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자기기의 전자파 차폐를 위한 탄소복합재 연구

        朴炯俊 전주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63

        Concerns are rising on the electromagnetic-wave shielding materials as various strict regulations are enforced for preventing radio wave hindrance. Therefore, the interest in the effects of the electromagnetic waves emitted by electronic products, communications appliances, etc. on the human body due to radio wave obstacles is rapidly increasing. Metal has been widely used as a shielding material for normal purposes, but plastics are the recent mainstream materials used for industrial development and for miniaturization, weight lightening, and inexpensiveness. Metals, however, are still attached to plastics to achieve complete shielding. In this study, electromagnetic-wave shielding was investigated using a carbon composite material that has both metal and plastic features. The electromagnetic-wave shielding effects generally consist of an aggregate of absorption, reflection, and multiple reflection losses, and are measured by comparing the reception signal levels (dB) when a shielding material is placed or removed. An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this study, using a direct measurement method that directly measured the strength of the electromagnetic waves applied on the specimens using the coaxial transmission line fixtures at the flange. The experiment system consisted of an electromagnetic-wave test receiver, a signal generator, etc. for measuring the electromagnetic-wave shielding effects in accordance with ASTM D4935-10. The test specimens were manufactured in accordance with ASTM D4935-10. They were separated into those manufactured with an increased number of lamination layers, those on which variations were made on the fiber orientation angles (0˚/0˚, 0˚/15˚, 0˚/30˚, 0˚/45˚, and 0˚/90˚), those where the number of woven fiber lamination layers with a similar structure was increased, and those manufactured by laying stainless steel wire meshes on woven fibers. As the number of lamination layers increased, the electromagnetic-wave reflection and shielding effects appeared greater, and when the orientation angles were enlarged, the reflection effects decreased but the shielding effects improved. The increase amount due to the enlarged orientation angles appeared higher, however, than those affected by the increased number of lamination layers. While the number of woven fiber lamination layers increased, the reflection effects remained similar but the shielding effects improved. The specimens containing the stainless steel wire meshes presented similar reflection effects but an increased shield effect. Therefore, the shielding effects of the carbon composite materials are considered to have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lamination layers and the enlargement of the orientation angles. 전파 장해에 대한 대책으로 각종 엄격한 규제가 마련되어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는 전자파 차폐용 소재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전자파 장해로 인한 전자제품이나 통신기기 등에서 방출되는 전자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으며, 전자파를 반사, 흡수할 수 있는 재료개발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인 차폐물질로는 금속이 많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산업의 발전과 함께 소형화, 경량화, 저렴화라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서 최근 플라스틱이 주류를 이룬다. 하지만 플라스틱만으로 차폐가 곤란하여 금속을 붙여서 사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금속 성질과 플라스틱 성질을 비교하기 위해서 탄소복합재를 통한 전자파 차폐 연구하였다. 일반적으로 전자파의 차폐는 흡수손실, 반사손실, 다중반사손실의 합으로 구성된다. 측정시에는 차페재를 넣고 실험한 것과 차폐재를 제거 하였을 때 수신 신호레벨(dB)를 차이에 의해서 나타낸다. 실험은 플랜지 동축 전송선 치구를 이용하여 전자파가 시편재료를 통하여 전자파의 세기를 직접 측정하는 직접 측정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ASTM D4935-10 규격에 따른 전자파 차폐효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전자파 시험 수신기, 신호발생기 등으로 시스템을 구성되어진다. 시험편은 ASTM D-4935-10에 따라서 제작하였으며, 시험편은 적증수의 증가에 따른 시험편과 배향각을 0˚/0˚, 0˚/15˚, 0˚/30˚, 0˚/45˚, 0˚/90˚로 변화를 준 시험편과 0˚/90˚과 비슷한 구조를 가진 직조섬유의 적층수를 증가 시킨 시험편과 직조섬유에 스텐레스 와이어 메쉬를 적층해서 만든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적층수가 증가할수록 전자파 반사 효과와 전자파 차폐 효과가 증가됨을 보였고 배향각이 커지면서 반사효과는 줄어들었고 차폐효과는 증가됨을 보였다. 하지만 적층수에 따른 증가량 보다 배향각이 커짐에 따른 증가량이 더 높게 나타났다. 직조섬유의 적층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반사효과는 비슷함을 보였고 차폐효과는 증가함을 보였다. 스텐레스 와이어 메쉬가 포함된 시험편에서도 반사효과는 비슷하고 차폐효과는 증가되었다. 적층수 및 배향각의 증가를 통해서 탄소복합재의 전자파 차폐 효과가 증가한다고 판단된다.

