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美容系列 大學院 敎科課程의 開發에 관한 硏究

        신단주 동덕여자대학교 산업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79

        우리나라의 근대미용은 미용사1호인 오엽주가 1933년 종로 화신백화점에 최초의 미용실을 열면서 시작되었으며 근대미용 교육은 1928년 경성미용학교가 그 시작점이 되었다. 1949년 서울 시청에서 제1회 미용사 자격시험을 치루었고 1961년에 이용사 및 미용사법이 제정되면서 현재와 같은 미용사 면허제도가 도입되었으며 이 면허시험을 기준으로 하여 표준화된 교과과정을 정비하게 되었다. 그 후 우리나라의 미용계는 급속한 속도로 발전하여 2년제 전문대학, 4년제 대학교, 대학원에 미용계열학과 및 전공이 개설되고 있다. 이렇게 발전을 이루고 있는 가운데 2년제, 4년제 미용계열 대학의 미용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대학원 개설이 시급한 현실이며 또한 현시대가 요구하는 우수한 인력배출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보겠다. 따라서 이연구는 현재 개설되어 있는 4년제 대학과 외국의 대학, 대학원의 교과과정을 인터넷 검색 및 대학요람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 검토하는 문헌적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이 연구자료를 토대로 향후 미용계열 대학원이 가야할 교과과정의 방향을 제시하면서 이를 기초로 하여 대학원 수준의 교과과정 모델을 개발하는데 그목적을 두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미용계열 대학원 교과과정 방향설정에 미치는 효과가 클 것이며 또한 증가하는 미용계열 관련 대학원의 교과과정 구성에 사전제시적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미용계열 4년제 대학원 교육의 방향제시를 위해 Beauty related majors are opened in many colleges, universities and graduate levels since the beauty industry in Korea has been developed rapidly. However, their curricula still needs to have a good model in the light of educational efficiency. Thus, curricula of the beauty related universities i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through internet search and handbook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order to suggest a new curriculum suited to the social situation in Korea. I expect this study will have great effect on the establishment of proper direction for the curricula of the beauty related graduate schools, and valuable for the preliminary presentation for organization of the curriculum. To show the proper way for the education, I pointed out some problems of the curricula in the beauty related departments of university levels as follows: Firstly, the curricula were not suited for the departments of universities. Secondly, the field practice education was missing. Thirdly, there are lots of curricula, thus cannot expect high standard education effect. Fourthly, it is necessary to open the original text reading subject to cope with the internationalization era. Also I suggested the direction of education in the beauty related departments of graduate schools as follows: Firstly, the direction of education in the beauty related departments of graduate schools shall be divided into the beauty care management field (natural science departments) and the beauty design field (arts and athletics departments). Secondly, the education in the beauty related departments of graduate schools shall be differentiated from the curricula in four-year-course universities. Thirdly, the advanced curricula shall be well selected according to social development. Fourthly, it is necessary to fuse the related fields and other industries. Considering the above direction of education, I suggested a new curriculum model in the beauty related departments in graduate schools. First of all, I classified the major into two categories, such as the beauty care field of natural science department and the beauty design field of arts and athletics departments. And then, I classified the beauty care fields into two different majors of the beauty functional cosmetics and beauty health care management. Also, the beauty design field was classified into two majors as both beauty image design and beauty performing arts. As the completion unit of the graduate school was 33 units or more, 11 subjects in 3 units are enough for the course. However I tentatively made a curriculum with 13 courses for each major for students enough to select. The major of the beauty functional cosmetics in the beauty care field will have skin science, hair science, pharmacological information, perfume science, cosmetics chemistry, surface chemistry, coloring and powder for cosmetics, cosmetic color, Chinese cosmetics, functional cosmetics, R & D for cosmetics, manufacturing of cosmetics and marketing of cosmetics. Also, the major of the beauty health care management in the beauty care field will have skin science, hair science, beauty biochemistry, physiology, beauty and diet, head skin clinics, skin treatment, alternative medicine, natural therapy, fatness control, public health, hygienics, disinfection and epidemic. In this major, students will learn about the connection between the beauty and the health care management. In the meantime, I classified the beauty design field in the arts and athletics departments into two majors, such as both beauty image design and the beauty performing arts. The major of the beauty image design will have expression of design, history of beauty and culture, colors, hair design, hair design creation, special effect make-up, character make-up, art make-up and hair, total coordination, image making, lighting, image, beauty computer graphic, beauty computer simulation. In this major, students will study about the role of the beauty in modern image industry. Also, the major of the beauty performing arts will have mass culture and arts, expression of design, lighting, stage arts and production, history of performing arts, analysis of works and characters, image making, total coordination, clothing for stage performance, art make-up and hair, character make-up, special effect make-up, traditional performing stage make-up and hair. In this major, students will study how to develop the beauty industry as the beauty arts necessary for the performing arts.

