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부모 가정 학생들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개인상담의 효과

        김미혜 우석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한부모 가정 학생들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개인상담의 효과 김 미 혜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본 연구는 한부모 가정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인상담을 실시하여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일반 가정 학생과 한부모 가정 학생의 자아존중감 차이는 있는가? 연구문제 2. 한부모 가정 학생들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개인상담의 효과는 있는가? 2-1. 개인상담은 한부모 가정 학생들의 자아존중감에 효과가 있는가? 2-2. 개인상담 후에 일반 가정 학생과 한부모 가정 학생들의 자아존중감에 차이는 있는가? 연구문제 해결을 위해 전라북도 전주에 위치한 3개의 중학교에 재학 중인 한부모 가정 학생 23명을 실험집단으로, 일반 가정 학생 136명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한 뒤 2015년 8월에 동시적으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3개월 동안 총 9회기의 개인상담을 진행한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인상담이 한부모 가정 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김희화(1993)가 한국의 아동 및 청소년용으로 개발한 척도를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집단 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t-검증 결과, 본 연구에서 실시한 개인상담이 한부모 가정 학생들의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개인상담 실시 전에는 일반 가정 학생들에 비해 한부모 가정 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었는데 개인상담 후에는 한부모 가정 학생들과 일반 가정 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이 전반적으로 서로 유사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일반 가정 학생들에 비해 자아존중감이 낮은 한부모 가정 학생들을 대상으로 상담교사나 담임교사가 개인적인 관심을 가지고 심리·정서적으로 지원해준다면 일반 가정 학생들의 자아존중감 수준만큼 향상이 가능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추후에 상담 장면에서 일반 가정 학생들 뿐 만 아니라 한부모 가정 학생들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개인상담이 활발해지길 기대 해본다. The Effect of Individual Counseling on Improving Self-esteem of Students in Single-parent Family Kim Mi Hye Major in Counseling Psycholog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oosuk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Kim Su Ran) [Abstract] This study, on the target at the students in single-parent family, aims to conduct personal counseling and enhance self-esteem. So, this study set up several subjects for research as followings. Subject 1. Is there any difference in self-esteem of the students in general family and in single-parent family? Subject2. Does the personal counseling have an effect, on improving self-esteem of students in single-parent family ? 2-1, Does the personal counseling have an effect in self-esteem of students in single-parent family? 2-2 After the personal counseling, is there any difference in self-esteem of the students in general family and in single-parent family? With the purpose of solving the subjects, after selecting an experimental group, 23 students in single-parent family, and a comparative group, 136 students in general family, enrolled at 3 middle school students located at Jeonju, Jeollabuk-do, this study conducted a preliminary examination synchronistically in August, 2015. Furthermore, this study, targeting at the comparative group., conducted a post examination after making a progress of personal counseling for 3 months, 9 periods in total. With the purpose of checking up the effectiveness of individual counseling on improving self-esteem of students in single-parent family, this study used the tool developed by Kim Hi Hwa(1993) for the used of children and juveniles after modification and complement. In addition, this study conducted t-verification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As a result of t-verification, the personal counseling conducted in this study had an affirmative effect on self-esteem of the student in single-parent family. Especially, the self-esteem of the student in single-parent family was significantly lower statistically than that of the student in general family before personal counseling, but after personal counseling, generally the self-esteem of the student in single-parent family and the student in general family got similar each other. The result suggests that it's possible for the self-esteem of the student in single-parent family to be improved as much as that of the student in general family if a counseling teacher or a teacher in charge supports the student in single-parent family psychologically, mentally with concernment. This study expects, in the future, for personal counseling to be conducted actively, with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self-esteem of the student in single-parent family as well as the student in general family.

