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주제중심 통합학습에 대한 초등학교 저학년 교사의 인식 연구

        나혜원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2007 개정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초등 교육 현장에서 실행되고 있는 주제중심 통합학습에 대한 초등학교 저학년 교사의 인식 연구이다. 저학년 통합 교육 과정의 내실화 및 질적 제고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문제 1. 초등학교 저학년 교사가 인식하는 주제중심 통합학습의 실행 여건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 2. 초등학교 저학년 교사가 인식하는 주제중심 통합학습의 효과는 무엇인가? 연구 문제 3. 초등학교 저학년 교사가 인식하는 주제중심 통합학습의 방법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는 어떠한가? 연구 문제 4. 초등학교 저학년 교사가 인식하는 주제중심 통합학습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연구 문제 5. 초등학교 저학년 교사가 인식하는 주제중심 통합학습의 개선 방안은 무엇인가? 위의 연구는 주제중심 통합학습에 관련된 선행 연구를 조사하고, 질문지를 작성하여 통계처리를 한 후, 분석 ․ 논의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방법으로 논의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저학년 교사의 주제중심 통합학습의 실행 여건에 대한 인식은 전반적으로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교사는 과거 전통적인 분과 위주의 사고방식과 교수 방식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새로운 학습 방법에 대한 저항이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주제중심 통합학습의 효과에 대한 저학년 교사의 인식은 교직 ․ 담임 경력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주제중심 통합학습과 관련한 수업 개선 연구, 학습 자료 개발 등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주제중심 통합학습 방법에 대한 중요도 인식에 비해 실행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요도 인식은 교직 ․ 담임 경력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실행도는 저학년 담임 경력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저학년에서 고경력의 교사들의 실행도가 높은 곳으로 나타났다. 주제의 선정과 조직, 계획, 실행과 평가의 세 단계에서 중요도는 모두 높았으나 실행도는 낮았는데, 주제중심 통합학습의 방법에 대한 전반적인 연수와 함께 저경력자를 대상으로 한 워크숍이 영향을 끼쳤으리라고 본다. 이는 저경력자 교사일수록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에서 기인한다. 넷째, 주제중심 통합학습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은 교과서에 제시된 학습량이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교육 과정 재구성 능력 향상과 주제중심 통합학습에 대한 아동의 관심과 학부모의 협조,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다섯째, 주제중심 통합학습의 개선 방안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교재 및 교구의 제작, 교과 시간의 융통성, 연수의 활성화 등을 개선방안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의 교육과정 운영 재량권 확보와 수업 지원 면에서의 국가적인 협조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주제중심 통합학습의 성공적인 실행은 교사의 능력과 국가의 지원이라고 분석된다. 이상 주제중심 통합학습에 대한 초등학교 저학년 교사의 인식 연구 결과는 앞으로 교사의 인식 변화가 요구되며 또한 교사와 아동, 학부모 단위 학교가 함께 주제중심 통합학습의 의의와 효과를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실천할 때, 주제중심 통합학습의 성공적인 정착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ways to improve quality of education for lower-grades elementary education by improving connectivity between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education by researching perception of lower-grades elementary teachers on theme-based integrated learning being conducted in elementary schools based on textbooks revised in 2007. Study Tasks 1. How are the conditions for conducting preception of lower-grades elementary teachers on theme-based integrated learning? Study Tasks 2. What are the effects of perception of lower-grades elementary teachers on theme-based integrated learning? Study Tasks 3. What are the importance and execution of perception of lower-grades elementary teachers on theme-based integrated learning? Study Tasks 4. What are the problems of perception of lower-grades elementary teachers on theme-based integrated learning? Study Tasks 5. What are the plans for improving theme-based integrated learning? The study conducted precedent studies on theme-based integrated learning and prepared statistics by preparing questionnaires than analyzed and discussed. First, the perception on the conditions for conducting theme-based integrated learning were higher for those with experiences. The differences it was statistically meaningful(p<.01). The increase in knowledge and knowhow accumulated through experience and trials and errors as a teacher seemed to have increased perception on the conditions for conducting theme-focused integrated education. Second, the effects of theme-based integrated learning showed differences between careers which did not show statistically meaningful results(p>.05). It means that there needs systematic studies on theme-based integrated learning along with investments on studies to improve classes, development of learning materials. Third, the importance of the methods of theme-based integrated learning was high while the execution was low. This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t=16.243, p<.001). There needs workshop for those with little experience along with general training on the methods of theme-based integrated learning. Fourth, the problem of theme-based integrated learning was that there are too much work load presented from textbooks. Fifth, the plans for improving theme-based integrated learning was analyzed as production of textbooks and learning materials, flexibility of class hours, encouraging training and it was analyzed that successful execution of theme-based integrated learning was based on the ability of teachers and supports from the government. These results indicate methods of efficient improvements on lower-grades elementary education and quality teacher training. theme-based integrated learning will be successful when the meaning and the effects of theme-based integrated learning are recognized and executed by children, parents and schools along with changes in teacher perception. Keywords : theme-based integrated learning, lower-grades elementary education