      • 전력설비 안전진단을 위한 광섬유 더블패스 MZI 온도센서 시스템

        박형준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47

        In this thesis, a quasi-distributed fiber-optic temperature sensor system was constructed for safety monitoring of electrical power systems, such as high voltage power transformers, gas insulated switchgears (GIS), power generators, and transmission cables, etc. A tunable fiber laser and fiber Bragg grating (FBG) sensor arrays were used for the multi-channel and long distant sensing with a high signal-to-noise ratio (SNR). The fiber laser consists of a semiconductor optical amplifier (SOA) and a fiber-optic Fabry-Perot wavelength tuning filter. The wavelength scanning range is 1520~1570 nm and the power density of the laser output is about 20 dB stronger than that of a super luminescent diode (SLD). The nonlinearity in the wavelength scanning was compensated by using a wavelength readout system. The 90 degree phase stepping internal triggers, which are prerequisite condition for the wavelength readout, are automatically generated from a double-pass Mach-Zehnder interferometer structure. The phase error between the triggers was measured to be ~2.51 mrad, which was much smaller than the tolerance level. Sensor arrays with 15 FBGs and 5 FBGs were used for the multi-channel temperature sensing. A Gaussian line fitting was used to the reflection spectra of FBG sensors, substantially enhancing the peak detecting resolution. From the temperature measurements of over-current driven power transformer, a linearity error against a reference thermocouple thermometer was obtained to be 0.29 %. In conclusion, a high-power tunable fiber laser, a wavelength readout using a double-pass MZI trigger generator, and a Gaussian line filtting algorithm have been successfully integrated in the fiber-optic sensor system, substantially enhancing the safety monitoring function in the harsh measurement environment of the power systems.

