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고령층 여성의 불안 감소를 위한 인간중심 통합예술치료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창의적 노화를 중심으로

        민소영 한양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perience of how elderly woman's anxiety changes through person-centered integrated art therapy centered on creative aging as a narrative. Accordingly,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 factors of anxiety that elderly female research participants complains of, examined creative aging experiences through person-centered integrated art therapy program, and saw how these experiences change participants' anxiety as a research problem, and conducted narrative study about it. Therefore,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 aim to help many people of the borderline age, who are becoming seniors from elderly or middle-aged to discover their inner creative potential through various art media activities, and relieve anxiety to live a satisfactory old ag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researcher’s mother, a 66-year-old elderly woman who suffered from social retirement and loss due to her child’s independence, and showed symptoms of anxiety about her old age life. From June 27 to September 23, 2022, a total of 15 person-centered integrated art therapy programs were conducted once a week from 110 to 120 minutes each. And a total of 8 in-depth interviews were made. At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session, the KHTP picture test and the AAS aging anxiety test were conducted and analyzed as pre and post-tests, and the change in anxiety experience was analyzed in a narrative based on the participant’s artistic activity results, picture diary work, and verbal and non-verbal expressions. In addition, through the process of narrative reconstruction, in which the text of the program was once again written as a research text, the changing aspects of the participants were examined in context. Through this, the effect of person-centered integrated art therapy on the anxiety of elderly woman was also confi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nxiety of elderly woman was markedly improved after experiencing the person-centered integrated art therapy program. Through the KHTP picture test and the AAS aging anxiety test, participant’s expectations for her old age life has been confirmed and her self-satisfaction also increased. In particular, in the KHTP post-test, detailed descriptions and future-oriented storytelling increased, and self-esteem increased by drawing woman of her own age. In addition, among the detailed items of the AAS aging anxiety test, the ‘psychological instability’ item showed the highest decrease, indicating the overall effect on the anxiety of the participant in this research program. Second, person-centered integrated art therapy helped elderly woman experience creative aging. Through the program, the participant faced her uncomfortable inner side and experienced the materialization and sublimation of her desire through the creation of an alternative world. Through this, she found the meaning of artistic activity and discovered the creative potential latent within herself. Third, this experience of creative aging changed the thinking and behavior related to the root cause of anxiety. Through the experience of various creative activities provided by person-centered integrated art therapy, the participant did not turn away from her sadness and faced it with artistic expression. In addition, from defining oneself only in a role relationship with family, through gradual self-expression, a desire for her own time and space was discovered, and a shift in self-directed thinking was achieved. In this way, the participant felts emotional satisfaction and stability through creative aging, and found a tendency for self-realization to match the experience with herself, thereby preparing a starting point for overcoming anxiety. Fourth, this change in anxiety experience became a journey toward freedom for the participant and made her meet a new attitude and way of life. Participant overcame the main behavioral patterns of avoidance, rejection, and passive expression and gained confidence in creative expression through artistic way. In other word, based on her creativity she regained confidence and became having expectations and excitement for her future life instead of fear of aging. Fifth,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 confirmed that personal relationships have the power of healing. Researcher and participant experienced various relationships at the same time during the research. Such as between mother and a daughter, the therapist and a participant, and a researcher and the subject of narrative study.