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강원도 아이돌봄서비스제공기관 종사자의 직무환경 및 직무요구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 소명의식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민애 연세대학교 정경·창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it affects job burnout by measuring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job demands, and job environment of workers at childcare service providers in Gangwon-do. In addition, the focus was on providing basic data to find the direction of exhaustion management by verifying whether the sense of calling has a moderating effect on job burnout. As of April 2022, this study limited the scope of the study to 41 employees of 14 family centers (7 cities and 11 counties) in Gangwon-do, 1 daycare center association, 1 local government, and 1 self-support center, and analyzed 35 copies collected from the online survey using the SPSS 25.0 program.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effect of optimism, job demand, job environment, and sense of calling on job burnout, it was found that job demand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and sense of calling had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the higher the job demand, the higher the job burnout, and the higher the sense of calling, the lower the job burnout.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effect of the sub-factors of the job environment and the sub-factors of the job demand, the compensation system had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on the job burnout, and the job burden, role conflict, and role ambigu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job burnout.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the higher the compensation system among the job environments, the lower the job burnout, and the higher the job burden, role conflict, and role ambiguity among job demands, the higher the job burnout.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whether the sense of calling has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job environment, job demand, and job burnout, the interaction term between job demand and job burnout had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the sense of calling weakens the increase in job burnout when the job burden is high among the job demands of institutional workers. Therefore, the suggestions and limitations derived through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on the impact verification between the main variables of this study and the effect of controlling the sense of calling are as follows.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workers at childcare service providers in Gangwon-do suffer from a high level of job demand, the higher the compensation system, the lower the burnout, and the higher the job burden, role ambiguity, and role conflict, the higher the burnout.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in order to prevent exhaustion of workers,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workload and compensation system suitable for the job and to present specific and detailed guidelines to clarify the role of the job. In addition, the higher the sense of calling, the lower the job burnout, and the higher the job burden among job demands, the lower the job burnout. Therefore, it seems that more research is needed to manage and apply the positive effects of worker's sense of calling. However, the subjects analyzed in this study were 35,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workers at 18 city and county childcare service providers in Gangwon-do, but the number of samples was small, so there were limitations in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erefore, a follow-up study is proposed that can compar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al conditions or variables by attempting empirical research with various influencing factors outside Gangwon-do. 본 연구의 목적은 강원도 아이돌봄서비스제공기관 종사자의 개인적 특성, 직무요구, 직무환경을 측정하여 직무소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더불어 소명의식이 직무소진에 조절효과가 있는지 검증함으로 소진 관리 방향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주안을 두었다. 본 연구는 2022년 4월 기준 강원도 내(7개 시, 11개 군) 가족센터 14개소, 어린이집연합회 1개소, 지방자치단체 직영 1개소, 자활센터 1개소 아이돌봄서비스 제공기관의 총 41명 종사자를 대상으로 연구범위를 한정하였으며 온라인 설문조사에서 회수된 35부를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낙관주의, 직무요구, 직무환경, 소명의식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3개의 독립변수 중 직무요구는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명의식은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무요구가 높을수록 직무소진은 높아지고, 소명의식이 높아질수록 직무소진은 낮아진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직무환경의 하위요인과 직무요구의 하위요인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직무환경의 하위요인 중에서는 보상체계가 직무소진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요구의 하위요인 중 직무부담과 역할갈등 및 역할모호성이 직무소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무환경 중 보상체계가 높을수록 직무소진은 낮아지며, 직무요구 중 직무부담과 역할갈등 및 역할모호성이 높을수록 직무소진은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셋째, 낙관주의, 직무환경, 직무요구와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소명의식이 조절효과를 보이는지 검증한 결과, 독립변수 중 직무요구의 하위요인인 직무부담과 소명의식의 상호작용항이 직무소진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으므로, 소명의식은 직무부담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정(+)적 효과를 감소시키는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즉, 기관 종사자의 직무요구 중 직무부담이 높을 때 직무소진이 높아지는 것을 소명의식이 약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의 주요변수 간 영향 검증과 소명의식 조절효과에 대한 실증적 분석 결과를 통해 도출한 제언 및 한계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 강원도 아이돌봄서비스제공기관 종사자들이 높은 직무요구 수준을 겪고 있음과 보상체계가 높을수록 소진이 낮아지는 점, 직무부담과 역할모호성 및 역할갈등이 높을수록 소진이 높아지는 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종사자 소진 예방을 위해 직무에 합당한 업무량 및 보상체계 논의와 업무 역할을 명확히 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지침 제시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또한 소명의식이 높을수록 직무소진이 낮아지고 직무요구 중 직무부담이 높을수록 직무소진이 높아지는 것을 약화시키는 조절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종사자 소명의식의 긍정적 효과를 관리하고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더욱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분석한 대상은 35명으로 강원도 18개 시·군 아이돌봄서비스제공기관 종사자들에게 설문을 진행하였으나 표본 수가 적어 집단 간 차이 등 통계분석에 한계점이 있었다. 따라서 강원도 외 지역에서도 다양한 영향요인으로 실증연구를 시도하여 지역 여건이나 변인의 특성을 비교 분석할 수 있는 후속 연구를 제언한다.

