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교 환경교육장을 활용한 체험학습이 초등학생의 친환경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류홍진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79

        국문초록 학교 환경교육장을 활용한 체험학습이 초등학생의 친환경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xperience Activities in School Eco-Place on the Environmental Friendly Attitude of Elementary Students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환경교육전공 류 홍 진 지도교수 김 남 일 본 연구는 학교 환경교육장을 활용한 체험학습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이 활동이 초등학생의 친환경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에 참여한 학생은 경기도 가평군에 위치한 ○○초등학교 2학년 12명(남 5명, 여 7명)이었다. 학교 환경교육장은 야외학습장, 학교 숲, 들꽃 화단과 텃밭에서의 활동으로 정하였고, 학교의 여건과 초등학교 2학년 학생의 수준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프로그램의 적용은 4월부터 10월까지 실시하였다. 학생들의 친환경적인 태도 형성은 설문지, 학습지, 면담, 관찰 및 환경일기쓰기 등을 활용하여, 각 활동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개인별 및 집단별 사례를 관찰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자연스럽게 주변 환경을 경험하고, 생물을 기르는 체험활동을 통해 환경의 소중함을 느끼게 되어 친환경적인 태도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은 황토물들이기 활동을 통해 자연의 유익함을 알게 되었으며, 작은 꽃 찾기 활동을 통해 풀이나 곤충도 생명을 가지고 있어서 보호해야한다는 태도를 가지게 되었다. 셋째, 학생들의 유형에 따라, 상위 집단의 학생들은 체험학습에서도 학습 목표를 바르게 인지하고 식물과 동물에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학습에 효과가 높았으며 학습지나 활동결과물, 환경일기에서도 친환경적인 태도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보통 집단의 학생들은 대부분 학습태도나 지적능력은 높은 편은 아니지만 체험활동에는 관심과 흥미가 높았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처음에는 체험학습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으나 다양한 활동을 거듭할수록 식물에 관심을 갖고 자세히 관찰하며 대화를 나누기도 하고, 텃밭에 심은 채소들을 정성스레 가꾸는 모습도 볼 수 있었다. 한편, 하위 집단의 학생들은 체험 활동에 관심이 적었으나 다양한 활동을 통해 참여도가 높아지고, 지적능력이나 그리기, 글쓰기 등의 표현능력도 향상되면서 체험학습을 기다리는 학생들도 차츰 늘어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학교 환경교육장을 활용한 체험활동은 학생들이 쉽게 자연 환경과 접촉할 수 있고, 일상적인 생활 속에서 여러 생물을 기르고, 관찰하는 활동을 통해 친환경적인 태도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환경이나 학년에 따라 학생들의 흥미나 관심이 달라지므로 주어진 환경 안에서 활동할 수 있는 체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이 지속되어야 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소규모 학교에서 연구를 실시하여 정성적으로 결과를 분석하였으나 보다 많은 수의 학생이 참여하는 정량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활동을 실시하는 기간에 대한 연구도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 친환경 태도 형성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 생물을 기르는 노작 활동의 구체적인 효과를 알아볼 수 있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본 논문은 2007년 12월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AIDT 도입 대비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 초등교원 디지털 역량 진단: 중요도-수행도(IPA) 분석

        김요셉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79

        AIDT 도입 대비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 초등교원 디지털 역량 진단: 중요도-수행도(IPA) 분석 Assessment of Digital Competency for Elementary Teachers in Gangwon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AIDT Implementation: A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AI융합교육전공 김요셉 지도교수 서순식 본 연구는 2025년 도입 예정인 AI 디지털 교과서(AIDT) 관련, 초등교원의 준비도와 인식을 바탕으로 디지털 역량을 진단하고 AI 디지털 교과서의 안정 적인 정착 방안을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AI 디지털 교과서는 기존의 전통적 교육 방식과 차별화된 AI 기반 맞춤형 학습 도구로, 초등교육에 도입됨에 따 라 교사들의 새로운 역량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교사들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AI 활용 역량을 진단하고 AI 디지털 교과서 도입에 있어 필요한 역량을 교사 들이 충분히 갖추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연구의 주요 목표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 초등교원 100명을 표본으로, 30개 설 문 문항을 통해 교원의 디지털 역량을 진단할 계획이다. 이 설문 문항은 교사 들이 디지털 기술 및 디지털 학습 도구를 얼마나 잘 이해하고 사용할 준비가 되어 있는지를 진단하는 내용이 담겨있다. 측정 방법은 리커트 5점 척도를 사 용하며 측정 도구는 중요도-수행도 분석(IPA, Importance-Perfomance Analysis)을 사용할 계획이다. 중요도-수행도 분석(IPA)으로 수집된 데이터를 SPSS 프로그램(ver 29.0)을 사용하여 결과를 도출할 예정이며, 결과 내용을 기반으로 교원의 디지털 역량 지표를 구체적으로 진단하고 AI 디지털 교과서 도입에 있어 교사들이 충분한 준비를 갖추고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디지털 교육 환경에서 중요도는 높지만 수행도가 낮은 영역을 찾아 필요한 추가 역량을 제안할 것이 다. 예상되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I 기반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의 인식도는 어느 정도 형성되었으나, 실제 AI 디지털 교과서 관련 체험이나 실 습 경험이 부족하여 디지털 역량 진단 결과 중요도는 높지만 수행도가 낮은 영역이 많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AI 디지털 교과서 도입 연수가 진행됨에 도 불구하고, 실제 AI 디지털 교과서를 직접 다뤄보지 못하고 프로토타입 단 계만 경험했기에 교사들은 충분한 준비를 갖추지 못한 상태일 가능성이 높다. 둘째, “교사들은 AI 디지털 교과서의 장점에 대해 충분히 인지하고 있으나, 교육부에서 발표한 AI 디지털 교과서 도입과 관련된 정책 및 지침 사항이 학 교 현장에 충분히 홍보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교사들의 준비도가 낮을 가능성 이 있다”(교육부, 2023). 본 내용을 바탕으로 AI 디지털 교과서의 실제 도입과 수용에 대해 아직 확신을 가지지 못할 수 있다. 이는 교사들이 AI 디지털 교 과서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추가 연수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시할 수 있다. 셋째, 교육부에서 발표한 교과용 도서에 관한 규정 개정안에 따르면 AI 디지 털 교과서는 법적 지위를 얻었으며 이를 통해 안정적으로 학교 현장에서 도입 될 예정이다(교육부, 2024). 그러나 이러한 법적 기반에도 불구하고 AI 디지털 교과서 관련 정책 및 지침 사항이 충분히 홍보되지 않은 점에서 교사들의 준 비도가 낮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교사들은 AI 디지털 교과서 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정보를 얻지 못했을 가능성이 높 기에 AI 디지털 교과서 도입이 원활히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정책 홍보와 교 육이 강화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넷째, 연구 결과에 따라 중요도와 수행도 모두 낮게 나오는 영역을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중요도-수행도 분석(IPA)을 통해 이러한 부분을 파 악하고 중요도와 수행도 모두 낮게 나온 영역을 높게 나올 수 있도록 개선이 필요할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AI 디지털 교과서의 필요성을 느낄 수 있도록 AI 디지털 교과서 사용법과 AI 학습 도구 활용법을 중심으로 진행되 는 연수를 도입하여 교사의 디지털 역량을 높일 필요가 있다. 그리고 AI 디지 털 교과서가 학교 현장에 안정적으로 도입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 초등교원 100명을 대상으로 디 지털 역량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AI 디지털 교과서가 교육 현장에 안정적으로 도입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주제어: AI 디지털 교과서(AIDT), 준비도, 인식, 디지털 역량, 초등교원, 연수, 만족도, 태도, 중요도-수행도 분석(IPA)

