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SVM 기법을 이용한 색상 인식 알고리즘

        박선미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We present a vehicle color classification method from outdoor vehicle images. Although the vehicle color recognition is important especially for the newest applications including ITS(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we have no significant previous result at least to our knowledge. In this paper, first, we classify all the pixels of a vehicle image into seven vehicle color classes using Bayesian Maximum Likelihood method. Then, we construct the low dimensional feature vector, by using the histograms for the classes. As a final step, we use the SVM(support vector machine) method to classify these feature vectors into seven vehicle color classes: black, blue, green, red, silver, white and yellow. Our implementation result shows 92.74% of success rate for 700 outdoor vehicle images. And the classification speed was 36 times faster compared to the case of constructing the feature vectors in a brute-force way.

      • 지역축제 매력속성이 몰입, 만족 및 행복감과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원주 한지문화축제를 중심으로

        박선미 경희사이버대학교 호텔관광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지역축제 매력속성이 몰입, 만족 및 행복감과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원주 한지문화축제를 중심으로 - 박선미 관광레저항공MBA 경희사이버대학교 호텔관광대학원 본 연구는 원주 한지문화축제 방문객을 대상으로 지역축제 매력속성에 대한 몰입, 만족 및 행복감과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바 탕으로 지역축제 매력속성을 강화하고, 차별화하여 재방문의도를 높이기 위한 방 안 모색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지역축제 매력속성을 내용성, 재미성, 체험성, 교육성, 전통성 및 편의성 등 6개 하위요인으로 구성하였으며, 몰입, 만족 및 행복감과 재방문의도 등은 단 일차원으로 구성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원주 한지문화축제 방문객을 대상으로 2023년 5월 5일부터 5월 14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 방법은 축제 현장에서 대면을 통한 설문조사로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250부가 수집되었고 불성실한 설문지 7부를 제외하고, 243부의 유효표본을 확보하여 실증분석에 사 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지역축제 매력속성의 하위요인인 내용성, 편의성, 전통성, 교육성 및 체험성 등의 순으로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재미성은 통계적으로 유 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축제 매력속성의 하위요인인 전통성, 편 의성, 내용성 및 교육성 등 순으로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고, 재미성과 체험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몰입과 만족은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이 중 몰입이 만족에 비해 행복감에 영 향을 크게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행복감은 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지역축제의 성공적 개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학 술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지역축제의 매력속성을 내용성, 재미성, 체험 성, 교육성, 전통성, 및 편의성 등 6개의 하위요인으로 분석하고 이를 몰입과 만 족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연구하여 학술적인 의의가 있으며, 둘째, 선행 연구에 부족했던 축제방문객의 행복감에 대한 연구로, 지역축제 매력속성과 행복감 간의 연관성을 확인하였고, 특히, 행복감을 지역축제 경험의 주요 핵심으로 변수로 강 조하였다. 셋째, 지역축제의 매력이 클수록 축제방문객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을 확인하였고, 즉 지역축제 매력속성이 축제방문객의 행복을 높이는 중요한 역 할 변수로 분석되었다. 이는 본 연구의 대상인 원주지역의 '원주한지문화축제'를 사례로 분석하여 지역축제의 특징을 실증적인 검증을 토래도 분석하였다. 넷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양한 연령대와 방문객 유형을 고려하여 지역축제 프로그 램을 기획하고, 방문객이 축제를 풍부하게 경험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함을 규명 했다는 점에서 학술적인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의 실무적 시사점 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축제 주제와 연관된 프로그램과 이색적인 체험을 제 공하여 방문객의 몰입 경험을 극대화하고, 지역의 전통성을 강조한 차별화된 프 로그램을 기획하며, 방문객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한 시설과 편의 서비스 를 제공하여야 합니다. 둘째, 매력속성이 방문객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하 며, 재방문을 유도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마케팅 노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만족도 조사를 통해 지속적인 개선을 하고 지역축제의 변화에 대응하는 전략을 구상해야 합니다. 셋째, 방문객의 행복감이 재방문 의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 를 강조하며, 지역의 고유한 콘텐츠를 발굴하고, 행복감을 경험 할 수 있는 지역 축제 주제를 강조한 마케팅 전략이 필요합니다. 넷째, 지역축제 주체는 축제의 트렌드에 민감하게 대응하고, 지속적으로 지역축제를 향상시키는 노력을 기울여 야 합니다. 이러한 시사점들은 지역축제를 개선방안을 모색할 수 있도록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주제어 : 지역축제, 매력속성, 몰입, 만족, 행복감, 재방문의도

