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리의 특성을 이용한 공간표현에 관한 연구 : 김선호 개인전 <유리방> 작품론

        김선호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79

        본 논문은 2011년 11월 2일부터 11월10일까지 서울시 종로구 사간동 갤러리 온에서 열린 김선호 사진전展 <유리방>에 대한 작품연구 논문이다. 유리의 독특한 성질은 가시적 투명성과 더불어 미학적, 관념적 성격을 이용하여 공간을 표현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리를 매개로한 중첩은 유리의 표면에 묻은 흔적들과 어우러져 일상에서 인지할 수 없는 현상과 현실의 이면을 시각적으로 드러내며 작품의 중요한 오브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렇듯 유리에 반영된 이미지들의 특성을 통해 유리를 바라보는 행위가 단순히 바라보는 것과는 다른 무엇이 있음을 알게 되면서 전국의 유리방을 찾아 버려지고 비어있는 공간의 흔적들을 발견하여 촬영하기 시작하였다. 사진을 통하여 대상을 바라보는 보편적인 인식은 사실적이고 객관적이며, 명확할 뿐만 아니라 정확하다고 생각한다. 일반적으로 우리는 사진 이미지를 통해 드러나는 것들이 전부라는 생각에 너무나도 익숙해져 있다. 그러나 사진은 이데올로기나 문화적 코드에서 벗어나 우리가 대상에 느끼는 이미지의 이면을 드러내 주지는 못한다. 유리라는 물질이 가진 재료의 독특한 성질은 대상과 공간의 의미를 명확하고 정확하게 하나의 의도만으로 시각화시켜 드러내지 않는다. 이와 같은 유리의 특성을 이용한 작업은 보편적인 사진 바라보기의 진부한 인식에서 벗어나 대상에 관한 더 많은 해석과 표현을 가능하게 한다. 유리를 통하여 대상을 바라보는 행위는 객관적이고 사실적이며 명확하다고 생각하는 사진에 관한 일반적인 믿음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우리로 하여금 스스로 사물을 바라보고 생각하며 질문을 던질 수 있게 만들어준다. ‘창(窓)’을 통해 들여다본 유리방이라는 공간은 현실과 비현실의 경계가 사라지고 모호한 세계가 형성된다. 전통적으로 어느 한곳의 시선을 주시하고 명확한 이야기를 도출했던 원근법이 적용되는 익숙한 사진의 재현방식과는 다른 형식으로 유리방을 이야기한다. 여러 층의 이미지는 ‘유리’라는 매개물과 본인의 선택을 통해 프레임 지어진 대상들의 중첩된 이미지이다. 유리를 통해 ‘투영’과 ‘반사’된 ‘시각’은 서로에게 팽팽한 균형을 유지하며 다양한 의미를 제공한다. 시대상을 반영하는 작품<유리방>은 관념적인 접근에서도 반영이라는 유리의 속성과 유사한 성격을 가진다. 본인의 작업은 유리의 이러한 특성을 활용하여 기존의 사진에서 보았던 형식과는 다른 새로운 방향을 모색해 보는 계기로 삼고자 하였다. 대상의 단편적인 모습만 들여다보기에 급급하지 않고 그것을 통한 내면세계의 감정적 부분마저도 <유리방> 작업을 통해 사고해 볼 수 있는 형식적 실험을 하였다. This thesis is a study of a work from photo exhibition <Yuribang> by Kim Sun-Ho which was held in Sagan-dong Gallery On in Seoul Si, Jongno-gu from 02-11-2011 untill 10-11-2011. Unique characteristic of glass such as visual transparency, esthetics and abstract nature can be used as a significant method of expressing space, and also reiteration mediated by glass visualizes both sides of images that can not be perceived in daily life views caused by marks on glass's surface, and reality. This quality can be used as a significant objet in works. Thus the action of looking glass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ages reflected in glass, it was found that there is something more than just what we can see and I started visiting Yuribangs all over Korea to find the traces of abandoned empty places and shooting photographs. I believe that the universal perception of looking at objects through photos is realitic, objective and moreover clear it's precise. Commonly people are too much used to the idea that what's displayed on photos are everything. But photos does not overcome the ideologies and cultural codes, and reveal the hidden sides of images of the objects that we feel. The unique nature of glass material does not visualize and reveal the meaning of object and space clearly and precisely with only one intention. An operation using this characteristic of glass enables us to overcome the hackneyed way of looking photos and allow us to make much more expanded interpretations and expressions of an object. Questioning the idea of photos that looking at an object through glass is believed to be realistic and precise, allows us to think while looking at the object directly and raise more questions. The space of Yuribang looked into through window does not have boundaries between reality and unreality and it creates new and ambiguous world.. Yuribang has been interpreted by new method which is different traditional way of representing photos by keeping an eye on a point and by applying perspective to draw precise story. Multi images are overlapped images that are framed by glass as a carrier and my own choices. The sight that projected and reflected through glass maintains tight balance between them and provides various meanings. The work <Yuribang> which reflects the phases of the times has similar characteristic to attributes of glass with its reflection in idealogical approach. My operation uses this attributes of glass to make opportunity of finding different method of looking at photos from existing method. Not only looking in fragmentary figure but a formal experiment that uses this fragmentary interpretation to contemplate even the emotional part of inner world was placed in operation of <Yuribang>.

