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함초 요구르트의 품질특성과 변비 해소 효과

        조영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요구르트에 변비에 효과있는 약초로 알려진 함초를 추출한 수용성 식이섬유소를 첨가하여 요구르트의 품질특성을 살펴보고, 함초 추출물과 함초 요구르트의 장 기능 및 변비 질환 개선 효과를 검토하였다. 함초 추출물의 일반성분 분석 결과 함초에 비해 수분과 조지방의 함량은 낮았으나 조단백질과 조회분의 함량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함초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과 관능 평가에서 높게 평가된0.25, 0.5% 함초 요구르트의 일반성분 분석의 결과 함초 요구르트는 수분을 제외한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의 함량이 대조군 요구르트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5℃에서 15일간 저장 기간 중 함초 요구르트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pH와 적정산도, 점도, 색도 a값과 b값, 그리고 관능 평가 시 유의적인 차이 없이 안정하였으나 색도 L 값은 미미하게 감소되었으며 젖산균수는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대조군 요구르트와 비교하여 함초 첨가량이 요구르트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pH는 대조군 요구르트가 제조 직 후 4.32로 함초 요구르트에 비해 높았다. 적정 산도는 제조 직 후 0.86%로 대조군 요구르트가 함초 요구르트에 비해 낮았다. 점도는 함초 첨가량이 높을수록 낮아져 1.0% 함초 요구르트가 제조 직 후 768.67 cPs로 가장 낮았다. 젖산균수는 함초 첨가량이 높을수록 높게 측정되어 1.0% 함초 요구르트가 제조 직 후 8.90 log CFU/mL으로 가장 높았다. 요구르트 색의 밝기를 나타내는 L 값은 함초를 첨가할수록 낮아져 대조군 요구르트가 제조 직 후 75.1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a값과 b값은 함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져 1.0% 함초 요구르트가 제조 직 후 각각 -0.25, 11.65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관능적 특성에서 1.0% 함초 첨가 요구르트는 기호도가 낮았으나 0.25, 0.5% 함초 첨가 요구르트는 모든 항목에서 대조군 요구르트에 비해 기호도가 높게 평가되었으며 특히 0.25% 함초 요구르트의 전체적인 기호도가 가장 높았다. 함초 추출물을 식수에 첨가하여 장 이동률을 살펴본 결과 대조군에 비해 함초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 활성탄 식이의 장 이동률은8.5~16.4% 증가되었다. 함초 추출물의 변비해소효과는 함초 추출물을 식수에 녹여 공급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함초 추출물을 3 mg/mL처리한 군에서의 변량이 식수 섭취량과 관련하여 최대 156% 증가하였다. 또한 함초 요구르트의 변비해소효과는 0.25% 함초 요구르트의 공급으로 변비 유발기간 내 변량이 최대 150% 증가되었으며 대조군에 비해 loperamide를 계속 섭취함에도 불구하고 변비가 해소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함초 추출물과 함초 요구르트는 장 이동률을 증가시켜 장 운동을 촉진 할 뿐만 아니라 변비 해소작용까지 나타내어 장 기능 개선에 효과가 있으며, 따라서 함초는 기능성 요구르트 개발에 천연물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가진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create a functional and stable yogurt product. A new type of yogurt was prepared from milk with slander glasswort extract added at 0.25, 0.5, and 1.0% (w/v), and then fermen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bulgaricus and Streptococcus thermophilus) at 42℃ for 6 hr. The yogurt products were evaluated for their characteristics, and for the slander glasswort’s effects for improving bowel function and relief from constipati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yogurts were evaluated in terms of acid production (pH and titratable acidity), levels of lactic acid bacteria, color values, viscos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during a period of 15 days of storage. The pH was highest in the control yogurt,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during the storage period. Titratable acidity was highest in the 1.0% slander glasswort yogurt, and agai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during the storage period. Levels of lactic acid bacteria increased over the storage period in both the control yogurt and slander glasswort yogurts, and were measured to be highest in the 1.0% slander glasswort yogurt. The L-value was lowest in the 1.0% slander glasswort yogurt, but it had the highest a- and b-values. The viscosity of the yogurt with added slander glasswort extract was lower than the control. The sensory evaluation of the 0.25% slander glasswort yogurt was higher than the other groups for color, flavor, viscosity, sweetness, sourness, and overall palatability. By summing up the results of the sensory evaluations, the 0.25% slander glasswort yogurt was proven to be the best. The transit movement of charcoal meal in Balb/C mice was measured by adding slander glasswort extract at 0.36, 0.72, and 1.5 mg/mL concentrations to their drinking water. Constipation relief effect was investigated in Sprague-Dawley rats with loperamide-induced constipation, by adding slander glasswort extract at 2, 3, and 4 mg/mL concentrations into their drinking water, and by adding slander glasswort yogurt of 0.0, 0.25, and 0.5% slander glasswort concentrations into a 10-fold amount of water. The rate of transit was increased 16.4% as compared to the control by adding 1.5 mg/mL of slander glasswort extract. Constipation relief increased from 128% to 156%, as compared to the control by adding slander glasswort extract, and increased from 107% to 150%, as compared to the control by adding the slander glasswort yogurt. Based on the results, the slander glasswort was considered to have effects on improving bowel function and relieving constipation.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indicates that slander glasswort extract and slander glasswort yogurt could be used as functional and stable foods.

