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문화 선교로서 기독 무용(Christianity Worship Dance)을 통한 선교적 전략 방안

        소성은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문화 사역자의 한 사람으로서 기독 무용 사역을 하며 느낀 경험을 바탕으로 내용을 정리하며 문화 사역의 한 부분인 기독 무용을 통한 복음 전파의 사명의 효율성과 선교전략 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하나님께서는 창조하시는 그 첫 순간부터 문화 발전을 계획하셨다.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인간에게 거룩한 소명을 주셨다. 그 중 예술도 문화의 한 영역 속에 속하며 예술을 통한 하나님 나라의 발전을 위해 기독 무용이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무용은 인간의 기원부터 시작하여 인간 사회, 생활, 문화와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으며 또한 그 안에서 발전되어 왔다. 특히, 기독 무용은 문화 선교의 한 영역 안에서 복음의 효과적인 방법으로 대두되며 선교의 도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인간의 희, 노, 애, 락을 표현할 수 있는 감정의 도구로 여겨지는 춤을 복음과 접목하여 예수그리스도를 증거 하는 기독 무용은 성경적 세계관을 기초로 세워져야한다. 또한 기독 무용은 깨어진 형상의 회복과 상한 감정의 치유를 위한 방편으로 사용되어진다. 이 회복은 하나님과의 단절된 관계의 회복을 말하며 더 나아가 인격 성장과 성숙의 은혜를 의미한다. 결국 기독무용을 통해 교회 안으로는 회복과 성장의 열매로 나타나야하며 밖으로는 세계 열방에서의 문화 사역의 중심축으로 사용되어져야 할 것이다. 구체적인 선교 전략 방안에서 제시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복음증거의 주체가 되시는 성령의 다스림 가운데 기독 무용이 창작 되어져야하며 기독 무용 사역자는 사역의 목표인 그리스도가 어떤 분이신지 소개하는 자로서 정체성의 확립이 분명해야한다. 둘째, 교회 차원에서도 전문 사역자에 대한 깊은 배려와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하며 사역자 자신들은 자신의 경력이나 재능을 앞세우기 보다는 분명한 선교적 마인드를 가지고 활동 한다면 더욱 견실한 열매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기독무용에 대한 바른 성경관을 중심으로 한 많은 사역자들이 세워져야 하며 치유의 주체가 되시는 예수님 안에서 중생의 씻음과 치유를 경험한 사람이 성령의 은사로서 받은 무용을 더욱 깊이 연구하며 더 나은 복음의 도구로 사용될 수 있도록 깊은 영성을 갖춰야 할 것이다. 선교는 삼위일체 되신 하나님의 구속의 뜻에 근거하는 그리스도의 몸 된 교회가 부활과 재림의 ‘이미’와 ‘아직’사이에 수행하는 사역이다. 하나님의 선교의 목적을 이루는데 있어서 주연배우는 성령님이시며 사람은 도구일 뿐이다. 선교 사역에 있어서 동역자들을 선정하는 일 역시 성령님의 권한 영역 속에 있다. 사역의 다양성도 성령님의 영역이다. 성령님이 사람의 몸을 통해 이루시는 사역을 사람이 제한해서는 안 된다. 치유의 도구로 흑암에 갇히고 눌린 영혼들을 해방시키는 영적 전쟁의 무기로 사용되어질 수 있도록 기도, 말씀, 찬양, 그리고 사랑의 영성으로 초점을 맞춘다면 회복의 선포가 기독 무용 사역 가운데 성령의 역사하심으로 큰일들을 감당 할 수 있을 것이다. 축복의 통로로 선교의 도구로 기독 무용은 문화 사역의 한 영역으로 사용되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 초등학교 체육수업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비교 분석

