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려인 청소년의 학교생활을 통한 문화적응 과정 경험연구 : 우즈베키스탄 출신을 중심으로=

        김지나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ethnic Korean young people from Uzbekistan adapt themselves to a new culture and how their identities change as they experience their school life in Korea.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need to develop concrete support plans, differentiated policies, and educational services that help overseas Koreans, especially ethnic Korean young people from Uzbekistan better adapt themselves to their school life in Korea.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to meet these research objectives, RQ 1: How do ethnic Korean young people from Uzbekistan experience the process of acculturation in their school life in Korea? RQ 2: How do their identities change? To get the responses to these questions, the author of this study carried out one-on-one interviews with 5 ethnic Korean young people from Uzbekistan living in (Ga) city, Gyeonggi-do from April 27 through November 29, 2015. In addition, as the result of carefully illuminating and analyzing all their statements by means of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they were classified into a total of 15 minor subjects and 8 major subjects under the 3 categories: “Life on the border”, “School life”, and “Uncertain future”. The analysis results of responses to RQ 1 are as follows: First, the biggest challenge that they had to face in the process of acculturation in their Korean school life was their inability to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overall school lessons because of their poor Korean language. Second, they also had difficulty in getting along with their Korean fellow students. They said that they could form an amicable relationship with them, but they could not develop a close relationship in which they were able to confide with them. Instead, they were found to have associated with other ethnic Korean friends in Korean schools and to have received more help from them in overcoming difficulties in their school life. Third, Korean teachers’ attitudes toward them were generally positive and friendly. On the contrary, their Uzbek teachers were found to have had unilateral, directive and commanding attitudes toward them. However, they were also found to have had difficulty in forming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ir Korean teachers as well due to their poor communication in Korean language. Fourth, it was found that various support services in Korean schools helped them adapt themselves to their Korean school life. They showed their sense of satisfaction with their school life thanks to various supports for multi-cultural class students. However these educational supports differed from school to school. The analysis results of responses to RQ 2 are as follows: First, they had their identities as ethnic Koreans before they came to Korea. They also had expectations for Korea because they heard the stories of Korea from their parents who had earlier got jobs in Korea and they knew that their ethnic roots began in Korea. Though they came to Korea with such expectations, they experienced their identity confusion as they had Korean school life. Their identity confusion resulted from the relationship with and the attitudes of the Korean teachers and friends, who treated them as foreigners, not as Koreans, though they knew that their ethnic roots began in Korea: they were found to have unique identities as ethnic Koreans for this reason. As a result, they perceived the language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revealing self-identities, and thus thought they could have the identities as Koreans if they had a good command of Korean language. Second, they want to make their future dreams come true in Korea, which seems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ir parents. The parents, who came to Korea and now have tough jobs themselves, want their children to have stable jobs that can get them wealth and honor. In addition, the ethnic Korean young people themselves admitted that it was difficult to make their dreams come true in Uzbekistan. However, they had only vague hopes about their career, with no concrete action plan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proposals to make sure that they successfully adapt themselves to their school life and Korean culture. First, one of the biggest challenge they faced in their Korean school life was their inability to understand the lessons due to their poor Korean language. Thus, there is need to deepen the art an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hat is easy to understand even without verbal capability and can provide sense of accomplishment as well as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bility Second, schools are the places where ethnic Koreans from Uzbekistan come to experience Korean society for the first time. Therefore schools should provide bilingual education programs as well for them. In addition, as they got confused about double identities