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구성주의 이론에 근거한 수학 교수·학습에 관한 연구

        윤지현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정보화 사회에서는 다양하고 창조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능력과 매일 쏟아져 나오는 엄청난 양의 정보에 압도당하지 않고 자신이 필요한 정보가 무엇인지 스스로 판단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요구한다. 이에 교육 또한 정보화 사회에 맞춰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급변하는 사회에 대처해 나갈 수 있는 인간을 육성해야 한다. 이런 교육을 뒷받침 해 줄 수 있는 이론이 바로 구성주의 이론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구성주의 이론의 바탕이 되는 배경과 유형을 살펴보고 구성주의와 수학 교수·학습론을 연계시켜 구성주의 이론에 근거한 수학 교수·학습을 고찰해 보았다. 구성주의 이론에 근거한 수학 교수·학습은 교사가 안내자가 되어 학생이 수학 지식을 스스로 구성해 나가는 것을 의미하며, 이런 구성주의에 근거한 수업이 실제 수업 현장에서도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다양한 교수·학습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 우리나라 성인의 잔존치아와 일부 정신건강 지표와의 관련성

        윤지현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47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 and mental health indicators among adults in local communities in South Korea. Methods: Of adults aged 50 years or older who participated in the 7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16, 2018), a total of 4,324 participants who underwent the oral examination and completed the mental health questionnaire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Using dental status records from the oral examination,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 in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categories: 'Good (≥20)', 'Fair (11-19)', and 'Bad (≤10)'. Differences i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oral health status, dental examination indicators, and mental health indicator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 were analyzed using the chi-square test. Finally, the independent relationship between the classification of number of remaining teeth and mental health indicators (depressive symptoms, perceived stress levels, sleep duration, experience of planning suicide, psychological counseling related to planning suicide) was evaluated using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the odds ratios (ORs), and 95% confidence interval (CI) were calculated. Results:: In terms of the classification of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 3,117 participants (72.1%) were classified as Good (≥20), 594 (13.7%) were classified as Fair (11-19), and 613 (14.2%) were classified as Bad (≤10). After adjusting for major variables, the odds ratio of 'high depressive symptoms’ (assessed using participants’ scores for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10 points) (OR, 1.60; 95% CI, 1.08-2.36)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whose remaining number of teeth were classified as Fair, compared to the group whose remaining number of teeth were classified as Good. In addition, the odds ratio of experience of suicide planning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classified as Fair compared to the group classified as Good (OR, 2.03; 95% CI, 1.21-3.41). On the other hand, the Poor group had a significantly lower odds ratio (OR, 0.41; 95% CI, 0.17-0.98) of' experienced in mental counseling. Furthermor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all mental health indicators between the group classified as Bad and the group classified as Good,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perceived stress levels, sleep duration,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between the group classified as Normal and the group classified as Good. Conclusion: Depressive symptoms and experience of suicide planning were significantly higher among Korean adults with a lower number of remaining teeth. Active oral health management efforts are therefore needed to prevent mental health problems through managing the number of remaining functional teeth, and to improve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Korean adults. 우리나라 성인의 잔존치아와 일부 정신건강 지표와의 관련성 윤지현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학과 (지도교수 이 영 훈) 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지역사회 성인을 대상으로 잔존치아 수에 따른 정신건강 지표들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방법: 제7기(2016, 2018)의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만 50세 이상 성인 중 구강검진과 정신건강 설문조사 문항에 모두 응답한 4,324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잔존치아 수는 구강검진에서 치아상태를 조사한 기록을 이용하여 ‘양호군(20개 이상)’, ‘보통군(11-19개)’, ‘불량군(10개 이하)’ 으로 분류하였다. 잔존치아 수의 분류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상태 및 건강행태, 구강건강 상태, 구강검진 지표, 정신건강 지표의 차이는 카이제곱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잔존치아 수의 분류와 정신건강 지표(우울 증상 수준, 스트레스 인지 수준, 수면시간, 자살 계획 경험, 자살 계획 정신상담)와의 독립적 관련성을 평가하여 교차비(odds ratio; OR)와 95% 신뢰구간(confidence interval; CI)을 산출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잔존치아 수 분류에 따라 양호군 3,117명(72.1%), 보통군 594명(13.7%), 불량군 613명(14.2%)이었다. 주요 변수를 보정한 후, 잔존치아 수 양호군을 기준으로 보통군인 경우의 ‘높은 우울 증상(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10점)’ 교차비(OR, 1.60; 95% CI, 1.08-2.36)가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잔존치아 수 보통군인 경우의 ‘자살 계획 유경험’ 교차비(OR, 2.03; 95% CI, 1.21-3.41)가 유의하게 높았지만, 스트레스 인지수준, 수면시간, 자살 계획 정신상담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한편 잔존치아 수 양호군에 비해 불량군은 ‘정신상담 유경험’의 교차비(OR, 0.41; 95% CI, 0.17-0.98)가 유의하게 낮았지만, 우울 증상, 자살 계획 경험, 스트레스 인지 수준, 수면시간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우리나라 성인에서 잔존치아 수가 적은 경우에 우울 증상과 자살 계획 유경험이 유의하게 높았다. 적절한 구강기능이 가능한 잔존치아의 관리를 통해 정신건강 문제를 예방하고 건강 관련 삶의 질 향상을 추구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구강건강 관리 노력이 필요하겠다.