      • 대수적 사고 함양을 위한 생성형 인공지능 기반 학습 튜터 개발 및 검증

        남궁연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79

        대수적 사고함양을위한생성형인공지능기반학습 튜터개발및검증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Large Language Model-Based AI Tutor for Fostering Algebraic Thinking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AI융합교육전공 남궁연 지도교수 서순식 최근 학교 현장에서 수학 학력 격차가 심화되고 있으며, 특히 대수 영역은 추상적 개념 이해가 필수적이고 오개념이 누적되기 쉬운 분야로 지적된다. 대수적 사고가 결손될 경우 초등수학에서 중등수학으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큰 어려움을 겪게 되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생성형 인공지능 기반 AI 튜터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먼저 GPTs, POE, AskUP, Mizou, wrtn 등 기존 챗봇 서비스를 분석한 결과, 수학 교육에 필수적인 LaTeX 수식 표현, 사진 업로드, 교사의 학습 모니터링 기능 등이 충분히 지원되지 않는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Python Flask와 JavaScript를 활용한 웹 기반 AI 튜터를 구현하고, GPT-4o-mini 모델과 MongoDB를 연동하여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특히 교사용 화면과 학생용 화면을 분리함으로써, 교사가 맞춤형 지침을 설정하고 학생별 대화를 모니터링·피드백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프로그램 검증을 위해서는 수학교육 전문가 3인과 고등학생 3인(상·중·하위권)을 대상으로 사용자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이들은 2주간 AI 튜터를 활용하여 대수 학습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실생활 연계 문제 제공, 단계적 힌트, 오류 분석 피드백 등 대수적 사고 함양에 유용한 주요 기능들이 효과적으로 작동함이 드러났다. 상위권 학생은 심화 문제와 개념 연계 설명이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고, 중위권 학생은 단계적 힌트를 통한 자기 주도적 학습 방식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하위권 학생은 자신의 수준에 맞춘 문제 제공을 통해 학습 의욕이 높아졌다고 응답하였으며, 모든 학생이 이미지 업로드 기능을 편리하게 활용했다. 다만 상·중위권 학생은 잘못된 풀이를 시도했을 때 AI 챗봇이 오류를 충분히 검토하지 않고 넘어가는 경우를 지적했으며, 중위권 학생은 교사가 대화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 부담된다고 언급했다. 추가로 한 달간 55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시범 운영한 결과, 학생 1인당 월평균 0.17달러라는 낮은 비용으로도 원활한 운영이 가능하여 학교 현장에서의 경제적 도입 가능성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대수 영역에서의 학습 격차 해소와 자기 주도적 학습 역량 강화를 위해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멀티미디어 자료와의 연계, 대규모 실증 연구, 교사용 지원 기능의 추가 개발 등을 통해 프로그램의 활용성을 한층 더 높일 필요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학교 현장에서 보다 효과적이고 지속 가능한 AI 튜터 프로그램을 보급함으로써, 학생들의 수학 학습을 더욱 견고하게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주제어: 대수적 사고, 생성형 인공지능, AI 튜터, 고등학교 수학 교육, 맞춤형 학습

      • 특수교육에서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이해 중심 미술 수업 연구

        강승구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79

        특수교육에서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이해 중심 미술 수업 연구 A Study on the Understanding Centered Art Class using Digital Media in Special Education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미술교육전공 강 승 구 지도교수 류 지 영 본 연구는 특수교육에서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이해 중심 미술 수업을 연구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에 특수학교(급)에서 사용하고 있는 기본교육과정을 토대로 공통교육과정을 접목하여 관련 디지털 미디어의 일환인 애플리케이션을 미술 수업에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근거로 연구 문제를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기본교육과정을 기본으로 공통교육과정을 접목하여 초등학교 3-4학년군 미술과 성취기준의 재구성 방법을 제시할 수 있는가? 둘째, 현행 기본교육과정 미술과를 토대로 장애학생에게 활용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시할 수 있는가? 셋째, 교육과정-수업-평가를 일체화하는 이해중심수업을 장애학생에게 디지털 미디어의 활용과 관련하여 지도 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가? 상기의 연구 문제를 확인하고자 현행 기본교육과정으로써 2015년 개정 교육 과정을 중심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1 개정 기본교육과정이 시행되었던 2011년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의 막바지가 다다른 2023년까지 국내에서 발 표된 학위 논문과 학술지 및 교과서, 서적 35편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 대상의 범위는 2015 개정 기본교육과정 초등학교 3-4학년군 미술과로 잡고 기본교육과정 미술 지도서를 토대로 공통교육과정 미술과 검정교과서 6종 (천재교과서, 천재교육, 지학사, 금성출판사, 동아출판, 비상)으로 분석하여 특수교육에서 필요한 디지털 미디어와 관련한 이해중심수업 자료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기본교육과정 초등학교 3-4학년군 미술과 교과서를 살펴보면 미술 활동이 기능 위주의 표현 영역에 많이 치중되어 있어 체험, 표현, 감상 3개 의 영역을 조화롭게 지도하여 핵심개념을 이끌기엔 어려움이 있다. 이는 국정 교과서 1종만으로 수업을 운영하고 있어 장애 유형과 정도가 다른 특수학교 (급)에서 미술교육이 교육 내용을 쉽게 전달하는 정도에서 벗어나 쉬운 내용을 기술적으로 전달하는 것으로 역할이 단순화되는 결과를 초래했다. 둘째, 현행 공통교육과정 초등학교 3-4학년군 미술과 6종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기본교육과정과는 다르게 체험, 표현, 감상 3개의 영역이 조화롭게 이루 어져 있다. 이를 토대로 공통교육과정 성취기준의 핵심개념을 추출하고 재구성하여 이를 현행 교육과정의 기반이 되는 백워드 설계로 미술 수업 지도 방 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현행 기본교육과정 초등학교 3-4학년군 미술과 성취기준을 재구성하여 이에 맞는 디지털 미디어 교육으로써 애플리케이션을 찾아 정리하였다. 이는 시간적, 공간적, 신체적 제약이 있는 장애학생들에게 좋은 수업 도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의 결론을 토대로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인 기본교육과정 미술과를 보는 통합성과 체계성을 위해 초등학교 다른 학년군의 성취기준 정리 및 교과서 분석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현행 교육과정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2022 개정 교육과정이 시행되는 2024년도 역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제시 방식 및 백워드 설계와 닮아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2022 개정 교육 과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디지털 미디어의 일환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조사 및 정리하였지만 현재 시중에 상용되고 있는 디지털 미디어는 다양하다. 이를 자유롭게 미술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또한 다른 학년군의 성취기준에서 핵심개념을 추출하여 미술 수업에 맞는 디지털 미디어의 활용 방안에 관한 연 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수업실습 프로그램이 교육실습생의 수업기술 인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