that are formed between the two cultures, there is the need to create the programs for them to explore, develop, and establish their self-identities Third, educational systems and policies should be established to allow them to stand on their own feet as competent members of the Korean future society. They may face the crisis of being dropped out when they begin to go to high school as in the cases of the young people who have immigrated to this country during their school ages. Therefore, there should be more specialized high schools than general college-entrance-oriented schools for them. In addition, a quota system should be implemented to make sure that they will also be allowed to make an entry into Korean society. Fourth and lastly, most of the parents of the ethnic Korean young people from Uzbekistan have come to Korea with visiting employment visas. Schools need to provide Korean-culture education for them with open-minded attitudes; it will be the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s and their children who are both living in Korea. KeyWord : Ethnic Korean Adolescents from Uzbekistan, Acculturation process , Identities change, School life,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본 연구는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국 학교생활 경험을 통해 새로운 문화에 적응하는 문화적응 과정과 그들의 정체성 변화는 어떠한지 탐색하고자 한다. 궁극적인 이 연구의 목적은 재외동포 청소년, 특히 고려인 청소년들이 한국 학교생활에 보다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구체적인 지원방안과 차별화된 정책 및 교육서비스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학교생활에서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청소년의 문화적응 과정 경험은 어떠한가? 둘째,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청소년의 정체성 변화는 어떠한가? 본 연구문제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본 연구자는 2015년 4월 27일부터 11월 29일까지 경기도의 (가)시의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청소년 5명과 일대일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또한 이들의 모든 진술 내용을 Giorgi의 현상학적 분석방법을 통해 세심하게 조명하여 분석한 결과, ‘경계 속의 삶’, ‘학교생활’, ‘불확실한 미래’라는 3개 범주의 총 8개의 대주제와 15개의 소주제로 분류되었다. 연구문제 1의 한국 학교생활에서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청소년의 문화적응 과정 경험은 어떠한가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학교생활에서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청소년의 문화적응과정 중에서 겪는 가장 큰 어려움은 서툰 한국어로 인해 전반적인 수업의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었다. 둘째, 교우들과의 관계에서도 어려움이 있었다. 한국 친구들과 원만한 관계를 형성하였으나 속마음을 터놓을 수 있는 깊은 관계를 맺지 못한다고 하였다. 반면에, 한국 학교 내의 고려인 친구들끼리 어울렸으며, 학교생활에서의 어려움을 해결하는데 있어서도 고려인 친구의 도움을 받는 일이 더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청소년을 대하는 한국 교사의 태도는 대체로 긍정적이며 친절하다고 하였다. 이와 반대로, 우즈베키스탄 교사의 태도는 일방적이고 지시적이며 명령하는 태도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한국 교사와의 관계에서도 원활하지 않은 의사소통으로 인해 깊은 관계를 형성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국 학교 내의 다양한 지원서비스는 한국 학교생활에 적응을 돕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학급 학생을 위한 다양한 지원 때문에 학교생활에 만족감을 드러냈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지원은 학교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연구문제 2의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청소년의 정체성 변화는 어떠한가에 따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청소년은 한국으로 입국 전 고려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갖고 있었다. 한국으로 먼저 해외취업을 간 부모로부터 들은 이야기와 자신의 뿌리가 한국에서부터 시작했음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한국에 대한 기대도 있었다. 이러한 기대감을 갖고 한국에 왔지만, 한국 학교생활을 통해 정체성의 혼란을 겪었다. 이들은 정체성 혼란의 원인으로, 한국의 교사와 교우들은 고려인 청소년들의 뿌리가 한국에서부터 시작하였음을 인정하지만, 이들을 외국인으로서 대하였기 때문에 이들은 한국인도 아닌 외국인도 아닌 고려인만의 독특한 정체성을 갖게 되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이들은 언어가 자아정체성을 드러내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하였으며, 이로 인해 한국어를 잘하게 되면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갖는다고 생각하였다. 둘째,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청소년은 미래의 꿈을 한국에서 이루고 싶어 하였는데, 이는 부모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한국으로 온 이들의 부모는 고된 직업을 갖고 있지만, 부모는 이들이 한국에서 부와 명예를 얻을 수 있는 안정적인 직업을 갖길 원했다. 또한 고려인 청소년 스스로도 우즈베키스탄에서는 자신의 꿈을 이루기 어렵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진로에 대해 막연한 꿈을 갖고 구체적인 실천 계획은 아직 없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고려인 청소년들이 한국에서의 성공적인 학교생활과 문화적응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청소년이 한국 학교생활에서 겪는 어려움 중 가장 큰 문제는 바로 서툰 한국어로 인해 수업을 이해하지 못함이었다. 이에 이들에게 언어적인 요소가 아니어도 이해하기 쉬우며 성취감을 느낄 수 있고, 심리적·정서적 안정을 줄 수 있는 예체능 관련 교과 수업을 심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청소년이 한국에서 가장 먼저 사회 경험을 하게 되는 곳은 학교이다. 이에 학교에서는 이들을 위한 이중언어 교육도 제공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이들이 두 문화 속에서 형성되는 이중 정체성에 대해 혼란스러워하였는데, 이들을 위해 자아정체성을 탐구하고 개발하며, 확립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셋째,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청소년이 미래 한국 사회에서 훌륭한 사회 구성원으로서 자립할 수 있도록 이들을 위한 교육제도 및 정책이 필요하다. 이들은 중도입국 청소년들과 같이 고등학교에 갈 때 중도탈락의 위기를 맡게 된다. 이에 입시위주의 일반 고등학교보다 이들을 위한 특성화 고등학교를 설립해야하며, 또한 이들 역시 한국 사회로 진입할 수 있는 분명한 제도인 쿼터제(quota system)를 시행해야 할 것이다. 넷째,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청소년의 부모는 대부분 방문취업비자로 한국에 유입되어 있다. 이들의 부모인 고려인들을 위해 학교는 개방적인 자세로 한국어와 한국문화교육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는 국내에 거주하는 재외동포와 그 자녀들을 위한 교육이 될 것이다.

