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김지원의 졸업 작품 「COSMOS」의 해설

        김지원 동덕여자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63

        「COSMOS」라는 주제로 칼 세이건이 우주에 대한 연구를 통해 우리 인류에게 전하고자 하는 바를 이 논문을 통하여 다시금 고찰하며 각 주제를 기반으로 작곡하여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하였다.

      • 지르코니아 코어의 글라스 용융침투 후 적합도 평가

        김지원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의 목적은 글라스 양과 글라스 처리면에 따른 글라스 용융침투가 지르코니아 코어의 적합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지르코니아 코어의 적합도 평가를 위해 상악 우측 중절치 커스텀 어버트먼트 (Customized abutment; Dentium, Seoul, Korea)를 지대치로 사용하였다. 커스텀 어버트먼트는 6°의 경사와 1㎜ deep chamfer margin이 되도록 밀링(Cincom, Citizen, Tokyo, Japan)하고, 복제용 실리콘 인상재 (Elite Double 22; Zhermack SpA, Badio Polesine, Italy)를 사용하여 음형 몰드로 제작하였다. 제작된 음형 몰드에 치과용 초경석고 (Implant/scanning die stone, Talladium, Valencia, USA)를 주입하여 총 56개의 석고모형을 제작하고, CAD/CAM 시스템(3Shape's CAD Design software, 3Shape, Copenhagen K, Denmark)을 통하여 지르코니아 코어를 밀링(Zenotec select hybrid, Wieland Dental, Pforzheim, Germany)하였다. 대조군(Control)은 글라스를 용융침투 처리하지 않은 지르코니아 코어이며 실험군은 글라스와 증류수를 1:300, 1:100의 비율로 제조한 현탁액에 침지한 지르코니아 코어이다. 글라스 양에 따른 각 군은 글라스 용융침투 처리면에 따라 외면 처리, 내면 처리, 양면 처리 군으로 나누었다. 글라스 용융침투 후 최종 소결한 지르코니아 코어는 제작된 석고 모형에 합착 후 절단하여 협측과 설측의 변연 오차(absolute marginal discrepancy)와 내면 간격(internal gap)을 각각 측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협측 변연 오차는 1:300 비율의 글라스 용융침투 군이 1:100 비율의 글라스 용융침투 군보다 유의하게 낮은 값을 보였다 (p < 0.05). 협측 변연 오차는 글라스 처리면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 > 0.05). 2. 설측 변연 오차는 글라스 용융침투 양과 글라스 처리면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p > 0.05). 3. 협측 내면 간격은 글라스 용융침투 양과 글라스 처리면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p > 0.05). 4. 설측 내면 간격은 글라스를 외면에 처리한 경우와 내면에 처리한 경우, 1:300 비율의 글라스 용융침투 군이 1:100 비율의 글라스 용융침투 군보다 유의하게 낮은 값을 보였다 (p < 0.05). 설측 내면 간격은 글라스 처리면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 > 0.05). 이상의 실험 결과, 본 연구의 한계 내에서 글라스를 용융침투한 지르코니아 코어는 평균적으로 120㎛ 이내의 적합도를 보였으며, 이는 임상적 허용 범위를 만족한다.

      • 시추코어를 이용한 암반분류법간의 상관관계 연구

        김지원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암반의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현장에서 암반에 대한 세밀한 관찰과 현장시험을 실시하여 여러 가지 요소를 복합적으로 판단해야 한다. 하지만 설계 단계에서 굴착구간의 암반을 세밀하게 관찰할 수 없는 조건에서는 부득이하게 시추코어를 이용하여 암반을 평가할 수밖에 없는 어려움이 존재한다. 또한 암반분류법들마다 암반평가의 기준이 상이하고 정량화가 되어 있지 않아 두 방법을 같이 적용하거나, 상호간의 상관관계를 유추하여 서로 변환하여 이용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화강암 시추코어를 이용하여 암반평가가 이루어진 자료들을 대상으로 암반분류법간의 상관관계에 대해 연구하였다. RQD, RMR, Q-system, GSI 각각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하여 암반분류법간의 상관관계식을 도출하고, 선행연구결과와 비교하여 상호관계를 분석하였다. 선행연구자들의 상관관계들을 비교하였을 때, 제안자에 따른 암반분류방법, 암종, 현장관찰 또는 시추코어자료 적용여부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이들 항목이 고려된 체계적인 분류에 의한 비교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시추코어만으로 정량화 된 GSI값을 결정할 수 있으며, 상관관계 및 강도정수와 관계된 추가적인 연구에 의해 지속적으로 자료의 축적이 이루어 질 때, 그 신뢰도와 적용성은 커질 것으로 판단된다. In order to assess the condition of the rock mass, we must determine by a combination of several factor as the detailed observation and field test data on rock mass. However, the conditions of rock excavation can not be observed carefully at the design stage. Therefore we have no choice but to use borehole core. Also, due to different evaluation criteria and unquantitative guideline, sometimes we use combined two way, or infer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other. This study provides the correlation with rock mass classification methods using the borehole core of granite and derived correlation equations through analyzed correlation with RQD, RMR, Q-system, GSI and analyzed the correlation by compared to the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correlation of the previous studies showed som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rock mass class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oponents, rock type, the borehole core data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o apply. Future more comparative studies are needed according to these items based on a systematic classification. The evaluation method of quantified GSI system used in this study can be determined GSI value by borehole core data only. It is necessary to accumulate data about correlation and strength parameters of rock mass in order to increase its reliability and applicability.