      • 강물의 시적 변용과 귀향 의식

        박형준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연구자의 시에 나타난 강물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귀향의 본질을 규명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강물의 방향성과 장소성을 통해 과거로 사라져가는 기억을 미래의 예감과 연관시키고 그 과정에서 하나하나의 인간의 휴식으로서의 장소성이 생성된다는 데에 초점을 맞춘다. 또한 그렇게 생성된 장소들이 연구자에게 있어서는 바로 시이며, 그것은 근본적으로 영원한 휴식처로서의 고향을 지향한다. 연구자는 하이데거의 ‘존재의 현상학’과 바슐라르의 ‘이미지의 현상학’을 바탕으로 하여 위의 논의를 전개한다. 동시대인으로서 바슐라르와 하이데거는 철학과 예술을 논함에 있어 이성과 감성 사이에 매개되어야 할 창조적 상상력을 중시하고 세계의 기원을 파악할 수 있는 것으로 시적 사유를 강조했다. 이들은 시인이 추구하는 공간, 시인에 의해 비로소 열릴 수 있는 시간 안에 전통 철학으로서는 밝힐 수 없는 내밀한 상상의 공간이 숨겨져 있다고 파악한다. 이들의 논의에서 중요한 메시지는 존재의 본질과 근원의 발견이라는 점에 있다. 특히 철학과 시, 시와 과학이 넘나들 수 있는 통로를 제시해준 하이데거나 바슐라르에게 있어서 세계의 기원에 가 닿을 수 있는 것으로 시적 사유가 강조되는 것은 이 논문의 주제와 상통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 분석하는 강물의 이미지에 나타난 귀향 의식이란 단순히 회귀적 공간만을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귀향의 근원적 바탕이라 할 수 있는 기억 또한 그 내용이나 의미가 선험적 이성으로 고착되어 있는 것이 아니며 끊임없이 재구성된다. 강물은 근원적으로 아무 길도 없는 대지 위에서 힘차게 통로를 열어주며 흘러간다. 그리고 그렇게 방랑하며 흘러가면서 인간들에게 휴식할 수 있는 장소를 만들어준다. 인간이 휴식할 수 있는 이러한 장소들이 바로 기억이라고 한다면 우리들은 강물과 기억의 동질성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또한 연구자가 강물을 시적 체험으로 만들어가는 과정이 기억을 물질화하는 과정이라면 그것은 시원적인 강물, 시원적인 고향의 도래라는 주제와 연관하여 살펴보지 않을 수 없다. 연구자의 시에서 강물의 방향성이란 도시라는 낯선 타향을 강물의 흐름처럼 방랑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그 과정은 인간이 고향과 도시를 방랑하며 자신의 존재를 되찾기 위한 여정이다. 연구자는 이러한 강물의 속성을 통해 본래적인 고향의 언어를 찾아나서고, 그 결과 강물이 세상과 사물의 비밀스러운 끈이 될 수 있음을 사유한다. 강물은 고향과 도시 사이를 이어주면서 흐르고 거기에 수많은 기억을 숨기고 있다. 연구자는 강물의 흘러감 속에서 망각되어가는 이러한 기억을 언어로 포착하여 그 속에 숨겨진 본래적인 것을 시적 풍경으로 창조할 때 참다운 귀향을 기약할 수 있는 장소성이 열림에 주목한다. 이렇게 하여 연구자는 본인의 시에 나타난 강물의 방향성과 장소성을 통해 고조된 추억은 우리들로 하여금 과거를 소생시킬 뿐만 아니라 과거를 현재와 동시적인 존재로 만들어 과거는 현재에 늘 붙어 있도록 여기게 함을 논하였다. 고향은 단순히 지리적인 공간이 아니라 인간의 제자리이고, 따라서 고향에의 동경과 회귀는 인간의 원초적인 갈망에 해당한다. 이를 통해 연구자의 강물이미지는 근원의 신성함과 고향이 거주하는 귀향의 장소성으로 나타난다. This paper aims at analyzing the image of river water found in this researcher's poems and revealing the nature of homecoming. To that end, the study relates disappearing memory to future premotion through the character of direction and place of the river water and focuses on that the characters of the places as the rests for human are formed one by one in the process. Also the places formed in that way are the very poems to this researcher, which go for the hometown as a fundamentally eternal resting place. This researcher develops the above argument based on Martin Heidegger's 'existential phenomenology', and Gaston Bachelard's 'image phenomenology'. The contemporaries, Heidegger and Bachelard emphasized the creative imagination which has to be mediated between reason and emotion when discussing philosophy and art, and the poetic thinking which helps to grasp the origin of the world. They understand that a secret imaginary space, unexplainable by traditional philosophy, is hidden in the space the poets pursue and in the time only poets can open. The vital message in their discussion is finding out the nature and the source of existence. In particular, to Heidegger and Bachelard, who presented a route philosophy and poetry, poetry and science can pass through, poetic thinking is emphasized as a means to reach the origin of the world and it is in common with the theme of this paper. Thus the homecoming consciousness found in the image of the river water this paper analyzes doesn't simply indicate a regressive space. Memory, to be said as the fundamental base of the homecoming, is not fixed as a priori reason in its content or meaning, but re-organized endlessly. The river water opens a route and flows strongly in the land where there is no road. And it roams and flows, providing a resting place for humans. If these places human can have rest on are called memory, w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homogeneity of the river water and the memory. Also, if the process this researcher makes the river water to the poetic experience is that of materializing the memory, it should be considered associated with the theme, the arrival of the original hometown. In this researcher's poems, the character of the direction of the river water means wandering at strange foreign land like a flow of the river water. However, that process is the journey of roaming in the hometown and city, and finding out his being. This researcher searches for the language of the original hometown through the attributes of such river water, and as a consequence, thinks that the river water can be a secret line connecting the world and the object. The river water flows connecting hometown and city, and conceals a lot of memories there. This researcher notes that the character of the place to promise true homecoming can be open only by capturing those memories, getting forgotten in the flowing of the river water, with language, and by creating the original things hidden there with poetic landscape. As shown above, this researcher discussed that the memory elated by the characters of direction and place of the river water found in this researcher's poems revives our past, and makes the past and the present the simultaneous existences to make the past regarded to be clung to the present at all times. The hometown is not just a geographical place but a right place for human. Thus, yearning for and returning to hometown comes under human's instinctive desire. Through this, this researcher's river water image is indicated as the holiness of the origin and the character of the place of the homecoming.