      • 혁신학교 학생자치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경험이 초등학생의 민주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

        나혜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사회에서 학교교육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학교에서의 경험이 과연 학생들의 교육적 성장에 도움이 되는지에 의문을 제기하는 것이다. 즉, 남을 이기는 경쟁만을 강조하며 과열된 입시의 장(場)으로 전락해버린 ‘학교’라는 곳은 학생과 학부모의 피로를 가중시키고 교육의 본질을 흐리게 한다. 이에 우리 교육을 개혁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끊임없이 있어왔다. 그러나 수많은 교육개혁에 대한 시도와 담론들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학교교육에 대한 신뢰는 찾지 못했다. 최근 경기도를 비롯한 몇몇 지역과 학교에서 활발히 운영되고 있는 혁신학교는 공교육에 대한 불신을 걷어내고 교육의 본질을 되찾고자 하는 움직임이다. 즉, 혁신학교라는 새로운 시도를 통해 학교문화를 바꾸고 교육의 체질을 개선하겠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혁신학교에서 추구하는 다양한 가치 가운데 ‘민주성’이라는 것에 주목하여 혁신학교 학생자치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경험이 초등학생의 민주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혁신학교에 다니는 초등학생들의 배경변인에 따라 민주시민의식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혁신학교의 학생자치활동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민주시민의식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혁신학교의 학생자치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중요한 타인의 관심은 초등학생의 민주시민의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2곳의 혁신학교 5~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해당 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배부된 673부의 설문지 중 응답을 하지 않았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52명의 자료는 제외하고 총 621부를 연구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Sta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21.0을 활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 상관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혁신학교에 다니는 초등학생들의 민주시민의식은 보통보다 조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민주시민의식의 구성요소인 지식, 가치태도, 실천 영역의 평균점수를 비교한 결과 지식 영역의 평균점수가 가장 높았고 뒤이어 가치태도, 실천 영역의 순서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초등학교에서 민주시민교육을 실시할 때 고려해야 할 중요한 지침을 제공한다. 즉, 초등학교에서 민주시민교육을 할 때 지식적인 내용에 그치지 말고 보다 실천적인 측면을 강화하여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혁신학교에 다니는 초등학생들의 성별, 학교, 학년에 따른 민주시민의식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했다. 그 결과 성별에 따라 민주시민의식에 차이가 있었는데 여학생의 민주시민의식이 남학생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학교에 따른 민주시민의식의 차이를 검증해 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이를 통해 A학교에 다니는 학생들이 B학교에 다니는 학생들에 비해 민주시민의식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학교 학생자치활동 프로그램의 구성과 운영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즉, 학생들의 민주시민의식을 함양시키기 위해 운영되는 프로그램이 학교에 따라 학생들에게 다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그것의 구성과 운영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다시 말해 학교 간에 차이가 있다는 것은 학교 내의 구성원들이 해당 프로그램에 관심을 갖는 정도에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학생들의 민주시민의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교장 및 교사들이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관련 프로그램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운영해야 한다. 한편 학년에 따른 민주시민의식의 차이를 검증해 본 결과 5학년이 6학년에 비해 민주시민의식 평균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셋째, 혁신학교의 학생자치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의 관심과 참여는 초등학생의 민주시민의식에 대해 높은 설명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학생자치활동 프로그램에 대해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학생일수록 민주시민의식이 높다고 볼 수 있다. 넷째, 혁신학교의 학생자치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부모의 관심과 교사의 관심 그리고 주변 친구의 참여는 초등학생의 민주시민의식에 대해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이는 학생자치활동 프로그램에 대해 중요한 타인(부모, 교사, 친구)이 관심을 갖는 것이 초등학생의 민주시민의식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학생자치활동 프로그램에 대해 부모나 교사가 관심을 가질수록 학생의 민주시민의식은 높아질 것이다. 또한 주변 친구 가운데 학생자치활동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친구가 많은 학생일수록 민주시민의식이 높아질 것이다. 요약하면 혁신학교에 다니는 학생들의 민주시민의식은 보통보다 조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여학생의 민주시민의식이 남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민주시민의식은 학교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나 학년 간의 차이는 드러나지 않았다. 특히 학생자치활동 프로그램에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학생일수록 민주시민의식이 높았고, 자신의 부모나 교사 그리고 친구들이 그 프로그램에 관심을 가질수록 학생의 민주시민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의 민주시민의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흥미를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학생자치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다양한 홍보활동을 통해 학부모, 교사, 또래 학생들의 관심을 이끌어내야 한다. 