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의 조세제도와 공공재정 시스템의 특성이 가지는 정치적 효과 연구

        김주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초록 중국의 국내총생산에서 공공 수입이 차지하는 비중은 과거 20년 동안 쾌속적으로 증가되었는데 이는 국가에서 징세 방면의 박차를 다그치고 있다는 것을 표명한다. 하지만 공공재정은 정치토론 중에서 시종 가장자리에 처해 있다. 심지어 인민 중 공공재정 뒤에 숨겨진 진정한 함의를 발견하는 사람도 극히 적다. 이는 이해하기 어려운 일이다. 중국의 재정시스템의 두 개의 구성부분인 조세수입과 비조세수입을 검측 하기 위하여 본 문장에서는 중국 재정수입의 내원 및 이런 세원을 징집하는 과정에 포함된 일부 국가의 정치 효과를 연구하였다. 저는 중국의 공공재정시스템의 두 개의 주요 구성부분인 조세 수입과 비조세수입을 연구하는 동시에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재정관계에 대하여 중점으로 연구할 것이다. 본 문장의 첫 번째 부분에서는 조세수입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연구하였다. 이 부분에서는 중국 조세제도의 구성 개황을 소개하였다. 중국 조세제도의 발전 역사와 효과에 대하여 상세하게 진술하면서 조세제도로 인하여 초래된 정치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문장의 두 번째 부분에서는 중앙과 지방 정부의 과거 조세 안배 및 최근 연간 비조세수입의 변화와 발전을 고찰하였다. 이 부분에서는 재정 집권 이후의 지방정부 행위와 국가 사회관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문장에서는 이런 시스템을 상세하게 논술하면서 중국 정부에서 사회모순을 해결하고 인민 중 사이에서의 공공재정 혹은 조세의 정치적 영향을 약화한 것을 지적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제도의 변화를 보여주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각종 조세 내원의 데이터와 증거를 이용하였다.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는 중국의 조세 구조와 비조세수입의 다소를 평가하기 위하여 저는 “중국 통계연감”과 “중국 재정 연감”을 비롯한 각종 연감에 기재된 통계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중국의 국가 데이터, 국가통계청, 국가세무총국의 데이터 내용을 인용하였다. 중국의 진정한 의도를 지적하기 위하여 본 문장에서는 정부 지도자와 공공재정 부문 관원들의 저작과 발표한 문장에 의지하였다. 그분들의 저작과 발표한 문장들은 정책 간행물에 실린 관원들의 출판물 및 그분들의 연설과 회고록을 포함한 3가지 방면에서 수집하였다. 공공재정의 시각으로부터 국가와 사회관계의 제도사를 묘사하기 위하여 정책 문건, 신문 뉴스, 사회평론 등 정보를 수없이 수집하였다. 구체적으로 볼 때 본 문장의 연구에서 개혁 시기 중국의 조세 구조는 시종 체감되고 “간접”세목-주요하게 부가가치세에 크게 의지하였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이런 조세 패턴은 또 중국의 경제 자유화로부터 거액의 재부를 획득한 사람들과 묵계를 달성하면서 인민중들은 보편적으로 조세 비례가 낮고 조세 압력이 낮다고 여기게끔 하였다. 단기적인 측면에서 볼 때 인민의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높고 사회의 안정과 국가의 장기적으로 안정된 국면을 유지하는데 유리하며 공산당의 집권 지위를 공고히 하는데 유리하다. 하지만 장기적인 측면에서 볼 때 직접 세목의 징수 기준이 점차적으로 높아지는 것이 저소득자들한테는 좋은 소식이지만 빈부격차를 줄이고 양극분화를 줄이며 계층 구분을 약화하는데는 효과가 없다. 계속 이 상태를 유지할 경우 인민 중 들사이의 불평등을 확대하면서 인민중의 불만 심리를 초래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공산당의 집권지위에 위기를 조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연구에서 표명하다시피 전국에서 공공재정을 비정치화 하여 관리하고 사회 충돌을 막아내거나 촉진할 수 있다. 이로써 통치자의 지위에 영향에 미칠 수 있다. Abstract The proportion of the public revenue to the Chinese GDP grows rapidly in the last 20 years, which means the country steps up its taxation. However, public finance has been at the edge of the political and sociological discussion. Among people, there is a few that finds the real meaning hidden behind the public finance. To detect the tax revenue and non-tax revenue in the Chinese finance system, researches are conducted in this article into the source of our fiscal revenue and part of the political effect included in the process of such tax fund. This article starts with a concentrated researches regarding the tax revenue, together with an introduction of constitution overview of Chinese tax system. In this part, the article describes the development history and effect of Chinese tax system, with an analysis into its political effect. The second part of this article involves an sufficient study on taxation arrangement of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in the past as well as changes and development of the recent full-year non-tax revenue. Moreover, an analysis is carried out into the behavior of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changing state-society relations after the finance is in power. To show the changes in the system, data and evidence of various kinds of tax fund are utilized for the research in this article. To assess the ever-changing Chinese tax structure and the non-tax revenue, I collected the statistical data from all kinds of yearbooks including “Chinese Statistical Yearbook” and “Chinese Fiscal Yearbook”. I also quoted Chinese national data as well as the data contents from the State Statistics Bureau and State Administration of Taxation. To indicate the true intention of China, the article is based on the works and publications from the public finance department. A great deal of information about policy documents and social commentaries, etc. are collected for a depiction of the system history of the state-society rel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public finance. The study of this article indicates that China has a consistent tax structure during the reform period, namely, based on “indirect” tax items and depending mainly on the value-added tax. From short-term perspective, such a structure has a relatively high people satisfaction and in favor of social and national stability as well as of consolidating the ruling status of the Communist. From long-term perspective, the rising collection standard of the direct tax items is good news to the low-income earners, but has no effect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reduce the polarization phenomenon as well as improve the stratum differentiation. The maintaining of this state will intensity the inequality among the masses and arouse their dissatisfaction, or in other words, the ruling status of the Communist will be in danger. Keywords: Finance System, Tax System, Tax Revenue, Non-tax Revenue,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 Political Effects.