      • 산모의 성격유형 및 지각된 아기기질이 산후우울에 미치는 영향

        박선미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산모의 성격유형과 지각된 아기기질 및 산후우울과의 관계를 조사하고 산후우울 예측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6월 15일부터 7월 20일까지이며, 연구 대상자는 지역 문화센터를 방문한 산모 17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23.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사용하였다. 산모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산후우울 차이에서 연령(F=3.36, p=.037), 가족 월 평균소득(F=3.65, p=.014), 분만형태((F=9.76, p<.001), 출생순위(t=3.26, p=.001), 수유방법((F=7.47, p=.001), 아기 병원방문 횟수((F=14.52,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후우울 예측요인을 분석한 결과 아기기질에 대한 산모의 부정적 지각(β=-.52, p<.001), 산모의 내향형 성격유형(β=.33, p<.001), 자연분만(β=.12, p=.034) 순으로 나타났으며 54%의 설명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아기기질을 부정적으로 지각할수록, 내향형 성격유형, 자연분만인 경우 산후우울이 심해진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산후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산모의 내향형 성격과 아기기질을 고려한 산후우울 예방 간호중재 프로그램개발과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descriptive study intended to find predictors of postpartum depression focusing on mother's personality profile and perceived infant's temperament. Study subjects were 173 mothers who visited a metropolitan civic center during the period of June 15th to July 20th, 2016.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PCWIN (Version 23) program which included frequencies, t-test, ANOVA, Pe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Demographic and obstetric characteristics such as maternal age (F=3.36, p=.037), family income (F=3.65, p=.014), mode of delivery (F=9.76, p<.001), birth order of infant (t=3.26, p=.001), feeding type (F=7.47, p=.001), frequency of hospital visit of infant (F=14.52, p<.001)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aternal postpartum depression. Mother's introvert personality profil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to the postpartum depression. Perceived infant's temperament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to the postpartum depress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mother's negative perception of infant’s temperament (β=.52 p<.001), maternal introvert personality profile (β=.33, p<.001), and vaginal delivery (β=.12, p=.034) accounted for 54% of the postpartum depression. In conclusion, mothers who had a more introverted personality profile and perceived infant's temperament more negatively, seemed to suffer more from postpartum depression. Accordingly,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for the prevention of postpartum depression, incorporation of maternal introvert personality profile and infant temperament may be needed for postpartum mothers.

