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통무예 천무극의 기원과 구성원리

        남민우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 전통무예 천무극의 기원과 구성원리에 대한 연구는 문헌고찰 방법과 참여관찰 방법을 통하여 내용을 구성하였다. 문헌고찰은 2013년 현재 국내에서 자생적으로 생존하고 있는 여러 전통무예에 대한 고문헌 자료를 비롯해 천무극 관련 연구논문 등을 통하여 이루어 졌다. 참여관찰은 본 연구자가 천무극 창시자 이신 故 박영수 옹을 약 20년간 곁에서 스승님으로 모시면서 지난 2010년 소천하실 때까지 보고, 듣고, 배우고, 느낀 바를 심도 있게 기술하는 방식으로 이루어 졌다. 다양한 문헌고찰과 참여관찰의 연구방법을 통해 전통무예 천무극의 기원과 구성원리에 대한 연구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무예 천무극의 발생지는 충남 아산시 송악면 강당리 이다. 둘째, 전통무예 천무극의 창시자는 故 박영수 원장이며, 무예의 전통 전수자는 1대 국무원장 남민우 이다. 셋째, 전통무예 천무극은 당수도와 태권도의 기술을 토대로 새롭게 창시된 전통무예이다. 특히, 보급과정 초기에는 프로태권도와 무학 이라는 용어를 혼용하여 사용하였지만, 본 연구를 통해서 전통무예 천무극으로 무예 명을 명명하고자 한다. 넷째, 전통무예 천무극의 어원은 “하늘이 내린 무예의 극”이라 하며, 천무극의 정신은 무언지신, 진리지신, 건아지신, 동의지신을 추구한다. 또한, 천무극은 “무예는 실전이다”, “이론과 실기는 둘이 아니라 하나다” 라는 철학적 가치를 추구한다. 다섯째, 전통무예 천무극 기술적 구성 원리는 작용반작용의 원리, 중심과 안정의 원리, 힘과 운동의 법칙 등의 기술적 구성을 토대로 한다.

      • 통합교육에 대한 공·사립 초등학교 교사의 태도연구

        남민우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연구는 공·사립 초등학교 교사들이 통합 교육에 대해 어느 정도의 관심 있는 태도를 보이는가를 밝히고, 이를 통해 공립초등학교 뿐만 아니라 사립초등학교에서도 특수교육, 특히 통합 교육에 더욱 관심과 실질적인 투자를 이끌어 내기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출발하였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공·사립초등학교 교사는 통합교육의 하위 영역별 질문에 대해 어떠한 태도를 보이는가와 성별, 교육 경력, 특수아동 지도 경험, 특수교육 연수 경험 유무에 따라 통합교육에 어떤 태도 차이가 있는가를 밝혀 보았다. 지도교수의 협의 후 수정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우선 공·사립 초등학교 교사 30명을 대상으로 신뢰도를 분석하였고, 특수학교를 제외한 서울특별시 공·사립 초등학교 교사만을 연구 대상으로 설문지를 총 320부를 배포하여 304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며 회수한 설문지 중 손상되었거나 매우 성의 없이 답한 9부를 제외한 공립 159부, 사립 136부를 합하여 총 295부를 SPSS 프로그램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이와 같이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사립학교 교사들은 통합교육 시 장애 아동들이 교과 활동에서의 학업 성취가 크게 향상될 것이라는데 다소 부정적이었다. 그러나 일반아동이 교과 학습 면에서 장애 아동에게 도움을 주는 측면에 대해서는 동의하고 있으며, 보조교사의 활용에서는 공·사립 교사 모두 그 필요성을 매우 높게 제시하였다. 둘째, 공·사립 교사 모두 통합교육을 함으로 장애 아동에 대한 일반아동의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장애 아동들도 생활 태도가 더욱 바람직하게 발전할 수 있다는 것에 공감하고 있다. 또한 특수아동 지도 경험이 있는 교사,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 젊은 교사일수록 아동들의 생활 태도 변화에 더욱 동의하고 있었다. 셋째, 교육환경 부분에서 공·사립교사의 관심은 특수 교육에 대한 교육 정책의 강화, 적정 학급당 인원 수, 교육 재정 확보, 교육 환경 개선에 있다. 또한 교사의 장애 아동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필요성도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고 있다. 특히 주목할 것은 사립학교 교사가 오히려 공립 교사보다 교사의 태도를 우선 조건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완전 통합교육을 시행하는 것에 대해 높게 반응하였다. 또한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가 더욱 현행처럼 특수학급을 운영하여 절충하는 특수교육보다는 완전통합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부분의 공·사립 교사는 초등특수교육에 대해 적극 찬성하고, 통합교육 실시에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으며, 평소 통합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특수 교육의 필요성에서는 공립의 교사와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가, 통합 교육에 관심 정도에서는 남자 교사가, 통합 교육 실시의 찬성에 관해서는 비교적 젊은 교사와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가 유의미하게 높은 반응을 보였으며, 교사 자신의 학급에 장애 아동을 교육시킬 수 있다는 질문에서는 연수경험이 있는 교사가 더욱 적극적인 반응을 나타내었다. 특히 사립에 비해 공립 교사가 더욱 통합 교육 연수가 있다면 꼭 참여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사립이 공립에 비해 교외 연수 활동에 소극적인 현상에서 기인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이 연구의 결론이 주는 시사점으로는 첫째, 사립 초등 교사들도 공립 교사에 비해 통합 교육에 대해 결코 관심이 뒤떨어지지 않는다는 것이며 사립에서도 교육 환경과 여건이 주어진다면 충분히 특수교사와 함께 통합교육을 담당할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공·사립 교사들은 아직도 통합교육을 위한 국가적 관심 및 행정적, 재정적 지원이 부족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일회성에 그치는 단순한 관심과 지원이 아니라 구조적으로 통합교육을 지원할 수 있는 구조적이고 체계적인 투자만이 특수교육의 발전을 앞당길 수 있다. 또한, 통합교육을 위해 보조교사를 폭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정부는 이를 뒷받침해야 한다. 셋째,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관심은 연수 및 장애 아동을 경험했을 때 훨씬 높아 질 수 있다. 