      • 중소병원 간호사의 소명의식, 자기효능감 및 직장 내 괴롭힘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미혜 남부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중소병원 간호사의 소명의식, 자기효능감 및 직장 내 괴롭힘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미혜 지도교수: 박정민 간호학과 남부대학교 보건경영대학원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소명의식, 자기효능감 및 직장 내 괴롭힘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간호조직의 업무환경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G광역시에 소재한 7개 중소병원에서 6개월 이상 근무한 간호사 224명을 편의표집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8년 7월 17일부터 7월 30일까지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 소명의식은 Dik, Eldrige와 Steger (2008)가 개발한 소명척도(Calling & Vocational Questionnaire: CVQ)를 심예린과 유성경(2012)이 한국판으로 번안하고 윤치호(2017)가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기효능감은 Sherer 등(1982)이 개발하고 정애순(2007)이 수정하여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도구로 사용하였다. 직장 내 괴롭힘은 Einarsen, Raknes와 Matthiesen (1994)이 노르웨이어로 개발한 부정적 행동경험 설문지(NAQ)를 Eianrsen과 Hoel (2001)이 영문버전으로 번안하고, 남웅 등(2010)이 한국어로 번안한 도구로 사용하였다. 재직의도는 Cowin (2002)이 개발한 NRI (Nurses’ Retention Index)를 김민정(2006)이 번안한 도구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으며,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성별은 여자가 213명(95.1%)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연령은 20대가 109명(48.7%), 결혼상태는 미혼이 148명(66.1%), 최종학력은 대졸이상이 144명(64.3%), 종교는 없는 사람이 148명(66.1%)으로 많았다. 총 임상경력은 9년 이상이 56명(25.0%), 현 근무부서 경력은 1∼3년 미만이 78명(34.8%)으로 가장 많았으며, 근무형태는 교대근무자가 173명(77.2%)으로 많았다. 근무부서는 외과계가 68명(30.4%), 연봉은 3000∼3500만원 미만이 113명(50.4%), 괴롭힘 경험은 ‘무’가 177명(79.0%)으로 많았고, ‘유’가 47명(21.0%)으로 괴롭힘의 대상은 간호사가 28명(59.6%)으로 가장 많았으며, 환자/보호자가 14명(29.8%), 의사가 5명(10.6%) 순이었다. 병원에 다니는 이유는 ‘동료 간의 관계’가 104명(46.3%)으로 가장 많았다. 2. 소명의식은 5점 만점에 평균 3.08±0.50점, 자기효능감은 5점 만점에 평균 3.67±0.56점이었고, 직장 내 괴롭힘은 5점 만점에 평균 1.31±0.42점, 재직의도는 8점 만점에 5.49±1.43점이었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명의식은 연령(F=3.47, p=.033)과, 결혼상태(t=-2.43, p=.016)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후검증 결과 연령에서 40대 이상이 20대보다, 결혼상태는 기혼이 미혼보다 소명의식이 높았다. 자기효능감은 성별(t=-3.08, p=.002), 학력(t=2.02, p=.044), 종교(t=-2.03, p=.043), 현 근무부서 경력(F=2.42, p=.005), 연봉(F=19.19, p<.001), 병원에 다니는 이유(F=6.86,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후검증 결과 성별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학력은 전문대졸이 대졸이상보다, 종교는 ‘없음’이 ‘있음’보다, 현 근무부서 경력은 5년∼7년 미만이 1년 미만 보다, 연봉은 3500만원 이상이 3000만원 미만과 3000∼3500만원 미만 보다, 병원에 다니는 이유는 ‘임금수준’이 ‘동료 간의 관계’, ‘근무환경’,‘기타’보다 자기효능감이 높았다. 직장 내 괴롭힘은 총 임상경력(F=3.80, p=.005), 근무형태(t=-3.27, p=.002), 괴롭힘 경험 유무(t=-5.95, p<.001), 병원에 다니는 이유(F=2.97, p=.020)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후검증 결과 총 임상경력에서 9년 이상이 1∼3년 미만보다, 근무형태는 상근이 교대근무보다, 괴롭힘 경험은 ‘유’가 ‘무’보다, 병원에 다니는 이유는 ‘동료 간의 관계’가 ‘임금수준’보다 직장 내 괴롭힘이 높았다. 재직의도는 학력(t=2.59, p=.010), 연봉(F=15.16, p<.001), 괴롭힘 경험의 유무(t=3.07, p=.002), 병원에 다니는 이유(F=4.87,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후검증 결과 학력에서 전문대졸이 대졸이상보다, 연봉은 3500만원 이상이 3000만원 미만과 3000∼3500만원 미만보다, 괴롭힘 경험은 ‘무’가 ‘유’보다, 병원에 다니는 이유는 ‘임금수준’이 ‘동료 간의 관계’보다 재직의도가 높았다. 4. 대상자의 재직의도는 소명의식(r=.34, p<.001)과 자기효능감(r=.45, p<.001)에서 통계적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장 내 괴롭힘(r=-.27, p<.001)에서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재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β=.24, p<.001), 소명의식(β=.23, p<.001), 연봉(β=.21,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직장 내 괴롭힘(β=-.16, p=.008)은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28.6%였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중소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재직의도에 긍정적 영향 요인은 소명의식, 자기효능감 및 연봉 수준이었고, 부정적인 영향 요인은 직장 내 괴롭힘임을 확인하였다. 간호사의 소명의식은 간호사로써의 사회화 과정의 첫 단계인 간호학사 과정의 교육에서부터 길러지므로 교과 내·외 교육과정에 소명의식과 자기효능감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중소병원 간호사가 근무하는 기관의 업무환경을 개선하며 직장 내 괴롭힘을 줄일 수 있는 긍정적이고 지지적인 조직문화 구축을 위한 다양한 제도를 마련하고, 괴롭힘 사례에 따른 예방 및 해결을 위한 체계적인 접근 방법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주요어: 소명의식, 자기효능감, 직장 내 괴롭힘, 재직의도, 중소병원

      • Ferrous fumarate/calcium carbonate interactions affecting electrolyte status of physically active humans : nutritional knowledge, attitudes and food practices among competitive athletes, recreational athletes and non-participants

        김미혜 Nebraska 1994 해외박사

        RANK : 247647

        Mica형태의 층상구조를 취하는 규산염 광물은 층간화합물을 형성하는데 있어 특히 다양하고 또 아주 잘 연구되어진 host-lattice이다. 지난 10년 동안이 분야에 대한 연 구의 핵심이 항상 더 많고 새로운 층간화합물(intercalation's complex)을 생성해내는 쪽에서 이러한 화학물(complex)의 응용 가능성이라든가 또는이러한 층간화합물을 mo del system으로 사용하여 연구하는 방향에 놓여지고 있다. 본 박사학위 연구에서도 이 러한 문제를 다음과 같은 두가지 측면에서 다루었다. 첫째, 층내부에서 삽입되어진 물 질이 double layer를 형성하도록 하여 modrl로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하여 연 구하였음. 즉 전해질을 포함하지않는 수용약 및 전해질을 포함하는 수용액내에서의 so ap-lamella의 행동거지에 대해 알아볼 방법이 쉽지않고, 따라서 지금까지 연구 발표된 사실의 정확성 여부에 대해서도 많은 의문이 제시되고 있다. 만일 점토층내에서 층내 부에 삽입된 물질이 double-layer를 형성하여 foamlamella와 같은 구성을 취할 경우 이는 일반적인 soap-lamella(micell형태)와는 달리 규산염광물의 층간격자가 갖는 주 기성에 의해 double-layer도 역시 주기성을 갖고 반복되어지게 되므로 이로 인해 soap -lamella의 행동거지를 X-선 분석에 의해 정확하게 밝혀내는 것이 가능하게 될 수 있 다. 둘째, 층사이에 단분자를 삽입하여 이를 고분자화하는 반응에 대해서 연구하였음. 즉 규산염 광물이 플라스틱 복합재료의 첨가제 및 강력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음은 잘 알려져 있지만 가장 공업적으로 이용도가 많은 smectite계열의 층간화합물은 아직도 그러한 복합재료의 첨가제나 강력제로 사용되고 있지 않고 있다. 또 유기고분자가 점 토층사이에 단순히 삽입되느냐 또는 삽입된 유기고분자가 층내부에 규산염광물의 대응 이온으로 존재하는 양이온과 같이 연결되어 규산염광물과 유기고분자가 하나의 화합물 을 형성하느냐에 따라 그 특성이 또한 달라지게 된다. 규산염광물의 층내에서 행해지 는 화학반응은 고상간의 반응이고, 또한 반응공간이 상당히 제한되어 있으므로 층사이 에의 고분자화 반응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게 됨.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제 문 제를 다루었음.

