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다점포 푸드서비스 기업의 효율성 측정에 관한 연구

        박주연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다점포 푸드서비스 기업의 효율성 측정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조리외식경영학과 외식경영전공 박주연 본 연구는 다점포 푸드서비스 기업의 성과 측정을 위해 경영과학 기법인 DEA(data envelopment analysis)를 도입하여 효율성을 측정하고, DEA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수를 파악하여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한 운영 제안을 하고자 하였다. 분석 자료는 위탁급식 점포 342개를 대상으로 2008년 10월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DEA 모델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최종 312개(A세트) 점포의 자료를 활용하였고,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기 위해서 260개(B세트) 점포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DEA 효율성을 계산하기 위한 산출변수로는 매출, EBITDA, 고객만족도를 사용하였고, 투입변수로는 재료비, 인건비, 경비를 선정하였다. 점포의 운영변수들은 4가지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메뉴요인은 메뉴수, 식수오차율, 발주정확도, 로스율, 재고율을 포함하고, 인적요인은 환산인원수, 근무시간, 정직원 비율, 파출비율을 포함하였다. 계약요인은 코너수, 배식형태, 월식수(규모), 유형, 계약형태, 단가를 반영하였고, 생산시스템은 전처리야채 및 CK(central kitchen)상품 사용 정도를 반영하였다. DEA 효율성은 산출변수를 달리하여 2가지 모델로 분석하였으며 BCC와 CCR 투입지향 모형을 사용하였다. 1모델과 2모델 간에는 DEA 효율성에 차이가 없었으며 BCC와 CCR 모형 간에는 차이를 보였다. 전통적 노동생산성을 분석한 결과 1식당 소요시간은 7.1분, 환산인원당 식수는 62식, 근무시간당 식수는 9.8식을 나타냈다. 1식당 소요시간과 DEA 효율성을 비교한 결과 유사그룹으로 분류되는 정확도가 29.6%에 불과하여, 점포 관리자들의 다양한 분야에서의 운영개선 노력이 모두 반영되지 않을 수 있음을 시사했다. DEA 효율성 점수와 운영변수들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BCC 점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운영변수는 급식단가(r=0.337), 계약기간(r=0.248), 정직원 비율(r= -0.194), 월식수(r=0.150), 재고율(r=-0.203), 이벤트횟수(r=0.143), 전처리야채 사용률(r=0.131), 효율화식재 사용률(r=0.137), 잔반률(r=-0.130), 로스율(r=-0.128)로 나타났다. BCC 점수와 운영변수들의 영향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BCC 점수를 log로 치환하여 단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급식단가, 월식수, 계약기간이 정의 영향을 나타내었으며, 정직원 비율, 잔반율, 메뉴수는 부의 영향력을 보였다(R2=0.197). 규모에 따라 4분위로 나누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소형 점포의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월식수와 파출비율, CK상품 사용률이었다(R2=0.291). 중소형 그룹에 대한 회귀식의 설명력은 39.9%였으며 유효한 변수는 정직원 비율이었다. 중대형 그룹에서는 정직원 비율, 급식단가, 계약기간이 효율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쳤다(R2=0.352). 대형 점포의 효율성에는 급식단가, 월식수는 정의 영향을 미쳤고, 재고율, 잔식율은 부의 영향을 미쳤다(R2=0.499). BCC 점수와 수익률을 기준으로 고효율-고수익(HEHP), 저효율-고수익(LEHP), 고효율-저수익(HELP), 저효율-저수익(LELP)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HEHP 그룹은 114개(43.8%)로 고단가 관리비제 점포가 많았고, 한 끼만 운영하는 소규모 점포들도 포함되어 있었다. HELP 점포는 15개(5.8%)로 저단가 소규모 공장 점포들이 많았고, LEHP 그룹은 35개(13.5%)로 중단가 및 중간 규모의 공장 점포들이 많았다. LELP 그룹의 점포는 96개(36.9%)로, 저단가 점포의 비중이 높았으며 식수는 골고루 분포하고 있었다. HELP 그룹은 매출은 크나 재료비율이 높아서 수익률이 낮았고, LEHP 그룹은 매출은 작아도 투입변수들의 사용률이 낮아서 수익률이 높았다. 급식단가는 HEHP 그룹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재료비단가는 비슷하였다. 계약기간에서도 HEHP 그룹이 가장 길어 점포 안정화에 따라 효율과 수익이 증가한다고 할 수 있다. 생산시스템에서는 효율화식재 사용률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 메뉴요인에서는 식수, 재고율, 이벤트횟수, 잔반률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BCC 점수와 만족도를 기준으로 고효율-고만족(HEHS), 고효율-저만족(HELS), 저효율-고만족(LEHS), 저효율-저만족(LELS) 그룹으로 분류하여 운영 특성을 살펴보았다. HPHS 그룹은 73개(28.1%)로 고단가 공장 점포가 많았고 관리비제 점포의 58%가 속해 있었다. HELS 점포는 56개(21.5%)로 점포 환경 특성에 대한 차이가 없어, 점포 환경보다는 운영 스킬에 의해 좌우된다고 할 수 있다. LEHS 그룹은 62개(23.8%)로 중ㆍ저단가 점포들이 많았고 오피스와 공장에 골고루 분포했다. LELS 그룹의 점포는 69개로 26.5%를 차지하며 저단가 점포의 비중이 높았고 운영코너가 많은 공장의 특성을 띠고 있었다. DEA 효율-만족 매트릭스의 그룹들은 손익관련 지표 중 매출, EBITDA, 이익률에서, 계약요인에서는 급식단가, 재료비단가, 계약기간 모두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생산시스템에는 전처리야채와 효율화식재 사용률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고, 메뉴요인에서는 메뉴수, 식수, 잔반률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학문적 중요성은 기존 효율성 분석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분석기법을 도입하여 푸드서비스 점포의 효율성을 산출하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했다는 것이다. 산출변수로 사용된 매출, 수익, 고객만족도는 기업의 경영목표로, 동시에 고려해야하는 방법론의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다수의 점포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푸드서비스 산업의 효율성을 측정하는 새로운 기준으로 적용할 수 있다. 푸드서비스 점포들은 계약에 따라 운영 환경이 다양하고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의 수가 많아서 측정 방법의 제약으로 효율성 측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DEA는 다수의 변수들을 동시에 반영하여 변수들의 간의 가중치를 수학적으로 계산해주며, 유사구조의 점포를 기준으로 비효율적인 정도를 측정하여 개선목표를 제안해 주는 특징이 있어 기존 효율성 측정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실증 연구 결과로 도출된 전략적 제안점은 신규점 개발 및 운영의 각 가치사슬 단계에 의사결정을 내릴 경우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단기 실행 전략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는 실무적 시사점이 있다.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 제안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개발단계에서는 규모보다 급식단가를 비중있게 다뤄야 하며, 고효율 점포가 되기 위해서는 단가 3,750원 이상, 재료비 1,900원 이상, 식수 8,400식 이상의 조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둘째, 수익률과 만족도가 상충되는 경우 우선가치는 만족도가 된다. 셋째, 효율적인 점포 운영을 위해서는 시스템 표준화나 전처리, CK상품 등을 적극 활용하여 내부적인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 및 인력을 최소화하고, 고객 응대에 필요한 최소의 인력으로 운영하면서 접점에서의 고객관리 시간을 늘리는 정책이 필요하다. 