        이숙자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79

        국 문 초 록 수업실습 프로그램이 교육실습생의 수업기술 인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ractical Teaching Program on the Change of Education Apprentice's Perception regarding Teaching Skills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교육행정전공 이 숙 자 지도교수 이 주 한 본 연구는 현재 실시되고 있는 수업실습 프로그램이 교육대학 4학년생의 수업기술에 대한 인식 변화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교생실습 프로그램을 계획하는 기초 자료로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춘천교육대학교 부설초등학교 1개교와 춘천지역의 실습대용협력학교 3개교에서 수업실습에 참여하는 교육실습생으로 정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교육실습생의 수업기술 인식도를 알아보는 설문지로서 수업기술의 이론과 실제(교육주보사, 1996)에서 발취한 내용과 한순복(2003)의 반성적 교육실습 프로그램을 적용한 수업장학이 교육실습생의 수업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용한 설문지를 기초로 하여 연구자가 수정, 재구성하여 활용하였다. 연구조사 대상인 교육실습생의 변인을 파악하기 위한 문항내용으로 성별, 현재 실습 중인 학교, 담당학년, 지도교사의 교육실습 지도유형, 수업실습 전 실습학교, 수업실습에 대한 기대와 만족 등을 구성하여 변인별 측정 자료로 활용하였다. 교육실습생의 수업기술에 대한 인식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업기술에 대한 문항 43개를 5개영역으로 구분하고 영역별 하위 영역 문항을 반응형(Likert 5단계 척도법)으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수업실습이 수업기술에 대한 인식도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수업기술 인식도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였다. 전 항목에서 실습 전ㆍ후로 비교하여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으나, 수업설계 항에서 남학생이 수업실습 전․후를 비교하였을 때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남학생의 경우 여학생보다 소극적인 수업태도에서 비롯되며, 자신이 이미 알고 있는 것과 현장에서 실제로 부딪쳤을 때 응용하는 힘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보인다. 따라서 운영할 때 성별에 따라 다른 실습프로그램을 구안하여 적용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실습학교별로 실습 전과 후를 비교하였을 때 실습프로그램의 효과성에서 부설학교의 경우 유의한 차이가 크게 드러났으며 실습대용학교에서는 학교별로 다소의 유의한 차이에 차별이 있었다. 이는 부설학교의 경우 교육실습 전반에 걸쳐서 기술축적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여타 협력대용학교의 경우 학교공모를 통해서 상급기관에서 정하기 때문에 기술축적에 있어서 지속성이 결여될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습학교별로 수업실습의 효과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음을 알고 실습프로그램의 효율적인 운영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특히 교육실습의 중요성을 비추어 볼 때 예비교사는 부설학교에서의 의무적인 실습과정을 거치도록 실습프로그램을 개선 할 필요가 있다. 교사지도유형별로 보았을 때 조력 ․ 안내형에서 수업기술의 인식도의 변화 차이가 뚜렷하게 유의하였다. 교육실습생은 한 달간의 짧은 기간 배우고 익혀야 하는 것들이 많기 때문에 지도교사의 정확한 안내와 도움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실습학교의 지도교사 선발기준에 지도교사유형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수업실습은 모름지기 수업기술에 대한 확실한 배움의 과정이다. 비록 한 달이란 짧은 기간동안 행해지는 일이지만 교사의 생애에 있어서 어떤 교사로 자리매김 하는가는 온전히 수업실습의 질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교육실습이 다만 교육과정상의 형식적인 교육실습으로서 그칠 것이 아니라 그 효과성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평가하고 좀 더 개선된 교육실습프로그램을 계획하여 내실 있게 운영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므로 지도교사의 경험적인 수업기술에 의존하는 현재의 교육실습제도를 과감히 개선 할 획기적인 프로젝트가 필요하다. *주제어: 수업실습, 수업기술, 수업설계이론

