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류문화컨텐츠가 한국관광이미지 및 방문만족에 미치는 영향연구 : 일본인을 대상으로

        이수미 배재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focused on the most influential Hallyu cultural content which represented media cultural contents as rep. The film and drama, music cultural contents as rep. the K-pop and food culture as leading to korean cuture to Japanese tourist. and it was to empirically examine whether the most influential Hallyu cultural content would positively affect revisiting intention and recommendations. In addition, this study aims provided basic data to build a better marketing strategies for visitors. The purposes of this study can be defined as follows: First, I had defined and seperated a independent variable which is known Hanllyu cutural contents as media, music, food. and I had been able to get a theoretic model which is known as a dependent variable through review of the literature Secound, this study analysed influence to Hallyu cultual contents on Korea tourism image and tourists' satisfaction, and how can those of parameter influence on revisiting intention and recommendations. The third. through Empirical Analysis, we investigated a point of dispute which Korea tourism image and tourists' satisfaction to be evaluated by japanese who visit in korea. also we would actively look for marketing strategies of using these contents to japanese. In the present study, the literature survey has been extensively made and the practical investigation has been performed to collect the real data from Japanese who had visited to Koera town in Tokyo japan, 300 questionnaires have been collected in Tokyo. Among them, 288 questionnaires were available. These have been employed for SPSS15.0 as analysis program. A frequency analysis has been carried out to obtain the general properties of the samples, and the Multiple Regression method has been employed to assess the validity of the present study model. The major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result shows that the Group of high preferences about the Hanllyu cultural contents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image of korea tourism, Eventually, It is known that in the image of korean tourism, A Japanese has a positive the image of korean tourism as a Japanese has a highly favorable Hallyu Cultural Contents thus they will have a high visit satisfaction. it has a lot of affection on the attraction image of korea tourism. Specially, there are three parameter as media culture, music culture, food culture in this analysis. one of them is known as food culture influence of korea tourism image any other than. A image of Korea food culture has more positive influence than the media culture contents as dramas and movies and the music culture contents as k-pop. It is known that in the image of korean tourism, the image of Korea food culture have more positive influence than media or music culture, in the cleanliness and value image of Korea food culture has more positive influence than the media and music. so the image of Korea food culture shows more positive influence, compared to other parameter. more positive influence on image of Korea any other than. Secound, It is known that in the image of korean tourism, A Japanese has a positive the image of korean tourism as a Japanese has a highly favorable Hallyu Cultural Contents thus they will have a high visit satisfaction. But the directivity of relation between each parameter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attraction image of Korea. Simply positive image of touring place leads to tourists' satisfaction. in other words tourists' satisfaction leads to positive image of touring place. therefore, increasing tourists' satisfaction is closely connected with a positive image. it show that a positive image plays a key on japanese tourists' satisfaction The third, this analysis identifies to more high tourists' satisfaction, to more revisiting intention, it is shown as highly positive recommendations of behavious on these. These results show that the Hallyu has positive influences on the tourism destination image and the tourists' satisfaction of Korea, consequently being able to lead to a positive behavioral response of the tourists. Also it is known, what be able to lead to a positive recommendations Although the present study reports several important findings with regard to the influences of the Korean wave on the Korean tourist image and tourists' satisfaction, further studies is needed to validate and generalize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present study. Much more samples should be gathered from foreign tourists from other country. Based on these data, more systematic and reliable analysis will be helpful to enhance national future tourist potential associated with the Hallyu.