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자기 효능감과의 관계 연구

        김순옥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how mother's rearing attitudes perceived by children vary by children's background variables, how children's self-efficacy vary by types of mother's rearing attitudes and children's background variables, and how mother's rearing attitudes are related to children's self-efficacy. On the ground of this theoretical background,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formulated: <Hypothesis 1> Mother's rearing attitudes perceived by children vary significantly by their background variables (gender, region, mother's academic level, domestic economic level). <Hypothesis 2> Children's self-efficacy varies significantly by types of mother's rearing attitudes (acceptance-denial, autonomy-control, non-excessive/excessive pressure for achievement). <Hypothesis 3> Children's self-efficacy varies significantly by their background variables (gender, region, mother's academic level, domestic economic level). <Hypothesis 4> There i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other's rearing attitudes and children's self-efficac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fifth- and sixth-graders, regardless of gender, in Seoul and Kangwon Province in consideration of both municipal and agricultural environment; a total of 480 copies―240 for each region―were distributed and 459 were used for analysis, with the exception of those with improper responses. The revision and complement of the questionnaire containing 33 questions about rearing attitudes and 24 about self-efficacy were used as instruments of this study. As for data processing, an SPSSWIN 12.0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to carry out frequency, percentage, t-test, F-test, Scheffe test as pos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fter testing of <Hypothesis 1>, girls were more likely to perceive mother's rearing attitudes to be autonomous and pressure for achievement to be excessive than boys; children at cities were more likely to perceive mother's rearing attitudes to be more acceptive than those at rural communities,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other's academic level and the domestic economic level. After testing of <Hypothesis 2>, children's self-efficacy was significantly high if mother's rearing attitudes were acceptive and autonomous with excessive pressure for achievement. After testing of <Hypothesis 3>, girls got higher scores for self-controlling efficacy than boys,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Children at citi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controlling efficacy, task difficulty preference, and the entire self-efficacy as compared with those at rural communities. As for the domestic economic leve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controlling efficacy and the entire self-efficac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other's academic level. After testing of <Hypothesis 4>, there was gener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other's rearing attitudes and children's self-efficacy. As a result, children can have their self-efficacy improved when their mother has acceptive and autonomous rearing attitude with excessive pressure for achievement. To improve children's efficacy, rearing attitudes should be acceptive and autonomous with pressure for achievement. Mother's rearing attitudes play the most important role in improving children's self-efficacy.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아동의 배경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또한 아동의 자기 효능감은 어머니의 양육태도유형과 아동의 배경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자기 효능감 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밝혀보고자 하는데 있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근거로 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아동의 배경변인(성별, 지역, 어머니의 학력수준, 가정의 경제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2> 아동의 자기 효능감은 어머니의 양육태도유형(수용-거부, 자율-통제, 성취압력 비과잉-과잉)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3> 아동의 자기 효능감은 아동의 배경변인(성별, 지역, 어머니의 학력수준, 가정의 경제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4>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자기 효능감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있을 것이다. 본 연구 대상은 서울과 강원도내의 초등학교 5, 6학년 남·여 아동으로서 도시와 농촌을 고려하여 각각 240명씩 480부를 배부하여 부적절한 것을 제외하고 459부를 본 연구의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측정도구로는 양육태도검사 33문항과 자기 효능감 검사 24문항의 질문지를 연구 대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통계프로그램인 SPSSWIN 12.0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t검증과 F검증, 사후검증으로 Scheffe검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 1 >의 검증결과,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여자아동이 남자아동보다 어머니의 양육태도를 자율적이고, 성취압력을 과잉적으로 지각하고 있으며 도시지역 아동이 농촌지역 아동보다 어머니의 양육태도를 수용적으로 지각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어머니의 학력과 가정의 경제수준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2 >의 검증결과, 아동의 자기 효능감은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수용적이고, 자율적이며, 성취압력이 과잉적일 때 유의하게 높았다. < 3 >의 검증결과, 자아조절 효능감에서 남자아동보다 여자아동이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도시지역아동이 농촌지역아동보다 자아조절 효능감, 과제난이도선호, 자기 효능감 전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가정의 경제수준에서는 자아조절 효능감과 자기 효능감 전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어머니의 학력수준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4 >의 검증결과,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자기 효능감 간에는 대체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수용적이고 자율적이며 성취압력이 과잉적일 때 아동의 자기 효능감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아동의 효능감 신장을 위해서는 양육태도가 수용적이고 자율적이며 성취압력을 과잉적으로 하여야 한다. 그리고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아동의 자기 효능감 신장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Salmonella typhimurium의 Nucleotide reductase를 코드하는 nrd유전자의 클로닝 및 발현

        김순옥 慶北大學校 大學院 1990 국내박사

        RANK : 247631

