기도 하였는데 리얼리즘의 표현방식이 양식화나 추상화, 상징화를 가능한 피하면서 가시적인 현실 및 자연을 충실하게 모사해내는 것을 예술적 목표로 삼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 1960년대 이후 추상미술은 아방가르드적이고 현대적이라는 인식으로 인해 그와 대비되는 구상 조각은 진부한 것으로 여겨지게 된 원인을 구상 조각의 잘못된 개념에 두기도 한다. 이렇게 잘못 인식된 구상이 가지는 본래의 올바른 의미는 리얼리즘의 확장된 개념으로써 대상의 본질을 외형을 통해 그 내면까지 나타내는 것을 통칭한다고 봐야 할 것이다 본 연구자는 인체 조각을 통해서 내면을 표현해낸 작가들 중에서 한국적 리얼리즘을 추구한 권진규, 서양 작가로는 근대 인체 조각의 선구자로 불리는 오귀스트 로댕(Auguste Rodin)과 리얼리즘의 확장된 개념으로써 사회 비판적인 관점에서 콘스탄틴 뫼니에(Constantin Meunier), 본 연구자의 작품에서 보이는 하이퍼 리얼리즘적 성향에서 듀안 핸슨(Duane Hanson)과 그 시발점이 된 조지 시걸(George Segal)을 선별 대상으로 하였다. 예술에서 인체는 가장 오래된 역사성을 가진 주제라 할 수 있다. 시대상이 다르듯 변화된 생활방식에 따라 인체를 바라보는 시각 또한 다변화된 형식을 통해 보이고 있으며, 본 연구자 또한 인체를 통해 현대사회에서 발생한 인간관계를 중심으로 연구자에게 내재한 것들을 표현하였다. 본 연구자에게 인체는 잠재된 이미지와 타자의 시선을 어떠한 방식으로 접근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매개체이다. 이러한 매개체는 고대 조각을 연상하게 하는 외형적 모습과 완성미를 보임으로서 내적 부분을 감추는, 한편으로는 일그러지고 변형된 인체로 표현되기도 하면서, 동시에 하이퍼 리얼리즘에 근접한 작품을 연극적 설치방법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자에게 전반적으로 드러나는 인체의 사실적인 묘사와 왜곡은 인간관계로 인한 고통과 슬픔, 고립감의 거절 할 수 없는 환경적 요소와 그에 반응하여 극도로 왜소해지고 상처받은 내면을 때로는 건강한 남, 여의 모습으로 때로는 왜곡되고 훼손된 신체를 통해 드러냄과 동시에 그것을 오브제와 같은 외적 요소들을 이용해 감추는 행위들을 통해 표현되고 있다.

      • 비판적 리얼리즘 미술의 전개양상과 그 정치·사회적 문제에 관한 연구

        전혜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비판적 리얼리즘 미술의 전개양상과 그 정치?사회적 문제에 관한 연구이다. 미술에서 비판적 리얼리즘은 그 사회의 구체적인 현실을 형상을 통해서 표현했다는 특징이 있다. 이는 당시의 사회가 겪은 정치적?사회적?경제적 변혁과 무관하지 않다. 사회의 변화와 함께 비판적 리얼리즘은 자본주의의 현실을 직시하여 다른 어떤 미술보다도 사회에 대한 문제의식들을 제기하였다. 이는 그 사회의 문제들을 시각화함으로써 현실과 괴리되지 않는 미술로 인간의 평등과 민주화를 위한 투쟁적 의미였다. 당대의 현실을 바라보는 냉철한 눈으로써의 역할을 비판적 리얼리즘 미술이 한 것이기 때문에 비판적 리얼리즘은 그 시대에 따라 표현방법과 주제들을 변화하여 나타난다. 그러므로 비판적 리얼리즘이 나타나는 그 시대의 역사적 현실을 어떠했는지 그 흐름을 파악하고 미술작품들로 표현된 정치?사회적 문제들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Ⅱ장에서는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는 비판적 리얼리즘의 개념과 그 특성을 정리하고 이를 기준으로 설정하여 다음 Ⅲ장의 시대적 양상을 전개하는데 필요한 이론적 기초로 삼는다. 비판적 리얼리즘 미술의 개념은 사회적 현실에 대한 인식을 중시여기며 인간을 억압하는 사회악과 부조리를 미술적 표현으로 폭로하고 현실의 소외된 계층, 빈부차이, 도시와 기타지역의 경제적?문화적 차이와 갈등 등의 문제를 고발하는 태도의 미술경향으로 정의 하였다. 그 특성으로는 첫째로 전형적인 주제를 다루는 것, 둘째로 반자본주의적이며 반문명적인 특성을 가지며, 셋째로 정치?사회에 참여하는 행동주의적 특성이다. 그리고 자본주의 이데올로기와의 관계에서 자본주의 이데올로기에 반대하는 성격도 드러남을 알 수 있다. Ⅲ장은 이러한 비판적 리얼리즘 미술의 개념과 특성을 바탕으로 하여 역사적 전개양상을 시대 순으로 제시한다. 먼저 19세기에 프랑스와 러시아에서 태동하는 비판적 리얼리즘 양상과 20세기 초반의 서구유럽 각지와 제3세계에서 나타나는 비판적 리얼리즘 미술을 다루고 20세기 중반이후에 서구의 리얼리즘의 복귀의 의미는 무엇인지 파악한다. 그리고 1980년대의 우리나라 민중미술의 흐름을 비판적 리얼리즘의 경향으로 파악하여 전개한다. 이러한 비판적 리얼리즘 미술의 경향은 미술사의 흐름에서 비주류로 여겨진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삶과 통합하는 미술의 요구에 맞는 비판적 리얼리즘은 다시 평가 받아야함은 당연하다. 시대적 상황에서 함께 미술운동으로써의 비판적 리얼리즘은 그들이 나타내고자하는 강력한 메시지를 던진다. Ⅳ장에서는 미술작품으로 재현된 이러한 메시지를 억압과 차별에 대한 저항, 자본주의와 문명위주의 사회가 낳는 문제들을 반대, ‘타자’들의 정체성 문제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 번째는 초기 자본주의 형성과 함께 나타나는 문제들로 제국주의 국가가 식민지국가를, 지배계급이 피지배계급을 억압하고 차별하는 문제이다. 미술로 표현된 멕시코와 남아프리카에서 나타나는 억압과 차별의 문제는 서구백인중심의 제국주의에 반대하여 자신들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대중적 운동으로써 나타난다. 그리고 사회주의 사회로 가기 이전의 러시아에서 비판적 리얼리즘은 노동자 계급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다. 