넷째, 계약기간이 길어질수록 종합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신규점 개발뿐 아니라 기존점에 대한 재계약 유지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특정기업의 자료를 대상으로 한 일반화의 문제점과, 정성적 변수의 반영 비중이 낮아 추가 개발이 필요하다는 점이 있다. 더불어, 운영 프로세스에 대한 지표도 선행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지지 않아 푸드서비스 기업의 고객만족도 및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정성적 요인, 운영 프로세스의 지표화 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및 검증이 필요하다. 향후 연구 과제로는 변수별로 비효율성 정도를 측정해주는 slack base 모형이나 효율성의 시계열 추이를 분석해주는 Malmquist 생산성지표 분석 등을 도입하여 비효율성에 대한 세부적인 분석을 진행하거나, 타 푸드서비스 업종에 대한 확대 연구, 급식 점포들의 유형이나 규모에 따른 세분화된 연구들이 진행되어 푸드서비스 산업의 효율성을 측정하고 개선하는 방법을 제안하는 다양한 연구들을 진행할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The research was aimed to measure the efficiency of multi stores in foodservice company using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which is a new management science technique, to search relevant variables which had an affect on the DEA efficiency and to suggest operation methods to improve efficienc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342 contract foodservice operations, which were operated in the similar form on October 2008. In order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DEA models, 312 samples were used and to search the variables which had an affect on the DEA efficiency, 260 samples were used respectively. Sales, EBITDA, CSI(customer satisfaction index) were used as output variables and food cost, labor cost, management expense were used as input variables to calculate the DEA efficiency. Operation process variables of the unit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The menu factor included number of menu items, forecasting accuracy, order accuracy, the ratio of food waste and inventory turnover. The human factor included number of employees, working hours, the ratio of full time employees and the ratio of daily employees, which were related to labor productivity and skillful degree. The contract factor included number of meals, number of service counters, methods of serving, meal counts per month, types of business, types of contract and the meal price etc. which related in the operating environment. The productive system reflected the use of preprocessed vegetable and the use of CK(Central kitchen) products. The DEA efficiency was calculated with two methods, One was input-oriented model which used sale, EBITDA, customer satisfaction index as output variables, the other used only sale and CSI as output variables. As a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CR and BCC score. According to analysis of the traditional labor productivity indices, labor minutes per meal were 7.1 minutes, meals per employee were 62 meals and meals per labor minutes were 9.8 meals. The classification accuracy between labor productivity index and the DEA efficiency score was only 29.6%. It implied that new performance measurement index should be introduced to reflect the improvement effort of unit managers.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BCC score and operation variables such as meal price(r=0.337), contract period(r=0.248), the ratio of full-time employee(r=-0.194), meal counts per month(r=0.150), inventory turnover(r=-0.203), frequency of event performances(r=0.143), use of preprocessed vegetables(r=0.131), use of convenient products(r=0.137), the rate of leftover(r=-0.130) and the rate of food loss(r=-0.128).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BCC score and the contract period, use of preprocessed vegetables, frequency of event performances and there were negative ones between BCC score and the ratio of full-time employees, inventory turnover, the rate of food loss. In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meal price, contract period, meal counts per month had an positive effect on the BCC log score, yet number of menu items, the ratio of full-time employees, inventory turnover had an negative one(R2=0.197). In small-sized unit, meal counts per month, the ratio of daily employees and the use of CK products influenced the efficiency (R2=0.291). In small-medium sized unit, R2 equals 46.5% and the ratio of full-time employees were significantly influential. In medium-large sized unit, ratio of full-time employees, meal price, contract periods had an effect on the DEA efficiency(R2=0.352). In large sized unit, meal price and meal counts per month had positive effect on the efficiency, yet inventory turnover and the rate of food loss had negative one(R2=0.499). According to the BCC score and profitability, units were classified into 4 groups like High efficiency-high profitability(HEHP), High efficiency-low profitability(HELP), Low efficiency-high profitability(LEHP) and Low efficiency-low profitability(LELP). HEHP group contained 114(43.8%) units which mostly contracted management fee type and had high meal price. They had many small units which managed only 1 meal. HELP group had 15 units which were operated at low price. They were mostly factories and served self-service foods. LEHP group with 35(13.5%) units, were mainly factory stores with intermediate meal price and medium scale. 