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서울시 일부 학부모의 나트륨 관련 영양지식, 식행동 및 미취학 자녀의 식행동과의 관련성

        김예슬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arents' food behavior and knowledge on salty taste and its relationship to their preschool children's food behaviors. Subjects were mothers with preschoolers living in Nowon-gu, Seoul. The survey questionnaire was about mothers' salty test, salt-related nutrition knowledge and salt-related eating behavior of both mothers and preschool children. Survey was conducted by self-report after getting permission from mothers. After excluding incomplete response, data of 61 mothers and their children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by SPSS program(ver. 20). Preschoolers were 2~5 years old and their motjers 30~42 years old. Maternal occupation was almost house wife. Mothers' salty test result showed that most mothers preferred bean sprout soup with a 0.31% concentration of sodium chloride. Mothers' salt-related knowledge scores were mean 7.04 of total score 10. The question with highest percentage of correct answer was ‘exess intake of salt can cause hypertension, osteoporosis, stomach cancer and so on’(96.7%), while that with lowest percentage(29.5%) was ‘What is the recommended amount of salt intake by WHO?’ The frequency of eating out with family was 55.7% in 1~3 times a month. The food type of eating out was mainly Korean food. Frequency of eating delivery foods was 45.9% in 1~2 times a month. Comparison of eating behavior score between mother and their preschoolers showed that mothers' score was lower than their preschoolers' one, which means that preschoolers' eating behavior were better than their mothers. However since a lot of eating behavior reveale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others and their preschoolers, preschoolers' eating behavior was greatly influenced by their mothers. Salty foods with high preference and intake frequency by mothers and preschoolers were ‘salted dry fish, stock fish’ and ‘soup, stew, noodle soup’. In addition, there are strong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reference and intake frequency on most of salty foods. Ramen soup intake was significant difference(p<0.001) between the two groups. Preschoolers eat less ramen soup compared to their mothers. The snacks of both mothers and their preschoolers were fruits. When preschoolers were divid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their mothers' salt-related nutrition knowledge, high score mothers' preschoolers were highest in eating behavior. High score mothers' preschoolers have low intake frequency of salty foods. Overall results showed that preschoolers' dietary behavior was better than mothers' one. However preschoolers' dietary behavior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ir mothers. Therefore mothers should have an appropriate eating behavior for their children. In addition, proper nutrition education is needed to preschoolers' mothers.

      • Endosperm development and seed viability in Arabidopsis and xBrassicoraphanus

        김예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terspecific or intergeneric hybridization provides a crucial source of evolution in nature. However, such evolutionary driving forces are prevented by hybridization barriers, among which postzygotic barriers involve hybrid inviability such as abnormal embryo/endosperm development and hybrid sterility. xBrassicoraphanus, a newly synthesized hybrid between a chinese cabbage (Brassica rapa) and a radish (Raphanus sativus), displays seed abortion which is a common type of postzygotic barriers. To examine developmental defects in the hybrid, we examined seed development of xBrassicoraphanus and several Arabidopsis mutants defective in endosperm development, medea (mea), demeter (dme), a-type cyclin dependent kinase (cdka;1), and f-box-like 17 (fbl17). The histological analysis of xBassicoraphanus seeds revealed that a newly synthesized hybrid was successfully fertilized but exhibited an endosperm cellularization failure which is similar to endosperm defects in Arabidopsis mutants dme and mea. In order to overcome seed inviability caused by abnormal endosperm, we performed the in vitro culture of embryos surrounded by aberrant endosperm and successfully rescued viable plantlets. This work suggests that a developmental defect of endosperm may contribute to the postzygotic hybridization barrier to prevent a cross between unrelated species. 자연계에서는 종간이나 속간 교잡을 통해 종의 합성이 이루어지고 진화적으로 다양한 종이 분화되어왔다. 하지만 종·속간 교잡시 교배 장벽이 존재하여 새로운 교잡종이 합성되기 어려운데, 교배 장벽 중 수정 후 교배 장벽(postzygotic hybridization barrier)은 수정 후 배유나 배의 발달에 문제가 있어 교잡체 자체가 죽거나, 만들어진 교잡체가 불임인 경우를 말한다. 배추(Brassica rapa)와 무(Raphanus sativus)의 교잡종으로 새로 합성된 배무채(xBrassicoraphanus)는 수정 후 교배 장벽의 흔한 현상인 종자의 치사를 보인다. 신배무채 종자의 배유에서 발달적 결함을 찾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배유 발달에 결함이 있는 애기장대 DME, MEA, CDKA;1, FBL17의 돌연변이체 종자와 신 배무채의 표현형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신배무채의 배유는 성공적으로 수정은 되나 세포화(cellularization) 과정에 문제가 있는 애기장대 DME와 MEA 돌연변이체의 배유와 비슷한 표현형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비정상적 배유 발달로 인한 종자 치사를 극복하기 위해, 본 실험에서는 비정상적 배유를 가진 종자를 기내배양(in vitro culture)하여 정상적인 식물체로 발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유전적으로 거리가 먼 종들 사이에서 나타나는 수정 후 교배 장벽이 극복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 영향요인 분석