두 번째로 자본주의와 문명의 확장으로 인한 도시의 문제, 전쟁과 폭력의 문제, 환경과 생태의 문제는 미술로 통해 강력히 반대하고 비판하는 경향으로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의 타자들의 정체성에 관한 문제는 성적 소수자인 여성, 동성애를 중심으로 행동주의적으로 강력한 메시지를 던지고 있다. 비판적 리얼리즘 미술은 사회 속에서 형성되었다. 자본주의 태동과 함께 인간의 모순적 측면을 적나라하게 폭로했던 비판적 리얼리즘 미술은 그 시대의 문제들을 제기해 왔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비판적 리얼리즘이 사회의 어떤 문제들을 폭로해 왔고 어떻게 표현해 왔는지 주목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오늘날의 자본주의 사회가 낳는 문제는 더욱 확장되고 있기 때문에 그 시대를 참된 의식과 비판을 담으며 인간이 나아가야할 본질을 탐구하는 비판적 리얼리즘 미술을 주목하는 계기를 가졌으면 한다. This study is made on the development aspects of critical realism art and the sociopolitical problems. In art, critical realism is characterized by that the concrete realities of the society are expressed through figure. This is not unrelated to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changes the then society suffered. With social changes, critical realism more raised a critical mind of the society than any other genres of art, facing up to the realities of capitalism. This was combative meaning for human equality and democratization by visualizing the social problems by means of art not alienated from the realities. Since critical realism art played a role of cool-headed eyes looking straight on the realities of the then times, critical realism appears with changes in expression method and subject according to the age. Therefore it is deemed important that sociopolitical problems expressed in art works as well as the flow of the periodical historic realities where critical realism was shown should be examined. In Chapter Ⅱ,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critical realism being variously applied are described, and these are set as criteria and deemed as theoretical basis necessary to develop the periodical aspects of Chapter Ⅲ. Critical realism art is defined as an art trend of attitude that importance is given to recognition of the social realities, social evils and irregularities to suppress human beings are disclosed in art expressions, and the problems of the realities including the alienated classes, the gap between haves and have-nots, and economic and cultural gap between cities and other areas are accused. The characteristics of critical realism are as follows: first, it deals with typical subjects; second it has anti-capitalism and anti-civilization attributes; third, it has behavioral nature for participation in policy and society. The nature of opposing capitalistic ideology is also revealed in its relation with capitalistic ideology. Chapter Ⅲ suggests the historical development aspects of critical realism art by periodic order on the basis of its concept and characteristics. First, the aspect of critical realism started in France and Russia in the 19th century and that shown in each area of West Europe and the Third World in the 20th century are described, and the meaning of return of Western realism after the middle of the 20th century is examined. And the flow of our popular art in 1980s is examined and developed as the trend of critical realism. It is a matter of fact that this trend of critical realism art is deemed as a non-mainstream group in the flow of art history. However, it is natural that critical realism meeting