      • 대학생의 가족체계,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간의 관계

        김미혜 호서대학교 여성문화복지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체계와 자아존중감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확인하고 각 변인간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충남 소재 H대학교 기숙사 학생들 가운데 무선 표집한 355명(남:182, 여:173)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는 Olson 등(1985)이 개발한「가족응집성 및 적응성 척도」FACES(Family Adaptability and Cohension Evaluation Scale)Ⅲ, Rosenberg(1965)가 제작한 「자아존중감 척도」SES(Self- Esteem Scale), 그리고 Schien 등이 개발한 「대인관계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SAS 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변량분석, 중다회귀분석, 경로분석(Stepwise lisrel 8.30)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가족응집성, 가족적응성, 가족체계유형,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하위요인 중 만족감, 의사소통, 개방성에서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가족체계와 대인관계 전체에서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가족응집성 수준에 따른 자아존중감, 대인관계에서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및 하위요인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가족응집성 수준이 매우 연결될수록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수준은 높아졌다. 셋째, 가족적응성 수준별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능력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대인관계 하위영역별 수준도 민감성의 영역을 제외하고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가족적응성 수준이 매우 융통적일 때 자아존중감 수준과 대인관계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족체계유형에 따라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능력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극단가족에서 균형가족 체계유형으로 갈수록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가족응집성, 가족적응성, 가족체계유형 및 자아존중감이 대학생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대학생의 대인관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자아존중감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은 가족응집성과 가족적응성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가족응집성, 가족적응성,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간의 인과적 관계를 검증하고자 경로 분석을 한 결과, 가족응집성과 가족적응성에서 자아존중감으로 가는 경로, 자아존중감에서 대인관계로 가는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가족응집성·가족적응성과 대인관계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가족응집성이나 적응성에서 대인관계로 가는 경로도 유의하여 자아존중감이 가족응집성이나 가족적응성과 대인관계사이의 관계를 완전히 매개하지 못하고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체계 및 자아존중감이 대인관계특성을 예측할 수 있는 요인임을 알 수 있게 해주며 대학생의 대인 갈등시 가족체계적 관점에서 상담의 접근 필요성을 제기해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family system,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college students. In this study, it showed how college students perceived family system and self-esteem as factors in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 Approximately, 355 colleage students(male 182, female 173) were used as subjects. The measurement scales used were FACESⅢ(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and Evaluation Scale) by Olson (1985), SES (Self-Esteem Scale) by Rosenberg (1965), and Schien's Relationship Scale.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AS 8.0 program,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 path analysis, and Stepwise lisrel 8.30.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amily cohesion, family adaptability, family organization, and self-esteem in gender differentiation. There were partially significants between the genders in terms of self-satisfaction, communication, and in the subordination of self-esteem.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family syst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 according to gender. Second, there were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level of family adaptability in terms of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 Third, statistically there were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elf-esteem and abi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 in the level of family adaptability. The level of subordin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except the realm of sensibility also appeared to have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factors. Furthermore, the level of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 score were higher when family adaptability was more accommodative. Fourth, there were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self-esteem and the abi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 according to the types of family system. That is, it was higher in the balanced family structure than the unbalanced family. Fifth, that family cohesion, family adaptability, type of family system, and self-esteem affected the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 The result showed that the foremost variable factor of college student's personal relation was self-esteem, and next was family cohesion. Sixth, the result of path analysis to prove the cause and effect in the student-perceived family cohesion, family adaptability, self esteem, interpersonal relation was from family cohesion, and family to self esteem to personal relationship. Results showed that affection was a factor in developing self-esteem among the family cohesion, family adapta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 But the path from family cohesion, family adaptability to interpersonal relation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Thus, self esteem cannot fully be a mediating factor between family cohesion, family adapta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but just partially. The research revealed that the factors, family structure and self-esteem are predictors of interpersonal relations. Therefore, this study recommends that in dealing with personal related conflicts among college students, there is a necessity to approach them with counseling in the view point of family system.

      • 임파워먼트의 매개성과 조절성에 관한 탐색 : 사회복지기관 내 변혁적 리더쉽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 있어