        김예슬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회와 경제의 급속한 성장은 국민 생활 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건강에 대한 요구의 증가와 인식의 변화를 불러왔다. 또한, 질병 양상의 변화는 건강에 대한 문제를 단순히 질병 예방과 치료의 차원을 넘어 건강 습관 및 생활양식을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개선·전환하고 이를 이행하기 위한 개인의 노력과 사회적 여건 조성 및 제도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또한, 건강을 증진시키고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건강증진행위의 실천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건강증진을 위한 생활방식으로서의 건강습관을 확고히 형성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질병에 대한 이환율이 높고, 기본적인 건강상태가 양호하며, 어느 정도 자아의식이 확립된 청년기가 바람직하다. 일생 중 청년기에 있는 대학생들은 모든 면에서 건강한 시기이지만 건강증진행위를 방해하거나 건강을 위해하는 행위를 하게 만드는 여러 환경에 쉽게 노출되는 시기이기도 하다. 특히 이 시기에는 자신의 건강을 과신하는 경향이 강하고 건강증진행위 자체에 관한 관심이 부족하기 때문에 청년기 이후의 중·장년 시기에 여러 건강문제를 초래할 가능성이 크고 삶의 질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5개의 종합대학과 1개의 전문대학의 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자가 기입식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가에 대해 분석하였다.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관련 변인들의 영향력 분석결과, 운동, 신체적 건강상태, 사회적 지지, 건강에 대한 지식·정보 습득 노력 정도, 식생활, 위생관리가 건강증진행위에 상호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건강증진행위를 44.8% 설명하였다. 대학생의 전반적인 건강증진행위 수행 정도는 보통수준으로써, 이를 활성화할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며, 대학생 시기에 확립된 건강 습관은 성인 이후부터 평생의 건강관리에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건강한 삶의 근원이 되므로 이 시기의 건강한 생활 습관의 확립과 건강증진행위의 수행은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 수행 정도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정책·제도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rapid growth of society and economy has led to an increase in the demand for health and a change in the perception of health, as well as the improvement of people's standard of living. In addition, the change in the pattern of disease calls for improvement and conversion of health problems beyond the level of disease prevention and treatment to the direction that can improve health habits and lifestyles, and the creation of individual efforts and social conditions and institutional changes to implement them. In addition, in order to improve and maintain health, continuous practice of health promotion must precede. In order to firmly form a health habit for health promotion, it is desirable to have a high return rate of disease, good basic health condition, and some degree of self-consciousness. College students are healthy in all respects, but they are also easily exposed to a number of environments that hinder health promotion or cause them to engage in health-threatening behaviors. Especially during this period, there is a strong tendency to overconfidence in one's health and a lack of interest in health promotion activities, which is likely to cause various health problems in middle-aged and old-age years, and there is a possibility of a negative impact on the quality of lif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300 university students who attending a university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ir health promotion behavior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we analyze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An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relevant variables on health promotion activities showed that exercise, physical health condition, social support, level of efforts to acquire knowledge and information on health, diet and hygiene management are mutually related to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44.8% of health promotion activities were explained. Since the overall level of health promotion activities of college students is average, measures are needed to activate them. The establishment of healthy living habits and the performance of health promotion activities during this period are very important, as established health habits in college years affect lifelong health care and become a source of healthy life. To this end, it is hoped that it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policies and systems for college students' health promotion behaviors by identifying the degree of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the factors that affect them.

      • 외상 유형에 따른 PTSD 증상, 시간관 및 자기개념과 타인개념에서의 차이

        김예슬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ype II 외상으로 나타나는 증상 중 일부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의 DSM-5 진단기준으로 설명되지 않는데, 이는 Type I 외상과 Type II 외상이 각각 다른 심리적 증상을 야기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를 파악하기 위해 외상 유형 간 PTSD 증상, 시간관, 자기개념 및 타인개념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였다. 138명의 대학생 및 대학원생에게 수정된 생활사건 리스트와 사건 충격 척도, 미래 시간 조망 설문지를 실시하였으며, e-prime 소프트웨어를 통해 정서 스트룹 과제를 진행하였다. 극단치 및 외상유형이 분류되지 않은 36명의 데이터를 제외하고 102명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PTSD 증상과 시간관, 자기 및 타인개념이 외상 유형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단일 외상집단보다 비대인 반복외상 집단에서, 단일 외상집단보다 다중 외상집단에서 PTSD 증상 수준이 유의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단일 외상집단보다 다중 외상집단에서 과거에 대해 더 많은 빈도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와 관련된 부정적 단어가 2초 제시되는 조건에서 반응시간이 더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중 외상집단이 단일 외상집단보다 자신에 대해 더 부정적인 개념을 갖고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른 치료적 함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art of PTSD symptoms caused by type II trauma cannot be explained by criteria of DSM-5. This suggests that type I and type II trauma may cause different PTSD symptoms. In particular, we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would be a differences of PTSD symptom, time perspectives, self-concept and others concept between trauma types. A total of 138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Life Events Chechlist(LEC), Impact of the Event Scale-Revised(IES-R), Future Time Perspective(FTP), and to take emotional stroop task through E-prime software. To identify difference of PTSD symptoms and the variables contributing to PTSD symptoms and concept of self and others' depending on trauma type, we took repeated measure AN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PTSD symptom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multiple trauma group and multiple group than single trauma group. Secondly, multiple trauma group think more about past than single trauma group. Finally, reaction time was longer in the condition that the negative word related to 'self' was presented for 2 seconds in the multiple trauma group than the single trauma group. This suggests that the multiple trauma group has a more negative concept of self than the single trauma group. Finally, the therapeutic implications and limitation of study were discussed.

