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COVID-19 환자치료병원 간호사의 외상후스트레스가 정서적소진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 매개효과

        정주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Purpose: This study explored the mediating role of resilience between post traumatic stress, and emotional exhaustion in nurses caring for COVID-19 patient. Methods: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Oct 16 to Oct 30, 2020, from 193 nurses caring for COVID-19 patient in hospital located in D city. Participants conducted self-reported survey of post traumatic stress (IES-R-K), emotional exhaustion(MBI), and resilience(KQR-53).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t-test, Mann-Whitney U test, Kruskal-wallis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Mediat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Baron & Kenny method and Sobel test. Results: The each mean scores of post traumatic stress, emotional exhaustion, resilience were 16.18±16.18, 32.64±9.66, and 183.41±18.29. Higher level of post traumatic stress was associated with lower resilience(r=-.20, p=.004) and was associated with higher emotional exhaustion(r=.33, p<.001). Higher level of resilience was associated with lower emotional exhaustion(r=-.35, p<.001). The resilience was confirme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 traumatic stress and emotional exhaustion(β=.18, p=.014), and verified by Sobel test (Z=2.31, p=.02). Conclusion: Resilience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 traumatic stress and emotional exhaustion. Thus, nurses should develop individual strengths to reduce emotional exhaustion, and managers should also make efforts to develop resilience. It also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of program to strengthen for nurses’ resilience.

      • 도시 회복탄력성을 위한 폭염저감시설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 이용자의 온열체감을 중심으로

        정주희 전남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Climate Change Countermeasures are divided into 'mitigation' and 'adaptation' measures. Whereas mitigation is reducing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adaptation is reducing the vulnerability of urban systems to the threat of anticipated meteorological disasters. As the impacts of meteorological disasters have been intensifying every year, such disasters cannot be ruled out. Therefore, local governments should prioritize increasing urban resilience by adapting to climate change. Finding ways to enhance resilience is a salient part of regional development. The installation of Heat Wave Mitigation Facilities is a major project to enhance climate resilience through local initiatives. The 3rd National Adaptation Plan (2020) mentioned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Heat Wave response plan, such as expanding investment in Heat Wave Mitigation Facilities, as a measure to strengthen the climate change adaptation capacity of local governments. As such, the provision of Heat Wave Mitigation Facilities can be seen as the most fundamental factor in increasing urban resilience. However, the installation guide for Heat Wave Mitigation Facilities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nor has the reduction effect of each facility been studied comprehensively. This study aims to address the above mentioned shortcomings by quantitatively confirming the effectiveness of Heat Wave Mitigation Facilities proposed as an adaptation alternative to increase urban resilience.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he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by controlling the conditions with a quasi-experimental design in an outdoor environment. The technology applied to Heat Wave Mitigation Facilities was divided into Upper Heat, Lower Heat, and Body Heat. For mitigation facilities, Upper Heat (Artificial Awning, Natural Awning), Lower Heat (Cool Pavement, Turf Blocks), and Body Heat (Cooling Fog) were set as experimental groups and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users of each facility. The survey items consisted of questions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mal Sensation Vote (hereafter TSV), Apparent Temperature (hereafter AT), and Thermal Comfort Vote (hereafter TCV). Environmental data was collected during the survey, and the collected data was used as control variables in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effect of each mitigation technique demonstrated that Artificial and Natural Awning had a greater heat reduction effect than the control group under the same temperature conditions.