        소성 한국체육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1823

        본 연구는 수업의 주체인 교사와 학습의 주체인 학생의 인식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교사와 학생이 서로 만족스럽고 효율적인 체육 수업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이루어졌으며, 서울특별시의 서로 다른 교육청 소재 5개 초등학교의 3, 4, 5, 6학년 학생 609명과 서울특별시 소재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182명에게 받은 설문지 답변을 자료로 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거나 t-test(검증)와 χ²(Chi-square) 검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교사는 체육 수업에 대하여 그다지 긍정적으로 인식하지 않은 반면에 학생은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체육수업 지도 방법에 있어서는 시범과 설명 방법에 대한 인식이 교사와 학생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모둠 편성에 있어서는 인식의 차이를 보여 교사는 능력 수준이 고루 섞인 모둠 구성이 효과적이라 생각하고 학생은 남녀를 구분하여 동성이 모인 모둠이면서 서로 친분 있는 구성원이 모인 모둠을 효과적이라고 생각하였다. 셋째, 체육수업 내용에서도 교사는 이론보다 실기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학생들은 이론과 실기를 똑같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며 교사는 몇 가지만 선택하여 집중적으로 가르치기를 원하는데 학생들은 게임과 놀이 위주의 재미있는 수업을 원하여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다. 또 공을 이용하는 단체 경기는 교사와 학생이 모두 가장 선호하는 영역으로 나타났는데 그 중 학생보다 교사의 선호도가 더 높았으며, 계절 운동인 수영과 스키 등을 선호하는 학생의 분포가 교사보다 높았다. 넷째, 체육 수업 분량에 대한 인식은 현재와 같이 1회 40분 수업으로 주 3회 운영하는 것에 대하여 교사는 충분하다고 인식하는 반면 학생들은 충분하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학교 체육 시설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도 서로 차이를 보였는데 교사는 체육수업을 위해 체육관이 가장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반면 학생들은 다양하고 충분한 체육 기구의 확충이 가장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체육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도 교사는 체육관 이나 운동장 시설에 높은 인식을 보였고 학생은 재미있는 수업 방법에 높은 인식을 보여 서로 차이가 나타났다. 또 많이 사용하는 체육기구에 있어서도 교사는 매트, 학생은 시이소오로 서로 차이를 나타냈다. 여섯째, 선호하는 교사상에 있어서도 교사와 학생은 서로 다른 반응을 보였는데 교사는 골고루 활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선생님이 되기 쉽다고 했고 학생은 체육활동 시간을 많이 확보해 주는 선생님을 선호하였으며, 교사는 체육전담교사의 체육수업 지도를 선호하고 학생은 담임교사의 체육 수업을 선호하였다. 일곱째, 체육 교육의 여러 가지 효과에 대해서는 교사와 학생이 모두 높은 인식을 나타냈으나 정도의 차이는 있어 학생 평균에 비하여 교사 평균이 더 높았다. 위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교사와 학생은 체육 수업에 대한 필요성과 중요성 및 효과에 대하여 서로 같이 높은 인식을 보였으며 이를 제외한 대부분의 영역에서는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따라서 교사와 학생 사이의 갈등을 줄이고 양쪽 모두에게 만족스럽고 효율적인 체육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방향을 적극적으로 모색해나가려면 안전하고 편리한 체육 시설 및 기구의 확보가 먼저 이루어져야한다. 이를 통하여 교사의 불편함과 불안함을 해소 시키면 재미있는 체육 시간을 많이 누리고 싶어 하는 학생들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다양한 체육 활동의 운영이 교사들을 통하여 이루어질 것이다. This study is aimed to set the tone for more efficient and satisfactory P.E. classes for both teachers and student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n teachers, the subjects of teaching, and students, the subjects of learning. Based on the answers of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 609 students of 3, 4, 5, 6 grade from 5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different districts, and 182 teachers working at the schools in Seoul district,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those data were calculated, and also t-test and χ²(Chi-square) verification process were performed to draw the conclusions as following. Firstly, students perceived P.E. classes positively while teachers didn't. Secondly, in connection with the teaching method in P.E. classes, the perception of demonstration and explaining method did not differ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Concerning grouping activities, however, the percep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show difference. Teachers thought mingling students of various levels in each group is efficient, while students thought homogenous groups and grouping the students who are close to each other are efficient. Third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was revealed regarding the contents of the classes. Teachers valued practice more than theory, while students perceived them as equally important. Also teachers wanted to select some certain aspects and teach them intensively, while students wanted interest-provoking classes focusing on games and plays. In addition, while a team competition using a ball was most favored by both teachers and students, the preference of teachers on it was higher than students', and the distribution of students favoring swimming and ski which are seasonal sports was higher than teachers'. Fourthly, in the matter of the perception regarding the quantity of P.E. classes, teachers perceived current amount of 40-minutes-long class operating 3 times a week is enough, while students thought it is not enough. Fifthly, the perception toward the school's P.E. related facilities was different as well. Teachers regarded a gym to be the most essential place for a P.E. class, while students thought securing enough P.E. related appliances is needed the most. There was also a difference in discerning the crucial factors that affect P.E. classes. Teachers highly focused on gym or playground facilities, while students focused on enjoyable curriculum. Sixthly, teachers and students showed different response on a preferred model of a teacher. Teachers preferred a teacher who helps students to participate comprehensively, while students preferred a teacher who secures the longest time for a P.E. class. Also, teachers favored the P.E. class taught by a specialized P.E. teacher the most, while students favored the P.E. class taught by their class teacher. Seventhly, with reference to the several effects of P.E. class, both teachers and students showed high perception, but the teachers' perception was higher than students'. According to the results presented above, the percep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was equally high toward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P.E. classes. Other than that aspect, it was different in most of the aspects. Therefore, to actively find the way to conduct satisfactory and efficient P.E. classes for both teachers and students, safe and convenient facilities and appliances should first be secured. Once the inconvenience and insecurity are dissolved by this, development of programs and various P.E. activities that satisfy students' needs to enjoy more exciting P.E. class time will be performed by teachers.

