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내비게이션 궤적을 활용한 신규 도로 및 교통 신호 체계 변경 지점 추출 방법에 관한 연구

        김승철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Acknowledging the majority of the change of land within the national territory is caused by construction of transportational road, although the fact that nearly 30 per cent of the roads are being modified,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the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which holds responsibility of controlling all administrative aspect of the roads, Korean administrative agency, and companies and constructors that conduct the actual construction have struggled to gain information regarding the opening and modification due to problems surrounding management entity of the construction section and its facility, which is not being managed in an unified method. Given the circumstance, the navigation companies have and is putting lot of endeavors to gain modification information. Recently, with the trending of the smart appliances, communicative navigation has been the so called 'Killer Application' in the area leading the navigation market, hence making it possible to gain credible orbital data by access of multiple users. Therefore, this thesis aims to extracting road modification information, such as newly opened roads, new traffic signals through analysis of orbital data. In order for this to happen, collection and storing, processing, and analysis steps of orbital data has been conducted. Processing stage have sorted out outlier from the orbital data, along with data clustering and its classification, which are mainly used in data mining. Orbital data clustering have been done by segmenting driving unit, classification have conducted matching by exploiting road web database, and outliers step have conducted work of detection and elimination by defining standard and types of unstandardized orbital data. In analysis step, data regarding the alleged newly opened road sections and traffic signal change have been extracted. Experiment was done in areas within Dongtan New City, Hwaseong City, Gyunggi Province, finding both newly opened roads and traffic signal changes in the area. As in newly opened roads, 4 sections were found in the area, all of which have shown orbital data existence. However, the result was not extracted in areas that showed no orbital data. The traffic signal change was not detected in the Dongtan area which was because no actual changes have taken place in the area. After reselection of the experiment area, Seoul, the traffic signal change was clearly detectable with the method explained above. Consequently, with this study, verification of process steps of orbital data and extraction of road mod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orbital data has been proved possible. 국토의 변화는 대부분 도로에 의해 이루어지고, 연간 30%의 도로가 변경되고 있으나, 도로에 대한 행정 관리를 하는 국토교통부 및 행정청, 도로 공사를 직접 수행하는 건설사, 시공사도 공사 구간이나 시설물에 따른 관리 주체 문제로 개통 및 변경에 대한 정보가 일원화되어 관리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다 보니 내비게이션 제작사는 변경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여러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 기기의 대중화로 통신형 내비게이션이 Killer Application으로 자리 잡으며 내비게이션 시장을 주도함에 따라 다수 사용자에 의한 신뢰성 있는 궤적 데이터 확보가 가능해졌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궤적 데이터를 분석하여 도로 변화 정보인 신규 개통 도로 및 교통 신호 체계 변경 지점을 추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궤적 데이터의 수집 및 저장, 가공, 분석 단계를 진행하였다. 궤적 데이터의 가공 단계는 데이터 마이닝 방법론인 궤적 데이터 집단화(Clustering)와, 궤적 데이터 분류(Classification), 궤적 데이터의 이상치(Outlier) 검출을 적용하였다. 궤적 데이터의 집단화는 주행 단위별 세그먼트를 나누어 집단화하고, 궤적 데이터 분류는 도로망 DB를 활용하여 신규 개통 도로와 교통 신호 체계 변경 지점 분석에 활용할 수 있도록 분류하였으며, 궤적 데이터 이상치 발견은 정형화되지 않은 궤적 데이터의 오류 유형과 기준을 정의하고 검출, 제거하는 과정을 진행하였다. 분석 단계에서는 신규 개통 도로 예상 지점과 교통 신호 체계 변경 예상 지점을 추출하였다. 실험 대상지를 경기도 화성시 일대의 동탄신도시로 선정하여 본 연구의 목적인 신규 개통 도로 및 교통 신호 체계 변경 지점 추출을 진행하였다. 신규 개통 도로의 경우, 대상지에 4개 구간을 찾아 낼 수 있었고 궤적 데이터가 존재하는 구간은 모두 찾을 수 있었다. 다만, 도로가 아닌 지점이 추출되었다는 것과 궤적이 존재하지 않는 도로의 경우에는 추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확인되었다. 교통 신호 체계 변경 지점의 경우에는 대상지를 분석하였으나, 실제 도로의 교통 신호 체계가 변경된 지점이 존재하지 않아 대상지를 변경하여 재분석을 진행하였다. 서울 지역에 실제 도로의 교통 신호 체계가 변경된 지점을 찾아 분석 해본 결과, 본 연구의 궤적 데이터 처리 과정을 통해 추출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궤적 데이터의 처리 과정에 대한 증명과 궤적 데이터 기반의 도로 변경 사항 추출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Kospi 지수에 대한 value-at-risk 추정 및 tail index