      • 통합뉴스룸 도입에 따른 기자의 직무만족도 연구 : 취재환경, 조직분위기, 저널리즘 품질 인식을 중심으로

        박형준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한국 언론계에 사실상 처음 나타나는 신문과 방송의 통합뉴스룸을 연구했다. 통합뉴스룸이 가져오는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문헌 검토와 사전 조사를 통해 취재환경, 심리적 조직분위기, 저널리즘의 품질 인식, 직무만족도 등 4개 변인을 추출했다. 1차적으로는 통합뉴스룸 도입 전과 후 4개 변인에 대한 기자들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봤다. 이어 2차적으로 통합 후 취재환경, 심리적 조직분위기, 저널리즘의 품질 인식이 직무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했다. 영향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환경 변화(취재환경) → 변화에 대한 심리적, 상품적 평가(심리적 조직분위기, 저널리즘의 품질 인식) → 결과(직무만족도)’로 이어지는 연구모델을 만들었다. 연구문제는 4개로 설정했다. 연구문제 검증을 위해 신문과 방송의 통합뉴스룸을 도입한 동아일보 매일경제신문 조선일보 중앙일보 기자 중 현장을 뛰는 취재기자 14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첫 번째 연구문제는 ‘기자들은 통합뉴스룸 도입 이전과 이후에 취재환경, 심리적 조직분위기, 저널리즘의 품질 인식, 직무만족도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였다. 대응표본 t검증을 통해 분석했다. 취재환경의 경우 6개 측정변인 중 취재의 심층화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통합 이전과 이후 통계적 유의수준 아래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자들은 기사선택 연성화, 멀티형 기사작성, 경쟁, 업무량, 회사 경영 고려에 대해 통합 이전과 이후 달라졌다고 느꼈다. 5개 측정변인 모두 증가하는 방향으로 움직였다. 이로써 통합뉴스룸 도입은 취재환경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심리적 조직분위기의 경우 6개 측정변인 중 자유로운 의사표현만 통합 전과 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나머지 조직 목표달성에 공헌, 조직의 인정, 도전적 직무, 직무수행 통제권, 분명한 역할과 규범은 통합 전과 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저널리즘 품질 인식의 경우 3개 측정변인 중 진실 추구와 시민에게 충실은 통합 전과 후 별다른 차이가 없었지만 취재대상으로부터 독립은 통계적 유의수준 아래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기자들은 통합 후 취재대상으로부터 독립 변인에 더 낮은 점수를 매겼다. 직무만족도의 경우 통계적 유의수준 아래에서 통합 전보다 후가 더 떨어졌다. 이는 경쟁이 심해지고, 업무량이 늘어난 것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 회사 경영 악화가 우려되는 상황도 직무만족도를 떨어뜨렸을 것으로 보인다. 두 번째 연구문제는 ‘통합의 강도에 따라 취재환경, 심리적 조직분위기, 저널리즘의 품질, 직무만족도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였다. 통합의 강도는 언론사별로 구분할 수도 있고, 기자 개인별로 구분할 수도 있다. 이 연구는 기자 개인별로 느끼는 통합의 강도를 기준으로 했다. 기자들이 느끼는 통합의 강도를 1~3과 4~7로 나누었다. 상대적으로 약한 강도인 1~3을 선택한 기자는 모두 78명, 상대적으로 강한 강도인 4~7을 선택한 기자는 모두 64명이다. 분석 결과 3가지 변인에서 통합 강도별 차이가 드러났다. 우선 취재의 심층성에 있어서 통합 강도가 약하다고 느끼는 기자들은 통계적 유의수준 아래에서 통합 후 심층성이 더 떨어졌다고 느꼈다. 반면 통합 강도가 강하다고 느끼는 기자들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지만 심층성이 소폭 올라갔다고 느꼈다. 도전적인 직무도 차이가 있었다. 통합의 강도가 높다고 여기는 기자들은 통합 후 도전적인 직무에서 더 높은 점수를 매겼고, 이는 통계적 유의수준 아래에서 유의미했다. 반면 통합 강도가 낮다고 여기는 기자들은 도전적 직무 관련해 통합 전과 후가 비슷했다. 