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수술실 간호사의 조직몰입, 팀워크인식 및 간호전문직관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김슬기 남부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conducted to examine the ext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recognition on teamwork, nursing professional value,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of scrub nurses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ir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September 26, 2022 to October 8, 2022. The study participants included 143 scrub nurses who were working at the hospitals with over 100 beds located in G Metropolitan City and J-do, and 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used. In terms of the study tools,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measured using a tool that was developed by Mowday et al. (1979) and modified by Yoon Gye-sook (2010) in accordance with the situation of an operation room. Recognition on teamwork was measured with a tool that was developed by the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AHRQ) and modified by Ahn Shin-ae and Lee Nam-ju (2016) to be suitable to be used for an operation room in Korea. Nursing professional value was measured using a tool developed by Yoon Eun-ja, Kwon Ok-hee, Ahn Young-mi et al. (2005),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was measured using a tool developed by Song Mi-ok (2015).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a total of 112 questions with 9 questions for general characteristics, 14 for organizational commitment (5-Point Likert Scale), 35 for recognition on teamwork (5-Point Likert Scale), 29 for nursing professional value (5-Point Likert Scale), and 25 for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5-Point Likert Scal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Kruskal-Wallis test, Scheffe's test, Dunn’s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 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WIN 22.0.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age of the participants was 33.14 years with those over 30 years of age taking up 53.6%, and 93.6% of the participants were female. The proportion of those who had a bachelor’s degree was 85.0%, and 44.3% of the participants had over 10 years of clinical career. Those who had been working at an operation room for more than 10 years accounted for 39.3%, whereas 77.1% of the participants were general nurses. Among the participants, 87.9% had experienced patient safety management education while 68.6% had taken a test for accreditation. Fifty-eight percent of the participants were working at a hospital with over 300 beds. 2. The ext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participants scored an average of 3.27±0.55 out of 5, and the average score of recognition on teamwork was 3.69±0.63 out of 5. The extent of nursing professional value scored an average of 3.49±0.56 out of 5, and the average score of the extent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was 4.15±0.69 out of 5. 3.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t=-3.01, p=.003), clinical career (F=6.59, p=.002), work experience at an operation room (F=4.34, p=.015), position (F=4.56, p<.001), and experience of taking a test for accreditation (t=2.05, p=.042). Recognition on teamwork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beds (t=-2.15, p=.033) and position (t=2.12, p=.037). Nursing professional valu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ition (t=2.19, p=.030).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sition (t=2.57, p=.011) and experience of taking a test for accreditation (t=2.03, p=.044). 4. The relations between the variables of the participants were analyzed and the result showed that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recognition on teamwork (r=.58, p<.001), nursing professional value (r=.53, p<.001),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r=.49, p<.001). Recognition on teamwork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nursing professional value (r=.60, p<.001)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r=.57, p<.001). Nursing professional valu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r=.62, p<.001). 