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올레아놀린산 및 그 유도체가 흰쥐 해마 신경줄기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효과

        노현우 한양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oleanolic acid (OA) 및 그 유도체가 흰쥐 해마 신경줄기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수상돌기 가짓수 증가, 길이 신장 및 신경줄기세포 분화 시 수상돌기 가시 형성 등에 미치는 OA 및 그 유도체의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임신 16.5일 된 흰쥐 배아의 해마조직으로부터 신경줄기세포를 분리, 배양하여 OA와 그 유도체의 생물학적 효과를 규명하였다. MTT 시험을 통하여, OA와 그 유도체는 신경줄기세포에 대한 증식 효과 및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신경줄기세포의 분화를 특징짓는 표지 단백에 대한 항체를 사용하여 면역세포 화학 염색을 수행한 결과, OA와 그 유도체 처치에 의하여 신경줄기세포가 분화하는 동안 수상돌기 가짓수 증가 및 길이 신장, MAP2와 Tuj1 단백발현이 증가됨이 관찰되었는바, 이는 OA 및 그 유도체에 의한 신경줄기세포 분화 유도 효능을 제시한다. 이들 화합물이 신경줄기세포 분화에 미치는 효과의 추가적인 확인을 위해 축삭돌기의 신경발생 시 관여하는 미소관 관련단백인 MAP2, 시냅스 전 말단과 축삭돌기의 주요 구성요소 관련 단백인 GAP43, 시냅스 소포 구성요소 관련 단백인 Synapsin1, 시냅스 소포단백인 synaptophysin 등의 특이적인 항체를 이용하여 western blot 실험을 수행하였다. 면역세포 화학염색과 western blot 결과 등의 분석을 통해 OA, OAA, OAM을 처리 시 수상돌기가시 형성 관련 단백인 Kif1a, 신경 접합부의 성숙과 가소성 관련단백인 PSD-95, 신경발생 시 관여하는 미소관 단백인 MAP2 등과 같은 시냅스 표지 단백발현이 2배 이상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위 결과들을 종합하면, OA 및 그 유도체가 신경줄기세포 분화 과정에서 새로운 수상돌기 가시와 신경접합부 형성을 유도하였다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OA 및 그 유도체는 신경줄기세포의 분화와 시냅스 형성을 증강시켰다. 이는 해마부위 신경세포 분화 시 수상돌기 형성과 신경 접합부 연결에 대한 OA 및 그 유도체의 신경 영양적 지원 가능성을 제시한다.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 of oleanolic acid (OA) and its derivatives on the formation of the dendrite and dendritic spine during the hippocampal neural hippocampal cell (NPC) differentiation. Hippocampal NPCs were prepared from the embryonic day 16.5 rat hippocampus and then treated with OA or its derivatives. MTT assay proved that test compounds were not cytotoxic to hippocampal NPCs. Immunocytochemistry analysis was performed with the antibodies against specific marker proteins representing NPC differentiation marker proteins. The results showed that OA and its derivatives caused significant induction on NPC differentiation as evidenced by the 2- to 4-fold increases in the number of dendritic branches of NPCs treated with OAA, and OAM a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Among them, OAA was found to be the most active in inducing dendritic branch formation. Moreover, the length of dendrite was measured and analyzed. OA, and OAA caused about 1.4- to 1.8-fold increase a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Also the expression of MAP2 and Tuj1 was measured and analyzed. Treatment with OA, OAA or OAM resulted in 1.5- to 2-fold increase compared to control in neural progenitor cell culture during differentiation. In addition, the effect of test compounds on the differentiation of NPCs were examined with antibodies against specific proteins responsible for the synaptic structure and function, which include Kif1a for axonal transportation of synaptic vesicle, PSD-95 for synaptic maturation and plasticity, MAP2 for microtubule in neurogenesis, GAP43 for a crucial component of the axon and presynaptic terminal, synaptophysin for synaptic vesicle glycoprotein which may participate in synaptic transmission, and synapsin1 for synaptic vesicle component protein. Immunocytochemistry and western blot analysis showed that OA, OAA and OAM caused more than 2-fold increase in dendritic spine formation and the expression of synaptic marker proteins such as PSD-95, synapsin1 and synaptophysin. The actions of OA and its derivatives might have resulted in the formation of new spines and synapses. Taken together, it was proposed that OA and its derivatives were able to enhance the differentiation and synaptic formation of the NPCs, which implied that these compounds might provide neurotrophic support on the dendrite formation and synaptic connectivity during the neural differentiation in the hippocampus.