      • 시설재배 가지(Solanum melongena L.)에서 온도 및 주요 무기성분에 따른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의 생물적 특성

        김주 全北大學校 2007 국내박사

        RANK : 247631

        Tetranychus urticae appeared temporarily in March on eggplant grown in plastic greenhouse and peaked its population density from May to August. While spatial distribution of T. urticae in beds was sporadic and clustered, initial appearance within plant was high at bottom and gradually spreaded to center and top leaves resulting in even occurrence on the whole plant. Temperature dependent development was studied on the leaf of eggplant at 17, 22, 27, 32, and 37℃. Mortality of T. urticae was the lowest at 27℃ and went up at either higher or lower than this temperature. The hatchability was low at 17 and 37℃. The duration of development decreased as the temperature went up i.e., 5.3 at 37℃ and 25.8 days at 17℃. Linear regression analysis of temperature vs. rate of development yielded the r2 higher than 0.92 leading to the conclusion that the development of T. urticae fitted well to a linear model within the range of 7~37℃. Developmental zero temperature was 12.5℃ for the entire immature stage of female and 12.8℃ for that of male. Effective thermal accumulation was 80.5 and 74.7 degree days, respectively. Adult life span and oviposition period shortened as the temperature went up. The number of eggs laid was the highest at 27℃ as 141.0 while that was the lowest at 37℃ as 78.0. Rate of hatchability, ratio of female, and R0 peaked at 27℃ and decreased at temperatures either higher or lower. Rm increased as the temperature went up, i.e., the highest at 37℃ as 0.5652 and λ also increased as the temperature went up. Dt and T decreased as the temperature went up. Development of T. urticae was studied on the leaves of eggplant grown in hydroponics with nitrogen contents of 5mM, 10mM, 30mM, and 60mM. As the nitrogen level in hydroponics increased, it also increased in the plant whereas that of K, Ca, and Mg decreased. More nitrogen in hydroponics resulted in increased contents of water and crude protein, and decreased ash, carbohydrates, and fibers within the plant. Biomass was the heaviest as 989.5g at 10mM and the lightest at 60mM. Leaf thickness and the content of chlorophyll increased as the content of nitrogen increased. Laboratory leaf disc tests obtained from plants grown at various nitrogen levels revealed that feeding and oviposition preferences of T. urticae were high at 30mM and low at 5mM. Ratio of damaged leaf by naturally occurring T. urticae on eggplants of 99 days post-transplant in the greenhouse was the highest as 98% at 60mM. Degrees of damage on eggplants with and without T. urticae infestation turned up more as the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nitrogen in the hydroponics get bigger. No definite differences in the rate of T. urticae development was found between nitrogen treatment levels but, mortalities in immature stages dropped as the nitrogen levels went up. Adult longevity was the longest of 11.9 for female and 6.9 days for male at 60mM. Oviposition period was also the longest as 11.7 days at 60mM and shortened as the level of nitrogen decreased. The number of eggs oviposited was the most as 144.4 at 60mM while it was the least as 41.0 at 5mM. Sex ratio was 0.75 in favor of female at 10mM. R0 and T increased, no trends were detected in rm and λ, while Dt decreased as the levels of nitrogen went up. Development of T. urticae was also studied on the leaves of eggplant grown in hydroponics with potash contents of 0mM, 2mM, 6mM, and 12mM. As the levels of potash increased, that of nitrogen decreased and that of P, K, Mg increased. While contents of crude protein and fiber decreased, those of ash and sugar increased. Carbohydrate content was the highest at 2mM. Water contents increased as those of potash increased with the exception at 0mM. Biomass was the heaviest as 552.7g at 6mM and the lightest at 0mM. Leaf thickness and the content of chlorophyll increased as the content of potash increased. Laboratory leaf disc tests provided with various potash levels revealed that feeding and oviposition preferences of T. urticae were high at 6mM and 12mM, respectively. Ratio of damaged leaf by naturally ocurring T. urticae on eggplants of 99 days post-transplant in the greenhouse was the highest at 6mM. Development of immature stages of T. urticae shortened as the levels of potash increased with a lesser tendancy in male than in female. No differences were detected in adult longevity and oviposition period but the number of eggs laid was the most as 84.7 at 6mM and the least as 40.6 at 0mM.