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respondents felt more comfortable on average in the Awning condition. In the case of Lower Heat, respondents felt hott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Cool Pavement under the same temperature conditions, and the lowest TCV score was also observed. On the other hand, the Turf Block showed the lowest TSV and AT scores and the highest TCV value. This means that the heat reduction effect of the Turf Block is verified. In the case of the Body Heat, the Cooling Fog facility showed a clear heat reduction effect under the same temperature conditions, and the TCV was also confirmed to be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 looking at the TSV values for all facilities, people felt the coolest in the Cooling Fog and the hottest in the Cool Pavement. Likewise, AT was found to have the highest temperature in Cool Pavement, with Artificial Awning feeling hotter than Turf Blocks and Cooling Fog. When considering TCV values, respondents felt most comfortable with Turf Blocks and most displeased with Cool Pavement. In summary, respondents felt hotter and more uncomfortable in the Cool Pavement than in the control group. Other facilities can be considered functional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respondents felt coolest in Cooling Fog and most comfortable in Turf Blocks. This study presented new empirical results, which can be compared with previous research results in various fields. Existing studies have mainly compared the effectiveness of Heat Wave Mitigation Facilities through thermal comfort index or surface temperature. Among the mitigation techniques, Upper Heat or Body Heat directly affects the ambient temperature, so similar results to those of this study could be confirmed. However, in the case of Lower Heat, the results differed from those obtained by previous studies. The difference between previous studies and this study depends on which variables were compared. The thermal comfort index is a numerical value that appears as a combination of environmental factors and indirectly confirms sensory perceptions, but unmeasured factors such as thermal radiation are not reflected. Unlike the Thermal Comfort Index, surface temperature is based on changes in air temperature, so there is a gap with people's sensory percep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xternal factors such as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should be considered when installing heat wave reduction facilities for urban resilience. Unlike other Heat Wave Mitigation Facilities, the survey on Cool Pavement was conducted in different environments in the two regions because Cool Pavement is applied to various outdoor environments. As a result, Cool Pavement applied to the parking lot was found to be hotter and more unpleasant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 heat reduction effect was confirmed in the case of installation on the trail. The reason for this is that direct sunlight is reflected by Cool Pavement, increasing thermal radiation around it. Therefore, if Cool Pavement is installed nearby trees or in waterside space that can absorb radiant heat, it is expected to play a more efficient role than installing only Cool Pavement. 기후변화(Climate Change)에 대한 대응 조치는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통한 ‘완화(Mitigation)’와 실제 또는 예상되는 기상재해의 위협에 대해 도시 시스템의 취약성을 줄이는 ‘적응(Adaptation)’으로 나뉜다. 매년 심화되는 기상재해의 영향을 완전히 배제 할 수 없는 만큼, 지역은 기후변화에 적응하여 도시의 회복탄력성을 높여야 한다. 따라서 회복탄력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지역개발에 있어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부분이다. 폭염저감시설 설치는 지역이 주도하여 기후탄력성을 제고하는 주요 사업이다. 제3차 국가적응대책(2020)에서도 지방자치단체의 기후변화 적응 역량 강화 대책으로 폭염저감시설 투자확대 등 폭염대응체계 강화의 필요성이 언급된다. 이처럼 폭염저감시설의 공급은 지역의 기후탄력성을 높이고, 기후변화 적응 역량 증대를 위한 가장 기본적인 요소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폭염저감시설의 종류를 구분하여 설치가이드를 정립하거나, 각 폭염저감시설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종합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지역의 기후탄력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적응대안 중 지역 기후변화 취약성 개선을 위한 사업인 폭염저감시설에 대하여 그 효과를 정량적으로 확인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옥외환경에서 준실험설계를 통해 외부환경을 통제하여 체감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은 상부열 저감시설(인공차양, 자연차양), 하부열 저감시설(쿨페이브먼트, 잔디블록), 신체열 저감시설(미세분무)로 설정하였으며 비교를 위해 대조군 (일반환경)을 상정하였다. 체감조사는 각 시설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주요 설문 문항은 인구통계학적 문항과 함께 온열민감도(TSV), 체감온도(AT), 온열쾌적감(TCV)으로 구성하였다. 체감조사를 수행하는 동안 환경데이터를 동시에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는 분석 시 통제변수로서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저감기술별 저감효과를 확인한 결과, 상부열 저감시설의 경우 같은 온열환경조건에서 인공차양과 자연차양이 일반(대조군)보다 더위저감효과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온열쾌적감에서도 차양이 있는 환경에서 평균적으로 더 쾌적하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부열 저감시설의 경우, 같은 온열환경조건에서 대조군보다 쿨페이브먼트의 환경이 더 더운 것으로 나타났으며, 온열쾌적감 또한 가장 불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잔디블록은 TSV와 AT, 그리고 TCV값을 대조군과 쿨페이브먼트와 비교할 때, 더위저감효과가 확실하게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신체열 저감시설의 경우 미세분무시설은 온열환경조건에서 확실한 더위저감효과를 나타냈으며, 온열쾌적감 또한 대조군 보다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두 번째, 전체 폭염저감시설에 대하여 비교분석한 결과, TSV는 쿨페이브먼트에서 가장 덥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세분무에서의 가장 시원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AT 또한 쿨페이브먼트에서 가장 높은 온도로 나타났으며, 인공차양은 잔디블록과 미세분무보다 더 덥게 느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CV는 잔디블록에서 가장 쾌적하게 느꼈으며, 쿨페이브먼트에서 가장 불쾌하게 느꼈다. 정리하면, 쿨페이브먼트의 더위저감효과가 다른 시설과 비교할 때 가장 낮았으며, 미세분무의 더위저감효과가 가장 크고 잔디블록에서 가장 쾌적하게 느꼈다. 본 연구는 기존의 다양한 분야에서 수행되었던 연구결과와 비교할 수 있는 또 하나의 사례연구결과를 제안하였다. 기존의 선행연구는 주로 온열쾌적지수 또는 표면온도를 통해 폭염저감시설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상부열 저감시설이나 신체열 저감시설의 경우 직접적으로 주변기온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본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하부열 저감시설의 경우 선행연구와 다른 결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결과와 본 연구결과의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비교의 기준에 따라 다르다. 