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습자 중심의 통합적 불문학 교육 방안 연구

        김현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9743

        본 논문은 불어불문학 학부 전공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불문학 교육 방안 연구이다. 연구자는 60여년의 불문학 교육 역사 속에서 불문학 교수법에 대한 활발한 논의 없이 문학 이론이나 외국어 교수법이 문학 교수법을 대신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한 불문학 교수법의 필요성을 역설하였다. 이에 불문학 교수법의 방향성을 설정하고자 교육과정 검토와 학습자 요구 조사를 통하여 대학 전공으로서의 불문학 교육의 변천과 현황 및 학습자 요구를 파악하였다. 교육과정 분석 및 학습자 요구 조사를 통하여 불어불문학 전공 교과목에서 불문학의 비율은 지속적으로 감소해 왔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문학보다는 언어와 문화 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요구가 상대적으로 높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불문학 교육은 첫째, 외국어 텍스트를 다루나 문학 교육이라는 불문학 교육의 본질을 회복하면서 둘째, 학습자 중심의 셋째, 불문학과 불어, 그리고 불문화의 통합 교육이 되어야 한다고 보고 이러한 방향성 하에 불문학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문학과 문학 교육의 개념을 고찰해 봄으로써 외국어 텍스트를 이용한 문학 교육이라는 불문학 교육이 가지는 특성 및 본질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문학과 언어와 문화의 개념 정리를 통하여 문학·언어·문화 통합 교육의 근거를 마련하였다. 더불어 학습자 중심의 문학 교육 방법론으로 반응 중심 이론을 살펴보면서 불문학 교육에의 적용 가능성을 타진해 보았다. 위와 같은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학습자 중심의 통합적 불문학 교육 방안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 반응 중심의 불문학 교수·학습 원리와 통합적 불문학 교수·학습 원리를 도출하였다. 이것은 첫째, 거래를 위한 원리, 둘째, 반응을 위한 원리, 셋째, 심미적 독서를 위한 원리, 넷째, 문학·언어 통합의 원리, 다섯째, 문학·문화 통합의 원리, 여섯째, 문학·언어·문화 통합의 원리로 요약된다. 그리고 각 원리의 적용을 위한 실천 원리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학습자 반응 중심의 불문학 교수·학습 원리를 반영한 ‘학습자 반응 중심 축’과 통합적 불문학 교수·학습 원리 적용 가능성을 높인 ‘교수·학습 내용의 통합 축’을 중심으로 한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였다. ‘학습자 반응 중심 축’은 학습자의 읽기 과정을 고려하면서 학습자의 반응이 전 단계에 걸쳐 교수·학습의 중심이 될 수 있도록 고안하여 앞에서 상정한 불문학 교육 방안의 두 번째 방향인 학습자 중심성을 구현하였다. 그리고 ‘교수·학습 내용의 통합 축’은 문학을 위한 문학·언어·문화 단계, 문학 중심의 문학 단계, 문학을 통한 문학·언어·문화 단계로 구성하여 불문학 교육 방안의 첫 번째 방향인 문학 교육 본질의 회복 및 문학·언어·문화의 통합 교육이라는 세 번째 방향을 교수·학습 모형 속에 실현하였다. 학습자 중심의 통합적 불문학 교수·학습 모형을 아뽈리네르(G. Apollinarie)의 시 Le pont Mirabeau, 뒤라스(M. Duras)의 소설 L'amant, 쥬네(J. Genet) 희곡의 Les bonnes에 적용한 교수·학습 예를 제시하여 본 교수·학습 모형이 장르에 관계없이 불문학 수업의 일반 교수·학습 모형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학습자 중심의 통합적 불문학 교수·학습 모형은 교수자들에게는 문학 교육으로서의 본질을 지키면서도 학습자 중심으로의 전환이라는 교육 흐름을 따르고 학습자의 요구에 호응함으로써 ‘불문학의 위기’라는 현실을 극복하는 하나의 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학습자들은 학습자 중심의 통합적 불문학 교육을 통하여 불어 및 불문화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문학 경험을 함으로써 인간과 세계를 인식하고 해석할 수 있는 넓고 깊은 안목을 가진 전문인으로서 역량을 키울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불문학 교육을 위하여 문학 이론이나 외국어 읽기 교수법이 아닌 외국어 문학 교수법이 필요하다는 논의를 제기하였다는 점, 그리고 문학 교육의 본질과 외국어 문학 텍스트가 가지는 문학적·언어적·문화적 특성을 고려하여 불문학 교육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불문학 교육 방안으로서의 교수·학습 모형은 교수자 중심의 문학 수업에서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으로 전환하는 데에 실질적인 역할을 할 것이다. L'enseignement de la littérature française en Corée a une tradition d'une soixantaine d'années. Le premier département de langue et de littérature françaises a été créé à l'Université Nationale de Séoul et plusieurs universités l'ont fait après celle-ci. L'enseignement de l'époque était essentiellement celui de la littérature française. De sorte que, dans les années cinquante, on appelait ce département « département de littérature française » sans « de langue ». Dans les années quatre-vingt dix, le nombre d'étudiants des départements de langue et de littérature françaises a augmenté conformément aux tendances sociales soulignant l'internationalisation ou la mondialisation. Ces tendances ont accordé plus de place aux aspects pragmatiques de l'enseignement de la langue et de la littérature françaises et l'on a été obligé d'augmenter les crédits pour la langue française. La politique pédagogique mise en vigueur depuis 1997, appelée « décloisonnement », a poussé cette tendance davantage et le statut de la littérature française a été encore menacé. Face à cette crise générale, les professeurs des départements de langue et de littérature françaises ont fait de leur mieux en changeant le titre de leurs cours littéraires (« France munhak » au lieu de « bulmunhak » utilisant le chinois) ou associant la littérature française à différents thèmes préférés des étudiants comme « l'amour », « le cinéma », « la femme », etc. Malgré tous ces efforts des professeurs concernés, l'enseignement de la littérature française est toujours exposé à la crise. Si l'on veut sortir de cet état fâcheux pour de bon, il nous semble nécessaire d'ajuster cet enseignement aux besoins et demandes des étudiants coréens. Pour cela, il faudrait faire des études et recherches pédagogiques sur l'enseignement de la littérature française associé à celui de la langue et de la culture françaises. Malheureusement, la liaison entre la littérature et ces deux autres domaines reste pour l'heure dans un état embryonnaire. D'où vient l'objectif de notre étude : essayer de trouver une approche intégraliste de l'enseignement de la littérature française centré sur l'apprenant. Notre étude se compose de cinq parties : introduction, évolution et état des lieux de l'enseignement de la littérature française, théories de base pour une approche intégraliste de cet enseignement, présentation d'un modèle didactique et quelques démonstrations, et enfin conclusion. Dans la première partie, nous avons précisé les objectifs de notre étude ainsi que son contenu et ses modes d'approche. Au travers de la deuxième partie, nous avons examiné l'évolution de l'enseignement de la littérature française dans les universités coréennes depuis 1946. Dans l'ensemble, la littérature française laisse sa primauté dans le dispositif d'enseignement/apprentissage au profit de la langue et de la culture françaises pour lesquelles les apprenants coréens ont une préférence marquée. Cette préférence a été confirmée dans les deux enquêtes réalisées auprès de ceux-ci. La troisième partie a été consacrée à différentes théories de base : notion de littérature, objectifs de l'enseignement de la littérature française et ses caractéristiques, comparaison de l'enseignement de la littérature en langue maternelle et étrangère, théorie de la « littérature comme exploration » de Louis M. Rosenblatt, approche intégraliste de la langue, de la culture et de la littérature. Si l'on définit la littérature comme un « art linguistique du domaine intellectuel des hommes », l'enseignement de la littérature peut être défini comme un « domaine de recherche ayant pour objet la valeur pédagogique et la pratique de la littérature comme une des matières scolaires ». Généralement parlant, la littérature affine l'imagination des apprenants, leur fait expérimenter la vie de manière globale et cultiver leur esprit littéraire. Ayant ces fonctions ou riches valeurs pédagogiques, la littérature se présente de façon différente en langue maternelle et en langue étrangère. Il est naturel que les apprenants ont déjà acquis un niveau de langue et de culture suffisant pour comprendre les textes littéraires écrits dans leur langue maternelle. Mais ce n'est plus le cas pour l'enseignement de la littérature étrangère car le niveau de langue des apprenants est similaire à celui d'élèves de primaire natifs et leur connaissance de la culture reste très limitée pour comprendre les aspects socio-culturels d'un texte littéraire. De sorte que, dans la classe de littérature étrangère, le professeur doit réserver plus de place à la langue et à la culture que son collègue de littérature en langue maternelle. Après la comparaison de la littérature en langue maternelle et étrangère, nous avons présenté la théorie de Louis M. Rosenblatt qui a insisté sur la transaction, la réponse et la lecture esthétique. D'après lui, la classe de littérature doit se réaliser essentiellement par la rencontre entre le lecteur et le texte. Dans la quatrième partie de notre étude, nous avons essayé de construire un nouveau modèle d'enseignement de la littérature française qui a un double axe : l'axe vertical centré sur l'apprenant et l'axe horizontal intégrant la littérature, la langue et la culture. L'axe vertical se divise en trois étapes, c'est-à-dire avant, pendant et après la lecture. Avant de commencer la lecture, il est primordial d'inviter les apprenants-lecteurs à la lecture d'un texte littéraire en mobilisant leur curiosité et leur pré-acquis par différents médias tels que l'anecdote, la vidéo, le journal, etc. Pendant la lecture, le professeur devrait créer une bonne ambiance de sorte que les étudiants puissent se sentir très à l'aise et oser poser des questions sur ce qu'ils ont lu et entendu. Après la lecture, il faudrait prévoir différentes activités qui pourraient maximaliser la créativité littéraire des apprenants coréens. L'autre axe intégrant la littérature, la langue et la culture, a été conçu pour deux raisons principales. Premièrement, c'est parce qu'il nous semble plus raisonable de tenir en compte les spécificités de l'enseignement de la littérature étrangère. Comme nous l'avons souligné plus haut, ce genre d'enseignement est différent de l'enseignement de littérature en langue maternelle. Malheureusement, trop de professeurs coréens ne distinguent pas encore ces deux types d'enseignements dans leur cours de la littérature française. Deuxièmement, l'intégration de ces trois domaines va de paire avec la reconnaissance des besoins et des demandes chez les apprenants. À la fin de cette partie, nous avons essayé d'illustrer notre modèle par trois œuvres littéraires : Le pont Mirabeau de G. Apollinaire, L'amant de M. Duras, et Les bonnes de J. Genet. Ce que nous regrettons le plus dans cette étude, c'est que nous n'avons pas eu l'occasion d'appliquer notre nouveau modèle d'enseignement dans une classe réelle pour vérifier son efficacité ou valeur didactique. Nous espérons avoir cette occasion dans un proche avenir.