      • 소외된 영재(미성취, 다문화, 북한이탈, 여성, 소외계층, 장애영재)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김지나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까지의 소외된 영재관련 연구 논문을 대상으로 연도별 연구 흐름은 어떠한지, 주로 연구된 연구 대상과 연구 주제, 연구 방법은 어떠한지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국내에서 이루어진 소외된 영재관련 논문들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앞으로 지향해야할 연구 주제 및 연구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학술정보연구서비스(www.riss.co.kr)를 통하여 2016년 2월 말까지 발표된 논문들을 대상으로 ‘미성취 영재’, ‘다문화 영재’, ‘북한이탈 영재’, ‘탈북 영재’, ‘여성영재’, ‘소외계층 영재’, ‘소외 영재’, ‘장애영재’를 키워드로 검색하였고 선별 작업을 거쳐 학위논문 32편, 학술지 논문 64편 총 96편의 논문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4년부터 소외된 영재에 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진행되어 2008년, 2009년을 제외하고 2004년부터 2015년까지 눈에 띄는 증가, 감소 없이 매년 8편 내외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둘째, 주제별 동향을 보면 영재의 특성(33.3%),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19.4%), 실태 현황 및 인식 실태(12%), 전망, 기대, 방안, 동향(11.1%)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영재성의 발달(1.9%), 프로그램, 제도 및 정책 분석(1.9%), 부모(0.9%) 관련 연구는 거의 진행 되지 않았다. 셋째, 연구 대상별 동향을 보면 초등학생 대상이 37편(33.6%), 문헌 대상 연구가 31편(28.2%), 중학생 대상이 16.4%순으로 많았다. 넷째, 연구 방법을 살펴보면 문헌 고찰 및 제언 연구가 27편(28.1%), 조사 연구가 25편( 26%)으로 많았다.

      • 스마트폰 중독 아동의 자기조절능력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프로그램 연구 : Bandura의 사회인지 이론을 중심으로

        김지나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스마트폰을 손안의 PC라고 하는데 이것은 인터넷과 휴대폰을 결합한 지능형 단말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편리성을 갖고 있는 스마트폰은 현재 사용이 급격하게 늘어나면서 스마트폰에 중독 된 증상을 보인다. 이로 인해 스마트폰 중독은 알코올·마약·도박·인터넷 등 4대 중독 이외에 새로운 유형의 대표적인 중독이 되었으며, 사회적으로 다양한 문제적 증상을 보이고 있어서 예방 할 수 있는 치료 프로그램의 연구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Bandura의 사회인지이론을 중심으로 스마트폰 중독 아동의 자기조절 능력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연구, 개발하여 스마트폰 중독 아동에게 실제 적용을 해봄으로서,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자기조절 능력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한다. 스마트폰 중독 아동이 증가하고 있는 사회적 문제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는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기에, 스마트폰 중독 아동을 위한 치료방법의 하나로서 미술치료를 제안하였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 고위험군 증상을 보이는 초등학교 5학년 남아 1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자기조절 능력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2015년 10월부터 2016년 2월까지 주2회, 매 회기 50분 상담으로 총 32회기의 미술치료를 진행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스마트폰 중독 측정검사와 자기 조절 능력 측정검사, 집-나무-사람(House-Tree-Person: HTP)그림 검사를 사전·사후에 실시하였다. 또한 매회기 녹취와 관찰일지를 기록하여 아동의 언어표현과 행동변화, Bandura 사회인지 이론 요인을 적용하여 결과물에 따른 피드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가 스마트폰 중독아동의 자기조절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아동의 자기조절능력 척도 검사결과 사전검사, 총점 61점에서 사후검사, 총점 77점으로 사전대비 16점 상승되어 아동의 자기조절 능력이 향상 된 결과를 보였다. 둘째, 아동은 스마트 폰의 문제를 스스로 인지하고 스마트폰 사용량을 자신이 스스로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 졌으며, 자기조절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 및 개선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스마트폰 중독 척도 검사결과 사전검사에서는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 척도 점수가 총점 47점으로 고위험군 스마트폰 사용자에 속하였지만, 사후검사에서는 총점 35점으로 스마트폰 중독 정도가 사전대비 12점 감소되어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이 완화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32회기에 걸쳐 진행한 미술치료의 영향으로 사후검사에서는 사전검사에 비해,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이 완화되고, 자기조절능력이 향상 되는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아동은 스마트폰으로 시청이 가능한 인터넷 방송인 아프리카 TV에서 진행하는 게임방송의 영향을 받아서 컴퓨터 게임을 하기 위해 친구들과 PC방에 자주 방문하고, 스마트폰으로 과다하게 아프리카TV를 시청 하는 등의 개선되지 못한 행동양상을 지속적으로 보였다. 이와 같은 행동양상은 32회기의 미술치료 만으로는 스마트폰 중독의 자기조절 능력 향상 개선에 한계가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스마트폰 중독아동의 자기조절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미술치료 이외의 시간에도 심리·정서적으로 주변의 가족과 친구, 학교, 지역아동센터의 담당 선생님들이 스마트폰 중독 아동에게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관리를 통한 올바른 개선이 필요하다고 보여 진다. 본 연구의 미술치료 프로그램 적용 대상자와 같이 스마트폰 사용량이 급증하며 중독성향이 나타나는 아동이 현재 많아지고 있지만 그에 비해, 이와 관련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충분하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스마트폰 중독의 예방적 차원에서 올바른 스마트폰 사용을 위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후속 연구 개발 된다면 스마트폰 중독으로 인한 여러 문제점을 개선 및 감소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가 스마트폰 중독 아동의 자기조절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기초연구자료로 활용이 되었으면 한다.

