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崔溥 『漂海錄』의 선비정신 및 고유문명의식

        박명덕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ABSTRACT Choi-Bu’s Classical Scholarship and Native Civilization Consciousness in his Record of Drifting Across the Sea Park myung duck Advisor : Prof. Lee jong bum Major in History Education Graduated School of Education Chosun University Choi-Bu was well-known as one of the scholars who joined in with the revision and extension of a new edition of the 『Dongguktonggam』 and was martyred because of his resistance against the despotism of Yonsangun. Choe drifted about after he came from Jeju Island and recorded his travels south and north of the Yangtze in 『Pyohaerok』 to show different viewpoints of our scholastic mind and civilization. He gave his opinion of Confucianism while drifting around in China and in returning home, and he emphasized that Chosun is a country which follows the ideas of Confucianism in politics such as loyalty to kings and fidelity to parents. This shows his infinite pride in Chosun and that Chosun has the views of a legitimate nation which follows historical context going back to Shilla, Baekje, and Goguryo. Also he expressed that Chosun has an independent attitude of choosing national interest for the nation while submitting to China based on the consciousness of Salim. Such an attitude is similar to that of Hungu who pursued a policy of enhancing the wealth and military strength of the country. This was intended to show pride that we could and would control our destiny ourselves even while the Chosun Dynasty was manipulated by external powers. It is concluded that the scholastic mind and peculiar perceptions of the civilization of Chosun presented in 『Pyohaerok』 by Choe Pu were affected by the nature of the transition period of Salim at that time.

