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축구선수가 인식한 선호 및 비선호 코칭행동

        이상우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 문 초 록 축구선수가 인식한 선호 및 비선호 코칭 행동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이상우 본 연구는 축구선수의 상황(훈련, 시합, 일상생활)에 따른 선호 코칭 행동과 비선호 코칭 행동의 인식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알아보기 위해 현재 K-리그와 National 리그에서 프로 선수로 활동하고 있는 선수 223명을 대상으로 조사 완료하였다. 연구의 조사도구는 개방형 질문을 실시하였고, 문항은 Lincoln과 Guba(1985)의 연구에서 제안된 절차를 바탕으로 엄성호(2003)와 강건욱(2009)의 선행연구를 참조하여 구성하였다. 분석을 위한 자료처리는 엑셀과 SPSS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개방형 질문지의 문항들은 모든 응답 결과를 정리하고 범주화하여 질적인 특성의 내용을 양적인 특성으로 변환하여 사례 빈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원자료를 반복해서 숙독한 후 삼각검증법에 의하여 주제의 유사성에 따라 문항별 범주화를 이루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축구선수들은 훈련 전 상황에서 중요성 인식이 선호 코칭 행동으로 인식하였고, 훈련 중 상황과 훈련 후 상황에서는 인정을 선호 코칭 행동으로 인식했다. 또한, 훈련 모든 상황에서는 언어적 처벌을 비선호 코칭 행동으로 인식했다. 둘째, 시합 전 상황에서 축구선수들은 강팀과 대진 상황에서 언어적 설득을 선호 코칭 행동으로 인식하였으며, 약팀과 대진 상황에서는 집중력, 대등한 팀과의 대진 상황에서는 동기부여를 선호 코칭 행동으로 인식했다. 또한, 강팀과 대진 약팀과 대진 상황에서는 지도소홀을 비선호 코칭 행동으로 인식하였고, 대등한 팀과의 대진 상황에서는 부담감 증가를 비선호 코칭 행동으로 인식했다. 셋째, 시합 중 상황에서 축구선수들은 이기고 있는 상황과 지고 있는 상황에서 긍정적 피드백을 선호 코칭 행동으로 인식했고, 비기고 있는 상황에서는 과제제시를 선호 코칭 행동으로 인식했다. 또한, 시합 중의 모든 상황에서는 부정적 피드백을 비선호 코칭 행동으로 인식했다. 넷째, 시합 후 상황에서 경기 승리 후에는 결과 관련 칭찬을 선호 코칭 행동으로 인식하였고, 경기 패배 후와 비긴 후에는 결과 관련 격려를 선호 코칭 행동으로 인식했다. 또한, 승리 후에 선수를 비난하는 행동을 비선호 코칭 행동으로 인식하였으며, 패배 후와 경기를 비긴 후에는 결과를 비난하는 행동을 비선호 코 칭 행동으로 인식했다. 다섯째, 일상생활 중 휴식과 휴가 상황에서는 충분한 휴식을 보장해주는 것을 선호 코칭 행동으로 인식했고, 부상 상황에서는 안정감을 선호 코칭 행동으로 인식했다. 또한 휴식과 휴가 상황에서는 지도자의 불신과 간섭을 비선호 코칭 행동으로 인식했으며, 부상 상황에서는 부담감을 비선호 코칭 행동으로 인식했다.