96 LELP group's meal price were low. They opened throughout the year and managed over 2 lines. In spite of scale, profitability was low because of high food cost in HELP group. In contrast, profitability in HELP group was very high due to the low ratio of input variables. Meal price was significantly high in HELP group, yet there was no difference in food cost per meal. It means that food cost ratio was different between groups. When the contract period extends, efficiency and profit increased because stores became stable. As more convenient products were used, efficiency increased more in production system. Among menu factors, meal counts, inventory turnover, number of events, and the rate of leftover significantly differed. According to the BCC score and CSI, units were classified into 4 groups like High efficiency-high satisfaction(HEHS), High efficiency-low satisfaction(HELS), Low efficiency-high satisfaction(LEHS) and Low efficiency-low satisfaction(LELS). HEHS group contained 73(28.1%) units which were mostly factories with high meal price. In management fee contract type units, 58% units belong to HEHS group. They opened throughout the year and managed 3 meals per day. HELS group had 56 units which had no special characters. It assumed that satisfaction was influenced by management skill than the environment. LEHS group with 62(23.8%) units, had B&I stores with intermediate meal price. At 69 LELS stores, meal prices were low. They were mostly factories and managed many meals per day. In DEA efficiency-satisfaction matrix, sale, EBITDA, profitabilit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or contract factors, meal price, food cost per person, contract periods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In production system, use of preprocessed vegetables and use of convenient products had different results among groups. The number of menu items, meal counts, and rate of leftover made a difference in menu factor. The DEA can apply many variables simultaneously, compute the weight mathematically, measure the inefficiency compared with similar units and establish improvement goal. It's very difficult to measure the efficiency in foodservice industry because the operation environment varies due to contract and there are so many variables affecting the efficiency. The good point of DEA can make up for the difficulty of the efficiency measurement problem in foodservice industry. Thus the DEA could be a new method to measure the performance of unit managers. This paper analyzed the causes in details which were related to efficiency according to the profitability, satisfaction, operation environments and scale. The scholastic importance of the research is that it introduces a new analysis method which is able to overcome the limit of existing methods and makes a new model to measure the efficiency of foodservice units. It is an empirical research which considers the various conditions of units, so it could maximize the improvement results. Also this paper could be applied as a practice guide to help with decision-making in each value chain phase and be used as a short term strategy. To improve the efficiency, I would like to suggest some strategies. First, it's the meal price which primarily controls the operation efficiency and not meal counts. To satisfy the profitability and satisfaction simultaneously, it should satisfy a few conditions. The meal price should be over \2,750, the food cost should be over \1,900 and meal counts per month should be over 8,400meals. Secondly, satisfaction should be a priority when there is a conflict between satisfaction and profitability. Thirdly, service quality could be deteriorated by reducing full-time employees too much. To increase the efficiency, however, you should decrease the ratio of full-time employees. To solve this problem, increase the use of convenient foods and make a standard system to reduce management time. Instead increase time to meet customers. Fourthly, not only is it important to make new deals but it is extremely important to maintain and renew existing contracts since contract period has positive effect on efficiency, satisfaction, and profitability. This paper has a few limited points. Specific companies were researched, so it's difficult to apply to all foodservice companies. Another limited point is quality variables. Owing to measurement problem, quality variables and management indices were not reflected a lot. Customer satisfaction index, quality variables which affect the efficiency and operation indexes should be developed and examined continuously. Finally for future research, I would like to do detailed analysis on inefficiency by introducing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which can analyze time-series efficiency and slack based model that can measure the degree of inefficiency by variables or extend research in other industries or subdivideunits depending on scale and type to search for proper methods on efficiency measurement and improvement.