      • 위험 거버넌스를 통한 방사성 폐기물 관리 개선에 관한 연구 : 한국원자력연구원의 방사성 폐기물 처리 갈등 사례를 중심으로

        윤지현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public administration conferred in August 2019.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through Risk Governance : Focusing on a case study about the conflicts of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at the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KAERI) Ji-hyun Yoon (尹智鉉)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Young-che Yoon Radioactive waste has become a representative issue of risk in the nuclear industry causing social conflicts. In particular, the issue of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seemed to be solved in the manner of participation. However, the conflict reemerged when the unauthorized disposal of radioactive waste was discovered in 2016, which is closely related to public safety and trust issues. Therefore, this research aimed to identify what types of governance should be applied to the conflict over the management of radioactive waste which has not been addressed in the precedent research. The current manner of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which is classified as a type of technocratic risk governance with the way of non-democratic and non-interactive, cannot become an appropriate alternative. Accordingly, a type of collaborative risk governance which is involved in the transfer of scientific knowledge with the way of civil participation and transparent information release, should be carried out since the public is classified as an object of directly exposed to the risk of radioactive waste. In particular, the issue of radioactive waste is closely related to a risk governance, so that it is also required to have a type of governance which participation-based partnerships between civil and the related institutes are included. Thus, the management of radioactive should be understood as a type of collaborative risk governance that combines civil participation with the expertise of science and technology. This study focuses on setting the model of relations among the actors in order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tors and tries to analyze it by substituting the model into the relations among the government, experts, and civic groups. Based on this method, this research identifies the relationship of actors regarding the management case of radioactive waste and the types of risk governance. In addition, this research examines why the cooperative risk governance should be carried out in the risky situations of radioactive waste. In this paper, the type of risk governance is presented on two criteria as participation and professionalism. The participation is divided into not only a form of civil participatory but also a government-oriented hierarchical form based o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by the government and civil society. Additionally, the relations between experts and civil society are classified as expert-oriented scientific form and practical form that reflects social concerns depending on how uncertain risks are addressed within each group. Based on these types of rick governance classification, this research i that it is necessary to overcome the types of not only technocratic governance, but also instrumental governance, and should move toward gradual cooperative governance. Keywords :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Risk Governance, Collaborative Risk Governance, Risk Communication, radioactive waste, Nuclear Power, Participation 국문초록 위험 거버넌스를 통한 방사성 폐기물 관리 개선에 관한 연구 : 한국원자력연구원의 방사성 폐기물 처리 갈등 사례를 중심으로 방사성 폐기물은 대표적인 위험 문제로 그동안 사회적 갈등을 야기하였다. 그동안 방사성 폐기물 관리 문제는 참여의 방식으로 해결되는 것으로 보였다. 하지만 2016년 한국원자력연구원의 방사성 폐기물 무단 폐기 사건을 중심으로 시민 안전과 신뢰의 문제를 둘러싸고 갈등이 재현되었다. 지금까지의 선행연구에서는 대부분 방사성폐기물 처리장의 입지 선정을 다룬 갈등 내용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고, 아직까지 방사성 폐기물 관리에 대한 갈등 문제는 충분히 연구되지 않았다. 방사성 폐기물 관리 문제는 비민주적이고 소통이 없는 기술관료적 위험 거버넌스 유형으로는 적절한 대안이 되지 못했다. 참여와 투명한 정보공개, 과학 지식의 전달을 통한 협력적 위험 거버넌스의 유형이 이루어져야한다. 이는 시민은 방사성 폐기물이라는 위험에 노출된 당사자로 구분되기 때문이다. 이런 면에서 방사성 폐기물 관련 거버넌스는 위험 거버넌스로서 참여를 기반으로 한 협력 관계가 추가되어야 하는 거버넌스의 조직을 요구한다. 그렇기 때문에 방사성 폐기물 관리는 참여와 과학기술의 전문성이 결합된 협력적 위험 거버넌스 유형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연구 방법으로 먼저 행위자들의 관계를 보며 행위자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행위자 관계 모형을 정리한 후 그에 근거해 정부-전문가-시민단체로 대입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을 통해 방사성 폐기물 관리 사례에 대한 행위자 관계를 파악하고, 시기별 위험 거버넌스 유형을 파악하여 방사성폐기물과 같은 위험상황에서 협력적 위험 거버넌스로 나아가야하는 이유를 살펴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참여와 전문성이라는 두가지 기준으로 위험 거버넌스 유형을 제시하였다. 첫 번째는 정부와 시민사회의 참여정도를 기준으로 시민사회 중심인 참여적 양식과 정부 중심의 위계적 양식으로 구분하였다. 두 번째는 전문가와 시민사이의 관계를 기준으로는 불확실성한 위험상황을 해결하는 방식에 따라서 전문가 중심의 과학주의적 양식과 사회적 우려를 반영하는 실천적 양식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위험 거버넌스의 유형적 분류를 통해 위험 상황에서 기술관료적 거버넌스와 도구적 거버넌스 유형을 극복하고 점차 협력적 거버넌스로 나아가야 함을 밝혔다. 방사성 폐기물 문제의 갈등 전초기에서는 공릉동 연구로 해체에 따른 방사성 폐기물 유입, 월성고리에서의 폐기물 반입, 연구원 내 건물 내진 미 설계 등과 같은 문제가 정부-전문가-시민사회 간의 주요 쟁점이었다. 갈등 전초기에서는 방사성 폐기물과 관련되어 모두 전문가와 정부 주도로 결정이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 있으며, 특히나 상호소통이나 참여에 있어서 예견된 안전하다는 결론으로 답하였던 것을 볼 수 있었다. 이에 갈등 전초기는 기술관료적 위험 거버넌스 유형으로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이후 갈등 심화기에서는 이전에 의혹으로만 남아있었던 방사성 폐기물 무단 폐기 의혹에 대한 문제들이 사실로 드러나게 되었다. 갈등 심화기에서는 여러 시민단체를 구성하여 적극적으로 활동하는 것으로 보여졌고 시민들과 지역주민이 직접적 참여의 기회가 주어지는 시민검증단이 출범한 것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방사성폐기물과 관련한 문제에 있어 아직까지 시민들의 의사결정과정은 큰 영향력이 없다는 점에서 기술관료적 위험 거버넌스 유형과 도구적 위험 거버넌스 유형의 혼합적 유형으로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갈등 이후기에서는 갈등기 심화기에서 보다는 시민사회의 활발한 참여와 정부의 적극적인 감시역할과 현장 안전규제를 강화하는 모습을 보이며 점차 협력적 유형의 위험 거버넌스로 나아가고 있는 것을 보여 주었다. 하지만 여전히 직접적 정책결정에 있어서 지역주민이나 시민단체가 결정할 수 없다는 점에서 갈등 이후기 시기에서도 도구적 위험 거버넌스 유형으로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갈등 심화기와 갈등 이후기는 공통적으로 도구적 위험 거버넌스 유형에 속하지만 갈등 심화기와 갈등 이후기는 정부가 시민사회의 의견을 받아들이고 안전규제 강화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실천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핵심어 : 위험 거버넌스, 협력적 위험 거버넌스, 위험 커뮤니케이션, 방사성 폐기물, 원자력발전