또 지식중심의 교육에서 벗어나 실천 위주의 민주시민교육을 실시해야 하며 보다 적합한 학생자치활동 프로그램의 구성과 운영을 위해 학교장 및 교사들의 각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There are much concern about public education in Korean society. It raises a question of whether the experience in school is helpful for the educational growth. That is, a school exacerbates the fatigue of students and parents and distorts the essence of the education. Because the school has degenerated into an excessive competition in entrance examinations causing many education reforms, it’s difficult to restore public confidence in schools despite so many attempts and discourse of the education reform in Korea. Innovation school is a trend for restoring the essence of the education and it has been widespread throughout the Gyeonggi-do and other provinces. I believe the culture of school can change and educational constitution can improve through the innovation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self-governing activity program on democratic citizenship of students in the innovation school. There are three research problems to achieve the study.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s in democratic citizenship of students in innovation school? Second, does a self-governing activity program has influence on democratic citizenship of students in innovation school? Third, does an interest of significant other in self-governing activity program has influence on democratic citizenship of students in innovation school? To verify these research problems, 621 students from innovation schools in 5th and 6th grades in Gyeonggi-do were select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The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21.0 program was used for the purpose of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ajor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democratic citizenship of students in innovation school was above average. In comparison with the average score of knowledge, value and attitude, practice, the knowledge has the highest and the practice has the lowest. Finding from this study provide very important guidance when teaching Democratic citizenship in elementary school. Therefore, more important thing is practical than just providing knowledge when teaching democratic citizenship in elementary school. Second, the independent sample verification was conducted to verify differences in democratic citizenship of students in innovation school. As a resul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related to gender and school. A democratic citizenship of girls was higher than that of boys and a democratic citizenship of a school was higher than that of B school.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democratic citizenship of students related to grade. It provides very important fact to run student self-governing activity programs and how to operate it since the same program showed different results.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program is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from Principle and other teachers. Third, an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self-governing activity program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democratic citizenship of students in innovation school. The more student participates in self-governing activity program, the higher democratic citizenship of students is. Fourth, an interest of significant other in self-governing activity program has a meaningful influence on democratic citizenship of students in innovation school. Namely, when the parents, teacher and peer have an interest in self-governing activity program, democratic citizenship of students would be enhanced. To sum up the overall democratic citizenship of students in innovation school was above average. There w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emocratic citizenship of students related to gender and school. Especially the more student participates in self-governing activity program, the higher democratic citizenship of students is. And an interest of significant other in self-governing activity program has a meaningful influence on democratic citizenship of students in innovation school. To enhance a democratic citizenship of students various self-governing activity program which is attractive to students should be developed. And school have to draw attention to the program through a various methods. The orientation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should be changed from knowledge-centered education to practical-centered education. And in order to operate the program successfully principal and teacher would have to exert themselves.

