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김지원의 졸업 작품 「COSMOS」의 해설

        김지원 동덕여자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63

        「COSMOS」라는 주제로 칼 세이건이 우주에 대한 연구를 통해 우리 인류에게 전하고자 하는 바를 이 논문을 통하여 다시금 고찰하며 각 주제를 기반으로 작곡하여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하였다.

      • 지르코니아 코어의 글라스 용융침투 후 적합도 평가

        김지원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의 목적은 글라스 양과 글라스 처리면에 따른 글라스 용융침투가 지르코니아 코어의 적합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지르코니아 코어의 적합도 평가를 위해 상악 우측 중절치 커스텀 어버트먼트 (Customized abutment; Dentium, Seoul, Korea)를 지대치로 사용하였다. 커스텀 어버트먼트는 6°의 경사와 1㎜ deep chamfer margin이 되도록 밀링(Cincom, Citizen, Tokyo, Japan)하고, 복제용 실리콘 인상재 (Elite Double 22; Zhermack SpA, Badio Polesine, Italy)를 사용하여 음형 몰드로 제작하였다. 제작된 음형 몰드에 치과용 초경석고 (Implant/scanning die stone, Talladium, Valencia, USA)를 주입하여 총 56개의 석고모형을 제작하고, CAD/CAM 시스템(3Shape's CAD Design software, 3Shape, Copenhagen K, Denmark)을 통하여 지르코니아 코어를 밀링(Zenotec select hybrid, Wieland Dental, Pforzheim, Germany)하였다. 대조군(Control)은 글라스를 용융침투 처리하지 않은 지르코니아 코어이며 실험군은 글라스와 증류수를 1:300, 1:100의 비율로 제조한 현탁액에 침지한 지르코니아 코어이다. 글라스 양에 따른 각 군은 글라스 용융침투 처리면에 따라 외면 처리, 내면 처리, 양면 처리 군으로 나누었다. 글라스 용융침투 후 최종 소결한 지르코니아 코어는 제작된 석고 모형에 합착 후 절단하여 협측과 설측의 변연 오차(absolute marginal discrepancy)와 내면 간격(internal gap)을 각각 측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협측 변연 오차는 1:300 비율의 글라스 용융침투 군이 1:100 비율의 글라스 용융침투 군보다 유의하게 낮은 값을 보였다 (p < 0.05). 협측 변연 오차는 글라스 처리면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 > 0.05). 2. 설측 변연 오차는 글라스 용융침투 양과 글라스 처리면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p > 0.05). 3. 협측 내면 간격은 글라스 용융침투 양과 글라스 처리면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p > 0.05). 4. 설측 내면 간격은 글라스를 외면에 처리한 경우와 내면에 처리한 경우, 1:300 비율의 글라스 용융침투 군이 1:100 비율의 글라스 용융침투 군보다 유의하게 낮은 값을 보였다 (p < 0.05). 설측 내면 간격은 글라스 처리면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 > 0.05). 이상의 실험 결과, 본 연구의 한계 내에서 글라스를 용융침투한 지르코니아 코어는 평균적으로 120㎛ 이내의 적합도를 보였으며, 이는 임상적 허용 범위를 만족한다.

      • 가상현실 기반 체간 중심 안정화 운동이 뇌졸중환자의 상지기능, 자세조절 및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김지원 삼육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가상현실 기반 체간 중심 안정화 운동이 뇌졸중환자의 상지기능, 자세조절 및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성인 뇌졸중 환자 24명이며 대상자를 두 그룹으로 나누어 가상현실 기반 체간 중심 안정화 운동 실험군 12명, 대조군 12명으로 진행하였다. 가상현실 기반 체간 중심 안정화 실험군은 30분씩 가상현실 환경에서 체간 중심 안정화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대조군은 동일한 체간 중심 안정화 운동을 실시하였다. 훈련은 주 3회 총 4주간 진행되었다. 훈련 전과 후에 상지 기능의 평가를 위해 MFT, BBT 검사를 실시하였고, 자세 조절 평가를 위해 BBS, PASS, K-TIS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우울감 평가를 위해 K-GDS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상지기능에서 MFT와 BBT 항목은 가상현실 기반 체간 중심 안정화 운동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향상이 있었으며(p<0.05), 자세조절에서는 BBS, PASS 항목에서 두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그러나 K-TIS, K-GDS 검사에서는 두 그룹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본 연구를 통해 가상현실 기반 체간 중심 안정화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자세조절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가상현실 기반 체간 중심 안정화운동이 뇌졸중 환자에게 효과적인 운동 방법이며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고, 임상에서 전통적 물리치료에 더해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시추코어를 이용한 암반분류법간의 상관관계 연구