        김미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조직의 유효성은 조직의 존립여부와 관련되는 것으로 조직 이론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조직 유효성을 가져오는 선행요인으로는 많은 변수들이 있으며 임파워먼트도 그 중의 하나이다. 임파워먼트는 개인 수준에서 집단 수준, 조직 수준으로 확대, 재생산되며, 조직 유효성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그런데 근래에 불확실한 인간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며 외부의 환경에 민감한 사회복지 조직에 있어서, 조직을 구성하고 있는 구성원들에 의해 행해지는 조직시민행동이 특별히 강조되고 있다. 본인에게 부여된 업무 이외에 조직을 위하여 행하는 모든 자발적인 행동들을 일컫는 조직시민행동 또 한 조직의 유효성을 가져오는 또 하나의 선행요인으로 연구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변혁적 리더쉽도 조직의 유효성 향상에 큰 역할을 하며 직원들을 임파워링 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본 연구자는 임파워먼트에 관심을 가지고, 직원들의 조직시민행동과 관리자의 변혁적 리더쉽의 관계 속에서 과연 임파워먼트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에 초점을 맞춰 연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관리자의 변혁적 리더쉽이 기관 직원들의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서 개인적 특성과 조직적 특성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며, 두 변수 사이에서 임파워먼트가 가지는 매개변수로서의 효과와 조절변수로서의 효과를 탐색해 보고 그것이 의미하는 것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개인적 특성 및 조직의 특성에 따라 변혁적 리더쉽, 임파워먼트의 인식의 정도 차가 다를 것이며, 조직시민행동이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둘째, 실질적 최고관리자의 변혁적 리더쉽과 부하 직원의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 있어 임파워먼트는 정적인 매개 역할을 할 것이다. 셋째, 변혁적 리더쉽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 있어 임파워먼트는 정적인 조절역할을 할 것이다. 위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서울 시 소재 종합사회복지관에 근무하는 재직 6개월 이상 된 전문직 직원들을 대상으로, 개인적 특성 및 조직 특성에 따라 직원들이 인식하고 있는 기관의 실질적 최고 관리자의 변혁적 리더쉽 및 직원들의 임파워먼트가 어떻게 다르고, 직원들의 조직시민행동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통제변수를 투입한 상태에서, 변혁적 리더쉽과 임파워먼트가 조직시민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와 함께 임파워먼트가 변혁적 리더쉽과 조직시민행동 사이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최종 분석에는 196부가 사용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들은 SPSS 11.0 for Windows를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 빈도 분석(Frequency Analysis)과 기술통계분석(Descriptive Analysis), 단순상관관계분석(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t-test, 분산분석(one-way ANOVA), 단순회귀분석(Simple Regression Analysis),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하였다. 분석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 변인들은 임파워먼트, 조직시민행동이었고, 변혁적 리더쉽은 개인 특성에 따른 인식 정도의 차이가 없었다. 조직 특성에 있어서는 직원 수에 따라 임파워먼트 중 하위 요인인 역량에서만 인식의 차이를 보여 주었다. 둘째, 임파워먼트는 변혁적 리더쉽과 조직시민행동 사이에서 정적인 완전매개역할을 하였다. 임파워먼트의 하위 요인의 경우에는 자기 결정인 경우에만 정적인 완전매개 효과를 나타내었고, 의미와 역량과 영향력은 매개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셋째, 임파워먼트는 변혁적 리더쉽과 조직시민행동 사이에서 상호작용을 함에 있어 정적인 조절역할을 못하였다. 임파워먼트의 하위 요인들의 경우는 역량만 부적인 조절효과를 나타내었고 다른 요인들은 전혀 조절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선행연구들에 따르면 변혁적 리더쉽과 임파워먼트는 매우 강력한 관계를 가지고 있고 임파워먼트와 조직시민행동도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본 연구 결과 변혁적 리더쉽과 조직시민행동과의 직접적 관계는 매우 약하거나 거의 없어 두 변수 사이를 이어주는 임파워먼트라는 변수가 투입되어야만 비로소 서로 의미있는 관계가 된다는 것을 알려 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직원들의 조직시민행동의 발현에 있어서 원인적으로 변혁적 리더쉽과 임파워먼트는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일반 조직을 대상으로 하는 선행 연구에서 이미 보여주었듯이, 사회복지기관 내에 있어서도 변혁적 리더쉽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는 직접 효과보다는 임파워먼트라는 매개변수를 통한 간접적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따라서 기관에서 조직의 유효성을 높이기 위해 직원들의 조직시민행동을 원한다면 변혁적 리더쉽이 충분히 발휘되어야 한다. 이를 통하여 직원들이 임파워될 수 있어야 하며 또한 조직 내에서 직원들을 임파워시킬 수 있게 하는 여러 가지 방안들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hich is related to success or failure of the organization, is known to be very important as for the organizational theory. It is known that the precedent factors which promot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clude many variables and the empowerment is one of them. The empowerment can be exercised from individual to group then it can be extended to organizational level;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Recently, in addition to empowermen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OCB) is also considered as one of the major factors to underst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especially so in the human service organization, which offers service to susceptive human being; it is very sensitive to external environmen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OCB) is defined as the voluntary behavior for extra roles executed by constituent members other than his/her own given duty. Recent studies also showed that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akes important role in enhancing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s well as empowering the follower constituents. In this study, it is attempted to explore what is the role of the empower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ollower'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OCB) and lead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Firstly, this study has carried out to observe how does the lead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effect to follower's OCB, in respect to both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tried to seek out the effect of empowerment as a mediator and moderator; finally, this study endeavored to discuss the meaning of mutual influence. In order to find the result of this study following assumptions have been made; First, depending on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the degree of recognition for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empowerment would be different, and the OCB would also be different. Second, empowerment will play a positive mediator role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he leader and OCB of the followers. Third, Empowerment will play a positive moderator role betwee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he OCB In order to verify the above hypothesis,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professional followers who have been in the position for more than 6 months in the community welfare centers located in Seoul. This research surveyed how does the difference in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can lead to a different recognition o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follower's empowerment; and how does the organization citizenship behavior of followers showed a different mode. While control variables were input, an investigation was made to verify how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empowerment effected OCB, and to find the role of empowerment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CB. Total 196 answer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final analysis was made on the following research tools such as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t-test, one-way ANOVA, Simple Regress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done with SPSS 11.0 for Windows program. Based on the statistic analysis, this study reach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empowerment and OCB were found to be effected by variables caused of individual characteristic, while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ere not effected. Regarding to the affect of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 number of workers in the organization causes a different recognition in "competence" which is a sub variable of empowerment. Second, empowerment played a role of perfect mediator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CB. As for sub variables of empowerment, only self-determination played a role of perfect mediator, while meaning, competence and impact did not show the effect of mediator. Third, Empowerment didn't played a positive role of moderator in interaction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CB. As to sub variables of empowerment, only competence was shown to be a negative role of moderator, but other variables didn't show any effect.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there exists a very strong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empowerment; there exists a close relevancy between empowerment and OCB However,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existed only a very weak, if any, direct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CB. Therefore, empowerment as a variable must be inputted in order to exist any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them. Above result can be interpreted in such a way that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empowerment can facilitate follower's OCB. Not only in general organizations, as stated in many previous studies, but also in community welfare centers,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CB is not directly effected but indirectly effected as role of mediator of empowerment. Therefore, in order to enhance the organization effectiveness by necessitating followers' OCB in human service organizati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must be fully demonstrated. By doing this, followers can be empowered and various methods must be pursued in order to produce empowering followers.