      • 한국연극치료의 역사적 고찰과 실태

        최윤주 동덕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47

        최근 한국의 예술치료분야가 통합의학의 한 축으로까지 인식되고 있는 이때에 이미 역사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있는 음악치료, 미술치료, 무용치료, 표현예술치료 등의 타 예술분야와 달리 연극치료의 역사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학문간 균형 있는 발달과 후학들을 위해서 연극치료학의 역사연구는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연극치료가 우리나라에 처음 소개된 1990년 초부터 실용화 단계에 이른 현재까지 약 20년의 정착 및 성장과정을 역사적 흐름에 맞게 교칙한다. 둘째, 경제성장으로 인하여 높아지는 현대인들의 힐링 욕구에 힘입어 그 수요가 증대하고 있는 사회에 한국연극치료의 올바른 학문적 활용을 도모한다. 셋째, 한국의 연극치료 실태 분석을 통하여 앞으로의 전망과 비전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은 크게 도입 및 정착과 사회·임상·교육·연구적 동향으로 구분하여 사회적 동향은 언론매체를 신문사 6곳(경향신문, 동아일보, 매일경제,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방송사 4곳(KBS1·2TV, EBS, MBC, SBS)을 대상으로 연극치료 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기관 및 단체의 개설현황을 연극치료와 명칭이 일치하거나 연극치료를 다루는 유사관련 단체로 구분해 분석하였다. 연구범주에 해당되는 기간 중 시행된 임상활동은 정부기관, 공공기관, 사립기관, 병원과 같은 지원기관을 기준으로 임상적 동향에서 정립하였으며, 전문 연극치료사 양성을 위한 교육적 동향을 고등교육기관과 중등교육기관으로 구분한 뒤 대학원과 대학의 학과명 및 전공명 일치 또는, 연극치료 교과교수 현황을 각 성격별로 비교분석하고, 전국 초·중·고등학교의 방과 후 연극치료 활동을 전문상담사 및 Wee클래스 배치 현황과 관련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적 동향을 통해 국내 출간되어 있는 연극치료 학위논문을 크게 연도·성격·연구대상·검사 도구별로 분류 및 비교하고, 국내 출판되어있는 학술지논문과 서적현황을 조사하였다. 이와 같이 공적기록을 바탕으로 연구물을 분석한 결과, 한국연극치료는 1990년 사회적 병리현상으로 인한 심리적 안녕이 절실해지던 때 홍유진 박사에 의해 한국에 소개되었다. 이후 1992년부터 2000년도까지 텔레비전을 포함, 각종 언론매체를 통해 그녀가 주도적으로 연극치료 소개 및 시연을 활발히 하였다. 현재까지 방송매체에서 연극치료사 또는 치료프로그램을 다룬 프로그램은 약 42편이며 그 중에서도 1992년부터 2004년까지 홍박사의 연극치료 작업을 다룬 프로그램이 주류를 이루었던 반면에 2005년부터 박미리, 송연옥 등 다양한 연극치료사들의 작업이 프로그램에서 다루어지고 있음을 볼 때, 이는 한국의 연극치료분야가 다양한 전문가들의 활동으로 폭 넓게 발달하고 활성화되었음을 반증하는 바람직한 사례라 하겠다. 뿐만 아니라 한국의 연극치료 방송프로그램의 1990년대 초 도입기는 시연을 통한 연극치료 소개 또는 치료사 중심의 특별기획으로 진행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면 최근 매스컴의 동향은 SBS와 EBS 처럼「우리아이가 달라졌어요」,「달라졌어요 시리즈」처럼 대상중심의 상담 솔루션 형태로 기획되어 방영되는 추세이다. 특히 1992년경 연구소가 개소되기 시작하면서 정신건강을 바라는 이들의 욕구에 충족하고자 관련 기관 및 학회단체도 등장하였다. 이는 도입 후부터 2000년 전후로 약 10여년이 지나서야 각 분야에서 연극치료활성화가 일어났다고 볼 수 있는데 고무적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이처럼 국내외에서 1세대 연극치료인들이 활발한 임상활동으로 ‘국민 정신건강 회복’이라는 사회적 측면에 힘썼으며 타 예술치료분야의 발전과 함께 의료계에 ‘통합의학’이라는 새로운 관점의 패러다임을 여는 가능성도 보였다. 전문연극치료사를 양성하기 위한 학계의 움직임도 활발해졌다. 2001년 원광대학교 보건환경의학대학원 공연예술치료 전공에서 연극치료사를 양성하기 시작하였으며 2006년에는 동덕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의 연극심리학과 연극치료전공이 개설되면서 명실 공히 한국 최초로 연극치료학과가 대학에서 개별학과로 탄생되었다. 또한 초기에 발표된 연극치료관련 학술지논문과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연극요법(Dramatherapy)연구”(중앙대학교 연구논집, 한명희 1991)학술지논문과, “CATHARSIS: Ritual & Theater”(홍유진, 1992, 뉴욕대: 박사학위논문), “An Exploration of ‘Roles’ in Naerim Kut, the Korea Shaman Initiation Rite”(김진숙, 1994, 뉴욕대: 박사학위논문), “한국무속의례의 연극치료(Dramatherapy)”(한명희, 1994, 중앙대: 석사학위논문)가 있다. 연극치료 관련서적은『카타르시스: 굿과 연극 그리고 드라마치료』(홍유진, 1993, 서울: 들불)를 시작으로 저서 5권과, 연극치료를 체계화시킨 해외이론가들의 번역서 10권으로 총 15권이 출판되었다. 번역본은 연극치료의 대표적 학자인 영국의 Sue Jennings, 미국의 Robert Landy와 David Read Johnson이 고안한 EPR모델, Role모델, DvT모델의 정의 및 기법을 소재로 저술한 이론이 주를 이룬다. 1970년대 이후 미국 뉴욕대학교와 영국 허트포드셔 대학교 그리고 센트럴 오브 스쿨 스피치&드라마 대학교 등과 같은 해외교육기관의 활성화와 함께 한국의 연극치료 발달과정은 1990년대는 도입기로 90년대 말로 가면서 해외유학파들이 국내에서 활동을 전개하던 시기이다. 그들은 연극치료 1세대들로서 미국에서 수학하고 동덕여대 연극치료학과를 개설한 홍유진 교수, 역시 미국에서 수학하고 명지대 예술심리치료학과를 개설한 김진숙 교수, 영국에서 수학한 후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한명희 연극치료사가 있으며. 국내파로는 용인대 연극치료학과를 개설한 박미리 교수와 다수의 외국 서적을 번역한 이효원번역가 등이 있는데 그들은 모두 한국연극치료 발전에 적지 않은 기여를 한 대표적 인물들이라 할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바와 같이 연극치료분야는 1세대들의 왕성한 활동에 힘입어서 2세대의 활약이 기대되는 시점이다. 이제 연극을 포함한 각 예술치료분야는 상호보완적 관점에서 통합예술치료로서의 전향적 발전에 노력해야한다고 본다. 그런 점에서 한국예술치료교수협의회 발족은 예술치료의 발전에 의미 있는 행보로 보여 진다. 한국연극치료는 빠르게 변화하는 경제성장과 정신문명에 순응하며 급진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추후 통합과 통섭이라는 학문적 비전과 과제를 수행하고 전 인류의 정신문명 발전에 기여되는 연극치료연구가 이루어지기를 희망한다. In the recent years, the field of art therapy in South Korea has been recognized as the realm of Integrative Medicine; however, the historical research on drama therapy has not been studied in depth unlike music, art, dance and expressive arts therapy. Thus, research on history of drama therapy is essential to develop the balance between interdisciplinary studies and foster students in drama therapy maj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er reviewed settlement and development of the drama therapy for twenty years from its introduction in the early 1990's to its practical application stage up to the present with the historical approach. Second, it promoted to find method to apply the Korea drama therapy to contemporary men who seek to find the holistic healing in the fast growing society. Finally, it suggested the prospect and vision of the Korea drama therapy by analysing application condition of it. The research method was designed to analyse the introduction and settlement, and social, clinical, and educational, research trends of the Korea drama therapy; therefore it collected the data from six newspaper publishing companies such as Kyunghyang Newspaper, Dong-A Ilbo, Maeil Business Newspaper, Chosun Ilbo, JoongAng Ilbo, Hankyoreh and four broadcasters such as KBS1 · 2TV, EBS, MBC, SBS. In addition, the status of the establishment of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were divided into the two categories; (1) the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with the title of drama therapy and (2) the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dealing with drama therapy. Clinical activity during the research period was defined by the standard of support agencies such as government agencies, public institutions, private institutions, hospitals based on the clinical trends. Next, To analyse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of professional drama therapy, it researched secondary education institutions and analysed the after school drama therapy activities