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터랙티브 아트에서 관객 참여의 예술적 의의에 관한 연구 : 존 듀이의 경험이론을 중심으로

        김유나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인터랙티브 아트(Interactive art)에서 관객은 관조자에서 행위자로 역할이 변화한다. 인터랙티브 아트란 작품을 구성하는 행위자의 역할을 감상자에게 제시되는 형식의 예술이다. 즉, 인터랙티브 아트는 관객과 작품이 소통하는 구조를 가진다. 인터랙티브 아트에서 관객의 경험은 작품의 의미가 된다. 작품 안에서 관객의 경험은 개인과 작품이라는 환경 안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의 결과로서 나타난다. 그리고 그 경험은 참여와 소통을 통해 작품을 완성하는 요소가 된다. 이는 과거에 예술가의 경험을 토대로 작품이 완성되었던 것과는 달리, 관객이 작품과 관계를 맺고 상호작용 과정을 통해 작품의 본질 혹은 의미를 찾아 작품을 완성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인터렉티브 아트에서 ‘관객 참여에 의한 경험의 의미가 예술적 의의를 지닐 수 있는가’라는 문제의 해결을 목표로 한다. 이를 규명하기 위해 존 듀이의 ‘경험이론’을 활용하고자 한다. 2장에서는 인터랙티브 아트에서 관객 참여를 통해 얻는 경험에 대하여 분석하기 위해 존 듀이의 이론을 토대로 설명한다. 1절에서는 과거 서구철학에서 말하는 경험의 의미와 존 듀이가 주장하는 경험의 의미가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고, 존 듀이의 ‘경험이론’에서 핵심이 되는 '하나의 경험'에 대해서 다룬다. 2절에서는 존 듀이가 주장한 예술과 '미적 경험'이 과거 서구철학과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 알아보고, 존 듀이가 주장하는 '미적 경험'에 대해 규명 한다. 즉, 이 장에서는 '하나의 경험과 미적 경험 사이의 관계'와 '미적 경험'의 차별화된 특징이 무엇인지 논의한다. 3장에서는 인터랙티브 아트를 세부적으로 분석하고, 존 듀이의 경험이론을 인터랙티브 아트에 적용하여 예술적 가치를 규명한다. 1절에서는 현대 예술에서 상호작용이 어떻게 발생했는지 고찰하고, 인터랙티브 아트의 대표적인 3가지의 특징인 공간, 인터페이스, 관객의 역할을 설명한다. 2절에서는 인터랙티브 아트를 존 듀이의 관점에서 해석하여, 인터랙티브 아트가 예술적 의의를 지닐 수 있음을 규명한다. 그리고 이를 명확히 하기 위해 인터랙티브 아트 작품 중에서 토니 도브(Toni Dove), 올라퍼 엘리아슨(Olafur Eliasson), 모리스 베나윤(Mourice Benayoun)의 작품을 존 듀이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존 듀이의 ‘미적 경험’은 예술작품으로서 완성하는 경험이다. 존 듀이는 예술작품을 완성하는 것은 예술가만이 할 수 있는 것이 아닌, 관객이 작품을 이해하고 자신만의 경험으로 재창조해야 예술작품(work of art)으로서 인정받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논문에서 주장하는 인터랙티브 아트는 작가가 작품 안에 사회적, 문화적, 개인적인 내용을 담고 있고, 관객이 작품 안의 의미나 본질에 대해 깊이 있는 탐구를 하여 작품을 완성한다. 이 과정 안에서 관객은 질성적 사고에 의해 작품을 완성하는 ‘미적 경험’을 하기에 인터랙티브 아트가 예술적 의의를 지닐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Interactive art is a form of art that encourages spectators to play the roles of actors in the presentation of work. That is, it allows the audience to change their role from observer to actor and become a part of an artwork. This structure of interactive work between the audience and artwork is the essence of interactive art. The audience experience is the meaning of interactive artwork. In artworks, the audience experience occurs as a result of interactive environment between individuals and artwork. Furthermore, such experiences become elements that complete the artwork through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Unlike traditional art created through the artist experience, an interactive art is created when the audience engages and interacts with artwork in pursuit of its essence or meaning. In this sense, this study aims to tackle the question of whether the experiences of the audience participating in artwork can have artistic significance with reference to John Dewey's Art as Experience. In Section 2 of this study, the participating audience's experiences are analyzed and discussed on the basis of John Dewey's theory. Clause 1 describes how the experience claimed by John Dewey is different from that defined previously in western philosophy and offers an explanation of "An experience," which is a key element of his Art as Experience. Clause 2 discusses how the "aesthetic experience" claimed by John Dewey is different from