보다 활성화되고, 계획적인 연수와 이에 참여시키기 위한 유인책이 필요하리라 생각되며, 특히 사립교사의 연수 및 특수 아동 경험 기회가 더욱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point out the degree interests shown by teachers of both public and private schools toward inclusive education. The study was initiated with the purpose of serving as basic material that may derive greater attention by teachers towards integrated education, while stressing the necessity for substantial support not only in public schools but also in private schools as well. In other to achieve such purpose, the study focussed on revealing the differences in attitudes of teachers toward integrated education based on sex, teaching experiences, experiences in teaching disabled children and experience in attending programs designed for teaching disabled children. This study also presents the difference in attitudes of public and private school teachers in reaction to the questions given to them that deal with sub-related domains of integrated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of both public and private schools had negative attitudes toward the possibility of academic improvement of disabled students when integrated with normal students. However, teachers agreed that disabled students would receive academic assistance from the normal students. Teachers of both public and private schools strongly agreed on the necessity of utilizing help from supporting teachers. second, teachers of public and private schools believe that the attitudes of normal students toward disabled students could change in a positive way through integrated education. Third, in terms of educational environment, the public and private school teachers are especially concerned with the reinforcement plans of educational policies relate to special education, the conditions of class size in relation to guranteeing a reasonable number of students in a class, securing financial support for special education, and the needs for improvement in educational environment. The necessity of having true awareness of the situation and needs of disabled students was also pointed out as an essencial factor in carrying out integrated education. A noticeable fact is that more private school teachers pointed out the teacher's attitude as a priority condition in integrated education. Private school teachers showed higher response in questions realted inclusion of integrated education. Fourth, most of the public and private school teachers strongly agree in the need for operation of special education programs in the elementary school system. Teachers have positive attitudes toward integrated education and have had continuous interest. Public school teachers and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training programs showed higher response in the necessity for special education. Male teachers showed more interest in integrated education compared to female teachers. Younger teachers and those who have had training experiences agreed stronger in the integrated education system. In response to the question on whether the teacher is willing to have a disabled student in his or her class, more teachers who have had training experiences showed positive response compared to those who lack such experience. By overlooking such results it could be suggested that, First of all, private school teachers are not less interested in integrated education when compared with public school teachers. This suggests that with suitabl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conditions, the existence of integrated education in private schools is possible along with the help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Second, public and private school teachers still believe that national interest and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from the government is insufficient. Third, The attention and interest teachers have towards integrated education could be greatly enhanced through training programs and by providing teachers with opportunities to have direct contact with disabled students.