the art demand to be integrated with the life of the postmodernism age should be evaluated again. Critical realism as art movement with periodic situations casts a powerful message they desire to express. In Chapter Ⅳ, such message reproduced in an art work is examined into resistance to suppression and discrimination, opposition to problems of capitalism and civilization-oriented society, and the problem of identity of ‘others’. First, the problem shown with the formation of initial capitalism is the suppression and distinction of an imperialistic country to a colonial one and the governing class to the governed class. The problem of suppression and discrimination found in Mexico and South Africa as expressed in art appears in popular movement which finds out their identity in opposition to imperialism centered on Western whites. And critical realism in Russia prior to socialistic society raises problems of the working class. Second, the problems of cities, wars & violences, and environment & ecology which result from expansion of capitalism and civilization are shown in a trend of strong opposition and criticism through art. Finally, the problem of others' identity casts a powerful behavioristic message centered on women of the sexual few and homosexuality. Critical realism art was formed in society. Critical realism art, which plainly revealed contradiction with start of capitalism, has raised the periodical problems. The author thinks that focus should be given to what problems has critical realism revealed and how they have been expressed. Since the problem of current capitalistic society is more expanding, the author hopes that this study will be an opportunity to focus upon critical realism which views the age with a true sense and criticism and searches for the true nature human beings should pursue.

      • 리얼리즘과 준사회적 상호작용이 리얼리티 프로그램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CHEN HUI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문화계발이론(cultivation theory), 리얼리즘 인식(perceived-realism), 준사회적 상호작용(para-social interaction) 등을 토대로 중국 리얼리티 프로그램 시청정도(시청량, 시청집중도)에 따라 리얼리즘 인식과 준사회적 상호작용 인식에 차이가 있음을 살펴보았으며 리얼리즘 인식과 준사회적 상호작용 인식이 리얼리티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자 태도(신뢰도, 선호도, 시청의도, 충성도)에 미치는 정적인 영향을 밝혔다. 또한 그 관계에서 리얼리즘 인식과 준사회적 상호작용 인식의 매개효과가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총 618명의 응답자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육아, 연애, 오디션 리얼리티 프로그램에서 중 시청량층이 경 시청량층과 보통 시청량층에 비해 리얼리즘 인식과 준사회적 상호작용 인식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중 시청집중도층이 경 시청집중도층과 보통 시청집중도층에 비해 리얼리즘 인식과 준사회적 상호작용 인식을 덜 많이 느끼고 있었다. 둘째, 리얼리즘 인식과 준사회적 상호작용 인식은 시청자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리얼리즘과 준사회적 상호작용 인식이 높을수록 리얼리티 프로그램에 대한 신뢰도, 선호도, 시청의도, 충성도가 모두 높아지는 것이다. 셋째, 육아, 연애, 오디션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시청정도와 시청태도 간에 리얼리즘 인식과 준사회적 상호작용 인식이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와 반대로 시청집중도와 시청태도 간에는 리얼리즘 인식과 준사회적 상호작용 인식이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시청자 태도에 대한 연구 분야의 확장에 기여하고 문화계발 효과를 활용 점에서 이론적 의미가 있으며 리얼리티 프로그램 제작 실무자에게 리얼리즘 인식과 준사회적 상호작용 인식을 고려의 필요성을 보여 주었다는 점에서 실무적 의의가 있다.