      • 17세기 전반 『朱子家禮』 실행 논의와 그 특성

        박명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re was an enforcement of Zhu Xi’s Family Rituals(『朱子家禮』) at the center of Confucian transformation of Joseon society. Many conflicts and changes appeared when the Confucianism started to regulate the daily life through Zhu Xi’s Family Rituals unlike the past time when the Confucianism mainly had acted as a study or politic ideology. Since the 16th century, the enforcement of Zhu Xi’s Family Rituals had become widespread, scholars started to pursue precise action of Zhu Xi’s Family Rituals based on profound understanding and interests in the 17th century. In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the Joseon scholars interacted with each other to apply Zhu Xi’s Family Rituals in real life and to solve numerous problems and questions which were brought up in the enforcement of Zhu Xi’s Family Rituals. The reasons why scholars got a lot of discussions in the process of the enforcement Zhu Xi’s Family Rituals came from difficulties to apply this in real life and social circumstance of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The Zhu Xi’s Family Rituals omitted details like ceremonial procedures. On the other hand, these leaving out made various groundless conjectures and lots of limits for applying to unpredicted situation. 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societies of two countries and periods became obstacles for the actualization of Zhu Xi’s Family Rituals. Especially, the Lineage system(宗法) was a critical problem. The Lineage system(宗法) which is from China is different from Joseon’s original family system. Therefore it was so natural that Joseon society had difficulty in implementing Zhu Xi’s Family Rituals because the The Lineage system(宗法) that is based on ancient China did not exist in the Joseon society. On the other hand, since there were many other criterions of rituals(儀禮) such as ancient rituals(古禮), national system(國制) and popular customs(俗禮), it is hard to set Zhu Xi’s Family Rituals as a one criterion of rituals. The more the fulfillment of Zhu Xi’s Family Rituals was emphasized, the more discussions were made. First of all, scholars made a succession of family(家系繼承) faithfully and they significantly handle the matter to select the son(後嗣) and adoption(立後). Sometimes clashes with original rituals were occurred and scholars discussed with each other actively about problems which were came out by increasing of adoption(立後). Next, they made their own effort on not to go against the rule of Zhu Xi’s Family Rituals. So scholars wear mourning in the funeral process. However, the situation that a mother died when father is alive(父在爲母期) or a series of mourning(竝有喪), a lot of questions were appeared because of differences between the rules of Zhu Xi’s Family Rituals and public sentiments. On the other hand, as scholars started to recognize the Ancestor-Worship is important, the discussions which were derived from practical application such as Bulcheonwee(不遷位) or to shift passed generation’s ancestral tablet to Choijangbang(最長房) were increased. Confucianism scholars in the first half 17th century tried to reach agreements on