that defined previously in western philosophy and explains what "aesthetic experience" is. In other words, the author addr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An experience" and "aesthetic experience" as well as how "the latter is differentiated from the former." In Section 3, interactive art is analyzed in details, and John Dewey's Art as Experience is incorporated in interactive art to determine artistic significance. Clause 1 provides insight into how interaction is created in contemporary art and the three essential elements of interactive arts: space, interface and the role of spectators. Clause 2 explains interactive art interpreted from John Dewey's viewpoint and suggests that the interactive art analyzed has significant value as art. To support this claim, interactive works of Toni Dove, Olafur Eliasson and Mourice Benayoun were analyzed in terms of John Dewey's theory. His aesthetic experience refers to experiences that are complete as an artwork. John Dewey asserted that work of artists can be recognized as work of art when the audience understands and recreates it based on their own experience with the work, beyond the artists' contribution to their work. In this study, the author defined interactive art as an art form in which the artists utilize their own social, cultural and personal experiences and the audience becomes immersed into the meaning or essence of artwork for art production. During this completion process, the audience develops "aesthetic experience" derived from their qualitative thought, which lead to the conclusion that interactive art has special significance to the audience.

      • 인간 위암 조직의 프로테옴 분석 : 암조직에서 Rho GDP dissociation inhibitor-1,-2의 과발현 /d金유娜 [저]

        김유나 경상대학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47

        Gastric cancer remains a leading cause of cancer-related death worldwide. Advances in diagnostic and treatment technologies have enabled us to offer excellent long-term survival results for early gastric cancer, but prognosis of advanced gastric cancer still remains poor. The aim of this work was to figure out the protein components that are differentially expressed in stomach cancer tissues to develop the protein candidates for tumor marker. In this study, we have analyzed the proteomes of 152 stomach cancer tissue samples and compared with those of noncancerous tissues of the same patients. Human stomach tissue samples were prepared from resection materials of gastric cancer patients. The proteins of stomach tissues were analyzed by two-dimensional electrophoresis, stained with silver nitrate and the images were analyzed with the aid of PDQuest^(TM). Of the 152 samples that gave readable gel image, 11 samples were positive for overexpression (with a cutoff value of 3.0) of the spot 3211 and 17 samples were positive for overexpression of the spot 3233. The spot was excised from preparative gels, digested by trypsin, and subjected to peptide mass fingerprinting. The spot was identified to be Rho GDP dissociation inhibitor 1 and 2, with the sequence coverage of 28% and 29%, respectively. In the previous studies reported, RhoGDI has been associated with tumor cell invasion in ovarian cancer and RhoGDI was overexpressed in breast cancer. We first found that RhoGDI-1 was significantly overexpressed in human stomach cancer.