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인들이 평소 지니고 있는 한류문화컨텐츠에 대한 인식이 한국 관광이미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또한 방문만족 및 행동의도 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한국을 방문한 경험이 있는 일본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류문화컨텐츠 중에서 일본 내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영화와 드라마로 대표되는 영상문화, K-pop으로 대표되는 가요문화, 그리고 한국의 음식문화가 한국 관광이미지 및 방문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재방문 의도와 추천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향후 대일본 한류관광객들을 위한 마케팅 전략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으며 보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류문화컨텐츠를 영상문화 · 가요문화 · 음식문화로 구분하여 각 변수들의 개념을 정리하고, 관광이미지 · 방문만족 · 재방문 · 추천의도에 관하여 문헌적 연구를 통한 이론적 틀을 완성하고자 하였다. 둘째, 한류문화컨텐츠가 한국 관광이미지 및 방문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각 변수들이 재방문의도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셋째, 실증분석을 통해 한국을 방문한 일본인들에게 평가되어진 한국 관광이미지와 방문만족에 대한 문제점을 규명하고 향후 대일본 한국방문객 유치증진, 한국관광의 홍보 등 관광산업에 한류문화컨텐츠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여, 한류문화컨텐츠가 한국 관광산업에 지속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규명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관련 문헌연구 자료와 실증조사를 병행하였다. 본 논문의 실증조사는 현재 일본에서 최대 한류의 중심지라 할 수 있는 도쿄도내의 한국거리를 방문한 일본인 남녀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실증연구자료를 기초로 한 설문지를 작성하여 자기기입식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이에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그 중 유효하지 못한 12부를 제외시키고 총 288부를 유효설문지로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SPSS 15.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였으며, 분석방법은 표본의 일반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과 연구모형의 적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류문화컨텐츠를 선호할수록 한국 관광이미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해서 분석해 본 결과, 한류문화컨텐츠에 관한 선호가 높을수록 한국 관광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한류 문화컨텐츠를 구성하는 주요 요인인 영상문화, 가요문화, 음식문화 3가지 요인 중 한국의 음식 문화에 대한 호감이나 선호도가 높을수록 한국 관광이미지에 가장 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본인들의 한류문화컨텐츠의 선호도가 높아질수록 한국 관광이미지가 좋아지게 되며, 한국 관광이미지가 좋아지면 한국방문 만족도가 높아질수 있다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하지만, 이 두 가지 변수간의 관계의 방향이 반드시 필연적이라고는 하기 어렵다. 즉, 이미지가 긍정적이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당연하다고 할 수 있으나, 역으로 만족하였기 때문에 관광지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게 되었다고 할 수도 있다. 따라서 긍정적 이미지와 만족도 상승의 상관관계는 아주 밀접하다고 할 수 있으므로, 이는 방한 일본인들의 한국 방문 만족에 한국 관광이미지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셋째, 관광객 만족이 관광객의 행동반응인 재방문의도 및 추천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한 결과는 한국 방문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추후 재방문하고자 하는 의지가 높아지게 되고, 더불어 주변인들에게 긍정적 구전의도 및 방문 추천을 하고자 하는 의지가 높아지게 되는 것을 확인했다. 따라서 한류로 인한 지속적인 외래 관광객 유치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새로운 한류문화컨텐츠의 개발과 더불어 한류문화컨텐츠를 관광상품 마케팅에 적극 활용하여 한국 관광이미지 및 고객충성도를 높여가야 하며, 이에 보다 실질적인 경제효과가 발생할 수 있도록 한류마케팅전략을 수립하여, 한국이 관광목적지로서의 매력을 높이고 실제 방문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유도하고, 보다 체계적인 관광이미지 전략을 통해 향후 한류문화컨텐츠를 통한 한류관광의 성과를 제고시킬 수 있는 구체적 관광산업 전략을 연구해 보고자 한다.

      • 연골재생을 위한 젤란검/글리콜키토산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특성 및 효과 평가

        이수미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젤란검은 높은 함량의 물을 가지며 자연 유래 세포외기질과 유사하여 결손된 조직을 재생하기 위한 연골 조직공학 재료로 널리 사용되어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젤란검 자체는 세포 접착 부위가 불충분하여 세포가 생존하고 증식할 수 있는 충분한 생물학적 환경을 제공하지 못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젤란검을 글리콜 키토산과 물리적으로 블렌딩하여 연골 조직 공학에 적용 할 젤란검의 기계적 특성 및 미세 환경을 향상시켰다. 물리 화학적 연구는 형태학적 연구, 팽윤 비율, 중량 감소 및 졸 분율로 수행되었다. 기계적 특성 분석은 연골 조직 공학 재료의 가용성을 확인하기 위해 압축 테스트 및 유변학적 연구가 수행되었다. 또한, 하이드로겔의 개선된 마이크로환경을 확인하기 위해 형태 연구, 생체적합성, 세포 생존력 및 세포 독성, 생화학 분석, 유전자 발현 및 조직학적 연구와 같은 체외 연구를 수행하였다. 전체 결과에서 적절한 양의 글리콜 키토산의 첨가는 기계적 및 생물학적 특성을 개선시켰고 물질의 생체적합성 및 연골재생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젤란검/글리콜 키토산 하이드로겔은 연골 조직 공학의 재료로써의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잠재적 재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Gellan gum has a high content of water and is similar to natural-derived extracellular matrix (ECM), and is widely used as a cartilage tissue engineering material to regenerate defective tissue. Nevertheless, gellan gum itself has insufficient cell adhesion sites and does not provide a sufficient biological environment for cells to survive and proliferate. Therefore, in this study, gellan gum was physically blended with glycol chitosan to improve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microenvironment of gellan gum to be applied to cartilage tissue engineering. The physicochemical studies were conducted with morphological studies, swelling ratio, weight loss and sol fraction. Mechanical properties analysis was carried out by compression tests and rheological studies to confirm the availability of cartilage tissue engineering materials. In addition, in vitro studies such as morphology studies, biocompatibility, cell viability and cytotoxicity, biochemical analysis, gene expression and histological studies were conducted to confirm the improved microenvironment of the hydrogel. From the overall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addition of an appropriate amount of glycol chitosan improved mechan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and improved biocompatibility and cartilage regeneration of the material. Therefore, gellan gum/ glycol chitosan hydrogel has been confirmed as a potential material for cartilage tissue engineering and is expected to be potential materials.