      • 공익사업의 토지수용제도에 관한 개선방안 연구

        이상우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47

        국문 초록 공익사업의 토지수용제도에 관한 개선방안 연구 가천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행정학 전공 이상우 지도 교수 이영균 각종 공익사업 시행으로 인한 토지수용 과정에서 사업시행자와 토지소유자 간에 분쟁이 발생하고 있는데, 그 이유로 사업시행자는 신속한 사업추진과 비용 절감을 추구하지만, 토지소유자(피수용자)는 재산권에 대한 정당보상을 요구하므로 대립 관계가 형성되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사회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이러한 분쟁이 최소화되길 필요로 한다. 공익사업마다 각각 특성과 상황이 다른 점을 고려하면, 피수용자에 대한 정당보상 여부를 판단하기는 어렵지만, 현행 토지수용제도가 피수용자의 권리의식에 불합치하는 측면이 존재함도 사실이기에 합리적인 개선이 필요해 보인다. 이에 따라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왔고, 특히 그동안 공법학계에서 공용수용과 정당보상이라는 논제는 계속 다루어져 왔다. 기존연구들은 법과 제도의 불합치성 등을 제기하며 다양한 논제 접근으로 법리 실현에서 제도적 불합리성을 지적하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실질적인 개선안 제시에 미흡한 측면도 존재하기에 본 연구는 이러한 점을 보완하고 주요 문제점 제기와 함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 관련 문헌분석과 함께 외국 토지수용제도를 비교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고, 현직 감정평가사들과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특히 토지수용현장에서 보상평가 등 현장경력이 많은 감정평가사들의 의견은 토지수용제도의 주요 쟁점들을 이해하고 분석하는데 큰 역할을 해주었고, 본 연구가 제시하는 개선안의 타당성을 높이는데 도움을 주었다. 연구결과로 토지수용제도에 대한 여섯 가지 개선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사업인정에 있어서 그 요건의 강화가 필요하다. 그 이유는 공익사업을 시행하려면 해당 사업시행자는 먼저 사업인정을 받아야 하며 이것은 국가가 사업의 공익성을 판단·결정함으로써 사업 범위를 결정하고 사업시행자에게 적법성을 부여한다. 그런데 일단 사업이 인정되면 사업시행자에게 수용권이 부여됨에 따라 자연적으로 재산권 침해와 직결하게 된다. 둘째, 사업인정과정에서 이해관계인의 참여가 보장되어야 한다. 그 이유는 현행 토지수용제도는 사업인정 고시 전 사전협의에 대한 원칙과 기준이 다소 미흡하다고 할 수 있는데, 만일 사업인정과정에서 토지소유자 등 이해관계자의 참여기회가 부족하다면 이것은 재산권 보호와 충돌될 수 있다. 셋째, 사업인정의제 규정에 대한 입법적 보완이 필요하다. 그 이유는 사회적으로 공공 필요성이 확대됨에 따라 공익사업도 시급성 및 효율성이 중요하게 되었다. 하지만 대부분 공익사업이 사업인정의제 규정으로 사업이 인정되고 있으므로 이로 인해 충분한 사업인정 절차가 생략된다면 사업시행자의 수용권이 남용될 수 있는 소지가 있다. 넷째, 표준지공시지가의 정당성 확보가 필요하다. 그 이유는 토지수용에서 보상액 산정은 표준지공시지가 기준으로 하며 이 원칙은 거의 관련 개별법령 등에서도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만일 표준지공시지가의 정당성이 결여된다면 보상평가에서 공평성 문제뿐만 아니라, 부동산시장의 투명성을 저하와 과세 측면에서도 문제가 될 수 있다. 다섯째, 개발이익배제 원칙은 공평적 접근이 필요하다. 그 이유는 일반적으로 공익사업 공시 및 시행으로 인근지역 지가는 급격히 상승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토지수용 보상액 산정에서 피수용자에게는 개발이익을 배제하고, 공익사업에 편입되지 아니한 인근지역 토지소유자의 개발이익에 대한 환수가 미흡하다는 것은 헌법상 평등 원칙과도 모순이 된다고 볼 수 있다. 여섯째, 감정평가에서 공정성을 강화해야 한다. 그 이유로 감정평가는 토지 가치를 판정하고 표시하는 것이고, 토지수용 보상액을 산정하는 것이기에 더욱 공정하고 중립적이어야 한다. 따라서 이를 위해 중립적인 평가 기관과 보상평가의 검증시스템도 필요해 보인다. 즉 감정평가가 제도적으로 공정하게 이루어지고 심사된다면, 공익사업 토지수용에서 보상에 대한 분쟁이 최소화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토지수용, 정당보상, 사업인정, 표준지공시지가, 개발이익, 감정평가