      • 가상현실 기반 체간 중심 안정화 운동이 뇌졸중환자의 상지기능, 자세조절 및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김지원 삼육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가상현실 기반 체간 중심 안정화 운동이 뇌졸중환자의 상지기능, 자세조절 및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성인 뇌졸중 환자 24명이며 대상자를 두 그룹으로 나누어 가상현실 기반 체간 중심 안정화 운동 실험군 12명, 대조군 12명으로 진행하였다. 가상현실 기반 체간 중심 안정화 실험군은 30분씩 가상현실 환경에서 체간 중심 안정화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대조군은 동일한 체간 중심 안정화 운동을 실시하였다. 훈련은 주 3회 총 4주간 진행되었다. 훈련 전과 후에 상지 기능의 평가를 위해 MFT, BBT 검사를 실시하였고, 자세 조절 평가를 위해 BBS, PASS, K-TIS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우울감 평가를 위해 K-GDS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상지기능에서 MFT와 BBT 항목은 가상현실 기반 체간 중심 안정화 운동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향상이 있었으며(p<0.05), 자세조절에서는 BBS, PASS 항목에서 두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그러나 K-TIS, K-GDS 검사에서는 두 그룹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본 연구를 통해 가상현실 기반 체간 중심 안정화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자세조절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가상현실 기반 체간 중심 안정화운동이 뇌졸중 환자에게 효과적인 운동 방법이며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고, 임상에서 전통적 물리치료에 더해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Dietary factors related to hypertension in middle-aged and older Korean adults

        김지원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Association between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nd risk of hypertension in middle-aged and older Korean adults Abstract Background: High fruit and vegetable (F/V) intake may be beneficial for hypertension prevention. However, a prospective association has not been investigated in a Korean population, and differences exist between typical diets in Korea and those of Western populations. Objective: The aim of this prospectiv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F/V intake and risk of incident hypertension in middle-aged and older Korean adults using the data from the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KoGES). Design: The KoGES is a large community-based cohort study of Korean adults aged 40 to 69 years, which began in May 2001. Questionnaires on demographic information and lifestyle factors were completed at baseline. Anthropometrics and biochemical measurements were conducted biennially.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was assessed with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Hypertension was defined as a systolic blood pressure ≥ 140 mmHg or diastolic blood pressure ≥ 90 mmHg. Participants and setting: A total of 4,257 participants (2,085 men and 2,172 women) without hypertension at baseline were evaluated. Main outcome measures: The primary outcome was incident hypertension. Statistical analysis performed: Multivariat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s were used to examine hazard ratios (HRs) and 95% CIs for incident hypertension according to F/V consumption. Results: During the 8-year follow-up, 1,158 participants (606 men and 552 women) developed hypertension. Among men, frequent fruit consumers (≥ 4 servings/day) had a 56% lower risk of incident hypertension than did infrequent consumers (< 1 serving/day) (HR=0.44, 95% CI=0.32 to 0.60, P for trend <0.0001). Among women, frequent fruit consumers had a 67% lower risk of incident hypertension than did infrequent consumers (HR=0.33, 95% CI=0.24 to 0.45, P for trend <0.0001), after adjustment for potential confounders. However, there was no association between vegetable consumption and risk of incident hypertension in either men or women. Conclusions: A higher intake of fruit was prospectively associated with a lower risk of incident hypertension in middle-aged and older Korean adults, regardless of sex. Gender differences in the association between dietary pattern and the incidence of hypertension i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Abstract We examined gender differences in the association between dietary patterns and the risk of hypertension, using the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data. A total of 5,090 participants (2,457 men and 2,633 women) aged 40–69 years without hypertension at baseline were selected. Dietary patterns were obtained using factor analysis based on 26 food groups, evaluated by a validated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at