      • 企業의 그린 마케팅(Green Marketing) 導入에 관한 硏究

        김미혜 숙명여자대학교 경영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7631

        마케팅을 사회-생태학적 시스템이라는 넓은 시각에서 고찰할 때 환경문제는 직접적으로 마케팅 자체의 문제가 된다. 사회생태학에서 인식된 마케팅의 주제는 「생활의 질(quality of life)」에 귀착하고 인간의 가치에의 영향을 통해서 차원높은 생활에의 원동력이 되기 때문이다. 환경이 심각해지고 소비자들의 질적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기업의 환경보호 책임에 대한 여론이 중요이슈로 등장하면서 환경보호운동을 추진하는 소비자들의 자각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린소비자'라고 불리는 소비자 계층은 상품구매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구매하는 특성을 보임으로서 기업으로 하여금 마케팅의 우선순위를 환경에 두도록 요구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그린마케팅(Green Marketing)」 개념은 마케팅의 변천과정에서 마지막 단계인 사회적·윤리적 마케팅개념의 하나로써, 산업사회의 특징인 대량생산, 대량소비로 인한 자원의 낭비와 자연의 파괴, 환경오염으로부터 보호받기를 원하는 소비자집단을 만족시키기 위해 환경보호와 환경오염방지와 같은 사회적 책임을 기업이 더욱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실행할 필요성에 의해 나타난 것이다. GR가 새롭게 관심을 모으고 있는 것은 미국, EU등 공업 선진국들의 요구로 UR 협정서에 GR추진 조항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자연환경에 대한 비용을 환경보호론자들은 소비자와 기업의 의사결정과정에 반영할 것을 요구하고 있지만, 사실상 환경오염 문제는 오직 기업만이 부담해야 되는 문제는 아니다. 기업활동에 의해 유발되는 환경오염은 기업의 생산과정에서 발생되기도 하지만 생산된 제품을 소비하는 소비자의 소비패턴에 의해서도 크게 좌우되기 때문에 정부, 소비자, 기업이 공동으로 대처해야 할 문제인 것이다. 환경문제에 대한 정부역할은 그린 마케팅의 성·패 여부에 대한 결정권을 가지고 있을 정도로 중요하다. 자본주의 시장경제하에서 환경오염 처리비용을 자발적으로 내부화하기는 어려우므로 생산위주의 사고방식을 가진 상황에서 그린 마케팅이 자생적으로 발생하기는 어렵다. 또한 환경오염에 대한 투자비용이 막대하여 단기적 총자본이익률이 상승하기 어렵기 때문에 환경문제에 대한 정부의 정책의 성격에 따라 기업노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된 것이다. 기업이 마케팅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우선 기업 외부여건과 내부의 능력평가가 선행되어야 하며, 이 분석을 토대로 시장에서의 기회와 위험 그리고 기업의 강·약점과 내부자원을 정확히 파악하여 기업의 경쟁우위를 확보하여야 한다. 따라서 그린마케팅은 기업의 전략의 핵심적 부분이므로 장기적 이익추구를 위한 전략이 되어야 하며, 기업의 장기적 이미지와 사업성, 수익성, 사회성 등을 고려하여 종합적 전략을 수립해야할 것이다. 아직도 많은 기업들이 실질적으로 그린마케팅 활동을 외면하고 단순히 형식적이거나, 자사 상품판매 및 이익 증대만을 그린마케팅하고 있는 실정이다. 모든 제품의 가격이 경제비용과 사회비용을 포함한 진실된 총비용을 반영한다면 대부분의 공해문제는 수요와 공급의 법칙에 의해 해결될 것이다. 즉 TANSTAFL(There ain't no such thing as a free lunch)원칙에 따른 가격 결정방법이다. 이는 사회비용을 발생시킨 사람으로 하여금 그것을 부담하도록 하는 방법으로서 보다 능률적인 자원 배분을 가능하게 하는 공평한 부담방법이며 바람직한 환경행동을 하게 한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환경지향적 제품의 가격은 구매시점에 있어서 구매대상으로 고려되는 제품 뿐만 아니라 그 전후에 걸친 시간 및 형태에 관련하여 소비된 또는 소비될 것이 예상되는 환경비용을 설정해야할 것이다. 제품, 가격, 촉진의 측면에서 논의되는 마케팅전략들은 전방경로를 통해 수행되는 그린 마케팅에 관한 것이지만, 그린 마케팅에서의 유통경로 문제는 주로 역유통 경로와 관련된 것이다. 그린 마케팅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는 고형 폐기물(solid waste)을 재순환(recycling)하는 것인데 그 이유는 고형 폐기물이 환경오염의 주원인 중의 하나일뿐 아니라 그것을 재순환함으로서, 자원 고갈에 대한 한가지 해결책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독일의 환경산업이 급성장을 이룰 수 있었던 것도 고체 폐기물의 처리에 관련된 기술축적의 덕분인 것이다. 현재 환경오염 규제의 강화는 시대적 요청으로 되고 있으며, 환경규제가 사전적 규제로 바뀌며, 경제적 수단을 이용한 규제가 점차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기업의 생존을 위해서는 환경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이 요구될 뿐만아니라 기업전략으로서 그린마케팅이 요구된다. 또한 제품은 환경친화적 제품이지만 브랜드 네임이 이를 적절히 표현해 주지 못한다면 판매효과는 크지 못할 것이다. 환경과 관련된 제품력을 브랜드에 어떻게 나타내 주어야 할 것인가가 마케터에게는 어려운 일이지만, 적은 비용으로 환경지향적 소비자에게 제품의 매력과 제품의 기능을 확신시켜줄 수 있는 작업이다. 그린 브랜드를 통해서 좋은 이미지를 창출할 수 있는 몇개의 어휘가 있는데, 이들 키워드는 제품과 기업이 환경측면에서나 사회측면에서 반드시 수용되어야 하는 사항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해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업에게 있어 그린마케팅은 위험과 동시에 기회의 요인으로 작용한다. 즉 기업이 변화하는 주변환경에 대응하여 장기적으로 생존하기 위한 기본명제는 환경변화에 잘 적응하는 것이며 환경변화에 적절히 적응하지 못하는 기업은 결국 경쟁환경에서 도태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러한 환경변화에 수동적으로 대처할 것인가, 적극적으로 대처할 것인가 하는 것도 기업이 선택해야 할 중요 전략적 문제이다. 우리 나라에서의 그린마케팅은 몇몇 대기업을 중심으로 전개되어 왔지만 최근에는 대기업들은 물론 중소기업들까지도 이 그린운동등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다. 이들의 전략으로는 폐기물 재활용, 상품개발, 1社1山 가꾸기, 제품 및 광고에 환경보호 문구를 삽입, 자사 로고에 녹색 사용 등 보다 다양하고 특색있는 방법으로 소비자들에게 자연과 환경을 사랑하고 그 보전에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이미지를 심기 위해 부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환경오염문제가 중요한 사회문제가 되었기 때문에, 그에 대한 정부의 규제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환경오염에 대한 국민의 의식이 높아져야 한다. 단순히 소비자들의 자각에 의해서만 환경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한계가 있어 시장경제에서 환경오염의 근본적인 원인이 되는 외부비용을 기업 스스로 내부화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므로 환경문제에 대한 정부의 직접, 간접적인 규제를 행하여 기업경영발전을 유도하는 것만이 그린마케팅의 기반을 구축하여 우리기업의 새로운 발전에 일조가 될 것이다. When marketing is viewed in the light of the wider perspective of socioecological system, environmental problem becomes the direct matter of marketing itself. It's because all the subjects of the marketing recognized within the category of socio-ecology are nothing but about 'quality of life' and it becomes a creative force toward a better life through affecting on human values. Therefore, the concept of "Green Markeging" is one of the sociological-ethical marketing concepts which are the final step on the course of marketing concept's transition. And it is actually generated from the necessary demand that industrial companies should take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environmental portection and pollution prevention to protect the comsumer group from environmental destruction and contamination, with a more active and positive