        김지원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암반의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현장에서 암반에 대한 세밀한 관찰과 현장시험을 실시하여 여러 가지 요소를 복합적으로 판단해야 한다. 하지만 설계 단계에서 굴착구간의 암반을 세밀하게 관찰할 수 없는 조건에서는 부득이하게 시추코어를 이용하여 암반을 평가할 수밖에 없는 어려움이 존재한다. 또한 암반분류법들마다 암반평가의 기준이 상이하고 정량화가 되어 있지 않아 두 방법을 같이 적용하거나, 상호간의 상관관계를 유추하여 서로 변환하여 이용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화강암 시추코어를 이용하여 암반평가가 이루어진 자료들을 대상으로 암반분류법간의 상관관계에 대해 연구하였다. RQD, RMR, Q-system, GSI 각각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하여 암반분류법간의 상관관계식을 도출하고, 선행연구결과와 비교하여 상호관계를 분석하였다. 선행연구자들의 상관관계들을 비교하였을 때, 제안자에 따른 암반분류방법, 암종, 현장관찰 또는 시추코어자료 적용여부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이들 항목이 고려된 체계적인 분류에 의한 비교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시추코어만으로 정량화 된 GSI값을 결정할 수 있으며, 상관관계 및 강도정수와 관계된 추가적인 연구에 의해 지속적으로 자료의 축적이 이루어 질 때, 그 신뢰도와 적용성은 커질 것으로 판단된다. In order to assess the condition of the rock mass, we must determine by a combination of several factor as the detailed observation and field test data on rock mass. However, the conditions of rock excavation can not be observed carefully at the design stage. Therefore we have no choice but to use borehole core. Also, due to different evaluation criteria and unquantitative guideline, sometimes we use combined two way, or infer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other. This study provides the correlation with rock mass classification methods using the borehole core of granite and derived correlation equations through analyzed correlation with RQD, RMR, Q-system, GSI and analyzed the correlation by compared to the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correlation of the previous studies showed som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rock mass class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oponents, rock type, the borehole core data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o apply. Future more comparative studies are needed according to these items based on a systematic classification. The evaluation method of quantified GSI system used in this study can be determined GSI value by borehole core data only. It is necessary to accumulate data about correlation and strength parameters of rock mass in order to increase its reliability and applicability.