and arrangement status of school counselors and Wee class from elementary schools to high schools on a national scale, and it also researched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nd analysed the status of undergraduate and graduate programs by its title, features and the number of professors. Finally, it analysed the current publications such as thesis and articles in journals related to drama therapy. Especially, the theses were categorized and compared by their publication year, features, research target and method. Thus, based on public records and analysed data, the Korea drama therapy was introduced by Dr. Youjin Hong in 1990 when the society had a desperate need of psychological well-being. From 1992 to 2000, she played a major role on introducing drama therapy and it effect by demonstrating it through the various media including TV. Broadcast media has been covering approximately forty three programs of drama therapists or therapeutic programs. Among them, from 1992 to 2004, the mainstream of the programs was dealing with Dr. Hong's drama therapy works. On the other hand, from 2005 Miri Park, Yeonok Song's drama therapy works also were introduced by media. This proved that Korea drama therapy has developed by the various therapists. In addition, Korea drama therapy programs in the early 1990s were mainly focused on demonstrating drama therapy to introduce its function and effect or on therapist-centered programs; however, the recent media trends has changes to a target-oriented counselling solutions aired in SBS and EBS "My child has changed", "We are different now series". In particular, research institutions began to open in 1992 and in this regard, the institutions and agencies related to drama therapy had emerged to meet the public's need to become mentally well-being. Since the introduction of drama therapy in Korea, it has been a tremendous impact on the society that the drama therapy could effect and apply to all kind of field and this overall progress seems very encouraging. As mentioned, the first generation of drama therapists were focused on the social aspect, 'national mental health recovery' and now it shows that a new perspective paradigm of drama therapy as 'integrative medicine' could open in the future. In academia, it became very active to train professional drama therapists. In 2001, Wonkwang University started to foster drama therapists in the department of performing arts therapy, Graduate School of Health & Complementary Medicine. In 2006, Dongduk Women's University opened the drama therapy major in the department of drama psychology, Graduate School of Performing Arts and it was the first independent academic department which offered drama therapy major. The early published articles in journals and the research trend related to drama therapy were as stated below; "Research on Dramatherapy"(Chung Ang University Research Journal, Myunghee Han 1991), “CATHARSIS: Ritual & Theater”(Yujin Hong, 1992, Newyork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An Exploration of ‘Roles’ in Naerim Kut, the Korea Shaman Initiation Rite”(Jinsuk Kim, 1994, Newyork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Dramatherapy of Korean Shamanistic Ceremony” (Myunghee Han, 1994, Chung Ang Univeristy; Master's thesis). Also there are fifteen books related drama therapy published; five of them were written by Doctor Yujin Hong and her first publication was 『A Catharsis: Gut(shamanistic ritual), Play and Drama therapy』(Yujin Hong, 1993, Seoul, Deulbul), and ten of them were translated books of drama therapy theories which covers the definition and method of EPR model, Role model DvT model created by Sue Jennings from the UK, Robert Landy and David Read Johnson from the USA respectively. Since the 1970s, drama therapy field has continued to prosper through the overseas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New York University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University of Hertfordshire in the United Kingdom, University of London-Central School of Speech & Drama etc.; apart from this, drama therapy in Korea was introduced in 1990s and in the late 1990s, students studying abroad regarded as the first generation in the drama therapy field returned to Korea and brought a new phase in drama therapy development. They are professor Yujin Hong who studied in the USA and open a drama therapy major in Dongduk Women's University, and professor Jinsook Kim who studied in the USA as well and open an arts psycho therapy major in Myongji University. and Myunghee Han, a drama therapist, who studied in the UK and has been actively working in the field in Korea. In addition, there are Miri Park who studied in Korea and opened a drama therapy major in Yongin University, and Hyowon Lee, a translator who has translated numerous books related to drama therapy. They all are leading figures who has considerabl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drama therapy in Korea. As stated above, the first generation of therapists in the field of drama therapy has been fully devoted to their works, and now expectation to nurture and flourish the field is high for the second generation. Thus, not only drama therapy but also other arts therapy should strive to develop under the category of integrative arts therapy with complementary perspectives. In that sense, inauguration of Korean professor council for arts therapy is considered to be a meaningful progress of the development of arts therapy. Korea drama therapy has radically developed to adapt to rapidly changing economic growth and spiritual civilization. It is suggested that the study on drama therapy should carry out academic vision and task through integration and convergence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piritual civilization of all mankind.