      • 카메라 개수 및 위치변화에 따른 비젼제어 기법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김선호 조선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thesis is to develop the real time estimation model based on the vision system. The method permits a kind of adaptability in that relationship between the camera space location of manipulable visual cues and the vector of robot joint coordinates is estimated in real time. This vision control method is required the number of cameras, and be used irrespectivce in the random location of cameras. if visual cues are displayed in the same camera plane. Thus, this study if to investin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visio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numer of cameras and the location of cameras. This study is processed in the three ways : a) estimation model development b) optimal number of cameras c) optimal location of cameras. These results show the evidence of the adaptability of the developed vis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change of numer and location of cameras.

      • 金融市場 構造調整에 따른 地方銀行의 發展方向에 關한 演究

        김선호 전주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47

        With the crisis of IMF in 1997, the Financial Supervisory Commission(FSC) has executed twice restructuring to solve structure the problems of financial economy of korea and to make financial functions performed effectively from 1998 to 2001. This thesis evaluated meanings and results about the process of a series of financial restructuring which has been done (especially, changes in current financial circumstance which is focused on and the basis of government policy), and then present development plans of regional banks with the restructuring in the financial market after considering the matters and situation of regional banks which have played an important part in the development of the regional economy. First of all, the some trends which are changed and made newly with the change of the financial circumstance are the financial market centered finance, the reinforcement of accounting based on FLC, the expansion of electronic banking, the extension of business area and rasing competition among financial entities. And the result of twice restructuring were that 11 banks among 33 banks were merged or liquidated in the end of 1997 and then 20 merchant banks, 10 insurance companies, other 479 financial entities were liquidated in the end of 2000 Also the total cost of restructuring was about 126 trillion 90 billion won and 79 trillion of the amount was paid for banking industry and 4 trillion of 79 trillion was paid for regional banks The meaning of restructuring for last 3 years was that banking industry adopted many systems to make financial structure sound and to strengthen audit on financial institutions. but still financial entities did get a good reputation to be trusted and it is still hard to say that the entities have enough ability to make a role of monetary circulation. So it is said that financial restructuring should focus on the recovery of trust for financial entities in the future. This report examined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through productivity per 1 person, capital propriety and asset soundness by other index. The most serious problem to be solved is to recover market trust. Small size and the regulation to regional banks were also explained. Lastly, the means of development for regional banks were presented as below 1. Strategy based on profitability 2. Retail Banking in region 3. Making the size large by strategic cooperation 4. the Adoption of knowledge management 5. the Introduction of advanced banking skills