      • 중환자실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 및 조직 의사소통만족도가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김유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중환자실의 특성으로 인하여, 중환자실 간호사들은 유의미한 스트레스 상황과 역경에 직면하였을 때 이를 적응하고 해결해 나가는 심리적-사회적-신체적 역동적 과정인 회복탄력성이 낮을 수 있다. 회복탄력성은 간호사가 어려움을 극복하고 더욱 향상된 능력을 발휘할 수 있게 하므로, 간호사의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중요하다. 한편, 간호사는 수많은 대인관계 속에서 지속적인 의사소통을 통해 업무를 수행하며, 간호사가 속한 조직 역시 의사소통을 통하여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고 구성원들에게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중환자실 간호사들은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는 회복탄력성의 선행 요인인 역경으로 작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간호사의 회복탄력성 개발을 위한 방법의 초점이 개인 중심이었으나, 이제는 조직이 수행할 수 있는 역할도 함께 고려하는 포괄적인 접근방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간호 업무 환경에서 경험할 수 밖에 없는 의사소통 관련 요소 중, 개인적 차원의 의사소통능력, 조직적 차원의 조직 의사소통만족도와 회복탄력성 과의 관계를 살핌으로써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환경적 차원의 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20년 1월 3일부터 1월 24일까지 서울 소재 1개 상급종합병원의 성인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의사소통능력 측정도구, 조직 의사소통만족도 측정도구, 회복탄력성 측정도구를 이용한 설문지로 하였다. 총 126부의 설문 자료로 자료분석을 하였으며, SPSS Statistics 26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회복탄력성 점수는 총점 100점 만점 평균 60.72±11.76점, 총점 4점 만점 평점 평균 2.43±0.47점이었으며, 의사소통능력은 총점 5점 만점 평점 평균 3.57±0.42점이었고, 조직 의사소통만족도는 총점 5점 만점 평점 평균 3.11±0.34점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회복탄력성은 간호사로서의 직업 만족도(p=.000), 소속 부서에 대한 만족도(p=.002), 지각된 스트레스 정도(p=.000), 소극적/감정해결형 대응방식(p=.009), 적극적/문제해결형 대응방식(p=.000),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p=.000)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의사소통능력은 회복탄력성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p=.000)를, 조직 의사소통만족도 역시 회복탄력성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p=.000)를 보였다. 4. 회복탄력성의 영향요인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적극적/문제해결형 대응방식(p=.000), 지각된 스트레스 정도(p=000), 의사소통능력(p=.000), 조직 의사소통만족도(p=.024)가 회복탄력성의 영향요인으로 선정되었으며, 최종 결정된 회귀 모형은 회복탄력성의 58.3%(p=.000)를 설명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라 중환자실 간호사의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의사소통능력 증진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과 조직 의사소통만족을 위한 간호 관리자와 간호 조직의 적절한 개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중환자실 간호사들이 스트레스에 대하여 적극적/문제해결형 대응방식을 발휘할 수 있도록 스트레스 대처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Intensive care unit nurses may have low resilience, a psychological-social-physical dynamic process of adapting and solving when confronting significant stress and adversity,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intensive care units. It is important to improve the resilience of nurses because resilience allows nurses to overcome difficulties and show enhanced abilities. Meanwhile, nurses carry out their work through continuous communication in numerou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 organization in which nurses belong also achieves the organization's goals through communication and influences the members. However, intensive care unit nurses are having difficulty communicating and this can act as adversity, the antecedent of resilience. Until now, the methods for developing the resilience of nurses have been focused on individuals, but now a comprehensive approach must take place and the role of the organization must be considered together.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resilience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resilience at the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levels the communication-related factors that must be used in the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from January 3 to January 24, 2020. Participants were nurses who work in adult intensive care units in a general hospital located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questionnaires that includ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measurement tools,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measurement tools, and resilience measurement tools. A total of 126 survey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ction, and multi-linear regression using SPSS Statistics 26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resilience was 60.72±11.76 out of 100 points, 2.43±0.47 out of 4 points, communication competence was 3.57±0.42 out of 5 points, an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was 3.11±0.34 out of 5 points.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silienc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hich include nurse’s job satisfaction(p=.000), current department satisfaction(p=.002), perceived stress level(p=.000), passive/emotional solution type(p=.009), active/problem solving type(p=.000), and response to stress(p=.000). 3. The communication competen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resilience (p=.000), an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lso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resilience(p=.000). 4.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influencing factors of resilience and active/problem-solving type(p=.000), perceived stress level(p=.000), communication competence(p=.000),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p=.024) were selected as factors influencing resilience.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58.3%(p=.000).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education programs to enhanc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proper intervention of nursing managers and nursing organizations that can enhanc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re needed to improve the resilience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Also, education to exercise active and problem-solving approaches to stress is needed to improve the ability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to cope with stress.