      • 간호사의 투약오류보고 의도 관련요인

        김예슬 가천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금까지 국내에는 간호사의 투약오류보고 의도 관한 내용이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는 투약오류보고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행된 기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3개월 이상의 경력간호사 중 경기도 및 인천에 위치한 종합병원에서 투약업무를 하는 병동 간호사 24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7년 4월 1일부터 2017년 5월 8일까지 진행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version 23.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투약오류보고 의도는 평균 5.20(±0.76)점으로 ‘그렇다’ 이상 이었다. 투약오류보고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간호사태도가 긍정적이고(β=.421, p=<.001), 보고통제가 높을수록(β=.135, p=.042) 투약오류보고의도가 높을 것으로 나타났으며, 투약오류보고 의도를 설명하는 설명력은 42.1%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투약오류보고 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첫째, 투약오류보고가 현재상황의 변화를 초래하지 못할 것이라는 간호사태도를 변화시켜야 한다. 그러므로 반복적인 투약오류 발생에 기여하는 업무절차의 변화와 투약오류가 반복되지 않도록 간호 근무환경개선 등에 기여할 수 있는 투약오류보고 체계에 대한 구축이 필요하다. 둘째, 익명성, 편리성과 접근성이 높은 투약오류보고 체계를 구축함과 동시에 투약오류보고의 지식, 능력을 향상시키는 교육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 가수분해된 유채박 추출물을 첨가한 샐러드드레싱의 품질평가에 관한 연구

        김예슬 대구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채박(rapeseed cake)의 80 % 에탄올 추출물을 H2O, 30 % ethanol과 50 % ethanol로 용매 분획하여 모은 후 4 M NaOH 용액으로 가수분해하여 분해물을 얻은 후 가수분해 전과 후의 항산화 및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마요네즈에 레몬, 양파와 벌꿀을 첨가하여 샐러드드레싱을 제조한 후 가수분해 추출물을 100 ppm, 250 ppm, 500 ppm의 농도별로 첨가하고 대조군과 (+)-catechin 100 ppm 첨가 드레싱을 만들어 8주간 냉장 저장하면서 물리/화학적 특성과 미생물학적 안정성, 유화 안정성(emulsion stability) 및 산화안정성(oxidation stability)에 관한 품질을 평가하였다. 유채박의 80 % 에탄올추출물과 가수분해된 추출물의 total phenolic content(TPC)는 각각 41.82 mg SAE/g와 519.68 mg SAE/g으로 가수분해 후 12.4 배 증가하였으며(p< .05), sinapic acid 함량은 각각 4.69 mg/g와 425.80 mg/g로서 약 90.8 배 증가하였다(p< .05). DPPH radical 소거능(%)으로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을 동일한 농도인 100 ppm에서 측정한 결과, 가수분해 추출물은 80 % 에탄올 추출물보다 유의적으로 3 배 이상 높고(p< .05), 표준물질인 (+)-catechin과 sinapic acid와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게 나타났다(p> .05). 추출물들의 항균효과는 Disc Agar Diffusion법과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최소저해농도) 방법으로 gram(+)균 3 종(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Bacillus subtilis), gram(-)균 2 종(Escherichia coli, Escherichia coli O157:H7), yeast 1 종(Candida albicans)의 총 6 가지 균주에 대해 측정하였다. 가수분해 추출물은 모든 균주에서 저해환(inhibitory zone)을 형성한 반면 유채박추출물은 모든 균주에 대해 저해환이 형성되지 않았다. 가수분해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형성되는 저해환의 크기가 유의적으로 넓고, 동일한 농도에서 균주별로 유의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p< .05). 가수분해된 추출물의 각 균주에 대한 최소저해농도는 Listeria monocytogenes에 대해 2 mg/mL, Staphylococcus aureus와 Candida albicans에는 4 mg/mL, Bacillus subtilis에는 8 mg/mL, Escherichia coli와 Escherichia coli O157:H7에는 128 mg/mL 로 측정되었다. 샐러드드레싱의 주요 지방산은 linoleic acid(53.73 %), oleic acid(21.01 %), palmitic acid(10.55 %), α-linoleic acid(6.97 %)와 stearic acid(4.58 %)이었으며 총 불포화지방산함량은 83 %로 분석되었다. 저장기간 동안의 샐러드드레싱의 미생물 총균수를 측정한 결과, 대조군보다 추출물이 첨가된 드레싱의 총균수가 낮고, 가수분해된 추출물의 첨가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총균수가 낮게 조사되어, 가수분해된 유채박 추출물의 미생물 생육 억제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샐러드드레싱의 점도를 측정한 결과, 저장기간 동안 첨가된 가수분해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점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 .05). 드레싱의 유화안정성을 나타내는 원심분리후의 분리율(gram%)는 제조당일 각 군들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p> .05), 저장기간 2~3주차에는 분리율이 크게 증가하였고, 그 후로는 유지되었다가 8 주차에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대조군 드레싱의 분리율은 첨가군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p< .05), 가수분해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분리율이 낮게 나타났다. 샐러드드레싱의 산화안정성은 산가(AV), 과산화물가(POV), 2-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value(TBARS) value으로 분석하였다. AV는 제조 후 1 주 동안 대조군과 첨가군들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p> .05), 저장기간이 길수록 급격히 증가하여 대조군의 AV는 가수분해 추출물 첨가군들보다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p< .05), 가수분해물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AV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드레싱의 POV는 저장기간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 .001), 가수분해된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낮은 POV를 나타내었다(p< .001). 