baseline. Hypertension was defined as systolic blood pressure ≥140 mmHg or diastolic blood pressure ≥90 mmHg, or the use of antihypertensive medication using the biennial measurements. Multivariat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s were used to examine the associations between dietary patterns and hypertension. Four dietary patterns were extracted: Coffee, fat, and sweets; prudent; whole grains and legumes; and traditional (men)/Western (women). Women in the highest tertile of whole grains and legumes pattern scores showed a lower risk of incident hypertension compared with those in the lowest tertile (hazard ratio = 0.77, 95% confidence interval = 0.59–1.00, P-trend = 0.0480). Other dietary patterns were not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in either men or women. A diet rich in whole grains and legumes is inversely associated with the risk of hypertension in Korean women, suggesting a gender difference in the association between diet and hypertension. 고혈압은 전세계적으로 주요 공중 보건 문제 중 하나로 뇌졸중, 심근 경색, 울혈성 심부전, 신장질환, 말초혈관질환과 같은 심뇌혈관질환의 주요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고혈압의 발병률이 증가 하고 있으며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의하면 30세 이상 성인의 고혈압 유병율 이 2007년 남자 26.5%, 여자 23.8% 에서 2015년 남자 35.1%, 여자 29.1%로 증가하였으며, 단일 질환으로는 가장 높은 유병율을 보였다. 고 혈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가족력, 비만, 흡연, 음주, 운동부족, 식 습관 등 다양한 요인들이 있다. 이러한 많은 요인들 중 식품군이나 식이 패턴을 포함하는 식이 요인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이 여러 논문을 통해 밝혀지면서 서구를 중심으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 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성인에서 식이 요인과 식사 패턴을 포함하여 고혈 압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전향성 추적 연구로, 질병관리본부에서 제공하는 한국인 유 전체 역학 조사 사업(KoGES)의 안성•안산 코호트 자료를 기본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는 건강조사, 검진조사, 영양조사 등에 모두 참여한 중 년 성인(40-69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식사 섭취 평가는 KoGES 자료의 103개 식품항목으로 구성된 식품섭취빈도조사를 활용하였다. 식품섭취빈 도조사에는 총 9개 항목의 1년간 평균 섭취 빈도 (거의 안 먹음, 월 1회, 월 2-3회, 주 1-2회, 주 3-4회, 주 5-6회, 일 1회, 일 2회, 일 3회)로 구 성되어 있으며, 평균 1회 섭취 분량 (더 적음, 기준량, 더 많음)으로 구성 되어 있다. 과일, 채소 섭취 및 다른 식품군의 섭취는 빈도와 양을 곱한 값을 사용하였으며, 분석을 위해 과일과 채소 섭취의 카테고리는 “거의 안 먹음”, “1 - <2회/일”, “2 -<4회/일”, “≥4회/일” 로 나누었다. 두 번째 연구 에서는 패턴 분석을 위하여 총 103개의 식품항목들을 26개의 식품군으로 분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요인 분석을 실시하여 고유값(eigenvalue)이 1.3 이상이 되는 요인을 추출하였고, varimax rotation 방법을 이용하여 요 인 적재량(factor loading)이 0.3 이상인 요인들을 추출하여 총 4개의 패턴 으로 추출하였다. 한국 성인에서 식이 요인 및 식이 패턴과 고혈압 위험의 관련성을 제시하기 위하여 시간-종속 Cox 비례 위험 회귀 모델(time- dependent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s)을 통해 위험률(hazard ratios, HRs)과 95% 신뢰구간을 산출하였고, 성별을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모든 통계학적 분석은 SAS version 9.4 (SAS Institute, Cary, NC)를 이용하였다. 첫 번째 연구에서, 조사에 참여한 대상자 중 과일의 섭취가 많은 그룹 이 거의 먹지 않는 그룹에 비하여 고혈압의 위험이 낮아지는 것으로 밝혀 졌다. 그러나 채소 섭취와 고혈압의 관련성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남성 에서는 과일을 하루에 4번 이상 섭취한 그룹이 거의 먹지 않은 그룹에 비 하여 고혈압의 발병률이 56% (HR = 0.44, 95% CI = 0.32-0.60, P for trend <0.0001)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여성에서는 과일을 하루에 4번 이상 섭취한 그룹이 거의 먹지 않은 그룹에 비하여 고혈압의 발병률이 67% (HR = 0.33, 95% CI = 0.24-0.45, P for trend <0.0001)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남녀 모두에서 채소 섭취와 고혈압의 관련성은 밝혀지지 않았다. 또한, 여성에서 과일 채소를 모두 하루에 4번 이상 섭취한 그룹이 거의 먹지 않은 그룹에 비하여 고혈압의 발병률이 38% (HR = 0.62, 95% CI = 0.41-0.91, P for trend 0.0916)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남 성에서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두 번째 연구에서, 식사 패턴 추출을 위하여 26개의 식품 그룹으로 분류하였으며, 요인 분석을 통하여 한국 성인이 섭취하고 있는 대표적인 네 가지의 식사 패턴을 확인하였다. 추출된 네 가지 식사 패턴은 다음과 같다. 1)커피, 지방, 설탕 패턴 2)건강 패턴 3)잡곡, 콩 패턴 4)전통 식사 패턴(남성) / 서구 식사 패턴(여성). 본 연구에서는, 여성에게서만 잡곡류와 콩류를 포함하는 식사 패턴에서 고혈압과의 밀접한 관련성을 보였다. 잡곡 류•콩류 식사 패턴의 섭취가 높을수록 여성에서는 고혈압 발병률이 25% (HR = 0.75, 95% CI = 0.58-0.97, P for trend = 0.029) 낮아지는 경향을 보 였다. 그러나 남녀 모두에서 잡곡, 콩류 패턴 외 세 가지의 식사 패턴과 고혈압의 관련성은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 중년 성인에서 식이 요인과 고혈압과의 관련 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과일, 잡곡, 콩류 섭취와 고혈압의 관련성이 유의적인 역의 관련성을 가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과일 섭취와 잡 곡, 콩류의 섭취가 강조되며, 고혈압의 효과적인 예방 및 관리를 위하여 식사 전략 및 가이드라인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추후 연구에서 다양한 무작위 대조군 중재 연구 및 메타 분석의 기반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주요 단어: 고혈압, 채소, 과일, 식이 패턴, 한국 중년 성인