      • 전남지역 중학생의 급식메뉴에 대한 만족도 조사

        이수미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식습관과 식생활 태도에 대해 알아보고 학교급식 만족도, 관여도, 중요도 등을 조사하여 학교급식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남지역에 거주하는 남학생152명(42.6%), 여학생 205명(57.4%)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침을 [매일 먹는다]가 58.8%로 전체대상자의 절반이상이었고, 아침을 먹지 않는 이유는 [시간이 없어서]가 76.9%로 가장 많았다. 저녁은[매일 먹는다]가 64.9%였고, 저녁을 먹지 않는 이유는 [체중조절때문에]가 41.9%로 가장 많았으며 남학생과 여학생이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 외식은 특별한 날에만 외식을 한다가 25.2%로 가장 많았고, 간식빈도는 [하루에 1회 정도]가 40.9%로 가장 높았다. 간식을 섭취하는 시간은 [점심식사와 저녁식사 사이]로 46.3%였고, 자주 먹는 간식은 [빵 및 과자류](44.8%)였다. 선호하는 식사형태는 [밥식(68.3%)]이 가장 많았으며, 식사 시 편식을 한다고 생각하는 학생이 51.8%로 절반이상이었다. 식사시간은 [10분~20분]이 61.3%로 가장 많았으며 남학생과 여학생이 유의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우유의 섭취량은 [거의 먹지 않음]이 45.4%로 가장 많았으며 남녀 간의 유의적 차이가 있었으며, 커피는 [거의 먹지 않음]이 81.8%로 가장 많았다. 학교급식이 즐거운가로 학교급식의 전체적인 만족도를 알아본 결과 전체의 64.5%가 [예]라고 대답하였으며, 남녀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존재하였다(p<0.05). 학교급식에 대한 위생, 서비스의 만족도를 5점 척도로 알아본 결과 서비스에서는 [조리원의 배식 태도]가 3.01±0.947로 가장 높았고, 위생에서는 조명시설이 가장 만족도가 높은 문항이었으며, 남녀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학교급식을 매일 먹습니까]라는 질문에는 90.1%가 [예]라고 대답하였다. 남기는 양에 대해서는 남학생은 [가끔 조금씩 남긴다]가 제일 많았고 여학생은 [매일 남긴다]가 가장 많아 유의적으로 차이가 있었으며, 남기는 이유는 [싫어하는 음식이라서]와[맛이 없어서]가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학교급식에서 가장 불편한 점으로는 46.6%가 [줄서기]라고 답하였으며 음식을 골고루 먹어야하는 이유를 52.4%가 영양적으로 우수하기 때문이라고 답하였다. 평소 먹지 않던 음식이 나왔을 때 먹어본다가 80.9%였고, 평소 먹는 음식이 아닌데도 조금이라도 먹는 경우는 색과 모양이 예뻤을 때라고 답한 학생이 45.2%로 가장 많았다. 육류를 이용한 음식의 기호도를 보면 쇠고기의 경우 남녀 모두 쇠불고기의 기호도가 가장 높았고 쇠고기 무국 의 기호도가 가장 낮았으며, 돼지고기는 돈가스가 가장 높고 짬뽕국이 가장 낮았다. 닭고기의 경우도 닭고기무국이 가장 기호도가 낮고, 오리고기도 오리탕의 기호도가 가장 낮았다. 생선을 이용한 음식의 기호도를 보면, 고등어구이 꽁치구이 삼치구이 코다리강정등의 선호도가 높았으며, 고등어무조림 꽁치무조림 삼치무조림등의 음식이 기호도가 가장 낮았다. 야채를 이용한 음식은 제육깻잎볶음 상추쌈&고기 김치제육덮밥 비빔밥 열무비빔밥 야채비빔밥 카레라이스 야채볶음밥등이 기호도가 높았다.남녀학생이 가장 좋아하는 야채는 고구마 감자 순이었고, 가장싫어하는 야채는 남학생은 연근 여학생은 가지였다. 공산품을 이용한 음식의 기호도는 어묵떡볶이 스파게티 두부김치 등이 높았으며, 가장 기호도가 높은 공산품은 남녀모두 만두 였다. 쌀을 이용한 음식에서는 떡꼬치가 밀가루를 이용한 음식에서는 조각피자가 가장 높은 기호도를 보였으며 후식에서는 감귤쥬스 오렌지 딸기 메론등의 선호도가 높았으며, 토마토 수정과등은 기호도가 낮았다. 이상의 결과 전남지역 일부 중학생들은 학교급식이 즐겁다고 응답한 학생이 64.5%로 절반이상이었지만, 학교급식 메뉴에 대한 기호도가 다양하고 야채 생선들의 기호도가 낮았다. 따라서 학교급식의 전반적인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기호도가 높은 육류 제공시에 비교적 기호도가 낮은 야채류를 같이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도라지, 시금치, 애호박, 열무, 콩나물 등의 기호도는 낮으나 비빔밥의 선호도는 높으므로 야채를 제공할 때 메뉴와 조리법에 유의하여야 하겠다. 또한 당근, 양파, 완두콩 등의 기호도는 낮으나, 카레밥, 자장밥, 볶음밥 등의 선호도는 높으므로 학생들의 충분한 야채 섭취를 위해 조리방법의 개선이 필요하며, 음식의 색과 모양을 예쁘게 유지하려는 노력도 필요하겠다. 또한 다양한 영양교육프로그램으로 학생들에게 친숙하게 다가가 급식에 대한 의견을 나누며 학교급식에 대한 부적정인 시각보다는 긍정적인 측면에 대한 인식을 같이하며, 학생, 학부모, 교직원의 상호 협조가 절실히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gather the basic data which is for enhancing quality of school lunch program by surveying the degree of satisfaction regarding school lunch program, level of involvement, comparison of importance assessment, and survey of food habits, etc in middle school students. The study is to be targeted with 152(42.6%) male students and 205(57.4%) female students in Jeonnam area of middle school,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 42.2% in the total subject does not eat breakfast because they do not have enough time(76.9%). 