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rate of egg hatch and the ratio of sex. R0, rm, and λ were the highest at 6mM and the lowest at 0mM. T and Dt were the lowest at 6mM and the highest at 0mM. There was a descending trand of T. urticae developmet when levels of potash either gets high or low in the hydroponics. Development of T. urticae was also studied on the leaves of eggplant grown in hydroponics with silica contents of 0mM, 1.7mM, and 5.1mM. As the levels of silica increased, those of N, P, K, Ca, and Mg decreased and those of Si increased. While contents of calory, crude protein, carbohydrates, and vitamin C decreased, those of ash, fiber, and sugar increased. Biomass and content of cholorophyll decreased as the level of silica increased while leaves became thicker. Laboratory leaf disc tests provided with various silica levels revealed that feeding preference of T. urticae was the highest at 0mM and the lowest at 1.7mM. The oviposition preference decreased as the levels of silica increased, especially the trichomes on the lower leaf appeared to hinder the feeding and the oviposition of T. urticae. The development slowed down both in female and male. Adult life span of female shortend as the silica level increased and that of male was the longest as 5.7 days at 0mM and the shortest at 1.7mM. Oviposition period also shortened as the silica content increased although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number of eggs laid was the most as 86.3 at 1.7mM while average oviposition per day was the least as 7.7 at 0mM. No differences in hatchability was detected whereas the ratio of sex was the highest as 0.71 in favor of female at 0mM. R0 and T decreased as the levels of silica increased. Rm and λ was the lowest at 5.1mM while Dt was the longest as 1.8271 at 5.1mM and the shortest as 1.6991 days at 1.7mM. Silica content in eggplant turned out not to affect the development of T. urticae significantly, however, the trichomes developed on the lower leaves of eggplant deterred T. urticae from feeding and oviposition and the rate of increase tended to decrease due to lesser nutrients in the eggplant leaf. 시설가지에 발생하는 점박이응애의 생리생태적 특성을 조사하여 해충종합관리의 기초자료로 삼고자 농가포장에서의 발생소장과 온도, 질소, 칼리, 규소수준에 따른 발육특성을 조사하였다. 시설가지에 발생하는 점박이응애는 3월에 잠시 나타났다가 5월에서 8월까지 높은 발생을 보였다. 포장내 공간분포는 일부지역에 집중적으로 나타나고 있었고, 주내공간분포는 처음에는 하엽에 발생이 높다가 점차 중위엽, 상위엽으로 진전되어 다발생 식물체에서는 발생이 비슷하였다. 점박이응애의 온도에 따른 발육특성을 조사한 결과 17, 22, 27, 32, 37℃에서 가지잎을 먹이로 조사한 결과 점박이응애의 사충률은 27℃를 기준으로 온도가 올라가거나 내려감에 따라 증가하였고, 17℃와 37℃에서 낮은 부화율을 보였다. 온도에 따른 발육기간은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37℃에서 5.3일로 가장 짧고, 17℃에서 25.8일로 가장 길었다. 온도와 발육률의 관계를 직선회귀에 의해 분석한 결과 r2값이 0.92 이상으로 본 실험에서 수행한 온도 17~37℃범위에서 점박이응애의 발육은 직선회귀에 부합되었다. 발육영점온도는 전체약충기간이 암컷 12.5℃, 수컷 12.8℃이었고, 전체 약충기간의 유효적산온도는 암컷 80.5, 수컷 74.7일도였다. 성충의 수명과 산란기간은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짧아졌고, 암수의 비교에 있어서 암컷이 수컷에 비해 수명이 길었다. 온도에 따른 산란수는 27℃에서 141.0개로 최고로 많았으며, 37℃에서 78.0개로 가장 적어 온도에 따른 변이가 컷다. 온도에 따른 부화율과 암컷의 비율도 27℃를 정점으로 온도가 높아지거나 낮아지면 감소하였다. 점박이응애의 Ro(순증가율)는 온도가 27℃를 정점으로 온도가 높아지거나 낮아지면 감소하였고, rm(내적자연증가율)은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같이 높아져 37℃에서 최고치인 0.5652였으며, λ(기간증가율)도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높아졌다. DT(배수기간)와 T(평균세대기간)는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감소하였다. 질소를 5mM, 10mM, 30mM, 60mM 수준으로 재배한 가지잎을 먹이로 점박이응애의 발육을 조사하였다. 질소 시비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식물체내 N함량은 증가하였으나 K, Ca, Mg는 감소하였으며, 수분함량과 조단백질은 증가하였지만 회분, 탄수화물, 섬유소등은 감소하였다. 질소 시비수준에 따른 수량은 10mM처리에서 주당 989.5g으로 가장 많았고, 60mM처리에서 가장 적었다. 잎두께와 엽록소함량은 질소함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엽편에서 실내실험 결과 식이선호성과 산란선호성은 30mM처리에서 높았고, 5mM처리에서 낮았다. 온실에서 정식 99일후 자연발생되는 점박이응애의 피해엽률은 60mM에서 98%로 가장 높았고 방제구와 피해구의 생육은 질소농도가 높을수록 차이가 커졌다. 점박이응애의 발육은 처리간에 경향을 찾을 수가 없었으나 엽내 질소함량이 높을수록 각 영기별 사망률은 낮아졌다. 성충의 수명은 질소함량이 높은 60mM처리에서 암수 각각 11.9일, 6.9일로 길었다. 산란기간도, 60mM처리에서 11.7일로 가장 길고 질소함량이 낮아질수록 짧아졌다. 산란수는 질소함량이 높은 60mM처리에서 144.4개로 가장 많았고, 5mM처리에서 41.0개로 가장 적었다. 성비는 10mM처리에서 0.75로 암컷의 비율이 높았다. Ro와 T는 질소수준이 높을수록 증가하였고, rm과 λ는 처리간에 경향이 없었으며, DT는 감소하였다. 칼리를 0mM, 2mM, 6mM, 12mM 수준으로 재배한 가지잎을 먹이로 점박이응애의 발육을 조사하였다. 칼리 시비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식물체내 K함량은 증가하였고, N함량은 감소하였으며 P, K, Mg는 증가하였다. 칼리 시비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조단백질과 섬유소는 감소하였지만 회분과 설탕은 증가하였다. 탄수화물은 2mM처리에서 높았다. 수분은 0mM처리를 제외하고는 칼리수준이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칼리 시비수준에 따른 수량은 6mM처리에서 주당 552.7g으로 가장 많았고, 0mM처리에서 가장 적었다. 잎두께와 엽록소함량은 칼리 시비수준이 높을수록 증가하였고, 식이선호성은 6mM, 산란선호성은 12mM처리에서 높았다. 온실에서 정식 99일후 자연발생되는 점박이응애의 피해엽률은 6mM처리에서 가장 높았다. 점박이응애의 발육은 엽내 칼리함량이 증가할수록 모든 영기에서 모두 짧아졌고 수컷이 암컷보다 짧은 경향이었다. 성충기간과 산란기간은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산란수는 6mM처리에서 84.7개로 가장 높고, 0mM처리에서 40.6개로 가장 낮았다. 부화율과 성비는 큰 차이가 없었다. Ro, rm과 λ는 6mM이 가장 높고 0mM이 가장 낮았다. T와 DT는 6mM이 가장 적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0mM이 가장 높았다. 엽내 칼리함량이 높거나 낮을 경우 점박이응애의 발생은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규소를 0mM, 1.7mM, 5.1mM 수준으로 재배한 가지잎을 먹이로 점박이응애의 발육을 조사하였다. 규소 시비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식물체내 N, P, K, Ca, Mg함량은 감소하였으나 Si의 함량은 증가하였다. 규소 시비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칼로리, 조단백질, 탄수화물, 비타민C 등은 감소하였고, 회분, 섬유소, 설탕 등은 증가하였다. 수량과 엽록소는 규소 시비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잎두께는 두꺼워졌다. 식이선호성은 0mM처리에서 가장 높았고, 1.7mM처리에서 낮았지만, 산란선호성은 규소함량이 증가할수록 줄어들었다. 특히 잎뒷면에 모용이 발달하여 점박이응애의 섭식 및 산란선호성이 떨어졌다. 발육에 있어서는 암컷과 수컷 모두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암컷 성충기간은 규소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짧아졌고, 수컷은 0mM처리에서 5.7일로 가장 길고, 1.7mM처리에서 짧았다. 산란기간도 규소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짧아졌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산란수는 1.7mM처리에서 86.3개로 가장 많았고, 일일산란수는 0mM처리에서 7.7개로 가장 적었다. 부화율은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고, 성비는 0mM처리에서 0.75로 가장 높았다. Ro와 T는 규소수준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rm과 λ는 5.1mM이 가장 낮았으며, DT는 5.1mM이 가장 높은 1.8271일, 1.7mM이 가장 낮은 1.6991일이었다. 식물체내 규소함량은 점박이응애의 발육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그러나 모용의 발달로 점박이응애의 기피현상이 있었고, 엽내 영양물질의 감소로 점박이응애의 증가율이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 中國民事訴訟에서의 訴訟物에 관한 理論構成