        김승철 포항공과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It is well-known that tail distributions of many financial returns have polynomial decay. Thus conditional normal models, which are widely used in practice, are not appropriate for estimation of VaR or some other risk measurements. As an alternative approach, extreme value theory has been applied to KOSPI return data, and it has been discovered that the distribution of KOSPI returns is heavy tailed. We also propose a method based on moving estimates of tail index, which can be used to identify changes of tail distribution. In conclusion, we confirm that methods based on extreme value theory are more appropriate for estimating tail distribution of KOSPI returns. 많은 금융 데이터의 꼬리 분포가 polynomial decay를 가지고 있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exponential decay를 갖는 조건부 정규분포 모델들은 VaR(Value-at-Risk) 추정이나 다른 위험측정에는 적합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극치분포이론을 이용하여 한국종합주가지수의 손익 변화율 데이터가 두꺼운 꼬리분포를 가짐을 보였다. 또한, tail index의 추정치들의 변화에 기초한 꼬리분포의 변화를 Black Monday 사건과 한국 외환위기가 일어난 시점을 전후로 하여 관찰했다. 결론적으로 한국종합주가지수 손익 변화율 데이터의 꼬리 분포를 추정하는 문제에 있어서 극치분포이론에 기초한 방법이 더 적합함을 보였다.

      • 쉴드 TBM 터널에서 현장계측과 수치해석에 의한 지표침하 예측모델

        김승철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일반적으로 쉴드 TBM 굴착 시, 현장 조건의 불확실성과 기술적, 시공적인 측면으로 인해 설계 시 예측된 지표침하량 값은 실제와 큰 차이를 나타낸다. 따라서 설계 예측치와 실제 현장 지표침하의 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본 연구는 쉴드 TBM을 적용한 국내 지하철 현장의 계측 자료를 분석하고 기존 이론식에 의한 모델 및 수치해석 결과의 비교를 통해 보다 간편한 지표침하 예측 모델을 개발하였다. 전체 굴착 구간 중, 대표 위치를 선정하여 횡방향 지표침하 특성과 굴착 진행에 따른 종방향 지표침하 특성을 분석하였다. 현장 계측 자료의 분석 결과, 대부분의 위치에서 이론식에 의한 예측값보다 큰 지표침하량을 나타내었으며 기존 이론에서 제안된 지표 침하 분포와 상이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횡방향 지표침하 형태는 이완영역과 탄성영역으로 구성된다고 가정하고 실제 계측 자료와의 비교를 통해 최대 지표침하량과 침하 영향 범위를 산정할 수 있는 모델을 제안하였다. 굴착 진행에 따른 종방향 지표침하 형태는 3차 함수 특성과 유사하였으며 각각의 계수를 터널 직경 및 토피고의 함수로 하여 S-모델을 제안하였고, 실제 계측 값 및 수치해석 결과에 근접한 형태의 지표침하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다소 연약한 풍화토, 풍화암 지층을 통과하는 쉴드 TBM 굴착 시공 시, 간편 S-모델을 이용하여 굴착에 따른 지표 침하의 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Cr 添加劑에 의한 0.05PMS-0.95P2T 세라믹스에 誘電 및 壓電 特性에 관한硏究