드레싱의 제조당일 POV는 1.71~1.93, 1 주차에는 1.77~1.97이었고, 2 주후부터는 급격히 증가하여 6주에는 가장 높은 5.76~6.52의 값을 보였으나 그 후로는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드레싱의 TBARS value는 POV와 유사한 패턴을 보였으며 제조 당일과 1 주차를 제외한 모든 주차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 .001). 저장기간 8 주차에는 대조군의 TBARS value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p< .05), 가수분해된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 유채박추출물을 가수분해한 추출물은 sinapic acid의 함량이 높고 항산화 및 항균효과가 우수하였으며, 이 추출물을 샐러드드레싱에 첨가하였을 때, 미생물학적으로 안정되고 산화 및 유화안정성이 증가된 것으로 조사되어 앞으로 식품의 저장중의 품질관리를 위해 첨가물질로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80% ethanol extract of rapeseed cake was fractionated by H2O, 30 % ethanol and 50 % ethanol, and then the three combined fractions were hydrolyzed with 4 M NaOH solution to produce hydrolyzed extract.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80 % ethanol extract and hydroyzed extract were compared. The hydrolyzed rapeseed cake extract(100, 250 and 500 ppm) was added into mayonnaise-based salad dressing, and the effect of hydrolyzed extract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lad dressing was investigated by assessment of physical, microbial, emulsion and oxidation stabilities during 8 weeks of storage. The antioxidative capacity of hydrolyzed extrac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80% ethanol extract since the hydrolyzed showed 12.4 times higher total phenolic content, and 3 times higher 1,1-diphenyl-2-picryl-hydrazil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capacity than 80% ethanol extract(p< .05). The sinapic acid conten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90.4 times in hydrolyzed extract than 80 % ethanol extract (p< .05), and confirmed highly conversation of sinapine into sinapic acid by HPLC analyzation.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hydrolyzed extract was remarkably higher than 80% ethanol extract against the selected gram positive bacteria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and Bacillus subtilis), gram negative bacteria (Escherichia coli O157:H7 and Escherichia coli), and yeast (Candida albicans) by conducting Disk Agar Diffusion method and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ethod. Otherwise, 80 % ethanol extract showed no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all the selected microorganisms. The major fatty acids of salad dressings were linoleic acid (53.73 %), oleic acid (21.01 %), palmitic acid (10.55 %), α-linoleic acid (6.97 %) and stearic acid (4.58 %).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lad dressing was increased by addition of hydrolyzed extract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during storage.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dressing added with hydrolyzed extract was better than control by showing the increased viscosity and decreased emulsion separation. The microbial stability was higher in salad dressing added with hydrolyzed extract than control by showing lower CFU, and the stability was increased by higher concentration from 100 ppm to 500 ppm. The hydrolyzed extract increased oxidative stability in salad dressing by delaying formation of hydroperoxide and production of secondary oxidative products, resulting in lowering acid value (AV), peroxide value (POV) and 2-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value than control, and the oxidative stability in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This study showed that the hydrolyzed extract from the alkaline hydrolysis of 80% ethanol extract increased the antioxidative and antimicrbial activities, and its addition in mayonnaise-based salad dressing increased physical, emulsion and oxidative stability on during 8 weeks of refrigeration storage. Therefore, the possible usage of this hydrolyzed rapeseed cake extract containing high sinapic acid content is expected in such emulsion food system as value added ingredient in the future.