      • 한국어 호칭어 사용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김유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narrative inquiry on foreign learners’ experiences in using Korean terms of addres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the experience-based, meaning-making process of the education on using titles in Korea. To this end, the puzzle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xplore how Korean language learners use different terms of address in various circumstances and relational contexts; second, explore the interpersonal functions of Korean terms of address that the learners discovered from their own experiences; third, explore the potential experience-based intercultural educations on terms of address. Narrative inquiry, which focuses on constructing knowledge based on experiential awareness, was considered most appropriate for this study of discovering personal and practical knowledge constructed from participants’ experiences. Following the methodology of narrative inquiry, the inquiry was conducted in four stages: “Being in the Field,” “From Field to Field Text,” “From Field Text to Interim Research Text,” and “From Interim Research Text to Research Text.”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using Korean terms of address in various circumstances and relational context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chosen as learners who have work experiences in Korea. The researcher carefully considered their gender, cultural background, and age. Research texts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Each participant had two interviews in total, but in necessary cases, the last interview was added. Due to the COVID-19 crisis, most of the participants had an online, non-face-to-face interview. The in-depth interviews of this study was not a unilateral process where the interviewer makes questions and interviewee answers. Instead, it was a process of discussing and examining meanings based on reflective thinking. The interim research texts and research texts were also constructed with the participants’ involvement. The narrative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 of using address terms can be understood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formed meaning by choosing certain address terms and excluding others based on their intention, taking into account the system of Korean address terms. The participants’ narratives based on common and different experiences show the context of choosing and excluding address terms. Second, the participants exerted intercultural ability when experiencing the Korean culture through terms of address, which is a cultural language. They perceived their own culture and discovered other cultures by examining their use of address terms, and obtained communication skills by interpreting the meanings of address terms. Also, they built critical thinking on the culture reflected by address terms and the education on address term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cessity and significance of learners’ experience-based intercultural education in terms of address. Based on their interactive and intersubjective experience, the participants discovered the relational context that affects the selection of address terms and the functions of address terms that establish roles and relationships. Personal and practical knowledge constructed from experience can be shared in the intercultural educational process. Education on terms of address using learners’ experience can be conducted as follows: first, establish objective standards while examining the terms of address in the participant’s mother tongue; second, discover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y comparing the language cultures; and third, reach a mutual understanding by discovering the “common” area between the two cultures. This study has personal, practical, and social justification. First, for personal justification, I achieved personal growth by objectifying my reference when examining the Korean language culture from others’ perspectives. Second,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academic terms as it combines theories of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with education on Korean address terms, expanding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the research on address terms education. Also, it has educational significance as it discusses the possibility of education on address terms from an intercultural approach. These are the practical justifications of this study. Third, this study is socially justified as it shows Koreans’ perception of multi-culture that emphasize “difference with foreigners” through the use of terms of address. 