5. The factors affecting the participants’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were found to be in the order of nursing professional value (β=.43, p<.001), recognition on teamwork (β=.31, p<.001), and experience of taking a test for accreditation (β=.16, p=.008),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46.9%. In conclusion, experience of taking a test for accreditation, nursing professional value, and recognition on teamwork of scrub nurses were identified to be the factors affecting their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intervention programs to enhance nursing professional value and recognition on teamwork. 국문초록 수술실 간호사의 조직몰입, 팀워크인식 및 간호전문직관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김슬기 지도교수 : 오윤정 간호학과 남부대학교 대학원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의 조직몰입, 팀워크인식, 간호전문직관 및 환자안전관리활동의 정도를 파악하고,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2년 9월 26일부터 2022년 10월 08일까지이며, 연구 대상자는 G 광역시, J 도 소재의 100병상 이상 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수술실 간호사 143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연구 도구는 조직몰입은 Mowday 등(1979)이 개발하고 윤계숙(2010)이 수술실 상황에 맞게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팀워크인식은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AHRQ)에서 개발한 도구를 안신애, 이남주(2016)가 한국 수술실 상황에 맞게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간호전문직관은 윤은자, 권옥희, 안영미 등(2005)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환자안전관리활동은 송미옥(2015)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설문지는 총 112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일반적 특성 9문항, 조직몰입 14문항(Likert 5점 척도), 팀워크인식 35문항(Likert 5점 척도), 간호전문직관 29문항(Likert 5점 척도), 환자안전관리활동 25문항(Likert 5점 척도) 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Kruskal-Wallis test, Scheffe's test, Dunn’s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tep 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연령은 평균 33.14세로 30세 이상이 53.6%, 여자가 93.6%, 학사가 85.0%. 총 임상경력은 10년 이상 44.3%, 수술실 경력은 10년 이상 39.3%, 일반간호사가 77.1%, 환자안전교육을 경험한 대상자가 87.9% 이었고, 인증평가를 경험한 대상자가 68.6% 이었다. 병상 규모는 300병상 이상이 58% 이었다. 2. 대상자의 조직몰입의 정도는 평균 3.27±0.55점(5점 만점), 팀워크인식은 평균 3.69±0.63점(5점 만점), 간호전문직관의 정도는 평균 3.49±0.56점(5점 만점), 환자안전관리활동의 정도는 평균 4.15±0.69점(5점 만점)이었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조직몰입은 연령(t=-3.01, p=.003), 총 임상경력(F=6.59, p=.002), 수술실 경력(F=4.34, p=.015), 직위((F=4.56, p<.001), 인증평가 경험유무(t=2.05, p=.04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팀워크인식은 병상 규모(t=-2.15, p=.033), 직위(t=2.12, p=.037)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간호전문직관은 직위(t=2.19, p=.03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환자안전관리활동은 직위(t=2.57, p=.011), 인증평가 경험유무(t=2.03, p=.044)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대상자의 변수 간의 관계 분석을 한 결과, 조직몰입은 팀워크인식(r=.58, p<.001), 간호전문직관(r=.53, p<.001), 환자안전관리활동(r=.49,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팀워크인식은 간호전문직관(r=.60, p<.001), 환자안전관리활동(r=.57,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간호전문직관은 환자안전관리활동(r=.62,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5. 대상자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간호전문직관(β=.43, p<.001), 팀워크인식(β=.31, p<.001), 인증평가 경험(β=.16, p=.008) 순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46.9% 이었다. 본 연구 결과, 수술실 간호사의 인증평가 경험, 간호전문직관과 팀워크인식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간호전문직관 및 팀워크인식을 높이는 다양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주요용어 : 수술실 간호사, 조직몰입, 팀워크인식, 간호전문직관, 환자안전관리활동

      • 활성산소 민감형 탄소나노양자점 기반 암세포의 형광/전기화학적 진단 및 치료기술

        김슬기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Here, we designed a ROS- and GSH-responsive diselenide polymer dot-based drug delivery system and electrochemical sensor capable of cancer diagnosis and treatment. First, diselenide bonds cross-linked PD-TPP allowed PTX to be stably loaded, and in the presence of H2O2 and GSH, the PTX was released from the matrices due to controlled cleavage of the diselenide bond. Furthermore, conjugated TPP may potentially enhance the therapeutic efficacy of the anticancer drugs and minimize the side effects, owing to its specific targeting to the mitochondria of cancer cells. Moreover, we invented a real-time electrochemical sensor based on diselenide polymer dot nanoparticles coated on a substrate, proficient in selectively detecting tumors. Due to the high amount of ROS in cancer conditions, the surface morphology was altered, cleaving the diselenide bonds (-Se-Se-) and forming Se-OH/-Se-OOH, which simultaneously affected the electrical resistance of the sensor. In the end, the developed drug delivery and sensor could become a breakthrough for biomedical applications, notably for cancer detection and medication.

