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2년제 미용대학 전공세분화에 따른 교육과정의 분석연구 : 학과 명칭에 따라서

        이정선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79

        국문초록 2년제 미용대학 전공세분화 따른 교육과정의 분석연구 - 학과 명칭에 따라서- 이정선 지도교수 : 김춘득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용교육전공 현대사회는 연구와 교육을 통한 지식을 창의적으로 활용한 부가가치 창출이 요구되는 사회이다. 다양성과 전문성을 요구하는 사회적 흐름에 따라 전문화된 인적자원을 양성하고 지식을 창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대학 교육은 국가의 경쟁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대학 교육의 질과 방향을 결정하는 교육과정은 대학 교육의 내용을 직접적으로 반영하는 핵심요소로 다양한 인재양성을 위해서는 전공이 세분화되고 전문화 되어야한다. 교육학적인 측면에서의 미용은 예술과 철학, 과학으로 구성된 실용 예술 학문 분야로 이론적 지식 축적과 기능 습득을 위한 실질적인 교육과정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미용대학의 교육은 ‘전문미용인력양성’이라는 교육목표에 따라 현장중심의 교육체제 도입과 교수법의 개발, 미용교육교재의 개발,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정개선 및 전공세분화의 교육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전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교육기회의 급속한 팽창과 대학 교육의 대중화 등으로 2년제 미용관련 대학 역시 양적인 증가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기본이라 할 수 있는 교육과정이나 교육제도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현재까지 개설, 운영되는 2년제 미용관련 대학의 현황을 조사 분석하고, 교육과정의 운영 및 교과목의 편성이 잘 이루어져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향후 2년제 미용관련학과의 체계적인 발전과 효율적인 교과과정 운영을 위해서 필요하다. 본 연구는 미용관련학과 2년제 대학에 적합한 교육목표 제시 및 교육과정 구성을 위해서 학과현황과 교육목표, 교과목 등을 분석함으로써 바람직한 2년제 미용관련 대학의 발전방향을 모색함과 동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교육부에서 인가 받은 미용관련학과의 고등교육기관으로 전국의 미용관련학과를 설치한 2년제 대학교를 대상으로 조사기간은 2013년 1월 15일~2013년 2월 15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자료 분석방법은 수집된 자료와 내용의 결과를 토대로 빈도(N)와 백분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년제 미용대학교 미용관련학과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학과 명칭은 뷰티 디자인(아트)과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특히 미용관련학과를 운영하고 있는 기존의 대학에서는 전공을 헤어와 피부로 세분화하여 분리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계열과 학부로 명칭을 변경하여 그 안에서 전공을 분리하여 학과 명칭을 사용하는 대학교의 수가 최근 들어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지만 그 수는 아직 그리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에 따른 분포현황은 4년제 대학교는 지방에 많이 개설되어 있지만 2년제 대학교는 수도권지역에 많이 편중되어 개설되어 있다. 계열별 학과현황은 보건계열과 자연ㆍ과학계열이 주를 이루고 있다. 둘째, 2년제 미용관련학과의 교육목표는 고등교육법에 제시한 목적과 맞게 제시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러나 계열에 따른 교육목표를 분석한 결과 계열의 특징에 맞는 교육목표를 제시하기 보다는 고등교육법에 제시한 교육목적에 중점을 둔 교육목표를 가장 많이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2년제 미용관련학과의 전공 교과목을 분석한 결과 피부교과는 4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헤어교과 36%, 메이크업교과 15%, 네일교과 6%순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피부와 헤어교과는 전체적으로 고르게 분포되어 있으나, 일부학과 의 경우 전공교과목에만 편중되어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기도 하다. 특히 메이크업교과와 네일교과의 경우 낮은 편성을 대부분의 학과에서 낮은 편성을 보이고 있다. 네일교과의 경우 모든 학과에서 10%이하의 편성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네일을 전공하고자하는 학생들에게는 전공 선택에 있어 혼란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공 교과목의 경우 교육내용은 동일하지만 각 학과마다 교과목의 명칭의 표기가 학과별로 다르게 되어 있어 교과목의 이해에 있어 혼란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전문미용인력양성’을 위해서는 2년제 미용대학교의 미용관련학과는 각 전공을 분리하고 전공분리에 따른 교육과정을 개선하여 전문 미용인 양성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특히 전공세분화로 학과의 특성을 살리고 전공과목을 주된 내용으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교과과정을 운영하여 전문 미용인양성의 도움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 통합학급과 비통합학급 초등학생의 장애수용태도