      •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청소년의 학업적 실패내성간의 관계 :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김지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utonomy support, adolescents' academic failure tolerance and ego resilience, and whether ego resilience mediates the effect of parental autonomy support on adolescents' academic failure tolerance.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questionnaire method from 342 second and third year students (230 male students, 112 female students) attending one middle school in Seoul. For parental autonomy support, the Perceived Parental Autonomy Support Scale [P-PASS] developed and validated by Mageau, Ranger, Joussemet, Koestner, Moreau, and Forest (2015) was used. The original scale consists of parental autonomy support and psychological control, but in this study, only parental autonomy support was used. Corrected, supplemented, and measured. Ego-resilience was measured using the Ego-Resilience Scale developed by Block and Kremen (1996), which was adapted by Yoo Seong-kyung (2002). Lastly, academic failure tolerance was measured using the 'Korean Academic Failure Tolerance Scale' standardized by Ayoung Kim (1994) into the Korean version of the scale developed by Clifford and Kim (1988). As a preliminary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 established for this analysis to examine the paths between variables. To test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 the bootstrap method was us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relation to the direct effect of mother's and father's support for autonomy on academic failure tolerance, only the influence of mother's support for autonomy was significant. That is, the more middle school children perceived their mother's support for autonomy, the higher their academic failure tolerance was. Second, the autonomy support of mothers and father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elf-resili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Third, in relation to the effect of ego resilience on academic failure tolerance, the higher the ego resilience, the higher the academic failure tolera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dicates a correlation. Last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ndirect effect of support for parental autonomy on academic failure tolerance through ego resilience, i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both fathers and mothers. This study confirmed the pathways in which the support of mother and father autonomy, which is an environmental factor, affects academic failure tolerance, which is a form of positive learning attitude, through the self-resilience of adolescents, which is an individual internal factor. In particula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s tha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forming a resilient and positive learning attitude by exploring the causes of academic failure tolerance, which is a major factor influencing the learning of adolescents. In addition,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support for autonomy of not only mothers but also fathers is important to increase academic failure tolerance. It provided the implication that learning can be done with a positive attitude without experiencing setback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educational programs for parents and learning programs for adolescents to improve adolescents' academic failure tolerance.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자율성 지지, 청소년의 학업적 실패내성 및 자아탄력성 간의 관계와, 부모의 자율성 지지가 청소년의 학업적 실패내성에 미치는 영향을 자아탄력성이 매개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에 소재한 1곳의 중학교에 재학중인 2, 3학년생 342명(남학생 230명, 여학생 112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부모의 자율성 지지는 Mageau, Ranger, Joussemet, Koestner, Moreau와 Forest(2015)가 개발하고 타당화한 부모의 자율성 지지 척도(Perceived Parental Autonomy Support Scale [P-PASS])를 사용하였다. 원 척도는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심리적 통제로 구성되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자율성 지지만을 사용하였으며, 자율성 지지에 대한 12문항을 서혜윤(2017)이 번안한 것을 토대로 중학교 2, 3학년 학생들에게 적절하게 수정, 보완하여 측정하였다. 