      • 마우리치오 카텔란(Maurizio Cattelan)의 작업에 나타난 저항의식

        김지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istant manner in the works of Italian artist Maurizio Cattelan. At the end of the 20th century when Cattelan started his artistic activities, Italy was going through rapid changes dominated by political conflicts in the need of social reformation. This also affected Italian art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artistic movements. The social and cultural factors influenced Cattelan, and he was able to form a manner of resistance towards all of the realms of society, and presented this through his works. However previous studies on Cattelan was mainly discussed in connection with his humorous or satirical manners of expression, not examining the fundamental purpose inherent in his works. Thus this study will explore the various works of Cattelan from his sculptures, installations, videos, performances to his curatorial works, seeing that his artistic activities derived from his resistant manner towards the authoritarianism found in all parts of society. Firstly, the works of Cattelan, based on his tradition Catholic upbringing in Italy, which challenge the authoritarian system in religion will be discussed. He used religious subject matters which go against original bible verses by using secular icons and objects, overthrowing the conventions of traditional religious art. Moreover he ridiculed the existence of god or man that acts on behalf of god by presenting these subjects in a provocative manner. Through these works Cattelan’s resistance towards traditional religious institutions and its authoritarian system can be specifically realized. Cattelan also showed a critical view on political and social reality through satirical expression. He presented works that satirize authority by comically portraying subjects such as hollow national pride, covered up historical events, and incompetence of power. In addition xenophobia, which is a serious issue in Italy due to the recent increase in immigrants, is also dealt in his works. He humorously visualizes how foreigners are excluded by using methods such as adopting popular sports in his artworks. Through this satirical rhetoric Cattelan tried to express a critical view on authoritarianism in society. Through a series of works, Cattelan publicized the social problems implied by the capitalist system. His installation pieces reveal social issues which are common in societies that rely on capitalism such as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poor caused by the unbalanced development of the economy, the reality of how the art world acts for profit, and the global economic crisis. He aimed to expose the serious social problemshidden behind the prosperous life that can be achieved through capitalism. Lastly Cattelan contemplated on the authoritarianism that has dominated the art world through works that are in tune with institutional critique art. He portrayed artists, gallerists, and spectators contemplating on their positions in the art scene. He also critically examined the venues where artworks are exhibited and distributed such as museums and biennales. He tried to reveal the authoritarian customs and disciplines that have dominated the art world for a long period and showed his resistance against them. Through this process, it can be viewed that Cattelan’s works, showing diversity in both form and media, were a result of his resistance against the power structure which is prevalent in art and society. This study has been able to examine the entire work of Cattelan through a single subject matter. The inherent purpose lying in his works could be realized whereas only the formal aspects were noted. Thu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at it was able to reaffirm the social critical functions of art. 본 논문은 이탈리아 출신의 마우리치오 카텔란(Maurizio Cattelan, 1960~)의 작업에 나타난 저항의식을 살펴본 연구이다. 카텔란이 작업 활동을 개시한 20세기말의 이탈리아는 사회개혁을 위해 정치적 대립으로 점철된 격변의 시기였으며, 미술계 또한 영향을 받아 다양한 현대미술운동들이 발전할 수 있었다. 이러한 사회적 그리고 문화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카텔란은 사회의 모든 영역에 대해 저항의식을 형성하게 되었고 이를 작업을 통해 구현하게 되었다. 그러나 카텔란에 관한 기존의 연구에서 그의 작업은 유희, 풍자 등의 수사법을 통한 표현방식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었으며 작업에 내재된 근본적인 의도를 밝히려는 시도는 찾아보기가 어렵다. 이에 본 논문은 조각, 설치, 영상, 퍼포먼스, 전시기획 등 카텔란의 다양한 작업들을 살펴보면서 그의 전반적인 작업이 사회의 여러 분야에서 작동하는 권위주의에 저항하기 위해 전개된 활동이었음을 다루고자 하였다. 먼저 기독교적 전통이 강한 이탈리아에서 성장한 배경을 바탕으로 카텔란이 종교의 권위적인 시스템에 도전한 작업들을 살펴보았다. 그는 종교적 소재와 내용을 다룬 작품들에서 기존 성서의 내용에 반하거나 세속적인 도상과 오브제들을 사용함으로써 전통적인 종교 예술의 관습들을 전복시켰다. 나아가 그는 신의 존재 그 자체, 신의 역할을 대신하는 인간 등을 조롱의 대상으로 삼아 이를 도발적인 면모로 제시하였다. 이는 전통적인 종교제도와 그 권위로부터 탈피하고자 하는 작가의 저항의식이 구체적으로 구현된 것이다. 또한 카텔란은 풍자적 표현방법을 통해 정치·사회적 현실에 비판적인 시각을 드러냈다. 우선 허황된 국가적 자부심, 은폐되어 왔던 역사적 사건, 권력자의 무능함 등의 주제로 기득권 세력을 풍자하는 작업들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카텔란은 최근 이탈리아에 이민자들이 증가되면서 불거진 제노포비아 현상을 화두로 삼아 대중적으로 인기 있는 스포츠 종목을 작품에 도입시키는 등의 방법으로 이방인이 배척당하는 실태를 유희적으로 시각화했다. 이러한 풍자적 수사법을 통해 카텔란은 사회에 팽배해있는 권위주의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한편 카텔란은 일련의 작업들을 통해 자본주의 체제가 내포하고 있는 사회적 문제들을 공론화시켰다. 그는 경제의 불균형적인 발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빈부격차, 이윤추구를 목적으로 움직이는 미술계의 실태, 글로벌 경제위기 상황 등 자본주의 체제에 의해 움직이는 사회가 당면한 사안들을 다양한 설치작업들을 통해 드러냈다. 