      • 어안영상을 이용한 디지털 감시장비에 관한 연구

        노현우 광운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어안영상의 넓은 화각을 이용하여 디지털 감시장비에 활용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어안영상 디지털 왜곡 보정에 대하여 소개하고, 시스템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어안영상 왜곡 보정을 위한 알고리즘의 최적화된 구조를 제안한다. 어안영상 왜곡 보정 모듈에 앞서 영상 보간에 필요한 알고리즘들을 설명하고 이를 참고하여 영상 보간 에서 활용하는 맵핑 보정 모델을 이용 워핑 모델로 활용하여 보정 한다. 본 논문에서는 보정과정에서 디지털 감시장비의 실시간 재생을 위한 속도향상을 위한 새로운 보간 방법들의 적용에 대해서 제안한다. 스트리밍으로 들어오는 영상에 대한 프리 테이블 구조를 개선하고 적용하였고, 새로운 분할 워핑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스트리밍으로 입력되는 어안영상을 보간시 속도향상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실험을 통해 최적의 프리테이블 구조와 분할 워핑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어안영상을 보간 하여 디지털 감시장비에 적용하는 기술을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어안영상 왜곡 보정을 위한 보간 방법을 여러 가지 영상에 대해 적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고 수행한 결과 PSNR 이 상승되었다. 또한 속도 역시 기존 대비 20% 의 성능향상이 확인됨을 할 수 있었다. This paper introduce Fish-Eye distortion correction for digital image that utilize digital Video recorder, and propose most important Fish-Eye distortion correction algorithms for the optimization of structure to system. First, necessary to image interpolation algorithm is described and with this warping model is used as correction. This paper is proposed that it is in the process of compensation for real-time playback of digital video recorder equipment for speed in their application for a new interpolation method. For the incoming video stream to improve the structure of the table was applied, using a new warping algorithm splits the input stream to speed up the Fish-Eye image interpolation method is proposed. In addition, through experiments with the optimal partitioning of the table structure warping algorithm was applied. This Fish-Eye Image interpolation method using the proposed technique is applied to Digital Video Recorder. The proposed interpolation method for Fish-Eye Image distortion correction applied to various imaging experiment was performed to improve the PSNR results was performed. In addition, existing algorithms has increased the rate of more than 20 percent.

      • 감정노동자들의 개인특성과 조직후원인식이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콜센터 상담사들을 중심으로