      • 인성교육을 위한 중국어 교과 교수·학습 방안 연구

        김선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What is a school? A school is an education institution that helps students to live together in harmony, improving their social adjustment abilities, and to form correct values based on basic character virtues that all human beings should have. However, nowadays many students undergo numerous difficulties due to bullies, the pressure of th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etc. Even worse, the number of students who give up on life, not being able to stand the pressure and stress from studying, is increasing steadily. We should reconsider what education is needed for students by reminding ourselves what the role of a school is. In other words, we should provide students with character education that both helps cultivate a sound mind and body and delivers systematic knowledge. It is character education that is the purpose of school existence and its ultimate goal. Then, what approach can be taken in teaching the Chinese language at school? In this thesis, I suggest the goal of the character education in teaching and learning the Chinese language at school and the possibility of its achievement, illuminating the connection between Chinese language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Culture education is the method that enables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character education in the Chinese class at school to be achieved. I concluded that character education can be achieved in teaching the Chinese language at school based on the culture and view suggested in the 2009 Revised Chinese Curriculum Ⅰ·Ⅱ. Also, I classified the contents of the current Chinese language course books, sorted out the common topics, and organized them into the application of eight core values and virtues in the lives of individuals and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addition, I aimed to connect the study of ethics and social studies with previous studies on Chinese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rough character education using the Shared model (Fogarty's curriculum integration)for continuous character education methods. I hope that this study confirms the possibility of the application of character education in Chinese language classes and forms the basis of Chinese language teachers applying character education resources in the classroom. Furthermore, my desire is that schools promote students’ recovery and growth by taking a core role in students’ education, and I hope that Chinese language education takes the lead in this area. 학교란 무엇일까? 학교는 학생들이 인간으로서 가져야 할 기본적인 인성 덕목을 바탕으로 올바른 사회 적응 능력을 향상시켜 더불어 살아가는 것과 올바른 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 기관이다. 그런데 최근 많은 청소년들이 따돌림, 입시제도의 압박감 등의 이유로 많은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으며 한 해에 입시의 압박감과 스트레스에 견디지 못하고 삶을 포기하고 있는 학생들이 늘어가고 있다. 다양한 사회적 현상으로 인한 불균형적인 성장으로 인간성을 상실하게 만들어 가치관의 혼란, 극단적인 이기주의, 공동체적 사회성 부족 등의 여러 사회적인 문제들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우리는 학교의 역할을 다시 한 번 상기하며 아이들에게 필요한 교육이 무엇인지를 재고해야 한다. 학교에서 체계적인 지식 전달과 함께 건강한 몸과 마음을 키울 수 있는 인성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인성교육이야말로 학교의 존재의 이유이며 궁극적인 목표인 것이다. 그렇다면 각 중국어 교과에서는 어떠한 인성교육을 진행할 수 있을까? 본 고에서는 중국어 교육과 인성교육의 연계성을 밝혀 그 가능성과 목표를 제시 하였다. 먼저 여러 학자들이 정의하는 ‘인성’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하고, 교육으로 인한 긍정적인 변화와 수정이 이루어져야 하는 곳은 가정과 학교임을 다시 한 번 확인하였다. 또한 ‘인성교육’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견해들을 종합 하여 중국어 교과에서 인성교육을 실시해야 하는 이유를 제시하였다. 그와 동시에, 교육부에서 제시한 ‘인성교육 진흥법’에 제시된 8가지 핵심가치와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서 제시된 인성관력 역량과 정창우(2016)가 제시한 핵심 인성역량으로 정리하여 중국어 교육 내에서 추구해야할 인성 교육의 핵심가치덕목을 정리하였다. 인성교육을 위한 중국어 교수·학습 방안으로 중국어 교과 내에서 실천 가능한 교육적 제재는 바로 ‘문화교육’이며, 2009 개정 중국어 Ⅰ·Ⅱ에 제시된 문화와 태도를 바탕으로 중국어 교과 내에서 인성교육의 가능성을 다시 한 번 확인 하였다. 그와 동시에 현행 중국어 교과서의 목차들을 정리하여 공통된 주제들을 선별하고, 이를 앞서 연구하였던 핵심가치덕목들과 연계하여 개인적 삶 속에서의 적용과 타인과의 관계 중심에서의 적용으로 정리하였다. 개인적 삶 속에서의 적용은 심미적·감성 역량에서 禮와 孝를 적용하고, 자기관리 역량에서는 正直 으로 적용하였다. 타인과의 관계 중심에서의 적용은 의사소통 역량에서 尊重과 疏通을 적용하고, 갈등관리역량에서는 ‘关怀(배려)’를, 공동체 역량에서는 責任과 ‘协作(협동)’을 적용하도록 구분하였다. 현행 교과서 제재를 적극 활용하고자 실질적인 지도안을 제시 하였는데, 지도안은 총 5차시로 나뉜다. 1차시는 각 핵심가치덕목과 관련된 중국 문화를 소개하여 중국어 교과와의 연계성을 도모하도록 하였다. 2차시에서는 각 핵심 가치덕목에 대한 정의를 알아봄으로써 보다 확장된 사고를 유도하였다. 3차시 에서는 핵심가치덕목과 관련된 중국 대표 인물을 알아보고 그에 관련된 이야기를 소개하여 학생들의 학습동기를 자극하도록 하였다. 4차시에서는 관련된 사자성어와 그 배경을 소개함으로 중국 역사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도록 하였다. 마지막 5차시에서는 핵심가치덕목과 관련된 한국, 중국 기사를 살펴봄으로써 실제 생활에서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생각해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보다 실천 적인 활동을 도모하기 위해 각 핵심가치덕목 별 활동과 더불어 각 핵심가치덕목 별로 1~5차시에 대한 학습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중국어 교과에서 인성교육을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며 많은 중국어 교사들이 수업 내에서 인성교육 제재를 적용할 수 있는 토대가 되기를 바란다. 또한 앞으로 학교가 학교로서의 본 역할을 제대로 감당하여 학생들의 회복과 성장을 적극 도모하기를 기대하며, 중국어 교육이 이에 앞장 서기를 소망한다.