본 연구는 외국인 학습자들이 호칭어를 사용한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학습자의 경험에서 구성한 의미 탐구가 호칭어의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퍼즐은 첫째, 한국어 학습자들이 다양한 상황과 관계의 맥락에서 호칭어를 선택하는 양상을 탐구하고 둘째, 호칭어 사용 경험을 통해 학습자들이 발견한 한국어 호칭어의 대인관계적 기능을 탐구하며 셋째, 경험을 활용한 상호문화적인 호칭어 교육의 가능성을 탐구하는 것이다. 내러티브 탐구는 경험적 인식론에 근거한 지식의 구성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연구 참여자의 경험에서 구성된 개인적이고 실천적인 지식을 발견하고자 하는 본 연구의 목적에 가장 적합한 연구 방법이다. 탐구 절차는 내러티브 탐구의 방법론에 따라 ‘연구 한가운데로 들어가기’, ‘현장에서 현장 텍스트로’, ‘현장 텍스트에서 중간 연구 텍스트로’, ‘중간 연구 텍스트에서 연구 텍스트로’의 네 단계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다양한 상황 및 관계적 맥락에서 호칭어를 사용한 경험을 탐구하기 위해 한국에서 직장생활을 한 경험이 있는 학습자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이때 성별과 문화권 및 연령대를 적절하게 안배하는 것에 주의하였다. 현장 텍스트는 심층 면담의 방법으로 수집되었는데 면담은 연구 참여자별로 2회를 기본으로 하여 필요한 경우 마무리 면담을 수행하였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으로 인해 대부분 온라인 비대면 면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심층 면담은 묻고 답하기의 일방적인 과정이 아닌 상호 논의의 장이자 반성적 사고를 통한 의미 교섭의 과정이었다. 중간 연구 텍스트와 연구 텍스트의 작성 역시 참여자와의 구성적인 작업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참여자들이 호칭어를 사용한 경험의 내러티브는 다음과 같이 이해될 수 있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한국어 호칭어의 체계 속에서 의도에 따라 특정 호칭어를 선택하고 배제함으로써 의미를 생성하였다. 참여자들의 공통된 경험과 각각 다른 경험의 내러티브는 호칭어의 선택 및 배제와 관련한 맥락을 드러낸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문화적 어휘인 호칭어를 통한 한국 문화와의 만남에서 상호문화능력을 발휘하였다. 자신의 호칭어 사용 양상을 성찰하며 자문화를 인식하고 타문화를 발견하였으며 호칭어의 의미를 해석함으로써 소통의 기술을 익혔다. 또한, 호칭어가 반영하는 문화와 호칭어 교육에 대해 비판적으로 인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학습자 경험을 활용한 상호문화적 호칭어 교육의 필요성과 의의가 도출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상호작용적이고 상호주관적인 경험을 통해 호칭어의 선택에 관여하는 관계적 맥락과 역할 및 관계를 제정하는 호칭어의 기능을 발견하였다. 경험에서 구성한 개인적·실천적 지식은 상호문화적인 교육의 장에서 공유된다. 호칭어 사용 경험을 활용한 호칭어 교육은 다음의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첫째, 참여자 모어의 호칭어를 성찰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기준을 객관화한다. 둘째, 언어문화를 비교하는 과정을 통해 이질성과 유사성을 확인한다. 셋째, 양 문화 간 ‘겹침’의 영역을 발견함으로써 상호이해에 도달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개인적, 실제적, 사회적 정당성을 지닌다. 첫째, 개인적 정당성이다. 본 연구자는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타자의 눈을 통해 자국의 언어문화를 성찰함으로써 자신의 참조 기준을 객관화하는 개인적 성장을 이루었다. 둘째, 본 연구는 체계기능언어학 이론을 한국어 호칭어 교육에 접목하여 논의함으로써 호칭어 교육 연구의 이론적 이해를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지니고, 더불어 상호문화적인 접근법에 의한 호칭어 교육의 가능성을 논의하였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를 지닌다. 이상은 본 연구가 가지는 실제적 정당성이다. 셋째, 본 연구는 호칭어의 사용을 통해 ‘외국인’에 대한 ‘차이’를 부각하는 한국인의 다문화 인식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사회적 정당성을 가진다.

      •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행복감, 온정적 양육행동과 자녀의 외현화 문제행동 및 학교적응의 종단적 관계 구조 분석

        김유나 덕성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적응과 유아기 아동의 외현화 문제행동이 종단적으로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유아기 아동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주는 가정환경의 역할 중 어머니가 가지고 있는 심리적, 인지적, 정서적 요인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행복감, 온정적 양육행동의 관계를 알아보고, 각 변인들이 유아기 자녀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어머니 행복감 및 온정적 양육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어머니 행복감 및 온정적 양육행동은 유아기 자녀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어머니 행복감 및 온정적 양육행동을 매개로 유아기 자녀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유아기 자녀의 외현화 문제행동은 초등학교 1학년 자녀의 학교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를 위해 한국아동패널(PSKC) 7차년도(2014), 8차년도(2015)조사에 응답한 자료를 추출하여 분석하였고, IBM SPSS Statistics 28.0를 이용해 기술통계 분석 및 Pe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변인 간의 관계와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Mplus version 8.7를 활용해 구조방정식 분석과 부트스트래핑으로 검증하였다.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높을수록 어머니 행복감과 온정적 양육행동은 높게 나타났으며 어머니 행복감이 높을수록 온정적 양육행동도 높게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행복감, 온정적 양육행동은 유아기 자녀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어머니 양육효능감은 유아기 자녀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어머니 행복감과 온정적 양육행동을 매개로 하였을 때는 부적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유아기 외현화 문제행동은 초등학교 1학년 시기 학교적응에 부적 영향을 미친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school adaptation of first-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ex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 of early childhood children. And among the roles of the family environment that affects the ex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 of early childhood childre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efficacy, happiness, and compassionate parenting behavior, and the influence of each variable on the