        김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35785;&#35772;&#26631;的理&#35770;是民事&#35785;&#35772;法上&#26497;&#20026;基出也是最&#20026;核心的理&#35770;之一,&#23427;&#36143;穿于&#35785;&#35772;程序的始&#32456;,起着不可忽&#35270;的作用。19世&#32426;以&#26469;,大&#38470;法系&#22269;家的民事&#35785;&#35772;法&#23398;界,尤其是德&#22269;、日本、&#38889;&#22269;的&#35785;&#35772;法&#23398;者和一些民法&#23398;者都&#21442;&#19982;了&#35785;&#35772;&#26631;的理&#35770;的&#20105;&#35770;&#24182;各抒己&#35265;,形成百家&#20105;&#40483;、百花&#40784;放之&#29366;。&#32463;&#36807;一&#20010;多世&#32426;的&#21457;展,&#35785;&#35772;&#26631;的理&#35770;&#23398;&#35828;大&#20307;分&#20026;,&#26087;&#23454;&#20307;法&#35828;、二分肢&#35828;、一分肢&#35828;、新&#23454;&#20307;法&#35828;、相&#23545;性&#23398;&#35828;等五&#31181;。&#36825;些理&#35770;互有&#38271;短和利弊,百年相&#20105;也未能有一&#20010;理&#35770;&#30495;正成&#20026;主流。 &#19982;上述&#22269;&#38469;&#29615;境相比,同&#26679;&#23646;于大&#38470;法系的中&#22269;民事&#35785;&#35772;法&#23398;界&#23545;&#35785;&#35772;&#26631;的理&#35770;重要性的忽&#35270;及其理&#35770;&#30740;究的停&#28382;不前&#23454;是&#35753;人&#24779;惜。中&#22269;&#29616;行民事&#35785;&#35772;法不&#20165;&#27809;有&#23545;&#35785;&#35772;&#26631;的下具&#20307;定&#20041;和解&#37322;,就&#36830;用&#35821;上的使用也未得到&#32479;一。以&#32473;中&#22269;民事&#35785;&#35772;法&#23398;界提供些&#35768;拙&#35265;&#20026;初衷,本文介&#32461;了德&#22269;、日本、&#38889;&#22269;的&#30740;究成果,&#24182;以中&#22269;&#29616;行法律制度&#20026;基&#30784;,&#21442;考<中&#22269;民事&#35785;&#35772;法修改建&#35758;稿>,&#23545;中&#22269;民事&#35785;&#35772;&#39046;域&#35785;&#35772;&#26631;的制度&#36827;行了思考和&#30740;究,&#24182;最&#32456;提出了&#35748;&#20026;符合中&#22269;&#35785;&#35772;&#26631;的理&#35770;&#21457;展的&#35266;点。 首先,本文在第二章明&#30830;了&#35785;&#35772;&#26631;的&#27010;念和功能。通&#36807;&#19982;&#35785;&#35772;主&#20307;的&#32467;合分析,&#23558;&#35785;&#35772;&#26631;的和&#23454;&#20307;法上的&#35831;求、&#35785;&#35772;法上的&#35831;求、&#35785;&#35772;&#26631;的物等相&#20851;&#27010;念&#21306;&#21035;&#24320;&#26469;。 接下&#26469;,&#31508;者在第三章&#36739;&#20026;&#35814;&#32454;地介&#32461;了具有代表性的&#35785;&#35772;&#26631;的理&#35770;。涉及的理&#35770;包括,&#26087;&#23454;&#20307;法&#35828;、二分肢&#35828;、新二分肢&#35828;、一分肢&#35828;、新&#23454;&#20307;法&#35828;、相&#23545;性&#23398;&#35828;等。同&#26102;在分析&#36807;程&#24403;中&#36873;&#25321;&#32479;一&#35785;&#35772;&#26631;的&#23398;&#35828;中的&#26087;&#23454;&#20307;法&#35828;、二分肢&#35828;、一分肢&#35828;在下一章&#32467;合其他理&#35770;&#36827;行重点分析。 第四章,以&#35785;的合&#24182;、&#35785;的&#21464;更、重&#22797;起&#35785;、&#26082;判力、民事&#35785;&#35772;的理想和目的&#20026;判&#26029;&#26631;准,&#31508;者&#23545;前一章&#36873;出的三&#31181;理&#35770;&#21363;&#26087;&#23454;&#20307;法&#35828;、二分肢&#35828;、一分肢&#35828;&#36827;行了利弊分析,最&#32456;得出"主&#24352;可能一分肢&#35828;"的&#32467;&#35770;。&#35813;理&#35770;的核心&#20869;容是在&#32473;予&#24403;事人主&#24352;&#35785;&#35772;&#26435;利的前提下&#35785;&#35772;&#26631;的只由申&#35831;&#20915;定,以&#36798;到一次性解&#20915;&#32416;&#32439;的目的。 最后,在第五章&#31508;者&#23558;本文所采取的"主&#24352;可能一分肢&#35828;"&#32467;合具&#20307;的&#35785;&#35772;&#31181;&#31867;&#21363;&#32473;付之&#35785;、&#30830;&#35748;之&#35785;、形成之&#35785;、上&#35785;之&#35785;、再&#23457;之&#35785;&#36827;行分析,以佐&#35777;&#35813;理&#35770;的可行性和适&#24403;性。 &#24403;然,&#31508;者才疏&#23398;&#27973;,不可能通&#36807;一&#20010;&#30805;士&#35770;文就能解&#24320;&#35832;多前&#36744;&#23398;者多年未能解&#24320;的&#35785;&#35772;&#26631;的理&#35770;之迷。本文的宗旨也不在于&#32479;一&#35785;&#35772;&#26631;的理&#35770;,&#31508;者的目的是在整理比&#36739;前&#36744;&#23398;者&#20204;理&#35770;的基&#30784;上,&#20026;中&#22269;民事&#35785;&#35772;法&#23398;界&#35785;&#35772;&#26631;的理&#35770;的&#30740;究提出一己之&#35265;。 중국 대륙 민사소송법학계에서 소송물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기에 이와 관련한 기판력&#8228;중복제소 등 민사소송의 다른 기본이론의 연구도 필연적으로 제약을 받게 된다. 하지만 이론적인 것 보다 더 중요한 것은 소송물에 대한 논의의 부족은 공권적 분쟁해결의 권력을 행사하는 법원과 그 지휘를 받아 판결을 얻고자 하는 당사자 사이에 끊임없는 논쟁거리가 되어왔다는 것이다. 아직도 유가사상의 뿌리가 깊은 중국에서는 당사자가 법원의 재판을 구하는 것은 분쟁이 발생된 시점이 아니라, 서로의 양보와 협상이 크게 괴리되어 있는 시점이다. 즉 당사자는 서로 상상대방에게 자신의 의사를 가능한 최대로 표현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아 분쟁이 해결되지 않을 경우 부득이하게 공권력에 의해 공정한 재판을 통해 분쟁의 해결을 구하려는 것이다. 소송이 진행된 이상 비록 사적인 분쟁의 해결이라고 하지만, 당사자는 실체법상의 소유권의 처분처럼 제한 없이 권리를 자유로이 행사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소송법의 이상을 감안하면서 신의성실의 원칙에 따라 소송권리를 수행해야 한다. 「권리의 행사는 타인의 자유를 해쳐서는 아니 된다」는 말이 있듯이 원고는 소송권리를 행사함에 있어서 법원의 소송지휘를 받아 실체법의 권리행사와는 달리 완전한 권리처분이 제약을 받을 뿐만 아니라 부적절한 소송권리의 남용으로 인하여 피고의 자유를 해쳐서는 아니 될 의무도 함께 지니고 있다. 즉 소송을 진행함에 있어서 원고, 피고, 법원 3자의 협력으로 공평&#8228;적정하게 경제적으로 분쟁을 신속하게 해결해야 한다. 그러하지 아니하고 원고나 피고 나아가 법원 3자 중의 한 측면에만 치우친다면 민사소송의 이상을 실현할 수 없다. 소송 당사자의 권리를 공평하게 보장하고 분쟁을 신속하게 해결하기 위해서 제일 중요한 문제로 되는 것은 역시 소송의 開始인 소송물이다. 왜냐 하면 소송물의 구성에 따라서 법원의 관할부터 청구의 변경&#8228;병합&#8228;중복제소에서 기판력에 이르기까지 소송절차의 진행이 연결되고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민사소송의 이상과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가장 핵심적인 부분인 소송물이론에 대하여 종합적 연구를 함으로써 중국민사소송법개정에 발맞추어 그 이론구성을 해보자 한다.

      • 탄소배출에 관한 국제환경정치