      • 예혼합 합성가스 충돌 제트 화염에서 열음향 불안정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김슬기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Experiments on thermoacoustic instabilities were conducted in premixedimpinging jet configuration for premixed syngas-air mixtures with the volume ratio of 10% and 90% for H2 and CO respectively, by varying equivalence ratio Ф and global velocity gradient C g. The main concerns are focused on clarifying the mechanisms for an oscillation generated in noisy flame and an instability driven via flame-vortex interaction. The result shows that the non-reacting flow field presented divergent flow shape, while the reacting flow field showed an “S”shape. The FFT frequencies of flame and vortex were acquired and analyzed to obtain the frequency. The frequency of non-reacting flow vortex (V N·R·V=140 Hz) was different from natural frequency of burner itself (60 Hz). The frequencies of vortex and pressure perturbation were similar to flame frequency. Thus, the oscillation was caused by flame not flow and the flame-vortex interaction was associated with self-excited instabilities as comparison of frequency, pressure perturbation and vortex.

      • 국내 차(茶)브랜드 플래그십 스토어의 체험 마케팅 전략 연구

        김슬기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As economic growth and advancements in science and technology diversify consumer needs and emphasize individuality, businesses are moving beyond traditional marketing approaches to provide consumers with various experiences. They operate flagship stores that highlight the brand’s identity and individuality. In particular, recently recognized tea brands are actively adopting a flagship store strategy, prioritizing experiences in offline spaces to align with these trends. In this study, three flagship stores of domestic tea brands loc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ere visited and analyzed based on the “Five Strategic Experience Module” by Bernd Schmitt and the “Experience Provider” to implement the module. Through this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ore were identified, and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strategic experience modules for domestic tea flagship stores were deriv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methods for experiential marketing strategies needed for the launch and operation of tea flagship stores were proposed and presented as guidelines. The guidelines include the following: First, a proposal was made to provide consumers with emotional experiences by emphasizing natural elements through the development of commercial areas that offer relaxation and a sense of stability. Second, it was suggested to design distinctive external and internal spaces reflecting nature-friendly elements and the brand’s values to emphasize sensory, emotional, and relational experiences. Third, the recommendation was to emphasize the brand’s expertise through specialized products unique to flagship stores, forming brand recognition as a differentiated space. Fourth, a proposal was made for a digital enhancement strategy using various electronic media such as applications and membership programs to strengthen interaction between the brand’s flagship space and consumers. Last, it was emphasized that consumer communi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Offline, communication revolves around emotional and relational experiences, facilitated by tools like informational cards and tea classes. Online, the focus is on intensifying interaction with a diverse consumer base through the utilization of SNS channels. Hopefully, based on the proposed guidelines and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Strategic Experience Module, the findings will serve as valuable insight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experiential marketing strategies for tea brands’ flagship stores. 