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존선 속도 향상을 위한 열차제어시스템의 열차간격제어에 대한 연구

        백종현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47

        While entering into the 21st century, Europe is executing a lot of investments in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n relative fields to effectuate its railroad traffic which is the passenger transportation means among countries, and especially, it has promoted its signal standardization under which trains can be operated among countries mutually under the name of ERTMS/ETCS(European Railroad Traffic Management System/European Train Control System) from the late 1980's. In preparation for the high-speed, high-density operation of railroad, KORAIL (Korea Railroad Corporation) has been promoting its cab signalling system building project whose purposes are the development of railroad technology and improvement in management by enhancing the safety and operational efficiency of train and reducing its improvement and maintenance costs by constructing its train operation system for the operation section of existing line of high-speed train in the Gueongbu & Honam line sections and the electrified railroad sections of major mainlines from the existing speed step wayside signalling system based on ATS system to the cab signalling system having the distance to go function based on ATP system through minimum improvement of facilities from the year of 2004. Thus, the tilting train which was developed by KRRI(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to enhance running speed of trains for existing line and is under progress of 100 thousand km driving test is expected to be tested also by installing the same ATP on-board equipment in it. However, since this ATP system is not the product made by our own domestic technology, it is impossible to change its partial function and interface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ilting train. In addition, even if taking into consideration of the future maintenance, the localization for ATP system will be essential. In this paper, we established a safe braking model which is the key factor for distance to go function prior to the localization of this ATP system, and simulated after conducting research on the train separation control technology for efficient separation control with the leading train[1, 2, 3, 4]. We give an overview of 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this paper as follows. In chapter 2, considering transition in development on train control system(TCS), we give an briefing of definition of the TCS and brief development phase, high-speed railway TCS which made an copernican revolution in korean railway history and introduction of the ongoing onboard signal system in the section of existing lines. In chapter 3, we describe wayside signal system that a driver accelerate and decelerate a train in a control section according to the signal identification in the front : signal mounted in block vigilance points. We also describe block system and automatic train stop(ATS) which is used in existing lines. Moreover, we analyze problems in existing automatic train stop(ATS) and describe the needs of changing into onboard signal system presented in chapter 4. In chapter 4 we investigate why onboard signal system is used to solve the problem in wayside signal system. Further, we analyze classification and function of the onboard signal system which is used all over the world. In chapter 5, we describe the structure and the function of the system in each level with respect to the ETCS system that is the most representative in current onboard signal system. In chapter 6, as the core of this paper, we set up a safety braking model that is the key element of the Distance to go function in the ATP system localization. Further, we describe development on train separation control technology that controls distance