      • 국방 연구개발 통합 사업관리 모델의 유용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

        이상우 崇實大學校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방 무기체계 연구개발 사업관리의 핵심 요소는 비용과 일정, 성능 관리이다. 따라서 비용, 일정 및 성능의 통합 사업관리 모델에 관한 연구는 효율적 사업관리를 위해 매우 의미 있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비용 및 일정 관리를 위한 사업성과관리(EVMS) 모델에 성능 관리를 위한 기술성능관리(TPM) 기법을 적용하여 비용, 일정 및 성능 통합 사업관리 모델을 정립하였다. 그리고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 통합 사업관리의 필요성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모델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한 항목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모델의 실현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현재 진행 중인 국방 무기체계 연구개발 사업의 사례분석을 통하여 정립된 모델의 실현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적용결과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비용 및 일정, 성능의 통합관리가 가능하였다. 둘째, 업무책임의 소재가 명확하였으며, 셋째, 기술적인 부분을 포함한 문제점 식별 및 이에 대한 조기경보와 대책 수립이 용이하였다. 마지막으로 비용, 일정 및 성능의 통합관리를 통한 일정편차, 비용편차 및 최종사업비 예측과 같은 성과지표의 유용성 증대를 들 수 있다. 또한, 최종 설문조사를 통하여 모델의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검증을 통해 얻은 결론은 통합 사업관리 모델의 필요성과 실현 가능성, 효율성에 관해 비교적 긍정적 인식을 보였으며, 조사대상의 대부분이 필요성에 대하여 공감하였다. 그리고 이를 사업관리의 적용할 경우 유용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통합 사업관리 모델을 보다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개선 및 보완 사항도 도출하였다. 주요 개선 및 보완 사항은 관련 규정 및 제도의 정비, 관련 인원의 과학적 선진 사업관리 기법의 적용 및 숙달을 위한 교육 및 훈련의 선행 필요, 업체의 업무부담 경감 및 과학적 선진 사업관리 기법 적용에 따른 보상체계 확립 등을 들 수 있다. 본 연구의 성과로는 국내 국방 무기체계 연구개발 분야의 비용 및 일정, 성능 통합 사업관리에 관한 최초의 실증적 연구로서 통합 사업관리의 중요성 인식 및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national defense system project’s core factors are cost, schedule, and performance. Thus, the research on project management model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cost, schedule, and performance is very meaningful and important study. This research has applied TPM technique on EVMS model of cost and schedule management, and formulated integrated project management model for cost, schedule, and performance. Its necessity has been verified through conducting in-depth interview with experts. Also, the list to prove its usability of the model is drawn out from the interview. To verify the proposed model’s feasibility, ongoing researches and development projects of the national defense system have been analyzed. As a result of analysis, the integrated project management model have made possible for; first, integrated management of cost, schedule and performance. Second, the responsibility of each work’s whereabouts is cleared. Third, it made easy for identifying problems including technical part and making early warnings and counterplan. Finally, it enlarges the usability of performance indicator’s forecast of schedule deviation, cost variation, and total expense through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cost, schedule and performance. The final survey verified the usability of the model. As the result of verification, the most participants showed positive attitude on its necessity, efficiency and feasibility, and also sympathize with its necessity. It is expected to show a useful result when applied to the project management. On the other hand, to apply integrated project management model more efficiently, this research has drawn out some improvement and supplement to be made; such as preparation of related regulations, preceded education and training on related personnel to attain proficiency in applying scientifically advanced project management techniques, and establishment of compensation system for reducing companies’ workload and using scientifically advanced project management techniques. As a first practical research on cost, schedule, and performance on the field of the national weapon system research and development, it is expected to increas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the integrated project management and activate its use in more areas.