        김승철 인천대학교 산업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고순도의 시료를 산화물 혼합법으로 합성하여 압전특성이 우수한 0.05Pb (Mn_(1/2)Sb_(1/2))O_(3)+0.95Pb(ZrTi)O_(3)+1 Wt% Nb_(2)O_(5) 계를 기본 조성으로 하여 Donor Dopant인 Cr_(2)O_(3)을 각각 0.0, 0.3, 0.6, 0.9, 1.2wt% 첨가하고 소결온도를 1150℃ 와 1200℃로 변화시켜 시편을 제작하였다. 제작한 시편에 대하여 X선 회절분석에 의한 결정구조의 분석하였으며, Cr_(2)O_(3)의 첨가가 유전 및 압전 특성, 공진 주파수의 온도특성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고찰하였다. 결정구조분석에서는 격자 상수를 구한 결과 α[˚] 가지는 값이 90˚에 가까운 능면체 정계를 나타냈고 Cr_(2)O_(3)의 첨가가 안정적인 구조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기계 결합계수(kp)는 Cr_(2)O_(3)의 첨가로 대체적으로 감소하였으며, 기계적 품질계수(Qm)는 Cr_(2)O_(3)의 첨가로 대체적으로 증가하였다. 유전상수는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전상수 또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유전손실은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0.05 PMS - 0.95 PZT에 첨가제 Cr_(2)O_(3)를 첨가 하였을 때 압전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1150℃에서 Cr_(2)O_(3)를 첨가할 경우 압전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시편 제작조건의 개선 및 첨가제의 신중한 선택이 이루어진다면 좀더 압전 특성이 향상된 소자개발이 가능하리라 생각되며, 압전 트랜스 제작의 기초자료로 활용되리라고 사료된다. This paper was to measure the structure , piezoelectric properties of 0.05Pb(Mn^(l/2)Sb^(1/2))O_(3)+0.95Pb(ZrTi)O_(3)1Wt%Nb_(2)O_(5) ceramics dopper with Cr_(2)O_(3) additive after creating the specimens with a general method. the results this paer were gotten such as follows. 1. In XRD, the crystal structure of ceramic has the rombohedral structure. Fore the more because of the reduction of cell volume, it appeared that addition of additive Cr_(2)O_(3) was helpful to the formation of stable structure. 2. According to dopping with Cr_(2)O_(3) electromechanical factor (kp) largely decreased, in case of sintering at 1150℃. electromechanical factor(kp) was maximum value of 36.6426 [%] at Cr_(2)O_(3) 0.3wt%. 3. In case of sintering at 1150℃, mechanical quality factor(Qm) was maximum value of Qm 305.12 at Cr_(2)O_(3) 0.9 wt% and minimum value of Qm 14.912 at sintering temperature 1150℃, Cr_(2)O_(3) 0.3 wt%. 4.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Cr_(2)O_(3) additive the dielectric constant at 20℃ increased on the whole and in sintering temperature 1150℃, with Cr_(2)O_(3) of 0.9 wt% , it showed it maximum value of 627.29. 5. Dielectric loss showed it's minimum value 2.4% in sintering temperature 1150℃, with Cr_(2)O_(3) of 0.9 wt%. 6. The variation rate of dielectric constant according to the chang of temperature was decreased by increasing temperature. The variation rate of dielectric constant according to the chang of frequency was decreased by increasing frequency.