      • 프랙탈의 조형성을 응용한 헤어아트 연구

        이민애 서경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복합적이고 다양성을 지닌 현대사회는 기존의 정형화된 프레임방식의 디자인에서 벗어나 규칙적이거나 불규칙적인 자연의 상태를 연구하여 창의적이고 다각적으로 더욱 발전적인 작업의 비전을 보여준다. 이에 프랙탈 이론에 기초한 자연형상을 모티브로 조형성을 생성시킬 수 있는 새로운 디자인의 패러다임을 다채롭고 다양한 시각으로 재창조하여 예술적으로 제시하였다. 프랙탈의 조형성을 응용한 헤어아트는 헤어피스 외 다양한 소재를 사용하여 작품에 작가의 창의적인 생각과 개성을 나타내고 조형적 헤어아트의 예술적 창작활동을 표현하였다. 본 연구의 작품제작은 프랙탈 기하학의 조형원리와 프랙탈 조형성디자인이 내재된 이미지를 표현하고자 하였으며 헤어아트 작품 8점을 제작하였다. 작품Ⅰ Dune의 왜곡된 면과 선들을 응용하여 중첩적, 반복적으로 겹쳐져 연속적인 운동성을 기하학 조형의 시각적 효과를 주어 모래사막의 공간적 깊이와 불규칙적인 척도로 시각적인 유희를 창출하여 무작위적 연속성과 역동성을 표현 하였다. 작품Ⅱ Calla의 비선형적인 곡선의 패턴과 기하학적인 조형적형태의 계획된 구성으로 카라의 아름다움을 극대화시켜 공간적, 입체적으로 화려해 보이게 시각적 효과를 유발하여 자기 유사적인 스케일링, 반복, 왜곡으로 조형의 회전하는 듯 한 입체적 효과와 통일성을 조성한 작품이다. 작품Ⅲ Cardon의 프랙탈 기하학형태의 군집성을 나타내는 헤어피스는 기본형 축소와 확대의 반복을 통한 입체적 효과와 방향성, 통일성은 기하학구성의 깊이감과 공간감이 나타난다. 컬러의 조화로운 배열로 인하여 강렬한 이미지의 시각적 효과와 긴장감을 표현하였다. 작품Ⅳ Aurora는 비선형적 곡선의 패턴과 무작위적이고 반복, 점진, 왜곡, 비예측적 랜덤형 구조로 기하학구성의 우연적인 효과가 나타난다. 자유로운 형태의 홀로그램 현상을 컬러 그라데이션의 시각적 효과를 유발하여 밤하늘 오로라의 경외스럽고 신비스러운 아름다움을 극대화시켜 무한의 공간창출을 연출하여 제작하였다. 작품Ⅴ Snowflake는 스케일링, 반복, 조형적 기하학 형태의 방사형 모티브를 응용한 패턴의 반복적 리듬감과 율동성 및 연속성을 자유로운 진행방식으로 오브제의 일체감과 입체적으로 보이는 점진적 스케일링효과로 화이트 컬러만의 청초함을 강조하여 신비스럽게 표현하였다. 작품Ⅵ Heliconia는 불규칙성 기하학의 대칭적 분기구조로 반복적인 형태의 방향성을 주어 율동감과 화이트, 블랙, 하늘색의 컬러 콤비네이션 효과로 무질서속의 질서를 느끼게 하여 증폭적 아름다움을 극대화시키고 역동적이며 공간적, 입체적인 조형효과를 세련되고 매력적으로 신선한 효과를 주어 연출하였다. 작품Ⅶ Tridacna의 비선형적인 곡선의 과장된 형태로 볼륨이 형성되어 나타나며 자기 유사적 스케일링, 반복으로 조형형태가 기하학구성의 점증의 효과와 운동성을 표현했으며 컬러 블랜딩으로 웨이브의 조형적 아름다움을 극대화시키고 시각적으로 감상자의 정서반응과 긴장감의 효과를 유발하고 비정형성의 조형효과를 창출하여 조성한 작품이다. 작품Ⅷ Fibonacci는 가운데 원을 중심으로 나선형의 회오리치는 형상의 볼륨은 기하학적인 조형적형태의 자기 유사적인 스케일링, 반복, 비선형성으로 입체적 효과와 운동감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나타나며 컬러의 그라데이션을 통해 보는 감상자로 하여금 사랑스럽고 화려해 보이게 하여 시각적 유희의 극대화를 통한 조형효과의 다양성을 표현한 작품이다. 본 연구는 자연 현상의 규칙성과 패턴을 과학적으로 분석한 프랙탈 기하학 이론에 기초한 프랙탈 이미지의 조형적 모티브를 활용하여 미적 창의성이 돋보이는 조형적 헤어아트 제작을 통해 예술적 특성을 구체적으로 작품 속에 녹여내어 어떻게 구현되어지는지 기존의 디자인에서 벗어난 흥미롭고 새로운 아이디어와 활용방법을 제시하여 새로운 디자인의 패러다임을 다채롭고 다양한 시각으로 재창조하여 예술적으로 제작하였다. 프랙탈의 조형성의 특성을 응용한 헤어아트는 다양한 소재를 사용하여 작품에 작가의 창의적인 생각과 개성을 나타내고 조형적 헤어아트의 예술적 창작활동을 표현하였다. 그리고 교육현장 및 미용 산업현장에서 효율적인 활용을 유도하고자 하며 재교육의 기초자료 및 실용화 자료를 제시하여 질적 다양성 추구와 헤어 아트의 학문적 가치를 높이는 토대를 마련하고 관련된 헤어쑈, 전시회 및 페스티발과 국내 외 다양한 미용대회 등의 미래지향적인 미용 산업의 발전 가능성을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 오디분말을 첨가한 제과·제빵 제품의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이민애 嶺南大學校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quality property of the bakery·bread product by adding the bagel and madeleine and making it as powder after drying the frozen mulberry with the frozen-drying and hot-air-drying method. First, the general component of the frozen mulberry, physicochemical property, total polyphenol content,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were measured. In addition, the general component and physicochemical property of each sample were measured and compared by making it as powder after drying the frozen mulberry with frozen-drying and hot-air-drying method. The bagel was made based on the recipe which is taken in the current craftsman confectionary making practical test by adding each sample of 0%(control), 1%, 3%, 5%, 7% compared to the flour amount and measuring pH, chromaticity, texture, so the customer preference was examined through the sensory test. As pH, the hot-air-drying mulberry powder was higher than the frozen-drying mulberry powder, and about the chromaticity, as Lvalue and bvalue, the hot-air-drying mulberry powder added group value was higher