effectively with preceding train. In details we present balise based and communication based train separation control algorithm. : respectively, i.e. ERTMS/ETCS level 1 correspond to building onboard signal system that is now in progress at home, ERTMS/ETCS level 2 and 3. Moreover, we simulate in the trial site between seoul-siheung, a typical bottleneck in korea railway. In chapter 7, we identify the possibility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developed train separation control technology and manufacture a miniature with micro-controller similar to the wayside/onboard control equipment. 철도신호설비는 열차의 진행 여부, 주행 속도, 전방의 상태 등의 열차 운행 관련 정보에 따라 열차운행 진로를 제어함으로서 원활한 열차 운행을 확보하여 주는 설비이다. 그러므로 신호 기술은 열차의 정확하고 안전한 운행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수송효율을 향상시키는 핵심적인 기술이다. 특히 열차의 고속화, 고밀도화, 대량 수송에 따라 요구되는 고 레벨의 철도 관련 안전성, 신속성, 정확성, 정시성 등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신호체계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열차의 고밀도‧고속화는 철도의 탄생 이후 지속적으로 추진되었으며, 대규모의 사업비가 소요되는 신규 고속선 건설과는 별도로 기존선에서의 열차 운행 속도 향상을 통한 수송효율의 증가도 중요한 항목으로 제시되었다. 따라서 새로운 환경에 적합한 신호체계의 개발, 재정립, 최적화, 신호장치의 표준화 및 현대화(전자화) 그리고 안전성과 신뢰성 확보 등은 철도신호설비 개발의 주요 이슈가 되고 있다[1, 2, 3, 4, 5, 6]. 21세기에 진입하면서 유럽은 국가간의 여객 운송 수단인 철도 교통을 효율화하기 위해 관련 분야 기술 개발에 많은 투자를 실행 중에 있으며, 특히 국가간 열차 상호 운행이 가능한 신호 표준화 및 규격화를 1980년대 후반부터 ERTMS/ETCS(European Railroad Traffic Management System/European Train Control System)라는 이름하에 추진하였다[7, 8, 9, 10, 11]. 국내에서도 기존선의 고속화를 위한 활동이 기존선 전철화 및 고속철도 연계 운행을 위한 시설물 정비 사업과 함께 병행하여 전개되고 있으며, 한국철도공사에서는 철도의 고속, 고밀도 운행을 대비하여 경부, 호남선구 고속 열차의 기존선 운행 구간 및 주요 간선 전철화 구간의 열차 운영 체계를 기존의 ATS 시스템에 의한 Speed step 지상신호방식에서 ATP 시스템에 의한 Distance to go 기능을 갖는 차상신호방식으로 최소의 시설 개량을 통해 건설함으로서 열차의 안전 및 운행 효율을 향상시키고 개량 및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함으로서 철도 기술 발전 및 경영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차상신호시스템 구축사업을 2004년부터 추진하고 있다. 또한 한국철도기술연구원에서는 기존선의 열차 운행 속도 향상을 위해 개발하여 10만km 주행시험을 진행하고 있는 틸팅열차에도 한국철도공사에서 추진하고 있는 ATP 구축사업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ATP 차상장치를 설치하여 시험할 예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ATP 시스템은 국내 자체 기술로 만들어진 제품이 아니기 때문에 틸팅열차의 특성에 따른 일부 기능 및 인터페이스의 변경이 불가능하다. 또한 향후 유지보수를 고려하더라도 ATP 시스템에 대한 국산화는 반드시 필요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ATP 시스템의 국산화에 앞서 Distance to go 기능의 핵심요소인 안전제동모델을 수립하고 선행 열차와의 효율적인 간격제어를 위한 열차간격제어기술에 대해 연구하여 시뮬레이션하였다. 또한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축소모형을 구축하였다[1, 2, 3, 7, 12, 13, 14]. 이러한 본 논문의 구성 및 내용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2장에서는 열차제어시스템의 개발 추이를 고려하여, 열차제어시스템의 정의, 간략한 개발 단계, 우리나라 철도 역사를 획기적으로 변형시킨 고속철도 열차제어시스템, 그리고 기존선 구간에서 진행 중인 차상신호시스템 도입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3장에서는 폐색 경계 지점에 신호기를 설치하여 전방에 있는 신호 현시에 따라 기관사가 제어구간에서 열차의 가감속을 하는 방식인 지상신호시스템 중에서 국내 기존선에서 사용되고 있는 폐색장치 및 자동열차정지장치에 대해 기술하였다. 또한 기존의 자동열차정지장치의 문제점에 대해 분석하여 4장에서 설명하고 있는 차상신호시스템으로의 전환이 필요한 이유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4장에서는 지상신호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차상신호시스템이 사용된 경위와 함께 전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차상신호시스템의 종류 및 기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5장에서는 현재 차상신호시스템의 가장 대표적인 시스템이라 할 수 있는 ETCS 시스템에 대하여 각 레벨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과 기능 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논문의 핵심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는 6장에서는 ATP 시스템의 국산화에 있어서 Distance to go 기능의 핵심요소인 안전 제동 모델을 수립하고 선행 열차와의 효율적인 간격제어를 위한 열차간격제어기술의 개발에 대한 내용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보다 자세히는 현재 국내에서 추진 중인 차상신호시스템 구축사업에 해당하는 ERTMS/ETCS 레벨 1과 같은 발리스 기반의 열차간격제어 알고리즘과 함께 ERTMS/ETCS 레벨 2 및 3에 해당하는 무선통신 기반 열차간격제어 알고리즘을 각각 제시하고 한국철도의 대표적인 병목구간인 서울-시흥 구간을 대상으로 하여 시뮬레이션을 하였다. 7장에서는 개발된 열차간격제어 기술을 지상/차상제어장치와 유사한 구성의 마이크로컨트롤러 제어기로 구성하여 축소모형을 구축함으로서 구현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A Salmonella Protein regulates Virulence to infect Host Cells