국내 차(茶)브랜드 플래그십 스토어의 체험 마케팅 전략 연구 김슬기 시각디자인전공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경제적 성장과 과학 기술의 발전으로 소비자 니즈가 다양화되고 개성이 강조되면서 기업들은 전통적인 마케팅 방식을 벗어나 소비자에게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고 브랜드의 정체성과 개성을 강조하는 플래그십 스토어를 운영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 주목받는 차(茶) 브랜드들도 이러한 트렌드에 부응하기 위해 오프라인 공간에서의 경험을 중시하며 플래그십 스토어 전략을 적극적으로 채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차 브랜드 중 수도권에 위치한 3개의 플래그십 스토어를 방문하여 번 슈미트의 ‘5가지 체험 모듈’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체험제공수단’을 기반으로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각 스토어의 특성을 파악하고, 국내 차 플래그십 스토어의 전략적 체험 모듈별 장단점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차 플래그십 스토어의 론칭과 운영에 필요한 체험 마케팅 전략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가이드라인으로 제시하였다. 이 가이드라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휴식과 안정감을 제공하며 자연적인 요소가 강조된 상권 개발을 통해 소비자에게 감성적 체험을 제공하도록 제안하였다. 둘째, 자연 친화적인 요소와 브랜드의 가치를 반영한 특색 있는 외부 및 내부 공간을 설계하여 감각, 감성, 관계, 행동 체험 강조를 제안하였다. 셋째, 플래그십 스토어만의 특화된 상품을 통해 브랜드의 전문성을 강조하고 차별화된 공간으로서의 인지를 형성하도록 제안하였다. 넷째, 브랜드의 플래그십 공간과 소비자와의 상호 작용 강화를 위해 애플리케이션, 멤버십 운영 등 다양한 전자 매체를 통한 디지털 강화 전략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소비자의 커뮤니케이션을 강화를 위해, 오프라인에서는 안내 설명 카드, 티 클래스 등을 통한 소비자와의 감성, 관계, 행동 체험 중심의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하며 온라인에서는 SNS 채널을 활용하여 브랜드와 다양한 소비자층 간의 상호 작용 강화를 강조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가이드라인과 전략적 체험 모듈 별 장단점을 토대로 향후 차 브랜드 플래그십 스토어의 체험 마케팅 전략을 구축함에 있어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 미용 면허제도에 대한 국제 비교 연구

        김슬기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미용 면허제도에 대한 국제 비교 연구 김슬기 지도교수: 김춘득 교육대학원 미용교육전공 남부대학교 세계화 시대에 미용사 면허제도에 관한 국제비교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우리나라 미용사 면허제도가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과 비교해 볼 때 매우 불안정한 상태에 머물러 있음은 여러 선행연구에서 이미 지적된 바 있다. 심지어 일각에서 면허제도의 폐지론까지 언급되고 있는 혼란한 상황은, 결과적으로 미용사 면허제도의 존재 가치를 흔들이 놓는 결과를 낳고 있다. 이러한 상황의 원인 중 하나로 면허제도 존치의 정당성에 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는 학문 활동이 대체적으로 미약했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나아가 입법자들과 정책입안자들이 참고해야 할 외국의 미용사 면허제도에 관한 연구 활동이 미진했었다는 점도 그 이유가 되기에 충분하다(이한웅, 2008). 본 논문은 우리나라와 외국의 미용사 면허제도 및 입법에 관한 다양한 종류의 문헌과 연구물들을 분석, 검토하는 비교 논문이다. 우리나라와 주요 외국의 미용사면허제도와 관련 법령에 대한 체계적 분석, 비교 연구 등을 고찰함으로써 한국 면허제도의 미비점을 발견하고 이를 보안하여 우리나라의 미용사 면허 제도의 발전을 위한 입법 방향의 시사점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첫째, 미용사 자격시험과 면허시험을 구분해야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교육과학부에서 인정한 교육기관에서 일정 시간을 이수 하면 무시험으로 면허를 취득하거나 미용사자격증 시험을 치러 자격증 발급과 동시에 면허를 취득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다른 나라들은 자격증 시험을 먼저 통과해야 면허시험을 볼 수 있게 되어있다. 둘째, 면허를 취득할 때 이수시간을 정해야 한다. 무시험으로 면허를 부여해서는 안 된다. 셋째, 면허를 취득할 수 있는 자들의 연령과 학력을 제한해야 한다. 무시험 면허 제도를 폐지하고 관련 학과를 졸업하고 시험을 볼 수 있는 제도가 생긴다면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무시험 면허제도가 폐지 되지 않는다면 적어도 면허를 취득할 수 있는 자들이 의무교육은 마친 나이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넷째, 미용고등학교, 2년제 대학, 4년제 대학의 차이점을 두어야 한다. 고등학교를 졸업하나 대학교를 졸업하나 면허증을 취득하는 건 동일하다. 미용고등학교나 2년제 대학의 경우 일정 시간의 실무경험을 인정 후 면허증시험을 치룰 수 있게 해야 한다.