      • 小集團 協同學習이 英語 意思疏通能力 伸張에 미치는 效果에 關한 硏究

        김선호 전주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sets out to investigate the improvement in English communicative ability among Korean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in small groups. For that purpose,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established on the basi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cooperative learning in small groups. Hypothesis 1 : Cooperative learning in small group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tudents' interest in English learning and 4 skills of English. Hypothesis 2 : Cooperative learning in small group will help the students improve their listening and speaking ability in English. Hypothesis 3 : Cooperative learning in small group will contribute to the students' learning achievement in English. Subjects for the study were 120 students in the first grade of a high school in an agricultural area of Jeollabukdo. Sixty subjects as a target group (hereafter Group A) participated in the cooperative learning in small group, while another sixty subjects served as a control group (hereafter Group B) were involved in whole-class activities. Cooperative learning in small group was proceeded by student-centered and interactive methods, giving the subjects opportunities to perform language tasks. The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in small group was examined in three areas : interest, listening and speaking ability and achievement tests in English. Major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In comparison with the Group B subjects, the Group A subjects, e.g., those participated in cooperative learning in small group, showed more interest in English learning than before the experiment. 2) Group A subjects achieved higher oral language skills than Group B. 3) The means of Group A's achievement test was higher than those of Group B's. In conclusion, the cooperative learning in small group is more effective in increasing favorable attitudes toward English learning, English oral skills, and grades in achievement tests than whole-class activities.

      • 전방향 및 베지어 곡선 최적화 기반 경로계획기법을 활용한 지상 로봇의 자율주행

        김선호 충북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Due to the recent development of autonomous robot technology, various robots are being used in real life. Among them, mobile robots perform tasks such as moving goods, cleaning and guiding in service environments such as warehouses, hotels, and restaurants. A mobile robot uses an algorithm that generates a path from a given environment to a destination in order to perform a mission. This is called Path Planning, and Path Planning is divided into two stages: global Path Planning(GPP) and local Path Planning(LPP). GPP mainly generates the shortest distance to the destination avoiding obstacles in a simplified environment, and LPP creates a path that takes into account the dynamic constraints of the robot and complex dynamic and static obstacle avoidance within the result of GPP. In this thesis, a Path Planning method was developed that optimizes the Bézier curve following the any-angle Path Planning as GPP through Spiral-Optimization (SPO) and Golden Standard Search (GSS). To verify this, the any-angle Path Planning method and the optimization-based Bézier curve generation method were simulated in the Matlab environment, and the skid bot was controlled on the simulation that simulated the real situation using the Robot Operating System (ROS) and GAZEBO. An actual experiment was also performed using a motion capture system and a steer bot, and compared with the GSS-only Bézier curve generation method. As a result of simulation and actual experiment, any-angle Path Planning was able to quickly generate a path from the map of the given experimental environment, and based on the path planning result, a smooth path could be obtained through optimization of the Bézier curve.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it can move to the destination by better avoiding obstacles in the experimental environment when the Optimization-Based Bézier curve generation technique using SPO-GSS is used rather than when the robot moves along the curve using GSS alone.