35.1% in the total subject does not eat the dinner because they try to control their weight(41.9%), and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s. Preferring type of meal is routine Korean meal(68.1%), and more than half(51,8%) in total subject think that they do unbalance diet when having meals. 61.3% of in total subject are taking meal in 10 minute to 20 minute, and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As the result of analyzing students' satisfaction with a school lunch program, 64.5% in the total subject answers 'yes', and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90.1% in total subject answers ‘YES’ responded on the question “do you eat school lunch program in everyday?” The question ‘leaving food’ is answered that male students have the highest answer ‘sometime leave the food’, female students have the highest answer ‘everyday leave food’, and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There are 2 big weight causes ‘Not taste well’ and ‘Hate dishes’. 46.6% in the total subject answer ‘making rank’ in the most inconvenience fact in school lunch program. 80.9% in the total subject answer “try” responded on the answer ‘if there is not familiar food for side-dish to you, what are you going to do?”. 42.5% in the total subject answer that they try to eat the side dishes which have good colors and shape even though they do not eat usually. The research shows that the subject’s preference of meat dishes are high ranked with “Beef bulgogi”, “port cutlet”, etc., “Beef soup with radish”, “Jjamppong soup”, “duck soup” etc. are low ranked. And the subject’s preference of fish dishes are high ranked with “grilled mackerel”, “grilled pacific saury”, “grilled Japanese Spanish mackerel”, etc., “mackerel boiled in spiced soy sauce with radish”, “pacific saury boiled in spiced soy sauce with radish”, “Japanese Spanish mackerel boiled in spiced soy sauce with radish” etc.. With vegetable dishes, “stir-spicy pork with sesame leaf”, “bowl of rice topped with pork and kimchi”, “Bibimbap”, “Bibimbap with young radish”, “Bibimbap with vegetable”, etc.are high ranked. The most favorite vegetable is sweet potato and potato, but the most dislike is “lotus root” in male student subject, “egg-plant” in female subject According to the result, there are a few suggestions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for school lunch program as follows; The first, it should increase the preference of intake more vegetable by offering both meat and vegetable. The second, it should pay attention the recipe and menu when cooking, and change its cooking methods to increase the preference of intake more vegetable. The third, it should keep the food shape and color appetizing. The last, it is necessary to prepare diverse education programs to give them more positive view, and inform them how important well-balanced diet is. KEY WORDS : middle school, school lunch program, satisfaction, hygiene, participation