직무만족도 역시 차이가 있었다. 통합이 약하다고 느끼는 기자들은 통합 후 전반적인 직무만족도가 더 떨어졌다. 하지만 통합 강도가 강하다고 느끼는 기자들은 통합 후 오히려 직무만족도가 더 높아졌다. 세 번째 연구문제는 ‘통합뉴스룸 도입 이후 취재환경, 심리적 조직분위기, 저널리즘의 품질 인식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가?’였다. 이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과 회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했다. 먼저 취재환경이 심리적 조직분위기에 미친 영향을 살펴본 결과 취재환경 측정변인 중 취재의 심층화, 경쟁, 업무량 등 3개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취재환경이 저널리즘의 품질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 취재환경 측정변인 중 취재 심층화, 경쟁, 회사 경영 고려, 멀티형 기사작성 등 4개가 영향을 미쳤다. 이 중 취재 심층화와 경쟁은 긍정적으로, 회사 경영 고려와 멀티형 기사작성은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취재환경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 취재 심층화는 직무만족도에 긍정적으로, 회사 경영 고려는 직무만족도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심리적 조직분위기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 직무수행 통제권, 도전적인 직무, 조직의 인정 등 3개 변인은 직무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저널리즘의 품질 인식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 시민에게 충실과 취재대상으로부터 독립이 직무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네 번째 연구문제는 ‘통합의 강도에 따라 취재환경, 심리적 조직분위기, 저널리즘의 품질 인식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차이가 있는가?’였다. 통합 강도가 약하다고 느끼는 기자들의 경우 더 많은 취재환경의 측정변인이 저널리즘의 품질 인식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나머지 영향 관계에서는 두드러지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번 연구를 통해 기자들은 통합뉴스룸 도입 이후 전반적으로 ‘열악해졌다’고 느끼고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통합뉴스룸 도입 전과 후 기자들은 ①기사선택 연성화 ②멀티형 기사작성 ③경쟁 ④업무량 ⑤회사 경영 고려 ⑥자유로운 의사표현 ⑦취재대상으로부터 독립 ⑧직무만족도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느꼈다. 그런데 가치중립적인 기사선택 연성화와 멀티형 기사작성을 제외하고 나머지 6개 변인에 대해서는 그 방향성이 한결같이 부정적이다. 강한 통합일수록 ‘긍정적 효과’가 컸다는 점도 확인했다. 이 같은 결과는 미국의 통합뉴스룸 도입을 연구한 후 ‘높은 수준으로 뉴스룸을 통합할수록 통합의 긍정적 효과가 뚜렸했다’는 임봉수(2009)의 연구와 일치한다. 취재환경의 6개 측정변인 중 ‘취재 심층화’는 조직분위기와 저널리즘의 품질 인식, 직무만족도에 폭넓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언론사는 통합뉴스룸 도입 이후 기자들이 심층 취재를 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주는 게 저널리즘 품질 인식과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음을 확인했다. 마지막으로 기자들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기자들에게 취재 심층화(취재환경)를 보장하고, 조직의 인정, 도전적인 직무, 직무수행 통제권(이상 심리적 조직분위기)을 높이며, 시민에게 충실, 취재대상으로부터 독립(이상 저널리즘의 품질 인식)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반면 회사 경영 고려는 직무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기자들이 회사 경영을 고민하지 않도록 배려하는 게 중요하다.