      • 호텔 관리자의 리더십이 종사원의 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 : 개별적 특성의 조절효과

        소성 경기대학교 국제·문화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1823

        기업이 속해있는 경영환경은 국제적이고 세계화되어 가고 있고, 자체 조직의 규모가 비대해져가는 등 조직 내·외적 환경 요인들이 가변적이고 복잡하게 변화하고 있다. 이에 특정한 기업이 타 기업보다 경쟁우위를 차지하고 유지하기 위해서는 경영환경에 유연하게 대처 할 수 있는 새로운 경영기법에 관한 개념의 도입이 필연적이라 할 것이다. 이러한 변화 중에서 특히 호텔기업에서의 효율적인 업무수행의 주요한 영향 요인은 호텔경영관리자와 일선 종사원의 상호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경영 관리자의 리더십 스타일은 일선종사원의 직무만족과 업무수행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리더십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리더십에 대한 연구는 환대산업에서의 연구주제로서 주목받지 못했다. 본 연구는 호텔 산업에서 경영 관리자들이 발휘하는 리더십 유형을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리더십 유형이 개별 호텔의 서비스 품질과는 어떠한 영향력이 있는가에 대해 살펴 보고자 하였다. 또한 리더십 유형별로 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관리자의 개별적 특성인 학력과 경력의 차이가 어떠한 영향력의 차이를 나타내는가를 밝혀 내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리더십 유형별로 서비스 품질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변혁적 리더십이 서비스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거래적 리더십이 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 연구와는 다소 다른 결과로서 호텔 산업의 특성에 맞게 성과에 대한 보상, 예외에 의한 관리등의 리더십도 다소간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 한다고 사료된다. 다시 말해서 종사원들이 우수한 성과를 나타냈을 경우에는 적절한 보상 행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는 결과인 것이다. 셋째, 각 리더십이 유형별로 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관리자의 개별적 특성(학력, 경력)의 조절 효과에 대한 결과는 변혁적 리더십, 거래적 리더십 모두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가 의미하는 내용은 호텔 산업의 고유한 특성이라 할 수 있는데 중간 관리자의 개별적 특성들은 최고경영자가 추구하는 리더십 유형에 지배되어 개별적인 별개의 리더십 노력을 할 수 없다고 사료된다. 즉, 우리 나라 호텔 산업의 서비스 품질은 최고 경영자의 리더십 유형에 대한 의존도가 지대하다고 볼 수 있겠다. 부수적으로는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가 서울지역 소재 13개 호텔에 국한되고, 개별 호텔의 전 부서를 대상으로 조사하지 못한 것도 이러한 결과를 나타낸 이유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가 호텔 경영에 시사하는 점은 결국 호텔 산업에서 고객을 만족시켜 반복적인 재구매 활동이 일어나도록 하기 위한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서는, 호텔 경영자의 발휘 리더십이 변혁적 리더십 유형으로 조속히 변화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또한 호텔 경영의 상황, 특성, 종사원의 자질 둥에 따라서는 필요시 거래적 리더십에 대한 보안적 발휘도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호텔경영관리자의 리더십에 대한 일선종사원의 만족도를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리더십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선하고 또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더라도 영향력을 크게 발휘할 수 있는 요인을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리더십 만족도는 여러 요인들이 상호간에 영향력을 행사하기 때문에 하나의 요인을 개선한다고 크게 증가하는 것이 아니므로 다각적인 개선책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A major influence on the effective performance of the hotel is the nature of the manager-employee relationship, The manager's style of leadership also affects the employee job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However, despite the importance of leadership, the subject has received scant attention as a topic of research in the hospitality industry. The problems between productivity and job satisfaction or leadership satisfaction are very often discussed in the organization theory and practice. Many studies on this problem can be found, of which the results don't present a consistency. But, many of the studies reveal that it promotes service quality to have a high regard for the human relationships. In this aspect,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research what the desirable behaviors of a leader to promote leadership satisfaction of the employees are, and to examine the elements which affect the leadership satisfactions in this analysis, and to establish the empirical model about leadership satisfaction. The purpose is to discover the different influences the manager's individual characteristic (academic background, career) differences has on the service quality. Empirical analysis results relating to the statement above are as shown below. Firstly, between different types of leadership and service quality,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s considered to take part in improving the service quality. Secondly, no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ransactional leadership and the affect it has on the service quality. The results above differ from the preceding study results, which shows that leadership qualities such as the contingent reward of the hotel industry's character and the management by exception are also needed. To redefine the statements above, when employees achieve excellent results, an appropriate rewarding system needs to take place. Thirdly, the mediate variables of the manage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cademic background and career), showed no relation to both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What the results above show are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hotel industry. The CEO's different forms of leadership control a manage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so individual leadership differences are considered not to work. Therefore, the dependence our country's hotel industry has on the CEO's different forms of leadership is huge.

      • 웹기반 상호작용을 활용한 뇌질환 환자 및 고령자의 자기향상 시스템의 개발

        소성 전북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1823

        This paper proposed an web-based interactive system that aim to support the improvement of mental rehabilitation of the elderly or brain-diseased patients as well as the restoration of sensory-motor skills. The system integrates some individual application contents which are easy to understand with many fun and engaging interactive characteristics. Platform-independent web applications with adjustable levels of difficulty were created in order to target varying levels of skills. The prototype system is developed on the PC-based web server and database management system for viability test. This web-based approach can also be easily accessed and more open to upgrading development in the ubiquitous environments. Furthermore, it will be an general platform for many rehabilitation protocols and clinically verified therapeutic methods can be easily added as a digital contents and put into practice to many patients lacking proper healthcare.