      • 승강장안전문 시스템의 장치 간 상호 연동 방안 연구

        남민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승강장안전문(PSD, Platform Screen Door)은 철도이용자의 안전사고 방지 등을 위해 열차가 도착하는 선로 측과 고객이 대기하는 승강장을 격리하는 설비로 열 차의 도착과 출발에 맞춰 자동으로 개폐하는 승강장 안전설비이다. 지난 2015년 정부는 2017년까지 모든 수도권 지하철 역에 승강장안전문을 설치한다는 계획을 발표하고 적극 추진하여, 이후 철도승강장에서의 자살자가 현격하게 줄어드는 등 가시적인 효과를 보고 있다. 그렇지만, 새로운 설비를 역사에 설치함에 따라 이로 인한 새로운 유형의 장애와 사고도 발생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따라, 기존에 승강장안전문 운영과 관련된 안전성 강화를 위해서는 통합적 인 관점에서의 관제시스템 운영이 매우 필요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한국철도공사 에는 아쉽지만 관련시스템이 구축되지 않았고 유사시 효율적인 대응조치가 늦어 지는 이유로 파악되었다. 더욱이, 역에 설치된 승강장안전문은 시공업체별로 다른 통신방식을 사용하여 호환성이 없어 유지보수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또한, 이를 표준화 하지 않고서는 관제시스템을 구축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각 역별로 설치된 승강장안전문의 장치간 통신방식인 프 로토콜을 표준화하였다. 전체 역사의 승강장안전문 설치내역을 조사하고 각각의 승강장안전문 장치 간 연동 프로토콜을 분석하여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표준화 를 진행하였다. 또한, 각 역별로 표준 프로토콜이 정상 작동하는지 현장에서 검증 을 실시하여 문제점을 발굴․조치하였으며 이를 통해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이렇게 프로토콜 표준화가 완성됨으로써 본 연구의 범위는 아니지만, 향후 승강 장안전문 관제시스템 구축과 운영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를 통해 지금까지 역사에 서 비전문가인 역무원만이 관리, 감시, 제어할 수 있었던 기능을, 앞으로는 상시 전문관제사가 현장과 고장설비 상황을 직접 모니터링 하게 됨으로써 시스템 운영 의 안전성이 대폭 강화될 것이다. 특히, 구이역에서의 정비원 사고와 같이 현장 상황이 확인되지 않아 초래되는 사고는 현저히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장 애조치 단계가 기존 5단계(해당역 장애발생→장애확인→고장신고(역)→현장접수→ 현장출동 조치)에서 3단계(해당역 장애발생→통합사령실 확인→현장출동 조치)로 줄어들게 되어 비상대응 측면에서도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하게 될 것으 로 기대된다. The PSD(Platform Safety Door) is a facility that isolates the track where the train arrives and platform where the customer is waiting to prevent safety accidents for railroad users, and automatically opens and closes the platform according to arrival and departure of the train. In 2015, the government announced a plan to install platform safety door at all metropolitan subway stations by 2017 and actively promoted them, resulting in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number of suicides on railroad platforms. However, as new facilities are installed at railway stations, new types of obstacles and accidents are also occurring. Accordingly, it was reviewed that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system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is very necessary to strengthen the safety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existing Platform Safety Door. Unfortunately, KORAIL did not establish a related system, and it was identified as the reason for the delay in efficient response measures in case of an emergency. Moreover, the PSD installed at the station are incompatible because different construcion companies use different communication methods, and a PSD control system cannot be established without standardizing protocol between devices of PS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rotocol between devices of PSD, which is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PSD installed for each railway station, was standardized. The installation details of PSD at all railway stations were investigated, each protocol was analyzed, and standardized in the most efficient way. In addition, verification was conducted on the spot to see if the standard protocol worked normally for each railway station. Through this, reliability could be secured and the foundation for future PSD control system construction could be laid. When the PSD control system is operated, function that only non-experts at railway stations have been able to manage, monitor, and control so far, and in the future, professional controllers will directly monitor the situation of the site and fault facilities. In particular, it is expected that the number of accidents will decrease in the future as the situation of the site is not confirmed, such as the accident of the maintenance worker at Guui Station. In addition, rapid and effective responses will be possible in terms of emergency response.