      • 미적 인식 발달단계에 따른 감상교육 워크시트 개발 연구 : 가드너 발달단계를 중심으로

        박주연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는 다양한 시각정보가 범람한다. 이런 복잡한 삶 속에서 올바르게 인식하고 삶의 기준과 방향을 잘 판단하기 위해서는 여러 다른 각도의 접근이 필요하다. 그리하여 알게 된 가치에 대해 새로운 의미 부여를 하기 위해 미적 인식 능력도 요구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우리 미술교육의 현실은 입시 위주의 교과로 인하여 소외 시 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실기교육에만 치중되어 감상교육이 충분하지 않다. 또한 교사들은 학생들의 미적 인식 발달단계를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교과서 위주의 형식적인 관점에만 집중하고 있어 다양한 미술 작품 감상이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반영하여 감상교육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가드너의 발달단계를 중심으로 감상교육을 제안한다. 이에 따라 미적 인식 발달단계에서 가드너의 관점이 파슨스와 루켄스에 비해 갖는 중요성에 대해 알아본 다음 중학생 발달단계에 알맞은 감상 지도안을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미적 인식 발달을 위한 지도 방안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감상교육의 도구로써 워크시트를 개발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연구하였다. 본격적으로 수업에 들어가기 전 학생들에게 미술 감상 워크시트를 배부하고, 스스로 작품에 대한 첫 인상이나 느낌을 구체적으로 살려 워크시트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지도안은 총 3차시로 구성되며 수업을 통하여 팝 아트의 소재에 따른 다양한 작품들을 감상하고 개념과 특징들을 이해하며 일상생활에서도 다양한 소재와 주제를 발견할 수 있게 하였다. 수업 후 미술 감상 워크시트와 표현 워크시트도 작성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수업의 효과는 감상 워크시트 전과 후를 비교· 분석하여 도출해 낼 수 있었고,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긍정적 가능성을 보았다. 수업 전 학생들은 자신의 주관적인 생각에 멈췄지만, 수업 후에는 기본적인 개념과 맥락을 바탕으로 작가의 의도와 작품의 특징을 연결 지어 생각할 수 있게 되었다. 학생별로 수업 전과 후의 워크시트를 비교·분석한 결과 미적 인식 능력이 발달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표현 수업과도 연계되어 자신만의 개성 있는 팝아트를 나타낼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학생들의 미적 인식 발달단계를 고려한 미술 감상교육은 감상능력 발달과 나아가 주체적인 사고와 함께 다양한 현대 사회와 문화, 미술을 이해하는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기 때문에 정말로 중요하며, 따라서 미술 교사는 각자가 많은 노력으로 주입식 교육이 아닌 학생들의 발달단계에 따른 강의 준비를 하여야 한다. 끝으로 감상활동을 통해 체득된 미적 인식 발달이 스스로의 삶을 더욱더 풍요롭게 가꾸어 나갈 수 있도록 다양한 미술 감상 수업의 개발과 적용을 위한 연구가 계속되기를 기대하며 논문을 마친다. Understanding ability of aesthetic is required for proper cognition and judgement in the 21st century with too much visual information. But the reality of Korean art education is not only treated for minor teaching with school education for entrance exam but also its appreciation education is not enough only stressing practical education. Also, appreciation of various art is difficult because Korean teachers focus on formal curriculum with text oriented without consideration of students' understanding development process. This study aim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appreciation education and to suggest it with the focus on Gardner`s Development Stages reflected the reality of Korean's art education. The study first provides an overview of significance of Gardner's theory compared to ones of Parsons and Lukens in aesthetic understanding development process and then suggests a instruction for aesthetic understanding development applying appreciation guideline to curriculum according to middle school students' developmental stage. Afterwards, The worksheet was developed as appreciation education tool to classes and it was applied in actual class to study how this experimental works. Curriculum was composed of three periods. Worksheet for appreciation education is distributed before the classes and students are instructed to fill out the worksheet based on their first expression and feeling for art. Theses classes helped students to enjoy various artworks appreciation activities with content of pop art, to understand their concepts and features and to recognize different content and theme in everyday life. The students were instructed to fill in the worksheet for appreciation education and expression after the class. The effect of the class suggested in this study is derived by analysis of the before and after of the appreciation worksheet. Also, the positive possibility is revealed by applying the worksheet in the actual class. Even though students were not able to appreciate the arts beyond their subjective thought before the class, they could think connecting the intention of artist to features of their artworks based on basic concept after the class. Based on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each student's worksheet before and after class, it shows their understanding ability of aesthetic becomes developed. Also, it reveals that students could articulate their own distinctive pop art connected to expression class.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concludes that appreciation education needs teachers' much efforts and preparations in consideration of students' aesthetic understanding development stages. In conclusion, it is expected that the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various education program continues to enhance students' understanding of not only comtemporary society, culture, and art but also intellectual development and aesthetic understanding and to help improving expression ability as well.