      • 한수민의 졸업 작품, 「가면무도회」 해설

        한수민 동덕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논문은 석사과정 이수를 위한 졸업 공연에서 발표한 3곡의 작품을 분석한 것이다. 각 곡의 창작 배경과 형식, 선율 및 화성구조를 분석하여 창작자의 작곡 의도와 음악적인 특징을 설명하고자 한다. 졸업 공연의 전체 주제는 “가면무도회(Masquerade)” 이다. 사람들은 삶을 살아가며 저마다의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지 못하고 가면이라는 익명성에 의존한 채 삶을 살아간다. 이에 가면 속에 숨겨진 내면의 순수한 모습과 감정을 가면에 숨기고 살아가는 모습, 가면을 벗지 못한 채 중독되어 버린 모습을 각3곡에 담아 표현 하고자 하였다. 졸업 공연에서 연주한 3곡은 모두 본인의 창작곡이며 Piano, Guitar, Bass, Drum 쿼텟(Quartet) 구성으로 편성하였다. 작품 전체의 흐름을 통일 하되, 각 곡의 이미지를 다양한 분위기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본론을 통해 각 작품의 창작 배경과 음악적 특징을 설명하고자 한다.

      • 한국 여자골프사 연구

        김현경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9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background for outstanding achievements of Korean women’s golfers at the international arena. I have derived following conclusions by investigating the significant sport history of Korean women’s golf, and defining the key figure for why they became the powerful nation in golf. First, the Korean elite women’s sports have begun after 1950s, and they have caught the public attention by winning medals at the domestic basketball competitions among girl’s high school and their foreign competition(1953∼1954), and at the Tokyo Asian Games(1958). After the foundation of the Girl’s Vocational Team, development policy for elite sports since 1960, and excellent game scores of Korean female athletes in foreign competition have certainly gave an opportunity for them to be recognized in the world, and established a groundwork for Korean elite women’s sports to make progress. Moreover, this appeased the existing perspective of the domestic discrimination between men and women, and gave an opportunity for women to become athletes, leaders, and administrator in various social positions. The consecutive success of Korean female athletes in foreign competition during 1990s∼2000s have gained great pubic interest for elite women’s sports, and this have strengthened the domestic position for elite women’s sports as well as transforming Korea to become powerful nation for women’s sports. Second, negative perspective for golf was rampant in Korea for its historical background, which in that golf was first introduced by the Japanese Imperialists. Despite this fact, golf became recognized as designated sports in Korea since numerous golf courses were constructed in Seoul and various suburb areas, and foundation of golf competition along with the Chosun Golf League. Nevertheless the golf industry was temporarily frozen due to the WWII and the Korean War, they have reclaimed their position after the foundation of the Seoul Country Club. Especially, the Seoul Country Club was located at the center area of the main Korean golf course, and they have established the Korea Golf Association which later became the headquarter for Korean professional golfers, and foundation for golf to be recognized as Korean elite sports. Third, the expansion stage of Korean women’s golf at their individual period and its’ significance in sport history is as follows: 1. 1950∼1969 is defined as the inception of Korean women’s golf which the distinction between professional and amateur golfers was obscured; however, establishment of several golf classes and clubs in college, and assembly of women’s association at the Seoul Country Club have promoted friendships among female members, while the significance was that they attempted to change the image of golf through participating in social volunteer activities. 2. 1970∼1989 is the period when Korean women’s golf have been developed and active, which established groundwork for them to be recognized as sports for private education institute due to the establishment of competitions by institutions related to golf have changed the age of amateur Korean women’s golfers from mid-age to teenagers. Furthermore, in 1978 the first Korean women’s golfer was born at the Republic of Korea; however, several athletes have departed for Japan because of the inferior domestic arena for women’s pro-golfers. Among them were Ok-Hee Ku, and her victory in JLPGA and USLPGA tour as a first Korean women’s golfer has established a basis for her to expand to the foreign arena. 3. 1990∼1999 was the period when domestic and foreign activities of Korean women’s golfers were prosperous, the rate of female junior golfers who have strong purpose to become successful pro-golfers has grown, and women’s pro-golfers have faced a great turning point du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KLPGA(Korea Ladies Professional Golf Association). The KLPGA has started to make qualitative improvements since efforts from KLPGA to invigorate the domestic female pro-golfers. Especially, grand victory of Se-Ri Pak at 1998 USPLGA tour has made a groundwork for domestic women’s golfers to join USLPGA, and it has significance in sports history since this has unequivocally invigorated the KLPGA and transformed golf into designated public sports. 