      • 불어와 한국어의 지시한정사 대조 연구 : 체계상의 의미 대조와 번역에서의 대응 양상

        변선화 이화여자대학교 2001 국내박사

        RANK : 249711

        Nous avons essaye danalyser les systemes des demonstratifs francais et coreens dans la perspective semantico-pragmatique et de degager les caracteristiques propres de chaque systeme, en comparant le demonstratif adjectif francais CE avec les demonstratifs coreens i, keu, cheo et en examinant la correspondance dans la traduction entre le francais et le coreen. Le demonstratif francais CE peut referer non seulement a un objet existant dans la situation denonciation extra-linguistique mais aussi a un element linguistique dans le contexte anterieur. Mais cette meme reference est aussi faite par larticle defini LE. Eclairer les proprietes et les fonctions referentielles propres de CE qui sont differentes de celles de LE, est tres important dans letude de CE. Dans les travaux sur CE, on admet en commun que les differences entre les fonctions referentielles de CE et celles de LE proviennent de lopposition entre leurs moyens de donnation du referent. En nous appuyant sur ce que ces etudes ont dit sur les moyens de donnation du referent de CE et LE, on en vient a conclure que la fonction referentielle de CE peut etre aussi bien, selon le contexte, deictique quanaphorique ; il nest donc pas facile de differencier la fonction referentielle de CE de celle de LE. Comme pour CE, dapres les etudes sur i, keu, cheo, il est difficile darriver a distinguer leurs proprietes et fonctions referentielles de celles du determinant φ. Dans ces eudes, on admet generalement que keu, contrairement a i et cheo, possede a la fois les proprietes du demonstratif et celles de larticle defini, et que keu nassume donc pas seulement le role du demonstratif mais aussi celui de larticle defini. En depit du fait quon ait du mal a degager les proprietes et les fonctions referentielles de CE ou de i, keu, cheo, respectivement differentes de celles de LE ou du determinant Φ, dans la mesure ou il y a generalement une correspondance entre CE et i, keu, cheo quand on traduit des exemples francais, en coreen, ou la complementarite existe entre CE et LE, et que loperation de traduction est obligee detre accompagnee dune analyse semantico-pragmatique sur les phenomenes linguistiques de la langue de depart et de la langue darrivee, nous en sommes arrives a comparer les proprietes semantiques de CE avec celles de i, keu, cheo. Notre etude est partie du fait que CE et i, keu, cheo fassent partie de la meme categorie : celle des deictiques. Ce fait implique que ces determinants sont des symboles indexicaux qui construisent necessairement leurs referents par rapport a la situation denonciation. Dans cette optique, nous avons pu supposer que CE et i, keu, cheo qui sont classes dans la categorie des demonstratifs, ont lindexicalite, et que LE et le determinant Φ a la definitude. Cette hypothese sur les proprietes semantico-referentielles de CE et i, keu, cheo sest verifiee par lidentification de la distribution entre ces determinants et la difference de distribution entre CE ou i, keu, cheo et LE ou le determinant Φ, dans les phenomenes linguistiques suivants : la thematisation, la reclassification, lanaphore associative, le domaine dusage, etc. En degageant les proprietes semantiques communes de CE et de i, keu, cheo, nous avons pu eclairer les particularites et la fonction referentielle de CE qui sont distinctes de celles de LE et differencier les proprietes et la fonction referentielle de keu de celles du determinant Φ. Ensuite, nous avons cherche les differences entre les proprietes semantiques de CE et celles de i, keu, cheo, en comparant les carateristiques semantico-referentielles individuelles de i, keu, cheo avec celles de la forme ce N-ci/la , ajoutee des localisateurs -ci/la qui sont en general consideres comme donnant a la forme ce N la distinction entre i, keu, cheo, et en examinant les emplois respectifs de CE et ceux de i, keu, cheo. En comparant les similitudes et les differences entre les proprietes semantiques de CE et celles de i, keu, cheo, nous avons pu eclairer les particularites du systeme demonstratif francais et celles du systeme coreen. Les demonstratifs francais et coreens ont en commun lindexicalite et la deicticite, mais il y a des differences manifestes de constitution entre les systemes demonstratifs francais et coreen : pour commencer, le systeme demonstratif francais est constitue dune seul forme CE alors quen coreen, il se compose de trois formes i, keu, cheo ; ces trois formes en coreen accomplissent la fonction referentielle deictique qui est assumee par une seule forme en francais. Cest la raison pour laquelle il y a une difference entre les proprietes semantiques et les emplois des demonstratifs francais et ceux des demonstratifs coreens. Dautre part, le systeme demonstratif coreen est lococentrique parce que le pivot du cadre spatial de la communication y est laire de linterlocution qui integre laire du locutaire et celle de lallocutaire. Le systeme