      • 학교영양사의 전문성에 대한 역량요구도 및 자기평가 : 서울지역의 일부 학교 영양사들의 능력조사

        나혜원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ntended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dietitians in charge of school meals to develop their expertise by figuring out how much would be the capability requirement of which they take as school dietitians so that they can make a self-diagnosis of their own capability based on it of dietitians who are working now in schools in some areas of Seoul. The capability of school dietitian affects not only the quality of school meal operations but also how to plan the healthy development in both physical and mental aspects of growing students. Thus, this study can be basic data for school dietitians to check themselves and set them in a desirable direction for their future, and further intended to expand the social interest in school dietitians. In this study, it conducted a survey of 101 dietitians working in schools for their capability demand and self-evaluation as divided them into school meal management, nutrition education & counseling, administrative works,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based on age, work experiences, and whether or not they acquired the second-grade teaching licence, and compared the results by scoring on a five-point scale. First of all, as the result from a survey with detailed questions regarding school meal management such as implementation of school meal plans, school meal marketing, nutrition information of school meal, control of food wastes from school meal, and how to make out menu for school meal, etc., it showed higher scores in their 30s of the capability demand for implementation of school meal plans, school meal marketing, nutrition information of school meal, control of food wastes from school meal, and study for school meal menu, etc. For the capability demand or self-evaluation of school meal management by their work experiences, it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periences for more than 10 years or less. While it showed no difference in the capability demand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y acquired the second-grade teaching license, i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lf-evaluation. This is considered as the growth through sharing information with dietitians and learning in the process of acquiring the second-grade teaching license such as implementation of school meal plans, school meal marketing, nutrition information of school meal, control of food wastes from school meal, and study for school meal menu, etc. For detailed questions in the sector of nutrition education, it showed higher capability demand in their 20s regarding teaching plans, development of educational data, teaching methods, implementation of educational evaluation, and techniques for educational counseling, etc., and showed higher self-evaluation in their 40s. For the capability demand or self-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by their work experiences, it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periences for more than 10 years or less. For whether or not they acquired the second-grade teaching license, it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apability demand and self-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This is considered that since the second-grade teaching license is required in the course of taking the recruitment test of school dietitian, it did not have much effect on improving nutrition education. The detailed questions in the sector of administrative affairs, it showed higher capability demand and self-evaluation in their 30s, while lower in their 20s, regarding implementation of administrative budget, administrative meal facilities, draft of administrative documents, consultation on administrative affairs, and operation of administrative meals, etc., but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is is considered that they lacked the know-how in handling of administrative affairs, such as budget implementation, meal facilities, document drafting, business consultation, and meal service management, etc., as a beginner in the society. For the capability demand or self-evaluation by their work experiences, it also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periences for more than 10 years or less. For the capability demand by whether or not they acquired the second-grade of teaching license, while the survey revealed that it would need high capability in the sector of administrative