4. 2000∼2010 is the period when Korean LPGA became globalized and Korea became recognized as a powerful nation in golf, which the significance is that amateur and professionals have made progress in both domestic and foreign arena. Influence of Se-Ri Pak has led to ‘Seri Kids’, which they have contributed in promoting the KLPGA to become unrivaled entity at the international arena even after they became professionals through passing amateur years. Therefore, KLGPA became prosperous and dealt a heavy blow in both domestic and foreign arena. Especially, the special feature for this is that it has led to the rise of interest for Korea at the international arena, and the growth of interest from domestic public and media for women’s sports. Lastly, the key figure for successful Korean women’s golf is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parents and athletes, popularization of golf, and organized system for athlete training. In addition, the organized system for athlete training has played a catalysis role in improving the skills of amateur golfers, and the popularization of golf has not only rapidly increased the golf-related facilities; however, it also has provided more opportunities for junior golfers to learn golf and improved an environment for them to be cultivated.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여자골프가 해외무대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기까지의 역사적 배경을 고찰하고, 골프강국으로 거듭날 수 있었던 요인을 파악하여 한국 여자골프가 지닌 체육사적 의미를 규명하는데 있다. 따라서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세부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여자골프의 역사적 배경으로서 한국 여자엘리트스포츠는 어떤 과정으로 전개되었는가? 둘째, 한국 골프의 도입과 전개가 여자골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 셋째, 각 시기별 한국 여자골프는 어떻게 전개되었으며, 그 시기가 갖는 체육사적 의미는 무엇인가? 넷째, 세계화된 한국 여자골프의 성공요인은 어디에서 찾을 수 있을까? 이상과 같은 연구문제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한국 여자엘리트스포츠는 1950년대 이후 전개되기 시작하였는데, 1953년에서 1954년에 걸쳐 실시되었던 여자고등학교 간의 농구 대항전과 여자농구대표팀의 해외원정경기, 그리고 1958년 도쿄아시안게임에서의 메달획득으로 대중들의 관심을 이끌어 냈다. 이후 여자실업팀 창단, 1960년대부터 이어진 엘리트 스포츠 진흥 정책, 해외대회에서의 한국 여자선수들의 선전은 한국 여성스포츠를 세계에 알리는 계기는 물론 한국 여자엘리트스포츠가 성장할 수 있는 기틀을 만들었다. 또한 국내 사회에 존재하던 남녀차별에 대한 의식을 변화시킬 수 있었으며, 여성들에게는 선수로서, 지도자로서, 행정가로서 사회에 다방면으로 진출할 수 있는 기회가 부여되었다. 1990년대와 2000년대에 걸쳐 해외대회에서 한국 여자선수들의 잇따른 성공은 국민들에게 여자엘리트스포츠에 대한 관심을 부각시켰고, 그 결과 국내 여자엘리트스포츠의 입지강화와 함께 한국이 여자스포츠 강국으로서 거듭나는 계기가 되었다. 둘째, 일제강점기 우리나라에 도입된 골프는 시대적 특성으로 인하여 부정적인 인식이 상당히 강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울과 각 지방에 골프장을 건설하면서 각종 골프대회가 개최되었고 조선골프연맹이 창립되면서 스포츠로 정착되었다. 비록 세계2차대전과 6․25전쟁으로 잠시 골프의 맥이 끊겼으나, 서울컨트리클럽의 재건으로 그 맥을 다시 이을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서울컨트리클럽은 한국 골프의 중심적 위치에 있었던 골프장으로 대한골프협회 창립, 한국 프로골프선수 태동의 본거지로서 우리나라에 골프가 엘리트스포츠로 발전할 수 있는 모태가 되었다. 셋째, 각 시기별 한국 여자골프의 전개양상과 체육사적 의미는 다음과 같다. ① 1950년부터 1969년은 여자 프로선수나 아마추어선수가 등장하지 않았으나, 대학의 골프부 창단 및 골프수업 실시, 한국 대학생골프회 조직 등으로 학교스포츠로서 골프가 정착되어 가던 시기였다. 그리고 서울컨트리클럽의 부인회의 결성은 여성회원들의 친목도모 뿐만 아니라 사회봉사 활동을 하며 당시 골프에 대한 인식을 바꾸고자 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② 1970년부터 1989년은 골프관련 기관들의 대회 창설로 한국 여자아마추어선수들이 등장하기 시작하였고, 연령층 또한 중장년층에서 청소년층으로 변화되어 학원스포츠로 정착될 수 있는 기틀이 마련되었다. 그리고 1978년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여자프로골프선수가 탄생되었다. 그러나 여자프로선수들에게는 국내 무대가 열악하여 몇몇 선수들은 일본으로 진출하였다. 그 중 구옥희 선수는 JLPGA투어와 USLPGA투어에서 한국 여자선수로는 최초로 우승하여 해외로 진출할 수 있는 초석을 마련하였다. ③ 1990년부터 1999년은 한국 여자골프선수들이 국내에서 왕성한 활동을 하면서 본격적으로 해외 진출 통해 도약한 시기였다. 여자 아마추어계는 골프선수로 성공하고자 하는 목적의식이 뚜렷한 주니어선수들이 증가하였으며, 여자 프로계는 한국여자프로골프협회의 창립으로 전환기를 맞게 되었다. 국내 여자프로계의 활성화를 위한 협회의 노력과 우수 아마추어선수들이 프로로 전향하면서 한국 여자프로골프는 질적으로 향상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1998년 USLPGA투어에서의 박세리 선수의 성공은 국내 여자선수들이 USLPGA 진출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었으며, 한국 여자골프계의 활성화는 물론 골프가 대중스포츠로서 전환되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④ 2000년부터 2010년은 한국 여자골프가 세계화되면서 골프강국으로 거듭나 아마추어계와 프로계가 국내외적으로 함께 성장한 것이 특징이다. 박세리 선수의 영향은 세리 키즈의 등장으로 이어졌고 그들은 아마추어 시절부터 프로로 전향한 후에도 한국 여자골프를 전 세계적으로 독보적인 존재로 부각시키는데 일조하였다. 이로써 한국 여자골프계는 그 어느 때 보다 활성화가 되어 국내는 물론 해외까지 그 영향을 미쳤다. 특히 세계에서는 한국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국내에서는 국민과 언론으로부터 여자스포츠에 대한 관심을 이끌어 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마지막으로 한국 여자골프의 성공요인은 한국 부모와 선수의 특성, 골프의 대중화와 체계적인 선수양성시스템을 들 수 있다. 여자골프선수를 둔 부모들의 적극적인 지원은 선수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해외투어에서 성공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되었다. 그리고 체계적인 선수양성시스템은 아마추어선수의 기량을 향상시키고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였으며, 골프의 대중화로 국내 골프관련 시설의 급증뿐만 아니라 골프를 배울 수 있는 기회가 더욱 증가되어 주니어선수들이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이 더욱 개선되었다.