      • 마음의 발달의 교육학적 이해 : 「大學」의 공부 순서와 마음의 발달

        전영신 春川敎育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의 목적은 「大學」에 함의되어 있는 마음의 발달의 의미를 교육학적 관점에서 해석하는 데에 있다. 교육학적 관점에서 보면, 「大學」은 마음의 발달을 사정하는 기준과 마음의 발달이 일어나는 시간계열이 공부 또는 교육의 과정과 무관하게 설명도리 수 없다는 점을 시사한다. 「大學」이 함의하고 있는 마음의 발달의 의미를 밝히는 데에는 접속사 '而后'의 애매성을 드러내는 것이 중요하다. 「大學」에 등장하는 '而后'는 시간적 선후관계와 논리적 선후관계를 표현하는 접속사로 동시에 해석될 수 있다는 점에서 애매성을 지니고 있다. '而后'를 시간적 선후관계로 해석할 경우, '而后' 전후에 있는 활동들은 각각 별개의 활동으로 순차적으로 이어지는 관계를 갖게 된다. 이 해석은 앞의 활동을 완전히 끝낸 이후에 뒤의 활동이 가능하다는 것을 전제한다. 그러나 각 활동의 의미를 생각해보면 활동이 끝나는 시점이 그리 명확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而后'를 논리적 선후관계로 해석할 경우, '而后'의 전후에 있는 활동들은 사실상 분리된 별개의 활동이 아니라 개념상 구분되는 동일한 활동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모든 활동이 동일한 상태가 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이 관점은 경험적 차원을 초월한 궁극적 완성상태를 부각시킨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해석은 궁극적 완성상태에 이르는 경로를 설명할 수 없는 한계를 지닌다. '而后'에 관한 두 관점의 해석은 각각 공부 또는 마음의 발달의 상이한 측면을 부각시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而后'를 시간적 선후관계로 해석하는 것은 발달이 시간계열에서 점차적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부각시켜준다. 논리적 선후관계의 해석에서 시사 받을 수 있는 것은 발달을 사정하는 형이상학적 차원의 기준이 있다는 것이다. 발달은 시간계열에서 점차적으로 이루어지며, 그것이 발달로 규정되기 위해서는 그것을 사정할 기준이 있어야 한다. '而后'라는 접속사를 사용하고 있는 「大學」의 진술은 기준과 시간계열 가운데 어느 한 가지만을 고려할 경우 범할 수 있는 오류를 배제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점에서 「大學」의 애매성은 곧 체계적 애매성이라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大學」에 진술되어 있는 두 문장이 모두 발달의 의미를 시사한다고 할 때, 그 두 문장이 서로 어떤 관계가 있는지가 문제로 부각된다. 다시 말해서, 두 문장에서 설명하는 발달과정이 서로 별개의 과정인가, 아니면 동일한 과정을 다르게 진술하고 있는 것인가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각각의 문장에서 설명하는 발달의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첫 번째 문장은 궁극적인 완성상태와 그것을 내면화한 개인의 이상적인 마음상태를 말하는 동시에 그 상태에 이르는 경로를 설명한다. 그 경로는 발달의 내면화 과정을 의미한다. 이 문장은 경험적 차원에서 형이상학적 차원을 지향하는 과정을 진술한다는 점에서 발달의 종적 차원을 설명하는 것이다. 두 번째 문장은 수양된 마음이 사회로 확산되어 마음의 크기가 사회와 동일하게 되는 완성상태와 그 상태에 이르는 과정을 설명한다. 이 문장은 마음이 사회로 확대되는 과정을 진술한다는 점에서 발달의 횡적 차원을 설명하는 것이다. 여기서 格物을 통한 마음의 수양 또는 함양은 첫 번째 문장에서 설명한 내면화와 다른 것이 아니다. 이것은 내면화 과정과 사회적 확산 과정이 별개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시사한다. 이와 같이 두 발달과정이 실지로 동시에 이루어진다고 할지라도 발달을 설명하고 이해하기 위해서는 두 과정을 구분해서 말해야 한다. 내면화 과정을 말하지 않을 경우, 발달은 사회(경험적 차원)의 필요에 따라 그때그때 요구되는 것을 완수하는 것 이외의 다른 의미를 지닐 수 없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사회적 확산 과정을 말하지 않을 경우, 내면화 과정은 개인의 마음에 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마음은 순전히 개인 것이라는 오해를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大學」에 의하면, 발달은 오로지 格物致知에 의해서 이루어지다. 마음의 발달과정은 곧 格物의 과정이며, 格物을 하는 것 이외에 마음의 발달은 있을 수 없다. 格物의 경전(교과)공부를 의미한다. 格物하는 매순간마다 이루어지는 致知가 쌓이고 쌓이는 과정, 그 과정이 바로 내면화의 과정인 동시에 사회적 확산의 과정인 것이다. 「大學」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성리학 논의는 교육이 지향해야 할 곳과 그 곳에 도달하는 방법, 교사의 역할을 이해하는 데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교육에서 마음의 발달을 말할 때, 발달을 사정할 기준과 시간계열을 동시에 고려하지 않는 것은 교육 자체를 왜곡시키는 것이 된다. 교사는 형이상학적 기준에 비추어 시간계열에서의 발달의 수준을 이해하고, 格物 공부의 수준이 곧 발달의 수준이라는 것, 각 발달단계는 곧 格物의 수준을 가리키는 다른 이름이라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그렇지 못할 경우, 교사는 학생의 현재 수준을 극복하기보다 그것에 얽매이게 되면, 그 결과 주어진 교육 내용을 이해하기보다 학생 수준에 맞는 다른 교육내용과 방법을 찾으려고 노력하게 될 것이다. 이것은 분명히 교육을 왜곡시키는 것이다. 교사의 주된 역할은 지식의 전달이라기보다 '마음'의 구현이다. 교사는 스스로 형이상학적 차원의 기준을 지향하고 그것을 구현하기 위해서 노력하는 존재이다. 이러한 교사의 모습은 학생들에게 눈앞에서 살아 움직이는 기준이 된다. 교사와 학생은 오로지 格物을 통해서 기준을 내면화한다. 그 과정이 바로 마음의 발달 과정이며 교육의 과정이다. 마음의 발달의 의미는 오직 교육 안에서 설명되며 구현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the meaning of development of mind implicated in the 「Great Learning」 in view of education. In view of the conceptual connection between education and mind, it seems inevitable that the meaning of development of mind is educational in character. Any discussion of development of mind must be based on the process of education, and can be meaningfully interpreted in the context of education. For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of mind, it is very important to disclose the ambiguity of the conjunctional concept of 'hereafter' (而后) inherent in the 「Great Learning」 The 「Great Learning」 leaves open the possibilities of interpreting the conjunctional concept, 'hereafter'(而后), both as the temporal order and the logical order. The former describes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an individual mind. The latter describes the standard or the ideal state of human mind. The latter emphasizes the transcendental nature of mind or reality as an ultimate standard of development. In this interpretation, the development of mind can be conceived from two aspects, which may be called the temporal sequence and the metaphysical standard respectively. In a word, the development of mind implies that the individual learner actively pursues and internalizes the metaphysical standard in the temporal sequence of development. The 「Great Learning」 also implies two dimensions of development of mind, which can be designated as the internalization in the one, and extension of mind to the world in the other. The one explains the cultivation of mind. The other explains the extension of mind to the world. This point must have a significant bearing in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of mind, for the two dimensions is brought together to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mind. This interpretation poses a question of explic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dimensions of development of mind, the one is the vertical dimension of development of mind, that is the process of internalization, and the other is the horizontal dimension of development of mind, that is the extension of mind to the world. The two dimensions of development of mind, implied in 「Great Learning」, are not only compatible but mutually supported toward a fuller understanding of the total process of development. The two dimensions of development of mind put differential emphases on the metaphysical standard and on the extension of mind respectively. So the internalization of mind and the extension of mind to the world can be best understood, not as separate processes of development of mind, but as different dimensions of same process of development of mind, without which an understanding of development of mind is impossible. According to the 「Great Learning」, the development of mind can be regarded as the 'investigation of things and extension of knowledge'(格物致知).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mind is the process of investigation of things(格物). The investigation of things means a scripture-learning. In this view, the teacher is first and foremost a man devoting himself to the internalization of standard by investigation of things. His ability to teach is nothing but a direct exemplification of his own investigation of things. The teacher is the embodiment of standard rather than the transmitter of information. In other word, the teacher must be the Sage as the educational ideal, who is the philosopher devoting himself to cultivation of mind. The student also internalize the standard by investigation of things. Above all, the process of internalization is just like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mind and process of education. The development of mind is explained and embodied into the process of education.