than the frozen-drying mulberry powder added group. About the red degree(avalue), the red degree by adding the frozen-drying mulberry powder was higher than adding the hot-air-drying mulberry powder. In the texture, about the hardness, there was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ozen mulberry powder added group, but the hot-air-drying mulberry powder added group showed the opposite result. About the elasticit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ot-air-drying mulberry powder added group but the frozen-drying mulberry powder added group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hesiveness, but about the Gumminess, the additional increases of the frozen-drying mulberry powder and the hot-air-drying mulberry powder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As a result of preference of the sensory test, the preference about the frozen-drying mulberry powder 5% added group and the hot-air-drying mulberry powder 3% added group were highest, and the sensory test was conducted based on the customer, and the customer preference of the frozen-drying mulberry powder 5% added group의 customer preference was highest. The test about the madeleine was conducted by adding the mulberry compared to the flour amount with the same rate with the bagel based on the recipe which was set in the craftsman confectionary making practical examination. First about pH, the hot-air-drying mulberry powder added group was low, and about chromaticity, Lvalue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of adding rate of the frozen-drying mulberry powder and hot-air-drying mulberry powder compared to the increases control. About the red degree(avalue), the red degree by adding the hot-air-drying mulberry powder was increased more than adding the frozen-drying mulberry powder. The bvalue showed the additional increases a tendency to decrease of mulberry powder. In the frozen mulberry powder added group, the hardness and elasticity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ddition increases of the mulberry powder. The cohesiveness and Gumminess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due to increase of addition. The hardness of madeleine adding the hot-air-drying mulberry powder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mulberry powder addition. The elasticity increased by the mulberry powder addition, and the cohesiveness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by increase of addition. The Gumminess showed the tendency of additional increases. As result of the preference of the sensory test, the frozen-drying mulberry powder 5% added group and the hot-air-drying mulberry powder 7% added group were high, and in the customer group, the preference of the frozen-drying mulberry powder added group was highest. In order to examine the quality and sensual property of the bakery·bread by adding the mulberry powder with each different drying condition, the bagel and madeleine were produced and the customer preference was measured, and the sensual optimal manufacturing conditions was proposed and the possibility as the health function food can be examined. So it is judged that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worth of health function of the bagel and madeleine adding the mulberry powder were worth, and if the bagel and madeleine adding the mulberry powder can be examined by the test of the nutritional part, then it is considered that will be new natural health food with fresh unique flavor and aroma of mulberry.