      • 대학교 웹사이트에서의 효과적인 정보전달을 위한 인터페이스 디자인 연구 : 동덕여자대학교 웹사이트를 중심으로

        장명숙 동덕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31

        대학을 둘러싼 교육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대학들도 기업이나 각종 사회단체들과 마찬가지로 매스미디어 채널을 통해 각 대학의 발전 가능성과 우수한 장점 등을 적극적으로 홍보하게 되었다. 특히 초고속 인터넷의 등장으로 현재 우리나라 대부분의 대학들은 웹사이트를 구축하여 적극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입시생 및 학부모의 대학교 웹사이트 이용률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은 대학에게 있어 미래의 고객이 될 수 있는 주요한 홍보 타겟이 아닐 수 없다. 따라서 대학교 웹사이트는 이러한 이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하며, 그러한 정보들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디자인 또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각각의 설문조사를 통하여 입시생 및 학부모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찾고,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시각적 디자인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동덕여자대학교 웹사이트를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텍스트는 기본적인 정보전달의 기호이다. 화면상의 텍스트는 정보를 올바르게 전달해야 하며, 읽기 쉬어야 하고, 인터페이스 안에서 구동되어야 한다. 따라서 동덕여자대학교 웹사이트의 각 페이지 서브메뉴는 가시성 및 가독성을 높일 수 있도록 글자크기를 조절하고 좀 더 선명한 색상 대비를 줄 필요가 있다. 둘째, 이미지는 가장 일반적인 시각적 표현 매체로 많은 정보를 내포하고 있는 시각언어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덕여자대학교 웹사이트는 이미지의 흑백톤 사용을 줄이고, 각 페이지별 주제에 따라 그 의미가 전달되는 다양한 이미지를 사용해야 할 것이다. 또한, 동덕여대만의 느낌을 잘 전달할 수 있는 사진 및 일러스트레이션의 사용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셋째, 인터페이스에서 색체의 사용은 중요한 정보를 강조할 수 있으며, 화면의 구성을 분리하여 사용자의 이해도를 향상시킨다. 따라서 동덕여자대학교 웹사이트의 각 페이지 메인메뉴와 서브메뉴는 글자색과 바탕색의 선명한 대비가 더욱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넷째, 정보를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질서 있는 레이아웃이 필요하다. 인터페이스의 레이아웃은 일관성 있는 구성과 기능을 가져야 하며 심미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동덕여자대학교 웹사이트는 일부 어수선한 사진 배치가 시각적으로 좋지 못한 인상을 주기 때문에 불필요한 사진요소는 줄이고 적절한 크기 및 배치 조절을 통해 전체적 화면의 레이아웃을 심미성 있게 만들어야 한다. 이처럼 조사와 분석을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이용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많은 부분의 개선을 필요로 한다. 하지만 웹 인터페이스 디자인, 그중에서도 시각적 디자인요소는 이용자들에게 정보를 전달함에 있어 가장 빠른 전달력을 가지고 있으며 가장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이 분명하다. 또한 과거의 단순한 텍스트 위주의 웹사이트가 불과 몇 년 만에 화려하고 다양한 디자인의 웹사이트로 변화하였다. 앞으로의 웹사이트는 더욱 디자인에 민감한 웹사이트로 발전해 나갈 것이라 가정하였을 때 시각적 요소를 고려한 웹 인터페이스 디자인은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질 것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대학교 웹사이트도 이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제공과 그러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시각적 인터페이스 디자인요소가 고려된다면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보다 높일 수 있을 것이다. Following changes with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universities are required to actively publicize their growth potentials and advantages through mass media channels, similar to the methods used by corporations and various social organizations. Particularly, with the introduction of high-speed internet, most universities within Korea are actively utilizing websites. Within such a background, the rate of use for university websites are increasing among new students and parents. At the same time, such visitors are a major publicity targets who may become potential future customers. Consequently, university websites must contain information which satisfies user needs. At the same time, interface design which effectively delivers such information is very important. As a result,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for new students and parents to find information most required and analyzed the website of Dongduk Womens University focusing on visual design elements of interface desig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xt is the most fundamental symbol for information delivery. Text must properly delivery information on the screen and be displayed within the interface. Consequently, the sub menus of each website must adjust the font size and utilize clearer colors for added receptivity. Second, as a most fundamental form of visual expression, images can be considered to be a type of visual language which includes much information. Accordingly, the Dongduk Womens University website must decrease use of black and white images, but rather use various images which delivers accura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opic of each page. In addition, this study concludes that photos and illustrations which aptly delivers the distinctive feeling of Dongduk Womens University must be used. Third, use of colors within the interface can highlight important information while separating screen configuration can improve user understanding. Consequently, the main menus and sub-menus of each page within the Dongduk Womens University website requires more clear contrast between text colors and background colors. Fourth, in order to effectively delivery information to users, an organized layout is necessary. Some of the photos layout within the website do not give a great visual impression. Consequently, this study concludes that unnecessary photos should be reduced and the overall layout should be improved by appropriately adjusting size and layout. As shown through the survey and analysis of this study, many areas must be improved in order to raise user satisfaction. However, visual design elements are the fastest in delivering information to users and their significant effects are profoundly clear. In addition, the simple text-based websites of the past have been transformed into colorful and varied websites in just a matter of years. When considering that websites will continue to develop in terms of design, it is believe that web interface designs which consider visual elements will continue to become more important. Consequently, user satisfaction can be expected to increase if university websites provide information needed by users and consider visual interface design elements within website designs.