ex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 of early childhood childre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as follows. First, does the mother's parenting efficac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mother's happiness and compassionate parenting behavior? Second, does mother happiness and compassionate parenting behavior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x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 of early childhood children? Third, does the mother's parenting efficacy significantly affect the ex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 of early childhood children by through the medium of the mother's happiness and compassionate parenting behavior? Fourth, does the ex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 of early childhood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chool adaptation of children in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For this study, data from the 7th(2014) and 8th(2015) year surveys of the Korea Children's Panel(PSKC) were extracted and analyzed, technical statistics analysis and person’s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8.0. And in order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nd mediating effect between variables, Mplus version 8.7 was used to analyze the structural equation and verify it with bootstrapping. If you look at the main results, First, the higher the mother's parenting efficacy, the higher the mother's happiness and compassionate parenting behavior, and the higher the mother's happiness, the higher the compassionate parenting behavior.Second, the mother's happiness and compassionate parenting behavior negatively affected the behavior of childhood children's externalization problem.Third, mother parenting efficacy did not directly affect the ex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 of early childhood children, but it had a negative effect when mother happiness and compassionate parenting behavior were mediated. Finally, the problem behavior of externalization in infancy negatively affected school adaptation in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 만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교육 요구도 분석

        김유나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2013학년도부터 실행하고 있는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에 대한 어 린이집과 유치원 교사의 인식(중요도)과 실행수준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교육 요구도를 충족시키기 위한 대안을 마련하여 누리과정의 실행수준을 높이기 위 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유형별 교육 요구도는 어떠한가? 둘째,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에 대한 영역별 교육 요구도는 어떠한가?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절차로 진행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보육교사 및 유치원 정교사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으며 현재 서울지역과 강원도 춘천시에 소재한 어린이집과 유치원에서 만3-5세 유아를 담당하여 누리과정을 실행하고 있는 담임교사와 관리자(원장 및 원감) 312명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도구는 누리과정에 대한 교사의 인식(중요도)과 실행수준을 알아보는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만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영역별 세부내용을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도록 수정·보완하여 구성하였다. 이러한 연구도구로 2014년 1월 10일부터 1월 14일까지 예비조사를 실시한 결과 연구도구에 대한 신뢰도가 검증되었고, 2014년 6월 27일까지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Windows용 SPSS 18.0 프로그램과 엑셀(Excel)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 절차를 거쳤다. 첫째, 각 문항의 응답 결과 처리는 기본적인 빈도와 그에 따른 백분율(%)을 구하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만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교육요구에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셋째, 만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교육요구 우선순위에서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Borich의 요구도 계산방법,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활용하여 요구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넷째, The Locus for Focus Model에서 HH 분면에 포함된 개수를 확인하고 그 개수만큼 Borich의 요구도 순위를 파악하여 두 결과를 중복 확인하였다. 중복된 역량은 최우선 순위 역량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은 어린이집 4.53, 유치원 4.58로 대부분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실행수준은 어린이집 3.94, 유치원 4.07로 유아교육기관의 유형이 누리과정의 실행수준에 차이를 주는 변인으로서 유치원 교사보다 어린이집 교사의 교육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누리과정의 영역별로 살펴본 교육 요구도는 신체운동건강영역(4.19),의사소통영역(4.06), 사회관계영역(4.14), 예술경험영역(3.86), 자연탐구영역(3.88)로 신체운동건강영역의 교육 요구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관계 영역, 의사소통영역, 자연탐구영역, 예술경험영역 순으로 교육 요구도가 높았 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누리과정에 대한 교사의 인식(중요도)과 실행수준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보아 누리과정의 실행의 질을 높이기 위해 교사의 교육 요구도를 바탕으로 다양한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성공적인 누리과정으로 이끌기 위해 교육 요구도를 충족시킬 수 있는 연수기회의 확대, 프로그램 개발 등을 위한 기초 자료로써 도움이 될 수 있음을시사하고 있다