자아탄력성은 Block과 Kremen(1996)이 개발한 자아탄력성 척도(Ego-Resilience Scale)를 유성경(2002)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업적 실패내성은 Clifford와 Kim(1988)이 개발한 척도를 김아영(1994)이 한국판으로 표준화한‘한국형 학업적 실패내성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예비분석으로 독립표본 t 검정과 변인들 간 상관관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본 분석으로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을 설정하여 변인들 간의 경로를 살펴보았다. 간접효과의 유의성 검증은 부트스트랩(bootstrap)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와 아버지의 자율성 지지가 학업적 실패내성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관련하여,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의 영향만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중학생 자녀가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를 더 지각할수록 더 높은 수준의 학업적 실패내성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어머니와 아버지의 자율성 지지는 중학생의 자아탄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부모의 자율성을 더 높게 지각할수록 중학생은 높은 수준의 자아탄력성을 보였다. 셋째, 자아탄력성이 학업적 실패내성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중학생은 더 높은 수준의 학업적 실패내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중학생 청소년의 부모의 자율성 지지가 자아탄력성을 통해 학업적 실패내성에 미치는 간접적 영향을 살펴본 결과,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에게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환경적 요인인 어머니와 아버지의 자율성 지지가 개인 내적 요인인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을 통해 긍정적인 학습태도의 한 형태인 학업적 실패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확인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라 할 수 있는 학업적 실패내성의 선행요인을 탐색함으로써 탄력적이고 긍정적인 학습태도 형성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학업적 실패내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어머니뿐만 아니라 아버지의 자율성 지지 또한 중요하다는 사실을 입증하였으며, 부모의 자율성 지지를 통해 개인 내적 요인인 자아탄력성이 향상되어, 궁극적으로는 청소년이 학업적 실패상황에서 좌절을 겪지 않고 긍정적인 태도로 학습에 임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의 학업적 실패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부모대상 교육프로그램과 청소년 대상 학습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음악 교과에서의 스마트기기 활용에 대한 중등음악교사의 실태 및 인식 분석

        김지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perception of secondary school music teachers regarding the utilization of smart devices in music subjects. To this end, a nationwide survey was conducted among music teachers from secondary schools, and a total of 100 collected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in accordance with the research questions. The questionnaire was designed to encompass three key domains: music performance, appreciation, and creation. It comprised of inquiries aimed at elucidating the status of smart device usage (frequency and method of usage) and the perception (necessity and difficulty) along with open-ended descriptive questions. I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investigation into the usage of smart devices in music subjects revealed that Tablet PCs, Laptop PCs, and Smartphones are utilized in a similar extent in music education. In terms of the frequency of smart device usage, they are used once or twice per month in the areas of music performance and creation, while the music appreciation area showed the frequency of usage once or twice per week. This finding indicates that smart devices are most commonly employed in the area of music appreciation. Secondly, the investigation into the usage of smart devices in music subjects revealed that the objectives vary across different domains. In the music performance area, smart devices were utilized for listening to accompaniment music sources or recording one's own performance for the effective practices. In the music appreciation area, smart devices were employed to provide poetry and auditory data related to music being appreciated or to articulate ones’ appreciation of the music-related activities. Furthermore, in the music creation area, smart devices played a role in assisting students in creating and exploring various materials related to creative activities. Thirdly, the investigation into the effectiveness of using smart devices in music subjects revealed distinct advantages in each domain. In the music performance area, the utilization of smart devices facilitated the enhancement of students' ability to express their emotions by providing various poetry and auditory materials. Also, it sparked the interest of students who were unfamiliar with the musical background. In the music appreciation area, the smart devices demonstrated high effectiveness in facilitating the sharing of one's thoughts through intensive activities such as creation or performance following the