      • 치과용 임플란트의 유럽, 미국 인허가 연구

        남민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세계적으로 기대 수명의 증가로 인한 65세 이상 고령 인구 증가에 따라 의료비 지출이 증가하고 있다. 치과 의료기기 시장은 인구의 고령화로 인한 구강질환 증가, 질병의 감염 방지, 그리고 의료인과 환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치과용 의료기기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꾸준한 성장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국내 치과 의료기기의 수출금액은 `20년 약 4.4억 달러에서 `21년 약 7.2억 달러로 증가했으며, 이 중 치과용 임플란트 제품이 5.2억 달러를 차지하고 있다. 의료기기 산업은 대표적인 규제 산업으로 R&D 이후 사업화까지의 기간이 많이 소요되며, 특히 수출을 위한 해외 인허가 획득이 요구되는 산업이다. 또한, 의료기기 산업계는 중소기업 중심의 산업구조로 인해 기업 자체 역량으로 인허가에 대한 대응이 어렵고 외부 컨설팅 기관과 정부 지원 의존도가 높은 상황이다. 이러한 환경에서 국내 의료기기 제조기업이 해외로 진출하기 위해서는 유럽연합과 미국의 시장 진입 시 필요한 인허가 요소를 파악하여야 한다. 본 논문은 치과용 임플란트 제품의 해외 인허가 고려사항의 도출과 제언을 위하여 해외 인허가 제도를 분석한 논문이다. 연구 범위 및 대상으로는 우리나라의 주요 수출 대상국인 유럽, 미국의 의료기기 규제, 가이드라인을 분석하여 시장 진입 시 필요한 인허가 요소를 도출하였다. 결과적으로, 유럽연합의 의료기기에 대한 규제는 의료기기 지침(MDD : Medical Device Directive)에서 의료기기 규정(MDR : Medical Device Regulation)으로 대체되어 이전보다 강화된 기준을 준수하도록 변경되었으며, 기존 CE MDD의 보유 여부, 제품의 등급분류, 임상적 유효성, 인증기관의 선정, 안전성 및 유효성 요구사항 등의 고려사항을 도출하였다. 미국의 경우, 치과 의료기기 종류에 따른 등급과 인허가 분류, 그에 따른 규제 절차, 본질적 동등성(Substantial equivalence) 증명, 임상시험 분류 등의 고려사항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도출 사항을 바탕으로 한국, 유럽연합, 미국의 치과용 임플란트에 대한 규제를 비교하였고, 각 국가의 안전성 관리제도를 비교 및 분석하였다. 이에 국내 의료기기 제조기업이 적절한 인허가 대응을 통해 시장진출에 성공하여 산업계가 발전할 수 있도록 기원한다. The medical device industry is a representative regulatory industry, and it takes a long time from R&D to commercialization, and in particular, it is an industry that requires obtaining overseas licenses for exports. In addition, due to the industrial structure centered o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t is difficult for the medical device industry to respond to licensing with its own capabilities and is highly dependent on external consulting institutions and government support.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licensing elements of the European Union and the United States, which are major exporters. This study analyzes the overseas licensing system to derive and suggest overseas licensing considerations for dental implant products. As for the scope and target of the study, the medical device regulations and guidelines of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which are major export targets in Korea, were analyzed to derive the licensing elements necessary for entering the market. Regulations on medical devices in the EU have been replaced by the Medical Device Directive (MDR) to comply with stricter standards, drawing considerations such as whether existing CE MDD are present, product classification, clinical validity, selection of certification bodies, safety and validity requirements. In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considerations such as classification of grades and licenses according to the type of dental medical device, regulatory procedures according to them, certification of essential equivalence, and classification of clinical trials were derived. Based on these findings, regulations on dental implants in Korea, the European Union, and the United States were compared, and the safety management systems of each country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refore, we hope that domestic medical device manufacturers will succeed in entering the market through appropriate licensing responses so that the industry can develop.