        백종현 경희대학교 생명공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이 연구들은 살모넬라균이 숙주 환경에 효과적으로 반응하고 살아남아 숙주의 감염을 일으키기 위하여 어떻게 자신의 병원성 인자를 조절하는가에 대해 보고하기 위해 디자인되었다. 살모넬라균, 페스트균, 그리고 결핵균을 포함한 병원균들이 다양한 방법으로 병원성 유전자를 발현하고 조절함으로서 숙주세포 내에서 살아남기 위해 노력한다. 하지만 어떻게 병원균들이 자신의 병원성을 조절하고 또 어떻게 숙주의 면역시스템을 파괴하는지는 분자적 관점에서 볼 때 많은 것이 밝혀져 있지 않다. 이러한 병원균-숙주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것은 미생물을 더 잘 이해하고 감염성 질병들을 정복하기 위해 필수적인 것처럼 생각된다. 이 논문에서 나는 병원균과 숙주세포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에 대한 예시들을 소개한다. 예를 들면 무기질 인의 대사, 병원성 인자인 MgtC의 단백분해 조절, 그리고 데옥시리보 핵산의 메틸화와 핵단백질의 상호작용이 그것이다. These studies were designed to report the how Salmonella regulates own virulence factors to effectively respond to host environments, survives within host cells, leads to host infection in molecular view. Albeit pathogens including Salmonella Typhimurium, Yersinia pestis, and Mycobacterium tuberculosis struggles to survive within host cells by expressing and regulating a variety of virulence genes, how pathogens control own pathogenicity and disrupt host immune system are still uncovered in molecular view. Researching pathogen-host cell interaction is essential for understanding microbes in detail and governing infectious diseases. In these reports, I introduce several examples how pathogen and host interact and how pathogen survive in harsh phagosome environments, for example, activating inorganic phosphate metabolism, proteolytic regulation of MgtC, and interplaying DNA methylation and nucleoproteins.

      • FRP 드릴링에서 공구마모와 가공품질 및 진공 흡입에 관한 연구

        백종현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Fiber-reinforced composites have high rigidity and strength compared to their weight, and are used for airplanes, ships, cars, and leisure goods. At this time, cutting processes for mechanical assembly are essential. In this study, tool wear and processing quality were observed by cutting fiber-reinforced composites. In addition, the generated dust and chips was suction to improve working environment and cutting quality. It was intende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productivity and processing environment through experiments. First, tool flank wear of TiAlN coating tungsten carbide, DLC coating tungsten carbide and PCD insert was compared. Second, defects that occur during drilling were measured by the methods of previous studies. And the difference in defects according to the parameters was observed. Finally, it was intende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processing quality and work environment through drilling that introduced vacuum suction. The results of each experiment are as follows. 1. When 150 holes of the carbon glass fiber hybrid composite were drilled, the amount of flank wear is 58㎛ in TiAlN coated drill, 28㎛ in DLC coated drill, 37㎛ in TiAlN coated endmill, 19㎛ DLC coated endmill. In addition, 99㎛ of flank wear occurred at the tip of the TiAlN coated endmill, but little wear occurred of the endmill applied with the PCD insert. DLC coating drills and endmills are suitable for processing carbon glass fiber hybrid composite materials. It was confirmed that the PCD insert showed much superior wear resistance of the endmill compared to the TiAlN coated carbide tool. 2. The defects through each factor were similar to that of previous composite cutting defects studies. It shows bigger delamination and burr at the exit than at the entrance. As the feed rate increased at the exit, burr factor also increased. Bigger delamination and burr occurred at a point angle 184° than 140°. Burrs of the same size as the hole area occurred at a tip angle of 184°, and the length of the burrs attached to the basic material was measured. 3. 21 kPa vacuum suction reduced the burr factor to 4.3% from 82.9% without it, but it was impossible to reduce exit delamination because of the small backup force. When cutting by applying vacuum suction in a carbon glass fiber hybrid composite, burr removal rate is 60% in 12 kPa, 80% in 21 kPa. It was possible to remove the circular outlet burr while removing the fiber dust with 17% energy by contacting the inlet to the FRP surface to suck in air.