그는 풍요로운 삶 이면에 많은 심각한 사회적 문제들을 안고 있는 자본주의 시스템의 실상을 드러내고자 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카텔란은 제도비판 미술과 맥을 같이 하는 작업들을 통해 미술계를 지배해 온 권위주의에 대한 재고를 촉구하였다. 그는 작가, 갤러리스트, 관람자 등 미술 시스템을 이루는 주체들의 입장을 고찰하게 하고, 미술관, 비엔날레와 같이 작품이 전시되고 유통되는 공간 또한 비판적으로 조명하였다. 그는 미술제도 내에 오랫동안 존재해왔던 권위주의적인 관습과 규율들의 실체를 드러내고 저항하고자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 과정을 통해 본고는 형식과 매체 면에서 다양성을 드러내는 작업들을 제작한 카텔란이 미술과 사회 속에 만연해 있는 권력 구조에 대한 저항의식의 결과물임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카텔란의 전 작업을 하나의 축으로 일관되게 조명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형식적인 면에만 치중되어 왔던 그간의 연구 범위를 내용면으로까지 확장시키고 이를 바탕으로 미술의 사회비판적 기능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본 논문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도시재생사업이 지역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지나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도시재생사업은 도시쇠퇴의 문제가 대두되기 시작하면서 나타난 21세기형 도시문제에 대한 새로운 대안으로, 국내의 경우 2013년 도시재생특별법 제정과 함께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서울시의 경우 뉴타운 출구전략에서 출발하여 2015년 ‘2025 도시재생 전략계획’을 수립함으로써 13개 도시재생활성화 선도 지역을 선정, 본격적으로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하였다. 서울시의 도시재생사업은 주변지역 부동산시장에 대한 예민한 반응이 예상되어 도시재생사업 시행으로 인한 부동산시장변화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쏟아지고 있다. 그러나 도시재생사업에 있어 지역거주민의 인지도 내지는 관심도가 매우 부족한 상황이며, 물리적 개선사업과 비교하여 환경개선의 효과가 입증되기 어려운 상황에서 대규모 예산투자가 이루어지는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비판과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서울시에서 가장 먼저 도시재생사업이 진행된 도시재생 활성화 선도 지역사업이 지역주택가격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고 도시재생사업이 지역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도시재생사업의 유형과 사업지역의 특성에 따라 그 영향정도가 상이할 것이라 판단하여, 도시재생사업을 유형화 하였다.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서울시 도시재생 선도 지역(활성화지역 1단계)이며, 시간적 범위는 도시재생법이 시행된 2013년부터 서울시 도시재생 선도 지역 사업고시 2년 후인 2017년까지이다. 분석을 위해 사전적으로 그랜저인과관계 검정을 통해 유형별 도시재생 사업지와 주변지 아파트 매매가격간의 인과관계 및 선행성을 시계열자료의 분석을 통해 고찰한 후, 정책효과를 측정하는 패널회귀분석법인 이중차분법을 활용하여 도시재생사업이 아파트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기존 선행연구와 같이 그랜저 인과분석을 시행한 결과 아파트가격간의 인과성 그랜저인과분석결과 도심권 중심업무지구(CBD)의 재생지역과 신촌, 창동상계 도시재생사업지역 아파트가격은 인접지역에 일방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충분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성수ㆍ장안 재생지역의 경우 인과관계를 상호 확인할 수 없었으며, 암사 재생사업지의 경우 쌍방 인과관계를 형성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도시재생사업지역과 인근지역 아파트간의 가격영향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사업요소적 측면에서 주거, 상업, 산업이 모두 복합적으로 존재하는 중심상업지역에 대한 도시재생사업이 가장 영향력이 컸으며, 다음으로 제조ㆍ유통산업지역의 근린상업부흥 위한 근린상업형 도시재생사업이 영향력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인근에 재건축ㆍ재개발, 신도시 사업이 위치해 있는 근린주거지역 도시재생사업은 음(-)의 영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도시재생사업에 비해 물리적 개선ㆍ개발 사업이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도시재생사업의 주거환경개선의 효과를 주택가격을 지표로 활용하여 살펴봄으로써 도시정책의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는 데에 학술적 의의를 가진다. 또한 도시재생사업의 대상이 되는 지역이 갖는 복합적이면서 세부적인 성격을 고려하여 분석함으로써 도시재생사업의 유형별 효과분석에 관한 연구를 심화시키고 발전시켰다는 데에 의의를 갖는다. 그러나 분석결과의 해석에 있어서 주택가격의 차이가 도시재생 사업지역과 인접지역을 비교한 상대적인 차이이며, 아파트의 경우 주택가격이 상대적으로 표준화 되어있음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urban regeneration project is expected to have a sensitive response to the real estate market in the surrounding areas, which is drawing keen public attention to the changes in the real estate market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However, there is a lack of awareness or interest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ere are lots of criticisms and concerns that urban regeneration projects where large-scale budget investment is not sufficient for the improvement of the environment compared to physical improvement projects.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on local housing prices, noting that urban regeneration projects will affect the prices of local housing. In addition, the extent of their impact would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The spatial extent of this study is the leading area for urban regeneration of Seoul. The time span of this study is from 2013 when the Urban Regeneration Act was enforced to 2017 which is two years before and after presented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urban regeneration project in 2015.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difference in price impact between urban regeneration and apartments in nearby areas found that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the central commercial areas with infrastructure readjustment as the main projects were the most influential. Followed by urban regeneration projects designed to revitalize the economy in manufacturing and distribution industries. On the other hand,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old residential areas, where near by reconstruction, redevelopments and new urban projects, have less impacted. It is because physical improvement and development projects is more effective tha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is study holds academic significance that the effectiveness of urban policy has quantitatively analyzed the effect of improving housing environment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by utilizing housing prices as an indicator. Also, It is meaningful because the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analysi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has been considered by considering the complex and detailed nature of the areas subject to urban regeneration projects. However, it is expected to be necessary to consider that the difference in housing prices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analysis results is relative between urban renewal business areas and adjacent areas. It has to be considered that housing price of apartment is relatively standardized.