      • 핵 수용체 RORα의 STAT3 신호전달과 간염증 조절 효과 규명

        남민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Chronic liver inflammation plays a critical role in various liver diseases. In an inflammatory region of liver, inflammtory cytokines, IL-6 and IL-22, constitutively activate 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 3 (STAT3) and exacerbate inflammation induced hepatocellular carcinoma. Therefore, Inhibition of STAT3 activity is important for regulation of liver malignancy. Retonoic acid receptor related orphan receptor α (RORα) is related various metabolism and inflammatory response. Recently, It is reported that RORα attenuates liver metabolic diseases, but it is unknown that RORα has relation with STAT3 activity.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ORα and STAT3 in liver inflammation, we used RORα overexpression adenovirus in primary mouse hepatocytes and HepG2 liver cancer cells. Our data showed that RORα overexpression decreased phosphorylation of STAT3 in liver cells. In contrast, RORα knockdown increased phosphorylation of STAT3. Moreover, we observed that RORα overexpression decreased STAT3 transcriptional activity. Synthetic RORα ligands, SR1078 and JC1-40, were also decreased STAT3 transcriptional activity. STAT3 downstream genes, myc and p53, expression was modulated when RORα was overexpressed in HepG2 cells. In order to find how RORα regulates STAT3 activity, we tested endogenous STAT3 regulators expression level when RORα is overexpressed in primary mouse hepatocytes. Four STAT3 regulators that are somatic mutated or downregulated in human cancers, were selected. Our data showed that RORα overexpression downregulated GRIM19 mRNA expression level in primary mouse hepatocytes. Next, we tested effects of RORα ligands in diethylnitrosamine-induced liver inflammation in vivo model. When RORα ligand, JC1-40, was treated, serum ALT and AST levels of mice were decreased and suppression of STAT3 phosphorylation was observed in mouse liver tissue. Infiltrated immune cells number were decreased when JC1-40 was administrated. Also, JC1-40 treatment reduced mRNA expression level of IL-1β and TNFα in liver tissue. In this study, we demonstrated that RORα regulates STAT3 activity by regulation of GRIM19 expression, and RORα ligand reduced STAT3 activity and inflammatory responses in diethylnitrosamine induced liver inflammation in vivo mice model. These findings revealed that RORα is a novel therapeutic target for inflammation-related liver diseases.

      • 대학생 모바일 러닝 사용의도와 관련요인 구조방정식 모델

        남민우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8639

        정보화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교육방법의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되었던 e-러닝은 어느덧 모바일 러닝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학습으로 변화하면서 교육의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새로운 교육방법이 교육현장에서 수용되기 위해서는 학습자들의 사용 요인에 대한 연구가 중요하게 인식된다. 이는 정보화의 흐름 속에 새로운 교육방법으로서 모바일 러닝이 폭넓게 받아들여질 수 있을지에 대한 분석을 선행함으로써 이후 사용과 실행을 가속화시킬 수 있는 접근이 가능해지며,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확산과정으로 이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정보기술수용모델(TAM) 관점에서 대학생들의 모바일 러닝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요인들간의 관계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모바일 러닝의 수행 경험 유무에 따라 분류된 그룹별로 구조방정식 모델의 요인들간 관계성에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함으로써 모바일 러닝 사용의도와 영향 요인간의 관계를 다각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세부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모바일 러닝 사용현황을 살펴보고, 조사대상자의 특성(성별, 학년별, 전공별)에 따라 모바일 러닝 사용의도와 영향요인으로 설정된 잠재변인들의 차이를 분석한다. 둘째, 정보기술수용모델에 근거한 대학생들의 모바일 러닝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설정하여 구조방정식모델의 분석단계별 검증을 통해 모델의 적합도를 검증하고, 평가한다. 셋째, 구조방정식모델 내에서 모바일 러닝 사용의도(최종 내생변인)와 내생변인(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사용용이성, 태도), 외생변인(자아효능감, 학업관련성, 시스템 접근성, 주관적 규범) 등의 관계성을 분석한다. 