온열쾌적지수는 환경요소의 조합으로 나타나는 수치적인 값으로 간접적으로 체감에 관해 확인할 수 있지만, 복사열과 같은 측정되지 않는 요소는 반영되지 않는다. 또한 표면온도의 경우, 온열쾌적지수와 달리 ‘기온’의 변화만을 확인하는 것이기 때문에 사람이 체감하는 것과 정학하게 같지 않다. 도시가 기후변화에 적응하여 회복탄력성을 갖추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폭염저감시설의 공급이 조명되는 만큼, 본 연구의 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폭염저감시설 설치 시, 설치 환경 등 외부요소가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쿨페이브먼트의 경우 다른 폭염저감시설과 달리 다양한 옥외환경에 적용됨에 따라, 두 지역에 상이한 환경을 각각 상정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주차장에 적용된 쿨페이브먼트가 대조군보다 더 덥고, 불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산책로의 경우에는 폭염저감시설로서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해당 결과가 나타난 이유는, 쿨페이브먼트가 지표면에 내리쬐는 태양열을 반사함으로써 주변에 복사열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쿨페이브먼트의 지역 내 적용 시, 단일 적용이 아닌 주변에 나무 또는 수변공간과 같이 복사열을 흡수할 수 있는 환경이 함께 조성된다면 더 효율적으로 폭염저감시설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교사자질에 대한 사범대학 출신 교사와 일반대학 교직 출신 교사의 인식비교

        정주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사범대학 중심의 목적형 교사양성 교육과정과 일반대학 교직과정의 개방형 교사양성 교육과정의 장단점에 대한 논란과 관련하여, 각 교육과정을 이수한 후 임용된 교사들이 구체적으로 교육현장에서 어떠한 자질과 능력을 발휘하고 있는지에 대한 실증적인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교원양성 교육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교사들이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이상적인 교사의 일반적인 자질이 무엇인지를 확인하고, 사범대학 출신 교사와 일반대학 교직과정 출신 교사들이 두 집단의 업무 수행능력을 어떻게 평가 하는지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각 출신별로 자신의 자질을 평가하는 질문지를 통해 사범대학 출신 교사와 일반대학 교직과정 출신 교사의 자질을 검증하였다. 교사양성 교육과정과 관련해서는 사범대학 교육과정과 일반대학 교직과정의 교사자질 향상의 실효성을 평가하고 교사양성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에 대한 의견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이 인식하는 중요한 교사자질은 무엇인가? 둘째, 교육현장에서 사범대학 출신 교사와 일반대학 교직과정 출신 교사의 교사자질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과 경험적 평가는 어떠한가? 셋째, 사범대학 출신 교사와 일반대학 교직과정 출신 교사는 교사자질에 있어 실제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넷째, 교사자질 향상과 관련하여 교사양성 교육과정의 실효성에 대한 사범대학 출신 교사와 일반대학 교직과정 출신 교사의 평가는 어떠하며, 교사들이 인식한 교사양성 교육과정의 개선과제는 무엇인가? 이 연구를 위해 서울·경기지역 공·사립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재직하는 교사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회수된 375부의 설문 응답 결과는 문항특성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을 분석하였으며, 배경특성에 따른 집단간의 차이 검증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x²(chi-Square)검증 또는 t검증을 실시하였다. 설문지 분석을 통해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이 중요하게 인식하는 교사자질을 확인한 결과 '교과내용에 대한 지식과 이해 능력', '교육에 대한 사명감과 헌신', '효과적인 수업을 위한 교수방법의 숙달' 등을 교사의 중요한 자질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자질에 대한 교사의 일반적인 인식과 실제 경험상의 평가 모두에서 사범대학 출신 교사와 일반대학 교직과정 출신 교사는 교사자질에 있어 차이가 없다는 데 대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여 주었다. 그러나 세부 자질별로는 두 집단의 평가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사범대학 출신 교사는 자신의 집단보다 일반대학 교직과정 출신 교사가 '학부모와 동료교사의 협동관계'에서 더 우수하다고 평가하였고 일반대학 교직과정 출신 교사는 자신의 집단보다 사범대학 출신 교사가 '교육에 대한 사명감과 헌신', '효과적인 학급경영 계획수립', '학생에 대한 평가와 질 관리'에서 우수하다고 평가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실제 교사자질을 검증하기 위하여 자신의 자질을 평가하는 질문지를 통해 사범대학 출신 교사와 일반대학 교직과정 출신 교사의 자질을 검증한 결과, 사범대학 출신 교사는 '효과적인 수업계획 및 조직', '효과적인 교수방법 및 학급경영', '효과적인 수업실시', '학생의 평가와 질 관리'의 자질에서, 일반대학 교직과정 출신 교사들은 '동료교사와 학부모와의 관계' '자신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노력'의 자질에서 우수한 능력을 보였으며 '교육에 대한 사명감과 교사헌신'의 자질에서는 사범대학 출신 교사와 일반대학 교직과정 출신 교사 모두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넷째, 사범대학의 교사양성 교육과정과 일반대학 교사양성 교직과정을 비교하기 위해 그 실효성을 기준으로 삼아 두 교육과정에 대해 조사한 결과, 사범대학 출신 교사와 일반대학 교직과정 출신 교사 모두 교사양성 교육과정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나타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생활지도',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와 같은 학생들의 지도와 관련된 교육과정을 강화할 것과 현재 3-4학점으로 되어 있는 교육실습의 학점 비중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보면, 사범대학 출신 교사와 일반대학 교직과정 출신 교사의 교사자질 평가에 있어 사범대학 출신 교사가 근소한 차이로 더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목적형 사범대학 교육과정을 이수한 교사로서 전문적인 교사자질을 가지고 있다고 보기 어려운 것이다. 또한 교사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평가에 있어서도 사범대학의 목적형 교사양성 교육과정의 전문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므로 교사자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교사의 철저한 전문직 수행을 위한 교과 교육의 강화와 교육실습의 강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특히 교사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사범대학은 일반대학 교직과정과는 차별화될 수 있도록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present desirable directions for developing teachers' training programs by providing positive data about what kinds of qualities and capacities teachers who had completed the course of study for the teaching profession and entered the profession demonstrated in relation to the discussions on the merits and demerits of both the goal-oriented course of the college of education and the open course of the liberal university. To achieve this purpose, the general qualities considered by teachers as important in terms of ideal teachers were investigated, evaluations of teachers divided into two groups by alma mater - the college of education and the liberal university - on their own and the other group's teaching competenci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and teacher qualities of the two groups were tested by using a questionnaire asking what they