      • Calcium oxide와 Zinc oxide의 H_(2)S 제거특성에 관한 연구

        김승철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경제발전이라는 목표로 지속되어 온 산업화는 폐기물의 증가를 초래하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폐기물 특성에 맞는 처리 기술 개발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 소각은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폐기물 처리법으로 먼 거리까지 수송없이 현장에서 직접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며 특히 용융- 열분해 시스템에서는 공기를 사용하는 기존의 소각로와는 달리 순수 산소를 사용하기 때문에 원천적으로 NO_x 의 발생이 억제되지만 H_2S, HCl, NH_3 등의 산성가스들이 배출되므로 새 소각로의 적용을 위해 이러한 성분들의 제거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해한 산성가스인 H_2S를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탈황 흡착제로서 널리 사용되는 CaO와 ZnO를 사용하였으며 입자크기와 충진량의 변화에 따른 반응성을 비교하여 실험하였다. 또한 배경가스로서 용융- 열분해 배출가스의 주성분인 H_2를 흘려주어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반응실험은 200∼210℃에서 수행하였고 반응 전·후 흡착제의 분석은 BET , XRF, SEM/ EDX, XRD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앞선 연구에서 CaO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ZnO의 H_2S 제거 효율도 입자크기가 작아질수록 증가하게 됨을 알 수 있고 입자크기를 고려하지 않았을 경우는 흡착제의 성능을 최대화하기 위해 적절한 충진량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정층 반응기에서의 최적 충진량은 CaO의 경우 16g, ZnO의 경우 13g이며 더 많은 충진량에서는 오히려 최종 흡착량이 감소함을 볼 수 있는데 이는 반응가스와 생성가스 사이의 확산 저항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BET와 XRF, EDX로부터 CaO의 반응성이 ZnO보다 좋아 최종 흡착량은 많지만 meso pore가 발달되어 있는 CaO의 경우는 기공성의 변화로 인해 H_2S에 대한 파과가 일찍 시작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흡착된 S의 분포도 표면보다는 내부에 집중되어 있음이 관찰된다. 반면에 ZnO의 경우 반응성은 약하나 반응으로 인한 기공성 변화가 없어 지속적인 탈황능력을 보인다. S가 흡착함에 따른 입자모양의 변화를 SEM 사진을 통해서도 볼 수 있다. 흡착된 S는 각각의 흡착제에 고르게 분산되어 있음을 XRD 분석결과 예상할 수 있으며 ZnO와 H_2S 반응에 있어 환원성 가스인 H_2가 증가할수록 반응성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H_2S 제거에 있어 CaO와 ZnO를 비교하면 반응성은 CaO가 우수하지만 ZnO의 입자크기를 충분히 작게하여 적절한 충진량을 사용하였을 때는 지속적인 활성을 보이는 ZnO가 더욱 적절한 탈황제로 생각된다. The melting - thermal decomposition system uses the pure oxygen and blocks the injection of nitrogen, so it restrains the production of NO_x originally. This system, however, exhausts new acidic gases such as H_2S and it must be reduc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iciency of sorbents, calcium oxide(CaO) and zinc oxide(ZnO), to be used as H_2S removal agents at temperature about 200∼210℃. The effects of such parameters as the sorbents particle size, amounts of sorbents and H_2 concentration were also investigated. The experiments were done under atmospheric pressure and a gas flow of 500ml/min. The sorbents were characterized by BET, XRF, SEM/EDX, XRD analysis. As the results of reaction and BET analysis, the smaller particle size, the higher activity on H_2S removal. It was suggested that the sorbents reactivity was expected to be confined mainly to the porosity of the particles and particle size, in such a case, was a critical variable affecting reaction rate. The effects of amounts of sorbents and retention time were tested to determine the optimal amount of sorbents. In this study, it is known that the optimal amounts are 16g (CaO) and 13g (ZnO). CaO had a good activity with H_2S and the mesopores were developed, but, relatively, ZnO had a weak activity and the macropores were developed. Therefore it was found that CaO showed a considerable reduction for H_2S removal in the early reaction stage as CaS produced was plugging the pores. ZnO showed a continuous activity bacause of no pore plugging. In the SEM images, the product layer is observed on the surface of sorbents. Since H_2 is the reductive gas, the increasing H_2 concentration on H_2S removal suppressed the reactivity of ZnO.