        김주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세계적으로 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온실가스 배출을 규제하기 시작하고 있다. 화석연료 사용과 같은 인위적 온실가스 배출을 줄여 온난화의 피해를 막기 위해 범지구적 차원의 협력은 40여년 전부터 시작되었다. 1972년 최초의 유엔 환경회의가 개최되었으며, 본격적인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협정은 1992년 ‘지구정상회의(Earth Summit)' 로 불리는 리우 데 자네이루 협약으로 이 기후변화협약(the UN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은 1994년 협약으로 공식 발효되었다. 개별 국가의 온실가스 감축의무 확정과 이의 이행방안은 서로 불가분의 관계를 갖고 있다. 특히, 감축의무 이행방안과 관련된 문제는 '각국의 의무이행을 위한 노력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추진될 수 있는가'라는 효율성의 문제로써 이와 관련하여 1997년 제3차 당사국총회에서 합의된 교토의정서(Kyoto Protocol)는 기후변화협약과 관련된 가장 뜨거운 논쟁거리 중의 하나로 부각되었다. 교토의정서의 채택내용에는 온실가스 배출기준 산정 시점을 1990년으로 정하고, 2012년까지 선진국들이 온실가스를 평균 5.2%를 감축하는 것을 목표로 제시하게 되었다. 교토의정서에는 모두 182개국이 참여하였으며 이 가운데 37개 선진국과 유럽연합이 국가별 감축의무를 부여 받았다, 그러나 당시 미국이 교토의정서의 최종 비준을 거부하였지만 전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 55% 이상을 차지하는 55개국 이상의 비준을 거쳐 2005년 발효되었다. 이에 따라 온실가스감축 이행의 신축성을 위한 교토메커니즘 체계가 도입되었다. 교토메커니즘은 보다 다양하고 자율적인 방법을 통해 각국에 할당된 감축의무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도입된 것으로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도((ET: Emission Trading)를 비롯하여 공동이행(JI: Joint Implementation), 청정개발체제(CDM: Clean Development Mechanism)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 중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도는 온실가스 감축의무가 있는 국가에 배출쿼터를 부여한 후 동 국가간 배출쿼터의 거래를 허용하는 제도로써, 이 제도를 활용하여 감축의무를 이행할 경우 이행비용이 최소화될 것이라는 많은 연구 결과들이 나와 있다. 이러한 배출권거래제도의 비용효과성은 향후 온실가스를 감축해야 하는 국가의 산업 및 국민경제에 큰 파급효과를 미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교토메커니즘 이후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포스트 교토체제를 위해 발리협약, 방콕총회에서 구체적인 다양한 제도적 논의가 이뤄졌고 2009년 12월 개최될 코펜하겐회의는 2012년 이후의 포괄적인 협상이 이뤄지는데 선진국과 개도국 모두가 참여하는 최초의 협상이 될 것이다. 현재 한국은 감축 의무 대상국은 아니었으나 2013년부터 감축의무를 부담하게 될 경우 감축의무를 효과적으로 이행하기 위해서는 조기에 배출권거래제를 국내에 도입하고 국제 배출권거래제와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보다 신축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체제를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더불어 감축량을 줄여가면서 에너지를 절약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저탄소 고효율적인 환경친화사업이 국제 환경정책에 중요한 사업으로 자리매김을 하고 있다. 따라서 녹색정책을 위한 녹색기술과 녹색산업에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논문에서는 교토의정서가 발효됨에 따라 본격적으로 가동되기 시작한 탄소배출권거래제도의 의미와 국내외의 정책적인 전개과정을 연구하고 탄소배출권 시장의 동향을 분석하고 있다. 또한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에 대해 개괄적으로 알아보고, 저탄소 녹색성장의 효과와 앞으로의 개선점을 제시하면서 국내 정부가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The global interests in environmental issues are increasing as climate changes such as global warming deepen. Countries in the lead of economic powers are starting to restrict carbon emissions. Global efforts to minimize the influence of global warming by cutting down green house gases from fossil fuel has been done for four decades. Following the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the Human Environment (1972); the first UN environmental conference, the UN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which is also known as "Earth Summit" was held in 1992 and took effect in 1994. Confirmation of each country's duty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its implement are inseparably related. In particular, the methodology of each country to fulfill its duty of the greenhouse gas reduction can be translated to the matter of how effectively it can be implemented. Against this backdrop, the Kyoto Protocol signed in the 3rd Conference Of the Parties, 1997 has emerged as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issues. Kyoto Protocol puts requirements on advanced countri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by 5.2% till 2012 since the initial assessment in 1990. 182 countries have signed Kyoto Protocol and 37 advanced countries and EU took on a duty of greenhouse gas reduction. Though the United Sates rejected the final ratification, it took effect in 2005 with more than 55 other countries' ratification. Kyoto Mechanism has been introduced for flexibility in implementing reduction duty. Kyoto Mechanism aims to help each country fulfill their duty in various and voluntary manner. It breaks down into Emission Trading, Joing Implementation, Clean Development Mechanism. Emission trading is the system that distributes emission quota to each signed country and allow them to trade the remainder. There are a series of studies which suggest that this system minimizes implementing cost. The cost effectiveness of the emission trading systems is expected to have significant ripple effect to industries and economies of the nations that are obliged to cut the greenhouse gas. After the Kyoto mechanism, there followed various and specific discussions about post-Kyoto regime for green house gas reduction such as Bali concord and Bangkok assembly. Copenhagen Climate Change Summit in Dec. 2009 will be the first negotiation which includes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and way to continue the efforts after 2012 will be discussed comprehensively. Korea was not obliged to cut carbon emissions so far. However, if Korea shoulder carbon emission reduction from 2013, an early introduction of cap and trade system and a new flexible system that considers the linkage with the international cap and trade system are necessary. Fthermore, low-carbon high-effectiveness green business that save and use energy effectively are becoming a core business in establishing international environment policies. Therefore the government exerts its utmost political efforts to support green technologies and green industries. In this context, this study looks at the significance of the cap and trade system which just has been introduced as the Kyoto Protocol took effect, and the political procedure at home and abroad and analyzes the emission rights market trend. Finally, this study examines the low-carbon green-growth policy and its effectiveness in general and suggests the further goal that Korean government should pursue.