thought of their own qualities as a teacher. The practical effectiveness of study courses for training teachers was evaluated too and teachers' opinions about plans for improving them were analyzed. For this research, study questions were selected as follows: First, what qualities do teachers consider as important? Second, how do teachers graduated from the college of education and the liberal university generally recognize and empirically evaluate teacher qualities? Third,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teacher qualities between teachers graduated from the college of education and those graduated from the liberal university? Fourth, how do both teacher groups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study courses for training teachers in the aspect of teacher qualities, and what tasks do they think are necessary to improve the existing courses? 400 teachers working at the public and private middle/high schools in Seoul and Kyoung-gi province were sampled as the subjects of this questionnaire research. The results of the 375 return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into frequency an percentage by the study question characteristics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by the education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with x² (chi-square) -test or t-test. And the findings through this analytic process were as follows: First, the subjects considered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of education", "educational vocation and devotion", and "being methodologically skillful for effective teaching" as important teacher qualities. Second, both in the general recognition and empirical evaluation of teacher qualities, the subjects' answer that education didn't make any difference in teacher qualities accounted for the highest rate. However, as for specific qualities, they showed some differences in their evaluation: the teachers graduated from the college of education mostly answered that teachers graduated from the liberal university were making "cooperative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and students' parents" better than they were, while the teachers graduated from the liberal university thought the other teacher group were "more vocational and devoted to education" and good at "devising plans for effective class management" and "evaluation of students and management of student quality." Third, as for the practical teacher qualities of their own, the subjects graduated from the college of education marked high points on "planning and organizing effective class schedules", "Use of effective teaching methods and class management", "effective teaching" and "evaluation of students and management of student quality", while the other teacher group did on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of education", "cooperative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and students'- parents" and "efforts to extend my own specialty". And toward "educational vocation and devotion", both groups showed similar responses. Fourth, as for the existing study courses for training teachers provided by the college of education and the liberal university, the two subject groups had negative opinions about them and proposed reinforcement of such study subjects related to student guidance as "life guidance" and "educational psychology" and raise of teaching practice credits from the present 3-4 credits to higher ones as the most desirable alternatives. As seen from these findings, the teachers graduated from the college of education were evaluated as a little bit superior in teacher qualities than the teachers graduated from the liberal university. But this doesn't mean that the goal-oriented course of the college of education yields great effects. The subjects also pointed out that professionalism in the course of the college of education wasn't so remarkable. Therefore, to improve teachers' qualities, study courses that can enable future teachers to carry out their practices and profession thoroughly should be reinforced more than ever. In particular, the college of education should make more efforts to differentiate its course of study for the teaching profession from that of the liberal university.

      • 일조부족 공동주택에 적용된 거울형 태양광 채광시스템의 실내 주광환경평가

        정주희 경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삶의 질적 향상과 건강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친환경적인 실내공간을 갖는 건축물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고 있다. 실내 건축 환경의 자연채광은 자연스럽고 건강한 빛을 실내에 도입시켜 재실자의 쾌적성을 향상시키고 친환경적인 실내공간을 창출할 뿐 만 아니라 건물에너지 절감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건물의 밀집화와 고층화 현상으로 인해서 일조가 부족한 실내환경을 갖는 건축공간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국내외에서는 자연광의 도입이 어려운 공간에 광파이프, 집광렌즈, 반사거울 및 광섬유 등 엑티브형 태양광 채광시스템을 이용하여 태양광을 집광 혹은 반사하여 일조부족공간에 자연채광을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다양한 자연채광 시스템 중에서 거울형 태양광 채광시스템은 구조가 간단하고 경제성이 우수하여 국외의 경우 공간 특성에 따라 위치별, 용도별 및 규모별로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거울형 태양광 채광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실제 건축물에 상용화시키고 있는 추세이지만, 기존의 연구는 소규모의 거울형 태양광 채광시스템을 적용하여 채광성능을 평가하였다. 그러나 공동주택과 같이 규모가 큰 공간에는 기존에 적용된 소형시스템으로는 실내공간에 적정한 채광성능을 확보하기에 불가능한 실정이다. 