      • 아시아 지역 수자원 영향평가를 위한 기후변화 공간상세화 기법 개발 및 적용

        김선호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전구 기온상승에 따른 기후변화 현상은 19세기 산업혁명 이후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인간사회는 기후변화를 하나의 현상으로 인식하였으며, 완화, 적응하기 위한 노력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였다. 기후변화 대응 노력은 탄소감축을 위한 교통수단의 변화, 에너지원의 변화 등 실생활에서 적용되기 시작하였으며, 2022년에 발간 예정인 IPCC 6차 평가보고서에서는 인간사회의 부담, 역량을 반영하기 위해 인구, 경제, 정치, 복지 등을 고려한 기후변화 시나리오가 수록될 예정이다. 현재 기후변화에 대한 분석은 그 어느 때보다도 인간사회와 밀접하게 연계하여 수행되고 있으며, 향후 보다 미시적인 관점으로 분야를 넓혀나갈 확률이 높다. 거시적인 분석결과인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미시적인 관점에서 응용하기 위해서는 공간상세화 기법, 기후변화 영향평가 연구가 필수적이다. 가장 보편적으로 활용되는 공간상세화 기법 중 하나가 BCCA이며, 우리나라를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적용된 바 있다. 다만 BCCA는 다수의 아날로그 시점을 선형 결합하여 활용하기 때문에 극한값 재현에 취약하고 지역별 특징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수자원 영향평가를 위해 지역별 기후특성을 고려한 공간상세화 기법을 개발하여 아시아 지역에 적용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후변화 수자원 영향평가를 수행하였다. 아날로그 기법 적용을 위한 유사성 지표는 다수의 기후 변수 기반의 주성분 분석을 통해 구축하였다. 기후특성을 고려하기 위해 아시아 지역에 대한 기후 지수를 산정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군집분석을 수행하여 기후특성에 따른 지역구분을 수행하였다. 유사성 지표와 군집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기후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공간상세화 기법 BCCIA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기존에 많이 활용되는 BCSD, BCCA 기법과의 비교평가를 수행하였다. 비교평가는 ERA5 재분석자료를 활용하여 시계열 분석, 극한값 분석, 지역별 분석을 수행하였다. 평가결과 BCCIA 공간상세화 결과는 ERA5 자료 보다 관측값과의 오차가 보정기간 55%, 검정기간 25% 작은 것으로 활용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BCSD 기법과의 비교평가 결과 공간상세화 대상 자료의 경향성에 의존적인 BCSD와는 달리 BCCIA는 여러 가지 기상변수를 고려하기 때문에 보다 우수한 상세화 능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BCCA 기법과의 비교평가 결과 지역별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며, 선형결합을 수행하는 BCCA 기법의 한계점을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후변화 수자원 영향평가를 위해 K-ACE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공간상세화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이를 VIC 모형과 연계해석하여 수자원 영향평가를 수행하였다. 기후시나리오에 대한 공간상세화 적정성 평가를 위해 과거 재현성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기법별 특징을 파악하였다. 과거 재현성 평가 결과 BCCIA 공간상세화 결과는 K-ACE 자료 보다 오차가 평균 46% 낮은 것으로 확인되어, BCCIA 기법은 기후변화 시나리오 적용에서도 활용성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미래 기후특성 평가를 위해 과거 대비 미래 기후 지수를 산정하고 시계열, 극한값, 지역별 분석을 수행하였다. 세기말까지 강수량은 최대 22%, 최고기온과 최저기온은 최대 6℃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로 인한 아시아 지역의 강수의 변동성, 폭염이 대한 위협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기후변화 시나리오와 VIC 모형 연계해석 결과를 기반으로 연·계절·월별 유출량 산정 및 유황분석을 수행하여 과거 대비 미래 수자원 특성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미래 연 유출량은 세기말까지 최대 25% 증가하는 것으로 전망되었으며, 몬순 기간에 대한 강우량 및 유출량 집중현상이 심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지역별로는 남아시아, 동아시아 지역의 집중호우, 유출량의 집중 현상으로 인한 위협이 증가할 것으로 판단되며, 티벳 고원, 북아시아 지역은 안정적인 용수공급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아날로그 기반 공간상세화 기법을 개선한 BCCIA 기법을 개발하고 활용성을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추후 초고해상도 공간상세화 연구 및 기후변화 영향 지역에 대한 국지적인 분석이 추가적으로 수행될 필요가 있다.