        최은정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문초록 통합반과 비통합반 초등학생의 장애수용태도 최은정 지도교수: 박순길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남부대학교 통합교육 현장에서의 효과적인 통합교육을 위해서는 학급을 구성하는 교사와 학부모간의 효과적이고 유기적인 상호작용과 더불어 무엇보다 비장애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수용태도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장애학생도 나와 다르지 않다는 생각으로 한 개인으로서의 인격을 존중하며, 장애인에 대한 편견을 줄이고 나와 동등한 인격체라는 생각으로 장애학생을 대하는 태도는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통합학급과 비통합학급 초등학생의 장애수용태도를 학년별, 성별, 통합수업 경험유무별로 조사하고, 이와 더불어 통합학급 초등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장애유형별 장애수용태도를 알아봄으로써 초등학생 비장애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장애수용태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실천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통합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학급과 비통합학급 초등학생의 장애수용태도에 차이가 있는가? 가. 전반적으로 장애수용태도에 차이가 있는가? 나. 학년에 따라 장애수용태도에 차이가 있는가? 다. 성별에 따라 장애수용태도에 차이가 있는가? 라. 통합수업 경험유무에 따라 장애수용태도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통합학급 초등학생의 장애수용태도는 통합학급 장애학생의 장애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 대상은 광주광역시 광산구 소재의 초등학교 중 특수학급이 설치되어 있고 통합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학교 중 4개 초등학교의 2학년, 5학년 총 22개 학급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학년은 통합학급과 비통합학급 모두 각각 6학급, 5학년은 통합학급과 비통합학급 모두 각각 5학급씩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연구 절차는 2013년 2월 4일부터 2013년 4월 30일까지 이루어졌다. 설문조사는 연구자가 대상학교를 직접 방문하여 각 담임교사와 특수학급 교사의 협조를 얻어 배포하고 수집하였으며 설문지는 담임선생님을 통하여 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2.0으로 하였으며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학급과 비통합학급 초등학생의 전반적인 장애수용태도 차이를 비교해 보면 통합학급 초등학생이 비통합학급 초등학생보다 장애수용태도에서 더 부정적인 태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생활․학교생활․사회생활 영역 모두에서 통합학급 초등학생이 비통합학급 초등학생보다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둘째, 통합학급과 비통합학급 초등학생의 학년별 장애수용태도 차이를 비교해 보면 통합학급일 경우에는 학년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비통합학급일 경우에는 저학년이 고학년보다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생활․학교생활․사회생활 영역 모두에서 저학년이 고학년보다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셋째, 통합학급과 비통합학급 초등학생의 성별 장애수용태도 차이를 비교해 보면 통합학급일 경우에는 성별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비통합학급일 경우에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엇보다 개인생활 영역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고, 학교생활․사회생활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넷째, 통합학급과 비통합학급 초등학생의 통합수업 경험유무별 장애수용태도 차이를 비교해 보면 통합학급일 경우에는 통합수업 경험유무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비통합학급일 경우에는 통합수업경험이 없는 경우가 통합수업경험이 있는 경우보다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생활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고, 학교생활․사회생활에서는 통합수업경험이 없는 경우에 훨씬 더 긍정적인 수용태도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통합학급 초등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장애수용태도를 장애유형별로 비교해 보면 자폐성장애 학생과 청각장애 학생에 대한 장애수용태도가 지적장애 학생에 대한 장애수용태도보다 긍정적인 태도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 개인생활 영역과 학교생활 영역에서는 자폐성장애 학생과 청각장애 학생에 대한 장애수용태도가 지적장애 학생에 대한 장애수용태도보다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생활 영역에서는 자폐성장애 학생에 대한 장애수용태도가 지적장애 학생에 대한 장애수용태도보다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초등학교 저학년 뿐만 아니라 유치원 때부터 장애학생에 대한 일관되고 체계적인 통합교육이 필요하다. 그리고 통합수업 경험이 없는 학생이 통합수업 경험이 있는 학생보다 긍정적으로 수용한다는 것은 준비되지 않은 물리적 접촉의 통합교육이 오히려 비장애학생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질적으로