      • 공허(空虛)한 기억 이미지의 회화적 표현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조영심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간은 타자와의 관계를 맺고 함께 공유하는 삶을 살아간다. 때문에 무언가 함께 공유하고 있는 환경이나 경험, 기억들은 개인과 사회, 개인과 개인에 중요한 연결고리가 된다. 본 논문은 기억을 통해 나타나는 이미지의 형상화 과정과 표현에 대하여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본인의 작품 제작 동기, 작품의 의미에 대하여 이론적 근거의 틀을 형성하여 앞으로의 작업방향을 세우는데 목적이 있다. 사소했던 일상의 경험을 통해 기억은 과거의 상황으로 기억의 주체인 인물을 소환하고, 파편화 된 기억은 현 상황의 이미지로 재조합되어 형상화 된다. 보편적으로 과거의 경험과 사건은 정서적 이미지로 형상화되는데, 본인에게 있어서 강하게 자리 잡은 정서적 사건의 이미지는 이별의 기억이다. 그러나 본인 작품에서 보여 지는 이별과정에서 보았던 이미지들은 역설적으로 이별의 아픔을 직접적으로 전달하지 않는다. 이런 은유적 표현으로 제시된 공허한 공간표현의 이유는 고통스런 이별 기억을 치유하고자 하는 일련의 자의식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은유성을 갖는 주관적 감정의 표현은, 어떤 삶의 보편적인 의미로 확장되어 표현될 수 있을까?하는 질문을 갖게 하였다. 의지의 유무에 상관없이 많은 인간은 이별을 경험한다. 이별은 물리적으로 거리감을 둘 수도 있지만, 심리적으로 감정의 단절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는 공유의 감정과 정서를 더 이상 이행할 수 없음을 말한다. 이후 이별로 온 단절은 기억과 공간을 공허하게 바꾸어놓는다. 본인 작품은 논리적일 수 없는 감정의 상태를 언젠가 보았던 낯익은 공간위에 이별의 장면으로 펼쳐진다. 경험된 이별의 기억을 상기하고 소환하여 구성된 왜곡의 기억과 서사적 이미지를 표현함으로 소중함과 진실의 의미를 알고자 하였다. 타인과 함께 공유했던 기억과 경험들이 어떠한 사건을 통해 관계의 단절과정에 직면했거나 단절되었던 기억이 강하게 각인되었다면 그것은 큰 상실감과 외상(Trauma)으로 남을 것이다. 본인은 이러한 경험과 기억을 바탕으로 상실에서 오는 공허한 감정을 확장과 재구성을 통해 우리 모두가 한번쯤은 경험했을 보편적 의미를 찾고, 시각화하는 과정에서 분석 연구하고자 한다. 앙리 베르그손은 「물질과 기억」에서 개인적인 삶의 범주 안에서 일어나는 경험에 관한 일화기억으로 이러한 기억들은 자전적 기억이라고 하며, 자전적 기억의 일대기에서 특별하게 각인된 정서적 사건은 삶에 중요한 의미를 부여한다고 밝혔다. 또한 심리학자 브라운과 클릭에 의하면 강한 정서적 사건은 섬광기억으로 남아 사건 전체의 장면을 찍은듯하여 사건과 관계없는 자세한 이미지까지 불현 듯 떠올려진다고 한다. 예를 들면 본인에겐 아주 사소한 이미지가 비자발적 기억으로써 이별과정에서 보았던 유난히 눈에 들어왔던 햇빛에 반사된 눈부신 천 주름 이라던지, 지나치던 풍경이나 장소 같은 것들이다. 또한 이미지들은 확장되고 연상되기를 반복하면서 눈부신 치맛자락으로, 빛을 담은 담벼락으로 깜깜한 그림자등 공허한 기억의 형상화가 나타난다. 이러한 본질적 개념과 특성을 바탕으로 본인의 회화적 표현을 고찰해보았다. 또한 기억의 과정에서 나타난 공허한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해 주제와 형식에 있어서, 같은 맥락으로 연구하고 표현한 작가들의 작품을 이해하고 분석하여 본인의 작품에서 발전적 계기를 갖고자 하였다. 끝으로 본 논문과 작품을 통하여 우리 모두는 누군가에게 소중한 관계였음을, 누군가는 나에게 진실한 관계였음을 불현 듯 떠 올릴 수 있기를 소망하며, 본인에게 있어서 창작활동을 하는데 긍정적 계기가 구축되는 근간이 되었음을 밝힌다.