      • 몬순기후에 따른 한강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 변화

        윤지현 상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In this study, the community structure of phytoplankton was investigated according to environmental factors and physicochemical factors of main stream and tributaries(Cheonggye, Seoul forest) of Han river. In addition, we were investigate the dynamics of phytoplankton through the results obtained every 4 years. Sampling was conducted 8 times in total, including 4 seasons, at 1 month interval from July 2016. A variety of leisure activities are taking place downstream and a lot of tributaries are joined in the upper stream of Han river. Rainfall was considered as an environmental factor and biomass, primary productivity, biological species composition and standing amount were observed as physicochemical factors. As a basic items of water quality survey, BOD, COD, SS and nutritive salts were also investigated to grasp the water pollution level. Species composition and standing crops of phytoplankton were observed using a microscope(Olympus BH2) and were identified through 9 references. The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in the main stream of the Han river is influenced mainly by the discharge of Paldang Lake determined by concentrate rainfall, which is a summer monsoon climatic phenomenon. In addition, it is considered that there is a change in the distribution pattern due to the desorption by intensive rainfall. Therefore the amount of discharge from the Paldang Lake, which is located upstream in the summer, has increased, resulting in changes in the nutrient concentration in the downstream as well as the phytoplankton community. 본 연구에서는 한강 본류 및 지류(청계천, 서울숲)의 환경요인과 이화학적 요인에 따른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를 조사하였다. 또한, 4년마다 조사된 결과를 통하여 한강의 식물플랑크톤 동태를 파악하고자 한다. 시료채취는 2016년 7월부터 약 1개월 간격으로 사계절 포함하여 총 8회 실시하였다. 한강의 하류에는 다양한 레저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한강 상류에는 많은 지천들이 합류된다. 환경 요인으로 강수량을 고려하고 이화학적 요인으로 생물량과 일차생산력 그리고 생물학적 요인으로 종조성, 현존량을 관찰하였다. 또한, 수질기본항목 BOD, COD, SS 및 영양염류를 조사하여 수질 오염도를 파악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의 종조성과 현존량은 현미경(Olympus BH2)을 이용해 관찰하였으며 정(1993) 등 9개의 참고문헌을 통해 동정하였으며 종조성과 현존량을 통해 생태지수를 파악하고 집괴분석과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군집구조를 확인했다. 한강 본류의 식물플랑크톤 분포는 대체로 여름철 몬순기후 현상인 집중강우에 의해 결정되는 팔당호의 방류량에 영향을 받음으로 인해 분포양상의 변화가 생기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몬순기후의 집중호우로 인해 여름철 상류에 위치하는 팔당호에서의 방류량이 증가해 하류의 영양염 농도를 비롯하여 식물플랑크톤의 군집에 변화가 생기고 또한, 중랑천 등의 지천에서 유입되는 생물종과 오염물질로 인해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에 영향을 미친다.