      • 유아교육기관의 통학차량 운영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및 요구

        박귀순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문초록 유아교육기관의 통학차량 운영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및 요구 박 귀 순 지도교수 : 신 수 경 유아교육전공 남부대학교 대학원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의 통학차량 운영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및 요구를 조사하여 영유아들의 통학차량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해 주어 통학차량 안전에 대한 중요성을 다시 한 번 부각시킴과 동시에 유아교육기관의 효과적인 통학차량 운행 방법을 모색해 볼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의 통학차량 운영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유아교육기관의 통학차량 운영에 대한 학부모의 요구는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G시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에 영유아가 재원중인 학부모 414명을 대상으로 서옥경(2012)이 구성한 설문지를 수정‧보완하여 통학차량 운영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및 요구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기술통계(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자료를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의 통학차량 운영에 대한 학부모들의 인식의 경우 차량이용에 대해서는 연구대상자의 67.9%가 차량을 이용하고 있었으며, 통학차량 지도교사 지도현황(1일 횟수)에 대한 유무 정도, 이용시간, 담임교사의 (등·하원)통학차량 지도 시 영유아 지도 현황에 대해선 유아교육기관의 통학차량 운영에 대해 잘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학차량 운행 시 교사의 어려움에 관한 학부모의 인식으로는 기관에 남아 있는 유아지도 문제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통학차량 운행의 장점으로는 일률적 등원으로 효율적인 학급운영, 단점으로는 유아들의 안전사고 및 영유아의 건강문제를 통학차량 운행의 장‧단점으로 학부모는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유아교육기관 통학차량 지도에 대한 학부모의 요구에서는 통학차량 지도자에 대한 학부모가 선호하는 통학차량 지도교사의 경우 교사 48.1%, 차량도우미 45.0%로 나타나 통학차량 지도자로서는 교사를 선호함으로 나타났다. 통학차량 지도자로서 교사를 선호하는 이유로는 69.8%가 영유아를 잘 지도하기 때문이고, 교사 이외를 선호하는 이유로는 59.4%로 영유아 지도 때문이라고 했다. 통학차량 운행 시 원에 남아있는 영‧유아의 돌봄 장소로는 영‧유아의 각 학급에서 보육 61.9%, 돌봄 교사로는 동료교사가 52.3%, 돌봄 활동으로는 실·내외 자유선택활동을 51.6%가 하였으면 좋겠다는 요구가 나타났으며, 효과적인 등·하원 지도를 위한 지원방향으로는 차량도우미 도입 및 인건비 지원이 47.4%로 나타났다. 이상의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통해 본 연구자는 아직까지 우리나라의 영유아의 학부모들이 유아교육기관의 통학차량 운행을 학부모의 편의를 제공한다는 편리함에 치우쳐 통학차량 안전 및 영유아 지도의 중요성을 깨우치지 못함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영유아를 둔 학부모들의 통학차량 이용에 대한 인식 개선이 절실히 필요함과 동시에 이에 대한 추후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 조리전공 학생들의 교육환경이 교육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정민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문초록 조리전공 학생들의 교육환경이 교육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정민 지도교수 : 김희기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조리교육전공 본 연구에서 조리를 전공한 학생들을 중심으로 조리교육환경이 교육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설을 설정함에 따라 실증적 분석을 통해 설정된 연구 모형과 가설의 검증을 진행하였다. 실증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본 연구자는 임의로 선정된 조리를 전공한 고등학생, 2·4년제 대학생(졸업생포함)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300부의 표본을 기반으로 연구모형에 대한 적합성 및 타당성 검토를 바탕으로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을 위해 SPSS/WIN 통계프로그램 Ver.22.0으로 여러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자는 현 연구에서 교육환경의 차별성이 각각의 교육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교육만족도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여 체계적이며 질 높은 교육환경으로 개선하고자 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사항에 대해 살펴보면 성별은 남자가 54.0%로 과반수 이상이었고 연령은 20대가 84.0%로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최종학력은 대졸/재학중이 82.3%로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결혼여부는 미혼이 87.0%로 압도적으로 높았다. 학년은 4학년이 54.0%로 과반수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출신 고등학교 유형은 일반계 고등학교가 71.7%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조리기능사 관련 자격증 취득 여부는 1개가 43.7%로 과반수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환경과 교육만족도 간의 관계의 경우에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조리교육환경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의 경우에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교육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의 경우에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른 학문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재학생 유지충원의 어려운 상황에서 조리전공 고등학생과 대학생 재학 및 졸업생을 관련된 연구가 이루어졌다는 점에 학문적 의의를 가진다. 둘째, 조리교육환경, 교육만족도와 진로진비행동의 변수를 가지고 동시에 영향관계를 파악해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가진다. 셋째, 조리를 전공하여 배우는 학생들의 학교에 대해 조리교육환경이 학생들에게 지각되는 교육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간의 영향관계에 기본적인 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른 실무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결과를 통해 학습자의 고등학교 및 대학교 교육에 있어 교수자 자질과 적절한 교육과정, 최신식 실습실로 인한 교육의 만족도를 확보하면 내가 관심을 가지는 적성 또는 직업에 대해 다양한 체험과 정보를 누적 할 수 있는 방향성을 가질 것이다. 둘째, 교육환경 요소를 개선하여 학생들이 좋은 환경에서 수업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사료되며, 대대적인 개선이 중요한 과제임을 시사한다. 셋째, 각 학교들의 학생상담센터에서의 진로상담 또는 지도교수 관리 아래의 모의면접시스템을 도입하여 보다 질적인 진로준비행동의 대한 보완 또는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시사된다. 본 연구는 긍정적인 시사점들을 제시함에도 불구하고 한계점을 가진다. 첫 번째, 본 연구는 표본 추출에 있어 광주, 전남, 전북의 일부지역 학생들을 위주로 연구가 진행되어 전국적인 학생들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해 일반화 하기에 한계점이 있다. 