        Salmonella typhimurium에서 ribonucleotide를 deoxy ribonucleotide로 전환시키는 nucleotide reductase(EC 1, 17, 4, 1)를 코드하는 nrd유전자를 shotgun 방법으로 클로닝하였다. S. typhimurium의 염색체 DNA의 3-10Kbp의 Pst I 단편을 pBR322의 동일 제한 부위에 삽입한 후, Escherichid coli 온도 감수성 nrd변이주 SO3490을 숙주로 하여 42℃의 non-permissive 온도에서 생성되는 colony를 형질전환주로 분리하였든 바(E. coli KM701), 3.8Kbp의 외래유전자 단편이 삽입된 hybrid plasmid pSK1이 분리되었다. 결실과 subcloning을 계속하여 nrd유전자가 삽입된 단편의 중간영역, 즉 EcoRI/PvuI 부근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게되었으며 minicell 실험결과 denatured 효소단백의 분자량이 58KDa. 이었다. 형질전환주 E. coli KM701을 42℃의 non-permissive온도에서 6시간 배양했을때의 효소역가는 permissive 온도인 30℃에서 배양했을때에 비해 2배 정도 높았다. 그러나 12시간에서 24시간까지 계속 배양했을때는 30℃에서 배양했을때의 활성정도로 낮아졌다. Cofactor로서 coenzyme B12를 20-30uM, 수소이온 공여체로 DTT를 20mM 농도로 첨가했을 때 효소역가는 가장 높았다. dCTP, dGTP, dTTP를 0.1mM 농도로 효소반응액에 첨가했을 때 약 50% 정도 효소활성이 높았으나 ATP와 dATP는 같은 농도에서 10-50%로 활성이 저해되었다. EDTA는 10mM에서 효소활성의 90%를 저해한 반면 Na-Azide, pCMB, mercaptoethanol, urea는 100mM농도에서까지도 저해되지 않았다. 또 Salmonella의 nucleotide reductase는 di-phosphate수준에서 nucleotide를 환원하며 E. coli nucleotide reductase B1 단백의 allosteric polypeptide로서의 기능은 발현되면서 B2단백의 ferric 의존 활성이 상실되고 adenosylcobalamine(coenzyme B_(12))의 공존시 활성이 상승하는 것으로 보아 adenosylcobalamine 의존성으로 생각되었다. 제한효소부위와 부분적인 nucleotide sequence의 상동성이 나타나는 좌위를 E. coli nrd gene과 비교한바, 클론된 Salmonella nrd 유전자는 E. coli의 nrdA complementation 유전자만으로서 발현이 가능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 호흡명상이 초등학생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

        김순옥 대전대학교보건스포츠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호흡명상이 초등학생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실험연구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 the effect of breathing meditation on the decrease of elementary students' stresse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following research hypotheses are stated. First, Breathing Meditation would decrease the level of stresses connected with personal life. Second, Breathing Meditation would decrease the level of stresses connected with family life. Third, Breathing Meditation would decrease the level of stresses connected with school life. Fourth, Breathing Meditation would decrease the level of stresses connected with social lif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wo sixth grade classes with 40 students in G Elementary school, Chungcheongnam Do. After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ook the pretest, during the ten minutes the experimental group appreciated meditation music for 3~5 minutes and practice Breathing Meditation for 5 minutes 5 days a week for 5 weeks in self-regulated study time. The control group did self-regulated study. After the experiment,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ook the post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through these procedures are followings. First, Breathing Meditation is effective to decrease the level of stress in all areas. Second, Breathing Meditation made positive results to decrease the level of the stresses connected with teachers and classmates in their school life. In sum of these conclusions, Breathing Meditation made positive change in all area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tresses and shows the need to use it in the school field positively.

      • 지역아동센터의 야간보호서비스 이용만족도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김순옥 가야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을 대상으로 야간보호서비스 이용만족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요인으로 생각되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변수로 사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지역 전체 지역아동센터 204개 중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아동·청소년 야간보호서비스를 제공받는 기관 중 14개소와 지자체 사업으로 야간보호서비스를 받는 기관 중 10개소를 임의 표집하여 초등학교 4학년이상 중학생 220명을 대상으로 자료수집을 하였으며 측정도구는 Likert식 척도로 구성하였다. 질문지 설문조사를 한 것을 바탕으로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t-test와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과 소벨테스트(Sobel test)과정을 거쳤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은 일반적으로 성별이 남자 43.2%, 여자 56.8%로 여학생이 많았고, 중학생 54.6%, 초등학생 고학년이 45.5%로 중학생 비율이 더 높았다. 부모님의 직업형태는 ​‘맞벌이다’가 68.6%로 높은 비율을 나타났다. 지역아동센터 야간보호서비스 이용만족도는 평균 4.36으로 이용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은 전체의 평균이 3.45로 학교생활적응이 높은 편이었으며, 학업적 자기효능감 전체의 평균이 4.02로 학업적 자기효능감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야간보호서비스 이용만족도는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성별과 본인 주장 표현정도, 학교생활 만족도에 따른 야간보호서비스 이용만족도의 차이는 유의미하였으나, 학년, 동거가족, 부모님의 직업형태, 학업성적에 따른 차이는 유의수준 5%에서 유의미하지 않았다. 넷째, 야간보호서비스 이용만족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물리적환경과 또래관계 순으로 학교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자기조절효능감과 자신감이 학교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자기조절감과 자신감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섯째,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야간보호서비스 이용만족도와 학교생활적응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에 있어서 야간보호서비스 이용만족도가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 관계 역시 높아졌지만,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매개효과로서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일부 영향을 주었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지역아동센터의 야간보호서비스 이용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시설환경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학교생활적응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높여야 한다. 셋째,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들이 맞벌이 하는 부모님이 많은 관계로 학교생활적응에 필요한 교육적 환경들이 부족한 편이고 야간보호서비스를 이용함에 있어 이러한 교육적 프로그램이 더욱 다양하게 개발이 되어야 한다. 넷째, 지역아동센터에서 야간보호를 담당하는 교사의 역량과 프로그램 교사들의 수를 늘려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atisfaction of night care service use on school life adjustment with children using Community Child Care Center and to verify such effects using as a parameter academic self-efficacy, which is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factor that works on school life adaptation of children using Community Child Care Center. To this end, 14 centers providing child & youth night care service funded by Community Chest of Korea and 10 centers providing night care service as part of local government project were randomly sampled from a total of 204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in Busan area. Then, data were collected from 220 night care service users at the selected centers who are upper elementary students (4th grade and above) or middle school student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students and the items in the survey were measured with a Likert-type scale.