      • 대장암에서 ATG3, ATG5, ATG10의 발현과

        김승철 울산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연구목적: Autophagy는 영양결핍이나 환경적 스트레스 등에 의해 증가되며, 단백질이나 세포기관의 전환이라는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도, 기아나 질병 등 스트레스 상황에서 세포가 생존 또는 사멸하는 데에 관여하게 된다. Autophagy는 세포 내 항상성 유지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발생과정 동안 발달과 세포 내 재형성에도 관여하며, autophagy 조절에 균형이 깨지는 경우 여러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다. Autophagy가 암 발생에도 관련이 있다는 증거들이 발표되면서 암 발생과 치료에서 autophagy의 역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지만, 현재까지 암 발생에서 autophagy의 역할에 대한 지식은 초기 단계에 머물고 있다. Autophagy가 암 발생에 있어 촉진 작용을 하는지 억제 작용을 하는지에 대해서조차도 논란이 있는데, 현재까지 암 발생 단계에 따라 각기 다른 역할을 한다는 몇몇 증거가 보고되었다. 예비연구 결과 ATG3, ATG5, ATG10이 정상세포에 비해 대장암 세포에서 발현의 변화가 있음을 관찰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장암 조직에서 ATG3, ATG5, ATG10의 발현을 면역조직화학염색을 통해 알아보고, 대장암의 임상병리학적 특징과의 관계를 알아보아, 대장암 발생 및 침습에 autophagy가 관계될 수 있는지의 가능성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1999년 6월부터 2003년 5월까지 서울아산병원 대장항문클리닉에서 대장암으로 수술을 시행 받은 149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임상병리적 특징은 전향적으로 기록하였다. 대장암조직에서ATG3, ATG5, ATG10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였다. 염색된 슬라이드는 한 명의 해부병리학 전문의가 판독하였고, 핵과 세포질의 염색범위(%)에 따라 0(0%), 1+(<10%), 2+(10%≤, <50%), 3+(≥50%)로 표기하였다. 염색 강도가 2+ 이상인 경우를 양성으로 판정했다. 연구결과: 예비실험 결과 대장암 세포주에서 정상 세포주에 비해ATG5의 발현이 감소하고, ATG3, ATG10의 발현이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장암 세포주와 환자 대장암 조직을 5-AZA로 처리했을 경우 SW480에서 5-AZA를 처리했을 때 ATG5의 발현이 이에 따라 변화하는 현상을 보였으나, 다른 세포주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본 실험에서 대상환자의 대장암 조직에 대해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했을 때, ATG3는 85.9%, ATG5는 82.3%, ATG10은 23.6%에서 양성으로 나타났다. ATG3는 면역조직화학염색결과와 임상병리적 특징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ATG5는 ATG5가 양성인 경우에 림프혈관 침습이 유의하게 많았으며 (p=0.035), 고분화도가 많은 경향을 보였다(p=0.054). ATG10은 양성인 경우에 림프혈관 침습이 유의하게 많았으며(p<0.0001), 림프절 전이가 많았다(p=0.003). 또한 ATG10은 AJCC병기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ATG10이 양성인 경우에 3,4기의 진행된 병기가 유의하게 많았다(p=0.009). ATG3, ATG5의 발현여부는 전체생존율과 무병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ATG10 음성발현군은 양성발현군에 비해 의미 있게 높은 전체생존율을 나타냈다. 그러나 무병생존율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예비실험결과 ATG 3,5,10이 대장암의 발생과 관계가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대장암 환자에서 대장암 조직을 대상으로 하였을 때, ATG5는 림프혈관침습과 유의한 관계를 보였고, ATG10은 림프혈관침습, 림프절 전이 그리고 병기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ATG10의 발현여부에 따라 전체생존율에도 의미 있는 차이를 보여, ATG10이 대장암의 진행과 관계될 것이라는 점을 시사하고 있었다. 예비실험에서는 ATG5가 항암화학치료의 반응에 관계되리라는 가능성을 얻었으나, 실제 대장암 조직을 대상으로 했을 때 임상병리적 특징과의 관계를 규명할 수 없었다. 따라서 대장암의 진행과 표적치료 대상으로써의 가능성에 대해서는 추가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