      • 춘천지역 초등교사의 환경윤리의식 조사연구

        서승석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생태학적 위기의 문제에서 제기되는 환경윤리적 입장을 문헌을 통해 선별하여 타당성 관계를 알아보고, 자연보전을 주장하는 입장들을 초등 도덕교육의 관점에서 살펴봄으로써 환경윤리의식을 검토하고자 한다. 그래서 초등도덕교육에서의 환경교육의 윤리적 접근방법을 알아보고 환경윤리관 정립을 위해 현재의 환경윤리 문제점을 찾아내어 환경에 관한 자체 설문지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춘천지역 초등교사의 환경윤리의식을 분석하여 앞으로 초등교사가 가져야 할 환경윤리의식의 방향과 초등학교에서의 환경윤리교육의 중요성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춘천지역 초등교사의 환경윤리의식에 관한 태도와 실태를 조사하고 초등학교 도덕과에서의 환경윤리교육의 효율화 방안을 연구하여 환경윤리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춘천지역 초등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181부가 회수되었고, 자료처리 가능한 175명의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1) 환경문제에 대한 윤리적 인식과 전문용어의 인식수준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22.0%) 또, 환경에 관한 지식은 주로 신문이나 방송을 통해 습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76.4%) 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환경윤리교육에 대해 충실히 지도하거나 보통으로 지도한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67.6%), 효과적인 환경윤리 교육을 위한 가정과의 연계지도에 대해서는 주로 1년에 1-2회 정도하고 있고 방법으로는 주로 체험 보고서나 가정통신문, 일기지도를 통한 형식적인 과제 위주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93.9%) 현장학습의 빈도에 대해서 학급의 규모가 적을수록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87.6%) 2) 전체적으로 환경문제에 대해 심각하게 생각하고 있으며(90.2%) 특히, 연령이 높을수록 수질오염을(71.8%) 젊은층에서는 대기오염과 토양오염에 대해서 심각하게 우려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춘천의 중요한 상수원인 소양강댐의 지류에 처한 지리적인 환경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대부분 환경윤리교육의 필요성을 높게 인정하고 있었으며(93.7%), 환경윤리교육의 목적을 환경윤리의식의 함양에 두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다(69.0%). 그러나 실제로 현장에서는 환경윤리교육이 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3) 환경관련 제재를 수업시간에 주로 다루는 교과가 사회(25.7%), 과학(25.7%), 도덕(21.1%)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도덕과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환경관련 수업의 형태는 토론식 및 강의식 수업형태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윤리교육과 관련한 연수현황은 학급수가 적은 학교의 교사일수록 상대적으로 교사의 연수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73.7%) 환경연수에 대하여 대체적으로 유익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75.1%) 연수 후 아쉬운 점으로 연수 자료 내용의 미흡함과 강의 위주의 교육을 아쉽게 생각했다.(72.2%) 이는 초등교사를 위한 환경윤리교육을 위한 구체적인 자료가 없고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연수 프로그램이 마련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4) 환경윤리교육의 문제점은 대부분이 환경윤리교육에 필요한 교육자료가 보통이거나 부족하다고 지적하고 있으며(96.5%) 향후 교육과정 개편시 환경윤리 교육 방법에 대해 전 교과 확산지도, 독립과목 설치, 현행처럼 특정교과시행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환경윤리교육에 대한 이해가 아직은 부족한 것으로 보이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해서는 모두 인식하고 있다. 환경윤리교육은 대부분의 교사들이 사회, 과학, 도덕 순으로 생각하고 있어서 환경윤리교육을 위한 도덕과 교육 과정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기 때문에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환경윤리교육 세미나,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이 시급한 것으로 보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제시한다. 1) 춘천시 초등학교 현장에서 근무하는 교사들은 환경윤리교육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한다고 믿고 있으며 초등학교 아동에게도 환경윤리의식 함양을 위한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 초등교사의 환경윤리에 대한 연수나 세미나가 이루어져야겠다. 2) 환경윤리교육은 가치관에 관련된 만큼 도덕과에서 주로 다루어야 하며 효율화를 위해 도덕과 교육과정을 체험학습 및 현장학습 위주로 이루어져야겠다. 3) 환경오염에 대해 심각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특히, 소양강댐의 지류에 있는 지리적 특성 때문에 수질오염 및 토양오염에 관심이 많고 오염원과 실태, 합리적인 해결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 및 해결 방안의 연구가 필요하다. 4) 환경윤리교육의 수업형태는 토론식과 강의식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러한 환경윤리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다양한 수업 형태를 개발 할 필요가 있다. 5) 환경윤리교육이 전체적으로 보통이거나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응답의 이유로 학습자료의 부족을 크게 들고 있으며 학교의 규모가 클수록 어려움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환경윤리교육에 대한 관심은 많으나 실제적으로 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초등학생들이 관심을 가지고 재미있게 참여할 수 있는 실천을 위주로 하는 흥미로운 환경윤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6) 현재의 환경관련 연수는 주로 환경담당자 위주로 학교의 규모와 상관없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앞으로는 연수종류에 환경연수 과목을 넣어 교사들의 환경연수 활동이 자발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유도해야겠다. This study is on propriety relation after choosing in the literature of environmental ethical view brought in ecological crisis, and on investigating the environmental ethics by the view of 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So investigator examines ethical approach method abou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finds out the present environmental ethical problem for the renewal of the environmental ethical view, analyses questions about environment. Also does environmental ethical view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Chuncheon and presents the direction of environmental ethics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 have to hold and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ethical education. For thes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Chuncheon were made up questions, 181 of 200 were withdrawn and 175 of those questions were analysed. It follows. 1) The teachers have no high level of ethical idea and knowledge of terminology (22.0%). They get the informations about environment through newspapers or TV(76.4%). They think they teach environmental ethical education well above the average(67.6%). Teaching with home is done 1 or 2 per 1 year through formal assignment like report, home correspondence, journals(93.9%). The smaller class goes the more field trip(87.6%). 2) Entirely, they think the environmental problem seriously(90.2%), especially the water pollution to old ages(71.8%), the air and soil pollution to young ages. This result shows an influence due to Chunchoen's geographical environment as a important waterworks, Dam or So-yang River. They think that environmental ethical education need (93.7%) and that the aim of environmental ethical education is a cultivation of environmental ethics(69.0%). But they respond environmental ethical education is not done well in real school. 3) The subject dealing with environment is social study(25.7%), science(25.7%), moral education(21.1%). It shows that the understanding about moral education's curriculum is lacking. The teaching method is a discussion or a lecture. The smaller school's teacher is, the more training about environmental ethical education they get(73.7%). Generally teachers think those training are good for them(75.1%). Inconvenience things after training is the lack of materials' contents and lecture education(72.2%). This show there is few real materials for the environmental ethical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that can help them. 4) They point out that the problem of environmental ethical education is insufficient education material(96.5%) and that environmental ethical education has to be taught in the whole subjects, to be as self-supporting subject, in the specific subject as now it is when the next curriculum reorganizes. As these results, teacher is lacking of understanding about environmental ethical education but they know its need and importance. They need to understand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for environmental ethical education because they think environmental ethical education is concerned with social study, science, moral education. Seminar, training program's development need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1) The teachers in Chuncheon think the environmental ethical education has to be done quickly, so training or seminar about environmental ethics has to be done for the teachers. 2) Moral education has to carry on the environmental ethical education because of dealing with a view of value and moral education curriculum has to consist of field trip. 3) The teacher think that the environment pollution is very serious, especially they are interested in water and soil pollution owing to ecological characteristic of Dam of So-yang River and it needs a study of specific materials and solving problem about a cause of pollution and the reality and reasonable problem solving method. 4) As the teaching method, they prefer a discussion or a lecture. But other teaching methods need to be developed for the right environmental ethical education. 5) The teacher think why environmental ethical education is not done well is lack of teaching materials. The bigger school is, the more lack it has. They get many concerns about environmental ethical education, but it is not really done. So the environmental ethical education program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 could be interested in and could take part in with more fun and could learn by doing needs to be developed. 6) The present training about environment is usually done by an environmental supervisor no matter school's scale. So, from now on, teacher's training has to be done spontaneously by installation the training of environment as a subject.