      • 趙泰億의 使行文學 연구 : 對日觀을 중심으로

        조영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1711년 신묘사행의 정사 趙泰億(1675∼1728)의 사행문학을 통해 그의 대일관을 연구하였다. 1711년 신묘사행은 임란 이후 시작된 조선후기 통신사행에 있어서 시기적으로 중간에 놓인 사행이며, 회차로는 여덟 번째 사행이다. 조태억은 정사로 일본을 사행하며 그 체험을 개인문집인 『謙齋集』6, 7, 8권에「東?錄」으로 남겼다. 그러나 『겸재집』이 미간행 문집인데다가 「동사록」이 『海行摠載』에 실리지 못해 접근성이 떨어져 사행문학 연구에 있어서는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또한 이 시기의 사행문학이 여항 문인들에게 초점이 맞춰져 있었기 때문에 정사로서 일본을 사행한 조태억 연구는 사행문학 연구의 주류를 차지하지 못했다. 현재까지 조태억 개인을 조망한 연구는 없었으며, 대체로 막부의 집정관으로 통신사 접대를 담당한 新井白石와 관련된 연구에서 조태억이 거론되었다. 신묘사행은 이전 회차인 1682년 임술사행부터 조일 양국 간에 늘어나기 시작한 문화적 교류의 분위기를 타고 많은 교류의 흔적을 남긴 사행이다. 조태억도 이러한 문화 교류의 흐름에 합류하고 있었다. 제술관 1인, 서기 3인이라는 사문사 체제가 정립된 이 시기, 조태억은 정사였기 때문에 일본인과의 시문 교류에 의무가 없었지만 그의 「동사록」에는 일본인들과 교류한 시들이 다수 포함되어있다. 그리고 이 시들 중 일부는 일본에서 간행된 필담창화집 23종에 수록되어 있다. 이 밖에서 일본인에게 보낸 서문과 贊, 銘이 『겸재집』내에 수록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자료들에는 일본인과의 교류뿐 아니라 일본에 대한 조태억의 선험적 인식과 일본 각 지역에서의 견문 및 술회가 드러나 있어 조태억의 대일관을 살필 수 있는 좋은 자료로 활용되었다. 위의 자료를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조태억이 일본을 체험하기 이전에 지니고 있던 일본에 대한 선험적 인식과 주변인들의 ?章을 통해 사행에 임하는 태도를 세 가지로 나누어 살폈다. 먼저, 조태억은 일본 사행을 새로운 유람으로 생각하고 기대했으며 주변인들도 일본의 자연 경관을 즐기고 돌아올 것을 당부했다. 두 번째로 임진왜란이 끝난 후 100년이 지난 시기였지만 일본이 임진왜란의 주범국이라는 것에 적개심을 지니고 사행에 임했다. 일본이 전쟁의 원흉이라는 사실은 주변인들도 잊지 못하는 터였지만, 일본에 대해 복수의 의지를 다지는 인물이 있는가 하면, 과거보다 현재의 교린 상태를 중요시하여 和로써 대할 것을 당부하는 인물도 있었다. 마지막으로 조태억은 존화주의에 입각하여 일본을 이적시하며 사행에 임했다. 조태억의 주변인들도 마찬가지로 일본에 대해 이적으로 파악하는 관점을 지녔다. 