      • 한국무용 공연현황 및 마케팅 전략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이수미 단국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한국무용은 세계화의 흐름 속에서 우리의 전통문화를 재조명 재해석하여 세계적 보편성을 가진 무용문화로 현대화 시켜야 하는 과업을 지니고 있다. 이 같은 한국무용계의 숙원사업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효율적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기 때문에 그 방안을 연구하는 과제를 본 논문의 주제로 삼았다. 한국무용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는 관련 단행본과 선행연구, 문화예술 총서, 문예연감, 전문서적, 정기간행물, 석, 박사 논문 등의 자료들을 수집하여 연구하였고, 특히 문화관광부와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의 자료와 문서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무용의 경영이론을 정리하면서 무용공연 시장의 중요성을 파악하고, 그 활성화 방안을 연구하였으며, 관객개발의 필요성도 고찰해보았다. 무용공연의 현황 및 문제점을 연구하여 국내 무용단의 활성화와 각 예술 단체의 지역별 공연현황을 조사해보았으며 국제교류의 진전 상황도 살펴보았다. 해외 무용단의 한국공연은 무용계를 자극하여 실험예술들의 형성을 도왔으며 문화예술계의 관심을 불러일으키면서 학문연구에 수용되어가는 점을 알 수가 있다. 스포츠, 레저문화, 영화산업분야에서는 마케팅의 효율적 적용이 활발한데 비해서 무용공연에서의 마케팅은 아직도 전문인 수준에 도달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무용공연의 새로운 흐름으로는 전문 무용단 중심으로 연중 공연 횟수가 늘어난 점, 장기공연이 많아 진 점과 재 공연을 통한 레퍼토리 작업이 활발해진 점, 기획공연이 늘어난 현상과 해외 무대 진출 등이 두드러진 현상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특정 계층을 위한 기획프로그램이 증가되고 있었으며 창작보다 한국무용공연이 확산되어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국무용 공연의 활성화 전략은 무용예술인 등 특정한 집단의 예술의식의 개혁이 전제되어야 하며, 투자와 정부의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 In these days, Korean dance has a great task to analyze and illuminate Korean traditional culture again in order to develop Korean danceas the modernized dance culture which has universality in the world. To achieve this long cherished desire of Korean dance groups, efficient marketing strategies are needed; therefore, the subject of this thesis is to research the schemes. To analyze the present status of Korean dance, I collected and reviewed related books, pre-researches, series of culture and art books, periodicals as well as master's and doctor's theses. I especially reviewed the data and documents of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and KCTPI. In this thesis, I disclosed the importance of dance performance marketing and researched the scheme of revitalization and then also examined the necessity of enlightenment of audiences along with studying Korean dance marketing theories. In order to research the present condition of dance performance and problems, I investigated domestic dance groups' development and regional performance situations as well as the progress of international exchanges. Foreign dance groups'performances in Korea have stimulated Korean dance groups and helped to constitute of experimental art with interest and then it is being accepted in academic researches. In fact, efficient applications of marketing in sports, leisure, and movie industries have made good use of it. Nevertheless, the marketing in dance performances has not been reached a professional degree yet. The new stream of dance performance is increase of annual and long term performances with professional dance group. Besides them, repertory works of re-performances, project performances, and performances into foreign stages are understood as new stream. Especially,the project performances for a specified class have been increased and more Korean dance performances have been spread than creative dance performances. The strategies of revitalization for Korean dance performance supposed to be based on reforms in dance artists'or specific groups' awareness of art. In addition, public investment and government's policy support are needed.