      • 교장선출보직제 시행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연구

        송태영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교장선출보직제 시행안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을 토대로 선출보직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검토, 분석하여 교장선출보직제가 실현, 정착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런 목적 하에 본 연구에서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장의 역할 및 교장 임용제도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하며, 이러한 인식은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교장선출보직제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하며, 이러한 인식은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셋째, 교장선출보직제 시행시 예상되는 효과와 문제점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이상의 연구 문제를 규명하기 위하여 강원도와 경기도 공립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440부 배부하여 418부를 회수하였으며 그 중 성실하지 못한 33부를 제외한 385부를 연구 분석의 자료로 삼았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설문 문항별로 근무지역별, 직위별, 경력별, 교원단체별, 학교소재별, 학교규모별로 응답빈도와 백분율을 제시하고 x^(2)검증을 통해 집단간의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결과에 대한 해석은 문항별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분석 결과를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1. 교장의 역할 및 교장 임용제도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교장의 역할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전체적으로 교육환경을 확보하는 일 59.2%, 인화를 도모하는 일 25.7%, 지역사회, 학교의 현안문제를 자율적으로 해결하는 일 14.0%, 교육행정에 충실한 학교운영을 하는 일 1.0% 순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교장 임용 제도의 개선점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연공서열에 의한 교장 승진 구조의 탈피에 60.2%, 교장 자격연수의 내용 및 과정 심화에 18.5%, 교장을 공개경쟁에 의한 공모 선발제 도입 12.0%, 대학원 중심의 교장양성체제의 구축 9.4%, 순으로 응답하였다. 교장직 임용제도의 개선방안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교장선출보직제를 63.6%, 현행 교장 임기제 유지를 24.6%, 교장 초빙제(공모제)를 11.8% 순으로 응답하였다. 지역별로 교장선출보직제에 대해 강원도 교사는 55.4%가 응답한 것에 비해 경기도 교사는 72.0%가 응답해 더 선호하는 것을 보여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교장선출보직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교장선출보직제 도입의 필요성에 대해 적극 찬성 34.9%, 조금 찬성 47.1%로 나타나 대부분의 교사가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장선출보직제에 대한 인식정도는 잘 모른다 45.1%, 대체로 안다 43.0%, 전혀 모른다 6.8%, 매우 잘 안다 5.2% 순으로 응답하였고, 부장 교사와 전교조 교사가 교장선출보직제에 대해 더 잘 알고 있었다. 교장선출보직제 도입 시기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시범 단계를 거쳐 3년안에 53.5%, 도입은 하되 5년 뒤에가 34.0%, 선규 교사부터 적용이 7.5%, 1-2년 안에가 4.9% 순으로 응답하였다. 교장선출보직제 도입 형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시범학교 운영 후 도입이 58.1%, 일정 비율 도입에 20.3%, 전체학교 도입에 14.1%, 잘 모름 7.6% 순으로 응답하였다. 기존 기득권자의 구제 조치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승진 점수 100%를 확보한 교감, 장학사에 한해서만 일정한 유예기간 내에서 교장 승진을 보장함에 41.3%, 별도의 특별한 기득권이 인정되어서는 안 되며, 교장 선거에 입후보해서 공정하게 경쟁을 해야 한다 37.1%, 교감 교장으로 복귀할 수 없음을 전제로 일정한 전형을 거쳐 교육행정직을 전직할 수 있게 함 14.3%, 경제적으로 보상을 해준다 3.6%, 기타 의견 3.6% 순으로 응답하였고, 교사 배경별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선출보직 교장의 선택 기준은 교육활동에 애정과 관심이 많은 교사가 35.6%, 학교를 민주적으로 운영할 교사가 24.4%, 인격이 훌륭하여 신망이 있는 교사가 22.3%, 교육행정에 전문적인 식견이 있는 교사가 13.0%, 학교 발전에 전망이 뚜렷한 교사가 3.6%로 순으로 응답하였다. 교장 후보자의 자격요건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성공적인 교육실천 경험이나 사례가 41.0%, 교육행정 업무처리 능력이 40.4%, 교직경력이 10.4%, 사회봉사 경력이 4.7%, 연구 및 연수 경력이 3.4%, 대학원 학력이 0.5% 순으로 응답하였다. 교장 후보자 교직 경력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20년 이상이 61.0%, 15년 이상이 23.9%, 10년 이상이 11.7%, 5년 이상이 2.1%, 교직 경력이 없어도 좋다 1.3% 순으로 응답하였다. 보직 교장 선출 방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학교의 전체 교사들이 2명 선출하고 그 가운데 1명을 학교운영위원회에서 최종 선임하는 방안을 28.6%, 학교운영위원회에서 2명 선출하고 전체 교사들이 최종 선임하는 방안이 27.6%, 자기 연찬 받은 모든 교사를 대상으로 교사, 학부모, 학교운영위원회, 주민 등이 선출하는 것이 26.0%, 지역 교육청에 교장 채용위원회를 구성해 모집 공고 후 서류심사 및 면접을 통해 선임하는 방안이 14.3%, 기타 의견 3.4% 순으로 응답하였다. 3. 교장선출보직제 시행시 예상되는 효과와 문제점 교장선출보직제 시행시 예상되는 효과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전체적으로 평균이 3.7719로, 교사들이 승진 경쟁에 힘을 쏟지 않고 가르치는 일에 더욱 전념할 것이고, 학교 조직이 민주적으로 운영될 것이며, 교육활동이나 학습 여건이 더 향상될 것이고, 부정과 비리가 줄어들 것이며, 대체로 효과가 높을 것으로 보여주고 있다. 교장선출보직제 시행시 예상되는 문제점으로 학연과 지연 등의 파벌 조장과 부조리, 소신껏 운영되지 못하는 학교 운영, 교사들 간의 위계가 없어지고, 승진 경쟁이 없어 자기 향상이나 발전을 위한 노력이 저하되는 점, 교육부나 교육청의 교육 시책이 학교 현장에 구현되기 어려울 것이라는 것에 대해 교사들의 인식은 전체적으로 평균이 2.8551로 대체로 문제가 적을 것으로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examined problems and improvement of principal election system based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enforcement draft of principal election system, and it suggested the directions to implement and settle the system. The study adopted research subjects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as follows: Firstly, what did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ink about roles and appointment system of principals? Was the teachers' perception different depending upon background variables of the teachers? Secondly, what did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ink about principal election system? Was the perception different depending upon background variables of the teachers? Thirdly, what did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ink about the effects and problems at enforcement of principal election system? To closely examine the above research problems, total 440 copies of questionnaires were given out to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Kangwon-do and Kyunggi-do, and 418 copies of them were collected, and 385 copies of them except 33 copies unfaithfully answering the question items were used as the data of this study. The SPSS Win 10.0 program was used to give answer frequency as well as percentage of each item of the questionnaire depending upon service area, position, job career, teachers' organizations, location of schools, and scale of schools, etc, and to investigate difference between groups by using x^(2) verification. The findings were interpreted depending upon each item. 1.