기본적으로 조선을 오랑캐인 일본보다 우위에 두는 입장에서, 회유와 유화책으로 일본인을 대할 것을 당부하거나 인간의 본성과 감정은 같은 것이라는 이해 아래 대등하게 대해야 함을 강조했다. 실제 일본을 체험하며 선험적 인식과 태도는 유지되거나 변형되었다. 이 과정에서 일본 체험을 통한 조태억의 대일관이 형성되었다. 본고에서는 조태억의 대일관을 일본의 자연, 일본의 문물, 일본인에 대한 것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먼저, 조태억은 일본의 자연을 긍정적으로 바라봤다. 기행시와 창화시를 막론하고 일본의 승경을 찬미하였으며, 자연을 우열논쟁의 대상으로 파악하지 않고 일본의 것이더라도 좋으면 받아들이는 태도를 보였다. 두 번째로 일본 문물의 장점을 포착하는데 주력했다. 임진왜란의 주범으로 여겨지던 豊臣 가문을 무너트린 德川 가문의 위업을 높이는 것으로 일본에 대한 적개심을 해소한 후 일본의 번화와 좋은 점을 시의 소재로 삼았다. 일본의 우수한 풍속을 기록했으며 중국의 제도와 비교해 우월성을 인정하기도 했다. 마지막으로 일본인에게서 교화의 가능성을 발견했다. 新井白石을 만나 소통하면서 武國으로 인식했던 일본이 文을 향해 변화해가는 분위기를 느꼈고 중화로의 교화를 유도했다. 시문에 익숙하지 않은 일본인에게도 시문을 보내어 文을 통해 소통하려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조태억이 일본을 체험하기 이전에 지니고 있던 일본에 대한 선험적 인식은 당대인들이 보편적으로 지니고 있던 것이면서도 조태억이 속한 소론계의 일본 인식과 맥을 나란히 하는 것으로, 적개심과 이적관을 유지하면서도 일본에 대해 우호적인 태도를 강조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조태억이 실제 체험한 일본은 훌륭한 자연 경관을 지녔고 앞선 제도 등 좋은 을 발견할 수 있는 공간이었으며 文에도 관심을 보이는 나라였다. 이에 기본적으로 우호적인 태도를 지녔던 조태억은 일본에 대한 이해와 인정의 범위를 넓히고 그들에게 한 발짝 나아가 포용하려는 대일관을 보였다. 비록 중화주의나 화이관에서 탈피하거나 실학적 태도로 일본을 배우는 것에까지 미치지는 못했지만 일본에 대한 열린 자세는 선구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시기의 연구들은 대체로 위항 문사들에게 초점을 맞추었지만 정사였던 조태억도 문화교류의 일면을 차지했으며 대일관에 있어서도 상당히 포용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조태억 개인에게 있어서는 사대부로서 경직되지 않은 대일관을 지닌 인물이었다는 점에 그의 사행문학 연구에 의의가 있다. 한편으로 사행문학사의 흐름 속에서 홍세태·신유한 및 여항의 문인들과 함께 사행문학이 심화를 이루는데 초석을 다졌다는 것에 조태억 사행문학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일 지역 사회복지관 이용노인의 삶의 질 예측요인 : 노인의 삶의 질 예측요인