affairs, it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lf-evaluation. For detailed questions in the sector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it showed higher scores in the capability demand and self-evaluation in their 40s, while lower in their 20s, regarding human work allocation, human work instruction, human safety education, human personal hygiene, and human mutual cooperation, etc. For the detailed sectors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such as duty allocation, work instruction, safety education, personal hygiene, and mutual cooperation, etc., it showed that school dietitians had insufficient capability to handle variables in their practical works, and this is considered for the reason of that the major age group of the culinary staffs working with them are relatively older in their 40s, making the younger dietitians with short career difficult in their smooth management of human resource for school meal. I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experience between the one for more than 10 years and the one for less than 10 years. This is believed for the reason of that the ones worked for more than 10 years might have more experted on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as they have accumulated the know-how by the experience. For the capability demand by whether or not they acquired the second-grade teaching license, i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nd while they deepl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capability for meal service operation during their course of study for the second-degree teaching license, it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lf-evaluation. This is believed for the reason of that for the self-evaluation, whether or not they acquired the second-grade teaching license has failed to lead to the actual improvement in their capability. 본 연구에서는 서울 일부 지역 현직 학교 영양사들을 대상으로 학교 영양사로서 갖추어야 할 역량요구도가 어느 정도 인지를 파악해보고, 영양사 스스로가 자신의 역량을 진단해 봄으로써 학교 급식을 담당하는 영양사의 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한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학교 급식을 담당하는 영양사의 역량에 따라 급식 운영의 질뿐만 아니라 성장기 학생들에게 심신의 건전한 발달 도모에도 많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영양사 스스로가 자신을 점검해 보고, 앞으로의 바람직한 방향으로 설정하기 위한 기초 자료이며, 더 나아가 학교 영양사의 사회적 관심을 확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에 종사하는 영양사 101명을 대상으로 연령, 경력, 정교사 2급 자격 취득 여부를 기준으로 역량요구도 및 자기평가를 학교급식관리, 영양교육 및 상담, 행정업무, 인적자원관리로 구분하여 조사되었으며, 5점 척도로 점수화 하여 비교 하였다. 우선, 학교급식관리에서의 세부문항은 급식계획실행, 급식마케팅, 급식영양정보, 급식잔반관리, 급식메뉴연구 등으로 조사 한 결과 역량요구도는 30대에서 급식계획실행, 급식마케팅, 급식영양정보, 급식잔반관리, 급식메뉴연구 등의 역량요구도가 높은 점수를 보였다. 경력에 따른 학교급식관리의 역량요구도와 자기평가는 10년 이상이나 10년 미만이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정교사 2급 자격 취득 유무에 따른 역량요구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자기평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급식계획실행, 급식마케팅, 급식영양정보, 급식잔반관리, 급식메뉴연구 등 정교사 2급을 취득하는 과정에서 영양사들과의 정보 공유 및 학업을 통한 성장으로 평가된다. 영양교육 부문에서의 세부문항은 교육교수과정안, 교육자료개발, 교육교수방법, 교육평가 실시, 교육상담기술 등 20대에서 역량요구도가 높았으며, 자기 평가에서는 40대가 높게 나타났다. 경력에 따른 영양교육의 역량요구도 및 자기평가는 10년 이상과 10년 미만은 통계적으로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정교사 2급 자격 취득 유무에서는 영양교육의 역량요구도 및 자기평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이는 영양교사 임용시험을 치르기 위한 과정에서의 2급 정교사 자격이 필요한 것으로 영양교육을 향상 시키기 위함에서는 많은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사료된다. 행정업무 부문에서의 세부문항은 행정예산집행, 행정급식시설, 행정문서기안, 행정업무협의, 행정급식운영 등 역량요구도 및 자기평가에서 30대가 높게 나타나고, 20대가 낮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이는 행정업무 처리에 있어서 예산 집행, 급식시설, 문서기안, 업무협의, 급식운영 등 사회 초년생의 행정업무 노하우가 부족했던 것으로 사료된다. 경력에 따른 역량요구도 및 자기평가에서도 10년 이상과 10년 미만의 통계적으로 유의적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교사 2급 자격 취득 유무에 따른 역량요구도는 정교사 2급 취득이 행정업무 부문에서 높은 역량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 되었으나, 자기평가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적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적자원관리 부문에서의 세부문항은 인적업무배분, 인적작업지시, 인적안전교육, 인적개인위생, 인적상호협력 등 역량요구도 및 자기평가에서 40대가 높은 점수를 나타났으며, 20대가 낮게 나타났다. 인적자원관리 부문 세부영역별은 업무배분, 작업지시, 안전교육, 개인위생, 상호협력 등 20대에서는 실제적 변수처리능력의 미흡과 조리원들의 주 연령대는 40대가 많고, 경력이나 연령이 낮은 20대 영양사가 원할한 급식 인적관리에 어려웠을 것으로 사료된다. 경력에 따른 10년 이상과 10년 미만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적자원관리는 경력에 의한 노하우의 축적으로 10년 이상의 경력자가 더 노련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정교사 2급 자격 취득 유무에 따른 역량요구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교사 2급 취득을 위한 교육과정 중에 급식 운영을 위한 역량의 중요성을 깊게 인식하였으나, 자기평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기평가에서 자격증 유무가 실제적 역량 향상으로 이어지지 못한 것으로 사료된다.