또한, 외국에서 많이 설치되고 있는 거울형 태양광 채광시스템을 우리나라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의 지리적, 기후적인 특성을 고려한 채광시스템의 형상과 구조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일조가 부족한 실내공간에 일조를 확보하고 쾌적한 주광환경을 창출하는 거울형 태양광 채광시스템이 실제 아파트 건축물에 적용되었을 시의 실내 채광성능 및 쾌적성능을 평가하는 것이다. 실제 아파트에 적용된 거울형 태양광 채광시스템은 3.5m(W)× 2.5m(D)의 1차 거울, 4m(W)×2.5m(D)의 2차 거울 및 태양추적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10세트의 채광시스템이 남측의 옹벽으로 인하여 겨울철에 일조가 불가능한 40세대의 아파트 거실에 자연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설치되었다. 채광성능은 옥외 수평면 조도 및 실내 바닥면 조도를 2010년 1월 한 달간 모니터링 하였으며, 천공상태별 기후요소(옥외수평면조도, 천공청명도 및 태양고도)에 따른 실내조도의 관계를 SPSS 17.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청천공에서의 휘도, 상관색온도, 연색성 및 가시광선 영역의 스펙트럼을 측정하여 재실자의 시각적 쾌적성을 분석하였다. 채광성능을 모니터링 한 결과 거실에 약 6m2의 선패치 공간이 형성되었으며, 실내의 주광조도는 거울형 태양광 채광시스템의 미설치시에 비해 설치시에 청천공시 약 5.6배, 부분담천공시 약 2.6배 정도 향상되었다. 채광시스템의 설치시의 가시광선 스펙트럼의 분포가 재실자가 가장 편안하게 느끼는 북향 담천공의 스펙트럼 분포로 비슷하게 변화하여 밝아졌다. 또한 채광시스템의 설치시에 차갑고 어두운 실내공간에서 밝고 따뜻한 공간으로 재실자가 느끼기에 쾌적한 실내 환경으로 이동하여 실내 환경의 질이 향상되었다. 즉, 거울형 태양광 채광시스템은 일조가 불가능한 실내공간에 쾌적한 시각 환경을 형성하는데 매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하공간과 사무소건물 및 박물관에도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효율적인 거울형 태양광 채광시스템의 적용 및 설치를 위해서는 다양한 변수의 활용 즉, 천공상태, 계절, 시스템의 형상 및 1, 2차 거울의 거리 등의 변화에 따른 채광성능에 대한 연구가 추후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Buildings with eco-friendly interior that increases quality of life and health are major paradigms in 21st century architecture. Natural sunlighting in indoor environment increases human perceptional comfortableness and improves energy efficiency. Due to the congested high-rise buildings in urban areas, the households with insufficient daylights are increasing. A number of researches developed the light pipe system, reflective mirror and optic fiber to reflect or concentrate daylight into interior spaces. Among various active sunlighting systems, a mirror sunlighting system has been widely used because of its simple structure and economical option. In advanced countries, the mirror sunlighting systems have been applied due to its location, purpose, and scale of buildings. Some domestic companies have recently paid attention to the mirror sunlighting system development and it's application to actual buildings. Previous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a small sized room with the small scale mirror sunlighting systems. Recently, however, the needs of evaluating the daylighting performance of the system at larger scale buildings such as apartment is increasing. This study evaluated daylighting and indoor comfort performance when mirror sunlighting system is applied to actual apartment buildings. The first mirror of 3.5m x 2.5m, the second mirrors of 1.0m x 1.25m and a sun tracker were installed in the apartments to penetrate daylight into 40 living rooms where sunlighting were not possible due to high retaining walls located in front of the living rooms. The size of living rooms were 3.5m(W) x 4.0m(D) x 2.5m(H). Indoor and outdoor horizontal illuminance was monitored from 9am to 3pm, from 1st to 30th January 2010 under real sky condi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ctive sunlighting system produced the sun patch of 6m2 in a living room and increased the indoor daylight level by 5.6 times under clear sky conditions and by 2.6 times under partly cloudy sky conditions compared to uninstalled space. From the point of Correlated Color Temperature(CCT), gloomy indoor atmosphere were changed to the cheerful mood like the north cloudy sky and the indoor environment was changed from cold to warm appearance. To conclude, this study showed that the mirror sunlighting system provides sufficient and significant amount of daylight to where it is needed. For further research, daylighting performance on various sky conditions and at various different types of buildings should be evaluated.

      • 맥도웰 Op.39〈12개의 에튀드〉피아노 교수법적 고찰

        정주희 한세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피아노를 배울 때 연주를 위한 테크닉을 배우는 것 외에도 다양한 작곡가와 그들의 작품을 다루어보는 것은 중요하다. 여러 작곡가들과 그들의 작품에는 시대적, 문화적 특징이 나타나있을 뿐만 아니라 형식이나 조성, 음악적해석 등에 관한 아이디어들이 내재되어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국내에 잘 알려지지 않은 맥도웰의 Op.39《12개의 에튀드》를 선택하여 그의 음악세계와 피아노 음악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그의《12개의 에튀드》에서 나타나는 작곡 기법 적 특징에 대한 분석을 기초로 중급 수준의 테크닉이 어떻게 적용되었는지를 살펴보고 다양한 음악적 내용을 모색하여 보다 나은 연주를 위한 교수방안을 제시 하였다. 맥도웰은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 교육자와 작곡가로 활동한 미국의 음악가이다. 그는 다수의 피아노곡을 작곡했는데 그 중에서도 성격소품과 모음곡이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12개의 에튀드》역시 성격소품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연습곡’이라는 형식을 빌리고는 있지만 12곡 모두 표제가 있으며 묘사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또한 《12개의 에튀드》는 중급 난이도의 작품으로서 교사와 학생들에게 접근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연주회용 레퍼토리로 활용할 수 있다. 이 작품을 통해 나타난 간단한 형식, 9화음과 11화음의 사용, 반복과 변형의 아이디어와 같은 내용들은 낭만시대 음악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 특징들인데 3도권의 조성관계, 모드의 사용은 이 작품의 특별한 점으로 꼽을 수 있다. 다음으로 교사들이 연주지도를 위해 고려해야하는 템포, 리듬, 아티큘레이션과 같은 음악적 내용들은 서로 밀접한 연관성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교사는 학생들에게 위와 같은 음악요소들의 상관관계를 이해시키고 학생들이 연주를 통해 표현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한다. 현대에는 외국의 여러 교재와 교수법들을 국내에서도 쉽게 접할 수 있어 교재에 대한 선택의 폭이 넓어졌지만 중급 이후의 교육은 여전히 테크닉 습득에 집중한 일부 유명 작곡가들의 작품을 다루는 경우가 많다. 