demonstratif francais, en revanche, est egocentrique, car le cadre se constitue en fonction de lattitude du locuteur. Enfin, pour separer les sous-espaces du cadre spatial de la communication, la notion de distance physique, en coreen, joue un role de critere, tandis quen francais, elle na pas de grande importance. Netant pas satisfaits de comparer CE et i, keu, cheo au niveau du systeme, nous avons mis en contraste leurs effets de sens en examinant la correspondance entre ces determinants dans la traduction. Nous avons confirme encore une fois les similitudes et les differences entre les proprietes semantiques de CE et celles de i, keu, cheo, en analysant les aspects correspondants entre eux dans la traduction en coreen des romans francais et la traduction en francais des romans coreens. En outre, dans la mesure ou nous avons etudie la relation de correspondance dans la traduction, entre CE et i, keu, cheo, en deux types demplois, emplois generaux et emplois litteraires, nous en sommes arrives a expliquer les effets stylistiques de ces determinants dans la litterature (par exemple, lhypotypose, la nomination relevant du locuteur, le marquage du rapport de lobjet a lexperience du locuteur, etc) en rapport aux proprietes semantiques systematiques, et a analyser les differences entre les effets stylistiques de CE et ceux de i, keu, cheo. 본 논문은, 불어 지시한정사 CE와 한국어 지시한정사 이, 그, 저의 의미 특성들을 비교·분석하고 불한 번역과 한불 번역에서 이 한정사들 간의 대응 양상이 어떠한지를 검토함으로써, 불어 지시한정사 체계와 한국어 지시한정사 체계 각각을 의미·화용론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더 나아가 이 체계들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특성을 규명할 수 있었다. 불어의 지시한정사 CE는 언어외적인 발화행위 상황 내에 실제로 존재하는 대상을 지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행 맥락 내의 언어 요소를 조응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지시는 정관사 LE에 의해서도 행해진다. 따라서, LE와 구별되는 CE의 고유한 의미 특성과 지시기능을 밝히는 작업이 CE에 관한 연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CE에 관한 기존의 논의들은 LE와 CE의 상이한 지시 기능이 이 한정사들이 지시대상을 부여하는 방식상의 차이에서 기인한다는 견해를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으나, 이 논의들에 규명되어 있는 CE와 LE의 지시대상 부여 방식에 의하면 CE의 지시 기능이 직시적인 동시에 조응적이라는 결론에 이르므로 CE의 지시 기능을 LE의 그것과 구분하기 어렵다. CE에 관한 연구에서 보이는 것과 유사한 문제점이 한국어 지시한정사에 관한 연구에서도 제기된다. 이, 그, 저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에 의해서는 이 지시한정사들의 고유한 의미 특성과 지시 기능을 제로한정사의 그것들과 구별하기 어렵다. 이 논의들에 따르면, 한국어에는 정관사 범주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지시한정사 이, 그, 저 중 그가 정관사의 의미 특성과 지시 기능을 행하며 그가 이나 저와는 달리 직시적인 지시 기능뿐만 아니라 조응적인 지시 기능도 행한다. 또한, CE와 LE가 상반된 분포를 보이는 용례들을 한국어로 번역할 경우, 일반적으로 CE가 이, 그, 저 중의 하나에 대응된다는 점과 번역 과정에서 원어와 역어의 언어현상에 대한 의미·화용론적 분석이 행해질 수밖에 없다는 점을 감안하여 CE와 그것의 번역 대응어로 간주되는 이, 그, 저의 의미 특성을 대조하기에 이르렀다. 본 연구는 CE와 이, 그, 저가 지시한정사로서 직시소의 범주에 속하므로 이 한정사들이 지표성이라는 의미 특성을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으리라는 가설에서 출발하였다. 몇 가지 유형의 용례들 즉, 주제화, 재분류, 연상조응, 선행문 내에 등위로 도입된 두 가지 명사구 중 하나의 조응, 특정 사용 영역 등에서의 CE와 이, 그, 저의 가용여부를 살펴봄으로써, CE와 이, 그, 저가 LE나 제로한정사와는 달리 지표성과 직시성을 공통적으로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CE와 이, 그, 저의 공통적 의미 특성을 찾아내는 작업을 통해서, LE와 대립되는 CE의 고유한 의미 특성과 지시 기능을 규명하고, 제로한정사와 구분되는 그의 고유한 의미 특성과 지시 기능을 밝힐 수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이, 그, 저 간의 구별을 Ce N에 부여한다고 간주되는 -ci/l 가 결합된 Ce + N + -ci/l 의 의미 특성과 이, 그, 저 각각의 개별적 의미 특성을 비교·분석하고 인칭 지시, 장소 지시, 시간 지시, 상태나 동작 지시 등에서의 CE와 이, 그, 저의 용법들을 대조함으로써, 지표성과 직시성이라는 공통 특성 이외에 CE와 이, 그, 저가 가지고 있는 의미 특성들 간의 차이를 찾아내었다. 이처럼 CE와 이, 그, 저의 의미 특성들을 비교·분석함으로써 불어의 지시한정사 체계와 한국어 지시한정사 체계가 가지고 있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지적할 수 있었다. 불어와 한국어의 지시한정사들은 지표성과 직시성이라는 공통된 의미 특성을 갖고 있으나, 두 언어의 지시한정사 체계들은 구성면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불어의 경우에는 지시한정사 체계가 CE라는 하나의 형태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반면, 한국어의 경우에는 이, 그, 저라는 세 개의 형태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불어에서 하나의 형태가 담당하는 직시적 지시기능을 한국어에서는 세 가지 형태가 수행하므로 두 언어의 지시한정사들 간에는 의미 특성이나 용법상 차이가 존재할 수밖에 없다. 또한, 한국어의 지시한정사 체계는 의사소통의 공간적 틀이 화자의 영역과 청자의 영역을 포괄하는 대화 영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므로 발화중심적 성격을 띠는 데 비해, 불어의 지시한정사 체계에서는 이 틀이 발화자의 태도에 의거하여 구성되므로 자아중심적 성격을 띤다고 할 수 있다. 끝으로, 의사소통의 공간적 틀의 하위 공간들을 구분하는 데 있어서 한국어 지시한정사 체계에서는 물리적 거리라는 개념이 일종의 기준으로 작용하는 반면, 불어의 경우에는 이 개념이 별로 중요하지 않다. 본 논문은 CE와 이, 그, 저를 체계상에서 대조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이 지시한정사들이 번역에서 보이는 대응 양상을 검토함으로써, CE와 이, 그, 저의 구체적 의미 효과까지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불문 소설의 한국어 번역과 국문 소설의 불어 번역에서 CE와 이, 그, 저 간의 대응관계를 이 한정사들이 문학적 용법으로 사용된 경우와 일반적 용법으로 사용된 경우로 나누어 연구함으로써 문학 작품 속에서 이 지시한정사들이 유발하는 문체 효과들(생생한 묘사, 발화자 소관의 명명, 대상이 발화자의 경험과 관련됨을 표지, 다음성의 표지)을 앞에서 밝힌 지표성과 직시성이라는 체계상의 의미 특성과 관련지어 일관되게 설명할 수 있었으며 CE와 이, 그, 저의 의미 효과상의 차이도 밝힐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언어 현상을 분석하는데 있어서 번역에 의거한 대조 연구가 훌륭한 하나의 연구 방법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 동시에, 역으로 번역에서 원어의 변별적 의미를 찾아내고 그것을 역어로 재현하는데 있어서 체계상의 의미뿐만 아니라 의미 효과(문학 번역의 경우, 문체 효과)와 발화자의 의도까지를 고려해야 함을 즉 의미론적 층위뿐만 아니라 화용론적 층위까지 고려해야 함을 보여주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불어의 결합가 연구