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was processed using SPSSWIN 21.0 for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more female students using night care service at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with male students accounting for 43.2% and female students for 56.8% of total users. The ratio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upper grade elementary students using night care service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as both groups respectively accounted for 54.6% of total users. As for the form of occupation of the parents, ‘joint bread-winners’ recorded a high ratio at 68.6%. The average satisfaction rate of night care service at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was 4.36, indicating that user satisfaction is high.   Second, the average school life adaptation score of the students using night care service at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was 3.45, indicating a relatively high adaptation rate. The average academic self-efficacy score of the students was also high at 4.02.   Third, examining the satisfaction of using the night care servic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 user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satisfaction depending on student users’ gender, level of self-assertiveness, and satisfaction of school life. However, the differences depending on student users’ grade, cohabiting family, parents’ form of occupation, and scholastic performance were not significant at a significance level of 0.05.   Fourth, in terms of the effects of satisfaction of using night care service on school life adaptation, the physical environmen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chool life adaptation, followed by the student users’ peer relationship.   Fifth, in terms of the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on school life adaptation, self-regulation efficacy and self-confidence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school life adaptation, implying that the higher the sense of self-regulation and self-confidence in student users of night care service at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the better they are at adapting to school life.   Sixth, examining the mediation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users’ satisfaction of night care service at the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and their school life adaptation, the students’ school life adaptation increased with higher satisfaction of using the night care service, but their academic self-efficacy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as a mediating variable, showing only partial effec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irst. in order to increase the student users’ satisfaction of night care service at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facility environment of the centers.   Second. in order to raise the school life adaptation of students using night care service at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ir academic self-efficacy.   Third, because a large number of students using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have parents who joint bread-winners, there tend to lack the educational environment necessary for school life adaptation. Thu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as part of the night care service.   Fourth, in addition to enhancing the competence of teachers in charge of night care service at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the number of program teachers at the centers should be increased.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that will complement this study are as follows: Because there was no ready-made questionnaire that has been validated to measure user satisfaction of night care service at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the researcher had to add certain items to and reconstruct the questionnaire for user satisfaction of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questionnaire that compensates the inadequate parts of existing general questionnaire, and have it tested for validity. In addition, it was difficult to grasp the students’ school life adaptation in detail because the study was conducted as a survey research and the participating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the questionnaire was low, which led to unfaithful responses and relatively long time to complete the survey.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for future studies to carefully consider preparing graded questionnaires according to grade and conduct long-term experimental research that includes before and after comparison and analysis.

      • 청각장애인의 사회통합 요인에 관한 연구