훌륭한 연주를 위해서 테크닉 훈련이 필요한 것은 분명하지만 이는 연주를 위한 하나의 과정일 뿐이다. 따라서 교사는 바람직한 지도를 위해 폭넓은 음악적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학생들이 음악의 여러 요소를 균형 있게 발전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레퍼토리를 개발해야 한다. 또한 개개인에게 알맞은 교수법으로 수준 높은 교육을 제공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 상담자의 화상상담 작업동맹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정주희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at exploring the counselor's experience of work alliance in video conferencing psychotherapy. Specific research questions on this are as follows: First, what difficulties do counselors experience in video counseling? Second, what do counselors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forming a work alliance in video conferencing psychotherapy? Third, what changes do counselors experience in video conferencing psychotherapy? To this end, the researcher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0 counselors who has more than 2 years of experience in counseling practice and conducted more than 2 cases and 10 sessions through video conferencing psychotherapy. For data analysis, Colaizzi’s research method was applied among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As a result of the study, 46 formulated meanings, 13 themes, 4 thematic groups were drawn to the counselor’s experiences of working alliance in video conferencing psychotherapy. In the process of forming a working alliance in video conferencing psychotherapy, counselors experienced tension and concerns facing a new environment, and experienced various limitations brought by the non-face-to-face environment in the process of counseling. However, as counseling process progressed, counselors gradually overcame the limitations of the new environment, experienced other advantages at the same time, and formed a new type of work alliance with clients. Through this, counselors began to use video conferencing psychotherapy as a new tool of healing, surpassing the place and subject of counseling while recognizing various limitations that still exist. In this process of adaptation, counselors experienced various self-discovery and self-reviews, which soon served as a stepping stone for counselors to develop their competence as a counselor. In the end, the experience of video conferencing psychotherapy appears as a positive meaning for counselors, the expansion of new counseling tools and the counselor's own 'exten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d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counselors in video conferencing psychotherapy and the process of counselor’s growth and adaptation in detail by exploring the changes it brought to counselors. Through this, it has shown the possibility that counselors can overcome the limitations of video conferencing psychotherapy in a more diverse way and apply it to counseling scenes in an era where video conferencing psychotherapy is increasingly used. Furthermore, this study presented the implications for christian counseling of video conferencing psychotherapy by applying the concept of Winnicott's “Potential space”and Cooper-White's “Paradigm of relationship-centered pastoral counseling” for the experience of meeting and healing through a new space of video counseling.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for the counseling and practice of video counseling were discussed, and the direction of subsequent studies was suggested. 본 연구는 상담자의 생생한 목소리를 통해 화상상담에서 상담자의 작업동맹경험에 대해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화상상담에서 상담자는 어떤 어려움을 경험하는가? 둘째, 화상상담에서 상담자는 작업동맹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무엇을 경험하는가? 셋째, 화상상담에서 상담자는 어떤 변화를 경험하는가? 본 연구 문제를 탐색하기 위해 화상상담을 2사례 10회기 이상 진행한 경험이 있는 상담실무경력 2년 이상의 상담자 10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고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활용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참여자 모집은 눈덩이표집(Snowball sampling)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면담은 일대일 방식으로 각 참여자 당 1-2회 실시되었고 소요시간은 약 60분 이었다. 면담 내용은 참여자의 사전동의하에 녹음하였고, 녹취된 자료는 연구자가 전사하여 Colaizzi의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정해진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46개의 구성된 의미가 도출되었고, 이는 13개의 주제로 분류되었으며 4개의 주제군으로 정리되었다. 본 연구 결과로 발견된 상담자들의 화상상담에서의 작업동맹 경험은 다음과 같다. 화상상담에서 작업동맹 형성 과정에서 상담자들은 화상상담이라는 새로운 환경 앞에 긴장과 우려를 경험하였고, 실제로 상담 진행 과정에서 비대면 환경이 가져오는 다양한 한계를 경험하였다. 그러나 상담자들은 상담이 진행될수록 점차 새로운 환경의 한계를 극복하고 동시에 이외의 이점들을 경험하기도 하며 내담자들과 새로운 방식의 작업동맹을 형성하였다. 이를 통해 상담자들은 여전히 존재하는 다양한 한계들을 인식하면서도 상담의 장소와 대상을 뛰어넘으며 화상상담을 새로운 상담의 도구로 활용해나가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적응 과정에서 상담자들은 수많은 자기발견과 자기검토를 경험하였으며 이는 곧 상담자들이 상담자적 역량을 발전시키게 되는 발판이 되었다. 결국 화상상담의 경험은 참여자들에게 긍정적 의미로서 상담도구와 상담자 자신의‘확장’의 의미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화상상담에서 상담자들이 경험한 어려움과 작업동맹 형성 경험을 살펴보고 이것이 상담자에게 가져온 변화를 탐색함으로서 상담자들의 성장과 적응의 과정을 상세히 살펴보았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화상상담이 점차 활발히 활용되는 시대에 상담자들이 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화상상담의 한계를 극복하며 상담 장면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더 나아가 본 연구는 상담자들의 화상상담이라는 새로운 공간을 통해 이루어졌던 만남과 치유의 경험을 Winnicott의 잠재적 공간 개념과 Cooper-White의 관계중심 목회상담 패러다임을 적용하며 화상상담의 기독상담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화상상담의 상담학적 연구 및 실제에 대한 시사점을 논하였고 후속 연구의 방향성을 제언하였다.