        조영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본 연구는 대상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예측 변인을 확인하고 이들 상호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복지관 이용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기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전남 M시에 소재한 2곳의 사회복지관을 이용하는 60세 이상 노인 184명이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1년 5월 13일부터 6월 30일까지였다. 연구도구는 PHQ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신체증상도구, 한국형노인우울척도(Korean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K-GDS ), 홍주우(1999)의 사회적지지 측정도구 및 노유자(1988)와 권재일(2011)이 개발하고 수정한 삶의 질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PASW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Kolmogorov-Smirnov test로 정규성을 검증하고 t-test와 One-way ANOVA, Scheffè test로 분석하고 Pearson’s correlation 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다단계중회귀(multiple stepwise regression)분석을 하였다. 도구의 신뢰도 검증은 Cronbach's Alpha 계수로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여성 비율이 약 60.0%, 평균연령은 74.6세였으며, 종교가 있는 군이 74.5%, 배우자 없는 군이 53.8%였다. 평균 자녀수는 3.6명 이었다. 직업이 없는 군이 84.2%, 월 평균 용돈은 20만원 이하 군이 46.4%이었으며, 자기소유 주택군이 61.4%였으며, 독거 노인이 40.8%이었다. 건강상태는 나쁘다와 매우 나쁘다로 지각한 군이 42.9%였다. 대상자의 삶의 질 점수는 남성, 유배우자, 무학군에 비해 초졸, 중졸, 고졸군이, 유직업군, 월 용돈 40만원이상군, 자기 소유주택 군에서 삶의 질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고 건강상태가 좋다, 보통이다, 나쁘다 순으로 유의하게 삶의 질 점수가 높았다. 또한 대상자의 삶의 질 점수는 우울과 신체증상 점수와는 각각 중등도 이상의 역상관을 보였으며 사회적 지지 점수와는 중등도의 순상관을 보였다. 대상자의 삶의 질 예측 요인으로는 우울, 사회적지지, 성별, 건강상태, 배우자여부로 삶의 질에 대한 총 설명변량은 64.0%였다. 결론적으로 복지관 이용노인의 삶의 질 점수는 배우자가 있는 남성노인에서 그리고 사회적 지지가 높고 건강상태가 양호하다 또는 보통이다로 지각한 경우, 그리고 우울 점수가 낮은 집단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설명되었다. 따라서 배우자가 없고 사회적 지지가 결여된 여성노인 그리고 우울 점수가 높은 경우, 건강상태가 불량하다로 인지한 군을 대상으로 삶의 질을 증진하기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지원 전략이 필요하다. 즉, 복지관을 이용한 노인을 대상으로 신체증상을 완화하고 우울을 감소하고 사회적 지지를 개선하는 전략접근이 강조되는 복지정책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겠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redictors influencing on the quality of life for elderly. Subjects were one hundred eighty-four, over 60 years old of two community welfare facilities at M city. Research tools wer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PHQ) for subjective physical symptoms, Korean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K-GDS), social support tool developed and modified by Park (1985) & Hong (1999), and Quality of life tools developed and modified by Noyuja (1988) & Gwon (2011). Data was collected from 13th May to 30th June, 2011 and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using PASW 18.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tools, the Cronbach's alpha's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A total of 110 persons (60%) was women and the average age was about 75 years old. Also it showed the illiteracy or elementary school graduate was 49.7%, the married was approximately 47.0% and no spouse was 53.8%, the unemployed was 84.2%, and the lower economic level was 51.6%. The total of self-owned housing was 61.4%, living alone are 40.8%, and very poor to poor at perceived health status was 42.9%. The score of quality of lif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therwise, at group of men, people with spouse, people educated to middle or high school, with job, with more monthly pocket money, with self-owned housing, and with good health status. It showed the score of quality of life was negative associated with scores of depression and physical symptom, and positive associated with social support, respectively Predicting factors influencing on quality of life were depression, social support, gender, the perceived health status 'well and average' , spouse. Total variance of explained quality of life was sixty four-percent. In conclusion, it was found high relationship among quality of life, physical symptoms,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but predicting factors of quality of life significantly were depression, social support, men, good health, and spouse. Physical symptoms was excluded from predictor due to offset by other significant factors. Therefore, it's recommended as nursing intervention strategies to promote quality of life for elderly people in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 that mitigating physical symptom and depression, improving social support for elderly with no spouse, perceived poor health status, and elderly women.