        김순옥 백석대학교 2007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lve into the social integration of hearing-impaired people. Existing studies have mostly dealt with the social integration of the disabled and made an academic contribution in one way or another. Yet few studies have ever centered around the social integration of hearing-impaired people, and this study made a new attempt to focus on it. Earlier studies on the disabled have primarily focused on labelling theory and the concepts of prejudice, discrimination, social isolation or estrangement in pursuit of the development of welfare policies and programs, and there is a tendency to overlook the hearing- impaired. In this study, the above-mentioned concepts and theory were applied, and 'the deaf culture' of the hearing-impaired was discussed in a profound manner at the same time. The word social integration has long been used over the past five decades without facing any significant challenges in the sectors of welfare for the disabled and special education, but that has mainly been used in association with the phases of academic development. In modern society, there is a more extensive and deepe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abled and society, and that term should consequently be replaced with another concept of social inclusion. As a matter of fact, the former was used in this study without any modification to avoid any possible conceptual confusion, but the latter was virtually given more weight. Besides, this study argued that the social inclusion of hearing-impaired people wouldn't be complete without letting them enjoy 'their citizenship' fully or almost fully in daily routine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lives. That is the best explanation of the concept of social inclusion. After this argument was selected as the framework of the study, several subjective and objective hypotheses about the social integration of the hearing-impaired were formulated. It's attempted to analyze what factors affected the successful social integration of the hearing-impaired and their life satisfaction, and how the interaction of the factors impacted their social inclusion was investigated to make it possible to devise efficient strategies geared toward stepping up their social inclusion, to make a suggestion about policy setting regarding the enlargement of social-inclusion opportunities for the hearing-impaired, and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relevant program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00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who were at the age of 18 to 75 in Western age and selected from among congenitally and severely hearing-impaired people. They were surveyed at associations for the hearing-impaired and churches for the deaf and dumb across the nation, including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or three months from late December 2006 through late March 2007. And the answer sheets from 248 people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general characteristics, those who were hearing-impaired due to disease made up the largest group that accounted for 63.2 percent. 71.7 percent didn't receive lip-reading education, whereas 82.9 percent received sign-language education, which showed that they universally relied more on sign language than on lip-leading for communication. Concerning the form of housing, the largest group that represented 55.5 percent resided in multifamily houses like apartment or row house, and their families were mostly nuclear families. Regarding occupation, 28.5 percent, the greatest percentage, were unemployed and homemakers. 43.7 percent, the largest group, cited their own financial state as the biggest difficulty they faced, which had something to do with their occupation. As to income distribution, more than half were in the low-income brackets by earning one million won or less. So unemployment, financial trouble and low income were found as the common economic phenomena among them. Second, whether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were linked to their social inclusion or not was investigated after social inclusion was divided into two: strong inclusion and weak inclusion. Involvement in local community and sustained employment were selected as the variables of the strong social inclusion, and satisfaction level with the quality of life was selected as a variable of the weak social inclusion. In regard to the influence of personal characteristics on their involvement in local community, activities of daily living, satisfaction with job and job stability mad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o that. As for what affected their sustained employment, the form of occupation mad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o that. In other words, what occupation they had exercised an influence on whether they currently worked or not. As a matter of fact, however, they weren't in the same situation, and it's not advisable to look at it as a decisive factor. It could just be interpreted that there wa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ncerning the impact of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n life satisfaction level, only activities of daily living exerted an influence on it. Namely, activities of daily living was the only personal characteristic that affected the life satisfaction level. When only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were take into account, the strong social inclusion could be guaranteed by successful activities of daily living, strong job satisfaction and job stability, and their personal life satisfaction was under the influence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i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about the relationship of socio-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o social integration, and that produced somewhat different results. As for the impact of socio-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n the strong inclusion(involvement in local community), tha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relationship with family, relationship with friends and accessibility to amenities. Specifically, the hearing-impaired people were more involved with local community when they were more supported by their families, when they were closer to friends, and when they found it more satisfactory to have access to amenities. However,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were found not to have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to their sustained employment, which was the other variable of the strong social integration. In other words, whether they continued to work or not wasn't affected by relationship with family and friends, support from others or accessibility to amenities. But it's not the case for the influence of the socio-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n the weak social inclusion(satisfaction with the quality of life). The relationship with family and accessibility to amenities exert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at, though the variables didn't have a strong impact.