      • Dietary factors related to hypertension in middle-aged and older Korean adults

        김지원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Association between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nd risk of hypertension in middle-aged and older Korean adults Abstract Background: High fruit and vegetable (F/V) intake may be beneficial for hypertension prevention. However, a prospective association has not been investigated in a Korean population, and differences exist between typical diets in Korea and those of Western populations. Objective: The aim of this prospectiv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F/V intake and risk of incident hypertension in middle-aged and older Korean adults using the data from the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KoGES). Design: The KoGES is a large community-based cohort study of Korean adults aged 40 to 69 years, which began in May 2001. Questionnaires on demographic information and lifestyle factors were completed at baseline. Anthropometrics and biochemical measurements were conducted biennially.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was assessed with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Hypertension was defined as a systolic blood pressure ≥ 140 mmHg or diastolic blood pressure ≥ 90 mmHg. Participants and setting: A total of 4,257 participants (2,085 men and 2,172 women) without hypertension at baseline were evaluated. Main outcome measures: The primary outcome was incident hypertension. Statistical analysis performed: Multivariat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s were used to examine hazard ratios (HRs) and 95% CIs for incident hypertension according to F/V consumption. Results: During the 8-year follow-up, 1,158 participants (606 men and 552 women) developed hypertension. Among men, frequent fruit consumers (≥ 4 servings/day) had a 56% lower risk of incident hypertension than did infrequent consumers (< 1 serving/day) (HR=0.44, 95% CI=0.32 to 0.60, P for trend <0.0001). Among women, frequent fruit consumers had a 67% lower risk of incident hypertension than did infrequent consumers (HR=0.33, 95% CI=0.24 to 0.45, P for trend <0.0001), after adjustment for potential confounders. However, there was no association between vegetable consumption and risk of incident hypertension in either men or women. Conclusions: A higher intake of fruit was prospectively associated with a lower risk of incident hypertension in middle-aged and older Korean adults, regardless of sex. Gender differences in the association between dietary pattern and the incidence of hypertension i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Abstract We examined gender differences in the association between dietary patterns and the risk of hypertension, using the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data. A total of 5,090 participants (2,457 men and 2,633 women) aged 40–69 years without hypertension at baseline were selected. Dietary patterns were obtained using factor analysis based on 26 food groups, evaluated by a validated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at baseline. Hypertension was defined as systolic blood pressure ≥140 mmHg or diastolic blood pressure ≥90 mmHg, or the use of antihypertensive medication using the biennial measurements. Multivariat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s were used to examine the associations between dietary patterns and hypertension. Four dietary patterns were extracted: Coffee, fat, and sweets; prudent; whole grains and legumes; and traditional (men)/Western (women). Women in the highest tertile of whole grains and legumes pattern scores showed a lower risk of incident hypertension compared with those in the lowest tertile (hazard ratio = 0.77, 95% confidence interval = 0.59–1.00, P-trend = 0.0480). Other dietary patterns were not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in either men or women. A diet rich in whole grains and legumes is inversely associated with the risk of hypertension in Korean women, suggesting a gender difference in the association between diet and hypertension. 고혈압은 전세계적으로 주요 공중 보건 문제 중 하나로 뇌졸중, 심근 경색, 울혈성 심부전, 신장질환, 말초혈관질환과 같은 심뇌혈관질환의 주요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고혈압의 발병률이 증가 하고 있으며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의하면 30세 이상 성인의 고혈압 유병율 이 2007년 남자 26.5%, 여자 23.8% 에서 2015년 남자 35.1%, 여자 29.1%로 증가하였으며, 단일 질환으로는 가장 높은 유병율을 보였다. 고 혈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가족력, 비만, 흡연, 음주, 운동부족, 식 습관 등 다양한 요인들이 있다. 이러한 많은 요인들 중 식품군이나 식이 패턴을 포함하는 식이 요인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이 여러 논문을 통해 밝혀지면서 서구를 중심으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 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성인에서 식이 요인과 식사 패턴을 포함하여 고혈 압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전향성 추적 연구로, 질병관리본부에서 제공하는 한국인 유 전체 역학 조사 사업(KoGES)의 안성•안산 코호트 자료를 기본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는 건강조사, 검진조사, 영양조사 등에 모두 참여한 중 년 성인(40-69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식사 섭취 평가는 KoGES 자료의 103개 식품항목으로 구성된 식품섭취빈도조사를 활용하였다. 식품섭취빈 도조사에는 총 9개 항목의 1년간 평균 섭취 빈도 (거의 안 먹음, 월 1회, 월 2-3회, 주 1-2회, 주 3-4회, 주 5-6회, 일 1회, 일 2회, 일 3회)로 구 성되어 있으며, 평균 1회 섭취 분량 (더 적음, 기준량, 더 많음)으로 구성 되어 있다. 과일, 채소 섭취 및 다른 식품군의 섭취는 빈도와 양을 곱한 값을 사용하였으며, 분석을 위해 과일과 채소 섭취의 카테고리는 “거의 안 먹음”, “1 - <2회/일”, “2 -<4회/일”, “≥4회/일” 로 나누었다. 두 번째 연구 에서는 패턴 분석을 위하여 총 103개의 식품항목들을 26개의 식품군으로 분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요인 분석을 실시하여 고유값(eigenvalue)이 1.3 이상이 되는 요인을 추출하였고, varimax rotation 방법을 이용하여 요 인 적재량(factor loading)이 0.3 이상인 요인들을 추출하여 총 4개의 패턴 으로 추출하였다. 한국 성인에서 식이 요인 및 식이 패턴과 고혈압 위험의 관련성을 제시하기 위하여 시간-종속 Cox 비례 위험 회귀 모델(time- dependent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s)을 통해 위험률(hazard ratios, HRs)과 95% 신뢰구간을 산출하였고, 성별을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모든 통계학적 분석은 SAS version 9.4 (SAS Institute, Cary, NC)를 이용하였다. 첫 번째 연구에서, 조사에 참여한 대상자 중 과일의 섭취가 많은 그룹 이 거의 먹지 않는 그룹에 비하여 고혈압의 위험이 낮아지는 것으로 밝혀 졌다. 그러나 채소 섭취와 고혈압의 관련성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남성 에서는 과일을 하루에 4번 이상 섭취한 그룹이 거의 먹지 않은 그룹에 비 하여 고혈압의 발병률이 56% (HR = 0.44, 95% CI = 0.32-0.60, P for trend <0.0001)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여성에서는 과일을 하루에 4번 이상 섭취한 그룹이 거의 먹지 않은 그룹에 비하여 고혈압의 발병률이 67% (HR = 0.33, 95% CI = 0.24-0.45, P for trend <0.0001)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남녀 모두에서 채소 섭취와 고혈압의 관련성은 밝혀지지 않았다. 또한, 여성에서 과일 채소를 모두 하루에 4번 이상 섭취한 그룹이 거의 먹지 않은 그룹에 비하여 고혈압의 발병률이 38% (HR = 0.62, 95% CI = 0.41-0.91, P for trend 0.0916)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남 성에서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두 번째 연구에서, 식사 패턴 추출을 위하여 26개의 식품 그룹으로 분류하였으며, 요인 분석을 통하여 한국 성인이 섭취하고 있는 대표적인 네 가지의 식사 패턴을 확인하였다. 추출된 네 가지 식사 패턴은 다음과 같다. 1)커피, 지방, 설탕 패턴 2)건강 패턴 3)잡곡, 콩 패턴 4)전통 식사 패턴(남성) / 서구 식사 패턴(여성). 본 연구에서는, 여성에게서만 잡곡류와 콩류를 포함하는 식사 패턴에서 고혈압과의 밀접한 관련성을 보였다. 잡곡 류•콩류 식사 패턴의 섭취가 높을수록 여성에서는 고혈압 발병률이 25% (HR = 0.75, 95% CI = 0.58-0.97, P for trend = 0.029) 낮아지는 경향을 보 였다. 그러나 남녀 모두에서 잡곡, 콩류 패턴 외 세 가지의 식사 패턴과 고혈압의 관련성은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 중년 성인에서 식이 요인과 고혈압과의 관련 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과일, 잡곡, 콩류 섭취와 고혈압의 관련성이 유의적인 역의 관련성을 가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과일 섭취와 잡 곡, 콩류의 섭취가 강조되며, 고혈압의 효과적인 예방 및 관리를 위하여 식사 전략 및 가이드라인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추후 연구에서 다양한 무작위 대조군 중재 연구 및 메타 분석의 기반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주요 단어: 고혈압, 채소, 과일, 식이 패턴, 한국 중년 성인