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resonance of the treatment room based on the human bond between the researcher and the participant contributed to increasing the expected effect of the person-centered integrated art therapy program. This suggests the possibility of healing and recovery through relationships not only to the elderly people who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but also to all generations of these days with various ages who are hurt or exhausted by human relationships. Summarizing the above research results, it can be said that creative aging based on the person-centered integrated art therapy has a positive effect on reducing anxiety of elderly woman.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person-centered integrated art therapy program developed and applied in this study will help self-realization of the borderline age group complaining of anxiety in the aging era. Also, it is hoped that various and in-depth follow-up studies will continue in relation to creative aging.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적 노화를 중심으로 한 인간중심 통합예술치료를 통해 중고령층 여성의 불안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그 경험을 내러티브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에 중고령층 여성 연구 참여자가 호소하는 불안의 요인을 알아보고, 인간중심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한 창의적 노화 경험을 살펴보며, 이러한 경험이 참여자의 불안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를 연구 문제로 보고, 이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를 진행하였다. 그리하여 본 연구를 통해 중년층에서 노인이 되어가는 경계적 연령대의 많은 사람들이 다양한 예술 매체 활동과 연결을 통해 내면의 창조적 잠재력을 발견하여 노화불안을 감소시키고 만족스러운 노년기를 살아갈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66세 중고령층 여성으로 사회생활 은퇴와 자녀의 독립으로 인한 상실을 겪으며 자신의 노년기 삶에 대한 불안의 증상을 보이는 연구자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2022년 6월 27일부터 9월 23일까지 주 1회 각 110분에서 120분으로 총 15회의 인간중심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진행되었으며, 총 8회의 심층 면담을 병행하였다. 회기 시작 및 종결 시 사전 사후 검사로 KHTP 그림 검사 및 AAS 노화불안 검사를 시행하여 비교 분석하였으며, 참여자의 예술 활동 결과물과 그림일기 작업물, 언어 비언어적 표현을 바탕으로 불안 경험의 변화를 내러티브로 분석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현장의 텍스트를 다시 한번 연구 텍스트로 작성하는 내러티브 재구성 과정을 통해 참여자의 변화 양상을 맥락으로 살펴보며 중고령층 여성의 불안에 대한 인간중심 통합예술치료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령층 여성의 불안은 인간중심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을 경험한 후 뚜렷하게 개선되었다. KHTP 그림 검사 및 AAS 노화불안 검사를 통해 참여자의 노년기에 대한 기대와 스스로에 대한 만족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KHTP 사후검사에서 섬세한 세부 묘사와 미래 지향적 스토리텔링이 증가하였으며, 자기 나이 또래의 여성을 그려 높아진 자아존중감을 보였다. 또한 AAS 노화불안 검사 세부항목 중 ‘심리적 불안정’ 항목에서 가장 높은 감소를 보여 본 연구 프로그램의 참여자 불안에 대한 전반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둘째, 인간중심 통합예술치료는 중고령층 여성으로 하여금 창의적 노화를 경험하도록 도왔다. 참여자는 프로그램을 통해 자신의 불편한 내면을 직면했으며, 대안적 세계 창조를 통한 욕구의 구체화와 승화를 경험했다. 이를 통해 예술 활동의 의미를 찾았으며 자신의 내면에 잠재된 창조적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셋째, 이러한 창의적 노화의 경험은 불안의 근본 요인과 관련한 사고 및 행동을 변화시켰다. 참여자는 인간중심 통합예술치료가 제공하는 다양한 창조적 활동 경험을 통해 자신의 슬픔을 외면하지 않고 예술적 표현으로 직면하게 되었다. 또한 자신을 가족과의 역할 관계 속에서만 정의하던 것에서, 점진적 자기표현을 통해 나만의 시간과 공간에 대한 욕구를 발견하며 자기주도적 사고의 전환을 이루었다. 이렇듯 참여자는 창의적 노화를 통해 정서적 만족과 안정감을 느꼈으며, 자기실현 경향성을 발견해 자신과 경험을 일치시킴으로써 불안 극복을 위한 단초를 마련하였다. 넷째, 이러한 불안 경험의 변화는 참여자에게 있어 자유를 향한 여정이 되어 새로운 삶의 태도와 방식을 만나게 하였다. 참여자는 회피와 거부, 소극적 표현이라는 주된 행동 패턴을 극복하고 예술 표현을 통해 창조적 표현에 대한 자신감을 얻었다. 즉 자신의 창조성을 기반으로 자신감을 회복하고 노화에 대한 두려움 대신 미래의 자신에 대한 기대와 설렘을 갖게 되었다. 다섯째, 본 연구를 통해 연구자는 사적인 관계는 치유의 힘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연구자와 참여자는 모녀의 관계에서 인간중심 통합예술치료의 치료사와 참여자의 관계, 내러티브 탐구의 대상과 연구자의 관계로 다양한 관계 경험을 동시에 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자와 참여자의 인간적 유대를 바탕으로 한 치료실의 공명이 프로그램의 기대효과를 높이는 데 기여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본 연구의 대상인 중고령층뿐 아니라 인간관계로 상처 받거나 지쳐있는 다양한 연령대의 현대인들에게 관계로 인한 치유와 회복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창의적 노화 중심 인간중심 통합예술치료는 중고령층 여성의 불안 감소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이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하여 적용한 인간중심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고령화 시대에 불안을 호소하는 경계적 연령대의 자기실현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또한 창의적 노화와 관련하여 다양하고 심층적인 후속 연구가 지속되기를 기대해 본다.