        이중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박사

        RANK : 249695

        본 연구는 불어 문장의 핵심 구성 성분인 동사뿐만 아니라 명사 및 형용사의 결합가 분석을 통하여 보어의 구조를 명확히 분석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결합가란 20세기 중반 프랑스의 언어학자 Lucien Tesniere(1893-1954)에 의 해 정립된 의존 문법의 주요 개념 중의 하나로 문의 중심인 동사가 지배하는 필수 구성 성분인 행위사의 수를 말한다. 그런데 Tesniere가 제시한 행위사 개념은 주어, 직접 목적 보어, 그리고 간접 목적 보어만을 분석 대상으로 한정하였기 때문에 이 세 범주에 속하지는 않지만 문장에 필수 불가결한 다른 문장 구성 성분들을 분석에서 배제하는 결함을 내포하고 있다. 우리는 이렇게 제한 된 행위사 개념으로 인해 배제된 문장 구성 성분들까지도 분석 대상에 포함시 키기 위해, 독일의 결합가 이론들을 수용하고 불어의 특성을 감안하여 Tesnitre가 제시한 행위사의 개념을 확장한 확대 결합가 개념을 제시하고자 한다. 여기서 말하는 확대 결합가란 주어, 직접 목적 보어, 그리고 간접 목적 보어 뿐만 아니라 부정사 구문 및 보어 절까지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더 나아가, 우리는 주로 동사의 결합가에만 치중되어 온 불어쪽의 결합가 연구를 연구에서 벗어나 형용사 및 명사에까지 결합가 개념을 적용해 보려고 한다. 이를 위해 제 2 장에서는 결합가 이론의 역사적 발전 과정을 살펴보았다. 결합가 이론의 선구자로는 Biilhler(1934), Tesniere(1953, 1959)를 들 수 있다. 그러나 독일의 언어학자들은 Tesniere의 행위사 개념을 기존의 필수 성분 이외의 다른 문장 구성 성분에도 확대 적용한 확대 결합가 개념을 정립하여 문장 분석은 물론이고 결합가 사전 편찬에까지 이를 적용하였다. 또한 결합가 이론을 영어에 적용한 연구들로는 Fillmore(1968), Anderson(1971), Robinson(1970), Emons(1974, 1978) 등을 들 수 있는데, 특히 Fillmore(1968)의 격이론에서는 결합가라는 용어를 수용하여 동사의 격틀을 심층구조의 결합가로 본 점이 특이하다. 80년대에'들어서는, 불어의 결합가에 대한 연구가 덴마크, 노르웨이, 벨기에 등에서 활발히 진행되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제 3 장에서는 결합가 이론의 원리와 구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Tesniere는 문장의 중심인 동사의 지배를 받는 문장 구성 성분들 가운데 주어, 직접 목적 보어 및 간접 목적 보어를 필수 성분인 행위사로, 그 나머지를 부속 성분인 상 황사로 나누고, 동사가 가질 수 있는 행위사의 수에 따라 동사의 결합가를 산정하였다. 최근에는 부사적 동사 보어까지도 문의 필수 구성 성분이라는 점에서 행위사에 포함시키는 학자들도 있다. 결합가는 통사적 층위, 논리·의미론적 층위 그리고 화용론격 층위에서 논의 된 바 있는데, 60년대에는 주로 통사론적 결합가 중심의 연구가 되었고, 70년대 에는 논리·의미론적 결합가가, 그리고 80년대에는 Ruzicka를 필두로 하는 소통적, 화용론적 결합가도 연구가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G, Helbig 같은 학자는 이러한 이론적 확장으로 인한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결합가를 통사적 결합가로 제한해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우리는 의존 문법 자체 내에 이미 의미론적 측면이 내포되어 있으므로 한 언어 성분의 결합가를 통사적 층위는 물론 이고 의미적 층위에서도 연구하여야 한다고 본다. 화용적 결합가는 특수한 문 맥 상황에서만 제한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개념이므로, 이를 체계화하는데는 아직 많은 어려움이 있다고 본다. 또한 우리는 독일의 결합가 연구들을 통해 동사 이외의 주요 자립어들인 형용사, 명사, 부사도 결합가를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먼저, 형용사도 동사처럼 독립적인 결합가를 가질 수 있는데, 결합가 분석에 대해서는 학자들에 따 라 의견이 다르다. 우리는 형용사도 이론적으로 0가에서 3가까지 결합가를 가질 수 있지만 불어에서는 두 개 이상의 보어를 갖는 경우는 드물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어떤 학자들은 명사 모두가 결합가를 가질 수 있다고 하지만 우리는 동사나 형용사에 온 파생명사만이 결합가를 갖는다고 본다. 특히, 명사의 결합가 분석에서는 행위사와 상황사 모두가 전치사를 통해 핵명사 에 걸리므로 이들을 판별할 때에 의미론적 판단이 필요했으며, 수식 층위가 많아질 경우 명사 보어의 기능 판별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끝으로, 부 사도 형용사처럼 논리 관계적 관점으로 볼 때 결합가를 가질 수 있지만, 불어에서는 극히 소수의 몇몇 부사만이 결합가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 4 장에서는 결합가 이론의 핵심 논점인 보어의 필수성, 의무성 그리고 수 의성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우리는 필수성이란 주어진 보어가 문장에 필수 구 성 성분이라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다시 의무성과 수의성으로 하위 구분되며, 보어 판별에 기준이 되는 의무성과 수의성도 문맥에 따라 결정되는 상대적인 개념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판별 기준의 상대적 속성으로 인해 어떤 판별 기준으로도 완벽하게 보어와 부가어를 구분할 수 없었는데, 이는 보어에도 다 분히 동사와의 결속도 차이가 있고, 문장 성분은 보어와 부가어의 두 가지 성 질을 다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는 동사와의 결속도에 따라 보어들을 필수적이면서 직접 지배를 받는 보어와 단지 지배만 받는 수의적 보어 그 리고 직접 지배는 받지 않지만 필수적이고 확장가능한 보어인 부가 행위사로 세분하여야 한다고 본다. 제 5 장에서는 결합가 개념에서 도출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살펴보았다. 0가동사와 비인칭 구문 문제는 통사론적 변형을 통해 해결책을 찾아보았고, 속 사 문제는 Helbig, Happ와 Blanche-Benveniste의 견해를 받아들여 목적 보어와의 유사성과 형용사의 결합가 등을 고려하고 결합가 보어로 보았다. 절대적 용법에 대해서는 완전 타동사적 표현을 기본 결합가로 하고 문맥 의존적 결합 가 감소 현상은 화용적 결합가로 보는 것이 좋겠다. 그리고 내적 목적 보어를 가지는 동사는 자동사를 기본 결합가 보유어로 보고 내적 목적 보어가 추가될 때 1가가 증가 되는 것으로 보았으며, 대칭 동사는 동일 어휘가 갖는 다가 결 합가 보유어로 보았다. 제 6 장에서는 비록 시안에. 지나지 않지만 불어의 기본 문장의 결합가 구조를 분석해 보았다. 먼저, 제 5 장에서 도출된 확대 결합가 개념을 불어 동사 구 조에 적용하여 비인칭 0가, 1가, 2가 문형4개와 인칭구문 1가, 2가, 3가문형 33 개를 도출하여 총37개의 불어문장 패턴을 구했다. 이어 복합 명사 통합체로 구성된 자료체들을 발췌하여 결합가 구조를 분석해 봄으로써 전치사적 확장으로 된 불어 명사 통합체를 보다 명확히 이해할 수 있었으며, 동사문의 행위사적 변형과 형용사 보어의 통사적 변형 관계 등을 통해 올바른 문장과 비문을 보다 명백하게 구별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의 논의에서 Tesniere의 결합가 개념은 행위사를 지나칠 정도로 제 한하여 문의 필수 구성 성분인 동사에 부속된 전치사, 부사적 동사 보어 등이 제외되는 결함을 드러냈으며, 필수 성분의 분포에 있어서도 일관되지 못한 면이 있었고, 속사를 계사 동사의 일부분으로 처리한 점과 모든 상황사를 다같이 이 동사의 직접 지배하에 둔 것 등이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Tesniere 결합가 이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우리는 결합가 개념을 확대 적용한 독일의 결합가 이론들을 수용하고 불어의 특성을·고려하여 확대 결합가 개념을 도출하였다. 확대 결합가 개념은 Tesniere의 행위사는 물론이고 문장 구성에 반드시 필요한 모든 성분을 '필수 보어 complement nbcessaire'로, 그 나머지 수의적 성분을 '부가어 adjoint'로 보는 관점이다. 따라서 확대 결합 가 개념에 따르면 필수 보어에는 Tesniere의 제1, 2, 3 행위사인 주어, 직접 목 적 보어, 간접 목적 보어는 물론이고, 부속사 Adjet의 하나인 속사, Hers1und, Van Hout, Allerton 등이 제시한 장소 보어, 시간 보어 등과 같은 부속사 뿐만 m 아니라 Tesniere의 E.s.s.에서 결합가 분석에서 구체적으로 검토되지 않았던 부정사 구문과 보어절도 포함된다. 이상에서 우리는 앞에서 필수 보어에 포함시킨 부속사들도 다음 도식에서 보 듯 동사와의 결속도에 따라 나름대로의 위계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아직 미흡하기는 하지만 결합가 이론의 한계로 지적된 어순 문제, 즉 어말 도치 의문문의 어순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으리라 본다. actant ----------l-----------circonstant s > o > adjet:0Ineu > 0Iloc datif libre > OIloc complement scenique de temps et de lieu (adjet=0Ineu/dat/loc: 상황사적 행위사, datif libre: 행위사적 상황사) 위에서 살펴 본 바에 따라, 우리는 불어 문장에서 동사와 결합가 보어들의 결속 정도를 다음과 같은 도식으로 정리해 보았다. Comp. du verbe = Sujet + COD + Adjet Adjet - COl(Adat+Aneu+Aattribution) + Asuj + Aobj + Aloc CI C2 C3 C4 C5 C6 Adjoint -----------------------> S COD COI Asuj Aobj Aloc Cadv (coi datif, C. d'attribution, objet prCpositionnel neutre 포함) V-----S(1)----COD(2)----COI(3)----Asuj(4)----Cadv CODI(2i) COIi(3i) Aobj(5) CODqi(2qi) Aloc(6) CODqs(2qs) 동사 보어의 결속도 (1가, 2가, 3가 구조) Notre e'tude s'inscrit dans le carde de la the'orie de de'pendance, fondee' et e'labore'e par Lucien Tesnie're(1893-1954). Elle vise a' e'tablir les fondements the'oriques pour mieux discerner les phrases agrammaticales et les expressions correctes du franc¸ais pal la compre'hension claire et exacte de la construction des comple'ments valenciels des verbes, des noms et des sdjectifs, qui font partie du noyau de la phrase. Nous e'largissons la notion de l'actant restrictif de Tesnie're et en tirons un concept plus e'tendu de la valence, qui comprend les comple'ments ne'ccessaires valenciels de la phrase, c'est-a'-dire le sujet, l'objet direct et l'adjet. Sur ce concept, nous examinons le mode'le de la phrase franc¸aise comprenant me^me la construction de l'infinitif et la proposition comple'tive. Notre inte're^t consiste a' e'lucider non seulement la valence du verbe, mais aussi celle de l'adjectif, du nom et de l'adverbe. Pour cela, dans le 2^e^me chapitre, nous avons passe' en revue l'e'volution historique de la the'orie de valence. La the'orie de valence s'est forme'e dans le cadre de la grammaire structurale dans les anne'es soixante. Les pre'curseurs de la the'orie sont Bu¨hler(1934), Kaznelson(1948) et Tesnie're(1953, 1959). Cette the'orie part du ro^le central que joue verbe dans la phrase. La the'orie part du ro^le central que joue verbe dans la phrase. La the'orie du cas de Fillmore(1968) aussi acce'le're le de'veloppement de la the'orie de valence, en acceptant le terme de valence et en conside'rant la matrice du cas des verbes comme la valence de la structure profonde. La notion de valence de Tesnie're a d'abord e'te' accueilli par les linguistes allemands. Ils ont de'veloppe' la the'orie et ont e'te' parvenus a' re'diger des dictionnaires valenciels. Le concept de l'actant comprend les comple'ments ne'ccessaires a' la comstruction de la phrase. Les comple'ments valenciels se divisent en deux cate'gories: les comple'ments obligatoires et les comple'ments facultatisfs. Et