넷째, 대학생들의 모바일 러닝 수행 경험 여부에 따라 분류된 그룹 유형별로 모바일 러닝 사용의도와 설정된 내&#8228;외생변인간의 관계성을 분석하여 그룹별 연구 모델의 차이를 규명한다. 표집은 학생들에게 정규 e-러닝 강좌를 모바일 러닝으로도 학습할 수 있도록 모바일 러닝 지원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서울 소재 K대학의 대학생 700명을 조사대상으로 표집하였다. 설문조사는 1:1 면접조사 및 강의실 집합조사의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총 700명의 설문 응답자 중 부실기재된 자료(52부)를 제외하고, 648부를 최종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이 주로 이용하는 모바일 기기 현황은 PMP(23.49%), 넷북(21.62%), 아이팟(20.37%), 전자사전(18.30%) 등이며, 모바일 기기를 보유하고 있는 응답자 중 59.88%가 모바일 러닝을 수행하고 있었다. 모바일 러닝의 주된 학습방법은 모바일 기기의 다운로드 방식이 64.93%로 가장 높았고, 주로 활용하는 모바일 학습 분야는 어학공부(57.99%), 자격증&#8228;시험관련 강의(18.06%), 대학 전공수업(11.4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모바일 러닝 사용의도와 영향 요인의 차이 검증에서 성별은 자아효능감, 사용용이성 등에서 남자가 여자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학년별로는 주관적 규범(4학년>2학년), 사용의도(4학년>1학년) 등에서 그룹간 차이가 나타났으며, 전공별로는 자아효능감, 학업관련성, 시스템 접근성, 주관적 규범 등의 모든 외생변인과 지각된 유용성, 사용의도 등의 내생변인에서 그룹간 차이가 발생하였다. 둘째, 이 연구에서 제시된 구조방정식 모델의 전반적 적합도 검증 결과는 x2=994.66(p=.00), RMR=.041(p<.05), RMSEA=.064(p<.01), GFI=.894(p>.90), AGFI=.865(p>.80), NFI=.926(p>.90), CFI=.945(p>.90), IFI=.946(p>.90), CN=223.40(p>200) 등으로 분석되었다. x2의 결과치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지수가 수용 기준을 넘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GFI는 수용기준인 .90에 매우 가까운 값이 산출되어 전반적으로 모델의 적합도는 우수하여 수집된 자료들이 연구 모델을 설명하는데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측정모델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한 결과 모든 관찰변인들의 표준요인 적재량이 전반적으로 .70 이상의 적재치를 나타나 타당도가 확보되었으며, 모든 잠재변인내에서 Cronbach의 신뢰도(α) 계수 .80 이상, 개념신뢰도 0.7이상, 평균분산추출지수 0.5이상의 값들이 산출되어 전반적으로 신뢰도는 매우 양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구조방정식 모델에서 관계성을 분석한 결과 대학생들의 모바일 러닝 사용의도에 대하여 모바일 러닝 태도, 학업관련성, 주관적 규범 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바일 러닝 태도에는 지각된 유용성과 자아효능감, 학업관련성, 주관적 규범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바일 러닝의 지각된 유용성에는 지각된 사용용이성, 학업관련성, 주관적 규범 등이, 지각된 사용용이성에는 자아효능감과 시스템 접근성 등에서 높은 직접효과가 발생하여 유의미한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모델의 변인간 직접&#8228;간접효과와 경로 관계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학업관련성&#8228;주관적 규범→지각된 유용성→태도→사용의도 등의 경로가 가장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바일 러닝의 지각된 유용성은 사용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은 주지 않지만 모바일 러닝 태도를 통해 간접효과가 발생하고 있으며, 학업관련성과 주관적 규범 등은 직접&#8228;간접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주고 있었다. 이를 종합해 볼 때 모바일 러닝의 학업관련성 및 주관적 규범 등은 모바일 러닝 사용의도의 영향요인과 요인간의 관계에서 핵심변인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모바일 러닝의 수행 경험 유무에 따른 그룹 유형별 연구 모델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실제 학습 경험에 따라 다소간의 차이가 발생하였다. 모바일 러닝 수행 경험 그룹의 구조방정식 모델에서는 모바일 러닝 사용의도에 태도, 시스템 접근성, 주관적 규범 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모바일 러닝 미경험 그룹의 모델에서는 모바일 러닝 사용의도에 모바일 러닝 태도, 학업관련성, 주관적 규범 등이 정적인 관계에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근거를 두어 다음과 같은 제언을 제시한다. 첫째, 대학생들의 모바일 러닝 사용의도를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이 연구에서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된 모바일 러닝 태도, 학업관련성, 주관적 규범 등을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전략이 필요하다. 둘째, 모바일 러닝의 경험에 따라 분류된 그룹별 모델에서 변인간 관계성의 차이가 발생하였으므로 모바일 러닝의 경험 여부에 따라 모바일 러닝 활성화를 위한 맞춤형 전략이 필요하다. 셋째, 연구 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성별, 전공별, 연령대별 등)에 따라 세분화하거나, 대학생 이외에 모바일 러닝의 가장 큰 수요집단인 수능 예비수험생들이나 이동성이 강한 직장인 등을 대상으로 모바일 러닝의 사용의도와 영향요인 간의 연구모델을 검증함으로써 모바일 러닝의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전략과 연구 대상의 상황에 맞는 촉진 전략을 도출해야 한다. 