      • 산화알루미늄이 코팅된 이산화티타늄 입자의 제조와 자외선 흡수 특성

        윤지현 충북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itanium dioxide has excellent whiteness, tinting power and light scattering effect. Therefore, It was applied in various fields such as pigment, paint and cosmetics. To improve dispersibility and stability in product, titanium dioxide is coated with aluminium oxide. Also, it could decrease photocatalytic activity. In this study, titanium dioxide is coated with aluminium oxide synthesized via hydrothermal precipitation method. As process parameters changed the amount of Al2O3, pH, temperature and reaction time. The samples were characteriz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energy dispersive spectrometer, X-ray diffractometer,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thermogravimetry and differential thermal analsis, UV-Vis spectrometer. Also, photo activity of TiO2 coated with Al2O3 were analyzed by photodecomposition of methylene blue. Optimal condition of synthesis was conformed when amount of Al2O3 was 50 wt%, pH was 9, time was 1 hour. This study conformed increase of UV absorption and improvement of disadvantage such as high photocatalytic activity.

      • Al-Si 합금의 주단조 공정적용을 위한 개량화처리에 따른 조직변화와 기계적 특성에 관한 연구

        윤지현 蔚山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박사

        RANK : 247631

        주조용 Al 합금을 주단조법에 적용하기 위하여, Sr과 TiB 그리고 AlCuP 등을 첨가하여 조직을 미세화시켜 합금의 가공성과 기계적 성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험을 상용 Al 합금을 이용하여 아공정계, 공정계 그리고 과공정계로 나누어 진행하였으며, 미세화 처리된 합금을 대상으로 단조성 평가와 단조를 실시한 후 기계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먼저, 아공정 Al-Si 합금의 조직 미세화를 위하여 첨가제로 TiB와 Sr을 사용하였으며, 각각의 첨가량에 따른 미세조직의 변화와 기계적 성질을 검토하고, 단조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진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아공정 Al-Si 합금의 공정 Si 개량처리와 α-Al 고용체상을 미세화하기 위하여 Sr과 TiB를 첨가한 결과 Sr은 0.05wt.%, TiB는 0.1wt.%일 때 가장 우수한 개량효과와 미세화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인장강도 값과 신율은 주방상태에 비해 크게 증가되어 조직의 미세화에 따라 기계적 성질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합금의 개량처리 및 미세화에 따른 경도값의 차이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내마모 시험결과 조직의 미세화에 따라 내마모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고, 미세화 처리된 시편에 대해 열간가공재현시험을 행한 결과 재료의 단위면적당(㎟) 약 60N의 하중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으며, 열간단조 후의 인장강도 값과 신율은 증가되어 기계적 성질이 향상되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미세한 주조결함이 압축가공으로 인하여 압착되어진 결과라 사료된다. 두 번째로, 공정 Al-Si 합금의 경우는 조직 미세화를 위하여 첨가제로 TiB와 Sr을 사용하였으며, 각각의 첨가량에 따른 미세조직의 변화와 기계적 성질을 검토하고, 단조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진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공정 Si의 개량화제로 Sr을 첨가한 결과 0.075wt.%일 때가 우수한 개량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그 이상 첨가시 개량화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Sr의 첨가량을 0.075wt.%로 고정하고 TiB를 첨가한 결과, 0.1wt.%일 때가 가장 우수한 미세화효과를 나타내었으며, 0.2wt% 이상 첨가시 오히려 초정 Al이 조대해지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개량화 및 미세화 처리한 시편에 대한 인장시험 결과 Sr 0.075wt.%, TiB 0.1wt.% 첨가시 인장강도 값과 신율은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고, 합금의 개량처리 및 미세화에 따른 경도값의 차이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내마모 시험결과 조직의 미세화에 따라 내마모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열간가공재현시험을 한 결과 압축가공온도는 450℃가 가장 적절하다고 판단하였으며, 재료의 단위면적당 약 70N의 변형저항이 작용함을 알 수 있었으며, 열간단조를 실시한 경우의 인장강도 값과 신율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나 단조가공에 의해 기계적 성질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과공정 Al-Si 합금의 조직 미세화를 위하여 Sr과 AlCuP를 사용하였으며, 각각의 첨가량에 따른 미세조직의 변화와 기계적 성질을 검토하고, 단조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진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과공정 Al-Si합금의 조직을 미세화 하기 위하여 Sr과 AlCuP를 첨가한 결과 Sr 0.1wt.%, AlCuP 0.1wt.%를 첨가하였을 때 가장 우수한 조직의 미세화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인장시험 결과 Sr 0.1wt.%, AlCuP 0.1wt.% 첨가시 인장강도 값이 무첨가의 경우에 비해 우수하게 향상됨을 알 수 있었으며, 합금의 개량처리 및 미세화에 따른 경도값의 차이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고, 내마모 시험결과 조직의 미세화에 따라 내마모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열간가공재현시험을 한 결과 압축가공온도는 450℃가 가장 적절하다고 판단하였으며, 재료의 단위면적당 약 70N의 변형저항이 작용함을 알 수 있었고, 열간단조를 실시한 경우의 인장강도 값과 신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단조가공에 의해 기계적 성질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For application of cast-forging process with Al-Si alloys, we made hypoeutectic, eutectic, hypereutectic alloys and proceeded by adding to Sr, TiB and AlCuP for grain refinement treatment. We experimented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according to microstructure changes, forging ability test and also did it after forging. The first time, we used TiB and Sr for grain refinement and modification in hypo-eutectic Al-Si alloys. We carried out the result ; it after experiment by microstructure changes, mechanical properties and forging character test. For refining eutectic Si modification and α-Al solid-solution phase, we added to Sr, TiB. We obtained 0.05wt.%Sr, 0.1wt.%TiB which were the finest microstructure. In this case,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much more increased than as casting. The difference of hardness hardly appeared and wear resistance increased by grain refinement. In grain refinement treatment specimens, high temperature deformation simulation test was done, and then we observed about 60N per unit area(mm²). After hot forging,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were increased. It was estimated because casting defect was removed by compressive working. The second time, we used TiB and Sr for grain refinement and modification in eutectic Al-Si alloys. The mechanical properties with microstructure changes and forging character in eutectic Al-Si alloy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For refining eutectic Si modification and α-Al solid-solution phase, we added to Sr, TiB. We obtained 0.075wt.%Sr, 0.1wt.%TiB which were the most refinement.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were 33kgf/mm²-8%, that were increased than as casting(non modified). The difference of hardness hardly appeared and wear resistance increased by grain refinement. In grain refinement treatment specimens, high temperature deformation simulation test was done, and then we observed about 70N per unit area(mm²). After hot forging,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were increased. Finally, we experimented on AlCuP and Sr for primary Si refinement and eutectic Si modification in hypereutectic Al-Si alloys. We obtained the fine microstructure at 0.1wt.% AlCuP and 0.1wt.%Sr in this experiment, and also mechanical properties much more increased than non modified. By the way, variations of hardness hardly appeared and wear resistance increased by grain refinement. After, with the finest microstructure, we did the high Temp. deformation simulation test was done, and then we observed about 70N per unit area(mm²). We evaluted mechanical properties with forging and then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were increased.