puis, les chercheurs ont classifie' comme adjoints les comple'ments qui ne sont pas ne'cessaires a' la construction de la phrase. Du co^te' de l'anglais, les chercheurs tels que Fillmore, Anderson, Robinson, Emonds et Allerton ont fait leur travaux sur la valence, mais les chercheurs franc¸ais l'ont aborde'e dans une autre direction que celle du de'veloppement the'orique de la valence de Tesnie're. Il est cependant encourageant de constater que l'on continue de's les anne'es quartre-vingts a' faire des e'tudes sur la valence du franc¸ais en Europe (Danemark, Norve'ge, Belgique, etc.). Dans le 3^e^me chapitre, nous avons de'crit les principes constitutifs de la the'orie de valence. La syntaxe de Tesnie're se compose de trois parties : connexion, jonction, et translation, parmi lesquelles la connexion et la translation est implique'e dans la valence. Pour Tesnie'er, la distinction de l'actant et du circonstant de'pend principalement du degre' de cohe'sion que les composants de la phrase, a' savoir les mots, e'tablissent avec le verbe. Les actants et les circonstants sont les subordonne's imme'diats du verbes. Les actants sont les personnes ou choses qui participent, a' un degre' quelconque, au proce's. Ils sont toujours des substantifs ou des e'quivalents de substantifs. Leur nombre est limite' a' trois: sujet, complement d'objet direct et complernent d'objet indiect. A la fin, le nombre des actants que le verbe est susceptible de re'gir, constitue uniquement la valence du verbe. Re'cemment il y a tendance a' inclure dans la valence aussi les comple'ments adverbiaux du verbe(spe'cialement ceux qui expriment la location comme la situation(ubi), la direction(quo) et le de'part(unde)). Ils sont le groupe pre'positionnel, l'adverbe ou la relative, qui peuvent etre conside're's comme des comple'ments ne'cessaires du verbe. Selon Herslund & Sorensen, les participants a' la valence sont le sujet, l'objet et l'adjet, ce dernier comprend l'objet indirect datif, l'objet indirect prepositionnel neutre, le comple'ment d'attribution, l'attribut du sujet, l'attribut de l'objet et le comple'ment locatif, etc.. La valence peut e^tre analyse'e sur trois niveaux : la valence syntaxique, la valence logico-se'mantique et la valence pragmatique. La valence syntaxique porte sur le nombre de comple'ments obligatoires ou facultatifs ouverts logico-se'mantiquement. La valence logico-se'mantique correspond en ge'ne'ral au concept du cas profond de Fillmore. La valence pragmatique de'signe les comple'ments facultatifs ou les adjoints libres, qui correspondent aux circonstants de Tesnie're et qui deviennent comple'ments ne'cessaires dans la situation ou le contexte spe'cifie's. La notion de valence s'applique non seulement au verbe mais aussi a' des autres categories, a' savoir l'adjectif, le nom et l'adverbe. Pour ce qui est de la valence de l'adjectif, on peut parler de la valence logico-relative (sujet ou nom) et de la valence diffusive (comple'ment de l'adjectif). Il existe aussi des adjectifs avalents et des adjectifs trivalents. Ils ont leurs comple'ments obligatoires ou facultatifs. Quant a' la valence des noms, les noms de'rive's comportent leur valence des adjectifs ou des verbes. On peut concevoir cinq classes diffe'rentes de la valence des noms comme suit: 1. noms de'rivaux dont le sche'ma valentiel est identique a' celui du verbe. 2. noms de'rivaux dont le sche'ma velentiel est diffe'rent de celui du verbe. 3. noms pseudo-verbaux dont le sche'ma valentiel est identique a' celui d'une locution. 4. noms dont le sche'ma valentiel est identique a' celui de l'adjectif correspondant. 5. noms dont le sche'ma valentiel diffe're de celui de l'adjectif correspondant. Les substantifs noyaux du syntagme des noms complexes se re'partissent en trois sortes de derivation' nominalisation nucleaire(la transposition nominale du proces lui-me^me), nominalisation subjective(de'signant le sujet de l'action) et nominalisation objective(de'signant l'objet de l'action). Tout substantif valenciel implique un certain nombre d'actants qui demeurent a' l'e'tat latent jusqu'a' ce qu'ils soient actualise's comme comple'ments essentiels. Ainsi la valence nominale est une valence virtuelle et peut supposer l'expansion prepositionnelle. Quant a' la valence des adverbes, certains adverbes seuls peuvent avoir la valence logico-se'mantique et diffusive. Dans le 4^e^me chapitre, nous avons examine' plusieurs crite'res pour la distinction entre le complement obligatoire, le complement facultatif et l'adjoint sous un angle critique. Un chercheur propose la bipartition, un autre la tripartition, un autre me^me la six partitions suivant le degre' de cohe'sion des composants en cause avec le verbe. Cela suppose l'existence de l'e'le'ment du caractere interme'diaire entre le complement et l'adjoint. Il est ne'cessaire de distinguer les diffe'rents sortes de comple'ment et de les sous-classer selon le degre' de cohe'sion entre le verbe et leurs comple'ments comme ce qui suit: 1. les comple'ments requis et re'gis, 2. les comple'ments re'gis, 3. les adjets, c'-a'-d. les comple'ments non-re'gis, requis et cummulables. Pour ce qui est de la faiblesse the'orique de la syntaxe de Tesnie're, il n'a pas distingue' dans ses e'tudes les niveaux d'analyse linguistique. En plus, il a trop restreint la porte'e de la notion d'actant et, a' la fin, a exclu de la valence les e'le'ments ne'cessaires constitutifs de la phrase, tels la plupart de l'objet pre'positionnel, les comple'ments du verbe adverbiaux, etc. En outre, nous avons remarque' le manque de cohe'rence dans la distribution des comple'ments ne'cessaires, le traitement de l'attribut du sujet comme une partie du verbe copule, le placement de tous les circonstants sous la subordination imme'diate du verbe et la consideration du seul crite're se'mantique dans l'analyse des expressions impersonnelles. Dans le 5^e^me chapitre, nous avons tire' notre notion e'tendue de la valence par la reconside'ration des e'le'ments entrant dans la compostion valencielle. Dans les verbes avalents et les phrases impersonnelles, il y a une diffe'rence entre la valence syntaxique et se'mantique. Nous avons aussi inclu dans la construction e'tendue de valence l'attribut, l'adverbe interieur d'Happ, l'adverbe lie d'Herslund, l'adverbe actantialise de Franc-Math, l'infinitif et la proposition completive. Quand on parle de l'actant circonstantiel et du circonstant actantiel, on peut concevoir la hie'rarchie par la cohe'rence entre le verbe et le comple'ment. Nous avons e'tabli le sche'ma de la hie'rachie suivante: ◁그림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On peut utiliser ce sche'ma en tant que critere permettant de juger l'agrammaticalite' dans la proposition interrogative de l'inversion finale. A la lumie're de ce qui pre'ce'de, nous avons fait le sche'ma line'aire des comple'ments valenciels de la phrase franqaise comme suit: ◁그림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Dans le 6^e^me chapitre, nous avons essaye' d'analyser suivant le concept e'tendu valenciel la construction fondarnentale de la phrase franc¸aise, celle des syntagmes nominaux et la transformation de la phrase franc¸aise pour faire voir la construction valencielle de la langue franc¸aise. En terminant notre e'tude, nous espe'rons re'soudre dans les etudes a' venir les proble'mes suivants: la sous-classification du comple'ment d'objet indirect par son caracthre, le probleme pour l'adapter au mode'le de la phrase sur la base de son obligatoirite' et sa facultativite', et enfin la de'finition et la division exactes de chaque terme (l'objet indirect datif, l'objet pre'positionnel neutre, comple'ment d'attribution, etc.) au sujet du paradigme de l'adjet.