넷째, 이 연구는 모바일 러닝에 대한 선행연구의 부족으로 e-러닝의 사용의도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영향요인과 요인간 관계성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향후 모바일 러닝의 사용의도에 관한 지속적 연구를 통해 이론적 토대를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모바일 러닝과 관련된 유사 연구 간에 활발한 비교&#8228;논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서 선정된 영향요인 이외에 모바일의 특성 요인, 사회적 환경 요인, 개인적 특성 요인 등의 요인들로 총체적으로 범주화하여 모바일 러닝 사용의도와의 관계성을 다각적으로 접근하는 모델 확장과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E-learning, which has emerged as a new educational method with a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has evolved into a totally different type called ‘mobile learning’ and has led an educational innovation. To make this new educational method available in reality, research related to e-learning use am learners is essential. Therefore, it is also important to investigate an intention to use mobile learning. This paper has attempted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 am the factors that have an influence on university students’ intention to use mobile learn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and the relationship am the factors of a structural equation model by group which has been classified depending on the experience of mobile learning. For this study, 700 university students at ‘K’ University in Seoul, which is equipped with a mobile learning support system, participated in the study as a sample. In terms of a questionnaire survey, one-on-one interviews and group surveys have been used. Am the total of 700 answer sheets, 648 sheets have been used for this study, disregarding 52 incorrectly answered sheets. The major results of this paper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university students’ intention to use mobile learning, no difference has been observed by gender. Regarding school years, senior (M=4.70) was higher than freshman (M=4.24; F=3.57, p<.05). In terms of major, on the contrary, ‘Education and Arts (M=4.66)’ showed higher intention to use mobile learning than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M=4.35).’ Second, the model was good enough to use according to several fit indexes such as x2=722.80 (p=.00), RMR=.041, RMSEA=.060, GFI=.911, AGFI=.881, NFI=.933, CFI=.952, IFI=.946 and CN=230.21. Except for the result of x2, most indexes exceeded the acceptance levels, which means that the model is appropriate. According to a test 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ement model through confirmatory factory analysis, furthermore, the model was acceptable. Third, according to an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am the factors that have an influence on university students’ intention to use mobile learning, some factors such as mobile learning attitude, academic relevance to student' major learning and subjective norm had a significant impact on university students’ intention to use mobile learning. In terms of mobile learning attitude, perceived usefulness, self-efficacy, academic relevance to student' major learning and subjective norm have been identified influential. On the contrary, perceived ease of use, academic relevance to student' major learning and subjective norm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erceived usefulness. It is further identified that both self-efficacy and system accessibility had significant effects on ease of use. Fourth, according to an analysis on the difference i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by group which has been classified depending on the experience of mobile learning, a difference has been observed in some variables. In a mobile learning experience group, mobile learning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system accessibility had a positive impact on university students’ intention to use mobile learning. Therefore, system accessibility has been considered as a new influential factor, compared to a model adopting entire group as a sample. In a mobile learning non-experience group, on the other hand, mobile learning attitude, academic relevance to student' major learning and subjective norm had a significant impact on university students’ intention to use mobile learning in positive relationship. Therefore,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model adopting entire group and the model adopting non-experience group as a sam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