      • 문화소외계층 대상 박물관 교육프로그램 연구

        민소영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는 사회양극화로 인한 사회적배제(social exclusion)현상이 두드러지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에 대해 사회통합(social inclusion)을 위한 논의가 정책적으로 지속되고 있다. 문화소외계층은 문화예술을 경험함으로서 정체성을 형성하고, 문화를 통한 재분배로 배제현상을 극복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될 수 있다. 사회적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한 사회통합정책 속에서 박물관은 사회포용기관으로서 박물관의 여러 기능 중 교육이라는 방법을 통해 소외계층에 접근하며 경제적, 사회적, 개인적 능력에 관계없이 공평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박물관이 사회통합과 포용기관으로서 교육의 역할을 넓히고 있지만 현재 소외계층 대상 교육 운영 횟수와 대상의 범위가 한정적이다. 이러한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박물관교육의 의의와 소외계층에게 관심을 가져야 하는 당위성을 고찰하였다. 또한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교육을 운영하고 있는 국내・국외 사례를 비교분석하고 박물관 관계자와의 설문조사를 분석하여 소외계층에 대한 인식과 필요성,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운영저해요소를 알아보고 그에 따른 해결방안을 서울역사박물관을 중심사례조사 대상 기관으로 선정하여 도출하였다. 운영저해요소로는 사회적 인식의 부족, 예산, 인력, 홍보 등에 있었으며 박물관 교육 담당자와의 심층인터뷰와 사례를 바탕으로 소외계층 대상 박물관교육에 대해 사회적, 정책적, 내・외부적으로 다각적인 해결방안을 도출하였다. 본 논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Ⅱ장에서는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박물관교육의 개념과 함께 소외계층 대상 박물관교육의 당위성과 필요성을 정립하였다. Ⅲ장에서는 문화소외계층에 대한 대상의 분류와 현황에 대하여 재조명하고, 박물관 관계자의 설문을 통해 대상에 대한 인식여부를 알아보았다. Ⅳ장에서는 국외․국내 박물관의 문화소외계층 대상 교육 운영 현황을 조사, 비교하였다. 또한 박물관 관계자의 설문을 토대로 교육의 필요성과 교육효과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Ⅴ장에서는 소외계층 대상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서울역사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의 사례를 조사, 분석하였다. Ⅵ장에서는 박물관의 문화소외계층 대상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운영저해요소와 서울역사박물관의 교육사례, 설문결과와 박물관 교육관계자와의 인터뷰를 종합하여 극복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서울역사박물관을 사례 대상기관으로 선정한 이유는 현재 문화소외계층을 대상으로 만족도가 높은 교육을 운영하고 있지만, 공립이자 시립박물관임에도 운영하는데 있어서 다른 박물관과 공통적인 주 문제요인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 장에서 제시한 해결 방안책을 통해 향후 박물관이 문화소외계층을 대상으로 어떻게 교육을 운영해야할지 모색해 보았다. 박물관은 모든 사회문제를 극복할 수 없지만 문화적 배제를 겪고 있는 이들에게 교육을 토대로 사회와 소통하고 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사회양극화 현상이 심화되는 오늘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사회통합과 포용기관으로서 역할 증대가 필요하며 무엇보다 인식의 전환을 바탕으로 정책․제도적 지원과 개인, 지역, 단체, 기업의 조직적인 협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 부가가치세제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민소영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Value added tax or VAT is a consumption tax, which is imposed on goods and services at each stage of production, starting from raw materials to final product. VAT has been introduced in Korea to secure the people's life with establishing documentary taxation and fair taxation, and boosting export and investment.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current status of VAT of KOREA and to suggest a way to improve it. For this analysis, this study regards those variables as of the explanatory factors that affect to the effectiveness of VAT (compliance, transparency, satisfaction) in this thesis: a taxpayer's consciousness, a tax evasion and penalty, an amount of burden of other taxes, a policy execution of VAT, an amount of utility of account agents, a management of account officers, a tax administration