      • 佛語 語順 硏究 : 주어 도치를 중심으로

        박지연 全南大學校 1996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고는 불어 어순의 기능들을 살피고, 어순 현상들 중에서 주어 도치의 통사적 화용적 행태를 다루고 있다. 불어는 어순이 통사적 관계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언어이다. 다시말하면, 문장내에서 차지하고 있는 위치에 의해서 각 요소의 기능을 정의할 수 있는 언어이다. 즉, 주어의 기능은 동사구와의 관계에 의한 위치로 정의된다. 그런데, 문제는 실제의 문장에서, 주어가 동사 좌측외의 위치에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문법서는 이것을 주어 도치 현상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런데, 이것은 명시적이지 못한 기술로 판단된다. 왜냐하면 불어는 두가지 형태의 도치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즉, 명사구 도치와 대명사 접어 도치가 바로 그것이다. 말하자면 대명사와 명사구가 들어 있는 문장안에서는 똑같은 구조일지라도 도치가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심지어는 동일한 의미 해석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다음 예문 (1-2)에서처럼 이것은 도치가 구조적으로 동일한 위치를 차지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일 것이다. 의미상으로 유사한 (1a)의 대명사 문장과 (1b)의 명사구 문장에서 (1b)의 문장은 비문이 되고있으며 (2)의 내포문에서는 대명사 도치와 명사구 도치가 모두 불가능하다. 이는 통사적으로나 의미적으로 명사구 도치와 대명사 도치가 별개의 제약과 관계되기 때문이다. 불어에서 명사구 도치는 부분의문문인 경우에 해당되며 대명사 주어 도치는 비내포문인 경우에 해당한다고 간주된다. 이로써 불어에서 주어 도치는 주어의 범주에서 대명사 도치 주어와 명사구 도치 주어를 구별해야 하며, 의문문의 형태에 있어서도 비내포문(1)/내포문(2)과 전 전체의문문 (interrogation totale)(1.2)/부분의문문(interrogation partielle)^1)으로 나눠 그 형태상의 제약도 구별해야 함을 알 수 있다. (1) a. Viendra-t-il demain ? b. * Viendra Pierre demain ? (2) a. Je ne sais pas si les enfants viendront. b. * Je ne sais pas si viendront les enfants. c. * Je ne sais pas si viendront-ils. 전통 문법에 따르면, 불어의 어순은 주어 + 동사 + 목적 보어의 어순이다. 그러나 R. Le Bidois 는 불어에 고정된 어순은 없다고 주장하며, 주어 도치 현상을 고유의 문법적 기능을 지니고 있는 통사적 현상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주어 도치 현상은 전통 문법에서 주장하는 대로 단순히 예외적 현상으로 보는 설명은 그 타당성을 결여하고 있으며, 이미 의문문에서나 관계절의 문장에서, 통사적 의미적 체계를 명시적으로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주어 도치 현상에 대한 분석에 들어가기에 앞서, 현대 불어 어순의 일반적 행태를 기술하였으며, 그 행태에 따른 어순을 결정하는 동기들, 즉, 어순의 기능을 Berrendonner의 논의를 빌어 고찰해 보았다. Berrendonner에 따르면, 불어의 어순을 결정하는 첫째 요인은 주제이다. 문장의 성격을 결정하게되는 것은 무엇보다도 동사의 특징이라 할 수 있으며, 이 동사의 특징에 따라 어순이 우선적으로 결정되는 것이다. 두번째 요인은 촛점화로서, 불어에서는 문장의 촛점으로 놓고자 하는 사항을 문장의 후미에 위치시키고자 하는 특성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다른 요인인 부각성의 기능에 의해 반박 될 수 있다. 이처럼, 어순 결정 요인이 상호 마찰을 일으키는 경우에는 중재를 통하여 최적의 선택을 하게 된다. 세 번째 요인은 경제성으로서, 불어에서는 일반적으로, 직접 목적 보어가 간접 목적 보어에 선행하는데, 이들 보어 사이에서 길이의 문제가 발생할 경우, 보다 짧은 보어를 선행하게 하려는 경향을 보이게 된다는 것이다. 네 번째 요인은 구조적 모호성을 회피하는 요인이다. 동일한 구조의 연속으로 구성된 문장은 동사와 목적 보어의 관계가 모호해지기 쉽다. 이 경우, 양태 부사를 중간에 위치시키려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모호성을 회피하기 위함이다. 다섯 번째 요인은 네 번째 요인과 비슷한 요인으로서, 동일한 전치사구의 연속일 경우, 이들의 인접성을 막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인접성 회피의 기능이라 한다. 마지막으로 부각성의 기능은 앞의 촛점화와 비교해 볼 수 있는 기능으로 명사 주어의 후치를 수반하는 경우가 많다. 한편, 불어에서는 명사구가 주어인 경우와 대명사가 주어인 경우의 도치에 있어서 특별한 통사적 행태를 나타내고 있다. 주어나 의문의 개념만으로 주어 도치 현상을 설명하는 것은 불충분하다. 접어 대명사의 도치는 명사구의 도치와는 다르게 독특한 위치와 특성과 의미해석을 지니기 때문이다. 어순의 특성은 통사적 차원에서 화용론적 차원에 이르는 다각적 현상이다. 부정 의문문은 어순에 따라 의미 해석의 차이를 크게 보이고 있다. 즉, 부정 의문문은 긍정의 지향성을 지니는 경우에만 도치를 하고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다음 (3)에서의 단언적 단어인 hein과 도치의 불양립성와 수사의문문의 단언성과 도치의 양립은 화용론적 원리에 의한 설명이 필요할 것이다. (3) * Es-tu de mon avis, hein ? 결국, 불어의 어순은 고정된 현상이 아니라 자의적이며, 통사적, 의미적, 화용적 특성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주어 도치의 경우에 명사구 주어 도치와 대명사 도치를 구별해야 할 것이다. Ce memoire a pour but de rechercher les caracterisques et les regles qui determinent l'ordre des mots en francais et d'en analyser les divers phenomenes. Le chapitre 1, constitue en quelque sorte une introduction a notre travail : y sont exposes et expliques les orientations de notre recherche et les procedes d'analyse choisis. Au chapitre 2, nous avons classifie et analyse les exemples des fonctions grammaticales. Avant que d'etablir, au chapitre 3, l'inventaire des fonctions assumes en francais par l'ordre des mots, puis d'en tirer des conclusions sur le type de structure que presentent les langues vivantes. La topique a pour premiere fonction, cells de signifiant porteur d'une information de nature logique. Son seconde role est i'identifier comme focus de l'enonce, le complement qui se trouve en derniere position dans le syntagme verval. Une troisieme fontion se manifeste comme permutation de longeur. Une derniere fonction de l'ordre des mots transparait a travers la valeur des constituants projetes. Au chapitre 4, nous essaierons d'analyser et d'expliquer l'inversion du sujet. La notion fonctionnelle de sujet ne sifft pas a definir les phenomenes d'inversion: on doit de plus distinguer entre les catagories de pronom clitique et de group nominal, la categorie du pronom clitique a des proprietes de position qui lui sont propreset qui le distinguent des GN. L'inversion du clitique se voit attribuer une interpretation semantique, ce qui n'est pas le cas de l'inversion du GN. Nous avons remarque que la grammaire transformationnelle propose des explications adequates concernant l'inversion du sujet dans les phrases interrogatives. Au chapitre 5, nous montrons comment l'ordre des constituants joue, dans les interrogatives, un role de marquage pragmatique. L'inversion n'est acceptable qu'avec les questions vehiculant une orientation positive. Celle ci presuppose un emploi externe et argumentatif de la negation, En parcourant les exemples d'inversion et les chevilles, avec des particules conclusives dans des questions notificatives, on note aussi une imcompatibitite dans tous les cas. Il semble donc que INV comporterait un trait qu'on pourrait nommer /+ interrogation/ imcompatible avec le trait /+ assertif/.