      •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사회적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김유림 동덕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31

        요즘 대부분의 대학생들은 부모에 대한 경제적 의존도가 높으며, 부모는 자녀의 대학생활이나 진로 등의 문제에 개입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비록 사회에서 성인으로 대우받을지라도 대학생세대를 완전한 성인으로 보기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최근의 여러 연구들은 이러한 현상을 반영하여 아동ㆍ청소년 시절의 의존성을 지니면서 성인으로서의 의무 이행은 하지 않는 청소년기(adolescence)와 성인기(adulthood) 사이에 있는 세대를 이머징 어덜트후드(emerging adulthood)라는 용어로 개념화하고 있다. 이러한 심리적 특징을 지닌 대학생 자녀의 심리 정서적 영역을 침해하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자아존중감은 일상생활에서 문제상황에 직면했을 때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머징 어덜트후드로 새롭게 주목 받고 있는 세대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사회적 문제해결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탐색하였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4년제 대학에 재학중인 대학생 356명(남 47.2%, 여 52.8%, 평균 연령 20.81세)이다. 연구문제와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변인인 심리적 통제, 자아존중감, 사회적 문제해결 간의 상관관계와 성별과 학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자, 상관분석,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사회적 문제해결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남녀 대학생 집단으로 나누어 매개효과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결과,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문제해결에서 유의미한 성차가 나타났는데, 여자대학생이 남자대학생 보다 더 낮은 수준을 보였다. 전체 대학생의 경우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사회적 문제해결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부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 집단 별 분석에서 남자 대학생의 경우 자아존중감이 부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 전체 결과와 동일했지만, 여자 대학생의 경우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사회적 문제해결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완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관련해서 아동ㆍ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인데 반해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하여, 부모의 심리적 통제의 영향력이 대학생 시기에도 유효함을 밝혔다.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사회적 문제해결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매개 변인이라는 결과는 대학생 상담 장면에서 자아존중감에 초점을 두는 상담개입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Most of college students today depend economically on their parents, and parents, in return, frequently intervene in their college lives or career choices. Thus it is difficult to regard college students as full grown-ups even though they are considered as adults in society. Reflecting such a phenomenon, recently a number of studies have conceptualized a generation between adolescence and adulthood as ‘emerging adulthood', which has dependence a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and does not carry out adult roles yet.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in emerging adulthood, intruding into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college students, has negative effect on their self-esteem,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ability of problem solving in their everyday living. Therefor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whether self-esteem would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social problem solving of college students in emerging adulthood. The subjects included 356 college students (male: 47.2%, female: 52.8%, mean age: 20.81 years of age) registered in a four-year college or university in Seoul Metropolitan area.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self-esteem functioned partially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social problem solving. In the analysis of gender differences, it was revealed that the self-esteem of male college students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which was consistent with the overall result, while the self-esteem of female students had perfect mediating effects. Unlike in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in regard to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where subjects were mostly children or adolescents, the subjects of present study were college students and it was found that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continued to have valid effects in college students. The finding that the self-esteem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social problem solving suggests that counseling interventions focusing on self-esteem can be effective in counseling practice with college students.