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About Roles of Principals as well as Principal Appointment System The teachers thought much of roles of the principals in order of overall acquisition of educational environment (59.2%), harmony among men (25.7%), self-solving of pending problems of schools (14.0%) and school management in accordance with educational administration (1.0%), etc. The teachers thought much of principal appointment system of Korea in order of being free from principal promotion based on the seniority rule (60.2%), the contents and processes of principal qualification training (18.5%), the introduction of public recruitment by competition (12.0%) and the construction of principal training system based on graduate schools (9.4%), etc. The teachers thought much of the improvement of principal appointment system in order of principal election system (63.6%), maintenance of current term of office of principals (24.6%) and invitation system of principals (11.8%), etc. 55.4% of the teachers in Kangwon-do and 72.0% of the ones in Kyunggi-do preferred principal election system respectively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 2.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About Principal Election System Most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greed to the introduction of principal election system: In other words, 34.9% of the teachers agreed to the introduction very much actively, and 47.1% of them did a little. The teachers did not know principal election system (45.1%), and largely knew it (43.0%), and did not know it at all (6.8%) and knew it very well (5.2%). Both teachers in charge of department and teachers being member of the Korean Teachers and Education Workers' Union knew the system better than others did. The teachers thought of introduction time of principal election system in order of three years or less after showing an example (53.5%), five years later (34.0%), firstly applying the system to newly recruited teachers (7.5%) and within one to two years (4.9%), etc. The teachers thought of introduction type of principal election system in order of introduction of the system after managing model school (58.1%), introduction of the system at specific ratio (20.3%), introduction of the system to all of the schools (14.1%) and having no information (7.6%), etc. The teachers thought of qualification of principal candidates in order of successful experience and cases of educational practice (41.0%), educational administration ability (40.4%), job experience of teachers (10.4%), social service experience (4.7%), research and training experience (3.4%) and academic background of graduate schools (0.5%), etc. The teachers thought of job experience of teachers of principal candidates in order of 20-years or more (61.0%), 15-years or more (23.9%), 10-years or more (11.7%), 5-years or more (2.1%) and no job experience of teachers (1.3%), etc. The teachers thought of election methods of principals in order of two candidates elected by all of the teachers of a school between whom steering committee of a school finally elected a principal (28.6%), two candidates elected by steering committee of a school between whom all of the teachers finally elected a principal (27.6%), Teachers, students' parents, steering committee of a school and residents, etc should elect a principal among all of the teachers who studied by themselves (26.0%), the Office of Education at each city should establish the committee of recruitment of principals to publicly announce recruitment of a principal and to elect by documents inspection and interview (14.3%), and other opinions (3.4%), etc. 3. Effects and Problems at Enforcement of Principal Election System When the principal election system was in force, overall average of teachers' perception on the effects accounted for 3.7719: Therefore, teachers were likely not to spend energy to promote but to devote them to teaching, and they were expected to manage school organizations in democratic way and to improve educational activities and learning conditions and to reduce injustice as well as irrationality and to raise effects largely. When the principal election system was in force, problems might occur: For instance, rivalry between factions and irrationality caused by academic clique and territory, school management that could not be managed at will, teachers' less efforts for self-improvement and development because of no grade of rank between teachers and no competition for promotion, and difficulties at applying educational policie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Office of Education to each school. At enforcement of the principal election system, overall average of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problems accounted for 2.8551 to largely have less problems.