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re is a suggestion about relevant policy setting. In a word, the social integration of the hearing-impaired is a very abstract task, and that it couldn't be achieved merely by improving their living standard or financial backing. This task requires differentiated policies and strategies, and a supply of universal service or support ordinarily given to the disabled cannot guarantee the accomplishment of the task. The ways to expedite successful social integration could be suggested as below: First, the hearing-impaired should be given more opportunities to receive education. Colleges should hire sign language interpreters who are knowledgeable about the major fields of study preferred by the hearing-impaired so that they could boost their expertise. Their improved expertise is likely to make it easier for them to get a job after graduation, to lead a more satisfactory life, and ultimately to be more swiftly integrated into society. Second, the hearing-impaired should be given more opportunities to be employed. They should be helped to develop their potentials to fit into society as eligible members. There should be stepped-up efforts to have the right understanding of the hearing-impaired and to expedite their job expansion. It's needed to evaluate their abilities, provide them with job training and facilitate their employment to ensure even the job security of people with severe hearing impairment, and sustained post- management efforts should be made to keep helping working hearing-impaired people in consideration of the level of disability, work environments and adjustment level. Thus, the kinds of programs that could provide prolonged support for the hearing-impaired to be employed, stand on their own feet and lead a satisfactory life at work should be developed. Third, strategic support should be provided to social welfare agencies. Not only job rehabilitation programs but extensive rehabilitation services that are comprehensive of socioeconomic, educational, medical and occupational aspects should be supplied to step up the social integration of hearing-impaired people. Fourth, post-management policies should be formulated. A supply of sustained post-management services should be guaranteed, and organizations concerned should make concerted efforts to back up the job rehabilitation of the hearing-impaired. A variety of jobs should be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their abilities and characteristics by exploring relevant information and making a job analysis so that they could have more chances to work as professionals. Fifth, the way people look at the hearing-impaired should be changed, and there should be more dynamic communication between them. A lack of mutual communication results in fortifying people's prejudice against them, and they have a lot of difficulties in relationship with colleagues because of that. They are left out in terms of vision sharing, information acquisition and promotion, and they have a harder time at work than non-disabled people. It's important to tackle problems such as underpayment and a shortage of employment opportunities, and what equally matters is to improve their communication at work. A smooth communication will allow them to be well informed, to show what they can do, to get promotion and eventually to lead a better life. Their improved life satisfaction will curb their turnover. Thus, institutional measures should be taken to guarantee their successful life at work to realize their social integration as early as possible. Sixth, the kinds of environments that stimulate deaf-and-dumb people to stand on their own feet should be created. More amenities should be installed in the fields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to boost their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mentoring projects and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ervices should be reinforced to bolster their relationship with colleagues. Local networks available should be put to use, and social welfare agencies and local community should offer better services both in quality and quantity to ensure the job security of the hearing- impaired. Seventh, local community should join forces with organizations concerned in stepping up the social integration of the hearing-impaired. The social integration is the ultimate ideal and goal of the hearingimpaired. The government should earmark plenty of budget for the development of a variety of sociocultural, educational, medical, rehabilitation and welfare programs in order for them to benefit from more productive and differentiated services to lead a decent life as eligible members of society. Eighth, the sorts of welfare services that address the needs of hearing-impaired women and back up their role performance at home and society should be provided. The government should take bold measures to lend extensive assistance to working hearing-impaired women in terms of marriage, pregnancy, childbirth, child raising and child education. They should be helped to work in a safe and satisfactory manner, and gender discrimination should be rooted out. At the same time, it's needed to take institutional measures for female hearing-impaired job seekers to be relieved in the event of facing any discrimination. 본 논문의 핵심 주제는 「청각장애인의 사회통합 요인에 관한 연구」이다. 종래의 연구는 일반적으로 장애인의 사회통합에 관한 것이 그 주류를 이루었고, 나름대로 학문적인 기여를 하였다. 그러나 아직까지 ‘청각장애’인의 사회통합에 관한 연구를 시도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본 논문은 새로운 시도가 된다. 