      • 피리를 활용한 국악감상 지도방안 연구 : 초·중·고등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김슬기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대 영역을 표현, 감상, 생활화로 나누면서 이전보다 감상영역에 좀 더 비중을 두었다. 하지만 학교 현장에서는 국악 감상이나 실기 지도 등이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전통음악의 심미적 체험과 이해를 높이고 국악 감상수업을 통해 국악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국악 기악곡에서 주선율을 담당하는 피리를 활용하여 국악감상 지도방안을 연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피리는 제례악, 궁중음악, 민간풍류, 민속음악 등 여러 장르의 음악에서 주선율을 담당하며 음색변화가 다양하고 표현력이 넓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 대상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악감상의 중요성과 유의점을 알아보고자 관련된 문헌을 고찰하여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둘째, 연구 대상은 초등학생부터 고등학생이며 교과서 분석을 통해 국악 기악 감상곡의 빈도수를 살펴보고,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학년별로 수록되어 있는 감상곡을 중심으로 제재곡을 선정하여 지도방안을 연구하였다. 셋째, 피리가 편성된 국악 기악곡의 음악적 특징과 기악곡에서 피리의 역할 등에 대해 살펴보고,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음악 요소 및 개념 체계를 참고하여 전통음악의 기본요소와 피리의 특징을 중심으로 지도방안을 연구하였다. 넷째, 제재곡으로 선정한 국악 기악 감상곡을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하여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학년별로 나누어 지도방안을 연구하였다. 피리를 활용한 국악 감상 수업의 제재곡으로는 《대취타와 취타》, 《타령》, 《수제천》, 《여민락》, 《영산회상》, 《산조》이며, 각 제재곡들은 악기 편성 및 음색 구별하기, 가락선을 이용하여 피리 선율 비교하기, 시김새 표현해보기, 피리 종류에 따라 연주 형태 및 악곡의 특징 알기, 피리 음색 비교하기, 장단과 빠르기 등을 중심으로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In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the music teaching field is divided into Expression, Appreciation, and Practicing in the living fields, and the appreciation field attained more importance than the previous curricula. But there are no distinct differences in the actual music classrooms. This study explores teaching plans for appreciation classes using Piri in order to have the aesthetic experiences and deeper understanding, and in order to have interests and attention in Korean Traditional Music. Piri plays the primary melody part in various kinds of music including Royal Ancestral Rite and Ritual Music, Folk Pung-Ryu, and Folk music, and is widely used because of its mellow timbre and various expressions. The methodology and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appreciation classe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figure out the considerations in appreciation classe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related literature was studied. Second, three music textbook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was chosen and examined in the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al pieces. The most frequently treated pieces were Dae-Chita, Chita, Taryung, Sujecheon, Yeminrak, Youngsanwhesang, and Sanjo. Third, the features of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al music which has Piri performances and the roles of Piri in the instrumental music, and was analyzed by the teaching plans focused on features of Piri and basic elements of Traditional Korean Music, with reference to the important music elements and concepts in 2009 curriculum. Fourth, the teaching plans of the chosen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al music by the level of students and school were explored. This study includes the teaching plans including recognizing the instruments arrangement, differentiating the timbre, comparing Piri melodies using melodic line, trying grace notes, apprehending the different performance styles and features of pieces depending on the different kinds of Piri, comparing different timbres between different Piries, rhythms and tempo.

      • 고등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우울과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자기초점적 주의와 자기비난을 중심으로