      • 한국 선교사 자녀 교육 문제

        백종현 한일장신대학교 한일신학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선교사의 자녀 교육 문제는 선교사의 가정에 존재하고 선교가 계속 되는 날 동안에는 끊임없이 이어질 수밖에 없는 문제이다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이 문제에 분명한 관심을 가지고 계신다. 그것은 어린 아이 하나하나를 사랑하시고 그 소자 하나라도 잃어지지 않는 것을 원하신다(막9:37,42)는 말씀을 믿음 아래서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 문제를 하나님의 관심이라는 차원에서 이제껏 보다 더 세심하고 사려 깊은 마음으로 전망해야 한다. 빈들에서 예수님을 따라온 많은 가정들, 즉 여자와 어린아이를 제외하고도 5.000명이나 되었던 그 사람들을 먹이시고자 했던 예수님의 그 사랑의 마음(compassion )으로 우리는 이 문제를 다루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각 교단적 선교 단체적 정책이 바르게 마련되고 논의되며 통과되어 실행되어야 한다. 이에 관하여 대한 예수교 장로회 통합측은 참으로 모든 것을 처음부터 출발해야 하는 실정이다. 그러나 우리는 이것을 분명히 다루어야 하며 선교사를 위한, 즉 선교사 가정의 자녀들을 위한 적극적 배려와 지원을 간과하거나 더 이상 미루어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이것이 바로 선교 자체를 위한 것이며, 하나님 나라를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아울러 21년간을 선교사로서 사역한 한 선교사의 제언을 참조하여 결론에 더하고 싶다. 첫째, 한국인은 한국 학교에서 먼저 공부할 수 있어야 한다. 한 인간의 정체성과 관련하여 그가 습득 하게 되는 주모어(主母語)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으며, 먼저 어떤 언어가 교육 대상으로서의 선교사자녀에게 자리 잡도록 해야 하는가 하는 것은 매우 신중히 다루어 져야 하는 문제이다. 그러므로 부모는 선교지에 나가서 활동하되 초등학교에서 교육을 받는 아이들은, 초등과정이 마쳐질 때 까지는 가능한 한국에서 즉,조부모나 친척들 집에서 교육을 받도록 하는 것이 좋다. 초등학교가 마쳐진 다음에는 한국에서 계속 교육을 받든지, 부모가 있는 선교지에 가서 영어 학교나 그 지역의 언어로 공부하여도 상관이 없을 것이다. 둘째, 해외에 한국 학교가 있는 곳에 학생을 위탁 교육 시키도록 주선 하여야 한다. 한국에 둘 수 없는 가정은 부득이 그 나라의 수도나 혹은 인근 나라에 있는 한국 학교에 입학하여야 한다. 기숙사가 있는 학교에는 부득이 몇 가정이 합하여 집을 빌려서 어머니들이 돌아가며 아이들을 돌모아야 할 것이다. 한국학교가 있는 곳은, 아시아만 본다면 동경, 홍콩, 타이페이, 자카르타, 싱가폴 등이 있다. 대개는 그 나라에 사는 사람들을 위한 학교이기 때문에 별도의 기숙사가 있지 않다 부득이 그 지역의 선교사들이 그 자녀를 맡아서 학교를 다니게 하든지 여러 선교사 가족이 합하여 이 일을 추진할 수 밖에 없다 셋째, 한국 학교에 도저히 보낼 길이 없는 선교사 가족은 부득이하게 영어권 학교에 보내야 한다. 그러나 선교사들이 영어에 어려움을 겪은 고로 자녀들에게는 어렸을 때부터 영어 학교에 넣어 불편이 없게 하려고 한국 학교가 있어도 영어 학교로 보내는 일이 종종 있는데, 일단 영어로 공부하기 시작한 아이들은 영어가 그들의 모어가 되므로, 그에 따르는 지대한 영향을 감수해야 한다. 그러므로 아이의 장래를 생각할 때 초등학교의 선택이 매우 중요하며, 아이가 일단 초등학교를 졸업한 후에는 그 자녀가 영어로나 중국어로나 무슨 언어로 공부하여도 주모어의 형성에 상관이 없다. 본인은 본 연구를 통하여 MK들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부모라는 것을 알았다. 그러므로 선교사인 부모는 자녀 문제에 대하며 혼자만의 문제로 가슴않이를 할 것이 아니라 한국 교회와 교단과 파송교회와 선교부 등과 협력하여 자녀를 양육함에 있어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한다. 본인은 본 연구를 통하여 MK들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부모라는 것을 알았다. 그러므로 선교사인 부모는 자녀 문제에 대하여 혼자만의 문제로 가슴않이를 할 것이 아니라 한국 교회와 교단과 파송교회와 선교부 등과 협력하여 자녀를 양육함에 있어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선교사는 자신만이 선교사가 아니라 자녀도 함께 파송 받은 선교사임을 알아야 한다. 그레야만 자녀양육문제를 소홀히 할 수 없고 선교사로 함께 파송 받은 자부심을 자녀들에게 심어줄 수 있는 것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사역과 자녀 양육에 Balance가 이루어 져야 한다. 사역도 물론 중요하다. 그러나 자녀 양육은 더 중요하다. 사역은 본인이 아니더라도 다른 사람이 할 수 있지만 부모역할은 그 누구도 대신할 수 없는 일이다. 모든 사역에 있어서 우선순위가 무엇인지 이것에 대한 한국교회의 인식도 달라지기를 기대한다.