      • 대학생의 직업가치관 유형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김주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진로성숙은 청소년 발달의 연속선상에서 수행해야 하는 발달과업에 대한 준비도 뿐만 아니라, 진로계획 및 직업선택에 앞서 자기 자신을 이해하는 정도, 직업세계에 자신을 통합하고 조정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또한 진로를 고려할 때는 자신의 가치관을 개입하기 마련인데, 이러한 가치관은 인간이 삶을 살아가면서 누적된 다양한 경험들이 내면화된 신념 혹은 견해, 생각을 의미한다. 이러한 진로성숙과 가치관의 개념들을 근간으로 본 연구에서는 최근 점차 심화되고 있는 청년실업 및 고용불안정 등의 거시적 환경을 대면하고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직업가치관 유형이 진로성숙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찰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대학생의 직업가치관에 관한 후속 연구의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하며, 나아가 대학생들의 진로성숙도 증진을 위한 연구 함의를 숙고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실시하는 청년패널조사 2017년(11차) 자료의 원 표본과 추가 표본의 자료를 합하여, ‘대학생’ 이라고 응답한 학생과 1991년생 이상의 응답자를 중심으로 총 1,539명의 표본을 연구대상으로 활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1.0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자의 개인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주요변수들의 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와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주요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일원배치분산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계열에 따른 진로성숙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교육계열 전공 학생들이 사회(경상)계열, 예체능계열 전공 학생들에 비해 진로성숙도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관관계 분석에서 의약계열과 교육계열에서 진로성숙도에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직업가치관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는 직업가치관의 ‘개인지향’과 ‘신체활동’을 제외한 나머지 직업가치관 유형들(성취, 이타, 경제적 보상, 인정, 직업안정, 다양성, 심신의 안녕, 타인영향, 지적추구, 애국, 자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이 중에서 ‘지적추구’가 진로성숙도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가치관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직업가치관 유형 중 ‘지적추구’, ‘성취’, ‘인정’, ‘자율’, ‘경제적 보상’ 그리고 ‘직업안정’의 순서대로 진로성숙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 ‘개인지향’ 유형은 진로성숙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전공계열 및 직업가치관과 진로성숙도 간 관계를 알아본 선행연구들에서 언급한 연구대상자 수와 지역적 한계 등의 연구 한계에도 불구하고 청년패널의 대표성 있는 표집을 통해 기존의 선행연구 한계로 지적되어왔던 연구결과의 대표성 미비와 편향성을 보완한 연구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 결과의 실천적 함의로서 대학생들의 진로성숙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전공유형 및 직업가치관 유형별로 다양하고 특성화된 진로지도 및 진로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고자 한다. Career maturity means not only preparation for the developmental tasks that must be carried out in the continuum of adolescent development, but also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neself prior to career planning and career choice, and the ability to integrate and coordinate oneself in the work world. Also, when considering careers, one's own values are involved, which means beliefs, opinions, and thoughts that are internalized in various experiences accumulated as people live their lives. Based on these concepts of career maturity and valu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occupational values on career maturity for college students facing macroeconomic conditions such as youth unemployment and job insecur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research data for the follow-up research on the occupational values of college students, an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ill be considered to improve career maturity of college students. For this study, students who responded that they were ‘university students’ and ‘born in 1991 or older’ in the survey by combining the original sample and the additional sample data from the 2017(11th) data published in the Youth Panel Survey were used as the study subjects. For data processing, SPSS(PASW Statistics) 21.0 statistical package was used for frequency analysis for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to find the level of the main variables. In addition,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key variables was conducted. In this study, one-way ANOVA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verify the research proble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the major fields, the level of career maturity was higher in the education major fields than in the social and the Arts and Physical major fields. Second, in the correlation analysi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edicine and education major fields and career matur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values and career maturit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factors except ‘individual orientation’ and ‘physical activity’ of occupational values and career maturit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factors except ‘individual orientation’ and ‘physical activity’ of occupational values, and ‘intellectual pursuit’ was the highest correlation.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effect of the occupational values on career maturity, the factors were found in the order of ‘intellectual pursuit’, ‘achievement’, ‘recognition’, ‘autonomy’, ‘economic compensation’, and ‘job stability’. It has been shown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but ‘individual personality’ was negatively affect career maturity. This study, despite the research limitations such as the number of subjects and regional limitations mentioned in previous studies that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major fields, occupational values, and career maturity, was limited to existing prior studies through representative sampling of youth panels. There is a research significance that complements the lack of representativeness and bias of the research results that have been pointed out. In addition, as a practical implication of this study, it is emphasized that various and specialized career guidance and career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in order to promote career maturity of university students.