      • 유아의 외로움과 부모 양육태도 및 부모 간 양육태도 일치도와의 관계

        김예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아의 외로움과 부모 양육태도 및 부모 간 양육태도 일치도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보고, 유아의 외로움과 부모 양육태도가 유아의 개인적 특성(성별, 연령, 형제 수)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유아의 외로움과 부모 양육태도 및 부모 간 양육태도 일치도와의 관계가 어떠한지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의 외로움과 부모 양육태도 및 부모 간 양육태도 일치도의 경향은 어떠한가? 1-1. 유아의 외로움의 경향은 어떠한가? 1-2. 부모 양육태도의 경향은 어떠한가? 1-3. 부모 간 양육태도 일치도의 경향은 어떠한가? 2. 유아의 외로움과 부모 양육태도는 유아의 개인적 특성(성별, 연령, 형제 수)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1. 유아의 외로움은 유아의 개인적 특성(성별, 연령, 형제 수)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2. 부모 양육태도는 유아의 개인적 특성(성별, 연령, 형제 수)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유아의 외로움과 부모 양육태도 및 부모 간 양육태도 일치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3-1. 유아의 외로움과 어머니 양육태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3-2. 유아의 외로움과 아버지 양육태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3-3. 유아의 외로움과 부모 간 양육태도 일치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경기, 인천, 대구지역에 위치한 사립 유치원 3곳에 재원 중인 만 4세 48명, 만 5세 55명 등 유아 총 103명과 그들의 어머니와 아버지 각각 10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유아의 외로움을 측정하기 위하여 Asher와 Wheeler(1985)의 초등학생용‘Loneliness and Social Dissatisfaction Questionnaire(LSDQ)’를 Cassidy와 Asher(1992)가 유아에 맞게 수정·보완한 도구를 이진희(2011)가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부모 양육태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Schaefer(1959)의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MBRI)’를 배문주(2005)가 번안한 설문지를 연구자가 다시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 최대값과 최소값,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t검정, 일원분산분석(ANOVA),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 4, 5세 유아들은 외로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와 아버지는 모두 자녀 양육에 있어서 거부적 태도보다 애정적 태도를 보이는 경향이 더 높았다. 한편 어머니는 애정적-자율적 태도를 보이는 경향이 가장 높았고, 아버지는 애정적-통제적 태도를 보이는 경향이 가장 높았다. 또한 부모 간 양육태도 일치도는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애정적-자율적 태도 유형에서 일치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개인적 특성(성별, 연령, 형제 수)에 따른 유아의 외로움을 알아본 결과, 유아의 형제 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형제 수가 2명 이상인 유아가 형제 수가 1명인 유아보다 외로움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 유아의 성별, 연령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유아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부모 양육태도를 알아본 결과, 유아의 연령에 따라 어머니의 거부적-자율적 태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만 5세 유아의 어머니가 만 4세 유아의 어머니보다 거부적-자율적 태도를 보이는 경향이 더 낮았다. 또한 유아의 형제 수의 경우, 유아의 형제 수에 따라 아버지의 애정적-자율적 태도와 거부적-통제적 태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외동인 유아의 아버지가 형제 수가 2명 이상인 유아의 아버지에 비해 애정적-자율적 태도를 보이는 경향이 높았으며, 형제 수가 1명 또는 2명 이상인 유아의 아버지가 외동인 유아의 아버지에 비해 거부적-통제적 태도를 보이는 경향이 높았다. 한편, 유아의 성별에 따라서는 어머니와 아버지 양육태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유아의 외로움과 부모 양육태도 및 부모 간 양육태도 일치도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 양육태도 중 애정적-자율적 태도에서 유아의 외로움과 유의한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즉 어머니가 애정적-자율적 태도를 가질수록 유아가 외로움을 적게 느꼈다. 한편 아버지 양육태도는 유아의 외로움과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유아의 외로움과 부모 간 양육태도 일치도 또한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a tendency of child's loneliness, parents' rearing attitude and the consistency of parents' rearing attitude; to examine differences in the child's loneliness and parents' rearing attitude based on the child's personal variables(e.g., child's gender, age, number of sibling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s loneliness and parents' rearing attitude, child's loneliness and the consistency of parents' rearing attitude. The research question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1. How is the general tendency of child's loneliness, parents' rearing attitude and the consistency of parents' rearing attitude? 1-1. How is the general tendency of child's loneliness? 1-2. How is the general tendency of parents' rearing attitude? 1-3. How is the general tendency of the consistency of parents' rearing attitude? 2.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child's loneliness and parents' rearing attitude according to the child's personal variables(e.g., child's gender, age, number of siblings)? 2-1.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child's loneliness according to the child's personal variables(e.g., child's gender, age, number of siblings)? 2-2.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parents' rearing attitude according to the child's personal variables(e.g., child's gender, age, number of siblings)? 3. How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s loneliness, parents' rearing attitude and the consistency of parents' rearing attitude? 3-1.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child's loneliness and mother's rearing attitude? 3-2.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child's loneliness and father's rearing attitude? 3-3.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child's loneliness and the consistency of parents' rearing attitude?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03 4, 5 year old children from three kindergartens located in Gyeong-gi, Incheon, Daegu, and their 103 pairs of mothers and fathers. In order to measure child's loneliness, Loneliness and Social Dissatisfaction Questionnaire(LSDQ) developed by Asher and Wheeler(1985), revised and modified by Cassidy and Asher(1992), adated by Jin Hee Lee(2011), was translated, revised and then used. In order to measure parents' rearing attitude,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MBRI) developed by Schaefer(1959), used by Moon Ju Bae(2005), was used after modifying and complementing. For data analysis,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maximum and minimum values, frequency and percentage,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ere utilized. When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from one-way ANOVA, Scheffe posterior test was used to look for differences between groups. First, the study was able to find that 4, 5 year old children have some level of feeling of loneliness. In other words, some children feel less lonely, but others relatively fell lonely a lot. Also, both mother and father tend to have affectional attitude rather than rejectional attitude in child rearing. To be specific, mother is most likely to have affectional-autonomous attitude, but father is most likely to have affectional-restrictive attitude. Also, the average level of the consistency of parents' rearing attitude was higher than normal level, and there was the highest level of consistency in the affectional-autonomous attitude.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hild's loneliness according to child's personal variable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he number of siblings, without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ild's gender, age. A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arents' rearing attitude according to child's personal variables, mother's rejectional-autonomous attitude has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child's age, but father's affectional-autonomous attitude and rejectional-restrictive attitude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child's number of siblings. However,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rents' rearing attitude depending on child's gender. Third, there was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child's loneliness and mother's affectional-autonomic attitude.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hild's loneliness and father's rearing attitude. Also,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hild's loneliness and the consistency of parents' rearing attitude.