        김슬기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우울과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 과정에서 자기초점적 주의와 자기비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지역의 3개 인문계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고등학생 273명(남학생 83명, 여학생 190명)을 대상으로 약 3주간의 간격으로 총 2회에 걸쳐 다차원적 완벽주의, 사회불안, 우울, 자기초점적 주의, 자기비난의 척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21.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먼저 문항간 내적합치도(Cronbach’s α) 값을 산출하여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살펴본 후, 주요변인 및 측정변인들의 기술통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응답점수의 범위(최소값, 최대값), 평균, 표준편차, 왜도, 첨도를 산출하였다.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주요변인 및 측정변인들 간 관련성을 살펴보았으며,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통해 변인 간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였다. 모수치 추정 방법으로 최대우도법을 이용하였고, Anderson과 Gerbing(1988)의 2단계 접근법에 따라 먼저 측정모형을 검증한 후 구조모형을 통해 연구문제인 변인들 간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고, 최적의 모형을 탐색하기 위하여 부분매개모형과 완전매개모형을 비교하였다. 최종모형에서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부트스트래핑 절차(Shrout & Bolger, 2002)를 적용하였으며, 유령변수 생성 방법(Chan, 2007)으로 개별적인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고, 모형의 적합도를 평가하였다. 분석 자료는 사회부과 완벽주의를 제외한 사회불안, 우울, 자기초점적 주의 및 자기비난의 총 2회의 설문 자료를 바탕으로 Time 2의 수치에서 Time 1의 수치를 통제한 상황에서 검증한 결과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부과 완벽주의, 우울, 사회불안, 자기초점적 주의, 자기비난 사이에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자기초점적 주의를 거쳐 우울로 이행되는 매개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그러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자기비난을 거쳐 우울로 이행되는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자기초점적 주의를 거쳐 사회불안으로 이행되는 매개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그러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자기비난을 거쳐 우울로 이행되는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자기초점적 주의를 매개로 하여 우울과 사회불안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경험적으로 밝힘으로써 Clark와 Wells의 사회불안장애 인지모델이 청소년의 사회불안 및 우울에 이르는 과정에 대한 설명을 지지한다는 의의가 있다. 또한 학교 상담 장면에서 높은 사회부과 완벽주의 성향을 지닌 청소년들이 사회불안이나 우울을 경험할 때 자기초점적 주의에 초점을 두어 개입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이들에게 방어적인 자기초점적 주의를 비방어적인 자기초점적 주의로 전환하는 상담 및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다면, 심리적 부적응으로 인한 문제를 완화하고 보다 적응적인 학교 및 일상생활을 돕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주요어: 사회부과 완벽주의, 사회불안, 우울, 자기초점적 주의, 자기비난 The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SPP) on depression and social anxiety, and further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focused attention and self-criticism. The questionnaires designed to measure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ocial anxiety, depression, self-focused attention, and self-criticism scale for adolescents were administered twice (Time 1 and Time 2) at an interval of three weeks to 273 students (83 men, 190 women) enrolled at three high schools in Gyeonggi-do. To check the reliability, the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s (Cronbach’s α) were calculated. Also, for descriptive statistics of the variables, the range of responses (minimum, maximum), mean, standard deviation, skewness, and kurtosis were calcula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and further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was adopted. For estimating the parameter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in the population, the Maximum Likelihood method was utilized. Based on Anderson and Gerbing's (1988) suggestion, a two-step approach was used where the measurement model was tested in the first step, and the structural model was tested later to cla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In this second step, the partial mediation model and full mediation model were compared to investigate the optimal model. In addition, bootstrapping procedures (Shrout & Bolger, 2002) were applied to test the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s, and phantom variables are used to identify the individual indirect effects and evaluate the model fit. The data were the result of analysis in which the scores at Time 1 were controlled