      • 예비교사의 정보통신기술(ICT) 활용 능력에 관한 실태 분석

        허재란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예비 교사들이 학교 현장에 나가서도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라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교수·학습 및 행정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정보통신기술역량을 진단하고 대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의 정보통신기술 활용 교육에 대한 관심도는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예비교사의 정보통신기술 활용 교육에 대한 인식은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셋째, 예비교사의 정보통신기술 활용 능력 수준은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하여 춘천교육대학교 4학년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으며, 153부의 유효한 분석 자료를 얻었다. 측정도구는 예비교사의 정보통신기술 능력에 대한 기초 항목과 관련된 12개 문항과 6개의 영역으로 구성된 정보통신기술 활용능력 측정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프로그램(Ver 15.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문제 해결을 위해 평균점수와 표준편차를 기본적으로 사용하였고, 예비 교사의 ICT 활용교육에 대한 관심도 및 인식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예비교사의 정보통신기술 활용 능력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t-검증과 F-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사후 검증으로 Scheffé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얻어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ICT활용 교육에 대한 관심도를 분석한 결과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ICT 활용 교육에 관심이 높았다. 예비교사의 컴퓨터 사용시간과 자격증 유무에 따른 분석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재학 중에 ICT활용 수업 경험에서는 긍정적 응답(42.5%)이 부정적 응답(28.1%)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ICT활용 수업방법이나 수업모형에 대해서는 잘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ICT활용 교육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대학에서 배운 컴퓨터강좌가 ICT역량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는 학생들이 더 높게 나타났으나, 강좌 내용은 ICT활용 교육에 충분하지 않다는 인식이 더 높았다. 예비교사들은 교육과정에서의 ICT활용이 교수·학습 개선에 기여할 것이며, 전통적 수업보다 효과적이며, 교사가 된 후에도 ICT를 활용할 것이라는 인식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대부분의 학생들이 수업도우미 사이트가 ICT활용 수업에 유용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예비 교사의 ICT활용 능력수준을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행정정보 영역을 제외한 다른 5개 영역 즉, ICT활용교육 영역, ICT소양교육 영역, 일반업무 영역, 학습자료 준비 및 평가영역, 정보윤리·보안영역에 대해 남자들의 ICT활용 능력이 여자들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높게 나타났다. ICT활용 능력수준을 행정정보 영역, ICT활용교육 영역, ICT소양교육 영역, 일반업무 영역, 학습자료 준비 및 평가영역, 정보윤리·보안영역의 6개 영역간의 비교·분석한 결과로는 예비교사들은 일반업무 영역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행정정보 영역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예비교사를 위한 ICT활용에 대한 교육이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예비교사의 ICT활용에 대한 교원양성기관의 교육 및 교육과정이 필요하고, 예비교사에게 필요한 ICT 핵심역량에 대한 연구 및 예비교사의 ICT활용 능력 개선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 UCC 동영상 제작을 통한 시각문화 미술교육 지도방안 연구 : 초등학교 6학년을 중심으로

        조영우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63

        미술교육은 학습자의 일상적인 미적체험 또는 문화적 경험에 기반을 두고 이루어진다. 현재의 그러한 경험의 중심을 이루는 시각문화-TV, 영화, 인터넷, 광고, 만화, 놀이동산 등-에 담겨있는 사회적인 의미를 읽고 이해하고 비판하고 활용하는 방법이 미술교육과정에 포함되어야 한다. 프리드먼(Freedman, 2000, 2003)은 포스트 모더니즘이 교육과 미술이론에 미친 변화에 대해 시각문화는 제도적 혹은 비제도적 미술교육 안에서 다루어야하는 근거가 된다고 주장하면서 학습자의 비판적, 반성적, 사고와 작품에 대한 비평의 중요성을 지적하였다. 최근 시각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과 관련 미술교육 학계의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학교현장에서 시각문화의 효과적인 수용을 위한 교육 활동이 실행되고 있다. 현대미술에서는 사진, 포토샵,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표현 활동을 볼 수 있고, 최근학생들은 디지털카메라와, 핸드폰 카메라, 컴퓨터 주변 기기, 프로그램 등을 쉽게 접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그것들을 활용한 시각문화의 동영상제작에 관한 교육학습활동들이 교육과정에서 다뤄지는 것이 필요하다. 기존의 표현과 감상에 머물렀던 방식에서 다소 벗어나 UCC동영상 제작이라는 표현방법을 활용하여 보다 능동적인 표현방법으로 변화무쌍하고 다양한 시각문화의 이해와 수용으로 미술활동의 폭을 확장하는 학습내용과 방법이 재구성 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UCC동영상 제작을 활용한 학습이 아동들의 시각문화 수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어떠한 효과를 거둘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의 내용에 앞서 오늘날 시각문화의 특징과 UCC를 활용한 미술교육의 의의를 알아보았고, 연구 내용으로 6학년 아동이 성취 가능한 수업목표를 설정하고, 아동 스스로 구안한 수업 총 8차시에 걸쳐 학교생활, 학교 폭력, 인성교육 등의 UCC동영상을 제작하였다. 아울러 제작한 작품을 학교 홈페이지에 업로드하여 서로 작품을 평가하고 반성하는 활동을 통해 자기주도적 표현능력을 향상시키는 경험을 갖도록 하였고, 마지막으로 수업연구 후의 설문 분석과 댓글 분석과 작품 관찰법을 통하여 학생들의 시각문화에 대한 이해와 태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 현상들을 보다 미적, 질적으로 향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UCC동영상을 활용한 학습이 아동들에게 새로운 시각의 사회문화적 환경에 관련된 지식과 경험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이용할 수 있는 영상 정보의 홍수 속에서 살고 있는 아동들에게 시각문화를 올바르게 이해시키고 미적 감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둘째, 시각매체를 의미 있게 활용하고 창의적으로 제작하는 과정을 경험해 봄으로써 학생들은 시각언어에 대한 이해와 사고의 폭이 확장되고 시각적 이미지를 선별·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함양된다. 셋째, 새로운 매체를 통해 아동의 학습 흥미와 새로운 조형 표현능력을 기른다. UCC 제작의 기획, 구성, 촬영, 편집 등 다양한 제작과정의 표현 경험을 통해 큰 그림의 관점에서 종합적인 조형표현능력을 기를 수 있다. 아울러 주제 정하기, 시나리오 짜기, 컴퓨터 사용 등을 통해 자기주도적 학습 활동에 관심과 흥미를 갖게 하고, 새롭게 보는 시각을 길러주는 종합적 사고를 기를 수 있다. 넷째, 간 학문적 활동으로 통합적 사고 능력을 기를 수 있다. 주제 정하기에 따른 타 교과와의 관련에 따른 문제 해결을 위한 종합적 사고능력과 통섭(通涉)과 융합(融合)의 과정 속에서 경험하게 하고, 이러한 과정 속에서 큰 그림을 보는 통합적 통찰력의 능력을 기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자료들을 바탕으로 시각문화교육과 시각적 문해력 향상에 대한 수업이 학교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수업 방법에 대한 후속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