      • 학령기 발달장애 아동을 둔 부모의 애착과 역경 후 성장과의 관계 : 부모효능감과 장애수용의 이중매개효과

        김유나 숙명여자대학교 심리치료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학령기 발달장애 아동을 둔 부모의 애착(불안, 회피), 역경 후 성장, 부모효능감, 장애수용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애착과 역경 후 성장과의 관계에서 부모효능감과 장애수용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과 충청 지역 자폐아동 전문센터 및 발달장애 특수학교에 다니는 만 6세 이상 만 12세 이하의 학령기 발달장애 아동을 둔 부모 15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28.0 통계 프로그램과 Hayes(2022)의 PROCESS Macro ver. 4.2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15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령기 발달장애 아동을 둔 부모의 애착, 역경 후 성장, 부모효능감, 장애수용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학령기 발달장애 아동을 둔 부모의 애착과 역경 후 성장과의 관계에서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애착과 부모효능감과의 관계에서도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그러나 애착 중 회피애착은 부모효능감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불안애착은 부모효능감과 상관관계가 없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부모효능감과 장애수용은 역경 후 성장과의 관계에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부모효능감과 장애수용과의 관계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학령기 발달장애 아동을 둔 부모의 애착 중 회피애착과 역경 후 성장과의 관계에서 부모효능감과 장애수용의 이중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는 학령기 발달장애 아동을 둔 부모의 회피애착과 역경 후 성장 과의 관계에서 부모효능감과 장애수용이 매개변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불안정 애착 중 불안애착과 회피애착을 구분시켜 연구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 아동을 둔 부모의 애착을 불안애착, 회피애착으로 구분하였고, 애착과 역경 후 성장과의 관계에서 부모효능감과 장애수용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밝혔다는 데 의의를 두고 있다. 또한 애착과 역경 후 성장과의 관계에서 부모효능감과 장애수용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상담치료 현장에서 학령기 발달장애 아동을 둔 부모의 역경 후 성장을 조력하는 데 이론적인 기틀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to verify that anxiety and avoidance attachment of parents of school-aged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 variables that affect growth after adversity, and to verify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parental efficacy and disability acceptance in their relationship.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parents of school-aged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ged 6 to 12 attending autistism children's centers and special schools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Seoul and Chungcheong province, and 152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8.0 statistical program and Hayes PROCESS Macro ver. 4.2 program. The main contents foun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growth after adversity, parental efficacy, and disability acceptance of children with school-aged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growth after adversity. In addition, in this study, a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parental efficacy with children with school-age developmental disabilities. However, among attachments, avoidance attachment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arental efficacy, but anxiety attachment had no correlation with parental efficacy. On the other hand, in this study, there was a static correlation between parental efficacy and growth after adversi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efficacy and disability acceptance showed a static correlation. Secondly, among the attachments of parents of school-aged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parental efficacy and disability acceptance between avoidance attachment and growth after adversity was verified. Therefore, it means that parental efficacy and disability acceptance play a buffer role between avoidance attachment and growth after adversity of parents of school-aged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uggesting that research is needed to distinguish anxiety attachment and avoidance attachment among unstable attachment. This study classified that parental attachment with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to anxiety attachment and avoidance attachment, and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efficacy and disability acceptance, a related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d growth after adversity. It is also meaningful to establish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helping parents of school-aged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grow after adversity in the counselling treatment field by verifying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parental efficacy and disability accept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d growth after adversity.