      • 현대 오피스 공간에 나타난 가구의 장소적 표현에 관한 연구

        박선미 嘉泉大學校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는 디지털 정보화 사회이며, 디지털 정보화에 의한 변화는 새로운 사회이념과 산물을 만들어 내었다. 그 이념과 산물은 오피스 공간에도 영향을 미쳐 사회를 변화시키고 있다. 오늘날의 오피스 공간은 정보화 사회의 변화와 특성, 사회 환경의 다양화에 따라 시간과 공간의 구속으로부터 자유로워 질 수 있는 사회적, 기술적 동기를 충분히 부여 받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오피스 공간에 새로운 장소적 특성들로 나타나고 있다. 현대의 업무공간은 단순 노동이라는 과거의 인식으로부터 벗어나 창의적, 지적 활동을 위해 인간이 가져야 되는 삶의 질의 본질적 요소들이 중요시 되고 있다. 이러한 창의적인 오피스 환경의 중요성이 인식되며 각각의 기업에 맞는 독창성이 풍부한 환경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업무형태에 따른 오피스 가구의 구성 방식과 유형을 통하여 업무 능률을 극대화 시키며, 디자인적 측면에서는 디자이너나 발주자에게 업무능률향상과 연계된 보다 객관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며, 사회적으로는 이러한 노력을 통한 사무환경개선이 궁극적으로는 사회경쟁력 향상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시대적 변화에 따른 현대 오피스 공간에 나타난 장소적 특성을 살펴보고, 창의적인 업무 공간에서 어떠한 양상으로 표현되는가를 분석,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진행하였다. 2 장에서는 오피스 공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개념 정리로써 오피스 공간에 대한 일반적 고찰과 사회적 변화의 배경으로써 디지털 기술 사회와 정보화 사회의 도래에 따른 오피스 공간의 변화와 시대적 요구를 선행 연구를 통해 알아보고, 건축의 장소성에 대한 고찰로써 인문 지리학적 개념으로서의 장소, 공간으로서의 장소, 예술적 시각에서의 장소, 장소적 환경지원성 개념의 4가지 관점으로 고찰하여 오피스 공간에서의 장소적 개념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본다. 3장에서는 먼저 공간에서 가구와 장소와의 관계를 규정하고, 오피스 가구의 개념과 오피스 환경 변화에 따른 오피스 가구의 발달 과정을 살펴 본 다음, 현대 오피스 공간을 Francis Duffy(1997)의 업무형태인 HIVE, CELL, DEN, CLUB으로 분류하여 오피스 가구의 공간구성 방법과 유형에 따른 장소적 표현을 도출한다. 4 장에서는 앞의 특성들을 분석의 틀로 하여 국내외 사례들로 연구, 분석하여 가구의 장소적 표현 특성을 종합하여 분석한다. 5 장에서는 앞의 연구와 사례분석을 토대로 한 분석 결과를 종합, 정리하여 현대 오피스 공간의 디자인에 나타난 가구의 장소적 특성에 대한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오피스 공간과 연계되어 공간디자인 과정에 적용하기 위한 자료로서의 가능성과 가치를 살펴보는 것으로 마무리 한다. 이상과 같은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업무 유형 분석의 결과는, 사무 환경이 창의적이고 진보적인 정보를 서로가 공유하고 교환함에 있어 상호 작용과 자율성의 정도가 상당히 높은 CLUB형태에 많이 치중되어 있는 것을 볼 수 가 있다. 이것은 집중 형 업무인 DEN이나 그룹 형 업무인 CELL의 형태보다 지식 교류 형 업무인 CLUB 형태의 공간 유형을 필요로 하는 업무 환경의 비중이 커졌다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CLUB형의 공간이 많이 나타난다는 것은 휴게 공간과 작업 공간의 구분이 점차 사라지는 21세기의 신개념의 오피스 환경을 잘 반영하고 있다. 업무 환경 특성에서는 정보화 사회의 도래로 인한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네트워킹과 무선 테크놀로지의 영향이 두드러지게 많이 나타 나고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히 이루어지며, 공간의 가변성을 확보 할 수 있도록 우선적으로 고려되었고, 더 적극적인 쾌적성의 추구와 아이덴티티의 표출을 볼 수 있고, 프라이버시는 약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업무 유형에서는 CLUB형태의 오피스가 가장 많은 공간에서 나타난 것을 볼 수 있으며, 현대 오피스의 실내디자인에서 나타난 오피스 가구의 장소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첫째 가구는 공간에서 일정한 장소를 점유함으로써 공간에 의미를 부여한다. 공간 구성요소에 계획적인 설계나 형태의 변형을 통해 가구의 기능을 추가하는 것이다. 주로 HIVE, DEN 형태의 업무유형의 가구에서 특성이 두드러지며 공간에서 일정한 장소를 점유함으로써 공간의 성격, 의미, 역할을 규정짓는다. 가구는 인체에 직접 접촉하거나 직접 접촉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다양한 행태에 따라 인체의 동선과 신체치수를 고려하여 제작되며, 공간의 보완적 설비로 공간의 기능을 확장시킴으로써 가구자체가 공간에 장소적 의미를 확장시킨다. 둘째 가구가 공간을 형성하여 통합된 의미로서 공간의 의미를 강화 시킨다. 가구자체를 공간화 시키는 방법으로 가구에 공간적 요소인 바닥, 벽, 천정을 부여하여 하나의 작은 공간을 만드는 것과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 할 수 있도록 각각의 가구가 모여 하나의 장소적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써, CELL, CLUB의 업무형태의 가구에서 특징이 나타나며 공간 구성에 있어서 사용목