      • 심부전 환자의 증상경험, 불확실성, 불확실성 평가, 자가관리행위 간의 관계

        이민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number of heart failure patients is constantly increasing due to aging societies, and better survival from other cardiovascular diseases. Heart failure is an incurable disease, and self-care behavior throughout life is essential for preventing symptoms of deterioration and complications. Heart failure patients experience various and complex symptoms, as well as uncertainty characterized by an unpredictable disease trajectory that repeated fluctuation of sympto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symptom experience, uncertainty, appraisal of uncertainty and self-care behavior of heart failure pati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85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heart failure and were being followed up by a cardiac outpatient clinic at one of the tertiary hospitals located in Seoul between 22nd February 2019 and 15th October 2019. Symptom experience, uncertainty, appraisal of uncertainty, and self-care behavior were measured by the Memorial Symptom Assessment Scale-HF, the Mishel’s Uncertainty in Illness Scale-Community, the Uncertainty Appraisal Scale, and the European Heart Failure Self-Care Behaviour Scale respectivel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statistics 25.0 program using real numbers, percentages, mean, standard deviation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Tukey HSD post hoc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symptom experience was 0.32 (SD±0.29). The mean score of frequency, intensity, and discomfort of the symptom experience was 0.37 (SD±0.37), 0.23 (SD±0.25), and 0.33 (SD±0.32). The mean score for uncertainty was 54.18 (SD±11.62), danger appraisal was 8.33 (SD±8.06), opportunity appraisal was 10.34 (SD± 8.57), and self-care behavior was 26.99 (SD±8.22). 2.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monthly incom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self-care behavior (F=3.02, p =.023), The group that had more than 5 million won showed lower levels of self-care behavior than the group that less than 2 million won. The subjects with jobs showed lower levels of self-care behavior than unemployed (t=-2.55, p=.013). Among the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of subjec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symptom experience by hospitalization, subjects who had experienced hospitalization had more severe symptom experience (t=-2.44, p=.017). 3. The subjects’ symptom experience showed a significant and positive relationship with uncertainty (r=.30, p=.005) and danger appraisal (r=.36, p=.001). uncertainty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s with danger appraisal (r=.40, p <.001), and self-care behavior (r=.25, p=.021). 4. In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explanation power for Model 2 was significant, and it explained 16.0% (F=2.84, p=.006). In Model 1, monthly income explained 10.0% of self-care behavior (F=2.88, p=.019) and Model 2 explained 16.0% of self-care behavior(F=2.84, p=.006) when symptom experience, uncertainty, and appraisal of uncertainty (danger, opportunity) were added. The only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self-care behavior was uncertainty (β = .32, p = .007). The results showed that heart failure patients had higher uncertainty and danger appraisal when the level of symptom experience was higher. The patients showed lower levels of self-care behavior when uncertainty was higher, and the only influencing factor was self-care behavior. Therefore, the results are meaningful for the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s to improve self-care behavior, as recogniz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level of uncertainty depending on symptom experience and effort to reduce the uncertainty which is appraised of danger through a close assessment of uncertainty and symptom experience. 