appreciation of music. Lastly, in the domain of music creation, it was observed that the utilization of smart devices provided opportunities for experiencing communication through music by enabling the sharing of the creative process with others. Moreover, the usage of various digital music learning tools for creative purposes was emphasized as a means to enhance interest and engagement in music creation. Fourthly, the study examined the challenges faced by teachers in utilizing smart devices in music education. In the music performance area, it was observed that individuals with limited proficiency in managing smart devices encountered difficulties in effectively integrating them into classroom activities. In the music appreciation area, the absence of individual use of earphones or headsets during music appreciation could disrupt the classroom environment, despite the significance of the listening process. Lastly, in the area of music creation, a prominent challenge arose from the varying quality of outputs resulting from disparities in individuals' proficiency in managing the digital programs when employing the digital music learning tools. Lastly, teachers expressed diverse perspectives regarding the utilization of the smart devices in music education. At first, they acknowledged the advantages of utilizing the smart devices including the ability to intrigue students' interest, facilitate effective classroom management, offer a range of activities, and enhance students' concentration. On the contrary, they also held reservations regarding the usage of smart devices citing the concerns such as disparities in individuals' proficiency in managing the smart devices, inadequate suitability of the classroom environment for integrating digitals, and challenges arising from limited proficiency in utilizing programs required to access smart device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proposes diverse perspectives and methods for effectively incorporating smart devices to improve and invigorate music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nticipated to serve as valuable resources for promoting the active utilization of smart devices and as a pedagogical approach to foster students’ diverse musical experiences within music subjects.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 교과에서의 태블릿PC, 랩톱 PC,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기기 활용에 대한 현직 중등학교 음악 교사의 실태 및 인식을 분석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전국의 중등학교 음악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수집된 응답 중 100부의 응답을 연구 문제에 따라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연주, 감상, 창작 영역으로 나누어 실태(활용 빈도, 활용 방법)와 인식(필요성, 어려움)을 알아보기 위한 문항과 개방형 서술형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음악 교과에서의 스마트기기 활용 실태를 조사한 결과, 태블릿PC, 랩톱 PC, 스마트폰을 활용하며, 세 종류 모두 비슷한 비중으로 음악 교과에서 활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기기의 활용 빈도에 대해서는 연주와 창작 영역에서는 한 달에 1 ~ 2회의 빈도로 활용되며, 감상 영역에서는 일주일에 1 ~ 2회의 빈도로 활용되어, 감상 영역에서 스마트기기의 활용이 가장 자주 활용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음악 교과에서의 스마트기기 활용 실태를 조사한 결과, 연주 영역에서는 효과적인 연주 연습을 위해 반주 음원을 듣거나, 자신의 연주를 녹음, 녹화하는 것이 주된 용도였다. 감상 영역에서의 감상하는 악곡과 관련된 시·청각적 자료를 제공하거나 감상 활동에 대한 느낌을 표현하는 데 스마트기기가 사용되었으며, 창작 영역에서는 스마트기기를 활용해 학생들의 창의적인 창작 활동을 돕거나, 창작 활동과 관련된 다양한 자료를 탐색할 기회를 마련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음악 교과에서의 스마트기기 활용에 대한 인식 중 효과성을 조사한 결과, 연주 영역에서 스마트기기 활용의 주된 효과성은 다양한 연주를 시·청각적 자료로 경험하며 음악적 표현력의 향상을 돕고, 음악적 배경지식이 부족하더라도 흥미롭게 참여할 수 있다는 점이었다. 또한, 감상 영역에서는 감상 후 감상과 관련된 창작, 연주 등 심화한 활동을 진행할 수 있으며, 감상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공유하는 데 스마트기기의 효과성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창작 영역에서는 창작 과정을 타인과 공유할 수 있으므로 음악을 통한 소통을 경험할 수 있고, 창작을 위한 다양한 디지털 음악학습 도구를 활용해 음악 창작에 대한 흥미도를 높일 수 있다는 점이 스마트기기 활용의 주된 효과성으로 언급되었다. 넷째, 음악 교과에서의 스마트기기 활용에 대한 인식 중 교사들의 어려움을 조사한 결과, 연주 영역에서는 스마트기기 활용 능력이 낮은 학생의 경우 오히려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연주 활동 진행 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점이었다. 감상 영역에서는 감상 활동에서 음악을 듣는 과정이 중요한 만큼, 각자 감상 활동을 진행할 때 이어폰, 헤드셋 등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수업 환경이 저해될 수 있다는 점을 어려움으로 보았다. 마지막으로, 창작 영역에서는 창작을 위한 디지털 음악 학습 도구를 자유롭게 사용할 경우, 프로그램 활용에 대한 개인별 수준에 따라 활동의 결과물도 차이가 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음악 교과에서의 스마트기기 활용에 대한 교사들의 의견을 종합한 결과,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음악 수업이 학생의 흥미 유발, 효과적인 학생 관리, 학생에게 다양한 활동 제공 및 학생의 수업 집중도 향상 등의 장점이 있다고 보았다. 하지만, 학생들 간의 스마트기기 활용 능력의 편차가 있으며, 스마트기기 활용을 위한 환경이 마련되지 않거나, 스마트기기로 접근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활용 능력이 부족한 경우 어려움을 겪는다는 의견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음악 수업의 개선 및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측면의 방안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가 음악 교과에서 스마트기기의 활발한 활용을 위한 중요한 자료가 되어, 스마트기기의 활용이 음악 교과에서 학생들의 다양한 음악적 경험을 위한 수업 방법으로써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음악과 인성요소 수업지도방안