information of National Tax Service, an incidence of taxation, and a size of VAT. As a methodology of the study, we carried out a survey of account officers and representatives of the companies in the Seoul special municipality, Gyeonggi province, and the other cities and counties. Then we used statistical measure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regression. The statistical analalysis identifies important factors tha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compliance in turn: a tax evasion and penalty, a taxpayer's consciousness, an incidence of taxation, and a management of account officers. For the transparency dimension, a size of VAT, a taxpayer's consciousness, an incidence of taxation, a policy execution of VAT, and a management of account officers give influence one after another. Last, the satisfaction is affected by taxpayer's consciousness, a management of account officers, a size of VAT, a tax evasion and penalty, an incidence of taxation, a tax administration information of National Tax Service in order. This study draws the following conclusion and implications. First, government has to try to improve public life through tax revenues, and provide education and public information to inspire tax consciousness. Second, activating the representative policy of VAT now in implementation, and government should raise effectiveness of VAT through flexible management of it. Third and last, account agents report payment with transparency, and account officers should treat taxpayer fairly, and should contribute to raise taxpayer's satisfaction to the VAT with smooth tax administration. 부가가치세는 재화 또는 용역이 생산되거나 유통되는 모든 단계에서 이에 참여한 각 기업이 추가 창출한 가치인 부가가치에 대하여 과세하는 조세이다. 이런 부가가치세는 근거과세 및 공정과세의 확립, 수출 및 투자촉진 효과를 통하여 국민 생활의 안정을 위해 도입하였다. 그러나, 기업의 변칙거래 등으로 조세의 공정성과 투명성 문제, 납세자 만족도 저하 문제 등이 발생하고 있으므로 부가가치세의 효과성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부가가치세제는 거래단계마다 과세하는 국세로서 전단계세액공제법을 택하고 있으므로, 최종소비자가 부가가치세를 부담하게 된다. 따라서 부가가치세의 부담은 사업자뿐만 아니라 모든 국민이 지게 된다. 이러한 부가가치세의 중요한 위치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대부분의 국민은 부가가치세가 일반소비세로서 소비자가 부담해야 한다는 것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사업자는 이로 인해 부가가치세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과세표준을 줄이고 가공세금계산서를 받는 등의 변칙적인 거래를 하고 있다. 이러한 요인들이 부가가치세제의 당초 목적을 저해하고, 조세의 공정성과 투명성의 저하 및 납세자의 만족도 저하를 가져오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부가가치세제가 원래의 목적에 맞게 효과적으로 운영되도록 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실증적으로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 납세자 의식, 조세정책, 세무행정 및 조세부담 요인을 독립변수로 보고 이들이 부가가치세제의 효과성(순응도, 투명성,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여, 납세자가 부가가치세제에 순응하고, 부가가치세제가 좀 더 투명하게 운영되며 납세자의 만족도를 높이는 대안을 제시하여 부가가치세제의 효과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납세자의 납세 의식, 조세포탈 및 처벌, 기타조세 부담 정도, 부가가치세 정책 실행, 세무대리인 활용 정도, 세무공무원 관리지도, 국세청의 세정 안내, 부가가치세 부담 전가, 부가가치세 크기 정도를 부가가치세제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보아, 서울특별시, 경기도, 기타 시․군에 존재하는 사업체의 대표와 회계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그 결과를 T-test, 분산분석(ANOVA),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 분석의 통계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회귀 분석 결과, 순응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으로는 