      • Conebeam CT를 활용한 하악 제3대구치와 하치조신경관의 위치파악시 파노라마 사진의 신뢰성 연구

        소성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23

        실제 환자들의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과 Conebeam CT 영상을 근거로 하악 제3대구치 치근과 하치조신경관의 접촉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근거로써의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의 신뢰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8년 11월부터 2010년 2월까지 광주광역시 용봉동 전남대학교 치과병원 구강악안면방사선과에 하악 제3대구치 발거를 위해 내원한 환자들 중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 상에서 하악 제3대구치 치근과 하치조신경관의 중첩이 관찰되지 않은 케이스는 제외하고 중첩이 관찰된 케이스 총 224례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과 Conebeam CT 영상을 비교분석하여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의 신뢰성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파노라마 사진상 수직적 중첩의 심도는 실제 해부학적 구조상 그 둘의 접촉 위험도에 아무런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반면 하치조신경관 상부 피질골이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상에서 신경관과 중첩된 하악 제3대구치 치근첨부에 겹쳐 “superior white line”으로 나타나는지 여부에 따라 하악 제3대구치와 하치조신경관이 실제로 접촉하고 있는지 여부를 파악해 본 결과 통계적 유의성을 충족하였고, 특히 superior white line 이 보이지 않는 경우와 남성보다는 여성일 경우에 위험도가 높았다. 반면 치아의 맹출 및 매복 방향과 대상 환자의 연령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므로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은 superior white line을 기준으로 할 경우 하악 제3대구치 치근과 하치조신경관의 접촉여부에 대해 신뢰할 만한 예측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도 불구하고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이 하악 제3대구치와 하치조신경관의 해부학적 관계에 대한 완벽한 진단도구가 될 수는 없으며, Conbeam CT 촬영을 위한 대상환자 선별을 위한 근거로 사용함이 적절해 보이며, 제3대구치 발거 등과 같은 외과적 시술시에는 신경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술자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 호텔 연회·컨벤션행사 장소선정에서 전환장벽이 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 : 관계결속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소성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1823

        서비스 산업 중 호텔은 외부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서 최근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따라서 신규고객의 유치도 중요하지만 기존 고객을 유지하고 방어하는 것도 전략적으로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호텔 연회·컨벤션행사를 이용하는 소비자와 호텔서비스 제공자와의 전환장벽과 전환의도 사이의 관계에서 관계결속의 조절 역할을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조절변수인 관계결속의 하위구성요인 계산적 결속, 정서적 결속, 규범적 결속이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것은 서비스 경쟁기업 고객의 서비스 전환을 목표로 하는 기업에게는 중요한 관심사라 할 수 있다. 