      • 20세기 프랑스 음악에 나타나는 스페인 음악의 영향

        김예슬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20세기 프랑스 파리에서는 프랑스 혁명 이후 자리를 잡은 진보적이며 개방적인 사회환경으로 인해 비교적 자유롭게 새로운 예술적 실험을 할 수 있었다. 또한, 르네상스 이후 파리는 줄곧 유럽의 문화와 예술의 중심지로서 여러 나라의 예술가들이 모여들었으며 이로 인하여 다양한 나라의 문화와 예술을 접할 수 있었다. 이에 프랑스의 내에서는 더욱 새롭고, 진보적이며, 프랑스적인 음악을 추구하려는 자국 음악가들의 움직임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이를 위해 프랑스 음악가들이 택했던 방식 중 하나가 다양한 이국적인 문화와의 결합이었다. 이러한 타국의 문화 예술과의 결합은 20세기 프랑스 현대음악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이들은 아시아문화, 아프리카의 원시예술, 미국의 재즈, 동유럽의 음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성격의 음악들을 흡수하는데, 그중에서도 큰 부분을 차지했던 것이 스페인 음악이다. 본 논문에서는 20세기 프랑스 음악에 큰 영향을 끼친 스페인의 예술과 음악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먼저, 스페인 음악의 흐름과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고 19-20세기 프랑스 시대적 상황과 프랑스 예술의 특징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0세기 프랑스의 대표적 작곡가인 드뷔시와 라벨의 피아노 작품 중에서 스페인 음악의 이국적인 요소가 크게 반영된 클로드 드뷔시의 (Claude Debussy, 1862-1918)의《판화》(Estampes) 2번 “그라나다의 저녁”(La soirée dans Grenade), 프렐류드 1권 (Préludes Book. 1) 중 9번 “끊어진 세레나데”(La sérénade interrompue), 프렐류드 2권 (Préludes Book. 2) 중 3번 “비노의 문”(La puerta del vino)과 모리스 라벨(Maurice Ravel 1875-1937)의《거울》(Miroirs) 중 4번 “어릿광대의 아침노래”(Alborade del gracioso)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서 드뷔시와 라벨이 자신들의 새로운 인상주의 음악에 이국적인 분위기를 담아내고 독특한 음향적 색채를 표현하기 위해서 스페인의 선율, 리듬, 악기의 음향적 요소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던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n the 20th century, Paris, France, was able to do artistic experiements relatively freely because of the progressive and open social environment established after the French Revolution. In addition, since the Renaissance, Paris has always been the center of European culture and art, attracting artists from many countries, allowing them to experience the cultures and arts of various countries. In France, the movement of French musicians to pursue newer, more progressive and ethnic-based music was active, and one of the methods that French musicians took for this was the combination of various exotic cultures. This combination with the culture and arts of other countries can be said to be the core of French contemporary music in the 20th century. They absorb various types of music ranging from Asian culture, African primitive art, American jazz, and Eastern European music, and Spanish music was a major part of them. In this thesis, in order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Spanish art and music on French music in the 20th century, first,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Spanish music were examined, and the artistic circumstances of France i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French art were examined. Based on this, Debussy’s <<Estampes>> No. 2 “La soirée dams Grenade”, Préludes I No. 9 “La sérénade interrompue”, Préludes II No. 3 “La puerta del vino” and Ravel’s <<Miroirs>> No. 4 “Alborade del gracioso” were analyzed which largely reflected the exotic elements of Spanish music. Through this, it can be confirmed that Debussy and Ravel actively used Spanish melodies, rhythms, and acoustic elements of native instruments to capture an exotic atmosphere in their new impressionistic music and to express unique acoustic colors.