        노현우 안양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effect of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call center counselors who are working by their emotional labor and also the call center counselors' perceive organizational support by organizational support on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call center counselors interact with customers one to one through voice, they have to express certain emotions depending on a response script set by call center, also they have to endure emotion rules set by the organization, this emotional labor degree is not only increasing chronic stress like job depression but also high possibility to decrease positive attitude and behavior induction for organization competitiveness. This result shows there is a considerable problem which is based on the recent turnover rate of call center counselors. Therefore, this study was looking for various clues that can be utilized in call center's employee selection, training through the confirmation for call center counselors' personal characteristics have influenc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lso, the degree of call center counselors' perceived organization support confirm the effects between counselor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dependent variable, we confirm each counselors' Person- Job Fit and Person- Organization Fit connecting person and organization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n opportunity to offer the clues about how the companies call centers treat their counselors to develop both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confirm the effects three kinds of personal characteristics(emotional intelligence, self- esteem, self- efficacy)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s a result, Self- esteem, Self-efficacy except Emotional Intelligence has positive(+) influenc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all variables have positive(+) influences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s result implies, call center has to support for counselors' positive attitude and behavior about organization and job, and call center has to form various programs and organization cultures to appraise counselors importantly and worthily by co- workers and superiors who has significant influences in call center. Also, it implies, call center provides the opportunity to have experience the small success with detail plans, spread the examples of succeed counselors, and call center has to make manager's praise for counselors, various goals for checking the ability to work together, create a organization atmosphere full of vitality for themselves. Second, the verification resul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mediator effects on call center counselors' personal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is full mediation between self- esteem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is part mediation between self- 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is full mediation between self- esteem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is part medi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s results was establishe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self-efficacy are so important variables to increas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inally, the verification result on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call center counselors' personal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was not moderating effects,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s positive(+) influences in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s result implies call center needs the approach method and different perspectives to increase the degree of call center counselors' organizational commitment. 본 연구는 최근 신산업으로 지지되고 있는 콜센터의 상담사들을 대상으로 감정노동에 임하고 있는 이들의 개인특성과 조직차원에서 지원되고 있는 조직후원에 대한 인식이 상담사들의 조직몰입 정도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는 콜센터 상담사들이 주로 음성을 통해 고객과 일대일로 상호작용하는 동안 콜센터가 정한 웅대 스크립트를 통해 지정된 특정 감정만 표현해야 하고 조직 이 원하는 감정규칙을 준수해야 하기 때문에 이런 과정에서 발생하는 감정노동의 정도는 직무소진과 같은 만성적인 스트레스를 높일 뿐 아니라 조직 경쟁력 확보를 위한 긍정적 태도나 행동유발을 감소시킬 가능성이 높다. 이런 결과는 최근 콜센터 상담사들의 이직률을 근거로 볼 때 상당한 문제가 있는 것은 분명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콜센터 상담사들의 개인특성들이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콜센터 직원의 선발과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단서를 찾고자 하였다. 또한 콜센터 상담사들이 인지하는 조직후원인식의 정도가 상담사들의 개인특성과 종속변수들 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상담사 개인차원의 개인- 직무 적합성 (Person -job Fit) 과 함께 개인과 조직차원을 연결하는 개인-조직 적합성 (Person- Organization Fit)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기업의 콜센터들이 상담사들을 위해 어떤 처우를 하는 것이 개인과 조직 모두를 발전시킬 수 있을지에 대한 단서를 제공하게 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였다. 본 연구의 검증 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개인특성으로 구분된 세 가지 변인(감성지능, 자아 존중감, 자기 효능감)들이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에 대해 각각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한 결과, 감성지능을 제외하고 자아 존중감, 자기 효능감 모두 조직몰입에 정(+)적 영향이 있으며 조직시민행동에 대해서는 세 가지 변인이 모두 정( +)적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런 결과는 콜센터 상담사들이 조직과 직무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긍정적인 행동을 유도할 뿐 아니라 콜센터내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동료나 상사가 상담사들을 중요하고 가치 있게 평가하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소직문화를 형성하여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조직 내에서 작은 성공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들과 함께 성공한 상담사들의 사례를 전파하고 관리자들이 상담사들 에게 칭찬과 함께 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고 진단해줄 수 있는 다양한 목표들과 스스로 활력이 넘칠 수 있는 조직분위기를 만들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콜센터 상담사들의 개인 특성들과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 각각에 대한 조직후원인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아존중감과 조직몰입간에는 조직후원인식이 완전매개하며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 간에는 조직후원인식이 부분매개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자아존중감과 조직 시 민 행동 간에는 조직후원인식이 완전매개하며 자기효능감과 조직시민행동 간에는 조직후원인식이 부분매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런 결과는 조직시민행동을 높이기 위해서도 조직후원 인식 과 자기 효능감이 매우 중요한 변인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조직후원인식이 콜센터 상담사들의 개인특성과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 각각에 대해 조절효과를 검중한 결과, 조직후원인식의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콜센터 상담사들의 조직몰입과 조직 시민행동 간에 조직후원인식의 조절효과 검증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런 결과는 콜센터 상담사들의 조직몰입정도를 높이기 위해서 좀 더 다른 시각과 접근방법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 Current-Voltage Characteristics of P3HT/CdS Nanorod Structure Made by Nanoimprinting and Electrodepostion for Solar Cells