      •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이용한 공정관광 의사결정과정 연구

        박주연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 세계 관광객 수의 지속적인 증가와 함께 국제 교역 중 관광교역의 비중이 매우 커졌고, 많은 개발도상국들은 관광을 가장 주요한 교역원으로 꼽는다. 하지만 개발도상국들의 관광수입 중 상당부분이 관련 글로벌기업 등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반면, 지역사회와 그 주민들은 관광으로 인한 경제, 환경, 사회문화적 부작용을 직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된다. 윤리적 거래와 인권, 기업의 사회·환경적인 책임 등이 세계적으로 중요한 이슈가 되면서 공정한 교역을 통한 제 3세계 빈곤 퇴치 등을 목표로 하는 공정무역 운동이 나타던 것과 같이 관광 거래의 불공정성에 대한 비판과 함께 관광행동으로 발생되는 문제를 바로잡고자 80년대 영국에서 공정관광이 시작되었고, 2007년 국내에 처음 알려지게 되었다. 이렇게 어느새 처음 공정관광의 개념이 시작된 후 약 30년, 국내에 소개된 지 약 10년의 시간이 지났다. 지금은 국내에도 공정관광 전문 중소여행사가 다수 운영 중이며, 최근에는 일부 기업들이 공정관광을 사회공헌이나 마케팅에 활용하는 사례도 생겨났으나 여전히 우리에게는 공정관광이라는 용어가 친숙하지 않은 것은 물론 학술적으로도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 지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정관광 참여에 대한 의사결정 과정을 좀 더 명확히 알기 위하여 오랜 시간 동안 다양한 주제를 바탕으로 연구되어 온 계획행동이론에 공정관광 인식, 윤리적 의무감, 자아인지를 추가요인으로 포함시켜 연구모형을 설정했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을 통해 지역 존중 인식, 지역 경제 활성화 인식, 고유한 관광경험 인식 등 세 개의 공정관광 인식 요인을 알 수 있었고, 기존 계획행동이론의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 통제 요인과 함께 추가 요인으로 선정한 윤리적 의무감, 자아인지 요인 모두가 기준치를 상회하며 타당성과 신뢰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했다. 둘째,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세 개의 공정관광 인식 요인과 공정관광 태도, 주관적 규범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세 개 요인 모두가 태도와 주관적 규범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계획행동이론에서 제시된 태도와 주관적 규범, 및 지각된 행동 통제의 세 개 요인과 참여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지각된 행동 통제, 주관적 규범, 태도의 순으로 세 개 요인 모두가 공정관광 참여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계획행동이론에 윤리적 의무감과 자아인지 요인을 추가하여 다섯 개의 요인과 참여의도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지각된 행동 통제, 주관적 규범, 윤리적 의무감, 태도, 자아인지 순으로 다섯 개 요인 모두가 공정관광 참여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실증분석 결과를 통해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이 공정관광 의사결정과정을 이해하는 데 적합함을 알 수 있었고, 이를 바탕으로 도출된 주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정관광 참여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지각된 행동통제였는데, 이는 공정관광이 봉사활동처럼 특별히 더 많은 시간과 비용을 할애해야 하는 활동으로 인식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주관적 규범이나 태도와 같이 개인적 판단 요인이 더 큰 영향을 미쳤던 기존의 관광행동과 차이를 가지기 때문에 공정관광 또한 일상적으로 즐길 수 있는 자연스러운 형태의 관광활동이라는 점을 강조해야 할 것이다. 둘째, 공정관광 인식이 공정관광 태도와 주관적 규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만큼 관광지역과 지역민의 피해를 줄이는 노력을 의미하는 지역 존중 인식과 이익 향상을 위한 지역경제 활성화 인식, 관광 행위자가 얻을 수 있는 긍정적 효과인 고유한 관광 경험 인식 모두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공정관광에 대한 인식, 참여의도 등 전반적인 요인들 간의 관계가 유의하게 나타난 만큼 기업 차원에서 진행되는 사회공헌 활동을 낙후지역의 관광 인프라 구축 및 서비스 교육 등의 측면으로 확대하거나 공정관광이 긍정적인 방향에서 활발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사회 각층에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As the number of International tourist arrivals continuously increases, tourism becomes one of important sources of exports in many developing countries. However, tourism revenue of most of developing countries is being externally leaked as globalized companies are interconnected while local communities suffer from the direct and indirect economic, environmental, and sociocultural consequences due to tourism activities. As ethical trade, civil rights, and social and environmental responsibilities of companies become international issues, Fair Trading movement which emphasized antipoverty in the third world emerged in the 1980’s to eradicate and to rectify the unjust acts as well as any problems caused by tourism activities. England initiated Fair Tourism in the 1980’s and it was introduced in Korea in 2007. It has been 30 years since the idea of Fair Tourism was introduced to the public and over a decade in Korea. There are a number of small Fair Tourism agencies, and some large companies have recently adopted the idea in their marketing or in social contribution. However, this concept is not still familiar and less attention was given in academic society. Thus, to better understand decision-making process of tourists in Fair Tourism, Theory of Planned Behavior which has been investigated over a period of time in various perspectives is applied in this study. Also, Perception of Fair Tourism, Ethical Obligation and Self-Identity factors are included in the research model..