      • 청소년 분야 창의융합 핵심역량 측정을 위한 탐색적 연구

        이수미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청소년 분야 창의융합 활동의 효과성을 측정할 수 있는 초석을 다지기 위해 기존의 유사 척도를 토대로 청소년 분야 창의융합 핵심역량 측정도구를 재구성하고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창의융합의 핵심역량을 창의성, 융합적 사고력, 문제해결력, 자기효능감 4가지로 구성하였다. 연구에서 정의한 핵심역량의 개념과 부합하는 기존 선행연구 척도를 토대로, 청소년 분야 창의융합 핵심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문항을 재구성하였다. 총 89개의 예비문항을 선별하였고, 이를 청소년 분야에서 공부하고 있는 박사과정 20인과 청소년 분야에 10년 이상 종사하고 있는 박사 10인을 대상으로 문항이 해당 핵심역량을 측정하기에 적합한지 여부와 청소년 분야에서 활용하기 적합한지 여부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45개의 예비 문항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예비 문항에 대해서 수도권 청소년시설에 방문한 청소년 6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문항에 대한 응답자들의 반응과 문항의 구인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예비조사에서 청소년으로부터 받은 피드백을 반영하여 본 조사를 위한 30개의 문항을 구성하였고 청소년시설에 방문한 청소년과 수도권 일부 중·고등학교의 청소년 316명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창의성 요인에 해당하는 문항 6문항, 융합적 사고력에 해당하는 문항 6문항, 문제해결력에 해당하는 문항 12문항, 자기효능감에 해당하는 문항 6문항으로 구성된 총 30문항의 청소년 분야 창의융합 핵심역량 측정 도구가 재구성되었다. 창의융합 핵심역량 측정 도구의 신뢰도 계수는 전체 .950으로 나타났으며, 하위 구성요인 별 신뢰도는 창의성이 .842, 융합적 사고력이 .858, 문제해결력이 .915, 자기효능감이 .826으로 나타났다. 최종문항에 대한 모형적합도는 절대적합지수 χ²검증(786.477***)을 제외한 RMSEA값(,057), 증분적합도 지수인 CFI(.918), TLI(.908)가 모두 적합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 분야 창의융합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는 시점에서 기존 선행연구를 정리하고 핵심역량을 구성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청소년 분야 창의융합 핵심역량을 측정하는 척도의 개발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측정 도구를 재구성했다는 점에서, 창의융합 활동이 효과적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후속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기초를 마련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본 척도는 타 척도와의 수렴타당도나 변별타당도를 확인하지 못했다는 점과 새로운 문항을 개발한 것이 아니라 기존의 척도를 재구성하여 청소년 분야만의 독특한 문항을 개발하지 못했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후속 연구에서 보완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re-organize a measurement scale for core competencies of STEAM and to test its validity to adapt in youth field. Based on precedent studies, core competencies of STEAM were conducted 4 categories; Creativity, Convergent thinking, Problem solving ability, Self-efficacy. And also the items extracted from precedent studies in accord with 4 categories above were re-framed to measure core competencies of STEAM adapting in Youth field. 10 doctors who have been working at youth program more than 10 years and 20 students in doctoral program for youth education and leadership examined the appropriateness of expression and the validity of contents in the items. As a result, 45 preliminary items were selected. A pre-survey about the 45 preliminary items were asked to 60 teenagers at the youth centers in capital area to check the construct validity. Finally, reflecting responses of pre-survey, total 30 items (6 items for creativity category, 6 items for convergent thinking, 12 items for problem solving ability category, 6 items for self-efficacy category) were re-organized to measure the core competencies of STEAM in youth field. The main survey with final 30 items was performed to 316 middle and highschool students and teenagers at the youth centers in capital area. The total reliability coefficient of a measurement scale for core competencies of STEAM was .950. The reliability coefficient for creativity was .842. The reliability coefficient for Convergent thinking was .858. The reliability coefficient for Problem solving ability was .951. The reliability coefficient for Self-efficacy was .842. The model fit indices of final 30 items were RMSEA(,057), the incremental fit index CFI(.918), TLI(.908), except the absolute fit index χ²(786.477***) and proved they were significant statistically.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a measurement scale for core competencies of STEAM was developed and re-organized from precedent studies. And it established the foundation of following study to evaluate the STEAM activities of youth. However, this scale has limitation that it wasn’t tested the convergent validity and the discriminant validity with other scales. Therefore it also need to be made up by following studies.

      • 아동학대의 실태와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이수미 한남대학교 지역개발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Child abuse is very hardhearted and it has a harmful effect on a child's growth period. When we compare with adults, it has a bad influence on a child's body and mind. Also, the child who has a bad experience like this will repeat this cycle when they themselves are parents. So, we have to do research about the realities of child abuse & prevention. The subject of this treatise's goals a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alities about child abuse & prevention in Dae-jeon and furnish out information about prevention. This is the result of a research in Dae-Jeon based on child abuse & prevention. There are about 3 different kinds of abuse which are physical, language expression and sexual abuse. 1. The result of the rate of physical abuse(being struck by ruler or stick) is 58.3%. 23.9% of surveyed children were exposed to other forms of abuse such as neglect. And 16.3% of children had experience about sexual neglect. 26.8% of respondents who had an experience of physical and language expression abuse were being punished by getting struck on their calves with sticks and were being verbally abuse. 2. The result was different by children's sex, age and parents academic careers. The result of emotional abuse and nonintervention are different by sex distinction, parents age and academic careers. Also sexual abuse is different by child's age and parents academic careers. How are the children affected by the abuse? 3. There are 40.7% of people who would report to the child protection center and 28.0% would call the police. 27.0% of the abused children would inform their mother, 20.4% would inform their father and 19.6%would report to their teachers. 83.5% of the children were unaware of the child abuse center telephone number. 22.4% of the children demanded advertising the center's hotline number(1319). A number of children pointed out educational programs on child abuse prevention for the parents and communities. The research indicates the child protection office needs to inform the public. Based on this research many children are being abuse on a regular basis. Therefore, first of all we must protect our children.