      • 부동산 간접투자상품을 활용한 퇴직연금 포트폴리오 개선에 관한 연구 : 확정기여형퇴직연금을 중심으로

        김지원 동의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As Korea has entered the aged society at a rapid pace, the establishment of social infrastructure to prepare for aging has become the most important national task. For this reason, retirement pensions are vecoming the most suitable means for the people to prepare for their retirement lives. Korea's retirement pension was introduced in 2005, and as of the end of 2020, the total reserve is 255.5 trillion won, which is continuing to grow quantitatively, vut it has a problem of low retutns. Accordingly, if the proportion of real estate indirect investments, after identifying the problems through interviews with experts related to retirement pension, improvements were proposed. In order to conduct the study, first of all, vased on Markowiz's portfolio theory, the correlation between representative index (benchmark index) by asset and indirect investment products of real estate that can be selected in domestic retirement pension was analyzed. After that, Optimal porfolio was derived by simulating and analysing the portfolio consisting of representative indices and products. The variables used were KOSPI, MSCI All Countries World Index, K-Top REITs, Shinhan-Alpha REITs, virtual real setate fund(which combines Hanwha Global REITs Real Estate Investment Trust and Hana UBS Global REITsReal Estate Investment Trust) and the Real Estat ETF (TIGER US MSCI REITs). Furthermore, I discussed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portfolio management including real indirect investments in defined contribution(DC) retirement pension with 23 experts related to retirement pensions. As a tool used for analysis, SPSS 26.0 was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correnction analysis, and Excel's Solver was used for the optimal portfolio for r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retirement pension portfolio using real estate indirect investmen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by selcting the represontative index of investment assets and the indirect investments of real estate as variavles showed that REITs and real estate ETFs distributed the risk of retirement pension portfolio. And as a result of anaylzing the optimal portfolio including K-Top REITs and Shinhan-Alpah REITs, the standard deviation was lower and the yield was higher than that of the traditional portfolio that does not include real estate indirect investments. Second, as a result of a survey on the awareness of proportion of the portfolio of DC retirement pension and real estate indirect investments, many said that it is better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real estate indirect investment to 20% or less than 40%, which are low in correlation with other asset groups. Third, as a result of a survey on the reasonability of product selection by subscribers to DC retirement pensions, twenty-two ezperts said that subscribers don't know about the type and management statusof products exactly they joined, as well as the real estate indirect investments. This meansthat the education and management of subscrivers should be strengthened because of lack of educaton and guidance on products that users nad business operators should provide for subscribers. Fourth, as a result of a survey on the status of counseling and management on the operation of DC retirement pensions, 17 experts recognize that retirement pension subscribers are not interested in managing their reserves, and 16 experts pointed out that users and business operators lack guidance and management on subscribers' reserves. Therefore, subsxribers must recognize that DC retirement pensions are personal assets that they should manage and take responsibility for and users and business operators should actively provide information and educational opportunities to improve the management ability of retirement pension subscribers. Fifth, more than 16 experts answered that real estate funds and real estate ETFs are not enought to choose as retirement pensions for the sxope of selection or real estate indirect investments. Accordingly, it was found that it its necessary to develop real estate indirect investments and to include various real estate indirect invesments in the composition of retirement pension products. Based on the above verification results, the operation plan of the DC retirement pension was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proportion of real estate indirect investments in the portfolio of retirement pensions should be increased. As examined in previous studies at home and abroad and pension fund management, it was found that the portfolio including real estate assets has reduced risk and increased profits, a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optimal portfolio, high-achieving were derived from profitability and stability in the portfolio in which real estate indirect investments were incorporated.