      • 1980년대 이후 한국 리얼리즘 미술에 나타난 현장성과 공공성의 문제

        김준기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논문은 1980년대 이후 한국 리얼리즘 미술에 있어 현장미술과 현장성 중심으로 나타난 확장의 양상을 고찰하고 이를 통해 미술개념의 확장적 양상을 밝힘으로써, 현장미술 속에 나타난 현장성이 미술개념의 확장에 주요하게 작용했으며, 이러한 토대에서 확장된 미술개념은 향후 한국 현대미술에 동시대적 소통의 가능성을 열어줄 대안적 미술 모형을 제시할 것이라는 주장에 다다를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1980년대 이후 한국 미술계에 나타난 현실비판적 리얼리즘과 민족민중 미술운동과 관련한 제반의 리얼리즘 경향을 1980년대 한국 리얼리즘 미술로 설정하고 하고, 전기를 리얼리즘 미술의 착종기, 후기를 조직적 현장미술 운동기로 구분했다. 또 한 1990년대 이후에 나타난 386세대 작가들의 리얼리즘 경향의 작업들을 개념적 현장미술로 분류했다. 해당 사기에 나타나는 매체와 영역의 확장이라는 주제에 해당하는 사안 과 개념들을 연구 범위로 했다. 이상의 세 시기별로 각 시기 미술운동과 창작, 이론에 나타난 현장미술을 현상적으로 정리한다. 이어서 각 시기별로 나타나는 매체와 영역의 확장을 기술하고, 현장성의 개념의 변동을 정리해서 이러한 확장적 양상들을 현장미술 과 현장성을 통한 미술개념의 확장으로 종합하는 귀납적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현장미술과 현장성을 통한 미술개념의 확장적 양상을 고창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절차로 연구를 진행했다. 먼저 현장미술과 현장성에 관한 이론적 검토를 시도하는데, 여기서의 이론적 토대는 1980년대 이후 민중미술운동과 관련한 논의들을 중심으로 하는 리얼리즘 미술론, 1990년대 초반을 전후로 대두한 포스트모더니즘론, 이후 대안적 미술개념을 위해 논의가 일가 시작한 공공미술 논의 등이며 이런 절차를 거쳐 현장미술과 현 장성에 관한 개념적 정의를 시도한다. 이어서 1980년대 이후의 한국 리얼리즘 미술을 세 시기로 나누어서 현장미술과 현장성의 흐름을 고찰한다. 여기서의 3단계 가운데 첫째는 1980년을 전후로 해서 한국 리얼리즘 미술이 태동해서 착종하는 시기이다. 둘째는 1980년대 중반 이후 1990년대 초반에 이르는 조직적인 미술운동의 시기이다. 셋째는 1990년대 중반 이후의 나타난 경향적 리얼리즘의 시가이다. 이상의 세 시기에 나타난 현장미술을 순서에 따라 맹아적 형태의 현장미술, 조직적 현장미술, 386세대의 개념적 현장미술로 규정했다. 세 번째 장에서는 현장미술의 확장적 양상을 고찰한다. 먼저 미술의 확장에서는 매체의 확장과 영역의 확장으로 나누어 미술의 형식과 내용에 있어 확장의 양상을 기술한다. 이어 현장성 개념의 확장에서는 1980년대 미술운동 시기의 현장성의 변동과 1990년대 386세대들의 경향적 현장미술에 나타난 현장성의 확장적 양상을 정리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현상적인 확장의 양상을 토대로 미술개념의 확장을 위한 조건과 대안적 징후 들을 제시한다. 이상에서 밝힌 목적과 절차를 통해 진행한 본 연구를 통해 다음의 결론을 도출했다. 20세기 후반 들어 한국 현대미술은 모더니티의 발현을 통해 전시공간을 중심으로 하는 시각이미지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취하면서 자족적인 심미적 영역으로 잡으면서 삶의 현 장과는 일정정도 거리를 두었다. 그러나 1980년대 들어서 미술을 삶의 현장과 연계하려는 실천적 당위는 새로운 미술운동 이래의 한국 리얼리즘 운동을 통해 동시대성과 현장성을 바탕으로 하는 현장미술을 낳았다 비판적 리얼리즘에 이어 등장한 민중적 리얼리즘은 노동미술과 정치선전미술을 두 축으로 하는 현장미술을 통해 전개되었다. 전자의 경우 계급계층운동의 현장에 결합해 노동자, 농민등 기층민중의 정서에 부합하는 미술적 실천으로 주로 노동미술의 형태로 나타났으며, 후자의 경우에는 민주화 운동이나 통일운동 등의 정치적 투쟁 현장에서 이루어진 정치적 아방가르드 형태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흐름은 대중미술교육, 공동창작 등의 방법론을 통해 대중이나 시민들과 직접 만나 문화소비를 넘어서는 문화생산을 실천적 영역에 도입하려 했으며, 조직적인 미술운동의 흐름 속에서 한 시대의 대세를 이루었다. 그러나 이후 대중소비문화 등의 후기자본주의적 양상과 현실 사회주의의 붕괴, 국내 정치의 개량적 형국 등의 변화에 따라, 조직미술운동을 근간으로 했던 현장미술활동의 반경이 줄어들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1990년대 들어 현장미술의 영역을 다른 차원으로 확산시킨다. 민주정부수립, 노동해방 등의 선명한 이슈를 잃어버린 현장에서의 전투적 리얼리즘 개념은 일상적인 미술창작 속으로 스며드는데, 특히 1990년대 들어 본격적으로 미술가로서의 활동을 시작했던 386세대 작가들의 경우, 정치, 환경, 계급, 가족, 여성, 일상 등 다양한 영역으로 소재를 넓혀 나름의 현장성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이들의 미술 실천은 미술 언어의 기본 요건인 시각적인 완결성과 더불어 선명한 주제의식을 가지고 창작할동을 이어온 환장된 개념의 경향적 현장미술가들이다. 이들이 보여주는 경향성은 미술개념의 확장에 궁정적인 단초들을 제공하고 있으며, 공공미술로서의 가능성과 더불어 현장미술의 문화생산적인 소통 방식과 미학이념의 연장선상에서 새로운 21세기 리얼리즘 미술의 대안적 징후들로 나타나고 있다. This thesis insists that since 1980s, field art and field property in Korean realism art expand its territory and the concept of art, and that through this, the expanded concept presents alternative art model able to communicate the needs of current time. This study established Korean realism art in the 1980s as critical realism art and Min-jung art. The former is the starting period of realism art and the latter is the movement period of organized field art. Also I classified artworks of 386-generation artists since 1990s as works of conceptual field art. The scope of study is defined as situations and concepts that appear in that period. This thesis arranges phenomenally the field art in each art movement, creation, and theory. And then I describe media and expansion of territory in each period and conceptual