조세포탈 및 처벌, 납세자의 납세 의식, 부가가치세 부담 전가, 세무공무원의 관리지도의 순서로 부가가치세제의 순응도에 대한 영향력이 큰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투명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으로는 부가가치세 크기 정도, 납세자의 납세 의식, 부가가치세 부담 전가, 부가가치세 정책실행, 세무공무원의 관리지도의 순서로 부가가치세제의 투명성에 대한 영향력이 큰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으로는 납세자의 납세 의식, 세무공무원의 관리지도, 부가가치세 크기 정도, 조세포탈 및 처벌, 부가가치세 부담 전가, 국세청의 세정안내의 순서로 부가가치세제에 대한 만족도에 대한 영향력이 큰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따라 순응도, 투명성, 만족도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납세자의 납세 의식, 세무공무원의 관리지도, 부가가치세 부담 전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의 영향 요인으로는 조세포탈 및 처벌, 부가가치세 정책실행, 국세청의 세정안내, 부가가치세 크기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결론적으로 부가가치세제를 효과적으로 운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개선이 필요하다. 첫째, 국가는 조세수입을 통해 공공생활을 개선시키고 국민은 어려서부터 납세에 대한 교육 및 홍보를 통해 자발적인 납세 의식을 고취해야 하겠다. 그리고 세무당국은 복잡하고 다양한 부가가치세법을 간결하고 알기 쉬운 용어로 해석하고, 단일세율인 현행 부가가치세법의 역진성 문제를 보완해야 한다. 둘째, 현재 실행하고 있는 부가가치세제의 대표적인 정책을 더욱 활성화시키고, 공급가액과 부가가치세를 명확하게 구분 표시하여 부가가치세의 부담 전가를 더욱 용이하게 하고, 경기 조절 능력을 위해 부가가치세율을 탄력적으로 운영하여 부가가치세제의 효과성을 높여야 한다. 셋째, 세무행정에 있어서 세무대리인은 납세자의 신고․납부에 있어서 건전한 납세 유도를 통해 투명하게 부가가치세를 신고하게 하고, 세무당국과 세무공무원은 납세자를 충실히 지도하고 공정하게 대우하며, 세정관리가 원활히 되도록 노력하여 납세자의 부가가치세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는 데 기여해야 한다. 이렇게 제도를 보완․시행하면 납세자가 자발적으로 순응하여 부가가치세를 투명하게 신고․납부하게 될 것이다. 그러면 국가는 조세수입을 통해 재정지출이 풍요로워질 것이며, 납세자도 만족도를 느끼면서 납세의무를 수행하게 될 것이므로 부가가치세제의 효과성이 제고될 것이다.

      • OTT 콘텐츠 시청 경험에서 발견되는 수용자 능동성의 다변화 : 넷플릭스 이용자 분석을 중심으로

        민소영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OTT 서비스의 등장은 다양한 시청 행태를 수용자로부터 이끌어내며 미디어 문화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소비의 차원을 넘어 다양한 해독과 사회문화적 맥락의 연결 속에서 시청 문화를 형성하는 수용자 능동성이 그 어느 때보다 다변화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OTT 서비스 중 넷플릭스 이용자들을 중심으로 수용자들의 시청 경험을 탐구함으로, 수용자 능동성이 어떻게 변화했는가를 고찰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수용자 능동성을 두 방향으로 살피고자 한다. 먼저, 롱테일 상품에 대한 접근이 용이하도록 구조화된 넷플릭스에서 어떻게 블록버스터 상품이 양산될 수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어서, 최근 스트리밍 서비스가 제시하는 추천 프레임이 수용자를 통제하는 것이 아닌, 수용자가 알고리즘과 다른 패턴을 형성하고 있다는 주장을 뒷받침할 연구를 시도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두 현상을 중심으로 이뤄지는 수용자들의 경험을 탐구하고, 이를 수용자 능동성 변화의 시각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기존의 능동적 수용자론 논의의 계보를 이어 수용자 개개인의 시청 형태부터 플랫폼 내부와 외부의 상호작용 속에 형성되는 수용자 문화를 살피는 것이 본 연구의 맥락이다. 알고리즘 문화가 주요한 토대인 넷플릭스의 이용자를 중심으로 OTT 서비스에서만 드러나는 특징적인 수용 행태를 살펴, 주요한 대중문화로 부상하고 있는 미디어 문화에 대한 이해를 더하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emergence of OTT services, which led to the formation of various viewing cultures based on audience autonomy, has a profound influence on the overall media culture. Beyond the consumption, the audience activity, which forms a viewing culture in a network of socio-cultural contexts and various decoding, is at a turning point where it is diversifying more than ever. Therefore, this paper explores the viewing experiences of diversified audiences focusing on Netflix users among OTT services, and attempts to examine how audience activity has changed.