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real estate indirect investment will be a way to solv the problem of low returns on retirement pensions in Korea. Second, the retirement pension market is changing to DC, and the expansion of investment in risky assets require the strndghening subscriber educaion.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standardize the comtents of subscriber education and establish specific guidelines. It is necessary to operate a retirement pension education organization for subscribers and should help subscribers make reasonable decisions when selecting products and operate reserves. Third, it is necessary to set up a separate cooperation department in the company so that users and business operators can cooperate with each other. This department should conduct counseling, reserve management, and subscribers training with independence. It is desirable for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to help cooperative projects aimed at managing subscribers, such as evaluation of the cooperative projects between users and business operators to share success stories and give incentives. Fourth, most real estate funds in Korea are not included in DC retirement pensions due to the limitation of bein closed. Axxordingly, the management company should develop a real estate fund that meets the nature of retirment life. In addition, the Ministy of Employment and Labor needs to improve system that strictly limit the reasons for withdrawal. 우리나라는 빠른 속도로 고령사회(Aged Society)로 진입하면서 고령화에 대비하기위한 사회적 인프라 구축이 무엇보다 중요한 국가적 과제가 되었다. 이러한 이유에서 퇴직연금은 국민 스스로 노후생활을 대비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수단이 되고있다. 우리나라의 퇴직연금은 2005년에 도입되어 2020년 말 기준 총 적립금은 255.5 조원으로 양적 성장은 계속되고 있지만 수익률이 낮은 문제를 안고 있다. 이에 퇴직 연금 포트폴리오에서 부동산 간접투자상품의 비중이 확대된다면 안정적이면서도 높은 수익률을 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동산 간접투자 상품을 활용한 퇴직연금 포트폴리오구성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퇴직연금관련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이에 대한 문제점을 진단한 후 개선점을 제안하였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우선 마코위츠의 포트폴리오 이론을 바탕으로 자산별 대표지수 (벤치마크 지수)와 국내 퇴직연금서 선택할 수 있는 부동산 간접투자상품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후 대표지수와 상품으로 구성된 포트폴리오를 시뮬레이션 분석하여 최적자산배분을 도출하였다. 사용된 변수는KOSPI, MSCI All countries World Index , JP Morgan Government Gond Index, KIS 종합채권지수, 케이탑리츠, 신한알파리츠, 한화글로벌리츠부동산자투자신탁과 하나UBS글로벌리츠부동산투자신 탁 두 개를 조합한 가상부동산펀드, 부동산ETF(TIGER 미국 MSCI리츠)이다. 그리고 퇴직연금 관련 전문가 23인과 함께 확정기여형(이하 DC형) 퇴직연금에서 부동산 간접투자상품을 포함한 포트폴리오 운영에 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논의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도구로 기초통계분석 및 상관관계 분석은 SPSS26.0을 사용하였고,실증분석의 최적자산배분은 Excel의 Solver(해찾기) 기능을 사용하였다. 부동산 간접투자상품을 활용한 퇴직연금 포트폴리오에 관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투자자산의 대표지수와 부동산 간접투자상품을 변수로 선정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리츠와 부동산ETF가 퇴직연금 포트폴리오의 위험을 분산시키는 결과를 나타냈다. 그리고 케이탑리츠와 신한알파리츠를 포함한 최적자산배분 분석결과 부동산 간접투자상품이 포함되지 않은 전통적인 포트폴리오보다 표준편차는 낮고 수익률은 높게 나타나 부동산 간접투자상품을 편입한 포트폴리오에서 안정성과 수익성 모두 긍정적인 결과가 도출되었다. 둘째, DC퇴직연금의 포트폴리오와 부동산 간접투자상품의 비중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다른 자산군의 상품과 상관관계가 낮은 부동산 간접투자상품을 20% 이 미만의 비중으로 높이는 것이 좋다는 의견이 많았다. 셋째, DC형 퇴직연금 가입자들의 상품선택의 합리성을 조사한 결과, 전문가 22명이 가입자들은 그들이 가입하는 상품의 종류 및 운용현황에 대해 잘 알지 못하고 부동산 간접투자상품에 대해 알지 못한다고 답하였다. 이는 가입자를 위해 사용자 및 사업자가 제공해야 할 상품에 대한 교육과 안내가 부족한 원인으로 가입자교육과 관리가 강화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넷째, 형 퇴직연금 운용에 관한 상담 및 관리현황을 조사한 결과 전문가 17명은 퇴직연금 가입자들이 본인의 적립금 관리에 관심이 부족하다고 답하였고 전문가 16명은 사용자와 사업자가 가입자의 적립금에 대한 안내 및 관리가 부족하다고 지 적하였다. 따라서 가입자는 DC형 퇴직연금은 본인이 운용하고 책임져야 하는 개인자산임을 인식해야 하고 사용자와 사업자는 퇴직연금 가입자의 관리능력이 향상될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정보와 교육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다섯째, 퇴직연금에서 선택할 수 있는 부동산 간접투자상품 선택범위에 대해서 전문가 16명이상이 부동산펀드, 상장리츠, 부동산ETF 가 퇴직연금에서 상품으로 선택하기에 부족하다고 답했다. 따라서 부동산 간접투자상품을 개발하고 다양한 부동산 간접투자상품을 퇴직연금 상품구성에 포함시킬 방안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위와 같은 검증 결과를 종합하여 DC형 퇴직연금의 운영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퇴직연금의 포트폴리오에서 부동산 간접투자상품의 비중을 확대하여야 한다. 국내외 선행연구와 연기금 운용에서 살펴보았듯이 부동산자산을 편입한 포트폴리오에서 위험이 감소하고 수익이 증가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고 최적자산배분 분석결과 부동산 간접투자상품이 편입된 포트폴리오에서 수익성과 안정성면에서높은 성과의 결과가 도출되었다. 부동산 간접투자상품의 비중확대는 우리나라 퇴직연금의 낮은 수익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하나의 방안이 될 것이다. 둘째, 퇴직연금시장이 DC형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고 위험자산의 투자확대는 가입자교육의 강화를 요구하게 되었다. 따라서 가입자교육의 내용을 표준화하고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입자를 위한 퇴직연금 교육전문기구를 운용하고 가입자가 상품선택과 적립금을 운영할 때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내릴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셋째, 사용자와 사업자는 각각 서로 협력할 수 있도록 사내 별도의 협력업무 부서의 개설이 필요하며 이 부서는 독립성을 가지고 가입자의 상담과 적립금운영, 가입자교육을 진행하여야 한다. 고용노동부는 사용자와 사업자의 협력사업을 평가하여 성공사례를 공유하고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등 가입자를 관리하는 목적의 협력사업을 돕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국내 대부분의 부동산펀드는 폐쇄형이라는 한계점으로 DC형 퇴직연금의 상품구성에 편입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운용사는 퇴직연금의 성격에 맞는 부동산펀드를 개발해야 하고 가입자는 퇴직연금이 노후생활을 책임질 중요한 자금이라는 인식으로 중도인출을 지양해야 한다. 더불어 고용노동부는 중도인출 사유를 엄격히 제한하는 제도개선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