      • 교통량 예측을 통한 도로교통 이산화탄소 배출량 분포특성 및 요인분석에 관한 연구

        이상우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grasp of carbon dioxide emissions on road traffic which is main structure of the city in order to design constant spatial structure in green town against rapidly changing climate. For this study, First, we calculated the carbon dioxide emissions with Tier 3 method of IPCC G/L which counted VKT on each type of car at main roads in Daegu city. Second, we forecasted the traffic with spatial statistical techniques in order to reflect carbon dioxide emissions on the road on current traffic degree. Third, we visualized the chart of road traffic carbon dioxide emissions that divided carbon dioxide emissions that seized the characters of carbon dioxide emissions by predicted traffic ratio. As the result, road traffic carbon dioxide emissions in Daegu city is about 1,406,281 TonCO₂eq/yr and high emission areas are Buk-gu, Dalseo-gu and Suseong-gu.

      • 永安尉 洪柱元의 漢詩 硏究

        이상우 한성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선조(宣祖)의 부마(駙馬) 중 한 사람이었던 영안위(永安尉) 홍주원(洪柱元, 1606~1672)의 생애와 한시의 특질을 구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선 초기에 부마를 선발할 때에는 인재가 신분에 얽매이지 않게 하기 위해 지위가 한산하고 품계가 낮은 사람을 간택했다. 또한 부마로의 선발은 높은 지위와 물질적인 풍요로움이 보장되어 있는 반면, 정사(政事)에 참여할 수 없다는 측면에서 수기치인(修己治人)이라는 유자(儒者)의 이상과 영원히 격절됨을 의미한다. 이러한 이유로 부마는 안일한 삶을 살았던 경우가 많았으며, 이에 자연스럽게 문화적·문학적 족적을 남긴 인물이 많지 않았다. 그러나 임병양란 이후 종래의 선발 기준이 바뀌어 반드시 빼어나고 문장까지 잘 하는 인물로 선발했다. 홍주원 역시 당대를 비롯한 후대에까지 문학적 역량을 충분히 인정받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그의 문학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부마이면서도 한시에 특장(特長)을 보였으며, 평생 창작의지를 견지해 온 홍주원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우선적으로 작품 분석에 앞서 홍주원 한시의 문학적 배경을 규명하기 위해 그의 생애와 사승관계 및 교유관계를 살펴보았다. 생애는 부분적으로 밝혀진 사실들에 산재해 있던 기록들을 보충하여 보다 상세하게 재구했다. 사승관계는 단순히 당대인들의 기록에 의거해 단정짓지 않고, 홍주원의 스승으로 알려진 이정귀(李廷龜)와 김류(金瑬)의 작품을 비교·분석하며 그 영향 관계의 정도 및 친연성을 밝혀내고자 했다. 이어서 사승관계 외에 홍주원에게 문학적 영향을 미친 관계를 고찰하기 위해 대표적인 교유인물들을 밝혔다. 다음으로 홍주원 한시의 입체적인 조망을 위해 부마로서의 공적인 측면과 시인이자 개인으로의 측면으로 나누어 작품 분석을 진행했다. 먼저 부마라는 신분으로 인해 의례적으로 짓게 된 양식의 대표적인 사례로 송별시(送別詩)와 만시(挽詩)를 들었다. 먼저 송별시는 객체와의 개인적 친분이 없었기 때문에 부임(赴任)에 대한 사적인 가치평가를 드러내지 않으면서 객관적인 정보와 의례적인 제언들로 구성했다. 그러면서도 상투성을 극복하기 위해 이들을 적절히 취사(取捨)하여 참신성과 차별성을 확보하고자 했다. 다음으로 만시는 애도 대상별로 분류해 살펴보았는데, 일반적으로 흔히 보이지 않는 현달(顯達)하지 못한 인물과 여성의 만시가 많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홍주원을 개인의 측면에서 다룬 작품들은 자의식이나 자아에 초점을 맞춰 그의 내면이 시에서 어떻게 형상화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자의식은 대체로 부정적인 성격이 강했으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고독이었다. 그는 고독을 내적으로 침잠시키기도 하고, 누군가에 대한 그리움으로 표현하기도 하였다. 이것이 고독을 수용하는 차원의 행위라면 꽃이나 술을 매개체로 타인과 교유하며 고독에 대처하는 양상을 보이기도 했다. 부정적 자의식의 다른 측면은 자조(自嘲)와 운명론적 관점이었다. 유자로서 발전 가능성 없이 신분에 얽매인 상태가 지속될 수밖에 없다는 한계에서 기인한 의식이다. 이는 이상과 현실의 괴리 사이에서 스스로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없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단기간이 아닌 평생에 걸쳐 지속적으로 표출되었다. 그 양상으로 은거나 강호에 대한 지향을 드러내기도 했으며, 술을 통해 현실을 회피하고자 하기도 했다. 또한 이러한 지향에는 자신을 아무것도 이룬 것 없는 범부(凡夫)로 치부한 자기 비하적인 의식도 전제되어 있다. 이러한 자조적 자의식의 일환으로 운명론적 관점에 기반한 작품들을 창작하게 되었다. 기본적으로 현실에서의 고난을 비롯한 근심 등 불만족이 작시(作詩)의 동인이 되었다. 특히 출처나 신세, 병, 생사 등 개인의 힘으로 극복하기 어려운 상황을 맞닥뜨렸을 때 이와 같은 의식이 표출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일들은 모두 외부적 요인으로 인해 발생한 갈등으로, 이를 인정하고 수용하는 과정에서 운명론적 관점이 개입된 것이다. 이는 갈등에서 잠시 벗어나 자기 위안을 얻거나, 일시적으로 정신적인 회피를 하기 위한 방편의 일환이었다. 또한 갈등 해결이 쉽지 않은 현실들이었다는 측면에서 무력감을 유발해 담담한 어조가 많았다. 또한 적극적인 극복 의지를 보이지 않은 채, 소극적이고 관조적인 자세를 취하기도 했다. 이상과 같이 본 논문에서는 부마이면서도 문학적 재능을 발휘해 2,000수가 넘는 한시를 남긴 홍주원의 생애와 한시의 특질을 분석하였다. 홍주원은 부마의 선발 기준이 엄격하게 바뀌게 된 시기의 인물이라는 점과 개인의 문학적 능력을 고려했을 때, 부마 중 뛰어난 인물이 없다는 선입견과 편견을 불식시키기에 부족하지 않은 인물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中國美學的近代轉折