심부전 환자는 인구의 고령화, 심장질환의 만성화 경향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심부전은 완치 불가능한 질환으로 평생 동안 증상의 악화 및 합병증 예방을 위한 자가관리행위가 매우 중요하다. 심부전 환자는 다양하고 복잡하게 발현되는 증상을 경험하고, 증상의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는 예측 불가능한 질병의 경과로 인해 불확실성을 경험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심부전 환자의 증상경험, 불확실성, 불확실성 평가, 자가관리행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자료 수집은 2019년 2월 22일부터 2019년 10월 15일까지 서울 소재 1개 상급종합병원에서 심부전으로 진단받고 심장내과 외래에서 추적관찰 중인 환자 85명을 대상으로 시행되었다. 증상경험은 Memorial Symptom Assessment Scale-Heart failure, 불확실성은 Mishel’s Uncertainty in Illness Scale-Community Form, 불확실성 평가는 Uncertainty Appraisal Scale, 자가관리행위는 European Heart Failure Self-care Behaviour Scale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변수의 실수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Tukey HSD 사후검정,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증상경험은 평균 0.32 (SD±0.29)점으로 나타났다. 증상경험의 빈도 평균은 0.37 (SD±0.37)점, 강도 평균은 0.23 (SD±0.25)점, 불편감의 평균은 0.33 (SD±0.32)점이었다. 불확실성은 평균 54.18 (SD±11.62)점이었으며, 불확실성 위험평가가 8.33 (SD±8.06)점, 기회평가가 10.34 (SD±8.57)점이었고, 자가관리행위는 평균 26.99 (SD±8.22)점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에서 월수입은 자가관리행위와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F=3.02, p=.023), 500만원 이상인 그룹이 200만원 미만인 그룹보다 자가관리행위가 더 낮게 나타났으며, 직업이 있는 대상자에서 자가관리행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t=-2.5, p=.013). 대상자의 질병 관련 특성 중에서 입원경험에 따른 증상경험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입원경험이 있는 경우 증상경험을 더 심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2.44, p=.017). 3. 대상자의 증상경험은 불확실성(r=.30, p=.005), 불확실성 위험평가(r=.36, p=.001)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불확실성은 불확실성 위험평가(r=.40, p<.001), 자가관리행위(r=.25, p=.021)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증상경험, 불확실성, 불확실성 평가가 자가관리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본 연구의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2.88, p=.019). 1단계에 월수입과 직업을 투입하였을 때 자가관리행위의 10.0%를 설명하였으며, 월수입이 500만원 이상인 그룹(β=.25, p=.046)이 200만원 미만인 그룹보다 자가관리행위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 2의 회귀식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F=2.84, p=.006), 증상경험, 불확실성, 불확실성 위험평가, 불확실성 기회평가를 추가하였을 때 자가관리행위의 16.0%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단계에 투입된 변수 중 불확실성이 유일한 영향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β=.32, p=.007).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심부전 환자는 증상경험의 정도가 심할수록 불확실성이 높고, 불확실성을 위험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불확실성이 높을수록 자가관리행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불확실성은 자가관리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일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심부전 환자를 간호할 때 증상경험에 따른 불확실성의 정도에 차이가 있음을 인식하고, 증상경험 및 불확실성에 대해 면밀히 사정하여 위험으로 평가된 불확실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자가관리행위를 증진시키기 위한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로서 의의가 있다.

      • 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 부모와 청소년기 자녀의 성교육 실태에 대한 연구

        이민애 삼육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에 본 연구는 가정과 학교가 유기적 연관관계를 갖고 성교육을 실시하기 위하여 남녀 중3학년 학생들의 성 태도, 성교육 실태와 또 가정의 주축이 되는 부모의 성교육 실태와 부모의 종교적 요인이 자녀의 성교육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여 가정에서 효과적인 성교육을 돕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다음 연구 질문들에 대답되는 연구결과는 현재 성장기 청소년을 위한 성교육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조사한 것이다. 서울 근교의 중학교 3학년 학생 199명을 대상으로 1998년 11월 10일부터 11월 28일까지 연구 목적에 따라 작성된 질문지를 가지고 조사를 실시하였다. 통계적 처리방법으로는 SPSS/pc+ 프로그램으로 카이 제곱 검증을 거쳐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질문에 따른 설문조사 결과는 구체적으로 하위질문에 답하므로 이루어졌다. 1. 남녀 중3학년 학생들의 성교육에 관련된 배경은 어떠한가? 2. 남녀 중3학년 학생들의 성 태도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남녀 중3학년 학생들이 희망하는 성 교육자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4. 남녀 중3학년 학생들이 희망하는 성교육 내용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5. 부모의 종교와 성교육 경험 여부는 부모의 종교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6. 부모의 종교와 성교육 태도는 부모의 종교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하여 다음의 결론을 유도한다. 1. 