      • 내용분석을 통한 전원생활 및 전원주택의 패러다임 변화에 관한 연구

        김유나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소득수준의 증가와 주5일제 정착에 따라 여가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삶의 질에 대한 일반인의 관심이 증대되었으며, 이 같은 전원수요는 은퇴를 시작한 베이비붐 세대를 비롯해 젊은 층에게도 확산되고 있다. 이에 21세기형 주거트렌드인 멀티해비가 발생하였는데, 이러한 멀티해비의 주요 배경으로는 전술한 베이비부머의 대량 은퇴, 다양한 라이프스타일 등장, 주택시장의 변화 등이 있지만 특히 도시민의 주거에 대한 가치관 변화를 들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처럼 점차 변화해가는 전원의 패러다임을 알아보고자 하며, 전원을 둘러싼 사회적 패러다임 변화를 ‘전원생활’과 ‘전원주거’라는 두 개의 키워드를 통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구체적으로, 내용분석을 통해 1)어떠한 요인들이 전원을 둘러싼 패러다임 변화에 큰 영향을 미쳤는지, 2)과거 20여년 간(1990~2012년) 전원에 대한 사회적 패러다임 변화를 고찰하고, 3)이러한 우리나라 전원의 최근 변화과정을 전문가 설문조사를 참조하여 향후 우리나라 전원생활 및 전원주택의 전개방향을 추론해 보고자 한다.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1990년 1월 1일부터 2012년 6월 30일까지로 약 20년으로 설정하였으며, 시간적 범위를 5년 단위로 나눠 지정하였다. 이론적 분석에서는 전원생활 및 전원주택의 시기적 배경 및 변화를 알아봄으로 전원을 둘러싼 사회 경제적 변화를 알아보았다.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서 본 연구와 같이 시계열적 변화를 통한 전원주택의 이미지 변화와 의미를 도출하는 연구는 전무한 상태임을 알 수 있었고 연구의 필요성을 다시금 재인식하였다. 내용분석에서는 정성적 내용분석과 정량적 내용분석을 병행한 통합적 연구방법을 통해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정성적 내용분석은 학술논문과 전문잡지를, 정량적 내용분석은 신문기사를 재료로 하여 수행하였다. 학술논문 내용분석 결과, 주 내용은 전원생활 및 전원주택의 문제점 도출과 개선방안 마련 목적을 담고 있었으며, 2000년대 초반까지 전원주택, 2000년대 후반부터 전원생활에 대한 연구 많이 진행됨을 알았다. 전문잡지 내용분석 결과, 전원주택 관련 정보 및 전원생활 노하우 전수를 주 내용으로 소득, 마련방법 등 독자가 원하는 실생활 정보를 많이 담고 있었다. 두 자료의 공통적 특징은 최근, 거주자 즉 전원생활 실현자 대상 연구 및 기사가 많으며, T2-95시기의 자료 가장 많다는 점이다. 신문기사 내용분석 결과에 앞서 이론적 배경에서 알아본 전원주택이란 단어의 5가지보다 신문기사 내의 전원주택이란 단어는 많은 의미를 담고 있었으며, 전원주택의 단어가 갖는 의미를 다의적으로 해석하는 것도 유용할 것이다. 경제성장에 따른 소득수준의 증가, IMF경제위기, 경제회복기, 전원생활 지원 정책 및 홍보, 2008년 세계금융위기, 베이비부머의 은퇴 및 여가문화 인식 변화이며 경제의 변화가 전원의 패러다임에서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전원을 둘러싼 패러다임의 시기구분은 다음과 같다. P1 시기는 전원주택에 대한 관심의 시작과 함께 전원주택 단지의 개발 붐이 일어난 시기로 ‘태동기’이며, P2 시기는 급격한 주택가격의 하락 및 전원주택 업체들의 부도를 겪은 시기로 전원주택 시장의 ‘침체기’이다. P3는 ‘회복기’라 볼 수 있는데, 정부의 정책과 지원을 토대로 전원시장의 회복기로 접어들게 되었으며, 2009년 이후 P4 시기는 실속형 전원주택 및 다양한 전원주택 수요 증대에 따른 ‘발전기’라 볼 수 있다. 최근 전원 수요는 소형 전원주택과 같은 실속형 소형 전원주택과 도시지역과 왕래하는 동태적 모형을 띄며, 수익형 전원주택에 대한 인기가 높다. 본 연구의 한계는 ‘전원생활’과 ‘전원주택’ 이라는 두 개의 키워드로 대표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는 점과 분석 자료가 학술연구, 잡지, 신문기사만으로 제한되어 있다는 점 선진 외국과의 비교분석을 통한 국내 전원주택 등의 전개방향에 대한 심도 있는 추론 분석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