종전의 장애연구에서는 편견, 차별, 사회적 격리, 거리, 낙인론 등의 개념이 전반적인 장애인복지정책,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에 상당한 무게를 가지고 적용되었으나 청각장애인의 문제는 다소 소홀히 취급된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장애 영역에 관한 연구에서 사용되었던 이론과 개념을 사용함과 동시에 청각장애인의 ‘농문화’에 관한 심도 있는 논의도 시도 하였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지난 50여년 간 장애인복지와 특수교육에 의해서 거의 독보적으로 도전을 받음 없이 사용되어 왔던 사회통합(social integration)의 개념은 나름대로 시대적인 학문적 발달의 단계를 제시하는 것이기 때문에 장애인과 사회와의 관계에 대한 이해의 폭이 넓어진 현대에 와서는 사회통합 보다 장애인의 사회통합 과제의 포괄적인 현상을 설명해주는 사회포함(social inclusion)이라는 개념으로 대체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는 개념으로 대체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는 개념상의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사회통합을 그대로 사용하였으나 사회포함에 무게를 더 두었다. 동시에 이 개념을 가장 잘 설명해 주는 것이 ‘청각장애인의 시민적 권리’ 즉, 경제, 사회, 문화적인 생활면에서 완전한, 또는 완전에 접근하는 시민적 권리가 실현되어야 원만한 사회포함이 이루어질 것이라는 이론을 제시하였다. 위와 같은 이론을 연구의 기본 틀(framework)로 정하여 청각장애인의 사회통합에 관한 몇 가지 주관적 및 객관적 가설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청각장애인들의 바람직한 사회통합에 미치는 여러 가지 요인들을 분석하고, 이 요인들이 현재 자신의 삶의 만족과 비교하여, 이것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각 요인들 간의 상호작용으로 사회적 통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여 사회적 통합의 기회를 높이는 전략을 구상이 가능토록 하였다. 이것은 청각 장애인의 사회통합 기회를 확대시킬 정책 제안과 프로그램 개발의 적절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것에 있다. 본 연구는 서울 ? 경기권 및 그 외 지방의 청각장애인협회 및 농아교회에서 2006년 12월 말 부터 2007년 3월 말 까지 3개월간의 기간에 걸쳐 선천적 또는 중도 청각장애인 중, 만 18세부터 만 75세까지의 청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설문조사는 총 300 케이스를 조사하였으나 248 케이스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인 특성을 살펴보면, 응답자 중 질환에 의한 청각장애 발생자가 가장 많은 63.2%를 보였다. 또한 71.7%의 응답자가 구화교육을 받지 않은 반면, 82.9%가 수화교육을 받은 적이 있다고 응답하여 보편적 의사소통 방식이 구화보다는 수화에 의존하는 경향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주거형태는 아파트나 연립주택과 같은 공동주택이 55.5%로 가장 높았으며, 대체로 핵가족의 형태를 띠고 있었다. 직업의 경우 무직이나 무학의 주부인 경우가 30.4%로 가장 높았으며, 이와 연결하여 경제적인 어려움이 가장 크다고 응답한 비율이 43.7%로 가장 높았다. 응답자의 소득분포의 경우 과반 수 이상의 응답자가 100만원 이하의 저소득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직업과 경제적 어려움, 저소득의 형태가 청각장애인의 일반적인 경제적 상황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개인적 특성과 사회통합과의 관계에 대해서, 먼저 사회통합을 강한 사회통합과 약한 사회통합으로 구분하였다. 강한 사회통합에는 지역사회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여부와 직업의 유무를, 약한 사회통합에는 삶의 질에 대한 만족도를 설정하였다. 청각장애인의 지역사회 참여정도에 미치는 개인적 영향요인에는 일상생활 능력과 직장생활의 만족도, 그리고 직업의 안정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한편 직업 활동의 유무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직업의 형태가 통계적 유의미성을 보여주었다. 즉 어떤 직업을 갖는지가 현재 직업 활동을 하고 있는지에 영향을 준다는 결과이지만, 변수의 성격이 단일하지 않기 때문에 이를 단선적인 결정요인으로 보기는 어려우며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는 정도의 제한적인 해석만을 가능하게 한다. 개인적 특성과 삶의 만족도와의 영향관계에 대해서는 오직 일상생활능력의 정도만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개인의 특성 중 일상생활의 능력의 정도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결국 개인적 특성에 국한하여 볼 때, 사회통합에 미치는 요인에는 일상생활의 능력정도와 직장생활의 만족도, 직업의 안정성이 강한 사회통합으로 이끄는 반면, 개인의 사적인 만족감에는 일상생활의 능력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사회환경적 특성과 사회통합과의 관계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의 결과는 이와는 다소 상이한 결과를 보여준다. 먼저 사회환경적 특성이 강한 사회통합(지역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가족과의 관계정도, 교우관계의 정도, 편의시설 이용의 용이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가족 내 지지체계의 형성 여부가, 교우관계의 밀착도가, 편의시설의 용이성에 대한 개인의 만족감이 높을수록 지역사회참여라는 사회통합 정도가 높다고 하겠다. 그러나 사회환경적 특성이 또 다른 강한 사회통합 변수인 직업 활동의 유무에 대해서는 통계적 유의미성을 발견할 수 없었다. 다시 말해 가족이나 교우관계, 타인원조의 정도, 편의시설 이용성이 직업 활동을 지속하는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점을 보여준다. 사회환경적 특성이 약한 사회통합(삶의 질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강한 사회통합과는 달리 가족과의 관계정도와 편의시설 이용 용이성이 높은 유의미성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변수 간 영향력 관계가 크지는 않았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한 정책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청각장애인의 사회통합은 매우 추상적인 과제이기 때문에 단순히 경제적인 향상이나 그 지원만을 통해 달성될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차별화된 정책에 따른 전략을 필요로 하는 과제이기 때문에 단순히 보편적인 장애인 서비스나 지원만을 통해 달성될 수 없다는 점이다. 사회통합과 긍정적으로 관계있는 요인들을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교육의 기회가 확대되어야 한다. 청각장애인들을 위한 전공분야의 전공과 관련된 수화통역사를 배치하여서 농인들의 전문지식이 충분하도록 하여야 하며 졸업 후 취업과 연계될 수 있어서 청각장애인들의 삶의 만족도도 높이질 것이고 사회통합이 더 빠른 속도로 이루어질 수 있기에 적극적인 정책이 마련 될 필요가 있다. 둘째, 청각장애인 취업의 기회가 확대되어야 한다. 잠재능력을 개발시켜 사회의 올바른 구성원으로 정착 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청각장애인에 대한 이해와 적극적인 고용창출을 도모하여야 할 것이다. 직업능력평가, 직업적응 훈련과 지원고용으로 중증청각장애인에게 안정된 직업생활을 유지하도록 하고, 취업이 확정된 청각장애인을 대상으로 개인의 장애정도, 직장환경, 직업적응도 등을 고려하여 사후관리 계획을 통하여 청각장애 근로자들이 직장생활에 만족하도록 지속적인 지원 프로그램을 연구?개발 할 수 있도록 정책적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사회복지기관/시설의 전략적 지원이 있어야 한다. 전략적 지원은 단순히 직업 재활 프로그램에만 의존할 것이 아니라 사회 문화적?교육적?의료적?직업적 재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청각장애인의 사회통합을 지원해야 할 것이다. 넷째, 사후 관리 정책이 있어야 한다. 지속적인 사후관리를 통한 지원강화가 요구 될 것이다. 특히 취업분야에서, 지역사회 내 직업재활지원의 개발 및 효율적 활용을 위한 연계활동을 모색하여야하며, 청각장애인에게 적합한 직종개발을 위한 관련 정보 및 직무분석과 전문직 취업을 위하여 청각장애인의 능력 및 특성을 고려한 직종개발을 하여야한다. 다섯째, 인식 개선과 의사소통(Communication) 개선이 되어야 한다. 의사소통 장애로 인하여 부정적인 사회인식을 고착화 시킬 뿐 아니라 아니라 동료들 간의 관계의 형성과 유지에 많은 어려움을 가중 시키고 직장에 대한 비전이나 정보에 대해서 소외당하고 있으며 승진 대상에서 제외 당하면서 비장애인들보다 더욱 힘든 직장생활을 하게 만든다. 따라서 ‘저임금’ ‘고용 기회의 창출’도 문제이지만 직장 내에서 의사소통의 장애를 없애고, 청각장애인 당사자가 차별 없이 회사에 대한 정보를 습득하고 경력과 능력을 인정받아 당당히 승진 할 수 있다면 청각장애인들의 삶의 만족도가 높여져서 ‘이직’도 줄어들 것이고, 건전한 직장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를 마련한다면 보다 더 빠른 시일 내에 청각장애인의 사회통합이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여섯째, 농인의 자립 환경 개선이 되어야 한다. 기본적으로 일상생활이 가능할 수 있도록 교통, 통신 등의 편의시설을 확충하고 교우관계를 증진할 수 있는 멘토링 사업이나 완벽한 수화통역 서비스를 제공함에 보다 적극적으로 실시하여야 하며, 또한 지역사회 네트워크의 활성화 등의 사업이 요구되어야 하기에 적극적인 정책 방안이 필요하다. 사회복지기관 및 시설 면에서 청각장애인들의 직업에 안정성과 사회 환경적인 서비스의 질과 양의 요인들을 위한 정책적인 노력과 제언의 실질적인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일곱째, 지역사회의 참여를 강화하여야 한다. 청각장애인의 사회통합은 청각장애인에게 있어서 가장 궁극적인 이념과 목표로서 사회의 성원으로서 사회가 인정하는 생활양식과 기회에 참여하여 단순한 경제적 지원이 아니라 생활상의 주관적 경험을 보다 긍정적이고 적극적이며 생산적인 역할을 유도할 수 있는 차별화 된 서비스를 제공?지원하기 위해서 교육적, 의료적, 재활서비스 프로그램과 사회적, 문화적, 복지서비스 프로그램 개발비 등의 예산이 충당될 수 있도록 정부의 충분한 예산이 편성되도록 적극적인 정책방안이 필요하다. 여덟째, 여성청각장애인의 특별한 욕구를 반영하고 여성청각장애인이 가정에서 가정역할과 사회에서 사회역할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복지서비스가 제공되어야한다. 직업농인여성일 경우에 결혼, 임신, 출산, 육아, 교육에 이르기까지 적극적인 정부의 정책이 마련되어야 하며 특히 청각장애 여성들에게 직장 내에 안전하고도 만족감을 줄 수 있도록 하며 성 차별을 예방하며 고용할 때도 여성농인에게 차별적 요인들이 발생했을 경우 문제를 제기하고 구제할 수 있는 조치도 마련되도록 제도적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 J.Dewey의 倫理思想에 관한 硏究