      • 청소년을 위한 기독교 인성교육 교육과정 개발

        정주희 한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사회는 여러 가지 사건들을 마주하며 인성교육의 중요성을 실감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교육부에서는 인성교육진흥법을 실시하며 여러 가지 다양한 자료를 제공했고, 기독교교육에서도 인성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며 인성교육의 철학에 관해 활발하게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기독교교육에서 인성교육의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는 현저히 부족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기독교 청소년들에게 교육의 장에서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독교 인성교육 교육과정 개발에 앞서 일반 인성교육과 기독교 인성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교육부에서 지정한 인성교육의 지침을 중점으로 일반 인성교육의 목적과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어서 기독교 내 인성교육의 개념과 덕목을 연구했다. 본격적인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서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인성교육의 교재를 분석하여 기독교에서 중요시되는 인성 덕목들을 선정했다. 본 과정에서 비중이 가장 높은 덕목들 중 일반 인성교육과 비교 가능한 세 가지 덕목을 선정하였고, 기독교 인성교육의 전반적인 목표와 세 가지 덕목의 세분화된 목표를 구체적으로 설정했다. 위의 절차를 바탕으로 청소년을 위한 인성교육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교육과정 개발에는 아이즈너(Eisner)의 예술적 교육과정 모형을 활용하였으며 전체 차시를 포괄하는 목표와 내용 설계를 위해 ASSURE 모형을 활용하였다. 또한 세부 수업지도안을 위해 8차시의 수업을 4회차로 구성하여 수업지도안을 작성하였다. 이후 결과 분석을 위한 자료로 수업 전 설문지와 수업 중 문답 활동지 그리고 수업 후 소감문을 활용하여 8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했다. 본 연구는 기독교대안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기 때문에 보다 긍정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교육을 구현하는 교육의 장에 대한 이해와 학습자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또한 8차시 구성이므로 내용 면에서 단면적으로 구성 및 시행되었기 때문에 이에 기초하여 다방면의 내용을 포괄할 수 있도록 활용하여 사용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기독교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교육과정이므로 다양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기독교 인성교육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후속 연구를 기대한다. In the midst of losing the sense of morality, the importance of character education has been perceived lately. Accordingly,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implemented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Law and has provided abundant materials in the means of improvement. What has been noted significantly in character education also perceived in Christian education, and thus a multitude of research on philosophy of character education is in progress. However, in the study of Christian education for character education, the analysis in its curriculum is remarkably insufficient. Consequently, this thesis aims to develop the curriculum targeting Christian teenagers in education with a holistic view. Prior to the development of Christian character education curriculum, general and Christian character education has been checked the status quo. Furthermore, the process and the aim of general character education emphasizing guideline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have been examined closely. Subsequently, its concept and virtue within Christianity have been researched. For the genuine development in its curriculum, crucial characteristic virtues in Christianity were selected by analyzing characteristics-related textbooks that are frequently referred at present. In this process, with the highest proportion, three virtues -love, thankfulness, and obedience- are chosen among many. Furthermore, the overall goals for Christian character education and individually focused objectives of each virtue are specifical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rocess mentioned above, the curriculum for character education for teenagers has been developed.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Eisner’s artistic model has been applied and ASSURE model has been utilized for objectives and content designs that grasp the whole session. Moreover, for the detailed class guidance, eight sessions were organized into four classes. After that, with validated logistics, the class was conducted with eight teenagers using pre-class questionnaires, question-and-answer activity worksheets and post-class reviews. A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argeting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the understanding of learners and educational fields, which education is carried out, is essentially required in order to expect the betterment. Also, since this curriculum is composed of eight classes, it is designed to build one-dimensional content. For that, it can be used to cover various fields of education effectively. Lastly, as Christian character education aims to help Christian youth, I look forward to bountiful follow-up studies to support learners with different backgrounds and perspectives.

      • 연암소설의 풍자성 연구 : 「양반전」,「호질」,「허생」을 중심으로

        정주희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한국문학에서 풍자의 대부라 일컬어지는 연암 박지원의 한문단편 중에서도, 작품의 구조나 기법 면에서 풍자가로서의 면모를 유감없이 발휘한 「양반전」, 「호질」, 「허생」 세 작품을 선택하여, 각각의 작품에 나타난 풍자의 구조를 밝히고, 세 작품의 풍자 구조 속에 반영된 작가의식을 살펴보았다. 필자는 연암소설의 풍자성을 고찰하기 위해서 먼저 문학과 관련된 풍자의 일반적인 성격을 살펴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연암소설의 풍자양상을 풍자의 구조와 더불어서 풍자의 대상과 주체, 풍자의 방법, 풍자의 목적 등의 영역에서 살펴보고 이를 통해 드러내고자 했던 연암의 작자의식을 고찰하였다. 연암소설의 풍자대상은 개인적 차원의 심판대상과 사회적 차원의 고발대상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는데 개인적 차원에서는 「호질」을 통해 인간의 위선과 허식을 주된 풍자대상으로 삼고 있었으며 사회적 차원에서는 「허생」을 통해 지배 계층의 무능으로 인한 빈곤과 낙후된 경제구조, 「양반전」을 통해 신선과 같은 허황된 관념이나 운운하는 양반계층의 허식적인 사고방식 등을 풍자대상으로 삼고 있었다. 풍자기법의 양상은 (1) 하층문화적 언어 사용 (2) 비유적 표현의 구사 (3) 아이러니 기법의 사용 (4) 희화화된 인물의 설정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연암의 소설은 일상어와 비속어를 사용함으로써 양반의 위선과 허식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있으며 비유적 표현과 아이러니, 희화화를 사용함으로써 당대 사회의 부정한 모습을 우회적으로 공격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연암의 소설에서는 대상을 비판하고 처벌함으로써 부정한 모습을 고발하고자 하는 파괴적인 풍자목적과 대상을 비판하고 고발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교정과 개량의 대상으로 형상화 시키려는 건설적인 풍자목적을 발견할 수 있다. 그러나 연암이 양반의 신분으로서 전적으로 당대 사회의 모순을 처벌하고 비판하는 것을 풍자목적으로 했다고는 볼 수 없다. 그렇다면 연암소설에 나타나는 파괴적인 풍자목적도 당대 양반사회의 모순을 드러내기 위한 하나의 방책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연암의 소설들은 풍자를 통하여 인간과 사회의 부정을 고발하고 궁극적으로는 그것을 교정하려 함으로써 인간사회를 보다 나은 상태로 개혁하고자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In this thesis, among the works of Yeon-Am Park Jee-Won, reputed to be a peak of Korean Literature, I chose three, <Yangbanjeon>, <Hojil> and <Housaing-Jon>, which, in the respect of not only thoughts included in the literary work, but also the satiric structure or technique, show the features of a distinguished writer's works in full extent. I clarified the satiric structure in each work and I examined how such satiric structures reflect the writer's thoughts in the situation at that time. In order to study his satiricality, first of all, I sketched out what general satire is. I, also, analyzed the satirical patterns in his novels into three dimensions : subject, method, and purpose. The subject of his satire can be described in terms of personal and social aspect. In personal aspect in <Hojil>, hypocrisy and affectation are the major subjects. In social aspect in <Housaing-Jon> and <Yangbanjeon>, the subject are poverty and underdeveloped economic system due to capability of the rulers, the social atmosphere replete with deceitful thoughts, the unjust employing system based on lineage, embellished fidelity of wife, and so on. There are four kinds of method in his satirical pattern: (a) common and slang expressions, (b) figure of speech, (c) irony (d) a ridiculous figure. It means that by using the common and slang expressions instead of using traditional Chinese character he uncovered the hypocrisy and facade of the upper class, and by using figure of speech and irony he attacked the social dishonesty in an indirect way. The purposes of his satire are divided into two kinds: the purpose of accusation of corruptness by giving relentless criticism and punishment to the subjects, and the purpose of not just criticizing and accusing the subjects, but making them corrected and improved. The former has a destructive purpose but the latter a constructive one. It is not necessarily true, however, that his purpose was criticize and find fault with the discrepancy of his times. Therefore, the destructive purpose should be considered as on of the ways of revealing the aristocratic hypocrisies. In conclusion, by the satire in his novels we can see the attempt to blame unclean human and society and the ultimate purpose of making the better society by correcting it.