연구는 행사를 주체하는 학회·협회, 기업체, 국제회의 기획업체(Professional Congress Organizer)등 서울소재 특1급 호텔을 중심으로 연회·컨벤션 행사 장소 선정 시 관련이 있는 조직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고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환장벽은 전환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한 결과, 본 연구에서의 전환장벽의 하위구조인 전환비용, 대안의 낮은 매력도, 고객유대(인간적 관계)는 전환의도에 모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실무적으로 볼 때 현재 이용 중인 호텔을 바꿀 때 전환비용이 높을수록 전환의도는 낮아지고 또한, 대안의 매력도가 낮을 때도 전환의도는 낮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호텔 연회·컨벤션행사 장소선정 시 호텔 관계자와 행사 진행 업체와의 고객유대(인간적 관계)가 좋으면 전환의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환장벽과 전환의도와의 관계에서 조절역할을 하는 관계결속(계산적 결속, 정서적 결속, 규범적 결속)은 일부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산적 결속은 조직 또는 기업의 비용과 이익에 대한 인식에 기반을 두기 때문에 전환비용과 전환의도와의 관계에서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거래를 유지하는 동기가 경제적인 이익이나 전환비용, 거래를 지속하면서 얻게 되는 물리적 편익에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계산적 결속은 대안의 낮은 매력도와 전환의도와의 관계에서는 기각 되었는데 이것은 현재 이용하고 있는 호텔이 주는 혜택이나 편익이 다른 대안 호텔보다 더 좋으면 계산적 결속은 전환의도에 크게 영향을 끼치지 못하는 것으로 보여 진다. 그리고 고객과 호텔사이에서 강한 결속력 혹은 충성도가 높으면 계산적 결속은 전환의도에 역시 영향을 끼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비용에 대한 이익이 중요한 요소이기는 하지만, 그에 따른 대안이나 쌓아온 업체와 호텔 사이의 관계가 비용적인 편익만을 추구하지는 않는다는 점도 보여주고 있다. 다음으로 정서적 결속은 고객유대(인간적 관계)와 전환의도와의 관계에서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적 결속은 비가격적 마케팅 측면을 가지고 있고, 거래 대상과의 사회적 유대 및 친숙한 관계를 통해 안정적이고 장기적으로 거래를 지속하려는 성향을 의미하기 때문에, 호텔 행사 담당자와 행사 진행 업체와의 유대감을 강화시킬 수 있다. 이는 심리적인 애착정도를 높이는 효과를 나타내어 업체와 호텔과의 관계가 정서적 결속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와 소비자와의 충성도를 높일 수 있는 비가격적인 마케팅 전략측면도 고려해야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끝으로 규범적 결속은 대안의 낮은 매력도와 전환의도와의 관계에서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규범적 결속은 조직과의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윤리적 의무감 때문에 조직과 심리적으로 유대를 갖는 정도이며, 해야만 하는 의무가 있다. 규범적 결속의 의미는 도덕적 의무감, 관계종결에 따른 죄의식 혹은 미안함을 바탕으로 판매자에 심리적으로 관련되어 있다고 느끼는 심리상태로 정의할 수 있으므로, 과거에 행사를 진행하여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호텔로부터 제공받아온 혜택들이 있는 행사 진행 업체는 호텔 행사 담당자와의 관계를 계속 유지하려는 높은 도덕적 책임감을 느끼게 되고 호텔에 대한 충성도 및 재구매 의사, 더 나아가 장기적인 협력의사를 형성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호텔을 이용하는 행사진행 담당자와 호텔 서비스 제공자와의 상호 인간적 유대 관계를 형성함으로써 지속적인 재방문을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한, 호텔 자사의 매력도를 높여 고객이 이탈하지 않고 장기적인 이용을 높임으로서 호텔의 이익을 극대화 시켜야 한다. 다시 말하면, 업체의 장기적인 이용이 행사를 진행하는데 있어서 장소선정 시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호텔로 다시 선택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 텅스텐 CMP 공정에서 고선택비를 위한 PEG의 산화규소 막질 흡착 거동 연구