      • 專門大學 觀光日本語系列의 敎育課程 構成 및 敎材 類型에 관한 硏究

        하영숙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631

        1999년 현재 93개 전문대학 164학과에서 관광일본어를 교육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 관광일본어 교육에 대한 확실한 체계도 정립되지 않았고 교육과정에 대한 모델 제시도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전문대학의 교육과정과 교재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함과 동시에, 관광일선에서 활동하고 있는 관광종사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그들의 요구와 평가를 바탕으로 개선방향을 연구하였다. 분석 결과 교육과정상의 문제점으로는 관광일본어 교육의 시간수가 부족하다는 점, 그리고 전문대학은 실무를 중시해야 하는 교육적 특성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본어교육에 있어서 실무기능과목보다 기초기능과목에 더 치중하고 있었다. 또한 아직까지 교재 개발이 미흡한 관계로 생활일본어회화교재나 일반 일본어교본, 강독교재 등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관광일본어교재라 하더라도 전문대학의 학사일정에는 적합하지 못하였으며, 교재의 내용 또한 부실하였다 한편 관광종사원들은 관광업무 종사에 있어서 관광 및 일본어교육이 아주 중요하다고 인정하면서도 현재의 교육과정에 대해서는 70%의 응답자가 불만을 표시하였다. 그리고 교과목에 대한 불만의 원인으로는 교수방법이 가장 많았다. 또한 교재에 필요한 내용으로는 관광의 현장 상황에 맞는 적절한 표현, 경어사용법, 일본인의 특성 및 일본문화 등을 요구하였다. 관광일본어교육은 관광이라는 학문과도 연관이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외국어교육의 개념하에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위의 분석결과와 일본어교육 이론에 근거하여 관광일본어교육의 개선방향을 제언한다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어 교과목을 좀더 실용기능과목에 치중해야 할 것이며, 또한 단순히 여러 교과목을 개설하는 것에 그치지 않게 수업내용을 충실화해야 할 것이다. 둘째, JAP보다 JOP 교육강화를 위해, 관광일본어 과목도 강독 수업이 아니라 의사소통중시 교육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셋째, 관광종사원들의 평가·요구에 따라 예절·서비스교육 및 태도 교육에도 치중해야 할 것이다. 넷째, 현장실습교육에 좀 더 주력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관광커뮤니케이션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명쾌하고 정확한 언어사용, 그리고 정확한 정보전달력을 갖춘 언어구사력 향상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여섯째, 구체적인 교수방법으로는 역할연기, 발표와 토론 수업, 그리고 비디오와 테이프를 이용한 수업 등을 적극 활용해야 할 것이다. 일곱째, 교재는 학습자가 학습하기에 용이하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며, 의사소통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지려면 상호작용 학습이 가능하도록 꾸며 져야 할 것이다. 여덟째, 교재에서 조금 더 다양한 상황설정과 표현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아홉째, 주 교재와 함께 비디오와 테이프교재 개발에 주력해야 할 것이다. 열번째, 전문대학에서 사용되기 위해서는 현재의 전문대학 교육과정을 고려하여 1년 혹은 2년 간 연관성을 가지고 교육할 수 있도록 난이도 및 의사소통기능 분배 등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Framework of Curriculum and Characteristic of Textbook using in the Tourism Japanese Department of Junior College. Because, most of Tourism Japanese education has been done by Junior college in Korea. This paper analyse the problem of curriculum and textbook of tourism Japanese with wide field research of labor in the Tourism industry who was taught tourism Japanese in junior college. Problem of tourism Japanese education is lack of time for tourism Japanese and not tourism-intensive Japanese teaching. Also, most of junior college has not tourism-oriented textbook and contents of textbook is not fit for junior college's 2 year education. The research result held by worker of tourism industry, 70 percent of responser show unsatisfaction for curriculum of tourism Japanese department, and 60 percent of them pointed out the problem of textbook itself and teaching method. For the content of textbook, they want to supplement tourism field oriented conversation and Japanese culture. By the result of the study, I recommend as follow, 1) Switching to tourism field intensive curriculum 2) For teaching JOP than JAP, give importance to conversation from writing and reading 3) To match field worker's demand, open and establish new curriculum etiquette and manner 4) Giving more importance to Practice in the tourism industry 5) For Communicative Tourism Japanese, to give weight clear and correct conversation 6) Use teaching method such as roll play, discussion and announcement, to utilize video and audio player 7) For Interactive education, to make sure student oriented textbook 8) For accurate exchange of information, To make more many condition setting and expression in the textbook 9) For more realistic circumstance, give importance to develop video textbook with main textbook 10) To consider Junior College's 2 year course, to apportion difficulty and function of communication between each semester.

      • 이별을 경험한 대학생의 고통감과 이별후 성장의 관계: 의도적 반추와 대처유연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서은비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에서는 이별을 경험한 대학생의 고통감과 이별후 성장 간의 관계에서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를 대처유연성이 조절할 수 있는지 검증하였다. 온라인에서 대학생 289명(남자 127명, 여자 162명)을 대상으로 이별후 고통감, 의도적 반추, 대처유연성, 이별후 성장을 측정하는 설문지를 실시한 후, SPSS 23.0 프로그램과 PROCESS Macro(v.3.1)를 적용하여 의도적 반추와 대처유연성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별후 고통감과 의도적 반추, 의도적 반추와 이별후 성장 간의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대처유연성도 이별후 성장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이별후 고통감과 이별후 성장의 관계를 의도적 반추가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처유연성이 의도적 반추와 이별후 성장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이별후 고통감과 이별후 성장의 관계를 의도적 반추가 매개하며, 이 때 의도적 반추와 이별후 성장의 관계를 대처유연성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이별후 고통감과 이별후 성장간 관계에서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는 대처유연성이 높을수록 커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별을 경험한 대학생을 상담할 때에 대처유연성을 증진시켜 이별후 성장을 도모할 수 있도록 돕는 개입이 필요하다.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주요어: 대학생, 이별후 고통감, 의도적 반추, 대처유연성, 이별후 성장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whether coping flexibility can moderate the mediating effect of deliberate rumin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ess and posttraumatic growth of university students who experienced breakups. Based on data about 289 University students(127 males, 162 females) through online,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deliberate rumination in relationship between distress and posttraumatic growth were examined. And the results of SPSS 23.0 program and PROCESS Macro(v.3.1) analysis of the data were as follows. First, between distress after breakups and deliberate rumination, between deliberat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between coping flexibility and posttraumatic growth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Second, deliberate ruminat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ess after breakups and posttraumatic growth. Third, coping flexibility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liberat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Fourth, deliberate rumination and coping flexibility moderate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ess and posttraumatic growth. In other words, when distress after breakups leads to posttraumatic growth through deliberate rumination, high levels of coping flexibility promotes the effect of deliberate rumin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rapeutic interventions to help increase the level of coping flexibility are required who experienced breakups.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keyword : Break up, Distress, Deliberate Rumination, Coping Flexibility, Posttraumatic Growth

      • 오지은의 졸업 작품 「20’s」 해설

        오지은 동덕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논문은 「My 20‘s」라는 큰 주제를 토대로 창작하여 졸업 공연에서 발표한 4개의 작품을 해설한 것이다. 누구나 20대를 보내면서 경험하게 되는 꿈과 사랑에 대한 감정 변화를 담은 작품으로 곡의 형식과 악기 편성 및 화성 구조를 통해 작곡가의 의도와 음악적인 특징을 해설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