      • 청소년의 팬덤활동 참여 양상과 의미에 대한 사례연구

        윤지현 공주교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청소년의 팬덤활동 참여 양상을 살펴보고, 팬덤활동 참여 과정에서 청소년이 얻는 의미는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현재 팬덤활동을 하고 있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팬덤활동 참여 양상은 어떠한가? 둘째, 청소년의 팬덤활동 참여 의미는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그에 따라 수집된 자료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 결과의 요약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먼저, 청소년의 팬덤활동 참여 양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팬덤활동 참여 계기와 활동의 시작은 대중매체와 친구의 소개로 나타났다. 전통적인 매체인 TV를 통해 접하고,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수집한다. 또한, 친구의 소개는 청소년기에 가장 오랜 시간을 함께하는 또래관계에 중요한 부분임을 나타내고 있다. 둘째, 참여 양상 관련해서는 오프라인 활동과 온라인 활동으로 구분하여 살펴볼 수 있었다. 콘서트나 공개방송 등 오프라인으로 제한되었던 활동이 인터넷의 발달과 스마트폰의 보급에 따라 활용이 높아지면서 팬덤활동의 시작과 확장을 동시에 이루고 있었다. 다음으로 청소년의 팬덤활동 참여 경험의 의미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팬덤활동을 통해 긍정적 정서를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행복감, 즐거움, 사랑, 감사 등 긍정적 정서를 접하고 있었다. 둘째, 진로 및 관심분야 학습 계기가 생겼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자신이 좋아하는 스타를 가까이 볼 수 있는 직업에 관해 관심을 갖는다거나 외국어 공부를 함으로써 스타와 관련되어 관심을 갖고 학습을 하게 된다. 셋째, 학업과 학습생활에 도움을 받았다는 것이다. 자신의 역할에 대해 탐색하는 시간을 갖게 되면서 학교 성적이나 공부하는데 있어 동기부여가 되어 팬덤활동이 주는 긍정적인 측면을 경험하고 스스로 찾고 있었다. 넷째, 팬덤이라는 집단을 통해 집단 활동의 경험과 또래 및 대인관계에 있어 긍정적 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외에 집단을 경험을 하고 이 경험을 계기로 학교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 대인관계에도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었다. 다섯째, 팬덤활동에 대한 부모들의 인식 변화와 가족관계에 있어 청소년의 행동 변화이다. 청소년기의 자녀를 지지하고 응원하면서 팬덤활동에 대한 인식이 예전과 달리 긍정적으로 변화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발달과정 상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특성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며, 팬덤활동 참여 과정에서 경험되는 정서적, 사회적, 학업 및 진로 관련 의미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청소년기와 청소년문화에 대한 풍부한 이해를 돕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주제어 : 팬덤활동, 팬덤문화, 여가활동, 청소년문화, 팬클럽 본 연구는 청소년의 팬덤활동 참여 양상을 살펴보고, 팬덤활동 참여 과정에서 청소년이 얻는 의미는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현재 팬덤활동을 하고 있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팬덤활동 참여 양상은 어떠한가? 둘째, 청소년의 팬덤활동 참여 의미는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그에 따라 수집된 자료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 결과의 요약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먼저, 청소년의 팬덤활동 참여 양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팬덤활동 참여 계기와 활동의 시작은 대중매체와 친구의 소개로 나타났다. 전통적인 매체인 TV를 통해 접하고,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수집한다. 또한, 친구의 소개는 청소년기에 가장 오랜 시간을 함께하는 또래관계에 중요한 부분임을 나타내고 있다. 둘째, 참여 양상 관련해서는 오프라인 활동과 온라인 활동으로 구분하여 살펴볼 수 있었다. 콘서트나 공개방송 등 오프라인으로 제한되었던 활동이 인터넷의 발달과 스마트폰의 보급에 따라 활용이 높아지면서 팬덤활동의 시작과 확장을 동시에 이루고 있었다. 다음으로 청소년의 팬덤활동 참여 경험의 의미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팬덤활동을 통해 긍정적 정서를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행복감, 즐거움, 사랑, 감사 등 긍정적 정서를 접하고 있었다. 둘째, 진로 및 관심분야 학습 계기가 생겼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자신이 좋아하는 스타를 가까이 볼 수 있는 직업에 관해 관심을 갖는다거나 외국어 공부를 함으로써 스타와 관련되어 관심을 갖고 학습을 하게 된다. 셋째, 학업과 학습생활에 도움을 받았다는 것이다. 자신의 역할에 대해 탐색하는 시간을 갖게 되면서 학교 성적이나 공부하는데 있어 동기부여가 되어 팬덤활동이 주는 긍정적인 측면을 경험하고 스스로 찾고 있었다. 넷째, 팬덤이라는 집단을 통해 집단 활동의 경험과 또래 및 대인관계에 있어 긍정적 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외에 집단을 경험을 하고 이 경험을 계기로 학교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 대인관계에도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었다. 다섯째, 팬덤활동에 대한 부모들의 인식 변화와 가족관계에 있어 청소년의 행동 변화이다. 