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delineated three perceptions: Perception of regional respect, Perception of revitalization of regional economy, and Perception of unique tour experience. Also,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in Theory of Planned Behavior as well as Ethical Obligation and Self-Identity factors were found to be reliable and valid by exceeding cut-off. Second,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reveal that three factors of Perceptions had an effect on Attitude to Fair Tourism and Subjective Norm . Third,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reveal that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in Theory of Planned Behavior positively influenced Participation Intention. Finally,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indicate that Ethical Obligation and Self-Identity had a positive effect on Participation Inten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e that the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was a useful model of understanding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tourists who could participate in Fair Tourism. Major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biggest impact on fair tourism participant intention was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That is, Fair Tourism can be perceived as voluntary service that demands extra time and cost although tour activities are rather influenced by individual’s judgment such as Subjective Norm and Attitude. Therefore, it is imperative to advertise Fair Tourism as a natural form of tourism which anyone can enjoy in everyday life. Second, as Perception of Fair Tourism influences Fair Tourism Attitude and Subjective Norm, it is necessary to increase public awareness in all three Perceptions of Fair Tourism: Perception of regional respect that emphasizes on minimizing the negative impacts on local communities and their residents, Perception of revitalization of regional economy that emphasizes on maximizing the positive impact on local communities and their residents, and Perception of unique tour experience that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tourist. Finally, overall indicators such as Participant Intention and Fair Tourism Perceptions were significant. Therefore, the society as a whole must make an effort to establish Fair Tourism and encourage corporate philanthropic activities in underdeveloped areas to construct infrastructure and to carry out service training at the corporate level so that the positive impacts on underdeveloped areas could be generated from Fair Tourism.

      • 통합구조로 본 관형격 조사 '의'의 생략 현상에 대한 연구

        박주연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관형격 명사구의 내부 구조를 살펴 그 구성성분 간에 나타나는 통사구조와 의미구조를 살펴보고, 그 명사구의 구조가 관형격 조사 ‘의’의 실현 여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주목하였다. 특히. 선행명사와 후행명사의 통사적 관계에 주목하여 조금 더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관형격 조사 ‘의’의 통사구조상 잉여성 조건을 살펴보기 위해, 명사구의 기저구조를 분석하고, ‘의’의 기원을 격조사에서 찾아, 격배당에 나타난 서술어와의 통합성에 주목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통합성이란 서술어를 중심으로 선행하는 각 성분 간의 문법적 관계를 예상할 수 있는 ‘예상성의 정도’로 풀이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총 4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1장은 서론으로, 연구 목적을 설명하고 선행 연구를 검토 한다. 다음으로 연구의 대상이 되는 관형격조사 ‘의’에 대해 설명하고, 관형격 명사구를 분석하는 방법에 대해 간략히 다룬다. 2장에서는 격조사 생략 현상과 관련하여 주격, 목적격, 보격, 부사격을 중심으로 문장성분 간 통합성 정도에 대해 자세히 살펴본다. 3장에서는 앞에서 다룬 이론을 토대로 관형격 명사구를 분석한다. 먼저 서술어적 관형격 명사구, 비서술어적 관형격 명사구로 나누고, 비서술어적 관형격 명사구 하위에 주어적 관형격 명사구, 목적어적 관형격 명사구, 부사어적 관형격 명사구로 분석하여, 관형격 조사 ‘의’의 생략현상에 대해 자세히 살펴본다. 4장은 결론으로, 이 연구를 정리하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하여 다룬다.