      • 유방암 환자의 스트레스에 관한 애도미술치료 질적 사례연구

        김예슬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유방암 환자가 스트레스에 관한 애도미술치료를 통해 경험한 것은 무엇이며 그 의미는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는 질적 사례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참여자의 경험의 과정을 이해하고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유방암 2기를 진단받고 부분절제술을 진행했던 환자로 항암치료와 방사선치료를 완료하고 유방암의 재발을 막기 위해 호르몬제를 복용하고 있는 50세의 이혼 여성이다. 사례는 2022년 1월부터 2022년 4월까지 약 4개월간 진행되었으며, 주 1~2회씩 60분~100분간 총 16회기를 실시하였다. 유방암 환자의 스트레스를 위한 애도미술치료의 목표는 상실감 탐색,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원인 및 감정 탐색, 상실감의 인식 및 표현, 상실감 재구성 및 감정 발산, 자기이해 및 자기수용을 통해 스트레스 상황에서 도움을 줄 지지 원천 발견 및 확인, 자기수용을 통한 긍정적 자아상 확립, 긍정적인 미래를 위한 계획으로 하여 미술치료 회기를 구성하였다. 자료 수집은 매회기의 일지 및 녹화 자료, 축어록, 참여자의 느낀 점, 연구자의 현장메모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에는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사용하여 유방암 환자의 스트레스를 위한 애도미술치료 경험과 의미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참여자의 작품 사진, 현장 관찰 내용, 참여자의 축어록을 반복적으로 비교하여 분석하였고 객관적으로 연구의 신뢰성을 높이려 주의를 기울였다.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한 결과 <언제나 외로웠던 내 모습>, <상실경험으로 인해 부정정서를 경험>, <감정표현에 대한 어려움을 극복하고 승화>, <유방암을 통해 깨달은 삶의 의미 발견 및 수용>, <긍정적인 자아상 확립 및 희망찬 미래에 대한 소망>이 포함된 5개의 상위 주제와 12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으며 이를 몇 가지 의미로 함축하여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는 애도미술치료를 통해 과거에 경험하였던 상실 감정을 탐색하고 표현해보는 과정에서 끊임없이 무의식적으로 떠오르는 병의 재발에 대한 두려움을 깨닫게 되었고 이러한 불편함 및 걱정을 미술작품에 드러냄으로써 불안과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경험을 하였다. 둘째, 참여자는 미술작업을 통해 억압되었던 상실의 감정을 바라보고 표출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에 대해 깨달으며 자아를 수용하고 긍정적인 자아상을 형성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참여자는 자신에게 위로의 메시지를 전달하며 감정의 정화를 경험함으로써 통찰하고 새로운 감정을 맞이할 준비를 하는 체험을 하였다. 셋째, 참여자는 유방암 환자로서 힘들었던 시간을 떠올리고 이를 미술작품으로 표현하여 감정을 승화하는 과정을 통해 잃어버린 여성성에 대해 회복하려는 경험을 체험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볼 때, 유방암 환자의 스트레스를 위한 애도미술치료는 신체적·정신적인 상실의 경험을 해소하지 못해 언제나 외로움을 겪었던 참여자에게 새로운 삶에 대한 기대와 긍정적인 미래에 대한 계획을 해낼 수 있는 힘을 전달하였고 스스로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자가 치유적인 능력을 획득하도록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 detail what breast cancer patients have experienced through mourning art therapy for stress and what its meaning i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nderstood and explored the process of participants' experiences by applying the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patients diagnosed with stage 2 breast cancer and underwent partial resection, and are a 50-year-old divorced woman who completed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and is taking hormone drugs to prevent the recurrence of breast cancer. The case was conducted for about 4 months from January 2022 to April 2022, and a total of 16 sessions were conducted once or twice a week for 60 minutes to 100 minutes. The goal of mourning art therapy for breast cancer patients was to explore loss, search for causes and emotions that cause stress, recognize and express loss, reconstruct and release emotions, discover and identify sources of support to help in stress situations, establish a positive self-image through self-acceptance, and plan for a positive futur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diaries and recorded data from each session, wordbooks, participants' feelings, and researchers' on-site memos. In the data analysis, the repeated comparative analysis method was used to explore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mourning art therapy for stress in breast cancer patients. To this end, photos of the participants' works, field observations, and participants' keywords were repeatedly compared and analyzed, and attention was paid to objectively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study. As a result of collecting and analyzing data, five top and 12 sub-topics were derived, including "Always Lonely Me", "Experience Negative Emotion due to Loss Experience", "Overcoming and Sublimation", "Discovering and Accepting Life Meaning Through Breast Cancer", and "Hope for a Hopeful Future". First, in the process of exploring and expressing the feelings of loss experienced in the past through mourning art therapy, participants realized the fear of recurrence of diseases that constantly unconsciously arise, and experienced anxiety and stress by revealing these inconveniences and worries in art works. Second, the participants realized how to express their emotions in the process of looking at and expressing the feelings of loss that had been suppressed through art work, accepting the self and forming a positive self-image. In this process, participants delivered a message of comfort to themselves and experienced the purification of emotions to gain insight and prepare for new emotions. Third, the participant recalled the difficult times as a breast cancer patient and experienced the experience of recovering lost femininity through the process of sublimating emotions by expressing them as art works. In summary, mourning art therapy for stress in breast cancer patients delivered the ability to plan for a new life and a positive future to participants who always suffered loneliness because they could not relieve the experience of physical and mental loss.