남녀 중3학년 학생들의 성교육에 관련된 배경을 볼 때 성교육 경험으로는 가끔 받는다가 전체에서 가장 높은 64.8%의 비유이었고 성교육 경로로는 학교가 67.8%로 가장 높았다. 성 지식의 평가로는 조금 알고 있다가 전체의 70.9%로 가장 많았고 남학생이 더 성에 대해 많이 알고 있다고 느꼈다. 성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질문에 긍정적인 반응이 전체의 70.8%, 필요없다는 부정적인 반응은 8.5%로 나타났고 성교육이 미치는 영향으로는 영향을 준다는 전반적인 대답은 87.9%, 영향이 없다는 12.1%의 비율로 나타났다. 2. 중학교 3학년 학생의 성 태도에 대해 남녀 성별에 따른 순결의식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남녀 성 역할 구분에 대한 질문에 성 역할이 구분되어 있다는 반응이 남학생이 51%, 여학생이 33.0%으로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남학생들이 여학생보다 전통적인 고정관념을 버리지 않고 있는 것으로 짐작된다. 3. 중학교 3학년 학생의 받아온 성교육 내용은 남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희망하는 성교육 내용도 남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다. 4. 중학교 3학년 학생이 희망하는 성 교육자는 남녀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전체 학교 선생님이 가장 많았지만 그 다음으로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가정에서 성교육이 지도되길 희망했다. 5. 부모의 종교에 따른 자녀 성교육은 세부적으로 아버지의 경우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데 기독교인 아버지의 가정이 비기독교인 아버지의 가정보다 자녀 성교육에 더 적극저긍로 나타났고, 어머니의 경우 기독교인 어머니 가정과 비기독교인 가정에서의 자녀 성교육의 차이는 무의미하게 나타났다. 6. 부모의 성교육 태도를 보면 부모가 자녀의 성적 발달을 이해한다고 있는지의자녀의 느낌과 성에 대한 부모의 반응에 대해 기독교인 부모 가정과 비기독교인 부모 가정에서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중학교 3학년 학생의 남녀 성별에 따라 성에 대한 지식과 태도의 올바른 교육의 필요성이 요구되며 가정과 학교가 협조하며 임해야 한다. 기독교인 아버지 가정에서 비기독교인 아버지의 가정보다 성교육 실시에 긍정적이었는데 성교육은 생활교육으로 자연승럽게 시작되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가정에서의 성교육은 생활교육으로 자연스럽게 시작되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가정에서의 지도가 중요하며 부모의 올바른 관념과 태도로 거절하고 효과적인 부모의 자녀 성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

      • 옵아트 패턴을 활용한 헤어디자인 연구(스탠실 기법을 중심으로)

        이민애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modern society, awareness about beauty is getting increased by improving cultural level. People express their own personalities by clothes, nails, and makeup. Especially hair has a point that it can help people to express their personalities and designs which have scarcity. Recently, it is getting to be a trend which the creative and experimental artworks departing from the standard pattern are keeping developed and have been different. It leads into the appearance of new era of hair art which designers' imagination is extended by adding various artistic technique about de stil, pop-art, or op-art. Trendy techniques and study based on expression of personalities and tastes have been making it extend aesthetic values as new artistic trend according to the current trends. Therefore, the study is going to handle new types of color images which are combined with decorative and aesthetic aspect of hair according to customers' taste. There are seven artworks of hair stencil which are based on op-art and can express personalities. Work Ⅰ uses square patterns from the artwork Oltar-BMB-More and expresses those in a trendy way. The work gives an illusion by showing expanding squares, and these repeated patterns make an oval seem to pop out. Work Ⅱ is based on a spiral motif from the artwork Spirale, um. The work shows different colors and it helps the spiral patterns look spinning and three-dimensional structure. To conclude, Work Ⅱ shows a geometric characteristic of space, an illusion of eyes, and color tension. Work Ⅲ uses stripe patterns, which are form the artwork Zebras, c. A zebra’s black and white stripes give an illusion of sight. Especially sharp color contrast makes the work look refined and three-dimensional. Work Ⅳ shows repeated square patterns from the artwork Movement in Squares. This work gives an illusion of perspective, so the patterns make the hair look more stereoscopic. Work Ⅴ uses the motif of a zigzag pattern from the artwork Untitled(fragment_3). The hair is cut to present a dynamic image and dyed by bright pink color, which is futuristic and characterful by showing an obvious contrast. Work Ⅵ combines geometric cut design and dot patterns from the artwork Dots Obsession. There is an incredible sense of rhythm and a curious