attitude. The reason why GR is becoming a matter of concern anew these days is that such a clause is included on UR protocol about executing GR by the demand of leading industrial countries like USA and EU. The government's role in the matter of environmental problem is as great to hold the key about the green marketing's success or failure. Under the market system of capitalism they are hardly willing to bear the cost of waste processing procedures within the system, so it cannot be expected green marketing is generated by self-initiative within the system where the development and productivity have the priority over everything. In addition, the cost of investment on contamination prevention is so great to affect on the growth of profit in short term. So the government's policy on environment has great influence on industry's own endeavor. For industry to work out a marketing strategy, the evaluation of exterior conditions and interior capacity should be performed first, then based on this evaluation the opportunity and risk in the market and company's strong and weak points as well as interior resource should be understood thoroughly. Marketing strategy discussed on the light of products, price, and promation is about green marketing which is performed through frontier path, but the matter of circulation of green marketing is mainly about reverse-cirulation path. One of the important role green marketing plays is recycling solid waste because the solid waste is one of the main causes of environment contamination and recycling the solid waste can also ease the problem of resource exhaustion. At UNCED held in Rio de Janeiro, Brazil, environment preservation of Earth surfaced as a new international ideology. And UNCED also brought about a change on international economic relationship surrounding discussion on Earth's environment, and the green round which is born by the result of this conference goes as far as developed countries' adopting trade limitation on the pretext of environment protection. As the reasons why our environment mark system is not yet activated compared to that of Germany or Japan, Lack of recognition and PR about environment mark system can be cited as well as the want of government's support like offering incentives to companies which are producting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At present, lots of companies' environment protection marketing is losing ground due to slackness of economy, complicated regulations and consumers lukewarm response. All the same, it is clear that companies concerned with environment protection will succeed in the long term and this view of ultimate profit will help to endure the immediate difficulties of short term. Trademarks and advertisements of environment protection have two important functions of educating consumers and promoting the sales in the long term. Therefore education of consumers forms the backbone of longterm envirnment protection marketing. Trademarks and advertisements of environment protection have two important functions of educating consumers and promoting the sales in the long term. Therefore education of consumers forms the backbone of longterm environment protection marketing. Recently the concept of environment is so widely disseminated among consumers that companies cannot access to consumers without considering environment. By that reason, these days lots of companies and social organization within this country and without are engaging in various activities related to environment like recycling and environment protection. So, in order to study green marketing strategies, it is needed to do a research on green marketing activity of companies within and without, and based on that result strategical suggestions of green marketing should be determined as a method to actively cope with the environment matter and to secure advantegeous place in competition. Some cynical consumers take critical attitudes immediately toward companies whose marketing programs give hints of hypocrisy or deceit. Therefore a company who does not act up to its won words will sure pay for its mistake. Because environmental contamination problem has become an important social issue, to bring about government's regulation on this problem, consciousness of consumers on this matter should be elevated. There is clearly a limit to solve environment problem simply by the consumer's recognition and it is much more difficult to expect that companies bear the exterior cost which is the fundamental cause of environment polution market economy. Therefore nothing but inducing companies; management development through direct and indirect regulations of government would help lay the foundation for green marketing and development of our society as well as of our industry. Finally, because there is not enough latest reference and almost none thorough case study, this dissertation sure reveals the limit by lacking the value of substantial research. It is most wished that those insufficient research would be carried out anytime soon.