for from those at Time 2 in social anxiety, depression, self-focused attention, and self-criticism except for SPP. The findings for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PP, depression, social anxiety, self-focused attention, and self-criticism showed all positive correlations. Second, the mediation effect from SPP to depression via self-focused atten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reas the indirect effect from SPP to depression via self-criticism was not. Third, the mediation effect from SPP to social anxiety via self-focused atten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reas the indirect effect from SPP to depression via self-criticism was not. The research results shed light on the process of social anxiety cognitive model (Clark & Wells) representing the adolescent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by revealing the process from SPP to depression and social anxiety via self-focused attention In addition, this study offers useful information that it is effective to intervene adolescents with SPP tendencies focusing on self-focused attention when they experience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In sum, given the research findings, it merits implementing individual and/or group counseling programs for adolescents with SPP tendencies experiencing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by replacing the defensive self-focused attention with nondefensive self-focused attention; the programs may reduce the problems caused by psychological maladjustment and help adjusting to school and daily life. Key words: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social anxiety, depression, self-focused attention, self-criticism

      • 장애아통합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장애유아 놀이지도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김슬기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내러티브 탐구로 장애아통합어린이집 보육교사들이 장애유아의 놀이가 갖는 의미에 대하여 어떠한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놀이지도를 할 때 느낀 점은 무엇인지, 통합학급에서 유아·놀이 중심 누리과정을 운영하기 위하여 어떠한 지원을 필요로 하는지 연구 참여자의 이야기를 통해 생생하게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통합교육 경력 3년 이상인 보육교사 2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 일지 등을 토대로 내러티브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는 내러티브 탐구의 절차를 따라 자료수집 및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 전문가에게 검토를 받았고, 연구 참여자들과 자료 공유를 통해서 연구 결과의 해석이 왜곡되지 않도록 진실성을 확인받았다. 내러티브 탐구를 통하여 도출한 결과를 요약한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아통합어린이집의 보육교사는 통합학급을 운영하며 교사의 역량 강화와 유아들의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하였고, 유아통합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을 갖게 되었다. 또한 장애유아의 놀이가 일반유아들이 하는 놀이와 다른 형태로 펼쳐지며, 스스로의 방식과 속도로 배움이 이뤄지고 있음을 경험하였다. 이를 통하여 장애유아의 놀이에 담긴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였고, 유아에게 필요한 지원에 대해 고민하는 과정에서 교사라는 직업의 보람을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장애아통합어린이집의 보육교사는 통합학급에서 유아·놀이 중심 누리과정을 운영하면서, 특수교사 혹은 장애영유아를 위한 보육교사와 긴밀하게 협력하는 것이 유아통합교육과 유아·놀이 중심 교육에 효과가 있음을 경험하였다. 이를 통하여 장애유아와 학급 내 모든 유아들이 중심이 되는 적절한 지원방법과 놀이지도에 대하여 실천적 지식을 만들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놀이를 통한 배움을 지원하는 교사의 역할이 유아들의 놀이 특성과 배경에 따라 융통성 있게 변경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장애아통합어린이집의 보육교사는 유아·놀이 중심 누리과정이, 교사가 아이와 깊이 어울릴 수 있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어린이집의 일상 속에서, 유아들의 자유로운 놀이 속에서, 교사가 계획한 활동 속에서, 장애유아를 비롯한 모든 유아들을 적절히 지원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유아·놀이 중심 누리과정이 생소하여, 운영의 부담을 느끼는 등 직무 스트레스를 겪고 있다. 이에 성공적인 통합학급의 유아·놀이 중심 누리과정 운영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요구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교사발달에 맞추어 설계된 연수, 통합학급 보육교사의 어려움을 지원하는 현장 중심 실천사례 제공, 통합교육 현장경력이 높고 유아특수교육 분야에서 석사학위이상 취득한 현직 교사가 진행하는 기관 단위 연수를 제안하였다. 넷째, 장애아통합어린이집 보육교사를 지칭하는 용어가 일반 보육교사의 경우‘보육교사’, ‘일반 보육교사’, ‘통합교사’, ‘일반교사’그리고 장애유아를 전담하는 교사의 경우‘장애아전담교사’, ‘장애아전담교사’, ‘전담교사’, ‘통합교사’, ‘특수교사’, ‘장애영유아를 위한 보육교사’로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었다. 