      • 배드민턴 운동프로그램이 대학생들의 체력 및 신체구성에 미치는 영향

        조영심 群山大學校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pplies 12-week badminton program to university students to prove its effects on their physical strength and body composition. The study subjects are 16 male students going to N university in Chungcheongbuk-do. The 12-week badminton program had been performed three times a week. Each session consists of 60 minutes exercises: warm-up exercise (5 minutes), main exercise (50 minutes), and cool down exercise (5 minutes). The variables to analyze are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strength, and their changes for 12 weeks are analyzed. Regarding data processing,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s and paired t-test are conducted to examine mean difference between measurement periods of each group, and between groups in each measurement perio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of each item is set to .05. This study comes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among physical strength factors, cardiovascular endurance, muscular endurance, balance, agility, and the ability to react instantl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cause of the interaction between period and group. It was proved that their participation into badminton program improved their physical strength. Secondly, among body composition factors, body fa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cause of interaction the interaction between period and group. It was found that their participation into badminton program reduced their body fat. In conclusion, the 12-week badminton program was positively effective in the physical strength and body composition of the university students. If the future research proves that the program also improves social and psychological factors, it will be more meaningful.

      • 채도 개선을 위한 적응형 화질향상 프로세서 설계

        조영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CRT(Cathode Ray Tube) 및 평판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 FPD)를 채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여러 분야에 응용되고 있으며, 응용 분야에 따라 다양한 해상도와 고화질을 요구하고 있다. 고화질의 영상을 얻기 위하여 영상처리를 이용한 화질향상을 필요로 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컬러 영상에 적합한 화질향상 기법을 제안 하였다. 제안한 기법은 입력 영상의 명도 향상을 위한 MIE기법과 채도 향상을 위한 MSE기법으로 구분된다. MIE기법은 휘도 신호 처리 시 발생하는 색 재현 문제 및 과도한 밝기 변화를 제어하기 위한 기법이고, MSE기법은 색차 신호 처리 시 발생하는 De-Saturation 혹은 Over-Saturation의 발생을 제어하기 위한 기법이다. 제안한 기법은 인간의 시각선호색을 중심으로 연산하며, 전체 영상에 균등하게 적용하는 것 보다 고품질의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제안한 기법의 검증을 위하여 Visual C/C++ 6.0을 이용하여 원영상과 처리된 결과 영상의 화질 평가를 위한 시각적 검증과 히스토그램 표준편차를 도입하였다. 제안한 기법은 Verilog HDL(Hardware Description Langage)을 사용하여 설계하였으며, 색 공간 변환 블록, MIE 블록, MSE 블록 동기신호(synchronous signal) 추출기 및 ADC/DAC 컨트롤러와 메모리 컨트롤러 등으로 구성된다. 연산량과 하드웨어 복잡도를 줄이기 위하여 소숫점 연산 및 곱셈 연산 시 베럴쉬프트(Barrel Shift)를 이용하였다. FPGA는 Xilinx사의 Virtex 600e를 사용하여 Synplify Pro로 합성을 하였다. 시뮬레이션은 Modelsim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CRT(Cathode Ray Tube) or FPD(Flat Panel Display) display systems have currently been being applied to the various fields and require much resolution and high quality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fields. Image enhancement method needs for getting the high quality image. Image enhancement approaches fall into two broad categories: spatial domain methods and frequency domain methods. In this thesis, we propose an adaptive image enhancement techniques. The proposed techniques are classified with the MIE technique for intensity enhancement of input image and MSE techniques for saturation enhancement. The MIE technique is proposed to control the gamut mapping problem and a sudden change in image-brightness while Luminance signal is processing. The MSE techniques are proposed to control de-saturation or over-saturation while chrominance signal is processing. The proposed techniques are focused on processing preference color for human vision in order to generate better image quality than the algorithms focused on processing uniformly to whole images. Visual test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tested image histogram have been introduced to evaluate the result images of the proposed method and the conventional one using Visual C/C++ 6.0. The proposed method has been designed and verified by Verilog HDL(Hardware Description Language). It consists of several blocks: Color space conversion block MIE block, MSE block, synchronous signal detector and generator,and ADC/DAC , memory controller etc. In consideration of the complexity of hardware and the amount of operation, it has been designed using barrel shifter instead of multiplier and floating point operation. It has been synthesized by Synplify Pro using Xilinx VirtexE FPGA and simulated by Modelsim.

      • 疑問文의 話用論的 意味分析 硏究

        조영심 全州大學校 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English Questions and explain them based on pragmatical approaches. Most studies on questions are centered around morphological constructions and their transformations until now. The studies on questions from the view points of semantics ate rare. We have not been concerned about the hidden meanings in questions which can be explained only when we try to characteries them within framework of pragmaticis. First, we will examine morphological and transformational problems which are related to questions. Then we will consider the meanings of the questions. Those tasks are accomplished when we explain their implications properly. We are unable to do this with the help of those concepts in morphology and transformational syntax. We need to use the concepts of pragmatics through which we can all the meanings of questions. We can explain the intricate meanings of questions when we consider the pragmatic concepts related to speaker, hearer, presupposition, focus, context, illocutionary force of speech act, etc. We cannot do well in the framework of transformational syntax. We must explain the meanings of questions not on syntactic or semantic approaches but by pragmatic approaches. Chapter II, I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questions and comment the different types of questions with the perspectives of Jespersen(1933), Quirk et al(1985). And I will explain them transformational syntax method. Chapter III, I consider the meanings of questions from the view points of semantics in order to show all the meanings of questions. I also try to present the inherent and fundamental meaning properties of questions which I want to explain later. Chapter IV, I discuss and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meanings of questions based on pragmatic theories which we can find in many scholars such as Austin(1962), Searle(1969), Ross(1970), Sadock(1970), Gordon-Lakoff(1972) Finally, Chapter V, I summarize the discussions and present a comprehensive conclusion.