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ctiveness of audiences in two directions. First, I would like to analyze how blockbuster products can be mass-produced on Netflix, which is structured to facilitate access to long-tail products. Subsequently, I would like to attempt a study to support the claim that the recommended frame presented by the streaming service is not controlling the audience, but that the audience is forming a pattern different from the algorithm.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audiences centered on the two phenomena and analyze them from the perspective of changes in audience activity. Following the genealogy of the existing active audience theory discussion, the context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udience culture formed in the various interaction among the platform from the viewing form of each audien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dds an understanding of the media culture emerging as a major popular culture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 acceptance behavior revealed only in OTT services, focusing on Netflix users, where algorithmic culture is the main foundation.

      • 부산시 주상복합 거주자의 주거환경 및 근린환경 만족도 분석

        민소영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급격한 경제발전으로 도시로의 인구집중현상이 생겨났고, 도심의 상업시설도 자연스럽게 증가하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도심공동화현상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에 토지이용의 극대화를 추구하며, 도심 내 상주인구확보로 도심공동화현상을 해결하고자 복합용도개발이 시작되었다. 복합용도개발의 한 형태인 주상복합건축물은 거주자들에게 출·퇴근 시간 단축과 도심내의 거주로 인한 쇼핑, 문화시설 등 생활편의성을 제공하게 되었다. 즉, 주상복합건축물은 단순한 거주 목적의 용도를 넘어 생활수준을 높이는 공간으로 자리매김하였다. 이처럼 주상복합건축물에 주거문화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반면, 이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또한, 기존의 주상복합건축물 관련 연구는 대체로 수도권에 편중되어있었으며, 주거자의 거주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는 미흡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구대상지를 부산시로 설정하고, 부산시 주상복합 거주자의 주거환경 및 근린환경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주상복합 거주민의 주거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향후 부산시 도심주거정책 및 사업시행자의 도심 주거환경 개선 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각 분석을 토대로 도출한 결론은 아래와 같다. 분석을 통해 성별, 연령대, 가구 월소득, 점유형태, 현재 주택 거주기간, 거주층수 등의 요소는 주상복합 거주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생활권별 분석을 통해 대체로 동부산권의 주거환경 만족도가 기타 지역에 비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서부산권은 중부산권이나 동부산권에 비해 가장 열악한 주거환경을 구성하고 있었다. 특히, 서부산권의 주상복합 건축물 개발 시 ‘조경 및 녹지공간’을 더 많이 구성하고, ‘놀이시설 및 휴게공간’, ‘외부조망 및 시야확보’에 주의를 기울여 주상복합건축물을 계획해야 할 것이다. 중부산권 또한 동부산권과 비교해 ‘조경 및 녹지공간’과 ‘놀이시설 및 휴게공간’에 대해 낮은 만족도를 보였는데, 계획 시 더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근린환경 만족도의 분석 결과 또한 크게 다르지 않았다. 다른 생활권에 비해 동부산권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서부산권은 중부산권이나 동부산권보다 취악한 ‘근린공원이나 녹지’의 접근성을 고려하여 주상복합건축물을 계획해야하며, 중부산권은 ‘문화 및 복합시설’의 확보에 힘써야 할 것을 당부하는 바이다. 본 연구는 주상복합 실 거주자를 대상으로 거주자의 일반적 특성, 주거특성 및 생활권에 따른 주거지 내부환경, 외부환경, 근린환경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하지만 총 113부의 다소 적은 설문 응답을 토대로 분석을 진행했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남는다. 또한, 생활권별로 대표적인 2개의 구를 지정해 설문조사를 수행하였기에 그 결과를 일반화시키기에는 무리가 있다. 향후 더 많은 실 거주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후, 이를 근거로 부산시의 도심주거정책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가 나오기를 기대한다.