      • 마음챙김에 근거한 인지행동집단치료가 저소득가정 청소년의 불안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박선미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마음챙김에 근거한 인지행동집단치료 프로그램이 저소득가정 청소년의 불안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광역시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에 소재한 중학교의 학생으로 현재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청소년 20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 10명과 통제집단 10명을 무선배정 하였으며 실험집단에는 실험처치를 가하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가하지 않았다. 프로그램은 주 2회, 60분씩, 총 10회로 실시되었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사전과 사후, 그리고 4주 후 추후검사로 불안과 자아탄력성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은 프로그램이 끝난 후 소감문을 작성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음챙김에 근거한 인지행동집단치료 프로그램에 참가한 학생은 참가 하지 않은 학생보다 불안 감소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마음챙김에 근거한 인지행동집단치료 프로그램에 참가한 학생은 참가 하지 않은 학생보다 자아탄력성의 향상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비추어 볼 때, 마음챙김에 근거한 인지행동집단치료 프로그램은 저소득가정 청소년의 불안과 자아탄력성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을 실시함으로써 저소득가정 청소년들이 자신의 몸과 마음, 자신이 지닌 문제, 주변과의 관계를 새롭게 보게 되어 불안이 감소되고, 자아탄력성의 향상으로 올바른 선택 가능성을 높여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바람직한 미래를 설계하는 데 일조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또한 가정의 기능이 약화되어 있는 저소득가정 청소년들에게는 심리적 지지나 지원을 제공하여 그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mindfulness-based cognitive-behavioral group therapy on anxiety and ego-resilience of the youth of low-income family. The following are the research problems. First, the levels of the anxiety of the students who attend mindfulness-based cognitive-behavioral group therapy program would b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who do not. Second, the levels of the ego-resilience of the students who attend mindfulness-based cognitive-behavioral group therapy program would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who do not. The sample consisted of a total 20 students who get services from community center for children in Education Welfare Investment Priority Area in Busan. After the randomly selected of these students, researcher divided into two parts such as 10 members for an experimental group and 10 members for a controll group. Researcher conducted them mindfulness-based cognitive-behavioral group therapy program with total 10 times, 60-minute per each period during 2 months. The questionnaire on resoures and anxiety, ego-resilience test scale was used as a measurement instrument. The following were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es. First, the levels of the anxiety of the students who attended mindfulness-based cognitive-behavioral group therapy program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Second, the levels of the ego-resilience of the students who attended mindfulness-based cognitive-behavioral group therapy program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herefore, the mindfulness-based cognitive-behavioral group therapy program were verified to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the youth of low-income family.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of forward study were described.