      • 영등포공원의 재해석을 통한 영등포역 배후광장조성에 관한 연구 : 역공간(閾空間)의 관점으로 본 공원의 역할을 중심으로

        김예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From another point of view, modernism seems to have started as a resistance against to the convention of rural, pastoral and agricultural cultures since early 19th century. The industry and business have overcame dependent system which demands nature source and huge effort such as labor of whole town due to Industrial Revolution. As technology advanced, people don’t have to stay where they were born, the base of agricultural life, for their lifetime. The city has expanded with industrialization and modernization, and in the late 20th century, the rural landscape disappeared. Instead, dense buildings which were brought by fast development replaced the site. As the city's void reduced, the phenomenon where Le Corbusier's "Machine in the Garden" transformed to "a Garden in a Machine" appeared. The increasing number of city developers enhanced the density of buildings and inver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ity figure and the ground. Also, society encouraged more personalized and selfish space. With the advent of post-industrialization and consumer society, cities have been developed indiscriminately. As the city expanded and factories hid behind the residential area, the city zoning system collapsed, and society fell into uncertainty along with the chaotic dimensional structure. This became an opportunity for citizens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the void in the city, and particularly, evoked nostalgia for the lost landscape. Moreover, as the factories moved to the outskirts, the utilization of the space left as Terrain Vague in the expanded city came along in urban planning. An urban regeneration, rather than urban development, became the key since the early 2000s. The way of urban regeneration varied from recycling existing factories or warehouses with various programs and functions to planning future contents by replacing the area itself with a platform. In this study, we’er going to notice many overseas cases such as Downsview Park and Parc de Lavillette, and contemplate the usage and additional value of city parks. Especially, Yeongdeungpo Park was converted from high-density factory area to a park through the landscape urbanism theory. Though artificial park which needs a lot of effort to bring small woods into the city has a short history; only about 100 years, but the demand for an expensive view and nature-like space is increasing because of an urban expansion and growing density. Especially, nowadays, diversified society has demanded an urban space where residence, production, consumption, tourism, leisure, daily life and culture coexist. Among them, the park has played a role of mediator between domains and unifying boundaries rather than independent void. In addition, as mentioned above, the importance of urban parks has been increasingly emphasized as urban expansion and transformation of land usage became more complicated in the field of de-industrialization. However, there is a shortage of consideration and strategic approach to the meaning and role of urban context and new development of urban space. Therefore, this study starts from criticizing the universal, uniform approaching which means “creating a ‘green environment’ for citizens’ improved life and leisure.” Meanwhile some people said that Yeongdeunpo Park was an innovative project which turned 70,000 square meters of land remained from the beer factory into a park. Specificall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role and meaning of Yeongdeungpo Park, the station of Yeongdeungpo, and the northern triangular site. Firstly, the framework of this design thesis will be constructed with theoretical exploration to recode it into a park that plays the role of an arrière-plaza and a mediator to adjust the boundary situation with the residential areas. Ultimately, the purpose of this design experiments is to explore the influence of parks in modern cities and strategies to improve the quality of urban spaces. 다른 관점에서 모더니즘은 19세기 초 전원 및 목축 또는 농업 문화의 통념에 대한 저항으로부터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산업혁명이 가져온 대변혁으로 상업과 산업이 마을 단위의 노동력과 강물과 같은 자연력에 의지하는 체제에서 벗어나게 되었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사람들은 이미 자신들이 태어난 곳, 농업 생활의 근거지에 발붙일 필요가 없게 되었다. 산업화와 근대화로 인해 도시가 확장되었고, 20세기 후반부에 이르자 개발의 독주로 건물의 밀도가 지나치게 높아지면서 전원의 풍경이 도시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도시의 공허부가 축소되며 르코르뷔지에가 천명했던 “정원 속의 기계(Machine in the Garden)”가 “기계 속의 정원”으로 변질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었다. 도시 개발업자만이 증가하여 건물의 밀도를 부추기고 도시의 피겨(Figure)와 그라운드(Ground)의 관계를 역전시켰던 것이 아니라, 사회마저도 좀 더 개인화되고 이기적인 공간을 부추겼다. 탈산업화와 소비사회가 도래하면서 도시는 더욱 무분별하게 개발되어갔다. 도시가 확장되고 공장지대가 주거환경 속에 묻히면서, 도시 조닝(Zoning) 체계가 붕괴했고 혼란한 공간의 구조와 함께 사회는 불확정성으로 빠져들었다. 이러한 상황은 도시민들이 도시 속 공허부의 중요성을 실감하는 계기가 되었고, 특히 잃어버린 풍경의 향수를 환기하게 해주었다. 더욱이 공장지대가 외곽으로 이전하면서 확장된 도시 속에 테란바그(Terrain Vague)로 남겨진 공간에 대한 활용이 도시 계획의 이슈로 떠오르고, 2000년대 초반부터 도시개발보다는 도시재생이 쟁점화되었다. 기존의 공장이나 창고를 다양한 프로그램과 기능으로 재활용하는 것으로부터 영역 자체를 플랫폼으로 치환하여 미래의 콘텐츠를 예정하는 작업까지 도시재생의 가능성은 다각화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다운스뷰파크(Downsview Park), 라빌레트 공원(Parc de Lavillette)과 같은 해외 사례들이 등장하고 있음에 주목하고,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은 도시 계획의 이론으로, 도시가 건물이나 대상의 배치가 아닌 생태학적 복합성을 지닌 다양한 관계 속에서 형성된 수평적 대지 위의 상황을 기반으로 구성된다는 시각을 갖는다. 이론을 통해 고밀도 지역의 공장 이전적지(移轉跡地)를 공원으로 전환한 영등포공원을 중심으로 도시공원의 활용과 부가적 가치를 고찰하고자 한다. 도시 안에 인공적으로 자연을 끌어들여 공원으로 조성하는 일은 불과 100여 년 정도의 짧은 역사를 가지지만, 도시 팽창과 밀도의 증가로 열린 공간과 자연의 삽입의 요구가 확대되는 추세다. 특히 오늘날과 같이 다각화한 사회는 거주 및 생산과 소비, 관광과 여가, 일상과 문화가 공존하는 도시 공간을 요구하고 있으며, 여기에 공원은 독립된 공허부로서 보다는 영역 간의 중재를 담당하고, 경계를 통합하는 역할을 하게 되었다. 또한, 전술하였듯이 탈산업화의 현장에서 도시의 확장과 토지이용의 변환 등이 복잡해지면서 점차 도시공원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지만, 도시맥락과 연계하는 의미와 역할, 그리고 도시 공간의 새로운 전개에 관한 고찰과 전략적 접근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탈산업화와 함께 기존 맥주 공장이 이전하고 남은 7만 제곱미터에 이르는 넓은 땅을 공원으로 바꾼 혁신적인 프로젝트인 영등포공원이 “도시민들의 여가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녹색 환경’을 조성한다”라는 보편적이고 획일적인 접근에 그치고 있음을 비판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구체적으로 이 논문의 목적은 영등포공원과 영등포역사(驛舍), 그리고 북측 삼각부지를 대상으로 영등포공원의 역할과 의미를 고찰하고, 역사의 배후 광장이자 주거지와의 경계상황을 조율하는 중재자의 역할을 하는 공원으로 재코드화 하기 위한 이론적 탐구를 통해 디자인 논문의 골격을 구성한 후, 디자인 실험을 통해 현대도시의 공원이 갖는 영향력과 도시 공간의 질적 향상을 위한 전략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