두 번째, 본 연구에 대상자들은 소속되어 있는 교육기관의 교육환경만을 접했을 뿐 타 교육기관의 교육환경에 대해 모른채로 진행되는 연구에서 명확한 결론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전국의 조리교육환경이 갖추어진 대학교를 임의로 선정하여 본 연구대상자가 소속된 학교들과 비교하여 차별성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세 번째, 본 연구는 아직 현장에 진입하지 않은 조리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리교육환경(교수요인, 교육프로그램, 교육시설), 교육만족도, 진로준비행동을 측정함에 있어 측정 문항에 제한적으로 한계점이 있으며 대상자들의 특성에 맞는 측정도구에 대한 개발의 필요함이 사료된다. ABSTRACT The Effect of Educational Environment o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oking Major Students Lee, Joung Min Advisor : Kim, Hee Kee Culinary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Nambu University In this study,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establish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were verified as the cooking education environment was hypothesize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entering on students majoring in cooking. In order to conduct an empirical study, this researcher conducted a survey of randomly selected high school students and second- and fourth-year college students (including graduates) and verified the hypothesis based on a total of 300 samples. To verify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various analyses were conducted with the SPSS/WIN statistical program Ver.22.0. This researcher aims to provide basic data to improve into a systematic and high-quality educational environment by analyzing whether the differentiation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each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general matters, men accounted for 54.0% of the gender, more than a majority, and those in their 20s were overwhelmingly high at 84.0%. The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was overwhelmingly high at 82.3 percent for college graduates/secondary students, and 87.0 percent for unmarried students. As for the grade, 4th graders accounted for 54.0% of the total, and general high schools accounted for 71.7% of the types of high schools they graduated from. As for whether to obtain a certificate related to cooking technicians, one was 43.7%, showing a majority. Second, there was a positive (+) correlation in the cas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Third, in the cas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oking education environmen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re was a positive (+) correlation. Fourth, there was a positive (+) correlation in the cas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academic significance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is of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high school students and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oking and graduates in the current difficult situation of maintaining students. Second, it has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has identified the influence relationship and conducted research at the same time with variables of the cooking education environment,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career progression flight. Third, it is considered valuable in that it presented basic data on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perceived by students for schools that learn by majoring in cooking.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f the results of the study secure the teacher's qualifications, appropriate curriculum, and satisfaction with education through the latest laboratories in high school and university education, it will have a direction to accumulate various experiences and information about the aptitude or job I am interested in. Second, it is believed that the elements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should be improved so that students can take classes in a good environment, suggesting that extensive improvement is an important task. Third, it i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or improve more qualitativ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y introducing a mock interview system under the management of career counseling or guidance professors at each school's student counseling center. Despite presenting positive implications, this study has limitations. First,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generalization because it does not sufficiently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nationwide as research is conducted mainly on students in some regions in Gwangju, Jeollanam-do, and Jeollabuk-do. Second, in order to draw a clear conclusion from a study conducted without know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other educational institutions, it is necessary to randomly select universities with cooking education environments across the country and recognize the difference compared to the schools to which this study belongs. Third, this study has limited limitations in measuring the cooking education environment (teaching factors, educational programs, educational facilities),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 students majoring in cooking who have not yet entered the field.