명확한 의미 전달과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초·중등학교와 같이 유아통합교육을 실행하고 있는 교사를 지칭하는 단어에 대한 합의점이 필요하다. 내러티브로 구성한 2명의 교사 이야기는 보육교사들이 장애유아의 놀이에 대하여 어떠한 생각을 하고 있고, 자신이 가지고 있는 놀이에 관한 지식을 어떻게 접목시키고 있는지 알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이들의 이야기는 장애유아와 함께하는 교사로 하여금 유아의 삶에 있어서 놀이가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생각해 보는데 시사점이 있으며, 효과적인 놀이지도와 유아·놀이 중심 누리과정 운영을 지원하는데 필요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 나노 구조화된 기능성 고분자 필름의 제작 : Part1. DMFC용 블록 공중합체 PEM제조 Part2. 광학용 고분자 콜로이드 결정 필름의 슬라이드 코팅

        김슬기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Part1. DMFC용 블록 공중합체 PEM제조 Direct Methanol Fuel Cell(DMFC)는 연료공급 체계가 단순하고 전체 장치가 간단하여 소형화가 가능하며, 저장이 용이하고, 낮은 온도에서 작동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 노트북이나 휴대전화 같은 소형 휴대 전자기기의 전원으로써 DMFC가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쓰이는 고분자 전해질 막으로써 Dupont사의 Nafion은 높은 수소이온 전도도를 가지는 동시에 높은 메탄올 투과도와 비싼 가격 때문에 이를 대체하기 위한 고분자 전해질 막이 많이 연구되었다. 그 중에서도 나노 입자의 공간적인 분포를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BCP(block copolymer)를 이용하여 DMFC(Direct methanol fuel cell)의 PEM(Proton exchange membrane)으로써의 응용가능성을 연구하였다. BCP PEM은 PS 블록을 포함하여 술폰화 정도에 따른 전도성 및 투과성 등을 조절하는 동시에 다른 블록에는 고무의 성질을 지닌 물질을 포함시켜 PEM으로써의 기계적 물성을 좋게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SBS(styrene-butadiene-styrene) triblock copolymer와 PS-b-PDMS diblock copolymer모두 PS 블록에 post-sulfonation을 하였고, IR과 NMR, DSC를 이용하여 술폰화(sulfonation)의 유무와 술폰화 정도(degree of sulfonation: DS)를 확인하였다. 또한 morphology분석을 위해 SAXS와 AFM을 이용하여 micro-phase seperation을 통한 BCP PEM의 특징을 관찰하였다. 각각의 수소이온 전도도와 메탄올 투과도 등을 측정하고, DMFC 성능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Part 2. 광학용 고분자 콜로이드 결정 필름의 슬라이드 코팅 현재 잘 쌓인 콜로이드 결정의 3차원적인 구조는 다양한 광결정 소자 분야에서의 응용가능성 때문에 그 연구가 활발하다. 최근에 submicron크기의00~300nm polystyrene 입자를 이용하여 빠르고 대면적으로 콜로이드 결정 필름을 제작할 수 있는 슬라이드 코팅 방법을 고안하였다. 콜로이드 결정 필름의 좀 더 실용적인 응용을 향한 슬라이드 코팅 기술 확장을 위해 용매의 알코올 함량을 달리하고, flexible한 기판 위에 콜로이드 결정 필름이 코팅 되도록 기질의 성질을 변화시켰다. 알코올의 함량과 기질의 종류에 따라 코팅 된 콜로이드 결정 필름의 잘 쌓인 구조는 SEM과 반사 스펙트럼을 통해서 확인하였다. PartⅠ. Preparation of block copolymer PEM for DMFC Applied possibility of block copolymer (BCP) which is able to control the spatial distribution of nanostructure has been studied in DMFC PEM field. BCP PEM is composed of diblock or triblock whose PS block adjusts proton conductivity and permeability with degree of sulfonation and the others containing rubbery character improve mechanical property of PEM. In this study, SBS (styrene-butadiene-styrene) triblock copolymer and PS-PDMS diblock copolymer was used as DMFC PEM and was post-sulfonated. Degree of sulfonation was charaterized by IR, 1H NMR and DSC analyses. Proton conductivity, MeOH permeability and so on were measured. Also, morphological characteristic of BCP PEM through micro-phase separation was confirmed by small-angle X-ray scattering and tapping-mode atomic force microscopy. BCP PEMs were fabricated into membrane electrode assembly (MEA), and DMFC tests in passive mode show showed similar performance compare to the MEA consisted of Nafion115. PartⅡ. Slide coating of polymer colloidal crystal for optical application Recently we reported a slide coating method that rapidly fabricates large area colloidal crystal film of 3-dimensional structure using submicron-sized PS particles. Colloidal crystal structures have significant importance due to their potential application in various photonic crystal devices and were researched for increasing application possibility in this study. Alcohol-dispersed polymer particles were coated on flexible substrates which treated to change surface property. Coating of alcohol-dispersed polymer particles on flexible substrates were different with alcohol contents and analyzed the tendency. Structure of well-ordered colloidal crystal films were verified through SEM and reflectance spect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