change of field property, and progress this study with inductive way that synthesizes expanded aspects as the conceptual expansion through field art and field property. To examine expanded aspects of the concept of art through field art and field property, I progressed the study to the following process. At first I tried theoretical investigation on the field in the basis of realism art theory centered on Min-jung art, postmodernism theory emerged in the early 1980s and public art theory for alternative art concept etc. Though these processes, the conceptual definition of field is attempted. After that, I divide Korean realism since 1980s into three periods, and studies flows of field art and field property. The first period is when Korean realism sprouts up and takes root before and after 1980s. The second is the period of organized art movement from mid 1980s to early 90s. The third is the period of tendency realism since mid 1990s. In due order I defined field art of the three periods as sprout field art, organization field art and tendency field art of 386 generation. In the third chapter, the expanded aspects of field art are studied. Above all, in the expansion of art, the aspects of expansion are described, being divided as media expansion and territory expansion. Then in the expansion of field concept, I explain the changes of field in the art movement in 1980s and the expansion of field in the conceptual field of 386 generation in 1990s. Finally I suggest the conditions of expansion of art concept and alternative signs in the base of phenomenal expansion. This study results in the following conclusion. In the late twentieth century, Korean contemporary art takes visual image communication way that centers on exhibition space through modernity manifestation, and positions itself as self-sufficing aesthetic sphere, and then lies in some distance with the field of life. However, in 1980s, practical necessities that try to relate art to the field of art, gave birth to field art that is based on the same period and the field property through Korean realism movement. Realism on people after critical realism is developed by field art with its own pivots as labor art and propaganda art. The former turns up as artistic practice, which corresponds with feelings of laborers and farmers in the field of class strife. The latter becomes progressed as political avant-garde in the field of political struggle like democratization and unification movement. These flows try to meet directly the populace and citizen and to introduce cultural production beyond cultural consumption to the practice sphere, and then accomplish one of mainstreams in organized art movements. According to post-capitalism like mass consumption culture, destruction of socialism and reform of domestic politics, however, territory of field art has became reduced. In 1990s, these changes spread the territory of field into another dimension. Lost clear issues like as establishment of a democratic government and liberation of labor, the concept of battling realism penetrates into daily art creation. The artists of 386 generation, especially, extend their themes variously to politics, environment, class, and family, the feminine gender and daily life and begin to pay attention to their own field. They are conceptual field artists who have practiced visual completion, or basic condition of art language, and who have created works continuously with clear motifs. Their tendency presents positive steps to expansion of art concept and expresses itself as alternative signs new 21st century with respects to possibility of public art, cultural productive communication way and aesthetic idea of field a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