      • 은유의 인지언어학적 연구

        趙英心 全州大學校 200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show that metaphor is not a stylistic device for rhetorical flourish, but an important factor in the development of our understanding, a factor that is based upon the mapping of one's conceptual domain (the source domain) onto another (the target domain). Thus, metaphor is not a deviant expression as Transformational grammarians argued, but an ordinary expression that is persuasive in our everyday life, not just in language but in thought and action. Further it is shown that metaphor is basic not only to our language but also to our cognition in general.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by chapter subject: In chapter 2, metaphor is examined from the viewpoints of syntax, semantics, pragmatics, and cognitive linguistics. Although the characteristics of metaphor suggested in the first three fields are good for representing a few important features, they definitely have weaknesses in that they are unable to explain the role that metaphors perform in our understanding when centering on conceptualization. Those characteristics of metaphor can be captured through a discussion of metaphor from the viewpoints of cognitive linguistics. They consist of three types of metaphors; structural, orientational, and ontological. In chapter 3, the methods used to explain metaphor are examined from both philosophical and linguistic approaches; the former is substitution theory comparison theory, and interaction theory, while the latter consists of syntax, semantics and pragmatics, along with that of cognitive linguistics. The philosophical and linguistic approaches explain quite well the meanings of metaphor, especially when based on the concept of similarities among many factors, but all of them have weaknesses in not being able to explain metaphors when difficulties arise in finding similarities between target domain and source domain in the actual world. Those problems can be solved if metaphors are interpreted from the cognitive linguistics point of view that accepts the attitudes of synthesis against analysis, realism against idealism, and experientialism against objectivism, as well as the so-called prototype theory, schema theory, and Gestalt theory. In chapter 4, metaphors in poems are examined by analyzing two poems:"Beside Chrysanthemums," a Korean poem, by Seo Jeongju and "Stopping by Woods on a Snowy Evening," by Robert Frost. The metaphors in two poems cannot be interpreted through philosophical or linguistic approaches, but we can explain them if we interpret them with the cognitive linguistic approach, especially with the help of such concepts as the Great Chain of Being and the Metaphor of Kin. And we can show that these poems can be interpreted without the tools that literary critics have used so far, including biographical facts about authors, insights gained from author's comments, the zeitgeist, or traditions of poems, and genres of poems. This means that metaphors are a basic and important factor even in interpreting those creative aspects of language caused by new views of objects in our world.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shown, through the examples of ordinary languages and poems in Korean and English, that metaphor is a common expression pervasive in every type of language, from everyday speech to poems, and that metaphor is not related only to language, but also to our cognitive acts in general.