      • 스타일 분석에 따른 인테리어 트랜드 연구 : 리빙 잡지의 색채 이미지를 중심으로

        이수미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interests among consumers in interior styles have been rising recently, there is increasingly the need of various visual data on interior design, and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y is leading our life to a new direction. As well as the information on new exterior environment, the social, cultural trends within our society have huge influence on our living cultures and interior styles. Against this backdrop, for interior design reflecting the newest trends, research and analysis on the stream of trends in the past and various elements regarding interior styles are essential to get solid information to predict the future trends. This study, therefore, aims to come up with the analysis method by which specific, objective data can be drawn based on systemic principles in understanding, predicting, and analyzing the trends of interior styles. For this, centering on the illustrations of pictorial magazines from 2003 up to now, by analysing trend terms, representative interior styles, materials, patterns, fabrics, and describing expressions according to the social, cultural conditions, more specific trend changes will be sought, and based on the analysis of images' color, the changes of color trends in interior styles will be traced. For color analysis, four living magazines covering information on interior styles and trends(Maison, Casa Living, Interni & Decor, and Interior Design) were chosen, and especially hue distribution of the most representative trend images, tones, gray image scale, and describing expressions' image scale will be analyzed. In addition to that, frequency of trend terms related to images, interior styles, materials, fabrics, and patterns will be examined to analyze the changes in interior trends more distinctively. In conclusion, the investigation in this study on the changes in interior style trends for the last three years shows that 'Mix & Match Style' in 2003 was presented in 2004, 2005, and 2006 too as a continuous trend not only regarding interior styles but also in furniture with different materials. Orientalism in 2003 was presented in 2005 and 2006 as well as the representative, continuous trend, and minimalism in 2003 was brought back out in 2006. 06' Vintage style was presented in 2006, and 04' Modern style in 2005 continuously, and Neo Classic style, a interior style emerging in 2005, has been presented up to now 2006 continuously. In 2006, Maximalism style, Victorian style, and Urban-chic style were found as newly emerging interior styles. The analysis on fabric trends shows that linen in 2003 reappeared in 2004, while lace in 2004 has been presented up to now 2006 as the representative fabric. As for pattern trends, Optical Pattern in 2003 reappeared in 2005, 03' Geo-matric pattern in 2005, and 04 Abstract Pattern in 2005 respectively. 05' Damask Pattern was found to be the representative pattern up to 2006 continuously. It is predicted that the 07' interior style will emphasize moderation and simplicity with minimal, warm, mild elements without excessive decoration, and connected, mild, and curved shapes rather than straight lines will be attached. As for the shape of furniture, flexible lines and sleek, solid shapes with smooth corners will be utilized. Besides, humble and comfortable interior designs arousing nostalgia, worn and tarnished color to recall memories from the worn and old stuff, cute and lovely check patterns, and hand-made feelings like handicrafts are emphasized. Pursued