      • 창의·인성 교육으로서 노약자 및 장애인을 위한 유니버설디자인 프로그램 개발 연구 : 고등학교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김지나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is about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The main content is about the development of universal design programs for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and the main purpose is to cultivate creativity and character through the universal design program. Recently,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including Korea, are entering a super-aging society, and individual diversity and human rights are becoming more important with the flow of a global community society. Accordingly, education is more necessary to foster creative talents who can solve community problems with a sense of democratic citizenship so that adults and children,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can all enjoy a safe and happy world without restrictions as members of a society. Therefore, this thesis developed an educational program to improve th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required in modern society, respect and empathize with others, and increase the sense of community. To this end, Chapter 2 made us understan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universal design and explained the necessity of developing this program. Next, to find out the current status of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in high school art education, I analyzed 7 types of high school art textbooks revised in 2015, focusing on universal design-related content, and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incumbent high school art teachers and high school students.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although teachers are well aware of and feel the need for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and universal design education, it is difficult to conduct classes due to lack of related materials, etc. On the other h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tudents had low awareness of universal design, so it was necessary to explore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connection with the field of experience and expression and to develop various universal design education programs. In Chapter 3, this study developed two universal design programs for the elderly and disabled as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in Chapter 2, and applied them to students and analyzed the results. The programs developed are the ‘Cane Universal Design Program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 ‘Universal Design Program for Walking Aids for the Elderly’. In the 'Cane Universal Design Program for the Visually Impaired,' we presented a problematic situation so that they could recognize the problem, explained universal design, and then made them to experience the visual discomfort, based on this, we had them remodel and show the cane (white cane), which is widely used in the past. In the ‘Universal Design Program for Walking Aids for the Elderly', we first made them recognize the problem, explaine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nd the concept of universal design, and then had them model the universal design of a walking aid for the elderly. In Chapter 4, this study drew educational effects based on the results of applying the program described above and suggested a way to activate this program. The educational effects derived from the application of the universal design program for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as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program was able to improve creative thinking abil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Second, it was effective in cultivating upright personality through the improvement of empathy ability. Third, it was possible to strengthen the sense of community and increase understanding of the weak. However, despite such educational effects, there were difficulties due to limitations in expression media and class hours dur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ree ways to further vitalize this program. First, this program will be expanded by linking it with a disability experience class program. Second, develop a model production program to explore the feasibility of this program and enhance its actual production capabilities. Third, connect and expand the infographic design program to strengthen visual communication skills. As a creative and character education, the Universal Design Program for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develops the qualities of a democratic citizen with creativity and character by allowing student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design for all through experience and expression, and to proactively solve problems that may arise in life and around them based on empathy. I hope that universal design education related to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will be activated and various and continuous research will be conducted, which will help the development of art education. 