      • 내시경점막하박리술에서 Midazolam의 단독 투여와 Midazolam, Propofol 병용요법 간의 비교 연구

        조영심 충북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Background and aims: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ESD) requires adequate patient sedation in order to carry out the procedure successfully. Propofol is a well known, useful sedative for endoscopic procedure. The aims of this study were: 1) to compare patient sedative effect and tolerance during ESD procedure between midazolam (M) and a combination of midazolam and propofol (MP), and 2) to compare complications between two sedation regimens. Patients and methods: A total of 44 consecutive patients, ASA I or II, undergoing ESD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two study arms, from May 2008 to May 2009. In M group (n=22), each 2 mg of midazolam were given repeatedly to maintain proper sedation after administering 5 mg of midazolam. The maximum amount of midazolam could not be over 15 mg. When the patient need more sedation, the propofol was used instead of midazolam. In MP group (n = 22), the patients initially received 5 mg of midazolam and 20 mg of propofol. Then, the dose was gradually increased by 20 mg for deeper sedation. The total amount of both sedatives and operation time were measured. Also vital signs (blood pressure, heart rate, respiration rate, oxygen saturation) were monitored. Recovery time was assessed using Aldrete scoring system. The patient's tolerance to the procedure were assessed by visual analogue scale. The degree of sedation was evaluated under several items such as patient's activity, suction rate, operator's satisfaction. The occurrence of bleeding and atelectasis was checked to find out complication rate. Results: Between the two groups, age and sex ratio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average operation time in M and MP group was 50 minutes and 49 minutes. The average amount of midazolam was 12 mg in M group. The average amount of midazolam and propofol was 5 mg and 181±54 mg in MP group. Ten patients (45%) in M group were shifted to propofol because the amount of midazolam reached the maximum. The average amount of propofol in M group (154.00±122.49 mg) was similar to those in MP group. The decline in oxygen saturation, decrease in respiration rate and blood pressure, change in heart rate, and the complication rat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Gag reflexes and operator's discomfort during the procedure were less in the group MP than in the group M. The paradoxical movement of patient in the MP group was less than those in M group. Conclusions: During ESD, propofol with low dose midazolam provided greater satisfaction for operator in comparison with midazolam alone. Propofol is believed to be a useful, safe sedative agent for ESD as long as a proper monitoring of vital signs is possible. 배경: 조기위암이나 위형성이상의 내시경적 제거를 위한 내시경점막하박리술(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ESD)의 시술 례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ESD를 시행하는 동안 환자를 진정하는 두 가지 방법으로서 midazolam 단독요법군(M군)과 midazolam과 propofol 병용요법군(MP군)으로 나누어 각 군에서 진정효과, 안전성, 부작용 등을 비교하여 보고자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5월부터 2009년 5월까지 충북대학교병원에서 ESD를 시행 예정인 환자 중 ASA 등급 Ⅰ및 Ⅱ에 해당하는 44명을 midazolam군(M군, n=22), midazolam과 propofol 병용투여군(MP군, n=22)으로 각각 무작위 배당하여 전향적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양 군 모두 시술 전 scopolamine 20mg, pethidine HCl 50mg을 정주한 후, M군에서는 midazolam 5mg으로 초기 진정을 유도한 후 2mg씩 증량하면서, midazolam 총 투여량이 최대 15mg에 이르면 더 이상 투여하지 않았고 이후 환자의 움직임이 심하면 propofol로 전환하여 사용하도록 하였다. MP군은 초기 진정 유도를 위해 midazolam 5mg과 propofol 20mg의 초기용량을 투여한 뒤, 진정이 유지되지 않는 경우에 propofol을 20mg씩 추가 투여하였다. 각 군에서 midazolam과 propofol의 총 투여량, ESD에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였고, 시술 전후와 시술 시작 이후 10분 간격으로 혈압, 심박수, 호흡수, 산소포화도를 모니터링 하여 약물의 안전성을 조사하였다. 회복 시간은 시술 종료 후 Aldrete score가 10점에 이르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였고, 시술 종료 1시간 후와 다음날에 환자와 면담을 통하여 시술당시 환자가 느꼈던 통증의 정도를 시각아날로그척도 (Visual analogue scale, VAS)로 나타내어 환자의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진정된 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항목으로 환자의 움직임 정도, 흡인 횟수, 시술자의 만족도를 조사하였고, 합병증을 보기 위하여 시술 후의 재출혈과 무기폐 발생유무를 조사하였다. 결과: 양 군 간의 연령, 남녀 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평균 시술 시간도 M군 50±4분, MP군 49±5분으로 차이가 없었다. 진정제의 평균 사용량은 M군에서 midazolam 12.5±2.5mg, MP군에서는 midazolam 5mg 이외에 propofol 181.4±109.8mg을 사용하였다. M군에서 10명(45%)의 환자가 midazolam 총 15mg 투여 후에도 환자 협조가 되지 않아 propofol을 추가 투여 받았으며, 위 10명에 사용한 propofol의 용량이 MP군과 비슷한 정도로 투여되었다(154.00±122.49mg). 시술 전후와 시술 중의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 하강 정도와 분당 심박수, 호흡수 그리고 산소포화도의 하강 정도에 있어서 양 군 간의 차이는 없었다. 회복 시간과 환자의 통증 정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MP군에서 M군보다 환자 움직임은 유의하게 적었고(3.6±3.1회 Vs 12.6±10.9회, p=0.004) 흡인 횟수는 비슷하였으며, 시술자의 만족도는 유의하게 높았다(p<0.001). 시술 후 합병증은 양 군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ESD 시행 시 진정 목적으로 사용하는 midazolam과 propofol 병용요법은 midazolam 단독요법과 비교하였을 때 진정효과는 우수하고, 환자 및 시술자의 만족도는 높으면서 부작용의 발생빈도는 비슷하여서 상대적으로 더 나은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