      • 컨포밍 디스플레이를 위한 자유곡면에 대한 영상 투영 시스템

        백종현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paper, we proposed OLED application technology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OLED. OLED has a feature that is flexible and can adjust the image on a pixel-by-pixel basis. So, the OLED may be installed in a car, a billboard, or a place having various curvatures. In order to accurately convey letters, such as inside a car or a billboard, there is a problem that an image needs to be projected again in units of pixels according to a viewer's position. In the aspect defined by the function, the idea verification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OLED was performed through image conversion. In addition, image conversion was performed on a plane defined as a cloud point for actual use. The performance conditions were performed using a low resolution of up to 0.064 PPI, 5 images and 5 shapes. In order to improve the resolution with the detection method, image characteristic values ​​were strengthened and canny edge detection was performed. The image was divided into two to define common comparison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image, simulation and experimental image. Then, the image was reconstructed based on the outermost line of the image to compare accuracy in units of pixels. As a result of accuracy analysis, the maximum accuracy was analyzed to be 93.43%. The lowest accuracy due to the low PPI is 62.30%, which is why the curvature has not been able to accurately analyze the true color loss and pixel position. Considering the problem that the PPI can no longer be large due to the nature of computer analysis, I think that relatively high results were obtained. By improving the accuracy of this result, it is expected that it will contribute to providing accurate information inside autonomous vehicles.

      • 학교 교육 ‘물리’분야에서 e-Learning을 통한 학습의 내용 전달 및 효율성

        백종현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e-learning contents and to examine how ICT-powered instruction using the developed e-learning contents affects the science achievements of students and how the students respond to that. After an experiment in the 6th class of the electricity unit in middle school science, e-learning contents were prepared by using videotaped material and flash animation to teach key learning points. The selected two different classes,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shows almost the same midterm scores in the second semester.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ICT-powered instruction with the contents developed in the study, and the control group received a typical expository lesson. And then the achievement test was done to these two groups, separately.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s for the effects of ICT-powered instruction on the academic achievement, the average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i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but the difference is insignificant. When each group was subdivided into the upper and intermediate and lower groups, the intermediate group got higher average scores and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Therefore, the ICT-powered instruction using the e-learning contents gives a good effect on the students whose levels are higher than the average. In the questionnaire about the ICT instruction, they generally had a positive opinion about its impact on learning interest and class participation and its learning effects. In order to draw more attention from students and boost their learning efficiency, science teachers should make a perfect preparation in advance by taking advantage of ICT. They should make an effort to gather reliable, authentic materials by searching lost of web sites, and to enhance their own teaching skills.