      • 성과연봉제 도입에 대한 인식 비교 분석 : 신용협동조합 구성원을 중심으로

        김선호 경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current members' perceptions on the introduction of the annual salary system for credit unions and to discuss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credit unions for performance salary system in the future.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previous studies, the discussion on credit cooperatives and annual salary system has been active, but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direct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herefore, the questionnaire item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existing studies that discussed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existing annual salary system. We then looked at how credit co-operatives perceive performance-based annual salary systems. The results of the mean analysis of the groups show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men and women, perceptions between central and regional credit unions. Based on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redit cooperatives are related to the performance and the performance of the project, which is based on the bond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members. Therefore, it is confirmed that the negative position in introducing the performance annual salary system is remarkable in the low. On the contrary, it can be seen that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among the rank is more important than the difference in recognition between sex and workplace.

      • 유산소성 운동과 저항성 운동이 비만 여중생의 신체조성, 혈중지질, Leptin 및 Anabolic Kormone에 미치는 영향

        김선호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박사

        RANK : 247631

        유산소성 운동과 저항성 운동이 신체조성, 혈중지질, leptin 및 동화성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비만 여중생(30명)을 대상으로 달리기 운동과 덤벨체조를 각 집단에게 10주 동안 적용시켰다. 유산소성 운동집단은 1∼5주 동안은 최대심박수의 50∼60%, 6∼10주 동안은 61∼70% 강도로 달리기 운동, 저항성 운동집단은 1∼5주 동안은 1kg 중량,6∼10주 동안은 2kg의 중량을 이용한 12개 종목의 덤벨체조를 실시하였다. 운동 빈도는 주4회씩 지속시간은 40∼50분 (min/day)으로 하였다. 운동기간, 운동형태에 따라 신체조성(체중, 체지방율, 지방량, 허리/엉덩이 둘레비), 혈중지질(TC, TG, HDL-C), leptin 및 동화성 호르몬 (GH, IGF-I, insulin)의 변화를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신체조성의 변화에서 10주 운동 후에 체중, 체지방율, 지방량, WHR의 변인들은 두 운동집단에서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지만(p<0.05), 운동기간에 따른 두 운동집단간 차이는 없었다. 둘째, 혈중지질의 변화에서 10주 운동 후에 TC, TG 농도는 두 운동집단에서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지만(p<0.05), 운동기간에 따른 두 운동집단간 차이는 없었다. 한편 HDL-C는 10주 운동 후에 두 운동집단에서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지만(p<0.05), 운동기간에 따른 두 운동집단간 차이는 없었다. 셋째, leptin의 변화에서 10주 운동 후에 두 운동집단에서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 지만(p<0.01), 운동기간에 따른 두 운동집단간 차이는 없었다. 넷째, 동화성 호르몬의 변화에서 5주와 10주 운동 후에 GH, IGF-I 농도는 두 운동집단에서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지만(p<0.05), 운동기간에 따른 두 운동집단간 차이는 없었다. 한편 Insulin은 두 운동집단에서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지만(p<0.01), 운동기간에 따른 두 운동집단간 차이는 없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달리기 운동 및 덤벨체조 운동이 신체조성, 혈중지질, leptin 및 동화성 호르몬에 유의한 변화를 가져왔으며, 특히 동화성 호르몬 (GH, IGF-I, insulin)의 농도 변화는 두 운동집단에서 각각 5주 이후부터 유의하게 변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즉 규칙적인 유산소성 운동과 저항성 운동은 기초대사와 지방분해 능력 및 근육량, 제지방 조직, 에너지 소비율, 지방질 이용의 증가를 통해 신체조성, 혈중지질, leptin 및 동화성 호르몬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달리기 운동과 마찬가지로 덤벨체조 운동도 건강개선, 비만 관련 인자 및 비만치료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aerobic exercise and resistance exercise on the body composition, blood lipid, leptin and anabolic hormone.