        김순옥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thesis, it is understood and interpreted that John Dewey's theory of empirical ethics is based on a new interpretation about the human experience. Dewey's interpretation i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standpoints and views. He discovered an active aspect in human experience, and on the basis of it, elucidated the growth of human nature - in his word, the growing of it - by the reconstruction of human experience, which makes human experience to grow up and be perfect. The growing human nature with the reconstruction of human experience gives us a new possibility in the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human being. Dewey presented two essential parts which are the trying and the undergoing in the understanding about the nature of human experience. The former is the active, and the latter is the passive. Dewey understood the reconstruction of human experience on the basis of three principles, that are principle of growth, the principle of continuity, and the principle of interaction. As newly interpreted by him, experiences overcome individual and subjective trends by virtue of reconstruction and the following growth and get to have universality and objectivity. Therefore, they are the process of behaviors, problems seeking, actions and reconstruction in the interactions between man and environment, and the process equals growth. According to the theory of Dewey's empirical ethics, the good is not the perfection, but the perfecting growth. For Dewey, who regarded the experience in the human life as the life activity in the interaction between human being and environment, the growth is the reconstruction of experience. Here the ethical ideal is given, that is to say, "only the growth itself is moral aims". In Dewey's theory of the experience and the growth, we meet the human being, who interacts actively with his environment, reconstructs his experience, and grows for himself. In this human being, the good is not 'the good', but 'the better', this is the growth itself, namely the growing good. Dewey's ethics is the growth theory and humanism based on experiences. By making a bold escape from the traditional ethics in the past, he established ethics as <human science> or <science of human nature>, investigating human behaviors in the circumstances of interactions happens humans, the living organisms, and the environment. When the goal of education is said to be completion, the idea of completion should reflect the enough interactions and integration between human and environment. We are living in the age of mechanization and egoism when the right judgment is so hard to make. We can search for the good, acquire truth, and realize human nature in a human way of life as we do positive and active interactions with the situations and environment that we see, hear and go through every day based on Dewey's ethics, which proposes that humans grow resolving real problems in the interactions with the natural and social environment. The significance should be found in our searching for the good, acquiring truth, and realizing human nature in a human way of life. J.Dewey 철학의 핵심은 경험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다. 경험에 대한 전통적인 철학적 입장 및 견해들과는 달리, 듀이는 경험의 능동적인 면을 발견하고, 이에 근거하여 경험을 성장시키고 완전하게 하는 재구성에 의한 인간성의 성장에 관해 해명하고자 했다. 성장하는 인간성은 인간을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이다. 인간성에 대한 새로운 해석은 인간다운 삶의 길인 윤리에 대한 새로운 입장과 견해를 가능하게 한다. 경험에 대한 전통적 입장 및 견해들과는 달리, 듀이는 경험의 본질을 이해하는 두 가지의 요소로 ‘해보는 것(trying)’이라는 능동적 요소와 ‘겪는 것(undergoing)'이라는 수동적 요소를 제시한다. 듀이는 경험을 성장시키고 완전하게 하는 경험의 재구성(Reconstruction of Experience)을 성장의 원리(the principle of growth), 계속성의 원리(the principle of continuity), 그리고 상호작용의 원리(the principle of interaction)에 입각하여 파악하고 있다. 듀이에 의해 새롭게 해석된 경험은 개별적이고 주관적인 경향을 재구성에 의한 성장으로 스스로 극복함으로써 보편성과 객관성을 갖게 된다고 한다. 그러므로 경험이란 인간과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나타나는 행동의 과정이고 문제 탐구의 과정이며 경험을 재구성해 가는 과정으로 이것을 성장으로 보고 있다. 듀이의 윤리설에 따르면, 선은 완성된 것이 아니라, 완성되어가는 과정이다. 인간과 환경간의 상호작용 속에서 일어나는 생명활동으로서의 생활경험을 중시하는 듀이의 윤리설에서는 경험의 재구성을 성장으로 보고 있다. 여기에서 성장 그 자체만이 유일한 도덕적 목적이라는 윤리적 이상이 제시된다. 듀이의 경험이론과 성장이론에서 환경과 능동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가운데 경험을 재구성하면서 성장하는 자율적인 인간을 만나게 된다. 이와 같은 인간에게 있어서 선은 the good이라기 보다는 the better이며, 성장 그 자체, 곧 성장하는 것이 선이다. 듀이의 윤리사상은 경험을 바탕으로 한 성장이론이며 인본주의라고 할 수 있다. 그는 과거의 전통적인 윤리관에서 과감히 탈피하여 유기체로서의 인간과 환경과의 사이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 속에서 인간 행위를 파악하여 윤리학을 <人間工學> 내지는 <人間性의 科學>으로 정립시키고 있는 것이다. 교육의 목적이 완성이라고 할 때의 완성이라는 개념은 인간과 환경 사이의 충분한 상호작용과 통합이 이루어지는 것이라 여겨진다. 따라서 오늘날처럼 기계화되고 이기주의가 팽배하여 올바른 가치판단을 하기 어려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자연적 및 사회적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성장하게 된다는 듀이의 윤리사상을 통해 일상생활에서 보고, 듣고, 겪은 상황이나 환경과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가운데 스스로 선을 찾고, 진리를 터득하여 인간다운 삶의 길을 찾아 인간성을 실현하고자 하는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

      • 탁구동호인의 운동지속성향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김순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에서는 탁구를 통하여 나타나는 운동지속성향과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종목의 특성을 이해하고, 운동기간, 운동빈도, 연령에 따라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를 비교하며, 탁구동호인의 운동지속성향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대상은 서울에 소재한 탁구장을 중심으로 판단표집(Judgemental sampling)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여 남자 142명, 여자 158명, 총 300명을 실제 분석에서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조사도구 중 대상자의 운동지속성향을 알아보는 질문지는 Corbin, Corbin, Lindsey, & Welk(2002; 2003; 2004)의 운동지속 검사지를 바탕으로 최성훈(2005)이 개발한 ‘한국형 운동지속 검사지’를 이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고, 심리적 안녕감 척도는 Ryff(1989)의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를 Ryff와 Keyes(1995)가 한국판으로 번안한 것을 다시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2001)가 수정한 질문지를 이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최종 질문지의 문항은 조사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 4문항, 운동지속성향 17문항, 심리적 안녕감(PWBS) 28문항으로 총 49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절차와 자료처리는 연구자가 설문의 목적 및 기입방법을 상세히 설명한 후 자기평가 기입법(self-administering method)으로 작성하도록 한 후 질문지를 회수하였다. 