      • 스마트 폰 웹 ESM을 활용한 한국인의 일상적 행복과 몰입

        김미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외현적 활동에 따른 심리변화에 관한 실시간 데이터를 수집하여 사람들의 실제적인 일상실태를 파악하고, 삶의 영역을 일, 여가, 생활필수 활동으로 나누어 몰입과 행복수준의 차이를 분석하며, 일상적인 삶에서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만 19세 이상의 성인남녀 107명을 대상으로 7일 동안 경험표집(ESM)법을 실시하였으며,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들은 일상에서 주로 자신이 가진 기술(skill) 수준에 비해 쉬운 일들을 하고 있었고, 전체 표집 경험의 9.4% 만이 개인의 기술과 도전하는 일의 수준이 균형(challenge-skill balance)을 이루는 경험이었다. 또한 직업과 관련되어 의무적으로 하는 일들에 대하여 ‘해야 하지만 즐겁게 할 수 있다’는 응답보다 ‘해야 하지만 좋아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여가생활에 대해서도 ‘마땅히 할 일이 없어서 하고 있다’는 응답이 적지 않는 분포로 나타났다. 이러한 일상 경험 데이터를 통하여 참여자들은 전반적으로 몰입을 경험하기에 어려운 일상 구조에 놓여 있다고 진단할 수 있다. 이들이 일상에서 몰입을 경험하기 위해서는 하고 있는 일들의 도전 수준을 높이고, 해야 하지만 좋아하지 않는 일들을 자신의 인생과 결부시켜 활동에 대한 긍정적인 의미를 부여하도록 하며, 흘려보내는 시간을 의미 있는 시간이 될 수 있도록 재구성해야 할 것이다. 둘째, 일상의 경험을 일, 여가, 생활필수 활동으로 나누어 몰입과 행복수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여가는 세 영역 중 몰입과 행복수준이 가장 높았고, 생활필수 활동의 몰입수준은 세 영역 중 가장 낮은 수준이지만, 행복수준은 일보다 높고 여가보다 약간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씻기, 잠자기, 식사하기 등의 생활필수 활동에서 일을 할 때보다 더 행복함을 느낀다는 것으로, 과거 1960-70년대의 생활필수 활동은 단순히 일을 잘 하기 위한 충전과 생계를 유지해나가기 위한 영역이었다면, 무한경쟁사회인 현대사회에서는 생활필수 활동의 의미가 긴장된 사회로부터 벗어나 집과 가족이 주는 자유로움과 편안함을 만끽하고, 정서적 회복을 경험할 수 있는 영역의 의미로 변화하고 있음을 추측해볼 수 있다. 셋째, 일상의 경험을 자율성(자기결정, 내적동기)에 따라 몰입과 행복수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즐기면서 하는 일’이라고 인식한 여가활동을 할 때 몰입과 행복수준이 가장 높았고, ‘해야 하지만 즐겁게 할 수 있는 일’을 할 때 ‘마땅히 할 일이 없어서 하는 여가 활동’을 할 때 보다 몰입과 행복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즉 의무적으로 해야 하는 일이지만 즐겁다고 인식하면 마땅히 해야 할 일이 없어서 시간을 보내는 경우보다 훨씬 더 행복함을 느낀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인간의 행복을 결정짓는 삶의 영역을 여가-일이라는 대칭적인 구조로 이해할 것이 아니라 주관적이고 통합적인 관점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넷째, 일상의 경험을 일, 여가, 생활필수 활동으로 구분하여, 몰입(flow) 채널이 가장 많이 나타나는 영역과 몰입 강도가 가장 높은 영역을 분석한 결과, 몰입 채널이 가장 많이 나타나는 영역은 일 영역이었고, 몰입 강도가 가장 높은 영역은 여가 영역이었다. 이는 일 영역은 기술과 도전의 균형이 자주 일어나지만 자율성이 높지 않아 몰입강도가 낮고, 여가는 몰입의 발생은 쉽지 않지만 자기결정성과 내적 동기가 수반된 활동이라는 점에서 몰입하게 되면 몰입 강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이다. 따라서 일을 할 때는 자기 목적적(autotelic) 활동이 될 수 있도록 개인적인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즐겁게 수행하여 몰입 강도를 높이며, 여가는 도전수준을 높임으로써 지루한 활동이 되지 않도록 하며, 일을 할 때와 같이 참여환경을 구조화시킴으로써 몰입 환경을 조성하고, 훈련을 통한 전문성과 자기실현을 이루는 경험이 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인구통계학적 변인들과 심리적 변인들 중 어느 것이 더 일상적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 인구통계학적 변인들은 일상적 행복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심리적 변인들 중 자율성, 몰입, 의미, 타인행복이 일상적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일상적 행복은 배경 변인보다 마음의 상태에 영향을 받으며, 수행하는 활동의 의미를 개인이 어떻게 해석하는가에 따라 달라진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실시간적인 경험을 측정하였기에 기억의 망각과 왜곡으로 인한 데이터 분석의 오류를 최소화하고, 특정한 여가활동을 잘하고 있을 때를 가정한 기존 여가 연구들과는 달리 일상적인 여가경험에서의 실제 심리상태를 파악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특히 국내 ESM 연구에서 처음으로 스마트 폰과 웹 설문양식을 연구도구로 도입함으로써 응답자들의 편의성과 경험측정의 신뢰성(응답시각이 전산에 의해 자동 기록됨)을 제고함에 따라 ESM 연구발전에 기여하고, 정부 단위의 대규모 사회조사 방법으로도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연구는 개인차원의 연구로 참여자의 선정방식과 인원의 제약이 있었으며, 연구 결과에서 일 영역에서는 몰입 직전 단계의 조건이 충족됨에도 불구하고 몰입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바, 향후 연구에서는 일 몰입의 경험 구조를 더욱 구체적으로 밝히기 위하여 기술과 도전의 균형 외의 몰입의 다른 특성들을 측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심층 인터뷰나 회고적 연구방법을 병행한다면 일상 경험에서 드러난 현상에 대하여 보다 풍부한 해석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daily happiness of male and female adult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low theory in an effort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the characteristics of work and leisure on flow and happiness experience in fast-changing modern societ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07 male and female adults who were selected by real-time experience sampling method. They were at the western ages of 19 and up. A survey was conducted for seven days, an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 participants did something easier work than their skill level and 9.4% of their experience were the experience of their challenge-skill balance. Also there were ‘the work which was must to do but didn’t like to do’ than ‘the work which was must to do and enjoy to do’overwhelmingly about their job and obligation. In the case of the leisure, there were lots of response which was‘doing things because there were nothing special to do’From this results it could make a diagnosis that there could not be flow experience generally. So it needs to make higher challenge level for flow experience and the work which was not like to do were needed to make their life and positive meaning. Also the time which were just gone by need to be restructure the meaningful time. Second, the analysis of the levels of flow and happiness on daily life shows that the differences in work, leisure and mandatory activities of living. The level of flow was highest in leasure and lowest in mandatory activities of living. The level of happiness was highest in leasure as well, otherwise, certainly higher than work and slightly lower than leisure in mandatory activities. of living. This means that washing, sleeping and eating can make people happier than work. The result shows that the role of mandatory activities of living has changed. These activities were part of physical rest to maintain the basic life in 1960s and 1970s. Whereas in modern limitless competition society, living activities could provide family emotional support and relaxation in private space staying out of tension. Third, in terms of autonomy, the levels of flow and happiness were highest when they did something they enjoyed and when they did something that they had to do and found it delightful to do as well. The levels of flow and happiness were lowest when they did something because there was nothing special to do and when they did something that they had to do yet they didn't like to do. Even in the case of leisure activities, the levels of flow and happiness were lower when they engaged in a leisure activity because there was nothing special to do than when they did a leisure activity that they enjoyed. The levels of flow and happiness were higher when they did work that they had to do and found it joyful to do than when they did work since there was nothing special to do. Fourth, concerning the four channels of flow, in which activity area the frequency of flow was larger and in which activity area the intensity of flow was stronger were analyzed. The frequency of flow was higher in work-related activities than in leisure-related activities or mandatory activities of living. The intensity of flow was stronger in leisure-related activities than work-related ones or mandatory activities of living. Fifth, which demographic variables(the type of occupation, age, marital status and gender) and psychological variables(autonomy, flow, achievement, meaning and happiness of others) had a greater impact on happiness was analyzed, and it's found that the demographic variables didn't exert any significant influence on happiness, and that the psychological variables affected it in a significant way except for the variable of achievement. The findings of the study had the following implications: Happiness in everyday life depends on an attitude rather than external conditions. If the life sphere of human beings is classified into work, leisure and mandatory activities of liv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and leisure should be understood from an integrated and subjective perspective, instead of regarding them as symmetrical to each other. The kind of environments that can strengthen flow should be created by inspiring individual people to gain self-purposive experience through work and to enjoy leisure activities as if these activities were part of life along with work. Besides, they should be encouraged to improve their professionalism through training in pursuit of self-realization. And then they will be able to experience flow more often and more deeply in every area of life. The attempts by this study to make an empirical verification of the flow theory and research happiness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work and leisure in changing modern society are expected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improvement of empirical sampling research that has been object-centered so far. Bu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cquaintances of this researcher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method, and the findings of the study might not be generalizable since they might have been conscious of this researcher when they answered. In the future, how to encourage participants to be honest about their own psychology without being self-conscious should be devised. It could be said that there are three different sorts of lives that can bring happiness to man: life of flow, meaningful life and joyful life. If so, how much Korean people seek after the three kinds of lives in daily life should be compared to make a more profound interpretation of life of flow.