mystique by designing in a different way. Work Ⅶ uses the motif of dots pattern from the artwork Pumpkin. The dots are arranged in order of size regularly, which causes an optical illusion. In addition, geometric and decent cut design helps the work look active and bright. The study analyses the pattern of artworks of op-art artists and studies background and how op-art has originated. In addition, it deals characteristics of op-art and hair stencil, examples of illusion, and examples of op-art design which applies to hair style. The study is for make suggestions of practical techniques which can be used in hair colors by developing effective and various pattern design, designing, and analyzing, not using only simple colors. Therefore, the study will consider the contents of hair stencil which are based on theory. It will show artworks which provide basic information of patterns and designs which anyone can use and apply. 현대사회는 문화수준의 향상과 함께 미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으며 의상, 네일, 메이크업으로 자신을 표현하는 데에 있어 특히 헤어는 자신만의 개성과 희소성 있는 디자인을 표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데스틸, 팝아트, 옵아트 등 다양한 미술사조 기법들이 가미되어 디자이너의 상상력이 극대화되는 헤어아트라는 새로운 장이 나타나게 되었고, 트렌디한 기법들과 연구 활동은 시대 흐름에 맞추어 새로운 예술사조로서 미적 가치관을 확장시켜 주었다. 본 연구는 옵아트 작가들의 작품 패턴을 분석하고, 옵아트와 헤어 스탠실의 일반적 개념과 형성 배경을 연구하였다. 또한, 옵아트의 특징과 효과, 착시현상의 예와 옵아트의 활용 사례, 헤어에 적용된 옵아트 디자인의 응용 사례를 분석하였다. 따라서 헤어 스탠실에 관한 내용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제작한 작품을 통해 누구나 쉽게 응용 가능한 패턴과 디자인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단순한 컬러를 입히는 것에 벗어나 효과적이고 다채로운 패턴 디자인을 개발, 제작, 분석함으로써 향후 다양한 패턴의 헤어디자인이 예술사조와 접목하여 미용 현장과 헤어 쇼, 각종 미용대회에서 헤어 스탠실 디자인이 활용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소비자가 선호하는 기호에 따라 헤어의 장식적인 면과 미적 감각을 접목한 새로운 형식의 컬러 이미지를 표현하고, 개인의 개성이 표출되고 드러날 수 있는 옵아트 패턴을 접목한 헤어 스탠실 작품 7개를 연구하였다. 작품 Ⅰ은 Oltar-BMB-More의 패턴 중 사각형 부분을 모티브로 하여 면의 확장으로 인해 타원형이 앞으로 튀어나와 보이는 입체적 패턴은 눈의 착시효과를 불러일으키는 작품으로 트랜디하게 표현하였다. 작품 Ⅱ는 Spirale, um을 모티브로 컬러의 입체감 효과와 회전하면서 안으로 빨려 들어가 듯 보이는 스파이럴의 기하학적인 공간성을 구축한 작품으로 시각적 착시와 색채적인 긴장감을 극대화하여 표현했다. 작품 Ⅲ은 Zebras, c의 줄무늬 패턴을 모티브로 하여 보는 이로 하여금 시각적으로 어른거리는 착각을 일으키고 겹쳐지는 부분은 입체감과 깊이감을 주는 작품으로 흑백의 명암으로 강한 이미지를 세련되게 표현하였다. 작품 Ⅳ는 Movement in Squares를 모티브로 사각패턴을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보는 이로 하여금 착시적 원근감을 느끼게 하며 평면적인 헤어에 입체감과 깊이감의 시각적 착시를 불러일으키는 작품을 제작하였다. 작품 Ⅴ는 Untitled(fragment_3)의 패턴을 모티브로 지그재그의 반복적인 작품으로 역동적인 커트선의 강한 이미지와 반대로 헤어를 핑크색으로 도포하여 더욱 대조족인 분위기로 미래지향적이고 개성있게 표현하였다. 작품 Ⅵ은 Dots Obsession의 도트무늬 작품을 모티브로 기하학적인 커트디자인과 콜라보레이션하여 율동감과 신비로움이 부각될 수 있도록 디자인하여 역발상적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작품 Ⅶ은 Pumpkin을 모티브로 하여 점들을 크기별로 규칙적으로 배열하여 입체적이고 시각적 착시를 유도한 작품으로 커트디자인의 기하학적이고 단정한 이미지를 경쾌하고 밝은 이미지를 연출하여 표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옵아트패턴의 모티브는 헤어 스탠실의 특성을 표현하는데 효과적이고 다양한 컬러와 디자인을 쉽게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언점으로는 일시적 헤어컬러 재료의 사용방법 및 정보부족으로 다양한 헤어컬러 재료의 구입이 어렵고 직접 도안 디자인을 해야 하기 때문에 쉽게 재료를 구입하고 만들 수 있는 기법들이 필요하다고 본다. 앞으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한다면 미술사조의 학문적 영역을 넓히고 향후 미용현장 외의 여러 방면에서 실용적이고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패턴의 헤어 스탠실 디자인이 나올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 대장암 세포에 대한 2-hydroxycinnamaldehyde와 hydnocarpin의 항암 효능 연구

        이민애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암의 발생, 진행 및 전이에 있어서 Wnt/β-catenin 신호전달체계의 과도한 활성화 및 이에 따른 T-cell factor/lymphoid-enhancing factor(TCF/LEF) 전사활성의 증가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Wnt/β-catenin 신호전달체계를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이 항암제 개발의 새로운 표적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런 사실에 근거하여 다양한 천연물을 대상으로 Wnt/β-catenin 억제 효능 물질을 검색하였다. 