      • 공기청정기의 유로 최적 설계와 Geometry Form Factor 최적화를 위한 상관관계 연구

        나혜원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frequent exposures to the fine micro dust influence not only human’s respiratory system, but also the physical activities. There have been several kinds of research about the dangerous effect of exposure to fine micro dust on the human body, and they suggest that outdoor workers have more risk of exposure to fine micro dust than indoor workers. In particular, it was studied that the concentration of fine micro dust is 2.45 times higher in the outside construction area than that of atmosphere. Since the workers use heavy construction machinery, they are forced to experience more micro dust in their working places. Moreover, fine micro dust also affects the quality of life indoors. Hence, according to the Industrial Safety Guarantee Act, appropriate air atmosphere measures should be taken to prevent the workers from their health impairments. This thesis developed the process for the optimal design of an air purifier. Additionally, the correlation equations among design variables are presented in order to satisfy the main performance of the air purifier. This research focuses on geometric parameters such as the box size, filter type, fan diameter, rotational speed, and flow type. The measured data are compared with the predicted data to confirm the reliability of the correlations. Based on the correlation data, the similarity law is used to perform the sensitivity analysis for power consumption, noise level and static pressure. Depending on the operating point, where the resistance curve of the filter and the performance curve of the fan meet, the micro dust removal rate for the air purifier system is predicted according to KS standards. The prototype of the air purifier is manufactured based on optimized design parameters, and the prototype is tested and certified by an accredited certificate authority to confirm the proposed correlation formulas. As a result, the predicted and tested ones show agreements within an error range less than ±5%, which confirm that the optimal design process could result in the design goals in terms of dust removing ability, power consumption, and noise ability by the national standards. Finally, to prevent operators of construction machinery from excessive exposures to fine micro dust, the air purifier that can be installed in the cabin room of construction machinery is designed and its expected performances with design variables are given. 최근 잦은 미세먼지 발생으로 인하여 호흡기뿐만 아니라 신체활동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미세먼지 노출이 인체에 미치는 위험성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왔으며, 그 중 옥외 작업자는 옥내 작업자보다 미세먼지 노출에 대한 위험이 크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특히 건설업 옥외 작업장의 미세먼지 농도는 건설기계의 중장비 사용으로 인하여 대기 중 미세먼지 농도보다 2.45배가량 더 높다고 연구 되었다. 미세먼지는 실내 공기 및 실내 활동에도 영향을 미치기에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근로자의 건강장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기준 및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공기청정기의 최적 설계를 위한 프로세스를 개발하였다. 또한 공기청정기의 주요 성능을 만족시키기 위해 설계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상자크기, 필터 유형, 홴 직경과 회전수 그리고 유로와 같은 기하학적 매개 변수에 중점을 두었다. 예측 데이터를 측정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관관계의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상관관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압, 소음 수준 및 소비전력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는데 상사성 법칙을 사용하였다. 홴의 성능 곡선과 필터의 저항 곡선이 만나는 작동점에 따라 KS규격을 통해 공기청정기의 청정화능력을 예측하였다. 공기청정기의 시제품은 최적화된 설계 변수들을 기반으로 제작 되었으며, 제안한 상관식의 신뢰성 검증을 위해 공인인증기관에서 공기청정기 시제품을 시험하였다. 그 결과 예측 및 시험 데이터는 ±5% 미만의 오차범위 내에서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설계 프로세스가 국가 표준에 의한 청정화 능력, 소비전력, 소음측면에서 설계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건설 기계 장비를 운전하는 작업자가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의 과도한 노출에 착안하여 건설기계의 운전룸 내 사용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설계하고 성능 및 설계 변수를 도출하였다.

      • 고초균 metallo-β-lactamase fold 단백질의 결정구조 및 phosphodiesterase 활성 연구

        나혜원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Metallo-β-lactamase(MBL) superfamily 단백질들은 금속이온과 결합한 αβ/βα fold를 공통적으로 지니지만 다양한 가수분해 효소기능을 담당하기 때문에 아미노산 서열만으로는 효소적 활성을 예측하기 어렵다. 고초균은 MBL fold 단백질인 YhfI를 발현하지만 아직까지 YhfI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 보고된 바가 없다. 본 학위논문에서는 X-선결정학 방법으로 YhfI의 3차원 구조를 제시하고 생화학적 분석을 통해 YhfI가 phosphodiesterase로서 기능함을 밝히고자 한다. YhfI는 MBL fold 단백질의 공통적인 구조인 αβ/βα fold를 가지며 dimer로 존재한다. 또한 X-ray fluorescence scattering scan을 통해 YhfI는 결정에서 아연 이온과 결합해 있음을 확인하였다. 아연 이온은 YhfI ortholog들에서 보존되어 있는 histidine 잔기 그리고 aspartate 잔기와 배위결합을 한다. YhfI와 구조적으로 비슷한 RNase Z와 yeast PDE-1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YhfI가 phosphodiesterase로서 기능한다고 가정하였다. 효소 활성 실험에 따르면 YhfI는 망간 존재 하에서 pH 8.0-9.5 범위에서 높은 phosphodiesterase 촉매 활성을 나타냈다. YhfI 구조와 yeast PDE-1 구조 비교 분석에 기초하여, 금속 이온이 존재하는 intersubunit pocket이 YhfI 단백질의 효소 활성 부위임을 제안한다. Metallo-β-lactamase (MBL) superfamily proteins have a common αβ/βα fold that binds metal ions. However, because MBL fold proteins function as diverse hydrolases, it is difficult to predict their specific enzymatic activities based on amino acid sequences. Although Bacillus subtilis expresses an MBL fold protein, YhfI,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YhfI have not yet been reported. In this paper, we provide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YhfI by X-ray crystallography and reveal the phosphodiesterase function of YhfI through a biochemical analysis. YhfI protein adopts an αβ/βα fold, which is the common structure of MBL fold proteins, and exists as a dimer. Moreover, X-ray fluorescence scattering scan indicates that YhfI is bound to zinc ions in the crystal. Zinc ions are coordinated by histidine and aspartate residues, which are conserved in YhfI orthologs. Through a comparative structural analysis of YhfI and its homologs, such as RNase Z and yeast PDE-1, we hypothesized that YhfI functions as a phosphodiesterase. In enzyme activity experiments, YhfI exhibited a high phosphodiesterase activity at pH 8.0-9.5 in the presence of manganese. Further comparative analysis of the YhfI and yeast PDE-1 structures suggests that the active site of the YhfI enzyme is located in an intersubunit pocket that accommodates metal ions.