      • Q 방법론을 적용한 대학사서 이미지와 이미지 결정요인

        정주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대학사서는 그동안 대학구성원들의 연구 및 교육활동을 지원하고 정보이용능력 향상을 위해 다양한 이용자 교육을 실시하는 등 전문적인 업무를 담당해 왔지만, 우리 사회에서 대학사서 이미지는 올바르게 확립되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본 연구에서는 대학사서에 관한 올바른 사회적 인식과 이해를 알아보기 위해 대학생을 대상으로 Q 방법론을 적용하여 대학사서 이미지를 식별하고, 대학사서 이미지 결정요인을 분석하였으며, Q 방법론의 효용성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첫째, 대학생이 지각하는 대학사서의 이미지는 의미 있게 구분된 6개의 유형이 발견되었으며, 각 유형별로 이미지 결정요인이 조금씩 달랐다.이미지 유형1은 사서의 서비스에 주목한 유형으로 개인의 직접경험과 사서의 근무처와 근무환경이, 이미지 유형2는 사서와의 간접적, 기능적 관계에 주목한 유형으로 주변인의 직접경험과 타인 의견 영향력이, 이미지 유형3은 사서의 지적이미지에 주목한 유형으로 사서의 근무처와 근무환경이 이미지 결정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미지 유형4, 사서의 정보제공 의무에 주목한 유형과 이미지 유형5, 사서의 주제전문성에 주목한 유형 그리고 이미지 유형6, 사서직의 안전성과 가능성에 주목한 유형은 개인의 직접경험이 이미지 결정요인으로 나타났다.둘째, 모든 유형의 공통점으로는 사서의 자질로 최근 출판 동향 파악, 효과적인 이용자 서비스, 사서의 인성으로 이용자에 대한 인내심, 현재의 가치로 대학사서가 전문가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는 점, 향후 발전방향으로 사회가 변해도 대학사서는 정보제공 서비스를 수행해야 한다는 점이었다.셋째, Q 방법론의 효용성을 평가한 결과 이용자의 주관적 영역에 대한 반응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는 점, 대학생 한 사람 한 사람이 가지고 있는 대학사서의 이미지를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그들의 대학사서 이미지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존 할 수 있다는 점, 대학사서 이미지 유형별로 그 차이점을 보다 명확히 파악할 수 있다는 점, 개별적인 상황에서 대학사서 이미지를 결정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다는 점, 문헌정보학 분야에서 질적 연구의 약점을 보완하고 비교적 설명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유용성이 입증되었다.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이상적인 대학사서 이미지 제언 및 이미지 향상 방안을 제시하였는데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이상적인 대학사서 이미지는 전문직 핵심요소라고 할 수 있는 전문지식과 전문기술, 봉사지향성을 모두 갖춘 것임을 알 수 있었다.둘째, 이미지 향상 방안으로는 전문적인 업무수행능력 측면에서 전문 대학사서 양성을 위한 실제적 교과과정을 개발, 장서개발위원회 운영과 계열별 지정도서제도 활용을 통한 체계적인 장서개발, 정보이용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 및 주제별 출장정보이용교육을 통한 종합적인 정보이용교육, 주제별 참고봉사 서비스와 학생조교제도 도입을 통한 전문적인 참고봉사를 제시하였다.봉사지향성 측면에서 효과적인 봉사를 위한 사서 자리 재배치, 대학사서 계속교육 프로그램 중 서비스 관련 교육을 실시, 주제별 전자게시판 활용을 통한 요구사항처리위원회 운영, 대학도서관 커뮤니티를 활성화를 통한 비공식정보 확보를 제시하였다.홍보활동 측면에서 대학도서관 홈페이지 및 뉴미디어 활용, 지역사회가 참여하는 프로그램 개발, 전문 학술단체를 통한 적극적인 로비활동을 제시하였다.본 연구는 지금까지 문헌정보학 분야에서 적용된 사례가 드문 Q 방법론을 적용하여 대학생이 지각하는 대학사서의 이미지와 이미지 결정요인에 관해 연구함으로써 대학사서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형성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발견된 이미지를 바탕으로 이상적인 대학사서 이미지를 제언하고 앞으로 대학도서관과 사서가 실제적으로 실천 할 수 있는 대학사서 전문 직업이미지 향상 전략과 구축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