      • 기술혁신을 통한 프레스금형산업의 경쟁력강화

        박형준 전남대학교 경영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FTA(한미 자유무역협정) 협상의 타결과 급변하는 정세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 기업들은 고도의 기술과 정보력을 바탕으로 하는 경쟁력를 갖추기 위한 획기적인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 이에 제조업 분야에서 대량생산 수단방법으로 가장 널리 사용중인 금형산업 또한 공정 개선과 과감한 시설투자 등을 통해 기술력을 향상시켜 고유가, 환율하락 등의 경제위기에 대응하고 또한 독일이나 일본 등의 금형강국이나 저가의 중국과 경쟁하기 위해서 경쟁력을 확대 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경영기술의 기술혁신을 통하여 여러 금형 중에서도 프레스 금형산업을 중심으로 업체들이 원가절감과 기술력 향상을 위하여 어떠한 개선들을 실천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으며, 특히 제조업 분야에서 생산의 양과 질에서 큰 변화를 가져오는 제품설계 CAM/CAM분야를 중점으로 분석하였다. 한국은 1990년대에 도입한 CAD/CAM 및 NC공작기계로 인하여 급속한 산업발전을 이루었고, 대부분의 기업들이 그 당시의 기술혁신 결과인 2차원CAD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제조공정의 단축과 원가절감 그리고 가시화를 통한 문제의 조기 발견을 위해서 3차원CAD로의 기술혁신이 금형산업의 전반에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금형업체들이 시도하는 3차원CAD로의 전환이 금형 제작공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어떠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지를 세부적이고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기존의 단순한 생산에서의 원가 절감방식을 탈피하여 첨단장비의 도입을 통한 공정개선과 고 기술력이 금형제작의 경쟁우위 요소인 납기 단축, 고품질, 원가절감 등을 실현하게 함으로써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3차원CAD의 도입을 통하여 수반되는 가시화 예측의 시스템을 통하여 금형제작의 문제점이나 불량들을 미리 발견하고 조치함으로써 금형제작 공정의 경쟁력 확대에 기여할 수 있다. 그러나 3차원CAD의 도입을 위한 선행과제로 라이브러리 구축, 체계적인 교육과 고급인력양성을 위한 제도, 생산 현장과의 시스템 구축이 이뤄지지 못하면 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최근 이·공계 기피현상으로 기술인력이 부족한 시점에 인력양성을 위한 산·학연계 활동이 절실히 필요하고, 정부와 업계가 해나가야 할 활동들이 다음 연구의 추후 과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o respond to the rapidly changing situations and the agreement of FTA (Free Trade Agreement) between Korea and USA, domestic companies need to innovative countermeasures to secure the competitiveness based on high technology and information. Accordingly, mould industry, which is being widely used as mass production needs to improve its technology through process innovation and facility investment in order to respond to the economic risks such as high oil price and exchange rate fall. Additionally we need to grow our competitiveness to compete with technology-advanced countries such as German and Japan and low-price country such as China. In this article, the improvements through management innovation to reduce cost and improve technology were empirically analyzed focusing on Press Mold Industry. Especially product design CAM/CAM field that will bring great change in quality and quantity has been analyzed. Korea has made rapid industrial development thanks to CAD/CAM and NC machine introduced in 1990s, and most of the companies are using the 2 dimensional CAD, the fruit of the contemporary technology innovation. However technology innovation to three-dimensional CAD is urgently needed to reduce production process and cost and to discover problems in early stage through visualization. In this article, we analyzed what influence 3-dimensional CAD that molding companies has recently made could make on mold production process and what kind of competitiveness they could have empirically and concretely. Conclusively, we could enhance our competitiveness in international market through the process innovation and the introduction of high technology by realizing shorter delivery period, high quality and cost reduction not relying upon conventional cost reduction methods in existing simple production process. Through the forecasting system accompanying 3-dimensional CAD, we can grow our competitiveness in mold industry by identifying and rectifying the problems and faults in early stages. However, we cannot expect big effects if we do not have libraries, systematic education to nurture professionals and integrated system with production fields before introducing 3 dimensional CAD system. As we do not have enough resources because of low popularity of technical and engineering field, the cooperation between the industry and schools is needed. The activities that the government and industry should do may be the issue of the further studies in the future.

      • 팝 아트 주요 작가의 작품 분석 연구

        박형준 慶尙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Now is an unprecedented time of mass and media. According to J. Baudrillard, this is 'an era in the raptures of communication' and M. Mauss and P. Broudiew, 'an era of mass ignorance' that even private worlds of a minority are evaluated by being broadcasted on television. By the time the abstractionism and the informel emerged in the US and Europe after the World War Ⅱ, followed by the development of minimalism and conceptual art, as they tie themselves up in the limitation of high-class art, a group of artists began to make our mundane materials as the subject of their works, showing strong rejection against the originality of artists and the uniqueness of their works. Andy Warhol's works that describe hundreds of cans of Campbell soup as if they are reproduced, certain pieces of works that borrow Lichtenstein's cartoon-like images and Hanson's works of human bodies in real size invaded the field of high-class art under the name of pop art. This brand new trend of art was the isolation from former arts that limited themselves within the framework of high-class culture and the outcome of efforts that tried to reconnect boundaries of the life and the art that were separated. Since the term pop art was coined in 1956 by British critic Lawrence Alloway, such efforts have had influences till these days not as a movement but an attempt and an attitude that dream about the reunion of the life and the art. Pop art has been the target of criticism because of the commercialism that is linked with a slice of capitalistic society and argument because of the giving up of it's autonomy and the recurrence to the daily in the viewpoint of pure, idealistic art. I'd like to analyze the pop art and the influence it has to modern artists as a meaning of combination with the art at this time that has a code of consumable and cultural characteristic, expendables of politics and economies.