      • A Study of Peroxiredoxin 5 functions on Obesity : 비만에서의 퍼옥시레독신 5 의 기능 연구

        김미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Elevated levels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re a hallmark of obesity. Peroxiredoxin 5 (Prx5), which is a cysteine-dependent peroxidase enzyme, has an intensive ROS scavenging activity because it is located in the cytosol and mitochondria. Therefore, we focused on the role of Prx5 in regulating mitochondrial ROS in relation to adipogenesis and hepatic steatosis. We demonstrated that Prx5 expression was upregulated during adipogenesis and Prx5 overexpression suppressed adipogenesis by regulating cytosolic and mitochondrial ROS generation. Silencing Prx5 promoted preadipocytes to differentiate into adipocytes accumulating lipids by activating adipogenic protein expression. In addition, we certified that Prx5 overexpression suppressed lipogenesis gene expression, resulting in inhibition of hepatic steatosis. We also confirmed physiological role of Prx5 in vivo systems. Prx5-deletion mice fed on a high-fat diet (HFD) exhibited significant increase in body weight, enormous fat pads, and adipocyte hypertrophy in comparison to wild type mice. Prx5 deletion also remarkably induced adipogenesis-related gene expression in white adipose tissue. These phenotypic changes in Prx5-deletion mice were accompanied with lipid metabolic disorders, such as excessive lipid accumulation in the liver, severe hepatic steatosis, and high levels of triglyceride in the serum.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Prx5 deletion increased the susceptibility to HFD-induced obesity and several of its associated metabolic disorders. In conclusion, we suggest that Prx5 inhibits adipogenesis and hepatic steatosis by modulating ROS generation, implying that Prx5 may serve as a potential strategy to treat obesity and obesity related complications. 과도한 ROS 생성은 비만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이러한 ROS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비만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Peroxiredoxin 5는 세포질과 미토콘드리아에 존재하기 때문에 강력한 ROS 소거능력을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백색지방세포 및 간 세포에서의 미토콘드리아 유래 ROS 및 지방 축적 조절에 대한 Prx5의 역할에 대해 연구하였다. 백색지방 분화과정에서 Prx5 과발현은 세포질 및 미토콘드리아의 ROS 생성을 조절함으로서 백색지방의 지방형성을 억제하였다. 반면에 Prx5를 억제하였을 때, 백색지방 분화에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하여 지방형성이 과도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간 세포에서의 Prx5 과발현은 유리지방산 처리에 의해 유도된 지방간을 억제하였다. 이는 간세포에서의 지방형성에 관여하는 인자인 SREBP1의 발현을 억제하고 AMPK 활성 조절을 통해 지방산 산화를 촉진하는 것을 통해 Prx5가 지방간을 완화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반대로 Prx5를 억제하였을 때 SREBP1의 발현을 증가시켜 지방형성을 촉진하여 간세포의 지방축적을 증가시킨 것을 확인하였다. In vivo 환경에서의 Prx5의 역할을 확인하기 위해Prx5가 결손된 마우스 모델에 고지방 식이를 제공하여 비만을 유도하여 비만과 지방간의 진행 정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Wild-type마우스에 비교해서 체중 증가, 거대한 지방층 형성 및 지방구 비대증이 나타났다. 또한 Prx5가 결손된 마우스에서 분리한 조직에서 백색지방 분화와 지방생성을 촉진하는 유전자의 발현이 크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비이상적인 지방대사와 함께 동반되었다. Prx5가 결손된 마우스에서 높은 혈당 수치 및 지질 축적, 인슐린 저항성과 렙틴 저항성이 나타났다. 특히 간 조직에서 과도한 지방축적과 지방간 증상이 나타났고 SREBP1의 발현이 크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Prx5가 산화적 스트레스 조절을 통해 비만 및 비만과 동반되는 2차적인 만성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다문화 가정 여성의 적응 증진을 위한 방안 연구

        김미혜 중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여성이 한국생활적응을 증진하여 이국땅에서 원활하게 소통하며, 살아갈 수 있도록 다문화가정 여성이 겪고 있는 한국생활적응 문제점을 분석하여 다문화가정 여성의 한국생활적응 증진방안을 강구 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여성의 삶의 적응 증진을 위한 방안을 강구하기 위해 문헌고찰을 통해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방안에 대해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