        이상우 北京大學 1997 해외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중국미학의 성립과정에 대한 반성에서 출발하며, 중국미학의 특 색과 중심개념의 문제를 연구하였다. 서양미학의 도입과 중국미학의 탄생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서양미학의 영향으로 인하여 중국미학의 특징과 중심 개념은 아직 모호한 상태에 있다. 중국미학의 특징과 중심개념을 밝히기 위 하여, 양계초·채원배·왕국유 등 미학이라는 학과를 중국에 수입하고 소개 한 이들 학자들의 사상과 관점을 연구하여 중국미학의 중심개념을 도출하였 다. 본 논문은 이들의 공통된 이론을 “경계”와 “인생의 즐거움”으로 귀 납하여, “경계”개념이 포함한 “인생경계”, “예술경계”, “중국철학의 인식론”, “중국철학의 존재론”등의 상관관계를 밝혔다. 상기 요소들의 상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한가지 경계”, “두가지 경계”, “세가지 경계”라는 독자적인 개념을 설정하였으며, “인생의 즐거움”은 각각의 “경계”에 부속되는 자연적인 정서임을 밝혔다. 그리고 중국철학에서 “경계”개념의 의의와 연원을 설명하기 위하여 풍우 란·왕국유의 경계론을 통해 이 개념이 중국철학의 주요한 특징임을 살피고, 공자·노자·장자의 사상을 통해서 “경계”사상의 연원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종백화·주광잠의 미학사상을 살펴 “경계”사상의 계승과 발전에 대해 살펴 보았다. 서양미학의 영향으로 탄생한 중국미학은 “경계”와 “인생의 즐거움”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학과로 설명될 수 있으며, 이 두 개념은 중국미학이라는 학과가 성립된 이후 구체화된 개념이며, 동시에 중국철학사에서 그 심원한 역사와 근거가 있는 개념임을 논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