      • 웹소설 이용자의 이용동기와 준사회적 상호작용이 만족도와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주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웹 출현과 모바일 기기의 대중화로 인해 다양한 웹콘텐츠들이 보편화되고 있다. 그중에서 웹소설은 웹툰, 드라마, 영화 등으로 제작되면서 원천 콘텐츠로서 가치를 드러내기 시작하였다. 웹콘텐츠가 다양해지고 새로운 미디어와 결합하며 IP 콘텐츠 산업이 급부상하면서 웹소설은 대표적인 웹콘텐츠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웹소설 이용자의 이용의도를 분석하고, 이용의도가 만족도와 지속적 사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는데 연구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이용과 충족 이론 및 준사회적 상호작용 이론을 토대로 국내 웹소설 이용자의 이용의도가 만족도와 지속적 이용의도에 어떤 영향력을 갖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32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조사 데이터를 통계 분석 패키지 SPS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웹소설 이용자의 이용동기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둘째, 웹소설 이용자의 이용동기와 준사회적 상호작용이 만족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웹소설 이용자의 이용동기, 준사회적 상호작용과 지속적 이용의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넷째, 웹소설 이용자의 만족도와 지속적 이용의도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이다. 첫째, 국내 웹소설 이용자의 이용동기에 대한 분석 결과 웹소설 이용자의 이용동기는 ‘정보성’, ‘편의성’, ‘오락성’, ‘관계 추구’, ‘호기심 추구’로 총 5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정보성’은 나에게 필요한 정보를 습득하고자 하는 욕구이고, ‘편의성’은 이용자가 원하는 때에 취향에 맞는 콘텐츠를 즐기기 위해 웹소설을 이용하는 동기이다. ‘오락성’은 지루함과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재미있는 시간을 보내기 위해 이용하는 동기이다. ‘관계 추구’는 다른 사람들이 웹소설을 이용하는 것을 보고 이용하는 동기이다. 마지막으로 ‘호기심 추구’는 웹소설 상에서 멋진 주인공을 보며 간접 경험을 하고, 대리 만족을 느끼기 위해 웹소설을 이용하는 동기이다. 둘째, 웹소설 이용자의 이용동기와 준사회적 상호작용에 따른 만족도 간의 관계와 그 영향력에 대해 분석한 결과 웹소설 이용자의 이용동기와 준사회적 상호작용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가장 큰 영향을 끼친 것은 ‘편의성’이었다. 또한, 웹소설의 이용동기, 준사회적 상호작용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분석한 결과 편의성, 오락성, 호기심 추구, 준사회적 상호작용 순으로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웹소설 이용자들은 편의성 동기를 가진 사람일수록 웹소설에 대해 높은 수준의 만족도를 가진다는 점을 시사한다. 셋째, 웹소설 이용자의 이용동기와 준사회적 상호작용과 지속적 이용의도 간의 관계에서, ‘정보성’, ‘편의성’, ‘오락성’, ‘호기심 추구’, ‘준사회적 상호작용’과 만족도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자들의 웹소설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것은 ‘편의성’이었다. 또한 웹소설 이용자의 지속적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편의성, 오락성, 호기심 추구, 준사회적 상호작용 순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웹소설 이용자 중 준사회적 상호작용 동기를 가진 사람일수록 웹소설에 대해 높은 수준의 지속적 이용의도를 가진다는 점을 시사한다. 넷째, 웹소설 만족도가 지속적 이용의도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에 대한 분석 결과, 웹소설 만족도는 웹소설 지속적 이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용자들이 웹소설을 만족스럽게 생각할수록 향후 지속적 이용의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전체 연구 결과를 요약하여 살펴보면, 5개의 이용동기 요인 중 관계 추구를 제외한 편의성, 호기심 추구, 오락성, 정보성이 웹소설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이는 결과적으로 지속적 이용의도를 높인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웹소설 이용자의 이용동기를 다양한 요인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는 향후 웹소설을 개발할 때, 이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고, 대리 만족의 수단으로서의 콘텐츠 개발 전략을 세워야 함을 의미한다. 현재 웹소설이 원천 콘텐츠이자 IP 웹콘텐츠 시장에서 중요한 플랫폼으로 여겨지고 있다. 웹 시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분석된 여러 유형의 이용동기와 분석 결과를 참고하여 웹소설뿐만 아니라 여러 유형의 웹콘텐츠 이용자들에게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콘텐츠 제작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Various web contents are becoming common due to the advent of the web and the popularization of mobile devices. Among them, Web novels began to show their value as original content when made into webtoons, dramas, and movies. As web contents diversify and combine with new media, and IP contents industry rapidly rises, web novels are establishing themselves as major web contents. In this reg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tention to use the web novel and to investigate how it affects satisfaction and intention of continuous use. Based on the Theory of Use and Satisfaction and the para-social interaction, this study tried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domestic web novel users' intention to use web novels on their satisfaction and intention of continuous use.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 a survey of 324 people, each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a statistical analysis package. This study set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how are web novel users' motivation to use them structured?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web novel users' motivation to use and para-social interaction with satisfaction? Thir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web novel users' motivation to use, para-social interaction, and intention of continuous use? Fourth,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tisfaction of web novel users and their intention to continue using it? First, the analysis result on the motivation of domestic web novel users showed that the motivation consisted of five factors: 'information', 'convenience', 'entertainment', 'pursuit of relationship', and the 'pursuit of curiosity'. 'Information' is the desire to acquire the information one needs, and 'convenience' is the motivation for using web novels to enjoy content fitting their taste when they want. 'Entertainment' is the motivation for using web novel to relieve boredom and stress and have fun. 'Pursuit of relationship' is the motivation to see and use other people's web novels. 'Pursuit of curiosity' is the motivation to use the web novel to experience indirectly by seeing the charming protagonist in the web novel and to feel vicarious satisfaction. Second,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and influence between web novel users' motivation for use and para-social interaction with satisfaction. The study confirmed that 'convenience' had the greatest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eb novel users' motivation for use and para-social interaction and satisfaction. Next, when the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motivation to use web novel and para-social interaction on satisfaction, it found that convenience, entertainment, pursuit of curiosity, and para-social interac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in order. This result implies that web novel users with convenience motivation have a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in web novels.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eb novel users' motivation to use, para-social interaction, and intention of continuous use, 'information', 'convenience', 'entertainment', 'pursuit of curiosity', and 'para-social interaction'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orrelation. 'Convenience'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users' satisfaction with web novels. In addition, factors influencing the web novel users’ intention of continuous use were in the order of convenience, entertainment, pursuit of curiosity, and para-social interaction. This result suggests web novel users with a motivation for para-social interaction have a higher level of continuous use intention for web novels. Fourth, this study analyzed how satisfaction with web novels influences the intention of continuous use and found that web novel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tention of continuous web novel use. In other words, the more satisfied users are with the web novel, the higher their intention to continue using it in the future.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e entire study, convenience, curiosity, entertainment, and information, which are the five motivational factors,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of web novels, except for the pursuit of relationship, suggesting that they increase the intention to use the web novels. As such, this study analyzed web novel users' motivation by dividing them into various factors. This means that when developing web novel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user convenience and establish a content development strategy as a means of vicarious satisfaction. Currently, web novels are considered as source content and an important platform in IP web content market. Referring to the various types of use motivation and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the Web market create contents that can satisfy the various needs of users for various type of Web contents including web novels.