청소년기의 자녀를 지지하고 응원하면서 팬덤활동에 대한 인식이 예전과 달리 긍정적으로 변화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발달과정 상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특성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며, 팬덤활동 참여 과정에서 경험되는 정서적, 사회적, 학업 및 진로 관련 의미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청소년기와 청소년문화에 대한 풍부한 이해를 돕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rend of Adolescent Participation in fandom activities and explore the implications adolescents obtain from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in fandom activities.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adolescents participating in fandom activities and analyzed the results. The research problems designed to attain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How can the trend of Adolescent Participation in fandom activities be described?; and (2) What are the implications of Adolescent Participation in fandom activities? The data collected in line with those problems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which are summarized as follows. To begin with, Adolescent Participation in fandom activities demonstrated two prominent trends. First, what encouraged and initiated the participation in fandom activities were mass media and introduction by friends. Adolescents tended to access information through television, one of the traditional channels of media, and collect information on the Internet. In addition, initiation through friends proved itself an important element of the peer relations, characterized by the lengthy amount of time shared by adolescents. Second, the trends of participation were assessed in separate categories: offline activities and online activities. Although fandom activities were largely limited to offline activities such as concerts and live shows, the increasing prevalence of the Internet and the spread of smartphones helped both initiate and expand fandom activities. Adolescent Participation in fandom activities showed several implications. First, the participants were found to experience positive emotions through their activities. In addition to relieving stress arising out of their study, the adolescents frequently experienced positive feelings including happiness, pleasure, love, and gratitude. Second, the adolescents were motivated to explore possibilities for their career and study what interested them. Some developed interest in jobs that would allow them to interact with their favorite stars more closely, and others learned foreign languages or studied other areas of interest in relation to their fandom activities. Third, fandom activities resulted in helping the participants in their study and learning life. The experience provided the adolescents with time to explore their roles, ultimately motivating them to study harder or improve their school grades. As a result, the adolescents looked for and experienced positive aspects of fandom activities. Fourth, the fandom communities helped the adolescents experience group activities and obtain a range of positive experiences in their peer and personal relations. The experience of interacting with others in various groups outside of their school environment allowed the adolescents participating in fandom activities to take greater part in their school activities and experience more positive effects in personal relations. Fifth, fandom activities brought a change in parents’ perception and in adolescents’ behavior in family relations. The parents grew to be more supportive of their adolescent children, and their perception regarding fandom activities became more positive. With such findings, this study intended to better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unique to adolescence in the development process and suggest implications regarding emotions, social relationships, study, and future career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in fandom activities. This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developing a fuller understanding of adolescence and adolescent culture.