      • 대학생의 진로장벽 및 사회적지지와 긍정심리자본, 진로만족의 구조관계 및 성별간 다집단분석

        김지원 건국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장벽 및 사회적지지와 진로만족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와 성별에 따른 진로변인의 차이와 구조방정식에서 성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 상정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전국의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575명의 대학생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SPSS 21으로 기본적인 기술통계와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18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고 성별에 따른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진로장벽은 진로만족에 직접적으로 부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대학생의 사회적지지는 진로만족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둘째,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사회적지지는 모두 긍정심리자본을 매개로 진로만족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여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과 사회적지지가 남학생보다 높았고, 긍정심리자본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았으며, 진로만족은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진로장벽과 사회적지지, 긍정심리자본, 진로만족에 이르는 구조경로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주는 시사점과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과 진로만족을 높이기 위한 진로 지도 및 상담 개입을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으며,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수록하였다.

      • R 패키지 변화점 분석에 사용되는 판정기준에 대한 고찰

        김지원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Fluctuation point analysis is used in a variety of fields, including climate, biometrics, marine science, astronomy and physics, where there are many variations. Data observed over time often involves changes in parameters that play a key role in the description of the data, such as means, variances, and so on, This report will seek out statistical methods which can reduce the cost and time required to explore the change point. This paper delivers a result for a simulation that is carried out to find the right time for the change operate. The changepoint of the statistical program R is mainly used to find the turning point. The input values for finding the optimum variation point were evaluated using a simulation, using different method- Method, Penalty, which is entered as a package option for Chagepoint. For methods, " PELT ", " SegNeigh " and " BinSeg " are used in some cases. While penalty is usually divided into " None ", " AIC ", " BIC ", " SIC ", " MBIC " and " Hannan-Chart." Depending on the combination of Method and Penalty, the results of the variation points selected may differ. Therefore, with the consideration of Method, Penalty, this report show creation of a model to find the optimal variation point, and compare the pros and cons of each model. For this purpose, we introduced a theory of existing statistical modelling techniques and explored how best to explore change points through simulation. In addition, the simulation analysis of this study searches for the best transformation points among the various models available in Changepoint, and also for other studies that always needs new data, will serve as a reference to find a precise and quick fluctuation point. 변화점 분석은 변화점이 많은 기후학, 생물정보학, 해양학, 천문학, 물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시간에 따라 관측되는 자료는 평균, 분산 등과 같이 자료의 설명에 핵심적 역할을 하는 모수의 변화가 흔히 발생하므로, 변화점 분석을 위한 비용 및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통계적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연속적인 시간의 흐름속에 발생되는 변화 혹은 일정한 패턴을 보이는 관측값이 순차적일 때, 자료에서 변화가 시작되는 시점인 변화점의 적절한 시점을 찾는 연구를 수행하였다(김재희, 서현주, 2002). 통계프로그램 R의 changepoint 패키지는 변화점을 찾기위해 주로 이용되고 있다. 변화점에서의 패키지 옵션으로 입력되는 Method, Penalty를 달리하여 모의실험을 통해 최적의 변화점을 찾는 입력값을 평가하였다. Method는 경우에 따라 “PELT”, “SegNeigh“, ”BinSeg”가 이용되고 있다. Penalty는 보통 "None", "AIC", "BIC", "SIC", "MBIC", "Hannan-Quinn"으로 구분된다. Method와 Penalty의 조합에 따라 과정이 상이하기 때문에 선정되는 변화점의 결과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Method, Penalty를 고려하여 최적 변화점을 찾기위한 모형을 만들고 각 모형의 장단점을 비교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존에 존재하는 통계모델링 기법들에 대한 정의와 이론들을 소개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최적의 변화점 탐색 방법을 살펴보았다. 또한, 본 연구의 시뮬레이션 분석은 변화점 분석에서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모형 중 최적의 변화점을 탐색하여 다양한 변화가 일어나는 자료에 관심을 두는 학문을 위해 정확하고 빠른 변화점을 찾는 기초연구자료가 되고자 한다.