      • Candida peltata의 온전한 세포 또는 비정제 효소에 의한 xylose가 xylitol로의 전기화학적 환원에 대한 연구

        박선미 서경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Xylose를 xylitol로 환원하는 것을 증가시키기 위해 C. paltata의 온전한 세포와 비정제 효소를 전기화학적 생물반응기에 적용시켰다. Neutral red는 온전한 세포 반응기에서 전자전달 매개체로 사용하였고, graphite-Mn(Ⅳ) 전극은 효소 반응기에서 NAD+를 NADH로의 전기화학적 환원을 위한 촉매로 각각 사용하였다. 온전한 세포를 생촉매로 이용할 때 전기화학적 생물반응기에서 xylose가 xylitol로의 환원율은 종래의 생물반응기에서보다 5배 이상 높았다. 한편, graphite-Mn(Ⅳ) 전극과 NAD+를 첨가한 효소 반응기에서는 xylose가 xylitol로의 환원율은 종래의 생물반응기보다 2배 이상 높았다. NAD+를 NADH로의 환원 촉매 기능을 하는 graphite-Mn(Ⅳ) 전극을 사용하여 생물전자촉매를 설계하였다. 즉, 산화환원효소 (e.g. xylose reductase)와 NAD+는 NAD+/NADH의 재순환을 위해 전자 매개체와 2차 산화환원효소 없이 생물전환을 위한 기능을 할 수 있다. Whole cells and crude enzyme of C. peltata were applied to the electrochemical bioreactor to induce increment of xylose reduction to xylitol. Neutral red was used as an electron mediator in the whole cell reactor and graphite-Mn(IV) electrode was used as a catalyst for the electrochemical reduction of NAD+ to NADH in the enzyme reactor, respectively. The reduction efficiency of xylose to xylitol in the electrochemical bioreactor was five times higher than that in the conventional bioreactor when whole cells were used as the biocatalyst. Meanwhile, the reduction efficiency of xylose to xylitol in the enzyme reactor with graphite-Mn(IV) electrode and NAD+ was two times higher than that in the conventional bioreactor with NADH as the reducing power. By using the graphite-Mn(IV) electrode with catalytic function of NAD+reduction to NADH, the bioelectrocatalyst was engineered, namely, oxidoreductase (e.g. xylose reductase) and NAD+ can function for biotransformation without electron mediator and second oxidoreductase for NAD+/NADH recycling.

      • 내적동기 증진 전략이 초등학생의 학업적 효능감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박선미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내적동기 증진 전략이 학업적 효능감과 학습태도에 어떤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적동기 증진 전략은 초등학생의 학업적 효능감에 어떤 효과를 미치는가? 둘째, 내적동기 증진 전략은 초등학생의 학습태도에 어떤 효과를 미치는가? 본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J초등학교 4학년 6개 반 중 2학급을 무선으로 선정하였다. 이들 가운데 한 학급은 실험집단(N=34, 남=17명, 여=17명), 다른 한 학급은 통제집단(N=32, 남=19명, 여=13명)으로 무선 할당하였으며, 총 66명(남 36명, 여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김아영(2002)이 제안한 학업적 효능감 검사와 한국교육개발원(1991)의 학습태도 검사도구를 기초로 하여 초등학교 4학년 수준에 맞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1.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동질성 여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평균의 차이, 실험집단의 전-후 검사간의 평균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설계는 사전-사후 통제집단 설계이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적동기 증진 전략을 적용받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학업적 효능감 총점 및 하위요인 점수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둘째, 내적동기 증진 전략을 적용받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학습태도 총점 및 하위요인 점수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내적동기 증진 전략이 학생들의 학업적 효능감(과제수준선호, 자기조절효능감, 자신감)과 학습태도(정의적·행동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침을 시사해준다. 따라서 내적동기 증진 전략은 과도한 외적 요구에 의한 학습으로 인해 과제 수행에 대한 내적조절 요인이 저하되고 있는 초등학생들의 내부의 힘을 이끌어낼 수 있는 교육적 지도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tervention effect of intrinsic motivation enhancing strategy on academic efficacy and learning attitude. A total of 66 4th grade students of J Elementary School in D city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randomly assign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N=34) and the control group(N=32).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20 intrinsic motivation enhancing strategy activities during 10 weeks periods. The control group didn't receive any treatments. The research design of this study was pre-and 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Independent t-test and Paired t-test on total academic efficacy score and sub-factor score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statistical mean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results of Independent t-test and Paired t-test on total learning attitude score and sub-factor scores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student's academic efficacy (Task difficulty preference, Self-regulatory efficacy, confidence) and learning attitude (affective and behavioral) were positively affected through the intrinsic motivation enhancing strategy. Especially, the dimensions of intrinsic motivation used in the study were included 7 comprehensive elements based on motivation theories.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ma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