        김지원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수업모형을 적용해 학교폭력예방 음악과 인성요소 수업지도 방안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론적 배경으로 학교폭력의 유형과 원인에 대해 고찰해보고 인성교육의 필요성을 제고하였다. 학교폭력 유형별로 필요한 인성요소들을 결정한 후, 적합한 수업모형을 선택하였다. 수업모형과 중학생에게 적합한 제재곡을 선택하여 수업모형으로 구체적인 방안을 구상하였다. 수업모형을 적용한 음악과 학습지도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폭력을 예방하기 위해 필요한 인성요소 ‘시민성, 존중, 배려’를 협동학습(G.I.모형)을 활용해 소리창작을 구상하며 즉흥 연주하는 활동을 통해 배우도록 하였다. 둘째, 따돌림을 예방하기 위해 필요한 인성요소 ‘존중, 배려, 시민성, 책임, 신뢰’를 역할놀이 모형을 활용하여, 강강술래를 배워 공연하는 활동을 함으로서 키우도록 하였다. 셋째, 신체폭력을 예방하기 위해 필요한 인성요소 ‘사랑, 존중, 배려, 심미성’을 ASSURE모형을 활용해서, ‘몸타’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면서 배우도록 하였다. 넷째, 금품갈취를 예방하기 위해 필요한 인성요소 ‘존중, 사랑, 신뢰, 배려’를 팀 보조 개별학습을 활용해서, 핸드벨을 연주하면서 배우도록 하였다. 다양한 수업모형을 활용한 음악수업방안의 개발은 기존의 단발적인 형식의 학교폭력예방교육에서 벗어나 수업시간에 학교폭력 유형별로 지속적인 인성교육을 가능하게 해서 학교폭력을 근원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방법이 될 것이다. 주요어: 학교폭력예방, 수업모형, 음악, 수업지도방안, 인성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guideline for character factors in music classes to prevent school violence by applying various instructional models that can be utilized continuously. As a theoretical background, the types and causes of school violence were reviewed and the necessity of character education was considered. After deciding character factors required for each type of school violence, a proper instructional model was selected. Lastly, a detailed guideline was developed by choosing an instructional model and repertoires suitable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guideline for music classes applying an instructional model is as follows: First, character factors required for prevention of cyberbullying such as ‘civic attitude, respect and consideration’ are taught by letting students conceive sound creation and conduct prompt performance using cooperative learning (G.I. model). Second, character factors required for prevention of bullying including ‘respect, consideration, civic attitude, responsibility and trust’ are taught through performance of Gang-Gang-Sul-Rae using role-playing model. Third, character factors required for prevention of physical violence such as ‘love, respect, consideration and aesthetics’ are taught using ASSURE model, letting students express their feelings with ‘body percussion.’ Fourth, character factors required for prevention of money extortion such as ‘respect, love, trust and consideration’ are taught using team-assistant individual learning, letting students play handbell. Going beyond the existing temporary education for preventing school violence, the development of the music class guideline using various instructional models will enable continuous character education during classes by school violence type and help eradicate school violence. keyword: preventing school violence, class guideline, instructional models, music, character factors

      • 디저트 소비문화 트렌드를 반영한 전통강정 브랜드 패키지 디자인 제안연구

        김지원 한성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대한민국은 향상된 국민 생활수준과 경제성장으로 라이프 스타일이 변화되고 ‘입속의 작은 사치’라 불리는 디저트 소비문화는 커다란 트렌드로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이로 인해 자신이 가치를 두는 분야 혹은 만족감을 극대화하기 위해 과감하게 투자를 아끼지 않는 젊은 층을 뜻하는 포미(For Me)족이 늘어나면서 고급스러운 취향이 디저트 구매를 통해 심리적 만족감을 얻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사회관계서비스(SNS)가 활성화되면서 사진을 올리고 소통하려하는 욕구가 디저트 소비문화 트렌드를 만들어낸 촉진제 역할을 하게 되었다. 또한 경제적은 능력을 갖추고 가족이 아닌 자기 자신을 위해 시간과 돈을 투자하며 사회활동을 이어가는 20~30대 아름다운 기혼여성의 등장으로 아름다운 것을 추구하는 소비자 성향을 파악하여 식품, 유통업체의 소비자니즈에 맞춘 제품개발 경쟁으로 가속도가 붙었다. 대부분 디저트에 대한 인식은 정통 프랑스 빵, 케이크를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과 ‘웰빙’ 에 대한 관심도가 급증하고 당분이 많이 첨가된 빵과 케이크는 젊은 층에게는 하나의 디저트 문화로 인식되었지만, 실제로 20~30대 초반의 젊은 여성세대에게는 결혼과 출산이라는 이슈가 생겨나고 건강이라는 문제와 직결되면서 디저트에 대해 소비자들의 관심이 ‘건강한 먹거리’로 쏠리고 있다.