      • 중년 여성의 탈모관련 요인 분석

        박주연 동덕여자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건강보험통계에 의하면 탈모환자는 최근 7년(2000∼2008) 사이 60% 증가하였으며, 그 중 50대 여성 환자가 연평균 16.5%로 두드러진 증가세를 보였다. 그러나 중년여성의 탈모 원인에 대한 연구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일부 여성들의 탈모양상과 탈모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분석을 통해 여성탈모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횡단적 연구설계와 실험연구를 병행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40∼50대 여성으로 모발관리를 위해 미용실을 방문한 자 중에서 본 연구에 동의하고 자발적으로 참여하고자하는 여성으로 하였고, 2012년 8월 1일부터 8월 26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총 450부를 설문하였으나 부실한 응답자를 제외한 405부만을 분석에 사용되었다. 모발의 분석은 2012년 8월 27일부터 31일까지 응답자 중 자발적으로 모발을 제공한 탈모자 35명과 비탈모자 36명의 모발을 분석하였다. 모발의 분석은 Universal Testing Machine Model: TO 101을 사용하여 인장강도, 연신율을 측정하고 Round test RA-1600을 이용하여 두께를 측정하였다. 모든 자료는 SPSS Win v19.0K를 이용하여 5% 유의수준에서 분석하였으며,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고, 변수간 상관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χ2-test, 모발상태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t-test를 하였으며, 탈모관련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을 하였다. 가. 설문분석 1) 일반적 특성으로 연령, 학력, 혼인상태, 직업, 소득 및 거주지는 탈모자 와 비탈모자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2) 생활습관요인 중 흡연만이 탈모와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났다(χ2=10.882, p=.004). 모자착용, 음주, 다이어트, 운동, 식습관, 인스턴트식품, 운동은 탈모와 상관이 없었다. 3) 갑상선질환(χ2=11.518, p=.001), 당뇨질환(χ2=15.498, p=.000), 혈압(χ2= 7.160, p=.028), 피부질환(χ2=11.435, p=.003), 피임약이나 호르몬치료(χ2= 7.532, p=.023)는 탈모와의 상관이 유의하게 나타났고, 폐경, 출산아수, 사산 및 인공유산, 난소나 자궁적출은 탈모와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모발관리와 탈모와의 관계는 샴푸횟수(χ2=11.075, p=.011), 헤어제품사용(χ2=4.007, p=.045)이 유의하게 나타났고, 퍼머, 염색, 드라이는 상관이 없었다. 5) 두피의 특성 및 유전적 요인과 탈모와의 관계는 유전적 요인과는 유의하게 나타났으나(χ2=48.390, p=.000), 두피의 특성과는 유의하지 하게 나타났다. 6) 스트레스와 탈모와의 관계에서 탈모자일수록 스트레스 점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t=5.672, p=.000). 나. 실험분석 탈모자와 비탈모자의 모발 인장강도, 연신율 및 두께를 비교한 결과 모발의 두께는 비탈모자가 탈모자에 비해 유의하게 두꺼웠고(t=6.247, p=.000), 인장강도는 탈모자가 유의하게 높았으며(t=-2.173, p=.034), 연신율은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다. 탈모와의 관련 요인분석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의 최종모형에서 탈모를 촉진하는 요인은 갑상선질환 OR=2.361(95% CI=1.234, 4.517), 당뇨질환 OR=3.389(95% CI=1.274, 9.013), 저혈압 OR=2.134(95% CI=1.051, 4.333), 가족력 OR=4.817(95% CI=2.943, 7.884) 및 스트레스 OR=3.023(95% CI=1.713, 5.335)로 나타났고, 한편 탈모를 예방하는 요인으로 샴푸횟수 OR=.438(95% CI=.257, .746)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40·50대 중년여성의 탈모 은 32.4%였으며, 비탈모자의 모발은 탈모자에 비해 모발이 굵고 인장강도가 약했다. 탈모요인으로는 스트레스, 가족력, 갑상선질환, 당뇨질환 및 저혈압이 유의하게 탈모를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샴푸를 자주할 경우 탈모가 예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제한점으로 이러한 결과는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일부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일반화하기 어려우며, 탈모요인과 탈모와의 명확한 인과관계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전향적 연구설계로 전국을 대상으로 하는 표본연구가 필요하다. According to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stics, number of women with alopecia in their 50s have been increasing steadily since 2000, but there were few studies on the cause of alopecia of wom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status and factors affecting to alopecia of women in the middle age. Cross-sectional study design was done in which women(n=405) in 40s and 50s in Seoul and Kyeonggi province who visit beauty salon were enrolled.