      • 중증 장애인의 성인 비장애 형제자매가 인식한 장애수용 경험

        민소영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성인 중증 장애인의 형제자매가 인식한 장애수용의 경험에 대해 심층적으로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천·경기지역의 성인 비장애 형제자매들 9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여성이 6명, 남성이 3명 참여하였고 연령대는 20대가 5명, 30대가 4명이다. 중증 장애인 형제의 장애유형은 지적장애(Intellectual Disability) 1급 5명, 자폐성장애(Autistic Spectrum Disorder) 1급 4명으로 구성되었다. 면담은 1-2회 실시되었고 면담의 실시 시간은 1시간 30분을 넘지 않도록 하였다. 자료는 축어록으로 작성하였고, 합의적 질적 분석(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이하 CQR)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8개의 영역이 생성되었으며 각 영역에 따라 37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장애형제에 대한 수용과 변화과정은‘형제의 장애에 대한 자연스러운 인식’,‘장애형제 중심 가정에서의 소외와 서운함’,‘장애형제로서 경험한 내적인 혼란감’,‘다른 사람들의 수용의 한계와 편견을 경험’,‘형제와 함께 하는 삶에서의 소중한 발견’,‘내 인생에서의 성숙과 변화’,‘형제를 대하는 마음가짐과 태도의 변화’,‘현실적인 준비의 필요 및 미래의 과제’으로 나타났다. 결과에 따르면 비장애 형제자매들은 어렸을 때부터 형제의 장애를 자연스럽게 수용하지만 가족 안에서, 심리적, 환경적인 다양한 요인의 영향으로 인해 부정적 감정을 경험하고 점차 장애형제와의 경험으로 인해 긍정적인 영향을 받았음을 깨닫고 성인이 되면서 성숙과 변화를 경험하며 앞으로의 나아갈 방향을 현실적으로 고민하였다. 또한 장애수용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과 성숙의 과정을 심층적으로 알아보고 긍정적 장애수용을 위한 다양한 방법들을 제언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의의와 한계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 depth the experience of disability acceptance of adult non - disabled siblings of severely disabled persons. To this end, I conducted in - depth interviews with nine adult non - disabled brothers and sisters in Incheon and Kyeong-Gi areas. There were 6 female and 3 male participants in the study, and the age groups were 5 in the 20s and 4 in the 30s. The type of disabilities of the severely handicapped siblings consisted of Intellectual disability first grade of 5 people and Autistic disorder first grade of 4 people. The interview was conducted once or twice and the interview was conducted for not more than 1 hour and 30 minutes. Data were compiled and analyzed by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As a result of this study, 8 domains were generated and 37 categories were derived for each domain. The process of acceptance and change of disability siblings is as follow. 'Naturally recognize the disorder of the siblings', ‘Alienation and sadness in the family of the disability brothers', 'Internal confusion as a sibling of a disabled brothers', 'Precious discovery in life with disabled brothers', 'Maturity and change in my life', 'Change in mind and attitude toward disability siblings', 'Need for realistic preparation and future task'. According to the results, non-disabled siblings have embraced the their siblings disability naturally since childhood. However they have experienced negative emotions under the influence of various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family, gradually realizing that they have positively influenced by experiences with disability brothers As adults, I experienced my own maturity and change, and I was realistic about the future direction of my life. In addition, it wa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d in depth the process of difficulty and maturity in the acceptance process of the handicapped, and proposed various ways to accept the positive handicap.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