      • 주민주도 학습공동체의 형성과 성장에 관한 탐색적 연구

        김지원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focuses on the process of newly formed and developed Sewol-ri village community, Gangsang-myeon, Yangpyeong-gun, Gyeonggi-do. And it is a case study to examine the series of flows in which a learning community is formed and developed in the process, and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residents' leading participation in the flow. Thereby, the researcher observed the changes in the village community appearing in this flow, and confirmed that the residents have been transformed into independent activists and active participants in the village community. Thus,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process of birth, growth, and expansion of the residents' voluntary community organizations through specific examples and data, and to observe the results of the expansion into a practical learning community that the residents could feel. In addition, it was also possible to see the process of the Sewol-ri village community being transformed into a resident-led village community that encompasses learning and practice in order to grow into a more sustainable village community by meeting lifelong education. Through this, the process of the village residents' perspective of the village community and what kind of reciprocal learning activities they experienced and developed for the village community was analyz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village residents of Sewol-ri were encouraged to promote exchange between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at the beginning of Sewol, an educational institution in the region. It is expected to serve as an important mechanism for communication and community promotion. Second, in the community of Sewol-ri, the process of commercialization of culture and arts activities to promote residents' understanding and revitalization of participation was remarkable. It became an important force in digging into the village and taking the shape of a community. Third, the fact that as the village-level business activities of Sewol-ri village continued to be carried out and the scope of activities grew, practical organizations were formed to lead and support the village community, and they led the learning and practice of learning for village residents. to be. Fourth, the growth of the village community was not centered on public institutions or school stakeholders, but gradually centered on the residents in the process of growing residents' community. In the beginning of the years, teachers and external culture and art experts were influenced, but various community leading organizations were created in Sewol-ri village, or existing meetings changed and developed, and the process of transferring and sharing past activity experiences expanded into continuous learning activities. Fifth, in the process of diversifying and organizing the activities of the village community in Sewol-ri village, as well as the strategy and vision of lifelong education, as well as the local community revitalization policy, the village community and residents of Sewol-ri met with practical learning and practice The importance of (by learning) was recognized, and this became the basis for future village community activities and community revitalization projects. 본 연구는 경기도 양평군 강상면 세월리의 마을공동체의 성장 과정에서 주민주도의 학습공동체의 형성과 성장 과정을 탐색하는 사례연구이다. 본 연구는 마을공동체의 변화 흐름을 관찰하면서 그 흐름 속에서 주민들이 마을공동체의 주체적인 활동가와 적극적 참여자로 변모하는 양상, 마을공동체를 유지 발전시킨 공동체 내부의 주민조직변화, 이를 통해 증진된 성과 사례들의 면면을 참여하고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가장 최근에는 세월리 마을공동체가 평생교육 영역과 만나, 지속가능한 마을공동체로의 성장을 위해 학습과 실천을 아우르는 주민주도형 마을공동체로 변모하고 있는 과정도 살필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마을 주민들이 마을의 공동체를 바라보는 관점과 마을공동체를 위해 주민 스스로 어떤 호혜적인 학습 활동을 경험하고 성장하였는지의 과정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월리의 마을 주민들은 지역의 교육기관인 세월초 교사와 학생, 학부모 그룹의 초기 교류 촉진 활동에 힘입어 학교-마을 연계 활동이 마을공동체 조성의 계기가 되었으며, 이는 앞으로 농촌 지역의 교육기관이 마을과의 소통과 공동체 증진에 있어 중요한 기제로 작용할 것으로 본다. 둘째, 세월리 마을의 공동체는 주민들의 이해 증진과 참여 활성화를 도모하는 문화예술 활동의 마을공동체 사업화 과정이 두드러졌으며 이러한 마을 문화예술사업은 지역에 관심도와 참여도가 높은 외부의 문화예술활동가와 전문가들이 마을 속에 파고들어 공동체의 모습을 갖춰 가는데 중요한 힘이 되었다. 셋째, 세월리 마을은 마을 단위의 사업 활동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활동의 영역이 커지면서 마을공동체를 선도하고 지지하는 실천조직들이 형성되었고 이들이 마을 주민들을 대상으로 활동을 위한 학습, 학습에 의한 실천을 주도했다. 넷째, 마을공동체의 성장은 공공기관이나 학교 이해관계자 중심이 아니라 주민들의 공동체성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점차 주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세월초 교사와 외부 문화예술 전문가들의 영향이 작용은 했으나 세월리 마을 내에 다양한 공동체 선도조직들이 생성되거나 기존의 모임들이 변화 발전하고 이들이 과거의 활동 경험을 전수하고 공유하는 과정은 지속적인 학습 활동으로 확대되었다. 다섯째, 세월리 마을의 마을공동체 활동이 다양해지고 조직화되는 과정에서 지역사회 활성화 정책 뿐만 아니라 평생교육의 전략과 비전을 만나 세월리의 마을공동체와 주민 주체들에게 비로소 실천학습(practical learning), 학습실천(practice by learning)의 중요성이 인식되고 이것이 향후 마을공동체 활동과 공동체 활성화 사업의 기조가 되었다.