      • 미용고등학교 학생들의 전공만족도 및 진로에 관한 연구

        서종철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미용고등학교에 발전에 전문적인 교육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위하여 재학생들의 교육과정, 학교생활만족도, 진로인식의 성숙도에 대하여 살펴봄으로써, 효율적인 학교 교육방향에 대한 제고 및 앞으로의 진로지도의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12년 3월 현재 전국의 미용특성화고등학교 중 5개 학교를 선정하여 학교 당 50명씩 총 25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조사는 직접 각 고등학교에 방문하여 설문조사의 목적과 설문지 작성방법에 대해서 설명을 한 후 설문을 실시하여 회수하였다. 그리하여 250명 전원 설문지에 성실히 응답하여 250부 전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회수된 질문지는 각 배경 변인 별로 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검정하기 위하여 χ2검증을 실시하였다. 한편, 5점 척도로 측정된 문항은 연속형 변수로 간주하여 평균(표준편차)을 나타내었고,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분산분석(ANOVA)과 t 검증을 시행하였으며, p =. 05 수준에서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전반적인 통계분석은 SPSS 17.0을 활용하였다. 미용고등학교 재학생들의 교육과정 만족도는 보통정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3학년의 경우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3학년의 경우 대학진학 대비 교육에 중점을 두고 있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높은 점을 생각하면 현실적으로 미용고 학생들의 대학진학에 대한 관심과 미용고의 직업교육이라는 교육목표 사이에서 실제로 교육현장에서 교육과정을 어떻게 운영할 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실습 수업시간의 양이 적고, 전공별 세분화 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미용실기분야는 특성상 동시에 여러 분야를 전공하기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도 한 가지 전공에만 종사하고 있다. 그러므로 미용고에서는 미용기초교육을 공통으로 전공별로 실습을 세분화한다면 전공실습시간이 증가하여 학생들의 전문성 강화와 현장적응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미용교재로 사용하는 교과서의 적절성에 대해서는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의 이론중심의 교육과학기술부 교과서, 국가기술자격증 중심의 서울특별시 교육감 인정 능률 교과서보다는 교사재량 선택하는 교재가 더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이는 이론과 자격증 및 실기부분을 함께 다루는 수준별 교과서의 개발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수업료와 재료비 부담에 대해서는 다소 부담이 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용분야는 수업시 개인별 재료가 많이 들어가게 되는데 수업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미용재료의 공급은 필수적이다고 할 수 있겠다. 그러므로 특성화 미용고학생들에 대한 실질적인 재료비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학교생활 만족도는 조사에서 미용고등학교 입학 결정요인은 중학교 성적과 자신의 적성을 고려하여 본인 스스로 한 것으로 나타나 전문기능인으로 성장하는데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학교의 시설에 대해서는 다소 불만족스러워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열정 또한 낮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관심과 열정에 걸맞는 시설과 지원이 필요하며 특히 미용교사들에 대한 질적 향상이 필요하다. 시설이나 교사에 대한 만족독 낮음에도 미용고등학교의 추천의사가 보통정도로 전공에 대한 자긍심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진로의식 성숙도의 경우 미용고등학교를 선택한 시기는 중학교 3학년 때가 가장 많았다. 대부분 학생들이 미용고등학교 입학 전․후에 직업 적성검사를 받은 적이 없었지만 미용과가 어느정도 적성에 맞는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나 미용분야에 대한 직업 전망이 긍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미용고를 선택한 남학생들은 상대적으로 소수이지만 적성에 맞는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여학생들보다 높았으며, 미용고 학생들은 졸업 후 직업을 선택할 경우 희망하는 분야는 헤어미용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헤어디자이너들의 피부관리 지식, 태도 및 교육요구도 조사

        송경희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문초록 헤어디자이너들의 피부 관리 지식, 태도 및 교육요구도 조사 송경희 지도교수: 박철호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용교육전공 헤어디자이너들의 피부건강관리에 대한 지식, 태도 및 교육요구도를 조사하기 위해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10대 후반에서 50대 초반의 여성 헤어디자이너들을 대상으로 2012년 9월 7일부터 10월 7일까지 30일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IBM Statistic SPSS 19.0V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정리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피부건강관리 상태에 대해서는 빈도분석과 다중응답빈도분석을 실시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으며, 피부건강관리 지식은 각 항목에 대해 빈도와 정답을 구하였고, 점수의 합을 이용해 T-test와 ANOVA(분산분석)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피부건강관리 상태에서는 복합성 28.6%, 건성 26.3%, 중성 18.0%, 지성 12.2% 순이었으며, 대상자의 55.7%가 정기적인 피부상태 검진을 받지 않고 있는 걸로 나타났다. 현재 피부상태의 문제점으로는 주름살 38.3%, 기미 16.2%, 거칠음 14.2%, 모공 13.0% 순으로 나타났으며, 대상자의 64.0%가 피부관리를 받아본 경험이 있는 걸로 나타났으며, 81.8%가 비흡연자로 나타났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피부건강관리 지식은 연령이 낮을수록 지식수준이 높았으나(p=.003<.05), 50세 이상의 헤어디자이너의 경우 오랜 미용경험으로 인한 높은 지식수준을 보여주었다. 피부건강관리 상태에 따른 피부건강관리 지식은 과거에 비해 피부상태가 더 나빠졌다고 인식할수록(p<.05), 피부유형은 복합성(p<.05)인 경우 지식정도가 높았으며, 정기검진을 받지 않는 경우 지식정도가 높아져(p<.001)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피부건강관리 태도는 결혼상태에 따라 별거중인 경우 피부건강관리 지식은 낮으나 태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혼의 경우 피부건강관리 지식은 높으나 태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P<0.05). 피부건강관리 상태에 따른 피부건강관리 태도는 피부가 과거에 비해 더 좋아졌다는 경우(p<.001), 정기검진을 받는 경우(p<.001), 피부관리시 부작용을 경험한 경우(p<.005), 피부관리 경험이 있는 경우(p<.005), 음주를 안하는 경우(p<.001) 태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피부유형은 중성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4. 대상자의 60.4%가 피부건강관리 교육경험이 있으며, 피부건강관리 교육에는 관심은 많으나(많다: 38.7%, 적다: 20.8%), 대상자의 55.3%만이 교육을 원하였다. 그 이유는 시간이 없어서(35.7%)나 피부에 대한 내용을 상식으로 알고 있기 때문(22.3%)이었다. 5. 피부건강관리 교육방법으로는 개별상담 47.5%, 강의 34.8% 순이며, 교육장소로는 피부관리실 41.1%, 문화센터 36.2%를 선호하였다. 교육횟수는 주1회 44.0%, 월2회 35.5%로 나타났으며, 참여시간은 2시간 내외 42.6%, 1시간 내외 39.0%로 나타났다. 여성 헤어디자이너들은 스스로 미용전문가임에도 불구하고 장시간 건조하고 오염된 실내공기와 염색약과 같은 화학약품에 노출되어지고 있으며, 서비스업 특성상 장시간의 풀 메이크업으로 인한 피부손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는 헤어디자이너라는 직업 특성상 장시간의 노동과 밀폐된 작업공간과 같은 작업환경의 열악함으로 인하여 일반 중년여성들에 비해 헤어디자이너들은 피부건강에 관심은 많으나 구체적인 상담이나 교육은 현실적으로 어려워 상당부분 지식을 불완전한 대중매체에 의존함으로서 경험이 많은 헤어디자이너를 제외하고는 사실상 피부건강에 대한 지식정도가 높지 않음을 알 수 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부건강관리 태도 및 상태는 높다는 것은 고려하면, 헤어디자이너가 진정한 미용전문가로 자리 잡기위해서는 수준에 맞는 전문가에 의한 피부건강관리 교육이 체계적으로 실시되어져야 할 것이다.