      • 고등학교 배구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이 성취동기와 수행전략에 미치는 영향

        나혜원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고등학교 배구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이 성취동기와 수행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규명하기 위해 2015년 현재 대한배구협회에 등록되어있는 전국 고등학교 남자 배구선수 232명, 여자 배구선수 147명을 모집단으로 선정한 다음 편의추출법(convenience sampling)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한 후, 총 379부의 설문지를 배포 하였다. 실제분석에는 질문 문항에 불일치하는 자료, 조사내용의 일부가 누락된 자료 17부를 제외한 후 총 362부의 설문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version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독립 t-검증,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사회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주요변수(성취목표성향, 성취동기, 수행전략)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성취목표성향에서 성별에 따른 자기성향과 포지션에 따른 과제성향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성취동기에서 운동경력에 다른 성공성취동인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포지션에 따른 성공성취동인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시합출전위치에 따른 성공성취동인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시합출전횟수에 따른 성공성취동인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수행전략에서는 성별에 따른 혼잣말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운동경력에 따른 긴장풀기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포지션에 따른 컨디션 조절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시합출전위치에 따른 컨디션 조절과 심상과 목표설정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시합출전횟수에 따른 컨디션 조절, 심상과 목표설정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교 배구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이 성취동기에 주는 영향은 성공성취동인, 실패회피동인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과제성향과 자기성향은 성공성취동인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과제성향은 실패회피동인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고등학교 배구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이 수행전략에 미치는 영향은 컨디션 조절, 심상과 목표설정, 긴장풀기, 감정조절, 혼잣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과제성향은 컨디션 조절, 심상과 목표설정, 긴장풀기, 혼잣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자기성향은 감정조절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n Achievement Motivation and Performance Strategy among High School Volleyball Players. After selecting 232 male and 147 female volleyball players of national high schools currently registering to Korea Volleyball Association in 2015 as a population, and then extracting samples based on the convenience sampling, total 379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Excluding 17 questionnaires with omitted or discordant responses, total 362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Using SPSS version 18.0 program for the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study methods and procedures, this study had drawn conclusions like following. First, the main factors(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chievement motivation, and performance strategy) in accordance with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howed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Regarding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elf-orientation in accordance with sex and task orientation in accordance with posi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gard of achievement motivation, the success achievement motivation in accordance with exercise caree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hile the success achievement motivation in accordance with posi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lso the success achievement motivation in accordance with the game positioning and the number of participating in gam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Regarding the performance strategy, talking to oneself in accordance with sex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hile relaxing in accordance with exercise caree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The regulation of condition in accordance with posi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lso, the regulation of condition and setting up images and goal in accordance with the game positioning and the number of participating in gam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 the high school volleyball player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achievement motivation such as both success achievement motivation and failure evasion motivation. The task orientation and self-orientation had positive influence on success achievement motivation while the task orientation had positive influence on failure evasion motivation. Third, the high school volleyball player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had all significant influence on performance strategy such as the regulation of condition, setting up image and goal, relaxing, regulation of emotion, and talking to oneself. The task orientation had positive influence on the regulation of control, setting up image and goal, relaxing, and talking to oneself while self-orientation had positive influence on the regulation of emotion.