      • 저농도 부틸파라벤 장기노출이 제브라피쉬의 신경행동 변화에 미치는 영향

        김지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부틸파라벤 (Butylparaben, BuP)은 식품, 약품, 화장품 등 다양한 산업에서 사용되는 방부제 물질로서, 내분비계 교란장애를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다. 2014년 이후부터 유럽연합을 포함한 다양한 국제 규제기관에서 BuP의 사용을 금하고 있지만, 특정 나라와 특정 산업에만 한정된 규제라는 점에서 여전히 그 위험성이 사라지지 않고 있다. 인도, 이집트, 브라질 등의 여러 나라의 수계에서 고농도의 BuP이 검출되고 있으며 흔히 사용하는 생활제품에서도 BuP이 검출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생물체들이 BuP에 지속적으로 노출된다면 높은 친유성을 가지는 BuP이 지방세포 등에 축적될 수 있기 때문에 그 위험성은 더욱 높아진다. 때문에, 환경 중 농도를 고려한 저농도 BuP의 만성노출에 따른 독성영향 평가가 수반되어야 하며, 현재까지 제한적인 연구가 수행된 신경독성 영향을 평가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저농도 BuP에 제브라피쉬를 장기노출 시킨 후에 나타나는 신경독성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환경 중 농도의 BuP (i.e., 0.01, 0.1, 및 1.0 mg/L)에 성체 제브라피쉬를 28 일 간 노출시켰다. 28 일 이후에, 불안도 평가, 광감성 평가, 기억력 평가의 세 가지 신경행동실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기전분석을 위하여 제브라피쉬의 뇌를 사용하여 RNA-seq을 이용한 전사체 분석과 LC-MS/MS를 이용한 신경스테로이드 발현 변화를 분석하였다. 신경행동실험결과 모든 노출 그룹에서 불안도는 변화하지 않았지만, 1.0 mg/L 노출 그룹에서 광감성이 저하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0.1 mg/L와 1.0 mg/L의 노출 그룹에서 기억력 손상이 관찰되었으며 특히 1.0 mg/L 노출 그룹에서 높은 손상이 나타났다. RNA-seq 분석에서 차등발현유전자를 이용하여 생물학적 경로를 분석한 결과 phototransduction 및 retinol metabolism 등이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1.0 mg/L 노출 그룹의 차등발현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GABAA 수용체 활성화 경로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신경스테로이드의 발현 분석결과 일주기 리듬과 관련된 cortisol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GABAA 수용체의 활성화와 관련된 allopregnanolone의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BuP에 노출된 이후 phototransduction 및 cortisol의 분비변화로 인하여 광감성이 저하되었고, allopregnanolone의 발현 변화로 인하여 GABAA 수용체 활성화 경로에 이상이 유도되어 기억력 손상이 나타난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제브라피쉬 성체 모델을 활용하여 저농도 BuP 만성노출에 의한 신경행동이상과 비정상적인 phototransduction 신호전달 및 allopregnanolone 발현 이상 등을 신경독성 발현 원인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BuP의 신경독성 유발기전을 알 수 있으며, BuP의 신경독성을 평가하는 데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Like other parabens, such as methyl-, ethyl-, and propyl-parabens, butyl-paraben (BuP) has been used as a preservative in various industries such as beverages, cosmetics, and pharmaceuticals. Although the endocrine-disrupting properties of BuP have limited its use in cosmetics and personal care products, it is still detected in commercial products and environmental systems. Studies on neurotoxicity of BuP were limited and most of studies have reported the neurotoxicity of BuP upon acute exposure to high concentrations. To date, the neurotoxicity was assessed at environmentally low concentration upon chronic exposure. In this study, neurobehaviors in zebrafish adults were assessed in employed novel tank test, photomotor response test, and T-maze test after exposure to BuP for 28 days at low concentrations of 0, 0.01, 0.1, and 1.0 mg/L.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underlying molecular perturbations in the brain, alteration of transcripts, and neurosteroids was measured. We found that BuP penetrated the blood-brain barrier and impaired neurobehavior in photosensitivity at 1.0 mg/L and in memory at 0.1 and 1.0 mg/L. In RNA-seq analysis, phototransduction, tight junctions, and neuroactive ligand receptor activity were significantly affected, which explains the observed abnormal neurobehaviors. Neurosteroid analysis revealed that BuP increased cortisol level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and specifically reduced allopregnanolone levels at all tested concentrations, suggesting that cortisol and allopregnanolone are significant neurosteroid markers associated with photosensitivity and memory deficits This study is the first study to suggest the mechanisms of neurotoxicity upon chronic exposure to BuP at environmentally low concentrations using the zebrafish model. Changes in neurobehavioral behavior can lead to consequences that affect survival and species conservation, such as eating disorders or reproductive disorders in fish. Since behavioral changes caused by BuP can induce ecosystem instability, the neurotoxicity and various toxic effects of BuP should be studied in the future, and this study may provide a footho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