      • 명사구 내포문에 관한 한국어와 불어의 비교연구 : 문학작품 번역의 관점에서

        홍태숙 淑明女子大學校 2006 국내박사

        RANK : 249695

        Le passage de la traduction entre le coréen et le français révèle certaines différences de construction syntaxique, en particulier dans le domaine du syntagme nominal. A partir de ce constat, le présent travail se donne pour objet d'étudier les formes complétives du SN et les relatives en français et en coréen. Les deux constructions en français comprennent en commun la positon de 'que', syntaxiquement bien définie; elles ont la forme de 'N + Que + P'. En coréen, les relatives se rapprochent de la forme complétive du SN, dont les occurrences sont bien contraintes en français. La complétive de SN en coréen peut être suivie par trois types d'éléments possédant la fonction de nom-tête : nom dépendant, nom indépendant et Particule Nominalisée '-um' et '-ki'. Malgré leurs différences morphologiques, ils occupent la meême position dans l'ordre syntaxique et entraînent la même combinaison syntagmatique. Dans la position COMP, il s'agit de l'élément 'Que', tantôt connecteur pur au sein d'une complétive, tantôt pronom relatif ayant un rôle de connecteur ainsi que celui d'anaphore en français; tandis qu'en coréen, cet élément grammatical peut porter aussi les marques de l'aspect et du temps. La différence entre la complétive du SN et la relative, est que, d'une part, il y a une co-référence entre le nom-teête et la position vide dans la relative; et que, d'autre part, il n'y a pas de position vide dans la complétive. Le nom-tête de la complétive en coréen est sélectionné selon le contenant de la phrase enchâssée, ce qui montre la relation étroite entre les deux. En français, les occurrences de la complétive du SN sont très restraintes, mais la complétive du SV (par exemple; V + que + P, il faut que + P, etc.) est beaucoup plus fréquente. Donc, la plupart des complétives de SN du français se traduisent en coréen par des formes de complétive du SV. Cette forme syntaxique peut néanmoins se donner lieu d'exister avec quelques nom-tête dans la traduction du coréen en français. Quant à la relative, nous en distinguons deux types: la relative restrictive et la relative appositive. Cette classification est acceptée aussi en coréen, mais seulement dans le domaine sémantique, non pas dans celui syntaxique. Au sein de la construction de la référence de l'antécédent, la relative restrictive est l'élément indispensable pour le sens de la phrase entière; tandis que la relative appositive donne des informations secondaires sur l'antécédent, elle est un élément facultatif par rapport au sens de la phrase entière. Surtout, la relative restrictive du français a une tendance à se traduire par la même forme puisque la relative est la seule forme syntaxiquement valide en coréen. A cause de la relation plus lâche dans la relative appositive, elle se traduit en coréen par des constructions syntaxiquement diverses par exemple, des phrases indépendantes, des adjectifs, des participes passés ou d'autres formes de phrases subordonnées. En conclusion, la forme syntaxique en coréen est plus compliquée que celle du français, ceci causé par le système différent entre les deux langues. Le coréen dispose de particules et de suffixes, qui rendent possible la construction des phrases complexes sans transformation structurale de la phrase. Dans le cas de complétives, les complétives du SN en coréen correspondent à celles du SV en français. Quant aux relatives appositives, qui fonctionnent comme des circonstantiels sur le plan de la phrase entière, elles montrent la tendance à se traduire par des formes syntaxiquement variées, et c'est la même chose dans les deux langues. Par contre, les relatives restrictives gardent leur forme canonique. Nous mentionnons ici les deux problèmes que nous avons laissés de cÔté, car ils dépassent le cadre de notre travail: l'un porte sur 'Que', élargissant le domaine jusqu'à l'exclamatif et l'interrogation indirecte, l'autre sur les pronoms relatifs 'dont', 'où' et 'lequel'. Nous avons l'intention de traiter ultérieurement ces duex problèmes.