      • 지방의회 지원체계의 전문성 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전주시를 중심으로

        나혜원 전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esent Korean contexts on the local council’s secretariat staff organization and personnel management, which revealed the one-sides control authority of the executives, mainly due to the unified system of the strong mayor-weak council power structure of all local governments. Local council members for their activities should have encountered great difficulty without the help from the local council’s secretariat staff whose typical duties include researching and responding to inquires from residents, sometimes, on behalf of council member; drafting written communications involving strategy, policies and/or procedures on behalf of the former; and serving as the representative of the elected official regarding certain functions; generally speaking, they schedule and prepare the council agenda and process all files for council consideration during the on-and-off legal meeting sessions. Based on these problems,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several policy directions. First, we can think that a member of staff or aides may be engaged either by a single council member or jointly by two or more council members through a pool and a same party. Second, the following measures will be another path to seeking the answer to the question of how to enhance council members performance, that is: by providing the financial aids such as incidental and ancillary employment costs and temporary legislative aides and staff cover costs, a member is allowed to engage staff under a contract of employment(whether on a full-time or part-time basis), under a contract for services or by virtue of an arrangement with the executives’s budget availability, pursuant to the byelaws or governmental regulations which have to be stipulated prior to the execution of the regime beforementioned.

      • 알츠하이머와 혈관성 치매환자의 음악적 잔존능력 비교 연구

        나혜원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알츠하이머와 혈관성 치매 환자의 음악적 잔존능력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으로 음악적 잔존능력 검사도구인 RMST-K를 사용 하여 반응을 측정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전문의에 의해 치매로 진단받은 사람 중 알츠하이머형 치매(AD)와 혈관성치매(VaD)에 해당하는 환자 95명으로, 인지기능 검사(MMSE-K)에서 24점 이하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각 대상의 치매 진행단계는 MMSE-K의 점수와 임상증상에 따른 기관관련 전문인의 견해를 근거로 분류되었다. 연구자는 일대일로 RMST-K를 시행하였으며, 관찰자가 연구자와 동일한 질문지를 사용하여 음악적 기억, 악기구별, 음 기억 /음정구별, 악기이름과 노래의 단기기억 회상, 음악적 언어, 리듬과제 수행의 6개의 카테고리로 구성된 11개의 문항에 대한 대상자의 반응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치매의 유형에 있어 음악적 잔존능력에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으며 (p< .05), 음악적 잔존능력의 구성요소에 따른 AD와 VaD 집단의 비교에서는 리듬과제수행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두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05). VaD집단은 음악적 기억, 음 기억/음정구별, 단기기억, 음악적 언어 영역에서 AD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평균을 나타내었으며, AD집단은 악기구별항목에서 VaD집단보다 높은 평균을 보였다. 또한, 치매의 진행단계에 있어 음악적 잔존능력에는 총점을 비롯한 음악적 기억, 음악적 언어의 영역에서만 세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05).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n Residual Musical Skills between the Alzheimer's disease and Vascular dementia patients. The reactions were measured by the Residual Musical Skills Test - Korean Version (RMST-K). The examinee were 95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and Vascular dementia respectively. Experts diagnosed their cases as dementia and they got below 24 points on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Test - Korea Version (MMSE-K). Also, each dementia progress was classified based on the point of MMSE-K and experts' opinion with regard to the clinical symptoms. The experiment was done individually; both an observer and an examinee were given same questionaries which were consisted with 6 categories with 11 questions (Musical memory, Instrument identification, Tonal memory/Pitch discrimination, Short term recall of instrument's name and song, Musical language and Rhythm tasks) and checked patients' reaction. The result showed definit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on the subject of the type of dementia (p <.05). Also, the results of most tasks on Residual Music Skills were prov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D and VaD with the exception of Rhythm tasks (p <.05). VaD group revealed higher averages on Musical memory, Tonal memory /Pitch discrimination, Short term recall of instrument names and song, Musical language. AD group, on the other hand, had higher average on Instrument identification. Furthermore, in aspects of dementia process, there were considerable differences on total score, Musical memory, and Musical language (p <.0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