        소성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23

        텅스텐 CMP 공정에서 텅스텐과 산화규소 막질의 연마 선택비는 옥사이드 막질에서의 연마 중지 단계를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PEG의 산화 규소 막질로의 선택적 흡착을 이용해서 해당 막질의 연마량을 감소시키고 이를 이용해서 텅스텐 대비 산화규소 막질 연마량 선택비를 증가시켰다. PEG와 산화규소의 수소결합은 용액의 페하값이 감소할수록 증가한다. 페하 3에서 산화규소의 표면 전하가 0에 가까워 지기 때문에 PEG와 산화규소간의 반발력이 매우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해당 영역에서 PEG가 산화규소에 최대로 흡착된다. 반면에 텅스텐의 경우 산성영역의 페하에서도 음의 전하를 띄기 때문에 PEG가 접근하지 못해서 훨씬 적은 양만이 흡착되었다. CMP 평가 결과 산화규소 막질의 연마량은 PEG의 흡착으로 인해서 감소하였고, 동시에 텅스텐은 PEG의 적은 흡착으로 인해서 연마량이 거의 감소되지 않았다. 이러한 PEG의 선택적 흡착이 텅스텐 대비 산화규소 막질의 연마 선택비를 증가시켰다. 결과적으로 연마 선택비는 PEG의 농도를 0에서 9 wt% 까지 증가시켰을 때, 4.5에서 85.5까지 증가하였다. In tungsten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 the removal selectivity between tungsten and SiO2 film is crucial for the removal stopping step on SiO2. We studied the selective adsorption of polyethylene glycol (PEG) on SiO2 for high removal selectivity of tungsten to SiO2 in tungsten CMP. The hydrogen bonding between PEG and SiO2 increased as the solution pH decreased. At pH 3, the maximum adsorption of PEG on SiO2 occurred due to the low surface charge of SiO2 (near its isoelectric point). On the other hand, less amount of PEG was adsorbed on tungsten due to the high negative surface charge of tungsten. From the CMP test, the removal rate of SiO2 film was reduced by the adsorption of PEG. At the same time, the removal rate of tungsten was reduced but much less than SiO2 due to the little adsorption of PEG. The selective adsorption led to the selective reduction of removal rate of SiO2 during CMP process. As a result, the removal selectivity increased from 4.5 to 85.5 as the PEG concentration increased from 0 to 9 wt% at pH 3.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