        노현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We fabricated the hybrid devices with the structure of P3HT/CdS nano-rods on the ITO glass for the application to the solar cells. The CdS nano-rods were grown on the ITO glass via the nano-imprinted template using the nano-imprinting and electrodepostion process. It was clearly shown that the CdS nano-rods were arranged periodically along the nano-imprinted template and had α-CdS with hexagonal structure (wurtzite) by SEM images and XRD analysis, respectively. We successfully made hybrid devices by depositing the conducting polymer (P3HT) on the CdS nano-rods and Ag back metal by means of spin-coating and thermal evaporator, respectively. The hybrid device showed the ideal dark I-V diode properties with rectifying characteristic. The value of series and shunt resistance of nano-structured devices were 38 Ωcm2 and 32 kΩcm2, respectively. Under illumination, solar cells with nanorods structure had higher fill factor than bilayer solar cells had

      • PWM 방식에 따른 IPMSM 드라이버의 특성 분석

        노현우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교류 전동기 구동 시스템 및 각종 교류 전력 변환 장치에 필수적인 3상 인버터에서 전압 변조 방식(Pulse Width Modulation)에 따른 인버터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는 것을 다루었다. 전력 전자 소자와 제어용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발달과 함께 THPWM, 60DPWM 등과 같은 다양한 전압 변조 방식이 연구개발 되었지만 산업분야에서 주로 사용하는 전동기 구동 전압 변조 방식은 일반적으로 정현파 전압 변조 방식과 공간 벡터 전압 변조 방식이다. 저가형 시스템에 120(OFF)DPWM이 적용되는 경우가 있긴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연속 전압 변조 방식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불연속 전압 변조 방식은 스위칭 손실 면에서 유리한 점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연속 전압 변조 방식에 비해 사용빈도는 상대적으로 낮다. 이론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전류의 고조파 영향, 구현의 어려움 등의 문제가 언급이 되고 있지만 실제 하나의 모터를 대상으로 전압 변조 방식만을 변경하며 연구한 경우는 없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고효율, 고출력 특성을 충족시키는 매입형 영구자석 동기전동기를 시험 모터를 선정하고 옵셋 전압으로 구현한 다양한 전압 변조 방식의 특성을 비교 분석한 후 전류, 속도구간에 따른 적절한 전압 변조 방식을 제안하였다.

      • 젊은 성인 여성의 휴대 가방 위치가 보행 중 목과 허리 근육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노현우 백석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보행을 하는 동안 휴대 가방 위치에 따른 목폄근, 위등세모근, 척추세움근의 근활성도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18명의 성인 여성들을 대상자로 선정하여 가방을 오른쪽으로 휴대한 상태에서 10m 보행을 5회 수행하는 동안 근전도 장비를 이용하여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첫 번째 조건에서는 가방을 양쪽 어깨에 휴대하였고, 두 번째 조건에서는 가방을 한쪽 어깨에 휴대하였으며, 세 번째 조건에서는 가방을 한쪽 아래팔에 휴대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처리는 유의성 검정을 위해 대응표본 T검정 및 반복측정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가방을 양쪽 어깨에 휴대하는 방식보다 가방을 한쪽 어깨나 아래팔에 휴대하는 방식에서 가방을 휴대한 동측 목폄근과 위등세모근 그리고 반대 측 척추세움근의 근활성도가 유의하게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또한 가방을 한쪽 어깨에 휴대하는 방식보다 가방을 한쪽 아래팔에 휴대하는 방식에서 가방을 휴대한 동측 목폄근과 위등세모근의 근 활성도가 더욱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반대 측 척추세움근의 근활성도는 소폭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가방을 한쪽 아래팔에 휴대하는 방식은 다른 가방 휴대 방식에 비해서 좌우 측 목폄근, 위등세모근, 척추세움근의 근활성도 불균형을 더욱 증가시키게 되므로 현대 여성들이 지양해야 할 가방 휴대 방식이라고 제언 하는 바이다.