그 결과 계피(Cinnamomum cassia Blume)에서 분리된 phenylpropanoid계 물질인 2-hydroxycinnamaldehyde (2-HCA)와 인동덩굴(Lonicera japonica)에서 분리된 리그난계 물질인 hydnocarpin이 강한 Wnt/β-catenin 억제 활성을 나타냈으며, 또한 대장암 세포에 대한 증식 억제 효과를 보였다. 2-HCA의 암세포 증식 억제 활성에 대한 기전 연구를 수행한 결과, 2-HCA에 의해 β-catenin의 단백질 발현이 감소하였으며, 이는 표적 유전자이며 세포증식에 관여하는 cyclin D1 및 c-myc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in vivo xenograft tumor model에서도 2-HCA가 암세포 성장을 억제시킴으로써 항암활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Hydnocarpin 역시 Wnt 표적 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켰으며, 이는 세포 내 β-catenin 단백질 농도의 감소에 의한 것으로 드러났다. Hydnocarpin에 의해 β-catenin의 인산화가 증가하였고, 이는 분해복합체를 구성하는 단백질인 axin의 증가에 의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RNA 간섭으로 axin 발현을 억제한 대장암 세포의 경우 hydnocarpin에 대한 감수성이 저하되었고, 이를 통해 hydnocarpin의 암세포증식 억제 효능이 axin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를 통해 2-HCA와 hydnocarpin의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가 Wnt/β-catenin 신호전달체계를 매개하여 이루어짐을 알 수 있으며, 이는 2-HCA와 hydnocarpin이 항암제 개발에 선도 물질로서의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아동기 정서적 외상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 : 거부민감성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이민애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아동기 정서적 외상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아동기 정서적 외상의 하위유형인 정서적 학대와 정서적 방임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차별적인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거주하는 초기 성인기 376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6과 경로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기 정서적 학대가 공격형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직접경로가 유의하였고 아동기 정서적 방임이 고립형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직접경로가 유의하였다. 둘째, 아동기 정서적 학대와 공격형 대인관계문제의 관계를 거부민감성이 부분매개 하였고, 아동기 정서적 학대와 순응형 대인관계문제, 고립형 대인관계문제의 관계를 거부민감성이 완전매개 하였다. 셋째, 아동기 정서적 학대와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반면, 아동기 정서적 방임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의 순차적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의의는 아동기 정서적 외상인 정서적 학대와 정서적 방임의 차별적 역할이 초기 성인기의 대인관계문제로 이어지는 심리적 기제에 대한 이해를 제공했다는 데 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아동기 정서적 외상을 경험하고 대인관계문제를 호소하는 내담자를 위해 본 연구가 가지는 상담 장면에서의 함의 및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emotional trauma and interpersonal problems. Specifically,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the differential effects of two subtypes of childhood emotional trauma, emotional abuse and emotional neglec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o this end, an onlin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376 young adults residing across South Korea.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26 and path analysi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direct path from childhood emotional abuse to aggressive interpersonal problems and the direct path from childhood emotional neglect to detached interpersonal problems were significant. Second, in testing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s, rejection sensitivity showed partial medi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aggressive interpersonal problems and demonstrated complete mediation of the relationships of childhood emotional abuse with compliant interpersonal problems and detached interpersonal problems. Third, in examining the significance of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rejection sensitivity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control sequen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compliant, aggressive, and detached interpersonal problems. Meanwhile, there were no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contro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emotional neglect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contributes to our understanding of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that underlie the differential effects of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neglect on interpersonal problems in early adulthood. Drawing from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counseling sessions for patients experiencing interpersonal problems following experiences of childhood emotional trauma. Additionally, we propose avenues for follow-up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