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6th 2012 to August 31th 2012 by questionnaire survey. Tensility, elongation, and thickness of hair were measured using Universal Testing Machines(TO 101) and Round test RA-1600. Prevalence of alopecia was 32.4% and significant factors accelerating alopecia of women and ORs(95% CI) of those factors were 2.361(1.236~4.517) for thyroid disease, 3.339(1.274~9.013) for diabetes, 2.134(1.051~4.333) for diastolic blood pressure, 4.817(2.943~7.889) for family history, and 3.023(1.713~5.335) for stress. But OR of shampoo was .438(.257~.746). Hair from women with alopecia were thinner(t=6.247, p<.05) but had more tensility(t=2.173, p<.05) than that from women without alopecia. In conclusion, one third of women were suffering from alopecia and accelerating factors were thyroid disease, diabetes, family history and stress, but shampoo was a preventive factor. keywords: alopecia, women, factors, tensility, thickness

      • 에드가 바레즈의《사막》(Déserts) 분석연구 : 전자음향을 중심으로

        박주연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프랑스에서 태어나 미국에서 주로 활동한 작곡가 에드가 바레즈(Edgard Varèse, 1883-1965)는 전자음악 장르의 개척자들 중 한 명이다. 그는 구체음악 이 등장하기 수십 년 전부터 기존의 악기가 아닌 새로운 매체 혹은 악기의 등장 을 바라고 기존에 없던 새로운 소리를 찾아 평생을 탐구한 작곡가이다. 바레즈 는 음계, 화성, 리듬 등에서 제약 없이 자유로운 소리를 원하며 기계기술의 발 전에 큰 기대를 걸었다. 녹음기의 등장과 함께 본격적으로 기계를 이용한 음악 들이 나타난 이후, 그는 공식적인 첫 번째 전자음악작품인 《사막》(Déserts, 1954)을 발표한다. 이 작품은 그가 평생을 걸쳐 추구해왔던 새로운 소리의 가능 성을 보여주는 첫 발걸음이다. 본 논문에서는 앙테르폴라시옹(Interpolation)이라 불리는 《사막》의 3개의 전자음악섹션을 그래픽 악보로 제작하고 분석하여 그의 음악세계를 고찰하였다. 또한, 이 작품은 1954년에 완성된 이후 전자음악섹션이 여러 번 수정되어 1961 년에 최종 개작되었는데, 1954년도 버전의 음원과 1961년도 버전으로 추정되는 음원을 비교하여 수정된 사항들을 비교분석하였다. 《사막》의 전자음악섹션들을 살펴보면, 첫 번째 버전의 음원에서는 녹음된 악기소리가 많이 변형되지 않았고, 2채널 스피커 간의 패닝(panning) 또한 소노 그램 분석 이미지 상에서 크게 드러나지 않을 정도로 아주 약하게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후 수정된 버전의 음원에서는 비슷한 사운드 구성을 가진 구간에서 전 자음들이 기존의 악기소리를 대체하였고, 녹음된 악기소리를 사용하였다 하더라 도 전기·전자적 변형 처리를 하여 사용하였다. 패닝 또한 소노그램 분석 이미 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바레즈가 이를 통해 공간성을 강화하였음을 알 수 있다. Edgard Varèse (1883-1965), a composer born in France and mainly active in the United States, is one of the pioneers of the electronic music genre. Decades before the advent of musique concrète, he was a composer who sought a new sound that did not yet exist, hoping for the development and use of new media and instruments and instruments instead of existing ones. Varèse wanted to use sounds freely without restrictions on scales, harmonies, rhythms, etc., and placed great expectations on the development of mechanical technology. After mechanical music appeared in earnest with the advent of the tape recorder, he released his first official electronic work, Déserts (1954). This work is the first step in showcasing the possibilities of new sounds that he has pursued throughout his life. In this paper, I analyzed three electronic music sections of Déserts which Varèse called Interpolations, taking into consideration his musical sound world, and then say I created a graphic score at the end of the sentence. Also, since this work was completed in 1954 when tape recording technology was still in its infancy, the electronic music section was revised several times and finally remodeled in 1961. When listening to the electronic music Interpolations that Varèse composed for Déserts, and viewing the sound as a sonogram, the most striking differences are that the sound sources in the first version are only minimally processed, and that the stereo panning is so weak that.in the later revised and modified version of the interpolations, the instrumental sounds in each section are often substituted with electronic sounds, and even if the recorded instrument sound is retained, it haas been heavily transformed through electronic transformation. Panning can also be confirmed in the sonogram analysis, and it shows that Varèse use the spatialization throughout the revised version. Therefore I was able to compare the sounds of the original 1954 version with the final 1961 revision, and base my analysis on the chang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