      • 콘크리트 진공튜브 구조물의 이음부 변형에 따른 기밀성능 평가

        박형준 圓光大學校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초고속 진공튜브 시스템은 기존의 항공 시스템에 비해 환경성이 우수하고 비용 대비 수송효과가 뛰어나 유력한 차세대 운송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튜브 내부의 압력을 진공 또는 아진공으로 유지해야 하는 진공튜브 인프라의 특성을 고려할 때 진공튜브 구조물의 기밀성능 확보가 시스템 기본설계를 위해 선행되어야 하는 필수조건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외부기압 및 사용하중을 받고 있는 다경간 콘크리트 진공튜브 구조물에서 발생하는 변형 및 응력 해석을 통해 고무재질로 가정된 진공튜브 이음부의 설계 요건을 수립하였다. 토목구조용 유한요소 프로그램인 Midas Civil을 이용해 2경간 단순교 형식의 튜브구조를 대상으로 튜브의 두께(t), 차량하중(), 콘크리트 설계기준 압축강도() 값의 변화를 주어가면서 각 변수의 변화에 따른 이음부의 응력 및 변위 응답을 관찰하였다. 해석결과 하중과 압축강도에 의한 이음부의 변형 및 응력 변화는 크지 않은 반면 튜브 두께 변화에 따른 변형 및 응력의 민감도는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특히 튜브 두께 0.1m 이하의 경우에서는 이음부의 응력이 고무의 항복응력을 초과하는 현상이 관찰되어 이음부의 설계 시 튜브 두께에 따른 영향이 제일 큰 것으로 판단된다. Super speed tube train (SSTT) is considered as a viable alternative to the existing aviation system due to its low emission and cost effectiveness.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SSTT system must maintain low air pressure inside the tube structure, the airtightnes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quirements in basic design of the system.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sign requirements of the joints placed between the concrete tubes under the service loads by performing the stress and deformation analysis of the system. Midas Civil, which is the finite element analysis program for civil structures, was used to monitor the maximum stresses and deformation of the joints for a two-span simply supported tube structure. A parametric study was also performed by varying the tube thickness, vehicle load, and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deformation and stress of the joint i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vehicle load and the concrete strength. The tube thickness, however, appear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tress and deformation of the joint, as the maximum stress of the joint exceeded the yield stress of the material with a low value of the tube thickness.