본 논문은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창의·인성 교육으로서 노약자 및 장애인을 위한 유니버설디자인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것으로 유니버설디자인 프로그램을 통해 창의·인성을 함양시키는 데 주된 목적을 두었다. 최근 한국을 비롯해 전 세계적으로 많은 나라들이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으며, 세계 공동체 사회로의 흐름에 따라 개인의 다양성과 인권이 더욱 중요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어른과 아이, 장애인과 노약자 등 모두가 한 사회의 일원으로서 제약 없이 안전하고 행복한 세상을 누릴 수 있도록, 민주시민 의식을 가지고 공동체의 문제를 해결하는 창의적 인재를 양성하는 교육이 더욱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대 사회에 필요한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의 향상과 더불어 타인을 존중하고 공감하며 공동체 의식을 증대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2장에서는 유니버설디자인의 개념 및 특징을 이해하고 본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현재 고등학교 미술교육에서의 창의·인성 교육 실시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유니버설디자인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2015 개정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 7종을 분석하였고, 현직 고등학교 미술 교사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교사들은 창의·인성 교육 및 유니버설디자인 교육에 대하여 잘 알고 있고 필요성도 느끼고 있지만 관련 자료 부족 등의 이유로 수업을 실시하기가 어렵다는 것을 파악하였고, 학생들은 유니버설디자인에 대한 인지도가 낮은 것으로 확인되어 체험·표현 영역과 연계한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의 모색과 다양한 유니버설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장에서는 2장에서의 분석을 바탕으로 창의·인성 교육으로서 노약자 및 장애인을 위한 유니버설디자인 프로그램 두 가지를 개발하고,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은 ‘시각장애인을 위한 케인 유니버설디자인 프로그램’과 ‘노인을 위한 보행보조기구 유니버설디자인 프로그램’이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케인 유니버설디자인 프로그램’에서는 문제 상황을 제시하여 문제를 인식하도록 하고 유니버설디자인에 대해 설명한 후 시각의 불편함을 직접 체험해보게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기존에 널리 쓰이고 있는 케인(cane, 흰 지팡이)을 리모델링하여 나타내 보도록 하였다. ‘노인을 위한 보행보조기구 유니버설디자인 프로그램’에서는 먼저 문제를 인식하도록 하고 노인의 신체적 특성 및 유니버설디자인 개념을 설명한 후 노인을 위한 보행보조기구 유니버설디자인을 모델링해 보도록 하였다. 4장에서는 앞에서 설명한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물을 토대로 교육적 효과를 도출하고 본 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창의·인성 교육으로서 노약자 및 장애인을 위한 유니버설디자인 프로그램의 적용을 통해 도출된 교육적 효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창의적 사고 능력 및 문제해결능력을 향상할 수 있었다. 둘째, 공감 능력의 향상을 통해 바른 인성을 함양하는 데 효과가 있었다. 셋째, 공동체 의식 강화 및 약자에 대한 이해심을 증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교육적 효과에도 불구하고 프로그램의 실시 과정에서 표현 매체와 수업 시수 등의 한계로 인한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본 프로그램을 더욱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세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장애 체험 수업 프로그램으로 연계하여 확대한다. 둘째, 현실가능성에 대해 탐구하고 실제 제작능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모형 제작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셋째, 시각적 소통 능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인포그래픽 디자인 프로그램으로 연계하여 확대한다. 창의·인성 교육으로서 노약자 및 장애인을 위한 유니버설디자인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체험과 표현을 통해 모두를 위한 디자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공감 능력을 바탕으로 삶에서 나와 주변에서 일어날 수 있는 문제를 주도적으로 해결해 봄으로써 창의·인성을 갖춘 민주시민의 자질을 함양하도록 하는 것에 의의를 둔다. 앞으로도 창의·인성 교육과 연관한 유니버설디자인 교육이 활성화되어 다양하고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이를 통해 미술교육의 발전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청소년의 기본심리욕구 만족과 정서표현성이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영향

        김지나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청소년의 기본심리욕구만족과 갈등해결전략 간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서울시 인천시 충청북도 청주시에 소재한 일반계 중학교 3곳의 1, 2, 3학년 285명에게 설문을 실시하였고 이 중 무응답이나 불성실한 응답을 보인 설문 11부를 제외한 274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설문지는 기본심리욕구만족 척도 정서표현성 척도 갈등해결전략 척도를 통계처리 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연구문제에 따라 기술통계,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이 나타났다 첫째, 청소년의 기본심리욕구만족과 정서표현성 및 갈등해결전략 간에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기본심리욕구 만족은 정서표현성과 갈등해결전략의 절충 및 협력 전략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정서표현성은 갈등해결전략의 절충 및 협력전략과 높은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회피전략과 양보전략과는 낮은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갈등해결전략의 절충 및 협력전략은 회피전략, 양보전략, 지배전략 모두와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청소년의 기본심리욕구 만족과 갈등해결전략의 4가지 하위요인(절충 및 협력, 회피, 양보, 지배) 간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기본심리욕구 만족은 절충 및 협력 전략에서만 정서표현성이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본심리욕구만족과 갈등해결전략의 나머지 하위요인인 회피전략과 양보전략 그리고 지배전략에서 정서표현성은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학생의 기본심리욕구 만족이 갈등해결전략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정서표현성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정서표현성의 경험에 따라 청소년들이 선택하는 갈등해결전략이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서술하였다.