      • RCP8.5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의한 한강유역 댐붕괴 및 홍수범람 해석 : 소양강댐 유역을 중심으로

        김주 서울시립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전 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상이변으로 인하여 거대한 재난사상이 증가함에 따라 미래의 기후 변화를 고려한 수공 구조물의 설계 및 운영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 수공구조물의 설계에 적용되는 가능최대강수량(PMP) 산정 시 기후변화의 영향을 고려하여 미래의 변동 추이를 예측하며, 더 나아가 수공구조물의 파괴가 발생할 경우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현재 실무에서는 수공구조물의 설계 시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강우자료를 기반으로 가능최대강수량(현재 PMP)을 산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미래 RCP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미래의 가능최대강수량(미래 PMP)을 분석하였다. 또한, 그에 따른 미래의 가능최대홍수량(PMF)을 산정하였으며, 소양강댐을 대상으로 댐 구조물의 치수능력 분석과 이상기후 발생 시 구조물 파괴에 의한 하류부 영향(홍수 범람)을 연구하였다. 하류부의 영향분석은 댐 구조물 능력에 대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가상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DAMBRK 모의를 하였으며, 댐 붕괴 발생에 따른 수위 상승 및 홍수범람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소양강댐은 현재 PMF시 댐붕괴는 발생하지 않는 상태이나, 미래기후변화에 따라 RCP8.5 기준년 2100의 시나리오에서 댐붕괴가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소양강댐 유역의 기후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미래의 PMP 및 PMF가 수공구조물, 댐 하류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기후변화에 따른 수공구조물의 영향 검토 및 향후 운영에 참고가 되고자 한다. Recently, the need for the design and operation of hydraulic structures considering future climate change has emerged as the great catastrophe increases all over the world owing to the weather change caused by global warming. Therefore,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was taken into account when calculating Probable Maximum Precision(PMP) applied to the design of large-scale hydraulic structures. Furthermore, The analysis predict the future trends of change and impact analysis of hydraulic structures destruction. These days, When field engineer design the hydraulic structures, they generally use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present PMP) based on data from past to present rainfall. This study analyzed the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future PMP) by applying a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that provided from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Further, this study analyzed the Probable Maximum Flood(PMF) which is calculated by the case of dimensional capacity of the Soyang River Dam, in Korea. And also, that analyzed the downstream effects of dam when abnormal climate occurred. The downstream impact analysis of dam was based on a simulation of DAMBRK in a hypothetical scenario based on climate change for the ability of the dam structure, and Water level rise and flood scope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dam collaps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dam failure is not occurring during PMF in Soyang River Dam, but Dam collapse was analyzed in the scenario of RCP8.5 base year 2100 depending on future climate change. Finally, This result of analysis estimated that future PMP and PMF results in the Soyang River Dam basin that change with the climate change and it will be able to examine the effects of hydraulic structures and downstream areas of the dam. And also, this study aims to be a reference for future operations and the review impact of hydraulic structures on climate change.

      • 현실치료 집단훈련이 청소년의 행동특성과 성취동기에 미치는 효과

        김주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현실치료에 기초한 집단훈련인 Youth Quality Management Training(YQMT)을 부적응 여자 중학생들에게 실시하여 청소년의 행동특성과 성취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YQMT 프로그램이 학교 부적응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여중생들에게 구체적인 도움을 주는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울산의 북구에 위치한 H 중학교 2학년 여학생 20명이다. 실험에 앞서 참가자 전원에게 청소년의 행동특성척도와 성취동기 척도를 사용하여 무선으로 표집한 비교집단(10명)과 학교 상담부장 선생님으로부터 의뢰받은 훈련집단(10명)에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훈련집단에게는 1회 2시간씩 8회에 걸쳐 총 16시간 동안 YQMT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훈련집단의 프로그램이 끝난 후 사전 검사에서 사용했던 것과 동일한 청소년의 행동특성 척도와 성취동기 척도를 사용하여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YQMT는 C. Floyd가 제작한 ‘The Quality World Activity Kit’를 김인자가 ‘우리가 좋아하는 세상 만들기’로 편역한 것으로, 전체 15장으로 구성된 집단상담프로그램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YQMT를 실시한 훈련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하여 청소년의 행동특성 중 비행행동 요인만 감소를 보일 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으로 향상하여 YQMT는 청소년의 행동특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둘째, YQMT를 실시한 훈련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하여 성취동기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으로 향상하여 YQMT가 성취동기를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은 현실치료에 기초한 집단훈련인 YQMT가 교실에서 볼 수 있는 부적응 학생들이 자신의 욕구를 정확히 인식하고 스스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과 계획을 세울 수 있는 행동의 변화를 통해 행동특성을 개선시키는 것과 성취동기를 높이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밝혀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YQMT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행동특성에서 비행성향을 나타내고 성취경험의 부족으로 원만한 학교생활이 어려운 학생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구체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Reality Therapy(YQMT) on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and Achievement Motivation of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Furthermore it ventured to prove the fact that this program(YQMT) could be a practical solution to help students who have difficulties in school due to failure in adjustment. The subjects were 20 H-middle school(located in Buk gu in Ulsan) girls who were all in sophomore years. After the pretest they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10 subjects) and control group(10 subjects). For experimental group, YQMT program was administered 8 sessions and each session lasted two hours resulting in 16 hours.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for both groups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YQMT program. Same instruments were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K-TAI Scal developed by Kim myung-kwon(1999), Achievement Motivation Scal developed by Herman(1970). The analysis of variance with repeated measure(mixed design) was used to examine the treatment within each group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of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except of delinquent behavior) was found in experimental group, which YQMT program(a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Reality Therapy) was administered. Secon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of achievement motivation was found in experimental group, which YQMT program(a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Reality Therapy) was administ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