      • 과학영재교육원의 화학영역 교수·학습 프로그램 분석

        윤지현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현재 제주도내에서 설치, 운영되고 있는 A, B 와 C 영재교육기관의 화학영역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영재의 특성에 적합하고,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김성원과 허명(2005)이 개발한 영재교육 프로그램 표준안을 수정하여 개발한 새로운 프로그램 분석틀을 프로그램 분석에 사용하였다. A, B 와 C 영재교육원에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는 방식은 영재교육원의 특성에 맞게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특히 A영재교육원의 경우 과정을 Ⅰ과 Ⅱ로 나누어 운영하여 수준별 수업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각각의 영재교육원의 특성을 살려 영재학생들에게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었다. 대부분의 분석 대상 교수-학습 프로그램에서 목표를 제시하였고, 제시된 목표는 성취 가능한 형태이나 과학 영재의 특성을 반영한 목표의 명확성, 차별성은 다소 부족하였다. 프로그램의 내용은 심화나 차별보다는 속진교육에 더 적합하도록 구성된 것이 많았고 영재간의 수준별 학습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대체적으로 참신한 내용을 다루고 있어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에 도움을 줄 수 있었으나 간학문적인 내용, 진로를 소개할 수 있거나 인성 가치를 포함하는 내용, 최신연구를 반영한 내용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의 수는 많지 않아서 영재학생들의 다양한 과학적 소양을 기르는데 다소 부족한 점이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탐구기능의 향상을 위한 요소들을 많이 포함하고 있으나 기초 탐구능력에서는 관찰과 측정기능에 치우쳐 있었고, 고차원적인 사고력을 요구하는 문제인식, 가설설정, 실험설계와 같은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은 적었다. 또한 교수-학습 방법은 거의 모든 프로그램이 실험활동을 위주로 구성하고 있었으며 토의활동을 포함하고 있어 영재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이 가능하였고 의사소통능력 함양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된다. 평가는 제시된 평가문항은 학습 목표와 일치하는 정도가 높았고, 학습내용을 반영한 문항이 대부분이었으며 사고력 향상을 반영한 평가보다는 학습한 내용을 묻는 지필평가와 실험의 결과를 설명하거나 응용하는 실험평가가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수행평가 문항은 다소 부족하였다 Current study aims to provide primary data required for developing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by analyzing chemistry programs currently employed in Jeju Province's three different special education institutes for gifted children, A, B, and C. We used new program analysis tool developed by Kim & Huh(2005) by modifying traditional standards of gifted education. In A, B, and C gifted education institute, the program development and operation were diversified suitable to what are expected from gifted education institutes. Especially, institute A operates the class by ability grouping and assign step I and Ⅱto each class. In addition, each institute provides students with a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which is unique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institute. We found that most of the analyzed program succeed in having students and teachers set a series of learning objectives which are achievable. However, there is lack of clarity and distinctiveness in the goals that can reflect the talent of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In terms of content, it is more concentrated on prior learning of the normal school coursework rather than focusing on depth and distinctiveness of the topic. Although in general, the content is interesting enough to draw students' interest, there are not enough interdisciplinary features, future career options, humanities education, and the studies which reflect recent trend. Many program elements are designed to develop the students' ability for inquiry. However, we found that the curriculum is prone to contain only the fundamentals like observation and measurement, but not enough elements like problem recognition, hypothesis development, and experiment design which require more advanced thinking power. In addition, the most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centers experiment and activities along with discussion, which is expected to facilitate self-directed learning and communication ability. The evaluations have high tendency to correspond with the learning objectives. However, most are too focused on the learning content itself. The questions which directly ask the details of the learning or require explanation and application of the experiments conducted during the course take the majority instead of those which facilitate thinking power. Additionally, there is no enough performance assessment.