      • 일의 의미와 피드백 환경이 업무몰입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김지나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일의 의미 인식과 피드백 환경이 업무몰입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일의 의미 인식은 조직 구성원의 업무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피드백 환경에 대한 인식은 조직 구성원의 업무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일의 의미 인식은 조직 구성원의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피드백 환경에 대한 인식은 조직 구성원의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 문제에 대한 실증적인 검토를 위해 국내 제조업, 정보통신업, 금융업,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민간 기업에서 근무하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380명을 편의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기간은 2019년 9월 16일부터 9월 23이었으며, 회수된 설문 총 345부(회수율 90.8%)에서 적합하지 않은 대상자와 신뢰성이 부족한 설문 16부를 제외하고, 329부(유효응답률 95.3%)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독립변수는 일의 의미와 피드백 환경으로 일의 의미의 하위요인은 재미추구, 성장기회, 삶의 활력, 사회기여, 경제수단, 가족부양, 대인관계, 인정을 포함하였다. 피드백 환경은 피드백의 출처인 상사제공 피드백과 동료제공 피드백으로 구분되며, 각각 피드백 신뢰성, 피드백 전달 스킬, 긍정 피드백, 부정 피드백, 피드백 활성화를 포함하였다. 종속변수는 업무몰입과 조직몰입이었다. 통제변수는 성별, 학력, 총 경력, 직무, 산업, 근로자 수이다. 본 연구에 사용된 결과분석방법은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이이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이 의미의 8가지 하위요인(재미추구, 성장기회, 삶의 활력, 사회기여, 경제수단, 가족부양, 대인관계, 인정)은 모두 업무 몰입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나타냈다. 이 중 재미추구, 성장기회, 삶의 활력, 인정 순으로 업무몰입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둘째, 피드백 환경의 상사제공(피드백 신뢰성, 긍정 피드백, 부정 피드백)과 동료제공(피드백 신뢰성, 긍정 피드백, 부정 피드백)은 모두 업무몰입에 정(+)적 영향을 나타냈다. 이 중 상사제공_긍정 피드백과 동료제공_긍정 피드백 순으로 업무몰입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셋째, 일이 의미의 8가지 하위요인(재미추구, 성장기회, 삶의 활력, 사회기여, 경제수단, 가족부양, 대인관계, 인정)은 모두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나타냈다. 이 중 재미추구, 삶의 활력, 성장기회, 사회기여 순으로 조직몰입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넷째, 피드백 환경의 상사제공(피드백 신뢰성, 긍정 피드백, 부정 피드백)과 동료제공(피드백 신뢰성, 긍정 피드백, 부정 피드백)은 모두 조직몰입에 정(+)적 영향을 나타냈다. 이 중 상사제공_긍정 피드백과 상사제공_피드백 신뢰성 순으로 조직몰입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d effects of meaning of work and feedback environment to work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engagement. For that, this study set research inquiries as follows. First, what effects does the meaning of work influence work engagement in the organization? Second, what effects does the feedback environment influence work engagement in the organization? Third, what effects does the meaning of work influence organizational engagement? Fourth, what effects does the feedback environment does influence organizational engagement in the organization? This study mainly surveyed 380 office workers who were working in private enterprises in domestic manufactur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financial business, and service industry by using convenience sampling in order to review research inquiries empirically. It had operated the survey from September 16 to september 23 in 2019. It recollected a total of 345 surveys (collect rate is 90.8%) and excluded 16 surveys which came from unsuitable research subjects or which is lack of reliability. It utilized 329 surveys (effective response rate is 95.3%). This study set independent variables as meaning of work and feedback environment. Subcategories of meaning of work included pursuing fun, growth opportunity, vitality of life, social contribution, economics means, family support, human relationships, and acknowledgement. Feedback environment was divided into feedback a boss provided and feedback a peer provided, depending on its source. Each feedback included feedback reliability, feedback transfer skill, positive feedback, negative feedback, and feedback activation. This study set dependent variables as work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engagement. Control variables are gender, education level, total career, occupation, industry, and the number of workers. This study utilized result analysis methods such a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ll of the eight subcategories of meaning of work (pursuing fun, growth opportunity, vitality of life, social contribution, economics means, family support, human relationships, and acknowledgement)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work engagement. Among them, pursuing fun, growth opportunity, vitality of life, social contribution, and acknowledge could influence the work engagement the more in order. Second, in the case of the feedback environment, both of the feedback that a boss provided (feedback reliability, positive feedback, negative feedback) and feedback that a peer provided (feedback reliability, positive feedback, negative feedback) could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work engagement. Among them, positive feedback that a boss provided and positive feedback that a peer provided could influence the work engagement the more in order. Third, all of the eight subcategories of meaning of work (pursuing fun, growth opportunity, vitality of life, social contribution, economics means, family support, human relationships, and acknowledgement) hav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the organizational engagement. Among them, pursuing fun, vitality of life, growth opportunity, and social contribution could influence the organizational engagement the more in order. Fourth, in the case of the feedback environment, both of the feedback that a boss provided (feedback reliability, positive feedback, negative feedback) and feedback that a peer provided (feedback reliability, positive feedback, negative feedback) could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organizational engagement. Among them, positive feedback that a boss provided and feedback reliability that a boss provided could influence the more in order.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vided research issues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