      • 불어의 과거와 완료의 의미가치 연구

        박윤미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논문은 불어의 과거시제인 단순과거/복합과거/반과거를 완료/미완료accompli/inaccompli로 설명하는 전통적 방식이 아닌 완료가치에 대한 Franckel의 이론을 고찰하고 그에 따른 여러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는데 있다. Ⅱ장에서는 전통적 방식과 반대되는 주장을 내세운 Kamp & Rohrer, Molendijk의 불어 과거시제들에 대한 정의 및 용법의 설명들도 살펴봄으로써 '완료'라는 개념이 단지 시제, 상, 양태에 의해 정의되고 구분되어지는 것이 아님을 보이고자 한다. 다음으로 Ⅲ장에서는 '완료'를 설명하는데 있어 중요한 개념인 상aspect과 사행의 양태mode de proce`s의 개념을 비교 분석하고 완료와 관계된 다양한용어들, 완료/미완료accompli/inaccompli, 완성/미완성perfectif/imperfectif 그리고 완료성/완수성accomplissement/ache`vement 개념까지도 정리해 보고자 한다. 상aspect과 사행의 양태mode de proce`s의 개념이 정리되었다면 Culioli가 말한 양적한정작용ope´ration de quantification:QNT과 질적인 한정작용을 하게 하는 질적한정작용ope´ration de qualification:QLT과 관계하여 사행의 종류를 세 가지로 분류해 본다. Ⅲ장에서, Franckel에게 의하면 '완료'의 개념은 사행의 개념체 영역domaine notionnel의 내부를 구조화하는 것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Culioli는 개념체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개념체 영역domaine notionnel이란 한 개념체notion를 표상할 수 있는 여러 출현소들로 이루어진 영역un domaine d'occurrences d'une notion이다. 즉, 언어활동langage중에 화자의 뇌리 속에서 전개되는 심리적이고 언어적인 현상인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총체적 개념으로서, 언어외적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언어활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마련된 이론적인 개념이다. Franckel에 있어서 '완료'라는 개념은, 주관적으로 설정된 것과 시간적으로 위치 결정된 것이 일치를 이룸으로써 나오는 가치로 파악되고 있다. 다시 말해, 종래의 언어학자들에게 있어서, 불어의 과거시제인 복합과거의 첫 번째 가치로 꼽혀온 '완료'라는 개념은, 화자의 주관성을 중시하는 언술행위 이론의 틀 안에서 분석하는 Franckel의 시각에서 달리 해석되고 있다. 이와 같이 주관성이 개입되어 나타나는 과거의 완료상은 다음의 세 가지 방법을 통해서 문법표지로서 나타난다. 첫 째는 전형에의 동일화 작용Identification a` un e´talon이고 두 번째는 <행해진 것>과 <행할 것>간의 일치관계Conformite´ entre le <fait> et le <a` faire>이며 세 번째는 추론관계의 이론Proble`me de relation de l'infe´rence이다. 다음으로 그는 완료를 목적보어의 한정작용의 측면에서 고려해 보았다. Franckel은 사행의 양적한정작용과 시간적 위치결정작용이 서로 무관하게 행해질 때, 사행의 외재성Extensite´ du proce`s을 구축하게 된다고 지적한다. 하나의 언술이 있을 때 사행의 출현소가 구축되었는지의 여부가 관건인데, 이 때 사행의 출현소는 두 가지 연접 방식에 의해 구축된다. 하나는 주관적 차원에서 유효가능한 것과 시간차원에서의 위치결정된 것 간의 일치관계가 성립할 경우이며 다른 하나는 개념적인 분할작용de´coupage에 의해 사행의 양이 한정되는 경우이다. 마지막으로 Culioli도 형식적 속성을 논한 바 있었던 결과적 상태를 그는 완료의 개념과 관련해서 살펴보고 있다. 완료 혹은 복합과거에 대해 논하면서 결과적 상태보다는 <상태의 변화가 일어난 후에 언술행위주체가 획득한 (결과적)상태acquis de changement d'e´tat>라는 용어를 제안했다. 결과적으로 이제까지 불어의 '완료'의 연구를 시제, 상, 사행의 유형의 세 가지 영역에만 한정되어 비교분석함으로써 불충분하고 부족하던 부분을 위와 같이 Franckel이 제시하는 방법을 통하여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는 것은 언어학의 발전에 있어서 중요하다. On a remise en cause quelques perpectives de la grammaire traditionnelle, cense´e une the´orie intuitive en y repe´rant quelques fautes car celle-ci est juge´e a priori insuffisante pour le traitement syste´matique des proble`mes complique´s relevants de la cate´gorie grammaticale de l'aspect. Nous nous appuyons sur la the´orie des ope´rations e´nonciatives de Culioli car sa the´orie a pour but de de´gager les invariants langagiers a` travers l'observation de la langue naturelle. D'apre`s Culioli, on doit toujours travailler sur le domaine notionnel, concept me´talinguistique qui articule le plan notionnel et le plan situationnel de l'e´nonciation parce que, autour de ce domaine notionnel, les proble`mes locaux relie´s a` la cate´gorie aspectuo-temporelle sont globalise´s. Contrairement a` la grammaire traditonnelle, dans le deuxie`me chapi^tre, on commencera par la the´orie de Franckel sur la valeur de l'accompli. En prenant en compt les analyses de la the´orie de Kamp & Rohrer et de Molendijk qui s'oppose a` la grammaire traditionnelle, on montrera que le concept du parfait ne peut e^tre classe´ seulement par temps, aspect, mode de proce`s. Dans le troiseme chapi^tre, pour une analyse de l'accompli, on distinguera celle qui est en relation avec les notions suivants: aspect, mode de proce`s, accompli/inaccompli, perfectif/imperfectif et accomplissement/ache`vement. Ensuite, on pre´sentera l'analyse du proce`s qui est en relation avec l'ope´ration de quantification(QNT) et l'ope´ration de qualification(QLT) de Culioli: Discret, Dense, Compact. Nous avons examine´ les rapports entre le proble`me de la termination du proce`s et les QNT et QLT du proce`s, parce que la relation entre ces deux proble`mes peut expliquer le mieux la valeur de l'accompli. Avec l'e´tat resultant, on en conclut que localisation et validation sont en relation d'ajacence, autrement dit, ils sont comple´mentaires de la classe d'instants l'une a` l'autre. Et on montrera que "la valeur de l'accompli" est en relation avec la subjectivite´. Franckel explique que la valeur de l'accompli est un <acquis de changement d'e´tat>. On peut distinguer trois cas. ⅰ) Identification a` un e´talon ⅱ) Conformite´ entre le <fait> et le <a` faire> ⅲ) Proble`me de relation de l'infe´rence Par conse´quent, la valeur de l'accompli est indivisible de la construction du domaine notionnel du proce`s. La valeur de l'accompli vient des divers interactions entre le plan subjectif et celui temporel.

      • 불어 자음 연쇄의 내부구조 : 지배 음운론적 분석

        권지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논문은 불어의 음절 구조를 지배 음운론의 틀안에서 분석해보고자한다. 지배 음운론은 보편 문법을 추구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다. 지배 관계 내에서의 지배와 종속은 보편 원리(principes)와 개별 언어에 특유한 매개 변수(parame`tres)에 의해 결정된다. 지배 음운론은 생성 음운론의 어떠한 규칙도 허용하지 않는다. 분절음을 구성하는 최초의 단위를 변별 자질 대신 e´le´ment으로 삼는다. e´le´ment은 모든 음운 현상을 설명하는데 중요하다. KLV는 모든 음운 현상은 e´le´ment의 결합과 소실에 의해 설명 가능하다고 본다. 즉 e´le´ment의 결합과 소실의 원인을 규명해 나가는 것이 지배 음운론의 원리이다. 음절 구조는 한 언어에서 단어의 음성연사적인 구조를 나타낸다. 한국어와 달리, 불어는 단어의 처음과 끝에 자음 연쇄를 허용한다. 이 논문에서, 지배 이론의 틀안에서 단어의 처음과 끝에 위치한 2중 자음 연쇄와 3중 자음 연쇄를 분석해 본다. 불어의 3중 자음 구조는 다른 언어(ex: 영어, 스페인어)와는 달리 단어의 처음과 끝에 위치할 수 있다. 2중 자음 연쇄의 경우, 단어의 음절 구조를 분명하게 설명할 수 있다. KLV의 지배 이론이 음운 현상 분석에 완벽하게 적용된다. 그러나 3중 자음 연쇄의 경우, 같은 방법으로는 분석이 불가능함을 확인하게 된다. 즉 3중 자음 연쇄에는 엄격한 제약이 존재한다. 다시 말해, s + p, t, k + l, r 과 같은 구조에서만 가능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분절음 s 앞에 빈 핵(le noyau vide)을 상정한다. ◁표 참조▷원문을 참조하세요 위 내부 구조를 통해 3중 자음 연쇄에 놓이는 문제를 지배 이론 안에서 자연스럽게 해결한다. 이 구조로는 2중 자음 연쇄와 3중 자음 연쇄의 내부 구조를 같은 방법으로 분석이 가능하게 된다. I. Cette e´tude vise a` expliquer les structures syllabiques du franc¸ais dans le cadre de la the´orie de la phonologie du gouvernement. La phonologie du gouvernement a pour but de rechercher la grammaire universelle de la phonologie. Elle tente d'atteindre ce but par l'e´tude des possibilite´s de poss der un petit nombre de principes universels avec des parame`tres qui sont propres a` chaque langue. La phonologie du gouvernement ne laisse aucune place aux re`gles de la phonologie ge´ne´rative. L'unite´ premie`re qui constitue le segment n'est pas les traits distinctifs, c'est l'e´le´ment. Dans cette the´orie, c'est l'e´le´ment qui se charge d'expliquer tous les phe´nome`nes phonologiques. KLV croient que tous les phe´nome`nes phonologiques peuvent s'expliquer par des compositions et des de´compositions des e´le´me´nts. La phonologie du gouvernement est donc la th orie phonologique qui cherche a` e´claircir les causes des compositions et des de´compositions des e´le´me´nts. II. Les structures syllabiques repre´sentent la structure phonosyntactique des mots dans une langue. A la diffe´rence du core´en, le fran ais permet la se´quence des consonnes au de´but du mot et a` la fin du mot(y compris a` l'inte´rieure du mot). Dans cette e´tude, nous avons analyse´ la se´quence de deux consonnes et puis celle de trois consonnes au de´but et a` la fin du mot dans le cadre de the´orie du gouvernement. Dans le franc¸ais, la se´quence de trois consonnes peut se trouve au de´but du mot et a` la fin du mot, ce qui fait la diffe´rence entre le franc¸ais et les autres langues(comme l'anglais, l'espagnol etc.) En ce qui concerne la s quence de deux consonnes, nous avons explique´ nettement les strucures syllabiques des mots, La the´orie du gouvernement de KLV s'applique parfaitement a` l'analyse des phe´nome`nes. Mais il n'en va pas de me^me pour la se´quence de trois consonnes. Il y a la forte restriction pour cette se´quence, ce qui veut dire qu'elle n'existe que dans la struture comme s + p, t, k + l, r. Cette condition ne va pas avec celle de strictement adjacent de la the´orie du gouvernement. Nous avons donc propose´ le noyau vide devant le segment s dans cette se´quence pour re´soudre cette proble`me : ◁표 참조▷원문을 참조하세요 Avec cette structure interne, nous avons re´gle´ dans la the´orie du gouvernement les proble`mes que pre´sentent la se´quence de trois conson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