      • 마셜 매클루언의 ‘감각 비율’ 개념 연구

        윤지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마셜 매클루언(Marshall McLuhan, 1911~1980)은 매체와 감각의 상호작용이 일으키는 지각의 변화를 밝힌 이론가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감각 비율’ 개념을 중심으로 매클루언의 매체이론에 미학적으로 접근함으로써 동시대 예술을 이해하는 전거를 마련하는 데 있다. 매클루언은 ‘매체’라는 용어를 오늘날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의미에서 문화이론의 영역에 도입했다. 그는 매체를 인간의 기술적 확장으로 정의하고, 인간 지각과 사회 구조적 맥락에서 입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매체와 매체성을 탐구한다. 20세기 라디오와 텔레비전의 출현은 매체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촉구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매클루언은 새로운 매체 유형이 인간 감각에 기존의 매체와 다르게 감응함으로써 지각방식에 변화를 가져온다는 점을 간파하고, 이를 ‘감각 비율’ 개념으로 제시한다. 매클루언은 매체와 감각, 인간의 관계적 양상에 주목한다. 감각 비율은 감각을 확장하는 기술과의 관련성 속에서 나타나는 신체 감각 간의 상대적 우위로 인간 개인을 넘어 사회와 문화적 차원으로도 발현된다. 감각은 매체의 원형이자 매체에 의해 변화한다. 매체는 감각과 뫼비우스의 띠처럼 얽혀있다. 매체와 상호작용하는 가운데 인간의 감각 체계는 변화하고, 이렇게 변화한 감각 체계를 기반으로 인간은 새롭게 세계를 인지하고 형성한다. 매클루언은 ‘감각 비율’ 개념을 통해 지속적인 변동과 변화의 양상 속에서 특정한 패턴과 경형을 구별해내고, 그 기저에서 작동하는 패러다임을 밝힌다. 즉, 매클루언은 ‘감각 비율’ 개념으로 매체와 지각 그리고 인간과 사회 전반을 헤쳐 나간다. 이에 연구자는 매클루언 매체이론의 의의를 ‘감각 비율’ 개념을 중심으로 규명한다. ‘감각 비율’은 매클루언의 동시적이고 통합적인 매체 인식과 그가 전제하고 있는 감각 간의 상호작용을 입증한다. 그는 매체를 단순히 독립적인 기술적 수단으로 간주하지 않으며 매체를 인간과의 관계성 속에서 규정한다. 이러한 매클루언의 매체 개념과 지각 개념은 동시대 예술 경험과도 맞닿아 있다. 동시대 예술의 특징은 매체 간 융합이다. 이러한 양상은 넓게는 장르 간의 결합, 좁게는 개별 장르 범주 내에서 행해지는 실험으로 나타난다. 이를 통해 동시대 예술은 복합적인 감각 경험을 추구한다. 매클루언이 ‘감각 비율’ 개념을 통해 보여주는 포괄적인 매체 이해와 감각 간의 상호연관성은 이러한 예술 현상을 포용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감각 비율’ 개념을 중심으로 매클루언의 매체이론을 미학적 차원에서 접근하고, 동시대 예술을 이해하는 전거로 제시한다는 데 있다. Marshall McLuhan(1911〜1980) is one of the most distinguished theorists in the field of media theory, especially on the matter of media and technology, and the interaction of changes in sense, feeling, touch, et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for the evidences in understanding the contemporary art, namely the visual art, by approaching aesthetically the media theory of McLuhan’s ‘ratio of senses’ or ‘sense ratio.’ He has first introduced the term of ‘media’ to the area of culture theory as it is generally used today in this field. By defining the concept of media as the extension of man, McLuhan has made a profound study of media, inter-media, and identity of media through his own special method of analyzing the relations between human recognitions and social structures. Through the invention of radio and television during the first part of the 20th century, theorists in the field of media are required to insight what it is to live with those of new medias, i.e. radio and television, how they influence on the everyday life of ordinary people, etc. In such an extraordinary social change and situation, McLuhan ha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new kind of media which responses very differently to the human sense and he shows us the concept of ‘ratio of senses’ or simply ‘sense ratio.’ McLuhan has paid attention to the various types of relations between media and sense. ‘sense ratio’ is vividly appeared in the dimension of society and culture by overcoming the limited ability of individual human being. By doing so, it is expended in relation to the technology and inter-relations of physical sense of human being through the development of media technology. Sense is the archtype of media and it is changed by the very media itself. Like the Möbius, sense and media are entangled with each other. While interacting with media, the system of senses in human being is to change and human being is able to recognize and form the new world based on the newly changed sense system. McLuhan tries to distinguish the particular patterns and experiences among the continuous transformations and changes through the concept of ‘sense ratio.’ He also wants to reveal the paradigm which works under the rule of special patterns and experiences. In other words, he tries to reveal not only the relations between media and perception but also the whole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 and society by using his own special concept of ‘sense ratio.’ Therefore in this thesis, I have tried to investigate McLuhan’s theory of media and its significance with emphasis on his concept of ‘sense ratio,’ which gives proofs of interactions among the various senses synchronically as well as diachronically of McLuhan’s media theory. McLuhan does not define media as only a technological method but define it as a particular relationship among the activities of human beings. His point of view on the media and percept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contemporary experience of visual art. Characteristics of the contemporary art can be defined as the fusion of various kinds of media. Such aspects are appeared as a combination of various genre in a broad sense, but sometimes in its narrow sense, it is appeared as an experiment of individual genre itself. Contemporary arts, therefore, pursuit to combine every possible experience of senses. Through the comprehensive concept of media in McLuhan and in his concept of ‘sense ratio,’ inter-relationships of various senses can embrace all the possible phenomena of media-technology in arts. In this sense, the significance of this thesis can be concluded as close examination of McLuhan’s ‘sense ratio’ as well as his theory of media aesthetically, and suggestions of how to understand contemporary arts itsel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