      • 완충지역 활용 컨테이너 터미널 타부두 환적화물 운송 모형 개발

        박형준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global port congestion continues due to the effects of port closures in each country and shortage of capacity and manpower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infection. Busan Port is experiencing a logistical crisis with a terminal yard utilization rate of 90%. In addition, Busan Port is in a crisis in the competition to attract transshipment cargo because there are concerns about the global shipping companies’ churn who were calling at Busan Port due to China's cabotage issues and implementation of the Truck Safety Rates. Various operational problems are appearing amidst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changes of Busan Port. Representatively, the problem of truck waiting time is seriously appearing because the truck in/out volumes are concentrated at a specific time period. This problem is more evident in Inter-Terminal Transportation(ITT). To solve this problem,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nd Busan Port Authority(BPA) have established and operated a block chain-based ITT system to enable real-time information sharing among related subjects. In addition, in order to reduce truck waiting time, they are promoting the introduction of a Vehicle Booking System(VBS), and a terminal is selected and piloted. However, there is a limit to mitigating truck waiting time only by distributing trucks concentrated in a specific time period to another time period. Therefore, in this study, to solve the truck waiting time problem occurring in ITT, the method of using the buffer space was reviewed, and the mathematical models are presented for the method of single buffer space for all terminals and the method of multi buffer space for each terminal. In addition, various experimental types were created and applied according to the work volume, terminal capacity fluctuation, ITT truck input capacity, and container yard saturation situation based on the Busan New Port operation data. Each experimental type data was applied to the single buffer dispatching model and the multiple buffer dispatching model to calculate and compare the waiting time and cost by the buffer space utilization, and analyze the effec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effect of reducing waiting time and cost by buffer space utilization was confirmed in all types. In addition, the effect of reducing truck waiting time and cost by buffer space utilization was found to have the largest change when terminal capacity fluctuation level was high.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in order to calculate the appropriate buffer space volume, terminal capacity fluctuation level should be considered first. It was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operate flexibly up to about 5% of the total work volume when terminal capacity fluctuation level is at an average level and about 12% of the total work volume when it is high. When the terminal yard utilization rate is at a general level, there i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single buffer space utilization method and the multiple buffer space utilization method, and the total cost of the multiple buffer space utilization method is low, so the multiple buffer space utilization method is suitable. On the other hand, when the terminal yard utilization rate is at a high level, the single buffer space utilization method is suitable because the waiting time reduction effect of the single buffer space utilization method is large. As various port development projects (Busan New Port West Container Terminal, Jinhae New Port, hinterland construction project, etc.) are being promoted, It is time to review the realistic and continuous measures of ITT operational problems that have threatened Busan Port's trasshipment competitivenes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analysis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will provide realistic and applicable insights into the Busan Port ITT problems and review various operational situations when introducing buffer space.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감염 확산으로 각국의 항만 폐쇄, 선복량 및 인력 부족 현상으로 세계적인 항만 적체가 지속되고 있다. 이 영향으로 부산항은 터미널 장치율이 90%에 달하는 물류대란을 겪고 있다. 이외에도 중국의 카보타지 해제, 안전운임제 시행 등으로 부산항을 기항하던 글로벌 선사들의 이탈이 우려되고 있어 부산항은 환적화물 유치 경쟁에 있어 위기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부산항의 대내외적 환경변화 속에서 다양한 운영적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다. 대표적으로 차량 반출입이 특정 시간대에 집중되어 화물차주들이 장시간 대기해야하는 차량 대기시간 문제가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다른 터미널과 연계된다는 점에서 타부두 환적화물 운송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난다. 해양수산부와 BPA는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관련 주체들 간 실시간 정보 공유가 가능하도록 블록체인 기반 ITT 운송 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영 중이다. 또한 차량 대기시간을 줄이기 위해 반출입 예약 시스템 도입을 추진 중이며 터미널을 선정하여 시범 운영을 진행 중이다. 하지만, 특정 시간대에 집중된 차량들을 다른 시간대로 분산시키는 방법만으로는 차량 대기시간 완화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타부두 환적 화물 운송에서 발생하는 대기시간 문제해결을 위해 완충지역을 활용하는 방법을 검토하고 모든 터미널이 단일 완충지역을 활용하는 방법과 각 터미널별로 완충지역을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수리 모형화하였다. 그리고 유의미한 완충지역 활용 효과 분석을 위해 부산 신항 터미널 운영데이터를 기반으로 총 작업량, 터미널 가용량 변동폭, 차량 투입 가용량 변동폭 수준, 장치장 포화 상황별로 다양한 실험 유형을 생성하여 적용하였다. 단일 완충지역 활용 모형과 다수 완충지역 활용 모형에 대해 각 실험 유형 데이터를 적용하여 완충지역 활용에 따른 대기시간 및 비용을 산출하여 비교하고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모든 유형에서 공통적으로 완충지역 활용에 따른 대기시간 및 비용의 감소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완충지역 활용에 따른 차량 대기시간 및 비용 감소 효과는 터미널 가용량 변동폭 수준이 높을 때 변화폭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적정 완충 규모를 산정하기 위해 터미널 가용량 변동폭이 우선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적정 완충 규모의 경우 터미널 가용량 변동폭이 보통 수준일 때는 총 작업량 대비 약 5%, 높은 수준일 때는 총 작업량 대비 약 12%까지 탄력적으로 운영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터미널 장치율이 일반적인 수준일 경우 단일 완충지역 활용 방식과 다수 완충지역 활용 방식은 대기시간 감소 효과 차이가 거의 없고, 다수 완충지역 활용 방식의 총 비용이 적기 때문에 다수 완충지역 활용 방식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터미널 장치율이 높은 상황에서는 단일 완충지역 활용 방식의 대기시간 감소 효과가 크기 때문에 단일 완충지역 활용 방식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종 항만 개발 사업(항만 서컨테이너 부두, 진해 신항, 배후단지 조성사업 등)이 추진되고 있는 현재에 그동안 부산항 환적 경쟁력을 위협해온 ITT 운영적 문제에 대한 현실적이고 지속적인 방인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시기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분석 결과 및 시사점을 통해 부산항 ITT 문제에 대한 현실적이고 적용 가능한 통찰을 제공하고, 완충지역 도입 시 다양한 운영적 상황에 대해 검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