회수한 자료는 응답내용이 불성실하거나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자료와 이중기입 등의 자료를 분석대상에서 제외시키고 부호화된 자료를 Windows SPSS/12.0 Version을 이용하여 분석의 목적에 맞게 전산 처리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이 연구에서 사용한 통계처리 방법은 독립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다중선형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본연구의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배경변인(성별, 운동빈도, 운동기간,)에 따른 운동지속성향과 심리적 안녕감에 차이 첫째, 성별에 따른 운동지속성향과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성별에서는 운동지속성향과 심리적 안녕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운동빈도에 따른 운동지속성향과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에서 운동지속성향은 측정변인 운동환경을 제외한 운동능력, 운동습관, 운동관심, 운동친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운동을 주 2회이 하로 하는 집단보다 주 3회, 5회 이상 하는 집단이 높게 나타났으며, 심리적 안녕감에서는 모든 변인이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운동기간에 따른 운동지속성향과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운동기간이 길수록 운동지속성향은 측정변인 운동 환경을 제외한 운동능력, 운동습관, 운동관심, 운동친구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심리적 안녕감에서는 개인적 성장을 제외한 심리적 안녕감의 측정변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 운동지속성향이 심리적 안념감에 미치는 영향 첫째, 운동지속성향이 심리적 안녕감 중 자아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운동능력, 운동습관 순으로 자아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운동지속성향이 심리적 안녕감 중 환경에 대한 통제력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운동능력, 운동습관 순으로 환경에 대한 통제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운동지속성향이 심리적 안녕감 중 개인적 성장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운동지속성향이 심리적 안녕감 중 삶의 목적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운동능력, 운동습관 순으로 삶의 목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운동지속성향이 심리적 안녕감 중 긍정적 대인관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운동능력으로 긍정적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운동지속성향이 심리적 안녕감 중 자율성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운동능력, 운동습관 순으로 자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김순옥의 졸업작품「생의 한가운데」해설

        김순옥 동덕여자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석사과정 이수를 위한 졸업공연 ‘생의 한가운데’ 에서 연주되어진 4 곡의 자작곡을, 대학원과정에서 학습한 것을 바탕으로 하여 각 작품에 대한 형식구조, 선율 및 화성구조를 분석하고 편곡에 사용된 기법들을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졸업공연에서 연주된 4곡은 모두 자작곡으로 생을 살아오는 과정에서 겪어 왔던 것들을 표현하려는 의도에서 졸업 작품의 전체 주제를 '생의 한가운데'로 정하였으며, 홀로 서기에서부터 함께 하기까지의 과정을 4단계의 소주제로 구분하였다. 첫 번째 곡은 홀로 서기를 표현하였고 두 번째 곡에는 아름다운 시간들을 회상함을 표현하였고 세 번째 곡은 그리운 대상에 대한 그리움을 이야기하였고, 마지막으로 네 번째 곡에서는 함께 할 수 있음의 기쁨을 표현하여 4곡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하였다. 첫 번째 곡 'Walk Alone'은 홀로 서기 위한 복잡하고 혼란스러운 감정을 솔로 피아노 형식으로 빠른 템포의 리듬을 사용하여 표현하였고, 두 번째 곡 '회상(아름다운 날들)'에서는 지난날에 대한 회상과 아쉬움을 클래식 기타와 피아노로 구성하여 감정을 표현하였다. 세 번째 곡 '기다림'에서는 그리운 존재에 대한 사랑의 간절함을 노래를 통해 표현하였고, 마지막 네 번째 곡 'Walk With You'에서는 곡 중반부에 탱고 리듬으로 전환하여 지루해질 수 있는 단조로운 리듬의 변화를 시도하였다. 본 논문은 졸업공연 작품 '생의 한가운데'를 구성한 각 곡들의 형식, 선율, 화성구조에 대하여 살펴보고 더불어 편곡의도와 가사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학원 과정을 통해 습득한 다양한 이론들을 음악에 적용하고 앞으로의 작품 활동에도 도움이 되고자 함이 이 소논문의 목적이다.

      • 진로탐색 집단상담프로그램이 전문계 고등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

        김순옥 울산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계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이 프로그램이 그들의 진로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및 특히 진로준비행동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효과 검증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전문계 고등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것이다. 가설 2.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전문계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수준을 향상시킬 것이다. 가설 3.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전문계 고등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향상시킬 것이다. 연구 대상은 울산시에 있는 U전문계 고등학교 1학년으로서 진로탐색 집단상담의 내용과 연구의 목적을 알고 자발적으로 참여에 동의한 학생들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0명씩 무선 배정하여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총 7회 매 회기 90분의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게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실험에 사용된 진로탐색 프로그램은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진로상담 교과목의 보조교재(송명자, 2009)에 수록되어 있는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기초로 하여 본 연구자가 연구목적에 맞게 재구성한 것이다. 진로효능감과 진로의사결정수준, 그리고 진로준비행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된 검사도구는 다음과 같다: Crites(1978)의 진로성숙도 모형에 기초한 진로자기효능감 평가의 50문항 중에서 Betz와 Voyten(1997)이 5개 하위척도별로 5개의 문항들을 선발하여 구성한 총 25문항의 진로자기효능감 단축형 척도(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hort Form; CDMSE-SF)를 이은진(2001)이 번안한 진로자기효능감 검사, Osipow(1986)가 개발한 진로결정검사(Career DecisionScale)를 고향자(1992)가 번안한 진로결정수준검사, 김봉환(1997)이 대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을 검사하기 위해 16개 문항으로 직접 제작한 진로준비행동검사이다. 이 외에도 부수적으로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프로그램이 모두 끝난 뒤에 실험집단 참가자들에게 소감문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과 사후점수에 대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다음에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고, 수정된 사후검사 점수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차이를 검증하는 공변량 분석(Analysis of Covariance: ANCOVA)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 과정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전문계 고등학생의 진로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전문계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수준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전문계 고등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전문계 고등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진로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실질적이며 체계적으로 자신의 진로에 대한 준비행동 및 진로결정수준을 증가시키는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진로지도에 중요한 교육적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임을 시사해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