      • 조리실습의 멘토링 기능이 학습몰입 및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부산지역 조리전공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황지현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63

        미래사회는 직업의 전문화와 다양화가 촉진될 전망으로, 학교교육에서 조리실습교육과 훈련으로 지식 정보와 사회에 적합한 인재를 육성하고 직업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교육훈련제도를 개혁하는 것이 미래를 대비하는 핵심 전략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조리실습교육의 멘토링 기능은 조리 분야의 업무에 필요한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직업교육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시대적 필요성에 의해 다양한 사회적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조리실습교육의 활성화 방안과 방법개선에 영향을 주는 교육으로서의 역할로 중요시되고 있다. 교육의 변화와 함께 조리 관련 학과를 운영하는 특성화 고등학교 및 전문화가 되어가는 전문대학 및 4년제 대학교와 대학원에 이르기까지 고등교육기관에서의 개설 비율 또한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그 질적 문제에서 적정한 수준의 유지 여부는 검토의 여지가 있는 것으로 논의되는 시점에서 바람직한 조리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리전공 고등학생에게 학습의 효율성을 멘토링 관계에서 증대시킴으로서 조리교육의 실효성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실효성은 학생이 가지고 있는 지식과 기술을 멘토링 관계에서 긴밀하고 원활하게 상호 교류함으로써 이루고자 하는 교육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조리전공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조리실습의 멘토링 기능이 학습몰입 및 진로결정에 관해 서로간의 어떠한 영향이 미치는지에 대해서 조사해 보고자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문지는 2017 년 02 월 21 일부터 2017 년 02 월 28 일까지 총 350 개의 설문지로 배포되었으며 나머지 335 개의 설문지는 불공정하게 응답 한 15 개의 설문지를 제외하고는 실증 연구에 사용되었다. 통계 처리를 위한 데이터 코딩 과정 후 SPSS 21.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 하였다. 이를 위해 멘토링 기능 요인은 상담, 코칭, 보호 및 공유와 같은 4요인으로 분류하였다. 학습 몰입은 감각, 주의집중, 자아의식, 통제, 지식 향상 및 목표향상 6요인으로 분류하였다. 분석도구로는 서술 통계 및 빈도 분석, 요인 분석, 신뢰도 분석, 교차 분석, 상관 분석 및 다중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이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설정된 가설은 모두 채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보면, 조리실습교육의 멘토링이 학생들의 수업에 참여하여 학습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학생들의 학교생활에 멘토링 기능이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조리전공 고등학생들의 조리실습교육은 조별 교육이 대부분인 집단적인 교육방법에서 부족한 조리기술에 대해 개별지도 교육방법이 학습몰입에 더 긍정적인 효과로 나타남에 큰 의의가 있다. 조리실습교육으로 학습몰입에 있어 멘토링 기능과의 관계가 더 중요시 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조리전공 고등학생들의 조리실습의 멘토링 기능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학습몰입을 높일 수 있는 진로결정을 반영한 다양성을 높인 멘토링 기능이 요구되며, 학습몰입의 성과를 향상시켜 조리전공 고등학생들의 진로결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많이 활용될 수 있도록 조리실습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해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