are Objet and space emphasizing artistic nature by embracing various cultures without repulsion, and accepting cultures from both East and West with modern senses. As for materials, it is expected that various kinds of materials that seem not well matched to one another such as crystal, wire mesh, lace, roof, and leather will be combined to make accent in the space. As for patterns, prints that adopt images of geometrical optical art, engraving, and landscape paintings, patterns recalling illustrated books of plants and animals, letters like doodle, and graffiti patterns are expected to appear as a representative patterns in 2007. Moreover, for consumers who want to express one's own artistic feelings, Mix & Match space expression is expected to feature flower patterns bearing oriental emotions through watercolor techniques, and flower patterns with modern feelings expressed through graphic skills. 현대 사회에서의 소비자들은 인테리어 스타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실내 디자인에 관한 다양한 시각적 자료와 필요성이 증가 되고 있고 급속하게 발전하는 기술의 진보는 시대의 흐름과 우리의 삶을 새로운 방향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새로운 외부 환경적 정보 외에도 우리 사회에서 발생하는 사회, 문화적 현상이 우리 주거 문화 및 인테리어 스타일에도 많은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최신의 트랜드를 반영한 인테리어 스타일을 행하기 위하여서는 과거의 트랜드의 흐름과 인테리어 스타일에 있어서 여러 가지 요소를 조사해보고 분석해 봄으로써 미래의 예측되는 트랜드에 부응하는 보다 명확한 정보가 요구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테리어 스타일의 트랜드의 이해, 예측, 분석에 있어서 체계적인 원리에 입각한 보다 구체적이고 객관적 내용으로 이끌 수 있는 분석 방법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2003년도 이후부터 현재까지의 리빙잡지의 화보 이미지를 중심으로 사회 문화적인 상황에 따른 트랜드 용어와 대표적 인테리어 스타일, 소재, 패턴, 패브릭, 형용어휘 등을 조사함으로써 좀 더 구체적인 트랜드의 변화를 분석하며 또한 화보의 색채 분석을 통해 인테리어 스타일의 색채 트랜드에 대한 변화 추이를 추적 하고자 한다. 색채 분석에서는 인테리어 스타일의 정보와 트랜드를 주로 다루고 있는 리빙 잡지 4종류( 메종, 까사리빙, 인테르니 & 데코, Interior Design)을 선정하여 가장 대표적인 트랜드 화보의 색상(Hue)의 분포와 색조(Tone), 단색 Image Scale과 형용사의 Image Scale을 중점적으로 분석 하였다. 이와 병행하여 화보와 연관된 트랜드 용어, 인테리어 스타일, 소재, 패브릭, 패턴의 출현 빈도수를 조사하여 인테리어 트랜드의 변화를 보다 명확하게 분석 하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과거 3년간의 인테리어 스타일 트랜드의 변화 추이를 분석해 보면 2003년도의 믹스 앤 매치 스타일이 2004년, 2005년, 2006년에 지속 적인 트랜드로 제시되었고 인테리어 스타일 뿐 만 아니라 가구에서도 서로 이질적인 소재의 믹스 앤 매치 트랜드로 제시되고 있다. 2003년도의 오리엔탈리즘이 2005년도, 2006년도에도 대표적 트랜드로 지속적으로 나타났고, 2003년의 미니멀리즘 스타일은 2006년에 다시 재등장 하였다. 2004년도의 빈티지 스타일은 2006년도에 , 2004년도의 모던 스타일은 2005년도에 지속적으로 제시되었고, 2005년도에 새로이 등장한 인테리어 스타일의 유형인 네오 클래식 스타일이 2006년도 현재에도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2006년에는 맥시멀리즘 스타일과 빅토리안 스타일, Urban-chic 스타일도 새로이 출현되어진 인테리어 스타일로 조사되었다. 패브릭의 트랜드에 대해서 분석한 결과 2003년도의 리넨이 2004년도에 다시 재 등장 하였고 2004년의 레이스는 2006년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대표적인 패브릭으로 제시되고 있다. 패턴의 트랜드 흐름은 2003년의 옵티컬 패턴이 2005년에 다시 등장하였고 2003년의 지오 메트릭 패턴이 2005년도, 2004년도의 추상적 패턴이 2005년도 다시 출현되며 지속적으로 제시되어졌다. 2005년의 다마스크 패턴은 2006년도에도 계속적으로 지속되는 대표적인 패턴으로 분석되고 있다. 2007년 인테리어 스타일 예측으로는 절제와 단순함이 강조 되며 과도한 장식은 사라진 미니멀함이 나타나고 따뜻하고 온화한 요소가 가미된 스타일로 표현 하며 장식을 배제하고 심플한 요소가 강조되어 직선이 아닌 유기적인 형태 곡선의 온화한 형태가 첨부된다. 가구의 형태는 모서리의 각을 없앤 유기적인 라인과 매끈하고 덩어리적인 형태의 가구가 활용될 것이다. 또한, 과거의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소박하고 편안한 인테리어와 손때 묻고 오래된 것들로부터 추억을 떠올리며 향수를 느낄 수 있는 바래고 퇴색된 컬러, 귀엽고 사랑스런 체크 패턴, 수공예 적 느낌의 핸드 메이드 감각이 강조 되며 다양한 문화를 거부감 없이 수용하며 동서양의 문화를 현대적인 감각으로 수용하여 활용 하여 예술성이 강조된 오브제와 공간이 강세를 보이며 소재는 서로 어울리지 않는 듯한 갖가지 종류의 재료인 크리스털, 철망, 레이스, 루프, 가죽 등 이질적인 조합이 공간에 악센트로 작용 할 것으로 예상되며, 기하학적 옵티컬 아트, 판화, 회화의 이미지를 차용한 프린트, 풍경화나 동식물 도감을 떠올리게 하는 패턴, 낙서 같은 문자나 그림의 그래피티 패턴이 2007년도에 대표적인 패턴으로 나타나며 자신만의 예술적 감성을 표현하고자 하는 소비자 들을 위한 벽지인 수채화 기법으로 채색한 동양적인 느낌의 플라워 패턴과 그래픽 작업으로 표현한 모던한 느낌의 플라워 패턴을 믹스 앤 매치 하여 공간을 표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