      • 스쿼트 시 단축발 운동 적용이 대퇴사두근 근 활성도 및 근 수축 개시시간에 미치는 영향

        노현우 삼육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하지의 정렬에 기여하는 발 내재근들을 강화시키는 운동으로 제시되는 단축발 운동은 발의 내재근 강화 및 내측 종아치를 높이는 운동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건강한 일반인을 대상으로 스쿼트시 단축발 운동 적용이 대퇴사두근의 근 활성도 및 근 수축 개시시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험을 실시하였고, 기존에 실시되었던 일반적인 스쿼트와 비교 분석하여 좀 더 올바른 운동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단면적 조사연구로 설계되었고 선정기준에 적합한 성인 20명을(남자=10, 여자=10) 대상으로 표면 근전도를 이용하여 일반적 스쿼트와 단축발 운동 스쿼트 두 가지 조건에서 실시하여 대퇴사두근의 근 활성도 및 근 수축 개시시간을 비교 하였다. 남자와 여자를 각각 분석한 결과 단축발 운동 스쿼트가 일반적인 스쿼트에 비해 남녀 모두 대퇴직근, 내측광근의 근 활성도에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근 수축 개시시간 역시 외측광근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근 활성도의 경우 남자는 단축발 운동 스쿼트가 일반적인 스쿼트에 비해 대퇴직근과 내측광근의 근 활성도에 차이가 있었으며(p<0.05), 외측광근의 경우 근 활성도는 감소하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여자의 경우 단축발 운동 스쿼트가 일반적인 스쿼트에 비해 대퇴직근과 내측광근의 근 활성도에 차이가 있었으며(p<0.05), 외측광근의 경우 근 활성도는 감소하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근 수축 개시시간의 경우 남자는 내측광근과 외측광근의 근 수축 개시시간이 증가되었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여자의 경우 외측광근의 근 수축 개시시간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지연 되었고(p<0.05) 내측광근의 개시시간이 감소되었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스쿼트 시 단축발 운동 적용이 대퇴직근 및 내측광근의 선택적인 근 활성도를 유도할 수 있었고 내측광근과 외측광근의 근 수축 개시시간에 영향으로 주는 것으로 보여주었다.

      • Photonic crystal fabrication and photonic bandgap control with PS nanosphere

        노현우 부산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광결정은 빛의 파장수준으로 반복된 결정물질을 말하며 결정의 주기와 유전율에 따라 특정파장영역의 빛을 완전히 반사시킬 수 있다. 광결정을 조하는 방법에는 lithography공정을 이용한 방법과 콜로이드 나노입자 의 self-assembly공정을 통한 방법이 있다. lithography공정은 시간과 용적인 측면에서 효율이 떨어진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고, 3차원 구조 제조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반해 콜로이드 입자의 self-assembly공정을 이용하면 3차원 광결정 구조를 쉽게 제조할 수 있지만, 결정의 crack, void, stacking faulse 와 같은 결함을 지니고 있다는 단점이 있 다.본 연구에서는 emulsifier free emulsion polymerization을 이용하여 PS나노입자를 합성하고, colloid 용액의 용매증발에 의한 self assembly 공정을 통하여 광결정을 제조하였다. 또한 광밴드갭을 제어하기 위해 광 분산관계에 관한 이해와 입자의 유전율 및 사이즈에 따른 Maxwell 방정식의 해를 구하여 광자와 매질간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Part Ⅰ에서는 PS나노입자의 합성조건을 달리하여 입자사이즈 및 입자사이즈 분포에 따른 결정화 과정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Self assembly공정 중 나타나는 RGB 및 hue index를 분석하여 결정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분석하였다. Part Ⅱ Ⅲ에서는 광결정의 두께를 제어하기 위해 colloid용액의 농도및 결정화 각도의 변화에 따라 제조된 광결정의 두께 및 결정화 과정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균일한 두께의 광결정을 제조하기 위해 포집기판에 piranha 처리를 한 후 두께 및 결정화 과정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