      • 조리실습에 대한 중요도 및 만족도 조사를 통한 조리교육의 활성화 방안 -부산지역 조리과대학생 중심으로-

        이아라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문초록 조리실습에 대한 중요도 및 만족도 조사를 통한 조리교육의 활성화 방안 -부산지역 조리과대학생 중심으로- 이아라 지도교수 김용완 학과 조리교육전공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본 연구는 조리학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조리실습 교육의 중요도와 만족도 요인간의 차이분석을 실시하고 IPA Matrix 분석을 활용하여 효율적인 조리실습 교육의 방안을 모색하는 한편, 경쟁력 있는 조리전공대학을 만드는데 전략적인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부산지역에 위치한 조리학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2016년 3월 16일부터 2016년 4월 13일까지 총 300부를 배포 후 불성실 응답자의 설문지 34부를 제외한 266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20.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으며, Microsoft Excel 2010를 사용하여 IPA matrix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조리실습교육에 관한 중요도 만족도 요인은 강사의 교육능력, 교육내용의 질, 물리적 환경으로 3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둘째, 요인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3개요인(강사의 교육능력, 교육내용의 질, 물리적 환경)의 중요도와 만족도간의 평균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응표본 t-test 결과 3개요인 모두 유의수준 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3개요인 모두 중요도에 비하여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리실습교육에 관한 측정문항별 중요도와 만족도에 대한 평균을 살펴 본 결과 조리실습교육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가 가장 높은 문항은 강사의 실기능력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조리실습교육에 대한 측정문항의 IPA Mtrix 분석 결과 1사분면에 속하는 항목들은 강사의 실기능력, 이론지식, 학생들에 대한 관심과 이해로 현재 수준을 잘 유지하는 것에만 노력을 기울이면 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2사분면에 위치한 항목들은 강의준비, 수업흥미, 인테리어로 수강생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정도는 낮으나 만족도는 높은 요소로 다른 요소에 비하여 과잉투자가 이루어진 항목으로 조사되었다. 3사분면에 위치한 항목은 교재의 적절성, 조명, 강의진행방식, 실습인원, 냉난방 및 환기시설, 조리시설, 시설물로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낮아 별다른 투자를 하기 보다는 지금 현재 상황을 그대로 유지한다면 다른 항목에 비하여 노력을 적게 기울여도 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4사분면에 위치한 항목은 강의내용, 차별화된 프로그램, 강의방식으로 중요도는 높으나 만족도는 낮은 항목으로 조리실습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개선노력을 집중해야 할 항목으로 조사되었다.

      • 미용학원 수강생들에 대한 의식 및 실태조사

        이슬비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문초록 미용학원 수강생들에 대한 의식 및 실태조사 이슬비 지도교수 : 한진섭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용교육전공 산업화가 가속화 되면서 여성의 사회활동의 증가로 여성의 경제활동이 증가하면서 여성들의 외모에 대한 관심은 더욱 높아졌다. 이렇게 미용 산업이 고 부가가치의 산업으로 각광받게 되면서 미용 산업에 종사하는 전문 인력의 수요가 급증하게 되었다. 따라서 미용 전문 인력을 양성, 배출하는 미용교육기관의 수요와 공급역시 급증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사설 미용교육기관인 미용전문교육학원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의식조사 및 미용전문학원의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와 실태 등을 연구하여 미용전문학원에 대한 개선점을 제시하고, 미용전문학원의 인식향상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하는 목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대상은 울산지역 미용전문교육학원 10곳의 수강생 276명을 대상으로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미용전문학원의 강사에 대한 만족도, 수강료, 학원 평판, 서비스 수준, 시설 및 학습 환경, 학원 평가, 만족도와 신뢰도 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 방법은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설문 형태는 리커트 5점 척도와 다지선다형 등의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통계의 처리는 SPSS v. 1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용학원 수강생의 성별 분포는 남자 13.0%, 여자 87.0%로 여자가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대 별 분포는 10대 43.1%, 20대 25.7%, 30대 17.4%, 40대 이상 13.8%로의 순서로 나타났다. 미용을 직업으로 선택한 이유는 적성과 맞아서 148명(53.6%), 주위의 권유로 47명(17.0%), 취업이 잘 되어서 40명(14.5%), 경제적인 이유로 21명(7.6%) 순으로 나타났다. 미용학원 수강요인은 ‘강사’가 평균 3.99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교육프로그램’이 평균 3.77점, ‘평판'이 평균 3.68점, ‘시설 및 환경’이 평균 3.68점, ‘서비스’가 평균 3.36점, ‘수강료’가 평균 2.90점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반적인 미용학원 만족은 평균 3.71점으로 나타났고, 미용학원 평가는 평균 3.72점으로 나타났다. 미용학원 수강요인이 미용학원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평판이 높아지면 미용학원 만족은 .246의 상승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프로그램이 높아지면 미용학원 만족은 .229의 상승이, 시설 및 환경이 높아지면 미용학원 만족은 .225의 상승이, 서비스가 높아지면 미용학원 만족은 .153의 상승이, 수강료가 높아지면 미용학원 만족은 .090의 상승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미용학원 만족의 향상을 위해서는 미용학원 수강요인의 하위요인별 교육프로그램, 수강료, 평판, 서비스, 시설 및 환경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미용학원 수강요인이 미용학원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교육프로그램이 높아지면 미용학원 평가는 .253의 상승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평판이 높아지면 미용학원 평가는 .180의 상승이, 수강료가 높아지면 미용학원 평가는 .165의 상승이, 강사가 높아지면 미용학원 평가는 .143의 상승이, 시설 및 환경이 높아지면 미용학원 평가는 .128의 상승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미용학원 평가의 향상을 위해서는 미용학원 수강요인의 하위요인별 교육프로그램, 강사, 수강료, 평판, 시설 및 환경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미용학원 만족이 미용학원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미용학원 만족이 높아지면 미용학원 평가는 .745의 상승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미용학원 평가의 향상을 위해서는 미용학원 만족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 미용전문학원의 수강요인은 강사, 교육프로그램, 평판 순으로 나타났으며, 미용학원 수강요인이 미용학원 만족에 미치는 요인은 교육프로그램, 수강료, 평판, 서비스, 시설환경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용학원 수강요인이 미용학원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교육프로그램, 상사, 수강료, 평판, 시설 및 환경요인이며, 미용학원 만족이 높을수록 학원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가 미용전문학원의 교육프로그램의 질적 향상과 수강생들에게 양질의 미용교육 서비스를 제공하여 미용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조리교육기관의 교육서비스 품질이 교육만족도와 진로에 미치는 영향 -요리학원을 중심으로-