principles of Lineage system(宗法) and emphasized their mutual consent in the discussions about actualization of Zhu Xi’s Family Rituals. They shared same perception that people should obey the Lineage system(宗法) because it is basis of Confucianism society. So adoption(立後) and to succeed a family by the eldest son were required. And they started to put the justification(名分) before bloodline(血統). In the matter of wearing mourning, the order of rank in family by the Lineage system(宗法) also became stabilized. The four generations of service to ancestors were also settled and the family shrine(家廟) was started to run practically as well. And this time showed us the flow that rules of the Lineage system(宗法) and the Lineage ideology through Ancestor-Worship had strengthened. At that time, Confucianism scholars also tried to find feasible method for applying to the Joseon society. Those were compromised and little bit transformed way and this effort was inevitable because ritual was variable. So they respected national system(國制) and original customs but also emphasized on practice of rituals in Joseon society’s real circumstances at the same time as far as not to hinder Lineage system(宗法). As a result, those efforts built important standards about implement of Zhu Xi’s Family Rituals for the Joseon society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period. 조선사회의 유교화 중심에는 『朱子家禮』의 시행이 있었다. 유교가 주로 학문이나 정치사상으로 기능했던 과거와 달리 『朱子家禮』라는 수단을 통해 일상생활까지 규제해오자 조선사회 전반에서는 많은 충돌과 변화들이 나타나게 되었다. 조선중기 이후 본격화된 이러한 움직임 속에서 16세기 이후 『朱子家禮』 시행은 널리 확산되었고 17세기에 이르면 禮에 대한 깊은 이해와 관심을 바탕으로 정밀한 『朱子家禮』 실천을 추구하게 되었다. 17세기 전반 조선의 예학자들은 『朱子家禮』의 실천 과정에서 제기된 수많은 문제와 의문들을 해결하고 『朱子家禮』를 조선의 현실에 적용시키기 위해 활발하게 예설을 교류하였다. 17세기 전반 『朱子家禮』를 행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논의들이 발생하게 된 배경은 『朱子家禮』를 실제로 적용하는데 따른 어려움과 당시의 처한 사회적 환경에서 찾을 수 있다. 『朱子家禮』는 대체로 세세한 설명은 번다한 文飾으로 보아 생략하였다. 이러한 내용의 소략함은 한편으로 모든 禮의 절차와 變禮에 대처하는데 한계로 작용했고 수많은 억설들을 낳는 이유가 되었다. 또한 서로 다른 시공간적 배경으로 인한 문물제도의 차이는 『朱子家禮』의 내용을 그대로 재현하는데 걸림돌이 되었다. 특히 문제가 된 것은 宗法이었다. 宗法은 고대 중국사회의 친족제도로 조선의 기존 제도와는 다른 형태였다. 때문에 종법이 운영되지 않았던 조선사회에서는 이를 기초로 한 『朱子家禮』 시행도 당연히 어려울 수밖에 없었다. 한편 『朱子家禮』 외에도 古禮와 國制, 그리고 俗禮와 같은 다양한 儀禮의 기준이 혼재해있던 사회 현실은 『朱子家禮』를 실천 방향으로 삼아 禮를 행하기 어렵게 만들었다. 『朱子家禮』의 실천이 더욱 강조될수록 수많은 논의들이 제기되었다. 먼저 宗族의 유지를 위한 家系繼承을 충실히 이행하고자 하면서 後嗣를 선정하고 立後를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게 다루어졌다. 여기에서는 기존 관습과의 충돌이 발생하기도 했으며, 立後가 증가하면서 수반되는 문제들도 활발하게 논의되었다. 한편 喪禮를 치름에 있어서는 최대한 원칙에 어긋나지 않게 喪服을 입고 居喪하려는 노력이 가해지게 되었다. 그러나 父在爲母期와 竝有喪의 경우 無二尊의 원칙과 嫡長子의 服喪 승계를 올바로 수행하는 데에서 『朱子家禮』 내용의 누락이나 인정상의 충돌로 인해 많은 의문이 발생하였다. 한편 조상에 대한 奉祀를 중요하게 인식하게 되면서 不遷位의 설정과 親盡한 神主의 祧遷과 같이 家廟를 실질적으로 운영하는데 따른 논의들이 증가하게 되었다. 당시 예학자들은 『朱子家禮』 실행을 둘러싼 논의 과정에서 종법적 원칙에 대해 합의하고 이를 강조해갔다. 종법은 유교사회의 근간을 이루는 것으로 반드시 지켜야 한다는 인식을 공유한 것이다. 따라서 家系繼承에 있어 嫡長子繼承 원칙의 준수와 立後가 요구되었고 血統보다는 名分이 우선시되었다. 服喪에서도 종법에 의한 가족구성원들의 위계질서가 더욱 공고해져갔다. 또한 程朱의 설대로 4代奉祀가 정착되고 이에 기반 한 실질적 家廟운영이 실행되었다. 그리고 조상봉사를 통한 宗族意識과 질서가 강화되어가는 흐름을 보인다. 한편 이러한 논의 속에서 조선현실에서 실행 가능한 방안을 모색하는 노력도 함께 이루어졌다. 이는 時宜에 따른 절충과 변용을 통한 것으로 가변적인 禮의 속성상 불가피한 것이기도 했다. 그리하여 조선의 예학자들은 종법질서의 운영을 저해하지 않는 선에서 國制와 오랜 관습을 존중함으로써 조선현실에 맞는 『朱子家禮』 실천을 추구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사항들은 이후 조선후기 『朱子家禮』의 실행에 큰 기준을 형성하였다.