      • THE PREVALENCE AND TYPES OF ANDROGENETIC ALOPECIA IN KOREAN

        백종현 Kyung Hee University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안드로겐성 탈모증은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 가장 흔한 형태의 탈모증으로 그 유병율과 유형은 인종간에 차이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백인의 일반인구를 대상으로 한 안드로겐성 탈모증의 유병율과 유형에 대한 연구는 많이 있어 왔지만 한국인에서의 이에 대한 연구는 드물다. 저자는 한국인에서 좀더 많은 일반인을 대상으로 안드로겐성 탈모증의 유병율과 유형을 알아보고 이를 백인들과 비교해 보고자 1997년 12월 10일부터 1999년 7월 2일까지 경희대학교 부속병원 건강검진쎈터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10,132명(남자 5531명, 여자 4601명)에서 안드로겐성 탈모증의 유병율과 유형 및 가족력을 조사하였다. 탈모증의 유형을 분석하기 위해 남성에서는 Norwood 분류에 여성형 안드로겐성 탈모 형태를 추가한 분류법을 이용하였고 여성에서는 기존의 Ludwig 분류법을 사용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국인 남성에서 안드로겐성 탈모증의 전체 유병율은 14.1% 였으며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그 발생율이 증가되었지만 백인보다는 낮았다. 각 연령별 유병율은 20대 2.3%, 30대 4.0%, 40대 10.8%, 50대 24.5%, 60대 34.3%, 70세이상에서 46.9%를 보였다. 남성에서 탈모증 유형은 60대 까지는 type IIIvertex가 가장 흔하였고 70세 이상에서는 type IV가 가장 흔하였다. 여성형 안드로겐성 탈모증 유형은 남성환자 중 11.1%에서 관찰되었다. 2. 한국인 여성에서 안드로겐성 탈모증의 전체 유병율은 5.6% 였으며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그 발생율이 증가되었지만 백인보다 낮았다. 각 연령별 유병율은 20대 0.2%, 30대 2.3%, 40대 3.8%, 50대 7.4%, 60대 11.7%, 70세 이상에서 24.7%를 보였다. 탈모증 유형별로 50대까지는 Grade I 이 가장 흔하였으며 60세 이후는 Grade I과 II가 비슷하였다. Grade III는 관찰되지 않았다. 3. 안드로겐성 탈모증의 가족력은 남성환자의 48.5%, 여성환자의 45.2%에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한국인 남자와 여자에서 안드로겐성 탈모증의 유병율은 백인보다 낮았으며 남성환자에서 백인에 비해 전두부 모발선이 더 늦게까지 유지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남성환자에서 여성형 안드로겐성 탈모증 유형이 11.1%에서 관찰되었으므로 한국인 남성에서 안드로겐성 탈모증에 대한 연구시 기존에 분류법에 포함되어있지 않은 여성형 안드로겐성 유형을 포함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HSV 칼라 색인을 이용한 CBIR 검색 시스템 설계

        백종현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A variety of web services are needed due to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and rapid increase of the Internet demand, but as data of enormous volume are needed for services on the multimedia data, which causes overload in network, it is hard to provide quick and various services. Therefore, as a rapid development of multimedia technology and increase of population to use internet, the necessity of retrieval system for various images on the web is on the rise. There are two kinds of image retrieval system on the web. One is a system that retrieval to present images from the image database contained in the server in itself through web interface. The other is a system that present the results of retrieval by the text-based retrieval method for the images on the web. The former is high in the confidence level, but is not satisfactory for the web user's needs that make request for various images on the web. The latter can retrieve the number of various images on the web, but has the problem of the fall in responsibility for retrieval. To solve the problem, MPEG-7, which is an international standard of meta data representation in multimedia, was established in early 2002. accompanied by development of various types of services. Also, an incorporating service is becoming a matter of common interest because a variety of users require One-Source Multi-Use which was designed to apply multimedia services at various platform. In this background, this paper suggested a image retrieval system using HSV color index. It extract a representative value of each block which divide a fit image into a block of prescribed approximate figures. In the following, it assigned index code value which divided color space of HSV into 24 fragments through compared a representative value of HSV. Lastly, it output a high degree of matching image to calculate a distribution in the color space of each blocks. A index code of overall image is saved in the database and search for wanting image use this on the web. Proposed system constructed web-based multimedia retrieval system with JSP to verify the suggested system and simulated it by using several ima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