        김민혼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63

        각종 매체를 통한 유명 쉐프의 요리하는 모습을 보면서 요리와 관련된 자기개발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여러 계층의 수강생을 위한 교육서비스 품질이 확대될 필요가 있으며, 변화하는 수강생들의 욕구와 선호도에 대응하기 위해 교육서비스 품질 요인에 따라 조리교육 후의 성과나 진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서비스 품질과 교육만족도, 진로에 대한 전체적인 관계를 파악하고, 나아가 교육서비스 품질이 교육만족도와 진로를 개선할 수 있는 목적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으로 응답자의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신뢰성과 타당성 검증을 위한 신뢰도 분석과 요인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다중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설정된 가설은 3개 영역 7개의 가설로 모두 채택되었다. 가설 검정에 대한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가설인 “조리교육기관의 교육서비스 품질은 교육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교육서비스 품질의 하위요인인 유형성, 신뢰성, 공감성을 독립변수로 하고, 교육만족도를 종속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한 결과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번째 가설인 “조리교육기관의 교육서비스 품질은 진로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교육서비스 품질의 하위요인인 유형성, 신뢰성, 공감성을 독립변수로 하고, 진로를 종속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가설인 “교육만족도는 진로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단순회귀분석을 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구의 추가분석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측정요인 간의 차이검증을 수행하여 집단 간 차이를 확인하였다. 성별에 따라 유형성, 신뢰성, 공감성, 교육만족도, 진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은 유형성, 공감성, 교육만족도, 진로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신뢰성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가지고 있다. 학문적 시사점으로는 대부분의 선행연구 직업 전문학교, 대학, 대학교를 중심으로 교육서비스 품질과 행동의도, 기호도, 만족도 등 여러 방면에서 연구되어왔으나 본 연구는 요리학원을 대상으로 교육서비스 품질을 다루고 교육만족도와 진로를 검증하여 제시하였다. 이러한 측면에서 학문적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실무적 시사점으로는 조리교육기관의 교육서비스 품질은 교육만족도와 진로에 각각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는 정확한 교육목표를 가지고 강사들이 체계화된 강의 프로그램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제시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시사점 외에도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표본 집단의 설정에서 인천지역 수강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기에 지역적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것으로 고려된다. 앞으로 연구에서는 지역별 표본추출을 통해 표본오류를 최소화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한다. 둘째, 통계적 수치에서 설명력이나 유의수준은 큰 문제가 없으나, 사회적 트랜드를 반영할 수 있는 교육서비스 품질, 교육만족도, 진로에 대한 설문문항의 보충과 함께 체계적인 조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셋째, 다양한 연령층보다는 특정적인 연령층, 집단을 겨냥해 변수들의 영향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특정적인 연령층, 집단을 겨냥해 세분화된 연구가 진행되어 타당성을 높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