      • 공공사회복지행정의 전문화 방안에 관한 연구

        박명덕 부산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8639

        국문 초록 공공사회복지행정은 인간의 욕구를 직접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일반 행정과 구별되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공공사회복지행정은 일반 행정과는 다른 전문화된 행정체계가 필요하다. 그럼에도 실제 공공사회복지행정은 지시와 통제 위주의 관료적 행정체계에서 이루어짐으로 인하여 고유한 기능과 역할이 제한되고 더 나아가 목표달성에도 지장을 받고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여 공공사회복지행정 현장에서는 사회복지직렬 신설, 다양한 전문위원회 운영, 사회복지업무 전산화 등 다양한 노력이 있었다. 학계에서도 공공사회복지행정 전문화에 관한 다양한 선행연구가 있었다. 다만, 이러한 노력과 연구는 주로 공공사회복지 행정인 혹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일부 요소에 한정되어 있었다. 이러한 노력이나 연구만으로는 공공사회복지행정의 전문화를 위하여 한계가 있다고 본다. 공공사회복지행정의 전문화를 위한 노력은 총괄적이고 체계적으로 접근해야한다. 아무리 전문 행정인 이라도 지시와 통제 위주의 계층적 행정구조와 급변하는 행정환경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보다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공공사회복지행정체계 그 자체를 전문화 대상으로 설정하여 연구하였다. 다만, 본 연구에서 공공사회복지행정이란 중앙 및 지방의 정부부문에서 수행되는 사회복지행정임에도 조사대상은 특정 지방자치단체에 한정되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고 본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도출된 전문화 방안은 공공사회복지행정 전체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기본원리로서 함의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면서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공공사회복지행정체계 전체를 전문화를 위한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공공사회복지행정체계를 어떻게 볼 것인가는 본 연구의 방향과 내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관점에서 공공사회복지행정에 관한 다양한 개념을 고찰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공공사회복지행정을 정의하였다. 그리고 공공사회복지행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목표설정, 정책결정, 기획, 조직화, 동작화, 평가, 시정조치 및 환류 등 7가지로 나누었다. 아울러, 이 과정은 다양한 요소로 부터 다양한 영향을 받으면서 진행되는 역동적인 과정이다. 이러한 요소에 관하여 본 연구에서는 행정과정에 직접 참여하는 행정인 측면에서 사회복지 가치, 지식, 기술, 행정인이 처한 행정구조 측면에서 사회복지관련 법규와 기준, 의사결정과정, 예산요구서 작성과정, 보직기간, 사회복지사업 평가, 급변하는 행정환경 측면에서 외부인의 참여제, 위법 부당한 외부 영향력 등 3가지 측면에서 10가지를 제시하였다. 7단계의 행정과정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3가지 측면에서 10가지 요소는 공공사회복지행정을 이해하는 핵심 열쇠일 뿐만 아니라, 전문화를 연구하는 분석틀로서 기능하게 된다. 동시에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일반 행정과 구별되는 공공사회복지행정의 특성으로서 인간 중심주의, 역동성, 형성성, 이념성, 재량성, 고객 지향성 등을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공공사회복지행정은 일반 행정과는 구별되는 행정체계로서 전문화의 필요성도 제시하였다. 둘째, 공공사회복지행정의 전문화 준거기준을 제시하기 위하여 속성모델, 과정모델, 권력모델, 사회과제 모델 등 4가지 전문직 이론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핵심용어인 전문화란 특정 직업이 전문직 속성을 구비해가는 과정으로서, 공공사회복지행정 전문화의 준거기준 역시 속성론의 관점에서 제시하였으며, 이 준거기준을 행정인 측면에서 3가지, 행정구조 측면에서 5가지, 행정환경 측면에서 2가지 등 10가지 요소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셋째, 실증조사를 통하여 공공사회복지행정의 전문화 실태를 앞에서 제시한 준거기준에 의하여 파악하였다. 조사방법은 먼저 공공사회복지행정분야에 근무하는 행정인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을 실시하여 전문화 정도를 질적인 차원에서 파악하였다. 조사결과 사회복지가치 만 낮은 전문화 상태였지만, 나머지 9개 요소는 비전문화 상태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울러, 10개 요소 중에 사회복지가치, 사회복지관련 법규 및 기준, 사회복지사업 평가, 외부인 참여, 외부영향력 등 5개에 대해서는 설문조사를 병행하여 전문화 정도를 양적으로 수치화하였다. 양적조사 결과 역시 질적 조사와 유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실태조사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하여 필요할 경우 행정기관 내부자료도 활용하였다. 전체적인 조사결과 공공사회복지행정의 전문화 정도는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급하게 전문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끝으로, 지금까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공공사회복지행정의 전문화를 위한 14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행정인 측면에서 사회복지가치 지향적 행정인 배치, 사회복지가치 교육의무화, 사회복지직 행정인 배치 확대, 사회복지 지식 및 기술 교육 의무화 등 4가지, 행정구조 측면에서 사회복지관련 법규 및 기준 제정역량 강화, 의사결정과정 내실화, 사회복지예산 심사제, 사회복지사업주체 공개모집, 세부 예산집행계획수립 역량강화, 사회복지예산 심사 및 평가제, 행정인 보직기간 연장 제도화, 사회복지사업 평가제 등 8가지이다. 행정환경 측면에서 행정과정에 대한 외부 참여인 활성화, 위법 부당한 외부영향력 배제 등 2가지이다. 인간의 존엄성과 가치 존중 차원에서 인간을 직접 대상으로 하는 공공사회복지행정은 관료적인 행정체계와는 구별되는 행정원리와 기준이 적용되어야 한다. 지금까지 공공사회복지행정에 대한 이해, 전문화 준거기준 설정, 전문화 실태 파악, 그리고 전문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연구결과에는 부족함이 많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공공사회복지행정 그 자체를 전문화 대상으로 설정한 첫 연구라는 점에 위안을 삼고자 한다. 향후 본 연구의 분석틀을 바탕으로 보다 깊은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Public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has special characteristics distinguished from general administration, in point of dealing human's desire directly. Considering these characteristics, the process of public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needs another specialized administrative system that is different from a general administration. Nevertheless, unique functions and roles of public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in the fields are limited, and further achieving goals is getting disturbed due to the bureaucratic system oriented direction and control. To solve these problems, various efforts have been tried in the field of public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such as hiring of public social welfare servants, operating of specialized committees, computerizing of social welfare tasks, etc. There were a variety of previous studies on the specialization of the public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in academia. However, these efforts and researches have been mainly limited to the public social welfare servants or some of elements affecting them. These efforts and researches set limits to the specialization of public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The efforts for the specialization of public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should be approached comprehensively and systematically, because even the professional administrators could not aviod the affection from the hierarchical structure dominated by direction and control, and from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s of administration. Therefore, this study was progressed by considering the public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system as the specialization target, needed more integrated and systematic approach. Although public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is a administrative process performed by all the government