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thirty obesity girl students and divided into 3 groups: Control group(N=10), aerobic exercise(running) group(N=10) and resistance exercise(dumbbell) group(N=10) for 10 weeks. The aerobic exercise group performed running 40∼50 min in a bout, four times a week at the intensity of 50∼70% HRmax(1-5 week; 50∼60% HRmax, 6∼10 week; 61∼70% HRmax). The resistance exercise group performed dumbbell exercise consisting 12 item using 1∼2kg weight(l∼5 weeks; 1kg, 6-10 weeks; 2kg). And the change of body composition such as weight, %fat, fat mass, WHR, and blood lipids such as TC, HDL-C, TG, leptin and anabolic hormone such as GH, IGF - I, Insulin have been measured before, by post exercise 5 weeks and 10 weeks respectively. Statistical techniques for data analysis were One-way ANOVA exercise duration(before, 5 weeks, 10 weeks) and repeated measure ANOVA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aerobic exercise group and the resistance exercise group. The 5% level of significance was utilized as the critical level for acceptance of hypotheses for the stud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rom this study. 1. The change of body composition in the aerobic exercise group and the resistance exercise group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10 weeks of exercise. That is, body composition such as body weight(4.8kg, p<0.05; 4.7kg, p<0.0l), %fat(4.9%, p<0.05; 4.4%, p<0.01), fat mass(4.0kg, p<0.05; 4.1kg, p<0.01), and WHR(0.069, p<0.0l; 0.071, p<0.01)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10 weeks respectivel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exercise groups. 2. The change of blood lipids(TC, TG) in the aerobic exercise group and the resistance exercise group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10 weeks of exercise. That is, blood lipids such as TC(38.0mg/ml p<0.05; 49.2mg/ml, p<0.01) and TG(58.9mg/ml, p<0.01; 61.4mg/ml, p<0.01)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10 weeks respectivel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And, HDL-C was increased 15.3mg/dl(p<0.01), 17.3mg/dl(p<0.01) respectively, but this too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3. The change of leptin in the aerobic exercise group and the resistance exercise group was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10 weeks of exercise. That is, the concentration of leptin was decreased 7.2ng/ml(p<0.01), 10.9ng/ml(p<0.01) respectively,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wo groups. 4. The change of anabolic hormone(GH, IGF - I) in the aerobic exercise group and the resistance exercise group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exercise 5 week and 10 weeks. That is, anabolic hormone such as GH(5.9ng/ml, p<0.0l; 3.0ng/ml, p<0.01) and IGF-I(56.77ng/ml, p<0.05 ; 72.2ng/ml, p<0.0l)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5 weeks respectivel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exercise groups after 10 weeks. Also, the concentraion of Insulin n the aerobic exercise group and the resistance exercise group was decreased 10.9 ,μIU/ml(p<0.0l), 10.3 ,μIU/ml respectively,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appeared between two groups. And, anabolic hormone such as GH(9.2ng/ml, p<0.0l; 9.9ng/ml, p<0.0l) or IGF-I(153.lng/ml, p<0.05; 144.8ng/ml, p<0.0l)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10 weeks respectively,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fter 10 weeks between the two groups. Also, the concentration of Insulin n the aerobic exercise group and the resistance exercise group was decreased 15.8μIU/ml(p<0.0l), 16.1μIU/ml respectivel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exercise groups after 10 weeks. These results suggest that on body composition, blood lipids, leptin and anabolic hormone in both aerobic exercise and resistance exercise for 10 weeks affects obesity middle girl students. On the other hand, regular exercise regardless of exercise type are influenced in body composition, blood lipids, leptin, anabolic hormone for increase of REE, BMR, LBM, muscle mass, lipolysis, utilization of fat. Therefore, resistance exercise using dumbbell exercise as well as aerobic exercise should be available for improvement of health and treatment of obe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