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요즘 식품에서의 ‘건강’ 이라는 단어는 현대사회에 지속적인 이슈로 자리매김 할 것이라 생각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우리나라 전통한과는 다양한 소비자를 만족시킬 수 있는 식품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 선조들이 계절재료로 때와 시절을 맞추어 먹는 대표적인 후식이며, 이는 영양을 보충하는 것과 동시에 한과의 주재료는 천연재료를 사용한다. 한과는 단순한 단맛을 제공하기보다는 몸에 이로운 약이될 수 있는 재료들로 구성된 약식동원(藥食同源)으로 ‘음식이 곧 약이다’라는 선조들의 사상이 담겨있다. 건강한 먹거리에 대한 관심과 한과의 가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카페, 베이커리와 같은 기업체, 한과의 세계화 촉진에 앞장서는 유통업체가 증가하며 한식 디저트에 대해 주목하게 되었다. 하지만 관심과 달리 한과는 주로 명절에만 소비하는 상품으로서의 인식이 강하고 최근에는 명절에도 한과를 소비하는 경우가 크지 않아 전체 생산규모에 두드러진 변화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외식업 분야에서도 한과 시장은 외식업 프랜차이즈에서 새로운 아이템으로 디저트 시장에 선보였지만 일반 디저트상품 판매점 혹은 카페와 경쟁하고 있지만 아직 한과는 디저트로서 인식과 상품으로서의 대중화되기에 부족한 점이 많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디저트 소비문화가 트렌드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시대에 여러 종류의 한과 중 전통강정을 선택하였으며 그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여 디저트 상품화를 위한 패키지 디자인을 제시한다. 타겟이 명확한 20~30대 여성 소비자를 타겟으로 전통강정 브랜드라는 목표를 가지고 현재 시장상황에 맞는 패키지 디자인 전략을 구축하여 전통강정의 우수성과 상품가치에 대해 대중에게 적극적으로 알리는 것에 목적이 있다. Currently, South Korea has changed its lifestyle due to improved living standards and economic growth, and the dessert consumption culture, called 'small luxury of mouth,' is growing at a rapid pace with a big trend. As a result, the number of "For Me" people, meaning young people who boldly invest in the fields they value to maximize their satisfaction, is increasing, and the luxurious taste is gaining psychological satisfaction through dessert purchases. In addition, the desire to post and communicate photos has served as a catalyst for creating the dessert consumer culture trend as social networking services have been invigorated. In addition, the number of married women in her 20s and 30s, who have the economic ability and invest time and money for herself and engage in social activities, has increased. By grasping the consumption trends of these women, food distributors compete for customized product development. Most Korean people's perceptions of desserts would be something fabulous such as authentic French bread or cakes. But Sugar-laden bread and cakes have been recognized by the younger generation as a dessert culture. In fact, for young women in their early 20s and 30s, interest in desserts is directly linked to health problems caused by marriage and childbirth, which is a trend that they look for "healthy snacks." The word 'health' in today's food culture will become a constant issue in modern society. It is a typical dessert that our ancestors eat in time and time with seasonal ingredients, supplementing nutrition. Organic food is the main ingredient of Korean snacks. Rather than providing a simple sweet taste, Korean snack consists of ingredients that can be beneficial to the body, and contains the ideas of its ancestors that "food is medicine." The growing interest in healthy eating and research into the value of Traditional Korean snacks has led to more companies such as cafes and bakeries, as well as retailers taking the lead in promoting the globalization of Traditional Korean snacks desserts. Contrary to interest, however,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re has been no noticeable change in the overall production volume as the Korean snack is mainly consumed on holidays and there are not many cases of consuming Korean snacks on other occasions. Also in the field of dining out, the Korean food market has been introduced in the dessert market as a new item in the restaurant franchise, but it lacks competitiveness when compared with the general dessert product store or cafe. Korean snack is lacking in recognition and popularization as a dessert. Thus, in an era where the consumption culture of desserts is becoming a trend, this study selected various kinds of traditional Korean snack ‘Kang-jung’ and analyzed the problems pertaining to them and put forward a package design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Korean dessert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ctively inform the public about the excellence of traditional Korean snack ‘Kang-jung’, and the value of the goods by establishing a package design strategy suitable for the current market situation with the goal of targeting female consumers in their 20s and 30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