sectors, the targets surveyed in this study are limited to a local government. Specialized plan derived from this study, however, is expected to have implications as the basic principle that can be commonly applied to the entire public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while the study was conducted as follows. First of all, in this study, the entire administrative system of public social welfare was set as the target for the research on specialization. How to define the public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system has important influences on the direction and content of this study. From this perspective, researchers, through the investigation on the various concepts of the public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defined it, accord with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the process of the ​​public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was divided into seven steps, goal setting, policy-making, planning, organizing, motivation, assessment, and correction and feedback. In addition, this process is dynamically progressed in the influence of various elements. This study presents ten elements in three aspects; social work values​​, knowledge, technology in terms of public administrator, and social welfare regulations, criterion, decision-making process, the budget requests process, positions period, social welfare evaluation in terms of the administrative structure, and outsider participation, illegal and undue external influence in terms of administrative environment. Ten elements are considered as the keys to understand public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in three aspects affecting the seven steps of administrative process, as well as they function as an analytical framework to study the specialization.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is paper suggested humanism, dynamics, formativeness, ideological tendency, discretion, customer orientation as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and also, it presented the necesity for specialization of public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distinguished from the general administrative systems, due to these characteristics. Second, in order to suggest compliant standards of public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s specialization, four theories were investigated such as trait model, process model, power model and social assignment model. Specialization, this study's key term, is the process that a particular job obtains the trait of a profession. Also, standards of public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specialization were presente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trait model, and these consist of ten elements, such as three aspects of an administrator, five aspects of an administrative structure, two aspects of an administrative environment. Third, the status of the specialization of public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was grasped by the standards of specialization through the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Conducting focus group interview for the administrators who are working in the fields of public social welfare it was measured qualitatively degree of the public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s specialization. As a result of this, the value of social welfare was low-level, and nine elements of it were all non-specialized status. In addition, five of the ten elements, social welfare values​​, social welfare regulations and criterion, outsider participation, social welfare evaluation, illegal and undue external influence,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by questionnaire survey. It was analyzed that qualitative research and quantitative research results were Similar. Internal data of the administrative agency were used in order to increase the completeness of the surve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overall survey, it showed that degree of public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s specialization was low and it was analyzed that specialization plan would be needed urgently. Finally, until now, by the results of this study, fourteen practical plans of specialization on public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are suggested. In the aspects of administrators, four ways which are social welfare values​​-oriented administrator arrangement, social welfare value of compulsory education, public social welfare administrator placed enlarge, social welfare knowledge and technology compulsory education are needed. There are eight practical plans, in terms of the administrative structure, strengthen social welfare regulations and criterion energetic, decision-making process of substantiality, budget requests assessment and screening, agent of social welfare project public recruitment, reinforce competency for budget detailed enforcement plan establishment, institutionalization of extending of administrator positions periods, social welfare evaluation. Two elements, in terms of Administrative environment, are outsider involvement activation and illegal or undue external influence exclusion. Basically, public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to respect for the dignity and worth of human, should be applied to administrative principles and standards different from bureaucratic administrative system's ones. So far, this study presented understanding of public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setting up specialization-compliant standards , identifying the status of specialization, and specialization plans. Although this study leaves much to be desired, researcher comforts in completing this study considering public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as an object of specialization for the first time. It is expected more profound research will be progressed, based on the analytical framework of this study.

      • 私學의 財政自立을 위한 收益事業體 活性化 方案

        박명덕 광운대학교 경영대학원 1994 국내석사

        RANK : 248639

        교육기관은 설립주체에 따라서 국공립학교와 사립학교로 대변되는데 우리나라 고등교육기관 중 私學의 비중은 약80%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사학에 대한 政府의 支援이나 교육환경 조건들은 국 ·공립학교에 비해서 너무나 미흡한 상태에 있다. 최근 UR 타결로 1996년부터 실시될 교육부문개방화를 앞두고 많은 과제를 안고 있는 사학의 현실을 감안할 때 무엇보다 재정적인 자구책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私學의 財政自立을 위한 方案으로 收益事業體를 활성화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目的을 위하여 우리나라 各級私立學校의 설치 ·경영하는 총1,103개法人 中 大學 및 大學校를 설치 ·경영하는 126개 법인에 국한하였고, 문헌연구와 調査硏究 및 統計資料를 潘用하였으며, 특히 財政確立을 위한 收益事業體 活性化하는 方案을 모색하는데 그 촛점을 맞추고자 하였다. 本 硏究의 結果를 요약하면 실제적으로 많은 學校法人에서 收益事業體를 경영하고 있었으며 그 收益事業體에서 얻어지는 수익은 私立學校 財政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는 사실을 토출하게 되었다. 보다 효과적인 收益事業體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사회 ·제도적 지원책이 강구된다면 사학의 재정자립을 위한 자구책으로서 그리고 자유민주사회에 아름다운 꽃을 피우는 원동력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 본 연구를 마치면서 감히 제안하고 싶은 것은 첫째, 收益事業體예 종사하는 직원들에게 사기진작이 될 수 있는 제도 마련이시 급하다는 것 이다. 둘째, 學校의 인적자원을 활용하여 전문적 특성을 살리는 기업이 탄생되었으면 한다. 셋째, 學校法人에 부과되는 稅金을 私學을 지원하는 차원에서 모두 비과세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學校 公共事業이라는 이미지를 살려 고품질주의를 지향하였으면 한다. 다섯째, 學校法人의 收益은 學校 經營을 위하여 쓰여지므로 지출연도에 불구하고 전액손비로 인정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 Feasibility study on an intelligent hybrid wireless traffic platform between vehicles and infrastructure

        박명덕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area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ITS) has attracted a lot of attention during the last years due to the range of new applications enabled by emerging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Wireless Sensor Network and vehicular ad-hoc networks are widely identified enablers for improving traffic safety and efficiency, a large number of suggestions for vehicle-to-vehicle and vehicle-to-infrastructure communication have been presented. Wireless Sensor Network (WSN) and vehicular ad hoc networks (VANETs) are widely identified enablers for improving traffic safety and efficiency, a large number of suggestions for vehicle-to-vehicle and vehicle-to-infrastructure communication have been presented. However, existing vehicular networks, the vehicle cannot carry out information exchange with an Intelligent Traffic System (ITS) controlling center, nor can it access broadband wireless. Therefore, we propose a novel heterogeneous vehicular wireless architecture based on WSNs(Wireless Sensor Network) and VANETs (Vehicular Ad-hoc Networks) technology, and construct a new network infrastructure and system model in pursuit of further discussion and research for the related key technologies. 지능형 교통 시스템의 영역(ITS) 은 지난 년 동안 많은 관심을 받 고 있다. 범위에 따라 새응용 프로그램 활성화 새로운 무선 통신 기술에 의해. 무선 세서 네트워크 및 차량 임의(ac-hoc)네트워크 널리 교통 안전 및 효율성 개선을 위한 원동력 의를 확인할 수 있다. 제안 다수의 차량 대 차량 및 차량 대 인프라 통신을 위해 제시되었다.무선센서 네트워크 (WSNs)와 차량 특별 네트워크 ( VANETs)널리 널리 교통 안전 및 효율성 개선을 위한 원동력 의를 확인할 수 있다. 많은 차량 대차량 및 차량 대 인프라 통신 제안 되었는 제안 따라서 우리는 (WSNs)(무선센서 네트워크)과 VANETs(베히큘라 에드혹 네트워크)기술을 기반으로 한 소설 이기종 차량 무선 아카텍처를 제안하고 새로운 구성. 네트워크 안프라와 관련된 핵심 기술에 대한 자세한 논의와 연구의 추구에서 시스템 모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